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4143B1 - 창틀 일체형 화분장치 - Google Patents

창틀 일체형 화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4143B1
KR101264143B1 KR20130004743A KR20130004743A KR101264143B1 KR 101264143 B1 KR101264143 B1 KR 101264143B1 KR 20130004743 A KR20130004743 A KR 20130004743A KR 20130004743 A KR20130004743 A KR 20130004743A KR 101264143 B1 KR101264143 B1 KR 101264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indow frame
potted
reservoir
cov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04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현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현창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현창호
Priority to KR20130004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41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4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414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식물로부터 공기청정 효과와 함께 미감을 향상시켜 실내 환경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건축물의 창틀을 따라 커버하는 형상으로 설치되도록 구비되는 중공형 프레임부; 상기 중공형 프레임부의 하단부 내측에 구비되는 화분부; 및 상기 중공형 프레임부의 상부 내측에 구비되는 물공급부를 포함하는 창틀 일체형 화분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창틀 일체형 화분장치{flowerpot apparatus united window frame}
본 발명은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식물로부터 공기청정 효과와 함께 미감을 향상시켜 실내 환경이 개선된 창틀 일체형 화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독주택이나 공동주택 등의 각종 건물벽체에는 공기순환 및 환기를 위한 다양한 형태의 창문이 설치되며, 상기 창문은 건물의 벽체 내측에 형성되는 장방형의 창틀 설치 공간부에 부합되게 고정 설치되는 창틀과 상기 창틀의 내측에 설치되어 개폐작동되는 창문패널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러한 종래의 창틀과 창문패널은 단순히 공기순환 및 환기를 위한 기능 이외에는 별도의 기능이 없어 다양한 용도로 널리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한편, 현대생활에서는 실내에서 관상용으로 화초나 섭취용의 작물을 재배하기 위해 화분이나 화단을 창가나 베란다 및 옥상 등에 설치하여 식물을 재배하고 있다. 이러한 재배활동은 여가생활이나 취미로 행해지고 있으며, 특히 스트레스를 해소함에 따라 정신건강을 유지하고 있다.
더욱이, 도시생활에서 사무실 등에서는 관상뿐만 아니라 실내 공기 정화 및 심리적 안정감을 위해 사무실 내부 특히, 창틀과 같이 햇빛이 잘 드는 공간에 다수개의 화분을 배치하여 재배하게 된다.
그러나, 화분이나 간단히 설치되는 화단은 식물 재배를 위한 충분한 영양분을 포함하지 못해 물과 함께 별도의 영양액이나 비료를 주기적으로 공급해야하고 특히, 물은 하측으로 일부가 배출됨에 따라 배수 도는 저수시설이 동반되어 일정 공간을 사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틀에 별도의 걸이 또는 지지장치를 설치하여 식물을 재배하고 있지만, 진동이나 강풍 등에 상기 걸이 또는 지지장치에 배치된 화분이 하측으로 낙하하거나 공급된 물이 별도의 저수시설 없이 낙하됨에 따라 안전사고 발생은 물론, 낙하된 물에 의해 얼룩이 생기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641806호 (2006.10.26)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식물로부터 공기청정 효과와 함께 미감을 향상시켜 실내 환경이 개선된 창틀 일체형 화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축물의 창틀을 따라 커버하는 형상으로 설치되도록 구비되는 중공형 프레임부; 상기 중공형 프레임부의 하단부 내측에 구비되는 화분부; 및 상기 중공형 프레임부의 상부 내측에 구비되되 상부에 마개에 의해 선택적으로 밀폐되는 물주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물통과, 상기 물통의 하부와 상기 화분부의 하부를 연결하는 배관과, 상기 배관의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중공형 프레임부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배관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는 물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화분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저수공간의 하단부에는 상기 배관의 단부가 연결되어, 물이 