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4472B1 - 복수 회전비를 가진 유성기어감속장치 - Google Patents

복수 회전비를 가진 유성기어감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4472B1
KR101274472B1 KR1020110133080A KR20110133080A KR101274472B1 KR 101274472 B1 KR101274472 B1 KR 101274472B1 KR 1020110133080 A KR1020110133080 A KR 1020110133080A KR 20110133080 A KR20110133080 A KR 20110133080A KR 101274472 B1 KR101274472 B1 KR 101274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shaft
output shaft
planetary gear
rotation ratio
switch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3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종철
Original Assignee
강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종철 filed Critical 강종철
Priority to KR1020110133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44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4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4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4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using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8General details of gearing of gearings with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57/082Planet carr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4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using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2003/447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using gears having orbital motion without permanent connection between the set of orbital gears and the outp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8General details of gearing of gearings with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2057/085Bearings for orbital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Transmis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입력축과, 상기 입력축의 회전력을 동력사용부로 전달하는 출력축과, 회전비를 가변하여 상기 입력축의 회전력을 상기 출력축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입력축 및 출력축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회전비가변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축에 대한 상기 출력축의 회전비가 가변될 수 있도록, 상기 출력축이 상기 입력축 및 회전비가변부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회전비를 가진 유성기어감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출력단의 회전속도를 가변하여 사용할 수 있고, 출력단의 회전속도에 대한 변속이 보다 간편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복수 회전비를 가진 유성기어감속장치{A PLANETARY GEAR REDUCTION ASSEMBLY HAVING A PLURALITY OF ROTAION SPEED}
본 발명은 복수 회전비를 가진 유성기어감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작기계, 세탁기, 자동차 등 다양한 장치에는 회전비를 가변시키기 위한 유성기어감속장치가 필요하다. 보다 상세히, 유성기어감속장치는 모터와 같은 동력원으로부터 제공되는 회전 속도를 요구되는 수준으로 감속하여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모터와 같이 회전력을 제공하는 동력원은 다양한 대상에 사용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유성기어감속장치도 다양한 대상에 구비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유성기어감속장치는 감속된 회전속도만을 제공받아 사용해야 하는 한계가 있었다. 즉, 상기 유성기어감속장치에 의하여 모터에서 제공되는 회전속도를 절반의 회전속도로 감속하게 된다면, 유성기어감속장치를 거쳐 모터의 회전속도에 대하여 절반에 해당하는 회전속도만을 고정적으로 사용할 수 밖에 없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3-0064243호(2003.07.31)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회전비를 가지는 복수개의 기어들을 이용하여 유성기어감속장치를 거치더라도 다양한 회전속도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유성기어감속장치에 의하면, 기어들을 포함한 부품의 개수가 급격히 증가되고, 구조가 지나치게 복잡하며, 부피가 커져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서로 다른 회전속도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동력사용부에 연결된 출력축을 다른 출력축으로 변경하여 새로 연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3-0064243호(2003.07.31)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구조가 단순하면서 출력단의 회전속도를 가변하여 사용할 수 있는 유성기어감속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출력단의 회전속도에 대한 변속이 보다 간편해질 수 있는 유성기어감속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안되는 본 발명에 의한 유성기어감속장치는, 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입력축; 상기 입력축의 회전력을 동력사용부로 전달하는 출력축; 및 회전비를 가변하여 상기 입력축의 회전력을 상기 출력축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입력축 및 출력축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회전비가변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축에 대한 상기 출력축의 회전비가 가변될 수 있도록, 상기 출력축이 상기 입력축 및 회전비가변부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유성기어감속장치에 의하면,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출력단의 회전속도를 가변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출력단의 회전속도에 대한 변속이 보다 간편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유성기어감속장치의 감속 작동시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유성기어감속장치의 등속 작동시 모습을 보인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유성기어감속장치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유성기어감속장치의 감속 작동시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유성기어감속장치의 등속 작동시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유성기어감속장치(1)는, 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입력축(11)과, 상기 입력축(11)의 회전력을 동력사용부(미도시)로 전달하는 출력축과, 회전비를 가변하여 상기 입력축(11)의 회전력을 상기 출력축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입력축(11) 및 출력축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회전비가변부(13)와, 상기 입력축(11), 출력축 및 회전비가변부(13)가 수용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10)을 포함한다.
