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8334B1 - 애엽 및 모과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해충 기피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애엽 및 모과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해충 기피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8334B1
KR101288334B1 KR1020130031432A KR20130031432A KR101288334B1 KR 101288334 B1 KR101288334 B1 KR 101288334B1 KR 1020130031432 A KR1020130031432 A KR 1020130031432A KR 20130031432 A KR20130031432 A KR 20130031432A KR 101288334 B1 KR101288334 B1 KR 101288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emisia
quince
pest
mixture
pest repell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1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원록
홍석명
Original Assignee
(주)솔빛피앤에프
주식회사 제노레버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솔빛피앤에프, 주식회사 제노레버코리아 filed Critical (주)솔빛피앤에프
Priority to KR1020130031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83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8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8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12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daisy, pyrethrum, artichoke, lettuce, sunflower, wormwood or tarrag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34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hawthorn, plum, cherry, peach, apricot or almo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2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containing insect repella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Dent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엽 및 모과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해충 기피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식물 유래의 천연물질로 인간에게는 무해하나, 해충 기피에 뛰어난 효과를 갖는 애엽 및 모과 혼합물은 환경 오염이나 피부 트러블을 유발하는 화학 합성 해충 기피제를 대체할 수 있고, 환경이나 인간에게 피해 없이 해충을 방제함으로써 쾌적한 생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애엽 및 모과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해충 기피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pest repellent comprising mixture of Artemisia and Quince as effective component}
본 발명은 애엽 및 모과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해충 기피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애엽 (Artemisia sp.) 및 모과 (quince)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해충 기피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해충을 방제하는 방법 및 상기 해충 기피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세제, 화장품 및 방향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후의 변화로 인하여 다양한 해충들이 사계절 내내 서식하면서 인간에게 해를 주고 있다. 예컨대, 모기의 경우 그 소리나 흡혈 활동은 수면 방해, 불쾌감, 불안감 등 정신적, 심리적인 피해를 주며, 말라리아, 뇌염, 뎅기열 (dengue), 피부 알레르기 등의 질병을 유발한다. 또한 바퀴벌레, 나비, 수충 및 진드기 등과 같은 해충들도 모기와 유사하게 인간에게 많은 피해를 주고 있다.
지금까지 해충으로 인한 피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들이 전 세계에 걸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제2차 세계대전 중에는 해충으로 인해 고통을 겪는 군인들을 위해, 몸에 발라서 해충에 물리지 않게 하는 해충 기피제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집중적으로 진행되었다. 또한 해충의 신경 전달 저해, 에너지 생산 저해, 생장 조절, 행동 억제 등에 관여하는 살충제를 개발하기 위한 시험도 활발히 이루어졌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개발된 DEET (N,N-diethyl-m-toluamide)는 현재까지 개발된 기피제 중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합성 기피제로, 모기, 파리, 이, 벼룩, 진드기 등의 해충 전반에 걸쳐 사용되며, 가축을 보호하기 위해서도 사용되고 있다. 또한, 바퀴벌레나 개미 등의 해충을 방제하기 위한 살충성분으로 아미디노히드라존계 (amidinohydrazone) 살충제인 히드라메칠논 (hydramethylnon), 유기인계 (organophosphate) 살충제인 클로르피리포스 (chlorpyrifos), 카바마이트계 (carbamate) 살충제인 프로폭설 (propoxur), 페닐피라졸계 (phenylpyrazole) 살충제인 피프로닐 (fipronil) 및 붕산 (boric acid)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피제 및 살충제는 환경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해충으로부터 인간을 보호하려는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고 (Cutris et al ., 1992, Rev. Med . Veter . Entomol. 80(10):543-553), 질병을 일으키는 감염원을 보유한 해충과의 접촉을 감소시켜 감염의 위험성을 줄이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시판되고 있는 해충 기피제 및 살충제의 대부분은 화학적으로 합성한 제품으로 환경오염 및 피부 트러블을 유발하는 등의 많은 부작용을 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인공 합성된 해충 기피제 및 살충제로부터 벗어나 환경에 피해가 없으면서도 쾌적한 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천연물질을 발굴하기 위한 연구가 식물체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식물은 다양한 대사과정을 거쳐 알칼로이드 (alkaloid), 플라본 (flavon), 테르펜 (terpene) 및 탄닌 (tannin) 등의 유용한 물질을 생산한다. 식물에서 추출된 물질은 의약품, 농약, 염료 및 향신료의 원료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적절한 식물의 추출물들을 혼합 사용할 경우 환경 친화적이면서도 다양한 해충에 대하여 기피 또는 살충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현재까지 이러한 인식하에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해충의 기피제 및 살충제를 제조하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합성된 기피제 및 살충제 이상의 효과를 갖는 물질을 발굴한 사례는 많지 않다. 