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2516B1 - 파우치 셀의 배터리 케이스 - Google Patents

파우치 셀의 배터리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2516B1
KR101272516B1 KR1020110056706A KR20110056706A KR101272516B1 KR 101272516 B1 KR101272516 B1 KR 101272516B1 KR 1020110056706 A KR1020110056706 A KR 1020110056706A KR 20110056706 A KR20110056706 A KR 20110056706A KR 101272516 B1 KR101272516 B1 KR 101272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ase
main body
pouch
heat dissipation
pouch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6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7700A (ko
Inventor
곽진우
손삼익
송경화
김윤석
최치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6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2516B1/ko
Publication of KR20120137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7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2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2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4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ells
    • H01M10/647Prismatic or flat cells, e.g.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1Surfaces specially adapted for heat dissipation or radiation, e.g. fins or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4Rods or plates
    • H01M10/6555Rods or plates arranged between th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1Gases
    • H01M10/6562Gases with free flow by convection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1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66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알루미늄 배터리 케이스 소재 대비 절연성, 경량성 등이 우수한 두 종류의 방열 복합재를 이용하여 공기와 접촉면적을 극대화함으로써, 방열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파우치 셀의 배터리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전극조립체를 수용하고, 표면에 다수의 방열돌기를 가지므로 공기와의 접촉표면적을 극대화시키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양측 단부를 커버하는 캡부;를 포함하여, 상기 방열돌기에 의해 방열 특성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셀의 배터리 케이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파우치 셀의 배터리 케이스{Battery case for pouch cell}
본 발명은 파우치 셀의 배터리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방열 특성이 향상된 파우치 셀의 배터리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리튬 이차 전지는 외장케이스의 종류에 따라 금속 캔을 용기로 하여 용접 밀봉시킨 형태로 사용되는 캔형 이차전지와, 필름으로 만든 파우치에 전극조립체(두 전극, 세퍼레이터 및 전해질로 구성됨)를 넣고 밀봉하여 사용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로 구분할 수 있다.
최근 들어 리튬 이차 전지를 유연성을 지닌 파우치형으로 제조하여 차량용 배터리에 사용하고 있으며, 파우치형 이차 전지(이하, 파우치 셀로 약칭함)는 그 형상이 비교적 자유롭고 가벼워서 다수의 셀을 적층해야 하는 차량용 배터리에 유용하다.
파우치 셀의 배터리 케이스용 소재로 알루미늄 케이스나 PC+ABS, PA, PP 등의 플라스틱 기질에 난연 필러인 미네랄 필러가 충진된 복합재가 사용되고 있다.
한편, 리튬 이차 전지는 고속 충전시 파우치 셀 내부에서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파우치 셀의 외장케이스용 소재의 경우 방열 특성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파우치 셀의 외장케이스 용도로 사용되는 알루미늄 케이스는 평평한 표면형상을 가지므로 공기와 접촉하는 표면적이 작아 방열 소재로 부적합하고, 절연성이 없어 배터리의 안전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경량성 및 작업성 측면에서 경쟁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복합재는 주로 난연성, 내화학성, 절연성 및 내구성 등의 성질을 가지지만, 방열 특성이 전혀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기존의 알루미늄 배터리 케이스 소재 대비 절연성, 경량성 등이 우수한 두 종류의 방열 복합재를 이용하여 공기와 접촉면적을 극대화함으로써, 방열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파우치 셀의 배터리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셀의 배터리 케이스는 내부에 전극조립체를 수용하고, 표면에 다수의 방열돌기를 가지므로 공기와의 접촉표면적을 극대화시키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양측 단부를 커버하는 캡부;를 포함하여, 상기 방열돌기에 의해 방열 특성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본체부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되고,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기질에 고방열성 필러입자를 첨가한 후, 상기 필러입자의 배향성을 조절하여 평판의 두께방향으로 방열 특성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캡부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되고, 상기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기질에 고방열성 필러입자를 첨가한 후, 상기 필러입자의 배향성을 조절하여 방열 특성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셀의 배터리 케이스의 장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파우치 셀의 외장재로 두 종류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절연성, 경량성, 작업성 및 경제성이 우수한 장점을 가진다.
