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3382B1 - Gasoline vapor recovery device - Google Patents

Gasoline vapor recover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3382B1
KR101293382B1 KR1020117007843A KR20117007843A KR101293382B1 KR 101293382 B1 KR101293382 B1 KR 101293382B1 KR 1020117007843 A KR1020117007843 A KR 1020117007843A KR 20117007843 A KR20117007843 A KR 20117007843A KR 101293382 B1 KR101293382 B1 KR 101293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oline
brine
gasoline vapor
pump
adsor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78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51279A (en
Inventor
케이조 후쿠하라
야스히로 타니무라
타케시 스기모토
료우 요시다
카츠히코 세키야
카즈유키 카리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쯔노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쯔노,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쯔노
Publication of KR20110051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127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3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33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 B01D5/0003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by using heat-exchange surfaces for indirect contact between gases or vapours and the cooling medium
    • B01D5/0006Coils or serpent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 B01D5/0033Other features
    • B01D5/0039Recuperation of heat, e.g. use of heat pump(s), compre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 B01D5/0033Other features
    • B01D5/0051Regulation processes; Control systems, e.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conden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76Arrangements of devices for purifying liquids to be transferred, e.g. of filters, of air or water sepa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70Organic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2257/00 - B01D2257/602
    • B01D2257/702Hydrocarb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5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B01D2259/4516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fuel vapour recovery syste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 For Refining Petroleum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Separation Of Gases By Adsorption (AREA)
  • Sorption Type Refrigeration Machines (AREA)

Abstract

가솔린 베이퍼 응축 용기 내에 충전되는 부동액이 소정의 온도 이하가 되고, 가솔린 베이퍼에 포함되는 수분이 동결할 가능성이 생긴 경우에도, 가솔린 회로 내의 압력 손실의 증대 또는 폐색을 회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100)는, 가솔린 탱크로부터 배출된 가솔린 베이퍼를 흡인하는 가솔린 펌프(1)와, 내부에 브라인(7)이 충전되고, 가솔린 펌프(1)에 의해 흡인된 가솔린 베이퍼를 냉각하는 응축통(2)과, 가솔린 펌프(1)의 구동 및 브라인(7)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가지며, 제어 수단은, 브라인(7)이 소정 온도보다도 저하되었다고 판단한 때, 가솔린 펌프(1)의 구동을 정지함과 함께 브라인(7)의 가온 운전을 시작한다.Even when the antifreeze filled in the gasoline vapor condensation vessel becomes below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water contained in the gasoline vapor freezes, the gasoline vapor recovery that makes it possible to avoid an increase or a blockage in the pressure loss in the gasoline circuit Provide a device. The gasoline vapor recovery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asoline pump 1 that sucks a gasoline vapor discharged from a gasoline tank, and a gasoline that is filled with a brine 7 inside and sucked by the gasoline pump 1. And a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drive of the gasoline pump 1 and the temperature of the brine 7 for cooling the vapor, and the control means determines that the brine 7 is lower than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The drive of the gasoline pump 1 is stopped and the warming operation of the brine 7 is started.

Description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GASOLINE VAPOR RECOVERY DEVICE}Gasoline Vapor Recovery Equipment {GASOLINE VAPOR RECOVERY DEVICE}

본 발명은, 기화한 가솔린(이하, 가솔린 베이퍼라고 한다)을 회수하는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soline vapor recovery device for recovering vaporized gasoline (hereinafter referred to as gasoline vapor).

자동차의 가솔린 탱크 내부는, 하부에 액화하여 있는 가솔린이 저장하여 있고, 상부에 가솔린 베이퍼가 포화 상태로 존재하고 있다. 그리고, 자동차에 가솔린을 급유하면, 가솔린 탱크 내에 존재하고 있는 가솔린 베이퍼가 급유구로부터 내쫓기어, 대기중으로 방출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가솔린 베이퍼를 그대로 대기중으로 방출하여 버리면, 광화학 스모그의 원인이 되고, 인체나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로 발전하게 된다.In the gasoline tank of the vehicle, gasoline liquefied in the lower part is stored, and gasoline vapor is present in the upper part in a saturated state. When gasoline is refueled to an automobile, gasoline vapors present in the gasoline tank are driven out of the oil intake port and discharged into the atmosphere. In this way, if the gasoline vapor is discharged to the atmosphere as it is, it causes photochemical smog and develops into a problem that adversely affects the human body and the environment.

그래서, 가솔린 베이퍼를 회수하고, 회수한 가솔린 베이퍼를 액화하여 재이용하도록 한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이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에는, 가솔린 베이퍼를 내부로 유통시키는 가솔린 베이퍼 응축관을 냉각 수단으로 냉각하고, 가솔린 베이퍼를 응축 및 회수하는 가솔린 베이퍼 응축 용기가 탑재되어 있다. 이 가솔린 베이퍼 응축 용기의 내부에는, 부동액(예를 들면, 브라인(프로필렌글리콜 등)이나 가솔린, 등유 등의 석유계 물질)이 충전되어 있고, 냉각 수단이 되는 냉동 사이클 등에 의해, 부동액의 소정의 온도로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Then, the gasoline vapor collection | recovery apparatus which collect | recovered the gasoline vapor and liquefied and reused the gasoline vapor collected is proposed (for example, refer patent document 1). The gasoline vapor condensation vessel is equipped with a gasoline vapor condensation vessel that cools the gasoline vapor condensation tube through which the gasoline vapor is distributed inside by a cooling means, and condenses and recovers the gasoline vapor. The inside of this gasoline vapor condensation container is filled with antifreeze (for example, petroleum-based substances such as brine (propylene glycol), gasoline, kerosene), and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of the antifreeze by a refrigeration cycle serving as a cooling means. To keep it.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2005-177563호 공보(제 5 내지 7페이지, 제 2도)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5-177563 (pages 5 to 7, FIG. 2)

다만, 상황에 따라, 가솔린 베이퍼 응축 용기 내에 충전되는 부동액의 온도가 예상 이상으로 저하하여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의 운전을 계속하여 행하면, 가솔린 베이퍼와 함께 포함되어 있는 수분이 동결되어 버린다. 그러면,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에 마련되어 있는 가솔린 회로 내의 압력 손실이 증대해 버려, 최악의 경우에는 가솔린 회로(가솔린 베이퍼 응축 회로)가 폐색해 버리는 것으로 되어 버린다. 상기한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에서 부동액의 온도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가솔린 베이퍼 응축 용기에 과잉한 단열을 시행하도록 하는 것이 생각되지만, 현실적이 아니다.However, depending on the situation, the temperature of the antifreeze filled in the gasoline vapor condensation vessel may lower than expected. In such a case, if the operation of the gasoline vapor recovery device is continued, the water contained together with the gasoline vapor will freeze. Then, the pressure loss in the gasoline circuit provided in the gasoline vapor collection apparatus increases, and in a worst case, the gasoline circuit (gasoline vapor condensation circuit) will block. In order to prevent the temperature fall of antifreeze in the said gasoline vapor collection apparatus, it is thought that excessive heat insulation is given to the gasoline vapor condensation container, but it is not realistic.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가솔린 베이퍼 응축 용기 내에 충전되는 부동액이 소정의 온도 이하가 되어, 가솔린 베이퍼에 포함된 수분이 동결할 가능성이 생긴 경우에도, 가솔린 회로 내의 압력 손실의 증대 또는 폐색을 회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subject, and even if the antifreeze filled in the gasoline vapor condensation container becomes below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the possibility that water contained in the gasoline vapor may freeze arises, It is to provide a gasoline vapor recovery device that makes it possible to avoid an increase in pressure loss or blockage.

본 발명에 관한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는, 가솔린 탱크로부터 배출된 가솔린 베이퍼를 흡인하는 가솔린 펌프와, 내부에 브라인이 충전되고, 상기 가솔린 펌프에 의해 흡인된 가솔린 베이퍼를 냉각하는 응축통과, 상기 가솔린 펌프의 구동 및 상기 브라인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가지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브라인이 소정 온도보다도 저하되었다고 판단한 때, 상기 가솔린 펌프의 구동을 정지함과 함께 상기 브라인의 가온(加溫) 운전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asoline vapor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asoline pump for sucking gasoline vapor discharged from a gasoline tank, a condensation vessel for filling a brine therein, and cooling the gasoline vapor sucked by the gasoline pump; And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drive and the brine. The control means stops driving the gasoline pump and determines that the brine is warmed up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brine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Characterized by starting.

본 발명에 관한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는, 가솔린 탱크로부터 배출된 가솔린 베이퍼를 흡인하는 가솔린 펌프와, 내부에 브라인이 충전되고, 상기 가솔린 펌프에 의해 흡인된 가솔린 베이퍼를 냉각하는 응축통과, 상기 가솔린 펌프와 상기 응축통을 접속하고 있는 가솔린 흡착용 배관을 상기 가솔린 펌프와 상기 응축통 사이에서 분기하고, 상기 응축통을 우회시켜서 상기 응축통의 출구측으로 접속시키는 바이패스 회로와, 상기 바이패스 회로에 마련되고, 상기 바이패스 회로를 개폐하는 제 1 개폐 밸브와, 상기 바이패스 회로의 분기점과 상기 응축통 사이의 상기 가솔린 흡착용 배관에 마련되고, 상기 가솔린 흡착용 배관을 개폐하는 제 2 개폐 밸브와, 상기 제 1 개폐 밸브 및 상기 제 2 개폐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asoline vapor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asoline pump for sucking gasoline vapor discharged from a gasoline tank, a condensation vessel for cooling a gasoline vapor filled with brine and sucked by the gasoline pump, and the gasoline pump; A bypass circuit for branching the gasoline adsorption pipe connecting the condensation vessel between the gasoline pump and the condensation vessel, bypassing the condensation vessel and connecting to the outlet side of the condensation vessel, and the bypass circuit. A first on-off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bypass circuit, a second on-off valve provided at the gasoline adsorption pipe between the branch point of the bypass circuit and the condensation tube, and opening and closing the gasoline adsorption pipe, And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on-off valve and the second on-off valve. .

본 발명에 관한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에 의하면, 브라인의 온도가 저하된 경우에도 가솔린 회로 내를 도통하고 있는 수분의 동결에 의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이상(예를 들면, 가솔린 회로 내의 압력 손실의 증대나 폐색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gasoline vapor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temperature of brine decreases, the abnormality that may be caused by freezing of water conducting in the gasoline circuit (for example, increase or blockage of pressure loss in the gasoline circuit) Etc.)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본 발명에 관한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에 의하면, 복잡한 회로 구성으로 하는 일 없이, 브라인의 온도가 저하된 경우에도 가솔린 회로 내를 도통하고 있는 수분의 동결에 의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이상(예를 들면, 가솔린 회로 내의 압력 손실의 증대나 폐색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gasoline vapor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temperature of brine is lowered without a complicated circuit configuration, an abnormality that may occur due to the freezing of water conducting in the gasoline circuit (for example, gasoline) Increase in pressure loss or blockage in a circuit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도 1은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 전체의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구성도.
도 2는 가솔린 펌프의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구성도.
도 3은 브라인의 다른 가온 방법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4는 브라인의 또 다른 가온 방법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5는 브라인의 더욱 또 다른 가온 방법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6은 실시의 형태 2에 관한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 전체의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구성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schematic block diagram which shows the circuit structure of the whole gasoline vapor collection apparatus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1. FIG.
2 is an enlarged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part of a gasoline pump.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other warming method of brine;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other warming method of brine.
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yet another warming method of brine.
6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circuit configuration of an entire gasoline vapor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실시의 형태 1.Embodiment Mode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100) 전체의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1에 의거하여,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100)의 회로 구성, 기본적인 동작 및 특징적인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이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100)는, 흡인(吸引)한 가솔린 베이퍼를 응축통에서 냉각하여 회수함과 함께, 가솔린 베이퍼를 흡착(吸着) 또는 탈착(脫着)하는 2개의 흡탈착탑(吸脫着塔)을 마련하고, 이 2개의 흡탈착탑의 기능을 적절히 전환하여 가솔린 베이퍼를 회수(흡착) 및 재이용(탈착)하는 것이다. 또한, 도 1을 포함하여, 이하의 도면에서는 각 구성 부재의 크기의 관계가 실제의 것과 다른 경우가 있다.FIG.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which shows the circuit structure of the whole gasoline vapor collection | recovery apparatus 100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Based on FIG. 1, the circuit structure, basic operation | movement, and characteristic operation | movement of the gasoline vapor collection | recovery apparatus 100 are demonstrated. The gasoline vapor recovery device 100 cools and recovers the gasoline vapor sucked in a condensation cylinder, and absorbs or desorbs two gasoline vapors. And a gasoline vapor is recovered (adsorption) and reused (desorption) by appropriately switching the functions of these two adsorption-and-desorption towers. 1, the relationship of the magnitude | size of each structural member may differ from an actual thing in the following drawings.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100)는, 자동차 등에 가솔린을 급유하기 위한 가솔린 계량기(101)와 함께, 가솔린 스탠드 등에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100)는, 자동차 등의 급유구로부터 대기중에 방출되는 가솔린 베이퍼를 회수하고, 재이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100)는, 크게 나누어 가솔린 베이퍼 액화 회수 회로(A)와, 냉매 회로(B)와, 브라인 회로(C)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가솔린 베이퍼 액화 회수 회로(A)는, 가솔린 베이퍼 응축/흡착 회로(A1)와, 가솔린 베이퍼 탈착 회로(A2)로 구성되어 있다.The gasoline vapor recovery device 100 is installed in a gasoline stand or the like together with a gasoline meter 101 for supplying gasoline to an automobile or the like. And the gasoline vapor collection apparatus 100 collect | recovers and reuses the gasoline vapor discharged | emitted in air | atmosphere from oil supply ports, such as an automobile. This gasoline vapor recovery apparatus 100 is roughly divided into a gasoline vapor liquefaction recovery circuit A, a refrigerant circuit B, and a brine circuit C. In addition, this gasoline vapor liquefaction recovery circuit A is comprised from the gasoline vapor condensation / adsorption circuit A 1 , and the gasoline vapor desorption circuit A 2 .

