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5788B1 - 미세전류 자극용 아대 - Google Patents

미세전류 자극용 아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5788B1
KR101235788B1 KR1020100051375A KR20100051375A KR101235788B1 KR 101235788 B1 KR101235788 B1 KR 101235788B1 KR 1020100051375 A KR1020100051375 A KR 1020100051375A KR 20100051375 A KR20100051375 A KR 20100051375A KR 101235788 B1 KR101235788 B1 KR 101235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current
control signal
human body
level
magnetic p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1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9702A (ko
Inventor
이지훈
Original Assignee
이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훈 filed Critical 이지훈
Priority to PCT/KR2010/00350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0140820A2/ko
Publication of KR20100129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9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5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5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8Arm or hand
    • A41D13/081Hand protectors
    • A41D13/088Hand protectors especially for the wris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with controlled temperature
    • A41D13/0051Heated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02Using electric curr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21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for treatment of pai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Closures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2Therapeutic use
    • A41D2400/322Massa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Epidemiology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목, 발목, 팔목, 무릎 등의 관절부분에 착용되어 관절부분에 미세전류를 전달하여 자극함으로써 일상생활에서도 관절염환자, 골다공증환자의 치료 내지 예방에 매우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무릎, 발목, 발바닥의 성장판에 대한 미세전류 자극을 통해 성장기의 어린이 또는 청소년의 성장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미세전류 자극용 아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미세전류 자극용 아대는, 밴드 형상으로 형성되고, 부도체 재질로 이루어진 내피 및 외피; 상기 내피의 내측면에 부착되고, 전도성 재질로 구성된 복수의 자극부재; 상기 복수의 자극부재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자극부재들에 미세전류를 공급하는 미세전류 발생기; 및 상기 내피 및 외피 사이에 개재된 면상발열체;를 포함하고, 상기 면상발열체는 카본을 함유한 고분자 광물질로 이루어진 발열층이 코팅된 발열원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면상발열체에는 온도조절부가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미세전류 자극용 아대{BRACE FOR MICRO CURRENT STIMULATION}
본 발명은 손목, 발목, 팔목, 무릎 등의 관절부분에 착용되는 아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관절부분에 미세전류를 전달하여 자극함으로써 일상생활에서도 관절염환자, 골다공증환자의 치료 내지 예방에 매우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무릎, 발목, 발바닥의 성장판에 대한 미세전류 자극을 통해 성장기의 어린이 또는 청소년의 성장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미세전류 자극용 아대에 관한 것이다.
널리 주지된 바와 같이, 손목, 발목, 팔목, 무릎 등과 같은 인체의 관절 부분에는 아대 등이 착용되어 관절을 보호하여 왔다. 특히, 관절염환자, 골다공증 환자 등의 경우 그 관절의 보호를 위해 아대를 필수적으로 착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아대는 손목, 발목, 팔목, 무릎 등의 관절 보호기능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한편, 전기자극치료 중 미세전류는 세포의 생리와 성장을 자극하는 능력 때문에 “생물학적 자극” 또는 “생체공학적 요법”이라고도 불리고 있다. 미세전류는 상처 치유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며, 이런 상처치유의 기전 중 하나로 생체전류와 동일한 미세한 전류를 신체에 통전시킴으로써 세포내 대사를 원활히 하고 ATP 생성을 활발히 한다는 가설이 제시되고 있다. 미세전류가 염증을 진정시키기 위한 국소적인 미세순환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밝혀진 이래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고 미세전류를 이용한 아킬레스 건염에 대한 치료와 상처치료에 대한 높은 효과는 여러 논문에서 보고되었다. 또한 미세전류는 전류를 거의 느끼지 못하는 감각이하의 범위로 시행되기 때문에 종전의 전기치료 시 나타나는 전류에 의한 불쾌감 없이 치료가 가능한 장점을 지닌다.