상기 입력축(11)의 일단에는 동력을 발생시켜 제공하기 위한 동력원(미도시)이 연결되고, 상기 출력축의 일단에는 동력을 전달받아 사용하기 위한 동력사용부가 연결된다. 이때, 상기 동력원은 예를 들면 전기 모터 등와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구동 장치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동력사용부는, 예를 들면 공작기계의 스핀들 등과 같이, 상기 출력축을 통하여 전달받은 회전력을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축(11)은, 상기 회전비가변부(13)와 기어 결합되기 위한 변속치형부(111)와, 후술할 전환부재(12)와 직접 기어 결합되기 위한 등속치형부(112)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상기 입력축(11)은 긴 원통형의 막대 형상으로서, 상기 입력축(11)의 타단부에는 상기 전환부재(12)와 선택적으로 기어 결합되기 위한 상기 등속치형부(1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등속치형부(112)에 비하여 내측에 해당하는 상기 입력축(11)의 일측에는 상기 변속치형부(111)가 형성된다. 상기 입력축(11)의 등속치형부(112) 및 변속치형부(111)는, 상기 입력축(11)의 타단부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의 이를 가지도록 톱니 형상으로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변속치형부(111)이 형성되는 상기 입력축(11)의 일부분(110)은 후술할 유성기어(131)과 관계를 감안할 때, 태양기어(110)라고 볼 수 있다. 즉, 상기 태양기어(110)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유성기어(131)가 공전하게 된다.
상기 전환부재(12)는, 상기 동력사용부에 연결되는 출력축 바디(14)와, 상기 출력축 바디(14)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입력축(11) 및 회전비가변부(13)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전환부재(1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출력축 바디(14)는, 상기 전환부재(12)와 기어 결합되기 위한 고정치형부(141)를 포함하고, 상기 전환부재(12)는, 상기 입력축(11)의 등속치형부(112)에 기어 결합되기 위한 등속치형부(121)와, 상기 회전비가변부(13)와 기어 결합되기 위한 변속치형부(122)와, 상기 출력축의 고정치형부(141)와 기어 결합되기 위한 고정치형부(121)를 포함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등속치형부(121) 및 고정치형부(121)가 상기 전환부재(12)의 내측에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일체를 이루지만, 등속치형부 및 고정치형부는 분리하여 별개로 형성한 실시예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전환부재(12)는 긴 중공형의 원통 막대 형상이며, 상기 전환부재(12)의 타단부에는 상기 회전비가변부(13)와 선택적으로 기어 결합되기 위한 상기 변속치형부(12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환부재(12)의 내면에는 상기 등속치형부(121) 및 고정치형부(121)가 형성된다. 상기 변속치형부(122)는 상기 전환부재(12)의 타단부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의 이를 가지도록 톱니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등속치형부(121) 및 고정치형부(121)는 상기 전환부재(12)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개의 이를 가지도록 톱니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전환부재(12)의 내측에는, 상기 입력축(11) 및 전환부재(12)가 동일선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입력축(11) 및 전환부재(12)의 회동 자세를 구속하는 출력축 바디(14)가 구비된다. 상기 출력축 바디(14)는 긴 원통형의 막대 형상이며, 상기 출력축 바디(14)가 상기 전환부재(12)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전환부재(12)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출력축 바디(14)의 일단은 상기 입력축(1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상기 입력축(11)의 타단에는 상기 입력축(11)의 나머지 부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는 원통 형상의 돌출부(114)가 형성되고, 상기 출력축 바디(14)의 일단에는, 상기 입력축(11)의 돌출부(114)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114)의 직경 이상의 내경을 가지는 원통 형상의 삽입홈(14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14)가 상기 삽입홈(144)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축(11) 및 전환부재(12)가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114)의 외주면 및 상기 삽입홈(144)의 내주면 사이에 베어링(151)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출력축 바디(14)의 외면에는 상기 전환부재(12)의 등속치형부(121)와 맞물릴 수 있는 고정치형부(141)가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치형부(141)는 상기 출력축 