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6716B1 - 레이저 치료 장치의 핸드피스 - Google Patents

레이저 치료 장치의 핸드피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6716B1
KR101276716B1 KR1020127026613A KR20127026613A KR101276716B1 KR 101276716 B1 KR101276716 B1 KR 101276716B1 KR 1020127026613 A KR1020127026613 A KR 1020127026613A KR 20127026613 A KR20127026613 A KR 20127026613A KR 101276716 B1 KR101276716 B1 KR 101276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handpiece
rotation
tip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6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6391A (ko
Inventor
아키라 곤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갸이샤 알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갸이샤 알테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갸이샤 알테크
Publication of KR20120136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6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6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6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5Warming the body, e.g. hyperthermia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A61B18/2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the beam being directed along or through a flexible conduit, e.g. an optical fibre; Couplings or hand-pie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A61B18/2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the beam being directed along or through a flexible conduit, e.g. an optical fibre; Couplings or hand-pieces therefor
    • A61B2018/2205Characteristics of fibres
    • A61B2018/2211Plurality of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A61B18/2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the beam being directed along or through a flexible conduit, e.g. an optical fibre; Couplings or hand-pieces therefor
    • A61B2018/225Features of hand-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A61B18/2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the beam being directed along or through a flexible conduit, e.g. an optical fibre; Couplings or hand-pieces therefor
    • A61B2018/2255Optical elements at the distal end of probe ti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tolaryng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Laser Surgery Devices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조사부로부터 표적 부위까지의 경로 상에 있는 생체 조직의 온도 상승을 종래보다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레이저 치료 장치용의 핸드피스를 제공한다. 당해 핸드피스(10)는, 펄스 광원으로부터 발생한 레이저광을 도광하는 광파이버(16)와, 회전축 C0 상에 설치된 목표점 P에 상기 레이저광의 광축 C1이 향하도록 상기 회전축 C0에 대하여 경사지게 하여 상기 광파이버(16)의 선단부(64)를 유지하고, 상기 회전축 C0 주위에 상기 광파이버(16)의 선단부(64)를 회전시키는 회전 유지부(32)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펄스 광원의 단위 시간당의 펄스 수가, 상기 단위 시간당의 상기 광파이버(16)의 선단부(64)의 회전수의 정수배가 되지 않도록, 상기 펄스 광원의 펄스 수 및 상기 광파이버(16)의 선단부(64)의 회전수가 정해져 있다.

Description

레이저 치료 장치의 핸드피스{HANDPIECE FOR LASER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레이저 치료 장치의 핸드피스에 관한 것이다. 특히, 레이저광을 생체 조직에 조사(照射)하여 가온(加溫)함으로써 당해 생체 조직을 치료하는 레이저 치료 장치에 사용되는 핸드피스에 관한 것이다.
피부 등의 생체 조직에 전자파를 조사하여 가온함으로써 당해 조직의 치료를 행하는 전자파 조사형의 치료 장치가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이나 비특허문헌 1에 있어서는 RF파를 피부에 조사하는 치료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치료 장치에 있어서는, 피부에 RF파를 조사함으로써 피부를 가온하여 표피의 재생을 촉진하거나 진피를 가온하여 콜라겐의 재생이나 증식을 촉진하고 있다.
전자파 조사형의 치료 장치는 전자파원이나 전원을 구비한 전원 장치와, 전원 장치에 접속된 핸드피스라고 불리는 치료 지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핸드피스에는 전자파를 피부 등의 치료 대상에 조사하는 조사부가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전자파로서 RF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조사부에는 1쌍의 전극이 장착되어 있고, 이 1쌍의 전극을 피부에 맞닿게 한 후에 당해 전극으로부터 RF파 등의 전자파가 투과된다. 일방의 전극으로부터 방사된 전자파는 피부를 경유하여 타방의 전극에 이른다. 이 과정에서 전자파가 투과되는 경로 상의 피부 조직이 가온된다.
이때, 전자파가 흐르는 경로가 되는 영역보다 원래 치료하고 싶은 표적 부위의 영역이 작은 경우이어도, 기본적으로는 경로 전체가 표적 부위와 동일하게 가온된다. 여기서, 생체 조직의 온도 상승에 따라 환자가 통증을 느끼는 경우가 있다. 이 통증은 마취를 하지 않아도 견딜 수 있는 정도의 통증이기는 하지만, 환자의 부담을 고려하여 통증을 느끼는 영역을 작게 하고 싶다는 요구가 있다. 그래서 특허문헌 1에 있어서는 핸드피스에 냉각기를 장착하고, 이 냉각기를 피부 표면에 댐으로써 표적 부위 이외의 조직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고 있다.