따라서 인간에게 무해하고 다양한 해충들에게는 치명적인 식물 유래의 제품을 더 연구하고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1174042호에는 '해충의 살충 및 기피 작용을 갖는 혼합 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제품'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0785427호에는 '천연 생약 원료성분으로 제공되는 곤충기피 훈향제'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애엽 및 모과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해충 기피용 조성물에 대해서는 개시된 바가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자는 애엽 (Artemisia sp.)의 건조 분말이나 추출물이 바퀴벌레 기피 효과를 나타내며, 애엽 중량 대비 5~50%의 모과 (quince) 건조 분말 또는 추출물이 첨가된 애엽과 모과의 혼합물이 바퀴벌레 기피 효과의 상승작용을 유도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애엽 (Artemisia sp.) 및 모과 (quince)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해충 기피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해충 기피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해충을 방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방제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해충 기피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세제, 화장품 및 방향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애엽과 모과의 혼합물은 식물 유래의 천연물질로 인간에게는 무해하나, 해충 기피에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애엽과 모과 혼합물은 환경 오염이나 피부 트러블을 유발하는 화학 합성 해충 기피제를 대체할 수 있고, 환경이나 인간에게 피해 없이 해충을 방제하여 쾌적한 생활 환경을 제공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애엽 (Artemisia sp.) 및 모과 (quince) 혼합물의 해충 기피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제작한 실험 상자를 나타낸다. 실험 상자의 중앙에는 독일바퀴벌레 (Blattella germanica) 또는 개미 (Monomorium pharaonis)가 은신할 수 있는 신문지 뭉치를 배치하고, 왼쪽 코너에는 먹이, 오른쪽 코너에는 먹이와 기피제를 제공한다.
도 2는 실험 상자에서 애엽에 의한 바퀴벌레의 기피효과를 시간별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은 애엽과 모과 혼합물에 의한 바퀴벌레 기피효과를 시간별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4는 애엽과 부자 혼합물에 의한 바퀴벌레 기피효과를 시간별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5는 모과에 의한 바퀴벌레 기피효과를 시간별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6은 애엽 (5%)과 모과 (95%) 혼합물에 의한 바퀴벌레 기피효과를 시간별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7은 애엽 (25%)과 모과 (75%) 혼합물에 의한 바퀴벌레 기피효과를 시간별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8은 애엽 (50%)과 모과(50%) 혼합물에 의한 바퀴벌레 기피효과를 시간별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9는 애엽 (75%)과 모과 (25%) 혼합물에 의한 바퀴벌레 기피효과를 시간별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0은 애엽 (95%)과 모과 (5%) 혼합물에 의한 바퀴벌레 기피효과를 시간별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1은 애엽 (5%)과 모과 (95%) 혼합물에 의한 개미 기피효과를 시간별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2는 애엽 (25%)과 모과 (75%) 혼합물에 의한 개미 기피효과를 시간별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3은 애엽 (50%)과 모과 (50%) 혼합물에 의한 개미 기피효과를 시간별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4는 애엽 (75%)과 모과 (25%) 혼합물에 의한 개미 기피효과를 시간별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5는 애엽 (95%)과 모과 (5%) 혼합물에 의한 개미 기피효과를 시간별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애엽 (Artemisia sp.) 및 모과 (quince)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해충 기피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애엽은 쑥속 (Artemisia sp.) 식물의 잎 및 줄기를 건조한 것을 말하며, 쑥 (Artemisia princeps Pamp. var. orientlis Hara), 비쑥 (A. scoparia), 물쑥 (A. selengensis TURCZ.), 산쑥 (A. montana Pampani), 사철쑥 (A. capillaris), 황해쑥 (A. argyi Lev. et Sav.), 인진쑥 (A. iwayomogi kitamura), 뺑쑥 (A. feddei Lev. et Van.), 덤불쑥 (A. rubripes Nakai) 또는 참쑥 (A. lavandulaefolia DC.)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쑥속 식물은 해충 기피용 조성물의 제조시에 각각 또는 혼합하여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과 (quince)는 모과나무 (Chaenomeles sinensis Koebhne)의 성숙한 과실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애엽 및 모과 혼합물은 애엽 및 모과 건조 분말 혼합물 또는 애엽 및 모과 추출 혼합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애엽 및 모과는 자연 건조, 가열 건조 또는 동결 건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건조된 애엽 및 모과로부터 당업계에 공지된 분쇄 방법을 이용하여 분말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애엽 및 모과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용매 추출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추출용매로는 예를 들어, 물, 에탄올 및 메탄올과 같은 탄소수 1 내지 6개의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n-핵산, 디에틸에테르, 아세톤, 벤젠과 같은 유기용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물, 탄소수 1개 내지 6개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용매로 추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추출용매는 추출물의 사용목적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추출 방법은 상기 용매를 사용하여 냉침, 온침, 가열 등 통상의 추출 방법이 사용 가능하다.
