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9901B1 -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9901B1
KR101249901B1 KR1020110060832A KR20110060832A KR101249901B1 KR 101249901 B1 KR101249901 B1 KR 101249901B1 KR 1020110060832 A KR1020110060832 A KR 1020110060832A KR 20110060832 A KR20110060832 A KR 20110060832A KR 101249901 B1 KR101249901 B1 KR 101249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ommunication network
view
viewpoint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0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0245A (ko
Inventor
강민훈
강래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0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9901B1/ko
Priority to US13/495,847 priority patent/US9008732B2/en
Priority to EP12172498.3A priority patent/EP2538688B1/en
Publication of KR20130000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9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9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56Image reproducers having separate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94Transmission of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49Multi-view displays for displaying three or more geometrical viewpoints without viewer tra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1Adapting the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network, e.g.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3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a mobile phon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1Multimode Transmission, e.g. transmitting basic layers and enhancement layers of the content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or transmitting with different error corrections, different keys or with different transmission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video data, e.g 3D vide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에 따르면 제1 통신망에서 및 제2 통신망에 접속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제1 통신망은 레거시(legacy) 망, 상기 제2 통신망은 LTE(Long Term Evolution) 망일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2D 영상과 3D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2D 영상을 재생하고, 사용자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요청 신호를 입력받아, 현재 접속중인 통신망의 환경에 따라 상기 3D 영상의 수신이 가능한지 판단한다. 상기 3D 영상의 수신이 가능한 경우 서버로부터 상기 3D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3D 영상의 수신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2D 영상을 수신하며, 상기 3D 영상을 수신한 경우 상기 3D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2D 영상이 수신된 경우 상기 2D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3D 멀티뷰 영상은 다양한 뷰포인트(viewpoint)에서 촬영된 영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대용량의 3D 멀티뷰 영상을 끊김없이 제공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모드와 뷰포인트 전환 시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3D 멀티뷰 기능이 제공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다른 여러 단말들과 동시에 메시지를 주고 받거나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채팅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그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무선 인터넷 등과 같은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게 되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기기의 형태로 구현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적 측면에서 새로운 시도들이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 등이 있다.
또한 현재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무선 접속(radio access)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축이 광범위하게 전개됨에 따라, 고용량 데이터의 고속 전송, 끊김없는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해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무선통신 환경에 부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기능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새로운 망 환경에서 3D 멀티뷰 영상을 선택, 제공 및 편집 가능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제1 통신망에서 및 제2 통신망에 접속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망에 접속하는 단계; 서버로부터 상기 제1 통신망과 상기 제2 통신망 중 어느 하나의 통신망을 통해 2D 영상과 3D 싱글뷰 영상 중 하나 이상의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통신망에 접속하는 경우,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2 통신망을 통해 3D 멀티뷰 영상을 더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드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2D 영상, 상기 3D 싱글뷰 영상, 상기 3D 멀티뷰 영상 중 하나 이상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통신망에서 및 제2 통신망에 접속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제1 통신망에 접속하고, 서버로부터 상기 제1 통신망과 상기 제2 통신망 중 어느 하나의 통신망을 통해 2D 영상과 3D 싱글뷰 영상 중 하나 이상의 영상을 수신하며 상기 제2 통신망에 접속하는 경우,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2 통신망을 통해 3D 멀티뷰 영상을 더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사용자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드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2D 영상, 상기 3D 싱글뷰 영상, 상기 3D 멀티뷰 영상 중 하나 이상의 영상을 처리하여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가 출력한 상기 영상 신호에 따라, 상기 2D 영상, 상기 3D 싱글뷰 영상, 상기 3D 멀티뷰 영상 중 하나 이상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통신망은 레거시(legacy) 망, 상기 제2 통신망은 LTE 망이며, 상기 3D 멀티뷰 영상은 상기 3D 싱글뷰 영상이 다양한 뷰포인트(viewpoint)에서 영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를 3D 영상 시청 시, 다양한 뷰포인트에 따른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보다 많은 용량의 데이터가 빠르게 전송될 수 있는 망 환경이 제공된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고 사용자의 선택폭을 넓힐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뷰포인트에 따른 3D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기기로서의 기능을 증진시킬 수 있다. 3D 멀티뷰 영상을 제공함과 동시에 뷰포인트의 전환과 선택에 있어 사용자 편의를 확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동작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3D 영상의 깊이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영상 또는 3D 오브젝트의 깊이감이 가변되는 모습을 나타난 도면,
도 7은 3D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3D 영상신호 포맷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2D 영상과 3D 영상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11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12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15 내지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멀티뷰 영상 제공 또는 뷰포인트 제어를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가 동작하는 모습을 예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카메라, 네비게이션, 타블렛 컴퓨터(tablet computer), 이북(e-book) 단말기 등이 포함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가 동작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은 E-UMTS(Evolved-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망 구조일 수 있다. E-UMTS 시스템은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이라고 지칭될 수도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10; User Equipment, UE)는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단말(Terminal), UT(User Terminal), MS(Mobile station),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 (Wireless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기지국(20)은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10)와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말하며, BS(Base Station),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하나의 기지국(20)에는 하나 이상의 셀(21)이 존재할 수 있다.
기지국(20) 간에는 사용자 트래픽 혹은 제어 트래픽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도 있다. 기지국(20)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0)로의 통신은 이하에서 하향링크(downlink)로,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기지국(20)으로의 통신은 상향링크(uplink)로 지칭될 수 있다.
기지국(20)들은 X2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기지국(20)은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EPC(Evolved Packet Core), 보다 상세하게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S-GW(Serving Gateway, 30)와 연결된다. S1 인터페이스는 기지국(20)과 MME/S-GW(30) 간에 다수-대-다수 관계(many-to-many-relation)를 지원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시스템 중앙의 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와 기지국(20)을 연결하는 S1 인터페이스와, 기지국(20)이 현재 시스템 상에 존재하는 다른 셀(cell)들의 기지국(20)들과의 직접적인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라인인 X2 인터페이스를 설정함으로써 셋업된다. S1 인터페이스는 기지국(20)이 MME와 신호를 교환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이동을 지원하기 위한 OAM(Operation and Management)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X2 인터페이스는 기지국(20)들 간 빠른 핸드오버(fast handover)를 위한 신호 및 로드 인디케이터(load indicator) 정보, 자가 최적화(Self-optimization)를 위한 정보를 교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기지국(20)은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1) 무선 베어러 제어(Radio Bearer Control), 무선 승인 제어(Radio Admission Control), 연결 이동성 제어(Connection Mobility Control), 이동통신 단말기(10)로의 동적 자원 할당(dynamic resource allocation)와 같은 무선 자원 관리(Radio Resource Management; RRM) 기능, (2) IP(Internet Protocol) 헤더 압축 및 사용자 데이터 스트림의 해독(encryption), (3) S-GW로의 사용자 평면 데이터의 라우팅(routing), (4) 페이징(paging) 메시지의 스케줄링 및 전송, (5) 브로드캐스트(broadcast) 정보의 스케줄링 및 전송, (3)이동성과 스케줄링을 위한 측정과 측정 보고 설정.
MME(40, Mobile Mobility Entity)는 기지국(20)과 S-GW(Serving Gateway)간의 신호제어를 담당하고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인입되는 데이터를 어느 곳으로 라우팅할지를 결정한다. MME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1) 기지국(20)들로 페이징 메시지의 분산, 2) NAS(Non Access Spectrum) 시그널링(NAS signaling), 및 NAS 시그널링 보안(NAS signaling security)과 암호화/비암호화(ciphering/deciphering)및 무결 보호(Integrity Protection), 3) LTE망 내에서의 핸드오버 제어(Controling the intra-LTE handover), 4) 트래킹 영역 리스트 관리(Tracking Area list management), 5)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acket date network GateWay,P-GW)와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 S-GW)의 선택(P-GW and S-GW selection for a UE), 6) 핸드오버를 위한 MME 선택 및 변경(MME selection for handovers with MME change), 7) 2G 또는 3G, 3GPP 액세스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를 위한 SGSN 선택 (SGSN selection for handovers to 2G or 3G 3GPP access networks), 8) 휴지 모드에 있는 단말의 추적 및 페이징 제어(Idle mode UE tracking and paging control), 9) 단말 인증(Authentication/Authorization of the user via HSS interworking), 10) 합법적인 시그널링 차단(Lawful interception of signalling), 1) 단말 도달성 프로시저(UE reachability procedures), 12) 단말의 임시 아이디 생성 및 할당(Generation and allocation of temporary identities to UE).
S-GW(30, Serving GateWay)는 기지국(20)과 기지국(20) 간, 3GPP네트웍과 E-UTRAN 간의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이동에 대한 앵커링(anchoring) 기능을 담당한다. 그리고 P-GW(50, Packet date network GateWay)는 LTE에서 데이터 트래픽(data traffic)이 IMS로 인입되는 접점이면서 LTE와 non-3GPP 네트워크 간의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이동에 대한 앵커링(anchoring)을 담당한다. 또한 타 통신망들(61, 62, 63)들과도 연결된다. 타통신망들은 전화망, 유선인터넷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S-GW(30)는 GPRS 터널링 프로토콜(GTP) 또는 프록시 모바일 IPv6(PMIPv6) 프로토콜과 같은 2개의 개별적인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는 S5 인터페이스를 통해 PDN-GW(50)에 연결된다. PIMP를 사용할 경우, S-GW(30)는 또한 Gxc 인터페이스를 통해 PCRF에 직접 연결되어, PMIPv6 프로토콜에서 사용할 수 없는 이벤트 보고 기능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한다. PMIPv6는 EPS 베어러를 필요로 하지 않고 IP 연결을 유지한다. EPS 베어러는 적절한 QoS를 통해 UE에서 P-GW(50)로 이동한다.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DN-GW 또는 P-GW, 50)는 패킷 데이터 인터페이스 종료점이며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와 인터페이스한다. PDN-GW(50)는 외부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와의 세션에 대한 앵커링 기능을 제공하며, 가장 중요 기능 중 하나는 사용자 별 기반 패킷 필터링 기능으로서 게이팅 및 요금 적용 정책뿐만 아니라 서비스 수준에 따른 요금 부과를 가능케 하는 것이다.
사용자 평면 LTE 트래픽은 서비스 데이터 플로우(SDF: Service Data Flow)에서 이루어지며 특정한 필터 정책이나 템플릿에 일치하는 가상 연결 세트상에서 통합된다. SDF는 다시 EPS 베어러상에서 전달된다. EPS 베어러는 UE와 P-GW(50) 사이에 공통적인 QoS 처리를 받는 데이터의 흐름을 고유하게 식별한다. P-GW(50)와 S-GW(30)의 기능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LTE와 non-3GPP 기술 간의 이동성 앵커링(Mobility anchoring between LTE and non-3GPP technologies(e.g., WiMax, 3GPP2)), 2)단말의 연결 관리(UE connection management), 3)PCRF와 연동을 통한 정책 강화(Policy enforcements via interworking with PCRF), 4) 요금 부과 지원(Charging support), 5) 사용자별 패킷 필터링(Per-user based packet filtering), 6) Lawful interception, 7) 단말의 IP 할당(UE IP allocation), 8) 패킷 스크리닝(Packet screening).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블럭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을 참조하면, 본 이동통신 단말기(1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3), 무선 인터넷 모듈(115), 근거리 통신 모듈(117), 및 GPS 모듈(1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이때,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나,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113)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방송수신 모듈(111)은, 이와 같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3)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7)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19)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3)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3)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 (123)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를 회전시키는 조그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이나, 핑거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센싱부(140)는 감지센서(141), 압력센서(143), 및 모션 센서(14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센서(141)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접근하는 물체나,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 등을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감지센서(141)는, 교류자계의 변화나 정자계의 변화를 이용하거나, 혹은 정전용량의 변화율 등을 이용하여 근접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감지센서(141)는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압력센서(143)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압력이 가해지는지 여부와, 그 압력의 크기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압력센서(143)는 사용환경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압력의 검출이 필요한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만일, 압력센서(143)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설치되는 경우, 압력센서(14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한 터치 입력과, 터치 입력보다 더 큰 압력이 가해지는 압력터치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압력센서(14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압력터치 입력시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도 알 수 있다.
모션 센서(145)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위치나 움직임 등을 감지한다. 모션 센서(145)에 사용될 수 있는 가속도 센서는 어느 한 방향의 가속도 변화에 대해서 이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 주는 소자로서,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가속도 센서에는, 자동차의 에어백 시스템에 내장되어 충돌을 감지하는데 사용하는 큰 값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부터, 사람 손의 미세한 동작을 인식하여 게임 등의 입력 수단으로 사용하는 미세한 값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까지 다양한 종류가 있다. 가속도 센서는 보통 2축이나 3축을 하나의 패키지에 실장하여 구성되며, 사용 환경에 따라서는 Z축 한 축만 필요한 경우도 있다. 따라서, 어떤 이유로 Z축 방향 대신 X축 또는 Y축 방향의 가속도 센서를 써야 할 경우에는 별도의 조각 기판을 사용하여 가속도 센서를 주 기판에 세워서 실장할 수도 있다.
