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9128B1 - Aed operation method by measuring impedance of electrodes pad - Google Patents

Aed operation method by measuring impedance of electrodes pa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9128B1
KR101259128B1 KR1020120127080A KR20120127080A KR101259128B1 KR 101259128 B1 KR101259128 B1 KR 101259128B1 KR 1020120127080 A KR1020120127080 A KR 1020120127080A KR 20120127080 A KR20120127080 A KR 20120127080A KR 101259128 B1 KR101259128 B1 KR 101259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ad
impedance
electrode
aed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70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정회
이병석
최무진
Original Assignee
(주)나눔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나눔테크 filed Critical (주)나눔테크
Priority to KR1020120127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912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9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91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25Monitoring; Protec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6Specially adapted for shock therapy, e.g. defibril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8Arrangements or circuits for monitoring, protecting, controlling or indic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93User interfaces for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7Machine fault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8Arrangements or circuits for monitoring, protecting, controlling or indicating
    • A61N2001/083Monitoring integrity of contacts, e.g. by impedance measur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Neur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PURPOSE: An operation guidance method of automatic defibrillator is provided to manufacture electrode pad of simple structure with measuring impedance of electrode pad using impedance measuring circuit in which an automatic defibrillator is built. CONSTITUTION: An operation guidance method of automatic defibrillator using impedance measure of electrode pad comprises following steps. Impedance of electrode pad is measured. Determine as the electrode pad is not connected to automatic defibrillator if impedance measurement value is 200ohms or greater and show to user through video processing apparatus or audio output device. Guide user to attach electrode pad to patient's body through video processing apparatus or audio output device it impedance measurement value is less than 15ohms. Determine that electrode pad is ordinarily attached to patient body if impedance measurement value is over 15ohms and less than 200ohms. [Reference numerals] (AA) Starting defibrillation; (BB) Measuring the impedance of an electrode pad; (CC) Electrode pad impedance > 200Ω (DD) Electrode pad impedance < 15Ω (EE) Electrocardiogram analysis step; (FF) Guiding the connection of the electrode pad; (GG) Guiding the attachment of the electrode pad on a patient;

Description

전극패드의 임피던스 측정을 이용한 자동제세동기 작동 안내방법{AED operation method by measuring impedance of electrodes pad}AED operation method by measuring impedance of electrodes pad

본 발명은 자동제세동기 작동 안내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전극패드의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자동제세동기와 전극패드의 연결상태를 사전 확인하고, 환자 몸에 전극패드가 부착되는 과정을 안내하며, 정상적으로 부착된 상태에서 자동제세동기가 작동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안내하여 위급상황시 신속 정확한 대처를 할 수 있도록 한 발명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guiding an automatic defibrillator, specifically, to measure the impedance of the electrode pad to check the connection between the automatic defibrillator and the electrode pad in advance, and to guide the process of attaching the electrode pad to the patient's body. The invention is to guide the user to operate the AED in the attached state so that the user can quickly and accurately cope with an emergency.

자동제세동기(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는 자동으로 심장세동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심장박동이 정지되어 각 조직으로 혈류가 중단되면서 생체활동에 필수적인 산소 등의 공급이 중단되는 현상인 급성심정지(SCA: Sudden Cardiac Arrest) 현상이 발생할 때, 외부로부터 전기충격을 주어서 심장박동을 정상적으로 돌아오도록 하는 장치이며, 통상적으로 전극패드, 고압전기 충격회로부, 심전도 측정회로부, 중앙처리장치 등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 is a device that automatically removes cardiac fibrillation, acute cardiac arrest (SCA) is a phenomenon in which the supply of oxygen, which is essential for biological activity, is stopped as the heartbeat is stopped and blood flow is interrupted to each tissue. : Sudden Cardiac Arrest) It is a device to return the heart rhythm normally by giving an electric shock from the outside when it occurs, and is usually composed of an electrode pad, a high voltage electric shock circuit part, an ECG measurement circuit part, and a central processing device.

상기 자동제세동기에 사용되는 전극 패드(Electrodes Pad)는 심장세동 제거를 목적으로 환자에게 전기펄스를 전달하도록 구성된 패드로서 감시 기능이나 치료 기능도 제공할 수 있고 일회용으로 사용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전극패드의 안쪽에는 환자에게 밀착 접촉되어 전기펄스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이드로젤(Hydrogel)이 발라져 있다.
Electrode pad (Electrodes Pad) used in the AED is a pad configured to deliver the electric pulse to the patient for the purpose of cardiac defibrillation can provide a monitoring function or treatment function and is configured to be used for one-time use, Hydrogel is applied inside to deliver electric pulse in close contact with the patient.

현재 출시되는 국내외 자동제세동기는, 전극패드와 자동제세동기가 미리 연결된 상태로 출시되는 모델과 전극패드와 자동제세동기가 분리된 상태로 출시되는 모델이 있다. 출시되면서 전극패드가 연결되어 있는 자동제세동기의 경우라 할지라도 제조공정상 또는 전극패드 사용후 재설치 과정에서 관리자의 실수로 인하여 자동제세동기에서 전극패드가 분리된 상태로 보관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긴급 상황에 놓인 사용자가 자동제세동기로부터 전극패드가 분리된 줄을 모른 상태에서 사용하는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거나, 자동제세동기와 전극패드가 분리된 상태로 출시된 후 이를 연결하지 아니한 상태로 보관될 경우에는 경황 중의 사용자가 전극패드를 자동제세동기에 연결하지 못하여 위험 상황을 초래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Currently, domestic and overseas AEDs include a model in which an electrode pad and an AED are pre-connected and a model in which an electrode pad and an AED are released in a separated state. Even in the case of an automatic defibrillator having an electrode pad connected to the market, the electrode pad may be kept separated from the automatic defibrillator due to an administrator's mistake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r reinstallation after using the electrode pad. Dangerous situations may arise where a user in an emergency situation does not know that the electrode pad is separated from the AED, or may be stored unconnected after the AED and electrode pad are released. In some cases, the user may not be able to connect the electrode pad to the AED, which may cause a dangerous situation.

그러나 지금까지의 자동제세동기 작동을 안내하는 선행기술을 보면, 상기 전극패드가 자동제세동기에 정상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전극패드를 환자 몸에 정상적으로 부착시킬 수 있음을 전제로 하고 있다. 아래에서는 관련 선행기술을 살펴본다.
However, the prior art for guiding the operation of the AED has been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electrode pad can be normally attached to the AED while the user can normally attach the AED to the patient's body. The following describes the related prior art.

