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7138B1 - 트로카 - Google Patents

트로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7138B1
KR101287138B1 KR1020110057879A KR20110057879A KR101287138B1 KR 101287138 B1 KR101287138 B1 KR 101287138B1 KR 1020110057879 A KR1020110057879 A KR 1020110057879A KR 20110057879 A KR20110057879 A KR 20110057879A KR 101287138 B1 KR101287138 B1 KR 101287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ocar
switch
support
surgical instrument
support r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7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8414A (ko
Inventor
김영우
김광기
김유신
정현철
Original Assignee
국립암센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립암센터 filed Critical 국립암센터
Priority to KR1020110057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7138B1/ko
Publication of KR20120138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8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7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7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61B17/3423Access ports, e.g. toroid shape introducers for instruments or h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93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with ring member to support retracto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61B17/3423Access ports, e.g. toroid shape introducers for instruments or hands
    • A61B2017/3427Access ports, e.g. toroid shape introducers for instruments or hands for intercostal sp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2017/348Means for supporting the trocar against the body or retaining the trocar inside the body
    • A61B2017/3482Means for supporting the trocar against the body or retaining the trocar inside the body inside
    • A61B2017/3484Anchoring means, e.g. spreading-out umbrella-like 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트로카는 수술부위에 삽입되며, 내부에는 상기 수술부위를 시술하기 위한 수술기구를 안내하는 투관과, 상기 투관과 연결되며 상기 수술기구가 드나드는 포트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수술기구가 상기 포트를 통해 상기 몸체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몸체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몸체를 상기 수술부위의 복벽에 지지하는 지지림을 포함하며,
본 발명에 따른 트로카는 수술기구가 트로카에서 이탈하면 지지대가 돌출되어 복벽에 트로카를 지지하고, 수술기구가 트로카 내로 진입하면 지지대가 접혀 수술에 방해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시술자가 수술 도중 수술기구를 교체할 때에 트로카를 고정하기 위해 트로카를 파지하고 있지 않아도 되므로 안정적이고 편리하게 수술기구를 교체할 수 있다.

Description

트로카 {TROCAR}
본 발명은 트로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복강경이나 흉강경 시술 시 수술기구를 삽입할 수 있게 하는 트로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 치료를 위한 기존의 개복 절개 수술의 경우, 절개 부위가 크고 수술 시 발생하는 출혈량이 커서 수술 이후의 환자 회복이 더디고, 수술 후 커다란 흉터가 남게 되어 환자의 수술 이후 생활에도 지장을 주게 된다. 이와 같은 개복 절개 수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최소 침습 수술(Minimal Invasive Surgery; MIS) 기법들이 개발되었다.
최소 침습 수술은 수술을 위해 필요한 절개 부위를 최소화하기 위해 특별히 고안된 가늘고 긴 수술 도구를 써서 환자의 신체에 최소한의 부위만을 절개하여 시술하는 수술 기법이다. 이러한 최소 침습 수술은 시술을 위해 무흉터 수술은 필요한 절개 부위가 적고 시술 시 출혈량이 개복 수술에 비해 현저히 적으므로, 수술 후 환자의 회복 기간이 빠르고 외부로 드러나는 흉터가 작다는 장점이 있어, 최근 그 시술 건수가 현저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최소 침습 시술을 위해 배나 가슴에 복강경이나 흉강경의 작은 구멍을 뚫고 수술부위로 수술기구를 진입시키는 트로카가 주로 이용된다.
그러나 트로카를 복강경이나 흉강경에 삽입한 채 수술기구를 교체하는 경우, 시술자는 트로카를 한 손으로 지지한 채 수술기구를 교체하여야 하므로 시술자는 복강경이나 흉강경에 삽입된 트로카의 고정여부와 수술기구의 교체에 대해 모두 주의를 기울여야하는 불편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술기구의 교체 시에, 수술기구가 트로카에서 이탈되면 복벽에 지지되어, 시술자가 별도로 트로카를 지지할 필요가 없는 트로카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트로카는 수술부위에 삽입되며, 내부에는 상기 수술부위를 시술하기 위한 수술기구를 안내하는 투관과, 상기 투관과 연결되며 상기 수술기구가 드나드는 포트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수술기구가 상기 포트를 통해 상기 몸체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몸체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몸체를 상기 수술부위의 복벽에 지지하는 지지림을 포함한다.