또한, 자이로 센서는 각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기준 방향에 대해 돌아간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이다. 출력부(15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 모듈(153), 알람부(155), 및 햅틱 모듈(157)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되거나 수신된 영상을 각각 혹은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만일,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은 외부에 부착되는 투명한 패널로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내부 버스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 패널은 접촉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가, 터치입력이 있는 경우 대응하는 신호들을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로 보낸다.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는 그 신호들을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하여, 제어부(180)가 터치입력이 있었는지 여부와 터치스크린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자종이(e-Paper)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자종이(e-Paper)는 일종의 반사형 디스플레이로서, 기존의 종이와 잉크처럼 높은 해상도, 넓은 시야각, 밝은 흰색 배경으로 우수한 시각 특성을 가진다. 전자종이(e-Paper)는 플라스틱, 금속, 종이 등 어떠한 기판상에도 구현이 가능하고, 전원을 차단한 후에도 화상이 유지되고 백라이트(back light) 전원이 없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배터리 수명이 오래 유지될 수 있다. 전자종이로는 정전화가 충전된 반구형 트위스트 볼을 이용하거나, 전기영동법 및 마이크로 캡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내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음향출력 모듈(153)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출력 모듈(153)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 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15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5)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5)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알람부(155)는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알람부(155)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알람부(155)가 출력하는 신호를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출력 모듈(153)를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7)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7)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 효과가 있다. 햅틱 모듈(157)이 촉각 효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경우, 햅택 모듈(157)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변환가능하며,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7)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 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7)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7)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의 예로는,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 UIM(User Identity Module) 카드 등과 같은 카드 소켓,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통신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이동통신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연결된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위성 기반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프레임(frame) 또는 패킷(packet)을 통하여 데이터(data)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 보기로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이동통신 단말기들 중에서 전면 터치스크린이 구비되어 있는, 바 타입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바 타입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3를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0-1)와 리어 케이스(100-2)에 의해 형성된다. 프론트 케이스(100-1)와 리어 케이스(100-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0-1)와 리어 케이스(100-2)는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본체,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0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출력모듈(153a), 제1 카메라(121a), 및 제1 내지 제3 사용자 입력부(130a, 130b, 130c)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리어 케이스(100-2)의 측면에는 제4 사용자 입력부(130d), 제5 사용자 입력부(130e), 및 마이크(123)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1 음향출력 모듈(153a)은 리시버 또는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123)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5 사용자 입력부(130a, 130b, 130c, 130d, 130e)와 후술하는 제6 및 제7 사용자 입력부(130f, 130g)는 사용자 입력부(130)라 통칭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내지 제3 사용자 입력부(130a, 130b, 130c)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4 사용자 입력부(130d)는 동작 모드의 선택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5 사용자 입력부(130e)는 이동통신 단말기(100)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도 4을 참조하면, 리어 케이스(100-2)의 후면에는 제2 카메라(121b)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으며, 리어 케이스(100-2)의 측면에는 제6 및 제7 사용자 입력부(130f, 130g)와,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카메라(121b)는 제1 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카메라(121a)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제2 카메라(121b)에 인접하게는 플래쉬(미도시)와 거울(미도시)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카메라(121b) 인접하게 다른 카메라를 더 설치하여 3차원 입체 영상의 촬영을 위해 사용할 수도 있다.
플래쉬는 제2 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은 사용자가 제2 카메라(121b)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리어 케이스(100-2)에는 제2 음향출력 모듈(미도시)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음향출력 모듈은 제1 음향출력 모듈(153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와 데이터가 교환되는 통로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톤 케이스(100-1) 및 리어 케이스(100-2)의 일 영역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는 리어 케이스(100-2)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0-2) 측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리어 케이스(10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 카메라(121b) 등이 리어 케이스(100-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2 카메라(121b)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카메라(121a)를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카메라(121b)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3D 영상의 깊이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3D 영상은 복수시점 영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시점 영상을 좌안과 우안을 통하여 볼 수 있다. 사용자는 좌안과 우안을 통하여 감지되는 영상의 차이를 통하여 3D 영상의 입체감을 느낄 수 있다. 3D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복수시점 영상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좌안을 통하여 인식할 수 있는 좌안 영상 및 우안을 통하여 인식할 수 있는 우안 영상으로 이루어진다.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되는 좌안 영상(201)과 우안 영상(202) 간의 간격에 따라 동일한 영상 또는 동일한 3D 오브젝트의 깊이감이 달라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151)의 깊이는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보다 돌출되어 위치하고 있는 것처럼 인식되는 3D 영상의 깊이는 양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설정하고, 그 반대의 3D 영상의 깊이는 음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5의 (a)에 도시된 좌안 영상(201)과 우안 영상(202) 간의 간격은 a이다. 그리고 도 5의 (b)에 도시된 좌안 영상(201)과 우안 영상(202) 간의 간격은 b이다. 여기서 a보다 b가 크다. 즉, 도 5의 (a)에 도시된 예보다 도 5의 (b)에 도시된 예에서 좌안 영상(201)과 우안 영상(202) 간의 간격이 더 넓다.
이 경우, 도 5의 (a)에 도시된 3D 영상 또는 3D 오브젝트의 깊이감보다 도 5의 (b)에 도시된 3D 영상 또는 3D 오브젝트의 깊이감이 더 크다. 각각의 경우 깊이값을 각각 a', b'라 표시하는 경우, a<b의 관계에 따라 a'<b'의 관계도 성립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즉 돌출되어 보이는 3D 영상을 구현하고자 하는 경우, 좌안 영상(201)과 우안 영상(202) 간의 간격을 넓히거나 좁힘에 따라, 표현되는 깊이감과 입체감이 더 커지거나 작아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영상 또는 3D 오브젝트의 깊이감이 가변되는 모습을 나타난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바에 따르면, 3D 영상은 다시점 영상으로 구성되고, 여기서 다시점 영상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으로 예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간의 간격에 의해 사용자 입장에서 상이 맺히는 것으로 인식되는 위치가 달라지는 모습이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간격 또는 시차에 따라 사용자에게 느껴지는 영상의 입체감 또는 원근감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에서는 각기 다른 깊이감을 가지는 복수의 영상 또는 복수의 오브젝트들이 도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오브젝트는 볼륨 조절 버튼, 채널 조절 버튼, PIP(Picture in picture) 영상,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나타내는 EPG, 영상표시장치의 다양한 메뉴, 위젯, 아이콘, 네비게이션 탭, 스크롤 바, 프로그래시브 바, 텍스트 박스, 윈도우 등일 수 있다.
이들 영상 또는 오브젝트를 제1 오브젝트(315), 제2 오브젝트(325), 제3 오브젝트(335), 제4 오브젝트(345)라 지칭하도록 한다.
즉, 제1 오브젝트(315)는 제1 좌안 영상신호에 기초하는 제1좌안 영상과 제1 우안 영상신호에 기초하는 제1 우안 영상으로 구성된다. 즉, 제1 오브젝트를 표시하기 위한 영상신호는 제1 좌안 영상신호와 제1 우안 영상신호로 구성된다. 도 6은 제1 좌안 영상신호에 기초하는 제1 좌안 영상과 제1 우안 영상신호에 기초하는 제1 우안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위치에 표시되는지를 나타낸다. 또한 도 6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제1 좌안 영상과 제1 우안 영상 간의 간격을 나타낸다. 상기 제1 오브젝트의 설명은 제2 내지 제4 오브젝트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하나의 오브젝트를 위해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되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그리고 두 영상 간에 설정된 간격 및 해당 오브젝트의 일련번호를 통일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오브젝트(315)는 제1 우안 영상(313, 도 6에 R1으로 표시됨)과 제1 좌안 영상(311, 도 6에 L1으로 표시됨)으로 구성된다. 제1 우안 영상(313)과 제1 좌안 영상(311) 사이의 간격은 d1으로 설정되어 있다. 사용자는 좌안(301)과 제1 좌안 영상(311)을 연결하는 연장성 및 우안(303)과 제1 우안 영상(303)을 연결하는 연장선이 교차되는 지점에 상이 맺히는 것처럼 인식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오브젝트(315)가 디스플레이부(180)보다 뒤에 위치하는 것처럼 인식한다.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디스플레이부(180)와 제1 오브젝트(315) 사이의 거리는 깊이로 표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180)보다 뒤쪽에 위치하고 있는 것처럼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3D 오브젝트가 가지는 깊이는 음의 값(-)을 가진다. 따라서, 제1 오브젝트(315)가 가지는 깊이는 음의 값을 가진다.
제2 오브젝트(325)는 제2 우안 영상(323, R2로 표시됨)과 제2 좌안 영상(321, L2로 표시됨)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우안 영상(323)과 제2 좌안 영상(321)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동일한 위치에 표시된다. 제2 우안 영상(323)과 제2 좌안 영상(321) 사이의 간격은 0이다. 사용자는 좌안(301)과 제2 좌안 영상(321)을 연결하는 연장선 및 사용자의 우안(303)과 제2 우안 영상(323)을 연결하는 연장선이 교차되는 지점에 상이 것처럼 인식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2 오브젝트(325)가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것처럼 인식한다. 이 경우 제2 오브젝트(325)는 2D 오브젝트라 지칭될 수 있으며, 3D 오브젝트라 지칭될 수 있다. 제2 오브젝트(325)는 디스플레이부(180)와 동일한 깊이를 가지는 오브젝트로서, 제2 오브젝트(325)가 가지는 깊이는 0이 된다.
제3 오브젝트(335)와 제4 오브젝트(345)는 디스플레이부(180)에서 사용자를 향하여 돌출되어 위치하고 있는 것처럼 인식되는 3D 오브젝트들을 설명하기 위한 예들이다. 더 나아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간의 간격의 변화에 따라 사용자에게 인지되는 원근감이나 입체감의 정도가 달라짐을 제3 오브젝트(335)와 제4 오브젝트(345)의 예를 참조하여 설명할 수 있다.
제3 오브젝트(335)는 제3 우안 영상(333, R3로 표시됨)과 제3 좌안 영상(331, L3로 표시됨)으로 구성된다. 제3 우안 영상(333)과 제3 좌안 영상(331) 사이의 간격은 d3으로 설정되어 있다. 사용자는 좌안(301)과 제3 좌안 영상(331)을 연결하는 연장선 및 우안(303)과 제3 우안 영상(333)의 연장선이 교차되는 지점에 상이 맺히는 것처럼 인식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3 오브젝트(325)가 디스플레이부(180)보다 앞쪽, 즉 사용자에게 가까운 쪽에 위치하고 있는 것처럼 인식한다. 즉 제3 오브젝트(335)는 디스플레이부(180)에서 사용자를 향하여 돌출되어 위치하고 있는 것처럼 사용자에게 인식된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180)보다 앞쪽에 위치하고 있는 것처럼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3D 오브젝트가 가지는 깊이는 양의 값(+)을 가진다. 따라서, 제3 오브젝트(335)의 깊이는 양의 값을 가진다.
제4 오브젝트(345)는 제4 우안 영상(343, R4로 표시됨)과 제4 좌안 영상(341, L4로 표시됨)으로 구성된다. 제4 우안 영상(343)과 제4 좌안 영상(341) 사이의 간격은 d4으로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d3와 d4 간에는 'd3<d4'의 부등식이 성립된다. 사용자는 좌안(301)과 제4 좌안 영상(341)을 연결하는 연장선 및 우안(303)과 제4 우안 영상(343)의 연장선이 교차되는 지점에 상이 맺히는 것처럼 인식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4 오브젝트(345)는 디스플레이부(180)보다 앞쪽, 즉 사용자에게 가까운 쪽에 위치하는 것은 물론, 제3 오브젝트(335)보다도 사용자에게 더 가깝에 위치하는 것으로 인식한다. 즉 제4 오브젝트(345)는 디스플레이부(180) 및 제3오브젝트(335)보다 사용자를 향하여 돌출되어 위치하고 있는 것처럼 사용자에게 인식된다. 제4 오브젝트(345)가 가지는 깊이 양의 값을 가지게 된다.
영상표시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으로 구성되는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부(180)보다 뒤에 위치하는 것처럼 사용자에게 인식되거나 앞에 위치하는 것처럼 사용자에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영상표시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표시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으로 구성되는 오브젝트의 깊이감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도 6을 참조한 설명에 따르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좌우 표시위치에 따라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으로 구성되는 오브젝트의 깊이가 양의 값(+)을 가지는지 혹은 음의 값(-)을 가지는지 결정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깊이가 양의 값(+)을 가지는 오브젝트는 디스플레이부(180)보다 돌출되어 위치하고 있는 것처럼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오브젝트이다. 또한, 깊이가 음의 값(-)을 가지는 오브젝트는 디스플레이부(180)보다 후퇴하여 위치하고 있는 것처럼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오브젝트이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간의 간격의 절대값에 따라 오브젝트의 깊이감, 즉 3D 영상이 위치하고 있는 것처럼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지점과 디스플레이부(180) 사이의 거리가 달라짐을 설명할 수 있다.
도 7은 3D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3D 영상신호 포맷의 예를 도시하는 도이다. 3D 영상신호 포맷은 3D 영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생성 또는 수신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배치하는 방법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좌,우로 배치되는 방식은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포맷이라 지칭된다.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상,하로 배치하는 방식은 탑 다운(Top / Down) 포맷이라 칭한다.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시분할로 배치하는 방식은 프레임 시퀀셜(Frame Sequential) 포맷이라 칭한다.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라인 별로 혼합하는 방식을 인터레이스 (Interlaced) 포맷이라 칭한다. 도 7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박스별로 혼합하는 방식을 체커 박스(Checker Box) 포맷이라 칭한다.
