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0682B1 - 다점 조임 방식 로킹 장치 - Google Patents

다점 조임 방식 로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0682B1
KR101260682B1 KR1020100017929A KR20100017929A KR101260682B1 KR 101260682 B1 KR101260682 B1 KR 101260682B1 KR 1020100017929 A KR1020100017929 A KR 1020100017929A KR 20100017929 A KR20100017929 A KR 20100017929A KR 101260682 B1 KR101260682 B1 KR 101260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door
locking
lev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7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8334A (ko
Inventor
시로 세가와
Original Assignee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98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8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0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0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14Arrangement of several locks or locks with several bolts, e.g. arranged one behind the other
    • E05B63/146Arrangement of several locks or locks with several bolts, e.g. arranged one behind the other locks with two or more bolts, each bolt itself being a tumbl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2Striking-plates; Keepers; Bolt staples; Escutcheons
    • E05B15/0205Striking-plates, keepers, stap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도어의 핸들(12)을 회동조작함으로써, 이것에 연동하여 로킹 바(25)를 도어의 배면의 측부를 따라 구동하고, 도어의 배면 각 개소에 배치한 각 케이스(22) 내에서 슬라이더(23)를 슬라이드 시켜, 로킹 레버(24)의 일방의 회동단을 누름 안내함과 아울러, 타방의 회동단을 케이싱측의 받이부(321)를 향하여 누름 회동하여 압접한다. 핸들(12)의 회동조작에 의해, 복수의 로킹 레버를 케이싱측의 받이부에 적극적으로 눌러 케이싱을 완전히 밀폐한다.

Description

다점 조임 방식 로킹 장치{MULTI-POINT TIGHT LOCKING DEVICE}
본 발명은 다점 조임 방식 로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기기기, 전자기기, 그 밖의 각종 기기를 수납하는 래크 등에 사용하는 다점 조임 방식 로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전기기기, 전자기기 등을 수용하는 래크는 도어, 케이싱의 좌우 어느 일방의 측부에 힌지 부재가 장착되어, 도어가 케이싱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부착된다. 도어의 타방의 측부에는, 정면측에 핸들이 장착됨과 아울러, 배면측에 로킹 레버가 핸들과 연동하여 회동 가능하게 배열 설치된다. 이와 같이 하여 도어는 힌지 부재를 통하여 케이싱의 개구면을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고, 도어를 닫았을 때, 핸들을 돌려 로킹 레버를 케이싱측의 받이부에 걸어 맞추어지게 해서, 도어와 케이싱 사이에 개재된 패킹을 조여 압축하게 되어 있다. 또 이 종류의 로킹 핸들에서는, 도어측의 로킹 레버와 케이싱측의 받이부와의 걸어맞춤을 충분하게 해서 패킹을 필요 충분하게 압축하기 위하여, 다점 조임 방식을 채용한 것이 있다. 이 방식에서는, 도어의 배면의 복수 개소에서, 로킹 바를 통하여, 케이싱측의 받이부에 걸음 및 걸음해제 가능한 로킹 레버가 설치된다. 이들 로킹 레버는 핸들에 작동 연결되고, 핸들의 회동조작에 의해, 로킹 바와 함께 모든 로킹 레버가 케이싱측의 받이부에 대하여 걸음 및 걸음해제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 다점 조임에 의해, 도어와 케이싱 사이에 개재된 패킹이 도어의 배면에서 필요 충분하게 압축변형되므로, 회전조작점이 1개소이지만, 안정한 높은 밀폐성능으로 도어를 조일 수 있다. 이러한 도어용 로킹 핸들 및 다점 조임 방식 로킹 장치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제6-336864호 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다.
일본특허공개제6-336864호공보
그렇지만, 상기 종래의 다점 조임 방식 로킹 장치에서는, 핸들의 회동조작에 의해 복수의 로킹 레버를 도어의 배면과 대략 평행한 면상에서 이동하기 때문에, 각 로킹 레버를 케이싱측의 받이부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눌리게 하여 케이싱을 완전히 밀폐하는 것이 어려워, 도어와 케이싱에 고도의 밀폐성이 요구되는 경우에 대응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이 종류의 다점 조임 방식 로킹 장치에서, 복수의 로킹 레버를 케이싱측의 받이부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눌리게 하여 케이싱을 완전히 밀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싱을 폐쇄하는 도어의 회동측의 측부에 부착되고, 도어의 정면측에 핸들을 배치한 핸들 장치와, 도어의 배면에서, 회동측의 측부를 따른 복수 개소, 또는 이 측부 및 이 측부에 이웃하는 단부를 따른 복수 개소에 배치되는 복수의 로킹 부재와, 이 복수의 로킹 부재와 상기 핸들 장치를 작동 연결하는 로킹 바를 구비하는 다점 조임 방식 로킹 장치로서, 핸들의 조작에 연동하여, 상기 로킹 바를 도어의 배면의 상기 측부, 또는 상기 측부 및 상기 단부를 따라 진퇴구동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로킹 부재를 조작하는 형식의 다점 조임 방식 로킹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로킹 부재는, 도어의 배면에서, 회동측의 측부, 또는 이 측부 및 상하 단부에, 이 각 부가 뻗는 방향으로 길이방향 양단을 향하게 하여 설치 고정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이 케이스의 일단과 타단 사이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부에 이 일측부와 평행한 축에 의해 피벗식 지지되고, 일방의 회동단이 상기 케이스 내측을 향하고, 타방의 회동단이 케이싱측의 받이부를 향하여,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는 로킹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더에는 상기 로킹 바가 연결되고, 상기 핸들의 조작에 의해, 상기 로킹 바를 통하여 상기 슬라이더를 슬라이드 시키고, 이 슬라이더와 상기 로킹 레버의 일방의 회동단의 걸어맞춤에 의해 상기 로킹 레버를 회동 안내하여, 타방의 회동단을 케이싱측의 받이부에 압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점 조임 방식 로킹 장치가 제공된다.
그리고, 이 로킹 장치는, 또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상기 슬라이더는 선단에 경사면 형상의 가이드면을 갖고, 상기 케이스는, 로킹 레버가 피벗식 지지되는 일측부와는 반대측의 측면에,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구멍을 갖고, 상기 로킹 바는 이 가이드 구멍을 통하여 상기 슬라이더에 연결된다.
(2) 상기 로킹 레버를 통상의 상태에서 케이스 내측을 향하여 회동 가압하는 스프링 수단을 구비한다.
(3) 도어의 배면에서 회동측의 측부에 설치 고정되고, 상기 로킹 바의 주위를 둘러쌀 수 있는 단면 U자형의 홈을 갖고, 상기 로킹 바의 진퇴방향을 안내하는 로킹 바 가이드를 구비한다.
(4) 상기 로킹 부재의 케이스, 슬라이더, 로킹 레버, 및 로킹 바는 각각, 도어의 좌우측부의 어디에도 선택적으로 부착 가능하게, 좌우 대칭으로 또는 좌우방향을 반전하여 사용 가능하게 형성된다.
(5) 상기 핸들 장치의 핸들이, 도어의 정면측부에 이 도어의 정면과 평행한 축에 의해 피벗식 지지되고, 이 도어의 정면에 대하여 직각인 면 내에서 소정의 도복위치와 소정의 기립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며, 상기 핸들 장치가 또한, 상기 핸들의 축에 의해 피벗식 지지되고, 도어의 배면측으로 뻗고, 도어의 배면측과 정면측 사이를 상기 핸들과 일체로 회동 가능한 캠 부재와, 이 캠 부재에 축지지되고, 이 캠 부재의 회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고, 도어의 배면측부를 따라 직선적으로 진퇴 가능한 슬라이드 바를 구비하고, 상기 로킹 바가 이 슬라이드 바에 연결된다.
(6) 상기 핸들 장치가 또한, 상기 핸들을 상기 도복위치에 유지하는 스토퍼와, 도어의 정면측부에 상기 핸들의 축에 의해 피벗식 지지되고, 도어의 배면측으로 뻗고, 도어의 배면측과 정면측 사이를 상기 핸들과 일체로 회동 가능한 작동 레버와, 도어의 배면측부에 상기 핸들의 축에 대하여 직각의 축에 의해 피벗식 지지되고, 일방의 회동단이 상기 작동 레버를 향하고, 타방의 회동단이 케이싱측의 받이부를 향하여, 회동 가능한 핸들측 로킹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핸들을 도복위치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작동 레버를 도어의 정면측으로부터 배면측으로 회동하여, 상기 핸들측 로킹 레버의 일방의 회동단을 눌러서, 상기 핸들측 로킹 레버 전체를 회동시켜, 타방의 회동단을 케이싱측의 받이부에 압접한다.
