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6343B1 - Rfid 태그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러한단말기의 rfid 리더기 접근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Rfid 태그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러한단말기의 rfid 리더기 접근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6343B1
KR101246343B1 KR1020050082527A KR20050082527A KR101246343B1 KR 101246343 B1 KR101246343 B1 KR 101246343B1 KR 1020050082527 A KR1020050082527 A KR 1020050082527A KR 20050082527 A KR20050082527 A KR 20050082527A KR 101246343 B1 KR101246343 B1 KR 101246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fid
tag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c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2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7173A (ko
Inventor
박선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2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6343B1/ko
Publication of KR20070027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7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6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6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7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interrog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4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near-field transmission
    • H04B5/48Trans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RFID 태그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RFID 리더기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RFID 태그에 접근할 경우 리더기의 접근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에 RFID 태그를 장착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본 발명에 따른 접근제어 방법은 RFID 리더기가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에 장착된 RFID 태그의 정보를 읽으려 하는 경우 단말기 사용자의 허가에 의해 읽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와 별도로 신용카드나 출입카드를 휴대해야 하는 불편을 줄일 수 있고, 이동통신 단말기에 RFID 리더기가 접근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RFID 리더기의 접근을 제어할 수 있어 RFID 태그에 저장된 정보의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RFID, 이동통신 단말기, 접근제어

Description

RFID 태그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러한 단말기의 RFID 리더기 접근제어 방법{A Mobile Phone Equipped with RFID Tag and Thereof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of RFID Reader}
도 1은 RFID 기술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RFID 태그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RFID 태그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RFID 태그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RFID 리더기 접근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RFID 태그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RFID 리더기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RFID 태그에 접근할 경우 리더기의 접근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은 각종 물품에 소형 칩을 부착해 사물의 정보와 주변 환경정보를 무선주파수로 전송·처리하는 비접촉식 인식 기 술이다. 이를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전용 근거리 통신) 또는 무선식별기술이라고도 한다.
RFID 기술이 적용된 시스템은 판독·해독기능이 있는 RFID 리더기와 고유 정보를 내장한 RFID 태그, 운용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등으로 구성된다. RFID 리더기는 사물에 부착된 얇은 평면 형태의 RFID 태그를 식별함으로써 정보를 처리한다.
RFID 태그는 반도체로 제작된 트랜스폰더 칩과 안테나로 구성되며, 수동식과 능동식이 있다. 수동식이 내부 전원 없이 판독기의 전파신호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아 동작하는 데 비해 능동식에는 스스로 작동하기 위해 RFID 태그 전원이 내장되어 있다. 실리콘 반도체 칩을 사용하는 칩 태그와 LC소자, 플라스틱 또는 폴리머(polymer:중합체) 소자로만 구성된 무칩 태그로 구분하기도 한다.
RFID 기술은 바코드처럼 직접 접촉하거나 가시대역 안에서 스캐닝할 필요가 없다. 이 같은 장점 때문에 바코드를 대체할 기술로 평가받으며, 활용범위도 확대되고 있다. 저주파 RFID 시스템(30 kHz~500 kHz)은 1.8m 이하의 짧은 거리에서 사용되며, 고주파 RFID 시스템(850 MHz~950 MHz 또는 2.4 GHz~2.5 GHz)은 27m 이상의 먼 거리에서 전송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RFID 기술의 실시예를 살펴본다. 도 1은 RFID 기술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을 보면, RFID 리더기(110)가 있고 RFID 태그(121)가 부착된 제품(120)이 있다. 상기 RFID 태그(121)에는 제품(120)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RFID 태그(121)가 부착된 제품(120)을 RFID 리더기(110)에 접근시키면 RFID 리더기(110) 는 RFID 태그(121)에 저장된 정보를 판독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사용자가 RFID 리더기(110)를 통해서 제품(120)에 관련된 여러가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도 2는 RFID 태그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RFID 태그(200)는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MPU(Micro Processor Unit, 태그 제어부, 220), 자체 프로그램 및 RFID 태그 정보를 저장하는 태그 메모리(230),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10), 외부 제어신호와 통신을 위한 입출력부(250) 및 무선주파수 송수신부(240)로 구성된다.
무선주파수 송수신부(240)는 무선주파수 송신부(241)와 무선주파수 수신부(244)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무선주파수 송신부(241)는 무선주파수 변조부(242)와 무선주파수 송신모듈(243)로 구성되며, 상기 무선주파수 수신부(244)는 무선주파수 수신모듈(245)과 무선주파수 복조부(246)로 구성된다.
