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2152B1 - 사진, 동영상 촬영을 위한 반사판 및 배경용 프레임 세트 - Google Patents

사진, 동영상 촬영을 위한 반사판 및 배경용 프레임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2152B1
KR101282152B1 KR1020120038962A KR20120038962A KR101282152B1 KR 101282152 B1 KR101282152 B1 KR 101282152B1 KR 1020120038962 A KR1020120038962 A KR 1020120038962A KR 20120038962 A KR20120038962 A KR 20120038962A KR 101282152 B1 KR101282152 B1 KR 101282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frame
rim
reflector
tub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8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균
Original Assignee
(주)현대포멕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현대포멕스 filed Critical (주)현대포멕스
Priority to KR1020120038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2152B1/ko
Priority to US13/863,884 priority patent/US20130272687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2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2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6Special arrangements of screening, diffusing, or reflecting devices, e.g. in studio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과 분해가 가능하여 운반이 편리하고 보관에 필요한 공간이 최소화 되는 사진, 동영상 촬영을 위한 반사판 및 배경용 프레임 세트가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복수개의 테두리관으로 구성되며 각 테두리관의 말단이 인접한 테두리관의 말단과 서로 결합되어 평면도형 구조를 형성하는 프레임 본체, 및 상기 복수개의 테두리관이 분리된 상태에서도 일체형 구조를 유지하도록 각 테두리관의 내부에 위치하고 양 끝이 서로 연결되며 신축성을 가지는 결합스트링을 포함하는 사진, 동영상 촬영을 위한 반사판 및 배경용 프레임 세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반사판 및 배경용 프레임 세트는 조립과 분해가 간편하게 진행되므로, 운반성이 개선되고 편의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사진, 동영상 촬영을 위한 반사판 및 배경용 프레임 세트{FRAME SET WITH REFLECTING PLATE FOR SHOOT PICTURES AND VIDEO}
본 발명은 사진, 동영상 촬영을 위한 반사판 및 배경용 프레임 세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저히 향상된 사용편의성을 가지며, 사진촬영이나 동영상촬영 시 빛을 반사시켜주거나 투과시켜주는데 사용되거나 사진, 동영상 촬영용 배경에 사용되는 사진, 동영상 촬영을 위한 반사판 및 배경용 프레임 세트에 관한 것이다.
광량이 부족한 곳에서 일정한 광량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카메라의 셔터스피드를 느리게 하거나, 조리개를 보다 더 개방하여 촬영 작업을 하거나, 감도를 높여서(ISO 수치를 높여서 조작함) 촬영을 한다.
하지만, 카메라의 셔터스피드를 느리게 하는 경우 노출시간이 길어져서 선명한 사진을 촬영하는 것이 어렵게 되며, 조리개를 개방하는 경우 광량은 확보할 수 있으나 원하는 효과의 사진을 얻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ISO 수치를 높이면 일반적으로 사진에 노이즈 현상 등이 발생하기 때문에 각각의 방법이 한계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방법들을 동원하여도 광량이 부족하거나, 이러한 방법들의 부작용 때문에 상술한 방법들의 사용이 적절하지 못한 경우 카메라의 플래시는 사진촬영에 필요한 광량을 충분히 보충해 줌으로써 어두운 곳에서 셔터 속도를 확보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사진 촬영 시 사용하는 플래시는 촬영 순간 빛을 발생하여 어두운 환경에서도 촬영을 가능하게 하는 장비로, 별도로 휴대하다가 필요할 때마다 카메라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에서부터 카메라 자체에 내장되어 있는 것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종류가 있다.