(7) 상기 핸들 장치가 또한, 도어의 정면측부에 절결 형성되는 핸들 부착구에 끼워 넣어 고정 가능하게 형성되고, 도어의 정면측과 배면측을 연통하는 개구부를 갖는 본체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핸들은, 상기 본체 케이스에 끼워맞춤 가능하게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축에 의해 상기 본체 케이스에 피벗식 지지되고, 상기 작동 레버는, 상기 개구부 내에서 도어의 배면측과 정면측 사이를 상기 핸들과 일체로 회동 가능하고, 상기 핸들측 로킹 레버는, 대략 L자형의 단면 형상을 갖고, 도어의 배면측에 배치되는 본체 케이스의 일측부에서, 상기 핸들의 축에 대하여 직각인 축에 의해, 상기 단면 형상의 대략 중간부가 피벗식 지지되고, 일방의 회동단이 상기 작동 레버를 향하고, 타방의 회동단이 케이싱측의 받이부를 향하여,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고, 통상의 상태에서 이 일방의 회동단이 상기 작동 레버를 누를 수 있게 스프링 수단에 의해 회동 가압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핸들의 회동단에 걸음 및 걸음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케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캠 부재는 상기 핸들의 축에 의해 상기 본체 케이스에 피벗식 지지되어, 상기 개구부 내에서 핸들과 일체로 회동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점 조임 방식 로킹 장치에서는, 상기의 구성에 의해, 도어의 핸들의 회동조작에 연동하여, 로킹 바를 도어의 배면의 측부를 따라 구동하고, 도어의 배면 복수 개소에 배치한 케이스 내에서 슬라이더를 슬라이드 시킨다. 이 슬라이더와 로킹 레버의 일방의 회동단의 걸어맞춤에 의해 로킹 레버 전체를 회동 안내하고, 타방의 회동단을 케이싱측의 받이부에 대하여 압접한다. 따라서, 도어의 배면 복수 개소에서, 로킹 레버를 케이싱측의 받이부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눌러서, 케이싱을 완전 밀폐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다점 조임 방식 로킹 장치를 도시하는 일부 생략 배면도, 도 1(b)는 동 로킹 장치에 채용되는 도어용 로킹 핸들의 평면도, 도 1(c)는 동 로킹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a)는 동 로킹 장치의 평면 단면도, 도 2(b)는 동 로킹 장치의 일부 생략 배면 단면도이다.
도 3(a)는 동 로킹 장치의 단말 로킹 부재(비작동시)의 측면 단면도, 도 3(b)는 동 로킹 장치의 단말 로킹 부재(작동시)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4는 동 로킹 장치의 일부 단면 배면도이다.
도 5(a)는 동 로킹 장치에 채용할 수 있는 도어용 로킹 핸들이 장착되는 도어의 핸들 부착구 및 케이싱측의 받이부를 도시하는 평면 단면도, 도 5(b)는 동 핸들 부착구의 배면도이다.
도 6은 동 로킹 장치에 채용할 수 있는 도어용 로킹 핸들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7은 동 도어용 로킹 핸들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동 도어용 로킹 핸들의 배면도이다.
도 9는 동 도어용 로킹 핸들의 측면도이다.
도 10(a)는 동 도어용 로킹 핸들의 핸들이 소정의 위치에 기립된 상태의 평면도, 도 10(b)는 도어용 로킹 핸들의 핸들이 소정의 위치에 도복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전기기기나 전자기기 등을 수납하는 래크로의 부착을 예시하여, 본 발명의 다점 조임 방식 로킹 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래크(3)의 케이싱(31)은 정면에 개구(310)를 갖고, 개구(310)를 규정하는 가장자리부(312)와 케이싱 측부(311)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고, 이 측부(311)이 홈형으로 형성된다. 개구(310)의 가장자리부(312)의 정면에는 패킹(313)이 부설된다. 도어(32)는 케이싱(31)의 정면 전체를 덮고, 도어(32)의 회동측의 측부(321)와 케이싱(31)의 홈형의 측부(311) 사이에 배수부(33)가 형성된다.
다점 조임 방식 로킹 장치(2)는, 도어(32)의 배면에서 회동측의 측부의 복수 개소에 단말 로킹 부재(21)가 배치되어, 이 측부를 따라 배치되는 로킹 바(25)에 연결되고, 케이싱(31)의 개구의 가장자리부(312)를 받이부로 하여, 로킹 바(25)의 진퇴운동에 의해 복수의 단말 로킹 부재(21)를 걸음 및 걸음해제 하는 형식이다. 이 로킹 바(25)는 도어(32)의 회동측의 측부에 부착되는 도어용 로킹 핸들(1)에 작동 연결되어, 핸들(12)의 조작에 연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 로킹 장치(2)의 경우, 도어용 로킹 핸들(1)에 의한 조임과 아울러 3점 조임 방식이 채용되고, 도어용 로킹 핸들(1)과, 2개의 단말 로킹 부재(21, 21)와, 도어용 로킹 핸들(1)에 작동 연결되어 이들 단말 로킹 부재(21, 21)를 구동하는 1개의 로킹 바(25)를 구비한다.
2개의 단말 로킹 부재(21, 21)는 동일하며, 각각 단말 케이스(22), 단말 슬라이더(23)(도 2 참조), 단말 로킹 레버(24)을 구비하고 구성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말 케이스(22)는 베이스(221)와 케이스 본체(225)로 이루어진다. 베이스(221)는 상하방향으로 가늘고 긴 평판 형상이고, 그 상하 양단에 나사 삽입통과 구멍이 형성되어, 도어(32)의 배면의 회동측의 측부에 나사 고정 가능하다. 또, 이 베이스(221)의 편면 일측부에는, 후술하는 단말 로킹 레버(24)의 축 삽입통과부(243)를 지지하는 단면 원호 형상의 유지부가 돌출 형성되고, 이 유지부의 상하 양단에는, 축 삽입통과부(243)에 삽입 통과되는 축(240)을 지지하는 단면 원호 형상의 축 유지부가 돌출 형성된다. 케이스 본체(225)는 상하방향으로 가늘고 긴 상자형이며, 베이스(221) 위에 피착되고, 사이에 단말 슬라이더(23)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슬라이드 공간을 형성한다. 이 케이스 본체(225)의 베이스(221)와의 대향면은 전면 개방되고, 일측면은 두껍게 되어 있다. 베이스 대향면과는 반대측의 면의 중간부로부터 두께벽에 걸쳐서 연속해서 개구부(226)가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절결되고, 단말 로킹 레버(24)가 끼워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두께벽에는, 개구부(226)의 상하 양측에, 베이스(221)의 축 유지부와 함께 축(240)을 지지 가능한 홈(227, 227)이 형성된다. 이 두께벽과는 반대측의 측벽에는, 단말 슬라이더(23)를 이동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구멍(228)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이 케이스 본체(225)의 상하 양단부의 중앙에, 베이스(221)의 상하 양단부의 나사 삽입통과 구멍에 연통하는 나사 삽입통과 구멍(229, 229)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단말 케이스(22)는 도어(32)의 좌우측부의 어디에도 선택적으로 부착 가능하게, 좌우방향을 반전하여 사용 가능하게 형성된다.
단말 슬라이더(23)는 단말 케이스(22)의 상하방향 전체 길이의 절반정도보다도 짧은 길이이며, 단말 케이스(22)의 슬라이드 공간 내에 끼워맞춤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 경우, 단말 슬라이더(23)의 외주면은 슬라이드 공간 내의 각 면에 접촉 가능하게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특히 베이스(221)에 대한 접촉면은 중앙부분이 오목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 단말 슬라이더(23)의 상면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221)측이 상방에서 베이스(221)와는 반대측이 하방이 되는 경사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단말 로킹 레버(24)의 회동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면(232)을 이루고, 하면은 케이스 본체(225)의 하면에 면접촉 가능하게 평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 단말 슬라이더(23)의 양측면에, 보다 상세하게는, 상하방향 중앙보다도 조금 상방에 접근한 위치에, 원통 형상의 핀 삽입통과 구멍(23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슬라이더(23)는 도어(32)의 좌우측부의 어디에도 선택적으로 부착 가능하게,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다. 이 단말 슬라이더(23)는 케이스 본체(225) 내에 전술한 바와 같은 방향으로 하여, 케이스 본체(225)의 하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또는 그 반대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된다.
단말 로킹 레버(24)는, 도 1(c), 도 2 (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L자형의 단면 형상을 갖고, 단말 케이스(22)의 일측부에서, 단면 형상의 대략 중간부가 단말 로킹 부재(21)의 배열 방향과 평행한 축(240)에 의해 피벗식 지지되고, 일방의 회동단이 단말 슬라이더(23)를 향하고, 타방의 회동단이 케이싱측의 받이부(312)를 향하여,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다. 또 단말 로킹 레버(24)는, 통상의 상태에서 일방의 회동단이 단말 슬라이더(23)를 누르도록, 스프링 수단(244)에 의해 회동 가압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 로킹 레버(24)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225)의 개구부(226) 내에 배치 가능한 사다리꼴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 피누름부(241)와, 이 피누름부(241)의 일측부로부터 대략 90도 방향으로 돌아들어가, 단말 케이스(22)의 일측면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볼록 형상의 누름부(242)와, 이 대략 90도를 이루는 피누름부(241)와 누름부(242)와의 이행부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축(240)을 삽입통과 가능한 관통구멍을 갖는 한 쌍의 축 삽입통과부(243, 243)로 이루어지고, 전체가 대략 L자형의 단면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단말 로킹 레버(24)는 도어(32)의 좌우측부의 어디에도 선택적으로 부착 가능하게, 좌우방향을 반전하여 사용 가능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하축 삽입통과부(243, 243)의 관통구멍에 축(240)이 삽입통과되어, 단말 로킹 레버(24)가 케이스 본체(225)의 개구부(226)에 끼워 넣어지고, 축(240)이 본체 케이스(225)의 홈(227, 227)과, 베이스(221)의 축 유지부 사이에 지지된다. 이것에 의해, 단말 로킹 레버(24)는 피누름부(241)가 개구부(226) 내의 소정의 위치를 향하고, 또 누름부(242)가 케이스 본체(225)의 일측면의 외측으로 돌아들어가 소정의 위치를 향하여, 축(240)의 주위를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다. 또 이 축(240)의 주위에 미리 둘러 감겨진 코일 스프링(244)에 의해, 단말 로킹 레버(24)는 통상의 상태에서, 피누름부(241)가 개구부(226) 내의 소정의 위치를 향하여 회동 가압된다.