종래의 RFID 기술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RFID 태그(121)는 제품(120)의 소정 부위에 부착된다. RFID 리더기(110)를 통하여 RFID 태그(121)에 저장된 정보를 읽어 들이게 된다. RFID 태그(121)에는 제품에 관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전자칩(chip)이 내장되어 있다. 이 전자칩에는 제품에 관한 기초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각 제품(120)에 RFID 태그(121)를 삽입하고, 사용자가 RFID 리더기(110)를 통해서 제품(120)에 관련된 여러 가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도 2의 RFID 태그(200)는 RFID 리더기(110)로부터의 "Wake-up" 신호를 받게 될 경우, 무선주파수 송수신부(240)에 의해 신호가 검출되며, 전원부(210)로부터 MPU(220)에 전원이 공급된다. 능동식 RFID 태그일 경우 전원부가 존재하며, 수동식 RFID 태그일 경우 전원부가 존재하지 않는다. 능동식 RFID 태그일 경우 "Wake-up" 신호에 따라 전원부로부터 전원이 RFID 태그(200)에 공급되고, 메모리(230)에 있는 태그 정보가 MPU(220)를 통하여 무선주파수 송수신부(240)를 거쳐 송출된다. 전원부(210)가 없는 RFID 태그일 경우 RFID 리더기 전파를 통해 직류전원을 생성할 수 있는 정류회로가 무선주파수 송수신부(240)에 구성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RFID 기술은 최근 널리 활용되고 있는 기술이지만, 이동통신 기술과 연동하여 단말기에 적용하는 방법은 현재까지 제안된 바 없다.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GPS 수신기와 무선주파수 송수신모듈을 통해 얻은 정보를 RFID 태그에 업데이트하여 RFID 리더기로 읽을 수 있게 하는 방법 또한 제안된 바 없다.
본 발명은 RFID 태그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RFID 리더기가 RFID 태그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RFID 리더기가 접근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RFID 리더기의 접근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RFID 태그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입출력부, 무선주파수 송수신부, 태그 전원부 및 태그 메모리와 연결되고 RFID 태그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태그 제어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 및 상기 태그 제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와 상기 태그 제어부 사이의 통신을 담당하는 입출력부; 상기 태그 제어부와 연결되고 RFID 리더기와의 무선통신을 담당하는 무선주파수 송수신부; 상기 태그 제어부와 연결되고 자체 프로그램 및 RFID 태그 정보를 저장하는 태그 메모리;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부 및 상기 태그 제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RFID 태그에 전원을 공급하는 태그 전원부로 구성되는 RFID 태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RFID 태그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RFID 리더기 접근제어 방법은 RFID 리더기가 RFID 태그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접근하는 경우 단말기 사용자에게 RFID 리더기에 정보 제공을 허용할 것인지 묻는 RFID 접근허가 확인단계; 상기 접근허가 확인단계에서 사용자가 접근을 거부한 경우 RIFD 리더기에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RFID 태그의 정보를 전송하지 않는 RFID 접근 거부단계; 및 상기 접근허가 확인단계에서 사용자가 접근을 허가한 경우 RFID 리더기에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RFID 태그의 정보를 전송하는 RFID 접근 허가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RFID 접근허가 확인단계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Pop-up 메뉴를 띄워 사용자의 응답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단말기 사용자에게 RFID 리더기에 정보 제공을 허용할 것인지 묻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RFID 접근 허가단계에서 RFID 리더기에 전송되는 RFID 태그의 정보에는 단말기와 단말기 사용자의 고유정보 및 단말기를 통해 무선인터넷으로부터 전송받은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주파수 송수신부로부터 전송받은 시간정보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GPS 수신부로부터 전송받 은 위치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RFID 태그의 정보와 함께 RFID 리더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에 RFID 리더기 접근 히스토리 저장섹터를 두어 상기 RFID 접근 거부단계에서는 해당 RFID 리더기의 접근 히스토리에 거절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RFID 접근 허가단계에서는 해당 RFID 리더기의 접근 히스토리에 허가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거절정보 또는 허가정보를 접근 히스토리에 저장하는 경우, 시간정보와 위치정보를 함께 접근 히스토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RFID 태그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에 RFID 태그를 장착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RFID 태그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RFID 리더기 접근제어 방법은 RFID 리더기가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에 장착된 RFID 태그의 정보를 읽으려 하는 경우 단말기 사용자의 허가에 의해 