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0301B1 -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0301B1
KR101260301B1 KR1020110033589A KR20110033589A KR101260301B1 KR 101260301 B1 KR101260301 B1 KR 101260301B1 KR 1020110033589 A KR1020110033589 A KR 1020110033589A KR 20110033589 A KR20110033589 A KR 20110033589A KR 101260301 B1 KR101260301 B1 KR 101260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frame
building
external
module
connec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3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6065A (ko
Inventor
김경수
강기환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033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0301B1/ko
Publication of KR20120116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6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0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03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6Electrical components characterised by special 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two or more PV modules, e.g. electrical module-to-module conn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H02S20/26Building materials integrated with PV modules, e.g. façade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며, 일측에 제1 접속단자가 마련되는 외벽 프레임; 및 상기 외벽 프레임과 함께 상기 건물의 외벽을 형성하도록 상기 외벽 프레임에 부분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외벽 프레임의 내부공간을 개폐하며, 개폐 동작 시 상기 제1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 해제 또는 연결되는 제2 접속단자가 일측에 마련되는 외장형 태양광 모듈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다수의 외장형 태양광 모듈을 적용함에 있어 외장형 태양광 모듈의 개폐 조건에 기초하여 전기를 차단하거나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Description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System}
본 발명은,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외장형 태양광 모듈을 적용함에 있어 외장형 태양광 모듈의 개폐 조건에 기초하여 전기를 차단하거나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는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석탄이나 석유와 같은 화학에너지의 고갈 및 화학에너지 사용에 따른 환경오염 문제로 인해 근자에 들어서는 대체에너지의 개발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데, 그 중에 하나가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photovoltaic)이다.
태양광 발전이라 함은 태양에너지(태양열 또는 태양광)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일련의 기술이다.
기본 원리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면, p-n 접합 반도체로 구성된 태양 전지(solar cell)에 태양광이 조사되면 광 에너지에 의한 전자, 정공 쌍이 생겨나고, 전자가 이동하여 n층과 p층을 가로질러 전류가 흐르게 되는 광기전력 효과에 의해 기전력이 발생함으로써 외부에 접속된 부하에 전류가 흐르는 결과를 이용한다.
이처럼 무한정, 무공해의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태양광을 집광하기 위한 태양광 모듈(solar module)에 대한 기술 개발이 요구된다.
완전히 동일하지는 않지만 LCD 공정 또는 반도체 공정과 마찬가지로 한 장의 태양광 모듈이 생산되기 위해서는 다수의 장치 또는 시스템을 거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한편,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BIPV 시스템)은 건물의 외벽을 태양광 모듈로 이용하는 발전 시스템을 일컫는다.
이러한 태양광 에너지로 전기를 생산하여 소비자에게 공급하는 것 외에 건물 일체형 태양광 모듈을 외장재로 사용함으로써 건설비용을 줄이고 건물의 가치를 높이는 디자인 요소로도 현재 널리 쓰이고 있다.
그런데, 수많은 창문이나 지붕 등의 외장재 각각을 외장형 태양광 모듈로 대체한 경우를 예로 들면, 모든 외장형 태양광 모듈이 닫힌 상태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전기를 생산하는데 기여할 수 있기 때문에 만약, 어느 한 외장형 태양광 모듈이 열리게 되면 열린 외장형 태양광 모듈로 인해 전기 생산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
따라서 외장형 태양광 모듈을 적용하여 시공함에 있어 외장형 태양광 모듈의 개폐 조건에 기초하여 전기를 차단하거나 생산할 수 있는 구조적인 기능 개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외장형 태양광 모듈을 적용함에 있어 외장형 태양광 모듈의 개폐 조건에 기초하여 전기를 차단하거나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는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며, 일측에 제1 접속단자가 마련되는 외벽 프레임; 및 상기 외벽 프레임과 함께 상기 건물의 외벽을 형성하도록 상기 외벽 프레임에 부분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외벽 프레임의 내부공간을 개폐하며, 개폐 동작 시 상기 제1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 해제 또는 연결되는 제2 접속단자가 일측에 마련되는 외장형 태양광 모듈을 포함하는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 외벽 프레임에 마련되는 제1 접속단자는 이웃된 것끼리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접속단자는 상기 외벽 프레임의 내측 홈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접속단자부는 상기 외장형 태양광 모듈의 일측에서 외부로 돌출되되 상기 홈부와 형상맞춤되는 돌출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벽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외장형 태양광 모듈은 회동 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외벽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외장형 태양광 모듈은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외장형 태양광 모듈을 적용함에 있어 외장형 태양광 모듈의 개폐 조건에 기초하여 전기를 차단하거나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배치 구조도이다.
