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7667B1 - 열연코일의 형상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다단냉각방법 - Google Patents

열연코일의 형상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다단냉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7667B1
KR101267667B1 KR1020100105538A KR20100105538A KR101267667B1 KR 101267667 B1 KR101267667 B1 KR 101267667B1 KR 1020100105538 A KR1020100105538 A KR 1020100105538A KR 20100105538 A KR20100105538 A KR 20100105538A KR 101267667 B1 KR101267667 B1 KR 101267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hot rolled
cooling step
steel sheet
rolled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5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4119A (ko
Inventor
박철봉
김성주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5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7667B1/ko
Publication of KR20120044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4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7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766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무리 압연공정(finish mill)을 거친 열연강판을 유지온도까지 급냉하는 집중냉각단계와, 유지온도에서 유지시간동안 서냉하는 공냉단계와, 상기 유지시간 경과 후 상기 열연강판을 권취온도까지 급냉하는 마무리 냉각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권취온도 이하에서 발생하는 상변태량이 20% 이하가 되도록 하는 열연코일의 형상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다단냉각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열연코일의 형상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다단냉각방법{THE MULTISTAGE COOLING METHOD FOR PREVENTING HOT ROLLED COIL FORM TRANSFORMING}
본 발명은 열연코일의 형상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다단냉각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열연코일을 열간 압연 후 권취 시 형상변형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냉각 대에서 수냉과 공냉 후 다시 수냉을 거치는 다단 냉각을 통해, 상변태가 빠르게 진행되어 열연코일이 권취된 후 형상변형을 미연에 방지 및 저감시켜주는 열연코일의 형상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다단냉각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간 압연 공정에서 생산된 열연코일은 컨베이어 등의 이송수단을 통해 코일 야적장으로 옮겨져 대기 중에 방치되고 상온까지 냉각된다.
그런데, 이렇게 열간 압연 공정에서 생산된 열연코일은 냉각과정에서 높은 온도 및 자체 하중에 의하여 외경의 어느 한 방향이 크게 변형되어 전체적으로 타원단면을 형성하는 코일 변형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열연코일의 변형을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상변태를 빠르게 진행시키도록, 수냉 직 후 일정시간 동안 공냉 구간을 주어 본래의 재질을 확보하며, 다시 권취 직전까지 수냉을 하는 다단냉각을 적용한 다단냉각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열연코일의 형상변형을 미연에 방지 및 저감시켜주는 열연코일의 형상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다단냉각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열연코일의 형상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다단냉각방법의 목적은, 열연코일의 냉각속도를 단시간에 증가시킴으로써 상변태가 시작되는 시점을 앞당겨, 열연코일이 권취 후 변형이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열연코일의 형상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다단냉각방법의 목적은, 열연코일이 수냉 직후 일정시간 동안 공냉 공간을 주고, 또다시 수냉 과정을 거치면서 열연코일의 재질확보 및 변형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마무리 압연공정(finish mill)을 거친 열연강판을 유지온도까지 급냉하는 집중냉각단계; 상기 유지온도에서 유지시간동안 서냉하는 공냉단계; 및 상기 유지시간 경과 후 상기 열연강판을 권취온도까지 급냉하는 마무리 냉각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권취온도 이하에서 발생하는 상변태량이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집중냉각단계는, 상기 유지온도가 700 ~ 72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집중냉각단계는 냉각속도가 95 ~ 105℃/sec 인 것이 바람지하다.