바디(14)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의 이를 가지도록 톱니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치형부(141)가 상기 등속치형부(121)와 맞물려 상기 출력축 바디(14)가 상기 전환부재(12)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상기 전환부재(12) 및 출력축 바디(14)가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다만, 상기 등속치형부(121) 및 고정치형부(141)는 상기 전환부재(12) 및 출력축 바디(14)의 축 방향으로 동일한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전환부재(12) 및 출력축 바디(14)는 축 방향으로는 상대적으로 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비가변부(13)는, 상기 입력축(11)에 기어 결합하여 상기 입력축(11)의 외주면을 따라 공전하는 유성기어(131)와, 상기 입력축(11)과 동일한 회전중심을 가지도록 놓이고, 상기 유성기어(131)의 공전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적어도 일측이 상기 유성기어(131)의 중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전환부재(12)와 선택적으로 기어 결합되는 캐리어(132)를 포함한다.
상기 유성기어(131)는, 상기 입력축(11)의 외주면에 인접하도록 위치되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성기어(131)도 전체적으로는 원통 형상이며, 상기 유성기어(131)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입력축(11)의 변속치형부와 맞물릴 수 있도록 유성치형부(13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유성기어(131)에 인접한 상기 하우징(10)의 내면에는 상기 유성치형부(133)에 맞물리기 위한 공전치형부(101)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입력축(11)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유성기어(131)의 유성치형부(133)가 상기 입력축(11)의 변속치형부(111) 및 상기 하우징(10)의 공전치형부(101)와 맞물려 운동함에 따라, 상기 유성기어(131)가 상기 입력축(11)과 하우징(10) 사이의 공간을 따라 지속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입력축(11)의 회전에 따라, 상기 유성기어(131)가 스스로 자전하는 동시에 상기 입력축(11)을 중심으로 공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공전치형부(101)가 형성되는 상기 하우징(10)의 일부분(101)은, 상기 유성기어(131)와의 관계를 감안할 때 내접기어(101)라고 볼 수 있다. 즉, 상기 유성기어(131)는 상기 내접기어(101)에 내접한 상태로 상기 내접기어(101)의 내주면을 따라 공전하게 되는 것이다.
다시 정리하면, 상기 변속치형부(111)가 형성되는 입력축의 일부분(110), 상기 공전치형부(101)가 형성되는 상기 하우징(10)의 일부분(101)은, 상기 유성기어(131)에 대하여 각각 태양기어(110) 및 내접기어(101) 역할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내접기어(101)가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태양기어(110)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유성기어(131)가 상기 내접기어(101)에 내접한 상태로 상기 태양기어(110)의 외주면을 따라 공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캐리어(132)는 상기 복수개의 유성기어(131) 각각의 자전 중심에 회전 가능하도록 동시에 결합된다. 상기 캐리어(132)는 전체적으로 상기 유성기어(131)의 공전궤도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중공형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캐리어(132)는 상기 입력축(11) 및 전환부재(12)의 외경 이상에 해당하는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입력축(11) 및 전환부재(12)가 상기 캐리어(132)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에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다.
상기 캐리어(132)의 일측에는, 상기 전환부재(12)의 변속치형부(122)와 맞물리기 위한 캐리어치형부(134)가 형성된다. 상기 캐리어치형부(134)는, 상기 변속치형부(122)에 인접한 상기 캐리어(132)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개의 이를 가지도록 톱니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입력축(11)에 인접한 상기 캐리어(132)의 타측과 상기 입력축(11)의 사이에는, 상기 캐리어(132) 및 입력축(11)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베어링(152)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캐리어(132)는 상기 입력축(11)과 동일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입력축(1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캐리어(132)는 상기 전환부재(12)와 동일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전환부재(12)의 변속치형부(122) 및 캐리어치형부(134)가 맞물려 회전 가능하게 된다.
