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9126B1 - 확관율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확관율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9126B1
KR101289126B1 KR1020110143890A KR20110143890A KR101289126B1 KR 101289126 B1 KR101289126 B1 KR 101289126B1 KR 1020110143890 A KR1020110143890 A KR 1020110143890A KR 20110143890 A KR20110143890 A KR 20110143890A KR 101289126 B1 KR101289126 B1 KR 101289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ansion
deformation
pipe
pipe member
displa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3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5500A (ko
Inventor
김청하
이경
엄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10143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9126B1/ko
Publication of KR20130075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5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9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9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mechanical strain gau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1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investigating the properties, e.g. the weldability, of materials
    • B23K31/125Weld quality monito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37Measuring of dimensions of wel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5/00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 G01M5/0033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by determining damage, crack or wea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9/00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 G01N19/08Detecting presence of flaws or irregularities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관율 측정장치는 상부프레스 또는 하부프레스 중 어느 하나가 승강 가능하게 제공된 압착유닛; 상기 하부프레스에 안착되고, 상기 압착유닛에 연계하여 상부에 삽입되는 관부재의 하부를 확관시키도록 단면경이 확대되는 확관유도부; 및 상기 확관유도부에 의해 확관되는 관부재의 변형량을 측정하는 변형량 측정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확관율 측정장치 {PIPE EXPENDING RATE MEASURE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용접에 의해 제작된 관부재의 확관 시험시 발생하는 변화량을 측정하여 용접품질을 시험하는 확관율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구경의 관부재는 판상 부재를 원형으로 말아 접하는 부분이 용접되어 관의 형태로 제조된다.
이와 같이 용접에 의해 제조된 관부재, 일례로 강관은 용접 상태 또는 품질의 평가를 통해 용접에 대한 신뢰성을 확인한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강관을 확관하는 시험공정을 실시하고,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변화량을 측정하는 변화량 측정장치가 사용된다.
이러한 강관은 용도 또는 강도에 따라 정해진 확관율까지 확관시 강관에 균열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 요구된다.
한국공업규격(KS) 등의 각종 규격에서 용접강관의 품질에 대한 지표로써, 프레스의 이동에 의한 원뿔형태의 코어(CORE)를 용접강관에 삽입/압축하고, 변화된 직경 변화량을 확관율로 정의한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의 강관 변형량 측정장치(10)는 하부프레스(23)와, 그 상부에 위치되는 상부프레스(21)를 구비한 압착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하부프레스(23)의 상면에는 확관유도부가 제공된다. 일례로, 확관유도부는 절두원추형(截頭圓錐形)의 코어(CORE)(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부프레스(21)는 고정식이고, 하부프레스(23)는 가동식으로 제공되어 승강 가능토록 제공된다.
이러한 변형량 측정장치(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40)에 강관(50)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하부프레스(23)를 승강하면, 강관(50)이 상부프레스(21) 및 코어(40) 사이에서 가압되며 코어(40)에 위치된 부분, 즉 확관부(50a)가 확장된다.
이러한 강관(50)의 확관율의 측정은 확관부(50a)에 균열이 발생한 용접강관을 이용하여 변형량을 측정하는 직접측정방식이 사용되거나, 강관(50)의 확관부(50a)에 균열이 발생한 시점에서의 상, 하부프레스(21, 23)의 이동거리와 코어(40)의 꼭지각을 이용 간접적으로 확관율을 계산하는 간접측정방식이 주로 사용된다.
그런데, 종래의 확관율 직접측정방식은 강관(50)의 균열발생과 함께 진행된 변형으로 인해 정확한 확관율의 측정이 어렵고, 확관율 간접측정방식은 치구 삽입에 의한 강관(50) 직경 변화뿐만 아니라, 상, 하부프레스(21, 23)의 압축에 의한 강관(50) 수직방향의 길이변화와 확관부(50a)의 두께 변화로 인해 실제 확관율 대비 과대하게 평가되고 있다.