상기 공냉단계는, 상기 유지시간이 4 ~ 6sec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무리 냉각단계는, 상기 권취온도가 250 ~ 56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무리 냉각단계는 냉각속도가 25 ~ 35℃/sec 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열연강판은 탄소(C) : 0.05 ~ 0.09 중량%, 실리콘(Si) : 0.2 중량% 이하, 망간(Mn) : 1.3 ~ 1.7 중량%, 인(P) : 0.014 중량% 이하, 황(S) : 0.004 중량% 이하, 몰리브덴(Mo) : 0.03 중량% 이하, 질소(N) : 0.003 중량% 이하를 포함하고, 나머지 철(Fe)과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사상에 따르면, 마무리 압연공정(finish mill)을 거친 열연강판을 700 ~ 720℃의 유지온도까지 급냉하는 집중냉각단계; 상기 유지온도에서 유지시간동안 서냉하는 공냉단계; 및 상기 유지시간 경과 후 상기 열연강판을 250 ~ 560℃의 권취온도까지 급냉하는 마무리 냉각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권취온도 이하에서 발생하는 상변태량이 20% 이하가 되도록 하는 열연코일의 형상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다단냉각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열연코일의 형상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다단냉각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열연코일의 냉각속도를 단시간에 증가시킴으로써 상변태가 시작되는 시점을 앞당겨, 열연코일이 권취된 후에도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열연코일이 수냉 직후 일정시간 동안 공냉 공간을 주고, 또다시 수냉과정을 거치면서 열연코일의 본래의 재질을 확보함과 동시에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연코일의 형상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다단냉각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공정 순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연코일의 형상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다단냉각방법을 적용한 실험데이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연코일의 형상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다단냉각방법을 적용하여, 상변태 발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연코일의 형상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다단냉각방법이 적용 유무에 따라 얻어진 권취온도에서의 상변태량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열연강판의 미세 조직 사진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으로 열연코일의 단축 대 장축 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열연코일의 형상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다단냉각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열연코일의 형상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다단냉각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열연코일의 형상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다단냉각방법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연코일의 형상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다단냉각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공정 순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시된 열연코일의 형상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다단냉각방법은 크게 집중냉각단계(S100), 공냉단계(S200), 마무리 냉각단계(S300)를 포함한다.
먼저, 집중냉각단계(S1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집중냉각단계(S100)는, 마무리 압연공정(finish mill)을 거친 열연강판을 유지온도까지 급냉한다.
이때, 상기 유지온도는 700 ~ 72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상기 유지온도가 700℃ 미만일 경우, 저온상(침상 페라이트, 베이나이트 등)이 과도하게 생성되어 연성의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유지온도를 700 ~ 720℃로 유지함으로써, 석출물의 재고용을 제어하고 소재의 강도 향상은 물론 소재의 길이방향으로 균일 미세조직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유지온도가 720℃를 초과할 경우,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이 증가하여 강도가 감소하며, 연성이 필요이상으로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집중냉각단계(S100)는, 95 ~ 105℃/sec 의 속도로 2sec 동안 냉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공냉단계(S2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공냉단계(S200)는, 상기 700 ~ 720℃의 유지온도에서 일정한 유지시간동안 서냉한다.
즉, 상기 유지시간은 4 ~ 6sec 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상기 유지시간이 4초 미만일 경우, 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이와 반대로 상기 유지시간이 6초를 초과할 경우, 연성이 오히려 높아져 재질 확보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마무리 냉각단계(S3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마무리 냉각단계(S300)는, 상기 유지시간 경과 후 상기 열연강판을 권취온도까지 급냉한다.
이때, 상기 열연강판의 권취온도는 250 ~ 56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권취온도의 임계적 범위는 상변태량의 발생과 관계가 있다.
상변태가 상기 권취온도의 범위에 접하게 되면 소량으로 적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이러한 권취온도 이하에서 발생하는 상변태량이 20% 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무리 냉각단계(S300)의 냉각속도는 25 ~ 35℃/sec 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상기 냉각속도가 25℃/sec 미만일 경우 상기 언급한 권취온도의 범위에 도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상기 냉각속도가 35℃/sec를 초과할 경우 많은 비용이 소요될 수 있다.