필요시 카메라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플래시는 그 광조사 각도를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어 여러 가지 기법의 촬영을 할 수 있게 하지만, 카메라 자체에 내장되어 있는 플래시의 경우 전방으로만 빛을 조사할 수 있을 뿐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방향으로 빛을 조사할 수 없어 렌즈의 방향과 피사체의 방향이 다를 경우 피사체에 충분한 양의 빛이 조사되지 못하여 사진이 원하는 대로 나오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내장 플래시를 이용하는 경우 광조사 방향을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어, 광조사 각도를 원하는 방향으로 조정하기 위해서 별도의 반사판을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반사판은 통상 금속판 등을 이용하여 원형이나 사각형상의 판체로 만들어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형상으로 구성된 반사판은 그 사이즈가 크고 또 중량이 무거워 운반 및 사용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며, 보관 시에 많은 공간을 점유하는 문제점도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반사판의 틀 역할을 하는 프레임을 다수개의 봉으로 구성하여 이동 및 보관을 편리하게 하고, 필요한 현장에서 다수개의 봉을 끼워서 체결하여 프레임을 만드는 방식을 채택하기도 한다.
그러나 다수개의 봉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봉의 연결부위가 고정되지 못하고 겉돌아서 안전적으로 반사판을 고정시켜 주지 못하거나, 일부 봉이 분실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반사판 자체를 조립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더구나, 대형의 반사판을 고정시킬 목적으로 큰 크기의 반사판을 사용하는 경우 반사판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하여, 프레임의 중간 중간에 고정바를 체결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고정바를 안정적이고 신속하게 탈착시키고, 체결시 견고하게 프레임을 고정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35265호(2010.01.06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90842호(2002.10.04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 시 각 부분을 조립하여 결합시켜주고, 미사용 시 각 부분을 분리하여 전체 부피를 축소시켜 운반이 편리하고 보관에 필요한 공간이 최소화 되는 사진, 동영상 촬영을 위한 반사판 및 배경용 프레임 세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테두리관으로 구성되며 각 테두리관의 말단이 인접한 테두리관의 말단과 서로 결합되어 평면도형 구조를 형성하는 프레임 본체, 및 상기 복수개의 테두리관이 분리된 상태에서도 일체형 구조를 유지하도록 각 테두리관의 내부에 위치하고 양 끝이 서로 연결되며 신축성을 가지는 결합스트링을 포함하는 사진, 동영상 촬영을 위한 반사판 및 배경용 프레임 세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반사판 및 배경용 프레임 세트는 조립과 분해가 간편하게 진행되므로, 운반성이 개선되고 편의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운반 및 보관 시에 작은 부피를 차지하므로, 운반비용 및 보관비용이 최소화된다.
또한, 다수의 봉이 결합되어 프레임을 형성하는 경우이지만, 봉의 연결부위가 겉도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프레임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에 고정되는 반사판 역시 반사면의 왜곡없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분해된 상태에서도 스트링에 의하여 각 부품이 전체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일부 부품이 분실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관리가 편리할 뿐만 아니라 조립이 용이해 진다.
아울러, 본 발명은 실내 또는 야외에서 사용 시 스탠드에 고정하거나 사람이 잡고 사용하는데 사용하는 프레임을 원터치 형식으로 쉽게 탈부착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프레임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빛을 원하는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반사 및 조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세트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세트의 분리된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세트의 결합된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한 사진, 동영상 촬영을 위한 반사판 및 배경용 프레임 세트(이하, '배경용 프레임 세트'라고 약칭함)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세트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세트의 분리된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경용 프레임 세트는 복수개의 테두리관(110)이 서로 연결되어 구성된 프레임 본체(100), 및 상기 각 테두리관(110)의 내부를 따라 구비되며 양 끝이 서로 연결된 결합스트링(200)을 포함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경용 프레임 세트는 프레임 본체(10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 본체(100)는 사진촬영이나 동영상촬영에 사용되는 반사판과 배경의 외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반사판 및 배경을 구성하는 시트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시트의 테두리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프레임 본체(100)는 복수개의 테두리관(110)으로 구성되며, 각 테두리관(110)의 말단이 인접한 테두리관(110)의 말단과 서로 결합되어 평면도형 구조를 형성한다. 여기서, 평면도형 구조로는 원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삼각형, 오각형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원형이나 직사각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프레임 본체(100)는 용도에 따라 1.1m×2m, 1.5m×2m, 2.4m×2.4m 등의 다양한 규격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테두리관(110)은 평면도형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조로 형성되어도 무방하지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관과 "ㄱ"자형의 절곡관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각 테두리관(110)은 서로 원활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일측에 협관(114)이 구비되고, 상기 일측에 대응되는 타측에 확관(112)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확관(112)의 내부로 협관(114)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확관(112)의 내주면은 협관(114)의 외주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협관(114)은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평면이 형성된 구조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임의의 제 1 테두리관(110)의 확관(112)에 인접한 제 2 테두리관(110)의 협관(114)이 삽입되는 경우 제 1 테두리관(110)을 기준으로 제 2 테두리관(110)의 회전되지 않고 결합된 상태를 견고히 유지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협관(114) 및 확관(112)이 일반적인 원형 파이프로 구성되면, 각 테두리관(110)의 연결부위가 뒤틀려 프레임 본체(100)가 평면도형 구조를 유지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테두리관(110)의 협관(114)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을 따라 6개의 평면이 형성되어 수직단면이 6각형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협관(114)의 외주면을 따라 3개의 평면이 형성되면 협관(114)의 수직단면은 3각형이 되며, 협관(114)의 외주면을 따라 4개의 평면이 형성되면 협관(114)의 수직단면은 4각형이 된다.
