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8756B1 - 냉매 분배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냉매 분배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8756B1
KR101288756B1 KR1020110039129A KR20110039129A KR101288756B1 KR 101288756 B1 KR101288756 B1 KR 101288756B1 KR 1020110039129 A KR1020110039129 A KR 1020110039129A KR 20110039129 A KR20110039129 A KR 20110039129A KR 101288756 B1 KR101288756 B1 KR 101288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pipe
pipe part
pipe
outlet
inle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9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1255A (ko
Inventor
박용석
Original Assignee
희성정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희성정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희성정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9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8756B1/ko
Priority to PCT/KR2012/002459 priority patent/WO2012148091A2/ko
Publication of KR20120121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1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8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8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 F25B39/028Evaporators having distribu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40Fluid line arrangements
    • F25B41/42Arrangements for diverging or converging flows, e.g. branch lines or jun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매 분배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중공의 입구관부가 연장 형성된 관 형태의 전방부; 상기 전방부의 후단에 구비되며, 중공의 연통관부가 연장 형성되고 후방으로 갈수록 지름이 커지도록 테이퍼진 부분을 가지는 관 형태의 중앙부; 및 상기 중앙부의 후단에 구비되며, 중공의 공통관부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공통관부의 후단에서부터 중공의 출구관부가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연장 형성된 관 형태의 후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후방부는 상기 공통관부와 출구관부 외의 나머지 공간은 채워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실의 봉체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복수의 출구관부를 형성하고,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여 상기 출구관부와 일부가 중첩되도록 연장되는 입구관부를 형성하여, 상기 출구관부와 출구관부 사이에서 연통이 이루어지지 않아 입구관부로부터 각각의 출구관부로 유입되는 냉매의 흐름 효율이 증가되며, 상기 입구관부와 출구관부가 중첩되어 형성되는 공간부에서 냉매의 흐름이 각각의 출구관부로 균형있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냉매 분배관 및 그 제조방법{Refrigerant Distribution Pipe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냉매 분배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매의 증발 능력 향상을 위해 냉매가 순환하는 배관 및 실내기, 실외기와 같은 열교환기 내부에 설치되는 냉매 분배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 예컨대, 냉장고 또는 에어컨 등은 압축-응축-팽창-증발을 포함하는 일련의 냉동 사이클을 거치도록 냉매를 순환시켜 해당 열교환기에서의 냉매 증발을 통한 주변 열 흡수의 원리를 이용하여 냉방 또는 냉동을 구현한다.
구체적으로, 일반적인 냉동 사이클은 압축기를 거치면서 냉매가 고온, 고압의 상태로 변환되고, 응축기에서의 열 방출을 통해 냉매는 액체 상태의 고온, 고압의 상태로 변환되는 한편, 모세관 또는 팽창밸브와 같은 팽창기를 거치면서 저온, 저압 상태로 압력이 강하되고, 그 저온, 저압 액체 상태의 냉매는 증발기를 경유하면서 주변의 열을 흡수함과 아울러 증발하여 그 주변을 저온으로 유지시킨다.
증발이 완료된 냉매는 기체 상태로 압축기로 되돌아가 상기 사이클을 반복하게 된다.
위와 같은 냉동 사이클에서 팽창기를 거쳐 증발기로 유입되는 냉매의 열교환 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증발기의 길이에 따른 압력강하를 줄여줘야 하는데, 이를 위해 증발기로 유입되는 냉매를 여러 갈래로 분산시켜서 냉매량 조절을 통한 증발 능력을 키워야 한다.
이때, 여러 갈래로 냉매 분산을 위해 분배관이 통상적으로 설치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분배관은 하나의 입구를 가진 단일의 입구관부(10)와 복수의 출구관부(20, 30)를 가지며,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작은 상기 입구관부(10)를 통해 유입된 냉매는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큰 중공부로 유입된 후 다시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작은 상기 복수의 출구관부(20, 30)를 거치면서 균일하게 분산되어 바깥으로 빠져나갈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위와 같은 종래 분배관은 먼저 중공의 원형파이프를 절단하고, 그 절단된 파이프 한쪽을 스웨이징(Swaging) 가공을 통해 단면을 축소시켜 입구관부(10)를 형성한다.
