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0223B1 - 편평형 전지 - Google Patents

편평형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0223B1
KR101290223B1 KR1020127014556A KR20127014556A KR101290223B1 KR 101290223 B1 KR101290223 B1 KR 101290223B1 KR 1020127014556 A KR1020127014556 A KR 1020127014556A KR 20127014556 A KR20127014556 A KR 20127014556A KR 101290223 B1 KR101290223 B1 KR 101290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ket
sealing
positive electrode
thickness
exteri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4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4489A (ko
Inventor
고지 야마구치
도시히코 이시하라
Original Assignee
히다치 막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0052215A external-priority patent/JP548635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055511A external-priority patent/JP554752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055646A external-priority patent/JP5547523B2/ja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막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막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14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4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0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0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9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of button or coin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2Transfer moulding, i.e. transferr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by a plunger from a "shot" cavity into a mould cav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66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 H01M50/171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using adhesives or sealing ag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4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6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9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93Organic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개스킷을 밀봉 캔의 개구단부로부터 평면부까지 연장되도록 몰드 성형한 편평형 전지에 있어서, 당해 개스킷이 밀봉 캔의 내면으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을 얻는다. 편평형 전지(1)는,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부극 캔(10)(외장 캔)과, 주벽부(22)(통부) 및 평면부(21)를 가지고, 당해 부극 캔(10)에 대하여 뒤집어 놓은 접시 형상으로 배치되는 정극 캔(20)(밀봉 캔)과, 적어도 상기 정극 캔(20)의 내측에, 상기 주벽부(22)의 개구단부로부터 상기 평면부(21)에 걸쳐 몰드 성형되는 개스킷(30)을 구비한 구성으로 한다. 상기 부극 캔(10)은, 그 측벽의 개구단부가 상기 정극 캔(20)의 단부(22c)에 감합되어 있고, 상기 개스킷(30)은, 상기 정극 캔(20)의 주벽부(22)의 개구단 측에 있어서의 정극 캔 내방 측의 개스킷의 두께가, 당해 정극 캔(20)의 단부(22c)에 있어서의 정극 캔 내방 측의 개스킷의 두께보다 작다.

Description

편평형 전지{FLAT BATTERY}
본 발명은, 코인형 전지 등의 편평형 전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외장 캔과, 당해 외장 캔의 개구를 덮도록 배치되고 또한 외주 측에서 외장 캔과 접속되는 밀봉 캔을 구비한 편평형 전지는 알려져 있다. 이러한 편평형 전지에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평4-34837호 공보 및 일본 특허공개 소61-233965호 공보에 개시되는 바와 같이, 전지 내부의 기밀성을 유지하고 또한 외장 캔과 밀봉 캔의 전기적인 절연을 확보하기 위하여, 외장 캔과 밀봉 캔의 접속 부분에 수지제의 개스킷을 배치하고 있다.
또, 일본 특허공개 평4-34837호 공보 및 일본 특허공개 소61-233965호 공보에는, 상기 개스킷을 밀봉 캔의 주벽부(周壁部)에 몰드 성형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특히, 일본 특허공개 소61-233965호 공보에는,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밀봉 캔의 주벽부에, 개구단부(開口端部)로부터 평면부까지 연장되도록 개스킷을 몰드 형성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편평형 전지의 경우, 일반적으로, 외장 캔과 밀봉 캔의 접속은, 당해 밀봉 캔의 주벽부에 형성된 단부(段部)에 외장 캔의 개구단부를 감합(嵌合)시킴으로써 행하여진다. 상기 일본 특허공개 평4-34837호 공보 및 일본 특허공개 소61-233965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구성과 같이, 밀봉 캔의 주벽부의 둘레에 수지제의 개스킷을 몰드 성형한 경우, 밀봉 캔의 주벽부의 단부(端部)에 외장 캔의 개구단부를 감합시킬 때에, 당해 밀봉 캔에 몰드 성형된 개스킷에는, 밀봉 캔의 통축 방향으로 압축력이 가하여진다.
그렇게 하면, 상기 일본 특허공개 소61-233965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구성과 같이 밀봉 캔의 내측에 개구단부로부터 평면부까지 연장되도록 개스킷이 몰드 성형된 구성에서는, 개스킷에 가하여지는 압축력에 의해, 밀봉 캔의 평면부 측에 다른 지점보다 얇게 형성된 개스킷의 일부가 밀봉 캔의 내면으로부터 박리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이, 개스킷의 일부가 박리된 경우, 전지의 내부 구조에 따라서는 전극체와 밀봉 캔의 사이에서 단락이 발생하거나, 박리된 개스킷에 의해 전지 내부의 전극체가 손상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여기서, 상기 일본 특허공개 소61-233965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전지에서는, 외장 캔과 감합하는 밀봉 캔의 주벽의 개구단 측이 단순한 판 형상이기 때문에, 비교적, 봉지성(封止性)이 낮고, 감합 시에 생기는 압축력은 작다. 이에 대하여, 편평형 전지의 내용적을 크게 함과 함께 봉지성을 높이기 위하여, 밀봉 캔의 주벽부에 단부(段部)를 형성하여 당해 단부(段部)에 외장 캔의 개구단부를 감합시킨 경우에는, 당해 밀봉 캔의 통축 방향으로 매우 큰 압축력이 가하여진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다른 지점보다 얇게 형성된 개스킷의 일부가 박리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개스킷을 밀봉 캔의 개구단부로부터 평면부까지 연장되도록 몰드 성형한 편평형 전지에 있어서, 당해 개스킷이 밀봉 캔의 내면으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편평형 전지는,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외장 캔과, 당해 외장 캔의 측벽보다 외형이 작은 통부와 당해 통부의 일방의 개구를 막는 평면부를 가지고, 또한, 상기 외장 캔과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당해 외장 캔에 대하여 뒤집어 놓은 접시 형상으로 배치되는 밀봉 캔과, 적어도 당해 밀봉 캔의 내측에, 상기 통부의 개구단부로부터 상기 평면부에 걸쳐 몰드 성형되는 개스킷을 구비하고, 상기 밀봉 캔의 통부에는, 당해 통부의 개구단 측을 단(段) 형상으로 넓히는 단부(段部)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외장 캔은, 그 측벽의 개구단부가 상기 밀봉 캔의 단부(段部)에 감합되어 있고, 상기 개스킷은, 상기 밀봉 캔의 통부의 개구단 측에 있어서의 밀봉 캔 내방(內方) 측의 개스킷의 두께가, 당해 밀봉 캔의 단부(段部)에 있어서의 밀봉 캔 내방 측의 개스킷의 두께보다 작다(제1 구성).
