KR101297274B1 - 바이오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바이오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7274B1
KR101297274B1 KR1020130021962A KR20130021962A KR101297274B1 KR 101297274 B1 KR101297274 B1 KR 101297274B1 KR 1020130021962 A KR1020130021962 A KR 1020130021962A KR 20130021962 A KR20130021962 A KR 20130021962A KR 101297274 B1 KR101297274 B1 KR 101297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film
drain electrode
electrode
sourc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1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세영
권현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디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디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디디
Priority to KR1020130021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7274B1/ko
Priority to PCT/KR2013/001775 priority patent/WO2014133212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7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7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03Cells and electrode assemblies
    • G01N27/414Ion-sensitive or chemical field-effect transistors, i.e. ISFETS or CHEMFETS
    • G01N27/4145Ion-sensitive or chemical field-effect transistors, i.e. ISFETS or CHEMFETS specially adapted for biomolecules, e.g. gate electrode with immobilised recep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03Cells and electrode assembl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28Electrolytic cell components
    • G01N27/30Electrodes, e.g. test electrodes; Half-cells
    • G01N27/327Biochemical electrodes, e.g. electrical or mechanical details for in vitro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03Cells and electrode assemblies
    • G01N27/414Ion-sensitive or chemical field-effect transistors, i.e. ISFETS or CHEMFE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03Cells and electrode assemblies
    • G01N27/414Ion-sensitive or chemical field-effect transistors, i.e. ISFETS or CHEMFETS
    • G01N27/4146Ion-sensitive or chemical field-effect transistors, i.e. ISFETS or CHEMFETS involving nanosized elements, e.g. nanotubes, nanowires

Abstract

본 실시예의 바이오 센서는, 기판과, 상기 기판의 상부면 일부에 형성되는 소스 전극과, 상기 소스 전극과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드레인 전극과, 상기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 사이의 기판 상부면과, 상기 소스 전극의 상부면 및 드레인 전극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탄소나노 전류감지막과, 상기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 상측에 위치한 탄소나노 전류감지막 상에 형성되고, 절연물질로 이루어진 버퍼막과, 상기 버퍼막 상에 형성되는 게이트 전극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바이오 센서 및 그 제조 방법{Biosen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same}
본 발명은 바이오 센서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탄소나노튜브를 갖는 FET 기반의 나노 바이오 센서를 제조하는 때에, 제조 공정 중 사용되게 되는 포토레지스트에 의하여 탄소나노튜브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그 구조 및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이하, "FET"이라고도 함)는 소스, 드레인 및 게이트 전극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소스와 드레인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전류의 이동 통로인 채널의 위, 옆 또는 아래에 절연막을 형성하고, 그 상부에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여 제작한다. 게이트 전극에 가해주는 전압 신호의 크기를 조절하여 소스와 드레인 전극 사이 채널에 존재하는 반송자 입자(양전기 전도 홀 및 음전기 전도 전자)의 밀도를 조절함으로써, 소스 또는 드레인 전극으로 출력되는 전류 신호의 크기를 변환할 수 있는 소자이다.
최근 화학 또는 생물 분자를 검출하는데 있어서, 신속성과 편리성이 강조되면서 정밀분석기기 보다 센서 제작에 많은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바이오센서는 생물 분자를 검출하기 위하여 생물 감지기능을 이용한 화학 센서로서 전기화학, 광학, 전기 및 기계적 신호 등과 같은 신호변환을 이용하고 있다. 이들 중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는 바이오센서는 신호전환이 빠르고 소형화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는 대표적 센서로 FET 바이오센서가 있으며 반도체 공정을 이용하여 제작되기 때문에 집적회로나 MEMS 접목이 용이하여 초소형화에 유리하며 양산 및 생산비용 절감이 가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FET 바이오센서는 생물 분자를 전류감지막 표면에 흡착시켜 특정 분자를 선택적으로 인식할 때 발생하는 전하의 영향으로 인해 감지막 내부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변화하게 되는데 이때의 출력 신호 크기 변화를 이용한다.