제어부(180)는 믹싱된 3D 영상신호의 포맷을 관련된 데이터신호를 참조하여 판별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판별한 포맷에 적합하도록 3D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출력될 수 있는 3D 영상신호 포맷이 제한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80)는 수신한 3D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출력될 수 있는 3D 영상신호 포맷에 적합하도록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3D 영상신호의 포맷 판별과 변환 등의 영상신호 처리, 출력 등을 위해 3D 디스플레이를 위한 포맷터(미도시)를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2D 영상과 3D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3D 영상은 3D 싱글뷰 영상과 3D 멀티뷰 영상으로 구분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의 (a)는 2D 영상(410)을 도시한다. 앞서도 설명하였으나, 2D 영상(410)은 깊이감을 가지지 않는 영상으로서, 그 깊이값이 0인 영상이다. 2D 영상(410)은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한 평면상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사용자에게 인식된다.
도 8의 (b)는 3D 싱글뷰 영상(420)을 도시한다. 3D 싱글뷰 영상(420)은 깊이감을 가지지는 영상으로서, 그 깊이값이 0보다 작거나, 0보다 크다. 앞서 설명한 바에 따르면, 양의 깊이값을 가지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에 비하여 돌출된 것처럼 표현된다. 도 8의 (b)는 3D 싱글뷰 영상(420) 역시 양의 깊이값을 가지는 경우를 예시한다. 3D 싱글뷰 영상(420)은 영상 속의 피사체를 입체적으로 표시하나, 하나의 각도에서 촬영된 피사체의 모습만을 보여준다.
도 8의 (c)는 3D 멀티뷰 영상(431 내지 435)을 나타낸다. 3D 멀티뷰 영상(431 내지 435)은 3D 영상으로서, 특정 피사체를 바라보는 가상 또는 실제의 뷰 포인트(view point) 별로 다양한 각도의 3D 영상을 포함한다. 예컨대 2 이상의 각도에서 피사체를 3D 영상으로 촬영하여 저장하는 경우, 각각의 각도에 따른 3D 멀티뷰 영상(431 내지 435)이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3D 멀티뷰 영상(431 내지 435)은 2 이상의 뷰포인트 별 3D 영상을 각각 제공한다. 즉 3D 멀티뷰 영상(431 내지 435)은 제1 뷰 포인트에 따른 3D 영상(431), 제2 뷰 포인트에 따른 3D 영상(432), 제3 뷰 포인트에 따른 3D 영상(433), 제4 뷰 포인트에 따른 3D 영상(434) 및 제5 뷰 포인트에 따른 3D 영상(435)을 포함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서버(15) 간 신호의 흐름이 도시되어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서버(15)는 제1 통신망 및/또는 제2 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10)는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영상을 재생한다(S401). 여기서 영상은 2D 영상 또는 3D 싱글뷰 영상일 수 있다. 이후,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요청 신호를 입력받는다(S402).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요청 신호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 모드, 즉 영상을 2D 모드로 재생할 것인지, 3D 싱글뷰 모드로 재생할 것인지, 아니면 3D 멀티뷰 모드로 재생할 것인지를 결정하여 변경하기 위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신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0)가 2D 영상을 표시하고 있었던 경우,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요청 신호는 3D 영상을 제공받기 위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3D 영상은 3D 싱글뷰 영상 또는 3D 멀티뷰 영상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요청 신호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의 디스플레이 모드가 무엇인지를 지정하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2D 영상과 3D 영상은 동일한 영상물 또는 동일한 컨텐츠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모드만을 달리하는 영상들일 수 있다. 이 경우, 2D 영상과 3D 영상의 컨텐츠 소스 정보는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무선통신부(110)를 통해, 2D 영상을 수신하던 제1 통신망을 통해 2D 영상의 컨텐츠 소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2D 영상의 컨텐츠 소스 정보를 3D 영상의 식별에 사용하여, 2D 영상의 컨텐츠 소스 정보와 동일한 컨텐츠 소스 정보를 가지는 3D 영상을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에 의하여 동일한 컨텐츠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모드만을 달리하는 영상으로의 전환이 가능하며, 전혀 다른 영상이 수신되는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3D 멀티뷰 영상 시청을 위한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요청 신호를 입력받은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제어부(180)는, 우선 망 환경을 고려하여 3D 영상 수신이 가능한지 판단한다(S403).3D 영상 요청 신호를 생성하고,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서버(15)로 전송한다. 서버(15)는 3D 영상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3D 영상 응답 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잔여 배터리 용량이나 메모리 공간을 고려하여, 3D 영상을 수신하는 것이 가능한지를 판단한다(S404). 망 환경과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를 모두 고려하여 판단한 결과, 3D 영상을 수신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 3D 영상을 수신하여 저장한다(S405). 3D 영상을 수신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된 경우, 3D 영상 대신 2D 영상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S406).
여기서, 3D 멀티뷰 영상의 전송이 가능한지 여부에 대한 판단을 이동통신 단말기(10) 측에서 수행할 수도 있고, 서버(15) 측에서 수행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0)는 현재 통신망의 상태, 망 환경, 트래픽양, 채널의 부하 여부에 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또는 미리 획득하여, 3D 멀티뷰 영상을 요청하여 전송받는 것이 가능한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3D 멀티뷰 영상 수신이 원활하게 가능한 경우에 한하여 서버(150)로 3D 멀티뷰 영상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180)는 3D 영상의 전송이 가능한지에 대한 판단을 위해, 네트워크 상태값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네트워크 상태값이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3D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고 판단하고, 이와 반대로 네트워크 상태값이 미리 설정된 범위 밖에 있다면 네트워크 상태값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3D 영상을 수신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상태값은 현재 접속중인 통신망의 환경을 수치화한 정보이다. 네트워크 상태값은 서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설정된 채널의 상태, 데이터 전송 속도, 시스템 부하량, 실시간 트래픽 정보 중 하나 이상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2 통신망에 접속된 경우, 또는 제1 통신망과 상기 제2 통신망 중 어느 하나의 통신망을 통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3D 영상을 수신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에 3D 영상의 수신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제어부(180)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1 통신망에 접속된 경우, 또는 제1 통신망과 제2 통신망 중 어느 통신망을 통해서도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3D 영상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에 3D 영상의 수신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3D 멀티뷰 영상 요청 신호를 서버(150)로 전송하면, 서버(150) 측에서 3D 멀티뷰 영상의 전송이 가능할 것인지를 판단하여 3D 멀티뷰 영상 요청 신호 응답 시 전송 가부를 통지할 수도 있다. 서버 역시 3D 멀티뷰 영상 전송의 가부를 판단함에 있어, 전송할 데이터의 용량, 현재 통신망의 종류 및 상태, 망 환경, 트래픽양, 채널의 부하 여부 등을 고려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10) 또는 서버(15)의 판단에 따라, 3D 영상의 전송이 가능한 경우, 서버(15)는 이동통신 단말기(15)로 3D 영상을 전송한다. 여기서, 3D 멀티뷰 영상 응답 신호와 3D 영상은 함께 전송될 수 있다. 즉, 앞으로 디스플레이 모드가 변경된 영상 또는 3D 멀티뷰 영상 또는 3D 싱글뷰 영상이 전송될 것이라는 정보를 헤더에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통해 3D 영상이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2D 영상 또는 3D 영상을 수신하는 중에, 통신망의 환경이 변화할 수 있다. 통신망의 환경에 변화가 있는 경우는 물론 이동통신 단말기 상의 상태 변화로 인해, 제어부(180)는 다시 3D 영상의 수신 가부를 판단하여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S407). 즉, 2D 영상의 수신 및 재생 중에 통신망의 환경이 개선되거나, 제2 통신망과 연결된 경우, 3D 영상으로 디스플레이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반대로, 3D 영상의 수신 및 재생 중에 통신망 환경이 저하되는 경우, 잔여 배터리 용량이 일정치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사용가능한 메모리 용량이 부족한 경우 등에는 3D 영상에서 2D 영상으로 디스플레이 모드가 전환될 수 있다.
따라서 통신망 환경에 변화가 있다고 판단된 경우, 제어부(180)는 다시 3D 영상의 수신 가부를 판단하여, 망 환경에 맞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향상과 발전에 따라, 동시에 여러개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동시에 실행되어야 하는 여러 개의 PS(packet switched) Data Call은 서로 다른 QoS(Quality of Service)를 가지고 각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로 다른 PDN(Packet Data Network)에 접속할수도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에 따라 수신되는 2D 영상과 3D 영상은 동일한 컨텐츠에 대한 2D 영상과 3D 영상이므로 동일한 PDN에 접속하여 수신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통신망을 통해 2D 영상을 수신하고, 제2 통신망을 통해 3D 영상을 수신하는 경우에도, 제1 통신망과 제2 통신망은 동일한 PDN에 접속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 측에서 3D 멀티뷰 영상의 전송이 가능한 환경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영상을 재생한다(S441). 여기서 영상은 2D 영상 또는 3D 싱글뷰 영상일 수 있다. 사용자는 3D 멀티뷰 영상을 제공받기 위해,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요청 신호를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S442).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요청 신호는, 현재 재생 중인 화면을 일시 정지하고 선택 가능한 디스플레이 모드의 메뉴를 제공하는 등, 이동통신 단말기(10)가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모드로 진입하도록 하기 위해 입력되는 사용자 신호일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요청 신호에는 어떤 디스플레이 모드로 전환하고자 하는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모드 선택 신호에서 지정한 디스플레이 모드와, 현재 재생 중인 영상의 디스플레이 모드를 비교하여 양자가 상이하면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모드 선택 신호를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요청 신호로 인식할 수 있다.
3D 멀티뷰 디스플레이를 위한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요청 신호를 입력받으면, 제어부(180)는 3D 멀티뷰 영상의 수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443). 이동통신 단말기(10)는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요청 신호 입력 시, 또는 주기적으로 서버로부터 망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망의 상태에는 현재 연결된 통신망이 3G 망인지 아니면 LTE 망인지에 대한 정보, 데이터 전송 속도에 대한 정보, 실시간 트래픽에 대한 정보, 채널 상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다운로드 받는 데에 소요될 시간을 예측하여, 예측된 소요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도 3D 멀티뷰 영상의 수신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레거시 망인 제1 통신망에 연결된 경우 3D 멀티뷰 영상의 수신이 불가능하고 제2 통신망인 LTE 망에 연결된 경우 3D 멀티뷰 영상의 수신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잇다.
상술한 정보를 수신함과 동시에, 제어부(18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160) 용량이나 배터리 잔여 용량 등을 더 고려하여 3D 멀티뷰 영상을 수신할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S444). 즉, 메모리(160)의 잔여 용량이 수신한 3D 멀티뷰 영상을 저장하기에 부족한 경우에는 3D 멀티뷰 영상의 수신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여 불가능하다는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메모리 용량에 대한 경고를 미리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다른 파일을 삭제하거나 외부 메모리를 연결함으로써 메모리 용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원부(190)의 배터리 용량이 3D 멀티뷰 영상과 같은 대용량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재생하기에 부족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3D 멀티뷰 영상의 수신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망 환경과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내적인 요인 등을 모두 고려하여, 3D 영상을 수신할 것을 결정한 경우 3D 멀티뷰 영상을 수신한다(S445). 동영상의 경우, 잔여 재생 분량에 대한 영상을 3D 멀티뷰 영상으로 수신하거나, 이미 재생된 부분을 포함하는 모든 분량을 3D 멀티뷰 영상으로 다시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80)가 현재 망 상태에 따라 3D 멀티뷰 영상의 수신이 불가능하거나, 부적합하다고 판단한 경우, 2D 영상 또는 3D 싱글뷰 영상을 수신한다(S446).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51)은, 수신된 영상을 재생 및 표시한다(S447).
3D 멀티뷰 모드로 디스플레이 모드가 전환된 경우에도, 이 후 3D 멀티뷰 영상을 모두 다운로드 받아 재생하는 도중에 잔여 배터리 용량이 미리 설정된 수치보다 낮아지는 경우에, 제어부(180)는 이에 대한 경고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2D 영상이나 3D 싱글뷰 영상보다, 3D 멀티뷰 영상의 재생 시에 더 많은 배터리 소모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하로 잔여 배터리 용량이 떨어지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는 2D 또는 3D 싱글뷰 디스플리에 모드로 전환할지 여부를 묻는 메뉴 화면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미리 설정된 바에 따라, 배터리 용량이 기준치 이하로 떨어지면 제어부(180)는 자동으로 배터리 소모가 적은 디스플레이 모드로 자동 전환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80)는 영상 재생 중 잔여 배터리 용량을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잔여 배터리 용량이 10% 내지 30% 에서는 3D 싱글뷰 모드로, 잔여 배터리 용량이 10% 이하가 되면 2D 모드로 영상의 디스플레이 모드를 전환하여 재생할 수 있다. 2D 영상 또는 3D 싱글뷰 영상 재생 중 배터리 용량이 기준치 이상이 되면, 제어부(180)는 3D 멀티뷰 디스플레이 모드로 다시 전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3D 싱글뷰 영상을 재생 중에 잔여 배터리 용량이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2D 영상으로 디스플레이 모드를 전환할 수 있으며, 3D 싱글뷰 영상을 재생 중에 배터리 용량이 일정 수준 이상이 되는 경우 3D 멀티뷰 영상으로 디스플레이모드를 전환할 수도 있다.
도 11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무선 통신부(110)는 제1 통신망 또는 상기 제2 통신망을 통해 2D 영상 및/또는 3D 싱글뷰 영상을 수신한다(S510). 그리고 무선 통신부(110)는 제2 통신망을 통해 3D 멀티뷰 영상을 수신한다(S520).
