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9511B1 - Movable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ovable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9511B1
KR101279511B1 KR1020060113527A KR20060113527A KR101279511B1 KR 101279511 B1 KR101279511 B1 KR 101279511B1 KR 1020060113527 A KR1020060113527 A KR 1020060113527A KR 20060113527 A KR20060113527 A KR 20060113527A KR 101279511 B1 KR101279511 B1 KR 101279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eceiving
circuit board
inpu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35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44550A (en
Inventor
이은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3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9511B1/en
Publication of KR20080044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455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9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95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6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keys on side or rear 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형 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신호를 발생시키는 이동 입력 유닛; 상기 이동 입력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동 입력 유닛의 이동된 접속 위치에 따라 상이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이동 입력 유닛의 이동에 따라 상이한 신호가 입력될 수 있게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input device and an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the mobile input unit generating a signal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And a receiving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bile input unit and receiving a different signal according to the moved connection position of the mobile input unit, thereby allowing different signals to be inpu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bile input unit.

Description

이동형 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MOVABLE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MOVABLE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도 1은 전자기기의 일 예로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an example of an electronic devic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자기기의 일 예인 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이며,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r-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an example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이동형 입력 장치의 일부인 이동 입력 유닛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고,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input unit that is part of the mobile input device of FIG.

도 4는 이동 입력 유닛과 함께 이동형 입력 장치를 구성하는 수신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4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receiving unit constituting a mobile input device together with a mobile input unit;

도 5는 접촉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 4의 A 부분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고,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rtion A of FIG. 4 for explaining the contact portion,

도 6a는 입력단자부와 수신단자부가 제1 접속위치에 놓인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며, 6A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input terminal portion and a receiving terminal portion are placed in a first connection position.

도 6b는 이동 입력 유닛의 슬라이딩에 따라 입력단자부와 수신단자부가 제2 접속위치에 놓인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6B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input terminal portion and a receiving terminal portion are placed in a second connection position according to sliding of the mobile input unit.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본체 110: 디스플레이100: main body 110: display

120: 고정입력유닛 200: 이동형 입력 장치120: fixed input unit 200: mobile input device

200': 이동 입력 유닛 200": 수신 유닛200 ': mobile input unit 200 ": receiving unit

210: 신호발생부 220: 조작부210: signal generator 220: control panel

230: 입력단자부 250: 수신단자부230: input terminal unit 250: receiving terminal unit

260: 수신베이스260: receiving base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특정 명령을 전자기기에 입력하기 위한 입력 장치 및 그러한 입력장치를 가지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put device for inputting a specific command to the electronic device by a user's operation, and an electronic device having such an input device.

전자기기는 전기적인 제어에 의해 운용되는 기기를 말하며, 그 예로는 PDA, MP3 플레이어, 전자사전 등을 들 수 있다.An electronic device refers to a device operated by electrical control. Examples of the electronic device include a PDA, an MP3 player, and an electronic dictionary.

도 1은 전자기기의 일 예로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an example of an electronic device.

도 1에는 본체부(10)와 폴더부(2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가 도시되어 있다.1 illustrates a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a main body portion 10 and a folder portion 20 are rotatably connected.

본체부(10)의 일 주면(main face)에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메인 키버튼(11)들이 배열되어 있다. 나아가, 본체부(10)의 주면에 장착된 마이크로폰(12)을 통해서는, 사용자의 음성과 같은 소리가 단말기에 입력된다. 본체부(10) 의 다른 주면 측에는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체부(10)의 측면에는 메인 키버튼(11) 외에 별도로 사이드 키버튼(15)이 장착된다.Main key buttons 11 for receiving a user's command are arranged on one main face of the main body 10. Furthermore, a sound, such as a user's voice, is input to the terminal through the microphone 12 mounted on the main surface of the main body 10. The other main surface side of the main body 1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attery 13 for supplying power to the terminal. The side key button 15 is mount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10 in addition to the main key button 11.

폴더부(20)의 일 주면에는 각각 시각 정보와 소리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21) 및 스피커(22)가 장착된다. 힌지(23)는 본체부(10)와 폴더부(20) 각각의 마주하는 모서리들에 형성되어, 본체부(10)와 폴더부(20)가 서로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One main surface of the folder unit 20 is equipped with a display 21 and a speaker 22 for outputting time information and sound, respectively. The hinge 23 is formed at corners facing each of the main body 10 and the folder 20 so that the main body 10 and the folder 20 are rotatably connected to each other.