상기 캐리어(132)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캐리어(132)에 인접한 상기 하우징(10)의 내면과 상기 캐리어(132)의 외주면 사이에는 상기 캐리어(132)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베어링(153)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유성기어감속장치(1)는, 상기 전환부재(12)가 상기 입력축(11) 및 회전비가변부(13)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전환부재(12)을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한 변속구동부(14)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변속구동부(14)는, 상기 전환부재(12)가 슬라이딩 이동하기 위한 원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160)과, 상기 전환부재(12)에 연결되는 액츄에이터(161)와, 상기 구동원(160)의 원동력을 상기 액츄에이터(161)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162)와, 상기 액츄에이터(161)의 이동 방향을 상기 전환부재(12)와 나란한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16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구동원(160)은 예를 들면, 전기 모터 등과 같은 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가 될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161)는 전체적으로 납작한 중공형의 원판 형상이며, 상기 액츄에이터(161)의 내경은 상기 전환부재(12)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환부재(12)의 외주면에는 상기 액츄에이터(161)가 삽입되기 위한 결합홈(124)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124)은 상기 전환부재(12)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액츄에이터(161)의 두께 이상의 너비를 가지도록 함몰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124)은 상기 전환부재(12)의 외주연을 따라 일정한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전환부재(12)가 회전하더라도 상기 액츄에이터(161)는 정지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162)는 상기 액츄에이터(161)의 외경 이상의 내경을 가지는 중공형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동력전달부(162)에는 상기 동력전달부(162)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액츄에이터(161)를 일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나선형치형부(164)가 형성되고, 상기 액츄에이터(161)의 외주면에는 상기 동력전달부(162)의 나선형치형부(164)와 맞물려 상대적으로 운동하기 위한 나선형치형부(165)가 형성된다.
상기 동력전달부(162)의 외주면을 따라 나머지 부분에 비하여 큰 외경을 가지도록 돌출부(166)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66)의 외주면에는 상기 구동원(16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기 위한 회전치형부(167)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구동원(160)의 구동축(168)에도 상기 회전치형부(167)와 맞물려 상기 구동원(160)의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회전치형부(169)가 형성된다.
상기 동력전달부(162)도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동력전달부(162)에 인접한 상기 하우징(10)의 내면과 상기 동력전달부(162)의 외주면 사이에는 상기 동력전달부(162)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베어링(154)이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작동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유성기어감속장치(1)가 회전 속도를 감속하도록 작동하는 경우를 설명하면, 상기 전환부재(12)가 상기 입력축(11)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원(160)이 작동함에 따라, 상기 전환부재(12)가 상기 입력축(11)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구동원(160)이 작동하면 상기 구동축(168)이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구동축(168)과 맞물린 상기 동력전달부(162)도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동력전달부(162)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동력전달부(162)와 맞물린 상기 액츄에이터(161)도 일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동시에 액츄에이터(161)와 결합된 상기 전환부재(12)도 상기 입력축(11)과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성기어감속장치(1)의 모습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한편, 이러한 경우의 동력전달과정을 설명하면, 동력원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입력축(11)으로 회전력이 전달된다. 즉, 상기 동력원에 의하여 상기 입력축(11)이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입력축(11)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입력축(11)과 맞물린 상기 유성기어(131)가 자전하는 동시에 상기 입력축(11)을 중심으로 공전하게 된다. 상기 유성기어(131)가 공전함에 따라, 상기 유성기어(13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캐리어(132)가 상기 유성기어(131)의 공전속도에 맞춰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캐리어(132)가 회전하면, 상기 캐리어(132)와 맞물린 상기 전환부재(12)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입력축(11)의 회전 동력이 상기 전환부재(12)로 감속되어 전달된다. 