그런 후에, 파이프 다른 쪽의 중앙부를 프레스 가공을 통해 압착함으로써, 압착된 중앙부위를 기준으로 제1출구관부(20)와 제2출구관부(30)가 형성되도록 하고, 마지막으로 압착된 중앙부위에서 상부의 제1수축부(40)와 하부의 제2수축부(50) 사이를 브레이징(Brazing) 접합하여 접합부(60)를 형성함으로써 분배관이 제작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분배관은 사용과정 중 냉매와 외부 온도차 또는 분배관에 다른 배관을 용접 이음하는 과정에서 접합부(60)가 떨어져 상기 제1출구관부(20)와 제2출구관부(30) 사이에 틈새가 생길 수 있고, 그 결과 냉매가 누설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상기 접합부(60)가 상기 제1수축부(40)와 제2수축부(50)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충분히 접합되지 않으면 상기 제1출구관부(20)와 제2출구관부(30)가 서로 연통 될 수 있어서 냉매 흐름의 불균형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큰 중공부에서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작은 제1출구관부(20) 및 제2출구관부(30)로 냉매가 유동되므로, 냉매 흐름에 정체가 생기기 되어 냉매의 흐름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프레스 압착에 의하여 두 개로 갈라지는 출구관부를 형성하는 관계로, 원하는 단면적을 가지는 제1출구관부(20)와 제2출구관부(30)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전체적으로 필요 이상으로 지름이 큰 원형 소재가 요구되어 제조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중실의 봉체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복수의 출구관부를 형성하고,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여 상기 출구관부와 일부가 중첩되도록 연장되는 입구관부를 형성하여, 상기 출구관부와 출구관부 사이에서 연통이 이루어지지 않아 입구관부로부터 각각의 출구관부로 유입되는 냉매의 흐름 효율이 증가되며, 상기 입구관부와 출구관부가 중첩되어 형성되는 공간부에서 냉매의 흐름이 각각의 출구관부로 균형있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냉매 분배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매 분배관 및 그 제조방법은, 중공의 입구관부가 연장 형성된 관 형태의 전방부; 상기 전방부의 후단에 구비되며, 중공의 연통관부가 연장 형성되고 후방으로 갈수록 지름이 커지도록 테이퍼진 부분을 가지는 관 형태의 중앙부; 및 상기 중앙부의 후단에 구비되며, 중공의 공통관부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공통관부의 후단에서부터 중공의 출구관부가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연장 형성된 관 형태의 후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후방부는 상기 공통관부와 출구관부 외의 나머지 공간은 채워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방부는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입구관부를 이루는 제1내경부와, 외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1외경부를 구비하며; 상기 중앙부는 내측에 상기 제1내경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후방으로 갈수록 지름이 커지도록 테이퍼져 제1연통관부를 이루는 제1내측경사부와, 상기 제1내측경사부로부터 길이방향 후방으로 연장되어 제2연통관부를 이루는 제2내경부와, 상기 제2내경부로부터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제2내측경사부와, 외측에 상기 제1외경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후방으로 갈수록 지름이 커지도록 테이퍼진 제1외측경사부와, 상기 제1외측경사부로부터 길이방향 후방으로 연장된 제2외경부와, 상기 제2외경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후방으로 갈수록 지름이 커지도록 테이퍼진 제2외측경사부를 구비하며; 상기 후방부는 내측의 전반부에 상기 제2내측경사부로부터 길이방향 후방으로 연장되어 공통관부를 이루는 제3내경부와, 내측의 후반부에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제1출구관부 및 제2출구관부를 이루며 상기 제3내경부로부터 연장되는 제4내경부를 구비하며, 외측에 상기 제2외측경사부로부터 길이방향 후방으로 연장된 제3외경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공통관부의 단면의 형상은 제2연통관부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일측과 타측에 제1출구관부 및 제2출구관부의 일부가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연통관부의 지름은 상기 제1출구관부 또는 제2출구관부의 지름보다는 크고, 상기 제1출구관부의 외측단과 제2출구관부의 외측단을 이은 폭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2연통관부의 중심점은 상기 제1출구관부의 외측단과 제2출구관부의 외측단을 폭 방향으로 이은 중심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매 분배관 및 그 제조방법은, (a) 중실의 봉체의 후단에서 길이방향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1출구관부와 제2출구관부를 형성하는 출구관부 형성단계; (b) 상기 제1출구관부 및 제2출구관부와 길이방향으로 중첩된 공통관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봉체의 전단에서 길이방향 후방으로 연장되는 입구관부를 형성하는 입구관부 형성단계; (c) 상기 입구관부가 형성된 외주면의 길이방향 일부를 폭 방향 내측으로 절삭가공하여 제2외측경사부를 형성하는 1차 가공단계; 및 (d) 상기 1차 가공단계에서 절삭가공된 부분 중 전방 일부의 지름을 감소시켜 제1외측경사부, 제1외경부, 제2외경부, 제1내경부, 제1내측경사부, 제2내경부를 형성하는 2차 가공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봉체는 단면의 형상이 타원형일 수 있다.