도 2의 (a)는 도 1에 도시된 외장형 태양광 모듈의 내부 구조도이고, (b)는 외장형 태양광 모듈의 변형 구조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하나의 외장형 태양광 모듈이 개방된 상태의 배치 구조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5 및 도 6은 각각 도 1 및 도 3에 대응되는 전기 계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부분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배치 구조도, 도 2의 (a)는 도 1에 도시된 외장형 태양광 모듈의 내부 구조도이고, (b)는 외장형 태양광 모듈의 변형 구조도, 도 3은 도 1에서 하나의 외장형 태양광 모듈이 개방된 상태의 배치 구조도, 도 4는 도 3의 A 영역의 확대도, 그리고 도 5 및 도 6은 각각 도 1 및 도 3에 대응되는 전기 계통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외벽 프레임(110)과, 외벽 프레임(110)과 함께 건물의 외벽을 형성하도록 외벽 프레임(110)에 부분적으로 연결되어 외벽 프레임(110)의 내부공간(S, 도 4 참조)을 개폐하는 외장형 태양광 모듈(100)을 포함한다.
참고도, 도 1의 설치 구조는 facade, sun shading, flat roof를 비롯하여 건물의 지붕이나 혹은 창호 등이 될 수 있다.
외벽 프레임(110)은 외장형 태양광 모듈(100)을 지지하는 구조체이다. 강성을 가지면서 내부식성이 뛰어난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외벽 프레임(110) 하나당 외장형 태양광 모듈(100)이 하나씩 배치될 수도 있고, 아니면 외장형 태양광 모듈(100)이 공용 외벽 프레임(미도시)에 한번에 설치될 수도 있다.
외장형 태양광 모듈(100)은 전기를 생산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태양광을 집광 또는 집열하는 역할을 한다.
외장형 태양광 모듈(100) 하나가 창문 하나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외장형 태양광 모듈(100)은 도 1 및 도 3처럼 외벽 프레임(110)의 내부공간(S)을 개폐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외벽 프레임(110)에 대하여 외장형 태양광 모듈(100)이 회동 방식으로 개폐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따라서 외벽 프레임(110)과 외장형 태양광 모듈(100) 사이에는 힌지(H)가 마련된다.
도 2를 참조하여 외장형 태양광 모듈(100)의 구조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본다.
외장형 태양광 모듈(100)에는 도 2의 (a)와 같은 표준 모듈(100)과 (b)와 같은 단연 모듈(100')이 있다. 어떠한 형태가 적용되어도 좋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표준 모듈(100)을 선택하고 있다.
표준 모듈(100)에 대해 소개하면, 표준 모듈(100)은, 상호간 이격되게 배치되는 저철분유리(101) 및 판유리(104),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태양전지판(103), 그리고 저철분유리(101) 및 판유리(104)와 태양전지판(103)들 사이에 마련되는 레진 또는 EVA 필름(102)을 포함한다.
이에 반해, 단연 모듈(100')은 표준 모듈(100)의 판유리(104)에 순차적으로 모듈 중공층(105) 및 단열필름 부착 판유리(106)가 더 배치된 구조로 제작된다. 한편, 단연 모듈(100')과 표준 모듈(100)은 상호간의 탈찰부(미도시)를 구비하여 필요시 탈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외장형 태양광 모듈(100)들은 상호간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도 1처럼 완전히 닫혀 있을 경우에 전기를 생산하는데 기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외장형 태양광 모듈(100)들이 창문인 경우를 예로 들면, 경우에 따라 도 3처럼 어느 한 외장형 태양광 모듈(100)을 개방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외장형 태양광 모듈(100)들 전체의 전기적인 연결이 해제되면 곤란하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다시 말해 외장형 태양광 모듈(100)의 개폐 조건에 기초하여 전기를 차단하거나 생산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은 아래의 구조를 제안하고 있다.
주로 도 4를 참조하면, 외벽 프레임(110)에는 제1 접속단자(121)가 마련되고, 외장형 태양광 모듈(100)에는 외장형 태양광 모듈(100)의 개폐 동작 시 제1 접속단자(121)와 전기적으로 연결 해제 또는 연결되는 제2 접속단자(122)가 마련된다.
