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3914B1 - 선형 진동발생기 - Google Patents

선형 진동발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3914B1
KR101283914B1 KR1020110113633A KR20110113633A KR101283914B1 KR 101283914 B1 KR101283914 B1 KR 101283914B1 KR 1020110113633 A KR1020110113633 A KR 1020110113633A KR 20110113633 A KR20110113633 A KR 20110113633A KR 101283914 B1 KR101283914 B1 KR 101283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or
coil
spring
base
vibration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3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8653A (ko
Inventor
최천
Original Assignee
자화전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화전자(주) filed Critical 자화전자(주)
Priority to KR1020110113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3914B1/ko
Publication of KR20130048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8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3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3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0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 H02K33/1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wherein the alternate energisation and de-energisation of the single coil system is effected or controlled by movement of the arma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081Magnetic constru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4Means for supporting or protecting brushes or brush holders
    • H02K5/143Means for supporting or protecting brushes or brush holders for cooperation with commut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081Magnetic constructions
    • H01F2007/083External yoke surrounding the coil bobbin, e.g. made of bent magnetic she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형으로 진동할 수 있는 탄성 구조체를 공진주파수 부근에서 진동을 발생하게 하는 선형 진동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코일, 중량체로 진동자를 이루고, 케이스와 베이스로 고정자 외곽을 이루며, 상기 케이스 또는 베이스 내측 중앙부에 결합되는 마그네트와 상기 마그네트 다른 면에 평면 요크를 결합하여 고정자를 구성하고, 스프링을 진동자와 고정자에 연결하되 스프링 내부를 속이 빈 원통 형상으로 하고 그 내부에 코일을 결합하고 외부에 중량체를 결합하는 구조로 하여 진동자의 선형 운동을 지지하게 하고, 일 측은 베이스에 부착되고 일 측은 진동자에 부착된 유연한 인쇄회로기판을 통해 코일에 전류를 인가하는 선형 진동 발생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선형 진동발생기 {Linear Type Vibrator}
본 발명은 선형 진동발생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탄성체에 의해 지지되는 코일을 포함하는 피가진(加振) 중량체를 공진 주파수 부근에서 진동 시키는 선형진동 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여러 응용 사례가 있을 수 있으나 최근에 용도가 증가하고 있는 휴대폰이나 태블릿컴퓨터, 게임기 등에 사용되는 진동 발생용 사례로 설명을 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최근 통신기술 발달과 함께 대중들에게 가장 널리 보급된 것들 중에 잘 알려진 것들은 휴대폰, 태블릿컴퓨터, 게임기 등이다. 이러한 기기들은 그 크기가 갈수록 작아져 휴대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언제 어디서나 음성 및 데이터 입출력할 수 있기 때문에 필수 휴대품으로서 자리를 굳혀가고 있다. 요즘은 공공 에티켓으로 진동 기능이 필수로 되었을 뿐 아니라 터치형으로 전화번호와 같은 데이터를 입력할 때나 게임을 할 때에도 진동 기능을 이용하는 것들이 제공되고 있다. 또, 일반 게임기능에서도 총을 쏘거나 스포츠 게임에서 공을 칠 때 등의 경우에 진동을 발생시켜 게임자가 보다 실감나게 게임을 할 수 있는 기능도 제공하고 있다. 이런 경우 보통 진동을 발생하는 모터를 채용하는데 이와 같이 다양한 경우에 진동 기능을 사용하게 됨으로써 진동 발생기의 사용 빈도가 증가하게 되어 모터에 대해 장수명화, 높은 신뢰성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종래의 브러시를 사용하는 회전형의 진동 모터로는 브러시 및 정류자와 같은 접점부품의 마모를 수반하여 기술적으로 긴 수명을 보장하기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응의 한 방법으로 선형 진동발생기가 등장하였다.