배출됨에 따라 상기 물통 내부에 형성되는 진공압과 상기 저수공간에 저수된 물의 대기압이 평형을 이루도록 상기 저수공간은 상기 배관 연결부의 상측으로 물이 저수되기 위한 여유공간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창틀 일체형 화분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여유공간의 상측을 커버하도록 물을 흡습하는 재질의 커버부재와, 물의 수송을 위해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저수공간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물확산심지부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한편, 상기 커버부재는 그의 상부에 식물의 생육기반이 되는 배양물질이 안착되도록 부직포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의 창틀 일체형 화분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물공급부를 통해 상기 화분부로 물이 공급됨에 있어 물통 상부의 진공압과 상기 저수공간 상부에 형성되는 상기 여유공간의 대기압이 평형을 이루되, 식물이 재배되는 상기 화분부에 물이 건조 내지 공급되어 수위가 낮아진 경우 이러한 평형이 깨지면서 물이 상기 물통으로부터 자동으로 공급된 후 일정 수위에서 공급이 차단되어 식물의 재배에 필요한 물의 자동공급을 통해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둘째, 상기 화분부의 하단에 구비되는 상기 저수공간에 저수되는 물은 흡습성 재질로 구비된 복수개의 상기 물확산심지부로 흡습되어 상기 커버부재를 통해 상기 식물이 식재되는 재배공간으로 확산되어 공급되므로, 물의 자동공급을 위해 구비되는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저수공간과 상기 재배공간이 효율적으로 구획되고, 일정한 양의 물이 공급되어 생육환경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셋째, 상기 화분부와 상기 물공급부가 상기 중공형 프레임부 내측으로 형성되는 상기 창틀 일체형 화분장치가 상기 창틀과 상호 연속적인 프로파일을 이룰 수 있도록 형성되어 깔끔하고 일체화된 외관을 형성하여 고품격의 미감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실외로부터 충분한 양의 햇빛과 외부 공기가 순환되어 식물의 재배환경과 사용자의 주거환경이 동시에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틀 일체형 화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틀 일체형 화분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틀 일체형 화분장치를 정면 및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4는 도 3a의 A부분을 나타낸 부분확대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틀 일체형 화분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틀 일체형 화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틀 일체형 화분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이다.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창틀 일체형 화분장치(100)는 건축물의 창틀(50)을 커버하는 형상으로 설치되도록 중공형 프레임부(10)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중공형 프레임부(10)의 하단부 내측에 화분부(20)가 구비되고, 상기 중공형 프레임부(10)의 상측 내부에는 물공급부(3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중공형 프레임부(10)는 건축물의 창문이 설치되는 위치에 상기 창틀(50)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창틀 일체형이란 창틀에 설치됨을 의미하며, 이에 더 나아가 상기 창틀 일체형 화분장치(100)와 상기 창틀(50)이 연속적인 프로파일을 형성하도록 연결되어 일체감을 나타내는 외관을 형성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중공형 프레임부(10)는 한 쌍의 수직틀(11)이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수직틀(11)을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수평틀(12)이 구비되며, 각각의 상기 수직틀(11)과 상기 수평틀(12)을 연결하여 고정하면 격자형의 사각 프레임이 형성되는데, 이 사각프레임의 전면에 유리패널부(51)가 구비된 상기 창틀(50)이 연결된다. 이러한, 상기 중공형 프레임부(10)는 내부가 빈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창틀(50)에 가해질 수 있는 하중이 최소화 되도록 가벼운 금속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공형 프레임부(10)의 내측에 상기 화분부(20) 및 상기 물공급부(30)가 구비되므로 외관이 깔끔하고 고급스러운 미감을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종래의 사무실 등과 같은 건축물 실내에는 내부 공기를 정화하고 인테리어를 개선하여 사용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실내에 다수개의 관상용 화분을 구비하여 재배하고 있다.
