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5273B1 - 지하수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지하수 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5273B1
KR101275273B1 KR1020110029256A KR20110029256A KR101275273B1 KR 101275273 B1 KR101275273 B1 KR 101275273B1 KR 1020110029256 A KR1020110029256 A KR 1020110029256A KR 20110029256 A KR20110029256 A KR 20110029256A KR 101275273 B1 KR101275273 B1 KR 101275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concrete layer
layer
support pilla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9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1017A (ko
Inventor
홍종인
Original Assignee
홍종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인 filed Critical 홍종인
Priority to KR1020110029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5273B1/ko
Publication of KR20120111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1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5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5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01Flat foundations
    • E02D27/016Flat foundations made mainly from prefabricated concret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기초 콘크리트층과 기초 콘크리트층 상부에 타설되는 상부보호 콘크리트층 사이에 유입되는 침투수를 집수하여 집수정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된 지하수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 보호 콘크리트층과 기초콘크리트층 사이에 설치되며 제1베이스 플레이트와 제1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인입되어 하방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제1지지기둥을 포함하는 메인 배수판부재와, 메인 배수판 부재 하부에 설치되며 제2베이스플레이트와, 제1지지기둥이 각각 삽입될 수 있게 제2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인입되어 하방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제2지지기둥을 갖되 제2지지지둥에 제1지지기둥이 지지되게 삽입된 상태에서 제2베이스 플레이트가 제1베이스플레이트에 대해 하방으로 이격되어 제1베이스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단열공간층을 형성할 수 있도록 된 단열 배수판부재를 구비한다. 이러한 지하수 배수장치에 의하면 상부 보호 콘크리트층과 기초 콘크리트층의 사이에 형성된 단열 공기층에 의해 상부 보호 콘크리트층으로의 결로, 습기 또는 누수의 억제 효과가 향상된다.

Description

지하수 배수장치{apparatus for draining subsurface water}
본 발명은 지하수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상부 보호 콘크리트층과 기초 콘크리트층과의 사이에 단열 공기층을 갖는 지하수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수판은 지하구조물의 침투수 처리를 위한 내 방수용으로서, 기초콘크리트와 상부보호콘크리트의 사이에 설치되어 지하층의 습기 및 결로 그리고 누수를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배수판은 지하층 구조물, 지하항온 항습실, 지하벙커, 유물전시실 및 보관소, 터널, 지하철, 수영장, 지하주차장, 전기실, 기계실 등에 설치되어 불완전한 지하의 방수 하자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해주고, 이중 슬라브 공법 대체 시 지하터파기 및 잔토처리량을 감소시켜 공사기간 및 공사비를 줄일 수 있게 해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0110305호에는 배수판 및 이를 이용한 지하층 바닥 시공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배수판은 평판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의 지지기둥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지지기둥의 하단부로 콘크리트가 배출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된 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배수판은 상부 보호 콘크리트층과 기초 콘크리트층 사이에 배수로를 형성하지만, 상부 보호 콘크리트층과 기초 콘크리트층 사이에 단열효과를 제공하지 못함으로써 지하층의 결로 및 습기 방지 기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상부 보호 콘크리트층과 기초 콘크리트층 사이에 단열능력을 향상시켜 결로 및 습기 방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지하수 배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 배수장치는 건축물의 기초 콘크리트층과 상기 기초 콘크리트층 상부에 타설되는 상부보호 콘크리트층 사이에 유입되는 침투수를 집수하여 집수정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된 지하수 배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 보호 콘크리트층과 상기 기초콘크리트층 사이에 설치되며, 제1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제1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인입되어 하방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제1지지기둥을 포함하는 메인 배수판부재와; 상기 메인 배수판 부재 하부에 설치되며 제2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제1지지기둥이 각각 삽입될 수 있게 상기 