또는 상기 지지림은 상기 수술기구가 상기 포트를 통해 상기 몸체로 진입하면 상기 몸체 측으로 당겨질 수 있다.
또는 상기 몸체 내부에는 상기 지지림과 동기구동 되는 스위치가 구비되며, 상기 수술기구는 상기 몸체로부터 이탈되면서 상기 스위치를 이동시켜 상기 지지림이 상기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몸체 내부에는 상기 스위치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스위치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이동제한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이동제한부는 상기 이동제한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가 위치하는 스위치가이드공간과, 상기 이동제한부의 일단에 상기 스위치가이드공간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턱과, 상기 이동제한부의 타단에 형성되는 개방홀을 구비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스위치는 상기 이동제한부의 일단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지지턱에 의해 지지되며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스위치는 상기 이동제한부의 타단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개방홀을 지나며 상기 개방홀 외측으로 확개되며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스위치가 상기 지지턱 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지지림은 상기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스위치가 상기 개방홀 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지지림은 상기 몸체 측으로 당겨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스위치와 상기 지지림 사이에는 상기 스위치의 이동거리만큼 상기 지지림을 이동시키는 연결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스위치의 일단에는 상기 연결부재가 결합되는 연결구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수술기구의 일단을 지지하는 걸림단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걸림단은 상기 개방홀을 통과하며 상기 개방홀의 외측으로 확개되며 상기 수술기구와 분리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지지림의 일측에는 상기 지지림을 지지하고 상기 지지림의 돌출 방향을 안내하는 지지바가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몸체의 하부에는 상기 지지바를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며 상기 지지바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수용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수용부 내에는 상기 지지바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몸체로부터 이탈하는 상기 수술기구에 의해 팽창하며 상기 지지바 및 상기 지지림을 상기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몸체 내로 진입하는 상기 수술기구에 의해 압축되며 상기 지지바 및 상기 지지림을 상기 몸체 측으로 당길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트로카는 수술기구가 트로카에서 이탈하면 지지대가 돌출되어 복벽에 트로카를 지지하고, 수술기구가 트로카 내로 진입하면 지지대가 접혀 수술에 방해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시술자가 수술 도중 수술기구를 교체할 때에 트로카를 고정하기 위해 트로카를 파지하고 있지 않아도 되므로 안정적이고 편리하게 수술기구를 교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로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로카의 몸체 내부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로카의 스위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로카의 지지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로카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과장되게 표현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며,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로 표시된 요소는 동일 요소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로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로카의 몸체 내부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로카(1000)는 수술부위로 삽입되는 투관(100)과, 투관(100)의 일단에 구비되는 몸체(200), 그리고 몸체(200)를 수술부위의 복벽에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30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관(100)은 내부에는 가이드관(110)이 형성되어 수술기구(A)가 가이드관(110)을 통해 수술부위에 접근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몸체(200)의 일단에는 수술기구(A)가 드나드는 포트(210)가 형성될 수 있다. 포트(210)는 투관(100)에 형성된 가이드관(110)과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수술기구(A)가 포트(210)로 삽입되어 가이드관(110)으로 진입하고, 가이드관(110)으로부터 포트(210)를 통해 트로카(1000)에서 이탈되도록 할 수 있다.
몸체(200)의 내부에는 포트(210)와 투관(100) 사이에 위치하여, 수술기구(A)의 이탈 또는 진입에 따라 지지부(300)를 몸체(200)의 외측으로 돌출하거나 몸체(200) 측으로 당기는 지지작동부(40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작동부(400)는 스위치(440), 스위치(440)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이동제한부(430), 지지부(300)와 스위치(44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410)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440)는 일단에 연결부재(410)와 연결되는 연결구(443)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수술기구의 단부와 접촉하는 걸림단(441)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구(443)는 걸림단(441)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연결바(442)에 형성될 수 있다.