먼저 특허 제1069421호(동영상 기능을 갖는 제세동기)에는, 전극에 연결된 감지부가 임피던스 신호를 전극에 인가하여 되돌려 받는 신호의 크기에 따라 전극이 환자에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구성과, 동영상 제어부를 통해 전극을 환자 가슴에 부착하는 동영상 및 음향을 출력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First, in Patent No. 1069421 (defibrillator having a video function), a sensing unit connected to an electrode applies an impedance signal to the electrode to detect whether the electrode is in contact with the patient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signal received and the video control unit, Disclosed is a configuration for outputting video and sound through which the electrode is attached to the patient's chest.

그러나 상기 기술에는 자동제세동기와 전극이 정상 연결되었음을 전제로 하는 것이라서, 자동제세동기와 전극이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제시되는 명령에 따라 자동제세동기 작동을 할 수 없고, 보관함에 보관 중인 전극의 상태가 유효한 상태인지를 전혀 알 수 없으며, 전극포장 개봉 후 전극이 환자 몸에 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어부가 전극에 인가된 임피던스 신호로부터 아무런 신호를 수신할 수 없게 되는 가운데 사용자는 단지 부착지시 명령만 듣게 되어 경황 중에 제세동기 작동이 원활치 않게 되는 문제가 있다.
However, the above technique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AED and the electrode are normally connected, and when the AED and the electrode are not connected, the AED cannot be operated according to a command given by the user, and It is impossible to know at all whether the state is valid. If the electrode is not attached to the patient after opening the electrode package, the control unit cannot receive any signal from the impedance signal applied to the electrod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efibrillator operation is not smooth during the situation.

특허 제969974호(원격지에서 응급구호장치의 상태를 파악하는 응급구호장치를 이용한 구호시스템 및 구호방법)는, 공공장소에 자동제세동기를 설치하고, 응급상황 발생시 구호요원에게 구호장치의 위치와 사용방법을 제공하는 기술로서, 그에는 대부분의 제세동기 관련 특허가 거의 유사하게 제시하고 있다시피 단지 응급상황 발생시 자동제세동기가 환자의 몸에 부착된 상태에서 전기충격을 가하여 정상적인 심장박동이 일어나게 한다는 정도의 실시 내용만 있을 뿐이고, 그와 달리 본 발명이 가지는 '자동제세동기와 전극패드의 연결상태를 사전 확인하고, 환자 몸에 전극패드가 부착되는 과정을 안내하며, 정상적으로 부착된 상태에서 자동제세동기가 작동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구성'은 전혀 나타나 있지 않다.
Patent No. 969974 (Relief Systems and Relief Systems Using Emergency Relief Devices to Identify the Status of Emergency Relief Devices at Remote Sites), provides automatic defibrillators in public places, and provides relief workers with location and use of relief devices in emergency situations. As a technique for providing a defibrillator, most of the patents related to the defibrillator are presented in a similar manner, only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the defibrillator is applied to the patient's body while applying an electric shock to cause a normal heartbeat. Only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ntrast, the automatic defibrillator and electrode pad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firmed in advance, the electrode pad is attached to the patient's body to guide the process, the automatic defibrillator can be operated in a normally attached state. Configuration to guide the user so that it does not appear at all.

공개특허 2012-76711(전극 상태 유효성 판단을 위한 제세동 전극감시장치를 포함한 제세동기와 그 방법)에는 전극 구성과 이의 유효성 여부를 판단하는 기술이 소개되어 있다. 즉 위 기술의 '제세동 전극은 한 쌍의 부착할 수 있는 전극을 포함하고 있으며, 한 쌍의 전극은 표면이 전도성 젤로 구성되어 환자의 상태를 측정하고 전기충격을 가할 수 있는 매개체 역할을 하며, 한 쌍의 전극 표면인 전도성 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건조되기 때문에 이를 위하여 개봉 측정상태 및 사용여부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 따라서 제세동 전극은 전도성 연결선을 포함하고 있으며, 전도성 연결선은 전극의 사용 유무에 대해 판단할 수 있다.'고 기재하고 있으며, '전도성 연결선이 절단되면 해당 정보를 파악하여 기존에 보유하고 있던 전극에 대한 정보와 비교하여 전극 교체시기를 판단한다.'라고 기재하고 있다.
Patent Publication No. 2012-76711 (a defibrillator including a defibrillation electrode sensor for determining the validity of the electrode and its method) introduces a technique for determining the electrode configuration and its validity. In other words, the defibrillation electrode of the above technique includes a pair of attachable electrodes, and the pair of electrodes is composed of a conductive gel, which serves as a medium for measuring a patient's condition and applying an electric shock. Since the conductive gel, which is the surface of the pair of electrodes, dries over time, information about the open measurement status and use is required for this purpose. Therefore, the defibrillation electrode includes a conductive connection line, and the conductive connection line can determine whether the electrode is used or not. ' The timing of electrode replacement is determined by comparison with the information. '

그런데 위 기술은 전극패드와 제세동기 사이의 전도성 연결선 절단 유무를 감지하여 전극패드의 유효성 판단과 교체를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자동제세동기와 전극패드의 연결상태를 사전 확인하고, 환자 몸에 전극패드가 부착되는 과정을 안내하며, 정상적으로 부착된 상태에서 자동제세동기가 작동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구성'은 전혀 나타나 있지 않다.
However, the above technique is to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conductive connection line between the electrode pad and the defibrillator to determine the validity and replacement of the electrode pad, and in advance to check the connection between the automatic defibrillator and the electrode pa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of guiding the electrode pad and guiding the user to operate the AED in the normally attached state is not shown at all.

아울러 특허 제1165024호(전극상태 검사를위한 광센서를 포함한 제세동 장치 및 그 방법)에는, '전극패킹, 젤이 포함된 전극단면, 빛의 투과가 가능한 재질의 필름, 빛의 투과가 가능한 재질의 비전도성 필름, 제세동기 연결커넥터'로 이루어진 제세동기 전극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In addition, Patent No. 1165024 (defibrillation device including optical sensor for inspecting electrode status and method thereof) includes, for example, an electrode packing, an electrode cross section containing gel, a film that allows light to pass through, and a material that allows light to pass through. A defibrillator electrode configuration consisting of a non-conductive film, a defibrillator connector is disclosed.