제2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인입되어 하방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제2지지기둥을 갖되 상기 제2지지지둥에 상기 제1지지기둥이 지지되게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2베이스 플레이트가 상기 제1베이스플레이트에 대해 하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베이스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단열공간층을 형성할 수 있도록 된 단열 배수판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지지기둥의 하면과, 상기 제2지지기둥의 하면은 폐쇄된 구조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지지기둥의 하면에는 제1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지지기둥의 하면에는 제2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지지기둥들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메인 배수판부재의 상부에 타설되는 상기 상부 보호 콘크리트층의 몰타르의 자중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지지기둥을 따라 하강하여 상기 기초콘크리트층의 상면에 접촉되는 보조 지지기둥들이 연결부에 의해 연결된 보조배수판;을 더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보조 지지기둥의 높이 보다 상기 제2지지기둥의 높이가 더 높고, 상기 제2지지기둥보다 상기 제1지지기둥의 높이가 더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열배수판 부재는 인접된 타 단열배수판 부재와 가장자리부분이 상호 겹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조 지지기둥의 하면은 폐쇄되어 있고, 상기 제2지지기둥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제1지지기둥의 하면까지 상기 상부 보호콘크리트층 하부에 단열소재로 적층된 제1단열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베이스 플레이트 상면에는 상기 제1베이스 플레이트와 이격되게 단열소재로 적층된 제2단열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보호 콘크리트층에는 상기 상부 보호 콘크리트층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단열 공기층까지 연통되게 형성되어 외기가 상기 단열공기층으로 유입될 수 있게 하방으로 인입되게 외기 유입창이 형성되고, 상기 외기 유입창 형성영역의 상기 제1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단열공기층과 유통되는 통기홀이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열 공기층을 통해 온풍을 공급하는 온풍 공급기를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보조 배수판의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보조 지지기둥의 상부를 상호 판형으로 연결하는 제3베이스 플레이트이고, 상기 제3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제2베이스플레이트를 통해 상기 단열공기층과 연통되게 결합되어 온풍 또는 외기를 상기 단열 공기층으로 유입 및 배출할 수 있게 연결된 통풍관;을 더 구비하며, 상기 온풍공급기는 상기 통풍관을 통해 온풍을 공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 배수장치에 의하면, 상부 보호 콘크리트층과 기초 콘크리트층의 사이에 형성된 단열 공기층에 의해 상부 보호 콘크리트층으로의 결로, 습기 또는 누수의 억제 효과가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지하수 배수장치를 나타내보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수판 조립체의 분리 시사도이고,
도 3은 도 2의 단열 배수판 부재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부분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배수장치에 적용되는 배수판 조립체를 나타내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배수장치에 적용되는 배수판 조립체를 나타내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배수판 조립체가 적용된 지하수 배수장치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지하수 배수장치에 제1단열층이 더 형성된 구조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지하수 배수장치에 제2단열층이 더 형성된 구조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6의 지하수 배수장치에 보조 집수로가 형성된 구조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6의 지하수 배수장치에 외기 유입창이 형성된 구조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6의 지하수 배수장치의 단열 공기층과 연통되게 결합된 통풍관을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통풍관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배수판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지하수 배수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지하수 배수장치를 나타내보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수판 조립체의 분리 시사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 배수장치(100)는 기초콘크리트층(10)과 상부 보호 콘크리트층(20) 사이에 설치된 배수판 조립체(110), 집수정(30), 통풍관(170) 및 온풍공급기(180)를 구비한다.
참조부호 12는 지층이고, 참조부호 13은 잔토, 자갈 또는 버럭 등으로 형성된 굴토 마감층이고, 참조부호 14는 버림 콘크리트층이다. 기초 콘크리트층(10) 이하의 지층(12)까지의 구조는 예시된 구조와 다를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배수판 조립체(110)는 건축물의 기초 콘크리트층(10)과 기초 콘크리트층(10) 상부에 타설되는 상부 보호 콘크리트층(20) 사이에 유입되는 침투수를 집수하여 집수정(30)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메인 배수판 부재(120)와, 단열 배수판 부재(130)되어 있다.