밀봉 캔의 통부에 설치된 단부(段部)에 대하여, 외장 캔의 측벽의 개구단부를 감합시킨 경우, 당해 단부(段部)를 통해 개스킷에 압축 방향의 힘이 가하여지나, 그 힘에 의해 당해 개스킷의 밀봉 캔의 평면부 측이 당해 밀봉 캔의 내면으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상기 서술한 구성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즉, 밀봉 캔의 통부의 내측에 몰드 성형된 개스킷은, 밀봉 캔의 통부의 개구단 측에 있어서의 밀봉 캔 내방 측의 두께가, 당해 밀봉 캔의 단부(段部)에 있어서의 밀봉 캔 내방 측의 두께보다 작기 때문에, 밀봉 캔의 통부의 개구단 측 쪽이 강성이 약하여, 변형되기 쉽다. 이것에 의해, 개스킷이 받는 압축 방향의 힘은, 당해 개스킷에 있어서의 밀봉 캔의 통부의 개구단 측에서 흡수되고, 당해 개스킷에 있어서의 밀봉 캔의 평면부 측에는 거의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개스킷에 있어서의 밀봉 캔의 평면부 측이, 당해 밀봉 캔으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구성에 있어서, 상기 개스킷에는, 그 밀봉 캔 내방 측에 있어서의 상기 단부(段部)와 상기 통부의 개구단 사이에, 당해 통부의 개구단 측에 있어서의 밀봉 캔 내방 측의 개스킷의 두께가, 당해 단부(段部)에 있어서의 밀봉 캔 내방 측의 개스킷의 두께보다 작아지는 것 같은 단차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제2 구성).
이것에 의해, 개스킷에 있어서, 단차부보다 통부의 개구단 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두께가, 당해 단차부보다 밀봉 캔의 단부(段部) 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두께보다 작아진다. 따라서, 상기 서술한 구성에 의해, 상기 제1 구성을 더욱 확실하게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제1 또는 제2 구성에 있어서, 상기 개스킷은, 밀봉 캔 내방 측의 면이, 상기 통부의 개구단을 향할수록 당해 통부에 근접하도록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제3 구성).
이것에 의해, 개스킷을 몰드 성형할 때에, 당해 개스킷의 내측에서 성형형(成形型)을 용이하게 뽑을 수 있어, 몰드 성형 시의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게다가, 외장 캔과 밀봉 캔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내에 구성 부품을 배치하는 경우에, 밀봉 캔의 통부의 개구단 측으로부터, 개스킷의 내방으로 용이하게 구성 부품을 배치할 수 있어, 전지의 조립 작업 시의 작업성의 향상도 도모된다.
상기 제1 내지 제3 구성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밀봉 캔에는, 상기 평면부의 외주연부(外周緣部)에, 당해 평면부와 상기 통부를 곡면으로 연결하기 위한 R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스킷은, 상기 밀봉 캔의 평면부 측이 상기 R부 및 상기 평면부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제4 구성).
밀봉 캔의 통부에 설치된 단부(段部)에 대하여 외장 캔의 측벽의 개구단부를 감합시킨 경우, 당해 단부(段部)를 통해 개스킷에 압축 방향의 힘이 가하여지지만, 그 때에 당해 개스킷의 밀봉 캔의 평면부 측이 당해 밀봉 캔의 내면으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상기 서술한 구성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즉, 밀봉 캔의 통부의 내측에 당해 통부의 개구단부로부터 평면부에 걸쳐 몰드 성형된 개스킷은, 그 평면부 측이, 밀봉 캔의 R부 및 평면부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개스킷의 평면부 측은, 평면부와 밀착되어 있는 부분에 의해, 밀봉 캔 내방으로의 이동이 억제된다. 그 때문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개스킷에 대한 압축 방향의 힘에 의해, 개스킷에 있어서의 밀봉 캔의 평면부 측이 밀봉 캔 내방으로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개스킷에 있어서의 밀봉 캔의 평면부 측이, 당해 밀봉 캔의 내면으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4 구성에 있어서, 상기 밀봉 캔에는, 상기 평면부의 외주연부에, 당해 평면부와 상기 통부를 곡면으로 연결하기 위한 R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스킷은, 상기 밀봉 캔의 평면부 측의 부분이, 상기 R부로부터 당해 밀봉 캔의 평면부까지 이를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제5 구성).
이렇게 함으로써, 개스킷에 있어서의 밀봉 캔의 평면부 측의 부분이, 당해 밀봉 캔으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밀봉 캔의 평면부의 외주 측에는 R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R부에만 개스킷의 단부(端部)가 위치하고 있으면, 당해 단부(端部)가 박리되기 쉽다. 그러나, 상기 서술한 구성과 같이 개스킷의 단부(端部)를 평면부에까지 이를 정도의 두께로 형성함으로써, 당해 단부(端部)를 밀봉 캔으로부터 박리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5의 구성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외장 캔과 상기 밀봉 캔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내에는, 각각 판 형상으로 형성된 정극과 부극을 두께 방향으로 번갈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전극체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제6 구성).
이와 같이 전극체가 정극 및 부극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경우, 밀봉 캔의 내면 상에 몰드 성형된 개스킷의 일부가 박리되면, 전극체와 밀봉 캔의 사이에서 단락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내지 제5 구성을 적용함으로써, 전극체와 밀봉 캔의 사이에서 단락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6의 구성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개스킷은, 상기 외장 캔과 상기 밀봉 캔을 조합한 상태로, 당해 외장 캔의 측벽과 밀봉 캔의 통부 사이에 끼워 넣어지도록, 당해 밀봉 캔의 통부의 외측에 성형되어 있고, 상기 밀봉 캔에 외장 캔을 감합하기 전의 상태로, 상기 통부의 외방이면서 또한 개구단 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두께가, 당해 통부의 외방이면서 또한 상기 단부(段部) 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두께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제7 구성).