추출시 애엽 및 모과와 용매의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아니하나, 애엽 및 모과 각각에 용매를 중량대비 2배 내지 20배로 첨가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추출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애엽 및 모과 각각에 용매를 중량대비 1배 내지 40배로 첨가할 수 있다. 추출시 온도는 추출성분의 파괴가 일어나지 않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20℃, 더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00℃일 수 있다. 추출시간은 추출온도 및 추출용매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5시간 내지 48시간, 더 바람직하게는 1시간 내지 12시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애엽 및 모과 혼합물은 애엽과 모과가 50~95:5~50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75~95:5~25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일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95:5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일 수 있으나, 해충의 기피효과를 나타내는 범위로 혼합된다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해충은 가정 내 해충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가정 내 해충의 예로는 바퀴벌레, 개미, 모기, 파리, 이 또는 진드기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해충 기피 또는 방제를 위해 사용되는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본 발명의 애엽과 모과 혼합물을 단독으로 포함하거나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애엽과 모과 혼합물 0.001 내지 99.999 중량% 및 담체 99.999 내지 0.001 중량%의 조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음성 대조군에 비해 그 이상의 반응을 나타내는 양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유해 해충을 억제하고 기피하기에 충분한 양을 말한다.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되거나 인간이 접촉할 때, 활성성분의 작용을 저해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 위장 장애, 현기증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비독성의 조성물을 말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다양하게 제형화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다음의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참고로 할 수 있다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1995).
제형의 예에는 오일, 유제, 수-분산가능한 분말, 플로어블제 (flowable agent; 수성 현탁액, 수성 유제 등), 분말, 과립, 에어로졸, 가열된 증기화제 (살충 코일 (insecticide coil), 전기 살충 매트 (matt), 액체-흡수 샤프트 (shaft)를 가진 가열된 살충-증기화제 등), 가열된 훈증제 (자기-연소형 훈증제, 화학-반응형 훈증제, 다공-세라믹판 훈증제 등), 비가열된 증기화제 (수지 증기화제, 함침지 증기화제 등), 분무제 (포깅 (fogging) 등), ULV제 및 유독성 먹이 (poisonous bait)가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해충 기피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해충을 방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방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해충 기피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해충을 방제하는 방법은 본 발명의 조성물 또는 이의 제형을 해충 또는 해충이 서식하는 장소에 적용하여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 또는 이의 제형을 적용하는 방법은 본 발명의 조성물 또는 이의 제형의 형상, 사용 위치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되어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해충은 바퀴벌레, 개미, 모기, 파리, 이 또는 진드기 등의 가정 내 해충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해충 기피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세제, 화장품 및 방향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애엽 및 모과 혼합물이 포함된 해충 기피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세제는 비누, 샴푸, 린스, 클렌징, 전신 세정제, 트리트먼트, 미용액 제품 및 식기 세척 세제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품에는 스킨, 로션, 크림, 에센스, 영양수, 화장수 및 팩과 같은 물질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상기 방향제는 명칭에 상관없이 애엽 및 모과 혼합물의 미세 입자가 공기를 매개하여 해충에게 이동함으로써, 해충의 기피효과를 갖는 물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제품은 인체와 피부에는 우호적인 작용을 하는 반면, 바퀴벌레나 개미 등의 해충에게는 접근을 기피토록 하는 향을 내게 된다.