그런데 위 기술은 일측에서 빛을 발광하고 타측에서 빛을 수광하여 투과량을 측정한 뒤, 젤 경화로 인해 투과량이 급격히 낮아지는 시점부터 전극의 교체를 판단하는 기술로서, 투과량 측정 및 판단을 위해 발광을 제어하는 발광제어부, 수광처리부, 수광분석부, 분석전달부, 경고알림부 등 별도의 센서 및 구성, 판단시스템을 구비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이 역시 본 발명이 제시하고자 하는 '자동제세동기와 전극패드의 연결상태를 사전 확인하고, 환자 몸에 전극패드가 부착되는 과정을 안내하며, 정상적으로 부착된 상태에서 자동제세동기가 작동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구성'은 전혀 나타나 있지 않다.
However, the above technology is a technology for determining the replacement of the electrode from the point where the light is emitted from one side and the light is received from the other side to measure the transmittance, and then the transmittance rapidly decreases due to gel curing. In addition to having a separate sensor, configuration, and judgment system, such as a light emission control unit, a light receiving processor, a light receiving analyzer, an analysis transmitting unit, a warning notification unit, and the like,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poses an automatic defibrillator and an electrode pad. The configuration of confirming the connection state in advance, guides the process of the electrode pad is attached to the patient body, and guides the user to operate the AED in a normally attached state, 'there is not shown at all.

본 발명은 임피던스를 측정할 수 있는 구조의 전극패드를 제시하고 이를 이용한 자동제세동기의 작동안내방법을 제시함으로써,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ode pad of the structure capable of measuring the impedance and by presenting the operation guide method of the AED using the same,

사용자가 자동제세동기와 전극패드의 연결상태를 사전에 확인할 수 있고, 환자 몸에 전극패드를 부착하는 과정을 용이하게 안내받을 수 있어 위급상황시 신속 정확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함에 목적이 있다.
The user can check the connection between the automatic defibrillator and the electrode pad in advance, and the user can be easily guided the process of attaching the electrode pad to the patient's body so that the user can quickly and accurately cope with an emergency.

또한 전극패드 제조를 위한 재료의 절감 및 제조공정의 간소화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전극패드에 도포되는 하이드로젤의 건조 경화 속도를 지연시키고 수명을 연장하는 전극패드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ode pad which delays the dry curing rate of the hydrogel applied to the electrode pad and prolongs its life, as well as reducing the material for manufacturing the electrode pad and simplify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본 발명의 전극패드의 임피던스 측정을 이용한 자동제세동기 작동 안내방법은, 자동제세동기(10)에 사용되는 전극패드(20)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임피던스 측정단계, 상기 임피던스 측정치가 200Ω 이상이면 상기 전극패드(20)가 자동제세동기(10)에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전극패드 연결상태 판단단계, 상기 전극패드 연결상태 판단단계에서 상기 전극패드(20)와 자동제세동기(10)가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영상출력장치(16)나 음성출력장치(17)를 통해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전극패드 연결안내단계, 상기 전극패드(20)와 자동제세동기(10)가 연결되고, 상기 임피던스 측정치가 15Ω 미만이면 영상출력장치(16)나 음성출력장치(17)를 통해 사용자에게 환자의 몸에 전극패드(20)를 부착하도록 안내하는 전극패드 부착안내단계, 환자 몸에 상기 전극패드(20)를 부착하고 임피던스 측정치가 15Ω 이상 200Ω 미만이면 전극패드(20)가 환자 몸에 정상적으로 부착된 것으로 판단하는 전극패드 정상부착 판단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utomatic defibrillator operation guidance method using the measurement of the impedance of the electrode pa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pedance measuring step of measuring the impedance of the electrode pad 20 used in the automatic defibrillator 10, if the impedance measurement value is 200Ω or more the electrode The electrode pad connection state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that the pad 20 is not connected to the AED 10, the electrode pad 20 and the AED 10 are not connected in the electrode pad connection state determination step.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lectrode pad connection guide step for guiding the user through the image output device 16 or the audio output device 17, the electrode pad 20 and the automatic defibrillator 10 is connected, the impedance measurement value Is less than 15Ω, the electrode pad attachment guide step for guiding the user to attach the electrode pad 20 to the patient through the image output device 16 or the audio output device 17, the image on the patient's bod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attaching the electrode pad 20 and the impedance measurement is a back electrode pads 20 is less than 200Ω 15Ω over the top electrode pad attached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to have been properly attached to the patient's body.

또한 상기 임피던스 측정단계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제1, 2전극패드(21, 22) 사이에 전류를 인가하여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In addition, the impedance measuring step is characterized by measuring by applying a current between the pair of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ds (21, 22),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전극패드(20)는, 내측에 젤이 도포된 전도성시트(211, 221)를 각각 부착시켜 이루어진 제1, 2전극패드(21, 22)와, 상기 제1, 2전극패드(21, 22) 사이에 위치하고, 다수의 임피던스 측정구멍(24)이 형성된 양면 코팅 라이너(23)로 이루어지되, 제1전극패드(21), 양면 코팅 라이너(23), 제2전극패드(22)가 순차적으로 밀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electrode pad 20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ds 21 and 22 formed by attaching conductive sheets 211 and 221 coated with gel on the inside thereof, and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Located between the pads 21 and 22, the double-sided coating liner 23 having a plurality of impedance measuring holes 24 formed therein, the first electrode pad 21, the double-sided coating liner 23, and the second electrode pad ( 22) is characterized in that made in close contact sequentially.

아울러 상기 임피던스 측정구멍(24)은 양면 코팅 라이너(23)의 테두리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임피던스 측정구멍(24)으로 인해 형성된 관통면적은 1,000~2,000 mm²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impedance measuring hole 24 is formed in the edge portion of the double-sided coating liner 23, characterized in that the through area formed by the impedance measuring hole 24 is 1,000 ~ 2,000 mm².

본 발명은, 전극패드의 임피던스 측정치에 의해 사용자가 자동제세동기와 전극패드의 연결상태를 사전에 확인할 수 있고, 환자 몸에 전극패드를 부착하는 과정을 용이하게 안내받을 수 있어 위급상황시 신속 정확하게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check the connection between the AED and the electrode pad in advance by measuring the impedance of the electrode pad, and can easily guide the process of attaching the electrode pad to the patient's body to quickly and accurately cope with an emergency. It can be effective.