이와 같이 하여 케이스 본체(225)는 베이스(221) 위에 씌워 부착되고, 사이에 슬라이드 공간을 형성하고, 단말 슬라이더(23)가 케이스 본체(225)의 하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또는 그 반대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슬라이드 공간 내에 배치된다. 단말 로킹 레버(24)는, 축 삽입통과부(243, 243)를 베이스(221)의 유지부에 의해, 축(240)이 케이스 본체(225)의 홈(227, 227)과 베이스(221)의 축 유지부 사이에 각각 지지되고, 피누름부(241)가 케이스 본체(225) 내측을 향하고, 누름부(242)가 케이스 본체(225) 외측을 향하여,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다. 단말 슬라이더(23)의 상하방향의 진퇴운동에 의해, 피누름부(241)의 단부가 단말 슬라이더의 상면의 가이드면(232)에 걸어맞춤 안내되어, 누름부(242)가 케이스 본체(225) 외측 또는 케이스 본체(225) 내측을 향해서 회동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킹 바(25)는 도어(32)의 배면의 회동측의 측부를 따라 배치가능하고 또한 2개의 단말 로킹 부재(21)를 도어 로킹 핸들(1)에 작동 연결 가능한 길이를 갖는 가늘고 긴 바이며, 그 중간 소정의 위치에 도어용 로킹 핸들(1)의 슬라이드 바(17)에 대한 연결부가 설치된다. 이 로킹 바(25)에는 플랫 바가 채용되고, 그 중간 소정의 위치에 연결부를 이루는 핀(251)이 접속 플레이트(252)를 통하여 고착된다. 또, 이 로킹 바(25)의 양단부에는 일방의 면에 핀(253)이 돌출설치되고, 타방의 면에 보호 패드(254)가 부착된다. 이 경우, 핀(253)은 단말 슬라이더(23)의 핀 삽입통과 구멍(231)에 삽입 가능한 원기둥 형상의 핀이며, 로킹 바(25)에 형성한 부착구멍에 코킹 고정된다. 보호 패드(254)는 합성수지 재료에 의해 대략 장방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일방의 면에 부착축이 일체로 형성되고, 로킹 바(25)에 형성한 부착구멍에 이 부착축이 압입되어 고정된다. 이와 같이 로킹 바(25)는, 도어(32)의 좌우측부의 어디에도 선택적으로 부착 가능하게, 좌우방향을 반전하여 사용 가능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로킹 바(25) 양단의 각 핀(253)을 단말 케이스(22) 측면의 가이드 구멍(228)을 통하여 단말 슬라이더(23)의 핀 삽입통과 구멍(231)에 꽂아넣음으로써, 로킹 바(25)가 2개의 단말 로킹 부재(21, 21)에 작동 연결된다. 또 이 로킹 바(25)의 설치시에, 로킹 바 가이드(26)을 채용해도 된다. 로킹 바 가이드(26)는 로킹 바(25)의 주위를 둘러쌀 수 있는 홈 형상이며, 로킹 바(25)의 소정 방향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도어(32)의 배면의 회동측의 측부에 설치된다. 이 경우, 로킹 바 가이드(26)는 도어(32)의 배면에 설치 가능한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대략 중앙에 부착구멍을 갖는 고정부(261)와, 이 고정부(261)의 일단으로부터 U자형으로 뻗는 가이드부(262)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로킹 바 가이드(26)는 도어(32)의 좌우측부의 어디에도 선택적으로 부착 가능하게, 좌우방향을 반전하여 사용 가능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이 로킹 바 가이드(26)는 가이드부(262)를 로킹 바(25)의 배치상에 맞추어 도어(32)의 배면에 설치 고정되고, 로킹 바(25)의 주위를 둘러싸고, 로킹 바(25)의 진퇴방향을 안내한다.
이와 같이 로킹 장치(2)에서는, 2개의 단말 로킹 부재(21, 21)가 도어(32)의 배면에서 회동측의 측부의 상하 2개소에 설치 고정되고, 로킹 바(25)가 핀(253)을 통하여 작동 연결됨과 아울러, 이 로킹 바(25)가, 핀(251)을 통하여, 후술하는 도어용 로킹 핸들(1)의 슬라이드 바(17)에 작동 연결된다. 그리고, 도어(32)의 정면에 부착된 핸들(12)의 조작에 연동하여, 로킹 바(25)를 도어(32)의 회동단을 따라 상하로 진퇴구동함으로써, 단말 로킹 부재(21, 21)의 단말 로킹 바(24, 24)를 케이싱측의 받이부(312)에 걸어맞춤·이탈하게 되어 있다.
도 1(a), (b)에, 이 로킹 장치(2)에 사용할 수 있는 핸들 장치의 예로서 도어용 로킹 핸들(1)을 도시한다. 이 도어용 로킹 핸들(1)은 본체 케이스(11), 핸들(12), 작동 레버(13), 로킹 레버(14), 스토퍼(15), 캠 부재(16), 슬라이더(17) 등을 구비하고, 도어(32)의 회동측의 측부(321)의 핸들 부착구(322)에 부착되고, 케이싱(31)의 내부공간에 대하여 아웃사이드에 배치되는 아웃사이드 로킹 핸들로서 구성된다. 이 도어용 로킹 핸들(1)은, 다점 조임 방식 로킹 장치(2)에 작동 연결되고, 핸들(12)의 회동조작에 의해, 로킹 레버(14)와 함께 로킹 장치(2)의 각 단말 로킹 부재(21, 21)의 단말 로킹 바(24)가 케이싱측의 받이부를 이루는 개구(310)의 가장자리부(312)에 걸음 및 걸음해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도어용 로킹 핸들(1)에서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어(32)의 회동측의 측부(321)에서, 상하방향 중간의 소정의 위치에, 핸들 부착구(322)가 상하방향으로 긴 장방형 형상으로 관통하고, 아울러 그 상하 양단 중앙 부근에 부착구멍(323, 323)이 1개씩 천공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11)는 도어(32)의 핸들 부착구(322)에 끼워 넣어 고정 가능하게 형성되고, 도어(32)의 정면측과 배면측을 연통하는 개구부(110)를 가지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 본체 케이스(11)는, 도어(32)의 핸들 부착구(322)에 끼워맞춤 가능한 대략 장방형의 프레임형으로 형성되는 매입부(埋入部)(111)와, 이 매입부(111)에 연속해서 핸들 부착구(322)의 도어 정면측 주위에 피착 가능하게 형성된 피착부(112)로 이루어진다. 피착부(112)는 매입부(111)보다도 조금 큰 대략 장방형의 프레임형으로 형성된다. 이들 매입부(111)와 피착부(112)를 관통하는 개구부(110)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110)의 하방에 통 형상의 구멍(119)이 개구부(110)와 대략 평행하게 형성된다. 개구부(110) 내 상부의 일방의 측에는 축·핀 홀더(113)가 배치되어, 매입부(111) 상부의 일방의 측에 나사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축·핀 홀더(113)는, 하면에 축용의 구멍이 형성되고, 일방의 측면에 핀용의 구멍이 형성되고, 개구부(110) 내의 상부의 일방의 측에, 핀용의 구멍을 타방의 측을 향한 상태에서 배치되고, 매입부(111)에 부착된다. 또한 이 축·핀 홀더(113)는, 개구부(110) 내의 상부에서 타방의 측에, 좌우방향을 반전한 방향으로 매입부(111)에 부착할 수도 있다. 또 개구부(110) 내에는, 매입부(111)의 상하방향 중간부에 홈 형상부(114)가 형성되고, 이 홈 형상부(114) 내에 축·슬라이드 바 홀더(115)가 끼워 맞추어지고, 나사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축·슬라이드 바 홀더(115)의 상면과 하면에는, 일방의 측에, 축·핀 홀더(113)의 축용의 구멍에 대향하는 축용의 구멍이 관통 형성되고, 타방의 측에, 슬라이드 바용의 구멍이 관통 형성된다. 또한 이 축·슬라이드 바 홀더(115)는 좌우방향을 반전하여 홈 형상부(114)에 부착할 수도 있다. 매입부(111)의 상부에는, 축·슬라이드 바 홀더(115)의 슬라이드 바용의 구멍에 대향하여, 슬라이드 바의 삽입통과 구멍(116)이 관통 형성되고, 매입부(111)의 양측면에는, 홈 형상부(114)의 바로 아래에 축 삽입통과 구멍(117, 117)이 형성된다. 또 피착부(112)의 양측면 상부에는, 축·핀 홀더(113)의 조금 아래 근처에 대응하는 위치에, 축 부착구멍(118, 118)이 형성된다. 개구부(110)의 하방, 즉 본체 케이스(11)의 하부에는, 피착부(112)의 정면측에 개구하는 구멍(119)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구멍(119)의 매입부(111)측의 단부에는 개구부(110)에 연통하는 홈(119P)이 형성된다. 또한 이 본체 케이스(11)는 피착부(112)측의 상단 및 하단이 상하방향으로 돌출되고, 핸들 부착구(322) 상하의 각 부착구멍(323, 323)에 연통하는 나사구멍(11U, 11D)이 각각 배면측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체 케이스(11)는 도어(32)의 좌우측부의 어디에도 선택적으로 부착 가능하게,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다.