이러한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사이드 키버튼(15)은 폴더부(20)가 본체부(10)에 적층된 상태라서 메인 키버튼(11)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도 단말기에 특정 명령을 입력할 수 있게 한다. In the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side key button 15 may input a specific command to the terminal even when the main key button 11 cannot be used because the folder 20 is stacked on the main body 10. To be able.

또한, 사이드 키버튼(15)은 사용자의 사용 빈도가 높은 메뉴, 예를 들어 카메라 활성화 모드 메뉴 등으로의 신속한 전환을 위한 단축키로서의 기능을 하기도 한다. 그에 따라, 사이드 키버튼(15)은 그 갯 수가 늘어가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the side key button 15 may also function as a shortcut for quickly switching to a menu having a high frequency of use, for example, a camera activation mode menu. Accordingly, the number of the side key buttons 15 is increasing.

그러나, 사이드 키버튼(15)의 제한 없는 갯수의 증가는 단말기의 외관을 복잡한다. 또한, 늘어나는 사이드 키버튼(15)의 수에 대응하여 단말기 내부의 전기적 연결 수단들도 증가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서, 사이드 키버튼(15)의 증가가 사용자의 편의성의 향상에는 이바지할지라도, 단말기의 내·외적인 복잡성을 유발하는 문제를 가져온다고 할 수 있다.However, the unlimited number of side key buttons 15 increases the appearance of the terminal. In addition, corresponding to the increasing number of side key buttons 15, the electrical connection means inside the terminal should be increased. In other words, even if the increase of the side key button 15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the user's convenience, it can be said that the problem that causes the internal and external complexity of the terminal.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내 ·외적인 복잡성을 유발하지 않으면서도 전자기기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a user input to an electronic device without causing the internal and external complexity of the electronic devi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동형 입력 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신호를 발생시키는 이동 입력 유닛; 상기 이동 입력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동 입력 유닛의 이동된 접속 위치에 따라 상이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유닛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obile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obile input unit for generating a signal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And a receiving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bile input unit, for receiving a different signal according to the moved connection position of the mobile input unit.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전자기기는 인쇄회로기판을 내장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신호를 발생시키는 이동 입력 유닛; 상기 이동 입력 유닛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동 입력 유닛의 이동된 접속 위치에 따라 상이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입력시키는 수신 유닛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lectronic device includes a main body including a printed circuit board; A movement input unit movably mounted to the main body, the movement input unit generating a signal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And a receiving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vement input unit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for receiving a different signal according to the moved connection position of the movement input unit and inputting the signal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자기기의 일 예로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입력 장치가 필요한 전자기기라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MP Player(MP3플레이어), 전자사전,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에도 적용 가능함은 당업자라면 충분히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escribed as an example of an electronic devic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f the present invention requires an input device, it can be deduc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PDA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MP Players (MP3 Players), electronic dictionaries, and Portable Multimedia Players (PMP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mobile input device and an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자기기의 일 예로서 하나의 바디로 형성 되는 본체(100)를 가지는 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를 개시하고 있다.Figure 2 discloses a perspective view of a bar-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main body 100 formed of a body as an example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체(100)의 주면들(main faces) 중 하나에는 시각 정보를 출력시키는 디스플레이(110) 및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고정입력유닛(120)이 배열된다. 디스플레이(110)는, 예를 들어 LCD(Liquid Crystal Diodes)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로 형성된다. 고정입력유닛(120)은 사용자의 누름(pushing) 또는 터치(touching) 조작에 의해 특정 신호를 단말기에 인가하는 방식 등으로 구현된다. 여기서, 고정입력유닛(120)의 '고정'은 고정입력유닛(120)이 현재 배치된 위치에서 작동될 뿐 그 배치된 위치가 변경되어 작동되지는 않음을 의미한다.One of the main faces of the main body 100 includes a display 110 for outputting visual information and a fixed input unit 120 for inputting a command or information by a user's manipulation. The display 110 is formed of, for example, liquid crystal diodes (LCD) or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modules. The fixed input unit 120 is implemented by a method of applying a specific signal to the terminal by a user's pushing or touching operation. Here, the 'fixed' of the fixed input unit 120 means that the fixed input unit 120 is operated only at the presently arranged position, and the arranged position is not changed and operated.