2.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기질에 고방열성 필러입자를 첨가하고, 입자의 배향성을 쓰루-플레인 방향으로 조절함으로써 평면에 대하여 두께방향으로의 방열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3. 본체부 및 캡부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 구조를 형성하여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극대화함으로써, 파우치 셀 내부에서 발생된 열을 셀 바깥으로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4. 캡부 내부에 별도의 공기유로를 더 확보함으로써, 발열량이 많은 전극부에서의 열전달 특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셀의 배터리 케이스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본체부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정면도
도 5는 도 4의 A-A 단면도
도 6은 도 1에서 캡부와 본체부의 분해단면도
도 7은 도 1의 일부 절개사시도
도 8은 도 7의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당업자'라고 약칭함)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셀의 배터리 케이스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본체부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에서 캡부(20)와 본체부의 분해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절연성, 경량성, 작업성, 및 경제성이 우수한 두 종류의 플라스틱 기반의 방열복합재를 이용하여 공기냉각을 위한 효과적인 방열 디자인을 제안하고, 케이스의 표면 형상을 조절하여 방열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파우치 셀의 배터리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두 종류의 플라스틱 기반의 방열복합재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사용할 수 있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elastomer)는 외력(外力)을 가해서 잡아당기면 몇 배나 늘어나고, 외력을 제거하면 원래의 길이로 돌아가는 탄성을 가지는 고분자 화합물이다.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이란 통상 내열성이 100℃ 이상이고, 강도가 49.0MPa 이상, 굴곡탄성율이 2.4Gpa을 갖는 고기능성 수지를 말하고, 내열성이 일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보다 한층 높은 150℃ 이상의 고온에서 장기 사용 가능한 것을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말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기존의 알루미늄 배터리 케이스에 비해 절연성, 경량성, 작업성 및 경제성이 우수한 장점을 가진다.
또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기질에 고방열성 필러입자를 첨가하고, 입자의 배향성을 조절하여 평판의 두께 방향으로의 방열 특성이 우수한 평판 형상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복합재와, 전방향으로 균일한 방열특성을 가지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복합재를 제조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전도, 대류 및 복사에 의한 열전달을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고방열성 필러입자로 절연성을 지니는 보론 나이트라이드(BN), 실리콘 카바이드(SiC)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수십 ~ 100 ㎛의 입자 크기와, 40 ~ 80 W/mK의 열전도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셀의 배터리 케이스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박스형태로 이루어지며 전극조립체를 수용하는 본체부(10)와, 본체부(10)의 좌측과 우측 개구부를 커버하는 캡부(20)로 구성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10)는 전면,배면,상면,하면이 막혀 있고 좌측과 우측면이 개구된 박스 구조로 이루어지고, 본체부(10)의 좌측과 우측 테두리부에 위치하고 플렉시블한 필름보다 상대적으로 더 두꺼운 두께를 가지므로 본체부(10)의 강성을 유지하는 프레임부(11)와, 좌우측 프레임부(11)를 유연하게 연결하는 필름 형태의 연결부(12)로 구성된다.
이때, 박스 형태의 본체부(10)의 전면(또는 앞쪽 평면) 및 배면(또는 뒤쪽 평면)은 면적이 넓은 면이고, 본체부(10)의 상단면과 하단면은 면적이 상대적으로 좁은 면을 말한다.
상기 본체부(10)의 프레임부(11)는 캡부(20)와 체결을 위해 제1 및 제2끼움돌기(13a,13b)를 가지고, 여러 개의 파우치 셀을 적층할 경우에 셀 간의 결합을 위해 프레임부(11)의 앞쪽면과 뒤쪽면에 각각 돌출된 제1 및 제2끼움돌기(13a,13b)의 길이를 서로 다르게 설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을 기준으로 왼쪽 프레임부(11)의 앞쪽 면에 돌출된 제1끼움돌기(13a)의 길이는 캡부(20)의 끼움홀(21)의 관통두께보다 더 길고, 오른쪽 프레임부(11)의 앞쪽 면에 돌출된 제2끼움돌기(13b)의 길이는 캡부(20)의 끼움홀(21)의 관통두께보다 더 짧게 형성될 수 있다(예를 들면 제1끼움돌기(13a)가 제2끼움돌기(13b)보다 2배 더 길다).