메인 배수판 부재(120)는 상부 보호 콘크리트층(20)과 기초콘크리트층(10) 사이의 상부 보호 콘크리트층(20)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메인 배수판 부재(120)는 사각판형상의 제1베이스 플레이트(121)와, 제1베이스 플레이트(121)로부터 인입되어 하방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제1지지기둥(122)로 되어 있다.
메인 배수판부재(120)의 제1지지기둥(122)의 하면(123)은 폐쇄되어 있다.
도시된 예와 다르게 메인 배수판부재(120)의 제1지지기둥(122)의 하면(123)은 상부 보호 콘크리트층(20)용 콘크리트 몰타르 타설시 후술되는 단열 배수판 부재(130)의 제2지지기둥(132)의 하면(133)까지 유입될 수 있게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되거나 완전히 개방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제1지지기둥(122)은 하방으로 진행할 수록 외경 및 내경이 모두 점진적으로 좁하지게 테이퍼진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도시된 예와 다르게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단열 배수판 부재(130)는 메인 배수판 부재(120) 하부에 설치된다.
단열 배수판 부재(130)는 제2베이스플레이트(131)와, 제1지지기둥(122)이 각각 삽입될 수 있게 제2베이스 플레이트(131)로부터 인입되어 하방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제2지지기둥(132)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단열 배수판부재(130)의 제2지지기둥(132)의 하면(133)은 폐쇄되어 있다.
여기서 단열 배수판 부재(130)는 제2지지지둥(132)에 제1지지기둥(122)이 지지되게 삽입된 상태에서 제2베이스 플레이트(131)가 제1베이스플레이트(121)에 대해 하방으로 이격되어 제1베이스 플레이트(121)와의 사이에 단열공간층(150)을 형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단열 배수판부재(130)의 제2지지기둥(132)보다 제1지지기둥(122)의 높이가 더 높게 형성되어 조립된 상태에서 제1베이스 플레이트(121)와 제2베이스 플레이트(131)와의 이격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단열배수판 부재(130)는 인접된 타 단열배수판 부재(130)와 가장자리부분이 상호 겹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일 예를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베이스 플레이트(131)는 사각판형상으로된 메인부분(131a)과, 메인부분(131a) 가장자리의 제1면(131b)과 제1면(131b)에 인접되어 직교하는 방향에 있는 제2면(131c)에 가장자리를 따라 상부가 열려 하방으로 인입된 결합골(134)이 형성된 제1부분(136)과, 제1면(131b) 맞은편에 제1면(131b)과 나란하게 연장된 제3면(131d) 및 제2면(131c) 맞은편의 제4면(131e)의 가장자리에 결합골(134) 내로 진입될 수 있게 결합편(137)이 형성된 제2부분(138)을 갖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결합골(134)과 결합편(137)은 상호 결합에 의해 실링이 용이한 구조조 형성되면 되고 그 형상을 제한하는 것은 아님은 물론이다.
또한, 결합골(134)과 결합편(137)에 의해 결합되는 부분은 실링용 소재로 실링되게 마감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풍관(170)은 메인 배수판 부재(120)와 단열 배수판 부재(130) 사이에 형성된 단열 공기층(150)으로 외기를 유입시키거나 온풍을 공급시킬 수 있도록 메인 배수판 부재(120)와 단열 배수판 부재(130) 사이의 단열 공기층(150)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온풍 공급기(180)는 통풍관을 통해 온풍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지하수 배수장치(100)는 기초콘크리트층(10) 위에 단열 배수판부재(130)와 메인 배수판부재(120)를 순차적으로 적층한 후 콘크리트 몰타르로 메인 배수판부재(120) 위에 타설하여 상부 보호 콘크리트층(20)을 형성하면 된다.