마이크로폰(130) 및 스피커(140)는 각각 소리를 입력 및 출력하기 위하여 본체(100)의 주면 들 중 디스플레이(110) 및 고정입력유닛(120)이 배치된 주면에 장착된다. 배터리(150)는 디스플레이(110) 등이 장착된 주면과 반대되는 주면 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본체(100)에 전원을 공급한다.The microphone 130 and the speaker 140 are mounted on the main surface on which the display 110 and the fixed input unit 120 are disposed among the main surfaces of the main body 100 to input and output sound, respectively. The battery 150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main surface side opposite to the main surface on which the display 110 is mounted, and supplies power to the main body 100.

본체(100)의 내부에는 인쇄회로기판(190, 도 4 참조)이 배치된다. 인쇄회로기판(190)은 디스플레이(110)와 고정입력유닛(120)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배터리(150)에도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위의 디스플레이(110) 등에 대한 전원의 공급도 제어하게 된다. 나아가, 본체(100)에는 트랜스시버(transceiver)가 장착되어, 단말기를 통한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The printed circuit board 190 (refer to FIG. 4) is disposed in the main body 100. The printed circuit board 19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isplay 110 and the fixed input unit 120, and controls their operations. In addition, the battery 150 is also electrically connected to control the supply of power to the display 110 and the like. Furthermore, a transceiver is mounted on the main body 100 to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the terminal.

이동형 입력 장치(200)는 본체(100)의 측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그루브(170)에는 슬라이딩 레일(180)이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되어 있다. 따라서, 이동형 입력 장치(200)는 슬라이딩레일(180)에 의해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길이 방향은 슬라이딩 방향(S)이 된다. 본체(100)의 측면에서 그루브(170)에 인접한 부분에는 표시부(160)가 형성된다. 표시부(160)는 이동형 입력 장치(200)를 조작하는 경우에, 이동형 입력 장치(200)가 슬라이딩 방향(S)을 따라 이동된 위치에 따라 실행되는 기능을 표시한다. 이상의 이동형 입력 장치(200)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mobile input device 200 is installed to be movable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100. Specifically, in the groove 170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0, a sliding rail 180 is open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fore, the movable input device 200 is sli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the sliding rail 180. Thus,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comes the sliding direction S. The display unit 160 is formed at a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adjacent to the groove 170. The display unit 160 displays a function that is executed according to a position where the mobile input device 200 is moved along the sliding direction S when the mobile input device 200 is operated. The above-described mobile input device 2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6.

도 3은 도 2의 이동형 입력 장치(200)의 일부인 이동 입력 유닛(200')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input unit 200 ′ that is part of the mobile input device 200 of FIG. 2.

도 3을 참조하면, 이동 입력 유닛(200')은 신호발생부(210)와, 조작부(220) 및 입력단자부(2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movement input unit 200 ′ includes a signal generator 210, an operation unit 220, and an input terminal unit 230.

신호발생부(210)는 회로기판(211) 및 그에 장착된 스위치(212)를 포함한다. 스위치(212)는, 예를 들어, 돔 스위치일 수 있다. 돔 스위치(212)가 눌려지게 되면, 회로기판(211)은 통전되어 특정 신호를 발생시킨다.The signal generator 210 includes a circuit board 211 and a switch 212 mounted thereto. The switch 212 may be, for example, a dome switch. When the dome switch 212 is pressed, the circuit board 211 is energized to generate a specific signal.

조작부(220)는 신호발생부(210)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스위치(212)를 작동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부분이다. 조작부(220)는 프레임(221)과, 키버튼(222)을 포함한다. 키버튼(222)은 사용자의 누름 조작시에 돔 스위치(212)를 가압하여, 회로기판(211)을 통전시킨다. 이러한 키버튼(222)은 프레임(221)에서 돌출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다.The operation unit 220 is disposed close to the signal generator 210 and is a part manipulated by a user to operate the switch 212. The operation unit 220 includes a frame 221 and a key button 222. The key button 222 energizes the circuit board 211 by pressing the dome switch 212 at the time of pressing by the user. The key button 222 protrudes from the frame 221 and is formed of at least one.

회로기판(211)은 스위치(212)가 장착되는 베이스기판(211-1)과, 베이스기 판(211-1)에서 연장하는 연장기판(211-2)으로 형성된다. 베이스기판(211-1)은 본체(100)의 측면(도 2 참조)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연장기판(211-2)은 베이스기판(211-1)에서 수직하게 연장하여 본체(100) 내부의 인쇄회로기판(190, 도 4 참조)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The circuit board 211 is formed of a base board 211-1 on which the switch 212 is mounted, and an extension board 211-2 extending from the base board 211-1. The base substrate 211-1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see FIG. 2), and the extension substrate 211-2 extends vertically from the base substrate 211-1 to allow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to be extended. It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printed circuit board 190 (see FIG. 4).