밀봉 캔의 통부에 설치된 단부(段部)에 대하여 외장 캔의 측벽의 개구단부를 감합시킨 경우, 당해 단부(段部) 측에 위치하는 개스킷이 밀봉 캔과 외장 캔에 끼워 넣어진다. 이 끼워 넣어진 개스킷이, 밀봉 캔과 외장 캔 사이의 시일 및 절연으로서 기능한다. 한편, 개스킷 중, 밀봉 캔의 통부의 개구단 측에 위치하는 부분은, 밀봉 캔과 외장 캔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지만, 당해 밀봉 캔 및 외장 캔에 압축되는 정도는 다른 부분에 비해 작다.
따라서, 상기 서술한 구성과 같이, 상기 밀봉 캔에 외장 캔을 감합하기 전의 상태의 개스킷에 있어서, 밀봉 캔의 통부의 외방이면서 또한 개구단 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두께를, 당해 밀봉 캔의 통부의 외방이면서 또한 단부(段部) 측에 위치하는 부분보다 작게 함으로써, 개스킷으로서의 기능을 손상시키지 않고 당해 개스킷에 사용하는 수지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제7 구성에 있어서, 상기 개스킷은, 상기 밀봉 캔의 통부의 외측에, 당해 통부의 개구단 측으로부터 상기 단부(段部)에 걸쳐 몰드 성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제8 구성).
이것에 의해, 개스킷을 별도의 부재로서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밀봉 캔의 통부의 개구단 측에 위치하는 개스킷의 두께를 더욱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개스킷에 사용하는 수지량을 더욱 저감시킬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편평형 전지에 의하면, 외장 캔과 밀봉 캔을 감합할 때에, 당해 밀봉 캔에 몰드 성형된 개스킷에 가하여지는 힘을, 당해 개스킷에 있어서의 밀봉 캔의 통부 개구단 측에서 흡수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개스킷의 밀봉 캔의 평면부 측이 당해 밀봉 캔의 내면으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단부(段部)의 밀봉 캔 내방 측의 개스킷의 두께에 비해, 통부의 개구단 측이고 또한 밀봉 캔 내방 측의 개스킷의 두께를 작게 함으로써, 외장 캔과 밀봉 캔을 감합할 때에 생기는 힘을 개스킷의 통부 개구단 측의 부분에서 흡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개스킷의 밀봉 캔 내면으로부터의 박리를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개스킷의 밀봉 캔 내방 측의 면을, 당해 밀봉 캔의 통부의 개구단을 향할수록 당해 통부에 근접하는 테이퍼 형상으로 함으로써, 개스킷 성형 시의 작업성 및 전지의 조립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개스킷에 있어서의 밀봉 캔의 평면부 측을 R부 및 평면부에 접촉시킴으로써, 외장 캔과 밀봉 캔을 감합할 때에 당해 밀봉 캔에 몰드 성형된 개스킷에 힘이 가하여져도, 당해 개스킷에 있어서의 밀봉 캔의 평면부 측이 당해 밀봉 캔의 내면으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개스킷의 평면부 측을, R부로부터 평면부까지 이를 정도의 두께로 함으로써, 개스킷의 밀봉 캔 내면으로부터의 박리를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밀봉 캔에 외장 캔을 감합하기 전의 상태의 개스킷에 있어서, 밀봉 캔의 통부의 외방이면서 또한 개구단 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두께를, 당해 밀봉 캔의 통부의 외방이면서 또한 단부(段部) 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두께보다 작게 함으로써, 개스킷의 기능을 손상시키지 않고 당해 개스킷에 사용하는 수지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개스킷의 제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개스킷을 밀봉 캔의 통부에 몰드 성형함으로써, 당해 개스킷의 두께를 더욱 작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편평형 전지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편평형 전지 내의 전극체의 구조를 단면으로 확대하여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밀봉 캔(정극 캔)의 주벽부의 구조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밀봉 캔(정극 캔)의 R부의 구조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밀봉 캔(정극 캔)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전극체를 구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밀봉 캔(정극 캔)에 코킹하기 전의 외장 캔(부극 캔)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밀봉 캔(정극 캔)에 개스킷을 몰드 성형할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중의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전체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편평형 전지(1)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 편평형 전지(1)는,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의 외장 캔으로서의 부극 캔(10)과, 당해 부극 캔(10)의 개구를 덮는 밀봉 캔으로서의 정극 캔(20)과, 부극 캔(10)의 외주 측과 정극 캔(20)의 외주 측 사이에 배치되는 개스킷(30)과, 부극 캔(10) 및 정극 캔(2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내에 수납되는 전극체(40)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편평형 전지(1)는, 부극 캔(10)과 정극 캔(20)을 맞춤으로써, 전체가 편평한 코인 형상이 된다. 편평형 전지(1)의 부극 캔(10) 및 정극 캔(2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내에는, 전극체(40) 이외에, 비수 전해액(도시 생략)도 봉입되어 있다.
부극 캔(10)은,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고, 프레스 성형에 의해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부극 캔(10)은, 원 형상의 바닥부(11)와, 그 외주에 당해 바닥부(11)와 연속하여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주벽부(12)(측벽)를 구비하고 있다. 이 주벽부(12)는, 종단면에서 보아(도 1에 도시한 상태), 바닥부(11)의 외주단(外周端)으로부터 대략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부극 캔(1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정극 캔(20)과의 사이에 개스킷(30)을 끼운 상태로, 주벽부(12)의 개구단 측이 내측으로 구부러져서, 당해 정극 캔(20)에 대하여 코킹되어 있다. 또한, 부극 캔(10)에는, 프레스 성형에 의해 구부러진 부분[예를 들면, 바닥부(11)와 주벽부(12) 사이의 부분 등]에, 각각, 곡면을 가지는 R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정극 캔(20)도, 부극 캔(10)과 마찬가지로,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고, 프레스 성형에 의해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정극 캔(20)은, 부극 캔(10)의 주벽부(12)보다 외형이 작은 원통 형상의 주벽부(22)(통부)와, 그 일방의 개구를 막는 원 형상의 평면부(21)를 가지고 있다. 이 주벽부(22)도, 부극 캔(10)과 마찬가지로, 종단면에서 보아, 평면부(21)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주벽부(22)에는, 평면부(21) 측의 기단부(基端部)(22a)에 비해 직경이 단 형상으로 커지는 확경부(擴徑部)(22b)가 형성되어 있다. 즉, 주벽부(22)에는, 기단부(22a)와 확경부(22b) 사이에 단부(段部)(22c)가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단부(22c)에 대하여, 부극 캔(10)의 주벽부(12)의 개구단 측이 구부러져서 코킹되어 있다. 즉, 부극 캔(10)은, 그 주벽부(12)의 개구단 측이 정극 캔(20)의 단부(段部)(22a)에 감합되어 있다. 또한, 이 정극 캔(20)도, 프레스 성형에 의해 구부러져 있는 부분[예를 들면, 평면부(21)와 주벽부(22) 사이의 부분이나, 단부(22c) 등]에는, 각각, 곡면을 가지는 R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개스킷(30)은, 폴리프로필렌(PP)으로 이루어진다. 개스킷(30)은, 부극 캔(10)의 주벽부(12)와 정극 캔(20)의 주벽부(22) 사이에 끼워 넣어지도록, 당해 정극 캔(20)의 주벽부(22)에 몰드 성형되어 있다. 개스킷(3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개스킷(30)의 재료로서는, PP에 한하지 않고,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에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를 함유한 수지 조성물이나,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FA), 폴리아미드계 수지 등을 사용해도 된다.
