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5311B1 - 빌트업 항온기 - Google Patents

빌트업 항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5311B1
KR101295311B1 KR1020120150974A KR20120150974A KR101295311B1 KR 101295311 B1 KR101295311 B1 KR 101295311B1 KR 1020120150974 A KR1020120150974 A KR 1020120150974A KR 20120150974 A KR20120150974 A KR 20120150974A KR 101295311 B1 KR101295311 B1 KR 101295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outside air
chamber
thermostat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0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화에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화에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화에이스
Priority to KR1020120150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53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5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5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7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with both heat and humidity transfer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내에 위치하여 내부로 작업자의 출입이 가능하고, 외기유입구와, 내기유입구가 각각 형성되고, 하측으로 배출구가 형성된 항온기실, 항온기실의 내부에 구비되어 유입된 외기와 내기를 여과하는 필터부, 항온기실의 내부에 구비되고 필터부를 통과한 외기와 내기의 습도를 조절하는 습도조절부, 항온기실의 내부에 구비되고 필터부를 통과한 외기와 내기를 냉각하는 냉각수단, 항온기실 내부에 구비되어 유입된 외기와 내기를 실내로 강제공급하기 위한 송풍유닛 및 외기유입구측에 구비되어 외기의 유입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외기댐퍼부와, 내기유입구측에 구비되어 내기의 유입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내기댐퍼부를 구비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빌트업 항온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덕트 및 챔버 대신 항온기실 전체를 이용함으로써 유입되는 풍량을 늘려 대풍량 및 대용량 가습의 적용에 용이하며, 외기냉방 기간을 연장할 수 있으며, 공기의 통과 단면적이 넓어지고 냉각수단 이후의 공기의 통과 구간이 길어 가습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빌트업 항온기{Built-up constant temperature device}
본 발명은 빌트업 항온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입되는 외기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빌트업 항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실내의 공기조화를 수행하는 항온시스템은 건물의 천정이나 바닥 등에 덕트를 설치하고, 주로 지하실이나 옥상 등의 별도의 장소에 위치하는 공기조화실에 설치된 공기조화기로부터 공기가 상기 덕트를 통하여 실내로 공급되게 하여 공기조화를 수행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항온시스템의 예로 대한민국등록특허 특0142635호의 바닥취출 공기조화 시스템은, 건물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콘크리트 슬라브의 상부측에 설치되는 액세스플로어와, 상기 액세스플로어의 상부실내공간을 연결하는 공기배출구와, 환기공간부를 형성하는 천정공간부를 포함하는 구성이 개시된 바 있다.
한편, 최근에는 급격하게 증가하는 고밀도 전산발열 데이터 센터의 발열량을 줄이기 위하여 다양한 에너지절약 시스템 및 공조효율을 높이기 위한 방안이 모색되고 있으며, 이 중 공조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패키지형 항온기를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패키지형 항온기는, 전체적으로 컴팩트한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챔버와, 내기가 유입되는 급기덕트와, 상기 외기챔버와 급기덕트와 연통되어 상기 외기와 내기가 혼합되는 혼합챔버와, 상기 혼합챔버로부터 유출되는 외기와 내기의 혼합기를 항온항습시키는 항온항습기를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러한 일련의 구성들은 건물의 별도의 공간으로 설치된 항온항습실에 배치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패키지형 항온기는 유입할 수 있는 공기의 풍량이 작아 대용량에는 적용하기가 힘들었으며, 코일용량이 증대되어 전체 열원의 동력이 증가하고 가습량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컴팩트한 구성이기 때문에 부하를 처리해야하는 코일과 필터의 두께가 커져서 정압 상승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패키지형 항온기는 외기를 이용하는 만큼 가습량이 절대적으로 많이 필요한데 반해, 컴팩트한 구성으로 인하여 통과 단면적 및 가습길이가 짧아져서 가습효율이 