읽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RFID 태그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러한 단말기의 RFID 리더기 접근제어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RFID 태그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설명될 본 발명에 따른 RFID 태그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구성요소들만으로 언급한 것으로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요소들 중 이하에 언급되지 아니한 것도 함께 본 발명에 따른 RFID 태그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요소가 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RFID 태그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RFID 태그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300)는 이동통신 단말기(3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340), 기본적인 이동통신 단말기(300)의 기능 및 RFID 태그(310) 제어 기능들을 내장한 메모리(330), 사용자의 제어 의사를 반영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350), 상기 제어부(340)의 제어신호에 따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형태의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360), 단말기와 기지국 간 통신을 하기 위해 제어부(340)에 의해 제어되는 무선주파수 송수신부(370), GPS 위성을 통하여 위치 정보를 얻을 수 있는 GPS 수신부(380), 단말기(300) 전체의 전원 구동을 위한 전원부(320) 및 외부 RFID리더기(400)와 통신할 수 있는 RFID 태그(3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메모리(330), 사용자 인터페이스(350), 디스플레이부(360), 무선주파수 송수신부(370), GPS 수신부(380), 전원부(320) 및 RFID 태그(310)는 제어부(340)에 연결되어 제어부(340)의 제어를 받는다.
단말기(300) 내에 장착된 RFID 태그(310)는 제어부(340)를 통해 GPS 수신부(380) 및 무선주파수 송수신부(370)와 서로 연동하여 동작한다.
상기 단말기(300) 내의 RFID 태그(310)는 RFID 태그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 하는 MPU(312), 자체 프로그램 및 RFID 태그 정보를 저장하는 태그 메모리(313), 전원을 공급하는 태그 전원부(311), 이동통신 단말기(300)의 제어부(340)와의 통신을 위한 입출력부(315) 및 무선주파수 송수신부(314)로 구성된다.
상기 MPU(312)는 입출력부(315), 무선주파수 송수신부(314), 태그 전원부(311) 및 태그 메모리(313)와 연결되어 이들의 제어를 담당하고, 상기 입출력부(315)는 이동통신 단말기(300)의 제어부(340) 및 MPU(312)와 연결되고 이동통신 단말기(300)의 제어부(340)와 MPU(312) 사이의 통신을 담당한다.
그리고, 상기 태그 전원부(311)는 이동통신 단말기(300)의 전원부(320) 및 MPU(312)와 연결되고 RFID 태그에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태그 메모리(313)는 MPU(312)와 연결되어 있다. 태그 전원부(311)는 이동통신 단말기(300)의 전원부(3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무선주파수 송수신부(314)는 상기 MPU(312)와 연결되고 RFID 리더기(400)와의 무선통신을 담당하며, 무선주파수 송신부와 무선주파수 수신부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무선주파수 송신부는 무선주파수 변조부와 무선주파수 송신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무선주파수 수신부는 무선주파수 수신모듈과 무선주파수 복조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RFID 태그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의 RFID 태그에 신용카드 정보를 저장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를 신용카드 대신에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RFID 태그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른 하나의 바람직 한 일실시예는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의 RFID 태그에 출입정보를 저장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를 출입카드 대신에 사용하는 것이다.
오늘날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이 보편화되어 있고 항상 휴대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본 발명에 따른 RFID 태그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상기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이용하는 것은 별도로 신용카드나 출입카드를 소지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을 제공한다.
상기 언급한 실시예에서 제시한 정보 외의 다른 정보를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RFID 태그에 저장하여 이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RFID 태그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RFID 리더기 접근제어 방법에 대해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RFID 태그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RFID 리더기 접근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RFID 리더기(400)가 이동통신 단말기(300)에 접근하면 RFID 리더기(400)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300)에 장착된 RFID 태그(310)의 정보에 접근하기 위해 "Wake-up" 신호와 RFID 리더기(400)의 ID 신호가 송출된다(S1).