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공통관부의 단면의 형상은 입구관부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일측과 타측에 제1출구관부 및 제2출구관부의 일부가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된 입구관부의 지름은 상기 제1출구관부 또는 제2출구관부의 지름보다는 크고, 상기 제1출구관부의 외측단과 제2출구관부의 외측단을 이은 폭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연장된 입구관부의 중심점은 상기 제1출구관부의 외측단과 제2출구관부의 외측단을 폭 방향으로 이은 중심에 위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냉매 분배관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중실의 봉체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복수의 출구관부를 형성하고,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여 상기 출구관부와 일부가 중첩되도록 연장되는 입구관부를 형성하여, 상기 출구관부와 출구관부 사이에서 연통이 이루어지지 않아 입구관부로부터 각각의 출구관부로 유입되는 냉매의 흐름 효율이 증가되며, 상기 입구관부와 출구관부가 중첩되어 형성되는 공간부에서 냉매의 흐름이 각각의 출구관부로 균형있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냉매 분배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매 분배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4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매 분배관을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매 분배관에 배관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매 분배관에 배관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매 분배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3에서의 가로방향을 '길이방향', 길이방향으로 왼쪽을 '후방', 길이방향으로 오른쪽을 '전방'이라 하고, 세로방향을 '폭 방향', 폭 방향으로 분기부(550)를 향하는 방향을 '폭 방향 내측', 분기부(55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폭 방향 외측'이라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매 분배관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연장된 관 형태의 전방부(100)와, 상기 전방부(100)의 후단에 구비되며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후방으로 갈수록 지름이 커지도록 테이퍼진 부분을 가지는 관 형태의 중앙부(300)와, 상기 중앙부(300)의 후단에 구비되며 길이방향으로 복수로 관통되어 후방으로 연장된 부분을 가지는 관 형태의 후방부(5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방부(100)는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1내경부(130)와, 외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1외경부(110)를 구비한다. 상기 전방부(100)에서 상기 제1내경부(130)로 둘러싸여 전후방이 관통된 중공부는 입구관부(150)가 된다.
상기 중앙부(300)는 내측에 제1내측경사부(340)와 제2내경부(350)와 제2내측경사부(360)를 구비하고, 외측에 제1외측경사부(310)와 제2외경부(320)와 제2외측경사부(330)를 구비한다.
상기 제1내측경사부(340)는 상기 제1내경부(130)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후방으로 갈수록 지름이 커지도록 테이퍼지고, 상기 제2내경부(350)는 상기 제1내측경사부(340)로부터 길이방향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내측경사부(360)는 상기 제2내경부(350)로부터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1외측경사부(310)는 상기 제1외경부(110)로부터 연장되어 길이방향 후방으로 갈수록 지름이 커지도록 테이퍼지고, 상기 제2외경부(320)는 상기 제1외측경사부(310)로부터 길이방향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외측경사부(330)는 상기 제2외경부(320)로부터 연장되어 후방으로 갈수록 지름이 커지도록 테이퍼진다.
상기 중앙부(300)에서 상기 제1내측경사부(340)로 둘러싸여 전후방이 관통된 중공부는 제1연통관부(370)가 되고, 상기 제2내경부(350)로 둘러싸여 전후방이 관통된 중공부는 제2연통관부(380)가 된다.
상기 제1연통관부(370)는 상기 제1내측경사부(340)에 의해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지름이 커지는 형태가 된다.