일본 특허공표 제2010-535056호 공보
다카하시, 「각종 스킨타이트닝 기기에 있어서의 피내 온도 변화의 측정과 고찰」, 일본 미용 의료 테크놀로지 학회지, 일본 미용 의료 테크놀로지 학회, 평성 20년 6월 30일 No.3, p53-60
그런데, 냉각기를 피부 표면에 대는 구조에서는, 표피로의 냉각 효과는 얻을 수 있지만, 전자파의 경로 상의 표적 부위 이외의 표피 하의 조직, 예를 들면, 진피 조직이 표적 부위와 대략 동일하게 가온되어, 냉각 효과는 한정된 것이 된다. 그래서, 표적 부위 이외의 영역의 가열을 더욱 억제할 수 있는 치료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레이저 치료 장치의 핸드피스에 관한 것이다. 당해 핸드피스는, 펄스 광원으로부터 발생한 레이저광을 도광(導光)하는 광파이버와, 회전축 상에 설치된 목표점에 상기 레이저광의 광축이 향하도록 상기 회전축에 대하여 경사지게 하여 상기 광파이버의 선단부를 유지하고, 상기 회전축 주위에 상기 광파이버의 선단부를 회전시키는 회전 유지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펄스 광원의 단위 시간당의 펄스 수가, 상기 단위 시간당의 상기 광파이버의 선단부의 회전수의 정수배(整數倍)가 되지 않도록, 상기 펄스 광원의 펄스 수 및 상기 광파이버의 선단부의 회전수가 정해져 있다.
또,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전 유지부는, 상기 광파이버의 선단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파이버의 선단부에는, 상기 회전 유지부로부터의 상기 선단부의 빠짐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사부로부터 표적 부위까지의 경로 상에 있는 조직의 온도 상승을 종래보다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핸드피스를 구비한 레이저 치료 장치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핸드피스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핸드피스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핸드피스의 선단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핸드피스를 사용한 치료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다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레이저 치료 장치의 핸드피스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다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핸드피스를 사용한 치료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다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핸드피스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핸드피스의 선단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에,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핸드피스(10)를 포함하는 레이저 치료 장치(12)를 예시한다. 레이저 치료 장치(12)는 핸드피스(10)와 전원 장치(1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전원 장치(14)에는 도시 생략한 레이저 광원, 전원 및 냉각액 순환 펌프가 설치되어 있다. 핸드피스(10)와 전원 장치(14)는 광파이버(16)와, 냉각액 순환 튜브(18), 전력 케이블(20)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전원 장치(14)의 레이저 광원은 치료 대상에 따라 정해진다. 예를 들면, 치료 대상이 진피 등의 표피 하 조직인 경우에는, 이른바 조직 투과형의 레이저 광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직 투과형의 레이저광이란 수중에 있어서 조사원으로부터 3㎜에서의 에너지 투과율이 60% 이상인 것으로서, 예를 들면, Nd:YAG 레이저, 반도체 레이저, He-Ne 레이저, 아르곤 가스 레이저 등의 레이저 광원이 사용된다. 또, 레이저 광원의 에너지 밀도는 치료 부위의 손상을 야기할 우려가 낮은 것이면 되고, 예를 들면, 23J/㎠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레이저 광원은 펄스 광원이어도 연속 광원이어도 되지만, 피부에 대한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서는 단속적으로 레이저광이 조사되는 펄스 광원이 바람직하다.
또, 전원 장치(14)에는 페달(풋 스위치)(21)이 설치되어 있고, 페달(21)을 밟음으로써 전원 장치(14)의 전원으로부터 전력 케이블(20)을 통하여 핸드피스(10)에 전력이 보내짐과 함께, 레이저 광원으로부터 광파이버(16)를 통하여 핸드피스(10)에 레이저광이 보내진다.
여기서, 페달(21)과 전원 장치(14) 사이에, 컨트롤러(110)를 설치해도 된다.