본 발명의 제품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사용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의 혼합물 이외에 다른 유효성분 또는 부형제를 첨가할 수 있으며, 사용하는 부형제로는 액체 또는 고체 담체 (희석제), 전착제, 유화제, 보습제, 분산제, 점착제, 붕해제 등과 같이 당해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실험동물 관리
실험동물은 독일바퀴벌레와 애집개미 성충을 사용하였다. 독일바퀴벌레 (Blattella germanica)는 대전 유성구 궁동 일대의 식당가에서 채집한 성충을 사용하였다. 포충망을 이용하여 저항성 바퀴벌레 (야외 채집용 바퀴벌레 성충)를 채집한 후 온도 25±2℃, 습도 75±5% 조건에서 사육하였다. 채집한 성충을 보관하는 케이지 (cage) 내부에는 신문지나 과자박스 등을 넣어 서식공간을 만들어 주었고, 현재 시판되고 있는 개 사료를 먹이로 공급하였으며, 시험관에 증류수를 넣고 탈지면으로 입구를 막아 물이 약간씩 스며 나오게 하여 수분을 공급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5~7세대까지 누대사육한 후 우화 (emergence)한 성충을 최종적으로 실험에 사용하였다.
애집개미 (Monomorium pharaonis)는 일반적인 한국의 주택 및 실내에서 주로 서식하는데, 대전 유성구 신성동의 주택가에서 성충을 채집하여 사용하였다. 포충망을 이용하여 애집개미 성충을 채집한 후 온도 27±2℃, 습도 80±5% 조건에서 사육하였다. 채집한 성충을 보관하는 케이지 (cage) 내부에는 신문지나 과자박스 등을 넣어 서식공간을 만들어 주었고, 시중에서 시판되고 있는 젤리를 먹이로 공급하였으며, 시험관에 증류수를 넣고 탈지면으로 입구를 막아 물이 약간씩 스며 나오게 하여 수분을 공급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5~7세대까지 누대사육한 후 우화한 성충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제제의 준비
제제는 국내에서 재배된 애엽 (Artemisia princeps Pamp. var. orientlis Hara), 부자 (Prepared aconite) 및 모과나무 (Chaenomeles sinensis Koebhne)의 열매인 모과 (quince)를 충분히 건조시킨 후 분쇄기를 이용해 분말 형태로 가공하여 단독 또는 혼합 제제로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제제는 애엽 (건조된 일반 쑥) 제제, 애엽과 모과의 혼합 제제, 애엽과 부자의 혼합 제제, 모과 제제 등 총 네 가지 종류로 구성하였다. 애엽 제제와 모과 제제는 애엽 또는 모과 100%로 구성되고, 애엽과 모과의 혼합 제제 및 애엽과 부자의 혼합 제제는 애엽의 함량비를 다르게 하여 구성하였다. 자세한 구성비는 표 1에 제시하였다.
제제별 함량비
구분 애엽 제제 애엽과 모과의 혼합제제 애엽과 부자의
혼합제제
모과 제제
애엽 100% 5% 25% 50% 75% 95% 95% -
모과 - 95% 75% 50% 25% 5% - 100%
부자 - - - - 5% -
본 발명의 애엽은 상기에서 사용한 일반 쑥뿐만 아니라 황해쑥, 산쑥 및 인진쑥 등도 포함한다. 또한, 제제는 분쇄된 분말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당업계에 공지된 용매 추출법으로 추출된 추출물로도 제조될 수 있다.
실시예 3. 실험 상자의 구성 및 실험 방법
제제에 의한 바퀴벌레 또는 개미 성충의 기피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플라스틱으로 된 실험 상자 (50 cm(가로) × 35 cm(세로) × 25 cm(높이))를 준비하였다. 생물검정용 실험 상자의 왼쪽 코너에는 먹이 (바퀴벌레의 경우 개 사료 10개, 개미의 경우 젤리 5개)와 물을 적신 탈지면을 페트리디쉬 (지름 9cm)에 놓았고, 오른쪽 코너에는 왼쪽에 놓은 것과 동일한 페트리디쉬와 제제 (제제별 각 10 g)가 든 페트리디쉬를 함께 놓았다. 그리고 중앙에는 바퀴벌레 또는 개미들이 은신할 수 있는 신문지 뭉치를 배치하였다 (도 1). 이후 바퀴벌레 (성충 20마리) 또는 개미(성충 50마리)를 암수 무작위로 잡아 이산화탄소로 마취시킨 후 실험 상자의 중앙에 놓았다. 바퀴벌레 또는 개미가 마취에서 깨어난 다음 하루에 두 차례씩 각각의 먹이 부근에 있는 개체들과 은신처에 몸을 숨기고 있는 개체들의 수를 3일 동안 측정하였다. 상기 과정을 1회로 간주하여 3회 반복 실시하였다.