이렇듯, 본 발명에 따른 열연코일의 형상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다단냉각방법을 수행하면, 상변태의 시작속도를 빠르게 앞당겨 열연강판이 권취된 이후에, 상변태로 인한 열연코일의 변형을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연강판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연강판
본 발명에 따른 열연강판은, 탄소(C) : 0.05 ~ 0.09 중량%, 실리콘(Si) : 0.2 중량% 이하, 망간(Mn) : 1.3 ~ 1.7 중량%, 인(P) : 0.014 중량% 이하, 황(S) : 0.004 중량% 이하, 몰리브덴(Mo) : 0.03 중량% 이하, 질소(N) : 0.003 중량% 이하를 포함하고, 나머지 철(Fe)과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조성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열연강판에 포함되는 각 합금 성분의 역할 및 그 함량 조성비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탄소(C)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탄소(C)는 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첨가된다.
통상의 강에서 탄소(C)의 함량은 0.1 중량% 이하이므로, 본 발명에서의 탄소(C)는 0.05 ~ 0.09 중량%의 함량을 첨가한다.
다음으로, 실리콘(Si)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실리콘(Si)는 강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며, 강 중의 산소를 제거하기 위한 탈산제로 첨가된다.
이러한 실리콘(Si)은 고강도에 적합한 기계적인 물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열연강판의 성분인 실리콘(Si)은 0.2 중량% 이하의 함량비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콘(Si)이 0.2 중량%를 초과할 경우 강재의 용접성을 떨어뜨리고, 스케일이 생성되어 표면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망간(Mn)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망간(Mn)은 고용강화 원소로써 매우 효과적이며, 강의 경화능을 향상시켜 강도확보에 효과적인 원소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열연강판의 성분인 망간(Mn)은 1.3 ~ 1.7 중량%의 함량비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망간(Mn)이 1.3 중량%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 망간(Mn) 첨가에 따른 고용강화 효과 및 경화능 향상 효과가 불충분하다. 반대로, 망간(Mn)이 1.7 중량%를 초과할 경우 용접성을 크게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다음으로, 인(P)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인(P)은 강 중에 존재하는 불순물 원소로서, 강도 향상 및 내식성에 유리한 성분이나 충격인성을 크게 저해할 수 있으므로 가능한 한 낮게 유지하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인(P)의 함량은 0.014 중량%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황(S)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황(S)은 인(P)과 마찬가지로 강 중에 존재하는 불순물 원소이다.
이러한 황(S)은 유화물계 개재물(예:MnS)을 형성하여 강의 인성 및 강도를 크게 저해할 수 있으므로 가능한 한 낮게 유지하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황(S)의 함량은 0.004 중량%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몰리브덴(Mo)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몰리브덴(Mo)은 소량의 첨가만으로도 소재의 강도를 상승시키는데 매우 유효한 원소이다.
다만, 0.03 중량%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제조원가가 상승하여 비경제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몰리브덴(Mo)의 함량을 0.03 중량%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질소(N)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질소(N)는, 인(P) 및 황(S)과 함께 강 중에 존재하는 불순물로 취급되며, 강도 향상에는 다소 도움이 되나 인성을 크게 저해한다.
또한 이러한 질소(N)는 강 내부에 개재물을 발생시켜 내부 품질을 저해할 수 있으므로 가능한 한 극저의 함량비로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이러한 질소(N)의 함량비를 가능한 한 낮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그 방법상의 어려움을 제외하고서라도, 비용이 비효율적으로 증가하는 문제가 따른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질소(N)의 함량을 0.003 중량% 이하로만 제한하기로 한다.
상기 이외의 나머지는 실질적으로 철(Fe)로 이루어진다.
나머지가 실질적으로 철(Fe)로 이루어진다는 것은,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방해하지 않는 한, 불가피한 불순물을 비롯하여, 다른 미량원소를 함유하는 것이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1. 열연강판의 제조 및 냉각단계의 적용 비교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열연강판에 적용되는 합금 조성 및 냉각단계의 적용 비교는 다음의 표 1과 같다.
Figure 112010069868271-pat00001
(단위 : 중량%)
상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실시예(a) 및 비교예(b)는 같은 원소함량으로 제조된 열연강판을 냉각단계의 실시여부를 표시하여 비교함으로써, 마무리 냉각단계(S300)의 포함여부에 따라 결과 값이 어떻게 달라지는 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상기 표 1과 함께 도 2를 참조하며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연코일의 형상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다단냉각방법을 적용한 실험데이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도 2는 냉각 패턴 변화에 대한 권취온도 이후의 상변태량 측정을 위해 수행한 팽창계(Dilatometer) 실험 방법이다.