입력단자부(230)는 위의 연장기판(211-2)의 단부 측에 형성된다. 입력단자부(230)는 복수의 단자,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3 입력단자(231 내지 233)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스위치(212)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를 수신 유닛(200", 도 4 참조)에 전달하게 된다. 수신 유닛(200")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The input terminal unit 230 is formed at the end side of the extended substrate 211-2 above. The input terminal unit 230 includes a plurality of terminals, for example, first to third input terminals 231 to 233, and receives a signal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switch 212. 4) The receiving unit 2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4는 이동 입력 유닛(200')와 함께 이동형 입력 장치(200)를 구성하는 수신 유닛(200")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4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receiving unit 200 "constituting the mobile input device 200 together with the mobile input unit 200 '.

도 4를 참조하면, 수신 유닛(200")은 수신단자부(250)와 수신베이스(26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receiving unit 200 ″ includes a receiving terminal unit 250 and a receiving base 260.

수신단자부(250)는 수신베이스(260)에 장착되는 복수의 단자들이다. 이러한 수신단자부(250)는 수신베이스(2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수신베이스(260)는 인쇄회로기판(19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The reception terminal unit 250 is a plurality of terminals mounted on the reception base 260. The receiving terminal unit 25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eceiving base 260, and the receiving base 26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190.

수신단자부(250)의 복수의 단자들은 제1 및 제2 위치 센서(251 및 252)와, 제1 및 제2 수신단자(253 및 254)를 포함한다. 이때, 제1 및 제2 위치 센서(251 및 252)는 외곽에 각각 배치되고, 제1 및 제2 수신단자(253 및 254)는 이들 사이에 배치된다. The plurality of terminals of the receiving terminal unit 250 include first and second position sensors 251 and 252, and first and second receiving terminals 253 and 254. 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 sensors 251 and 252 are disposed outside, and the first and second receiving terminals 253 and 254 are disposed therebetween.

수신베이스(260)는 회로기판(211)의 연장기판(211-2)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방향(S)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는 중공체의 형태를 가진다. 또한, 수신단자부(250)의 복수의 단자들(251 내지 254)은 연장기판(211-2)의 양면에 대하여 노출되는 입력단자부(230)에 모두 접촉할 수 있도록, 각각 대응되며 연장기판(211-2)의 양면에 접촉할 수 있는 한 쌍으로 형성된다.The reception base 260 has a form of a hollow body in which an extension board 211-2 of the circuit board 211 is inserted to slide in the sliding direction S. FIG.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terminals 251 to 254 of the receiving terminal unit 250 correspond to the input terminal unit 230 exposed to both sides of the extension board 211-2, respectively, and correspond to the extension board 211. It is formed as a pair which can contact both sides of -2).

이러한 수신단자부(250)의 수신단자들(251 내지 254)을 입력단자들(231 내지 233)이 형성된 연장기판(211-2)과 항상 접촉시키기 위하여, 수신베이스(260)에는 접촉부(270)가 형성된다. 접촉부(270)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In order to always contact the receiving terminals 251 to 254 of the receiving terminal unit 250 with the extended substrate 211-2 on which the input terminals 231 to 233 are formed, a contact unit 270 is provided at the receiving base 260. Is formed. The contact portion 27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도 5는 접촉부(270)를 설명하기 위한 도 4의 A 부분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rtion A of FIG. 4 for explaining the contact portion 270.

도 5를 참조하면, 수신베이스(270)에는 수신단자부(250)의 제2 위치센서(252)가 수용되는 수용홈(271)이 형성된다. 수용홈(271)에는 탄성부재(272), 예를 들어 압축코일 스프링이 배치된다. 그에 따라, 탄성부재(272)를 제2 위치센서(252)를 연장기판(211-2)을 향해 가압하여, 제2 위치센서(252)가 입력단자들(231 내지 233) 중 어느 하나와 완전하게 접촉할 수 있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5, the receiving base 270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groove 271 in which the second position sensor 252 of the receiving terminal 250 is accommodated. An elastic member 272, for example a compression coil spring, is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groove 271. Accordingly, the elastic member 272 presses the second position sensor 252 toward the extended substrate 211-2 so that the second position sensor 252 is completely connected to any one of the input terminals 231 to 233. Make contact with each other.