또한, 상기 전환부재(12)와 맞물린 상기 출력축 바디(14)도 회전 동력을 전달받아 감속된 회전속도에 맞추어 상기 전환부재(12)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입력축(11)의 회전 속도가 상기 유성기어(131)의 공전속도로 감속되어 상기 출력축 바디(14)로 전달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성기어감속장치(1)가 회전 속도를 그대로 전달하도록 작동하는 경우를 설명하면, 상기 전환부재(12)가 상기 입력축(11)에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원(160)이 상기 전환부재(12)가 상기 입력축(11)으로부터 이격되는 경우와 반대로 작동함에 따라, 상기 전환부재(12)가 상기 입력축(11)과 맞물릴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구동원(160)이 반대로 작동하면 상기 구동축(168)이 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구동축(168)과 맞물린 상기 동력전달부(162)도 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동력전달부(162)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동력전달부(162)와 맞물린 상기 액츄에이터(161)도 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동시에 액츄에이터(161)와 결합된 상기 전환부재(12)가 상기 입력축(11)과 맞물리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성기어감속장치(1)의 모습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한편, 이러한 경우의 동력전달과정을 설명하면, 감속 작동시와 마찬가지로 동력원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입력축(11)이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입력축(11)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입력축(11)과 맞물린 상기 전환부재(12)가 상기 입력축(11)과 동일한 방향과 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전환부재(12)와 맞물린 상기 출력축 바디(14)도 상기 엽력축(11)과 동일한 방향 및 속도로 회전하게 ㄷ된다. 상기 입력축(11)의 회전 동력이 상기 전환부재(12) 및 출력축 바디(14)로 등속으로 전달된다. 즉, 상기 입력축(11)의 회전 속도가 동일한 속도로 상기 출력축 바디(14)로 전달되는 것이다.
이때에도, 상기 입력축(11)의 회전함에 따라, 유성기어(131)가 자전하는 동시에 상기 입력축(11)을 중심으로 공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유성기어(131)가 공전함에 따라, 상기 유성기어(13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캐리어(132)가 상기 유성기어(131)의 공전속도에 맞춰 회전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전환부재(12)는 상기 입력축(11)에 맞물릴 뿐, 상기 캐리어(132)로부터 이격된 상태에 있으므로, 상기 전환부재(12)는 상기 캐리어(132)의 회전과는 별개로 독립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출력단의 회전속도를 가변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전환부재(12)가 상기 입력축(11) 및 회전비가변부(13)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방식으로, 상기 출력축 바디(14) 즉, 출력단의 회전속도를 상기 입력축(11)의 회전속도와 동일한 속도 또는 감속된 속도로 가변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조이다. 따라서, 전체적인 구조가 단순하면서 회전속도를 가변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출력단의 회전속도에 대한 변속이 보다 간편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구동원(160)의 작동 방향을 전환하는 것만으로, 상기 전환부재(12)가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입력축(11) 및 회전비가변부(13)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맞물리게 하여 출력축 바디(14) 즉, 출력단의 회전속도를 가변할 수 있으므로, 회전속도에 대한 변속이 보다 간편해질 수 있는 것이다.
1 : 유성기어감속장치
11 : 입력축
12 : 전환부재
14 : 출력축 바디
16 : 변속구동부
131 : 유성기어
132 : 캐리어

Claims (6)

  1. 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입력축;
    상기 입력축의 회전력을 동력사용부로 전달하는 출력축; 및
    회전비를 가변하여 상기 입력축의 회전력을 상기 출력축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입력축 및 출력축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회전비가변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축에 대한 상기 출력축의 회전비가 가변될 수 있도록, 상기 출력축이 상기 입력축 및 회전비가변부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기어감속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비가변부는,
    상기 입력축에 기어 결합하여 상기 입력축의 외주면을 따라 공전하는 유성기어; 및
    상기 입력축과 동일한 회전중심을 가지도록 놓이고, 상기 유성기어의 공전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적어도 일측이 상기 유성기어의 중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출력축과 선택적으로 기어 결합되는 캐리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기어감속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축은,
    상기 회전비가변부와 기어 결합되기 위한 변속치형부; 및
    상기 출력축과 직접 기어 결합되기 위한 등속치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기어감속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축은,
    상기 동력사용부에 연결되는 출력축 바디; 및
    상기 출력축 바디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입력축 및 회전비가변부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전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기어감속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축 바디는, 상기 전환부재와 기어 결합되기 위한 고정치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환부재는,
    상기 입력축에 기어 결합되기 위한 등속치형부;
    상기 회전비가변부와 기어 결합되기 위한 변속치형부;
    상기 출력축의 고정치형부와 기어 결합되기 위한 고정치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기어감속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축이 상기 입력축 및 회전비가변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출력축을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한 변속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기어감속장치.