상기 표 1과 함께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a)와 비교예(b)를 확인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그래프를 살펴보면, 마무리 압연공정(FM, Finish Mill) 이후 실시예(a)와 비교예(b)의 냉각단계에 따라 냉각속도 및 시간의 차이가 명확히 두드러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먼저, 눈에 띄는 것은 집중냉각단계(S100)와 공냉단계(S200)를 적용한 비교예(b)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a)는 집중냉각단계(S100)와 공냉단계(S200) 및 마무리 냉각단계(S300)를 더 포함하여 다단냉각을 수행하였다는 점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a)를 단계에 따라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a)의 집중냉각단계(S100)는 마무리 압연공정 후 열연강판이 900℃일 때, 2sec 동안 100℃/sec 의 냉각속도로 710℃ 까지 급냉한다.
그 이후에 710℃의 열연강판을 5sec 동안 유지하여 공냉 구간을 확보하는 공냉단계(S200)에 접어든다.
상기 공냉단계(S200) 이후 30℃/sec 의 냉각속도로 5sec 동안 열연강판을 560℃ 이하에 해당하는 권취온도까지 급냉하는 마무리 냉각단계(S300)에 접어든다.
이렇게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a)를 통해 다단냉각을 수행하면, 상변태의 시작속도를 빠르게 앞당겨 열연강판이 권취된 이후에, 상변태로 인한 열연코일의 변형을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비교예(b)를 단계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비교예(b)는 일반적인 냉각방법에 대한 과정으로써, 집중냉각단계(S100)와 공냉단계(S200)만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일반적인 냉각방법은 열연강판이 900℃일 때, 40℃/sec의 냉각속도로 7sec 동안 수행한다.
그 이후에는 12℃/sec의 냉각속도로 5sec 동안 공냉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비교예(b) 및 상기 실시예(a) 데이터의 결과는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연코일의 형상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다단냉각방법을 적용하여, 상변태 발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도 3은 열처리 과정의 급속 냉각과정에서 열연강판의 상변태에 의해 발생하는 길이변화를 선형 변동 차등 변환기(LVDT, Linear Variable Differential Transformer)를 이용하여 측정함으로써 강자기장 하에서의 열연강판의 열처리 중 상변태를 측정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온도가 하강함에 따라 잠깐 동안 열연강판의 LVDT가 증가하는 부분이 있는데, 이러한 부분이 상변태가 일어나는 부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예(b)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다단냉각방법을 적용한 실시예(a)는 권취온도 시점인 560℃ 이하부터 250℃까지 상변태의 변화가 급격히 낮아짐을 확인할 수 있다.
2. 물성 평가
실시예(a) 및 비교예(b)에 따른 열연강판의 기계적 물성은 다음의 표 2와 같다. 이러한 표 2에는 열연강판의 항복강도(YS, Yield Strength), 인장강도(TS, Tensile Strength), 연신율(EL, Elongation)을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10069868271-pat00002
표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경우 항복강도(YS)는 481MPa이며, 인장강도(TS)는 592.4MPa이며, 연신율(EL)은 28%의 기계적 물성치를 만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본 실시예(a)와 달리 비교예(b)는 다른 패턴으로 냉각 단계를 적용하였고, 마무리 냉각단계(S300)를 적용하지 않음으로써 인장강도(TS) 및 항복강도(YS)가 차이가 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에 기인하여, 도 4 및 도 5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각각의 냉각패턴에 의한 권취온도가 560℃ 이하에서의 상변태량을 나타낸다.
이때, 각각의 수치는 팽창 곡선(Dilatation curve)를 기반으로 실측된 열연강판의 길이변화량에 지렛대 원리(Lever rule)을 적용하여 열연강판의 상변태율을 계산하였다.