상당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유지보수를 위한 유지관리 공간을 추가로 설치해야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실제 항온기 가동시에는 이러한 유지관리 공간을 활용하지 못하므로 공간활용성 측면에서도 좋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덕트 및 챔버 대신 항온기실 전체를 이용함으로써 유입 풍량을 늘려 대용량으로의 적용도 용이하며, 보다 많은 외기를 도입할 수 있기 때문에 가습효율 향상 및 정압 상승을 방지할 수 있는 빌트업 항온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기와 내기가 혼합되는 혼합실의 체적이 커지기 때문에 혼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유지보수가 용이함은 물론 작동 및 미작동시의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빌트업 항온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건물 내에 위치하여 내부로 작업자의 출입이 가능하고, 상측으로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유입구와, 실내의 내기가 유입되는 내기유입구가 각각 형성되고, 하측으로 상기 외기유입구와 상기 내기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된 상기 외기와 내기를 실내로 공급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된 항온기실; 상기 항온기실의 내부에 구비되어 유입된 상기 외기와 내기를 여과하는 필터부; 상기 항온기실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상기 외기와 내기의 습도를 조절하는 습도조절부; 상기 항온기실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상기 외기와 내기를 냉각하는 냉각수단; 상기 항온기실 내부에 구비되어 유입된 상기 외기와 내기를 실내로 강제공급하기 위한 송풍유닛; 및 상기 외기유입구측에 구비되어 상기 외기의 유입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외기댐퍼부와, 상기 내기유입구측에 구비되어 상기 내기의 유입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내기댐퍼부를 구비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빌트업 항온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외기유입구는 외부와 직접 연통되며, 상기 외기유입구의 외측에 외기루버(Louver)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항온기실은, 상기 외기유입구와 상기 내기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상기 외기와 내기가 각각 혼합되는 혼합실과, 상기 혼합실로부터 공급받은 상기 외기와 내기를 가습 또는 냉각하는 냉각실과, 상기 냉각실에서 가습 또는 냉각된 상기 외기 또는 내기를 실내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실로 각각 구획되고, 상기 혼합실과 상기 냉각실을 구획하는 제1패널과, 상기 냉각실과 상기 공급실을 구획하는 제2패널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항온기실은, 복수개가 병렬로 인접하게 배치되고, 각각의 항온기실을 서로 연통시키고 작업자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개폐도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개폐부와 연결되어 상기 외기 또는 내기의 유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고, 상기 냉각수단과, 상기 습도조절부와 연결되어 공급되는 상기 외기 또는 내기의 온도 및 습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외기상태가 내기상태 보다 양호한 외기모드인 경우, 상기 외기댐퍼부는 개방하여 상기 외기유입구로 상기 외기가 유입되게 하고, 상기 내기댐퍼부는 폐쇄하여 상기 내기유입구를 통하여 내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며, 상기 냉각수단의 작동은 오프(Off)하고 상기 습도조절부의 작동은 온(On)하여 유입된 상기 외기를 가습하여 실내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동절기의 혼합모드인 경우, 상기 외기댐퍼부와 상기 내기댐퍼부를 제어하여 상기 외기와 내기를 모두 공급받고, 상기 냉각수단의 작동은 오프(Off)하고 상기 습도조절부의 작동은 온(On)하여 유입된 상기 외기를 가습하여 실내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하절기의 내기순환모드인 경우, 상기 내기댐퍼부를 개방하여 상기 내기유입구로 상기 내기가 유입되게 하고, 상기 외기댐퍼부는 폐쇄하여 상기 외기유입구를 통하여 외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며, 상기 냉각수단의 작동은 온(On)하고 상기 습도조절부의 작동은 오프(Off)하여 유입된 상기 내기를 냉각하여 실내로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빌트업 항온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덕트 및 챔버 대신 항온기실 전체를 이용함으로써 유입되는 풍량을 늘려 대풍량 및 대용량 가습의 적용에 용이하다.
둘째, 항온기실 전체를 덕트 및 챔버로 활용하기 때문에 더 많은 외기 도입이 가능하며, 이에 외기냉방 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셋째, 공기의 통과 단면적이 넓어지고 냉각수단 이후의 공기의 통과 구간이 길어 가습량이 향상되기 때문에, 가습량이 증대되는 동절기 시에도 더 많은 외기를 처리할 수 있어 적용이 효과적이다.