상기 후방부(500)는 외측에 상기 제2외측경사부(330)로부터 길이방향 후방으로 연장된 제3외경부(510)를 구비하고, 내측의 전반부에 상기 제2내측경사부(360)로부터 길이방향 후방으로 연장되어 공통관부(560)를 이루는 제3내경부(521)와, 내측의 후반부에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제1출구관부(530) 및 제2출구관부(540)를 이루며 상기 제3내경부(521)로부터 연장되는 제4내경부(525)를 구비한다.
상기 후방부(500)에서 상기 공통관부(560)와 제1출구관부(530) 및 제2출구관부(540) 외의 나머지 공간은 채워진 상태가 된다.
상기 제4내경부(525)가 둘러싸는 공간이 각각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제1출구관부(530) 및 제2출구관부(540)로 된다.
상기 제1출구관부(530) 및 상기 제2출구관부(540)는 폭 방향 외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도면부호 550은 상기 제1출구관부(530)와 제2출구관부(540)가 형성되면서 상기 제1출구관부(530)와 제2출구관부(540) 사이에서 자연스럽게 형성된 분기부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공통관부(560)는 상기 제1출구관부(530) 또는 제2출구관부(540)의 전단과 상기 중앙부(300)의 후단 사이의 공간에 해당된다.
상기 공통관부(560)의 길이방향으로의 단면 형상은 상기 제1출구관부(530)와 제2출구관부(540)가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연통관부(380)가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장된 제1출구관부(530) 및 제2출구관부(540)와 제2연통관부(380)가 길이방향으로 중첩되었을 때의 단면에 해당된다.
상기 공통관부(560)의 길이방향으로의 단면 형상은 제2연통관부(380)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일측과 타측에 제1출구관부(530) 및 제2출구관부(540)의 일부가 서로 대칭되어 형성된 형태이다.
한편, 상기 제2연통관부(380)의 단면의 지름은 상기 제1출구관부(530) 또는 제2출구관부(540)의 단면의 지름보다는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1출구관부(530)의 외측단과 제2출구관부(540)의 단면의 외측단을 이은 폭 길이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제2연통관부(380)의 중심점은 상기 제1출구관부(530)의 외측단과 제2출구관부(540)의 외측단을 폭 방향으로 이은 중심에 위치한다.
한편, 상기 후방부(500)는 대략의 전반부에서 길이방향의 외측 단면 형상이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대략의 후반부에서 길이방향의 단면의 형상이 타원형에서의 장폭부의 중심부가 상하방향으로 오목한 형태가 될 수 있다.
도면부호 511은 상기 후방부(500)의 후반부에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511)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입구관부(150), 제1연통관부(370), 제2연통관부(380), 공통관부(560) 및 제1출구관부(530)는 서로 연통되며, 마찬가지로, 상기 입구관부(150), 제1연통관부(370), 제2연통관부(380), 공통관부(560) 및 제2출구관부(540)는 서로 연통된다.
도 4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매 분배관을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매 분배관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길이방향의 단면이 타원인 중실의 봉체(700)를 구비한다.
이어서,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봉체(700)의 후단에서 길이방향 전방으로 연장되면서 오목한 제1출구관부(530)와 제2출구관부(540)를 각각 형성한다.
상기 봉체(700)는 타원형이므로 길이방향 단면의 폭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장폭부(미도시)와 폭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은 단폭부(미도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출구관부(530)와 제2출구관부(540)는 상기 장폭부의 방향 즉, 폭 방향 외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제1출구관부(530)와 제2출구관부(540) 사이가 분기부(550)로 형성된다.
상기 분기부(550)는 중실의 봉체(700)에서 상기 제1출구관부(530)와 제2출구관부(540) 형성된 후 남은 부분에 해당 되어, 별도의 가공을 거치지 않고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봉체(700)가 타원형이고, 폭 방향 외측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제1출구관부(530)와 제2출구관부(540)가 형성되므로, 상기 제1출구관부(530)와 제2출구관부(540)의 길이방향으로의 단면적은 상기 봉체(700)의 길이방향의 단면적과 많은 차이가 없게 된다.