컨트롤러(110)는, 페달(21)의 조작에 따라, 레이저광의 에너지량이나 조사 패턴을 전원 장치(14)에 지령한다. 컨트롤러(110)는, 페달(21)의 커넥터를 삽입할 수 있는 소켓과, 전원 장치(14)의 소켓에 삽입할 수 있는 커넥터를 구비하고 있다. 전원 장치(14)의 소켓의 형상이, 전원 장치(14)의 제조 회사에 따라 다른 경우에는, 각각의 소켓에 적합한 커넥터를 설치하거나, 소켓에 적합하게 하기 위한 어댑터를 설치해도 된다.
또, 냉각액 순환 펌프와 핸드피스(10)는 냉각액 순환 튜브(18)를 통하여 냉각액이 순환하도록 되어 있다. 냉각액의 순환은 페달 조작과 상관없이 상시 행하여도 되고, 페달 조작에 따라 행하도록 하여도 된다.
도 2에 핸드피스(10)의 확대 사시도를 예시한다. 핸드피스(10)는, 시술자가 손으로 들고 조작하기 쉬운 형상이나 크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핸드피스(10)는 펜형으로 하고, 길이 방향의 길이는 20∼30㎝로 하며, 유지부(22)는 시술자가 손으로 들기 쉬운 형상으로 한다. 유지부(22)는, 예를 들면, 모서리가 모따기 가공된 원기둥 형상 또는 각기둥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시술자의 손끝을 얹는 핑거레스트(24)를 설치해도 된다. 또, 핸드피스(10)의 중량은 시술자가 장시간의 유지에 견딜 수 있는 무게가 되도록 형성되고, 예를 들면, 0.2㎏ 이상 2㎏ 이하가 되도록 형성된다.
도 3에 핸드피스(10)의 A-A 단면도를 예시한다. 핸드피스(10)는, 광파이버(16), 냉각액 순환 튜브(18), 전력 케이블(20), 케이싱(26), 캡(28), 냉각 링(30), 회전 유지부(32), 모터(44), 회전 속도 센서(46), 감속 기어(48) 및 회전통(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싱(26)은, 유지부(22)(도 2 참조)를 구성하는 통 형상의 부재이다. 케이싱(26) 내에는, 회전 유지부(32), 모터(44), 감속 기어(48) 및 회전통(50)이 수용된다. 또, 케이싱(26)에는, 외부로부터 광파이버(16)가 도입되어, 캡(28)에 설치된 조사창(40)으로부터 레이저광을 조사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한다. 또, 케이싱(26) 내에는, 전력 케이블(20)이 도입되어, 모터(44)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광파이버(16) 및 전력 케이블(20)은, 케이싱(26)의 후단부(後端部)에 설치된 커넥터(34)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케이싱(26) 내로 도입된다.
또한, 케이싱(26)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이나 철 등의 금속 재료나 플라스틱 등의 수지 재료로 구성할 수 있지만, 시술자의 부담을 경감하기 위하여 비중이 작은 알루미늄이나 플라스틱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싱(26)의 선단부[지면(紙面) 상측]에는 캡(28)이 장착되어 있다. 캡(28)은, 선단이 후단에 대하여 가늘어지도록 테이퍼가 실시된 원통 형상의 부재이며, 후단은 케이싱(26)의 선단부에 감입 등에 의해 고정할 수 있는 형상으로 한다. 캡(28)의 선단에는, 조사창(40)이 설치되어 있다.
조사창(40)은, 광파이버(16)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광이 투과 가능한 부재로 구성된다. 조사창(40)은, 예를 들면, 사파이어 유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사창(40)은, 후술하는 회전축 C0(도 4 참조)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광파이버(16)에 의해 도입되는 레이저광이 케이싱(26)의 선단부로부터 출사되는 영역에 설치된다. 조사창(40)은, 예를 들면, 회전축 C0을 중심으로 한 원 형상으로 한다.
또, 조사창(40) 및 캡(28)의 선단부는, 치료 대상이 되는 표적 부위에 가까운 피부 등에 접촉시키는 접촉면(42)을 구성한다. 이때, 접촉면(42)이 회전축 C0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캡(28)이 케이싱(26)의 선단부에 장착된다. 또한, 수직이란 엄밀하게 90°만을 가리킬 뿐만 아니라, 장착 상의 오차도 포함해도 되고, 85° 이상 95° 이하의 범위이면 된다.