넷째, 외기와 내기가 혼합되는 혼합실의 체적이 향상되어 외기와 내기의 혼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섯째, 덕트나 챔버 대신 항온기실을 이용하기 때문에 가동 시에는 내부공간을 유로로 활용하고 미가동 시에는 유지보수공간으로 활용하여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빌트업 항온기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빌트업 항온기의 우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빌트업 항온기에서 제어부의 제어흐름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1의 빌트업 항온기의 내기모드 시의 공기흐름을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빌트업 항온기의 혼합모드 시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빌트업 항온기의 내기순환모드 시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빌트업 항온기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1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빌트업 항온기의 우측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빌트업 항온기에서 제어부의 제어흐름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빌트업 항온기(800)는, 항온기실(100)과, 필터부(200)와, 습도조절부(300)와, 냉각수단(400)과, 송풍유닛(500)과, 개폐부(600)를 포함한다.
상기 항온기실(100)은, 건물 내에 위치하여 내부로 작업자(1)의 출입이 가능한 곳으로서, 통상적으로 건물의 벽체 또는 천정 또는 바닥에 설치된다.
상세하게, 상기 항온기실(100)은 상부 일측으로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유입구(101)와, 상부 타측으로 실내의 내기가 유입되는 내기유입구(102)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일측으로 상기 외기유입구(101)와 상기 내기유입구(102)를 통하여 유입된 상기 외기와 내기를 실내로 공급하기 위한 배출구(103)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외기유입구(101)는 외부와 직접 연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빌트업 항온기(800)는 상기 외기유입구(101) 측으로 우수 및 일사를 차단하기 위하여 외기유입구(101)의 실외측에 외기루버(Louver;14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기루버(140)의 상세한 설명은 공지의 루버와 유사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항온기실(100)은, 상하방향으로 혼합실(110)과, 냉각실(120)과, 공급실(130)로 순차적으로 각각 구획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혼합실(110)과 상기 냉각실(120)은 제1패널(151)을 통하여 구획되며, 상기 냉각실(120)과 상기 공급실(130)은 제2패널(152)을 통하여 구획된다. 여기서, 상기 제1패널(151)과 제2패널(152)은 패널(Panel)구조로서 상기 항온기실(100)의 크기와 설계 등 여건에 따라 그 사이즈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자(1)가 상기 제1패널(151)과 제2패널(152) 위에서 작업할 수 있을 정도로 튼튼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서 상기 제1패널(151)은 하측의 냉각실(120)로 내기와 외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구(1511)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실시예로 나타내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설계에 따라 상기한 공급구(1511)의 위치와 사이즈 등을 다양하게 변경가능하다.
나아가, 상기 제1패널(151)과 제2패널(152)은 상기 항온기실(100)과는 착탈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어, 공간 및 배치설계에 따라 작업자(1)가 그 위치를 선택하여 조립할 수 있는 구조로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1패널(151) 및 제2패널(152)과 상기 항온기실(100)의 착탈 가능한 구조는 통상의 패널의 슬라이딩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가이드홈과 가이드레일 등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혼합실(110)은, 상기 항온기실(100)의 최상측에 위치하며, 일측으로 상기 외기유입구(101)가 형성되고, 타측으로 상기 내기유입구(102)가 형성되어 있으며, 유입된 외기와 내기는 하측의 상기 냉각실(120)로 공급된다.
상기 혼합실(110)은 외기와 내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외기와 내기가 혼합되는 곳으로서, 상기 외기와 내기를 미리 혼합하여 혼합기를 만든 후 이를 상기 냉각실(120)로 공급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혼합실(110)은, 덕트 또는 챔버를 이용한 종래와 비교하여, 전체 체적이 크기 때문에 외기와 내기의 혼합효율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상기 냉각실(120)은, 상기 혼합실(110)로부터 공급받은 상기 외기와 내기 및 상기 혼합기를 여과 및 가습 또는 냉각하는 곳이며, 필터부(200)와, 가습을 위한 습도조절부(300)와, 냉각을 위한 냉각수단(400)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필터부(200)는, 상기 혼합실(110)로부터 유입된 상기 외기와 내기를 여과하는 역할을 하며, 통상의 분진이나 기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필터라면 모두 적용가능하다.