도 1은 종래의 회전형 진동발생기의 단면도이다. 종래의 평편형 진동발생기는 크게 고정부재인 고정자와 회전 부재인 회전자로 이루어진다. 즉, 원형의 평판인 베이스(1)의 상부 면으로 하부기판(6)이 결합되고, 이 하부기판(6)의 상부에는 외부의 전원과 연결되는 리드와이어(4a,4b), 리더와이어의 끝단 도체선(5a,5b),브러시(7a,7b)가 전기적으로 도통 연결되게 결합되고, 또, 동심원을 갖는 와셔형상의 마그네트(16)가 결합된다. 베이스(1)의 상부 중심에는 샤프트(2)가 조립되며 샤프트(2)를 중심으로 베이스(1) 반대 면에 케이스(3)가 조립되어 베이스(1)와 케이스(3)에 의해서 전체적인 외곽 구조를 구성한다. 샤프트(2)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회전자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의 회전자는 상부기판(8)을 중심으로 한 측면에 정류자(9)가 기판의 패턴으로 구성되고 반대 면에 동(구리)선으로 권선한 권선 코일(10) 2개를 결합하고 2개의 권선 코일(10) 사이에 중량체(12)를 결합하고 중심에 베어링(13)을 배치한 상태에서 수지 절연물(11)로서 통상 사출을 통해 몰딩 되어 기구적으로 일체화되어 진다. 회전자가 회전시에 베이스(1)이나 케이스(3)에 의한 접촉부의 회전저항을 적게 하기 위해 마찰저항이 적은 재질로 만든 상부 와셔(14), 하부와셔(15)를 추가하기도 한다. 전류의 흐름을 따라서 설명을 하면, 외부의 전류가 리드와이어(4a,4b)에 인가되고 이 전류는 하부기판(6)의 패턴을 따라 브러시(7a,7b)로 흐른 후 회전자의 상부기판(8)의 한쪽면의 정류자(9)에 이른 후 상부기판(8)의 패턴을 따라 권선 코일(10)에 이르러 권선 코일(10) 내부를 흘러 전자기력을 발생하여 전자석 기능을 하게 되어 베이스(1) 상부에 위치하고 권선 코일(10)과 면대항하게 배치된 마그네트(16)와 상호 작용을 하여 회전력을 발생하게 된다.
이 회전자는 권선 코일(10),중량체(12)들을 대체로 한쪽으로 몰아 배치하므로 무게 중심이 회전 중심보다 편심되어 회전시 진동을 동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진동 발생기를 브러시 타입 평편형 진동발생기라고 한다.
이런 브러시 타입의 진동 발생기는 브러시(7a.7b)와 정류자(9)의 습동 접점에 의해 전류의 방향을 바꾸어 주므로 기계적 마모를 피할 수 없어 장수명 요구에 대응할 수가 없어 마모를 수반하는 전기적 접점이 없는 선형진동 발생기가 등장하게 된다.
선형 진동발생기로서는 일본특허공개공보 제1997-205763호에서 진동발생장치가 제안된 바 있으며, 이와 같은 유형의 고안에서 제시하는 구조는 도 2와 도 3에서 개념적으로 도시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그 작용을 살펴보면, 진동 발생장치는 케이스(212) 내부에 스프링(220)이 배치되고, 상기 스프링(220)에 마그네트(242), 요크(241) 및 평면 요크(243)에 의해서 자기장(磁氣場)이 발생된다. 상기 자기장 내에 코일(230)이 배치되는데 코일(230) 한 끝단은 상기 베이스(211)의 내측 면에 고정된다. 상기 진동 발생기는 상기 자기장의 방향과 상기 코일(230)을 따라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기 코일(230)에 전류가 흐르면 플레밍의 왼손의 법칙에 따라 상기 자기장방향과 전류의 방향에 수직인 방향, 즉 도 2에서는 아래 또는 위로 스프링(220)에 의해 지지되는 자기장 형성부품이 움직이게 된다. 코일(230)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을 연속적으로 바꿔 주면 진동자는 연속적으로 상하 진동을 발생하게 된다, 이런 선형 진동 발생기는 회전형 진동발생기와 달리 습동 접점이 없으므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선형 진동발생기는 종래 브러시타입 진동모터에서 진동량을 얻기 위한 방식인 회전형 구조를 탈피하여, 공진을 이용하여 최대변위를 발생시켜 원하는 주파수 대역에서 진동량을 얻을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공진주파수는(fn)는 아래 [식 1]에서 보듯이 진동자의 질량(m)과 스프링 상수(k)에 영향을 받는다.