KR1020110133080A 2011-12-12 2011-12-12 복수 회전비를 가진 유성기어감속장치 KR101274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3080A KR101274472B1 (ko) 2011-12-12 2011-12-12 복수 회전비를 가진 유성기어감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3080A KR101274472B1 (ko) 2011-12-12 2011-12-12 복수 회전비를 가진 유성기어감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4472B1 true KR101274472B1 (ko) 2013-06-18

Family

ID=48866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3080A KR101274472B1 (ko) 2011-12-12 2011-12-12 복수 회전비를 가진 유성기어감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44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5292A (ko) * 2019-04-26 2020-11-04 주식회사 삼보산업 듀얼 감속비를 가지는 유성기어 감속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9304A (ja) * 1993-02-23 1994-09-06 Toyota Motor Corp 歯車式変速機における伝達回転比切替装置
KR200291130Y1 (ko) 2002-06-29 2002-10-09 주식회사 셀 회전비 가변형 동력전달장치
JP2004224085A (ja) 2003-01-20 2004-08-12 Toyoda Mach Works Ltd 減速比可変式動力舵取り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9304A (ja) * 1993-02-23 1994-09-06 Toyota Motor Corp 歯車式変速機における伝達回転比切替装置
KR200291130Y1 (ko) 2002-06-29 2002-10-09 주식회사 셀 회전비 가변형 동력전달장치
JP2004224085A (ja) 2003-01-20 2004-08-12 Toyoda Mach Works Ltd 減速比可変式動力舵取り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5292A (ko) * 2019-04-26 2020-11-04 주식회사 삼보산업 듀얼 감속비를 가지는 유성기어 감속기
KR102206092B1 (ko) * 2019-04-26 2021-01-22 주식회사 삼보산업 듀얼 감속비를 가지는 유성기어 감속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1021479A5 (ko)
JP5075233B2 (ja) 電動工具
DK177641B1 (en) A power tool
CA2686810A1 (en) Multispeed power tool transmission
US20070281822A1 (en) Electric hand tool device
KR19990086790A (ko) 내접 유성치차를 이용한 감속장치
TWM537944U (zh) 電動工具齒輪箱的變速裝置
JP2017007080A (ja) 加工装置
KR101627425B1 (ko) 변속기
KR101274472B1 (ko) 복수 회전비를 가진 유성기어감속장치
KR101463300B1 (ko) 다중 출력 차동 장치
KR20150029223A (ko) 무한 변속기
JP5280592B1 (ja) 変速装置
KR101499936B1 (ko) 무단변속기
KR20110023320A (ko) 듀얼 클러치 변속기용 작동기
CN102049549B (zh) 钻类工具
KR101254011B1 (ko) 복수 개의 동력전달 경로를 가지는 유성기어 어셈블리
KR20130007211A (ko) 래치기어를 이용한 유성기어식 변속기
KR101542006B1 (ko) 다중 출력 차동 장치
KR20150035128A (ko) 무한 변속기
JP3847170B2 (ja) 遊星歯車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変速装置
KR101433077B1 (ko) 자동 변속기
KR101173680B1 (ko) 변속 장치
KR950000480Y1 (ko) 전동공구의 변속장치
KR101322191B1 (ko) 자동 변속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