핸들(12)은 본체 케이스(11)의 개구부(110) 내에 끼워맞춤 가능하게 형성되고, 일단이 도어(32)의 정면과 평행한 축(121)에 의해 본체 케이스(11)에 피벗식 지지되어, 도어(32)의 정면에 대하여 직각인 면 내에서 소정의 도복위치와 소정의 기립위치 사이를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다. 핸들(12)은 본체 케이스(11)의 피착부(112)에 축(121)에 의해 피벗식 지지되고, 핸들(12)의 회동단(하단)에는, 후술하는 스토퍼(15)에 걸어맞춤 가능한 걸음 단차부(122)가 형성됨과 아울러, 이 걸음 단차부(122)의 내측에는, 스토퍼(15)를 위에서 눌러 하방향으로 회동 변위시키기 위한 경사진 가이드부(123)가 형성된다. 작동 레버(13)는, 핸들(12)과 동축 상에 피벗식 지지되고, 도어(32)의 배면측으로 뻗고, 본체 케이스(11)의 개구부(110) 내에서 도어(32)의 배면측과 정면측 사이를 핸들(12)과 일체로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다. 이 경우, 작동 레버(13)는 핸들(12)의 배면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작동 레버(13)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 또는 대략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핸들(12)의 배면으로부터 돌출된다. 그리고, 이 핸들(12) 상단부이며 작동 레버(13) 상단부와 겹치는 위치에, 축 삽입통과 구멍(124)이 형성된다. 또 작동 레버(13)에는, 축 삽입통과 구멍(124)의 하방 위치, 돌출단의 위치, 작동 레버(13)의 하단부와 핸들(12)이 서로 겹치는 위치에 각각, 후술하는 캠 부재(16)를 결합하기 위한 3개의 부착구멍(135, 135, 135)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작동 레버(13) 부착의 핸들(12)은 도어(32)의 좌우측부의 어디에도 선택적으로 부착 가능하게,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작동 레버(13)는 본체 케이스(11)의 개구부(110) 상부 내에 배치되고, 핸들(12)이 본체 케이스(11)의 피착부(112)의 상부로부터 중간부에 걸쳐, 개구부(110) 내에 끼워 넣어지고, 피착부(112)의 축 부착구멍(118)과 핸들(12) 상부의 축 삽입통과 구멍(124) 사이에 축(121)이 삽입통과된다. 이 축(121) 위에는 코일 스프링(도시생략)이 둘러 감겨지며, 그 일단이 본체 케이스(11)의 배면에 걸어지고, 타단이 핸들(12)의 배면에 걸어진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핸들(12)은 본체 케이스(11)의 개구부(110) 내에 끼워 넣어지는 소정의 도복위치와, 이 위치로부터 도어 정면에 대하여 적당한 각도의 소정의 기립위치와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또한 통상의 상태에서 핸들(12)이 본체 케이스(11)의 개구부(110)로부터 기립위치를 향하여 회동 가압되어 부착된다. 또한, 핸들(12)의 코일 스프링은 통상의 상태에서 핸들(12)을 기립위치에 유지하는 점에서, 스토퍼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핸들(12)과 일체인 작동 레버(13)는, 본체 케이스(11)의 개구부(110) 내에서, 작동 레버(13)의 돌출단이 매입부(111)측 소정의 위치와 피착부(112)측 소정의 위치 사이에서, 핸들(12)의 축(121)의 주위를 회동 가능(진퇴 가능)하고, 또한 통상의 상태에서 피착부(112)측으로 회동 가압되어 배치된다.
로킹 레버(14)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L자형의 단면 형상을 갖고, 도어(32)의 배면측에 배치되는 본체 케이스(11)의 일측부에서, 핸들(12)의 축(121)에 대하여 직각인 축(140)에 의해, 대략 L자형의 단면 형상의 대략 중간부를 피벗식 지지된다. 로킹 레버(14)는, L자형의 일방의 회동단이 작동 레버(13)를 향하고, 타방의 회동단이 케이싱측의 받이부(312)를 향하여,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고, 또한 통상의 상태에서 일방의 회동단이 작동 레버(13)를 누를 수 있도록 스프링 수단(144)에 의해 회동 가압된다. 더 상세하게는, 로킹 레버(14)는, 본체 케이스(11)의 개구부(110) 내에 배치 가능한 세로로 긴 장방형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 피누름부(141)와, 이 피누름부(141)의 일측부로부터 대략 90도 방향으로 돌아들어가 돌출하는 볼록한 형상의 누름부(142)와, 이 대략 90도를 이루는 피누름부(141)와 누름부(142)와의 이행부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축(140)을 삽입통과 가능한 관통구멍을 갖는 한 쌍의 축 삽입통과부(143, 143)로 이루어지고, 전체가 대략 L자형의 단면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로킹 레버(14)는 도어(32)의 좌우측부의 어디에도 선택적으로 부착 가능하게, 좌우방향을 반전하여 사용 가능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하 축 삽입통과부(143, 143)의 관통구멍에 축(140)이 삽입통과되고, 이 축(140)이 본체 케이스(11)의 매입부(111)에 부착한 축·핀 홀더(113)의 축용의 구멍과, 축·슬라이드 바 홀더(115)의 축용의 구멍 사이에 부착된다. 이것에 의해 로킹 레버(14)는 피누름부(141)가 개구부(110) 내의 소정의 위치를 향하고, 또 누름부(142)가 본체 케이스(11)의 일방의 측면의 외측으로 돌아들어가 소정의 위치를 향하여, 축(140)의 주위를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다. 또 이 축(140)의 주위에 미리 둘러 감겨진 코일 스프링(144)에 의해, 로킹 레버(14)는 통상의 상태에서, 피누름부(141)가 개구부(110) 내의 소정의 위치를 향하도록 회동 가압된다.
스토퍼(15)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12)의 회동단에 걸음 및 걸음해제될 수 있도록 본체 케이스(11)에 설치되고, 스프링 수단에 의해 통상의 상태에서 핸들(12)을 도복위치에 유지하게 되어 있다. 이 스토퍼(15)는, 본체 케이스(11)의 피착부(112)의 하부에서 개구부(110) 내에 끼워맞춤 가능한 대략 직사각형의 판 형상이며, 그 하단이 개구부(110) 내에 조금 밀고 들어가는 돌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배면에 한 쌍의 암(151, 151)이 돌출되고, 그 돌출단에 축 삽입통과 구멍(152, 152)이 천공된다. 이와 같이 스토퍼(15)는, 도어(32)의 좌우측부의 어디에도 선택적으로 부착 가능하게,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한 쌍의 암(151, 151)이 본체 케이스(11)의 피착부(112)의 하부에서 개구부(110)에 끼워 넣어지고, 매입부(111)의 양측면에 설치한 축 삽입통과 구멍(117, 117)과 스토퍼(15)의 축 삽입통과 구멍(152, 152)에 축(150)이 통과시켜진다. 이 축(150) 상에 코일 스프링(도시생략)이 둘러 감겨지고, 그 일단이 본체 케이스(11) 중간부의 홈 형상부(114)의 하면에 걸어지고, 타단이 스토퍼(15)의 배면의 하부에 걸어진다. 또한 이 경우, 스토퍼(15)측의 코일 스프링은 핸들(12)측의 코일 스프링보다도 스프링력이 강한 것이 사용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스토퍼(15)는 본체 케이스(11)의 개구부(110)의 하부에 조금 밀고 들어가도록 회동 가능하게 피벗식 지지됨과 아울러, 하단부가 개구부(110)의 가장자리면에 맞닿음으로써 튀어나옴이 저지되고, 핸들(12)의 회동단에 걸음 및 걸음해제 가능하게 부착된다. 핸들(12)을, 본체 케이스(11)로부터 돌출하는 기립위치로부터, 본체 케이스(11)의 개구부(110) 내의 도복위치를 향하여 밀어 되돌림으로써, 핸들(12)의 회동단, 즉 핸들(12) 하단의 가이드부(123)가 스토퍼(15)의 상단부에 닿아, 스토퍼(15)를 하방으로 회동 변위시켜 간다. 핸들(12)의 하단이 스토퍼(15)의 상단부를 타고 넘으면, 스토퍼(15)가 원래의 위치로 탄성 복귀함과 동시에, 그 상단부가 핸들(12) 하단의 걸음 단차부(122)에 걸어 맞추어진다. 스토퍼(15)측의 코일 스프링의 스프링력이 핸들(12)측의 코일 스프링보다도 강함으로써, 핸들(12)은 본체 케이스(11) 내의 도복위치에 유지된다. 이 상태로부터 스토퍼(15)의 정면 하부를 누르면, 스토퍼(15)가 하방으로 회동 변위하여, 그 상단부가 핸들(12) 하단의 걸음 단차부(122)와의 걸어맞춤으로부터 해제되어, 핸들(12)은 본체 케이스(11) 내의 도복위치로부터 소정의 기립위치까지 회동 돌출된다.