최근에는 사용자의 용접에 의해 제조된 강판(50)에 대한 신뢰성 및 품질 향상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소재의 개발 측면에서는 확관 중 재료의 변형거동 및 확관의 변형모드 등의 분석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특정 확관율에서의 소재의 변동 및 변형량 분석이 필요하나 특정 확관율까지의 관부재를 확관시키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강관(50)의 확관율을 맞추기 위해서는 가공특성에서 중요한 인자 중의 하나인 확관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해야 하나, 실질적으로 확관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용접된 관부재의 확관율을 직접 측정할 수 있도록 개선되고, 확관량을 실시간으로 알 수 있도록 하여 특정 확관율의 측정이 가능하며, 확관율을 특정하는 과정에서 일정한 확관 속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변화량의 연속적인 측정이 가능하도록 한 확관율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관율 측정장치는 상부프레스 또는 하부프레스 중 어느 하나가 승강 가능하게 제공된 압착유닛; 상기 하부프레스에 안착되고, 상기 압착유닛에 연계하여 상부에 삽입되는 관부재의 하부를 확관시키도록 단면경이 확대되는 확관유도부; 및 상기 확관유도부에 의해 확관되는 관부재의 변형량을 측정하는 변형량 측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변형량 측정유닛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제공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제공되어 상기 관부재의 외측에 밀착되어 상기 관부재의 확관에 의해 벌어지는 변위이동부와, 상기 변위이동부의 벌어진 변위를 측정하도록 제공된 변위측정기를 포함하고, 상기 변위이동부는 상기 지지부에 제공되며 상기 관부재의 폭방향으로 연장된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의 양측에 이동가능하게 제공된 한 쌍의 이동플레이트와, 상기 이동플레이트에 각각 제공되며 상기 관부재의 변형부 양측에 밀착되어 상기 관부재의 변형에 따라 상기 이동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변형전달봉을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변형전달봉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관부재의 외측 및 저면부가 밀착되도록 제공된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형전달봉은 상기 확관유도부와 대응하게 경사지게 제공된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형전달봉의 양측을 상기 관부재의 변형부에 밀착시키는 밀착유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말착유지부재는 상기 변형전달봉의 양측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 또는 탄성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유지부재는 상기 변형전달봉의 양측에 구비된 자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형전달봉이 상기 관부재의 저면에 탄성가압되도록 상기 레일부를 상기 지지부에 대해 탄성결합하는 탄성연결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연결유닛은,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브래킷과, 상기 레일부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제1브래킷에 상, 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2브래킷과, 상기 제1브래킷과 상기 제2브래킷 사이에 제공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위측정기는 상기 변위이동부 중 어느 한 쪽에 연계된 측정실린더와, 상기 측정실린더에 신축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변위이동부 중 다른 한쪽에 연계되는 가동로드와, 상기 측정실린더에 측정되는 상기 가동로드의 변위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관부재의 확관율을 측정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다 정밀한 측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시험을 통해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용접에 의해 제조된 관부재의 품질특성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우수한 강관용 소재개발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관부재의 확관율을 측정하는 과정이 간단하고, 자동으로 측정이 가능하므로, 측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시험간에 편차가 발생하지 않으며 안정적인 시험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확관율 측정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확관율 측정장치를 이용한 확관율 측정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관율 측정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관율 측정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관율 측정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관율 측정장치에 관부재가 장착된 상태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관율 측정장치에 관부재가 장착된 상태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관율 측정장치를 이용한 확관율 측정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관율 측정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관율 측정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관율 측정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관율 측정장치에 관부재가 장착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관율 측정장치에 관부재가 장착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확관율 측정장치(100)는 상부프레스(210), 하부프레스(230)를 포함하는 압착유닛(200)과, 확관유도부(300)와, 변형량 측정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확관율 측정장치(100)는, 상부프레스(210) 및 상부프레스(210)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프레스(230)를 구비하는 압착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압착유닛(200)은 상부프레스(210) 또는 하부프레스(230) 중 적어도 하나를 승강시키며 상부프레스(210)와 하부프레스(230) 사이에 위치되는 소재를 가압할 수 있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 하부프레스(230)는 유압 또는 공압 등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하부프레스(230)의 하부에 실린더(250)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부프레스(210)는 하부프레스(230)의 상부에 고정형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부프레스(230)의 승강시 소재의 압착에 대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부프레스(210)는 하부프레스(230)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가이드부재(270)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하부프레스(230)의 상부에는 소재, 일례로 관부재(500)를 확관하기 위한 확관유도부(300)가 안착될 수 있다.