[가솔린 베이퍼 응축/흡착 회로(A1)][Gasoline Vapor Condensation / Adsorption Circuit (A 1 )]

흡탈착탑(4a)에서 가솔린 베이퍼를 흡착하는 경우의 가솔린 베이퍼 응축/흡착 회로(A1)는, 급유 노즐(102)과, 제 1 전자 밸브(22)와, 가솔린 펌프(1)와, 가솔린 응축기(24)와, 기액 분리기(3)와, 제 2 전자 밸브(26a)와, 흡탈착탑(4a)과, 제 3 전자 밸브(27a)와, 제 1 감압 밸브(28)와, 배출구(10)가 가솔린 흡착용 배관(29)으로 순차로 접속되어 구성되어 있다. 한편, 흡탈착탑(4b)에서 가솔린 베이퍼를 흡착하는 경우의 가솔린 베이퍼 응축/흡착 회로(A1)는, 급유 노즐(102)과, 제 1 전자 밸브(22)와, 가솔린 펌프(1)와, 가솔린 응축기(24)와, 기액 분리기(3)와, 제 2 전자 밸브(26b)와, 흡탈착탑(4b)과, 제 3 전자 밸브(27b)와, 제 1 감압 밸브(28)와, 배출구(10)가 가솔린 흡착용 배관(29)으로 순차로 접속되어 구성되어 있다.The gasoline vapor condensation / adsorption circuit A 1 in the case of adsorbing gasoline vapor in the adsorption-and-desorption tower 4a includes a fuel supply nozzle 102, a first solenoid valve 22, a gasoline pump 1, and gasoline. The condenser 24, the gas-liquid separator 3, the 2nd solenoid valve 26a, the adsorption-and-desorption tower 4a, the 3rd solenoid valve 27a, the 1st pressure reduction valve 28, and the discharge port ( 10 is sequentially connected to the gasoline adsorption pipe 29. On the other hand, the gasoline vapor condensation / adsorption circuit A 1 in the case of adsorbing gasoline vapor in the adsorption-and-desorption tower 4b includes the oil supply nozzle 102, the first solenoid valve 22, the gasoline pump 1, , Gasoline condenser 24, gas-liquid separator 3, second solenoid valve 26b, adsorption-and-desorption tower 4b, third solenoid valve 27b, first pressure reducing valve 28, The discharge port 10 is sequentially connected to the gasoline adsorption pipe 29.

즉, 제 2 전자 밸브(26a)와 제 2 전자 밸브(26b)의 전환과, 제 3 전자 밸브(27a)와 제 3 전자 밸브(27b)의 전환을 제어함으로써, 흡탈착탑(4a) 또는 흡탈착탑(4b)의 한쪽에서 가솔린 베이퍼를 흡착시키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100)는, 상기한 각 전자 밸브를 제어함으로써, 흡탈착탑(4a) 또는 흡탈착탑(4b)의 한쪽을 가솔린 베이퍼의 흡착을 행하는 흡착탑으로서 기능시키고, 다른 쪽을 가솔린 베이퍼의 탈착을 행하는 탈착탑으로서 기능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흡탈착탑(4a)과 흡탈착탑(4b)의 전환은, 소정의 유량마다 행하거나, 흡착탑으로서 기능하고 있는 것의 출구 부근의 가솔린 베이퍼 농도에 따라 행하거나 하면 좋다.That is, by controlling switching of the 2nd solenoid valve 26a and the 2nd solenoid valve 26b, and switching of the 3rd solenoid valve 27a and the 3rd solenoid valve 27b, the adsorption-and-desorption tower 4a or the suction tower The gasoline vapor is adsorbed by one side of the desorption tower 4b. Therefore, the gasoline vapor collection | recovery apparatus 100 functions each adsorption-and-desorption tower 4a or the adsorption-and-desorption tower 4b as an adsorption tower which adsorbs a gasoline vapor by controlling each said solenoid valve, and the other gasoline It is supposed to function as a desorption tower for desorption of vapor. In addition, the switching of the adsorption-and-desorption tower 4a and the adsorption-and-desorption tower 4b may be performed at predetermined flow rates, or in accordance with the gasoline vapor concentration near the outlet of the one serving as the adsorption tower.

가솔린 계량기(101)는, 자동차 등에 급유하는 가솔린을 계량하는 것이다. 급유 노즐(102)은, 가솔린 계량기(101)로부터 가솔린을 급유할 때에 자동차 등의 급유구에 삽입되는 것이다. 이 급유 노즐(102)은, 급유구로부터 대기중에 방출되는 가솔린 베이퍼를 흡인할 때의 입구로서의 기능도 갖고 있다. 여기서는, 하나의 급유 노즐(102)이 마련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나타내고 있지만, 급유 노즐(102)의 설치 수를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 1 전자 밸브(22)는, 급유 노즐(102)로부터 흡인된 가솔린 베이퍼의 역류를 방지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 제 1 전자 밸브(22)는, 급유 노즐(102)의 설치 수에 따라 마련하도록 하면 좋다.The gasoline meter 101 measures gasoline supplied to an automobile or the like. The oil supply nozzle 102 is inserted into an oil supply port of an automobile or the like when gasoline is refueled from the gasoline meter 101. The oil supply nozzle 102 also has a function as an inlet when sucking gasoline vapor discharged from the oil supply port into the atmosphere. Although the case where one oil supply nozzle 102 is provided here is shown as an example, the number of installation of the oil supply nozzle 102 is not specifically limited. The 1st solenoid valve 22 has a function which prevents the backflow of the gasoline vapor suctioned from the oil supply nozzle 102. FIG.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provide this 1st solenoid valve 22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number of the oil supply nozzle 102. FIG.

가솔린 펌프(1)는, 가솔린 베이퍼를 급유 노즐(102)로부터 흡인·가압하는 것이다. 가솔린 응축기(24)는, 가솔린 베이퍼 응축 용기 등의 응축통(2) 내에 구비되어 있고, 내부를 도통(導通)하는 가솔린 베이퍼를 냉각하여 응축 액화하는 것이다. 여기서는, 가솔린 응축기(24)가 나선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기액 분리기(3)는, 응축 액화된 가솔린을 포착함으로써, 액화 가솔린과 가솔린 베이퍼를 분리하는 것이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액 분리기(3)에서 분리된 액화 가솔린을 도통시키는 배관에 개폐 밸브(30)를 마련하여 두면 좋다.The gasoline pump 1 sucks and pressurizes a gasoline vapor from the oil supply nozzle 102. The gasoline condenser 24 is provided in the condensation container 2, such as a gasoline vapor condensation container, and cools the gasoline vapor which conducts inside, and condenses and liquefies. Although the case where the gasoline condenser 24 is comprised in the spiral form is shown here as an example, it is not limited to this. The gas-liquid separator 3 separates liquefied gasoline and gasoline vapor by capturing condensed liquefied gasoline. 1, the opening / closing valve 30 may be provided in the piping which conducts liquefied gasoline separated by the gas-liquid separator 3 to conduct.

제 2 전자 밸브(26a) 및 제 2 전자 밸브(26b)는, 개폐가 제어됨으로써, 응축통(2)에서 회수할 수가 없었던 가솔린 베이퍼를 포함하는 공기를 도통하거나 하지 않거나 하는 것이다. 흡탈착탑(4a) 및 흡탈착탑(4b)은, 가솔린 베이퍼를 흡착하는 흡착탑으로서의 기능과, 가솔린 베이퍼를 탈착하는 탈착탑으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다. 흡탈착탑(4a)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흡착제 냉각기(13a)와 흡착제(9a)가 마련되어 있다. 흡탈착탑(4b)의 내부에도 마찬가지로, 후술하는 흡착제 냉각기(13b)와 흡착제(9b)가 마련되어 있다.A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econd solenoid valve 26a and the second solenoid valve 26b are controlled, the second solenoid valve 26a or the second solenoid valve 26b is turned on or off. The adsorption-and-desorption tower 4a and the adsorption-and-desorption tower 4b have a function as an adsorption tower for adsorbing gasoline vapors, and a desorption tower for desorption of gasoline vapors. Inside the adsorption-and-desorption tower 4a, the adsorber cooler 13a and the adsorption agent 9a which are mentioned later are provided. In the inside of the adsorption-and-desorption tower 4b, the adsorber cooler 13b and the adsorption agent 9b mentioned later are similarly provided.

흡착제 냉각기(13a)는, 응축통(2) 내에 충전되어 있는 브라인(7)에 의해, 흡탈착탑(4a)의 내부를 냉각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흡착제 냉각기(13b)도 흡착제 냉각기(13a)와 마찬가지로, 응축통(2) 내에 충전되어 있는 브라인(7)에 의해, 흡탈착탑(4b)의 내부를 냉각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즉, 흡착제 냉각기(13a) 및 흡착제 냉각기(13b)를 흡탈착탑(4a) 및 흡탈착탑(4b)에 마련함에 의해, 소량의 흡착제(9a) 및 흡착제(9b)로 가솔린 베이퍼의 흡착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The adsorbent cooler 13a has a function of cooling the inside of the adsorption-and-desorption tower 4a by the brine 7 filled in the condensation cylinder 2. Like the adsorbent cooler 13a, the adsorbent cooler 13b also has a function of cooling the inside of the adsorption-and-desorption tower 4b by the brine 7 filled in the condensation cylinder 2. That is, by providing the adsorbent cooler 13a and the adsorbent cooler 13b in the adsorption-and-desorption tower 4a and the adsorption-and-desorption tower 4b, the gasoline vapor is adsorbed with a small amount of the adsorbent 9a and the adsorbent 9b. It is possible.

흡착제(9a) 및 흡착제(9b)는, 가솔린 베이퍼를 포함하는 공기로부터 가솔린 베이퍼를 흡착하는 것이고, 예를 들면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가솔린 베이퍼를 흡착함으로써 평균 1vol% 이하의 가솔린 베이퍼를 포함하는 공기로 하는 것이다. 이 흡착제(9a) 및 흡착제(9b)로서는, 예를 들면 실리카 겔이나 제오라이트, 활성탄 등을 사용하면 좋다. 즉, 흡탈착탑(4a) 또는 흡탈착탑(4b)의 흡착제(9a) 또는 흡착제(9b)에 가솔린 베이퍼를 흡착시키고, 다른 쪽의 흡착제(9a) 또는 흡착제(9b)에서 가솔린 베이퍼를 탈착시키고 있다. 그리고, 흡착과 탈착을 교대로 전환하여, 연속 운전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이다.The adsorbent 9a and the adsorbent 9b adsorb gasoline vapors from air containing gasoline vapors, and for example, adsorb gasoline vapors contained in air to air containing gasoline vapors of 1 vol% or less on average. It is. As this adsorbent 9a and 9b, silica gel, zeolite, activated carbon, etc. may be used, for example. That is, the gasoline vapor is adsorbed to the adsorbent 9a or the adsorbent 9b of the adsorption and desorption tower 4a or the adsorption and desorption tower 4b, and the gasoline vapor is desorbed from the other adsorbent 9a or the adsorbent 9b. have. Then, the adsorption and desorption are alternately switched to enable continuous operation.