상기와 같이 송출된 신호는 RFID 태그(310)의 무선주파수 송수신부(314)의 무선주파수 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된다. 이 수신된 신호로 인해 태그 전원부(311)에서 전원이 MPU(312) 및 태그 메모리(313) 등에 공급된다. 수신된 RFID 리더기(400)의 ID 신호는 수신 및 복조되며, 복조된 신호는 MPU(312)를 통하여 태그 메모리(313)에 저장된다. 태그 메모리(313)에는 '태그 전송 데이터 포맷'이 구성되는데 이는 'RFID 리더기 ID 필드', '시간정보 필드', '위치정보 필드', '태그 데이터 필드'로 이루어져 있다. RFID 리더기(400)의 ID 정보는 '태그 전송 데이터 포맷' 중 'RFID 리더기 ID 필드'에 저장된다(S2).
"Wake-up" 신호를 RFID 태그(310)가 인식하게 됨에 따라 인터럽트 신호가 MPU(312)로부터 입출력부(315)를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340)에 전달되며, 이에 따라 제어부(340)는 메모리(330)에 저장된 위 인터럽트에 따른 해당 서비스 루틴 프로그램을 호출한다(S3).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 프로그램 호출 후, 제어부(340)는 인터럽트 응답신호를 RFID 태그(310)로 전달한다. 인터럽트 응답신호가 입출력부(315)를 통해 MPU(312)로 전달되면, 이를 근거로 RFID 태그 메모리(313)에 저장된 RFID 리더기(400)의 ID 정보가 MPU(312)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부(340)에 전달된다(S4).
이동통신 단말기(300)의 제어부(340)은 디스플레이부(360)에 RFID 리더기(400)의 접근을 허가할 것인지를 묻는 Pop-up 메뉴를 발생시킨다(S5).
이동통신 단말기(300)의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50)을 통하여 RFID 리더기(400)의 접근에 대해 허가하거나 거절할 수 있다. 허가 및 거절 옵션을 선택하는데 앞서 사용자 암호키를 확인하는 과정을 추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S6).
이와 같이 RFID 리더기(400)의 접근허용 여부를 사용자에게 묻는 이유는 사용자에게 이동통신 단말기(300)에 저장된 정보에 대한 통제권을 부여하기 위해서 이다. 이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신용카드 번호, 출입인증 정보 등의 사용자 정보에 대한 보안이 강화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사용자 암호키를 확인하 는 과정을 추가한다면 이러한 보안기능은 더욱 강화된다. 그러나, 이러한 RFID 접근허가 확인단계를 추가함으로 인해 보안기능은 강화될 수 있지만 RFID 리더기(400)가 접근할 때마다 접근허용 여부를 묻게 되면 이용에 불편한 점이 생길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후술할 RFID 리더기 접근 히스토리(access history)를 통해 해소될 수 있다.
상기 S6 단계에서 사용자가 거절 옵션을 선택하게 될 경우, 제어부(340)는 상기 접근한 RFID 리더기(400)의 접근 히스토리에 거절정보를 저장하여 단말기 메모리(330)에 저장되도록 제어한다(S7). 그 후 접근제어 과정을 종료한다.
반대로, S6단계에서 사용자가 허가 옵션을 선택하게 될 경우, 제어부(340)은 RFID 태그(310)에 접근응답 신호를 발생시키며, 제어부(340)는 상기 접근한 RFID 리더기(400)의 접근 히스토리에 허가정보를 저장하여 단말기 메모리(330)에 저장되도록 제어한다(S8).
여기서 접근 히스토리는 각 RFID 리더기에 대한 접근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이다. 이러한 접근 히스토리에는 이동통신 단말기(300) 사용자가 어떠한 RFID 리더기(400)의 접근을 거부하고 어떠한 RFID 리더기(400)의 접근을 허용하였는지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접근 히스토리는 이동통신 단말기(300)의 메모리(330)의 일정 섹터에 저장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350)을 통해 디스플레이부(360)에서 메뉴로 불러와 편집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접근 히스토리를 사용하면 전술한 RFID 리더기(400)가 접근할 때마다 접근허용 여부를 묻게 되어 불편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다. 이 동통신 단말기(300)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3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350)를 통해 한번 저장된 접근 히스토리를 계속적으로 사용할 것인지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접근 히스토리를 계속 사용하지 않는다면, RFID 리더기(400)가 접근할 때마다 접근허용 여부를 묻게 되어 단점은 있으나 보안기능은 더욱 강화되는 장점이 있고, 접근 히스토리를 계속 사용한다면, 보안기능상 단점은 있으나 RFID 리더기(400)가 접근할 때마다 접근허용 여부를 묻게 되어 불편은 해소된다는 장점이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50)를 통한 접근 히스토리 편집을 통해 RFID 리더기(400) 별로 또는 시간대나 위치별로 RFID 리더기의 접근허용 여부를 설정할 수 있어, 상기 장단점을 고려하여 RFID 리더기의 접근제어를 할 수 있다.