그리고, 상기 길이가 긴 제1끼움돌기(13a)를 오른쪽 프레임부(11)의 뒤쪽 면에, 길이가 짧은 제2끼움돌기(13b)를 왼쪽 프레임부(11)의 뒤쪽 면에 형성함으로써, 캡부(20)와 연결부(12)의 체결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끼움돌기의 결합 구조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나중에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프레임부(11)의 저면에는 너트홀이 형성되고, 이 너트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상대 파트의 볼트가 너트홀에 삽입 체결됨으로써, 본체부(10)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의 연결부(12)는 프레임부(11)에 비해 상대적으로 면적이 넓고, 예를 들어 본체부(10)의 전체 면적에 약 70~80% 정도 차지하지만 당업자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프레임부(11)와 연결부(12)의 크기 및 면적을 다양하게 디자인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부(11)와 연결부(12)는 모두 탄성을 가지는 유연한 소재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복합재를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또는 열가소성 올레핀 등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본체부(10)의 소재로 탄성을 지닌 유연한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이차 전지의 고속충전시 발생하는 파우치 셀의 부피가 팽창하여 터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의 소재로 예를 들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기질에 판상의 고방열성 필러입자를 30~5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40 중량% 정도 첨가하고, 판상의 방열성 필러입자를 쓰루-플레인(Through-plane) 방향으로 배열함으로써 평판의 두께방향으로의 방열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쓰루-플레인 방향이란 평면에 대해 두께방향을 말하고,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재질을 사용하여 제작된 본체부(10)의 연결부(12)의 평면에 대해 두께방향으로 고방열성 필러입자를 배열함으로써, 고방열성 필러입자를 통해 파우치 셀 내부에서 발생된 열을 두께 방향으로 용이하게 방열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0)의 연결부(12)는 예를 들면 약 500㎛의 두께를 가질 수 있고, 미세한 요철구조를 가짐으로써, 평면에 비해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최대로 확보하여 방열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2)는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다수의 방열돌기를 가지며, 방열돌기는 예를 들면 300~500㎛ 크기로 연결부(12)에 균일하게 분포됨으로써 파우치 셀 내부의 열이 연결부(12) 전체면적에 걸쳐 골고루 방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방열돌기의 크기가 너무 지나치게 작은 경우에는 돌기를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제작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고, 방열돌기의 크기가 너무 지나치게 큰 경우에 공기와의 접촉면적이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 방열돌기의 간격 및 크기는 필요한 방열량의 정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방열돌기는 원형, 사각형, 육각형 등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연결부(12)는 일면에 높이(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2개의 리브(14)를 각각 가지고, 2개의 리브(14)는 연결부(12)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형성되며, 각 리브(14)는 아래 위로 리브용 체결홈(16)과 체결핀(15)을 가진다.
예를 들면, 앞쪽면 연결부(12)에서 왼쪽에 위치한 리브(14)는 위쪽에 체결홈(16)을 가지고 아래쪽에 체결핀(15)을 가지며, 오른쪽에 위치한 리브(14)는 위쪽에 체결핀(15)을 가지고 아래쪽에 체결홈(16)을 가진다.
이와 같은 구조로 연결부(12)에 형성된 리브(14)는 연결부(12) 자체의 구조적 강성 및 체결성을 향상시켜줄 뿐만 아니라, 각 리브(14)에 형성된 체결홈(16) 및 체결핀(15)에 서로 대각선 방향으로 위치함으로써 파우치 셀 간의 적층시 리브(14) 사이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캡부(20)의 소재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체결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폴리아마이드계 또는 폴리카보네이트계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기질에 판상의 고방열성 필러입자를 30~5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40 중량% 정도 첨가하고, 판상의 고방열성 필러입자의 배향성을 전방향으로 조절함으로써 방열특성을 전방향으로 균일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캡부(2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 방향으로 개구된 "ㄷ"자와 유사한 단면 형상을 가지고,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수용홈(25)을 가지므로, 수용홈(25)에 본체부(10)의 왼쪽 또는 오른쪽 단부(본체부(10)의 길이방향 단부)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캡부(20)는 양쪽 측벽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끼움홀(21)을 가지고, 본체부(10)의 좌우측 양단에 형성된 제1 및 제2끼움돌기(13a,13b)가 끼움홀(21)에 끼워짐으로써 수용홈(25)에 본체부(10)의 좌우측 단부가 삽입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캡부(20)의 내측 저면에는 유로홈(24)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더 형성되고, 이 유로홈(24)을 통해 공기유로를 확보함으로써, 전극조립체의 전극부에서 발생된 열을 유로홈(24)을 따라 이동하는 공기에 의해 냉각시킬 수 있다.