이러한 미세전류 자극치료는 비단 당뇨병성 신경병증, 디스크 질환 같은 말초신경질환 이외에도 근막동통증후군, 테니스엘보, 어깨의 유착성 피낭염, 관절염 등 다양한 근골격계 질환 및 신경질환에서 통증의 조절을 위해 사용될 수 있고, 미세전류 자극치료 효과의 기전으로는 통증을 조절하는 C-fber의 속도에 비해서 감각신경을 전달하는 Aδ-fiber의 신경전도속도가 빨라 통증자극을 전달하지 못하게 차단하는 관문조절설과 뇌에서 endorphin 등의 분비를 촉진하여 통증역치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인체의 손목, 발목, 팔목, 무릎 등에 미세전류를 전달하여 관절염환자, 골다공증환자 등의 치료 내지 예방, 성장기의 어린이, 청소년 등의 성장에 탁월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미세전류 자극용 아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밴드 형상으로 형성되고, 부도체 재질로 이루어진 내피 및 외피;
상기 내피의 내측면에 부착되고, 전도성 재질로 구성된 복수의 자극부재;
상기 복수의 자극부재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자극부재들에 미세전류를 공급하는 미세전류 발생기; 및
상기 내피 및 외피 사이에 개재된 면상발열체;를 포함하고,
상기 면상발열체는 카본을 함유한 고분자 광물질로 이루어진 발열층이 코팅된 발열원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면상발열체에는 온도조절부가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극부재는 전도성 고무, 전도성 금속, 전도성 원단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내피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세전류 발생기에는 하나 이상의 연결패치가 전선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연결패치에는 보조자극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세전류발생기는,
양의 위상을 가지는 미세전류 발생을 위한 제1컨트롤신호, 음의 위상을 가지는 미세전류 발생을 위한 제2컨트롤신호, 및 전원전압의 승압을 위한 제3컨트롤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미세전류 발생을 제어하고, 상기 미세전류발생기를 통해 인체에 공급되는 미세전류의 레벨을 확인하여 미리 정해진 레벨이 아닌 경우에 상기 제3컨트롤신호를 컨트롤하여 승압전압의 레벨을 변동시킴에 의해 상기 미세전류의 인체공급레벨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부;
상기 컨트롤부의 상기 제3컨트롤신호에 응답하여 전원전압을 일정레벨의 승압전압으로 승압시키는 승압부; 및
상기 승압부에 의해 승압된 상기 승압전압을 바탕으로 하여 원하는 레벨의 미세전류를 발생시켜 인체와 접속되는 접속단자들을 통해 인체의 특정부위에 공급하되, 상기 제1컨트롤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양의 위상을 가지는 상기 미세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제2컨트롤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음의 위상을 가지는 상기 미세전류를 공급하는 미세전류 출력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세전류출력부는 적어도 하나의 전압분배회로 및 복수의 스위칭 소자들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스위칭 소자들 각각은 상기 제1컨트롤 신호 또는 상기 제2컨트롤 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칭동작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세전류출력부는 인체에 공급되는 미세전류의 인체공급 레벨을 확인할 수 있는 공급레벨 확인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컨트롤부에 제공하고,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공급레벨확인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승압부의 승압전압의 레벨을 컨트롤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컨트롤신호와 상기 제2컨트롤신호는 일정주기와 일정 듀티비를 가지는 펄스 신호이며, 상기 제1컨트롤신호와 상기 제2컨트롤신호는 일정 위상차를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공급레벨확인신호를 통해 상기 인체접속단자들이 인체에 실제로 접속되었는지를 확인하여, 미세전류의 발생여부를 컨트롤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인체의 손목, 발목, 팔목, 무릎 등에 미세전류를 전달하여 연골생성, 뼈의 성장, 골밀도 증가 등의 효과를 구현함으로써 관절염환자, 골다공증환자 등의 치료 내지 예방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릎, 발목, 발바닥의 성장판에 대한 미세전류 자극을 통해 성장기의 어린이 또는 청소년의 성장에 탁월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전류 자극용 아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2의 A-A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미세전류 자극용 아대에 적용되는 미세전류발생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미세전류발생기의 구현예인 회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동작타이밍도이고,
도 6은 도 3의 승압부의 다른 구현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전류 자극용 아대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미세전류 자극용 아대는 팔목, 손목, 발목, 무릎 등의 관절 부분에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밴드 형상으로 형성되고, 아대의 양단부에는 탈부착부(16)가 구비되며, 이 탈부착부(16)는 벨크로파스너, 고리, 버클 등으로 구성되어 인체의 관절 부분에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대는 내피(11) 및 외피(12)로 이루어지고, 내피(11) 및 외피(12)는 부도체 재질의 섬유 또는 합성수지로 구성된다.