접근 히스토리에는 시간정보와 위치정보가 함께 저장된다. 시간정보는 이동통신 단말기(300)의 무선주파수 송수신부(370)로부터 전송받고, 위치정보는 이동통신 단말기(300)의 GPS 수신부(380)로부터 전송받는다. 시간정보는 기지국(500)에서 무선주파수 송수신부(370)에 전송된 정보이다.
이와 같이 접근 히스토리에 시간정보와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이유는 어느 시간에 어느 위치에서 RFID 리더기(400)의 접근을 거부하고 허용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접근 히스토리에 저장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해서이다. 이러한 정보를 통해 사용자는 접근제어를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상기 S8 단계 이후에 시간정보와 위치정보가 제어부(340)을 통하여 RFID 태그(310)로 전송되고(S9),
상기 S9 단계에서 RFID 태그(310)로 전송된 시간정보 및 위치정보는 입출력 부(315)를 통해 MPU(312)를 거쳐 태그 메모리(313)에 저장된다. 시간정보는 '태그 전송 데이터 포맷'의 '시간정보 필드'에 저장되며, 위치정보는 '태그 전송 데이터 포맷'의 '위치정보 필드'에 저장된다(S10).
이후, 태그 메모리(313)의 '태그 전송 데이터 포맷' 상의 필드들이 모두 채워졌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거친다(S11). 태그 데이터 필드에 저장되는 데이터에는 단말기나 단말기 사용자의 고유정보 이외에도 단말기를 통해 무선인터넷으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도 포함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RFID 태그 저장되는 정보는 계속 업데이트될 수 있다.
'태그 전송 데이터 포맷' 상의 모든 필드가 채워졌음이 확인되면, MPU(312)는 태그 메모리(313)의 '태그 전송 데이터 포맷' 상의 전송 데이터를 무선주파수 송수신부(314)의 무선주파수 송신부를 통하여 전송한다(S12). RFID 리더기(400)는 이동통신 단말기(300)에 장착된 RFID 태그(310)로부터 송신된 전송 데이타를 수신한다(S13).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RFID 태그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러한 단말기의 RFID 리더기 접근제어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발명에 따른 RFID 태그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러한 단말기의 RFID 리더기 접근제어 방법의 범위는 본 출원서에 설명된 부분에 한정되지 않고 명세서와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설명되는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모든 변형된 형태와 수정된 형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RFID 태그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에 RFID 태그를 장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를 신용카드나 출입카드 대신에 사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와 별도로 신용카드나 출입카드를 휴대해야 하는 불편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RFID 태그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RFID 리더기 접근제어 방법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에 RFID 리더기가 접근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RFID 리더기의 접근을 제어할 수 있어 RFID 태그에 저장된 정보의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9)

  1. 이동통신 단말기(3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340), 기본적인 이동통신 단말기(300)의 기능 및 RFID 태그(310) 제어 기능들과 RFID 리더기 접근 히스토리 저장섹터를 내장한 메모리(330), 사용자의 제어 의사를 반영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350), 상기 제어부(340)의 제어신호에 따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형태의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360), 단말기와 기지국 간 통신을 하기 위해 제어부(340)에 의해 제어되는 무선주파수 송수신부(370), 외부 RFID리더기(400)와 통신할 수 있는 RFID 태그(3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RFID태그(310)는,
    입출력부, 무선주파수 송수신부, 태그 전원부 및 태그 메모리와 연결되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태그 제어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 및 상기 태그 제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와 상기 태그 제어부 사이의 통신을 담당하는 입출력부;
    상기 태그 제어부와 연결되고 RFID 리더기와의 무선통신을 담당하는 무선주파수 송수신부; 상기 태그 제어부와 연결되고 자체 프로그램 및 RFID 태그 정보를 저장하는 태그 메모리;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부 및 상기 태그 제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RFID 태그에 전원을 공급하는 태그 전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340)는,
    RFID 리더기가 RFID 태그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접근하는 경우 단말기 사용자에게 RFID 리더기에 정보 제공을 허용할 것인지 묻는 RFID 접근허가 확인단계;
    상기 접근허가 확인단계에서 사용자가 접근을 거부한 경우 RIFD 리더기에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RFID 태그의 정보를 전송하지 않으며, 해당 RFID 리더기의 접근 히스토리에 거절 정보를 저장하는 RFID 접근 거부단계; 및
    상기 접근허가 확인단계에서 사용자가 접근을 허가한 경우 RFID 리더기에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RFID 태그의 정보를 전송하며, 해당 RFID 리더기의 접근 히스토리에 허가 정보를 저장하는 RFID 접근 허가단계;를 수행하는 것에 의해 외부 RFID리더기의 접근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태그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