전극체(40)는, 도 2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루 형상의 세퍼레이터(44) 내에 수용된 대략 원판 형상의 정극(41)과, 대략 원판 형상의 부극(46)을 두께 방향으로 번갈아 복수, 적층하여 이루어진다. 이것에 의해, 전극체(40)는, 전체적으로 대략 원기둥 모양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 또, 전극체(40)는, 양 단면이 부극이 되도록, 복수의 정극(41) 및 부극(46)이 적층되어 있다.
정극(41)은, 코발트산 리튬 등의 정극 활물질을 함유하는 정극 활물질층(42)을, 알루미늄 등의 금속박제의 정극 집전체(43)의 양면에 배치한 것이다.
부극(46)은, 흑연 등의 부극 활물질을 함유하는 부극 활물질층(47)을, 구리 등의 금속박제의 부극 집전체(48)의 양면에 각각 배치한 것이다. 대략 원기둥 형상의 전극체(40)의 축 방향 양단에 위치하는 부극은, 각각, 부극 집전체(48, 48)가 전극체(40)의 축 방향 단부(端部)에 위치하도록, 부극 집전체(48)의 일면 측에만 부극 활물질층(47)을 가지고 있다. 즉, 대략 원기둥 형상의 전극체(40)는, 그 양단에 부극 집전체(48, 48)가 노출되어 있다. 이 전극체(40)의 일방의 부극 집전체(48)는, 당해 전극체(40)가 부극 캔(10)과 정극 캔(20)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당해 부극 캔(10)의 바닥부(11)에 맞닿는다. 전극체(40)의 타방의 부극 집전체(48)는, 절연 시트(49)를 통해 정극 캔(20)의 평면부(21) 상에 위치하게 된다.
세퍼레이터(44)는, 평면에서 보아 원 형상으로 형성된 자루 형상의 부재이고, 대략 원판 형상의 정극(41)을 수납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세퍼레이터(44)는, 절연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제의 미다공성 박막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세퍼레이터(44)를 미다공성 박막으로 구성함으로써, 리튬 이온이 당해 세퍼레이터(44)를 투과할 수 있다. 세퍼레이터(44)는, 1매의 장방형 형상의 미다공성 박막의 시트재에 의해 정극(41)을 감싸고, 당해 시트재가 겹쳐 있는 부분을 열 용착 등에 의해 접착함으로써 형성된다.
정극(41)의 정극 집전체(43)에는, 평면에서 보아 당해 정극 집전체(43)의 외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도전성의 정극 리드(51)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이 정극 리드(51)의 정극 집전체(43) 측도, 세퍼레이터(44)에 의해 덮여 있다.
부극(46)의 부극 집전체(48)에는, 평면에서 보아 당해 부극 집전체(48)의 외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도전성의 부극 리드(52)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극(41) 및 부극(46)은, 각 정극(41)의 정극 리드(51)가 일측에 위치하고, 또한, 각 부극(46)의 부극 리드(52)가 당해 정극 리드(51)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도록, 적층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정극(41) 및 부극(46)을 두께 방향으로 적층한 상태로, 복수의 정극 리드(51)는, 선단 측을 두께 방향으로 겹쳐지게 하여, 초음파 용접 등에 의해 정극 캔(20)의 평면부(21)에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정극 리드(51)를 통해 복수의 정극(41)과 정극 캔(20)의 평면부(21)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한편, 복수의 부극 리드(52)도, 선단 측을 두께 방향으로 겹쳐지게 하여 초음파 용접 등에 의해 서로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부극 리드(52)를 통해 복수의 부극(46)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전극체(40)에서는, 정극(41)과 부극 캔(10)의 접촉, 또는, 부극(46)과 정극 캔(20)의 접촉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극 캔(10)의 주벽부(12)보다 내방에 위치되는 정극 캔(20)의 주벽부(22)의 내면에 개스킷(30)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개스킷(30)에 의해, 전극체(40)와 부극 캔(10)의 단락, 및, 전극체(40)와 정극 캔(20)의 단락이 각각 방지된다.
(개스킷의 구성)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스킷(30)은, 정극 캔(20)의 주벽부(22)를 감싸도록 개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개스킷(30)은, 주벽부(22)의 정극 캔 내방 측, 및, 당해 주벽부(22)에 있어서의 단부(22c) 및 확경부(22b)의 각각의 정극 캔 외방 측을 덮도록, 정극 캔(20)에 몰드 성형되어 있다. 즉, 개스킷(30)은, 주벽부(22)의 정극 캔 내방을 덮는 개스킷 내측부(31)와, 당해 주벽부(22)의 외방을 덮는 개스킷 외측부(32)와, 당해 주벽부(22)의 개구단부의 선단을 덮는 개스킷 선단부(33)를 가지고 있다.