일반적으로, 나노 바이오 센서를 포함한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는, 전극 등의 구조막을 패턴화하기 위하여 포토레지스트를 사용하고 있다. 이 포토레지스트 공정에서는, 기판에 자외선(UV) 감광을 통하여 패턴을 만들고, 섭씨 90도 이상의 온도를 수차례 가열하며 산과 극성화합물 등을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탄소나노튜브(CNT) 및 그래핀을 도포하여 전류감지막으로 사용하는 나노바이오 센서의 경우에, 이러한 포토레지스트를 전류감지막상에까지 직접 도포하고, 공정 진행 후 포토레지스트를 제거하는 등의 일련의 과정들이 수행되면, 전류감지막을 형성하는 탄소나노튜브 및 그래핀(이하 "탄소나노 전류감지막" 또는 "전류감지막"이라고 함)의 상호 연결구조에 손상이 가해지고, 이것은 결국 제조된 바이오 센서의 채널링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거나, 타겟 물질을 정확히 검출할 수 없을 정도로 정확한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새로운 구조의 FET 기반 바이오 센서를 제안하며, 제안되는 구조에 의해서 포토레지스트의 사용에 따른 탄소나노 전류감지막의 데미지를 방지할 수 있는 바이오 센서 및 그 제조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의 바이오 센서는, 기판과, 상기 기판의 상부면 일부에 형성되는 소스 전극과, 상기 소스 전극과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드레인 전극과, 상기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 사이의 기판 상부면과, 상기 소스 전극의 상부면 및 드레인 전극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탄소나노튜브 또는 그래핀으로 이루어진 전류감지막과, 상기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 상측에 위치한 탄소나노 전류감지막 상에 형성되고, 절연물질로 이루어진 버퍼막과, 상기 버퍼막 상에 형성되는 게이트 전극을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의 바이오 센서의 제조 방법은, 기판 상에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 형성을 위한 금속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금속막을 패터닝하기 위한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하고, 상기 포토레지스트를 패터닝하는 단계와, 상기의 패터닝된 포토레지스트를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금속막을 식각함으로써, 상기 기판 상에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포토레지스트를 제거하고, 상기 기판의 노출된 상부면과, 상기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의 상부면에 감지막으로 사용할 탄소나노 전류감지막을 코팅하는 단계 및, 게이트 전극이 형성된 절연물질의 버퍼막을 상기 탄소나노 전류감지막 상에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안되는 바와 같은 실시예의 바이오 센서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해서, 센서 제조 중에 탄소나노 전류감지막에 가해지는 데미지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바이오 센서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은 실시예의 바이오 센서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개시하는 사항으로부터 본 실시예가 갖는 발명의 사상의 범위가 정해질 수 있을 것이며, 본 실시예가 갖는 발명의 사상은 제안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구성요소의 추가, 삭제, 변경 등의 실시변형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은 게이트, 소스 및 드레인 전극과, 나노구조체로서 탄소나노 전류감지막을 포함하는 트랜지스터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전류감지막 표면의 링커에 연결된 항체에 흡착되는 단백질 등의 타겟 물질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로서, 제조 공정 중에 레이어를 패턴화하기 위한 포토레지스트의 사용 공정을 고려하여 탄소나노 전류감지막이 상기 포토레지스트에 의하여 손상이 가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바이오 센서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판(101)과, 기판(101) 상에 형성된 패턴화된 소스 전극(120) 및 드레인 전극(110)과, 상기 기판(101)과 소스 및 드레인 전극(110,120) 상에 위치하고 트랜지스터의 채널 형성을 위한 탄소나노 전류감지막(150)(이하, "전류감지막"이라 함)와, 상기 전류감지막(150) 상측에 위치하며 검출하고자 하는 타겟 물질이 전류감지막 상에 흡착되도록 개구부를 갖는 버퍼막(130)과, 상기 버퍼막(130) 상에 형성되는 게이트 전극(140)을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기판(101)은, 실시예의 바이오 센서를 제조하는 때에 제조단가를 절감하고, 경량화를 위하여 SiO2계의 유리재료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글래스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글래스의 기판은 200nm에서 500㎛ 범위의 두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기판(101)상에는 FET 소자의 소스 및 드레인 전극(110,120)이 위치하며,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은 후술되는 포토레지스트 공정을 통하여 패턴화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 사이의 공간은 타겟 물질이 흡착되는 영역으로서, 정확하게는 소스 및 드레인 전극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는 전류감지막(150) 상에 타겟 물질이 링커를 통하여 흡착된다. 