또한, 치료 시에 있어서 피부에 접촉시킨 채 접촉면(42)을 이동시킬[피부 상에 접촉면(42)을 미끄러지게 할] 때에 캡(28)이 피부에 걸려서 환자가 불쾌감을 느끼지 않도록, 캡(28)의 모서리부를 모따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캡(28)은, 열전도성이 높은 재료, 예를 들면,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료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캡(28)을 열전도성이 높은 재료로 구성함으로써, 레이저광에 의해 가열된 조사창(40)을 신속하게 열 제거할 수 있고, 이 열이 피부 등의 환부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캡(28)에는, 레이저광에 의해 가열된 피부 등의 환부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 링(30)을 설치해도 된다. 예를 들면, 냉각 링(30)은, 캡(28)의 외주를 따라 배치된 중공의 원환부(圓環部)이며, 접속된 2개의 냉각액 순환 튜브(18A, 18B)를 통하여 냉매의 공급 및 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조사창(40)으로부터 캡(28)을 통하여 전달된 열을 냉매에 의해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냉각액 순환 튜브(18A, 18B)를 냉각 링(30)으로부터 떼어내거나, 또는 냉각 링(30)을 설치하지 않고, 캡(28)을 공랭해도 된다. 또,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28)은, 펠티에 소자 등의 전기적인 냉각 수단(112)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캡(28)은, 다른 여러가지 기능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온도 센서(114)를 설치해도 된다. 온도 센서(114)는, 예를 들면, 열전대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온도 센서(114)는, 표적 부위의 온도를 측정 또는 연산하기 쉽도록, 조사창(40)의 근방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시술의 안전성을 고려하여, 캡에 접촉 센서(116)를 설치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접촉 센서(116)가 피부로의 접촉을 검지하고 있지 않은 동안에는, 페달(21)을 밟아도 핸드피스(10)로부터 레이저광이 조사되지 않도록 한다. 접촉 센서(116)는, 예를 들면, 정전 용량 센서로 구성할 수 있다.
도 3으로 되돌아가서, 케이싱(26) 내에는, 광파이버(16)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유지부(32), 모터(44), 감속 기어(48) 및 회전통(50)이 설치된다. 도 4의 핸드피스(10)의 선단부의 확대 단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유지부(32)에는 광파이버(16)의 선단부(64)가 유지되고, 감속 기어(48) 및 회전통(50)을 통하여 모터(44)에 의해 회전 유지부(32)를 회전시킴으로써 회전축 C0의 주위를 주회하도록 광파이버(16)의 선단부를 회전시킨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모터(44)의 회전을 감속 기어(48)를 통하여 회전 유지부(32)로 전달하고 있다. 즉, 모터(44)의 회전은, 모터(44)의 출력 기어(54)로부터 제1 감속 기어(48A)에 전달된다. 제1 감속 기어(48A)는, 회전통(50)의 주위를 미끄러지면서 회전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또, 제1 감속 기어(48A)는, 베어링(56)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된 샤프트(58)에 고정된 제2 감속 기어(48B)에 맞물려 있다. 제1 감속 기어(48A)와 제2 감속 기어(48B)의 기어비에 따라, 제1 감속 기어(48A)의 회전은 감속되어서 제2 감속 기어(48B)에 전달된다. 또한, 제2 감속 기어(48B)는, 회전통(50)에 고정된 제3 감속 기어(48C)에 맞물려 있다. 제2 감속 기어(48B)와 제3 감속 기어(48C)의 기어비에 따라, 제2 감속 기어(48B)의 회전이 감속되어서 제3 감속 기어(48C)에 전달된다. 이것에 의해, 회전통(50)은 제3 감속 기어(48C)의 회전에 따라 회전한다. 회전통(50)은, 베어링(60)에 의해 케이싱(26)의 내벽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됨과 함께, 회전 유지부(32)를 고정하고 있다.
또한, 모터(44)의 회전수의 제어 범위가 광파이버(16)의 원하는 회전수의 범위에 있으면 감속 기어(48)는 생략해도 된다.
또, 회전 속도 센서(46)에 의해 모터(44)의 회전 속도나 회전수가 검출되고, 전원 장치(14)에 송신된다. 전원 장치(14)의 제어부는, 회전 속도 센서(46)에서 검출된 모터(44)의 회전 속도와, 미리 기억된 감속 기어(48A-C)의 감속비에 따라 광파이버(16)의 회전 속도나 회전수를 산출한다.