도 3에 확대하여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스킷 외측부(32)는, 부극 캔(10)을 정극 캔(20)에 대하여 코킹하기 전의 상태로, 정극 캔(20)의 주벽부(22)의 개구단을 향할수록, 두께가 작아져 있다. 즉, 개스킷 외측부(32)에 있어서의 주벽부(22)의 단부(22c) 측의 두께(도 3 중의 Y)에 비해, 개스킷 외측부(32)에 있어서의 주벽부(22)의 개구단 측의 두께(도 3 중의 X)가 작아져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개스킷(30)의 두께를 그다지 필요로 하고 있지 않은 부분에서는, 두께를 작게 한다. 이것에 의해, 개스킷(30)을 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수지의 양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술한 구성에 의해, 개스킷(30)으로서의 기능을 확보하면서, 당해 개스킷(30)의 제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개스킷 외측부(32)에 있어서의 주벽부(22)의 단부(22c) 측은, 도 1이나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극 캔(20)에 대하여 부극 캔(10)이 코킹되었을 때에, 당해 부극 캔(10)의 주벽부(12)의 개구단부에 의해 압축된다. 이것에 의해, 개스킷 외측부(32)에 있어서의 주벽부(22)의 단부(22c) 측의 부분에 의해, 부극 캔(10)과 정극 캔(20)의 간극이 시일된다. 이에 대하여, 개스킷 외측부(32)에 있어서의 주벽부(22)의 개구단 측은, 부극 캔(10)의 주벽부(12)와 정극 캔(20)의 주벽부(22) 사이에 위치하지만, 당해 부분이 시일로서 기능할 만큼 부극 캔(10)과 정극 캔(20)의 사이에서 압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개스킷 외측부(32)에 있어서의 주벽부(22)의 개구단 측의 두께를, 절연으로서 기능할 정도로 작게 함으로써, 그만큼, 개스킷(30)의 재료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음과 함께, 편평형 전지(1)의 외형 치수가 바뀌지 않으면 전지의 용량 증대도 도모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스킷 선단부(33)는, 정극 캔(20)의 주벽부(22)에 부극 캔(10)의 주벽부(12)가 코킹된 상태로, 당해 정극 캔(20)의 주벽부(22)의 개구단부와 당해 부극 캔(10)의 바닥부(11) 사이에 끼워진다.
따라서, 개스킷 외측부(32)에 있어서의 주벽부(22)의 단부(22c) 측과, 개스킷 선단부(33)가, 정극 캔(20)과 부극 캔(1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외부의 공간에 대하여 격리하는 시일로서 기능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스킷 내측부(31)는, 정극 캔(20)의 평면부(21)의 하면으로부터 당해 정극 캔(20)의 주벽부(22)의 개구단 측에 걸쳐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개스킷 내측부(31)는, 주벽부(22)의 기단부(22a)의 정극 캔 내방에 위치하는 개스킷 상부(31a)와, 당해 주벽부(22)의 단부(22c) 및 확경부(22b)의 정극 캔 내방에 위치하는 개스킷 하부(31b)를 가지고 있다. 또, 개스킷 내측부(31)는, 정극 캔(20)의 주벽부(22)의 개구단 측으로 향할수록, 내경이 커지도록, 즉 내면이 주벽부(22)에 근접하도록, 전체적으로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개스킷 상부(31a)는, 정극 캔(20)의 평면부 측의 단부(端部)가, 평면부(21)와 주벽부(22) 사이의 R부(23)로부터 당해 평면부(21)에 이를 정도의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즉, 개스킷 상부(31a)의 평면부 측의 단부(端部)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R부(23)에 밀착하는 부분 C와, 평면부(21)에 밀착하는 부분 D를 가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정극 캔(20)의 주벽부(22)의 단부(22c)에 대하여 부극 캔(10)의 주벽부(12)를 코킹하였을 때에, 개스킷 하부(31b)가 압축되어서 개스킷 상부(31a)에 정극 캔(20)의 내면으로부터 박리되는 방향의 힘이 가하여진 경우에도, 당해 개스킷 상부(31a)의 평면부(21)와 밀착하고 있는 부분 D가, 당해 개스킷 상부(31a)의 정극 캔 내면으로부터의 박리를 방지한다.
여기서, 이 개스킷 상부(31a)가 R부(23)에밖에 밀착하고 있지 않으면, 당해 개스킷 상부(31a)를, 당해 개스킷 상부(31a)와 정극 캔(20)의 내면의 밀착력에 의해서밖에 유지할 수 없다. 이에 대하여,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개스킷 상부(31a)를 부분 D에서 평면부(21)에도 밀착시킴으로써, 당해 개스킷 상부(31a)와 평면부(21)의 밀착력 및 마찰력에 의해서도 당해 개스킷 상부(31a)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당해 개스킷 상부(31a)가 정극 캔(20)으로부터 박리하도록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스킷 하부(31b)는, 그 내면이, 개스킷 상부(31a)의 내면보다 정극 캔(20)의 직경 방향 외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개스킷 하부(31b)의 개스킷 상부 측에는, 당해 개스킷 하부(31b)의 내면의 직경보다 개스킷 상부(31a)의 내면의 직경이 커지도록 내면 단차부(31c)(단차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내면 단차부(31c)는, 개스킷 상부(31a)로부터 개스킷 하부(31b)를 향하여 점차 내경이 커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내면 단차부(31c)는, 정극 캔(20)의 주벽부(22)의 단부(22c)와 확경부(22b)의 개구단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스킷 하부(31b)에 있어서, 단부(22c)의 정극 캔 내방 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두께(도 3 중의 B)보다, 확경부(22b)의 정극 캔 내방 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두께(도 3 중의 A) 쪽이 작아져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편평형 전지(1)를 제조할 때, 정극 캔(10)의 주벽부(12)의 개구단부를 정극 캔(20)의 단부(22c)에 코킹하였을 때에, 그 코킹에 의해 생기는 압축력을 개스킷 하부(31b)에서 흡수할 수 있다. 즉,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부극 캔(10)을 정극 캔(20)에 코킹하였을 때에, 당해 정극 캔(20)의 단부(22c)에 압축력이 작용하면, 당해 단부(22c)를 통해 개스킷 하부(31b)에도 압축력이 작용한다. 이때, 당해 개스킷 하부(31b)에서는, 단부(22c)의 정극 캔 내방 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실시 형태에서는 내면 단차부(31c)]보다 두께가 작은 부분, 즉 확경부(22b)의 정극 캔 내방 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변형된다. 이것에 의해, 부극 캔(10)과 정극 캔(20)의 감합 시에 개스킷 하부(31b)에 작용하는 힘을, 당해 개스킷 하부(31b)에서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부극 캔(10)을 정극 캔(20)에 코킹하였을 때에 개스킷 하부(31b)에 가하여지는 힘이 개스킷 상부(31a)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개스킷 상부(31a)의 변형에 의한 정극 캔(20)으로부터의 개스킷 상부(31a)의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개스킷 상부(31a)는, 정극 캔(20)의 평면부(21)에도 부착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개스킷 상부(31a)에 정극 캔(20)의 내면으로부터 박리되는 방향의 힘이 작용했다고 해도, 당해 개스킷 상부(31a)와 평면부(21)의 부착력 및 마찰력에 의해, 당해 개스킷 상부(31a)가 정극 캔(20)의 내면으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편평형 전지의 제조 방법)
다음으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편평형 전지(1)의 제조 방법을, 도 5 내지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프레스 성형에 의해, 도 7에 나타내는 부극 캔(10), 및, 도 5에 나타내는 정극 캔(20)을, 각각 형성한다.