전류감지막 표면에서 항체 단편을 고정시키는 고정 물질은 CNT와 친화성이 있는 크로스-링커를 사용할 수 있으며, CNT의 소수성 성질을 이용하여 크로스-링커의 소수성 성질을 가진 한쪽 끝이 CNT 막에 흡착되고, 타측이 항체 단편과 공유결합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소스 전극(120)과 드레인 전극(110) 모두 다층막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기판(101)과의 흡착성이 우수한 Ti(티타늄)을 형성하고, Ti 상에 제 2 금속막으로서 Au(금)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Au의 낮은 접착성을 Ti가 보완하여 주며, Au의 높은 전기전도도를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류감지막(150)은 소스 전극(120)과 드레인 전극(110) 사이의 기판 상부와, 소스 및 드레인 전극 상부면에 형성되며, FET 소자로서 게이트 전극으로 전압 인가시에 채널링을 형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의 전류감지막(150)은 이미 패턴화된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 상부면과, 기판 상에 형성되기 때문에, 센서 제조 도중에 포토레지스트 등에 의한 손상이 가해질 가능성이 현저히 낮다. 제조 방법과 관련하여서는,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110,120) 상측에는 게이트 전극이 형성되는데, 전기절연을 위하여 상기 소스/드레인 전극과 게이트 전극 사이에는 부도체인 버퍼막(130)이 위치한다. 상기 버퍼막(130)은 SiO2계의 유리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기판(101)과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기판과 버퍼막 모두 글래스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버퍼막(130)의 일단은 상부면이 노출된 전류감지막을 향하여 테이퍼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도 6(a)를 참조하면, 버퍼막(130) 일단의 하측부에 형성된 제 2 테이퍼면(132)과, 버퍼막(130) 일단의 상측부에 형성된 제 1 테이퍼면(131)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퍼막(130) 상에는 게이트 전극인 메탈이 형성되는데, 상기 게이트 전극이 전류감지막(150)에 근접하여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버퍼막(130)의 단부는 제 1 및/또는 제 2 테이퍼면에 의해 절곡된 형상을 갖을 수 있다.
상세히, 버퍼막의 일단부가 전류감지막(150)을 향하여 절곡되는 제 1 테이퍼면(131)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버퍼막 상에 형성되는 게이트 전극(140)이 하측방향으로 소정 각도 절곡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적 특징으로 인하여, 게이트 전극(140)의 일부가 CNT막에 보다 근접하게 위치할 수 있으며, FET 소자 특성상 게이트 전극으로 인가하는 전압의 세기를 줄이더라도, 트랜지스터의 세밀한 동작 제어가 가능해진다.
그리고, 제 1 테이퍼면(131)에 연속하여 다른 각도로 절곡되는 제 2 테이퍼면(132) 상에는 게이트 전극이 위치하지 않도록 하며, 이것은 버퍼막 아래의 소스 또는 드레인 전극과 단락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함이다.
한편, 상기 게이트 전극(140)은 백금, 금, 크롬, 구리, 알루미늄, 니켈, 팔라늄 및 티타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두께는 예를 들어 약 0.1T가 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바이오 센서는, 채널 형성을 위한 탄소나노 전류감지막의 일부가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 상부에 형성되는 구조이며,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의 패턴화된 형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포토레지스트를 사용하더라도, 탄소나노 전류감지막이 형성되기 이전에 도포 및 제거 되기 때문에, 탄소나노 전류감지막으로의 데미지 전달이 가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글래스 재질의 기판과, 버퍼막을 사용하기 때문에, 센서의 경량화 및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으며, 게이트 전극이 탄소나노 전류감지막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트랜지스터를 저전력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바이오 센서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여 본다.