즉, 전극조립체의 전극부에서 열이 가장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공기유로를 더 형성한 것이다.
캡부(20)는 외표면 양측(앞쪽 측면과 뒤쪽 측면)에 각각 결합돌기(22)와 결합홈(23)을 가지며, 이 결합돌기(22)와 결합홈(23)에 의해 파우치 셀의 적층 시 인접한 캡부(20)가 서로 체결됨으로써, 작업성 및 체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돌기(22)는 도 6의 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부(20)의 외측 뒤쪽 면에서 폭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결합홈(23)은 캡부(20)의 외측 앞쪽 면에서 폭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22)가 인접한 캡부(20)의 결합홈(23)에 끼워짐으로써, 캡부(20)의 적층 시 인접한 캡부(20) 간에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본체부(10)의 왼쪽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캡부(20)는 도 1을 기준으로 앞쪽 면에 결합홈(23)을 가지고 뒤쪽 면에 결합돌기(22)를 가지며, 본체부(10)의 오른쪽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캡부(20)는 앞쪽 면에 결합돌기(22)를 가지고 뒤쪽 면에 결합홈(23)을 가짐으로써, 파우치 셀의 적층 시 캡부(20) 간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체결성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첨부한 도 7은 도 1의 파우치 셀이 2개 적층된 상태를 보여주는 일부 절개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우치 셀의 적층 결합 시 본체부(10)의 왼쪽 프레임부(11) 앞쪽면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된 제1끼움돌기(13a)는 캡부(20)의 끼움홀(21)을 관통하여 인접한 앞쪽 캡부(20)의 끼움홀(21)에 끼움 결합된다.
그리고, 본체부(10)의 오른쪽 프레임부(11)의 앞쪽면에서 돌출된 제2끼움돌기(13b)는 캡부(20)의 끼움홀(21)에 삽입되지만 제1끼움돌기(13a)처럼 캡부(20)의 끼움홀(21) 밖으로 돌출되지 않고 오히려 인접한 본체부(10)의 오른쪽 프레임부(11)의 뒤쪽면에서 돌출된 제1끼움돌기(13a)가 캡부(20)의 끼움홀(21)을 관통하여 뒤쪽 캡부(20)의 끼움홀(21)에 끼움 결합된다.
이와 같이 끼움돌기는 파우치 셀의 적층 결합시 캡부(20)와 본체부(10) 간의 결합은 물론 인접한 캡부(20) 간의 결합을 더욱 용이하게 하고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인접한 캡부(20)는 결합돌기(22) 및 결합홈(23)에 의해 결합될 뿐만 아니라 본체부(10)의 제1끼움돌기(13a)와 캡부(20)의 끼움홀(21)의 결합에 의해 이중으로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한편,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우치 셀의 적층 결합 시 앞쪽 연결부(12)의 왼쪽 리브(14)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체결핀(15)은 인접한 뒤쪽 연결부(12)의 왼쪽 리브(14)에 측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체결홈(16)에 끼움결합된다.
그리고, 뒤쪽 연결부(12)의 오른쪽 리브(14)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체결핀(15)은 인접한 앞쪽 연결부(12)의 오른쪽 리브(14)에 측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체결홈(16)에 끼움결합된다.