광파이버(16)는, 중공의 통 형상인 회전통(50) 안을 지나, 회전 유지부(3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된다.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유지부(32)에 설치된 삽입 구멍(32A)에 광파이버(16)를 삽입하여 유지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삽입 구멍(32A)의 내경을 광파이버(16)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해둠으로써 광파이버(16)를 회전 유지부(3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회전통(50)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 유지부(32)가 회전하였을 때, 광파이버(16)는 회전 유지부(32)의 유지 부분에서 미끄러지면서 회전 유지부(32)와 함께 회전하지만, 광파이버(16)에 비틀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도 4에서는 선단부(64)를 회전 유지부(32)의 삽입 구멍(32A)으로부터 돌출시킨 상태로 유지하고 있지만, 회전 유지부(32)의 삽입 구멍(32A) 내에 선단부(64)가 들어가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광파이버(16)는 회전 유지부(32)의 회전축 C0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있어서 광파이버(16)의 광축 C1이 회전축 C0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유지된다. 이때, 회전축 C0에 대한 광파이버(16)의 경사 각도 θ는, 회전축 C0과 광축 C1이 목표점 P에서 교차하도록 설정한다. 목표점 P는, 회전축 C0 상에 가온 대상인 표적 부위가 위치하도록 케이싱(26)의 접촉면(42)을 환부(피부)에 댄 상태에 있어서의, 접촉면(42)으로부터 표적 부위까지의 거리 d0으로 정해진다. 예를 들면, 표적 부위가 진피에 있는 경우, 거리 d0은 0.5㎜ 이상 1.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유지부(32)의 유지부(66)의 두께 방향의 중심점으로부터 회전축 C0으로 내린 수선(垂線)의 길이를 d1, 당해 수선과 회전축 C0의 교점으로부터 접촉면(42)까지의 거리를 d2로 하면, 경사 각도 θ는 θ=tan-1(d1/(d0+d2))로 정해진다.
회전축 C0에 대한 광축 C1의 경사 각도 θ는, 0°<θ<90°의 범위로 설정된다. 다만, 경사 각도 θ를 과도하게 작게 하면 레이저광에 의해 조사되는 영역이 집중하여 표적 부위 이외가 과도하게 가열되기 때문에, 표적 부위 이외의 부위가 소망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지 않는 각도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경사 각도 θ를 과도하게 크게 하면 광파이버(16)의 회전 직경이 커지고, 그에 수반하여 핸드피스(10)의 직경도 커져서 사용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원하는 사용성을 만족하는 각도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는, d1은 3.0㎜ 이상 5.0㎜ 이하, d2는 5㎜ 이상 10㎜ 이하로 하기 때문에, d0이 0.5㎜ 이상 1.0㎜ 이하인 경우, 경사 각도 θ는 15° 이상 45° 이하의 범위의 각도가 된다.
또한, 광파이버(16)가, 회전 유지부(32)에 슬라이딩하면서 회전하는 동안에, 원심력이나 광파이버(16)의 휨 등에 의해, 회전 유지부(32)로부터 광파이버(16)의 선단부(64)가 빠질 우려가 있다. 그래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부(64)에 스토퍼(118)를 설치해도 된다.
스토퍼(118)는, 통부(120) 및 플랜지부(1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부(120)는, 선단부(64)에 삽입 고정됨과 함께, 회전 유지부(32)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한 부재이다. 통부(120)는, 예를 들면, 회전 유지부(32)의 광파이버 삽입 구멍(32A)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이며, 또한, 선단부(64)의 외경 이상의 내경을 구비한,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플랜지부(122)는, 회전 유지부(32)의 광파이버 삽입 구멍(32A)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평판 형상의 부재이다. 플랜지부(122)도 통부(120)와 마찬가지로, 회전 유지부(32)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예를 들면, 통부(120) 및 플랜지부(122)를, 슬라이딩성이 양호한 테플론(등록 상표) 등의 수지로 형성해도 된다.
스토퍼(118)는, 유지부(66)의 조사창(40) 측의 측면(124)에 플랜지부(122)가 맞닿도록, 선단부(64)에 고정된다. 예를 들면, 접착에 의해, 스토퍼(118)를 선단부(64)에 고정시켜도 되고, 스토퍼(118)를 선단부(64)에 코킹함으로써 고정시켜도 된다.