도 2 내지 도 6은 실시예의 바이오 센서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SiO2계 유리재료로 이루어진 기판(101) 상에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 형성을 위한 금속막(102)을 형성한다. 상기 금속막은, 주지의 방법들로 증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화학기상증착으로 기판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그 다음, 도 3을 참조하면, 금속막(102)상에 포토레지스트(PR)를 도포하고, 이 포토레지스트를 패터닝한다. 포토레지스트의 패터닝은 형성하고자 하는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수행되고, 포토레지스트의 패터닝에 의하여 노출되는 금속막이 식각의 대상이 된다.
그 다음, 도 4를 참조하면, 패터닝된 포토레지스트를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금속막을 식각하며, 이러한 식각은 기판의 상부면이 노출되는 때까지 수행된다.
금속막의 부분 식각을 통하여, 패터닝된 소스 전극(120)과 드레인 전극(110)이 형성된다.
그 다음, 노출된 기판 상부면과,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 상부에 탄소나노 전류감지막 형성을 위한 공정이 수행된다. 특히, 예컨대, CNT를 분산시킨 분산 용액을 유리 재질의 기판 상에 코팅하며, CNT가 분산되어 있는 용액의 코팅으로 인하여, 용액 내에서 단위 가닥으로 분산되어 있는 CNT들이 기판 상부면과 소스/드레인 전극의 벽과 그 위에 흡착된다. 용액 내에서 단위 가닥으로 분산되어 있던 CNT들은 메탈인 소스/드레인 전극과, 유리 재질의 기판 상에 한겹씩 흡착된다.
그리고, CNT를 분산시킨 용액 내에 소스/드레인 전극이 형성된 기판을 침전시켜 흔들어 주게 되면, 기판 표면과 전극 표면(측벽 및 상부면)에 흡착된 CNT들을 제외한 나머지 CNT들이 제거될 수 있다. 이것은, CNT를 구성하는 단위 가닥들 사이의 반데르발스힘 보다도, CNT 가닥과 메탈 또는 유리와의 반데르발스 힘이 더 큰 것을 이용한 것으로서, 이와 같은 방법으로 기판 표면과, 소스/드레인 전극 상에 CNT를 코팅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다 상세히, CNT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이중벽 탄소나노튜브,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중에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CNT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용해용매로써 탄소나노튜브 분산용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알콜, 에틸알콜, 이소프로필알콜, 부틸알콜, 에틸렌글라이콜, 폴리에틸렌글라이콜, 에틸렌 글리콜,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 N-메틸-2-피롤리돈, 헥산, 사이클로헥사논, 톨루엔, 클로로포름, 증류수, 디클로로벤젠, 디메틸벤젠, 트리메틸벤젠, 피리딘, 메틸나프탈렌, 니트로메탄, 아크릴로니트릴, 옥타데실아민, 아닐린, 디메틸설폭사이드,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여 CNT 분산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CNT 분산용매에의 탄소나노튜브의 균일한 분산을 위하여 초음파 분산법이나 볼밀링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CNT의 용량 및 용매의 양에 따라 진동수 20kHz 내지 50kHz 범위의 파워(power) 50 내지 700W인 초음파기에서 1시간 내지 60시간 동안 적용하여 용매에의 탄소나노튜브의 균일한 분산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CNT의 분산용매에의 CNT 분산시 분산안정제를 첨가할 수 있다.