이 스토퍼(15)의 하방, 즉 본체 케이스(11) 하부에 설치된 원통 형상의 구멍(119)에는, 자물쇠 유닛(54)이 장착된다. 자물쇠 유닛(54)은, 소정의 키로 회전 가능한 로터(155)와, 로터(155)의 후부단에 로터(155)의 축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고정되어 일체로 회전 가능한 로터 캠(156)을 갖고, 로터 캠(156)이 구멍(119)의 후단부에 있는 홈(119P)을 통과하여, 본체 케이스(11)의 개구부(110) 내측 하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소정의 키에 의해 로터(155)를 소정의 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로터 캠(156)이 스토퍼(15)의 움직임(회동)을 규제하는 로킹 위치로 돌출하여, 핸들(12)을 도복위치에 로킹한다. 로터(155)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로터 캠(156)이 스토퍼(15)의 움직임(회동)을 허용하는 언로킹 위치로 반전되어, 도복위치에 있는 핸들(12)의 로킹을 해제한다.
캠 부재(16)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12)의 축(121)에 의해 본체 케이스(11) 내에 피벗식 지지되고, 도어(32)의 배면측으로 뻗고, 개구부(110) 내에서 도어(32)의 배면측과 정면측 사이를 핸들(12)과 일체로 회동할 수 있게 부착된다. 이 캠 부재(16)는 작동 레버(13)의 외형을 포함하는 전체가 대략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그 하나의 코너가 작동 레버(13)의 상변(핸들(12)의 상단부와 작동 레버(13)의 돌출단을 연결하는 가장자리부)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다. 이 캠 부재(16)의 양측면에는, 작동 레버(13)의 각 부착구멍(135, 135, 135)과 대응하는 위치에 공통의 구멍이 형성되고, 작동 레버(13)의 상방에 돌출되는 하나의 코너에는 핀 삽입통과 구멍(16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캠 부재(16)는, 도어(32)의 좌우측부의 어디에도 선택적으로 부착 가능하게,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 캠 부재(16)는, 작동 레버(13)의 일방의 측면에, 양자의 부착구멍(135, 135, 135)(캠 부재(16)의 부착구멍은 부호 없음)에 부착 나사를 통하여 나사 체결되고, 본체 케이스(11)의 개구부(110) 내에 핸들(12)과 함께 축지지된다. 슬라이드 바(17)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갖는 가늘고 긴 판으로 이루어지고, 중간부가 조금 폭이 넓게 형성된다. 이 슬라이드 바(17)의 상단부에는, 다점 조임 방식 로킹 장치(2)의 로킹 바(25)에 연결하기 위한 부착구멍(171)이 형성되고, 중간부에는, 슬라이드 바(17)의 폭방향으로 긴 긴 구멍(17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슬라이드 바(17)는, 도어(32)의 좌우측부의 어디에도 선택적으로 부착 가능하게,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 슬라이드 바(17)는 매입부(111) 상부에 설치한 슬라이드 바 삽입통과 구멍(116)과, 매입부(111)의 중간부에 설치한 축·슬라이드 바 홀더(115)의 슬라이드 바용의 구멍에 삽입통과되고, 중간부의 긴 구멍(172)과 캠 부재(16) 상부의 핀 삽입통과 구멍(161)에, 축·핀 홀더(113)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핀(173)이 삽입통과된다. 이것에 의해 슬라이드 바(17)는 캠 부재(16)에 축지지되고, 당해 캠 부재(16)의 회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고, 본체 케이스(11)의 상하방향을 향하여 직선적으로 진퇴 가능하게 부착된다.
이와 같이 도어용 로킹 핸들(1)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어(32)의 회동측의 측부(321)에 본체 케이스(11)를 통하여 부착된다. 핸들(12)은 도어(32)의 정면과 평행한 축(121)에 의해 피벗식 지지되고, 이 면에 대하여 직각인 면 내에서 도복위치와 기립위치 사이를 회동 가능함과 아울러, 그 회동단에서 스토퍼(15)에 의해 도복위치에 유지된다. 작동 레버(13)는 핸들(12)의 배면측으로 뻗고, 도어(32)의 배면측과 정면측 사이를 핸들(12)과 일체로 회동 가능하게 피벗식 지지된다(도 6 참조). 로킹 레버(14)는, 도어(32)의 배면측에서, 축(121)에 대하여 직각인 축(140)에 의해 피벗식 지지되고, 일방의 회동단이 작동 레버(13)를 향하고, 타방의 회동단이 케이싱측의 받이부(312)를 향하여,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핸들(12)을 도복위치로 회동함으로써, 작동 레버(13)가 도어(32)의 정면측으로부터 배면측으로 회동하고, 로킹 레버(14)의 일방의 회동단을 눌러서 전체를 회동시켜, 타방의 회동단을 케이싱측의 받이부(312)에 압접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도어용 로킹 핸들(1)은 도어(32)에 장착되고, 케이싱(31)에 대하여 도어(32)를 닫은 상태에서, 핸들(12)을 회동조작함으로써, 로킹 레버(14)가 회동하여, 케이싱(31)의 정면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받이부(312)로부터 빠져나와, 도어(32)을 개폐할 수 있다. 이 경우, 도어(32)가 열린 상태에서는, 도 1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12)은 스토퍼(15)로부터 벗어나고, 코일 스프링(144)에 의한 로킹 레버(14)의 회동 가압에 의해 피누름부(141)가 본체 케이스(11) 내측을 향하여 회동 변위되어, 작동 레버(13)를 도어(32)의 배면측으로부터 정면측을 향하여 회동 변위시키고 있다. 동시에, 이 작동 레버(13)와 일체인 핸들(12)이 본체 케이스(11) 내의 도복위치로부터 기립위치를 향하여 (누름)회동 변위되어 있고, 아울러 핸들(12)의 축(121) 위의 코일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기립위치까지 완전히 기립되어 있다. 즉, 핸들(12)은 도어(32)의 정면으로부터 튀어나온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도어(32)를 닫고, 핸들(12)을 본체 케이스(11)를 향하여 도복위치로 회동함으로써, 도 1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12)과 일체로 작동 레버(13)가 도어(32)의 정면측으로부터 배면측을 향하여 회동된다. 이 작동 레버(13)에 의해 로킹 레버(14)의 피누름부(141)가 밀려서, 누름부(142)가 케이싱측의 받이부(312)를 향하여 회동된다. 그리고 핸들(12)을 본체 케이스(11)의 개구부(110) 내의 도복위치까지 밀어 넣음으로써, 작동 레버(13)가 로킹 레버(14)(피누름부(141))를 밀어 넣어, 누름부(142)를 케이싱측의 받이부(312)에 대하여 배면측으로부터 정면측을 향하여 강력하게 압접한다. 이 압접에 의해 도어(32)는 케이싱(31)측으로 강하게 가까이 끌어당겨져, 케이싱(31)의 개구 가장자리의 패킹(313)이 완전히 압축되고, 개구(310)가 완전히 밀폐된다. 이 동안, 핸들(12)의 회동단, 즉 핸들(12) 하단의 가이드부(123)가, 스토퍼(15)의 상단부에 닿아 이것을 하방으로 회동 변위시켜 가서, 핸들(12)의 하단이 스토퍼(15)의 상단부를 타고 넘어 스토퍼(15)가 원래의 위치로 탄성 복귀함과 동시에, 핸들(12) 하단의 걸음 단차부(122)와 스토퍼(15)의 상단부가 걸어 맞추어진다. 스토퍼(15)측의 코일 스프링의 스프링력이 핸들(12)측의 코일 스프링보다도 강하기 때문에, 핸들(12)은 케이스 본체(11) 내의 도복위치에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도어(32)는 케이싱(31)의 정면에 폐지되어, 케이싱(31)의 개구(310)의 완전한 밀폐상태가 유지된다. 이 경우, 스토퍼(15)의 하방의 자물쇠 유닛(54)에 소정의 키를 꽂아넣고, 로터(155)를 회동하여 로터 캠(156)을 로킹 위치로 함으로써, 스토퍼(15)의 움직임이 규제되어, 핸들(12)의 기립 방향의 회동이 로킹되고, 도어(32)가 시정(施錠)된다. 또한 이 상태로부터, 자물쇠 유닛(54)에 소정의 키를 꽂아넣고, 로터(155)를 반대방향으로 회동하여 로터 캠(156)을 언로킹 위치로 함으로써, 스토퍼(15)의 움직임이 허용된다. 그리고, 스토퍼(15)의 정면 하부를 누르면, 하방으로 회동 변위되고, 핸들(12) 하단의 걸음 단차부(122)와 스토퍼(15)의 상단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핸들(12)의 로킹이 해제된다. 그리고 코일 스프링(144)에 의한 로킹 레버(14)의 회동 가압에 의해, 피누름부(141)가 본체 케이스(11) 내측을 향하여 회동되어, 작동 레버(13)를 도어(32)의 배면측으로부터 정면측을 향하여 누름 회동한다. 이 작동 레버(13)와 일체인 핸들(12)이 도복위치로부터 기립위치를 향하여 (누름) 회동됨과 아울러, 핸들(12)의 축(121) 위의 코일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기립위치까지 완전히 기립된다. 즉, 핸들(12)은 도어(32)의 정면으로부터 튀어나온 상태로 되고, 도어(32)의 폐지 상태가 해제된다.