실시예 4. 제제별 효능 및 효과
성분에 따른 제제별 바퀴벌레의 기피효과는 먹이만 존재하는 곳으로 이동한 바퀴벌레, 먹이와 제제가 함께 있는 곳으로 이동한 바퀴벌레 및 어느 먹이 쪽으로도 이동하지 않고 실험 상자의 가운데 중립지역에 남아있는 바퀴벌레 성충의 수를 측정함으로써 확인하였다. 네 가지 실험군은 각각 애엽 제제 (애엽 100%), 애엽과 모과의 혼합 제제 (애엽 95% + 모과 5%), 애엽과 부자의 혼합 제제 (애엽 95% + 부자 5%), 모과 제제 (모과 100%)를 대상으로 구성하였다. 각 실험군별 바퀴벌레 기피효과는 표 2 및 도 2 내지 5에 나타내었다.
성분에 따른 제제별 바퀴벌레 기피 효과
실험군(제제) 바퀴벌레 위치 0h 12h 24h 36h 48h 60h 72h
애엽 제제
(애엽 100%)
Control 4 8 19 18 20 20 20
No Choice 14 11 1 2 0 0 0
Treatment 2 1 0 0 0 0 0
애엽과 모과의 혼합제제 (애엽 95% + 모과 5%) Control 19 18 20 20 18 20 20
No Choice 1 2 0 0 2 0 0
Treatment 0 0 0 0 0 0 0
애엽과 부자의 혼합 제제 (애엽 95% + 부자 5%) Control 5 3 7 4 8 10 11
No Choice 11 14 12 12 11 8 7
Treatment 4 3 1 4 1 2 2
모과 제제
(모과 100%)
Control 6 8 11 18 17 18 20
No Choice 11 9 9 2 3 2 0
Treatment 3 3 0 0 0 0 0
Control: 먹이만 있는 곳으로 이동한 바퀴벌레의 수
No Choice: 어느 먹이로도 이동하지 않고 중립지역에 남은 바퀴벌레의 수
Treatment: 먹이와 제제가 함께 있는 곳으로 이동한 바퀴벌레의 수
표 2 및 도 2 내지 5에서 볼 수 있듯이 성분에 따른 제제별 바퀴벌레 기피효과는 애엽과 모과의 혼합 제제 (애엽 95% + 모과 5%)가 가장 우수했고, 그 다음으로 애엽 제제 (애엽 100%), 모과 제제 (모과 100%), 애엽과 부자의 혼합 제제 (애엽 95% + 부자 5%)의 순으로 기피효과를 나타냈다. 애엽 제제 (애엽 100%)와 애엽과 모과의 혼합제제 (애엽 95% + 모과 5%), 애엽과 부자의 혼합제제 (애엽 95% + 부자 5%) 등 세 가지 실험군을 비교해 보면, 전체적으로 애엽이 포함됨으로 인해 바퀴벌레 기피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함께 혼합되는 성분에 따라 기피효과가 변화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애엽 성분과 모과 성분이 혼합될 경우, 애엽으로만 구성된 실험군에 비해 바퀴벌레 기피효과가 더 높게 나타난 반면, 애엽 성분과 부자 성분이 혼합될 경우에는 애엽으로만 구성된 실험군에 비해 바퀴벌레 기피효과가 더 낮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애엽과 모과의 혼합성분으로 구성된 제제가 가장 우수한 바퀴벌레 기피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애엽 제제보다는 낮지만 비교적 우수한 바퀴벌레 기피효과를 나타내는 모과 제제는 애엽 성분과 혼합될 경우 바퀴벌레 기피효과의 상승작용을 유도하는 것으로 예상된다.