스위치(440)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수술기구(A)의 단부가 복수 개의 걸림단(441)에 의해 지지되도록 복수 개의 스위치(440)는 환형으로 배치되어 걸림단(441)이 서로 인접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동제한부(430)는 중앙부에 스위치(440)가 이동할 수 있는 스위치가이드공간(433)을 구비할 수 있다. 스위치가이드공간(433)은 몸체(200)의 일단에 형성된 포트(210)와 투관(100)에 형성된 가이드관(110)과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스위치(440)는 스위치가이드공간(433)의 내측에 위치하며, 복수 개의 스위치(440)는 각 스위치(440)의 걸림단(441)이 스위치가이드공간(433)의 중앙에 인접하여 위치하도록 환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동제한부(430)의 일단에는 스위치가이드공간(433)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지지턱(431)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동제한부(430)의 타단에는 개방홀(43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제한부(430)의 타단에는 개방홀(432)과 연결된 스위치확개공간(450)이 구비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로카의 스위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440)가 이동제한부(430)의 일단 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스위치(440)는 지지턱(431)에 의해 지지되어 스위치가이드공간(433) 밖으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440)가 수술기구(A)에 의해 이동제한부(430)의 타단 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걸림단(441)이 개방홀(432)을 지나면서걸림단(441)이 개방홀(432)의 외측으로 확개됨으로 수술기구(A)와 분리되어 더 이상 걸림단(441)에 의해 지지되지 않고 수술기구(A)는 투관(100)의 가이드관(110)을 향해 진입하고, 스위치(440)는 수술기구(A)와 분리되어 이동을 멈추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로카의 지지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00)의 외측 하부에는 지지부(300)가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300)는 복수 개의 지지림(310)과 각 지지림(310)에서 연장되는 지지바(320)와 지지바(320)를 수용하는 수용플레이트(340)를 구비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지지림(310)은 모여서 하나의 원을 형성할 수 있도록 각 지지림(310)은 원호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수용플레이트(340)는 스위치확개공간(45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수용플레이트(340)의 일면에는 지지바(320) 각각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330)가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330)는 지지바(320)의 일부 또는 전체를 수용하여 지지바(320)가 지지림(310)과 함께 수용부(330)에 의해 안내되며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수용부(330) 내에는 지지바(320)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350)가 구비될 수 있다. 탄성부재(350)는 지지바(320)가 수용부(330) 내부로 수용됨에 따라 압축되었다가, 압축력이 해제되면 탄성부재(350)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바(320)가 수용부(330)의 출구 측으로 이동하고, 그에 따라 지지림(310)이 몸체(20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한편 지지바(320)와 스위치(440)는 서로 연결부재(41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도 3A 참고) 연결부재(410)는 스위치(440)의 이동이 지지바(320)의 이동으로 전달되고, 지지바(320)의 이동이 스위치(440)의 이동으로 전달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와이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동제한부(430)의 일면에는 연결부재(410)의 이탈을 방지하는 연결부재 지지유닛(420)이 설치될 수 있다. 연결부재 지지유닛(420)에는 연결부재(410)가 지나는 지지유닛 관통홀(421, 도 3A 참고)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턱(431)에도 지지유닛 관통홀(421)과 연통되는 지지턱 관통홀(434, 도 3A 참고)이 형성되고 수용부에도 수용부 관통홀(341)이 형성되어 연결부재(410)가 지지바(320)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수술기구(A)가 포트(210)로 진입하여 스위치(440)의 걸림단(441)과 접하고, 수술기구(A)가 진입하는 힘에 의해 스위치(440)를 개방홀(432) 측으로 밀어 이동시킴에 따라 연결부재(410)는 스위치(440)의 이동량 만큼 지지바(320) 및 지지림(310)을 몸체(200) 측으로 당기며 탄성부재(350)를 압축시키게 된다.
반대로 수술기구(A)가 트로카(1000)로부터 이탈하기 위해 투관(100)의 가이드관(110)으로부터 포트(210)로 이동할 때에는 탄성부재(350)의 탄성력에 의해 스위치(440)의 걸림단(441)이 수술기구(A)의 단부에 접한 채 수술기구(A)를 따라 지지턱(431) 측으로 이동한다. 스위치(440)가 지지턱(431) 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연결부재(410)는 스위치(440)의 이동량 만큼 지지바(320) 및 지지림(310)을 몸체(200)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로카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로카의 초기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로카(1000)는 초기상태에서 탄성부재(350)는 팽창된 상태로 수용부(330) 내에 존재하게 되고, 지지바(320) 및 지지림(310)은 몸체(20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위치된다.