여기서, 분산안정제는 트리톤 엑스백(Triton X-100),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 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 폴리비닐알코올, 가넥스(Ganax), 전분, 단당류(monosaccharide), 다당류(polysaccharide), 도데실벤젠술폰산 나트륨(dodecyl benzene sulfate), 도데실벤젠설폰산나트륨(sodiumdodecyl benzene sulfonate, NaDDBS), 도데실설폰산나트륨(sodium dodecylsulfonate, SDS), 4-비닐벤조산 세실트리메틸암모늄 (cetyltrimethylammounium 4-vinylbenzoate), 파이렌계 유도체(pyrene derivatives), 검 아라빅(Gum Arabic, GA), 나피온(nafion)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CNT의 분산용액을 제조하기 전에 바인더에 따라 질산, 염산, 황산 및 이들의 혼합액 중에 하나인 산용액을 첨가하여 탄소나노튜브를 정제하여 표면기능화를 실현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용매 및 바인더에의 분산성을 높일 수 있다.
CNT의 분산용액 제조시에 바인더를 직접적으로 넣어 용해시키거나, 바인더 용해용매에 바인더를 용해시킨 바인더 용액을 CNT 분산용액에 혼합하여, CNT와 바인더가 혼합된 탄소나노튜브 바인더 혼합코팅액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인더 용해용매는 바인더의 종류에 따라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CNT 분산용매 또는 희석용 용매의 사용으로도 대체할 수도 있다.
여기서, 바인더는 고분자수지 바람직하게는 열경화형수지, 광경화형수지, 가수분해하여 축합반응을 일으키는 실란 컴파운드, 열가소성수지 및 전도성고분자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열경화형수지로 이루어진 바인더는, 우레탄수지, 에폭시수지, 멜라민수지, 폴리이미드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광경화형수지로 이루어진 바인더는, 에폭시수지,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우레탄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광경화형수지로 이루어진 바인더는, 반응성 올리고머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 아크릴레이트, 티올레이트(thiolate), 유기실리콘 고분자, 유기실리콘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광경화형수지로 이루어진 바인더는, 반응성 모노머가 단관능 모노머로서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올틸데실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아크릴레이트, 드리데실메타크릴레이트, 2-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노닐페놀에톡시레이크모노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퍼푸릴레이트, 에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광경화형수지로 이루어진 바인더는, 반응성모노머가 2관능모노머로서 1,3-부탄디올디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드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가수분해하여 축합반응을 일으키는 실란 컴파운드는 탄소나노튜브 바인더 혼합코팅액에서 바인더 역할과 동시에 분산안정제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열가소성수지로 이루어진 바인더는, 폴리스티렌 및 그 유도체, 폴리스티렌 부타디엔 공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염화비닐,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이미드, 폴리아믹산,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올레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옥시에틸렌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전도성고분자로 이루어진 바인더는, 폴리티오펜계 단일중합체, 폴리티오펜계 공중합체, 폴리아세틸렌,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 펜타센계 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인더는 CNT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고 기질에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며, 화학적 안정성 및 내구성, 내스크래치성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적절한 농도로 희석된 CNT 바인더 혼합코팅액은 기질 상면에 스프레이, 딥코팅, 스핀코팅, 스크린코팅, 잉크젯프린팅, 패드프린팅, 나이프코팅, 키스코팅 및 그라비아코팅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코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이러한 코팅방법에 의해 상기 기판 상면에 투명전도성 필름의 용도 등에 따라 수십 내지 수백 nm 두께로 코팅할 수 있다.
기판(101)의 노출된 상부면에 형성된 CNT 혹은 그래핀으로 이루어진 탄소나노 전류감지막(150)은 타겟 물질이 유도되는 영역이고,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 상에 형성된 탄소나노 전류감지막 위에는, 게이트 전극이 형성된 버퍼막을 접착시킨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소나노 전류감지막(150)은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 상에 형성되고, 게이트 전극이 형성된 버퍼막은 상기 탄소나노 전류감지막(150) 상에 접착된다.