또한 자동제세동기에 내장된 임피던스 측정회로를 이용하여 전극패드의 임피던스를 측정함으로써 발광제어부나 수광처리부 등의 별도의 센서 및 구성이 필요치 않고, 전선을 추가 배설할 필요가 없이 단순화된 구조의 전극패드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by measuring the impedance of the electrode pad using the impedance measuring circuit built in the AED,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 a sensor and configuration such as a light emitting control part or a light receiving processing part, and a simplified structure of the electrode pad without the need for additional wire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produced.

아울러 한 쌍의 전극패드를 양면 코팅 라이너를 개재시켜 부착하는 구조이므로, 제조를 위한 재료의 절감 및 제조공정의 간소화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제1, 2전극패드 내측에 각각 도포되는 하이드로젤이 양측의 제1, 2전극패드에 의해 밀착 압력을 받게 되어 외부로의 수분 증발이 더디어져 하이드로젤의 건조 경화 속도가 지체되는 효과가 있고 전극패드의 수명을 연장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a pair of electrode pads are attached to each other via a double-sided coating liner, a hydrogel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ds is not only brought about to reduce the material for manufacturing and to simplify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 1, 2 electrode pads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evaporation of moisture to the outside is slow, and the dry curing rate of the hydrogel is delayed and the life of the electrode pads is extend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극패드 연결확인 및 부착안내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극패드의 각 구성별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극패드의 밀착조립 모습
도 4는 자동제세동기에 본 발명의 전극패드가 연결된 모습
1 is a flow chart of the electrode pad connection confirmation and attachment gu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each configuration of the electrode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lose assembly of the electrode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of the electrode pad of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ed to the A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자동제세동기(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는 자동으로 심장세동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심장박동이 정지되어 각 조직으로 혈류가 중단되면서 생체활동에 필수적인 산소 등의 공급이 중단되는 현상인 급성심정지(SCA: Sudden Cardiac Arrest) 현상이 발생할 때, 외부로부터 전기충격을 주어서 심장박동을 정상적으로 돌아오도록 하는 장치이다.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 as shown in Figure 4 is a device for automatically removing the cardiac fibrillation, the heart beat is stopped and blood flow to each tissue is stopped, the supply of oxygen, etc. essential for biological activity is stopped When the Sudden Cardiac Arrest (SCA) phenomenon occurs, it is a device that gives an electric shock from the outside to return the heartbeat to normal.

위와 같은 자동제세동기(10)는, 임피던스 측정회로(12), 심전도 측정회로(13), 고압전기 충격 및 충전회로(14), 중앙처리장치(15), 영상출력장치(16) 및 음성출력장치(17)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utomatic defibrillator 10 as described above, impedance measurement circuit 12, electrocardiogram measurement circuit 13, high-voltage electric shock and charging circuit 14,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5, the image output device 16 and audio output Device 17 and the like.

자동제세동기(10)에 내장된 위 임피던스 측정회로(12)는 통상 인체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회로이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임피던스 측정회로(12)에 릴레이스위치(11)를 연결하여 본 발명의 전극패드(20)를 부착한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종래기술인 특허 제1165024호(전극상태 검사를위한 광센서를 포함한 제세동 장치 및 그 방법)와 같은 별도의 센서 및 구성(발광제어부, 수광처리부 등)이 필요치 않고, 전선을 추가 배설할 필요도 없어 구조를 단순화하면서도 본 발명의 전극패드 자가진단을 실시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The impedance measuring circuit 12 embedded in the AED 10 is a circuit for measuring impedance of a human body,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ay switch 11 is connected to the impedance measuring circuit 12 to connect the electrode of the present invention. Attach the pad 20. Therefore,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sensor and configuration (emission control unit, light receiving unit, etc.) such as the aforementioned patent 1165024 (a defibrillation device including an optical sensor for inspecting the electrode state and its method), and additional wires need to be disposed. There is also an advantage that the electrode pad self-diagnosi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erformed while simplifying the structure.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전극패드(20)는 환자에게 전기펄스를 전달하는 패드이며, 전극패드 연결선(25)과 릴레이스위치(11)를 통해 자동제세동기(10)의 임피던스 측정회로(12)와 연결된다. 중앙처리장치(15)는 릴레이스위치(11)와 임피던스 측정회로(12)를 제어하고, 임피던스 측정회로(12)에서 측정한 임피던스 값을 이용하여 영상출력장치(16)와 음성출력장치(17)를 통해 관리자 또는 사용자에게 전극패드(20)의 상태를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전극패드(20)에서 심전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릴레이스위치(11)를 이용하여 심전도 측정 회로(13)와 연결하고, 전기 충격을 줄 경우에는 릴레이스위치(11)를 이용하여 고압전기 충격 및 충전회로(14)에 연결한다.
The electrode pad 20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d for delivering an electric pulse to the patient, and is connected to the impedance measuring circuit 12 of the AED 10 through the electrode pad connecting line 25 and the relay switch 11. d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5 controls the relay switch 11 and the impedance measuring circuit 12, and uses the impedance value measured by the impedance measuring circuit 12 to output the video output device 16 and the audio output device 17. It is configured to deliver the state of the electrode pad 20 to the administrator or the user through. In addition, in order to measure the electrocardiogram at the electrode pad 20, the relay switch 11 is connected to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circuit 13, and in the case of giving an electric shock, the relay switch 11 is used for the high voltage electric shock and charging circuit. (14).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극패드(20)는,2 and 3, the electrode pad 20 of the present invention,

내측에 젤이 도포된 전도성시트(211, 221)를 각각 부착시켜 이루어진 제1, 2전극패드(21, 22)와, 상기 제1, 2전극패드(21, 22) 사이에 위치하고, 다수의 임피던스 측정구멍(24)이 형성된 양면 코팅 라이너(23)로 이루어지되, 제1전극패드(21), 양면 코팅 라이너(23), 제2전극패드(22)가 순차적으로 밀착되어 이루어져 있다.
A plurality of impedances are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ds 21 and 22 and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ds 21 and 22 formed by attaching the conductive sheets 211 and 221 coated with gel on the inside thereof. The measuring hole 24 is formed of the double-sided coating liner 23, but the first electrode pad 21, the double-sided coating liner 23, the second electrode pad 22 is mad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구체적으로 상기 전극패드(20)는 오른쪽 빗장뼈(쇄골) 아래에 붙이는 제1전극패드(21)와 왼쪽 젖꼭지 아래 중간 겨드랑이선에 부착하는 제2전극패드(22)로 구성되며, 각 전극패드(21, 22)의 안쪽에는 염화은(AgCl) 시트 위에 하이드로젤이 발라진 전도성 시트(211, 221)가 각각 부착되어 있고, 상기 전도성 시트(211, 221)는 리벳(26)을 이용하여 전극패드 연결선(25)과 연결되는데 이는 통상의 자동제세동기에 채택되고 있는 공지의 구성이다.
Specifically, the electrode pad 20 includes a first electrode pad 21 attached under the right clavicle (clavicle) and a second electrode pad 22 attached to the middle armpit line under the left nipple, and each electrode pad ( 21 and 22, conductive sheets 211 and 221 coated with hydrogel are attached to silver chloride (AgCl) sheets, respectively, and the conductive sheets 211 and 221 are connected to electrode pads using rivets 26. 25, which is a known configuration that is employed in conventional AEDs.