여기서 제1 통신망은 레거시 망으로서 3G망으로 예시될 수 있으며, 제2 통신망은 LTE 망으로 예시될 수 있다. 제2 통신망은 제1 통신망보다 데이터 전송량, 전송 속도, 통신 품질 면에서 우수한 망일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제1 통신망과 제2 통신망에 동시에 접속하거나, 핸드오버됨에 따라 순차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제1 통신망과 제2 통신망에 동시에 접속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는 2 이상의 안테나를 구비하여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일 수 있다. 즉 제1 통신망 접속 후 제2 통신망에 접속하는 경우, 제1 통신망 접속 중에 제2 통신망에 추가적으로 접속하는 경우가 본 실시예에 모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2D 영상, 3D 싱글뷰 영상, 3D 멀티뷰 영상은 스트리밍 방식, 다운로드 방식, 브로드캐스팅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전송되어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수신될 수 있다.
3D 멀티뷰 영상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일한 컨텐츠에 대하여 여러 각도에서 촬영 또는 생성된 3D 영상이다. 뷰 포인트별로 각각의 3D 영상이 존재하므로, 3D 멀티뷰 영상 전송 시, 2D 영상은 물론 3D 싱글뷰 영상보다도 더 많은 데이터가 전송된다.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드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다(S530). 디스플레이 모드 선택 신호란, 2D 영상을 볼 것인지, 3D 싱글뷰 영상을 볼 것인지, 또는 3D 멀티뷰 영상을 볼 것인지에 대한 디스플레이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신호이다. 디스플레이 모드 선택 신호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0)는 2D 디스플레이 모드, 3D 싱글뷰 디스플레이 모드, 3D 멀티뷰 디스플레이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드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모드 선택 신호를 입력받기 위해, 제어부(180)는 메뉴 영상, 썸네일 영상, 프로그래스바 등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통신망에 접속되면 제어부(18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2D 영상과 3D 싱글뷰 영상, 3D 멀티뷰 영상을 수신한 후에 사용자로 하여금 디스플레이 모드를 선택하게 하여, 선택된 디스플레이 모드에 맞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2 통신망 접속 시, 사용자가 먼저 디스플레이 모드를 설정하고, 제어부(180)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디스플레이 모드에 부합하는 영상만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3D 멀티뷰 디스플레이 모드를 선택하는지 판단하여(S540), 3D 멀티뷰 디스플레이 모드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180)의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은 3D 멀티뷰 영상을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151)로 출력하고, 디스플레이부(151)는 3D 멀티뷰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S550).
사용자가 3D 멀티뷰 디스플레이 모드를 선택하지 않는 경우, 즉 2D 디스플레이 모드 또는 3D 싱글뷰 디스플레이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2D 영상 또는 3D 싱글뷰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S560).
도 11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는 이동통신 단말기(10) 상에서 2D 또는 3D 싱글뷰 영상이 재생되는 도중에 디스플레이 모드가 중간에 변경되어 3D 멀티뷰 영상이 재생 및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와, 영상의 재생이 시작되기 전에 사용자가 어떤 디스플레이 모드로 영상을 시청할 것인지를 미리 결정하여 3D 멀티뷰 영상을 재생하는 경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12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동통신 단말기(10)가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제2 통신망에 접속한다(S610).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제1 통신망에도 함께 접속되거나, 제2 통신망에만 접속된 상태일 수 있다.
제2 통신망 접속에 따라, 하나의 컨텐츠에 대하여 3D 멀티뷰 영상이 수신되며, 사용자에 의하여 3D 멀티뷰 디스플레이 모드가 선택되면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여러 뷰포인트 중 하나의 뷰포인트에 따른 3D 멀티뷰 영상을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재생 및 표시한다.
예컨대, 제2 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제1 뷰포인트에 따른 3D 멀티뷰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S620). 3D 멀티뷰 영상 재생 시, 재생 도중 뷰포인트를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사용자는 3D 멀티뷰 영상을 시청하는 경우, 하나의 영상물을 여러 뷰포인트에 따른 3D 영상으로 시청할 수 있다. 여기서 3D 멀티뷰 영상의 수신 방식은 스트리밍, 다운로드, 브로드캐스팅 방식 등이 가능하며 수신 방식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사용자는 뷰포인트 전환을 위해 사용자 명령을 이동통신 단말기(10)에 입력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사용자로부터 뷰포인트 전환 요청 신호를 입력받는다(S630). 뷰포인트 전환 요청 신호의 입력 방식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10) 상에 미리 설정된 바에 따라, 3D 멀티뷰 영상이 재생되고 있는 디스플레이부(151)를 1회 또는 2회 이상 터치하거나, 2 이상의 지점을 터치하는 멀티 터치, 에어 터치, 음성 신호 등을 입력함으로써 뷰포인트 전환 요청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제2 통신망 접속시 또는 3D 멀티뷰 영상 수신 시 뷰포인트 전환이 가능함을 알리는 버튼 형태의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부(151)의 일 영역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해당 오브젝트를 통해 뷰포인트 전환 요청 신호를 입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뷰 포인트 전환 신호가 입력되면, 3D 멀티뷰 영상을 재생 중이던 이동통신 단말기(10)는 뷰 전환 모드에 진입한다(S640). 뷰 전환 모드에 진입 시, 3D 멀티뷰 영상이 동영상인 경우 제어부(180)의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은 뷰 포인트 전환을 위해 해당 동영상의 재생을 일시 정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뷰포인트 전환을 위한 멀티뷰 메뉴 영상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51)로 출력하고, 디스플레이부(151)는 해당 멀티뷰 메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S650). 멀티뷰 메뉴 영상은 사용자의 터치를 입력받아 뷰포인트 전환을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오브젝트일 수 있다. 예컨대 멀티뷰 메뉴 영상은 피사체를 중심으로 2 이상의 뷰포인트들을 따라 회전하는 방향으로 도시되는 화살표 또는 뷰포인트들의 방향을 나타내는 2 이상의 화살표, 각각의 뷰포인트에 따른 위치에 표시되는 가상의 카메라, 각각의 뷰포인트에 따른 3D 멀티뷰 영상을 담은 썸네일 영상 등으로 형상화되어 다양한 형태로 도시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사용자 입력부(130)는 멀티뷰 메뉴 영상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뷰포인트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다(S660). 뷰 포인트 선택 신호를 통해 2 이상의 뷰포인트 중 어느 하나의 뷰 포인트가 선택되며, 뷰 포인트 선택 신호가 입력된 이후부터는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선택된 뷰포인트에 상응하는 3D 멀티뷰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S670).
뷰포인트 전환 이후에 뷰포인트 복구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S680). 만일 뷰포인트 복구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S680), 뷰포인트 전환 요청 신호를 입력받기 직전의 뷰포인트로 즉시 전환한다(S690). 뷰포인트 복구 신호 역시 상술한 뷰포인트 별 썸네일 영상, 뷰포인트 복구 신호 입력을 위하여 별도로 생성된 오브젝트나 메뉴 영상 등을 통해 사용자 입력부(130)로 입력될 수 있다. 또는, 타이머를 구동하여, 뷰포인트 전환 요청 신호가 입력된 후 소정의 시간 내에 멀티 터치나 더블 터치 등의 약속된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이를 뷰포인트 복구 신호로 인식하여 뷰포인트 전환 이전의 3D 멀티뷰 영상으로 뷰포인트를 복구하여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물론, 뷰포인트 복구 신호 입력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부(151)는 전환된 뷰포인트에 따른 3D 멀티뷰 영상을 계속 디스플레이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는 이동통신 단말기(10)가 접속된 통신망이 영상의 재생 중에 변경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제1 통신망에 접속한다(S710).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제1 통신망에 접속된 상태에서, 2D 영상 또는 3D 싱글뷰 영상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S720).
2D 영상 또는 3D 싱글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도중에, 이동통신 단말기(1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제2 통신망에 접속한다(S730).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이동에 따른 핸드오버 또는 제1 통신망의 장애 등의 사유로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제2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다. 제2 통신망에 접속되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 출력 모듈(153), 또는 알람부(155) 진동 모듈(미도시) 등을 통해 디스플레이 모드가 선택 가능하다는 것을 표시하거나 알린다(S740).
디스플레이 모드가 선택 가능함을 사용자에게 고지한 후,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모드 선택을 위한 메뉴 화면 또는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S750). 사용자는 해당 메뉴 화면 또는 썸네일 영상 등을 통해 디스플레이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모드 선택 결과를 판별한다(S760). 그 결과, 3D 멀티뷰 디스플레이 모드가 선택된 경우, 3D 멀티뷰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S770). 만일 제2 통신망 접속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별도의 선택을 하지 않거나, 3D 멀티뷰 디스플레이 모드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180)는 2D 영상 또는 3D 싱글뷰 영상을 계속 재생하여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S780). 다만 3D 싱글뷰 디스플레이 모드가 선택된 경우라도, 제1 통신망에 접속한 상태에서 3D 싱글뷰 영상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경우에 비하여 제2 통신망에 접속한 상태에서는 버퍼링이 빠르게 되거나, 동영상의 끊김이 적어지거나, 해상도를 높이거나 음향이 개선되는 등 멀티미디어 컨텐츠 이용을 위한 통신 품질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을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제2 통신망에 접속하여, 제2 통신망을 통해 3D 멀티뷰 영상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한다(S810 및 S820). 본 실시예에서 3D 멀티뷰 영상은 스트리밍 방식으로 수신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현재 재생 시점보다 뒷부분의 재생 분량에 상응하는 3D 멀티뷰 영상을 메모리(160)에 미리 저장한다(S830). 즉 현재 스트리밍 되는 부분은 스트리밍 방식으로 수신하여 재생하고, 아직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뒷부분의 영상은 제2 통신망과의 연결이 해제될 경우를 대비하여 미리 저장하여 버퍼링한다.
스트리밍에 의한 3D 멀티뷰 영상이 재생되는 도중에 제2 통신망과의 접속이 해제되고,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제1 통신망에 접속한다(S840). 제1 통신망에 접속된 이후 시점부터는 앞의 단계 S830에서 미리 저장된 3D 멀티뷰 영상을 재생하여, 저장된 3D 멀티뷰 영상을 모두 디스플레이한다(S850).
제어부(180)는 저장된 부분보다 뒷부분에 더 재생되어야 할 잔여 재생 분량이 있는지 판단한다(S860). 즉 저장된 3D 멀티뷰 영상을 모두 디스플레이 한 후에, 더 재생될 부분이 남아 있는지, 아니면 해당 영상물의 모든 분량의 재생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잔여 재생 분량이 남아있는 경우, 제어부(180)는 잔여 재생 분량에 상응하는 2D 영상 또는 3D 싱글뷰 영상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870). 이 때, 잔여 재생 분량을 2D 영상 또는 3D 싱글뷰 영상으로 재생하기 전에,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메뉴 화면을 출력하여 디스플레이 모드 선택에 관한 사용자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메뉴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 모드 선택 신호를 입력하고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모드 선택 신호에 따라 잔여 재생 분량을 2D 영상으로 스트리밍하거나, 3D 싱글뷰 영상을 스트리밍하거나, 3D 싱글뷰 영상 또는 3D 멀티뷰 영상을 다운로드하여 잔여 부분을 재생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멀티뷰 영상 제공 또는 뷰포인트 제어를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가 동작하는 모습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5에 따르면 제2 통신망에 접속되면서 3D 멀티뷰 영상의 시청이 가능해지고, 3D 멀티뷰 디스플레이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상이 표시된다. 디스플레이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상은 각각의 선택 가능한 디스플레이 모드에 상응하는 메뉴 항목을 포함하는 영상일 수 있다.
도 15의 (a)는 제1 통신망 접속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드 선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상을 도시한다. 도 15의 (a)에 따르면 제1 통신망에만 접속된 경우, 2D 디스플레이 모드 선택 항목(910) 및 3D 싱글뷰 디스플레이 모드 선택 항목(920)이 화면의 하단에 표시된다.
도 15의 (b)는 제2 통신망에 접속된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 모드 선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상을 도시한다. 도 15의 (b)에 따르면, 제2 통신망에 접속된 이동통신 단말기(10)는 2D 디스플레이 모드, 3D 싱글뷰 디스플레이 모드는 물론 다양한 뷰포인트에 따른 3D 멀티뷰 디스플레이 모드로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상 역시 2D 디스플레이 모드 선택 항목(910) 및 3D 싱글뷰 디스플레이 모드 선택 항목(920) 및 다양한 뷰포인트에 상응하는 3D 멀티뷰 디스플레이 모드 선택 항목(930)이 표시될 수 있다.
3D 멀티뷰 디스플레이 모드 선택 항목(930)은 제2 통신망에 접속되지 않은 동안에는 흐리게 표시되거나 반투명하게 표시되었다가 제2 통신망 접속 시 진하게 표시되거나, 불투명하게 표시될 수 있다. 또한 3D 멀티뷰 디스플레이 모드 선택 항목(930) 제2 통신망 접속 상태에 따라 활성화되거나 비활성화될 수 있다.