제1 접속단자(121)는 외벽 프레임(110)의 내벽면에서 함몰되게 형성된 홈부(110a)에 형성되고, 제2 접속단자(122)는 외장형 태양광 모듈(100)의 일측에서 외부로 돌출되되 홈부(110a)와 형상 맞춤되는 돌출부(100a)에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도면의 구조는 하나의 실시예이며, 돌출부(100a)와 홈부(110a)의 위치가 바뀔 수도 있다. 즉 돌출부(100a)가 외벽 프레임(110)에, 그리고 홈부(110a)가 외장형 태양광 모듈(100)에 마련될 수도 있다.
다만, 외장형 태양광 모듈(100)의 대부분은 정사각 혹은 직사각형의 모듈 형태로 제조된다는 점을 감안할 때, 외장형 태양광 모듈(100)의 외측에 홈을 형성하는 것이 사실 바람직하지는 않기 때문에, 도면처럼 외장형 태양광 모듈(100)에 돌출부(100a)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외벽 프레임(110)에 마련되는 제1 접속단자(121)들은 이웃된 것끼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병렬 방식에 의해 연결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3개의 제1 접속단자(121)들은 상호간 병렬 방식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3개의 제1 접속단자(121)들에 상대편인 외장형 태양광 모듈(100)들의 제2 접속단자(122)들이 하나씩 대응되는 것끼리 접속되면(on) 3개의 외장형 태양광 모듈(100) 모두를 통해 전기적인 출력을 얻을 수 있다.
하지만, 도 3 및 도 4처럼 어느 한 외장형 태양광 모듈(100)이 개방된 경우라면, 도 6처럼 중간에 위치된 외장형 태양광 모듈(100)의 제2 접속단자(122)는 그에 대응되는 제1 접속단자(121)와의 전기적인 접속이 해제된다(off).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접속단자(121)들은 이웃된 것끼리 병렬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설사 도 6처럼 중간에 위치된 외장형 태양광 모듈(100)의 제2 접속단자(122)가 그에 대응되는 제1 접속단자(121)와의 전기적인 접속이 해제되더라도(off) 남은 2개의 외장형 태양광 모듈(100)을 통해 전기적인 출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가 적용되면 외장형 태양광 모듈(100)의 개폐 조건에 기초하여 전기를 차단하거나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외장형 태양광 모듈(100)을 도 1처럼 적용함에 있어 외장형 태양광 모듈(100)의 개폐 조건에 기초하여 전기를 차단하거나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부분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외벽 프레임(210)에 대해 태양광 모듈(200)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되는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개시한다.
이러한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외장형 태양광 모듈(200)에 제2 접속단자(미도시)가 마련된 돌출부(200a)를, 그리고 외벽 프레임(210)에 제1 접속단자(미도시)가 마련된 홈부(210a)를 형성하고, 외장형 태양광 모듈(200)이 닫혀 돌출부(200a)가 홈부(210a)에 삽입될 때 제1 및 제2 접속단자가 전기적으로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외장형 태양광 모듈(200)의 개폐 조건에 기초하여 전기를 차단하거나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태양광 모듈 100a : 돌출부
110 : 외벽 프레임 110a : 홈부
121 : 제1 접속단자 122 : 제2 접속단자

Claims (13)

  1. 건물의 내부공간과 외부를 구분하는 건물의 외벽으로 형성되고, 일측면에 제1접속단자가 마련되는 외벽 프레임; 및
    상기 외벽 프레임과 함께 건물의 외벽으로 형성되며, 상기 내부공간이 개폐되도록 회동 또는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외벽 프레임에 일부가 결합되는 외장형 태양광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외장형 태양광 모듈의 일측면에는 상기 내부공간이 닫혔을 때 상기 제1접속단자와 맞닿아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접속단자가 마련되며,
    상기 제1 접속단자는 상기 외벽 프레임의 내측 홈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접속단자는 상기 외장형 태양광 모듈의 일측에서 외부로 돌출되되 상기 홈부와 형상맞춤되는 돌출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태양광 모듈을 포함하는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 프레임에 마련되는 제1 접속단자는 이웃된 것끼리 병렬로 연결되는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형 태양광 모듈은 회동하도록 상기 외벽 프레임에 힌지(hinge)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태양광 모듈을 포함하는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형 태양광 모듈은 슬라이딩하도록 상기 외벽 프레임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태양광 모듈을 포함하는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형 태양광 모듈은,
    저철분유리와 판유리 사이에 다수의 태양전지판이 배치되며,
    상기 태양전지판와, 상기 저철분유리 및 상기 판유리 사이에 레진 또는 EVA 필름이 포함되는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형 태양광 모듈은,
    상기 판유리에 모듈 중공층과 단열필름 부착 판유리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단연 모듈을 더 포함하는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8. 건물의 내부공간과 외부를 구분하는 건물의 외벽으로 형성되고, 일측면에 제1접속단자가 각각 마련되는 복수의 행과 열로 형성되는 외벽 프레임; 및