  2. 이동통신 단말기(3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340), 기본적인 이동통신 단말기(300)의 기능 및 RFID 태그(310) 제어 기능들과 RFID 리더기 접근 히스토리 저장섹터를 내장한 메모리(330), 사용자의 제어 의사를 반영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350), 상기 제어부(340)의 제어신호에 따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형태의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360), 단말기와 기지국 간 통신을 하기 위해 제어부(340)에 의해 제어되는 무선주파수 송수신부(370), 외부 RFID리더기(400)와 통신할 수 있는 RFID 태그(3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RFID리더기 접근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RFID 리더기가 RFID 태그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접근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340)가 단말기 사용자에게 RFID 리더기에 정보 제공을 허용할 것인지 묻는 RFID 접근허가 확인단계;
    상기 접근허가 확인단계에서 사용자가 접근을 거부한 경우 상기 제어부(340)가 RIFD 리더기에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RFID 태그의 정보를 전송하지 않으며 해당 RFID 리더기의 접근 히스토리에 거절 정보를 저장하는 RFID 접근 거부단계; 및
    상기 접근허가 확인단계에서 사용자가 접근을 허가한 경우 상기 제어부(340)가 RFID 리더기에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RFID 태그의 정보를 전송하며 해당 RFID 리더기의 접근 히스토리에 허가 정보를 저장하는 RFID 접근 허가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태그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RFID 리더기 접근제어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RFID 접근허가 확인단계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Pop-up 메뉴를 띄워 사용자의 응답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단말기 사용자에게 RFID 리더기에 정보 제공을 허용할 것인지 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태그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RFID 리더기 접근제어 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RFID 접근 허가단계에서,
    RFID 리더기에 전송되는 RFID 태그의 정보에는 단말기와 단말기 사용자의 고유정보 및 단말기를 통해 무선인터넷으로부터 전송받은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태그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RFID 리더기 접근제어 방법.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RFID 접근 허가단계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주파수 송수신부로부터 전송받은 시간정보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부로부터 전송받은 위치정보를 RFID 태그의 정보와 함께 RFID 리더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태그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RFID 리더기 접근제어 방법.
  6. 삭제
  7. 청구항 2에 있어서,
    거절정보 또는 허가정보를 접근 히스토리에 저장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주파수 송수신부로부터 전송받은 시간정보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GPS 수신부로부터 전송받은 위치정보를 함께 접근 히스토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태그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RFID 리더기 접근제어 방법.
  8. 기지국과 통신하는 무선주파수 송수신부;
    상기 무선주파수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기능이 저장된 메모리; 및
    RF 리더기의 접근시 상기 RF 리더기로부터 ID신호를 수신하고 인터럽트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무선주파수 송수신부와, 태그 정보 및 상기 ID신호가 저장되는 태그 메모리, 그리고 상기 ID신호를 상기 태그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태그 제어부를 구비하는 RFID 태그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기는 상기 태그 정보를 상기 RF 리더기로 전송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RFID 리더기의 접근 히스토리에 대한 거절정보 또는 허가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태그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
  9.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RFID 태그를 통해 RF 리더기로부터 ID 신호를 수신하고 인터럽트 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하는 단계;
    상기 RFID 태그의 태그 메모리에 저장된 태그 정보를 상기 RF 리더기로 전송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태그 정보를 상기 RF 리더기로 전송하지 않을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에 제공된 상기 RFID 리더기 접근 히스토리 저장섹터에 거절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태그 정보를 상기 RF 리더기로 전송할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에 제공된 상기 RFID 리더기 접근 히스토리 저장섹터에 허가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태그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RFID 리더기 접근제어 방법.