도 15의 (b)의 화면의 양 가장자리에 도시된 화살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뷰포인트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상의 일 예로 표시된 화살표이다. 3D 멀티뷰 영상 디스플레이 시, 사용자로 하여금 화살표 방향으로 영상을 회전시킴으로써 뷰포인트 별 3D 멀티뷰 영상을 프리뷰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6를 참조하여서는 2D 영상, 3D 싱글뷰 영상, 3D 멀티뷰 영상의 버퍼링 상태를 표시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6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제2 통신망 접속되어, 2D 영상, 3D 싱글뷰 영상, 3D 멀티뷰 영상을 모두 재생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2D 디스플레이 모드, 3D 싱글뷰 디스플레이 모드, 3D 멀티뷰 디스플레이 모드 중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영상의 버퍼링 정도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버퍼링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면, 사용자는 이를 고려하여 디스플레이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프로그래스 바(950)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때, 2D 영상, 3D 싱글뷰 영상, 3D 멀티뷰 영상의 버퍼링 상태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각각의 영상에 대한 버퍼링 정도를 버퍼링 프로그래스 바로 생성하여, 3D 멀티뷰 영상의 버퍼링 프로그래스 바(951), 3D 싱글뷰 영상의 버퍼링 프로그래스 바(952) 및 2D 영상의 버퍼링 프로그래스 바(953)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6의 (a)에 따르면, 메인 영상과 메인 영상의 재생 진행 정도를 나타내는 프로그래스 바(950)와 함께 3D 멀티뷰 영상의 버퍼링 프로그래스 바(951), 3D 싱글뷰 영상의 버퍼링 프로그래스 바(952) 및 2D 영상의 버퍼링 프로그래스 바(953)가 화면의 상단에 표시된다. 화면의 하단에는 영상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상이 표시된다. 여기서 영상은 2D 영상, 3D 싱글뷰 영상, 3D 멀티뷰 영상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16의 (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원하지 않는 영상의 버퍼링을 취소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3D 멀티뷰 영상을 이용하지 않을 경우, 이를 불필요하게 버퍼링할 필요가 없으므로 3D 멀티뷰 영상의 버퍼링 프로그래스 바(951)를 삭제하여, 3D 멀티뷰 영상의 버퍼링을 취소할 수 있다.
도 16의 (c)를 참조하면, 3D 멀티뷰 영상의 버퍼링이 취소됨에 따라, 3D 멀티뷰 영상에 대한 버퍼링 분량이 표시된 버퍼링 프로그래스 바가 삭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7는 썸네일로 구성된 프로그래스 바를 도시한다. 썸네일로 구성된 프로그래스 바는 일 방향으로 배열된 썸네일 목록에 커서(980)를 이용하여 현재 재생 시점을 표시한다.
여기서 프로그래스 바로 구성된 썸네일 목록(990)은 확장될 수 있다. 편의상 최초에 도시된 썸네일 목록을 제1 썸네일 목록(990)이라 지칭한다. 현재 재생 중인 영상이 3D 멀티뷰 영상인 경우, 제1 썸네일 목록(990)은 다양한 뷰포인트에 상응하는 썸네일 목록으로 확장될 수 있다. 또는 제1 썸네일 목록(990)은 다양한 디스플레이 모드에 상응하는 썸네일 목록으로 확장될 수 있다. 확장된 썸네일 목록은 도 17의 (b)에 도시된다.
즉, 제1 썸네일 목록(990)이 2D 영상의 썸네일들을 도시함과 동시에 현재 재생 시점을 표시하는 프로그래스 바인 경우, 썸네일 목록(990)이 확장됨에 따라 표시되는 확장된 썸네일 목록은 제2 썸네일 목록(991)과 제3 썸네일 목록(99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썸네일 목록(991)은 3D 싱글뷰 영상의 썸네일들을 도시함과 동시에 현재 재생 시점을 표시하는 프로그래스 바이며, 제3 썸네일 목록(992)은 3D 멀티뷰 영상의 썸네일들을 도시함과 동시에 현재 재생 시점을 표시하는 프로그래스 바일 수 있다.
또는 제1 내지 제3 썸네일 목록(990, 991, 992)들 모두 3D 멀티뷰 영상에 대한 썸네일 및 프로그래스 바를 도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내지 제3 썸네일 목록(990, 991, 992)은 뷰포인트 별 3D 멀티뷰 영상의 썸네일과 재생시점을 표시하는 프로그래스바일 수도 있다. 즉, 제1 썸네일 목록(990)은 제1 뷰포인트에 따른 3D 멀티뷰 영상의 썸네일들을 도시함과 동시에 현재 재생 시점을 표시하는 프로그래스 바, 제2 썸네일 목록(991)은 제2 뷰포인트에 따른 3D 멀티뷰 영상의 썸네일들을 도시함과 동시에 현재 재생 시점을 표시하는 프로그래스 바, 제3 썸네일 목록(992)은 제3 뷰포인트에 따른 3D 멀티뷰 영상의 썸네일들을 도시함과 동시에 현재 재생 시점을 표시하는 프로그래스 바일 수 있다.
이 때, 커서를 도 1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래그 앤 드롭하여 이동시키면, 사용자는 동영상의 재생 시점은 물론 디스플레이 모드 및/또는 뷰포인트를 한번에 변경할 수 있다.
도 18은 프로그래스 바를 조작하여 버퍼링 구간을 설정하는 모습을 도시한다. 여기서 버퍼링 프로그래스 바는 재생 시점 별 썸네일들이 나열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드 별 버퍼링 프로그래스 바를 드래그하거나 터치함으로써, 하나의 컨텐츠 내에서 제1 구간(1001)은 2D 영상, 제2 구간(1002)은 3D 싱글뷰 영상, 제3 구간(1003)은 3D 멀티뷰 영상이 버퍼링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영화의 가장 재미있는 부분 또는 입체 효과가 두드러질 수 있는 부분 등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부분은 3D 멀티뷰 또는 3D 싱글뷰 영상으로 버퍼링되도록 하고, 이외의 부분은 빠른 버퍼링과 재생을 위해 2D 또는 3D 싱글뷰 영상으로 버퍼링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재생 시점을 나타내는 프로그래스 바 또는 버퍼링 분량을 나타내는 프로그래스 바는 타임 라인에 따라 나열된 썸네일 영상들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1는 제2 통신망과의 연결에 따라 3D 멀티뷰 디스플레이 모드의 선택이 가능해진 경우, 이를 알림과 동시에 뷰 포인트를 선택 가능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상 또는 메뉴 영상, 오브젝트의 표시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 및 도 20은 제1 통신망 또는 제2 통신망과의 연결 상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드 선택을 위한 메뉴 항목 또는 메뉴 영상 등이 온/오프되거나 딤드(DIMMED) 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 19을 참조하면, 화면의 제1 영역(1000)에는 메인 영상이 표시되며, 제2 영역(1010)에는 썸네일 영상들이 표시된다. 여기서 썸네일 영상을 통해 사용자는 각 디스플레이 모드 별 영상 및 뷰포인트 별 영상을 프리뷰할 수도 있고, 해당 썸네일을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해당 디스플레이 모드 및/또는 해당 뷰포인트를 선택할 수도 있다. 썸네일 영상은 메뉴 항목의 기능을 가진다. 썸네일 영상들은 2D 썸네일 영상(1110), 3D 싱글뷰 썸네일 영상(1120) 및 3D 멀티뷰 썸네일 영상(1130)을 포함한다.
도 19의 (a)를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0)가 제1 통신망에만 연결된 경우, 2D 썸네일 영상(1110), 3D 싱글뷰 썸네일 영상(1120)을 표시한다. 도 19의 (a)에서 3D 멀티뷰 썸네일 영상(1130)을 표시한다 해도, 3D 멀티뷰 썸네일 영상(1130)은 비활성화된 상태 또는 딤드(DIMMED)된 상태로 표시된다.
도 19의 (b)를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0)가 제2 통신망에 연결된 경우, 2D 썸네일 영상(1110), 3D 싱글뷰 썸네일 영상(1120) 및 3D 멀티뷰 썸네일 영상(1130)을 표시한다.
도 19의 (b)에서 2D 썸네일 영상(1110), 3D 싱글뷰 썸네일 영상(1120) 및 3D 멀티뷰 썸네일 영상(1130)은 모두 활성화된 상태로 표시된다. 3D 멀티뷰가 가능해짐에 따라, 제1 뷰포인트에 따른 3D 멀티뷰 썸네일 영상(1131), 제2 뷰포인트에 따른 3D 멀티뷰 썸네일 영상(1132), 제3 뷰포인트에 따른 3D 멀티뷰 썸네일 영상(1133), 제4 뷰포인트에 따른 3D 멀티뷰 썸네일 영상(1134) 및 제5 뷰포인트에 따른 3D 멀티뷰 썸네일 영상(1135)이 썸네일 영상의 목록에 활성화된 상태로 표시된다. 사용자는 이들 썸네일 중 하나의 썸네일을 선택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드 및 뷰표인트를 선택할 수 있다.
도 20은 특히, 망 상태에 따라 이용 가능한 디스플레이 모드 옵션이 존재하는 경우, 썸네일 목록 또는 프로그래스 바가 확장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예컨대 도 20의 (a)에 따르면, 제1 통신망에서 2D 디스플레이 모드만이 지원되는 경우, 2D 영상에 대한 프로그래스 바(990)만이 활성화된 상태로 표시된다. 이후, 제2 통신망에 접속된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바에 따른 사용자 입력이 있으면 추가로 지원 가능한 3D 싱글뷰 또는 3D 멀티뷰 디스플레이 모드에 상응하는 3D 싱글뷰 프로그래스 바(991) 및/또는 3D 멀티뷰 프로그래스 바(992)를 함께 표시하거나, 비활성화된 상태였던 3D 싱글뷰 프로그래스 바(991) 및/또는 3D 멀티뷰 프로그래스 바(992)를 활성화된 상태로 전환한다.
도 21에 따르면 제2 통신망 접속에 따라 뷰포인트 전환을 위한 오브젝트가 변화한다. 뷰포인트 전환을 위한 오브젝트의 형상이 변화됨에 따라, 사용자는 제2 통신망에 접속한 사실, 3D 멀티뷰 디스플레이 모드가 제공 가능한 사실 등을 알 수 있다. 또한 제2 통신망 접속에 따라 형상이 변화함과 동시에 활성화된 뷰포인트 전환을 위한 오브젝트을 통해 뷰포인트 전환 요청 신호 및/또는 뷰포인트 선택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예컨대 해당 오브젝트를 터치한 상태로 움직이는 경우, 터치의 움직임에 따라 뷰포인트 전환 요청 신호 및/또는 뷰포인트 선택 신호가 입력되거나, 뷰포인트 변화에 따른 3D 멀티뷰 영상이 프리뷰 모드로 메인 화면에 제공될 수도 있다.
평면 도형이 입체 도형으로 바뀌면서, 사용자에게 3D 멀티뷰 영상의 시청이 가능함을 알림과 동시에, 사용자는 터치 등의 방법으로 해당 도형을 회전시킴으로써 뷰포인트 전환 요청 신호 또는 뷰포인트 선택 신호를 입력할 수도 있다.
도 2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뷰포인트 전환을 위한 오브젝트는 아이콘의 형태로 제공된다. 아이콘은 제1 통신망 환경 하에서는 평면 도형으로 표시되었다가, 3D 멀티뷰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제2 통신망 환경에서는 입체 도형으로의 변화할 수 있다. 또, 아이콘은 제1 통신망 하에서는 비활성화된 상태였다가 제2 통신망에 접속됨에 따라 활성화될 수 있다. 활성화된다 함은 아이콘이 표시된 위치에 터치나 클릭 등의 방법으로 사용자가 해당 아이콘을 통해 사용자 신호를 입력하고, 해당 사용자 신호에 따라 제어 신호가 생성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또는, 아이콘은 제1 통신망 하에서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상태로 표시되었다가 제2 통신망에 접속됨에 따라 불투명하게 표시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쉽게 인지되도록 변화할 수 있다.
도 22은 영상의 재생 중에 제어 화면을 활성화시키는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3D 멀티뷰 영상이 재생되는 도중에 디스플레이부(151)로의 터치가 입력되면 화면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영상이 재생되는 중에 입력된 사용자의 터치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상을 요청하는 사용자 명령으로 인식하여, 화면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상을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22의 (a)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상의 표시를 위해 미리 설정된 방법에 따른 사용자의 터치가 입력된다. 사용자의 터치는 터치가 지속되는 시간, 더블탭 등의 방법으로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의 터치가 입력됨에 따라 표시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상은 도 22의 (b) 또는 도 22의 (c)에 표시된 것과 같이, 영상의 재생과 관련된 것 및/또는 뷰포인트 제어를 위한 것일 수 있다.
도 22의 (b)에 따르면, 사용자 터치가 입력됨에 따라 영상의 일시 정지, 되감기, 빨리 감기 등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상과 함께, 화면에 오버랩되어 표시된 화살표의 형태로 뷰포인트 전환을 위한 오브젝트가 표시될 수 있다.
도 22의 (c)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뷰포인트 제어를 위한 화살표(1170) 형상의 오브젝트가 화면의 하단에 별도의 오브젝트로 표시될 수 있다. 회전하는 방향으로 도시된 화살표(1170)의 한 지점에는 현재의 뷰포인트(1175)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화살표(1170) 상에 표시된 현재의 뷰포인트(1175)를 참고하여 화살표(1170)를 따라 터치를 이동시키면서 뷰포인트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3은 뷰 포인트를 제어를 위한 사용자의 터치가 입력되는 방식을 일 예로 표시한 도면이다.
예컨대 하나의 지점에 손가락이나 터치펜을 이용하여 1건의 터치를 입력하는 경우 이를 싱글 터치라 하고, 2 이상의 손가락이나 터치펜을 이용하여 2 이상의 지점을 동시에 터치하여 1건의 터치를 입력하는 경우 이를 멀티 터치라고 지칭할 수 있다. 싱글 터치는 영상이나 이동통신 단말의 일반적인 제어를 위해 이용된다. 따라서 3D 멀티뷰 디스플레이를 위한 뷰포인트 등의 제어를 위한 터치를 기존의 터치 입력 방식과 구별하기 위해 멀티 터치를 이용할 수 있다.