한편, 세퍼레이터(44)에 의해 덮인 복수의 판 형상의 정극(41)과, 복수의 판 형상의 부극(46)을 두께 방향으로 적층하여,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대략 원기둥 형상의 전극체(40)를 구성한다. 이때, 전극체(40)의 축 방향의 양 단면에, 각각, 부극 집전체(48)가 노출되도록, 부극 활물질층(47)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상태의 부극을 배치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정극(41)과 부극(46)을 적층한 상태로, 각 부극(46)의 부극 리드(52)를 선단 측에서 겹쳐서 초음파 용접 등에 의해 서로 접속한다. 한편, 각 정극(41)의 정극 리드(51)는, 선단 측에서 서로 겹쳐진 상태로, 이하와 같이 개스킷(30)이 몰드 성형된 정극 캔(20)의 평면부(21)에, 초음파 용접 등에 의해 접속된다.
정극 캔(20)에 개스킷(30)을 몰드 성형하는 모습을,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성형형(61)과, 가동 성형형(62)과, 링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피스톤 가동 성형형(63)을 정극 캔(20)의 외측에 배치하고, 핀(64)을 당해 정극 캔(20)의 내측에 배치한다. 이것에 의해, 이들 성형형(61, 62, 63) 및 핀(64)에 의해, 정극 캔(20)의 주벽부(22)의 주변에 개스킷(30)을 형성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이 공간 내에 외부로부터 수지를 주입하여 경화시킨다.
수지가 경화되어 개스킷(30)이 성형된 후, 먼저, 가동 성형형(62)을 떼어낸다. 그리고, 피스톤 가동 성형형(63)을 핀(64)의 축 방향(도 8 중의 속이 빈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개스킷(30)이 몰드 성형된 정극 캔(20)을 당해 핀(64) 및 고정 성형형(61)으로부터 탈리시킬 수 있다.
여기서, 고정 성형형(61)은, 개스킷 외측부(32)의 외주면을 성형하는 부분이, 정극 캔(20)의 주벽부(22)의 단부(22c)를 향하여 점차 내경이 커지는 것 같은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피스톤 가동 성형형(63)에 의해 개스킷 선단부(33)를 누른 경우에, 고정 성형형(61)으로부터 정극 캔(20)을 용이하게 탈리시킬 수 있다.
또, 핀(64)의 외표면에는, 개스킷 내측부(31)의 내면 단차부(31c)에 대응하는 단차부(64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핀(64)은, 개스킷 내측부(31)의 내경이 정극 캔(20)의 주벽부(22)의 개구단을 향하여 점차 커지도록, 선단을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핀(64)으로부터 정극 캔(20)을 원활하게 탈리시킬 수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하여 개스킷(30)이 몰드 성형된 정극 캔(20)을, 평면부(21)가 하측이 되도록 배치하고, 당해 평면부(21)에, 각 정극(41)의 정극 리드(51)를, 겹친 상태로 초음파 용접 등에 의해 접속한다. 그 후, 당해 정극 캔(20)의 내측에, 비수 전해액을 주입한다. 그리고, 정극 캔(20)의 개구를 덮도록 부극 캔(10)을 씌운다. 그 후, 부극 캔(10)의 주벽부(12)의 개구단부를, 정극 캔(20)의 주벽부(22)의 단부(22c)에서 내방으로 구부려서 코킹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서술한 구성의 편평형 전지(1)가 얻어진다. 여기서, 비수 전해액은, 예를 들면, 에틸렌카보네이트와 메틸에틸카보네이트를 혼합한 용매에, LiPF6을 용해시킴으로써 얻어진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부극 캔(10)의 주벽부(12)의 개구단부를 정극 캔(20)의 주벽부(22)의 단부(22c)에 대하여 코킹 가공할 때에, 당해 단부(22c)에는 큰 힘이 가하여진다. 그 때문에, 당해 단부(22c)를 통해 개스킷 하부(31b)에 큰 압축력이 가하여진다. 그러나, 이 개스킷 하부(31b)는,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정극 캔(20)의 단부(22c)의 정극 캔 내방 측 부분의 두께(도 3 중의 B)보다, 확경부(22b)의 개구단부의 정극 캔 내방 측 부분의 두께(도 3 중의 A) 쪽이 작기 때문에, 이 두께가 작은 부분이 변형되어 상기 압축력을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개스킷 하부(31b)가 압축되었을 때에, 개스킷 상부(31a)에 힘이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당해 개스킷 상부(31a)가 정극 캔(20)의 내면으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개스킷 상부(31a)에 있어서의 정극 캔(20)의 평면부 측은, R부(23)뿐만 아니라, 평면부(21)의 평면 부분까지 이를 정도의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개스킷 상부(31a)에, 정극 캔(20)의 주벽부(22)로부터 이간시키는 힘이 작용한 경우에도, 당해 개스킷 상부(31a)와 평면부(21)의 평면 부분의 부착력이나 마찰력에 의해, 당해 개스킷 상부(31a)가 정극 캔(20)의 내면으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R부(23)에만 개스킷 상부(31a)가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개스킷 상부(31a)가 정극 캔(20)의 내면으로부터 박리되기 어려워진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전극체(40)의 정극(41)이 세퍼레이터(44)에 의해 덮여 있는 한편, 부극(46)이 노출되어 있는 구성에 있어서, 밀봉 캔이 정극 캔(20)으로서 기능하고 있는 경우에는, 당해 정극 캔(20)의 내면에 설치된 개스킷 상부(31a)가 박리되면, 당해 정극 캔(20)과 부극(46) 사이에서 단락이 생길 가능성이 높다.