외피(12)는 일반 섬유재질로 구성되고, 내피(11)는 피부와 직접 접촉하는 부분이므로 순면 원단 등과 같이 피부에 무해한 재질로 구성된다.
내피(11)의 내측면에 복수의 자극부재(15)가 배치되고, 각 자극재부(15)는 무릎, 발목, 손목, 팔목 부분의 경혈점에 대응하는 위치 또는 그외 기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자극부재(15)는 전도성 고무, 전도성 금속 등과 같은 전도체로 구성되고, 전도체 재질의 자극부재(15)는 내피(11)의 내측면에 접착제 등을 통해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자극부재(15)를 통해 미세전류가 손목, 팔목, 발목, 무릎 등에 전달됨으로써 세포의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함으로써 관절통증 해소에 매우 탁월한 효능을 나타낸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해, 무릎, 발목, 발바닥의 성장판 및 성장점에 미세전류에 의한 자극이 전달될 경우 종아리뼈, 정강이뼈, 넓적다리뼈 등을 성장시킬 수 있고, 이에 긴 다리를 만들어 줌과 더불어 무릎 및 하체의 힘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극부재(15)는 금사, 은사, 동사 등과 같은 전도성이 양호한 실이 직조 또는 편직된 전도성 원단으로 구성되고, 이러한 전도성 원단의 자극부재(15)는 봉제공정을 통해 내피(11)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자극부재(15)에는 미세전류발생기(150)가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미세전류발생기(150)에 의해 발생된 미세전류가 자극부재(15)를 통해 인체 측에 전달된다.
그리고, 내피(11)와 외피(12) 사이에는 면상발열체(14)가 개재될 수 있고, 이 면상발열체(14)의 온열기능에 의해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건강에 도움을 준다.
면상발열체(14)는 미세전류발생기(150)의 전원측에 접속되거나 별도의 외부 전원 측에 접속될 수 있다. 이에 면상발열체(14)에 전력이 공급되면 면상발열체(14)는 온열작동하고, 이에 면상발열체(14)의 온열에 의해 착용된 부분의 혈액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면상발열체(14)에는 온도조절부(19)가 접속되고, 이러한 온도조절부(19)에 의해 면상발열체(14)의 발열온도가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면상발열체(14)는 그 일면에 카본을 함유한 고분자 광물질로 이루어진 발열층(14a)이 코팅된 발열원단으로 구성되고, 이에 의해 그 전력소모가 작아 배터리의 교체 시기 내지 충전회수를 줄일 수 있으며, 세탁을 하더라도 손상이 없어 반영구적인 사용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카본을 포함한 발열층(14a)에 의해 음이온 내지 원적외선이 다량으로 방출되어 건강에 이롭다.