동시에 스위치(440)는 이동제한부(430)의 지지턱(431)에 접하여 위치된다.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로카에 수술기구가 진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술기구(A)는 포트(210)를 통해 스위치(440)가 위치하는 스위치가이드공간(433) 내로 진입하여 스위치(440)의 걸림단(441)에 접하게 된다. 시술자가 수술기구(A)를 투관(100)의 가이드관(110)을 향해 밀어넣는 힘에 의해 수술기구(A)는 스위치(440)와 함께 개방홀(432)을 향해 이동한다.
스위치(440)가 이동함에 따라 스위치(440)와 연결부재(410)에 의해 연결된 지지바(320)는 수용부(330)로 점차 수용되고 지지림(310)도 몸체(200) 측으로 당겨지게 된다. 동시에 탄성부재(350)는 점차 압축되게 된다.
걸림단(441)은 개방홀(432)을 지나면서 스위치확개공간(450)에서 개방홀(432)의 외측으로 확개되어 스위치(440)의 이동이 멈추게 되고, 수술기구(A)는 스위치확개공간(450)을 지나 투관(100)의 가이드관(110)으로 진입하고 수술부위로 접근할 수 있다.
걸림단(441)이 확개되며 스위치(440)의 이동이 멈춤에 따라 지지바(320) 및 지지림(310)도 이동을 멈추고 더 이상 몸체(200) 측으로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로카에 수술기구가 이탈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술기구(A)를 트로카(1000)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해 수술기구(A)를 포트(210)를 향해 이동시키고, 수술기구(A)가 스위치가이드공간(433) 내로 진입하게 되면, 탄성부재(350)를 압축하고 있는 힘이 해제되며 탄성부재(350)를 팽창시킨다.
탄성부재(350)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바(320) 및 지지림(310)은 몸체(200)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이동하고, 이는 스위치(440)를 이동제한부(430)의 지지턱(431)을 향해 이동하게 한다. 걸림단(441)은 다시 스위치가이드공간(433) 내로 이동하며 수술기구(A)의 단부에 접하게 되고, 스위치(440)는 수술기구(A)와 함께 이동한다.
스위치(440)가 지지턱(431)에 접하면 스위치(440)와 지지바(320) 및 지지림(310)은 이동을 멈추게 되고, 수술기구(A)는 포트(210)를 통해 트로카(1000)에서 이탈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시술 도중 수술기구(A)를 교환함에 있어 수술기구(A)가 트로카(1000)에서 이탈하는 경우 지지림(310)이 몸체(200) 외측으로 돌출되어 수술부위의 복벽에 접하며 몸체(200)를 지지하여, 트로카(1000)를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시술자는 수술기구(A)의 교환 중에 트로카(1000)를 고정하기 위해 트로카(1000)를 파지하지 않아도 되므로 안정적으로 편리하게 수술기구(A)를 교환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0: 트로카 100:투관
110: 가이드관 200: 몸체
210: 포트 300: 지지부
310: 지지림 320: 지지바
330: 수용부 340: 수용플레이트
341: 수용부 관통홀 350: 탄성부재
400: 지지작동부 410: 연결부재
420: 연결부재 지지유닛 421: 지지유닛 관통홀
430: 이동제한부 431: 지지턱
432: 개방홀 433: 스위치가이드공간
440: 스위치 441: 걸림단
442: 연결바 443: 연결구
450: 스위치확개공간 A: 수술기구

Claims (17)

  1. 수술부위에 삽입되며, 내부에는 상기 수술부위를 시술하기 위한 수술기구를 안내하는 투관;
    상기 투관과 연결되며 상기 수술기구가 드나드는 포트가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수술기구가 상기 포트를 통해 상기 몸체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몸체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몸체를 상기 수술부위의 복벽에 지지하는 지지림을 포함하는 트로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림은 상기 수술기구가 상기 포트를 통해 상기 몸체로 진입하면 상기 몸체 측으로 당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로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내부에는 상기 지지림과 동기구동 되는 스위치가 구비되며, 상기 수술기구는 상기 몸체로부터 이탈되면서 상기 스위치를 이동시켜 상기 지지림이 상기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로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내부에는 상기 스위치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스위치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이동제한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로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제한부는 상기 이동제한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가 위치하는 스위치가이드공간과, 상기 이동제한부의 일단에 상기 스위치가이드공간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턱과, 상기 이동제한부의 타단에 형성되는 개방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로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이동제한부의 일단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지지턱에 의해 지지되며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로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이동제한부의 타단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개방홀을 지나며 상기 개방홀 외측으로 확개되며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로카.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가 상기 지지턱 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지지림은 상기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로카.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가 상기 개방홀 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지지림은 상기 몸체 측으로 당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로카.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와 상기 지지림 사이에는 상기 스위치의 이동거리만큼 상기 지지림을 이동시키는 연결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로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의 일단에는 상기 연결부재가 결합되는 연결구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수술기구의 일단을 지지하는 걸림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로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단은 상기 개방홀을 통과하며 상기 개방홀의 외측으로 확개되며 상기 수술기구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로카.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림의 일측에는 상기 지지림을 지지하고 상기 지지림의 돌출 방향을 안내하는 지지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로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하부에는 상기 지지바를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며 상기 지지바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수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로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 내에는 상기 지지바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로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몸체로부터 이탈하는 상기 수술기구에 의해 팽창하며 상기 지지바 및 상기 지지림을 상기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로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몸체 내로 진입하는 상기 수술기구에 의해 압축되며 상기 지지바 및 상기 지지림을 상기 몸체 측으로 당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로카.