이러한 각각의 수치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냉각방법을 적용할 시, 도시된 그래프와 같이 권취 이후 비교예(b)에 비하여 실시예(a)의 상변태량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a)의 냉각패턴과 비교예(b)의 냉각패턴에 적용되어 각각 생산된 코일의 미세 조직임을 알 수 있다.
수냉각 대에서 상변태 개시 시간을 앞당기기 위해 빠른 냉각을 할 경우, 자칫 저온상(침상 페라이트, 베이나이트 등)이 과도하게 생성되어 연성의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a)는 냉각 과정 중에 공랭 구간을 5sec간 유지함으로 인해 다량의 페라이트가 형성되도록 하였다.
다음으로,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으로 열연코일의 단축 대 장축 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도 6처럼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a)는 상변태의 개시를 앞당기며, 절충적인 재질을 확보함으로써, 단축 대 장축 비가 1에 가까워 열연코일의 변형을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반면에, 다단냉각방법을 적용하지 않은 비교예(b)는, 상변태가 지연됨에 따라 권취된 열연코일이 적치된 후에도 상변태가 일어나 단축 대 장축 비의 차이로 인해 변형된 열연코일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열연코일의 형상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다단냉각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열연코일의 냉각속도를 단시간에 증가시킴으로써 상변태가 시작되는 시점을 앞당겨, 열연코일이 권취된 후에도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열연코일이 수냉 직후 일정시간 동안 공냉 공간을 주고, 또다시 수냉과정을 거치면서 열연코일의 본래의 재질을 확보함과 동시에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별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S100 : 집중냉각단계
S200 : 공냉단계
S300 : 마무리 냉각단계

Claims (12)

  1. 마무리 압연공정(finish mill)을 거치고, 탄소(C) : 0.05 ~ 0.09 중량%, 실리콘(Si) : 0.2 중량% 이하, 망간(Mn) : 1.3 ~ 1.7 중량%, 인(P) : 0.014 중량% 이하, 황(S) : 0.004 중량% 이하, 몰리브덴(Mo) : 0.03 중량% 이하, 질소(N) : 0.003 중량% 이하를 포함하고, 나머지 철(Fe)과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진 열연강판을 유지온도까지 급냉하는 집중냉각단계;
    상기 유지온도에서 4 ~ 6sec의 유지시간동안 서냉하는 공냉단계; 및
    상기 유지시간 경과 후 상기 열연강판을 권취온도까지 급냉하는 마무리 냉각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마무리 냉각단계 이후에 상기 열연강판이 권취된 이후 상변태율이 20% 이하가 되도록 하여, 상기 공냉단계 전후에서 이루어지는 상기 집중냉각단계와 상기 마무리 냉각단계로 인한 다단냉각을 통해, 상기 열연강판의 상변태 시작속도를 촉진시킴에 따라, 상기 열연강판이 권취된 이후에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마무리 냉각단계는, 냉각속도가 25 ~ 35℃/sec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연코일의 형상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다단냉각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중냉각단계는,
    상기 유지온도가 700 ~ 72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연코일의 형상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다단냉각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중냉각단계는,
    냉각속도가 95 ~ 105℃/sec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연코일의 형상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다단냉각방법.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무리 냉각단계는,
    상기 권취온도가 250 ~ 56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연코일의 형상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다단냉각방법.