실시예 5. 성분 혼합 비율별 효능 및 효과
성분에 따른 제제별 바퀴벌레 기피효과 확인을 통해 애엽과 모과의 혼합제제가 가장 우수한 바퀴벌레 기피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한 이후, 애엽과 모과의 혼합 비율을 달리하여 애엽과 모과 두 가지 성분의 혼합 비율에 따른 바퀴벌레 또는 개미 기피효과를 확인하였다. 혼합 비율에 따른 기피효과는 먹이만 존재하는 곳으로 이동한 바퀴벌레 또는 개미, 먹이와 제제가 함께 있는 곳으로 이동한 바퀴벌레 또는 개미 및 어느 먹이 쪽으로도 이동하지 않고 실험 상자의 가운데 중립지역에 남아있는 바퀴벌레 또는 개미 성충의 수를 측정함으로써 확인하였다. 혼합비율은 다섯 가지로 구성하였는데, 애엽 성분의 비율을 각각 5%, 25%, 50%, 75%, 95%로 조절하고 나머지 함량을 모과 성분으로 혼합한 제제를 대상으로 하였다. 각 성분비율별 바퀴벌레 기피효과는 표 3 및 도 6 내지 10에 나타냈고, 각 성분비율별 개미 기피효과는 표 4 및 도 11 내지 15에 나타내었다.
애엽과 모과의 혼합 비율에 따른 제제별 바퀴벌레 기피 효과
실험군(제제) 바퀴벌레 위치 0h 12h 24h 36h 48h 60h 72h
애엽과 모과의 혼합 제제 (애엽 5% + 모과 95%) Control 7 8 11 17 17 18 20
No Choice 10 9 8 3 3 2 0
Treatment 3 3 1 0 0 0 0
애엽과 모과의 혼합 제제 (애엽 25% + 모과 75%) Control 10 11 14 18 18 19 20
No Choice 8 7 5 2 2 1 0
Treatment 2 2 1 0 0 0 0
애엽과 모과의 혼합 제제 (애엽 50% + 모과 50%) Control 16 17 19 20 20 20 20
No Choice 3 2 1 0 0 0 0
Treatment 1 1 0 0 0 0 0
애엽과 모과의 혼합 제제 (애엽 75% + 모과 25%) Control 17 18 20 20 20 20 20
No Choice 2 2 0 0 0 0 0
Treatment 1 0 0 0 0 0 0
애엽과 모과의 혼합 제제 (애엽 95% + 모과 5%) Control 18 18 20 20 20 20 20
No Choice 2 2 0 0 0 0 0
Treatment 0 0 0 0 0 0 0
Control: 먹이만 있는 곳으로 이동한 바퀴벌레의 수
No Choice: 어느 먹이로도 이동하지 않고 중립지역에 남은 바퀴벌레의 수
Treatment: 먹이와 제제가 함께 있는 곳으로 이동한 바퀴벌레의 수
표 3과 도 6 내지 10에서 볼 수 있듯이, 애엽과 모과를 혼합한 5가지 제제의 바퀴벌레 기피효과는 전체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애엽 성분이 많이 포함될수록 더 높은 바퀴벌레 기피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애엽 성분이 적어지고 모과 성분이 많아질수록 제제와 먹이가 함께 있는 곳으로 이동한 바퀴벌레 수의 변화보다는 어느 쪽으로도 이동하지 않고 중립지역에 존재하는 바퀴벌레 수가 증가하는 것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결과는 애엽 성분과 모과 성분의 혼합으로 인한 상승효과에 의해 나타나는 것으로 파악된다. 즉, 애엽 성분이 기본적인 바퀴벌레 기피효과를 나타내는 가운데 모과 성분의 혼합이 바퀴벌레 기피효과에 상승작용을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과를 통해 바퀴벌레 기피효과가 나타나는 애엽 성분과 모과 성분의 적정 혼합 비율은 애엽 성분의 경우, 50% 내지 95%, 모과 성분의 경우, 5% 내지 50%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다.