[식 1]
Figure 112011086452933-pat00001
그러나, 본 고안의 경우 마그네트(242)가 상하운동을 하는 구조므로 상하운동하는 마그네트(242)와 통상 금속 재질의 케이스(212) 또는 베이스(211)와 상호 자기 흡인력이 생겨 공진 주파수 왜곡이 생기는 등 부작용이 있어 마그네트 진동형 대신에 코일 진동형이 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이 코일이 상하 진동하는 고안의 한 사례를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23867이나 10-1004879를 사례로 도 4와 도 5에서 소개한다. 도 5로 설명을 하자면 코일(530), 요크(541), 중량체(544)로 진동자를 이루고, 마그네트(542)를 케이스(512)에 결합하고, 평면 요크(543)를 마그네트(542) 일 면에 결합하여 고정자를 이루고 진동자의 요크(541)의 평면부(541b)와 고정자를 스프링(520)으로 연결하고 베이스(511)에 결합하여 코일(530)에 전류를 인가하면 상하 진동하는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도 2의 종래의 선형진동 발생기 기술에서는 마그네트(242)가 상하운동을 하는 구조므로 상하운동하는 마그네트(242)와 통상 금속 재질의 케이스(212) 또는 베이스(211)와 상호 자기 흡인력이 생겨 공진 주파수 왜곡이 생기는 부작용 외에도 운동을 가이드 하는 축이나 베어링이 없는 상태에서 단순히 진동자가 스프링에만 매달려 진동하는 구조이므로 지름 10밀리미터(mm)처럼 아주 작은 구조로 만들게 되면 진동자와 고정자 간에 상하 또는 좌우에서 간섭이 일어나기 쉬워지고 따라서 진동력이 떨어지거나 듣기 싫은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 치명적 결함이 있다. 따라서, 소형 구조에 도 2의 고안의 기구 구조로만 제작시는 실용성이 크게 떨어진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코일(430, 530)이 진동하게 고안된 사례가 도 4 또는 도 5의 고안인데, 도 5에서는 케이스(512)에 결합되는 마그네트(542)의 외측에 자성유체(545)를 도포하고 이것만으로는 상하 충돌 대책이 미흡하므로 도 4 및 도 5 다 같이 쿠션이라 명명하기도 하는 댐퍼(415, 515)를 고무, 코르크, 폴리프로필렌 등의 재질로 부착하여 충격시 충격을 흡수하게 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이들 고안의 최대 문제점은 스프링(420,520)을 진동자에 결합하는 방식에 있다. 도 4의 고안에서는 스프링(420)을 중량체(444)에 직접 결합하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통상 탄성이 있는 금속재료로 구성되는 스프링(420)과 텅스텐 분말 소결품과 같이 고비중체로 구성되는 중량체(444)를 결합하기 위해서는 통상 레이저 용접과 같이 고가의 설비를 이용하는 특수 공법을 사용할 수밖에 없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프링(420)과 중량체(444)가 재질이 다른, 소위 이종(異種) 재질의 용접이라서 용접을 하고 난 후에도 외부 충격을 받는 경우 용접부가 떨어지는 불량을 완벽히 피하기 어렵다. 도 5의 고안에서는 원통 형상의 요크(541a)의 끝 부분에 평면부((541b)를 추가적으로 구성하여 요크 평면부(541b) 부분과 평면 대 평면의 결합을 하게 하고 있다. 도 4에서와 달리 일반 금속간의 용접이 될 수 있어 용접 품질을 향상할 수 있으나 이는 요크(541)의 존재를 반드시 필요하게 할 뿐 아니라 요크 평면부(541b)를 별도로 필요하게 되므로 그만큼 진동자에서 중량체(544) 보다 밀도가 낮은 부품의 공간 점유가 많아져서 결국 제품의 소형화에 불리하거나 진동력이 약하게 되는 단점이 있고, 또, 결합 방식도 평면 대 평면의 결합이라서 여전히 레이저 용접과 같이 고가의 설비를 필요로 하는 특수 공법을 필요로 하게 된다.
본 고안은 도 6에서와 같이 스프링(620) 내측부에 속이 빈 원통 형상(620b)를 추가하여 그 원통 형상(620b) 내측에 코일(630)을 결합하고 외측에 중량체(644)를 결합하는 방식을 제시하고 있다. 본 고안에서는 스프링(620)과 진동자 간에 결합부위 면적이 원통 형상의 결합 구조가 되어 도 4나 도의 5의 평면간 접촉 구조보다 부품간 접촉 면적이 넓어지게 되어 고가의 용접 방식이 아닌 접착제를 이용한 통상적인 결합방식이 사용 가능해진다.