한편, 상기 테두리관(110)은 가벼운 무게를 유지할 수 있도록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또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경용 프레임 세트는 결합스트링(200)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스트링(200)은 분해된 복수개의 테두리관(110)이 분실되지 않도록 테두리관(110)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기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조립된 복수개의 테두리관(110)에 복원력을 제공하여 프레임 본체(100)의 외형을 견고히 유지시키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신축성을 가지는 소재, 예컨대 고무줄이나 플렉서블 와이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스트링(200)은 복수개의 테두리관(110)이 분리된 상태에서도 일체형 구조를 유지하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테두리관(110)의 내부에 위치하고, 양 끝이 서로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결합스트링(200)은 복수개의 테두리관(110)이 조립된 프레임 본체(100)에 충분한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의 길이가 복수개의 테두리관(110)의 총 길이보다 작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의한 배경용 프레임 세트는 고정관(300) 및 결합수단(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관(300)은 프레임 세트를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위치에 원활히 설치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서, 프레임 세트가 실내 또는 야외에서 사용되는 경우 스탠드에 고정시키거나 사람이 잡고 사용하여야 하는데 이용된다.
이러한 고정관(300)은 양측 말단이 각각 프레임 본체(100)에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관(300)은 스탠드나 사람의 손이 프레임 본체(100)에 설치된 반사시트에 접촉되지 않도록 제 1 절곡관과, 제 2 절곡관, 및 상기 제 1 절곡관과 제 2 절곡관을 연결하는 직선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대, 제 1 절곡관과 제 2 절곡관 및 직선관은 일체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절곡관과 제 2 절곡관은 프레임 본체(100)의 양측 중심에 결합될 수 있다. 이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지지력을 프레임 본체(100)에 균일하게 전달하여 프레임 본체(100)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결합수단(400)은 프레임 본체(100)와 고정관(300) 사이에 구비되어 프레임 본체(100)에 고정관(300)을 거치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제 1 절곡관을 프레임 본체(100)의 일측에 결합시키는 제 1 결합수단과 제 2 절곡관을 프레임 본체(100)의 타측에 결합시키는 제 2 결합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수단(40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결합수단(400)은 프레임 본체(100)와 고정관(300) 사이에 구비되어 고정관(300)을 프레임 본체(100)에 거치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고정관(300)이 삽입되는 몸통부(410)와 상기 몸통부(410)에 힌지 결합되는 제 1 힌지부(420)와, 상기 몸통부(410)에 힌지 결합되고 회전에 따라 상기 제 1 힌지부(420)에 체결되어 고정관(300)에 밀착되는 걸림고리(44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통부(410)는 고정관(300)의 외경과 대응되는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내부에 고정관(300)이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필요에 따라, 몸통부(410)에는 나사골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결합홀(415)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홀(415)에는 숫나사 또는 리벳 등이 결합될 수 있으며, 몸통부(410)에 고정관(300)이 삽입된 상태에서 숫나사의 결합 깊이를 조절하거나 리벳 등을 체결하면 몸통부(410)에 삽입된 고정관(300)의 고정력을 