    상기 외벽 프레임의 복수의 행과 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외벽 프레임과 함께 건물의 외벽으로 형성되며, 상기 내부공간이 개폐되도록 회동 또는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외벽 프레임에 일부가 결합되는 외장형 태양광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외장형 태양광 모듈의 일측면에는 상기 내부공간이 닫혔을 때 상기 제1접속단자와 맞닿아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접속단자가 마련되며,
    상기 외장형 태양광 모듈 각각이 개폐시, 개폐되는 외장형 태양광 모듈을 제외한 외장형 태양광 모듈은 상호 간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제1 접속단자는 상기 외벽 프레임의 내측 홈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접속단자는 상기 외장형 태양광 모듈의 일측에서 외부로 돌출되되 상기 홈부와 형상맞춤되는 돌출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태양광 모듈을 포함하는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 프레임에 마련되는 제1 접속단자 각각은 이웃된 것끼리 수직 및 수평의 병렬로 연결되는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 프레임 각각이 개폐시, 개폐되는 외벽 프레임을 제외한 외벽 프레임은 상호간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유지되는 외장형 태양광 모듈을 포함하는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11. 저철분유리, 판유리, 상기 저철분유리와 판유리 사이에 배치된 다수의 태양전지판 및 상기 태양전지판과 저철분유리와 판유리 사이에 마련된 레진 또는 EVA 필름을 포함하는 표준모듈의 판유리에 모듈 중공층과 단열필름 부착 판유리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단연모듈이 포함되어 건물의 내부공간과 외부를 구분하는 건물의 외벽으로 형성되고, 일측면에 제1접속단자가 각각 마련되는 복수의 행과 열로 형성되는 외벽 프레임; 및
    상기 외벽 프레임이 복수의 행과 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외벽 프레임과 함께 건물의 외벽으로 형성되며, 상기 내부공간이 개폐되도록 회동 또는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외벽 프레임에 일부가 결합되는 외장형 태양광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외장형 태양광 모듈의 일측면에는 상기 내부공간이 닫혔을 때 상기 제1접속단자와 맞닿아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접속단자가 마련되며,
    상기 제1 접속단자는 상기 외벽 프레임의 내측 홈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접속단자는 상기 외장형 태양광 모듈의 일측에서 외부로 돌출되되 상기 홈부와 형상맞춤되는 돌출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태양광 모듈을 포함하는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 프레임 각각이 개폐시, 개폐되는 외벽 프레임을 제외한 외벽 프레임은 상호간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유지되는 외장형 태양광 모듈을 포함하는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1020110033589A 2011-04-12 2011-04-12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101260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3589A KR101260301B1 (ko) 2011-04-12 2011-04-12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3589A KR101260301B1 (ko) 2011-04-12 2011-04-12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6065A KR20120116065A (ko) 2012-10-22
KR101260301B1 true KR101260301B1 (ko) 2013-05-03

Family

ID=47284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3589A KR101260301B1 (ko) 2011-04-12 2011-04-12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030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7202B1 (ko) 2020-12-07 2021-08-06 주식회사 티에너지 건물일체형 태양광발전 시스템의 패널장착구조
KR102374450B1 (ko) 2021-11-25 2022-03-15 주식회사 티에너지 태양광패널의 방열구조
KR20220128891A (ko) 2021-03-15 2022-09-22 주식회사 현대쏠라텍 지능형 dc 지락차단 기능을 구비한 건물일체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및 건물부착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KR20220129370A (ko) 2021-03-16 2022-09-23 주식회사 현대쏠라텍 안정성 및 발전효율 향상을 위한 건물일체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및 건물부착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KR20230166209A (ko) 2022-05-30 2023-12-07 주식회사 현대쏠라텍 안정성 및 발전효율 향상을 위한 건물일체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및 건물부착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KR20230166208A (ko) 2022-05-30 2023-12-07 주식회사 현대쏠라텍 지능형 dc 지락차단 기능을 구비한 건물일체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및 건물부착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834B1 (ko) 2012-10-18 2014-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문자 입력 방법