2 이상의 지점을 동시에 터치하여 움직이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 및 제어부(180)는 이를 뷰포인트 전환을 위한 사용자 신호로 인식하여, 화면에 출력중인 영상의 뷰포인트를 전환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멀티 터치를 이용하여 화면을 여러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뷰포인트를 변경하고, 변경된 뷰포인트에 따른 3D 멀티뷰 영상을 프리뷰하며, 전환된 뷰포인트를 적용하여 3D 멀티뷰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4 내지 도 25에는 3D 멀티뷰 영상의 뷰포인트 전환을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 24를 참조하면, 도 24의 (a)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뷰포인트 전환 요청 신호에 따라 뷰포인트 전환 모드에 진입한 이동통신 단말의 디스플레이부(151)를 나타낸다. 3D 멀티뷰 영상 재생 시, 다양한 뷰포인트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뷰포인트 메뉴 화면의 일 예가 도시된다. 다양한 각도로 향하는 카메라들이 재생 중인 영상과 오버랩되어 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뷰포인트 전환 요청 신호를 입력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화면을 일시 정지하고, 뷰포인트 전환 모드에 진입한다. 그리고 뷰포인트 전환 모드에서는 뷰포인트 전환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또는 오브젝트 등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해당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또는 오브젝트를 통하여 뷰포인트 전환 신호 또는 뷰포인트 선택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도 24의 (a)에서, 뷰포인트 전환을 위한 오브젝트로, 각각의 뷰포인트를 상징하는 카메라 또는 화살표 모양의 아이콘들이 화면 상에 오버랩되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이들 아이콘들 중 하나의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 해당 각도에서 바라본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즉, 제1 뷰포인트에 따른 아이콘(2001), 제2 뷰포인트에 따른 아이콘(2002), 제3 뷰포인트에 따른 아이콘(2003), 제4 뷰포인트에 따른 아이콘(2004), 제5 뷰포인트에 따른 아이콘(2005)이 화면 상에 표시되며, 사용자가 이들 아이콘 중 하나의 아이콘을 터치하면 터치는 뷰포인트 선택 신호로 인식되고, 해당 아이콘에 상응하는 뷰포인트가 선택된다.
현재 뷰포인트를 나타내는 뷰포인트 안내 영상(1190)이 함께 표시되어 뷰포인트 선택에 참고될 수 있다. 그리고 3d 멀티뷰 영상에는 디폴트로 설정된 뷰포인트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디폴트 뷰포인트 아이콘(2000)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뷰포인트 전환이 있은 후, 뷰포인트를 이전의 상태로 되돌리기 위한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이러한 신호를 편의상 뷰포인트 복구 신호라 지칭하도록 한다. 도 24의 (b)를 참조하면, 뷰포인트가 전환된 화면에는 뷰포인트 복구 신호 입력을 위한 뷰포인트 복구 아이콘(2010)이 사용자의 선택이나 이동통신 단말기의 설정에 따라 일시적으로 또는 지속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뷰포인트 복구 아이콘(2010)을 터치함으로써 뷰포인트 복구 신호가 입력되면, 뷰포인트 전환이 있기 이전의 상태로 영상이 전환된다. 즉, 뷰포인트 복구 신호가 입력되면,뷰포인트 전환 요청과 뷰포인트 선택 신호 등이 입력되기 이전의 뷰포인트에 따른 3d 멀티뷰 영상이 다시 표시된다. 여기서 뷰포인트 복구 아이콘(2010)는 일 예에 불과하며, 뷰포인트 복구 신호의 입력 방식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24의 (c)는 뷰포인트 전환과 뷰포인트 복구 신호 입력 후 원래의 뷰포인트에 따른 3d 멀티뷰 영상으로 복구된 모습을 도시한다.
도 25 및 도 26는 3d 멀티뷰 영상의 뷰포인트 전환을 위한 다양한 방법들을 예시한다.
도 25은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몸체가 기울어짐에 따라 뷰포인트가 전환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제어부(180)는 카메라나 위치감지센서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나 시선 등을 파악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몸체의 상대적인 기울어짐을 파악하거나, 자이로 센서 등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몸체의 자세나 기울기 등을 파악할 수도 있다. 또는 3D 멀티뷰 영상이 재생되기 시작한 시점의 이동통신 단말기(10) 몸체의 각도나 위치를 기준으로 삼아 이후의 기울어짐 등을 뷰포인트 전환을 위한 신호로 파악할 수도 있다.
예컨대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51)를 정면에서 바라보는 경우 피사체의 정면 모습을,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몸체를 기울여 측면을 바라보는 경우 피사체의 측면 모습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와의 위치 관계 또는 자이로 센서에서 센싱되는 각도 등을 기준으로 하여,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뷰포인트를 산출하고, 산출된 뷰포인트에 따른 3D 멀티뷰 영상을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151)로 출력할 수 있다.
도 26는 하나의 화면 내에, 다양한 뷰포인트에 따른 복수의 3D 멀티뷰 영상이 동시에 표시된다. 즉 3D 싱글뷰 영상 또는 하나의 뷰포인트에 따른 3D 멀티뷰 영상이 재생되는 중에, 사용자가 화면을 핀치 아웃하면 제어부(180)는 이를 멀티뷰 요청 신호로 인식할 수 있다. 멀티뷰 요청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제어부(180)는 다양한 뷰포인트에 따른 복수의 3D 멀티뷰 영상을 모두 처리하여, 분할된 화면 내에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도록 3D 멀티뷰 영상의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151)로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해당 3D 멀티뷰 영상을 핀치 아웃하기 전에 뷰포인트 전환 요청 신호를 입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뷰포인트 전환 요청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0)는 뷰포인트 전환 모드로 진입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3D 멀티뷰 영상의 뷰포인트 별 썸네일 영상들이 제공된다.
3D 멀티뷰 영상이 재생되는 동안, 화면을 제1 영역(1000)과 제2 영역(1010)으로 분할하여, 제1 영역(1000)에는 메인 영상으로 어느 하나의 뷰포인트에 따른 3D 멀티뷰 영상을 표시하고, 제2 영역(1010)에는 썸네일 영상으로 다른 뷰포인트들에 따른 3D 멀티뷰 영상들을 표시할 수 있다.
즉 3D 멀티뷰 영상 재생 시, 다양한 뷰포인트에 따른 영상들이 썸네일 영상 또는 서브 영상의 형태로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메인 영상은 화면의 제1 영역(1000)에, 서브 영상 또는 썸네일 영상은 화면의 제2 영역(1010)에 표시된다. 썸네일 영상은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다양한 뷰포인트의 영상신호가 썸네일의 형태로 별도로 처리되어 생성되는 영상이다. 서브 영상은 메인 영상과 동일하게 재생되나 그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영상을 지칭할 수 있다.
도 27의 (a)를 참조하면, 제1 영역(1000)에 표시된 메인 영상으로는 제2 뷰포인트에 따른 3D 멀티뷰 영상(432)이, 제2 영역(1010)에는 제1 뷰포인트에 따른 3D 멀티뷰 영상(431), 제2 뷰포인트에 따른 3D 멀티뷰 영상(432), 제3 뷰포인트에 따른 3D 멀티뷰 영상(433), 제4 뷰포인트에 따른 3D 멀티뷰 영상(434) 및 제5 뷰포인트에 따른 3D 멀티뷰 영상(435)이 썸네일 또는 서브 영상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도 27의 (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이 중 하나의 썸네일 영상을 선택함으로써 재생 중인 3D 멀티뷰 영상의 뷰포인트을 전환할 수 있다. 예컨대, 제5 뷰포인트에 따른 3D 멀티뷰 영상을 드래그하여 화면의 제1 영역(1000)이 드롭시킴으로써, 제5 뷰포인트를 선택하는 뷰포인트 선택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영역(1000)의 메인 영상으로 제2 뷰포인트에 따른 3D 멀티뷰 영상(432) 대신, 제5 뷰포인트에 따른 3D 멀티뷰 영상(435)이 표시된다.
도 28을 참조하면 썸네일 영상이 타임 라인에 따라 나열된 형태로 구성되는 프로그래스바가 제2 영역(1010)에 표시되어 있다. 제2 영역(1010)에는 제1 프로그래스 바(990), 제2 프로그래스바(991), 제3 프로그래스바(992)가 표시된다.
제1 프로그래스 바(990)는 2D 영상에 대한 프로그래스바이고, 제2 프로그래스바(991)는 3D 싱글뷰 영상에 대한 프로그래스바 그리고 제3 프로그래스바(992)는 3D 멀티뷰 영상에 대한 프로그래스바일 수 있다. 또는, 제1 프로그래스 바(990)는 제1 뷰포인트에 따른 3D 멀티뷰 영상의 프로그래스바, 제2 프로그래스바(991)는 제2 뷰포인트에 따른 3D 멀티뷰 영상의 프로그래스바, 그리고 제3 프로그래스바(992)는 제3 뷰포인트에 따른 3D 멀티뷰 영상의 프로그래스바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프로그래스바 상의 특정 썸네일 영상을 선택함으로써 원하는 디스플레이 모드와 뷰포인트를 한번에 반영되도록 할 수 있다. 도면에서, 사용자는 원하는 재생 시점과 디스플레이 모드 또는 원하는 재생 시점과 3D 멀티뷰 영상의 뷰포인트에 부합하는 썸네일(2020)을 터치하여 선택함으로써, 재생 시점과 디스플레이 모드, 또는 재생 시점과 3D 멀티뷰 영상의 뷰포인트를 동시에 변경할 수 있다.
도 29을 참조하면 도 28에서와 마찬가지로 제2 영역(1010)에는 제1 프로그래스 바(990), 제2 프로그래스바(991), 제3 프로그래스바(992)가 표시되어 있으며, 현재의 디스플레이 모드와 뷰포인트, 그리고 재생 시점에 상응하는 커서(980)가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터치를 이용하여 커서(980)를 이동시킴으로써 재생 시점과 디스플레이 모드, 또는 재생 시점과 3D 멀티뷰 영상의 뷰포인트를 동시에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커서(980)를 원하는 디스플레이 모드와 뷰포인트, 그리고 재생 시점에 부합하는 썸네일 영상(2020)이 위치한 곳으로 드래그앤 드롭하여 이동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드와 뷰포인트, 그리고 재생 시점을 한번에 전환할 수 있다.
도 30을 참조하면 원하는 재생 시점과 디스플레이 모드 또는 원하는 재생 시점과 3D 멀티뷰 영상의 뷰포인트에 부합하는 썸네일 영상(2020)을 화면의 제1 영역으로 드래그 앤 드롭시켜, 재생 시점과 디스플레이 모드, 또는 재생 시점과 3D 멀티뷰 영상의 뷰포인트를 동시에 변경할 수 있다.
도 31 내지 도 33을 참조하여,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2 통신망을 통해 3D 멀티뷰 영상을 스트리밍하여 재생하는 경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1 내지 도 33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에서는, 3D 멀티뷰 영상이 스트리밍되는 도중에 제2 통신망과의 연결이 해제되고, 제1 통신망과 연결된다.
도 3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프로그래스 바(2030)는 커서(2031)를 이용하여 3D 멀티뷰 영상의 전체 재생 분량 중, 현재 재생 시점을 표시한다. 그리고 현재 시점에서의 버퍼링 있는 분량(2033)을 버퍼링 프로그래스 바를 통해 나타낸다.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제2 통신망과 연결되어 있는 동안, 3D 멀티뷰 영상을 미리 저장한다. 여기서 저장되는 부분은, 현재 재생되고 있는 시점보다 뒤에 재생될 부분이다. 즉 제2 통신망과의 연결이 해제될 경우를 대비하여 현재 재생 시점보다 뒷부분의 영상을 미리 저장하여 두는 것이다.
도 32을 참조하면, 일정 시간이 흘러 제2 통신망과의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 현재 재생 시점을 나타내는 프로그래스 바(2030) 및 커서(2031)와 미리 저장된 뒷부분의 3D 멀티뷰 영상의 버퍼링 분량(2033)이 도시되어 있다. 제2 통신망과의 연결이 해제되면, 미리 버퍼링되어 저장된 부분의 3D 멀티뷰 영상을 재생한다. 저장된 분량의 3D 멀티뷰 영상도 모두 재생되면, 나머지 부분은 재생 분량은 2D 영상을 수신하여 스트리밍 방식으로 재생한다.
이 경우, 3D 멀티뷰 영상을 스트리밍하여 보고 있던 중에 제2 통신망과 접속이 끊어져도 그 즉시 3D 멀티뷰 영상의 시청이 중단되지 않으며, 미리 저장된 부분을 재생함으로써 영상이 3D 멀티뷰 디스플레이 모드로 재생되는 분량을 최대한 늘릴 수 있다. 따라서 3D 멀티뷰 영상의 재생이 종료되고 잔여 부분은 2D 영상으로 재생되는 시점을 최대한 유예시킬 수 있다.