상세히, SiO2계 유리재료로 이루어진 버퍼막(130)의 일단을 테이퍼 가공하고, 테이퍼면이 형성된 버퍼막(130) 상에 게이트 전극용 메탈을 형성시킴으로써, 게이트 전극이 형성된 버퍼막을 완성한다. 여기서, 버퍼막 일측 단부의 테이퍼 가공은, 5 4(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형상이 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게이트 전극의 일단부가 절곡형성되도록 하향 경사진 제 1 테이퍼면(131)과, 소스/드레인 전극과 게이트 전극이 단락되지 않도록 상향 경사진 제 2 테이퍼면(132)이 형성되도록 버퍼막의 단부를 가공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퍼막(130)의 일단이 하향 경사진 테이퍼면만을 갖을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경우에는, 버퍼막(130)의 가로 길이를 소스/드레인 전극의 길이에 비해 더욱 길게하여, 전극 사이에 단락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테이퍼면을 갖는 버퍼막(130)과, 버퍼막(130) 상에 게이트 전극을 형성한 다음에는, 버퍼막(130) 하부면을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110,120) 상에 접착시킴으로써, 실시예의 바이오 센서가 제조될 수 있다. 유리로 이루어진 버퍼막을 CNT 상에 부착시키는 때에는, 다양한 종류의 화학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여,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이오 센서가 제조되며, CNT를 형성하기 이전에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의 패터닝이 수행되므로, 포토레지스트를 제거하는 때에 CNT 표면에 데미지가 가해지는 문제는 발생하지 않게 된다.
101 : 기판 110 : 드레인 전극
120 : 소스 전극 130 : 버퍼막
140 : 게이트 전극 150 : 탄소나노 전류감지막

Claims (6)

  1. 기판과,
    상기 기판의 상부면 일부에 형성되는 소스 전극과,
    상기 소스 전극과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드레인 전극과,
    상기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 사이의 기판 상부면과, 상기 소스 전극의 상부면 및 드레인 전극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탄소나노 전류감지막과,
    상기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 상측에 위치한 탄소나노 전류감지막 상에 형성되고, 절연물질로 이루어진 버퍼막과,
    상기 버퍼막 상에 형성되는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는 바이오 센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 전류감지막은 상기 기판의 상부면과, 상기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의 측벽과 상부면에 코팅된 바이오 센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막의 일단부는, 상기 탄소나노 전류감지막을 향하여 하향 절곡된 테이퍼면을 갖는 바이오 센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 버퍼막은, SiO2계 유리 재료로 이루어진 바이오 센서
  5. 기판 상에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 형성을 위한 금속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금속막을 패터닝하기 위한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하고, 상기 포토레지스트를 패터닝하는 단계와,
    상기의 패터닝된 포토레지스트를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금속막을 식각함으로써, 상기 기판 상에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포토레지스트를 제거하고, 상기 기판의 노출된 상부면과, 상기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의 상부면에 탄소나노튜브 또는 그래핀을 코팅하여 탄소나노 전류감지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게이트 전극이 형성된 절연물질의 버퍼막을 상기 탄소나노 전류감지막 위에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이오 센서의 제조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 또는 그래핀을 코팅하는 단계는,
    상기 탄소나노튜브 또는 그래핀이 분산된 분산 용액을 상기 기판,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 상에 코팅하고, 사용된 분산 용액을 이용하여 상기 탄소나노튜브 또는 그래핀 일부를 일부를 제거하는 바이오 센서의 제조 방법.