그러나 본 발명의 전극패드(20)는 상기 제1, 2전극패드(21, 22) 사이에 한 장의 양면 코팅 라이너(Liner)(23)가 개재되어 제1전극패드(21), 양면 코팅 라이너(23), 제2전극패드(22)가 순차적으로 밀착되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종래의 전극패드와는 구조가 상이하다.
However, in the electrode pad 20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double-sided coating liner 23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ds 21 and 22 so that the first electrode pad 21 and the double-sided coating liner ( 23) The structure i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electrode pads in that the second electrode pads 22 are sequentially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종래에는 한 쌍으로 구비된 각각의 전극패드에 전도성시트가 부착되고 그에 다시 코팅필름이 부착되어 코팅필름이 전도성시트에 발라진 하이드로젤의 건조를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동일 구조로 된 한 쌍의 전극패드에 대하여 위급상황시 사용자가 각각의 전극패드를 별도로 개봉하여야 하여 대처의 신속성이 뒤떨어지고 또한 하이드로젤의 수분 유지압이 그 외측에 부착되는 코팅필름에 의해서만 유지되므로 하이드로젤의 건조 경화도가 신속히 진행되는 단점이 있었다. 종래의 전극패드 각각은 밀봉용기에 넣어져 출시되기는 하나 밀봉용기 내의 잔류 공기로 인해 하이드로젤의 건조 경화가 시작되고 또한 하이드로젤은 그 속성상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경화됨을 피할 수 없는 물질이다.
Conventionally, a conductive sheet is attached to each of the electrode pads provided as a pair and a coating film is attached thereto to prevent the coating film from drying of the hydrogel applied to the conductive sheet. Therefore, in case of emergency, the user has to open each electrode pad separately for a pair of electrode pads with the same structure, and it is inferior in the promptness and the water holding pressure of the hydrogel is maintained only by the coating film attached to the outside. Therefore, there was a disadvantage that the dry curing degree of the hydrogel proceeds quickly. Conventional electrode pads are each released in a sealed container, but dry curing of the hydrogel starts due to residual air in the sealed container, and the hydrogel is a material that cannot be cured over time due to its properties.

본 발명의 상기 제1, 2전극패드(21, 22) 사이에는 비전도성 양면 코팅 라이너(23)가 개재되어 있다. 상기 양면 코팅 라이너(23)는 상기 제1, 2전극패드(21, 22)가 상호 붙어 있다가 쉽게 떼어 낼 수 있도록 코팅이 되어 있으며, 그에 다수의 임피던스 측정구멍(24)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전극 패드(21), 양면 코팅 라이너(23), 제2전극패드(22)가 순차적으로 밀착되게 되면 각 전극패드에 부착된 하이드로젤이 상기 임피던스 측정구멍(24)을 통해 스며들게 되므로 제1, 2전극패드(21, 22)는 밀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A nonconductive double coated liner 23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ds 21 and 22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uble-sided coating liner 23 is coated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ds 21 and 22 are easi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impedance measuring holes 24 are formed therein. When the first electrode pad 21, the double-sided coating liner 23, and the second electrode pad 22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sequentially, the hydrogel attached to each electrode pad penetrates through the impedance measurement hole 24. The two electrode pads 21 and 22 are kept in close contact.

위와 같은 구조의 전극패드(20)는 한 장의 양면 코팅 라이너(23)를 개재시켜 한 쌍의 전극패드를 부착하는 구조이므로, 제조를 위한 재료의 절감 및 제조공정의 간소화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제1, 2전극패드(21, 22) 내측에 각각 발라지는 하이드로젤이 양측의 제1, 2전극패드(21, 22)에 의해 밀착 압력을 받게 되어 외부로의 수분 증발이 더디어져 하이드로젤의 건조 경화 속도가 지체되는 효과가 있고 이는 전극패드의 수명을 연장하는 효과로 이어지는 것이다.
Since the electrode pad 20 having the above structure has a structure in which a pair of electrode pads are attached to each other via a single-sided double-coated liner 23, not only the reduction of materials for manufacturing and the simplification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but also the first, The hydrogel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two electrode pads 21 and 22 is subjected to the close pressure by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ds 21 and 22 on both sides, so that moisture evaporation to the outside is slowed down, and the dry curing rate of the hydrogel is slow. There is a delay effect, which leads to the effect of extending the life of the electrode pad.

본 발명의 전극패드(20) 임피던스 측정은 위와 같이 한 쌍으로 이루어진 제1, 2전극패드(21, 22) 사이에 다수의 임피던스 측정구멍(24)이 형성된 양면 코팅 라이너(23)를 개재시키고 상기 제1, 2전극패드(21, 22)에 전류를 인가하여 측정한다.
The impedance measurement of the electrode pad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by interposing a double-sided coating liner 23 having a plurality of impedance measurement holes 24 formed between the pair of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ds 21 and 22 as described above. The current is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ds 21 and 22 and measured.

전극패드(20)에 도포되거나 칠해지는 하이드로젤은 공기와 접하거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건조 경화되고, 하이드로젤이 경화되면 제1, 2전극패드(21, 22)의 하이드로젤 간의 임피던스가 증가되고, 전극패드(20)의 전기펄스를 전달하는 기능이 저하된다. 따라서 그로 인한 전극패드(20)의 수명이 다하기 전에 미리 교체해 주어야 한다.
The hydrogel applied to or coated on the electrode pad 20 is dried and cured in contact with air or over time, and when the hydrogel is cured, the impedance between the hydrogel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ds 21 and 22 is increased. The function of transmitting the electric pulse of the electrode pad 20 is reduced. Therefore, before the end of the life of the resulting electrode pad 20 should be replaced in advance.