보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힌지부(420)는 몸통부(410)에 힌지 결합되며 내부에 한 쌍의 구멍이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힌지부(420)는 몸통부(410)의 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제 1 관통홀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제 1 측판(422)과, 상기 한 쌍의 제 1 관통홀에 양단부가 삽입된 상태로 회전하는 제 1 회전축(424)과, 상기 제 1 관통홀이 형성된 제 1 측판(422)에 말단이 각각 접촉되고 상기 제 1 관통홀의 접촉부분에 제 2 관통홀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 1 회전축(424)에 제 2 관통홀이 결합되며 상기 제 2 관통홀에 이격된 위치에 한 쌍의 구멍이 형성되는 한 쌍의 결합판(426) 및 상기 한 쌍의 결합판(426)을 연결하도록 한 쌍의 결합판(426)의 상부에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는 누름판(428)으로 구성된다. 이때, 누름판(428)은 사용자의 가압력을 원활히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 쌍의 결합판(426)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결합판(426)에 접착되는 일단에 대응되는 타단이 상부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구멍에는 양단이 삽입된 상태로 회전하는 잠금고리(43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잠금고리(430)는 외력에 의해 상기 걸림고리(440)와 결합되거나 분리되어 고정관(300)이 테두리관(110)에 연결설치되는 것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П"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걸림고리(440)는 몸통부(410)에 힌지 결합되는 제 2 힌지부(442)와, 상기 제 2 힌지부(442)에 연결되며 테두리관(110)에 밀착되도록 곡면이 형성된 굴곡판(444)과, 상기 굴곡판(444)에 연결되며 회전됨에 따라 상기 잠금고리(430)에 결합되는 후크부(446)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힌지부(442)는 상기 제 1 측판(422)과 반대편에 위치한 몸통부(410)의 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제 3 관통홀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제 2 측판과, 상기 한 쌍의 제 3 관통홀에 양단부가 삽입된 상태로 회전하는 제 2 회전축과, 상기 제 2 회전축에 결합되어 제 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평판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평판과 굴곡판(444) 및 후크부(446)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수단(40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결합수단(400)은 상기 고정관(300)의 외경과 대응되는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내부에 고정관(300)이 삽입되는 몸통부(410)와, 상기 몸통부(410)에 힌지 결합되며 내부에 한 쌍의 구멍이 형성된 제 1 힌지부(420)와, 상기 한 쌍의 구멍에 양단이 삽입되어 회전하는 잠금고리(430)와, 상기 몸통부(410)에 힌지 결합되는 제 2 힌지부(442)와 상기 제 2 힌지부(442)에 연결되며 테두리관(110)에 밀착되도록 곡면이 형성된 굴곡판(444)과 상기 굴곡판(444)에 연결되며 회전됨에 따라 상기 잠금고리(430)에 결합되는 후크부(446)로 구성된 걸림고리(440), 상기 고정관(300)이 삽입되는 몸통부(4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 1 충격흡수재(450), 및 상기 테두리관(110)이 밀착되는 굴곡관의 표면에 구비되는 제 2 충격흡수재(46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도 5에 도시된 결합수단(400)은 도 4에 도시된 결합수단(400)에 제 1 충격흡수재(450)와 제 2 충격흡수재(460)가 더 포함된 구성이다. 