이상의 이동형 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에 대하여 도 6a 및 도 6b를 추가로 참조하여 그 작동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다.The above-described mobile input device and an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A and 6B.

도 6a는 입력단자부(230)와 수신단자부(250)가 제1 접속위치에 놓인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6b는 이동 입력 유닛(200')의 슬라이딩에 따라 입력단자부(230)와 수신단자부(250)가 제2 접속위치에 놓인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6A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input terminal unit 230 and the receiving terminal unit 250 are placed in the first connection position, and FIG. 6B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input terminal unit 230 and the reception unit according to the sliding of the mobile input unit 200 '. It is a conceptual diagram for demonstrating the state in which the terminal part 250 was placed in the 2nd connection position.

먼저, 도 6a를 참조하면, 제1 접속위치에서 입력단자부(230)의 제1 입력단자(231)는 수신단자부(250)의 제1 위치센서(251)와 접속된다. 제1 입력단자(231)와 제1 위치센서(251)의 접속에 의하여, 이동형 입력 장치(200)가 제1 접속 위치에 위치하고 있음이 감지된다. 이러한 제1 접속 위치는 도 2의 이동형 입력 장치(200)의 배치 위치에 대응한다고 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6A, the first input terminal 231 of the input terminal unit 230 is connected to the first position sensor 251 of the receiving terminal unit 250 in the first connection position. By the connection of the first input terminal 231 and the first position sensor 251, it is detected that the mobile input device 200 is located at the first connection position. This first connection position may correspond to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mobile input device 200 of FIG. 2.

이상의 제1 접속위치에서 이동형 입력 장치(200)는 제1 모드로 작동한다. 그에 따라, 2 개의 키버튼(222, 도 3 참조)에 의해 입력된 신호들은 각각 제2 및 제3 입력단자(222 및 223)를 통해 제1 및 제2 수신단자(253 및 254)에 전달된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가 2 개의 키버튼(222)을 각각 조작하는 경우에 인쇄회로기판(190)은, 제1 및 제2 수신단자(253 및 254)를 통하여, 2 개의 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각 신호에 대응하여 단말기를 제어하게 된다.In the first connection position, the mobile input device 200 operates in the first mode. Accordingly, the signals input by the two key buttons 222 (see FIG. 3) are transmitted to the first and second receiving terminals 253 and 254 through the second and third input terminals 222 and 223, respectively. . In other words, when the user operates the two key buttons 222, the printed circuit board 190 receives two signal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receiving terminals 253 and 254, respectively. In response to the control the terminal.

사용자가 이동형 입력 장치(200)를 슬라이딩 방향(S)을 따라 이동시키면, 이동 입력 유닛(200')은 그루브(170)를 따라 도 2에서 도면을 기준으로 아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그에 따라, 이동 입력 유닛(200')의 입력단자부(230)는 수신유닛(200")의 수신단자부(250)와 도 6b에서와 같은 제2 접속 위치에서 접속되게 된다.When the user moves the movable input device 200 along the sliding direction S, the movement input unit 200 ′ is slidably moved downward along the groove 170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FIG. 2. Accordingly, the input terminal 230 of the mobile input unit 200 'is connected to the receiving terminal 250 of the receiving unit 200 "at the second connection position as shown in FIG. 6B.

이러한 제2 접속 위치에서는, 입력단자부(230)의 제1 접속단자(231)는 수신단자부(250)와 통전되지 않고, 제3 접속단자(233)가 수신단자부(250)의 제2 위치센서(252)와 통전된다. 그에 따라, 이동형 입력 장치(200)는 제2 모드로 작동한다.In this second connection position,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231 of the input terminal unit 230 is not energized with the reception terminal unit 250, and the third connection terminal 233 is connected to the second position sensor () of the reception terminal unit 250. 252). Accordingly, the mobile input device 200 operates in the second mode.

이러한 제2 모드에서, 입력단자부(230)의 제1 입력단자(231)는 수신단자 부(250)의 제1 수신 단자(253)에 접속되고, 제2 입력단자(232)는 제2 수신단자(254)에 접속된다. 그에 따라, 조작부(220)의 2 개의 키버튼(222)에 의해 입력되는 2 개의 신호는 각각 제1 및 제2 입력단자(231 및 232)와 제1 및 제2 수신 단자(253 및 254)를 통해 인쇄회로기판(190)에 전달된다.In this second mode, the first input terminal 231 of the input terminal unit 230 is connected to the first receiving terminal 253 of the receiving terminal unit 250, the second input terminal 232 is the second receiving terminal 254. Accordingly, the two signals input by the two key buttons 222 of the operation unit 220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input terminals 231 and 232 and the first and second reception terminals 253 and 254, respectively. It is transmit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190 through.

