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6257B1 - 와이어 탈선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 탈선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6257B1
KR101246257B1 KR1020110039409A KR20110039409A KR101246257B1 KR 101246257 B1 KR101246257 B1 KR 101246257B1 KR 1020110039409 A KR1020110039409 A KR 1020110039409A KR 20110039409 A KR20110039409 A KR 20110039409A KR 101246257 B1 KR101246257 B1 KR 101246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support bar
unit
drum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9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1546A (ko
Inventor
이태연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9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6257B1/ko
Publication of KR20120121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1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6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6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3/00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 Quality control of the package
    • B65H63/02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 Quality control of the package responsive to reduction in material tension, failure of supply, or breakage, of material
    • B65H63/024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 Quality control of the package responsive to reduction in material tension, failure of supply, or breakage, of material responsive to breakage of materials
    • B65H63/036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 Quality control of the package responsive to reduction in material tension, failure of supply, or breakage, of material responsive to breakag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ombination of the detecting or sensing elements with other devices, e.g. stopping devices for material advancing or wind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40Arrangements for rotating packages
    • B65H54/52Drive contact pressure control, e.g. press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3/00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 Quality control of the package
    • B65H63/02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 Quality control of the package responsive to reduction in material tension, failure of supply, or breakage, of material
    • B65H63/024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 Quality control of the package responsive to reduction in material tension, failure of supply, or breakage, of material responsive to breakage of materials
    • B65H63/028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 Quality control of the package responsive to reduction in material tension, failure of supply, or breakage, of material responsive to breakag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ng or sens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80Arangement of the 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6Wires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 탈선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와이어가 삽입되도록 나선형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드럼부와, 드럼부와 나란히 배치되는 지지부와, 지지부에 연결되고 와이어와 연동되어 이동되면서 와이어의 탈선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드럼부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탈선 감지장치는 와이어가 드럼부에 권취되는 과정에서 와이어의 탈선을 감지하여 드럼부의 구동을 정지시켜 줌으로써, 와이어의 손상이나 엉킴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와이어 탈선 감지장치{DEVICE FOR SENSING DERAILMENT OF WIRE}
본 발명은 와이어 탈선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와이어가 드럼에 권취되는 과정에서의 탈선을 감지하여 와이어의 손상을 방지하는 와이어 탈선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 쓰이는 연료나 원료를 지정된 셀이나 야드에 적치하거나 불출하는 장치로 스태카나 리크레이머를 사용한다.
이러한 불출장치에서 붐의 상하 이동시 와이어를 사용한다.
와이어는 드럼의 회전방향에 따라 드럼에 감기거나 풀려 붐을 상하로 이동시킨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드럼에 와이어가 권취되는 과정에서 탈선으로 인해 와이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와이어 탈선 감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와이어가 삽입되도록 나선형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드럼부; 상기 드럼부와 나란히 배치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와 연동되어 이동되면서 상기 와이어의 탈선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드럼부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탈선 감지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드럼부와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드럼부와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제1지지바; 및 상기 제1지지바와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제1지지바와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제2지지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바와 상기 드럼부와의 거리가 상기 제2지지바와 상기 드럼부와의 거리보다 가까운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1지지바에 관통되어 상기 제1지지바를 따라 이동되는 한 쌍의 제1이동체; 상기 제2지지바에 관통되어 상기 제2지지바를 따라 이동되는 제2이동체; 상기 제1이동체와 상기 제2이동체를 연결하는 연결대; 상기 제1이동체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와이어와 연동되어 상기 제1이동체를 가압하는 가압부; 및 상기 제2이동체에 장착되고, 상기 가압부의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부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지지바에 관통되며, 상기 제1이동체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와이어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가압체; 및 상기 제1이동체와 상기 가압체 사이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가압체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부는 한 쌍이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가압체 간의 간격이 멀어짐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탈선 감지장치는 와이어와 연동되어 이동되는 감지부가 와이어의 탈선을 실시간으로 감지하므로, 신속한 와이어 보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탈선 감지장치는 와이어의 탈선시 드럼부의 구동을 정지함으로써, 와이어가 엉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탈선 감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탈선 감지장치에서 와이어와 연동되어 감지부가 이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탈선 감지장치에서 와이어의 탈선을 감지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탈선 감지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탈선 감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탈선 감지장치에서 와이어와 연동되어 감지부가 이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탈선 감지장치에서 와이어의 탈선을 감지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탈선 감지장치(1)에는 드럼부(10), 지지부(20), 감지부(30) 및 제어부(40)가 구비된다.