확관유도부(300)는 상부는 관부재(500)의 하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시험하고자 하는 관부재(500)의 내경보다 단면경이 작고, 하방향로 갈수록 단면경이 확대되는 콘(corn) 형상 또는 상부가 잘린 절두원추형(截頭圓錘形)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확관유도부(300)의 상부에는 확관율을 측정하고자 하는 관부재(500)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관부재(500)는 확관유도부(300)에 삽입된 상태에서 하부프레스(230)가 상승함에 따라, 상부는 상부프레스(230)에 의해 지지되고, 하부는 확관유도부(300)에 삽입되며 확관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확관율 측정장치(100)는 이와 같이 확관유도부(300)에 의해 확관이 이루어지는 관부재(500)의 변형량을 측정하기 위한 변형량 측정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변형량 측정유닛(400)은 프레임(110)의 일측에 제공될 수 있다. 프레임(110)은 압착유닛(200)과 작업면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변형량 측정유닛(40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제공되는 지지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지지부(410)는 프레임(110)의 일측에 결합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410)에는 관부재(500)의 외측에 밀착되어 관부재(500)의 확관에 의한 벌어지는 한 쌍의 변위이동부(420)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변위이동부(420)에는 변위측정기(430)가 연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관부재(500)의 확관시 발생하는 변형량을 감지하여 관부재(500)의 확관율을 알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변위이동부(420)는 지지부(410)에 제공된 레일부(4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레일부(422)는 중앙부가 제2브래킷(412)을 매개로 지지부(410)에 결합되며, 양측이 관부재(500)의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레일부(422)에는 지지부(410)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제공된 한 쌍의 이동플레이트(424)가 제공될 수 있다.
이동플레이트(424)는 제1부재(424a)와, 제1부재(424a)에 결합되며 레일부(422)를 감싸도록 제공된 제2부재(424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부재(424a)는 평판으로 제공될 수 있고, 제2부재(424b)는 대략 'ㄷ'자 형태로 이루어져 레일부(422)를 개재한 상태로 제1부재(424a)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이동플레이트(424)에는 관부재(500)의 변형부 양측에 밀착되어 관부재(500)의 변형에 따라 이동플레이트(424)를 이동시키는 변형전달봉(426)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이동플레이트(424)의 일측, 일례로 제1부재(424a)의 하부에는 변형전달봉(426)이 체결되는 체결구(425)가 장공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변형전달봉(426)이 체결구(425)에 체결된 위치를 조절하여 다양한 직경의 관부재(500)의 외경에 대응되도록 할 수 있다. 변형전달봉(426)은 체결구(425)에 삽입된 상태에서 양측으로 조여지는 볼트 부재에 의해 고정 유지될 수 있다.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 파이프(500)는 확관시험 과정에서 외측으로 팽창함과 동시에 확관유도부(300) 방향으로 더 깊이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변형전달봉(426)은 파이프(500)의 변형에 대응하여 파이프(500)의 외측, 즉 외경방향으로의 확장 및 파이프(500)의 삽입측, 즉 길이방향의 변형을 감지하도록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변형전달봉(426)은 관부재(500)의 외측 및 저면부가 밀착되도록 제공된 홈부(427)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홈부(427)는 변형전달봉(426)의 일측에 관부재(500)의 하단부와 대응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홈부(427)는 관부재(500)의 외경에 밀착되는 수직면(427a)과, 관부재(500)의 저면에 밀착하는 수평면(427b)을 가질 수 있다.
한편, 관부재(500)의 두께가 얇을 경우, 변형전달봉(426)이 확관유도부(300)에 닿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변형전달봉(426)의 일측은 확관유도부(300)와 대응하게 경사진 경사면(426a)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변형전달봉(426)은 관부재(300)의 변형부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밀착유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 밀착유지부재는 변형전달봉(426)의 양측에 연결되는 스프링(428)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밀착유지부재는 스프링(428)의 탄성력에 의해 관부재(300)의 변형부 양측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밀착유지부재는 스프링(428)으로 제공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밀착유지부재는 변형전달봉(426)을 관부재의 변형부에 밀착시키기 위한 다양한 수단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밀착유지부재는 고무밴드와 같은 탄성부재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밀착유지부재는 자력에 의해 관부재의 외측에 부착되도록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 변형전달봉(426)의 일측에는 자성체가 더 설치될 수 있으며, 관부재(426)와 접촉되는 부분이 자성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레일(422)은 지지부(410)에 탄성적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관부재(500)는 가압됨에 따라 변형이 발생하며 확관유도부(300)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변형량 측정유닛(400)은 관부재(300)의 저면에 밀착된 변형전달봉(426)을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레일부(422)는 지지부(410)에 대해 탄성연결유닛을 매개로 결합되며, 이에 따라 관부재(300)가 하측으로 이동시 변형전달봉(426)이 탄성연결유닛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 탄성연결유닛은 지지부(410) 상부의 제1브래킷(411)에 제공된 스프링(414)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스프링(414)은 레일부(422)가 결합된 제2브래킷(412)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관부재(500)가 하측으로 이동시 변형전달봉(426)이 브래킷(412) 및 이에 연계된 변위이동부(420)를 하강시키며 탄성 변형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확관율 측정장치(100)에는 변위이동부(420)에 발생된 변위를 측정하기 위한 변위측정기(430)가 제공될 수 있다.