상기 습도조절부(300)는, 상기 냉각실(12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부(200)를 통과한 상기 외기와 내기의 습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다. 이러한 습도조절부(300)는, 후술되는 제어부(700)에 의하여 제어되며, 공기를 가습할 수 있다면 기화식 가습기를 비롯하여 다양한 구성이 적용가능 하다.
상기 냉각수단(400)은, 상기 냉각실(12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부(200)를 통과한 상기 외기와 내기를 냉각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냉각수단(400)은, 냉매 또는 냉각수를 이용한 코일을 통하여 상기 외기와 내기를 냉각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열전달면적 및 효율이 좋은 오발타입(Oval type)의 코일을 적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실시예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도면에서 상기 습도조절부(300)와 상기 냉각수단(400)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컴팩트한 구조를 이루고 있는 것을 나타내었으나, 이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하는 등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습도조절부(300)와 상기 냉각수단(400)의 배치순서는 유동방향에 대하여 냉각수단(400)을 전방에 배치하고 상기 습도조절부(300)를 후방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공급실(130)은 상기 항온기실(100)의 최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배출구(103)와 연통되어 상기 냉각실(120)에서 가습 또는 냉각되어 공조처리 된 상기 외기와 내기 및 혼합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곳으로서, 공기의 강제유동을 위한 송풍유닛(500)이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송풍유닛(500)은, 상기 외기와 내기를 실내로 강제 유인 및 순환시키는 역할을 하며, 공지의 송풍팬을 비롯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잇는 구성이라면 다양한 구성이 적용가능하다.
상기 개폐부(600)는, 상기 외기와 내기의 유입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며, 상기 외기유입구(101)측에 구비되어 상기 외기의 도입량을 조절하는 외기댐퍼부(610)와, 상기 내기유입구(102)측에 구비되어 상기 내기의 도입량을 조절하는 내기댐퍼부(620)를 포함한다. 도면에서, 상기 외기댐퍼부(610)는 상기 외기유입구(101)와는 이격된 상기 혼합실(110)에 구비되고, 상기 내기댐퍼부(620)는 상기 내기유입구(102)에 구비된 경우를 나타내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상기한 외기와 내기의 유입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면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러한 댐퍼부의 상세한 구성은 공지의 유량조절을 위한 댐퍼와 역류방지댐퍼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항온기실(100,100a,100b,100c)은, 하나로 이루어져 단독으로 설치될 수 있지만, 설치건물의 크기, 설계 및 처리용량에 대응하여 복수개로 하여 병렬로 인접하게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 항온기실(100,100a,100b,100c)은 하나의 항온기실(100)과 그 구조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복수개의 항온기실(100,100a,100b,100c)이 병렬로 배치된 경우, 상기 각 항온기실(100,100a,100b,100c)은, 각각의 항온기실(100,100a,100b,100c)을 서로 연통시키고 또한 작업자(1)의 출입이 용이하도록 하는 개폐도어부(161,162)가 구비되며, 상기 개폐도어부(161,162)의 위치는 상기 구성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고 설계상 적합한 곳이라면 다양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150은 각 항온기실(100)의 각각의 냉각수단(400)에 공급하는 냉매 또는 냉각수를 공급 및 환수하기 위한 배관을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빌트업 항온기(800)는, 상기 개폐부(600)와 연결되어 상기 외기 또는 내기의 유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고, 상기 냉각수단(400)과, 상기 습도조절부(300)와 연결되어 공급되는 상기 외기 또는 내기의 온도 및 습도를 제어하는 제어부(70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700)는, 온도센서(710)와 유량센서(720) 등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하며, 상기한 온도센서(710)는 외부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외기온센서와, 상기 혼합실(110), 냉각실(120) 및 공급실(130)에 각각 형성되어 유동하는 공기의 온도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온도센서 등 다양하게 설치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어부(700)는, 주위 환경 또는 작업자(1)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모드가 실시가능하며, 외기모드와, 혼합모드와, 내기순환모드로 각각 구분하여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도 1의 빌트업 항온기의 내기모드 시의 공기흐름을 나타내는 정단면도이고, 도 8은 도 1의 빌트업 항온기의 혼합모드 시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며, 도 9는 도 1의 빌트업 항온기의 내기순환모드 시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외기모드는, 외기상태가 내기상태 보다 양호한 경우에 주로 적용되며, 상기 제어부(700)는 내기의 유입은 차단하고 외기만을 유입하여 실내로 공급한다.