이러한 상기 관상용 화분은 햇빛이 잘 공급되는 창문 쪽에 주로 배치되어 재배되는데 창가의 바닥이나 창틀 위에 얹어 재배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창틀 위에 상기 화분을 얹어 재배할 경우, 상기 화분이 상기 창틀 위에 견고하게 고정되지 않아 바닥으로 낙하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화분이 파손되거나 낙하하는 화분에 의해 주변사람이 다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식물이 잘 자랄 수 있도록 상기 화분에 주기적으로 물을 공급해주어야 하는데, 종래의 화분에는 별도의 물공급장치가 없어 물공급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과도한 양의 물이 공급되는 경우 화분 하단부의 배수공으로 물이 흘러나와 주변이 지저분해지고 식물의 뿌리가 썩어 괴사하게 되며, 반대로 공급되는 물의 양이 적을 경우 식물이 말라죽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적용되는 창틀 일체형 화분장치(100)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구조를 제공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틀 일체형 화분장치를 정면 및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a의 A부분을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도 3a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창틀 일체형 화분장치(100)는 상기 화분부(20)와 상기 물공급부(30)를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건축물에 설치되는 상기 창틀(50)을 커버하도록 상기 중공형 프레임부(10)의 하단부 내측에 화분부(20)가 구비되고, 그의 상측 내부에는 물공급부(30)가 구비된 상기 창틀 일체형 화분장치(100)가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창틀(50)에는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상기 유리패널부(51)가 구비됨으로써, 외부로부터 충분한 양의 햇빛이 공급될 뿐만 아니라 상기 유리패널부(51)를 개방하여 실내외 공기가 순환되도록 하여 실내를 환기할 수 있으므로 주거자가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이 가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리패널부(51)는 상기 창틀(50) 내측에서 좌우 또는 상하로 슬라이딩 개폐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외측으로 개방되는 여닫이식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상기 유리패널부(51)의 개폐방법은 상술된 방법 외에도 통상적인 개폐방법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연결방법은 해당분야에서 일반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중공형 프레임부(10)의 하단부는 상면부가 개구되어 구비되는데, 상기 개구된 상면부의 내측에 상기 화분부(20)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화분부(20)는 하단부의 상면부가 개구된 상기 중공형 프레임부(10)에 식물(P)을 직접 식재할 수도 있고, 도면에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식물(P)이 식재된 용기를 하단부(32a)의 상면부가 개구된 상기 중공형 프레임부(10)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창틀 일체형 화분장치(100)는 상기 중공형 프레임부(10)의 하단부가 상기 화분부(20)로 구비되되, 상기 화분장치(100)와 상기 창틀(50)이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상호 연속적인 프로파일을 형성하여 외관상 깔끔하고 일체감 있는 고품격의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상기 유리패널부(51)를 통해 실외에서부터 충분한 양의 햇빛을 공급받을 수 있고, 실내외 공기를 순환하여 내부공기를 정화할 수 있으므로 식물의 생육환경뿐만 아니라 주거환경 또한 개선되어 사용자의 만족감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공형 프레임부(10)의 상부 내측을 따라 상기 물공급부(3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물공급부(30)는 물통(31), 배관(32) 그리고 개폐밸브(33)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물통(31)은 상기 중공형 프레임부(10)의 상부 내측에 삽입되도록 배치되는데, 상기 물통(31)에는 식물(P)에 공급되는 물 또는 양액이 수용된다. 이때, 상기 물통(31)에 상기 물 또는 양액을 보충할 수 있도록 상기 물통(31)의 상부에 마개(35)에 의해 내부가 밀폐되는 물주입구(34)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물통(31)의 일면에는 상기 물통(31)에 수용된 물 또는 양액의 양을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세로방향으로 연장된 슬롯홀 형태의 수위확인부(36)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수위확인부(36)는 상기 물통(31)에 남은 물 또는 양액의 양을 바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보충시기를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수위확인부(36)는 도면에서와 같이 슬롯홀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상부와 하부에 각각 내부가 확인가능한 홀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수위확인부(36)의 형태는 상기 물통(31)에 수용되는 물 또는 양액의 양을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물통(31)이 배치되는 상기 중공형 프레임부(10)의 상부에는 막음판이 구비되어 외부에서 상기 물통(31)이 보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더욱 깔끔한 미감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막음판에도 상기 물통(31)에 형성된 상기 물주입구(34)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마개(35)에 의해 밀폐되는 물주입구와 상기 수위확인부(36)가 대응되는 위치에 수위확인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물통(31)에 수용된 물 도는 양액은 상기 물통(31)의 하부에 연결된 배관(32)을 통해 상기 화분부(20)로 전해지는데, 상기 화분부(20)의 하부에는 상기 배관(32)을 통해 유입되는 물이 저수되는 저수공간(40)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물통(31)에 형성된 상기 물주입구(34)를 통해 물 또는 양액을 보충한 후, 상기 물주입구(34)를 상기 마개(35)로 밀폐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물통(31) 내부에 수용된 물 또는 양액은 상기 배관(32)을 통해 상기 화분부(20) 하부에 형성되는 상기 저수공간(40)으로 이동되어 저수된다.