변위측정기(430)는 변위이동부(420) 중 어느 한 쪽에 측정실린더(432)가 제공되고, 이 측정실린더(432)에 신축가능하게 제공된 가동로드(434)는 다른 한 쪽의 변위이동부(4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측정실린더(432)는 관부재(300)가 확관되는 과정에서 양측으로 벌어지는 변위이동부(420)에 발생된 변위를 측정하여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으며, 제어부는 이러한 신호를 디스플레이장치 또는 인쇄매체 등의 표시부를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 변위측정기(430)는 포텐션미터(potentiometer)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에는 미리 측정하고자 하는 확관율이 설정될 수 있으며, 변위측정기(430)에 측정된 확관율이 설정된 값에 도달하면, 하부프레스(230)의 작동을 멈추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특정 확관율이 발생한 상태의 관부재(300) 상태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확관율 측정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관율 측정장치를 이용한 확관율 측정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먼저, 하부프레스(430)에 안착된 확관유도부(300)에 시험하고자 하는 관부재(500)를 장착한다.
그리고, 변형전달봉(426)이 관부재(500)의 하부 양측에 밀착되도록 변위이동부(420)의 위치를 조절한다.
이때, 변위측정기(430)는 변위이동부(420)의 초기 위치를 측정하여 기준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확관율 측정장치(100)의 세팅이 완료되면, 하부프레스(430)를 일정한 속도로 상승시킨다.
이에 따라 확관유도부(300)에 장착된 관부재(500)는 상부프레스(210)에 접촉한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가압이 이루어지면, 이에 의해 관부재(500)의 하부에 변형에 의해 확관된 확관부(500a)가 형성된다.
이때, 변형전달봉(426)은 관부재(500)의 확관에 의해 형성되는 확관부(500a)에 의해 양측으로 벌어지게 되고, 이에 연계하여 변위이동부(420)가 레일(422)을 따라 양측으로 벌어진다.
그리고, 변위측정부(430)는 측정실린더(432)에 제공된 가동로드(434)가 변위이동부(420)의 벌어짐에 따라 팽창하며 이동변위에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하고, 이 신호는 제어부를 통해 표시부에 실시간으로 표시된다.
한편, 확관율 측정장치(100)에서 관부재(500)의 확관시험이 완료되면, 관부재(500)의 최종 확관율이 표시부에 표시된다.
그리고, 하부프레스(230)를 하강하여 시험이 완료된 관부재(500)를 확관유도부(300)로부터 탈거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00: 확관율 측정장치 110: 프레임
200: 압착유닛 210: 상부프레스
230: 하부프레스 250: 실린더
270: 가이드부재 300: 확관유도부
400: 변형량 측정유닛 410: 지지부
412: 제2브래킷 414: 스프링(탄성연결부재)
420: 변위이동부 422: 레일부
424: 이동플레이트 424a: 제1부재
424b: 제2부재 425: 체결구
426: 변형전달봉 427: 홈부
428: 스프링 430: 변위측정기
432: 측정실린더 434: 가동로드
500: 관부재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상부프레스 또는 하부프레스 중 어느 하나가 승강 가능하게 제공된 압착유닛;
    상기 하부프레스에 안착되고, 상기 압착유닛에 연계하여 상부에 삽입되는 관부재의 하부를 확관시키도록 단면경이 확대되는 확관유도부; 및
    상기 확관유도부에 의해 확관되는 관부재의 변형량을 측정하는 변형량 측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변형량 측정유닛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제공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제공되어 상기 관부재의 외측에 밀착되어 상기 관부재의 확관에 의해 벌어지는 변위이동부와, 상기 변위이동부의 벌어진 변위를 측정하도록 제공된 변위측정기를 포함하고,
    상기 변위이동부는 상기 지지부에 제공되며 상기 관부재의 폭방향으로 연장된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의 양측에 이동가능하게 제공된 한 쌍의 이동플레이트와, 상기 이동플레이트에 각각 제공되며 상기 관부재의 변형부 양측에 밀착되어 상기 관부재의 변형에 따라 상기 이동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변형전달봉을 포함하는 확관율 측정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변형전달봉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관부재의 외측 및 저면부가 밀착되도록 제공된 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관율 측정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변형전달봉은 상기 확관유도부와 대응하게 경사지게 제공된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관율 측정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변형전달봉의 양측을 상기 관부재의 변형부에 밀착시키는 밀착유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관율 측정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밀착유지부재는 상기 변형전달봉의 양측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 또는 탄성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관율 측정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밀착유지부재는 상기 변형전달봉의 양측에 구비된 자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관율 측정장치.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변형전달봉이 상기 관부재의 저면에 탄성가압되도록 상기 레일부를 상기 지지부에 대해 탄성결합하는 탄성연결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관율 측정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탄성연결유닛은,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브래킷과,
    상기 레일부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제1브래킷에 상, 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2브래킷과,
    상기 제1브래킷과 상기 제2브래킷 사이에 제공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관율 측정장치.