KR1020110057879A 2011-06-15 2011-06-15 트로카 KR101287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7879A KR101287138B1 (ko) 2011-06-15 2011-06-15 트로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7879A KR101287138B1 (ko) 2011-06-15 2011-06-15 트로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8414A KR20120138414A (ko) 2012-12-26
KR101287138B1 true KR101287138B1 (ko) 2013-07-17

Family

ID=47905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7879A KR101287138B1 (ko) 2011-06-15 2011-06-15 트로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71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37727B2 (en) 2020-03-13 2022-05-24 Xpan Inc. Radially expandable cannula devices, and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them
US11576700B2 (en) 2017-09-06 2023-02-14 Xpan Inc. Radially expandable cannula systems and methods for us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09913A1 (en) 2007-03-14 2009-08-20 Elenor S.R.L. Trocar for thoracic surgery
US20090318866A1 (en) 2005-04-29 2009-12-24 Danilo Ferrari Radially expandable anchorage guide for trocars
JP2010188123A (ja) 2009-02-17 2010-09-02 Tyco Healthcare Group Lp フィラメント起動部材を用いるポート固定
US7833200B2 (en) 2008-06-27 2010-11-16 Tyco Healthcare Group Lp Trocar assembly with radially moveable hous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318866A1 (en) 2005-04-29 2009-12-24 Danilo Ferrari Radially expandable anchorage guide for trocars
US20090209913A1 (en) 2007-03-14 2009-08-20 Elenor S.R.L. Trocar for thoracic surgery
US7833200B2 (en) 2008-06-27 2010-11-16 Tyco Healthcare Group Lp Trocar assembly with radially moveable housing
JP2010188123A (ja) 2009-02-17 2010-09-02 Tyco Healthcare Group Lp フィラメント起動部材を用いるポート固定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76700B2 (en) 2017-09-06 2023-02-14 Xpan Inc. Radially expandable cannula systems and methods for use
US11337727B2 (en) 2020-03-13 2022-05-24 Xpan Inc. Radially expandable cannula devices, and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th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8414A (ko) 2012-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58421B2 (en) Modular surgical stapling system comprising a display
CN107106172B (zh) 包括柔性关节运动***的外科器械组件
EP3225192A1 (en) Circular stapling system comprising an incisable tissue support
KR20220002935A (ko) 겸자 구동 샤프트
KR101287138B1 (ko) 트로카
KR20110138696A (ko) 싱글 포트 수술용 트로카
KR100944411B1 (ko) 복강경 수술용 봉합 기구, 이의 사용 방법 및 이를 사용하기 위한 캐비넷
KR101027561B1 (ko) 튜브분리형 내시경 수술도구 가이더
CN109276280A (zh) 戳卡装置卡紧机构
KR101066770B1 (ko) 수술도구 가이더포트용 가스배출밸브
JP2019515714A (ja) 組織の選択的切断を提供するように構成されている外科用ステープル留めシステム
KR101331371B1 (ko) 수술도구 가이더포트용 도구진입관
CN109276281A (zh) 戳卡装置卡紧机构
KR20160040812A (ko) 수술 도구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수술 로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