또한, 메인 배수판 부재(120)와 단열 배수판 부재(130) 사이에 형성된 단열 공기층(150)은 기초 콘트리트층(10)가 상부 보호 콘크리트층(20) 사이에 공기에 의한 단열층을 형성함으로써 상부 보호 콘크리트층(20)으로의 결로, 습기 방지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고, 온풍 공급기(180)에 의해 온풍을 공급하는 경우 결로 및 습기 방지 효과는 더욱 향상된다.
한편, 배수판 조립체(110)를 3중 구조로 하여 상부 보호 콘크리트층 형성용 콘크리트 몰타르의 타설시 자중에 의한 기초 콘크리트층과의 결착성을 높일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고 그 일 예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배수판 조립체(210)는 메인 배수판 부재(120)와, 단열 배수판 부재(130) 및 보조 배수판부재(140)로 되어 있다.
메인 배수판 부재(120)의 제1지지기둥(122)의 하면에는 제1관통홀(12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열 배수판 부재(130)의 제2지지기둥(132)의 하면에는 제2관통공(135)이 형성되어 있다.
보조 배수판(140)은 제2지지기둥(132)들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메인 배수판부재(120)의 상부에 타설되는 상부 보호 콘크리트층의 몰타르의 자중에 의해 제1 및 제2 지지기둥(122)(132)을 따라 하강하여 기초콘크리트층(10)의 상면에 접촉될 수 있게 된 보조 지지기둥(142)들이 연결부로서 연결띠(144)에 의해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연결띠(144)는 완충성을 갖게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보조 배수판(140)은 연질의 플렉서블한 합성수지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조 배수판(140)의 연결부(141)는 도시된 연결띠 형상의 구조와는 다르게 연결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지지기둥(142)의 상부를 상호 판형으로 연결하는 제3베이스 플레이트(141) 형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보조지지기둥(142)의 하면은 폐쇄된 구조로 되어 있고, 도시된 예와 다르게 관통홀을 갖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3중 구조의 배수판 조립체(210)가 적용된 지하수 배수장치(200)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한편, 단열능력을 더 높이기 위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143)이 폐쇄된 보조 지지기둥(142)의 하면(143)으로부터 제1 및 제2관통홀(125)(135)을 통해 제1지지기둥(122)의 하면까지 상부 보호콘크리트층(20) 하부에 단열소재로 적층된 제1단열층(191)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단열층(191)은 경화과정을 거쳐 고형화 될 수 있는 단열용 수지를 도포하여 형성한 후 상부 보호 콘크리트층을 몰타르로 타설하면 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로폼과 같은 단열소재로 제2플레이트(131) 상면에 안착 또는 접착시켜 제2단열층(193)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2단열층(193)은 제1지지기둥(122)이 삽입될 수 있는 홀을 갖는 판형태로 형성시킨 구조를 적용하면되고, 제2단열층(193)의 두께는 시공 후 제1 베이스 플레이트(121)와 이격되어 단열 공기층(150)이 유지될 수 있게 적용한다.
이러한 지하수 배수장치에서 지하층의 형성영역이 넓은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같이 보조 배수판(140)과 기초 콘크리트층(10) 사이의 집수공간으로부터 집수정(30)으로 이어지는 보조 집수로(155)를 더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부 보호 콘크리트층(20)으로부터 단열 공기층(150)까지 외기가 유입될 수 있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보호 콘크리트층(20)에는 상부 보호 콘크리트층(20)의 상면(21)으로부터 단열공기층(150) 까지 연통되게 하방으로 인입된 외기 유입창(156)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외기 유입창(156)은 상부 보호 콘크리트층(20) 상부의 외기가 단열공기층(150)으로 유입될 수 있게 외기 유입창(156) 형성 영역의 제1베이스 플레이트(121)에는 단열공기층(150)과 유통되는 통기홀(128)이 형성되면 된다.