이상에서 제1 및 제2 모드에서의 키버튼(222)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의 전환은 인쇄회로기판(190) 및 회로기판(211)의 제어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표시부(160, 도 2)는 이동형 입력 장치(200)가 제1 및 제2 접속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2 개의 키버튼(222)을 각각의 조작시에 실행되는 기능을 표시한다.In the above, the signal input through the key buttons 222 in the first and second modes is switched by the control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90 and the circuit board 211.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60 (FIG. 2) displays a function to be executed at each operation of the two key buttons 222 when the mobile input device 200 is located at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ositions.

이상에서, 2 개의 키버튼(222)을 가지는 이동형 입력 장치(200)를 통하여 2개의 신호가 아닌 4개의 신호(제1 및 제2 모드에서 각각 2개의 신호)가 입력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에 따라, 본체(100)의 측면에는 단지 2 개의 키버튼(222)만이 노출되면서도, 사용자는 상기 키버튼(222)을 통해 4가지 명령을 단말기에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단말기 내부에서도 입력단자부(230)에 구비되는 단자들(231 내지 233)의 수도 적어져서, 내부 공간의 활용성이 개선된다.In the above description, it can be seen that four signals (two signals in the first and second modes), not two signals, may be input through the mobile input device 200 having the two key buttons 222. . Accordingly, even though only two key buttons 222 are expos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100, the user can input four commands to the terminal through the key buttons 222. In addition, the number of terminals 231 to 233 provided in the input terminal unit 230 also decreases in the terminal, thereby improving the usability of the internal space.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mobile input device and th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herein,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는 바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폴더형, 슬라이드형 등 다른 형태의 단말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For exampl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bar-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but it is obvious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other types of terminals such as a folder type and a slide type.

나아가, 입력단자부(230)와 수신단자부(250)의 각 단자들은 이동형 입력 장치(200)를 통해 입력하고자 하는 신호의 수에 따라 그 갯수가 달라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number of the terminals of the input terminal 230 and the receiving terminal 250 may vary depending on the number of signals to be input through the mobile input device 20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입력 장치는 입력 유닛이 이동 가능하게 구성됨에 따라 한정된 조작부를 통해 그 이상의 신호를 입력시킬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input unit is configured to be movable, can input more signals through the limited operation uni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는 위와 같은 이동형 입력 장치를 구비함에 따라, 전자기기의 외관 및 내부를 복잡하게 하지 않으면서도 다수의 기능을 이동형 입력 장치를 통해 제어할 수 있게 한다. 그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의 향상이 단말기의 디자인적인 제약을 야기하지 않게 한다.In addition, since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above-described mobile input device, a plurality of functions can be controlled through the mobile input device without complicating the appearance and the inside of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ly, the user's convenience does not cause the design constraints of the terminal.