  6. 삭제
  7. 삭제
  8. 마무리 압연공정(finish mill)을 거치고, 탄소(C) : 0.05 ~ 0.09 중량%, 실리콘(Si) : 0.2 중량% 이하, 망간(Mn) : 1.3 ~ 1.7 중량%, 인(P) : 0.014 중량% 이하, 황(S) : 0.004 중량% 이하, 몰리브덴(Mo) : 0.03 중량% 이하, 질소(N) : 0.003 중량% 이하를 포함하고, 나머지 철(Fe)과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진 열연강판을 700 ~ 720℃의 유지온도까지 급냉하는 집중냉각단계;
    상기 유지온도에서 4 ~ 6sec의 유지시간동안 서냉하는 공냉단계; 및
    상기 유지시간 경과 후 상기 열연강판을 250 ~ 560℃의 권취온도까지 급냉하는 마무리 냉각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마무리 냉각단계 이후에 상기 열연강판이 권취된 이후 상변태율이 20% 이하가 되도록 하여, 상기 공냉단계 전후에서 이루어지는 상기 집중냉각단계와 상기 마무리 냉각단계로 인한 다단냉각을 통해, 상기 열연강판의 상변태 시작속도를 촉진시킴에 따라, 상기 열연강판이 권취된 이후에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마무리 냉각단계는, 냉각속도가 25 ~ 35℃/sec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연코일의 형상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다단냉각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집중냉각단계는,
    냉각속도가 95 ~ 105℃/sec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연코일의 형상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다단냉각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00105538A 2010-10-27 2010-10-27 열연코일의 형상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다단냉각방법 KR101267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5538A KR101267667B1 (ko) 2010-10-27 2010-10-27 열연코일의 형상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다단냉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5538A KR101267667B1 (ko) 2010-10-27 2010-10-27 열연코일의 형상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다단냉각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4119A KR20120044119A (ko) 2012-05-07
KR101267667B1 true KR101267667B1 (ko) 2013-05-24

Family

ID=46264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5538A KR101267667B1 (ko) 2010-10-27 2010-10-27 열연코일의 형상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다단냉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76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1241B1 (ko) * 2018-10-17 2019-09-11 현대제철 주식회사 온도에 따른 압연 코일의 찌그러짐 방지 장치 및 방법
CN110814026B (zh) * 2019-11-15 2021-02-26 马鞍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防止薄带钢轧制中塌卷的轧制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476B1 (ko) * 2005-12-26 2007-04-24 주식회사 포스코 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열연강판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476B1 (ko) * 2005-12-26 2007-04-24 주식회사 포스코 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열연강판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4119A (ko) 2012-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94951B2 (ja) 熱延鋼板
JP5667977B2 (ja) 高炭素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0509208A (ja) 降伏比が低く均一伸びに優れた焼戻しマルテンサイト鋼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3540896A (ja) 高炭素熱延鋼板、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80327889A1 (en) Steel wire rod for wire drawing
KR101657815B1 (ko) 전자기 특성이 우수한 연자성 강재, 연자성 강 부품 및 그들의 제조방법
KR102469278B1 (ko) 열간성형용 강재, 열간성형 부재 및 이들의 제조방법
JP2012514130A (ja) 高強度高延伸鋼板及び熱延鋼板、冷延鋼板、亜鉛メッキ鋼板及び亜鉛メッキ合金化鋼板の製造方法
JP2011149062A (ja) 高炭素熱延鋼板の製造方法
KR101979477B1 (ko) 퀀칭성이 우수한 면내 이방성이 작은 고탄소 열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46941A (ko)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JPWO2019107042A1 (ja) 高強度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415763B1 (ko) 냉간성형성이 우수한 열연 소둔강판,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1267667B1 (ko) 열연코일의 형상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다단냉각방법
KR101342759B1 (ko) Baf 열처리를 이용한 플럭스 코드 와이어용 강판 제조 방법
US20180073093A1 (en) Heat-treated steel wire having excellent fatigue-resistance characteristics
KR101999019B1 (ko) 초고강도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657848B1 (ko) 단조성이 우수한 연자성 강재, 연자성 강 부품 및 그들의 제조방법
JP2018059143A (ja) 加工性に優れた高炭素鋼帯の製造方法
JP5890735B2 (ja) 酸洗性と加工性を兼備する熱延鋼板の製造方法
KR20130013563A (ko) 열연강판 제조방법
KR20140118310A (ko) 열연강판 및 이를 이용한 강 제품 제조 방법
KR101412286B1 (ko) 초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190058053A (ko) 성형성이 우수한 냉연강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냉연강판
JP2009019231A (ja) 高強度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