그리고, 이 도어용 로킹 핸들(1)을 채용한 다점 조임 방식 로킹 장치(2)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어(32)의 배면의 회동측의 측부 상하에 배치된 각 단말 로킹 부재(21)에 연결된 로킹 바(25)가, 도어(32)의 정면에 부착된 핸들(12)의 조작에 연동하고, 로킹 바 가이드(26)에 안내되어 도어(32)의 배면의 회동측의 측부를 따라 진퇴운동함으로써, 각 단말 로킹 부재(21)의 단말 로킹 바(24)가 케이싱측의 받이부(312)에 걸어맞춤·이탈한다. 이 경우, 도어(32)가 열린 상태에서는, 핸들(12)은 스토퍼(15)로부터 벗어나고, 코일 스프링(144)에 의한 로킹 레버(14)의 회동 가압에 의해, 피누름부(141)가 본체 케이스(11) 내측을 향하여 회동 변위되어, 작동 레버(13)를 눌러서 도어(32)의 배면측으로부터 정면측을 향하여 회동 변위시키고 있다. 이 작동 레버(13)와 일체인 캠 부재(16)가 도어(32)의 배면측으로부터 정면측을 향하여 회동 변위됨으로써, 슬라이드 바(17)가 도어(32)의 배면의 회동측의 측부를 따라 하방으로 변위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 바(17)에 연결된 로킹 바(25)가 연동하고, 로킹 바 가이드(26)의 안내에 의해, 도어(32)의 배면의 측부를 따라 하방 변위됨으로써,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하의 단말 케이스(22, 22)의 슬라이드 공간 내에서 각 단말 슬라이더(23)가 하방으로 슬라이드 변위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때, 단말 슬라이더(23)의 가이드면(232) 상에 단말 로킹 레버(24)는 올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단말 로킹 레버(24)는, 코일 스프링(244)의 회동 가압에 의해, 피누름부(241)가 케이스 본체(225)의 개구부(226) 내의 소정의 위치로 회동 변위되어, 누름부(242)는 케이싱측의 받이부(312)로부터 벗어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핸들(12)을 본체 케이스(11)를 향하여 도복위치로 회동함으로써, 핸들(12)과 일체인 작동 레버(13)가 도어(32)의 정면측으로부터 배면측을 향하여 회동되고, 이 작동 레버(13)와 일체인 캠 부재(16)도 도어(32)의 정면측으로부터 배면측을 향하여 회동된다. 그리고, 이 캠 부재(16)의 회동에 의해, 슬라이드 바(17)는 상방으로 변위되고, 이 슬라이드 바(17)에 연결된 로킹 바(25)가 연동하고, 로킹 바 가이드(26)에 안내되어 상방으로 보내진다. 이 로킹 바(25)의 상방으로의 이송에 의해, 상하의 각 단말 케이스(22)의 슬라이드 공간 내에서 각 단말 슬라이더(23)가 상방을 향하여 슬라이드 됨과 동시에,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단말 로킹 레버(24)의 피누름부(241)가 가이드면(232)을 타고 걸어맞춤 안내되어, 눌림으로써, 누름부(242)가 케이싱측의 받이부(312)를 향하여 회동된다. 그리고, 핸들(12)을 개구부(110) 내의 도복위치까지 밀어넣음으로써, 캠 부재(16), 슬라이드 바(17), 로킹 바(25)를 통하여, 단말 케이스(22)의 각 단말 로킹 레버(24)(피누름부(241))가 밀어넣어져, 누름부(242)를 케이싱측의 받이부(312)에 대하여 배면측으로부터 정면측을 향하여 강력하게 압접한다. 이 압접에 의해 도어(32)는 케이싱(31)측에 강하게 가까이 끌어당겨지고, 케이싱(31)의 개구 가장자리의 패킹(313)은 완전히 압축되어, 개구(310)가 완전히 밀폐된다. 이 동안, 핸들(12)의 회동단, 즉 핸들(12) 하단의 가이드부(123)가, 스토퍼(15)의 상단부에 닿고 이것을 하방으로 회동 변위시켜 가서, 핸들(12)의 하단이 스토퍼(15)의 상단부를 타고 넘어 스토퍼(15)가 원래의 위치로 탄성 복귀함과 동시에, 핸들(12) 하단의 걸음 단차부(122)와 스토퍼(15)의 상단부가 걸어맞추어진다. 스토퍼(15)측의 코일 스프링의 스프링력이 핸들(12)측의 코일 스프링보다도 강하기 때문에, 핸들(12)은 본체 케이스(11)내의 도복위치에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도어(32)는 케이싱(31)의 정면에 폐지되어, 케이싱(31)의 개구(310)의 완전한 밀폐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이 상태로부터, 스토퍼(15)의 정면 하부를 누르면, 하방으로 회동 변위하여, 핸들(12) 하단의 걸음 단차부(122)와 스토퍼(15)의 상단부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코일 스프링(144)에 의한 로킹 레버(14)의 회동 가압에 의해, 피누름부(141)가 본체 케이스(11) 내측을 향하여 회동되어, 캠 부재(16)를 도어(32)의 배면측으로부터 정면측을 향하여 회동시킨다. 이 캠 부재(16)의 회동에 의해, 슬라이드 바(17)가 하방으로 슬라이드 되고, 이 슬라이드 바(17)에 연결된 로킹 바(25)가 연동하고, 로킹 바 가이드(26)에 안내되어 하방으로 이동된다. 이 로킹 바(25)의 하방으로의 이동에 의해, 상하의 각 단말 케이스(22)의 슬라이드 공간 내에서 각 단말 슬라이더(23)는 하방으로 슬라이드 되어, 가이드면(232)과 단말 로킹 레버(24)과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따라서 단말 로킹 레버(24)는, 코일 스프링(244)의 회동 가압에 의해, 피누름부(241)가 단말 케이스(22)의 개구부(226) 내의 소정의 위치로 회동 변위되고, 누름부(242)가 케이싱측의 받이부(312)로부터 떨어진다. 즉, 도어(32)의 폐지 상태가 해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 다점 조임 방식 로킹 장치(2)는, 도어(32)의 배면에서 회동측의 측부의 복수 개소에 배치되는 단말 로킹 부재(21)를 구비하고, 도어(32)의 정면에 부착된 도어용 로킹 핸들의 핸들의 조작에 연동하여, 각 단말 로킹 부재(21)에 연결된 로킹 바(25)를 도어(32)의 배면의 측부를 따라 진퇴운동시킴으로써, 각 단말 로킹 부재(21)의 단말 로킹 바(24)를 케이싱측의 받이부(312)에 걸어맞춤·이탈하는 형식이다.
특히 도어용 로킹 핸들(1)은, 도어(32)의 정면의 회동측의 측부에 절결 형성되는 핸들 부착구(322)에 끼워 넣어 고정 가능하게 형성되고, 도어(32)의 정면측과 배면측을 연통하는 개구부(110)를 갖는 본체 케이스(11)를 구비한다.
핸들(12)은 본체 케이스(11)에 끼워맞춤 가능하게 형성되고, 일단이 도어(32)의 정면과 평행한 축(121)에 의해 본체 케이스(11)에 피벗식 지지되고, 도어(32)의 정면에 대하여 직각인 면 내에서 소정의 도복위치와 소정의 기립위치 사이를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작동 레버(13)는 핸들(12)과 동축 상에 피벗식 지지되고, 도어(32)의 배면측으로 뻗고, 개구부(110) 내에서 도어(32)의 배면측과 정면측 사이를 핸들(12)과 일체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로킹 레버(14)는, 대략 L자형의 단면 형상을 갖고, 도어(32)의 배면측에 배치되는 본체 케이스(11)의 일측부에, 핸들(12)의 축(121)에 대하여 직각인 축(140)에 의해 단면 형상의 대략 중간부가 피벗식 지지된다. 로킹 레버(14)는, L자형의 일방의 회동단이 작동 레버(13)를 향하고, 타방의 회동단이 케이싱측의 받이부(312)를 향하여,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고, 통상의 상태에서 일방의 회동단이 작동 레버(13)를 누르도록 스프링 수단(144)에 의해 회동 가압된다. 스토퍼(15)는 핸들(12)의 회동단에 걸음 및 걸음해제될 수 있도록 본체 케이스(11)에 설치되어, 핸들(12)을 도복위치로 유지하고, 스프링 수단(코일 스프링)은 핸들(12)을 기립위치로 회동 가압하여 유지하는 스토퍼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캠 부재(16)는, 핸들(12)의 축(121)에 의해 본체 케이스(11)에 피벗식 지지되고, 도어(32)의 배면측으로 뻗고, 개구부(110) 내에서 도어(32)의 배면측과 정면측 사이를 핸들(12)과 일체로 회동 가능하다. 슬라이드 바(17)는 캠 부재(16)에 축지지되고, 당해 캠 부재(16)의 회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도어(32)의 배면의 회동측의 측부를 따라 직선적으로 진퇴 가능이다.