또한, 본 발명은 미세전류발생기(150)에는 하나 이상의 연결패치(17)가 전선(17a)을 통해 접속되어 아대의 외측에 위치하고, 연결패치(17)에는 보조자극부재(18)이 구비된다. 이러한 연결패치(17)는 본 발명의 아대가 관절(손목, 팔목, 발목, 무릎 등) 부분에 착용된 후에 그 착용된 위치에 인접한 경혈점에 부착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작동을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인체에는 약 0.06㎃ 정도의 미세전류가 흐른다고 알려져 있으며, 건강 상태에 따라 미세전류의 강도가 달라진다고 알려져 있다. 통상적으로, 건강상태가 나쁘면 미세전류의 양이 훨씬 적게 흐르는 현상이 임상적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인체에 자극을 줄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미세전류를 외부에서 자극함으로써 인체 내부의 밸런스에 기여할 수도 있다. 또한, 신체의 감각수준에 따라 약간 차이가 있지만, 통상적으로 1㎃ 정도의 전류는 충분히 지각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장시간의 통전은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미세전류의 크기는 1㎃ 보다 적은 수 내지 수백 ㎂ 정도의 크기이면 그 마사지 내지 치료에 적합할 것이고, 이러한 미세전류는 지속적인 흐름이 아닌 일정시간 동안 단속적으로 흘러 전기자극을 주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은 미세전류발생기(150)에 의해 발생된 미세전류가 자극부재(15)에 전달됨으로써 자극부재(15)은 손목, 팔목, 발목, 무릎 등과 같은 관절부분의 경혈점 또는 그외 부위에 전기자극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면상발열체(14)의 온열기능에 의해 손목, 팔목, 발목, 무릎 등의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인체의 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자극부재(15)는 음극판 및 양극판으로 구분되어 구성될 수도 있고, 이에 인체의 피부에 음극 전류와 양극 전류를 구분하여 전달함으로써 그 전기자극의 효과를 더욱 높일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미세전류발생기(150)의 일 형태를 도시한다.
도 3는 본 발명에 의한 미세전류발생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미세전류발생기(150)는 컨트롤부(310), 승압부(320), 및 미세전류 출력부(330)를 구비한다.
상기 컨트롤부(310)는 양의 위상을 가지는 미세전류 발생을 위한 제1컨트롤신호(S1), 음의 위상을 가지는 미세전류 발생을 위한 제2컨트롤신호(S2), 및 전원전압의 승압을 위한 제3컨트롤신호(S3)를 발생하여 상기 미세전류 발생을 제어한다. 상기 컨트롤부(310)는 상기 미세전류발생기(150)를 통해 인체에 공급되는 미세전류의 레벨을 확인하여 미리 정해진 레벨이 아닌 경우에 상기 제3컨트롤신호(S3)를 컨트롤하여 승압전압의 레벨을 변동시킴에 의해 상기 미세전류의 인체공급레벨을 컨트롤하게 된다.
상기 컨트롤부(310)는 CPU를 가지는 컨트롤칩을 구비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컨트롤신호(S1, S2, S3)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승압부(320)는 상기 컨트롤부(310)의 상기 제3컨트롤신호(S3)에 응답하여 전원전압(Vdd, Vcc)을 일정레벨의 승압전압으로 승압시켜 상기 미세전류출력부(330)에 공급한다.
상기 승압부(320)를 구성하는 승압회로는 인덕터의 역기전력을 이용하는 DC-DC 컨버터 타입의 승압회로, 커패시터를 이용하는 차지펌프회로를 포함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잘 알려진 다양한 승압회로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미세전류 출력부(330)는 상기 승압부(320)에 의해 승압된 상기 승압전압을 바탕으로 하여 원하는 레벨의 미세전류를 발생시켜 인체와 접촉되는 접촉단자들을 통해 인체의 특정부위에 공급하게 된다.