Claims (19)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신호를 발생시키고, 회로기판 및 상기 회로기판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이 되도록 상기 회로기판의 양면에 배치되는 단자들을 포함하는 이동 입력 유닛;A mobile input unit which generates a signal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and includes terminal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ircuit board so as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ircuit board and the circuit board; 상기 이동 입력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동 입력 유닛의 이동된 접속 위치에 따라 상이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유닛을 포함하며,A receiving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bile input unit, the receiving unit receiving a different signal according to the moved connection position of the mobile input unit, 상기 수신유닛은,The receiving unit, 상기 회로기판이 삽입되어 슬라이딩하도록 형성되는 중공을 포함하는 수신베이스;A receiving base including a hollow in which the circuit board is inserted and formed to slide; 상기 단자들을 서로 반대방향에서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중공의 측벽에 각각 서로 대면하도록 배치되고 일단부에 상기 회로기판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제1 및 제2 수신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입력 장치.And first and second receiving terminals including elastic members disposed on the hollow sidewalls so as to face each other so as to press the terminals in opposite directions, and including elastic members at one end thereof to apply elastic force toward the circuit board. Mobile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동 입력 유닛은,The mobile input unit, 신호발생부;A signal generator; 상기 신호발생부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시 상기 신호발생부에 신호를 인가하는 조작부;An operation unit disposed in close proximity to the signal generation unit and configured to apply a signal to the signal generation unit when a user manipulates the control unit; 상기 신호발생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발생된 신호를 상기 수신 유닛에 전달하는 입력단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입력 장치.And an input termina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ignal generator and configured to transfer the generated signal to the receiving unit. 제2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신호발생부는,The signal generator, 상기 회로기판에 장착되어,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회로기판과 통전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입력 장치.And a switch mounted to the circuit board, the switch being energized with the circuit board by manipulation of the operation unit.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스위치는 돔 스위치이고,The switch is a dome switch, 상기 조작부는,The operation unit, 프레임;frame; 상기 프레임에서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의 누름 조작시 상기 돔 스위치를 상기 회로기판을 향해 가압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버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입력 장치.And at least one key button protruding from the frame to press the dome switch toward the circuit board when a user presses the button. 제2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수신 유닛은,The receiving unit, 상기 입력단자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신호를 전달받는 수신 단자부;A receiving termina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unit to receive the signal; 상기 수신단자부가 장착되는 수신베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입력 장치.And a receiving base unit to which the receiving terminal unit is mounted.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수신 단자부는 상기 입력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입력단자부와의 접속 위치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입력 장치.And the receiving terminal unit comprises at least one position sens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unit to sense a connection position with the input terminal unit.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수신베이스에 형성되어, 상기 수신단자부를 상기 입력단자부와 접촉시키는 접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입력 장치.And a contact portion formed in the receiving base to contact the receiving terminal portion with the input terminal portion.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접촉부는,The contact portion, 상기 수신베이스에 형성되는 수용홈을 포함하고,It includes a receiving groove formed in the receiving base,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수용홈에 배치되어, 상기 수신단자부를 상기 입력단자부를 향해 가압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입력 장치.The elastic member is disposed in the receiving groove, the movable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press the receiving terminal toward the input terminal. 인쇄회로기판을 내장하는 본체;A main body having a printed circuit board; 상기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신호를 발생시키고, 회로기판 및 상기 회로기판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이 되도록 상기 회로기판의 양면에 배치되는 단자들을 포함하는 이동 입력 유닛;A mobile input unit movably mounted to the main body, the mobile input unit including terminal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ircuit board to generate a signal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and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ircuit board and the circuit board; 상기 이동 입력 유닛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동 입력 유닛의 이동된 접속 위치에 따라 상이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입력시키는 수신 유닛을 포함하며,A receiving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ving input unit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for receiving a different signal according to the moved connection position of the moving input unit and inputting the signal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상기 수신유닛은,The receiving unit, 상기 회로기판이 삽입되어 슬라이딩하도록 형성되는 중공을 포함하는 수신베이스부; 및A reception base part including a hollow formed to slide the circuit board; And 상기 단자들을 서로 반대방향에서 가입할 수 있도록, 상기 중공의 측벽에 각각 서로 대면하도록 배치되고 일단부에 상기 회로기판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제1 및 제2 수신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입력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A first and a second receiving terminal including an elastic member disposed at the hollow sidewall to face each other so as to join the terminals in opposite directions, and having an elastic member applied at one end to the circuit board.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mobile input device. 제9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이동 입력 유닛은 상기 본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The movement input unit is mounted to the main body to be slidably movable, 상기 본체에 상기 이동 입력 유닛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개구되어, 상기 이동 입력 유닛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슬라이딩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입력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And a sliding rail which is opened in the main body in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moving input unit and guides the sliding of the moving input unit. 제9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이동 입력 유닛은,The mobile input unit, 신호발생부;A signal generator; 상기 신호발생부에 근접한 채로 상기 본체의 외면에 노출되게 배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시 상기 신호발생부에 신호를 인가하는 조작부;An operation unit disposed to be expos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while being adjacent to the signal generation unit, and configured to apply a signal to the signal generation unit when a user manipulates the control unit; 상기 신호발생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발생된 신호를 상기 수신 유닛에 전달하는 입력단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입력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And an input termina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ignal generator, the input terminal unit transmitting the generated signal to the receiving unit. 제11항에 있어서,12.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신호발생부는,The signal generator, 상기 회로기판에 장착되어,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회로기판과 통전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입력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And a switch mounted to the circuit board, the switch being energized with the circuit board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스위치는 돔 스위치이고,The switch is a dome switch, 상기 조작부는,The operation unit, 프레임;frame; 상기 프레임에서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의 누름 조작시 상기 돔 스위치를 상기 회로기판을 향해 가압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버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입력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And at least one key button protruding from the frame to press the dome switch toward the circuit board when a user presses the button. 제11항에 있어서,12.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수신 유닛은,The receiving unit, 상기 입력단자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신호를 전달받는 수신 단자부;A receiving termina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unit to receive the signal; 상기 수신단자부가 장착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수신베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입력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And a receiving base unit mounted with the receiving terminal unit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제1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수신단자부는 상기 입력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입력단자부와의 접속 위치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입력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And the receiving terminal unit includes at least one position sens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unit to sense a connection position with the input terminal unit. 제1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수신베이스에 형성되어, 상기 수신단자부를 상기 입력단자부와 접촉시키는 접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입력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And a contact portion formed in the receiving base and contacting the receiving terminal portion with the input terminal portion. 제15항에 있어서,16. 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접촉부는,The contact portion, 상기 수신베이스에 형성되는 수용홈;A receiving groove formed in the receiving base; 상기 수용홈에 배치되어, 상기 수신단자부를 상기 입력단자부를 향해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입력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And an elastic member disposed in the accommodating groove, the elastic member configured to press the receiving terminal part toward the input terminal part. 제9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본체의 주면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및 고정 입력 유닛을 더 포함하고,Further comprising a display and a fixed input unit mounted on the main surface of the main body, 상기 이동 입력 유닛은 상기 주면에 연결되는 일 측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입력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And the mobile input unit is mounted on one side surface connected to the main surface. 제9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트랜스시 버(transceiver)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입력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And the electronic device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ransceiv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KR1020060113527A 2006-11-16 2006-11-16 Movable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KR1012795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3527A KR101279511B1 (en) 2006-11-16 2006-11-16 Movable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3527A KR101279511B1 (en) 2006-11-16 2006-11-16 Movable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4550A KR20080044550A (en) 2008-05-21
KR101279511B1 true KR101279511B1 (en) 2013-06-28