제 3 전자 밸브(27a) 및 제 3 전자 밸브(27b)는, 개폐가 제어됨으로써, 흡탈착탑(4a) 또는 흡탈착탑(4b)의 한쪽에서 더 가솔린 베이퍼가 흡착된 후의 공기를 도통하거나 하지 않거나 하는 것이다. 제 1 감압 밸브(28)는, 흡탈착탑(4a) 또는 흡탈착탑(4b)을 경유한 후의 공기를 감압하는 것이다. 배출구(10)는, 제 1 감압 밸브(28)에서 감압된 공기를 대기중에 배출시키는 것이다. 가솔린 흡착용 배관(29)은, 가솔린 베이퍼를 포함하는 공기를 도통하는 배관이다. 또한, 각 전자 밸브는, 마이크로 컴퓨터 등의 제어 수단(도시 생략)이 행하도록 되어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third solenoid valve 27a and the third solenoid valve 27b conducts air after the gasoline vapor is further adsorbed by either the adsorption-and-desorption tower 4a or the adsorption-and-desorption tower 4b. Or it does. The 1st pressure reduction valve 28 pressure-reduces the air after passing through the adsorption-and-desorption tower 4a or the adsorption-and-desorption tower 4b. The discharge port 10 discharges air depressurized by the first pressure reducing valve 28 to the atmosphere. The gasoline adsorption pipe 29 is a pipe for conducting air containing a gasoline vapor. In addition, each solenoid valve is made to control means (not shown), such as a microcomputer.

[가솔린 베이퍼 탈착 회로(A2)][Gasoline Vapor Desorption Circuit (A 2 )]

흡탈착탑(4b)에서 가솔린 베이퍼를 탈착하는 경우의 가솔린 베이퍼 탈착 회로(A2)는, 흡기구(11)와, 제 2 감압 밸브(31)와, 제 4 전자 밸브(32b)와, 흡탈착탑(4b)과, 제 5 전자 밸브(33b)와, 탈착 펌프(5)가 가솔린 탈착용 배관(35)으로 순차로 접속되어 구성되어 있다. 한편, 흡탈착탑(4b)에서 가솔린 베이퍼를 흡착하는 경우의 가솔린 베이퍼 탈착 회로(A2)는, 흡기구(11)와, 제 2 감압 밸브(31)와, 제 4 전자 밸브(32a)와, 흡탈착탑(4a)과, 제 5 전자 밸브(33a)와, 탈착 펌프(5)가 가솔린 탈착용 배관(35)으로 순차로 접속되어 구성되어 있다.The gasoline vapor desorption circuit A 2 in the case of detaching the gasoline vapor from the adsorption-and-desorption tower 4b includes the intake port 11, the second pressure reducing valve 31, the fourth solenoid valve 32b, and the adsorption-and-desorption. The tower 4b, the fifth solenoid valve 33b, and the desorption pump 5 are sequentially connected to the gasoline desorption pipe 35. On the other hand, the gasoline vapor desorption circuit A 2 in the case of adsorbing gasoline vapor in the adsorption-and-desorption tower 4b includes an inlet 11, a second pressure reducing valve 31, a fourth solenoid valve 32a, The adsorption-and-desorption tower 4a, the 5th solenoid valve 33a, and the desorption pump 5 are comprised in order by the gasoline desorption piping 35 in order.

제 4 전자 밸브(32a) 및 제 4 전자 밸브(32b)의 전환과, 제 5 전자 밸브(33a) 및 제 5 전자 밸브(33b)의 전환을, 가솔린 베이퍼 응축/흡착 회로(A1)에서의 각 전자 밸브와의 제어에 따라 제어함으로써, 흡탈착탑(4a) 및 흡탈착탑(4b)의 한쪽에서 가솔린 베이퍼를 탈착시키도록 되어 있다. 즉, 가솔린 베이퍼 탈착 회로(A2)의 각 전자 밸브를, 가솔린 베이퍼 응축/흡착 회로(A1)의 각 전자 밸브와 아울러 제어함으로써, 흡탈착탑(4a)의 기능과 흡탈착탑(4b)의 기능을 적절히 전환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The switching of the fourth solenoid valve 32a and the fourth solenoid valve 32b and the switching of the fifth solenoid valve 33a and the fifth solenoid valve 33b are carried out in the gasoline vapor condensation / adsorption circuit A 1 . By controlling according to the control with each solenoid valve, gasoline vapor is detached from one of the adsorption-and-desorption tower 4a and the adsorption-and-desorption tower 4b. That is, by controlling each solenoid valve of the gasoline vapor desorption circuit A 2 with each solenoid valve of the gasoline vapor condensation / adsorption circuit A 1 , the function of the adsorption-and-desorption tower 4a and the adsorption-and-desorption tower 4b It is to switch the function of.

흡기구(11)는, 가솔린 베이퍼의 탈착에 사용하는 공기를 외기로부터 받아들이는 것이다. 제 2 감압 밸브(31)는, 흡기구(11)로부터 받아들여진 공기를 감압하는 것이다. 제 4 전자 밸브(32a) 및 제 4 전자 밸브(32b)는, 개폐가 제어됨으로써, 제 2 감압 밸브(31)에서 감압된 공기를 도통하거나 하지 않거나 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가솔린 베이퍼 탈착 회로(A2)를 구성하는 흡탈착탑(4b)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가솔린 베이퍼를 탈착하는 탈착탑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흡탈착탑(4a)도 흡탈착탑(4b)과 마찬가지로, 가솔린 베이퍼 탈착 회로(A2)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가솔린 베이퍼를 탈착하는 탈착탑으로서 기능하게 된다.The inlet 11 receives air used for desorption of gasoline vapor from the outside air. The second pressure reducing valve 31 decompresses the air taken in from the inlet 11.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ourth solenoid valve 32a and the fourth solenoid valve 32b has a function of conducting or not conducting air depressurized by the second pressure reducing valve 31. The adsorption-and-desorption tower 4b constituting the gasoline vapor desorption circuit A2 functions as a desorption tower for desorbing the gasoline vapor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similarly to the adsorption-and-desorption tower 4b, when the adsorption-and-desorption tower 4b comprises the gasoline vapor desorption circuit A2, it functions as a desorption tower which desorbs a gasoline vapor.

제 5 전자 밸브(33a) 및 제 5 전자 밸브(33b)는, 개폐가 제어됨으로써, 가솔린 베이퍼를 포함하는 공기를 도통하거나 하지 않거나 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탈착 펌프(5)는, 공기를 흡탈착탑(4b) 또는 흡탈착탑(4a)에 공급하기 위해, 흡기구(11)를 통하여 외기로부터 공기를 흡인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가솔린 탈착용 배관(35)은, 공기나 가솔린 베이퍼를 포함하는 공기를 도통하는 배관이다. 이 가솔린 탈착용 배관(35)은, 가솔린 베이퍼 응축/흡착 회로(A1)의 제 1 전자 밸브(22)와 가솔린 펌프(1) 사이에서의 가솔린 흡착용 배관(29)에 접속되어 있다.The 5th solenoid valve 33a and the 5th solenoid valve 33b have a function which conducts or does not conduct air containing a gasoline vapor by controlling opening and closing. The desorption pump 5 has a function of sucking air from the outside air through the inlet 11 to supply air to the adsorption-and-desorption tower 4b or the adsorption-and-desorption tower 4a. The gasoline desorption pipe 35 is a pipe for conducting air or air containing gasoline vapor. The gasoline desorption pipe 35 is connected to the gasoline adsorption pipe 29 between the first solenoid valve 22 of the gasoline vapor condensation / adsorption circuit A 1 and the gasoline pump 1.

[냉매 회로(B)][Refrigerant Circuit (B)]

냉매 회로(B)는, 냉동기(6)에 탑재되고, 압축기(41)와, 응축기(42)와, 조임 장치(43)와, 냉매 증발기(44)가 냉매 배관(45)으로 순차로 접속된 히트 펌프 사이클로서 구성되어 있다. 즉, 냉매 회로(B)는, 냉매 배관(45) 내에 냉매를 도통하고, 이 냉매가 각 구성 기기를 순환함으로써, 응축통(2) 내에 충전되어 있는 브라인(7)을 냉각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응축기(42)의 부근에는, 응축기(42)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팬 등의 송풍기(46)가 마련되어 있다.The refrigerant circuit B is mounted in the refrigerator 6, and the compressor 41, the condenser 42, the fastening device 43, and the refrigerant evaporator 44 are sequentially connected to the refrigerant pipe 45. It is comprised as a heat pump cycle. That is, the refrigerant circuit B conducts the refrigerant in the refrigerant pipe 45, and the refrigerant circulates each component to cool the brine 7 filled in the condensation container 2. In the vicinity of the condenser 42, a blower 46 such as a fan for supplying air to the condenser 42 is provided.

압축기(41)는, 냉매 배관(45)을 흐르는 냉매를 흡입하여, 그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고압의 상태로 하는 것이다. 응축기(42)는, 냉매의 응축열을 방출하고, 그 냉매를 응축 액화하는 것이다. 조임 장치(43)는, 감압 밸브나 전자식 팽창 밸브, 온도식 팽창 밸브, 캐피럴리 튜브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냉매를 감압하여 팽창시키는 것이다. 냉매 증발기(44)는, 브라인(7)으로부터 열을 빼앗고(즉, 브라인(7)을 냉각하고), 그 냉매를 증발 가스화하는 것이다. 또한, 냉매 회로(B)에 사용할 수 있는 냉매를 특별히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어떤 냉매라도 사용할 수 있다.The compressor 41 sucks the refrigerant flowing through the refrigerant pipe 45, compresses the refrigerant, and brings it into a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state. The condenser 42 discharges the heat of condensation of the refrigerant, and condenses and liquefies the refrigerant. The tightening device 43 is composed of a pressure reducing valve, an electronic expansion valve, a thermal expansion valve, a capital tube, and the like, and expands the refrigerant under reduced pressure. The refrigerant evaporator 44 takes heat away from the brine 7 (that is, cools the brine 7), and evaporates the refrigerant. In addition, the refrigerant which can be used for the refrigerant circuit B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refrigerant can be used.

[브라인 회로(C)][Brine Circuit (C)]

브라인 회로(C)는, 응축통(2)과, 브라인 펌프(8)와, 흡착제 냉각기(13a) 및 흡착제 냉각기(13b)가 브라인 배관(54)으로 순차로 접속되어 구성되어 있다. 응축통(2)은, 설치면적의 저감을 도모하기 위해 통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브라인(7)을 저장하는 브라인 탱크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다. 브라인(7)은, 예를 들면 프로필렌글리콜이나 가솔린, 등유 등의 석유계 물질 등으로 구성되는 부동액이다. 이 브라인(7)은, 냉매 회로(B)가 제어됨에 의해, 소정의 온도 범위(예를 들면, 1 내지 3℃정도의 범위)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즉, 응축통(2) 내에서는, 브라인(7)이 냉각됨으로써 브라인(7)이 교반되도록 되어 있고, 온도 조절이 되어 있는 것이다.In the brine circuit C, the condensation cylinder 2, the brine pump 8, the adsorbent cooler 13a and the adsorbent cooler 13b are sequentially connected to the brine pipe 54. The condensation cylinder 2 is comprised in the shape of a cylinder in order to reduce the installation area, and has a function as a brine tank for storing the brine 7. The brine 7 is an antifreeze composed of petroleum-based substances such as propylene glycol, gasoline, kerosene and the like. The brine 7 is configured to maintai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range (for example, a range of about 1 to 3 ° C) by controlling the refrigerant circuit B. FIG. That is, in the condensation container 2, the brine 7 is stirred by cooling the brine 7, and temperature control is performed.

브라인 펌프(8)는, 응축통(2)에 저장되어 있는 브라인(7)을 흡인·가압하는 것이다. 즉, 브라인(7)은, 브라인 펌프(8)에 의해 브라인 회로(C)를 순환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흡착제 냉각기(13a) 및 흡착제 냉각기(13b)는, 응축통(2)으로부터 공급되는 브라인(7)에 의해 흡탈착탑(4a) 및 흡탈착탑(4b)의 내부를 냉각하도록 되어 있다. 흡탈착탑(4a) 및 흡탈착탑(4b)의 내부 온도를 낮게 함에 의해, 가솔린 베이퍼의 흡착 용량을 크게 할 수 있다.The brine pump 8 sucks and pressurizes the brine 7 stored in the condensation cylinder 2. In other words, the brine 7 is configured to circulate the brine circuit C by the brine pump 8. The adsorbent cooler 13a and the adsorbent cooler 13b cool the inside of the adsorption-and-desorption tower 4a and the adsorption-and-desorption tower 4b by the brine 7 supplied from the condensation cylinder 2. By lowering the internal temperatures of the adsorption-and-desorption tower 4a and the adsorption-and-desorption tower 4b, the adsorption capacity of the gasoline vapor can be increased.