한편, 통풍관(170)은 단열 공기층(150)으로의 외기 유입 및 유출을 위해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배수판(140)의 제3베이스플레이트(141)와 제2베이스플레이트(131)를 통해 단열공기층(150)과 연통되게 결합되어 온풍 또는 외기를 단열 공기층(150)으로 유입 및 배출할 수 있게 메인 관로부(172)로부터 상호 이격되어 상방으로 연장된 분기관부(173)에 의해 단열공기층(150)과 중간 중간에 결합되는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참조부호 177은 제2베이스 플레이트(131)상에 형성되어 분기관부(173)와 실링되게 결합되는 제1결합홀이고, 참조부호 176은 제3베이스 플레이트(41)상에 형성되어 분기관부(173)의 관통을 허용하면서 실링되게 결합되는 제2결합홀이다.
이러한 구조에서 통풍관(170)의 메인관로부(172)의 종단은 외기 또는 지하층 실내 공기가 유입 및 유출될 수 있는 위치까지 연장하여 설치하면 된다.
또한, 단열 공기층(150)으로 온풍을 공급하고자 할 때는 온풍공급기(180)를 통풍관(170)의 메인 관로부(172)와 접속하여 사용하면된다.
120: 메인 배수판 부재 130: 단열 배수판 부재
140: 보조 배수판 150: 단열 공기층
180: 온풍 공급기

Claims (11)

  1. 건축물의 기초 콘크리트층과 상기 기초 콘크리트층 상부에 타설되는 상부보호 콘크리트층 사이에 유입되는 침투수를 집수하여 집수정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된 지하수 배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 보호 콘크리트층과 상기 기초콘크리트층 사이에 설치되며, 제1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제1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인입되어 하방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제1지지기둥을 포함하는 메인 배수판부재와;
    상기 메인 배수판 부재 하부에 설치되며 제2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제1지지기둥이 각각 삽입될 수 있게 상기 제2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인입되어 하방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제2지지기둥을 갖되 상기 제2지지지둥에 상기 제1지지기둥이 지지되게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2베이스 플레이트가 상기 제1베이스플레이트에 대해 하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베이스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단열공간층을 형성할 수 있도록 된 단열 배수판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단열배수판 부재는 인접된 타 단열배수판 부재와 가장자리부분이 상호 겹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베이스 플레이트는 사각판형상으로된 메인부분과, 상기 메인부분 가장자리의 제1면과 상기 제1면에 인접되어 직교하는 방향에 있는 제2면에 가장자리를 따라 상부가 열려 하방으로 인입된 결합골이 형성된 제1부분과, 상기 제1면 맞은편에 상기 제1면과 나란하게 연장된 제3면 및 상기 제2면 맞은편의 제4면의 가장자리에 상기 결합골 내로 진입될 수 있게 결합편이 형성된 제2부분을 갖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배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기둥의 하면과, 상기 제2지지기둥의 하면은 폐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배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기둥의 하면에는 제1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지지기둥의 하면에는 제2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지지기둥들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메인 배수판부재의 상부에 타설되는 상기 상부 보호 콘크리트층의 몰타르의 자중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지지기둥을 따라 하강하여 상기 기초콘크리트층의 상면에 접촉되는 보조 지지기둥들이 연결부에 의해 연결된 보조배수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배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지지기둥의 높이 보다 상기 제2지지기둥의 높이가 더 높고, 상기 제2지지기둥보다 상기 제1지지기둥의 높이가 더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배수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지지기둥의 하면은 폐쇄되어 있고, 상기 제2지지기둥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제1지지기둥의 하면까지 상기 상부 보호콘크리트층 하부에 단열소재로 적층된 제1단열층;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배수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베이스 플레이트 상면에는 상기 제1베이스 플레이트와 이격되게 단열소재로 적층된 제2단열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배수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보호 콘크리트층에는 상기 상부 보호 콘크리트층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단열 공기층까지 연통되게 형성되어 외기가 상기 단열공기층으로 유입될 수 있게 하방으로 인입되게 외기 유입창이 형성되고,
    상기 외기 유입창 형성영역의 상기 제1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단열공기층과 유통되는 통기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배수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공기층을 통해 온풍을 공급하는 온풍 공급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배수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배수판의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보조 지지기둥의 상부를 상호 판형으로 연결하는 제3베이스 플레이트이고,
    상기 제3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제2베이스플레이트를 통해 상기 단열공기층과 연통되게 결합되어 온풍 또는 외기를 상기 단열 공기층으로 유입 및 배출할 수 있게 연결된 통풍관;을 더 구비하고,
    상기 온풍공급기는 상기 통풍관을 통해 온풍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배수장치.