상기 봉체(700)가 원형이고, 상기 타원형인 봉체(700)에 형성된 제1출구관부(530) 및 제2출구관부(540)와 길이방향으로의 동일한 단면적을 갖도록 제1출구관부(530) 및 제2출구관부(540)를 형성한다면, 원형의 봉체(700)는 타원형의 봉체(700)의 길이방향으로의 단면적 보다 크게 된다. 따라서, 타원형의 봉체(700) 보다 원형의 봉체(700)가 재료비가 많이 들게 된다.
이어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봉체(700)의 전단에서 길이방향 후방으로 연장되어 오목한 입구관부(150)를 형성한다.
상기 연장된 입구관부(150)는 단면적이 상기 제1출구관부(530) 또는 제2출구관부(540)의 단면적 보다 크며, 상기 제1출구관부(530)와 제2출구관부(540)의 사이를 향하도록 연장된다.
상기 연장된 입구관부(150)의 후방 일부는 상기 제1출구관부(530) 및 제2출구관부(540)의 전방 일부와 길이방향으로 중첩되도록 형성되는데, 이로 인해 상기 분기부(550)의 전방 일부가 제거되며, 상기 제1출구관부(530), 제2출구관부(540) 및 연장된 입구관부(150)가 중첩되는 공통관부(56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공통관부(560)에서 상기 제1출구관부(530)의 전단 및 제2출구관부(540)의 전단에 해당하는 내측면이 제2내측경사부(360)가 된다.
상기 분기부(550)의 길이는 상기 입구관부(150)가 형성되는 길이에 영향을 받게 된다.
이어서, 도 7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출구관부(530)와 제2출구관부(540)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상기 봉체(700)의 길이방향으로의 전방 외주면을 폭 방향 내측으로 절삭가공한다.
이렇게 하여, 상기 봉체(700)의 외주면에서 절삭되지 않은 부분이 제3외경부(510)가 되고, 상기 제3외경부(510)의 내측에서 공통관부(560)를 둘러싸는 부분이 제3내경부(521)가 되고, 상기 공통관부(560)를 제외한 제1출구관부(530) 또는 제2출구관부(540)를 둘러싸는 부분이 제4내경부(525)가 된다.
봉체(700)의 전방 외주면이 폭 방향 내측으로 절삭되면서 후방으로 제2외측경사부(330)가 형성된다.
중실의 봉체(700)에서 상기 제1출구관부(530), 제2출구관부(540) 및 입구관부(150)를 형성하였으므로 그 외의 나머지 부분은 채워진 상태가 된다.
이어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삭가공된 봉체(700)의 외주면 중 전방 일부의 내주면 및 외주면의 지름을 감소시켜 상기 입구관부(150)의 지름을 축소시킨다.
이렇게 하여 절삭된 봉체(700)의 전방 외주면이 폭 방향 내측으로 축소되면서 후방으로 제1외측경사부(310)가 형성되고, 축소된 봉체(700)의 외주면이 제1외경부(110)가 되며, 상기 제1외측경사부(310)와 상기 제2외측경사부(330) 사이가 제2외경부(320)가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외경부(110)의 내측이 제1내경부(130)가 되고, 상기 제1외측경사부(310)의 내측이 제1내측경사부(340)가 되며, 상기 제2외경부(320)의 내측이 제2내경부(350)가 된다.
상기 제1내측경사부(340)로 둘러싸여 전후방이 관통된 중공부는 제1연통관부(370)가 되고, 상기 제2내경부(350)로 둘러싸여 전후방이 관통된 중공부는 제2연통관부(380)가 된다.
따라서, 상기 공통관부(560)의 단면의 형상은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큰 연장된 입구관부(150)인 제2연통관부(380)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일측과 타측에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작은 제1출구관부(530) 및 제2출구관부(540)의 일부가 서로 대칭되도록 중첩된 형태가 된다.
상기 제2연통관부(380)의 지름은 상기 제1출구관부(530) 또는 제2출구관부(540)의 지름보다는 크게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제1출구관부(530)의 외측단과 제2출구관부(540)의 외측단을 이은 폭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제2연통관부(380)의 중심점은 상기 제1출구관부(530)의 외측단과 제2출구관부(540)의 외측단을 폭 방향으로 이은 중심에 위치하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매 분배관에 배관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매 분배관에 배관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매 분배관이 이루어지면,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구관부(150)에는 입구배관(155)을 결합시키고, 제1출구관부(530)와 제2출구관부(540)에는 제1출구배관(535)과 제2출구배관(545)을 각각 결합시킨다.