상기 미세전류 출력부(330)는 상기 제1컨트롤 신호(S1)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양의 위상을 가지는 상기 미세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제2컨트롤 신호(S2)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음의 위상을 가지는 상기 미세전류를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미세전류는 0~1000㎂(0을 포함하지 않음)의 전류레벨로써 마이크로암페어(㎂) 단위의 미세전류를 말한다. 상기 미세전류 출력부(330)는 0~1000㎂(0을 포함하지 않음)의 전류레벨 중에서 치료효과나 마사지 효과가 가장 높다고 판단되는 어느 하나의 전류레벨을 선택하여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면 0~300㎂의 미세전류 또는 100~150㎂의 미세전류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미세전류의 발생을 위하여 상기 미세전류출력부(330)는 적어도 하나의 전압분배회로 및 복수의 스위칭 소자들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스위칭 소자들 각각은 상기 제1컨트롤 신호(S1) 또는 상기 제2컨트롤 신호(S2)에 응답하여 스위칭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미세전류는 인체에 실제로 공급되는 미세전류의 레벨이 일정하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인체의 피부저항에 대응하여 변동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상기 미세전류출력부(330)는 인체에 공급되는 미세전류의 인체공급 레벨을 확인할 수 있는 공급레벨 확인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컨트롤부(310)에 제공하고, 상기 컨트롤부(310)는 상기 공급레벨확인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승압부(320)의 승압전압의 레벨을 컨트롤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공급레벨 확인신호는 인체에 실제로 공급되는 미세전류의 레벨을 확인할 수 있는 기능 이외에 인체에 실제로 인체에 접촉되어 미세전류가 공급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도 제공한다.
도 4는 도 3의 미세전류발생기의 구현 예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부(310a)는 컨트롤칩(예를 들면, PIC16F716)(U2), 저항(R4), 커패시터(C4), 전원(Vcc), 전원공급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LED(D2)를 포함하여 도 4와 같은 결선구조를 가진다. 상기 컨트롤칩(U2)은 다양한 종류의 주파수를 가지는 컨트롤 신호의 발생기 가능하다.
상기 컨트롤부(310a)는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양의 위상을 가지는 미세전류 발생을 위한 제1컨트롤신호(S1), 음의 위상을 가지는 미세전류 발생을 위한 제2컨트롤신호(S2), 및 전원전압의 승압을 위한 제3컨트롤신호(S3)를 발생하여 상기 미세전류 발생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부(310a)는 상기 미세전류 출력부(330a)에서 제공되는 인체에 공급되는 미세전류의 인체공급 레벨을 확인할 수 있는 공급레벨 확인신호(MC)를 수신하여 상기 승압부(320a)의 승압전압(VC)의 레벨을 컨트롤 할 수 있다. 상기 승압전압(VC)의 레벨 컨트롤은 상기 제3컨트롤 신호를 통해 가능하다.
상기 컨트롤부(310a)는 상기 공급레벨확인신호(MC)를 통하여 미세전류의 인체공급레벨을 확인하기도 하지만, 실제로 인체접촉단자(P1, P2)가 인체에 접촉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인체의 피부저항의 범위는 정해져 있으므로 상기 공급레벨확인신호(MC)가 피부저항에 대응되는 어느 범위내에 있으면 상기 인체접촉단자(P1, P2)가 인체에 접촉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인체접촉단자(P1, P2)는 자극부재(15)에 해당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부(310a)는 전원이 공급되면, 우선적으로 상기 인체접촉단자(P1, P2)가 인체에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상기 공급레벨확인신호(MC)를 통해서 확인하고, 미세전류 발생여부를 결정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공급레벨확인신호(MC)를 통해서 인체에 접촉된 것이 확인되면 상기 미세전류발생기를 통한 미세전류 발생을 