이와 같이 체결핀(15)은 파우치 셀의 적층 결합시 인접한 리브(14) 간의 결합을 더욱 용이하게 하고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인접한 리브(14)는 파우치 셀의 적층시 체결핀(15)에 의해 용이하게 결합되어 인접한 연결부(12)의 결합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파우치 셀의 외장재로 두 종류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절연성, 경량성, 작업성 및 경제성이 우수한 장점을 가진다.
또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기질에 고방열성 필러입자를 첨가하고, 입자의 배향성을 쓰루-플레인 방향으로 조절함으로써 평면에 대하여 두께방향으로의 방열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체부(10) 및 캡부(20)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 구조를 형성하여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극대화함으로써, 파우치 셀 내부에서 발생된 열을 셀 바깥으로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캡부(20) 내부에 별도의 공기유로를 더 확보함으로써, 발열량이 많은 전극부에서의 열전달 특성을 높일 수 있다.
10 : 본체부 11 : 프레임부
12 : 연결부 13a : 제1끼움돌기
13b : 제2끼움돌기 14 : 리브
15 : 체결핀 16 : 체결홈
20 : 캡부 21 : 끼움홀
22 : 결합돌기 23 : 결합홈
24 : 유로홈 25 : 수용홈

Claims (7)

  1. 내부에 전지용 전극조립체를 수용하고, 표면에 다수의 방열돌기를 가지는 본체부(10);
    상기 본체부(10)의 양측 단부를 커버하는 캡부(20);
    를 포함하며,
    상기 캡부(20)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되고, 상기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기질에 고방열성 필러입자를 첨가한 후, 상기 필러입자의 배향성을 조절하여 방열 특성이 향상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셀의 배터리 케이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되고,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기질에 고방열성 필러입자를 첨가한 후, 상기 필러입자의 배향성을 쓰루 플레인(through-plane) 방향으로 조절하여 평판의 두께방향으로 방열 특성이 향상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셀의 배터리 케이스.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는 양측면에 개구부를 가지는 필름 형태의 박스 구조로 이루어지는 연결부(12)와, 연결부(12)의 양측 테두리부에 위치하여 강성을 유지하는 프레임부(1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셀의 배터리 케이스.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부(20)는 본체부(10)의 양측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25)과, 본체부(10)와의 결합을 위해 내부에서 측방향으로 형성된 끼움홀(21)을 가지며;
    상기 본체부(10)는 양측 단부면에 돌출형성되어 끼움홀(21)에 끼움 결합되는 제1 및 제2끼움돌기(13a,13b)를 가지며; 및
    상기 제1 및 제2끼움돌기(13a,13b) 중 하나는 파우치 셀의 적층 시 셀 간의 결합을 위해 상기 끼움홀(21)의 관통두께에 비해 길이가 짧고, 상기 제1 및 제2끼움돌기(13a,13b)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끼움홀(21)의 관통두께에 비해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파우치 셀의 적층 시 상기 끼움돌기와 끼움홀(21)에 의해 인접한 캡부(20)가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셀의 배터리 케이스.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부(20)는 내측 저면에 형성된 유로홈(24)을 더 포함하고, 이 유로홈(24)을 따라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 전극조립체의 전극부에서 발생된 열을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셀의 배터리 케이스.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는 앞쪽 면과 뒤쪽 면에 각각 복수의 리브(14)를 가지고, 상기 리브(14)는 아래 위로 각각 체결핀(15)과 체결홈(16)을 가지며, 이 체결핀(15)과 체결홈(16)에 의해 파우치 셀의 적층 시 인접한 본체부(10)가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셀의 배터리 케이스.