또한, 유지부(66)의, 측면(124)에 대향하는 측면(126) 측에도, 스토퍼(118)를 설치해도 된다. 측면(126) 측에 스토퍼(118)를 설치함으로써, 선단부(64)가 조사창(40) 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로 되돌아가서,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레이저 치료 장치용의 핸드피스(10)를 사용한 치료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예로서, 피부에 형성된 주름의 직하(直下)에 있는 진피 조직을 표적 부위로 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진피 조직을 가온함으로써, 콜라겐 섬유가 증가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콜라겐 섬유의 증가에 의해, 피부의 주름이나 늘어짐 등이 경감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자들은, 피부 직하 1㎜ 이상 3㎜ 이하의 진피층을 46℃ 이상 68℃ 이하의 범위로 가온함으로써, 콜라겐 섬유가 유의(有意)하게 증가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진피층의 임의인 지점을 표적 부위로 하면, 레이저광의 출력이 9W일 때에는, 6초 이상, 레이저광을 표적 부위에 계속 조사함으로써, 당해 표적 부위를 상기의 온도 범위까지 가온할 수 있다. 한편, 표적 부위로의 레이저 조사가 장기간 계속되면, 표적 부위로부터 생기는 동통에, 환자가 견디는 것이 곤란해진다. 그래서, 표적 부위로의 조사 시간은, 10초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치료에 있어서는, 표적 부위나 그 주변의 온도 관리를 엄격하게 행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치료에 앞서, 피부의 온도를 미리 소정의 온도로 조정하는, 전처리를 행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레이저광의 조사에 앞서, 피부를 5℃ 이상 20℃ 이하로 냉각하는 냉각 처리를 행하여도 된다. 또, 레이저광의 조사 중에는, 표적 부위의 온도 관리를 정확하게 행하기 위하여, 피부로의 냉각을 정지시켜도 된다.
레이저광의 조사에 있어서, 치료 대상이 되는 표적 부위에 회전축 C0이 향하도록 피부 표면에 핸드피스(10)의 접촉면(42)을 댄다. 이때, 핸드피스(10)의 접촉면(42)이 회전축 C0에 대하여 수직으로 구성되고, 또한 회전축 C0 상에 목표점 P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주름에 접촉면(42)을 맞닿게 함으로써, 주름 직하의 표적 부위와 목표점 P를 겹칠 수 있다.
또한 페달(21)을 밟음으로써 모터(44)에 전력이 공급됨과 함께 광파이버(16)에 레이저광이 보내진다. 모터(44)의 회전에 수반하여 광파이버(16)가 회전축 C0의 주위를 회전하면서 목표점 P를 향하여 레이저광이 조사된다.
이때,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목표점 P와 겹친 표적 부위는 연속적으로 레이저광에 조사된다. 한편으로, 표적 부위 이외의 영역은 단속적으로 레이저광에 조사된다. 즉, 표적 부위 이외의 영역의 레이저 조사 기간은 표적 부위와 비교하여 짧아진다. 따라서 표적 부위 이외의 영역의 온도 상승은 표적 부위와 비교하여 완만해진다. 그 결과, 표적 부위가 집중적으로 가온됨과 함께, 광파이버(16)로부터 표적 부위까지의 경로 상의 조직의 온도 상승이 억제된다.
여기서, 레이저 광원이 펄스 광원인 경우에는, 광파이버(16)의 회전 주기를 펄스 주기에 따라 설정하거나, 또는 펄스 주기를 회전 주기에 따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표적 부위 이외의 부위의 특정한 지점에 집중하여 레이저광이 조사되지 않고, 표적 부위 이외의 부위에 대하여 가능한 한 고르게(소정의 부위에 치우치지 않고) 레이저광이 조사되도록 펄스 주기와 회전 주기를 어긋나게 설정한다. 예를 들면, 펄스 주기를 A[msec], 광파이버(16)의 회전 속도를 B[rpm], 임의의 정수를 k로 하면, 60×103/A≠kB가 되도록 회전 속도 및 펄스 간격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표적 부위 이외의 부위로의 레이저광의 조사의 시간 간격을 넓게 할 수 있다. 시간 간격이 넓어짐으로써, 방열 기간(열 완화 시간)을 길게 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피 등의, 표적부 이외의 부위의 온도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1개의 광파이버(16)를 사용하고 있었지만, 이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 개의 광파이버(16)를 사용해도 된다. 또, 복수 개의 광파이버(16)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들 광파이버(16)를 회전시켜도, 회전시키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후자의 경우,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심축 C0 주위에 복수 개의 광파이버(16)를 배치한다. 이때, 유지부(70)는 각 광파이버(16)의 광축 C1이 모두 목표점 P를 교차하도록 각 광파이버(16)를 중심축 C0에 대하여 기울여서 유지한다. 이 경사각 θ는, 15° 이상 45°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치료 시에 있어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광파이버(16)로부터 순차 레이저광을 조사한다. 도 7에서는 레이저광이 회전하면서 목표점 P에 조사하도록 광파이버(16)의 조사 순서를 정하고 있지만, 이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각 광파이버(16)의 조사 빈도가 균등해지도록 조사 순서를 정하면 된다. 이때, 전원 장치(14)에 설치된 도시 생략한 도광 전환 수단에 의해 각 광파이버(16)로부터의 레이저광의 조사 순서가 제어된다. 이러한 형태에 의해도 목표점 P가 집중적으로 레이저광에 조사되는 한편으로 그 밖의 영역은 단속적으로 조사되게 되기 때문에, 광파이버(16)로부터 목표점 P까지의 경로 상의 조직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10 : 핸드피스 12 : 레이저 치료 장치