KR1020130021962A 2013-02-28 2013-02-28 바이오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R101297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962A KR101297274B1 (ko) 2013-02-28 2013-02-28 바이오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PCT/KR2013/001775 WO2014133212A1 (ko) 2013-02-28 2013-03-05 바이오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962A KR101297274B1 (ko) 2013-02-28 2013-02-28 바이오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7274B1 true KR101297274B1 (ko) 2013-08-20

Family

ID=49220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1962A KR101297274B1 (ko) 2013-02-28 2013-02-28 바이오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97274B1 (ko)
WO (1) WO201413321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5863A1 (zh) * 2022-08-30 2024-03-07 松山湖材料实验室 一种石墨烯生物传感器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61330A4 (en) * 2018-10-05 2022-06-15 Hememics Biotechnologies, Inc. CARBON NANOTUBE BIOSENSORS AND ELECTRONIC READER FOR USE WITH THE BIOSENSOR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05457A1 (en) * 2002-05-03 2003-11-06 Choi Won-Bong Semiconductor carbon nanotubes fabricated by hydrogen functionalization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0966007B1 (ko) * 2007-09-14 2010-06-24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상온동작 단전자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025846B1 (ko) * 2004-09-13 2011-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탄소나노튜브 채널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트랜지스터
US20120220053A1 (en) * 2011-02-17 2012-08-30 Rutgers, The State University Of New Jersey Graphene-encapsulated nanoparticle-based biosensor for the selective detection of biomarker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5392A (ja) * 2002-08-27 2004-03-18 Fujitsu Ltd 炭素元素線状構造体を用いた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化学センサー
JP5371453B2 (ja) * 2009-01-09 2013-12-18 ミツミ電機株式会社 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05457A1 (en) * 2002-05-03 2003-11-06 Choi Won-Bong Semiconductor carbon nanotubes fabricated by hydrogen functionalization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1025846B1 (ko) * 2004-09-13 2011-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탄소나노튜브 채널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트랜지스터
KR100966007B1 (ko) * 2007-09-14 2010-06-24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상온동작 단전자 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20120220053A1 (en) * 2011-02-17 2012-08-30 Rutgers, The State University Of New Jersey Graphene-encapsulated nanoparticle-based biosensor for the selective detection of biomarke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5863A1 (zh) * 2022-08-30 2024-03-07 松山湖材料实验室 一种石墨烯生物传感器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33212A1 (ko) 2014-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u et al. Carbon nanotube thin films: fabrication, properties, and applications
LeMieux et al. Self-sorted, aligned nanotube networks for thin-film transistors
Chan et al. Reducing extrinsic performance-limiting factors in graphene grown by chemical vapor deposition
Vijayaraghavan et al. Ultra-large-scale directed assembly of single-walled carbon nanotube devices
Roberts et al. Sorted and aligned single-walled carbon nanotube networks for transistor-based aqueous chemical sensors
US9718972B2 (en) Functional inks based on layered materials and printed layered materials
Silva et al. Electrochemical detection of dengue virus NS1 protein with a poly (allylamine)/carbon nanotube layered immunoelectrode
LeMieux et al. Solution assembly of organized carbon nanotube networks for thin-film transistors
Ishikawa et al. Importance of controlling nanotube density for highly sensitive and reliable biosensors functional in physiological conditions
Furlan de Oliveira et al. Liquid‐gated transistors based on reduced graphene oxide for flexible and wearable electronics
EP3026014A1 (en) Carbon nanotube composite, semiconductor device, and sensor using same
Jang et al. Enhanced performance in capacitive force sensors using carbon nanotube/polydimethylsiloxane nanocomposites with high dielectric properties
US9601697B2 (en) Systems and process for forming carbon nanotube sensors
US10031097B1 (en) Electrical response using nanotubes on a fibrous substrate
CN108831828B (zh) 可应用于多种表面的柔性电子器件及其制备方法
Kong et al. Electrical conductivity of graphene films with a poly (allylamine hydrochloride) supporting layer
Han et al. Patterning of single-walled carbon nanotube films on flexible, transparent plastic substrates
US20150181704A1 (en) Circuit board including aligned nanostructures
Zhou et al. Anisotropic motion of electroactive papers coated with PEDOT/PSS
US20100224862A1 (en) Carbon nanotube structure and thin film transistor
Roberts et al. Self-sorted nanotube networks on polymer dielectrics for low-voltage thin-film transistors
KR101297274B1 (ko) 바이오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R101444068B1 (ko) 기판 상에 탄소나노튜브층을 형성하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여 바이오 센서를 제조하는 방법
WO2016084691A1 (ja)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複合体、半導体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センサ
Yang Lee et al. Integrated devices based on networks of nanotubes and nanowi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