바퀴벌레 이외에 대표적인 가정 내 해충인 개미에 대한 제제의 기피효과를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애엽과 모과 혼합물의 제제별 개미 기피 효과
실험군(제제) 개미 위치 0h 12h 24h 36h 48h 60h 72h
애엽과 모과의 혼합 제제 (애엽 5% + 모과 95%) Control 18 23 29 39 40 44 48
No Choice 25 20 18 8 8 5 1
Treatment 7 7 3 3 2 1 1
애엽과 모과의 혼합 제제 (애엽 25% + 모과 75%) Control 25 27 34 44 45 48 50
No Choice 19 18 13 5 5 2 0
Treatment 6 5 3 1 0 0 0
애엽과 모과의 혼합 제제 (애엽 50% + 모과 50%) Control 39 42 46 50 50 50 50
No Choice 8 5 2 0 0 0 0
Treatment 3 3 2 0 0 0 0
애엽과 모과의 혼합 제제 (애엽 75% + 모과 25%) Control 42 43 49 50 50 50 50
No Choice 5 5 0 0 0 0 0
Treatment 3 2 1 0 0 0 0
애엽과 모과의 혼합 제제 (애엽 95% + 모과 5%) Control 44 46 50 50 50 50 50
No Choice 4 3 0 0 0 0 0
Treatment 2 1 0 0 0 0 0
Control: 먹이만 있는 곳으로 이동한 개미의 수
No Choice: 어느 먹이로도 이동하지 않고 중립지역에 남은 개미의 수
Treatment: 먹이와 제제가 함께 있는 곳으로 이동한 개미의 수
표 4와 도 11 내지 15에서 볼 수 있듯이, 애엽과 모과를 혼합한 5가지 제제의 개미 기피효과는 전체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모과 성분보다는 애엽 성분이 많이 포함될수록 더 높은 개미 기피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개미 기피효과는 바퀴벌레 기피효과와 유사한 양상을 나타냈는데, 애엽 성분을 기본으로 모과 성분이 혼합되면서 일정한 상승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파악된다. 즉, 애엽 성분이 기본적인 개미 기피효과를 나타내는 가운데 모과 성분의 혼합이 개미 기피효과에 상승작용을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상기 결과를 통해 개미 기피효과가 나타나는 애엽 성분과 모과 성분의 적정 혼합 비율은 바퀴벌레의 결과와 같이 애엽 성분의 경우, 50% 내지 95%, 모과 성분의 경우, 5% 내지 50%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바퀴벌레 및 개미 기피효과 확인 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바퀴벌레 또는 개미는 시험시간 초반에 비해 시험시간 중반 이후부터 제제와 함께 있는 먹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수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애엽과 모과의 혼합성분으로부터 발생하는 기피물질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해충에게 더 강한 기피반응을 유도하기 때문인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애엽 성분의 함량이 높아질수록 중립지역에 남아 있는 바퀴벌레 또는 개미의 수가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바퀴벌레 또는 개미의 기피효과를 나타내는 주요 작용이 애엽 성분으로부터 발생하고, 모과 성분이 기피효과를 상승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인 것으로 예측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쑥 (Artemisia princeps Pamp. var. orientlis Hara) 이외의 산쑥 또는 인진쑥 건조 분말과 모과 건조 분말을 혼합하여 제조한 해충 기피용 조성물도 쑥과 모과를 혼합한 조성물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또한, 쑥 추출물과 모과 추출물을 혼합하여 제조한 해충 기피용 조성물도 쑥과 모과 분말이 혼합된 조성물과 유사한 바퀴벌레 기피효과를 나타냈다 (데이터 미제시).

Claims (10)

  1. 애엽 (Artemisia sp.)과 모과 (quince)가 50~95:5~50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해충 기피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엽은 쑥 (Artemisia princeps Pamp. var. orientlis Hara), 비쑥 (A. scoparia), 물쑥 (A. selengensis TURCZ.), 산쑥 (A. montana Pampani), 사철쑥 (A. capillaris), 황해쑥 (A. argyi Lev. et Sav.), 인진쑥 (A. iwayomogi kitamura), 뺑쑥 (A. feddei Lev. et Van.), 덤불쑥 (A. rubripes Nakai) 또는 참쑥 (A. lavandulaefolia D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기피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애엽 및 모과 건조 분말 혼합물 또는 애엽 및 모과 추출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기피용 조성물.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충은 가정 내 해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기피용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정 내 해충은 바퀴벌레, 개미, 모기, 파리, 이 또는 진드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기피용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해충 기피용 조성물을 해충 또는 해충이 서식하는 장소에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방제 방법.
  8.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해충 기피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세제.
  9.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해충 기피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10.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해충 기피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방향제.