이러한 제 1 충격흡수재(450)는 PP, PE, 고무 등과 같이 탄성력 있는 소재로 구성되어 고정관(300)에 몸통부(410)가 견고히 결합되도록 결합력을 보충하는 구성으로서, 몸통부(410) 내부로 고정관(300)이 삽입되는 도중에 고정관(300) 또는 몸통부(410)가 서로 충돌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또한, 제 1 충격흡수재(450)는 몸통부(410)의 내경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하여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고정관(300)을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제 2 충격흡수재(460)도 PP, PE, 고무 등과 같이 탄성력 있는 소재로 구성되며, 걸림고리(440)에 의해 몸통부(410)를 테두리관(110)에 결합시키는 도중 몸통부(410)와 테두리관(110)이 서로 충돌하여 찌그러짐 등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제 2 충격흡수재(460)는 굴곡판(444)에 형성된 굴곡의 크기를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하여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테두리관(110)을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충격흡수재(460)는 굴곡판(444)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양측에 걸림부(462, 464)가 형성되며, 굴곡판(444)의 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관통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원통형 돌기(466)가 내부에 형성된다. 이를 위해, 제 2 충격흡수재(460)는 굴곡판(444)과 동일한 곡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양 측면에는 각각 수직단면이 "┌"형과 "┐"형인 걸림부(462, 464)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 2 충격흡수재(460)는 걸림부의 어느 한 쪽을 굴곡판(444)에 먼저 끼운 후, 다른 한 쪽을 약간 휘어서 굴곡판(444)에 결합시킨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프레임 본체 110 : 테두리관
112 : 확관 114 : 협관
200 : 결합스트링 300 : 고정관
400 : 결합수단 410 : 몸통부
420 : 제 1 힌지부 430 : 잠금고리
440 : 걸림고리 442 : 제 2 힌지부
444 : 굴곡판 446 : 후크부
450 : 제 1 충격흡수재 460 : 제 2 충격흡수재

Claims (6)

  1. 복수개의 테두리관으로 구성되며, 각 테두리관의 말단이 인접한 테두리관의 말단과 서로 결합되어 평면도형 구조를 형성하는 프레임 본체; 및
    상기 복수개의 테두리관이 분리된 상태에서도 일체형 구조를 유지하도록 각 테두리관의 내부에 위치하고 양 끝이 서로 연결되며, 신축성을 가지는 결합스트링을 포함하는 사진, 동영상 촬영을 위한 반사판 및 배경용 프레임 세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관의 일측 말단에는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평면이 형성된 협관이 구비되고, 상기 일측 말단에 대응되는 테두리관의 타측 말단에는 상기 협관의 외주면과 동일한 형상의 내주면이 형성된 확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동영상 촬영을 위한 반사판 및 배경용 프레임 세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스트링은 고무줄 또는 플렉서블 와이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동영상 촬영을 위한 반사판 및 배경용 프레임 세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양측 말단이 각각 상기 프레임 본체에 결합되는 고정관; 및
    상기 프레임 본체와 고정관 사이에 구비되어 프레임 본체에 고정관을 거치시키는 결합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동영상 촬영을 위한 반사판 및 배경용 프레임 세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고정관의 외경과 대응되는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내부에 고정관이 삽입되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에 힌지 결합되며 내부에 한 쌍의 구멍이 형성된 제 1 힌지부와,
    상기 한 쌍의 구멍에 양단이 삽입되어 회전하는 잠금고리, 및
    상기 몸통부에 힌지 결합되는 제 2 힌지부와, 상기 제 2 힌지부에 연결되며 테두리관에 밀착되도록 곡면이 형성된 굴곡판과, 상기 굴곡판에 연결되며 회전됨에 따라 상기 잠금고리에 결합되는 후크부로 이루어진 걸림고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동영상 촬영을 위한 반사판 및 배경용 프레임 세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관이 삽입되는 몸통부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 1 충격흡수재와, 상기 테두리관이 밀착되는 굴곡관의 표면에 구비되는 제 2 충격흡수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동영상 촬영을 위한 반사판 및 배경용 프레임 세트.