KR1020110056706A 2011-06-13 2011-06-13 파우치 셀의 배터리 케이스 KR101272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6706A KR101272516B1 (ko) 2011-06-13 2011-06-13 파우치 셀의 배터리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6706A KR101272516B1 (ko) 2011-06-13 2011-06-13 파우치 셀의 배터리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7700A KR20120137700A (ko) 2012-12-24
KR101272516B1 true KR101272516B1 (ko) 2013-06-10

Family

ID=47904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6706A KR101272516B1 (ko) 2011-06-13 2011-06-13 파우치 셀의 배터리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251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09423A1 (ko) * 2016-05-30 2017-12-07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방열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전지팩
KR20180087548A (ko) 2017-01-25 2018-08-02 주식회사 유니테크노 차량용 배터리 셀 케이스 냉각시스템
CN108389983A (zh) * 2017-01-27 2018-08-10 福特全球技术公司 多功能离子袋状电池单元框架
US10964971B2 (en) 2017-12-19 2021-03-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Battery casing and battery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08245B2 (en) 2014-09-30 2017-03-28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System for providing structural integrity of a battery module
KR101776853B1 (ko) * 2015-06-30 2017-09-12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배터리 팩
CN107863465A (zh) * 2016-09-22 2018-03-30 松下能源(无锡)有限公司 电池组
KR102663216B1 (ko) 2016-12-13 2024-05-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구조
KR102636019B1 (ko) * 2021-06-24 2024-02-13 비나텍주식회사 리벳 볼트로 결합된 전극리드를 가지는 전기 에너지 저장 장치
KR102656319B1 (ko) 2023-10-16 2024-04-12 주식회사 티엔피솔루션 수계아연 배터리 패키징용 케이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08747A (ja) * 2003-10-01 2005-04-21 Nec Lamilion Energy Ltd フィルム外装電池および組電池
JP2006351373A (ja) * 2005-06-16 2006-12-28 Nec Lamilion Energy Ltd フィルム外装電池及びそれが集合した組電池
JP2010009962A (ja) * 2008-06-27 2010-01-14 Toyoda Gosei Co Ltd 組電池装置及び組電池装置用保持部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08747A (ja) * 2003-10-01 2005-04-21 Nec Lamilion Energy Ltd フィルム外装電池および組電池
JP2006351373A (ja) * 2005-06-16 2006-12-28 Nec Lamilion Energy Ltd フィルム外装電池及びそれが集合した組電池
JP2010009962A (ja) * 2008-06-27 2010-01-14 Toyoda Gosei Co Ltd 組電池装置及び組電池装置用保持部材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09423A1 (ko) * 2016-05-30 2017-12-07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방열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전지팩
US10756315B2 (en) 2016-05-30 2020-08-25 Amogreentech Co., Ltd. Heat-radiating cartridge and electric car battery pack using same
KR20180087548A (ko) 2017-01-25 2018-08-02 주식회사 유니테크노 차량용 배터리 셀 케이스 냉각시스템
CN108389983A (zh) * 2017-01-27 2018-08-10 福特全球技术公司 多功能离子袋状电池单元框架
CN108389983B (zh) * 2017-01-27 2023-01-13 福特全球技术公司 多功能离子袋状电池单元框架
US10964971B2 (en) 2017-12-19 2021-03-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Battery casing and battery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7700A (ko) 2012-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2516B1 (ko) 파우치 셀의 배터리 케이스
KR102386917B1 (ko) 배터리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00561B1 (ko) 배터리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509853B1 (ko) 배터리 셀 모듈용 방열 플레이트 및 이를 갖는 배터리 셀 모듈
US10903533B2 (en) Battery module
US10446891B2 (en) Submodule and battery module having the same
US10535906B2 (en) Battery module
CA2790036C (en) Heat dissipator and 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
US20100209759A1 (en) Battery pack
KR101417248B1 (ko) 배터리 셀 모듈용 방열 플레이트 및 이를 갖는 배터리 셀 모듈
GB2418058A (en) Battery Pack
US10431859B2 (en) Battery pack
KR101261918B1 (ko) 배터리 케이스용 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105945A (ko) 계면 플레이트를 이용한 배터리 셀 방열 장치
KR101976588B1 (ko) 조립형 방열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전지팩
US10756315B2 (en) Heat-radiating cartridge and electric car battery pack using same
KR20230107510A (ko) 배터리 모듈
KR20180031402A (ko) 배터리 팩용 방열 카트리지
JP5327016B2 (ja) 電池モジュール
KR101620165B1 (ko) 방열부재가 구비된 베터리모듈
CN212725417U (zh) 电池模组
KR102379665B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101976589B1 (ko) 방열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전지팩
KR102503281B1 (ko) 배터리 냉각장치
TWM543467U (zh) 具高散熱功效之電池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