예를 들면, 흡탈착탑(4a)에서 가솔린 베이퍼가 흡착되고 있는 경우, 흡착제 냉각기(13a)에서는, 흡착제(9a)에 가솔린 베이퍼를 흡착할 때의 흡착열에 의해 브라인(7)의 온도가 상승하고, 흡착제 냉각기(13b)에서는, 흡착제(9b)로부터 가솔린 베이퍼를 탈착할 때의 탈착열에 의해 브라인(7)의 온도가 저하되게 되어 있다. 흡착제 냉각기(13a) 및 흡착제 냉각기(13b)의 각각으로부터 유출된 브라인(7)은, 합류하고, 응축통(2)에 재차 유입하도록 되어 있다.For example, when gasoline vapor is adsorbed in the adsorption-and-desorption tower 4a, in the adsorbent cooler 13a, the temperature of the brine 7 increases due to the heat of adsorption when adsorbing the gasoline vapor to the adsorbent 9a. In the adsorbent cooler 13b, the temperature of the brine 7 is lowered by the desorption heat when desorbing the gasoline vapor from the adsorbent 9b. The brine 7 flowed out from each of the adsorbent cooler 13a and the adsorbent cooler 13b joins and flows into the condensation container 2 again.

또한, 응축통(2)의 측면에는, 내부의 브라인(7)의 액체면을 검출하기 위한 액면계(55)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응축통(2)에는, 내부의 브라인(7)의 온도를 검지하기 위한 서미스터나 온도계 등의 브라인 온도 검지기(12)가 마련되어 있다. 이 브라인 온도 검지기(12)에서 검지된 온도 정보는, 도시를 생략한 제어 수단에 보내지고, 브라인(7)의 온도를 소정 범위 내에서 유지하도록 냉매 회로(B)가 제어되게 되어 있다. 이 제어 수단은, 각 전자 밸브의 개폐나, 각 펌프의 구동 주파수, 압축기(41)의 구동 주파수, 송풍기(46)의 회전수, 각 감압 밸브의 개방도 등을 제어한다.Moreover, the liquid level meter 55 for detecting the liquid surface of the brine 7 inside is provided in the side surface of the condensation container 2. Moreover, the condensation container 2 is provided with the brine temperature detector 12, such as a thermistor and a thermometer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of the brine 7 inside. The temperature information detected by this brine temperature detector 12 is sent to a control means (not shown), and the refrigerant circuit B is controlled so as to maintain the temperature of the brine 7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his control means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of each solenoid valve, the drive frequency of each pump, the drive frequency of the compressor 41, the rotation speed of the blower 46, the opening degree of each pressure reducing valve, etc.

여기서,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100)의 기본적인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Here, the basic operation of the gasoline vapor recovery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우선, 냉매 회로(B)를 동작시켜, 냉매 증발기(44)의 온도를 저하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압축기(41)를 구동시켜, 냉매를 순환시킴에 의해, 응축통(2) 내에 마련되어 있는 냉매 증발기(44)의 온도를 저하시킨다. 이때, 응축통(2) 내에 충전되어 있는 브라인(7)이 소정의 온도까지 저하되게 된다. 그리고, 브라인(7)이 소정의 온도에 도달하면, 압축기(41)의 구동을 정지한다. 브라인(7)의 온도가 소정의 범위보다 상승하면, 압축기(41)의 구동을 재개한다.First, the refrigerant circuit B is operated to lower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evaporator 44. Specifically, the compressor 41 is driven to circulate the refrigerant, thereby lowering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evaporator 44 provided in the condensation cylinder 2. At this time, the brine 7 filled in the condensation container 2 will fall to predetermined temperature. When the brine 7 reaches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he drive of the compressor 41 is stopped. When the temperature of the brine 7 rises above a predetermined range, the drive of the compressor 41 is restarted.

즉, 도시 생략한 제어 수단은, 브라인 온도 검지기(12)로부터의 온도 정보에 의거하여, 냉매 회로(B)의 압축기(41)을 제어하고, 브라인(7)의 온도를 소정의 범위에서 유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응축통(2) 내의 브라인(7)의 온도가 소정의 범위로 제어됨으로써, 가솔린 베이퍼 회수 운전의 준비가 정돈되게 된다. 그리고, 가솔린 계량기(101)로부터 액화 가솔린이 자동차 등에 급유되는 동시에, 가솔린 베이퍼 회수 운전이 시작된다.That is, the control means which is not shown in figure controls the compressor 41 of the refrigerant | coolant circuit B based on the temperature information from the brine temperature detector 12, and maintains the temperature of the brine 7 in a predetermined range. It is. Thus, by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brine 7 in the condensation container 2 to a predetermined range, preparation for the gasoline vapor collection operation is ordered. Then, the liquefied gasoline is refueled from the gasoline meter 101 to an automobile or the like, and the gasoline vapor collection operation starts.

가솔린 베이퍼 회수 운전은, 급유 노즐(102)로부터 액화 가솔린이 자동차 등의 가솔린 탱크에 급유될 때에, 급유구로부터 내쫓기는 가솔린 베이퍼를 가솔린 베이퍼 액화 회수 회로(A) 내에 흡인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즉, 가솔린 베이퍼 액화 회수 회로(A)를 구성하는 가솔린 펌프(1)의 운전에 의해, 급유 노즐(102)을 통하여 가솔린 베이퍼 액화 회수 회로(A) 내에 가솔린 베이퍼가 흡인됨으로써 가솔린 베이퍼 회수 운전이 시작하는 것이다. 흡인된 가솔린 베이퍼는, 응축통(2) 내의 가솔린 응축기(24) 내를 서서히 냉각되면서 상방부터 하방으로 흐른다. 냉각된 가솔린 베이퍼는, 그 일부가 액화하여 응축통(2)으로부터 유출된다.The gasoline vapor recovery operation starts by sucking gasoline vapors drawn out from the oil supply port into the gasoline vapor liquefaction recovery circuit A when liquefied gasoline is refueled from the oil supply nozzle 102 to a gasoline tank such as an automobile. That is, by the operation of the gasoline pump 1 which comprises the gasoline vapor liquefaction recovery circuit A, the gasoline vapor collection operation | movement starts because a gasoline vapor is attracted in the gasoline vapor liquefaction recovery circuit A via the oil supply nozzle 102. FIG. It is. The aspirated gasoline vapor flows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while gradually cooling the gasoline condenser 24 in the condensation vessel 2. A part of the cooled gasoline vapor liquefies and flows out of the condensation tank 2.

액화한 가솔린은, 기액 분리기(3)에서 포착, 회수되고, 가솔린 베이퍼를 포함하는 공기로부터 분리된다. 기액 분리기(3)에서 포착된 액화 가솔린은, 가솔린 계량기(101)로 되돌려져, 재이용된다. 또한, 액화하지 않은 가솔린 베이퍼는, 흡탈착탑(4a) 또는 흡탈착탑(4b)에 유입한다. 즉, 응축통(2)만으로는, 가솔린 베이퍼의 전부를 액화, 회수할 수가 없기 때문에, 가솔린 베이퍼는 흡탈착탑(4a) 및 흡탈착탑(4b)에서 흡착 및 탈착되어, 회수되게 된다.The liquefied gasoline is captured and recovered by the gas-liquid separator 3 and separated from the air containing the gasoline vapor. The liquefied gasoline captured by the gas-liquid separator 3 is returned to the gasoline meter 101 and reused. In addition, the gasoline vapor which is not liquefied flows into the adsorption-and-desorption tower 4a or the adsorption-and-desorption tower 4b. That is, since only the condensation cylinder 2 cannot liquefy and collect | recover all the gasoline vapors, gasoline vapors are adsorbed and desorbed by the adsorption-and-desorption tower 4a and the adsorption-and-desorption tower 4b, and are recovered.

흡탈착탑(4a)에서 가솔린 베이퍼를 흡착하는 경우는, 제 2 전자 밸브(26a)가 개방 제어, 제 2 전자 밸브(26b)가 폐쇄 제어되고, 기액 분리기(3)를 유출한 가솔린 베이퍼를 포함하는 공기가 흡탈착탑(4a)에 유입한다. 흡탈착탑(4a)에서는, 흡탈착탑(4a)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흡착제(9a)로 가솔린 베이퍼가 흡착된다. 따라서 가솔린 베이퍼를 포함하는 공기로부터 가솔린 베이퍼가 흡착되기 때문에, 가솔린 베이퍼 농도가 저감한다. 예를 들면, 흡착제(9a)는, 가솔린 베이퍼를 흡착함에 의해, 가솔린 베이퍼의 함유량을 1vol% 이하로 한다. 그리고, 이 공기는, 개방 제어되어 있는 제 3 전자 밸브(27a) 및 제 1 감압 밸브(28)을 경유하여, 배출구(10)로부터 대기에 방출된다.When adsorbing gasoline vapor in the adsorption-and-desorption tower 4a, the 2nd solenoid valve 26a is controlled by opening, the 2nd solenoid valve 26b is closed-controlled, and the gasoline vapor which discharged the gas-liquid separator 3 is included. Air flows into the adsorption-and-desorption tower 4a. In the adsorption-and-desorption tower 4a, gasoline vapor is adsorbed by the adsorbent 9a provided in the adsorption-and-desorption tower 4a. Therefore, since gasoline vapors are adsorbed from the air containing gasoline vapors, the gasoline vapor concentration is reduced. For example, the adsorbent 9a adsorb | sucks gasoline vapor to make content of a gasoline vapor 1vol% or less. And this air is discharged | emitted from the discharge port 10 to air | atmosphere via the 3rd solenoid valve 27a and the 1st pressure reduction valve 28 which are controlled to open.

한편, 흡탈착탑(4b)에서는, 흡착제(9b)에 흡착되어 있는 가솔린 베이퍼의 탈착이 행하여진다. 구체적으로는, 탈착 펌프(5)가 구동됨에 의해, 흡기구(11)로부터 받아들여진 공기가 제 2 감압 밸브(31)에서 감압되고, 제 4 전자 밸브(32b)를 경유하여 흡탈착탑(4b)에 유입한다. 즉, 흡착제(9b)에 흡착되어 있는 가솔린 베이퍼는, 흡탈착탑(4b)에 유입한 공기에 의해, 흡착제(9b)로부터 탈착되는 것이다. 그리고, 공기에 포함되는 가솔린 베이퍼의 함유량을 증가하고(즉 가솔린 베이퍼 농도를 높게 하여), 흡탈착탑(4b)으로부터 유출시켜, 재이용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adsorption-and-desorption tower 4b, desorption of the gasoline vapor adsorbed by the adsorbent 9b is performed. Specifically, when the desorption pump 5 is driven, the air received from the intake port 11 is depressurized by the second pressure reducing valve 31, and the adsorption-and-desorption tower 4b is passed through the fourth solenoid valve 32b. Flows in. That is, the gasoline vapor adsorbed by the adsorbent 9b is desorbed from the adsorbent 9b by the air which flowed into the adsorption-and-desorption tower 4b. Then, the content of the gasoline vapor included in the air is increased (that is, the gasoline vapor concentration is increased), and it flows out from the adsorption-and-desorption tower 4b to be reused.

흡탈착탑(4b)으로부터 유출된 가솔린 베이퍼는, 탈착 펌프(5)에 흡인되고, 재차 가솔린 흡착용 배관(29)(즉 가솔린 베이퍼 응축/흡착 회로(A1))에 유입한다. 그리고, 급유 노즐(102)로부터 유입한 가솔린 베이퍼와 합류하여, 응축통(2)에 유입한다. 이와 같이 하여,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100)에서는, 가솔린 베이퍼의 회수률의 향상을 도모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흡탈착탑(4a) 및 흡탈착탑(4b) 내를 저온으로 유지하는 것은, 응축 성능 및 흡착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고, 브라인(7)의 온도를 플러스로 유지시키는 것은, 가솔린 베이퍼와 함께 포함되어 있는 수분의 동결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The gasoline vapor flowed out from the adsorption-and-desorption tower 4b is sucked by the desorption pump 5, and flows into the gasoline adsorption piping 29 again (namely, the gasoline vapor condensation / adsorption circuit A1). And it joins with the gasoline vapor which flowed in from the oil supply nozzle 102, and flows into the condensation container 2. As shown in FIG. In this way, the gasoline vapor recovery device 100 is intended to improve the recovery rate of the gasoline vapor. In addition, keeping the inside of the adsorption-and-desorption tower 4a and the adsorption-and-desorption tower 4b at a low temperature is for improving the condensation performance and the adsorption performance, and to maintain the temperature of the brine 7 in a positive manner, This is to prevent freezing of the moisture contained together.