상세하게, 상기 외기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부(700)는, 우선 상기 외기댐퍼부(610)는 개방하여 상기 외기유입구(101)로 상기 외기가 유입되게 하고, 상기 내기댐퍼부(620)는 폐쇄하여 상기 내기유입구(102)를 통하여 내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냉각수단(400)의 작동은 오프(Off)하고 상기 습도조절부(300)의 작동은 온(On)하여 유입된 상기 외기를 가습하여 실내로 공급한다. 이에 따라 상기 외기모드 시에는 외기만을 도입한 후 이를 가습하여 실내로 공급한다. 한편, 여기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내기는 상기 항온기실(100)로 유입되지 않고 외부로 바로 배출된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혼합모드를 살펴보면, 상기 혼합모드는, 동절기 시에 주로 적용되며, 이에 상기 제어부(700)는 외기와 내기를 혼합한 혼합기를 실내로 공급하도록 한다.
상세하게, 상기 혼합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외기댐퍼부(610)와 상기 내기댐퍼부(620)를 각각 제어하여 일정량의 외기와 일정량의 내기가 모두 혼합실(110)로 유입되게 하며, 이때 상기 외기와 내기 각각의 유량은 외기상태와 내기상태 등에 따라 조절한다.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냉각수단(400)의 작동은 오프(Off)하고 상기 습도조절부(300)의 작동은 온(On)하여 유입된 상기 외기를 가습한 후 실내로 공급한다. 이에 따라 혼합모드인 경우에는, 외기와 내기를 각각 일정량 공급받아 혼합기로 만들고, 상기 혼합기를 가습하여 실내로 공급한다.
도 9는 내기순환모드인 경우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내기순환모드는 하절기 시 주로 적용되며, 이에 상기 제어부(700)는 외기유입은 차단하고 내기만을 순환공급하도록 한다.
상세하게, 상기 내기순환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외기댐퍼부(610)는 폐쇄하여 상기 외기가 유입되는 것은 차단한 반면, 상기 내기댐퍼부(620)는 개방하여 상기 내기만이 상기 혼합실(110)로 유입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냉각수단(400)의 작동은 온(On)하고 상기 습도조절부(300)의 작동은 오프(Off)하여 유입된 상기 내기를 냉각하여 실내로 공급한다. 이에 따라 내기순환모드인 경우에는 내기만을 도입하여 상기 내기를 냉각하여 실내로 공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빌트업 항온기는, 덕트 및 챔버 대신 항온기실 전체를 이용함으로써 유입되는 풍량을 늘려 대풍량 및 대용량 가습의 적용에 용이하며, 공기의 통과 단면적이 커지 통과 구간이 길어 가습량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혼합실의 체적이 향상되어 외기와 내기의 혼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가동 시에는 내부공간을 유로로 활용하고 미가동 시에는 유지보수공간으로 활용하여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100a,100b,100c... 항온기실 101... 외기유입구
102... 내기유입구 103... 배출구
110... 혼합기실 120... 냉각실
130... 공급실 140... 외기루버
200... 필터부 300... 습도조절부
400... 냉각수단 500.. 송풍유닛
600... 개폐부 610... 외기댐퍼부
620... 내기댐퍼부 700... 제어부
800... 빌트업 항온기

Claims (8)

  1. 건물 내에 위치하여 내부로 작업자의 출입이 가능하고, 상측으로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유입구와 실내의 내기가 유입되는 내기유입구가 각각 형성되고, 하측으로 상기 외기유입구와 상기 내기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된 상기 외기와 내기를 실내로 공급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된 항온기실;
    상기 항온기실의 내부에 구비되어 유입된 상기 외기와 내기를 여과하는 필터부;
    상기 항온기실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상기 외기와 내기의 습도를 조절하는 습도조절부;
    상기 항온기실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상기 외기와 내기를 냉각하는 냉각수단;
    상기 항온기실 내부에 구비되어 유입된 상기 외기와 내기를 실내로 강제공급하기 위한 송풍유닛; 및
    상기 외기유입구측에 구비되어 상기 외기의 유입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외기댐퍼부와, 상기 내기유입구측에 구비되어 상기 내기의 유입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내기댐퍼부를 구비하는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항온기실은,