다시 말하자면 스프링(620)과 진동자 결합부위 구조를 평면과 평면의 결합 구조가 아닌 원통의 결합 구조가 되게 하고 내측과 외측에 부품을 조립하여 일체형 구조가 되게 하여 상호 결합 면적을 증대하고 도 5의 고안과 같은 별도의 요크 평면부(541b)을 필요치 않는 것이 본 고안의 핵심 내용이라 할 수 있다.
스프링(620)과 진동자 결합부위 구조를 도 4나 도 5의 고안과 같이 평면과 평면의 결합 구조가 아닌 원통의 결합 구조가 되게 하고 원통의 내측과 외측 모두에서 스프링의 원통부(620b)와 결합되게 하여 결합 면적을 증대하게 되면 고가의 설비를 필요로 하는 레이저 용접과 같은 특수 결합 방식이 아닌 접착제를 이용하는 통상적인 저렴한 결합 방식의 채용이 가능하여 원가 절감이 가능해 진다.
뿐만 아니라 도 5의 고안과 같은 별도의 요크 평면부(541b)을 필요치 않으므로 공간을 더욱더 박형화하여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추가적인 소형화를 하거나 진동력을 더 올리는 설계가 가능해 진다. 예를 들어 외경 8~10밀리미터(mm)와 같은 초소형 진동 발생기에 있어서는 이런 작은 공간의 개선도 소형화에 크게 도움이 되는 것은 자명한 일이라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회전형 진동발생기의 측 단면을 도시한다.
도 2는 종래의 마그네트 진동형 선형진동발생기의 측 단면을 도시한다.
도 3은 종래의 마그네트 진동형 선형진동발생기의 스프링이 나타나는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종래의 코일 진동형 선형진동발생기 사례의 측 단면을 도시한다.
도 5는 종래의 다른 코일 진동형 선형진동발생기 개량 사례의 측 단면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측 단면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변형 사례로 측 단면을 도시한다.
본 고안은 코일(630), 일반적으로 텅스텐을 주성분으로 하는 소결체로 구성되는 중량체(644), 선택사항으로 플레이트(641)로 진동자를 이루며,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케이스(612)와 베이스(611b)로 외곽을 이루고, 상기 케이스(612), 베이스(611b), 베이스(611b)에 결합되는 마그네트(642), 상기 마그네트(642) 일면 결합되며 마그네트의 자기력선을 코일(630) 쪽으로 향하게 해 주는 역할을 하는 평면 요크(643)로 고정자를 구성하고 평면 요크(643) 외곽에 자성유체(645)를 도포하고 스프링(620) 내측부에 속이 빈 원통 형상(620b)를 추가하여 그 원통 형상(620b) 내측에 코일(630)을 결합하고 외측에 중량체(644)가 결합되는 구조로 스프링(620)을 진동자와 고정자에 연결하여 진동자의 선형 운동을 지지하게 하고, 일 측은 베이스(611b)에 부착되고 일 측은 진동자에 부착된 유연한 인쇄회로기판(611a)을 통해 코일(630)에 전류를 인가하여 진동자를 상하 진동하게 하는 구조를 제시한다.
본 고안의 다른 변형으로 휴대폰을 바닥에 떨어뜨렸을 때와 같이 비정상적으로 충격을 받았을 때 충격 흡수용으로 고정자에 댐퍼(615a, 615b)를 부착할 수도 있다.
도 7에서 마그네트(642)과 평면 요크(643)를 케이스(612)에 결합한 변형된 사례를 나타낸다. 스프링(620)과 진동자 결합부위 구조를 원통의 결합 구조가 되게 하고 내측과 외측에 부품을 조립하여 일체형 구조가 되게 한 핵심 내용은 동일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상기 핵심 내용이 동일한 상태에서는 도 6이나 도 7에서의 플레이트(641)는 추가 또는 삭제를 할 수 있으며, 도 6이나 도 7과 달리 스프링(620) 일단을 케이스(612)가 아닌 베이스(611a)에 결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스프링(620)을 진동자에 결합하는 방식이 적용되면 다른 부품의 부분적 삭제, 변형, 또는 퇴행적 변형 같은 경우도 본 고안의 범주에 포함됨을 알 수 있다.