이에 대하여,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개스킷(30)의 구성을, 개스킷 상부(31a)가 정극 캔(20)의 내면으로부터 박리되기 어려워질만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정극 캔(20)과 전극체(40)의 사이에서 단락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개스킷 상부(31a)를 정극 캔(20)의 내면으로부터 박리되기 어렵게 함으로써, 박리된 개스킷 상부(31a)에 의해 전극체(40)가 손상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부극 캔(10)을 정극 캔(20)에 대하여 코킹하기 전의 상태의 개스킷 외측부(32)에 있어서, 정극 캔(20)의 주벽부(22)의 개구단 측의 부분의 두께가, 당해 주벽부(22)의 단부(22c) 측의 부분의 두께에 비해 작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개스킷(30)의 두께를 그다지 필요로 하고 있지 않은 부분에서는, 두께를 작게 한다. 이것에 의해, 개스킷(30)을 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수지의 양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술한 구성에 의해, 개스킷(30)으로서의 기능을 확보하면서, 당해 개스킷(30)의 제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개스킷 내측부(31)의 개스킷 하부(31b)에 있어서, 정극 캔(20)의 단부(22c)의 정극 캔 내방 측 부분의 두께(도 3 중의 B)보다, 확경부(22b)의 개구단부의 정극 캔 내방 측 부분의 두께(도 3 중의 A) 쪽이 작다. 이것에 의해, 개스킷 내측부(31)를 구성하는 수지의 양을 더욱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개스킷 내측부(31)의 내면을, 내경이 주벽부(22)의 개구단 측을 향하여 점차 커지는 것 같은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개스킷(31)을 구성하는 수지의 양을 더욱 저감시킬 수 있다.
(그 밖의 실시 형태)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는데, 상기 서술한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예시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서술한 실시 형태를 적절히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개스킷 상부(31a)에 있어서의 정극 캔(20)의 평면부 측을, R부(23)로부터 평면부(21)의 평면 부분에까지 이를 정도의 두께로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개스킷 상부(31a)에 있어서의 정극 캔(20)의 평면부 측을, R부(23)를 덮는 정도의 두께로 형성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전극체(40)를, 복수의 정극(41) 및 부극(46)을 번갈아 적층한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전극체의 구성은 이것 이외의 구성이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부극 캔(10)을 외장 캔으로 하고 있고, 정극 캔(20)을 밀봉 캔으로 하고 있지만, 반대로 부극 캔이 밀봉 캔이고, 정극 캔이 외장 캔이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부극 캔(10) 및 정극 캔(20)을, 각각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하고, 편평형 전지(1)를 코인 형상으로 형성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편평형 전지를, 다각기둥 형상 등, 원기둥 형상 이외의 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밀봉 캔으로서의 정극 캔에 스테인리스를 사용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판 형상의 알루미늄과 판 형상의 스테인리스를 겹쳐서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클래드재를 사용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정극 캔의 내면 측에 알루미늄을 위치시키도록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정극 캔의 내면의 알루미늄에 대하여 알루미늄제의 정극 리드(51)를 접합할 수 있다. 게다가, 정극 캔은, 주벽부가 부극 캔의 주벽부에 덮이기 때문에, 당해 정극 캔의 내면 측에 위치하는 알루미늄이 노출하여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편평형 전지는, 개스킷이 밀봉 캔에 몰드 성형된 편평형 전지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8)

  1.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외장 캔과,
    상기 외장 캔의 측벽보다 외형이 작은 통부와 당해 통부의 일방의 개구를 막는 평면부를 가지고, 또한, 상기 외장 캔과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당해 외장 캔에 대하여 뒤집어 놓은 접시 형상으로 배치되는 밀봉 캔과,
    적어도 상기 밀봉 캔의 내측에, 상기 통부의 개구단부(開口端部)로부터 상기 평면부에 걸쳐 몰드 성형되는 개스킷을 구비하고,
    상기 밀봉 캔의 통부에는, 당해 통부의 개구단 측을 단(段) 형상으로 넓히는 단부(段部)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외장 캔은, 그 측벽의 개구단부가 상기 밀봉 캔의 단부(段部)에 감합되어 있고,
    상기 개스킷은, 상기 밀봉 캔의 통부의 개구단 측에 있어서의 밀봉 캔 내방(內方) 측의 개스킷의 두께가, 당해 밀봉 캔의 단부(段部)에 있어서의 밀봉 캔 내방 측의 개스킷의 두께보다 작은, 편평형 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스킷에는, 그 밀봉 캔 내방 측에 있어서의 상기 단부(段部)와 상기 통부의 개구단 사이에, 당해 통부의 개구단 측에 있어서의 밀봉 캔 내방 측의 개스킷의 두께가, 당해 단부(段部)에 있어서의 밀봉 캔 내방 측의 개스킷의 두께보다 작아지는 것 같은 단차부가 설치되어 있는, 편평형 전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스킷은, 밀봉 캔 내방 측의 면이, 상기 통부의 개구단을 향할수록 당해 통부에 근접하도록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편평형 전지.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캔에는, 상기 평면부의 외주연부(外周緣部)에, 당해 평면부와 상기 통부를 곡면으로 연결하기 위한 R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스킷은, 상기 밀봉 캔의 평면부 측이 상기 R부 및 상기 평면부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편평형 전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스킷은, 상기 밀봉 캔의 평면부 측이, 상기 R부로부터 당해 밀봉 캔의 평면부까지 이를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편평형 전지.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 캔과 상기 밀봉 캔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내에는, 각각 판 형상으로 형성된 정극과 부극을 두께 방향으로 번갈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전극체가 배치되는, 편평형 전지.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스킷은,
    상기 외장 캔과 상기 밀봉 캔을 조합한 상태로, 당해 외장 캔의 측벽과 밀봉 캔의 통부 사이에 끼워 넣어지도록, 당해 밀봉 캔의 통부의 외측에 성형되어 있고,
    상기 밀봉 캔에 외장 캔을 감합하기 전의 상태로, 상기 통부의 외방이면서 또한 개구단 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두께가, 당해 통부의 외방이면서 또한 상기 단부(段部) 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두께보다 작은, 편평형 전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개스킷은, 상기 밀봉 캔의 통부의 외측에, 당해 통부의 개구단 측으로부터 상기 단부(段部)에 걸쳐 몰드 성형되어 있는, 편평형 전지.