흡탈착탑(4a) 및 흡탈착탑(4b)은, 소정의 급유량마다, 흡탈착탑(4a) 또는 흡탈착탑(4b)의 출구 부근의 가솔린 베이퍼 농도에 의해, 기능을 전환하도록 되어 있다. 그것은, 흡착제(9a) 및 흡착제(9b)로 가솔린 베이퍼를 흡착할 수 있는 양에는, 소정의 한계가 존재하고, 연속 운전을 실행하는데에는, 가솔린 베이퍼의 흡착과 탈착을 전환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상술한 예에서는, 흡착탑으로서 기능하고 있던 흡탈착탑(4a)를 탈착탑으로서 기능시키고, 탈착탑으로서 기능하고 있던 흡탈착탑(4b)을 흡착탑으로서 기능시키는 경우를 상정한 것이다. 또한, 흡탈착탑(4a) 및 흡탈착탑(4b)의 전환은, 각 전자 밸브의 개폐를 제어함으로써 행하여지도록 되어 있다.The adsorption-and-desorption tower 4a and the adsorption-and-desorption tower 4b switch the function by the gasoline vapor concentration near the exit of the adsorption-and-desorption tower 4a or the adsorption-and-desorption tower 4b for every predetermined amount of oil supply. . This is because there is a predetermined limit in the amount that can adsorb gasoline vapor with the adsorbent 9a and the adsorbent 9b, and it is necessary to switch the adsorption and desorption of the gasoline vapor in order to perform continuous operation. . In the above-mentioned example, the case where the adsorption-and-desorption tower 4a which functioned as an adsorption tower is used as a desorption tower, and the adsorption-and-desorption tower 4b which functions as a desorption tower is assumed as a adsorption tower is assumed. In addition, switching of the adsorption-and-desorption tower 4a and the adsorption-and-desorption tower 4b is performed by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each solenoid valve.

여기서, 응축통(2) 내의 브라인(7)의 온도 유지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 the temperature maintenance of the brine 7 in the condensation container 2 is demonstrated in detail.

급유 노즐(102)로부터 흡인된 가솔린 베이퍼는, 통상, 주위 온도 이상의 온도로 되어 있다. 이 가솔린 베이퍼가 응축통(2)의 가솔린 응축기(24) 내를 도통하면, 브라인(7)은, 가솔린 베이퍼의 온도의 영향 및 가솔린 베이퍼의 응축열에 의해 가온되게 된다. 또한, 흡탈착탑(4a) 또는 흡탈착탑(4b) 내에서는 가솔린 베이퍼가 흡착제(9a) 또는 흡착제(9b)에 흡착될 때에 흡착열이 발생하고, 흡탈착탑(4a) 또는 흡탈착탑(4b)에 유입한 브라인(7)은, 흡착열에 의해 가온되는 것으로도 된다. 그 브라인(7)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여 온도를 소정의 범위에서 유지하기 위해 냉동기(6)를 운전하도록 하고 있다.The gasoline vapor sucked from the oil supply nozzle 102 is usually at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ambient temperature. When this gasoline vapor conducts in the gasoline condenser 24 of the condensation container 2, the brine 7 is heated by the influence of the temperature of the gasoline vapor and the heat of condensation of the gasoline vapor. In addition, in the adsorption-and-desorption tower 4a or the adsorption-and-desorption tower 4b, the heat of adsorption is generated when the gasoline vapor is adsorbed to the adsorbent 9a or the adsorbent 9b, and the adsorption-and-desorption tower 4a or the adsorption-and-desorption tower 4b. The brine 7 which flowed into) may be heated by adsorption heat. The refrigerator 6 is operated to suppress the temperature rise of the brine 7 and to maintain the temperature in a predetermined range.

도시 생략한 제어 수단은, 브라인 온도 검지기(12)가 검지한 온도 정보로부터 응축통(2) 내의 브라인(7)의 온도가 소정의 범위 이상으로 상승하였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냉동기(6)를 운전시키고, 브라인 온도 검지기(12)가 검지한 온도 정보로부터 응축통(2) 내의 브라인(7)의 온도가 소정의 범위 내까지 저하되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냉동기(6)의 운전을 정지시킨다. 또한, 응축통(2)은, 응축통(2)에의 열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단열 시행되어 있고, 고(高) 외기나 저(低) 외기 등 외기 온도의 변화의 영향을 받기 어렵게 하고 있다.The control means (not shown) operates the refrigerator 6 when it is determined from the temperatur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brine temperature detector 12 that the temperature of the brine 7 in the condensation vessel 2 has risen above a predetermined range. When it determines with the temperatur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brine temperature detector 12 that the temperature of the brine 7 in the condensation container 2 fell to the predetermined range, operation | movement of the refrigerator 6 is stopped. Moreover, the condensation container 2 is heat-insulated in order to prevent the heat penetration into the condensation container 2, and makes it hard to be influenced by the change of external air temperature, such as high outside air or low outside air.

그러나, 예를 들면 겨울철(冬季) 등에서 외기 온도가 마이너스 온도 영역을 장시간 계속하는 경우에는, 외기 온도의 영향으로 응축통(2) 내의 브라인(7)의 온도가 소정보다 저하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그 한 예로서, 겨울철에 가솔린 스탠드를 장기간에 걸쳐서 정지시키는 때를 들 수 있다. 브라인(7)의 온도가 소정 범위보다도 저하되어 버리면, 가솔린 응축기(24) 내를 도통하는 가솔린 베이퍼와 함께 포함되어 있는 수분이 동결하여 버리게 된다. 그렇게 되면, 가솔린 베이퍼 액화 회수 회로(A) 내의 압력 손실이 증대하여 버리고, 최악의 경우에는 가솔린 베이퍼 액화 회수 회로(A)가 폐색해 버리는 것으로 되어 버린다. 그래서,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100)에서는 이하와 같은 수분 동결 회피 동작 1을 실행하도록 하고 있다.However, for example, when the outside air temperature continues the negative temperature region for a long time in winter or the lik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temperature of the brine 7 in the condensation cylinder 2 may be lowered than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due to the influence of the outside air temperature. One example of this is when the gasoline stand is stopped for a long time in winter. If the temperature of the brine 7 falls below a predetermined range, the moisture contained together with the gasoline vapor conducting through the gasoline condenser 24 will freeze. As a result, the pressure loss in the gasoline vapor liquefaction recovery circuit A increases, and in the worst case, the gasoline vapor liquefaction recovery circuit A is blocked. Therefore, the gasoline vapor recovery apparatus 100 is configured to perform the following water freezing avoidance operation 1.

[수분 동결 회피 동작 1][Moisture Freeze Avoidance Action 1]

가솔린 스탠드의 장기 정지중에도 브라인(7)의 온도를 항상 모니터하거나,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100)의 전원을 투입하고 나서 급유/회수 운전을 행하기 전에 브라인(7)의 온도를 모니터하거나 하여, 가솔린 베이퍼 회수 운전의 가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제어 수단은, 가솔린 베이퍼 회수 운전에 들어가기 전의 브라인(7)의 온도가 예를 들면 -2℃ 이하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가솔린 펌프(1)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즉,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100)는, 가솔린 계량기(101)로부터의 급유 동작을 가능하게 하면서 가솔린 베이퍼 회수 운전을 행하지 않는 통상 급유 운전으로 전환하는 동시에, 브라인(7)의 가온 운전을 시작하는 수분 동결 회피 동작 1을 실행하는 것이다.During the long-term stop of the gasoline stand, the temperature of the brine 7 is always monitored, or the temperature of the brine 7 is monitored before the refueling / recovery operation is performed after the power supply of the gasoline vapor recovery device 100 is turned o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wafer collection operation is possible. For example, the control means stops the drive of the gasoline pump 1 when determining that the temperature of the brine 7 before entering the gasoline vapor collection operation is, for example, -2 ° C or lower. That is, the gasoline vapor recovery device 100 switches to the normal oil supply operation without enabling the gasoline vapor recovery operation while enabling the oil supply operation from the gasoline meter 101, and at the same time, starts the warm operation of the brine 7. The freezing avoidance operation 1 is executed.

응축통(2) 내의 브라인(7)은, 브라인 펌프(8)을 구동시켜, 이때 발생하는 브라인 펌프(8)의 발열로 가온 될 수 있다. 그리고, 브라인(7)의 온도가 예를 들면 +2℃에 도달한 경우에는, 제어 수단은, 가솔린 베이퍼와 함께 포함되어 있는 수분이 동결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가솔린 펌프(1)의 동작을 시작시킨다. 즉, 가솔린 계량기(101)로부터의 급유 동작을 가능하게 하면서 가솔린 베이퍼 회수 운전을 행하는 운전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100)에서는, 응축통(2) 내에서의 수분의 동결을 회피하도록 하고 있다.The brine 7 in the condensation cylinder 2 may drive the brine pump 8 to be heated by the heat generated by the brine pump 8 generated at this time. And when the temperature of the brine 7 reaches +2 degreeC, for example, the control means judges that the water contained with gasoline vapor did not freeze, and starts operation | movement of the gasoline pump 1 Let's do it. That is, it switches to the operation which performs the gasoline vapor collection operation while enabling the oil supply operation from the gasoline meter 101. By doing in this way, in the gasoline vapor collection apparatus 100, freezing of the moisture in the condensation container 2 is avoided.

도 2는, 가솔린 펌프(1)의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2에 의거하여, 수분 동결 회피 동작 1을 시작할 때의 판단 기준의 다른 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1에서는, 브라인 온도 검지기(12)로 검지한 브라인(7)의 온도를 수분 동결 회피 동작 1의 판단 기준으로 한 경우를 예로 설명하였지만, 도 2에서는, 가솔린 펌프(1)에 공급되는 전류를 수분 동결 회피 동작 1의 판단 기준으로 한 경우를 예로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솔린 펌프(1)에 의해 흡인·가압된 가솔린 베이퍼의 압력을 검지하기 위한 압력 검지기(70)를 가솔린 펌프(1)의 토출측에 마련하고 있다.2 is an enlarged configuration diagram of a part of the gasoline pump 1. Based on FIG. 2, another example of the determination criteria at the start of the moisture freezing avoidance operation 1 is demonstrated. In FIG. 1, the case where the temperature of the brine 7 detected by the brine temperature detector 12 is used as a criterion of the water freezing avoidance operation 1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In FIG. 2, the current supplied to the gasoline pump 1 is represented. The case where the determination criteria of the moisture freezing avoidance operation 1 is used is shown as an example. As shown in FIG. 2, the pressure detector 70 for detecting the pressure of the gasoline vapor sucked and pressed by the gasoline pump 1 is provided on the discharge side of the gasoline pump 1.

이 압력 검지기(70)에서 검지된 압력 정보는, 도시 생략한 제어 수단에 보내져서, 브라인(7)의 온도가 소정 범위 이하로 저하되어 있는지의 여부의 판단에 이용된다. 가솔린 베이퍼와 함께 포함되어 있는 수분이 동결하면, 가솔린 베이퍼 액화 회수 회로(A) 내의 압력 손실이 증대 또는 가솔린 베이퍼 액화 회수 회로(A)가 폐색하고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가솔린 펌프(1)로부터 토출되는 가솔린 베이퍼의 토출 압력을 증가시키려고 가솔린 펌프(1)의 부담이 증대하고, 압력 검지기(70)에서 검지되는 압력이 상승함과 함께 가솔린 펌프(1)에 공급되는 전류의 값이 증가하게 된다. 그래서, 압력 상승이 소정의 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 또는, 전류치의 변화를 검지함에 의해, 브라인(7)의 온도가 소정 범위 이하로 저하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되어 있다.The pressure information detected by this pressure detector 70 is sent to the control means not shown, and is used for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the temperature of the brine 7 falls below a predetermined range. When the water contained in the gasoline vapor freezes, it is thought that the pressure loss in the gasoline vapor liquefaction recovery circuit A increases or the gasoline vapor liquefaction recovery circuit A is blocked, so that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gasoline pump 1 is discharged. In order to increase the discharge pressure of the gasoline vapor, the burden on the gasoline pump 1 increases, the pressure detected by the pressure detector 70 increases, and the value of the current supplied to the gasoline pump 1 increase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judge whether or not the temperature of the brine 7 falls below a predetermined range by determining whether the pressure ris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or by detecting a change in the current value. .