여기서, 상기 배관(32)을 통해 배출된 물 또는 양액이 상기 저수공간(40)과 연결된 상기 배관의 단부(32a)가 잠길 정도의 수위에 다다르면 상기 물통(31)의 상부에 형성되는 진공압과 상기 저수공간(40)의 내측에 형성되는 대기압이 평형을 이루어 물의 이동이 제한되고, 상기 저수공간(40)에 저수되는 물 또는 양액은 일정 수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저수공간(40)의 상부에는 커버부재(42)가 구비되되, 상기 커버부재(42)는 상기 저수공간(40)에 저수되는 물 또는 양액을 흡습하여 상기 화분부(20)로 확산할 수 있는 부직포 재질을 포함하여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42)에는 상기 저수공간(40)에 저수되는 물 또는 양액이 모세관현상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42)로 이동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물확산심지부(42a)가 구비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커버부재(42)는 복수개의 물확산심지부(42a)가 연결된 평판형 커버에 부직포 재질의 원단을 감싸 형성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바닥부가 여러 겹의 부직포 재질로 형성되는 용기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부직포 재질의 원단이 식물(P)이 식재되는 재배공간의 측면부를 감싸도록 연장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이처럼, 상기 부직포 원단이 상기 재배공간의 측면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면 배양물질의 하부 뿐만 아니라 측면부로도 물 또는 양액이 공급될 수 있으므로 식물(P)의 생육환경이 더욱 개선될 수도 있다.
즉, 상기 화분부(20) 내부에 상기 커버부재(42)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커버부재(42)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물통(31)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저수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상기 저수공간(40)과 상기 커버부재(42) 상부에 식물(P)의 생육기반이 되는 배양물질이 안착되어 식물(P)이 식재될 수 있는 재배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42)는 하부에 저수된 물을 흡습하여 상기 화분부(20)로 확산되고, 상부에 배양물질이 안착되어 식물(P)이 식재될 수 있도록 부직포 재질로 형성되되, 상기 커버부재(42)에 복수개의 상기 물확산심지부(42a)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저수공간(40)에 저수되는 물을 모세관현상에 의해 빨아들여 상기 재배공간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물통(31)으로부터 상기 저수공간(40)으로 이동되어 저수되는 물 또는 양액이 상기 커버부재(42)를 통해 식물(P)이 재배되는 상기 화분부(20)로 공급되어 상기 저수공간(40)에 저수되었던 물의 수위가 낮아진 경우 상기 물통(31) 내부의 진공압과 상기 저수공간(40)의 대기압과의 평형이 깨지면서 물이 상기 물통(31)으로부터 자동으로 공급된 후 일정 수위에서 공급이 차단되어 식물의 재배에 필요한 물의 자동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커버부재(42)를 형성하는 부직포가 하부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저수된 물을 모세관현상에 의해 흡수하여 상기 화분부(20)의 배양물질로 물이 확산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커버부재(42)와 상기 저수공간(40)에 저장된 물 사이에는 여유공간(41)이 형성되는데, 상기 여유공간(41)에 형성되는 대기압과 상기 마개(35)에 의해 밀폐되는 상기 물통(31) 내부의 진공압이 평형을 이룸으로써 상기 저수공간(40)에는 항상 일정한 양의 물이 저수될 수 있게 된다.
상세히, 상기 물확산심지부(42a)를 통해 상기 저수공간(40)에 저수된 물 또는 양액이 일정량 확산되어 상기 커버부재(42)를 통해 상기 화분부(20)로 흡습되면 상기 저수공간(40)의 물 또는 양액의 수위가 낮아지면서 상기 배관의 단부(32a)가 개방되고 이로 인해 상기 물통(31) 내부의 압력이 변경되어 일정량의 물 또는 양액이 상기 저수공간(40)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동한 물 또는 양액이 상기 배관의 단부(32a)로부터 상기 저수공간(40)으로 배출되어 상기 화분부(20) 하부에 일정 수위 이상으로 공급되면, 상기 물통(31) 상부에 형성된 진공압과 상기 여유공간(41)에 형성되는 대기압이 평형을 이루어 더 이상 물이 배출되지 않도록 자동 조절될 수 있다.