    상기 외기유입구와 상기 내기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상기 외기와 내기가 각각 혼합되는 혼합실과, 상기 혼합실로부터 공급받은 상기 외기와 내기를 가습 또는 냉각하는 냉각실과, 상기 냉각실에서 가습 또는 냉각된 상기 외기 또는 내기를 실내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실로 각각 구획되고,
    상기 혼합실과 상기 냉각실을 구획하는 수평 패널 형상의 제1패널과, 상기 냉각실과 상기 공급실을 구획하며, "ㄱ"자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공급실을 형성하는 제2패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패널의 상측에는, 냉각수단 및 습도조절부가 장착되며, 직립되어 형성되어 상기 냉각실을 두 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으로 구획된 두 개의 공간의 각각에는 사용자가 입출입할 수 있는 개폐도어부가 각각 형성되고,
    외부온도를 측정하는 외기온센서와, 상기 혼합실, 냉각실 및 공급실에 각각 형성되어 공기의 온도정보를 획득하는 온도센서와, 공기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센서와, 상기 외기온센서, 온도센서 및 유량센서로부터 측정된 공기 온도 및 유량정보에 따라 상기 개폐부, 상기 냉각수단 및 습도조절부를 제어하되,
    제어부는 외기상태가 내기상태 보다 양호한 외기모드인 경우,
    상기 외기댐퍼부는 개방하여 상기 외기유입구로 상기 외기가 유입되게 하고, 상기 내기댐퍼부는 폐쇄하여 상기 내기유입구를 통하여 내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며, 상기 냉각수단의 작동은 오프(Off)하고 상기 습도조절부의 작동은 온(On)하여 유입된 상기 외기를 가습하여 실내로 공급하고,
    상기 제어부는 동절기의 혼합모드인 경우,
    상기 외기댐퍼부와 상기 내기댐퍼부를 제어하여 상기 외기와 내기를 모두 공급받고, 상기 냉각수단의 작동은 오프(Off)하고 상기 습도조절부의 작동은 온(On)하여 유입된 상기 외기를 가습하여 실내로 공급하며,
    상기 제어부는 하절기의 내기순환모드인 경우,
    상기 내기댐퍼부를 개방하여 상기 내기유입구로 상기 내기가 유입되게 하고, 상기 외기댐퍼부는 폐쇄하여 상기 외기유입구를 통하여 외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며, 상기 냉각수단의 작동은 온(On)하고 상기 습도조절부의 작동은 오프(Off)하여 유입된 상기 내기를 냉각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빌트업 항온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기유입구는 외부와 직접 연통되며,
    상기 외기유입구의 외측에 외기루버(Louver)를 더 구비하는 빌트업 항온기.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항온기실은,
    복수개가 병렬로 인접하게 배치되고,
    각각의 항온기실을 서로 연통시키고 작업자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개폐도어부를 더 구비하는 빌트업 항온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단은,
    오발타입(Oval type)의 코일인 빌트업 항온기.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20150974A 2012-12-21 2012-12-21 빌트업 항온기 KR101295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0974A KR101295311B1 (ko) 2012-12-21 2012-12-21 빌트업 항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0974A KR101295311B1 (ko) 2012-12-21 2012-12-21 빌트업 항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5311B1 true KR101295311B1 (ko) 2013-08-12

Family

ID=49220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0974A KR101295311B1 (ko) 2012-12-21 2012-12-21 빌트업 항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531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923B1 (ko) 2013-02-06 2014-08-21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항온/항습을 위한 공조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5102247A1 (ko) * 2014-01-06 2015-07-09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서버실 냉각 장치, 외기 도입용 필터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데이터 센터의 공조 시스템
KR101636263B1 (ko) * 2016-03-29 2016-07-20 (주)대성기연 다기능 공조시스템
KR101712310B1 (ko) * 2016-01-21 2017-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빌트업 공기조화 시스템