KR1020127014556A 2010-03-09 2010-09-13 편평형 전지 KR1012902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52215 2010-03-09
JP2010052215A JP5486356B2 (ja) 2010-03-09 2010-03-09 扁平形電池
JPJP-P-2010-055511 2010-03-12
JP2010055511A JP5547522B2 (ja) 2010-03-12 2010-03-12 扁平形電池
JP2010055646A JP5547523B2 (ja) 2010-03-12 2010-03-12 扁平形電池
JPJP-P-2010-055646 2010-03-12
PCT/JP2010/065741 WO2011111255A1 (ja) 2010-03-09 2010-09-13 扁平形電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4489A KR20130014489A (ko) 2013-02-07
KR101290223B1 true KR101290223B1 (ko) 2013-07-30

Family

ID=44563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4556A KR101290223B1 (ko) 2010-03-09 2010-09-13 편평형 전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679672B2 (ko)
EP (1) EP2533324B1 (ko)
KR (1) KR101290223B1 (ko)
CN (1) CN102792482B (ko)
WO (1) WO20111112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99938B2 (ja) * 2012-01-12 2016-04-0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二次電池の製造方法、二次電池
EP2874200B1 (en) * 2012-07-13 2017-08-16 Hitachi Maxell, Ltd. Flat battery
JP6045830B2 (ja) * 2012-07-13 2016-12-14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扁平形電池
JP6045848B2 (ja) * 2012-08-13 2016-12-14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扁平形電池
US20170069940A1 (en) * 2014-03-06 2017-03-09 Unicell Llc Battery cells and arrangements
CN106601960B (zh) * 2016-12-30 2023-10-13 重庆市紫建电子有限公司 一种纽扣电池及其制造方法
CN109713171B (zh) * 2017-10-25 2021-08-10 龙岩高格微扣科技有限公司 高容量小型纽扣式锂电池内壳与绝缘膜固定加工方法
KR20210077676A (ko) 2018-09-11 2021-06-25 에너자이저 브랜즈, 엘엘씨 슬롯형 그로밋을 갖춘 보청기 배터리
US11641044B1 (en) 2020-04-14 2023-05-02 Energizer Brands, Llc Battery housing and systems and methods of making thereof
DE102020206240A1 (de) 2020-05-18 2021-11-18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Batteriegehäuse für eine Hochvoltbatteri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8674A (ja) * 2003-07-18 2005-02-10 Toshiba Battery Co Ltd 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2008078158A (ja) * 2007-12-08 2008-04-03 Hitachi Maxell Ltd コイン形電池
JP2008198552A (ja) * 2007-02-15 2008-08-28 Seiko Instruments Inc コイン型電気化学セル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33965A (ja) 1985-04-10 1986-10-18 Sanyo Electric Co Ltd 密閉式電池
JPS61233964A (ja) 1985-04-10 1986-10-18 Sanyo Electric Co Ltd 密閉式電池
JPH0434837A (ja) 1990-05-30 1992-02-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密閉電池
JPH04341756A (ja) 1991-05-16 1992-11-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密閉形電池の製造法
JPH05325925A (ja) 1992-05-26 1993-12-10 Kanebo Ltd 有機電解質電池
JP2002056827A (ja) * 2000-08-09 2002-02-22 Seiko Instruments Inc 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2007213957A (ja) 2006-02-09 2007-08-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池
JP2008071612A (ja) 2006-09-14 2008-03-27 Hitachi Maxell Ltd 扁平形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5294248B2 (ja) * 2007-03-20 2013-09-18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扁平形電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8674A (ja) * 2003-07-18 2005-02-10 Toshiba Battery Co Ltd 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2008198552A (ja) * 2007-02-15 2008-08-28 Seiko Instruments Inc コイン型電気化学セル
JP2008078158A (ja) * 2007-12-08 2008-04-03 Hitachi Maxell Ltd コイン形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11255A1 (ja) 2011-09-15
US20120321939A1 (en) 2012-12-20
CN102792482B (zh) 2016-06-29
US8679672B2 (en) 2014-03-25
EP2533324A1 (en) 2012-12-12
EP2533324B1 (en) 2017-04-12
CN102792482A (zh) 2012-11-21
EP2533324A4 (en) 2014-03-26
KR20130014489A (ko) 2013-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0223B1 (ko) 편평형 전지
JP3805275B2 (ja) 電池および電池モジュール
KR101318824B1 (ko) 적층형 전지
KR102131171B1 (ko) 밀폐형 전지 및 밀폐형 전지의 제조 방법
JP6427460B2 (ja) 角形二次電池
JP6833771B2 (ja) 蓄電モジュール
JPWO2019194253A1 (ja) 電池
JP2012234785A (ja) 密閉型電池およびその封口体
WO2014010413A1 (ja) 扁平形電池
JP5679271B2 (ja) 電極端子付き電池蓋、電極端子付き電池蓋の製造方法および密閉型電池
JP5486356B2 (ja) 扁平形電池
JP5650567B2 (ja) 扁平形電池及び封口缶
JP2020140773A (ja) 蓄電モジュール
JP6045830B2 (ja) 扁平形電池
JP5547523B2 (ja) 扁平形電池
JP5547522B2 (ja) 扁平形電池
JP6045799B2 (ja) 扁平形電池
WO2019194288A1 (ja) 蓄電モジュール
WO2016072438A1 (ja) 扁平形電池およびその組み立て用部材
JP6045848B2 (ja) 扁平形電池
JP6286195B2 (ja) 扁平形電池の封口缶、封口缶の製造方法、及び扁平形電池
JP7172904B2 (ja) 蓄電モジュール及び蓄電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7056464B2 (ja) 蓄電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及び蓄電モジュール
JP2014120449A (ja) 扁平形電池
JP6122263B2 (ja) 扁平形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