즉, 상기 마개(35)에 의해 상기 물통(31)이 밀폐됨으로써 상기 물통(31)에 수용되는 물 또는 양액이 상기 물통(31)의 상부에 형성되는 진공압에 의해 별도의 조작이 없이도 자동으로 상기 저수공간(40)에 일정 수위를 유지하며 저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수공간(40)의 상부에는 복수개의 상기 물확산심지부(42a)가 구비된 부직포 재질의 상기 커버부재(42)가 안착되어 저수되는 물 또는 양액이 상기 화분부(20)로 일정 양을 유지하여 공급될 수 있어 식물의 재배환경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관(32)의 일측으로 상기 개폐밸브(33)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개폐밸브(33)는 상기 물통(31)에 물 또는 양액을 보충시 내부에 남은 소량의 물 또는 양액이 상기 저수공간(40)에 급속히 이동되지 않도록 유로를 선택적으로 차단하여 상기 저수공간(40)에 저수되는 물이 넘치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물통(31)에 수용되는 물 또는 양액을 보충하기 위해 상기 마개(35)를 분리한 후 상기 물주입구(34)를 통해 물 또는 양액을 주입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마개(35)를 분리하게 되면 상기 물통(31)의 상부에 형성되는 진공압이 해제되어 상기 물통(31) 내부에 잔존하는 소량의 물이 상기 저수공간(40)으로 급속히 이동되거나, 보충되는 물 또는 양액이 상기 배관(32)을 통해 상기 저수공간(40)으로 과량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폐밸브(33)를 잠가 유로를 차단함으로써 상기 저수공간(40)으로 물 또는 양액이 공급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므로 상기 화분부(20)로 공급되는 물 또는 양액의 양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평상시에는 상기 물통(31) 내부의 물 또는 양액이 상기 화분부(20)의 하부에 형성된 상기 저수공간(40)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개폐밸드(33)를 개방한 상태로 두어 밀폐된 상기 물통(31) 상부의 진공압과 상기 저수공간(40) 상부에 형성되는 상기 여유공간(41)의 대기압이 평형을 이루어 식물(P)이 재배되는 상기 화분부(20)에 물 또는 양액이 공급되는 양이 자동으로 일정량을 유지하면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통(31)에 물을 공급시에는 상기 배관(32)의 유로를 상기 개폐밸브(33)를 잠가 선택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상기 저수공간(40)으로 유입되는 물 또는 양액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창틀 일체형 화분장치(100)는 상기 물공급부(30)를 통해 상기 화분부(20)로 물이 공급됨에 있어 상기 물통(31) 상부의 진공압과 상기 저수공간(40) 상부에 형성되는 상기 여유공간(41)의 대기압이 평형을 이루되, 식물(P)이 재배되는 상기 화분부(20)에 물이 건조 내지 공급되어 수위가 낮아진 경우 이러한 평형이 깨지면서 물이 상기 물통(31)으로부터 자동으로 공급된 후 일정 수위에서 공급이 차단되어 식물의 재배에 필요한 물의 자동공급을 통해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화분부(20)의 하단에 구비되는 상기 저수공간(40)에 저수되는 물은 흡습성 재질로 구비된 복수개의 상기 물확산심지부(42a)로 흡습되어 상기 커버부재(42)를 통해 상기 식물(P)이 식재되는 재배공간으로 확산되어 공급되므로, 물의 자동공급을 위해 구비되는 상기 커버부재(42)가 상기 저수공간(40)과 상기 재배공간이 효율적으로 구획되고, 일정한 양의 물이 공급되어 생육환경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화분부(20)와 상기 물공급부(30)가 상기 중공형 프레임부(10) 내측으로 형성되는 상기 창틀 일체형 화분장치(100)가 상기 창틀(50)과 상호 연속적인 프로파일을 이룰 수 있도록 형성되어 깔끔하고 일체화된 외관을 형성하여 고품격의 미감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실외로부터 충분한 양의 햇빛과 외부 공기가 순환되어 식물의 재배환경과 사용자의 주거환경이 동시에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창틀 일체형 화분장치(100) 하단부의 개구된 상면부에는 막음팜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막음판은 식물을 재배하지 않을 경우 상기 개구된 상면부를 폐쇄할 수 있으므로, 상기 상면부가 개구된 상기 중공형 프레임부(10)를 별도의 부재로 교체하지 않더라도 사용이 가능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중공형 프레임부 11 : 수직틀
12 : 수평틀 20 : 화분부
30 : 물공급부 31 : 물통
32 : 배관 32a : 배관의 단부
33 : 개폐밸브 34 : 물주입구
35 : 마개 36 : 수위확인부
40 : 저수공간 41 : 여유공간
42 : 커버부재 42a : 물확산심지부
50 : 창틀 51 : 유리패널부
100 : 창틀 일체형 화분장치

Claims (5)

  1. 건축물의 창틀을 따라 커버하는 형상으로 설치되도록 구비되는 중공형 프레임부;
    상기 중공형 프레임부의 하단부 내측에 구비되는 화분부; 및
    상기 중공형 프레임부의 상부 내측에 구비되되 상부에 마개에 의해 선택적으로 밀폐되는 물주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물통과, 상기 물통의 하부와 상기 화분부의 하부를 연결하는 배관과, 상기 배관의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중공형 프레임부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배관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는 물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화분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저수공간의 하단부에는 상기 배관의 단부가 연결되어, 물이 배출됨에 따라 상기 물통 내부에 형성되는 진공압과 상기 저수공간에 저수된 물의 대기압이 평형을 이루도록 상기 저수공간은 상기 배관 연결부의 상측으로 물이 저수되기 위한 여유공간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창틀 일체형 화분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유공간의 상측을 커버하도록 물을 흡습하는 재질의 커버부재와,
    물의 수송을 위해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저수공간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물확산심지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일체형 화분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그의 상부에 식물의 생육기반이 되는 배양물질이 안착되도록 부직포 재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일체형 화분장치.