KR1020050082527A 2005-09-06 2005-09-06 Rfid 태그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러한단말기의 rfid 리더기 접근제어 방법 KR101246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2527A KR101246343B1 (ko) 2005-09-06 2005-09-06 Rfid 태그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러한단말기의 rfid 리더기 접근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2527A KR101246343B1 (ko) 2005-09-06 2005-09-06 Rfid 태그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러한단말기의 rfid 리더기 접근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7173A KR20070027173A (ko) 2007-03-09
KR101246343B1 true KR101246343B1 (ko) 2013-03-21

Family

ID=38100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2527A KR101246343B1 (ko) 2005-09-06 2005-09-06 Rfid 태그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러한단말기의 rfid 리더기 접근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634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44717A1 (en) * 2014-09-18 2016-03-24 Booz Allen & Hamilto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based security
US9841490B1 (en) 2017-01-17 2017-12-12 Booz Allen Hamilton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movement of a mobile asset and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asset based on its movement
US10372923B2 (en) 2018-01-09 2019-08-06 Booz Allen Hamilton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power states of a mobile computing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293B1 (ko) * 2007-05-11 2008-11-19 주식회사 씨브이네트 키홀더 카드를 이용한 통합보안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3955A (ko) * 2003-10-07 2005-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주파수 식별 태그가 결합된 이동 단말 회로 및 그이동 단말기에서의 무선 식별 방법
KR20050051508A (ko) * 2003-11-27 2005-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주파수 식별 태그와 스마트 카드가 결합된 이동단말기및 그 이동단말기에서의 무선 식별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3955A (ko) * 2003-10-07 2005-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주파수 식별 태그가 결합된 이동 단말 회로 및 그이동 단말기에서의 무선 식별 방법
KR20050051508A (ko) * 2003-11-27 2005-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주파수 식별 태그와 스마트 카드가 결합된 이동단말기및 그 이동단말기에서의 무선 식별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44717A1 (en) * 2014-09-18 2016-03-24 Booz Allen & Hamilto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based security
US9848291B2 (en) 2014-09-18 2017-12-19 Booz Allen Hamilton Inc.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based security
US10244347B2 (en) 2014-09-18 2019-03-26 Booz Allen Hamilton Inc.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based security
US9841490B1 (en) 2017-01-17 2017-12-12 Booz Allen Hamilton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movement of a mobile asset and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asset based on its movement
US9964627B1 (en) 2017-01-17 2018-05-08 Booz Allen Hamilton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movement of a mobile asset and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asset based on its movement
US10372923B2 (en) 2018-01-09 2019-08-06 Booz Allen Hamilton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power states of a mobile compu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7173A (ko) 2007-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88653B1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authentication
US9311766B2 (en) Wireless communicating radio frequency signals
KR100584328B1 (ko) 무선주파수 식별 태그가 결합된 이동 단말 회로 및 그이동 단말기에서의 무선 식별 방법
US7406323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and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9209866B2 (en) Securing of a telecommunication device equipped with a near-field communication module
US9098734B2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presence recognition of a second portable data carrier by a first portable data carrier
US2011017190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with external device using contactless interface
US8532619B2 (en) System for authorizing the use of communication devices by proximity
EP209529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ction control of rfid system
KR100968071B1 (ko) 인증 정보 카드와 근거리 무선 통신 칩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로 교통카드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
KR20110126235A (ko) 이동 통신 단말기와 탈부착이 가능한 보호 케이스형 rfid 태그 판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rfid 태그 정보 처리 시스템
KR101246343B1 (ko) Rfid 태그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러한단말기의 rfid 리더기 접근제어 방법
KR20040071137A (ko) 통신 유닛
KR101612528B1 (ko) 선택적 프로그램 구동 방법
KR102053332B1 (ko) 선택적 프로그램 운영 방법
KR101746839B1 (ko) 선택적 프로그램 구동 방법
KR100940063B1 (ko) 스마트카드 형태의 rfid 판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카드관리방법
CN117408267A (zh) 一种用于食堂饭卡及nfc识别的读卡器
KR101212182B1 (ko) 알에프 카드 사용 검출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17962A (ko) 선택적 프로그램 운영 방법
KR20160042412A (ko) 선택적 프로그램 운영 방법
KR20070027856A (ko) 알에프아이디 정보 운용 무선단말기와 알에프아이디 정보운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와, 알에프아이디 정보운용방법 및 시스템
KR20060115029A (ko) 알에프 태그모듈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을 이용한 팬클럽확충 시스템
KR20060115031A (ko) 알에프 판독모듈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과 알에프 태그스티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파일 수급 시스템
EP3069294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accessing a contact-less ser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