Family

ID=39662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3527A KR101279511B1 (en) 2006-11-16 2006-11-16 Movable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9511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0231A (en) * 2000-12-22 2002-07-05 Nec Access Technica Ltd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40023237A (en) * 2002-09-11 2004-03-18 주식회사 타임즈텔레콤 Slide up/down bottom of a cellular phone
KR20060008071A (en) * 2004-07-23 2006-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Switch assembly
KR20060081874A (en) * 2005-01-10 2006-07-13 주식회사 팬택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both pressing and sliding switching ac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0231A (en) * 2000-12-22 2002-07-05 Nec Access Technica Ltd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40023237A (en) * 2002-09-11 2004-03-18 주식회사 타임즈텔레콤 Slide up/down bottom of a cellular phone
KR20060008071A (en) * 2004-07-23 2006-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Switch assembly
KR20060081874A (en) * 2005-01-10 2006-07-13 주식회사 팬택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both pressing and sliding switching a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4550A (en) 2008-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77118B2 (en) Input apparatus and optical reflection panel module
US8284568B2 (en) Key button mechanism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US9471187B2 (en) Input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therewith
CN105637574B (en) Electronic device with curved display module
US9423836B2 (en) Super-slim touch keyboard and super-slim cover device for smart keyboard having the same
KR101831402B1 (en)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mobile terminal using it
KR100770921B1 (en) Keypad assembly for mobile phone
US7747298B2 (en) Slid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US20140076704A1 (en) Keypad apparatus for use with electronic devices and related methods
KR101810463B1 (en) Mobile terminal
KR20110080680A (en) Multi-functional pen and method for using multi-functional pen
KR20070004246A (en) Portable terminal apparatus and connector mounting structure and method of fpcb packed in the apparatus
JP2020521264A (en) Smart controller
US9177738B2 (en) Mobile terminal
WO2018018605A1 (en) Key module and mobile terminal
JP2019530123A (en) Patch type controller
KR101279511B1 (en) Movable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JP2016213671A (en) Portable device
US20100288613A1 (en) Keypad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KR101869771B1 (en) Mobile terminal and key pa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610206B1 (en) Portable terminal
KR20050041274A (en) A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ouch panel and a double input type sliding cover
US6975506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input device with movable support device
KR20090017908A (en) Portable terminal
KR101789536B1 (en) Mobi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