상기 입구배관(155)의 후단은 상기 입구관부(150)의 후단까지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제1출구배관(535) 및 제2출구배관(545)의 후단은 상기 공통관부(560)의 후단까지 삽입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입구관부(150)의 전단과 입구배관(155)의 접촉지점을 용접 등으로 접합하여 상기 입구배관(155)을 고정시키고, 상기 제1출구관부(530)의 후단과 제1출구배관(535) 및 제2출구관부(540)의 후단과 제2출구배관(545)의 접촉지점에도 용접 등으로 접합하여 상기 제1출구배관(535)과 제2출구배관(545)를 고정시킨다.
상기 입구배관(155), 제1출구배관(535) 및 제2출구배관(545)은 중실의 봉체(700)에서 상기 입구관부(150), 제1출구관부(530) 및 제2출구관부(540)가 형성되고 남겨진 채워진 부분과 용접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입구관부(150)의 전단과 입구배관(155), 상기 제1출구관부(530)의 후단과 제1출구배관(535) 및 제2출구관부(540)의 후단과 제2출구배관(545)의 접촉지점에서의 용접에 따른 접합력이 견고하다.
이어서, 상기 입구배관(155)을 통해 냉매를 유입시키면, 유입된 냉매는 제1연통관부(370), 제2연통관부(380)를 거쳐 공통관부(560)에 도달하게 된다.
상기 제1연통관부(370)는 후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므로, 상기 입구배관(155)에서 상기 제1연통관부(370)로 유입된 냉매는 속도가 줄어들게 되며, 상기 공통관부(560)는 상기 제2연통관부(380) 보다 단면적이 크므로, 상기 제2연통관부(380)를 거쳐 상기 공통관부(560)로 유입된 냉매는 속도가 더욱 줄어들게 된다.
상기 공통관부(560)는 연장된 제2연통관부(380)의 양측으로 제1출구관부(535) 및 제2출구관부(540)가 연장된 형태이므로, 상기 공통관부(560)에서의 연장된 제2연통관부(380)로 유입된 냉매는 양측의 연장된 제1출구관부(535) 및 제2출구관부(540)가 형성된 부분으로 이동할 준비를 한다.
이어서, 냉매는 상기 제1출구배관(535) 및 제2출구배관(545)으로 유동되는데, 상기 공통관부(560)는 상기 제2연통관부(380)와 상기 제1출구관부(530) 또는 제2연통관부(380)와 제2출구관부(540)와 직접적으로 연결된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입구배관(155)을 통해 공통관부(560)로 유입된 냉매는 흐름의 저항을 최소로 받으면서 상기 제1출구배관(535) 및 제2출구배관(545)을 통해 균일하게 분산되어 외부로 빠져나가게 됨으로써 냉매의 흐름 효율이 좋다.
아울러, 중실의 봉체(700)에서 상기 제1출구관부(530) 및 제2출구관부(540)를 형성하므로, 상기 제1출구관부(530)와 제2출구관부(540) 사이에는 자체적으로 틈새가 존재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출구관부(530)와 제2출구관부(540)가 연통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용접 등의 별도의 접합하는 과정이 필요치 않게 되며, 상기 공통관부(560)로 유입되는 냉매는 모두 상기 제1출구배관(535)과 제2출구배관(545)로 유동 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전방부 150: 입구관부
300: 중앙부 370, 380: 연통관부
500: 후방부 530, 540: 출구관부
560: 공통관부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a) 중실의 봉체(700)의 후단에서 길이방향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1출구관부(530)와 제2출구관부(540)를 형성하는 출구관부 형성단계;
    (b) 상기 제1출구관부(530) 및 제2출구관부(540)와 길이방향으로 중첩된 공통관부(560)가 형성되도록 상기 봉체(700)의 전단에서 길이방향 후방으로 연장되는 입구관부(150)를 형성하는 입구관부 형성단계;
    (c) 상기 입구관부(150)가 형성된 외주면의 길이방향 일부를 폭 방향 내측으로 절삭가공하여 제2외측경사부(330)를 형성하는 1차 가공단계; 및
    (d) 상기 1차 가공단계에서 절삭가공된 부분 중 전방 일부의 지름을 감소시켜 제1외측경사부(310), 제1외경부(110), 제2외경부(320), 제1내경부(130), 제1내측경사부(340), 제2내경부(350)를 형성하는 2차 가공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냉매 분배관 제조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봉체(700)는 단면의 형상이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 냉매 분배관 제조방법.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공통관부(560)의 단면의 형상은 연장된 입구관부(150)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일측과 타측에 제1출구관부(530) 및 제2출구관부(540)의 일부가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냉매 분배관 제조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된 입구관부(150)의 지름은 상기 제1출구관부(530) 또는 제2출구관부(540)의 지름보다는 크고, 상기 제1출구관부(530)의 외측단과 제2출구관부(540)의 외측단을 이은 폭 길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 냉매 분배관 제조방법.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연장된 입구관부(150)의 중심점은 상기 제1출구관부(530)의 외측단과 제2출구관부(540)의 외측단을 폭 방향으로 이은 중심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 냉매 분배관 제조방법.