도 33을 참조하면, 제2 통신망과의 연결이 끊어진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제1 통신망에서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옵션을 팝업창 또는 메뉴 영상(2040)으로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즉 3D 멀티뷰 영상 대신 2D 영상을 이어서 스트리밍할 것인지, 3D 싱글 영상을 이어서 스트리밍할 것인지, 또는 속도가 느린 것을 감수하고 제1 통신망을 통해 3D 멀티뷰 영상을 다운로드하여 남은 부분을 시청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는 팝업창 또는 메뉴 영상(2040)을 제어부(180)가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사용자는 제2 통신망을 통해 3D 멀티뷰 영상을 더 이상 스트리밍 방식을 통해 수신하여 시청하는 것이 어려워진 경우, 미리 저장된 분량의 3D 멀티뷰 영상을 시청할 수 있으며, 미리 저장된 분량의 재생이 종료되면 그 이후의 디스플레이 모드에 대해서는 다시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송되는 3D 멀티뷰 영상의 데이터 패킷 또는 3D 멀티뷰 영상 응답 신호의 포맷을 예시한 도면이다. 3D 멀티뷰 영상 요청 신호 또는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요청 신호에 대한 서버의 응답 신호, 3D 멀티뷰 영상의 데이터 포맷은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제한되지 아니한다.
여기서는 3D 멀티뷰 영상 응답 신호를 포함하는 3D 멀티뷰 영상의 데이터 패킷의 포맷을 가정하여 예시한다. 3D 멀티뷰 영상의 데이터 패킷은 헤더(2110)에 영상의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3D 멀티뷰 영상의 데이터 패킷은 헤더(2110)에 0을 표시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드가 전환되지 않았음을 표시하고, 1을 표시함으로써 이전의 영상에 비하여 디스플레이 모드가 전환되었음을 표시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10)는 헤더 필드의 값을 통해, 앞으로 전송될 데이터가 3D 멀티뷰 데이터임을 예측할 수 있으며, 전환된 디스플레이 모드의 영상 재생에 맞게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을 세팅할 수 있게 된다. 이전에 전송되던 영상의 디스플레이 모드와 사용자가 요청한 디스플레이 모드에 대한 정보는 제어부(180)가 이미 보유하고 있으므로, 헤더(2110)에 0 또는 1이 표시되는 것만으로, 제어부(180)는 이후에 전송될 영상 데이터의 종류, 즉 전송될 영상의 디스플레이 모드를 예측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필드(2120)에는 실제 전송할 영상의 데이터가 실릴 수 있다. 그리고 그 외의 필드에는, 영상 데이터의 수신측 단말 등의 어드레스 정보(수신 add)를 포함하는 수신 어드레스 필드(2130), 발신측 서버 또는 단말 등의 어드레스 정보(발신 add)를 포함하는 발신 어드레스 필드(2140), 영상 데이터의 전송 타이밍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타이밍 정보 필드(2150), 기타 url 정보, 포트 정보 등의 기타 패킷 정보를 포함하는 필드(2160)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34의 (a)는 디스플레이 모드가 전환됨으로써 3D 멀티뷰 영상이 전송될 경우의 데이터 패킷을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전환 요청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드가 전환되어 3D 멀티뷰 영상이 전송되므로, 이를 표시하기 위해 헤더(2110)에 표시되는 값은 1이다. 이동통신 단말기(10)는 헤더 필드의 값을 통해, 앞으로 전송될 데이터가 3D 멀티뷰 데이터임을 예측할 수 있다.
도 34의 (b)는 디스플레이 모드가 전환되지 않고, 3D 싱글뷰 영상이 전송될 경우의 데이터 패킷을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모드가 전환되지 않으므로, 헤더(2110)에는 0이 표시된다.
도 34의 (c)는 디스플레이 모드가 전환됨으로써 3D 싱글뷰 영상이 전송되는 경우의 데이터 패킷을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을 알리기 위해 헤더(2110)에는 1이 표시되며, 실제 전송되는 영상은 3D 싱글뷰 영상이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이전에는 3D 멀티뷰 영상 또는 2D 영상이 전송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예컨대 3D 멀티뷰 영상의 재생 중에 망 환경이 저하되거나 배터리 용량이 기준치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또는 사용자의 전환 요청이 있은 경우, 이후의 재생 분에 대한 영상 데이터가 도 34의 (c)에 도시된 형태와 같은 포맷을 가질 수 있다.
도 34의 (d)는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에 실패하여 계속 2D 영상을 전송하는 경우, 데이터 패킷을 나타낸다. 헤더(2110) 값은 0이며, 데이터 필드(2120)에는 2D 영상이 포함된다.
도 34의 (e)에 도시된 데이터 포맷은,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에 따라 2D 영상이 전송되는 경우의 데이터 패킷을 나타낸다. 망 환경의 저하, 메모리나 배터리 부족 등으로 인하여 2D 영상으로 디스플레이 모드가 변경되는 경우에 도 34의 (e)에 예시된 형태를 가지는 데이터 패킷이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 이동통신 단말기 20 : 기지국
110 : 무선 통신부 120 : A/V 입력부
130 : 사용자 입력부 140 : 센싱부
150 : 출력부 151 : 디스플레이부
160 : 메모리 170 : 인터페이스부
180 : 제어부

Claims (41)

  1. 2D 영상과 3D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2D 영상을 재생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요청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현재 접속중인 통신망의 환경에 따라 상기 3D 영상의 수신이 가능한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3D 영상의 수신이 가능한 경우 서버로부터 상기 3D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3D 영상의 수신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2D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3D 영상을 수신한 경우 상기 3D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2D 영상이 수신된 경우 상기 2D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3D 영상은 3D 싱글뷰 영상 및 3D 멀티뷰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동작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1 통신망 및 제2 통신망에 접속이 가능하며,
    상기 제1 통신망이 레거시(legacy) 망이고 상기 제2 통신망이 LTE(Long Term Evolution) 망인 경우, 상기 2D 영상은 상기 제1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3D 영상은 상기 제2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동작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망을 통해 상기 2D 영상에 상응하는 컨텐츠 소스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2D 영상과 동일한 상기 컨텐츠 소스 정보를 가지는 상기 3D 영상을 상기 제2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동작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2D 영상을 수신하기 위해 상기 제1 통신망이 접속한 PDN(Packet date network)과 상기 3D 영상을 수신하기 위해 상기 제2 통신망이 접속한 PDN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동작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현재 접속중인 통신망의 환경에 따라 상기 3D 영상의 수신이 가능한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접속중인 통신망의 환경을 수치화한 정보인 네트워크 상태값이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3D 영상의 수신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며,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상태값은 서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설정된 채널의 상태, 데이터 전송 속도, 시스템 부하량, 실시간 트래픽 정보 중 하나 이상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1 통신망 및 제2 통신망에 접속이 가능하며, 상기 제1 통신망은 레거시 망이고 상기 제2 통신망은 LTE 망이며,
    현재 접속중인 통신망의 환경에 따라 상기 3D 영상의 수신이 가능한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제2 통신망에 접속된 경우, 또는 상기 제1 통신망과 상기 제2 통신망 중 어느 하나의 통신망을 통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3D 영상을 수신할 수 있는 경우에 상기 3D 영상의 수신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제1 통신망에 접속된 경우, 또는 상기 제1 통신망과 상기 제2 통신망 중 어느 통신망을 통해서도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3D 영상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에 상기 3D 영상의 수신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동작 방법.
  8. 2D 영상과 3D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2D 영상을 재생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요청 신호를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
    현재 접속중인 통신망의 환경에 따라 상기 3D 영상의 수신이 가능한지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3D 영상의 수신이 가능한 경우 서버로부터 상기 3D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3D 영상의 수신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2D 영상을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무선 통신부가 상기 3D 영상을 수신한 경우 상기 3D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2D 영상이 수신된 경우 상기 2D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3D 영상은 3D 싱글뷰 영상 또는 3D 멀티뷰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제1 통신망 및 제2 통신망에 접속이 가능하며, 상기 제1 통신망은 레거시 망이고 상기 제2 통신망은 LTE 망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재 접속중인 통신망의 환경을 수치화한 정보인 네트워크 상태값이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인 경우, 또는 상기 무선 통신부가 상기 제2 통신망에 접속된 경우, 또는 상기 제1 통신망과 상기 제2 통신망 중 어느 하나의 통신망을 통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3D 영상을 수신할 수 있는 경우 중 어느 하나의 경우에 상기 3D 영상의 수신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상태값은 서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설정된 채널의 상태, 데이터 전송 속도, 시스템 부하량, 실시간 트래픽 정보 중 하나 이상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제1 통신망 및 제2 통신망에 접속이 가능하며, 상기 제1 통신망이 레거시 망이고 상기 제2 통신망이 LTE 망인 경우, 상기 2D 영상은 상기 제1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3D 영상은 상기 제2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며,
    상기 제1 통신망을 통해 상기 2D 영상에 상응하는 컨텐츠 소스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2D 영상과 동일한 상기 컨텐츠 소스 정보를 가지는 상기 3D 영상을 상기 제2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1. 제8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배터리를 포함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3D 영상을 재생하는 중에 잔여 배터리의 용량이 미리 설정된 수치 이하가 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디스플레이 모드를 전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가 전환됨에 따라, 상기 3D 영상을 상기 2D 영상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2. 제1 통신망에서 및 제2 통신망에 접속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망에 접속하는 단계;
    서버로부터 상기 제1 통신망과 상기 제2 통신망 중 어느 하나의 통신망을 통해 2D 영상과 3D 싱글뷰 영상 중 하나 이상의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통신망에 접속하는 경우,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2 통신망을 통해 3D 멀티뷰 영상을 더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드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2D 영상, 상기 3D 싱글뷰 영상, 상기 3D 멀티뷰 영상 중 하나 이상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 통신망은 레거시(legacy) 망, 상기 제2 통신망은 LTE(Long Term Evolution) 망이며,
    상기 3D 싱글뷰 영상은 하나의 뷰포인트(viewpoint)에 따른 3D 영상이며, 상기 3D 멀티뷰 영상은 2 이상의 뷰포인트(viewpoint)에 따른 3D 영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동작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망에 접속 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 선택 신호를 입력받기 전에, 상기 2D 영상, 상기 3D 싱글뷰 영상, 상기 3D 멀티뷰 영상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동작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망에 접속 시, 3D 멀티뷰 알림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3D 멀티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모드가 선택 가능하다는 것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동작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2D 영상, 상기 3D 싱글뷰 영상, 상기 3D 멀티뷰 영상 중 하나 이상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상기 2D 영상, 상기 3D 싱글뷰 영상, 상기 3D 멀티뷰 영상들의 버퍼링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프로그래스바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동작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 선택 신호에 따라, 3D 멀티뷰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3D 멀티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사용자로부터 뷰포인트 전환 요청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뷰포인트 전환을 위한 멀티뷰 메뉴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멀티뷰 메뉴 영상을 통해 뷰포인트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선택된 뷰포인트에 상응하는 상기 3D 멀티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동작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3D 멀티뷰 영상이 동영상인 경우, 상기 뷰포인트 전환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뷰포인트 선택 신호를 입력받기 전에 상기 동영상의 재생을 일시 정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동작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뷰포인트 복구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뷰포인트 전환 요청 신호를 입력받기 직전의 뷰포인트로 전환하여 상기 3D 멀티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동작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뷰 메뉴 영상은 상기 2D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2D 디스플레이 모드 상기 3D 싱글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3D 싱글뷰 디스플레이 모드, 상기 3D 멀티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3D 멀티뷰 디스플레이 모드를 각각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항목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통신망과의 접속이 끊어지는 경우, 상기 3D 멀티뷰 디스플레이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항목이 상기 멀티뷰 메뉴 영상에서 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동작 방법.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2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하며,
    제1 안테나를 통해서는 상기 제1 통신망에 접속하고, 제2 안테나를 통해서는 상기 제2 통신망에 접속하며,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1 통신망을 통해 상기 2D 영상, 상기 3D 싱글뷰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제2 통신망을 통해 상기 3D 멀티뷰 영상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동작 방법.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2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하며,
    상기 3D 멀티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제1 안테나를 통해서는 상기 제1 통신망에 접속하고, 제2 안테나를 통해서는 상기 제2 통신망에 접속하며,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2 통신망을 통해 상기 3D 멀티뷰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안테나를 통해서는 상기 제1 통신망을 통해 상기 3D 멀티뷰 영상에 대한 썸네일 영상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동작 방법.
  22.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3D 멀티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상기 3D 멀티뷰 영상의 뷰포인트 별 썸네일 영상을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3D 멀티뷰 영상을 화면의 제1 영역에 표시하고, 2 이상의 뷰포인트에 따른 뷰포인트 별 썸네일 영상을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영역인 화면의 제2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동작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에 표시된 상기 뷰포인트 별 썸네일 영상 중 하나에 대하여 뷰포인트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선택된 상기 뷰포인트 별 썸네일 영상에 상응하는 뷰포인트의 상기 3D 멀티뷰 영상을 상기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동작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3D 멀티뷰 영상이 동영상인 경우,
    상기 뷰포인트 별 썸네일 영상을 상기 제2 영역에 제1 방향으로 나열하고,
    상기 동영상의 재생에 따른 재생시점 별 썸네일 영상을 상기 제2 영역에 제2 방향으로 나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동작 방법.
  2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영상의 종류가 상기 2D 영상인지, 상기 3D 싱글뷰 영상인지 또는 상기 3D 멀티뷰 영상인지 나타내는 영상 종류 정보가 헤더 정보에 포함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동작 방법.
  2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3D 싱글뷰 영상 또는 상기 3D 멀티뷰 영상 중 하나 이상을 현재 재생 시점 이후의 재생 분량을 미리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2 통신망과의 연결이 해제되면, 미리 저장된 재생 분량의 상기 3D 싱글뷰 영상 또는 상기 3D 멀티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미리 저장된 재생 분량의 상기 3D 싱글뷰 영상 또는 상기 3D 멀티뷰 영상이 모두 디스플레이되면, 상기 제1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미리 저장된 재생 분량이후의 재생 분량에 상응하는 상기 2D 영상 또는 상기 3D 싱글뷰 영상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동작 방법.