KR1020120038962A 2012-04-16 2012-04-16 사진, 동영상 촬영을 위한 반사판 및 배경용 프레임 세트 KR101282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962A KR101282152B1 (ko) 2012-04-16 2012-04-16 사진, 동영상 촬영을 위한 반사판 및 배경용 프레임 세트
US13/863,884 US20130272687A1 (en) 2012-04-16 2013-04-16 Frame for mounting reflecting plate and background sheet for picture and video shooting there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962A KR101282152B1 (ko) 2012-04-16 2012-04-16 사진, 동영상 촬영을 위한 반사판 및 배경용 프레임 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2152B1 true KR101282152B1 (ko) 2013-07-04

Family

ID=48996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8962A KR101282152B1 (ko) 2012-04-16 2012-04-16 사진, 동영상 촬영을 위한 반사판 및 배경용 프레임 세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30272687A1 (ko)
KR (1) KR1012821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842U (ko) * 2016-02-01 2017-08-09 카본 시스템 페어발? 게엠베하 사진 촬영용 광 영향 장치
KR20230046021A (ko) 2021-09-29 2023-04-05 김대성 자력에 의해 결합되는 모듈식 반사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6101460U1 (de) * 2016-03-16 2016-03-29 Markus Kreuzer Vorrichtung zur Beeinflussung des Lichts bei Fotoaufnahmen
JP2022500698A (ja) * 2018-09-12 2022-01-04 ヴァイテック・イメージング・ソリューションズ・ユーケー・リミテッドVitec Imaging Solutions Uk Limited 折り畳み式の光調整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8365A (ja) 2001-02-28 2002-09-11 Sugiura Kenkyusho:Kk 写真撮影用均一照明ユニット
KR200394780Y1 (ko) 2005-04-15 2005-09-07 (주) 유쾌한생각 소형 물품용 조립식 사진 촬영대
US20060114356A1 (en) 2004-12-01 2006-06-01 Didow G R Back light screet for chroma-key photograph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8365A (ja) 2001-02-28 2002-09-11 Sugiura Kenkyusho:Kk 写真撮影用均一照明ユニット
US20060114356A1 (en) 2004-12-01 2006-06-01 Didow G R Back light screet for chroma-key photography
KR200394780Y1 (ko) 2005-04-15 2005-09-07 (주) 유쾌한생각 소형 물품용 조립식 사진 촬영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842U (ko) * 2016-02-01 2017-08-09 카본 시스템 페어발? 게엠베하 사진 촬영용 광 영향 장치
KR200489435Y1 (ko) * 2016-02-01 2019-09-30 카본 시스템 페어발? 게엠베하 사진 촬영용 광 영향 장치
KR20230046021A (ko) 2021-09-29 2023-04-05 김대성 자력에 의해 결합되는 모듈식 반사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272687A1 (en) 2013-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2152B1 (ko) 사진, 동영상 촬영을 위한 반사판 및 배경용 프레임 세트
KR101584737B1 (ko) 스마트폰 부착형 구강 촬영 보조 장치
US10012888B1 (en) Optical lighting accessory for handheld mobile devices in selfie mode
US20150108777A1 (en) Camera pole
US20110081140A1 (en) Photo booth and improvements thereto
US11409187B2 (en) Easily foldable soft box
US9523904B2 (en) Light cover with x-shaped structure
KR20150070377A (ko) 촬영 지지 프레임
KR101706469B1 (ko) 접이식 미니 소프트박스
CN205490854U (zh) 一种自动全景拍摄手机高清摄像头
JP5180066B2 (ja) ビデオおよび写真カメラなどの写真機器の小型支持体
US20060245745A1 (en) Photography appliance and method for its use
TWI261142B (en) Panel module and light shielding device thereof
KR101369974B1 (ko) Usb 실물화상기 시스템
JP2006119554A (ja) カメラ固定器具
KR101249254B1 (ko) 햇빛 및 조명을 여과하여 투과시키는 태양광 바운스 장치
KR200246895Y1 (ko) 사진촬영용 리플렉터조립체
JP6037262B2 (ja) ストロボ光量調整用カメラアダプタ
CN205049845U (zh) 一种悬臂以及安装有该悬臂的闪光灯
CN103747166A (zh) 一种手机全景镜头
RU205632U1 (ru) Телесуфлер
KR102203832B1 (ko) 사진촬영용 반사판 고정장치
JP3224484U (ja) 可搬式撮影スタジオ及び可搬式撮影スタジオ用ホルダー
CN212781630U (zh) 一种柔光箱
ES1219925U (es) Microscopio para dispositivos electronicos moviles con camar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