본 발명의 양면 코팅 라이너(23)에는 임피던스 측정구멍(24)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 2전극패드(21, 22)에 인가된 전류의 흐름을 가능케 하며 그로부터 임피던스 측정을 용이하게 하되, 상기 임피던스 측정구멍(24)은 테두리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하이드로젤이 외측으로부터 건조되기 시작하므로 외측부분인 테두리로부터 경화를 신속히 감지할 수 있고 이어서 전극패드를 적기에 교체할 수 있기 때문이다.
Since the impedance measuring hole 24 is formed in the double-sided coating liner 23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rrent applied to the second electrode pads 21 and 22 enables the flow of the current and facilitates the impedance measurement therefrom. The hole 24 is preferably formed in the edge portion. Because the hydrogel starts to dry from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quickly detect the curing from the outer edges and then replace the electrode pads in a timely manner.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임피던스 측정구멍(24)으로 인해 형성된 관통면적은 1,000~2,000 mm²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극패드(20)의 크기에 따라 상기 임피던스 측정구멍(24) 전체가 차지하는 면적이 달라질 수도 있겠으나, 임피던스의 원활한 측정을 위해서는 1,000~2,000 mm²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구멍 형성으로 인한 총 관통면적이 1,000mm²이하일 경우에는 전류 흐름을 방해하여 임피던스값이 과도하게 높게 측정될 수 있으며, 2,000 mm²이상일 경우에는 임피던스 측정치의 변화가 없고, 제1, 2전극패드(21, 22)의 부착력이 너무 세서 사용시에 떼어내기 쉽지 않고, 하이드로젤이 한 쪽으로 몰리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hrough area formed by the impedance measuring hole 24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1,000 ~ 2,000 mm². The area occupied by the entire impedance measuring hole 24 may var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electrode pad 20, but it is preferably 1,000 to 2,000 mm 2 to measure the impedance smoothly. If the total penetration area due to the hole formation is less than 1,000 mm², the impedance value may be excessively measured due to the interruption of current flow. If the total penetration area is more than 2,000 mm², the impedance measurement value does not change, and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ds 21 , 22) is too strong to be peeled off during use, and may cause hydrogel to drift to one side.

다음으로 위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전극패드의 임피던스 측정을 이용한 자동제세동기 작동 안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Nex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the automatic defibrillator operation guide method using the impedance measurement of the electrode pad having the above structure.

본 발명의 자동제세동기 작동 안내방법은, The automatic defibrillator operation guidanc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자동제세동기(10)에 사용되는 전극패드(20)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임피던스 측정단계, 상기 임피던스 측정치가 200Ω 이상이면 상기 전극패드(20)가 자동제세동기(10)에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전극패드 연결상태 판단단계, 상기 전극패드 연결상태 판단단계에서 상기 전극패드(20)와 자동제세동기(10)가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영상출력장치(16)나 음성출력장치(17)를 통해 사용자에게 환자의 몸에 전극패드(20)를 부착하도록 안내하는 전극패드 연결안내단계, 상기 전극패드(20)와 자동제세동기(10)가 연결되고, 상기 임피던스 측정치가 15Ω 미만이면 영상출력장치(16)나 음성출력장치(17)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극패드 부착을 안내하는 전극패드 부착안내단계, 환자 몸에 상기 전극패드(20)를 부착하고 임피던스 측정치가 15Ω 이상 200Ω 미만이면 전극패드(20)가 환자 몸에 정상적으로 부착된 것으로 판단하는 전극패드 정상부착 판단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Impedance measurement step of measuring the impedance of the electrode pad 20 used in the automatic defibrillator 10, if the impedance measurement is 200 kHz or more, it is determined that the electrode pad 20 is not connected to the automatic defibrillator 1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lectrode pad 20 and the AED 10 are not connected in the electrode pad connection state determination step and the electrode pad connection state determination step, the image output device 16 or the audio output device 17 is determined. Electrode pad connection guide step for guiding the user to attach the electrode pad 20 to the body of the patient through, the electrode pad 20 and the automatic defibrillator 10 is connected, if the impedance measurement is less than 15Ω image output Electrode pad attachment guide step of guiding electrode pad attachment to the user through the device 16 or the voice output device 17, attaching the electrode pad 20 to the patient's body, the impedance measurement is 15Ω or more 200Ω Only the surface of the electrode pad 20, the electrode pad top attachment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to have been properly attached to the patient's body; comprises a.

상기 임피던스 측정단계는 자동제세동기(10)에 내장된 임피던스 측정회로(12)에서 상기 제1, 2전극패드(21, 22)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단계이다.
The impedance measuring step is a step of measuring the impedance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ds 21 and 22 in the impedance measuring circuit 12 built in the AED 10.

전극패드 연결상태 판단단계는, 사용자가 전극패드(20)를 사용하기 전에 자동제세동기(10)와 전극패드(20)가 연결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본 출원인의 실험결과 상기 임피던스 측정치가 200Ω 이상일 경우에는 자동제세동기(10)의 전기충격이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전극패드(20)가 자동제세동기(10)에 연결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임피던스 측정치는 장비의 최대값으로 표시된다. 즉 상기 임피던스 측정치가 200Ω 이상이면 전극패드(20)와 자동제세동기(10)가 연결이 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표시하고, 자동제세동기(10)의 전기충격 작동이 되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변수를 모두 상기 전극패드(20)가 자동제세동기(10)에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The electrode pad connection state determination step is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AED 10 and the electrode pad 20 are connected before the user uses the electrode pad 20. Applicant's experiment results that the electric shock of the automatic defibrillator 10 does not occur when the impedance measurement is 200 kHz or more. In addition, when the electrode pad 20 is not connected to the AED 10, the impedance measurement is displayed as the maximum value of the equipment. That is, when the impedance measurement is 200 Ω or more, the electrode pad 20 and the AED 10 are not connected, and the AED 10 does not operate as the electric shock of the AED 10. All of the parameters are determined to be that the electrode pad 20 is not connected to the AED 10.