KR20130004743A 2013-01-16 2013-01-16 창틀 일체형 화분장치 KR101264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04743A KR101264143B1 (ko) 2013-01-16 2013-01-16 창틀 일체형 화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04743A KR101264143B1 (ko) 2013-01-16 2013-01-16 창틀 일체형 화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4143B1 true KR101264143B1 (ko) 2013-05-14

Family

ID=48666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04743A KR101264143B1 (ko) 2013-01-16 2013-01-16 창틀 일체형 화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414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66441A (zh) * 2016-03-24 2016-07-20 翁正祥 一种防盗窗式植物空气净化器
CN107152725A (zh) * 2016-03-03 2017-09-12 翁正祥 一种花盆式空气消毒净化器
KR20200138555A (ko) 2019-05-31 2020-12-10 농어촌개발원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실내설치 가능한 식물재배장치
KR20220051537A (ko) * 2020-10-19 2022-04-26 홍지애 원예 화분을 활용한 조경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6188B1 (ko) 2011-07-27 2012-03-22 송하견 물받침이 없는 화분
KR101216583B1 (ko) * 2010-03-30 2012-12-31 주식회사 윤토 관수장치가 구비된 액자화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6583B1 (ko) * 2010-03-30 2012-12-31 주식회사 윤토 관수장치가 구비된 액자화분
KR101126188B1 (ko) 2011-07-27 2012-03-22 송하견 물받침이 없는 화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52725A (zh) * 2016-03-03 2017-09-12 翁正祥 一种花盆式空气消毒净化器
CN105766441A (zh) * 2016-03-24 2016-07-20 翁正祥 一种防盗窗式植物空气净化器
KR20200138555A (ko) 2019-05-31 2020-12-10 농어촌개발원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실내설치 가능한 식물재배장치
KR20220051537A (ko) * 2020-10-19 2022-04-26 홍지애 원예 화분을 활용한 조경 장치
KR102460818B1 (ko) * 2020-10-19 2022-11-02 홍지애 원예 화분을 활용한 조경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9614B1 (ko) 벽면식재장치
US8495833B2 (en) Live plant box
KR101400375B1 (ko) 식물재배장치
US10104843B2 (en) Self-watering portable greenhouse
KR101264143B1 (ko) 창틀 일체형 화분장치
KR101290642B1 (ko) 화분 일체형 커튼월장치
KR101176434B1 (ko) 어항을 구비한 화분
KR101126188B1 (ko) 물받침이 없는 화분
KR100722371B1 (ko) 화분의 물공급장치
KR100943824B1 (ko) 다목적 화분
KR101037162B1 (ko) 화분장치
KR101592088B1 (ko) 물공급장치를 구비한 심지관수식 식물재배기
KR101899720B1 (ko) 복사열 차단 이중구조 식물재배화분
KR101280123B1 (ko) 식물재배기 겸용 화분 받침대
KR20100129974A (ko) 수경재배용 화분유닛 및 이를 이용하는 모듈형 화분
KR20070000806U (ko) 액자화분
KR102377902B1 (ko) 자동 관수 화분
KR102083841B1 (ko) 실내 장식용 화분
KR101195578B1 (ko) 양액 흡수식 전달장치가 구비된 화분장치
KR200281182Y1 (ko) 저면관수를 이용한 식물재배 용기
KR20130007485U (ko) 액자화분
KR102506275B1 (ko) 급수장치가 구비된 다목적 화분
CN204206832U (zh) 一种室内碳化软木立式植物栽培装置
JP2014030377A (ja) 栽培装置
CN213548523U (zh) 一种景观植物用栽种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