14 : 전원 장치 16 : 광파이버
18 : 냉각액 순환 튜브 20 : 전력 케이블
21 : 페달 22 : 케이싱의 유지부
24 : 핑거레스트 26 : 케이싱
28 : 캡 30 : 냉각 링
32 : 회전 유지부 32A : 광파이버 삽입 구멍
34 : 커넥터 40 : 조사창
42 : 캡 접촉면 44 : 모터
46 : 회전 속도 센서 48 : 감속 기어
50 : 회전통 54 : 출력 기어
56 : 샤프트용 베어링 58 : 샤프트
60 : 회전통용 베어링 64 : 광파이버 선단부
66 : 유지부 110 : 컨트롤러
112 : 냉각 수단 114 : 온도 센서
116 : 접촉 센서 118 : 스토퍼
120 : 통부 122 : 플랜지부

Claims (2)

  1. 펄스 광원으로부터 발생한 레이저광을 도광(導光)하는 광파이버와,
    회전축 상에 설치된 목표점에 상기 레이저광의 광축이 향하도록 상기 회전축에 대하여 경사지게 하여 상기 광파이버의 선단부를 유지하고, 상기 회전축 주위에 상기 광파이버의 선단부를 회전시키는 회전 유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펄스 광원의 단위 시간당의 펄스 수가, 상기 단위 시간당의 상기 광파이버의 선단부의 회전수의 정수배(整數倍)가 되지 않도록, 상기 펄스 광원의 펄스 수 및 상기 광파이버의 선단부의 회전수가 정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치료 장치의 핸드피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유지부는, 상기 광파이버의 선단부를 상기 회전 유지부의 유지 부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하고,
    상기 광파이버의 선단부에는, 상기 회전 유지부로부터의 상기 선단부의 빠짐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치료 장치의 핸드피스.
KR1020127026613A 2011-04-07 2012-04-02 레이저 치료 장치의 핸드피스 KR1012767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58819 2011-04-07
WOPCT/JP2011/058819 2011-04-07
PCT/JP2012/058818 WO2012137700A1 (ja) 2011-04-07 2012-04-02 レーザー治療装置のハンドピー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6391A KR20120136391A (ko) 2012-12-18
KR101276716B1 true KR101276716B1 (ko) 2013-06-19

Family

ID=46969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6613A KR101276716B1 (ko) 2011-04-07 2012-04-02 레이저 치료 장치의 핸드피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926678B2 (ko)
EP (1) EP2682158B1 (ko)
KR (1) KR101276716B1 (ko)
WO (1) WO201213770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9941B1 (ko) * 2015-09-01 2016-08-22 (주)클래시스 피부시술장치용 회전체
KR101659795B1 (ko) * 2015-09-01 2016-09-26 (주)클래시스 유도현상을 이용한 피부시술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50179B2 (ja) * 2013-05-13 2016-12-21 飛鳥メディカル株式会社 レーザーサーミア用のロータリーハンドピース
RU184163U1 (ru) * 2017-12-08 2018-10-1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ОПТИКО-МЕХАНИЧЕСКИЕ СИСТЕМЫ"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отообработки биотканей человека
US11878183B1 (en) 2021-06-14 2024-01-23 Jaals, Llc Laser therapy device and method of conducting laser therap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02438A (ja) 1996-09-16 2001-02-20 フォーカ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光ファイバの光散乱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265498A (ja) 2002-03-14 2003-09-24 Intorasu Ltd 生体組織へのレーザ光の照射装置
JP2004329473A (ja) 2003-05-06 2004-11-25 Terumo Corp 循環促進用光照射装置