  27. 제1 통신망에서 및 제2 통신망에 접속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망에 접속하고, 서버로부터 상기 제1 통신망과 상기 제2 통신망 중 어느 하나의 통신망을 통해 2D 영상과 3D 싱글뷰 영상 중 하나 이상의 영상을 수신하며 상기 제2 통신망에 접속하는 경우,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2 통신망을 통해 3D 멀티뷰 영상을 더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사용자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드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2D 영상, 상기 3D 싱글뷰 영상, 상기 3D 멀티뷰 영상 중 하나 이상의 영상을 처리하여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가 출력한 상기 영상 신호에 따라, 상기 2D 영상, 상기 3D 싱글뷰 영상, 상기 3D 멀티뷰 영상 중 하나 이상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 통신망은 레거시(legacy) 망, 상기 제2 통신망은 LTE(Long Term Evolution) 망이며,
    상기 3D 싱글뷰 영상은 하나의 뷰포인트(viewpoint)에 따른 3D 영상이며, 상기 3D 멀티뷰 영상은 2 이상의 뷰포인트(viewpoint)에 따른 3D 영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이동통신 단말기.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통신망에 접속 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 선택 신호를 입력받기 전에, 상기 2D 영상, 상기 3D 싱글뷰 영상, 상기 3D 멀티뷰 영상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메뉴 화면을 생성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통신망에 접속 시, 3D 멀티뷰 알림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3D 멀티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모드가 선택 가능하다는 것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2D 영상, 상기 3D 싱글뷰 영상, 상기 3D 멀티뷰 영상 중 하나 이상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상기 2D 영상, 상기 3D 싱글뷰 영상, 상기 3D 멀티뷰 영상들의 버퍼링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프로그래스바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1.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 선택 신호에 따라, 3D 멀티뷰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3D 멀티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뷰포인트 전환 요청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뷰포인트 전환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뷰포인트 전환을 위한 멀티뷰 메뉴 영상을 표시하며,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멀티뷰 메뉴 영상을 통해 뷰포인트 선택 신호를 입력받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선택된 뷰포인트에 상응하는 상기 3D 멀티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뷰 메뉴 영상은 상기 2D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2D 디스플레이 모드 상기 3D 싱글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3D 싱글뷰 디스플레이 모드, 상기 3D 멀티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3D 멀티뷰 디스플레이 모드를 각각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항목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통신망과의 접속이 끊어지는 경우, 상기 3D 멀티뷰 디스플레이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항목을 상기 멀티뷰 메뉴 영상에서 비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3.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2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하며,
    제1 안테나를 통해서는 상기 제1 통신망에 접속하고, 제2 안테나를 통해서는 상기 제2 통신망에 접속하며,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1 통신망을 통해 상기 2D 영상, 상기 3D 싱글뷰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제2 통신망을 통해 상기 3D 멀티뷰 영상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4.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2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하며,
    상기 3D 멀티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제1 안테나를 통해서는 상기 제1 통신망에 접속하고, 제2 안테나를 통해서는 상기 제2 통신망에 접속하며,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2 통신망을 통해 상기 3D 멀티뷰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안테나를 통해서는 상기 제1 통신망을 통해 상기 3D 멀티뷰 영상에 대한 썸네일 영상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5.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3D 멀티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3D 멀티뷰 영상의 뷰포인트 별 썸네일 영상을 함께 표시하며,
    상기 3D 멀티뷰 영상을 화면의 제1 영역에 표시하고, 2 이상의 뷰포인트에 따른 뷰포인트 별 썸네일 영상을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영역인 화면의 제2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제2 영역에 표시된 상기 뷰포인트 별 썸네일 영상 중 하나에 대하여 뷰포인트 선택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선택된 상기 뷰포인트 별 썸네일 영상에 상응하는 뷰포인트의 상기 3D 멀티뷰 영상을 상기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7.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3D 멀티뷰 영상이 동영상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뷰포인트 별 썸네일 영상을 상기 제2 영역에 제1 방향으로 나열하여 표시하고,
    상기 동영상의 재생에 따른 재생시점 별 썸네일 영상을 상기 제2 영역에 제2 방향으로 나열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3D 싱글뷰 영상 또는 상기 3D 멀티뷰 영상 중 하나 이상을 현재 재생 시점 이후의 재생 분량을 미리 수신하여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통신망과의 연결이 해제되면, 제어부는 미리 저장된 재생 분량의 상기 3D 싱글뷰 영상 또는 상기 3D 멀티뷰 영상을 재생하고, 상기 미리 저장된 재생 분량의 상기 3D 싱글뷰 영상 또는 상기 3D 멀티뷰 영상이 모두 디스플레이되면, 상기 제1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미리 저장된 재생 분량 이후의 재생 분량에 상응하는 상기 2D 영상 또는 상기 3D 싱글뷰 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9. 2D 영상, 3D 싱글뷰 영상, 3D 멀티뷰 영상 중 하나 이상을 재생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요청 신호를 입력받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요청 신호를 입력받음에 따라 3d 멀티뷰 영상 요청 신호를 출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3D 멀티뷰 영상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3D 멀티뷰 영상을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현재 접속된 망 환경에 따라 상기 3D 멀티뷰 영상을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된 경우에 한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3D 멀티뷰 영상을 수신하며,
    상기 3D 싱글뷰 영상은 하나의 뷰포인트(viewpoint)에 따른 3D 영상이며, 상기 3D 멀티뷰 영상은 2 이상의 뷰포인트(viewpoint)에 따른 3D 영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1 통신망 및 제2 통신망에 접속이 가능하며, 상기 제1 통신망은 레거시 망이고 상기 제2 통신망은 LTE 망이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 통신부가 상기 제2 통신망에 접속된 경우에 상기 3D 멀티뷰 영상의 수신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41.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3D 멀티뷰 영상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3D 멀티뷰 영상 응답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현재 접속된 망 환경에 따라 상기 서버가 전송할 영상이 상기 2D 영상인지, 상기 3D 싱글뷰 영상인지 아니면 상기 3D 멀티뷰 영상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3D 멀티뷰 영상 응답 신호의 헤더 정보로 포함시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KR1020110060832A 2011-06-22 2011-06-22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249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0832A KR101249901B1 (ko) 2011-06-22 2011-06-22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US13/495,847 US9008732B2 (en) 2011-06-22 2012-06-13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EP12172498.3A EP2538688B1 (en) 2011-06-22 2012-06-18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0832A KR101249901B1 (ko) 2011-06-22 2011-06-22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245A KR20130000245A (ko) 2013-01-02
KR101249901B1 true KR101249901B1 (ko) 2013-04-09

Family

ID=46754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0832A KR101249901B1 (ko) 2011-06-22 2011-06-22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008732B2 (ko)
EP (1) EP2538688B1 (ko)
KR (1) KR1012499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02120B2 (en) 2015-12-21 2020-03-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image data,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3D imag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54407B2 (en) 2013-03-15 2019-07-16 Spatial Cam Llc Camera for locating hidden objects
US9736368B2 (en) * 2013-03-15 2017-08-15 Spatial Cam Llc Camera in a headframe for object tracking
US10896327B1 (en) 2013-03-15 2021-01-19 Spatial Cam Llc Device with a camera for locating hidden object
US20140228073A1 (en) * 2013-02-14 2014-08-14 Lsi Corporation Automatic presentation of an image from a camera responsive to detection of a particular type of movement of a user device
JP6167703B2 (ja) * 2013-07-08 2017-07-26 株式会社リコー 表示制御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03412410B (zh) * 2013-07-19 2015-10-1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立体触感装置及显示装置
KR102148001B1 (ko) * 2013-10-17 2020-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JP2015095802A (ja) * 2013-11-13 2015-05-18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055499B1 (en) * 2014-02-25 2015-06-09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to control communication sessions over a long term evolution (LTE) network
KR101954263B1 (ko) * 2014-06-11 2019-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다시점 영상 제공 방법
JP5925919B1 (ja) * 2015-01-07 2016-05-25 株式会社ぐるなび 情報提供サーバ
US10675542B2 (en) 2015-03-24 2020-06-09 Unity IPR ApS Method and system for transitioning between a 2D video and 3D environment
US10306292B2 (en) * 2015-03-24 2019-05-28 Unity IPR ApS Method and system for transitioning between a 2D video and 3D environment
WO2016204481A1 (ko) * 2015-06-16 2016-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미디어 데이터 전송 장치, 미디어 데이터 수신 장치, 미디어 데이터 전송 방법, 및 미디어 데이터 수신 방법
US11006095B2 (en) * 2015-07-15 2021-05-11 Fyusion, Inc. Drone based capture of a multi-view interactive digital media
US10219026B2 (en) * 2015-08-26 2019-02-26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layback of a multi-view video
US10568126B2 (en) * 2016-03-01 2020-02-18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ed uplink data processing in a communication network with limited backhaul
KR20170143384A (ko) * 2016-06-21 2017-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8066381A1 (ja) * 2016-10-06 2018-04-12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7159057B2 (ja) * 2017-02-10 2022-10-24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自由視点映像生成方法及び自由視点映像生成システム
US10313651B2 (en) 2017-05-22 2019-06-04 Fyusion, Inc. Snapshots at predefined intervals or angles
CN107707865B (zh) * 2017-09-11 2024-02-23 深圳传音通讯有限公司 一种通话方式开启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0721159B2 (en) * 2018-04-25 2020-07-21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Rebuilt flow events
JP7271099B2 (ja) * 2018-07-19 2023-05-11 キヤノン株式会社 ファイルの生成装置およびファイルに基づく映像の生成装置
US11257283B2 (en) 2019-03-07 2022-02-22 Alibaba Group Holding Limited Image reconstruction method, system,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N111669568B (zh) * 2019-03-07 2024-05-28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多角度自由视角交互方法及装置、介质、终端、设备
KR102211823B1 (ko) * 2019-05-20 2021-02-0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영상 콘텐츠 표시를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2188181B (zh) * 2019-07-02 2023-07-04 中强光电股份有限公司 图像显示设备、立体图像处理电路及其同步信号校正方法
KR20210087271A (ko) * 2020-01-02 2021-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3d 증강 현실 내비게이션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CN111246012B (zh) * 2020-01-06 2022-09-1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应用界面显示方法、装置及存储介质
JP7443100B2 (ja) * 2020-03-10 2024-03-05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KR102435789B1 (ko) * 2021-12-16 2022-08-24 주식회사 카펜스트리트 3차원 객체 영상을 처리하기 위한 기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39562A (ja) * 2009-03-31 2010-10-21 Casio Hitachi Mobile Communications Co Ltd 画像受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00133351A (ko) * 2010-12-03 2010-12-21 송시원 유비쿼터스 통신에서 동영상 제어 이동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323886D1 (de) * 2003-08-15 2008-11-13 Research In Motion Ltd Vorrichtung und assoziiertes verfahren zum erhalten von dienstqualitätsniveaus während der weiterreichung in einem funkkommunikationssystem
US7957733B2 (en) * 2004-07-16 2011-06-07 Sellerbid,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media communications with different user terminals
KR100729622B1 (ko) * 2005-12-01 2007-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멀디미디어 컨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
JP2007180766A (ja) * 2005-12-27 2007-07-12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再生制御方法
CN101237677B (zh) * 2007-02-02 2010-09-08 华为技术有限公司 ***间切换时传递聚合最大位速率的方法、网络***及目的侧网络
US8134970B2 (en) * 2007-05-04 2012-03-13 Wichorus Inc.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cont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20080303832A1 (en) * 2007-06-11 2008-12-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generating two-dimensional/three-dimensional convertible stereoscopic image bitstrea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the same
US8341544B2 (en) * 2007-12-14 2012-12-25 Apple Inc. Scroll bar with video region in a media system
US20100150245A1 (en) * 2008-12-15 2010-06-1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ultimedia Stream Selection
US8179449B2 (en) * 2009-05-20 2012-05-15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a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content based on movement of the display and user position
US8473639B2 (en) * 2009-11-11 2013-06-2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non access stratum (NAS) procedure in multi-mode terminal
WO2011060809A1 (en) * 2009-11-17 2011-05-2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ynchronization of cameras for multi-view session captur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39562A (ja) * 2009-03-31 2010-10-21 Casio Hitachi Mobile Communications Co Ltd 画像受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00133351A (ko) * 2010-12-03 2010-12-21 송시원 유비쿼터스 통신에서 동영상 제어 이동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02120B2 (en) 2015-12-21 2020-03-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image data,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3D im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38688A2 (en) 2012-12-26
EP2538688A3 (en) 2017-03-29
EP2538688B1 (en) 2019-08-07
US9008732B2 (en) 2015-04-14
KR20130000245A (ko) 2013-01-02
US20120329527A1 (en) 201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9901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349278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US9465479B2 (en) Mobile terminal and image converting method thereof
JP5357238B2 (ja) 携帯端末機及びその動作制御方法
KR101729026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20021762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20048397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60029551A (ko) 전자 기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20031805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EP3968651A1 (en) Bitrate switching method and device
US20150070525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266104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233214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65147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20045466A (ko) 이동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
KR101664423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7013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275581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EP4199452A1 (en) Network data group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computer device, and storage medium
KR20120048396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60066929A (ko)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KR20150029199A (ko)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KR10203948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60029552A (ko) 전자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CN115048572A (zh) 数据处理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