211,411,511,611 : 베이스 어셈블리,
411a, 511a, 611a : 유연한 인쇄회로기판
411b, 511b, 611b : 베이스
212,412,512,612 : 케이스,
220,420,520, 620 : 스프링,
230,430,530, 630 : 코일,
241,441,541 : 요크,
641 : 플레이트
242,442,542, 642 : 마그네트,
243,443,543, 643 : 평면요크,
415, 515, 615a, 615b : 댐퍼,
444,544, 644 : 중량체,
545, 645a, 645b : 자성유체,
613 : 케이스의 관통 구멍
614 : 밀폐용 테이프

Claims (5)

  1. 외곽을 이루는 케이스 및 베이스;
    코일, 중량체를 포함하는 진동자;
    상기 케이스 또는 베이스 내측 중앙부에 결합되는 마그네트와 상기 마그네트의 다른 면에 결합되는 평면 요크를 구비하는 고정자;
    상기 진동자와 고정자에 연결되어 상기 진동자의 선형 운동을 지지하는 스프링; 및
    일 측은 베이스에 부착되고 일 측은 진동자에 부착되어 상기 코일에 전류를 인가하는 유연한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스프링 내부를 속이 빈 원통 형상으로 하고 그 내부에 상기 코일을 직접 결합하고 외부에 중량체를 직접 결합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진동 발생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및 진동자는 일체형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진동 발생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요크 외곽에 자성유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진동 발생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베이스 중에 어느 일측 또는 양측에 댐퍼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진동 발생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일측에 내경이 상기 마그네트 외경보다 큰 구멍을 구비하는 플레이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진동 발생기.
KR1020110113633A 2011-11-02 2011-11-02 선형 진동발생기 KR101283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633A KR101283914B1 (ko) 2011-11-02 2011-11-02 선형 진동발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633A KR101283914B1 (ko) 2011-11-02 2011-11-02 선형 진동발생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8653A KR20130048653A (ko) 2013-05-10
KR101283914B1 true KR101283914B1 (ko) 2013-07-16

Family

ID=48659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3633A KR101283914B1 (ko) 2011-11-02 2011-11-02 선형 진동발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39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722B1 (ko) * 2013-08-19 2014-11-04 주식회사 오리엔텍 진동모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30957B2 (ja) 2000-06-16 2011-02-09 並木精密宝石株式会社 電磁誘導型アクチュエータ装置並びに携帯用通信機器
KR20110073844A (ko) * 2009-12-24 2011-06-30 전진영 선형 진동소자
KR20110092111A (ko) * 2010-02-08 2011-08-17 삼성전기주식회사 수직진동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30957B2 (ja) 2000-06-16 2011-02-09 並木精密宝石株式会社 電磁誘導型アクチュエータ装置並びに携帯用通信機器
KR20110073844A (ko) * 2009-12-24 2011-06-30 전진영 선형 진동소자
KR20110092111A (ko) * 2010-02-08 2011-08-17 삼성전기주식회사 수직진동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722B1 (ko) * 2013-08-19 2014-11-04 주식회사 오리엔텍 진동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8653A (ko) 2013-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88623B2 (en) Linear vibration motor
US8957558B2 (en) Linear vibration generator
JP4939587B2 (ja) 線形振動装置
CN102055297B (zh) 线性振动器
CN102315747B (zh) 水平线性振动器
KR100967033B1 (ko) 수평 진동자
US20140132089A1 (en) Linear vibration motor
US20140062225A1 (en) Vibration generation device
JP7079590B2 (ja) リニア振動モータ及び電子機器
KR20110101516A (ko) 진동 모터
US8536745B2 (en) Linear vibrator
KR100992264B1 (ko) 리니어 진동 모터
KR20110032890A (ko) 수평 진동자
JP2006020485A (ja) パターンコイル型垂直振動子
US20150123499A1 (en) Linear vibrator
KR101175356B1 (ko) 선형 진동 발생장치
US20120146433A1 (en) Linear vibrator
KR101283914B1 (ko) 선형 진동발생기
KR101325938B1 (ko) 선형 진동발생기
KR101284545B1 (ko) 선형 진동발생기
KR200456605Y1 (ko) 선형 진동발생기
KR20120051504A (ko) 선형 진동기
KR20110003764U (ko) 선형 진동발생기
KR20120007552U (ko) 휴대전화용 진동발생 장치
KR101217093B1 (ko) 진동흡수부재를 갖는 선형진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