KR1020110029256A 2011-03-31 2011-03-31 지하수 배수장치 KR101275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9256A KR101275273B1 (ko) 2011-03-31 2011-03-31 지하수 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9256A KR101275273B1 (ko) 2011-03-31 2011-03-31 지하수 배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1017A KR20120111017A (ko) 2012-10-10
KR101275273B1 true KR101275273B1 (ko) 2013-06-14

Family

ID=47281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9256A KR101275273B1 (ko) 2011-03-31 2011-03-31 지하수 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52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8289A (ko) 2021-11-26 2023-06-02 주식회사성진종합건설 배수판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690B1 (ko) * 2011-06-23 2013-01-09 홍종인 건축물의 결로수 방지 지하수 배수장치 및 그 시공방법
CN108442649B (zh) * 2018-06-06 2024-01-26 中铁八局集团建筑工程有限公司 地下空间可疏排渗水的地面结构及其施工方法
KR102269864B1 (ko) * 2020-08-19 2021-06-30 주식회사 예준엘앤씨 건축용 단열 배수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7668A (ko) * 2007-01-12 2007-03-09 홍종인 결로방지용 배수판
KR20100097386A (ko) * 2009-02-26 2010-09-03 홍종인 배수판 조립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7668A (ko) * 2007-01-12 2007-03-09 홍종인 결로방지용 배수판
KR20100097386A (ko) * 2009-02-26 2010-09-03 홍종인 배수판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8289A (ko) 2021-11-26 2023-06-02 주식회사성진종합건설 배수판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1017A (ko) 2012-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72016B2 (en) Wall and sub-floor water drain barrier panel for basement water-control systems
KR101845860B1 (ko) 방습 및 냉해방지를 위한 냉동 저온창고
KR101275273B1 (ko) 지하수 배수장치
KR101336807B1 (ko) 탈기 및 배수기능을 겸비한 방수공법
KR20180042683A (ko) 소음저감형 지하주차장 바닥시공방법
US20230358011A1 (en) Forming, drainage and ventilation system for agriculture, irrigation and athletic fields
KR200383509Y1 (ko) 결로방지용 배수판
KR100784241B1 (ko)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구조 및 이를 이용한옥상 녹화 구조
BRPI0910344B1 (pt) Aparelho de drenagem, grade de drenagem e método para instalação de um aparelho de drenagem
KR20130062566A (ko) 지하수 배수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20120118705A (ko) 지하수 배수장치
KR101219690B1 (ko) 건축물의 결로수 방지 지하수 배수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0882320B1 (ko) 결로방지용 배수판
EP3301228A1 (en) Multy-layer protection panel and system for basement walls
KR101061241B1 (ko) 복합 기능성 보드와 이를 이용한 옥상 방수 및 녹화 구조
US20050210787A1 (en) Head joint drainage device, wall system and method for draining moisture from a head joint
KR20150049866A (ko) 공기층을 이용한 결로방지용 단열 배수판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지하 바닥판
KR101787567B1 (ko) 건축물 옥상 패널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043454B1 (ko) 건축 지하구조물의 마감 조립체
US11371205B2 (en) Insulation system for a building
KR102116912B1 (ko) 에어 돔
JP2010159586A (ja) 土間廻り部の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EP3194664B1 (en) Method for forming a floor structure and method for forming a house foundation
CN104196178A (zh) 中空双结构层防水屋面及其施工方法
KR101325717B1 (ko) 배수판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