드럼부(10)는 원통 형상을 하며, 외주면에는 와이어(50)가 삽입되도록 가이드홈(11)이 형성된다. 드럼부(10)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되어 와이어(50)를 감거나 풀어준다.
와이어(50)가 감기거나 풀리는 과정에서 엉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드럼부(10)의 외주면에는 가이드홈(11)이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와이어(50)는 드럼부(10)가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될 때, 가이드홈(11)을 따라 감기거나 풀리게 되어 와이어(50)의 엉킴이 방지된다.
지지부(20)는 드럼부(10)와 나란히 배치되고, 감지부(30)는 지지부(20)에 연결된다. 이러한 감지부(30)는 와이어(50)와 연동되어 이동되면서 와이어(50)의 탈선을 감지한다.
여기서, 와이어(50)의 탈선이란 와이어(50)가 나선형 가이드홈(11)에 순차적으로 삽입되지 않고 건너 뛰어 감기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와이어(50)에 탈선이 발생하면, 감긴 와이어(50)와 감길 와이어(50)가 이격된다.
제어부(40)는 감지부(30)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드럼부(10)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따라서, 감지부(30)가 와이어(50)의 탈선을 감지하면, 제어부(40)에 의해 드럼부(10)의 구동이 정지되어 와이어(50)가 엉키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20)에는 제1지지바(21) 및 제2지지바(22)가 구비된다.
제1지지바(21)는 드럼부(10)와 나란히 배치된다. 이러한 제1지지바(21)는 드럼부(10)와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다.
제2지지바(22)는 제1지지바(21)와 나란히 배치된다. 이러한 제2지지바(22)는 제1지지바(21)와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다.
제1지지바(21)와 드럼부(10)와의 거리는 제2지지바(22)와 드럼부(1O)와의 거리보다 가깝게 배치된다.
따라서, 드럼부(10), 제1지지바(21) 및 제2지지바(22)가 순차적으로 나란히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30)에는 제1이동체(31), 제2이동체(32), 연결대(33), 가압부(34) 및 센서부(35)가 구비된다.
제1이동체(31)는 제1지지바(21)에 관통되어 제1지지바(21)를 따라 이동된다. 이러한 제1이동체(31)는 한 쌍이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2이동체(32)는 제2지지바(22)에 관통되어 제2지지바(22)를 따라 이동된다. 이러한 제2이동체(32)의 길이는 한 쌍의 제1이동체(31)간의 거리에 대응된다.
연결대(33)는 일단부가 제1이동체(31)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부가 제2이동체(32)에 결합된다. 이러한 연결대(33)에 의해 제1이동체(31)와 제2이동체(32)는 연결된 상태를 유지한다.
가압부(34)는 제1이동체(31) 사이에 위치되고, 와이어(50)와 연동되어 제1이동체(31)를 가압한다. 이러한 가압부(34)에 의해 감지부(30)는 와이어(50)와 연동되어 이동된다.
센서부(35)는 제2이동체(32)에 장착되고, 가압부(34)의 이동을 감지한다. 이러한 센서부(35)는 가압부(34)의 이동을 감지하여 제어부(40)에 감지신호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34)에는 가압체(60) 및 탄성체(70)가 구비된다.
가압체(60)는 서로 인접한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제1가압체(61) 및 제2가압체(62)가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제1가압체(61)는 제2가압체(62)의 우측에 배치된다.
가압체(60)는 제1지지바(21)에 관통되어 제1지지바(21)를 따라 이동된다. 이러한 가압체(60)는 제1이동체(31) 사이에 위치된다.
즉, 제1가압체(61)와 제2가압체(61)는 제1이동체(31) 사이에 위치되고, 와이어(50)가 삽입되도록 삽입홈(63)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가압체(61)와 제2가압체(62)는 와이어(50)를 감싸는 형상을 하여 와이어(50)의 진행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제1가압체(61)와 제2가압체(62)가 이동되면, 감지부(30)가 이동된다.
탄성체(70)는 제1이동체(31)와 가압체(60) 사이에 각각 위치되어 가압체(60)를 탄성 지지한다.
예를 들어, 제1탄성체(71)는 제1가압체(61)와 우측으로 치우친 제1이동체(31) 사이에 위치되어 제1가압체(61)를 탄성 지지한다.
그리고, 제2탄성체(72)는 제2가압체(62)와 좌측으로 치우친 제1이동체(31) 사이에 위치되어 제2가압체(62)를 탄성 지지한다.
센서부(35)는 한 쌍이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러한 센서부(35)는 제1가압체(61)와 제2가압체(62) 간의 간격이 멀어지는 것을 감지한다.