KR1020130031432A 2013-03-25 2013-03-25 애엽 및 모과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해충 기피용 조성물 KR101288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1432A KR101288334B1 (ko) 2013-03-25 2013-03-25 애엽 및 모과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해충 기피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1432A KR101288334B1 (ko) 2013-03-25 2013-03-25 애엽 및 모과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해충 기피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8334B1 true KR101288334B1 (ko) 2013-07-22

Family

ID=48997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1432A KR101288334B1 (ko) 2013-03-25 2013-03-25 애엽 및 모과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해충 기피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833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8142A (ko) 2014-09-03 2016-03-11 (주)마이크로자임 효모 발효액을 이용한 해충 유인제
KR20190087688A (ko) * 2018-01-15 2019-07-25 김찬승 악취제거 및 모기퇴치 기능을 갖는 무소성 담체 및 그 제조 방법
CN110915829A (zh) * 2018-09-20 2020-03-27 馆陶县科学技术局 一种用于驱赶蚊虫的艾叶香包
CN110959636A (zh) * 2019-07-08 2020-04-07 亳州中量万峰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中药量子杀菌剂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0658A (ko) * 2006-05-15 2007-11-20 조점화 천연 생약 원료성분으로 제공되는 곤충기피 훈향제
KR20080080714A (ko) * 2007-03-02 2008-09-05 최완정 피부 미용을 위한 영양 팩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112460A (ko) * 2009-04-09 2010-10-19 박성희 해충의 살충 및 기피 작용을 갖는 혼합 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제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0658A (ko) * 2006-05-15 2007-11-20 조점화 천연 생약 원료성분으로 제공되는 곤충기피 훈향제
KR20080080714A (ko) * 2007-03-02 2008-09-05 최완정 피부 미용을 위한 영양 팩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112460A (ko) * 2009-04-09 2010-10-19 박성희 해충의 살충 및 기피 작용을 갖는 혼합 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제품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8142A (ko) 2014-09-03 2016-03-11 (주)마이크로자임 효모 발효액을 이용한 해충 유인제
KR20190087688A (ko) * 2018-01-15 2019-07-25 김찬승 악취제거 및 모기퇴치 기능을 갖는 무소성 담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2154388B1 (ko) 2018-01-15 2020-09-21 김찬승 악취제거 및 모기퇴치 기능을 갖는 무소성 담체 및 그 제조 방법
CN110915829A (zh) * 2018-09-20 2020-03-27 馆陶县科学技术局 一种用于驱赶蚊虫的艾叶香包
CN110959636A (zh) * 2019-07-08 2020-04-07 亳州中量万峰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中药量子杀菌剂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4406B1 (ko) 닭진드기 방제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닭진드기를 방제하는 방법
US20150216182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he attraction and repulsion of insects
Oyedokun et al. Pesticidal efficacy of three tropical herbal plants' leaf extracts against Macrotermes bellicosus, an emerging pest of cocoa, Theobroma cacao L.
JP7008140B2 (ja) 殺ダニ剤及びその応用
Naseem et al. Mosquito management: A review
KR20160079371A (ko) 동물 기피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20170215432A1 (en) Synergized plant extract/essential oil blend comprising basil oil
KR101288334B1 (ko) 애엽 및 모과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해충 기피용 조성물
AU2019231662B2 (en) Insect repellent and insecticide
CN106726871A (zh) 青蒿驱蚊止痒花露水及其制备方法
US10226050B2 (en) Synergistic composition of geranium oil with other essential oils for bedbug control
US10959428B2 (en) Hematophagous arthropod repellent composition
KR101482764B1 (ko)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천연 살충제 조성물
CN110100846A (zh) 一种可以诱杀螨虫的制作方法
KR101400713B1 (ko) 살충성 정유 및(또는) 식물첨가물을 함유한 살충성 조성물
KR101692667B1 (ko) 모기 기피 효과를 갖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조성물, 그리고 그것을 이용한 수성 도료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수성 도료
KR101632246B1 (ko) 제충국 꽃 파우더 또는 슬러지를 이용한 살충 고형제 및 그 제조방법
ES2393776T3 (es) Repelente contra artrópodos que comprende extractos y/o partes de la planta Vitex agnus-castus
KR102323497B1 (ko) 해충 기피제 조성물
KR20140084596A (ko) 제충국 꽃 파우더 또는 슬러지를 이용한 살충 고형제
KR102119631B1 (ko) 제충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친환경 파리 살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4938530A (zh) 一种植物源电热蚊香片增效剂及其电热蚊香片
KR101798425B1 (ko) 디카페탈룸 모라레시 프란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살충용 조성물
KR102568335B1 (ko) 식물성 성분을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흰줄숲모기 및 작은소피참진드기 기피제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513201B1 (ko) 살충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