KR101753516B1 (ko) * 2016-02-22 2017-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빌트업 공기조화 시스템
KR101759239B1 (ko) * 2015-07-20 2017-07-18 장대인 직접 외기 이용 방식의 항온항습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281B1 (ko) * 2009-06-19 2010-01-28 주식회사 에이알 외기도입을 이용한 에너지 절약형 항온항습기 및 그의 제어방법
JP2010261696A (ja) * 2009-11-30 2010-11-18 Kajima Corp 外気冷房型電算室用空気調和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281B1 (ko) * 2009-06-19 2010-01-28 주식회사 에이알 외기도입을 이용한 에너지 절약형 항온항습기 및 그의 제어방법
JP2010261696A (ja) * 2009-11-30 2010-11-18 Kajima Corp 外気冷房型電算室用空気調和機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923B1 (ko) 2013-02-06 2014-08-21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항온/항습을 위한 공조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5102247A1 (ko) * 2014-01-06 2015-07-09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서버실 냉각 장치, 외기 도입용 필터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데이터 센터의 공조 시스템
CN105829807A (zh) * 2014-01-06 2016-08-03 Naver商务平台株式会社 服务器机房冷却装置、引入外部空气用过滤模块以及包括该冷却装置和过滤模块的数据中心的空调***
JP2017503997A (ja) * 2014-01-06 2017-02-02 ネイバー ビジネス プラットフォーム コーポレーション サーバ室冷却装置、外気導入用フィルタモジュール、及びデータセンターの空調システム
EP3093565A4 (en) * 2014-01-06 2017-09-13 Naver Business Platform Corp. Server room cooling device, filter module for introducing outer air, and data center air-conditioning system comprising same
US10492338B2 (en) 2014-01-06 2019-11-26 Naver Business Platform Corporation Server room cooling device, filter module for introducing outer air, and data center air-conditioning system comprising same
KR101759239B1 (ko) * 2015-07-20 2017-07-18 장대인 직접 외기 이용 방식의 항온항습장치
KR101712310B1 (ko) * 2016-01-21 2017-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빌트업 공기조화 시스템
KR101753516B1 (ko) * 2016-02-22 2017-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빌트업 공기조화 시스템
KR101636263B1 (ko) * 2016-03-29 2016-07-20 (주)대성기연 다기능 공조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5311B1 (ko) 빌트업 항온기
KR102118791B1 (ko) 실내 공조장치
KR102105127B1 (ko) 스탠드형 전열교환장치
KR101504077B1 (ko) 통합형 공조기를 갖는 바닥취출공조 시스템
KR101256367B1 (ko) 외기를 이용한 공기조화시스템
CN215295146U (zh) 一种全热交换器
KR20090115257A (ko) 환기장치
KR100747802B1 (ko) 환기장치 및 환기장치의 제어방법
KR20130027789A (ko) 일체형 환기 및 냉·난방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환기 및 냉·난방방법
KR100734362B1 (ko) 공기조화 시스템
KR100700454B1 (ko) 환기장치
JP2531083B2 (ja) 層階室内の空調方法とその装置
KR20180035291A (ko) 공기조화 시스템
KR100972231B1 (ko) 냉난방 효율을 증대하는 공동주택용 전실 보조 도어
KR102575089B1 (ko) 공기조화 시스템
KR102522061B1 (ko) 공조 유닛
JPH04106333A (ja) 一体型集中空調システム
JP2013011385A (ja) 空調システム
KR102225624B1 (ko) 대형필터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
JP2019039602A (ja) 空調システム
CN210601981U (zh) 室内空气处理装置
US20240183559A1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KR102485757B1 (ko) 공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KR20110087894A (ko) 열교환 환기 장치
JPH0719526A (ja) 室内における全空調システムとその換気、空調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