KR101315272B1 (ko) * 2013-03-11 2013-10-17 전종윤 태양전지판이 구비된 창호
CN106549071B (zh) * 2016-12-15 2018-12-21 芜湖光荣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双面光伏电池幕墙组件及方法
DE102019215518A1 (de) * 2019-10-10 2021-04-15 Armor Solar Power Films Gmbh Fassadenelement und PV-Modul für ein Fassadenelement
CN113047514A (zh) * 2019-12-26 2021-06-29 奥动新能源汽车科技有限公司 外覆盖件、外覆盖组件、换电站及储能站
KR102317981B1 (ko) * 2020-12-22 2021-10-27 주식회사 해동엔지니어링 외장재를 구비한 건물일체형 태양광 발전용 태양광 모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272B1 (ko) * 2010-10-12 2011-03-07 주식회사 넥센테크 건물 일체형 태양광 모듈 접속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272B1 (ko) * 2010-10-12 2011-03-07 주식회사 넥센테크 건물 일체형 태양광 모듈 접속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7202B1 (ko) 2020-12-07 2021-08-06 주식회사 티에너지 건물일체형 태양광발전 시스템의 패널장착구조
KR20220128891A (ko) 2021-03-15 2022-09-22 주식회사 현대쏠라텍 지능형 dc 지락차단 기능을 구비한 건물일체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및 건물부착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KR20220129370A (ko) 2021-03-16 2022-09-23 주식회사 현대쏠라텍 안정성 및 발전효율 향상을 위한 건물일체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및 건물부착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KR102374450B1 (ko) 2021-11-25 2022-03-15 주식회사 티에너지 태양광패널의 방열구조
KR20230166209A (ko) 2022-05-30 2023-12-07 주식회사 현대쏠라텍 안정성 및 발전효율 향상을 위한 건물일체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및 건물부착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KR20230166208A (ko) 2022-05-30 2023-12-07 주식회사 현대쏠라텍 지능형 dc 지락차단 기능을 구비한 건물일체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및 건물부착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6065A (ko) 2012-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0301B1 (ko)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US9412890B1 (en) Photovoltaic module pin electrical connectors
US7804023B2 (en) Bifacial thin film solar cell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8887453B2 (en) Supporting structures for building integrable photovoltaic modules
US8613169B2 (en) Electrical routing structures for building integrable photovoltaic arrays
US8414308B1 (en) Electrical connectors for building integrable photovoltaic modules
US20180323322A1 (en) Electrical connectors of building integrable photovoltaic modules
US9771719B2 (en) Solar cell module-equipped panel and exterior building material using same
US9236832B2 (en) Interconnecting strips for building integrable photovoltaic modules
US8701361B2 (en) Rooftop system with integrated photovoltaic module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US20130169056A1 (en) Multi-module inverters and converters for building integrable photovoltaic modules
KR20190088717A (ko) 태양광 발전용 루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루버창
US20130067836A1 (en) Building integrable interconnection structures having field-configurable shapes
KR20130102287A (ko) 태양광발전 미닫이 창호
KR20140036083A (ko) 복층 단열유리 구조를 갖는 태양전지 모듈
CN103500768B (zh) 一种柔性太阳能组件及其制作方法
US9653634B2 (en) Interlocking edges having electrical connectors for building integrable photovoltaic modules
KR20150112182A (ko) 태양전지 지붕패널의 구조
CN209729921U (zh) 太阳能电池模块
US20120285533A1 (en) Construction material structure for use with solar power
JP3198925U (ja) 太陽電池フレーム構造
US8631613B1 (en) Interlocking lips on building integrable photovoltaic module edges
KR101135974B1 (ko) 건물장착형 태양전지창호의 지지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건물장착형 태양전지창호
KR101506705B1 (ko) 인버터 일체형 고전압 bipv 태양전지 패널
KR20130098659A (ko) 태양전지모듈 고정용 프로파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