전극패드 연결안내단계는, 상기 전극패드 연결상태 판단단계에서 상기 전극패드(20)와 자동제세동기(10)가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영상출력장치(16)나 음성출력장치(17)를 통해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출력 안내에 따라 전극패드(20)와 자동제세동기(10)를 연결하면 된다. 제품 출시 모델과는 상관없이 시스템 설치시에는 자동제세동기(10)와 전극패드(20)가 연결되도록 설치하나, 만약 최초 설치시 부주의나 전극패드 사용 후 재 설치과정에서 관리자의 실수로 인해 분리된 상태로 존재할 경우에는 경황 중 촌각을 다투는 실제 상황의 사용자는 막상 어떠한 동작도 취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위와 같이 긴급 상황하에서도 사용자가 침착하게 자동제세동기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In the electrode pad connection guide step,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lectrode pad 20 and the AED 10 are not connected, the image output device 16 or the audio output device 17 is determined. It is a step to guide the user through. Therefore, the user may connect the electrode pad 20 and the AED 10 according to the output guidance. Regardless of the product release model, the AED 10 and the electrode pad 20 are installed at the time of system installation, but if the initial installation is inadvertently removed due to the administrator's mistake during the re-installation after using the electrode pad In the presence of a state, the user of the actual situation competing for angles during the situation will not be able to take any ac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llowing the user to calmly operate the AED even in an emergency situation by adopting the above configuration.

다음으로 전극패드 부착안내단계는, 본 발명의 전극패드(20)와 자동제세동기(10)가 연결되고, 상기 임피던스 측정치가 15Ω 미만이면 영상출력장치(16)나 음성출력장치(17)를 통해 사용자에게 환자의 몸에 전극패드(20)를 부착하도록 안내하는 단계이다.
Next, the electrode pad attachment guide step, the electrode pad 2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utomatic defibrillator 10 is connected, if the impedance measurement is less than 15 kHz through the image output device 16 or the audio output device 17 The user is guided to attach the electrode pad 20 to the body of the patient.

전극패드(20) 최초 생산시의 임피던스 측정치는 5Ω이다. 시간경과에 따라 하이드로젤이 경화되기 시작하면 상기 측정치가 일부 올라가기는 하나 임피던스 측정치가 15Ω 미만일 경우에는 전극패드의 전기펄스 전달기능이 여전히 최초 생산시와 같은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으며, 제1, 2전극패드(21, 22)가 서로 분리되지 않고 양면 코팅 라이너(23)를 개재시킨 상태에서 밀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따라서 이를 통하여 현재 사용자가 전극패드(20)를 분리하지 않은 상태 즉 환자 몸에 전극패드(20)를 부착하지 않은 상태로 판단하는 것이다.
The impedance measurement at the time of production of the electrode pad 20 is 5 kW. As the hydrogel begins to harden over time, the measurement is partially increased, but when the impedance measurement is less than 15 kHz, the electric pulse transfer function of the electrode pad is still maintained at the same level as in the initial production. The electrode pads 21 and 22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without the two-side coating liner 23 interposed therebetween. Therefore, through this, the user is currently determined to be in a state in which the electrode pad 20 is not separated, that is, the state in which the electrode pad 20 is not attached to the patient's body.

전극패드 정상부착 판단단계는, 환자 몸에 상기 전극패드(20)를 부착하고 임피던스 측정치가 15Ω 이상 200Ω 미만이면 전극패드(20)가 환자 몸에 정상적으로 부착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이다. 인체로부터 측정되는 정상 임피던스는 25 ~ 200Ω이다. 즉 상기 전극패드(20)가 환자의 몸에 부착될 경우에는 임피던스 측정치가 인체로부터 측정되는 15Ω 이상 200Ω 범위 내의 값으로 측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임피던스가 위와 같은 범위 내로 측정된다면 이는 상기 전극패드(20)가 환자의 몸에 정상적으로 부착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이다.
The electrode pad normal attachment determination step is a step in which the electrode pad 20 is attached to the patient's body and the electrode pad 20 is normally attached to the patient's body when the impedance measurement is 15 kΩ or more and less than 200 kΩ. Normal impedance measured from the human body is 25 ~ 200Ω. That is, when the electrode pad 20 is attached to the body of the patient, the impedance measurement value should be measured to a value within the range of 15 Hz or more and 200 Hz measured from the human body. Therefore, if the impedance is measured within the above range, it is determined that the electrode pad 20 is normally attached to the body of the patient.

위와 같은 과정은 자동제세동기라는 장치 자체가 수행하는 기능이라기 보다는 위급 상황에 대처하게 되는 사용자가 직접 수행해야 할 과정이다. 즉 아무리 우수한 장치가 있다 하더라도 위와 같은 과정을 사용자가 침착하게 수행하지 않는다면, 위 과정 이후 즉 자동제세동기의 심전도 분석단계나 고압전기 충격단계와 같은 후속 단계들은 실질적으로 효력을 발휘할 수 없다.
The above process is not a function performed by the device itself called a defibrillator, but rather a process that a user must cope with an emergency situation. That is, no matter how good the device is, if the user does not perform the above process calmly, subsequent steps such as electrocardiogram analysis step or high voltage electric shock step of the AED cannot be effectively applied.

본 발명에서 수치로 제시한 임피던스 측정치는 본 발명의 전극패드를 이용할 때 자동제세동기를 가장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극패드의 수명 및 환자의 치료정도를 감안하여 추출해 낸 수치이다. 따라서 각 수치를 기준하여 약간의 차이는 발생할 수 있겠지만, 위와 같은 구조의 전극패드를 사용하여 그 임피던스를 측정하고 그에 따른 자동제세동기 작동은 위급 환자에 대한 대응 신속성과 기기 작동효율성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될 것이다.
Impedance measurements presented numeric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value extracted in consideration of the life of the electrode pad and the degree of treatment of the patient can be used most efficiently when using the electrode pa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a slight difference may occur based on each value, but the measurement of the impedance using the electrode pad of the above structure and the operation of the defibrillator accordingly will greatly contribute to the rapid response to emergency patients and the efficiency of operation of the device. Will have the effect.

10 : 자동제세동기 20 : 전극패드
21 : 제1전극패드 211 : 전도성시트
22 : 제2전극패드 221 : 전도성시트
23 : 양면코팅 라이너 24 : 임피던스 측정구멍
25 : 전극패드 연결선 26 : 리벳
11 : 릴레이스위치 12 : 임피던스 측정회로 13 : 심전도 측정회로
14 : 고압전기 충격 및 충전회로 15 : 중앙처리장치
16 : 영상출력장치 17 : 음성출력장치
10: automatic defibrillator 20: electrode pad
21: first electrode pad 211: conductive sheet
22: second electrode pad 221: conductive sheet
23: double coated liner 24: impedance measuring hole
25: electrode pad connecting line 26: rivet
11 relay switch 12 impedance measuring circuit 13 electrocardiogram measuring circuit
14: high voltage electric shock and charging circuit 15: central processing unit
16: video output device 17: audio output device

Claims (5)