즉, 제2가압체(62)에 삽입된 와이어(50)가 탈선되어 인접한 가이드홈(11)을 건너뛰면, 가이드홈(11)을 사이에 두고 와이어(50)가 이격된다.
그리고, 와이어(50)의 위치에 의해 제1가압체(61)와 제2가압체(62)가 이격된다. 이와 같이 제1가압체(61)와 제2가압체(62)가 이격되어 센서부(35)에 접촉되면, 각각의 센서부(35)가 가압체(60) 간의 멀어짐을 감지한다.
각 센서부(35)가 동시에 제1가압체(61) 및 제2가압체(62)의 위치를 감지하는 경우, 센서부(35)는 제어부(40)에 감지신호를 보낸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탈선 감지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드럼부(10)의 가이드홈(11)에 와이어(50)가 순차적으로 감기고, 드럼부(10)와 나란히 제1지지바(21)와 제2지지바(22)가 배치된다.
제1지지바(21)에는 한 쌍의 제1이동체(31)가 관통되어 제1지지바(21)를 따라 이동되고, 제2지지바(22)에는 제2이동체(32)가 관통되어 제2지지바(22)를 따라 이동된다.
제1이동체(31)와 제2이동체(32)는 연결대(33)에 의해 연결된다. 이러한 제2이동체(32)에는 한 쌍의 센서부(35)가 이격되어 배치된다.
한 쌍의 제1이동체(31) 사이에는 가압부(34)가 배치되고, 가압부(34)에는 제1가압체(61)와 제2가압체(62)가 연접된다.
제1가압체(61)와 우측에 배치되는 제1이동체(31) 사이에는 제1탄성체(71)가 위치되고, 및 제2가압체(62)와 좌측에 배치되는 제1이동체(31) 사이에는 제2탄성체(72)가 위치된다.
이때, 제1가압체(61)는 가이드홈(11)에 감긴 와이어(50)와 연동되어 이동되고, 제2가압체(61)는 가이드홈(11)에 감길 와이어(50)와 연동되어 이동된다.
즉, 도 1에서 드럼부(10)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4번째 감긴 와이어(50)는 제1가압체(61)에 삽입되고, 드럼부(10)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5번째 감길 와이어(50)는 제2가압체(62)에 삽입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드럼부(10)가 회전되어 와이어(50)가 지속적으로 감기게되면, 드럼부(10)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5번째 감긴 와이어(50)와 연동되어 제1가압체(61)가 좌측으로 이동되고, 드럼부(10)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6번째 감길 와이어(50)와 연동되어 제2가압체(62)가 좌측으로 이동된다(도 2 참조).
이때, 제2탄성체(72)는 수축되면서 제1이동체(31)를 가압하여, 제1이동체(31)를 이동시키고, 제1이동체(31)와 연결된 제2이동체(32)도 이동된다.
한편, 와이어(50)가 순차적으로 감기지 못하고 가이드홈(11)을 건너뛰면, 와이어(50) 간의 이격이 발생되고, 이와 연동되어 제1가압체(61)와 제2가압체(62)는 이격된다(도 3 참조).
이와 같이 제1가압체(61)와 제2가압체(62)가 이격되어 각 센서부(35)에 감지되면, 센서부(35)는 제어부(40)에 감지신호를 전송하고, 감지신호를 수신한 제어부(40)는 드럼부(10)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따라서, 작업자는 신속하게 와이어(50)의 탈선을 인지하여 와이어(50)의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드럼부 11 : 가이드홈
20 : 지지부 21 : 제1지지바
22 : 제2지지바 30 : 감지부
31 : 제1이동체 32 : 제2이동체
33 : 연결대 34 : 가압부
35 : 센서부 60 : 가압체
61 : 제1가압체 62 : 제2가압체
70 : 탄성체 71 : 제1탄성체
72 : 제2탄성체

Claims (5)

  1. 삭제
  2. 와이어가 삽입되도록 나선형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드럼부;
    상기 드럼부와 나란히 배치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와 연동되어 이동되면서 상기 와이어의 탈선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드럼부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드럼부와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드럼부와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제1지지바; 및
    상기 제1지지바와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제1지지바와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제2지지바를 포함하며,
    상기 제1지지바와 상기 드럼부와의 거리가 상기 제2지지바와 상기 드럼부와의 거리보다 가까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탈선 감지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1지지바에 관통되어 상기 제1지지바를 따라 이동되는 한 쌍의 제1이동체;
    상기 제2지지바에 관통되어 상기 제2지지바를 따라 이동되는 제2이동체;
    상기 제1이동체와 상기 제2이동체를 연결하는 연결대;
    상기 제1이동체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와이어와 연동되어 상기 제1이동체를 가압하는 가압부; 및
    상기 제2이동체에 장착되고, 상기 가압부의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탈선 감지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지지바에 관통되며, 상기 제1이동체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와이어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가압체; 및
    상기 제1이동체와 상기 가압체 사이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가압체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탈선 감지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한 쌍이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가압체 간의 간격이 멀어짐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탈선 감지장치.