JP2004329475A (ja) 2003-05-06 2004-11-25 Terumo Corp 循環促進用レーザー照射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9104A (ja) * 1981-07-10 1983-01-19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光学フアイバ−保持構造
US5346489A (en) * 1992-11-18 1994-09-13 Luxar Corporation Medical laser delivery system
US5628744A (en) * 1993-12-21 1997-05-13 Laserscope Treatment beam handpiece
EP0882432A1 (en) * 1997-06-03 1998-12-09 S.L.T. Japan Co., Ltd. Dental handpiece
JP2000023998A (ja) 1998-07-14 2000-01-25 Nidek Co Ltd レーザ治療装置
JP4345905B2 (ja) 1999-12-28 2009-10-14 利彦 矢山 レーザービーム治療装置
JP4537630B2 (ja) 2001-09-10 2010-09-01 ヤーマン株式会社 レーザトリートメント装置
JP2003117008A (ja) 2001-10-12 2003-04-22 Ya Man Ltd レーザを用いたトリートメン卜装置及びレーザを用いたトリートメン卜方法
EP2190525B1 (en) 2007-08-01 2012-06-27 Syneron Medical Ltd. Device for collagen growth stimulation
KR101016694B1 (ko) 2010-08-03 2011-02-25 정승돈 레이저 치료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02438A (ja) 1996-09-16 2001-02-20 フォーカ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光ファイバの光散乱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265498A (ja) 2002-03-14 2003-09-24 Intorasu Ltd 生体組織へのレーザ光の照射装置
JP2004329473A (ja) 2003-05-06 2004-11-25 Terumo Corp 循環促進用光照射装置
JP2004329475A (ja) 2003-05-06 2004-11-25 Terumo Corp 循環促進用レーザー照射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9941B1 (ko) * 2015-09-01 2016-08-22 (주)클래시스 피부시술장치용 회전체
KR101659795B1 (ko) * 2015-09-01 2016-09-26 (주)클래시스 유도현상을 이용한 피부시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6391A (ko) 2012-12-18
US8926678B2 (en) 2015-01-06
EP2682158A1 (en) 2014-01-08
EP2682158A4 (en) 2014-03-12
EP2682158B1 (en) 2015-12-16
US20140180368A1 (en) 2014-06-26
WO2012137700A1 (ja) 201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6716B1 (ko) 레이저 치료 장치의 핸드피스
EP2957323B1 (en) Laser treatment head and laser system
JP6285417B2 (ja) 皮膚処理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ES2875967T3 (es) Dispositivos para la vaporización de tejido
CN109688964B (zh) 用于毛发去除的自动化***和方法
JP2008529746A (ja) 皮膚科学的治療装置
WO2010091008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percutaneous energy delivery
EP2073739A2 (en) Vein treatment device and method
KR101722257B1 (ko) 고강도 집속 초음파 생성 장치
KR101558948B1 (ko) 레이저 펄스파의 첨두치를 이용한 의료용 피부주름 개선장치
KR101530076B1 (ko) 레이저 치료장치용 핸드피스 및 이를 이용한 레이저 치료장치
KR20140138030A (ko) 고강도 집속 초음파 생성 장치
US10737108B2 (en) Optical treatment device
JP5118786B2 (ja) レーザー治療装置のハンドピース
KR101677848B1 (ko) 다파장 레이저 치료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핸드피스
US20210186611A1 (en) Multifunctional laser scalpel and laser processing device comprising controllably self-deformable optical fiber
KR20170003488A (ko) 다파장 레이저 치료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핸드피스
KR101559927B1 (ko) 체내 삽입용 레이저 조사 장치
KR101878729B1 (ko) 고강도 집속 초음파 생성 장치
KR101585712B1 (ko) 의료용 레이저 핸드피스 프로브
US10765883B2 (en) Vaginal tightening and treatment of wrinkles
KR101855214B1 (ko) 광치료 핸드피스 및 이에 이용되는 광치료 가이드
KR20160073603A (ko) 초음파 처치 장치
JP4928856B2 (ja) 手術装置
JP6354323B2 (ja) アブレ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アブレーションデバ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