KR1020110039129A 2011-04-26 2011-04-26 냉매 분배관 및 그 제조방법 KR101288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9129A KR101288756B1 (ko) 2011-04-26 2011-04-26 냉매 분배관 및 그 제조방법
PCT/KR2012/002459 WO2012148091A2 (ko) 2011-04-26 2012-04-02 냉매 분배관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9129A KR101288756B1 (ko) 2011-04-26 2011-04-26 냉매 분배관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1255A KR20120121255A (ko) 2012-11-05
KR101288756B1 true KR101288756B1 (ko) 2013-08-19

Family

ID=47507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9129A KR101288756B1 (ko) 2011-04-26 2011-04-26 냉매 분배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87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33585A (zh) * 2021-12-30 2022-10-25 广州城建职业学院 一种兼具输水功能的预制减速带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7059A (ja) * 2002-11-28 2004-06-24 Toyo Radiator Co Ltd 冷媒分流器
KR100547917B1 (ko) * 2005-01-17 2006-01-31 삼원동관 주식회사 냉동공조용 일체형 와이 분지관
KR20100008045U (ko) * 2009-02-04 2010-08-12 주식회사 대양캐스텍 에어컨용 냉매 분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7059A (ja) * 2002-11-28 2004-06-24 Toyo Radiator Co Ltd 冷媒分流器
KR100547917B1 (ko) * 2005-01-17 2006-01-31 삼원동관 주식회사 냉동공조용 일체형 와이 분지관
KR20100008045U (ko) * 2009-02-04 2010-08-12 주식회사 대양캐스텍 에어컨용 냉매 분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1255A (ko) 2012-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67176B2 (ja) 積層型ヘッダ、熱交換器、及び、空気調和装置
JP6029686B2 (ja) 二重管式熱交換器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JP5370400B2 (ja) 熱交換装置
WO2018003123A1 (ja) 熱交換器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JP6115111B2 (ja) 熱交換器
EP2631569B1 (en) Refrigerator
CN103900297A (zh) 冰箱用蒸发器及冰箱
JP2014115074A (ja) 空調システムの内部熱交換器
KR101288756B1 (ko) 냉매 분배관 및 그 제조방법
CN202141259U (zh) 一种用于空调***中的双向节流阀
JP2003166791A (ja) 熱交換器
KR101620072B1 (ko) 냉매 파이프 분배구조
KR20130109315A (ko) 냉매 분배관 및 그 제조방법
JP5202029B2 (ja) 二重管式熱交換器
CN103277944B (zh) 一种干式蒸发器
KR101151871B1 (ko) 터보냉동기의 응축기용 전열관
US20060225460A1 (en) Evaporator for a refrigeration appliance
JP2020076531A (ja) 熱交換器およ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JP6888697B2 (ja) 熱交換器の製造方法
US11604017B2 (en) Vehicle condenser
JP2013002657A (ja) 過冷却器及びその伝熱促進部材並びに伝熱促進部材の製造方法
JP2015021664A (ja) 熱交換器および空気調和機
KR20070062351A (ko) 냉장고의 증발기
KR100479733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냉매분배기
JP6537615B2 (ja) 熱交換器及び熱交換器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