KR1020110039409A 2011-04-27 2011-04-27 와이어 탈선 감지장치 KR101246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9409A KR101246257B1 (ko) 2011-04-27 2011-04-27 와이어 탈선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9409A KR101246257B1 (ko) 2011-04-27 2011-04-27 와이어 탈선 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1546A KR20120121546A (ko) 2012-11-06
KR101246257B1 true KR101246257B1 (ko) 2013-03-21

Family

ID=47507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9409A KR101246257B1 (ko) 2011-04-27 2011-04-27 와이어 탈선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62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2410A (ko) * 2018-02-26 2019-09-04 현대제철 주식회사 리클레이머용 와이어 감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66438B1 (ja) * 2015-11-10 2017-01-25 田中電子工業株式会社 半導体装置用ボンディングワイヤの巻線構造
CN107628474A (zh) * 2017-11-17 2018-01-26 郑州中电新能源汽车有限公司 电动收线架
WO2020101651A1 (en) * 2018-11-13 2020-05-22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Automatic wire spooling contro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2809B1 (ko) * 1990-06-15 1999-06-15 쥬코 비타; 쟉코 아산티 케이블 또는 이와 유사한 스트랜드형 제품을 위한 코일 권취기에서의 장치
KR20040083928A (ko) * 2003-03-25 2004-10-06 엘지전선 주식회사 영상정보를 이용한 선재 자동정렬 권취방법 및 이를이용한 권취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2809B1 (ko) * 1990-06-15 1999-06-15 쥬코 비타; 쟉코 아산티 케이블 또는 이와 유사한 스트랜드형 제품을 위한 코일 권취기에서의 장치
KR20040083928A (ko) * 2003-03-25 2004-10-06 엘지전선 주식회사 영상정보를 이용한 선재 자동정렬 권취방법 및 이를이용한 권취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2410A (ko) * 2018-02-26 2019-09-04 현대제철 주식회사 리클레이머용 와이어 감지장치
KR102043541B1 (ko) * 2018-02-26 2019-11-11 현대제철 주식회사 리클레이머용 와이어 감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1546A (ko) 2012-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6257B1 (ko) 와이어 탈선 감지장치
CN205662113U (zh) 一种恒张力智能纠偏收放卷***
US11597546B2 (en) Method for actuating the band driving device of a strapping machine and corresponding strapping machine
KR101116537B1 (ko) 용접 와이어 권취기 및 조출기
CN207126853U (zh) 擦拭机构
CN104290979B (zh) 喷胶贴标机
EP2135727A3 (en) Tension Control System for Fiber Bundles in Filament Winding Apparatus
CN205973127U (zh) 一种非晶带材磁环自动卷绕设备
US2012004298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a wire loop
DE102014225880A1 (de) Umreifungskopf und Verfahren zum Umgang mit einem Umreifungsband
KR100635023B1 (ko) 그린타이어의 벨트 보강용 스트립 공급장치
CN104229547A (zh) 卷绕装置
CN203921927U (zh) 用于瓦楞纸板生产的全自动原纸架
CH710864A2 (it) Macchina di avvolgimento di un filato, avvolgitore automatico e metodo per ispezionare una porzione giuntata di un filato.
CN106044330A (zh) 一种用于软性带材加工的断带自动续接装置
KR101332367B1 (ko) 열수축튜브 원단 재권취 장치
KR102077926B1 (ko) 연속식 하역기의 케이블 손상 감지장치
US10569987B2 (en) Method for implementing a correct winding of a wire on a spool
KR101353664B1 (ko) 와이어 점검장치
CN204917358U (zh) 用于复卷机的纸卷顶紧自动调节机构
CN207524679U (zh) 一种推进式储布架
KR101693520B1 (ko) 슬리브와 코일 분리장치 및 그 분리방법
CA2314291C (en) Unwinding apparatus
CN206307795U (zh) 在打包机器中用于输送、提供并且用于更换带有打包材料的辊子的设备
KR101522165B1 (ko) 스트립 권취장치 및 권취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