예를 들면, 제어 수단은, 가솔린 베이퍼 회수 운전에 들어가기 전의 가솔린 펌프(1)에의 공급 전류치가 소정 이상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가솔린 펌프(1)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즉,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100)는, 수분 동결 회피 동작 1을 실행하는 것이다. 또한, 도 2에서는, 압력 검지기(70)를 이용하여 가솔린 펌프(1)에 공급되는 전류의 값을 검지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가솔린 펌프(1)에 공급되는 전류의 값을 검지하기 위한 전류 검지기를 마련하여 가솔린 펌프(1)에 공급되는 전류의 값을 검지하도록 하여도 좋다.For example, when it judges that the supply current value to the gasoline pump 1 before entering into gasoline vapor collection operation | movement is predetermined or more, the control means will stop the drive of the gasoline pump 1. That is, the gasoline vapor collection | recovery apparatus 100 performs the water freezing avoidance operation 1. In addition, in FIG. 2, although the case where the value of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to the gasoline pump 1 was detected using the pressure detector 70 was demonstrated to the example, it is not limited to this,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to the gasoline pump 1 is demonstrated. A current detector for detecting the value of may be provided to detect the value of the current supplied to the gasoline pump 1.

또한, 가솔린 스탠드(상세하게는 가솔린 계량기(101))의 정지 기간(예를 들면, 1일 이상의 정지 기간)을 수분 동결 회피 동작 1의 판단 기준으로 할 수도 있다. 즉, 예를 들면 겨울철 등에 가솔린 스탠드가 장기간에 걸쳐 정지되면, 브라인의 온도가 소정 범위 이하로 저하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그래서, 제어 수단은, 가솔린 스탠드의 정지 기간에 의해, 브라인(7)의 온도가 소정 범위 이하로 저하되어 있다고 판단하고, 수분 동결 회피 동작 1을 실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이들의 수분 동결 회피 동작 1을 시작할 때의 판단 기준을 적절히 조합시키도록 하여도 좋다.In addition, the stop period (for example, the stop period of 1 day or more) of a gasoline stand (in detail, the gasoline meter 101) can also be made into the criterion of the moisture freeze avoidance operation 1. As shown in FIG. That is, for example, when the gasoline stand is stopped for a long time in winter or the like, it can be judged that the temperature of the brine is likely to be lowered below a predetermined range. Therefore, the control means may determine that the temperature of the brine 7 falls below a predetermined range by the stop period of the gasoline stand, and may perform the water freezing avoidance operation 1. Moreover, you may make it combine suitably the judgment criteria at the time of starting these water freezing avoidance operation | movement 1.

도 3은, 브라인(7)의 다른 가온 방법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3에 의거하여, 브라인(7)의 다른 가온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도 1에서는, 브라인 펌프(8)를 구동하고, 브라인(7)을 순환시킴으로써 브라인(7)을 가온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하였지만, 도 3에서는, 응축통(2)에 가열 수단인 히터(71)를 마련하여 브라인(7)을 가온하는 경우를 예로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브라인(7)을 가온하기 위한 히터(71)를 응축통(2)에 마련하고 있다. 이 히터(71)는, 응축통(2)의 내부에 마련하여도 좋고, 외부에 마련하여도 좋다.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other heating method of the brine 7. Based on FIG. 3, the other heating method of the brine 7 is demonstrated. In FIG. 1, the case where the brine 7 is heated by driving the brine pump 8 and circulating the brine 7 is described as an example. In FIG. 3, the heater 71 serving as a heating means in the condensation tube 2 is illustrated. The case where warming the brine 7 is provided as an example is shown. As shown in FIG. 3, the condenser 2 is provided with a heater 71 for heating the brine 7. This heater 71 may be provided inside the condensation container 2, and may be provided outside.

이와 같이, 브라인(7)이 소정 온도보다도 저하된 경우에는, 히터(71)를 구동시켜서 브라인(7)을 직접적으로 가온하여도 좋다. 즉, 수분 동결 회피 동작 1에서의 브라인(7)의 가온 운전이 히터(71)의 구동에 의해 실행되도록 하여도 좋은 것이다. 또한, 브라인 펌프(8)의 구동과 함께 히터(71)를 구동시켜, 브라인(7)의 가온 운전을 실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히터(71)의 설치 위치를 도 3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은 응축통(2)의 하방(下方)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us, when brine 7 falls below predetermined temperature, you may drive the heater 71 and heat the brine 7 directly. That is, the heating operation of the brine 7 in the moisture freezing avoidance operation 1 may be performed by the driving of the heater 71. In addition, the heater 71 may be driven together with the drive of the brine pump 8 to perform the warming operation of the brine 7. In additio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heater 71 is not limited to the lower side of the condensation container 2 as shown in FIG.

도 4는, 브라인(7)의 또 다른 가온 방법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4에 의거하여, 브라인(7)의 또 다른 가온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도 3에서는, 응축통(2)에 가열 수단인 히터(71)를 마련하여 브라인(7)을 가온하는 경우를 예로 나타냈지만, 도 4에서는, 압축기(41)로부터 토출된 냉매(핫 가스)를 응축통(2) 내에 마련되어 있는 냉매 증발기(44)로 유도함으로써 브라인(7)을 가온하는 경우를 예로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축기(41)에 접속되어 있는 토출측 배관을 분기한 핫 가스 회로(73)을 마련하고, 압축기(41)로부터의 토출된 냉매를 응축기(42)를 경유시키지 않고 냉매 증발기(44)로 유도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핫 가스 회로(73)에는, 핫 가스 회로(73)를 개폐하는 개폐 밸브(74)가 마련되어 있다.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other heating method of the brine 7. Based on FIG. 4, another heating method of the brine 7 is demonstrated. In FIG. 3, the case where the brine 7 is heated by providing the heater 71 which is a heating means in the condensation container 2 is shown as an example, In FIG. 4, the refrigerant (hot gas)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41 is shown. The case where the brine 7 is heated by guide | inducing to the refrigerant | vapor evaporator 44 provided in the condensation container 2 is shown as the example. As shown in FIG. 4, the hot gas circuit 73 which branched the discharge side piping connected to the compressor 41 is provided, and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41 is not passed through the condenser 42. The evaporator 44 is guided. The hot gas circuit 73 is provided with an opening / closing valve 74 that opens and closes the hot gas circuit 73.

이와 같이, 브라인(7)이 소정 온도보다도 저하된 경우에는, 개폐 밸브(74)를 개방 제어하여 압축기(41)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응축기(42)를 우회시켜서 응축통(2) 내의 냉매 증발기(44)로 유도하여, 브라인(7)을 가온하여도 좋다. 즉, 수분 동결 회피 동작 1에서의 브라인(7)의 가온 운전이 핫 가스 회로(73)에로의 핫 가스의 도통에 의해 실행되도록 하여도 좋은 것이다. 또한, 브라인 펌프(8)이나 히터(71)의 구동과 함께, 핫 가스 회로(73)로 냉매를 도통시켜서, 브라인(7)의 가온 운전을 실행하도록 하여도 좋다.Thus, when the brine 7 falls below predetermined temperature, the opening / closing valve 74 is controlled to open,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41 bypasses the condenser 42, and the refrigerant evaporator (in the condenser 2) ( 44), the brine 7 may be heated. That is, the heating operation of the brine 7 in the moisture freezing avoidance operation 1 may be performed by conduction of hot gas to the hot gas circuit 73. In addition, the coolant 7 may be conducted by the hot gas circuit 73 together with the drive of the brine pump 8 and the heater 71 to perform the warming operation of the brine 7.

도 5는, 브라인(7)의 더욱 또 다른 가온 방법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5에 의거하여, 브라인(7)의 더욱 또 다른 가온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도 4에서는, 핫 가스 회로(73)로 핫 가스를 도통시켜서 브라인(7)을 가온하는 경우를 예로 나타냈지만, 도 5에서는, 냉동기(6)에서의 냉매의 흐름을 역전(리버스)시켜서 브라인(7)을 가온하는 경우를 예로 나타내고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축기(41)의 토출측 배관과 냉매 증발기(44)의 출구측 배관을 접속하는 제 1 접속 배관(76)과, 압축기(41)의 흡입측 배관과 응축기(42)의 입구측 배관을 접속하는 제 2 접속 배관(77)을 마련하고, 압축기(41)로부터의 토출된 냉매를 역전시켜서 냉매 증발기(44)에 유도하도록 하고 있다.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still another heating method of the brine 7. Based on FIG. 5, still another heating method of the brine 7 is demonstrated. In FIG. 4, the case where the brine 7 is heated by conducting hot gas through the hot gas circuit 73 is illustrated as an example. In FIG. 5, the flow of the refrigerant in the refrigerator 6 is reversed (reversed) to prevent the brine ( The case where 7) is heated is shown as an example. As shown in FIG. 5, the first connection pipe 76 connecting the discharge pipe of the compressor 41 and the outlet pipe of the refrigerant evaporator 44, the suction pipe of the compressor 41, and the condenser 42. The second connection pipe 77 for connecting the inlet pipe of the gas is provided, and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41 is reversed to guide the refrigerant evaporator 44.

이와 같이, 브라인(7)이 소정 온도보다도 저하된 경우에는, 제 1 접속 배관(76) 및 제 2 접속 배관(77)으로 냉매를 도통시켜서, 냉매를 응축통(2) 내의 냉매 증발기(44)로 유도하여, 브라인(7)을 가온하여도 좋다. 즉, 수분 동결 회피 동작 1에서의 브라인(7)의 가온 운전이 냉매의 리버스 운전에 의해 실행되도록 하여도 좋은 것이다. 또한, 브라인 펌프(8)나 히터(71)의 구동과 함께, 리버스 운전시켜서, 브라인(7)의 가온 운전을 실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냉동기(6)에 유로 전환 장치인 4방향 밸브를 마련하여, 냉매의 흐름을 역전시키도록 하여도 좋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brine 7 is lowered than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the refrigerant is conducted through the first connecting pipe 76 and the second connecting pipe 77, and the refrigerant is evaporated in the condenser 2. The brine 7 may be warmed by induction. That is, the warming operation of the brine 7 in the water freezing avoidance operation 1 may be performed by the reverse operation of the refrigerant. In addition, the warm operation of the brine 7 may be performed by performing reverse operation together with the drive of the brine pump 8 and the heater 71. The refrigerator 6 may be provided with a four-way valve, which is a flow path switching device, to reverse the flow of the refrigerant.

실시의 형태 2.Embodiment 2: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관한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100a) 전체의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6에 의거하여,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100a)의 회로 구성, 기본적인 동작 및 특징적인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이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100a)는, 흡인한 가솔린 베이퍼를 응축통에서 냉각하여 회수함과 함께, 가솔린 베이퍼를 흡착 또는 탈착하는 2개의 흡탈착탑을 마련하고, 이 2개의 흡탈착탑의 기능을 적절히 전환하여 가솔린 베이퍼를 회수 및 재이용하는 것이다. 또한, 이 실시의 형태 2에서는, 실시의 형태 1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실시의 형태 1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FIG. 6: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which shows the circuit structure of the whole gasoline vapor collection apparatus 100a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2 of this invention. Based on FIG. 6, the circuit structure, basic operation | movement, and characteristic operation | movement of the gasoline vapor collection apparatus 100a are demonstrated. The gasoline vapor recovery device 100a cools and recovers the gasoline vapor sucked in the condensation vessel, and provides two adsorption and desorption towers for adsorbing or desorbing the gasoline vapor. By converting properly, the gasoline vapor is recovered and reused.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2,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same part as Embodiment 1, and it demonstrates centering on the difference with Embodiment 1.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100a)의 기본적인 구성 및 기본적인 동작은,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100)와 마찬가지이지만, 응축통(2)을 우회하는 바이패스 회로(60)를 마련하고 있는 점에서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100)와 상위(相違)하다. 바이패스 회로(60)는, 가솔린 펌프(1)와 응축통(2) 사이의 분기점에서 가솔린 흡착용 배관(29)을 분기하고, 응축통(2)과 기액 분리기(3)의 사이, 즉 응축기(2)의 출구측의 접속점에서 가솔린 흡착용 배관(29)에 접속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한, 바이패스 회로(60)에는, 바이패스 회로(60)를 개폐하는 개폐 밸브(제 1 개폐 밸브)(61)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분기점과 응축통(2) 사이의 가솔린 흡착용 배관(29)에는, 가솔린 흡착용 배관(29)을 개폐하는 개폐 밸브(제 2 개폐 밸브)(62)가 마련되어 있다.Although the basic structure and basic operation | movement of the gasoline vapor collection | recovery apparatus 100a are the same as that of the gasoline vapor collection | recovery apparatus 100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1, the bypass circuit 60 which bypasses the condensation container 2 is provided. It differs from the gasoline vapor collection | recovery apparatus 100 in the point. The bypass circuit 60 branches the gasoline adsorption piping 29 at the branch point between the gasoline pump 1 and the condensation vessel 2, and between the condensation vessel 2 and the gas-liquid separator 3, that is, the condenser. It is provided so that it may connect to the gasoline adsorption piping 29 at the connection point of the exit side of (2). In addition, the bypass circuit 60 is provided with an opening / closing valve (first opening / closing valve) 61 for opening and closing the bypass circuit 60. In addition, the gasoline adsorption pipe 29 between the branch point and the condensation tube 2 is provided with an on-off valve (second on-off valve) 62 that opens and closes the gasoline adsorption pipe 29.