제1전극패드(21), 테두리 부분에 1,000~2,000 mm²의 관통면적이 형성된 임피던스 측정구멍(24)을 구비한 양면 코팅 라이너(23), 제2전극패드(22)로 이루어진 전극패드(20)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임피던스 측정단계,
상기 임피던스 측정치가 200Ω 이상이면 상기 전극패드(20)가 자동제세동기(10)에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전극패드 연결상태 판단단계,
상기 전극패드 연결상태 판단단계에서 상기 전극패드(20)와 자동제세동기(10)가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영상출력장치(16)나 음성출력장치(17)를 통해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전극패드 연결안내단계,
상기 전극패드(20)와 자동제세동기(10)가 연결되고, 상기 임피던스 측정치가 15Ω 미만이면 영상출력장치(16)나 음성출력장치(17)를 통해 사용자에게 환자의 몸에 전극패드(20)를 부착하도록 안내하는 전극패드 부착안내단계,
환자 몸에 상기 전극패드(20)를 부착하고 임피던스 측정치가 15Ω 이상 200Ω 미만이면 전극패드(20)가 환자 몸에 정상적으로 부착된 것으로 판단하는 전극패드 정상부착 판단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패드의 임피던스 측정을 이용한 자동제세동기 작동 안내방법.
An electrode pad 20 including a first electrode pad 21, a double-sided coating liner 23 having an impedance measuring hole 24 having a through area of 1,000 to 2,000 mm ² formed on an edge thereof, and a second electrode pad 22. Impedance measuring step of measuring the impedance of,
Determining whether the electrode pad 20 is not connected to the AED 10 when the impedance measurement is 200 Ω or more;
When the electrode pad 20 and the AED 10 are not connected in the determining of the electrode pad connection state, the electrode guides the user through the image output device 16 or the audio output device 17. Pad connection guide step,
When the electrode pad 20 and the AED 10 are connected, and the impedance measurement is less than 15 kHz, the electrode pad 20 to the user's body through the image output device 16 or the audio output device 17. Electrode pad attachment guide to guide the attachment step,
Attaching the electrode pad 20 to the patient's body and determining whether the electrode pad 20 is normally attached to the patient's body when the impedance measuremen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15 Hz and less than 200 Hz;
Automatic defibrillator operation guidance method using the impedance measurement of the electrode pad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측정단계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제1, 2전극패드(21, 22) 사이에 전류를 인가하여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패드의 임피던스 측정을 이용한 자동제세동기 작동 안내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impedance measuring step of the automatic defibrillator operation guide method using the impedance measurement of the electrode pad, characterized in that for measuring by applying a current between the pair of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ds (21,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패드(20)는,
내측에 젤이 도포된 전도성시트(211, 221)를 각각 부착시켜 이루어진 제1, 2전극패드(21, 22)와,
상기 제1, 2전극패드(21, 22) 사이에 위치하고, 다수의 임피던스 측정구멍(24)이 형성된 양면 코팅 라이너(23)로 이루어지되,
제1전극패드(21), 양면 코팅 라이너(23), 제2전극패드(22)가 순차적으로 밀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패드의 임피던스 측정을 이용한 자동제세동기 작동 안내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lectrode pad 20,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ds 21 and 22 formed by attaching conductive sheets 211 and 221 coated with gel on the inside thereof,
Loca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ds (21, 22), it is made of a double-sided coating liner 23 formed with a plurality of impedance measuring holes 24,
The first electrode pad 21, the double-sided coating liner 23, the second electrode pad 2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automatic defibrillator operation guide method using the impedance measurement of the electrode pad, characterized in that made in sequenc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20127080A 2012-11-12 2012-11-12 Aed operation method by measuring impedance of electrodes pad KR1012591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7080A KR101259128B1 (en) 2012-11-12 2012-11-12 Aed operation method by measuring impedance of electrodes pa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7080A KR101259128B1 (en) 2012-11-12 2012-11-12 Aed operation method by measuring impedance of electrodes pa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9128B1 true KR101259128B1 (en) 2013-04-29

Family

ID=48443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7080A KR101259128B1 (en) 2012-11-12 2012-11-12 Aed operation method by measuring impedance of electrodes pa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912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3855A (en) * 2018-12-31 2020-07-09 (주)나눔테크 Pad attaching guide system of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nd And method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1685A (en) * 2004-02-10 2006-10-27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External defibrillator with training mode and method of us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1685A (en) * 2004-02-10 2006-10-27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External defibrillator with training mode and method of us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3855A (en) * 2018-12-31 2020-07-09 (주)나눔테크 Pad attaching guide system of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nd And method thereof
KR102143705B1 (en) 2018-12-31 2020-08-12 (주)나눔테크 Pad attaching guide system of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nd And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0471E1 (en) AED with force sensor
US8005552B2 (en) Assessing medical electrode condition
US9802034B2 (en) Medical equipment electrodes
US6575914B2 (en) Integrated cardiac resuscitation system with ability to detect perfusion
JP5108527B2 (en)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for adult and pediatric patients
RU2017125782A (en) PORTABLE CARRIOVER-DEFIBRILLATOR (NKD) AND METHOD FOR INCREASING CONVENIENCE AND MORE LONG WEARING
JP5539214B2 (en) Repositionable electrodes and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ng electrodes for cardiac therapy
JP4245923B2 (en) 4-contact identification defibrillator electrode system
EP2482917B1 (en) Pre-connected electrode pads with reduced susceptibility to false asystole indications by a defibrillator
JP2016513496A (en) Reduced defibrillation pad contact detection
WO1998039061A9 (en) Wearable defibrillation system
US6658291B2 (en) Electrode system for improved detection of pad contact and artifact detection or removal
US7590456B2 (en) Triangular or crescent shaped defibrillation electrode
KR102143705B1 (en) Pad attaching guide system of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nd And method thereof
JP2016526975A (en) Integrated resuscitation device and method with a perfusion monitor
KR101236914B1 (en) Electrodes pad and self-diagnosis method thereof
JP2010508939A (en) Inflatable release liner for defibrillator electrode pads
KR101259128B1 (en) Aed operation method by measuring impedance of electrodes pad
EP2982410B1 (en) Defibrill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defibrillator
EP2749316B1 (en) Lifesaving support system
CN102970922A (en) Emergency pediatric ECG lead set with integrated instructions
KR101968492B1 (en) Taser aed
CN112839576B (e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guidance method, guidance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102404108B1 (en) Pad check system for AED
CN112714664B (en) Defibrillator and electrode she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