  11.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변위측정기는
    상기 변위이동부 중 어느 한 쪽에 연계된 측정실린더와,
    상기 측정실린더에 신축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변위이동부 중 다른 한쪽에 연계되는 가동로드와,
    상기 측정실린더에 측정되는 상기 가동로드의 변위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관율 측정장치.
KR1020110143890A 2011-12-27 2011-12-27 확관율 측정장치 KR101289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3890A KR101289126B1 (ko) 2011-12-27 2011-12-27 확관율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3890A KR101289126B1 (ko) 2011-12-27 2011-12-27 확관율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5500A KR20130075500A (ko) 2013-07-05
KR101289126B1 true KR101289126B1 (ko) 2013-08-07

Family

ID=48989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3890A KR101289126B1 (ko) 2011-12-27 2011-12-27 확관율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91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5770B1 (ko) * 2018-05-08 2020-01-13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Wh형 골격체 벌지툴 피로 시험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1318Y1 (ko) * 1993-11-23 1997-02-22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확관시험 장치
JP2000249536A (ja) 1999-03-03 2000-09-14 Daido Steel Co Ltd 拡管率の測定方法
KR100726982B1 (ko) 2005-03-08 2007-06-14 대경테크 주식회사 인장시험기용 신장계 측정장치
KR101012659B1 (ko) 2010-05-26 2011-02-09 대경테크 주식회사 파이프 확관 시험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1318Y1 (ko) * 1993-11-23 1997-02-22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확관시험 장치
JP2000249536A (ja) 1999-03-03 2000-09-14 Daido Steel Co Ltd 拡管率の測定方法
KR100726982B1 (ko) 2005-03-08 2007-06-14 대경테크 주식회사 인장시험기용 신장계 측정장치
KR101012659B1 (ko) 2010-05-26 2011-02-09 대경테크 주식회사 파이프 확관 시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5500A (ko) 2013-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1885B1 (ko) 굽힘 강도 시험용 가압 기구
CN111781071B (zh) 一种钢筋的弯曲试验装置
CN111272583A (zh) 一种压剪试验机
CN104931352A (zh) 一种混凝土泊松比的测试方法
CN203299056U (zh) 专用于异种钢焊接接头横向弯曲实验的试验机
CN110849755A (zh) 一种硬度检测设备
CN102081024A (zh) 一种压缩位移试验装置
KR101289126B1 (ko) 확관율 측정장치
CN105865306A (zh) 一种高精度锥孔检具
KR101227097B1 (ko) 타이어의 트레드 강도 및 비드이탈 시험장치
CN103149107B (zh) 一种拉力试验机测试夹距的手动调整方法
CN210154940U (zh) 一种管材环刚度检测设备
CN207764048U (zh) 一种测试弹性材料刚度的测试工装
CN205669978U (zh) 一种高精度锥孔检具
CN109724544A (zh) 一种专用自动变速器制动带活塞间隙的修正方法
CN211954630U (zh) 压剪试验机
CN217331919U (zh) 一种预制电缆沟盖板整体抗裂性及承载能力试验装置
KR101501116B1 (ko) 유압 브레이커 치즐 정하중 시험장치
CN207113847U (zh) 悬臂式管材内径测量用引伸计
CN103091162B (zh) 一种测量热轧板卷规定总延伸强度Rt值的方法
CN111103190A (zh) 一种用于贯入机的夹管器
CN205980988U (zh) 一种能自动压紧的圆形缸筒变形度检测工装
CN206862804U (zh) 一种电子式金属洛氏硬度计
CN111380759B (zh) 钢筋混凝土横梁受压弯矩测量加负载方法及加负载工装
CN213779855U (zh) 一种保温板体粘接强度拉拔实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