즉,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100a)는, 개폐 밸브(61) 및 개폐 밸브(62)의 개폐를 제어함으로써, 가솔린 펌프(1)에 의해 흡인된 가솔린 베이퍼를 응축통(2)으로 도통시키는지, 바이패스 회로(60)로 도통시키는지를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개폐 밸브(61)를 개방 제어, 개폐 밸브(62)를 폐쇄 제어하면, 가솔린 베이퍼를 응축통(2)이 아니라, 바이패스 회로(60)로 도통시킬 수 있고, 개폐 밸브(61)를 폐쇄 제어, 개폐 밸브(62)를 개방 제어하면, 가솔린 베이퍼를 바이패스 회로(60)가 아니라, 응축통(2)으로 도통시킬 수 있다. 이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100a)로는 이하와 같은 수분 동결 회피 동작 2를 실행하도록 하고 있다.That is, the gasoline vapor collection device 100a conducts the gasoline vapor sucked by the gasoline pump 1 to the condensation tank 2 by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on / off valve 61 and the on / off valve 62. The conduction by the bypass circuit 60 can be switched. Therefore, when the opening / closing valve 61 is opened and the opening / closing valve 62 is closed-controlled, the gasoline vapor can be conducted to the bypass circuit 60 instead of the condensation tube 2, and the opening / closing valve 61 is closed. By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ntrol and opening / closing valve 62, the gasoline vapor can be conducted to the condensation tube 2 instead of the bypass circuit 60. In this gasoline vapor recovery device 100a, the following water freezing avoidance operation 2 is performed.

[수분 동결 회피 동작 2][Moisture Freeze Avoidance Action 2]

수분 동결 회피 동작 2는, 가솔린 펌프(1)를 정지시키지 않는 점에서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한 수분 동결 회피 동작 1과 다르다. 가솔린 베이퍼 회수 운전을 실행할 때는, 개폐 밸브(61)를 폐쇄 제어, 개폐 밸브(62)를 개방 제어하여 가솔린 베이퍼를 응축통(2)으로 유도하고, 수분 동결 회피 동작 2를 실행할 때는, 개폐 밸브(61)를 개방 제어, 개폐 밸브(62)를 폐쇄 제어하여 가솔린 베이퍼를 바이패스 회로(60)로 유도하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수단은, 가솔린 베이퍼 회수 운전에 들어가기 전의 브라인(7)의 온도가 예를 들면 -2℃ 이하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수분 동결 회피 동작 2를 실행하기 위해 개폐 밸브(61)를 개방 제어, 개폐 밸브(62)를 폐쇄 제어한다.The water freezing avoidance operation 2 differs from the water freezing avoidance operation 1 described in Embodiment 1 in that the gasoline pump 1 is not stopped. When the gasoline vapor collection operation is executed, the on / off valve 61 is closed and the on / off valve 62 is opened to guide the gasoline vapor to the condensation container 2, and when the water freezing avoidance operation 2 is executed, the on / off valve ( The opening control 61 and the closing valve 62 are closed to control the gasoline vapor vapor to the bypass circuit 60. Specifically, when the control means determines that the temperature of the brine 7 before entering the gasoline vapor collection operation is, for example, -2 ° C or lower, the control means opens the on / off valve 61 to execute the water freezing avoidance operation 2. Controlling and closing valve 62 are closed.

즉, 수분 동결 회피 동작 2에서는, 가솔린 베이퍼를 바이패스 회로(60)로 도통시켜서 응축통(2)을 바이패스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응축통(2)을 바이패스된 가솔린 베이퍼는, 기액 분리기(3)를 경유하고 나서 흡탈착탑(4a) 또는 흡탈착탑(4b)의 한쪽에 유입하게 된다. 흡탈착탑(4a) 또는 흡탈착탑(4b)으로 유입한 가솔린 베이퍼는, 흡착제(9a) 또는 흡착제(9b)로 흡착되고, 가솔린 베이퍼 농도가 저감된 후, 배출구(10)로부터 대기에 방출된다. 수분 동결 회피 동작 2를 수분 동결 회피 동작 1과 비교하면, 흡탈착탑(4a) 또는 흡탈착탑(4b)으로 가솔린 베이퍼를 유통시키는 분만큼 가솔린 베이퍼 농도를 저감할 수 있다.That is, in the water freezing avoidance operation 2, the condensation cylinder 2 is bypassed by conducting the gasoline vapor to the bypass circuit 60. The gasoline vapor which bypassed the condensation container 2 flows into one of the adsorption-and-desorption tower 4a or the adsorption-and-desorption tower 4b after passing through the gas-liquid separator 3. The gasoline vapor flowing into the adsorption-and-desorption tower 4a or the adsorption-and-desorption tower 4b is adsorbed by the adsorbent 9a or the adsorbent 9b, and i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10 to the atmosphere after the gasoline vapor concentration is reduced. . When the water freezing avoidance operation 2 is compared with the water freezing avoidance operation 1, the gasoline vapor concentration can be reduced by the amount of the gasoline vapor flowing through the adsorption-desorption tower 4a or the adsorption-desorption tower 4b.

또한, 아울러서 브라인 펌프(8)를 구동시킴으로써, 브라인(7)의 가온을 행하여 가솔린 베이퍼 회수 운전의 복귀를 앞당길 수 있다. 또한, 흡탈착탑(4a) 또는 흡탈착탑(4b)에서는, 흡착제(9a) 또는 흡착제(9b)에 가솔린 베이퍼가 흡착될 때에 흡착열이 발생하고, 그 열분(熱分)만큼 브라인(7)을 가온할 수 있고, 브라인(7)의 가온을 앞당길 수 있다. 그리고, 브라인(7)의 온도가 예를 들면 +2℃에 도달한 경우에는, 제어 수단은, 가솔린 베이퍼와 함께 포함되어 있는 수분이 동결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개폐 밸브(61)를 폐쇄 제어, 개폐 밸브(62)를 개방 제어하여 가솔린 베이퍼를 응축통(2)으로 유도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100a)에서는, 응축통(2) 내에서의 수분의 동결을 회피하도록 하고 있다.In addition, by driving the brine pump 8 at the same time, the brine 7 can be warmed to accelerate the return of the gasoline vapor collection operation. In addition, in the adsorption-and-desorption tower 4a or the adsorption-and-desorption tower 4b, the heat of adsorption is generated when gasoline vapor is adsorbed to the adsorbent 9a or the adsorbent 9b, and the brine 7 is supplied by the heat content thereof. It is possible to warm up, and to advance the warming of the brine (7). And when the temperature of the brine 7 reaches +2 degreeC, for example, the control means judges that the water contained with gasoline vapor does not freeze, and controls the opening-closing valve 61 for closing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valve 62 is controlled to guide the gasoline vapor to the condensation tank 2. By doing in this way, in the gasoline vapor collection apparatus 100a, freezing of the moisture in the condensation container 2 is avoided.

또한,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한 수분 동결 회피 동작 1을 시작할 때의 판단 기준(예를 들면, 브라인 온도, 가솔린 펌프(1)에의 공급 전류치 또는 가솔린 스탠드의 정지 기간)을, 수분 동결 회피 동작 2를 시작할 때의 판단 기준으로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한 브라인(7)의 가온 방법(예를 들면, 히터(71)의 구동, 핫 가스 회로(73) 또는 냉매의 리버스 운전)을, 수분 동결 회피 동작 2에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In addition, the judgment criteria (for example, brine temperature, supply current value to the gasoline pump 1, or stop period of the gasoline stand) when starting the water freezing avoidance operation 1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are described. We shall be able to apply as judgment standard at the beginning. In addition, the heating method of the brine 7 described in Embodiment 1 (for example, driving of the heater 71, reverse operation of the hot gas circuit 73 or the refrigerant) can be applied to the moisture freezing avoidance operation 2. It shall be present.

1 : 가솔린 펌프 2 : 응축통
3 : 기액 분리기 4a : 흡탈착탑
4b : 흡탈착탑 5 : 탈착 펌프
6 : 냉동기 7 : 브라인
8 : 브라인 펌프 9a : 흡착제
9b : 흡착제 10 : 배출구
11 : 흡기구 12 : 브라인 온도 검지기
13a : 흡착제 냉각기 13b : 흡착제 냉각기
22 : 제 1 전자 밸브 24 : 가솔린 응축기
26a : 제 2 전자 밸브 26b : 제 2 전자 밸브
27a : 제 3 전자 밸브 27b : 제 3 전자 밸브
28 : 제 1 감압 밸브 29 : 가솔린 흡착용 배관
30 : 개폐 밸브 31 : 제 2 감압 밸브
32a : 제 4 전자 밸브 32b : 제 4 전자 밸브
33a : 제 5 전자 밸브 33b : 제 5 전자 밸브
35 : 가솔린 탈착용 배관 41 : 압축기
42 : 응축기 43 : 조임 장치
44 : 냉매 증발기 45 : 냉매 배관
46 : 송풍기 54 : 브라인 배관
55 : 액면계 60 : 바이패스 회로
61 : 개폐 밸브 62 : 개폐 밸브
70 : 압력 검지기 71 : 히터
73 : 핫 가스 회로 74 : 개폐 밸브
76 : 제 1 접속 배관 77 : 제 2 접속 배관
100 :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 100a :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
101 : 가솔린 계량기 102 : 급유 노즐
A : 가솔린 베이퍼 액화 회수 회로
A1 : 가솔린 베이퍼 응축/흡착 회로
A2 : 가솔린 베이퍼 탈착 회로
B : 냉매 회로
C : 브라인 회로
1: gasoline pump 2: condenser
3: gas-liquid separator 4a: adsorption-desorption tower
4b: adsorption and desorption tower 5: desorption pump
6: freezer 7: brine
8: brine pump 9a: adsorbent
9b: adsorbent 10: outlet
11: intake vent 12: brine temperature detector
13a: adsorbent cooler 13b: adsorbent cooler
22: first solenoid valve 24: gasoline condenser
26a: 2nd solenoid valve 26b: 2nd solenoid valve
27a: third solenoid valve 27b: third solenoid valve
28: first pressure reducing valve 29: gasoline adsorption pipe
30: closing valve 31: second pressure reducing valve
32a: 4th solenoid valve 32b: 4th solenoid valve
33a: Fifth solenoid valve 33b: Fifth solenoid valve
35 gasoline desorption pipe 41 compressor
42 condenser 43 tightening device
44 refrigerant evaporator 45 refrigerant pipe
46: blower 54: brine piping
55 liquid level meter 60 bypass circuit
61: on-off valve 62: on-off valve
70 pressure detector 71 heater
73: hot gas circuit 74: on-off valve
76: first connection pipe 77: second connection pipe
100: gasoline vapor recovery device 100a: gasoline vapor recovery device
101: gasoline meter 102: oil supply nozzle
A: Gasoline Vapor Liquefaction Recovery Circuit
A 1 : Gasoline Vapor Condensation / Adsorption Circuit
A 2 : Gasoline Vapor Desorption Circuit
B: refrigerant circuit
C: brine circuit

Claims (15)