각 단말 로킹 부재(21)는, 도어(32)의 배면의 회동측의 측부에, 당해 측부가 뻗는 방향(상하방향)으로 양단을 향하게 하여 설치 고정되는 단말 케이스(22)와, 단말 케이스(22)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는 단말 슬라이더(23)와, 단말 케이스(22)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단말 슬라이더(23)의 진퇴운동에 의해, 일방의 회동단이 단말 슬라이더(23)에 걸어맞춤 안내되고, 타방의 회동단을 케이싱측의 받이부(312)에 걸음 및 걸음해제 시킬 수 있는 단말 로킹 레버(24)를 구비한다. 도어용 로킹 핸들(1)의 슬라이드 바(17)에는, 단말 로킹 부재(21, 21)에 작동 연결된 로킹 바(25)가 연결되고, 핸들(12)을 도복위치로 회동조작함으로써, 작동 레버(13)가 도어(32)의 정면측으로부터 배면측으로 회동하여, 로킹 레버(14)의 일방의 회동단(피누름부(141))을 눌러서, 로킹 레버(14) 전체를 회동하여, 타방의 회동단(누름부142)을 케이싱측의 받이부(312)에 대하여, 배면측으로부터 정면측을 향하여 압접한다. 이 압접에 의해 도어(32)가 케이싱측으로 가까이 끌어당겨져, 케이싱(31)의 개구 가장자리의 패킹(313)을 완전히 압축한다. 이것에 연동하여, 핸들(12)과 일체로 회동하는 캠 부재(16)를 통하여 슬라이드 바(17)가 도어(32)의 배면의 측부를 따라 슬라이드 하고, 이 슬라이드 바(17)에 의해 로킹 바(25)가 구동된다. 로킹 바(25)에 의해, 각 단말 슬라이더(23)가 슬라이드 되고, 단말 로킹 레버(24)의 피누름부(241)를 눌러, 누름부(242)를 케이싱측의 받이부(312)에 대하여 도어의 배면측으로부터 정면측을 향하여 압접 한다. 이 압접에 의해 도어(32)를 케이싱(31)측에 가까이 끌어당겨, 케이싱(31)의 개구 가장자리의 패킹(313)을 완전히 압축하므로, 로킹 레버(14) 및 각 단말 로킹 레버(24)를 케이싱측의 받이부(312)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눌러, 케이싱(31)의 개구(310)를 완전히 밀폐할 수 있다. 또 이 경우, 핸들(12)을 회동하여 스토퍼(15)에 걸어 맞추어지게 하는 것만으로, 핸들(12)을 본체 케이스(11) 내의 도복위치에 유지하여, 케이싱측의 받이부(312)에 대한 로킹 레버(14) 및 각 단말 로킹 레버(24)의 누름 상태를 고정, 지지할 수 있다. 반대로, 스토퍼(15)를 조작하여, 핸들(12)과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것만으로, 핸들(12)을 본체 케이스(11) 내로부터 기립위치로 회동 돌출시켜, 케이싱측의 받이부(312)에 대한 로킹 레버(14) 및 각 단말 로킹 레버(24)의 누름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어(32)의 개폐에 수반되는 케이싱측의 받이부(312)에 대한 로킹 레버(14) 및 단말 로킹 레버(24)의 걸음 및 걸음해제 조작을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이 도어용 로킹 핸들(1)에는, 본체 케이스(11)에 자물쇠 유닛(54)을 아울러 구비하고, 스토퍼(15)의 움직임을 규제하하여, 도복위치에서 핸들(12)의 회동을 로킹하도록 했으므로, 케이싱측의 받이부(312)에 대한 로킹 레버(14) 및 각 단말 로킹 레버(24)의 누름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하고, 도어(32)와 케이싱(31)의 완전한 밀폐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 도어용 로킹 핸들(1)의, 케이싱측의 받이부(312)에 대한 로킹 레버(14)의 걸어맞춤 형식은, 도어(32)의 측부에서, 또한 케이싱(31)에 대하여 아웃사이드에 부착하는 아웃사이드 핸들에 적합하며, 케이싱(31)에 고도의 밀폐상태를 실현할 수 있다.
또, 각 단말 로킹 부재(21)의 단말 케이스(22), 단말 슬라이더(23), 단말 로킹 레버(24), 및 로킹 바(25), 로킹 바 가이드(26)는 각각, 도어(32)의 좌우측부의 어디에도 선택적으로 부착 가능하게, 좌우 대칭으로 또는 좌우방향을 반전하여 사용 가능하게 형성된다. 도어용 로킹 핸들(1)의 본체 케이스(11), 핸들(12), 작동 레버(13), 로킹 레버(14), 스토퍼(15), 캠 부재(16), 슬라이드 바(17)도 각각, 도어(32)의 좌우측부에 선택적으로 부착 가능하게, 좌우 대칭으로 또는 좌우방향을 반전하여 사용 가능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 다점 조임 기구는 도어(32)의 좌우 어느 쪽에도 장착할 수 있어, 부품관리가 용이하고,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어를 상하방향에 개폐하는 형식에서도, 이 다점 조임 기구를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어(32)의 배면에서 회동측의 측부의 복수 개소에 단말 로킹 부재(21)를 배치하고, 도어(32)의 정면에 부착된 핸들(12)의 조작에 연동하여, 단말 로킹 부재(21)에 연결된 로킹 바(25)를 도어(32)의 배면의 회동측의 측부를 따라 진퇴운동함으로써, 각 단말 로킹 부재(21)를 케이싱측의 받이부(312)에 걸어맞춤·이탈하는 구성을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대신에, 도어의 배면의 3변, 즉 회동측의 측부와, 이 측부에 이웃하는 상하 단부의 복수 개소에 단말 로킹 부재(21)를 배치하고, 도어(32)의 정면에 부착된 핸들(12)의 조작에 연동하여, 단말 로킹 부재(21)에 연결된 로킹 바(25)를, 도어(32)의 배면의 회동측의 측부, 및 이 측부에 이웃하는 상하 단부를 따라, 진퇴운동함으로써, 단말 로킹 부재(21)를 케이싱측의 받이부(312)에 걸어맞춤·이탈하는 형식이어도 된다.
또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어용 로킹 핸들(1)의 케이스(11) 및 핸들(12)을 각각 상하에 가늘고 긴 장방형 형상으로 형성했지만, 이 형상은 설계상, 임의로 변경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 작동 레버(13)를 핸들(12)과 일체로 형성했지만, 이것을 별체로 하고, 핸들(12)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설정하여, 축(121)에 부착해도 된다. 또한 로킹 레버(14)를 전술과 같은 형상으로 했지만, 핸들(12)의 축(121)에 대하여 직각인 축(140)에 의해 피벗식 지지되고, 일방의 회동단이 작동 레버(13)를 향하고, 타방의 회동단이 케이싱측의 받이부(312)를 향하여 돌아들어가는 회동하여 걸어맞추어지는 구조이면 되고, 그 형상은 임의이다. 또, 핸들(12)의 스토퍼(15)를 전술과 같은 형식으로 했지만, 특히 이 형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핸들(12)을 도복위치에 유지할 수 있으면, 기존의 평면형 핸들에 채용되는 다른 형식으로 변경해도 물론 상관없다. 또, 본체 케이스(11)에 스토퍼(15)를 로킹하는 자물쇠 유닛(54)을 설치하고, 핸들(12)을 도복위치에 로킹하도록 했지만, 핸들(12) 자체에 설치하여 도복위치에 로킹하는 자물쇠 유닛으로 대신해도 된다. 또, 이 도어용 로킹 핸들(1)을 아웃사이드 핸들로서 예시했지만, 케이싱(31)의 내부에 대하여 인사이드에 부착되는 형식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다점 조임 로킹 장치(2)에 특별한 형식의 도어용 로킹 핸들(1)을 채용했지만, 기존의 다점 조임 로킹 장치에 채용되는 핸들 장치를 적용할 수도 있다.