가솔린 탱크로부터 배출된 가솔린 베이퍼를 흡인하는 가솔린 펌프와,
내부에 브라인이 충전되고, 상기 가솔린 펌프에 의해 흡인된 가솔린 베이퍼를 냉각하는 응축통과,
상기 가솔린 펌프의 구동 및 상기 브라인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가지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브라인이 소정 온도보다도 저하되었다고 판단한 때, 상기 가솔린 펌프의 구동을 정지함과 함께 상기 브라인의 가온 운전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
A gasoline pump for sucking gasoline vapor discharged from the gasoline tank,
A condensation vessel filled with brine therein and cooling the gasoline vapor sucked by the gasoline pump;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drive of the gasoline pump and the temperature of the brine,
Wherein,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brine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he driving of the gasoline pump is stopped and the warm operation of the brine is start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브라인이 소정 온도 이상이 되었다고 판단한 때, 상기 가솔린 펌프의 구동을 재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brine has reached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more, driving of the gasoline pump is restarted.
가솔린 탱크로부터 배출된 가솔린 베이퍼를 흡인하는 가솔린 펌프와,
내부에 브라인이 충전되고, 상기 가솔린 펌프에 의해 흡인된 가솔린 베이퍼를 냉각하는 응축통과,
상기 가솔린 펌프와 상기 응축통을 접속하고 있는 가솔린 흡착용 배관을 상기 가솔린 펌프와 상기 응축통 사이에서 분기하고, 상기 응축통을 우회시켜서 상기 응축통의 출구측에서 접속시키는 바이패스 회로와,
상기 바이패스 회로에 마련되고, 상기 바이패스 회로를 개폐하는 제 1 개폐 밸브와,
상기 바이패스 회로의 분기점과 상기 응축통 사이의 상기 가솔린 흡착용 배관에 마련되고, 상기 가솔린 흡착용 배관을 개폐하는 제 2 개폐 밸브와,
상기 제 1 개폐 밸브 및 상기 제 2 개폐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
A gasoline pump for sucking gasoline vapor discharged from the gasoline tank,
A condensation vessel filled with brine therein and cooling the gasoline vapor sucked by the gasoline pump;
A bypass circuit for branching the gasoline adsorption pipe connecting the gasoline pump and the condensation vessel between the gasoline pump and the condensation vessel, bypassing the condensation vessel, and connecting at the outlet side of the condensation vessel;
A first opening / closing valve provided in the bypass circuit to open and close the bypass circuit;
A second opening / closing valve provided in the gasoline adsorption pipe between the branch point of the bypass circuit and the condensation cylinder and opening and closing the gasoline adsorption pipe;
And a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opening / closing valve and the second opening / closing valv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브라인이 소정 온도보다도 저하되었다고 판단한 때, 상기 제 1 개폐 밸브를 개방, 상기 제 2 개폐 밸브를 폐쇄로 제어하여 상기 가솔린 펌프에 의해 흡인된 상기 가솔린 베이퍼를 상기 바이패스 회로로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brine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he first on-off valve is opened and the second on-off valve is controlled to be closed to guide the gasoline vapor drawn by the gasoline pump to the bypass circuit. Gasoline vapor recovery unit.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브라인이 소정 온도 이상이 되었다고 판단한 때, 상기 제 1 개폐 밸브를 폐쇄, 상기 제 2 개폐 밸브를 개방으로 제어하여 상기 가솔린 펌프에 의해 흡인된 상기 가솔린 베이퍼를 상기 응축통으로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brine has reached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more, the gasoline vapor drawn by the gasoline pump is guided to the condensation tank by closing the first on / off valve and controlling the second on / off valve to open. Vapor recovery device.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인의 온도를 검지하는 브라인 온도 검지기를 마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브라인 온도 검지기로부터의 검지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브라인이 소정 온도보다도 저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Providing a brine temperature detector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of the brine;
Wherein,
A gasoline vapor coll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brine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from the brine temperature detector.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솔린 펌프에 의해 흡인된 가솔린 베이퍼의 압력을 검지하는 압력 검지기를 마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압력 검지기로부터의 검지 정보로부터 구한 상기 가솔린 펌프에의 펌프 구동용의 공급 전류치에 의거하여, 상기 브라인이 소정 온도보다도 저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Providing a pressure detector for detecting the pressure of the gasoline vapor sucked by the gasoline pump,
Wherein,
A gasoline vapor recove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brine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based on a supply current value for pump driving to the gasoline pump obtained from the detection information from the pressure detector.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솔린 펌프에 의해 흡인된 가솔린 베이퍼의 압력을 검지하는 압력 검지기를 마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압력 검지기로부터의 검지 압력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브라인이 소정 온도보다도 저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Providing a pressure detector for detecting the pressure of the gasoline vapor sucked by the gasoline pump,
Wherein,
A gasoline vapor recove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brine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based on detection pressure information from the pressure detector.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급유하는 가솔린을 계량하기 위한 가솔린 계량기를 마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가솔린 계량기의 정지시간에 의거하여, 상기 브라인이 소정 온도보다도 저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o set up a gasoline meter to measure gasoline refueling,
Wherein,
And determining whether the brine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based on the stop time of the gasoline meter.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인을 순환시키는 브라인 펌프를 마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브라인 펌프를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브라인의 가온 운전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Providing a brine pump for circulating the brine,
Wherein,
And a warm operation of the brine by driving the brine pump.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솔린 베이퍼를 흡착 또는 탈착하는 흡탈착탑을 마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브라인 펌프를 구동시켜, 상기 브라인을 상기 응축통과 상기 흡탈착탑 사이에서 순환시킴으로써 상기 브라인의 가온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Providing an adsorption and desorption tower for adsorption or desorption of the gasoline vapor,
Wherein,
And driving the brine pump to circulate the brine between the condensation cylinder and the adsorption and desorption tower to perform the warming operation of the brine.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인을 가온하는 히터를 상기 응축통에 마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히터를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브라인의 가온 운전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 heater for heating the brine is provided in the condensation barrel,
Wherein,
The warm-up operation of the brine is performed by driving the heater, wherein the gasoline vapor recovery device.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압축기, 응축기, 조임 장치 및 냉매 증발기를 차례로 접속한 냉동기를 구비하고,
상기 냉매 증발기를 상기 응축통 내에 설치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압축기로부터의 토출 냉매를 상기 냉매 증발기로 유도함으로써 상기 브라인의 가온 운전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nd a refrigerator in which a compressor, a condenser, a tightening device, and a refrigerant evaporator are sequentially connected.
The refrigerant evaporator is installed in the condenser
Wherein,
And a warm operation of the brine by inducing discharged refrigerant from the compressor to the refrigerant evaporator.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에 접속되어 있는 배출측 배관을 분기하고, 상기 냉매 증발기의 입구측에 접속시킨 핫 가스 회로와,
상기 핫 가스 회로에 마련되고, 상기 핫 가스 회로를 개폐하는 개폐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개폐 밸브를 개방 제어하고, 상기 압축기로부터의 토출 냉매를 상기 핫 가스 회로를 통하여 상기 냉매 증발기로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A hot gas circuit branched from a discharge side pipe connected to the compressor and connected to an inlet side of the refrigerant evaporator;
It is provided in the hot gas circuit, and provided with an on-off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hot gas circuit,
Wherein,
And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open / close valve and directing the discharged refrigerant from the compressor to the refrigerant evaporator through the hot gas circuit.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의 배출측 배관과 상기 냉매 증발기의 출구측 배관을 접속하는 제 1 접속 배관과,
상기 압축기의 흡입측 배관과 상기 응축기의 입구측 배관을 접속하는 제 2 접속 배관을 마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 1 접속 배관 및 상기 제 2 접속 배관을 통하여 냉매의 리버스 운전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압축기로부터의 토출 냉매를 상기 냉매 증발기로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A first connection pipe connecting the discharge side pipe of the compressor and the outlet side pipe of the refrigerant evaporator;
A second connection pipe for connecting the suction pipe of the compressor and the inlet pipe of the condenser;
Wherein,
And a discharge operation from the compressor is led to the refrigerant evaporator by performing reverse operation of the refrigerant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pipe and the second connection pipe.
KR1020117007843A 2008-10-27 2008-10-27 Gasoline vapor recovery device KR10129338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8/069402 WO2010049980A1 (en) 2008-10-27 2008-10-27 Gasoline vapor recover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1279A KR20110051279A (en) 2011-05-17
KR101293382B1 true KR101293382B1 (en) 2013-08-05

Family

ID=42128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7843A KR101293382B1 (en) 2008-10-27 2008-10-27 Gasoline vapor recovery devic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369112B2 (en)
KR (1) KR101293382B1 (en)
CN (1) CN102196843B (en)
TW (1) TW201016297A (en)
WO (1) WO2010049980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2011104209A5 (en) * 2010-10-11 2013-09-26 Michael Ueing Method and arrangement for limiting the pressure in a tank containing liquid and gas
CN102464999B (en) * 2010-11-05 2015-04-15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Oil gas absorption recovering method
CN102465000B (en) * 2010-11-05 2015-02-18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Condensation recycling method of oil gas
CN103349885B (en) * 2013-07-23 2015-04-15 蔡兵 Oil steam recovery system and recovery method
KR101592120B1 (en) * 2013-10-21 2016-02-04 양대권 Oil gas recovery system
US9904302B2 (en) * 2014-01-08 2018-02-27 Chunyu Wu Proactive pressure stabilizing system and method
WO2017132980A1 (en) * 2016-02-05 2017-08-10 深圳市尚佳能源网络有限责任公司 Oil and gas low temperature recovery device
CN108136309B (en) * 2016-02-05 2020-10-27 深圳市尚佳能源网络有限责任公司 Oil gas low-temperature condensation adsorption recovery system
JP6337921B2 (en) * 2016-06-15 2018-06-06 株式会社タツノ Vapor collection device
JP6641673B2 (en) * 2017-01-19 2020-02-05 株式会社タツノ Vapor recovery device
CN113483451B (en) * 2021-07-12 2022-06-1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Control method and module for air conditioner operation, air conditioner and computer storage medium
CN114608266B (en) * 2022-02-25 2024-04-12 南通亚泰工程技术有限公司 Oil gas recovery device capable of rapidly refrigerating and defrost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0227A (en) * 1991-07-15 1993-08-10 Boc Group Inc:The Method for recovering gas component
JP2005029173A (en) * 2003-07-08 2005-02-03 Mitsubishi Electric Corp Vapor gasoline reclaimer
JP2006198604A (en) * 2004-12-22 2006-08-03 Mitsubishi Electric Corp Treatment/recovery apparatus and method of gaseous hydrocarbon
JP2007244933A (en) * 2006-03-13 2007-09-27 Mitsubishi Electric Corp Adsorption tower of gasoline vapor recovery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26901A (en) * 1991-04-24 1992-11-16 Kobe Steel Ltd Solvent recovery apparatus
JPH1157394A (en) * 1997-08-12 1999-03-02 G L Sci Kk Device for recovering organic solvent
BE1012132A6 (en) * 1998-05-26 2000-05-02 Atlas Copco Airpower Nv Method and device for cooling drying.
BE1013150A3 (en) * 1999-11-24 2001-10-02 Atlas Copco Airpower Nv Device and method for cool drying.
WO2004092307A1 (en) * 2003-04-17 2004-10-2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evice and method for collecting vapor gasoline
JP2005177563A (en) * 2003-12-17 2005-07-07 Mitsubishi Electric Corp Apparatus for recovering vapor of gasoline
JP4671940B2 (en) * 2006-10-12 2011-04-20 三菱電機株式会社 Gaseous hydrocarbon treatment and recovery apparatus and method
JP5247046B2 (en) * 2007-02-23 2013-07-24 三菱電機株式会社 Gasoline vapor condensing contain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0227A (en) * 1991-07-15 1993-08-10 Boc Group Inc:The Method for recovering gas component
JP2005029173A (en) * 2003-07-08 2005-02-03 Mitsubishi Electric Corp Vapor gasoline reclaimer
JP2006198604A (en) * 2004-12-22 2006-08-03 Mitsubishi Electric Corp Treatment/recovery apparatus and method of gaseous hydrocarbon
JP2007244933A (en) * 2006-03-13 2007-09-27 Mitsubishi Electric Corp Adsorption tower of gasoline vapor recover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1279A (en) 2011-05-17
JPWO2010049980A1 (en) 2012-03-22
TWI369240B (en) 2012-08-01
TW201016297A (en) 2010-05-01
JP5369112B2 (en) 2013-12-18
CN102196843A (en) 2011-09-21
CN102196843B (en) 2014-01-01
WO2010049980A1 (en) 2010-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3382B1 (en) Gasoline vapor recovery device
US11635239B2 (en) Refrigeration system with purge and acid filter
KR101039401B1 (en) Vapor recovery system
KR101215211B1 (en) Gaseous hydrocarbon treating/recovering apparatus and method
RU2467264C2 (en) Refrigerating device with moisture separator, and operating method of refrigerating device
JP2008093571A (en) Device for treating and recovering gaseous hydrocarbon and its method
US4660384A (en) Defrost apparatus for refrigeratio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JP5247046B2 (en) Gasoline vapor condensing container
JP5653490B2 (en) Gasoline vapor recovery device
DK2653691T3 (en) Intake air cooling system for a marine vessel with a turbocharger
JP3015820B2 (en) Refrigerant recovery device
KR101247456B1 (en) Gasoline vapor recovery apparatus
JP2009109110A (en) Refrigeration system
JP5606714B2 (en) Bleeding recovery device, operation method thereof, and turbo refrigerator equipped with the same
US20130031918A1 (en) Gas extraction device and gas extraction method for refrigerator
JP2004340520A (en) Refrigerating cycle device
JP2005177563A (en) Apparatus for recovering vapor of gasoline
JP2008014598A (en) Bleeder for compression type refrigerating machine
JP2015021643A (en) Heat pump device
JP2013139948A (en) Refrigeratio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filling of wrong refrigerant
JP4824530B2 (en) Dilution refrigerator
JP2002048428A (en) Adsorption type refrigerating machine
JP2001032752A (en) Fuel vapor treating device
JP4107018B2 (en) Engine warm-up device
JP2003035466A (en) Absorption refrigerat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