1 도어용 로킹 핸들
11 본체 케이스
110 개구부
111 매입부
112 피착부
113 축·핀 홀더
114 홈 형상부
115 축·슬라이드 바 홀더
116 슬라이드 바의 삽통공
117 축 삽입통과 구멍
118 축 부착구멍
119 구멍
119P 홈
11U, 11D 나사구멍
12 핸들
121 축
122 걸음 단차부
123 가이드부
124 축 삽입통과부
13 작동 레버
135 부착구멍
14 로킹 레버
140 축
141 피누름부
142 누름부
143 축 삽입통과부
144 코일 스프링(스프링 수단)
15 스토퍼
150 축
151 암
152 축 삽입통과 구멍
154 자물쇠 유닛
155 로터
156 로터 캠
16 캠 부재
161 핀 삽입통과 구멍
17 슬라이드 바
171 부착구멍
172 긴 구멍
173 핀
2 다점 조임 방식 로킹 장치
21 단말 로킹 부재
22 단말 케이스
221 베이스
225 케이스 본체
226 개구부
227 홈
228 가이드 구멍
229 나사 삽입통과 구멍
23 단말 슬라이더
231 핀 삽입통과 구멍
232 가이드면
24 단말 로킹 레버
240 축
241 피누름부
242 누름부
243 축 삽입통과부
244 코일 스프링(스프링 수단)
25 로킹 바
251 핀(연결부)
252 접속 플레이트
253 핀
254 보호 패드
26 로킹 바 가이드
260 부착구멍
261 고정부
262 가이드부
3 래크
31 케이싱
310 개구
311 측부
312 가장자리부(케이싱측의 받이부)
313 패킹
32 도어
321 회동측의 측부
322 핸들 부착구
323 부착구멍
33 배수부

Claims (8)

  1. 케이싱을 폐쇄하는 도어의 회동측의 측부에 부착되고, 도어의 정면측에 핸들을 배치한 핸들 장치와, 도어의 배면에서, 회동측의 측부를 따른 복수 개소, 또는 이 측부 및 이 측부에 이웃하는 단부를 따른 복수 개소에 배치되는 복수의 로킹 부재와, 이 복수의 로킹 부재와 상기 핸들 장치를 작동 연결하는 로킹 바를 구비하는 다점 조임 방식 로킹 장치로서, 핸들의 조작에 연동하여, 상기 로킹 바를 도어의 배면의 상기 측부, 또는 상기 측부 및 상기 단부를 따라 진퇴구동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로킹 부재를 조작하는 형식의 다점 조임 방식 로킹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로킹 부재는,
    도어의 배면에서, 회동측의 측부, 또는 이 측부 및 상하 단부에, 이 각 부가 뻗는 방향으로 길이방향 양단을 향하여 설치 고정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이 케이스의 일단과 타단 사이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부에 이 일측부와 평행한 축에 의해 피벗식 지지되고, 일방의 회동단이 상기 케이스 내측을 향하고, 타방의 회동단이 케이싱측의 받이부를 향하여,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는 로킹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더에는 상기 로킹 바가 연결되고,
    상기 핸들의 조작에 의해, 상기 로킹 바를 통하여 상기 슬라이더를 슬라이드 시키고, 이 슬라이더와 상기 로킹 레버의 일방의 회동단과의 걸어맞춤에 의해 상기 로킹 레버를 회동 안내하여, 타방의 회동단을 케이싱측의 받이부에 압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점 조임 방식 로킹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선단에 경사면 형상의 가이드면을 갖고,
    상기 케이스는, 로킹 레버가 피벗식 지지되는 일측부와는 반대측의 측면에,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구멍을 갖고,
    상기 로킹 바는 이 가이드 구멍을 통하여 상기 슬라이더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점 조임 방식 로킹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레버를 통상의 상태에서 케이스 내측을 향하여 회동 가압하는 스프링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점 조임 방식 로킹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도어의 배면에서 회동측의 측부에 설치 고정되고, 상기 로킹 바의 주위를 둘러쌀 수 있는 단면 U자형의 홈을 갖고, 상기 로킹 바의 진퇴방향을 안내하는 로킹 바 가이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점 조임 방식 로킹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부재의 케이스, 슬라이더, 로킹 레버, 및 로킹 바는 각각, 도어의 좌우측부의 어디에도 선택적으로 부착 가능하게, 좌우 대칭으로 또는 좌우방향을 반전하여 사용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점 조임 방식 로킹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장치의 핸들이, 도어의 정면측부에 이 도어의 정면과 평행한 축에 의해 피벗식 지지되고, 이 도어의 정면에 대하여 직각인 면 내에서 소정의 도복위치와 소정의 기립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며,
    상기 핸들 장치가 또한,
    상기 핸들의 축에 의해 피벗식 지지되고, 도어의 배면측으로 뻗고, 도어의 배면측과 정면측 사이를 상기 핸들과 일체로 회동 가능한 캠 부재와,
    이 캠 부재에 축지지되고, 이 캠 부재의 회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고, 도어의 배면측부를 따라 직선적으로 진퇴 가능한 슬라이드 바를 구비하고,
    상기 로킹 바가 이 슬라이드 바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점 조임 방식 로킹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장치가 또한,
    상기 핸들을 상기 도복위치에 유지하는 스토퍼와,
    도어의 정면측부에 상기 핸들의 축에 의해 피벗식 지지되고, 도어의 배면측으로 뻗고, 도어의 배면측과 정면측 사이를 상기 핸들과 일체로 회동 가능한 작동 레버와,
    도어의 배면측부에 상기 핸들의 축에 대하여 직각인 축에 의해 피벗식 지지되고, 일방의 회동단이 상기 작동 레버를 향하고, 타방의 회동단이 케이싱측의 받이부를 향하여, 회동 가능한 핸들측 로킹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핸들을 도복위치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작동 레버를 도어의 정면측으로부터 배면측으로 회동하고, 상기 핸들측 로킹 레버의 일방의 회동단을 눌러서, 상기 핸들측 로킹 레버 전체를 회동시켜, 타방의 회동단을 케이싱측의 받이부에 압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점 조임 방식 로킹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장치가 또한,
    도어의 정면측부에 절결 형성되는 핸들 부착구에 끼워 넣어 고정 가능하게 형성되고, 도어의 정면측과 배면측을 연통하는 개구부를 갖는 본체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핸들은, 상기 본체 케이스에 끼워맞춤 가능하게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축에 의해 상기 본체 케이스에 피벗식 지지되고,
    상기 작동 레버는 상기 개구부 내에서 도어의 배면측과 정면측 사이를 상기 핸들과 일체로 회동 가능하며,
    상기 핸들측 로킹 레버는, L자형의 단면 형상을 갖고, 도어의 배면측에 배치되는 본체 케이스의 일측부에서, 상기 핸들의 축에 대하여 직각인 축에 의해, 상기 단면 형상의 중간부가 피벗식 지지되어, 일방의 회동단이 상기 작동 레버를 향하고, 타방의 회동단이 케이싱측의 받이부를 향하여,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고, 통상의 상태에서 이 일방의 회동단이 상기 작동 레버를 누를 수 있도록 스프링 수단에 의해 회동 가압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핸들의 회동단에 걸음 및 걸음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케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캠 부재는, 상기 핸들의 축에 의해 상기 본체 케이스에 피벗식 지지되고, 상기 개구부 내에서 핸들과 일체로 회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점 조임 방식 로킹 장치.
KR1020100017929A 2009-02-27 2010-02-26 다점 조임 방식 로킹 장치 KR1012606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45281A JP4713648B2 (ja) 2009-02-27 2009-02-27 多点締め込み方式ロック装置
JPJP-P-2009-045281 2009-0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8334A KR20100098334A (ko) 2010-09-06
KR101260682B1 true KR101260682B1 (ko) 2013-05-10

Family

ID=42653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7929A KR101260682B1 (ko) 2009-02-27 2010-02-26 다점 조임 방식 로킹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713648B2 (ko)
KR (1) KR101260682B1 (ko)
CN (1) CN101818598B (ko)
TW (1) TWI41265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19723A (zh) * 2015-07-24 2015-11-04 朱小春 轴承锁
CN113653409B (zh) * 2021-09-02 2024-06-14 苏州德仕耐五金技术有限公司 多点联动锁定摇把锁闩体***
JP7175422B1 (ja) 2022-05-16 2022-11-18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繊維用集束剤組成物及び繊維用集束剤溶液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71594U (ko) 1971-01-20 1972-08-17
JPS59113456U (ja) 1983-01-24 1984-07-31 株式会社いまだ 扉のロツク装置
JPS61107860U (ko) 1984-12-19 1986-07-08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2416B2 (ja) * 1993-02-22 1995-07-05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引出し回転型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JP2504713B2 (ja) * 1993-03-09 1996-06-05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引出し回転型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DE19927685A1 (de) * 1999-06-17 2000-12-28 Steinbach & Vollmann Stangenverschluß für Blechschranktüren
JP3902641B2 (ja) * 2002-02-28 2007-04-11 株式会社ホシモト 回動式ボタンを備えた開閉用ハンドル装置
JP2003343123A (ja) * 2002-05-28 2003-12-03 Odin Design Co Ltd 平面ハンドル装置のレバー固着防止機構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71594U (ko) 1971-01-20 1972-08-17
JPS59113456U (ja) 1983-01-24 1984-07-31 株式会社いまだ 扉のロツク装置
JPS61107860U (ko) 1984-12-19 1986-07-0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713648B2 (ja) 2011-06-29
TW201040373A (en) 2010-11-16
TWI412653B (zh) 2013-10-21
JP2010196425A (ja) 2010-09-09
CN101818598B (zh) 2013-03-20
CN101818598A (zh) 2010-09-01
KR20100098334A (ko) 2010-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46810B (zh) 用於可攜式電子裝置的泊接座
US10132108B2 (en) Lock device for opening/closing device
US8833808B2 (en) Lock device for vehicle
US8876174B2 (en) Motorcycle paraphernalia locking system
CN112041523B (zh) 把手布置及其用途
KR101260682B1 (ko) 다점 조임 방식 로킹 장치
JP4464443B2 (ja) 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US7490874B2 (en) Lock device for foldable electronic apparatus
KR20090120132A (ko) 핸들중앙 비상키겸용 디지털 도어록용 클러치 모듈
KR101312336B1 (ko) 도어용 로킹 핸들
US6536248B1 (en) Door lock-and-handle assembly
KR200452186Y1 (ko) 매립형 창문 잠금장치
JP5280040B2 (ja) 扉装置
KR101534108B1 (ko) 미닫이 창호용 잠금핸들장치
KR20170054641A (ko) 도어 잠금장치
KR101467284B1 (ko) 래치볼트 고정레버의 작동장치
JP5330732B2 (ja) プッシュプル電気錠
CN215671558U (zh) 一种单手旋转门锁机构
KR101778278B1 (ko) 도어용 핸들
KR200475685Y1 (ko) 미닫이 창문용 가압식 손잡이
JP5261829B2 (ja) ロック機構
JP4755701B2 (ja) 機器類の補助ロック装置
KR101968274B1 (ko) 모티스의 레버 핸들 조립체
JP5107780B2 (ja) プッシュプル電気錠
JP5623597B2 (ja) 門扉の係止装置および門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