수행하고, 이후에 미세전류의 실제 인체공급레벨을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컨트롤부(310a)는 이동이 가능하고 휴대가 가능한 구성을 가져야 하기 때문에 전원전압은 배터리(battery)를 통해 공급받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승압부(320a)는 상기 컨트롤부(310a)에서 발생되는 상기 제3컨트롤신호(S3)에 의해 스위칭이 반복되는 스위칭소자(Q7)와, 인덕터(L1), 정류 및 리플방지, 승압전압의 저장을 위한 다이오드(D1)와 커패시터(C1, C2), 및 저항(R10)을 구비하여 도 4와 같은 결선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스위칭소자(Q7)는 트랜지스터가 이용되고 있으나 이외에도 MOSFET을 포함한 다양한 스위칭 소자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승압부(320a)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압단(10)을 다단으로 구성한 DC-DC 컨버터 타입의 승압회로를 통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부스팅(boosting) 회로 등 다양한 승압회로를 통해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미세전류 출력부(330a)는 복수의 저항들(R1, R6, R2, R7, R8, R9)을 이용한 복수의 전압분배기와 복수의 스위칭소자들(Q1, Q2, Q3, Q4, Q5, Q6)을 이용하여 미세전류를 인체접촉단자(P1, P2)로 출력하게 된다. 상기 복수의 스위칭소자들(Q1, Q2, Q3, Q4, Q5, Q6)은 트랜지스터를 이용하고 있으나, 이외에도 MOSFET을 포함한 다양한 스위칭 소자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칭소자들(Q1, Q2, Q3, Q4, Q5, Q6) 중 일부 스위칭소자들(Q6, Q3)은 상기 제1컨트롤신호(S1)에 의해 컨트롤되고, 일부 스위칭소자들(Q5, Q4)은 상기 제2컨트롤신호(S2)에 의해 컨트롤되고, 나머지 스위칭소자들(Q1, Q2)은 제1노드(n1)의 전압 즉 상기 승압전압(VC)에 의해 컨트롤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인체접촉단자(P1, P2)는 인체의 특정부위(치료를 요하거나 마사지를 원하는 부위)에 장착되어 제1인체접촉단자(P1)를 통해 인가되는 미세전류가 인체를 통과하여 제2인체접촉단자(P2)로 되돌아오도록 하거나, 상기 제2인체접촉단자(P2)를 통해 인가되는 미세전류가 인체를 통과하여 제1인체접촉단자(P1)로 되돌아오도록 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컨트롤신호 및 미세전류의 타이밍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5의 타이밍도를 통해 도 4의 미세전류발생기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상기 미세전류발생기(150)의 미세전류 출력부(330a)의 인체접촉단자(P1, P2)가 인체의 특정부위에 장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미세전류발생기(150)가 동작한다.
배터리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컨트롤부(310a)에서는 상기 미세전류출력부(330a)에 인체접촉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신호 또는 통상적인 미세전류 발생을 위한 상기 제3컨트롤 신호(S3)를 발생하고, 상기 공급레벨확인신호(MC)를 수신하여 상기 인체접촉단자(P1, P2)가 실제로 인체에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통상적인 인체의 피부저항을 고려하여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상기 공급레벨확인신호(MC)의 레벨이 위치하게 되면 인체에 접촉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후 상기 컨트롤부(110a)에는 상기 승압부(320a)에 미세전류 발생을 위한 상기 제3컨트롤신호(S3)를 공급한다. 상기 제3컨트롤 신호(S3)는 승압을 위해 폭과 주기가 조절된 컨트롤 신호이다.
배터리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컨트롤부(310a)에는 상기 승압부(320a)에 상기 제3컨트롤신호(S3)를 공급한다. 상기 제3컨트롤 신호(S3)는 승압을 위해 폭과 주기가 조절된 컨트롤 신호이다.
상기 제3컨트롤 신호(S3)가 인가되면, 상기 제3컨트롤신호(S3)에 응답하여 상기 승압부(320a)의 스위칭소자(Q7)는 온/오프된다.
상기 스위칭소자(Q7)가 턴온(turn-on) 되면, 상기 인덕터(L1)의 전류는 증가하기 시작하고, 상기 다이오드(D1)는 역방향으로 바이어스(bias)가 걸리므로 오프되고, 이에 따라 상기 인덕터(L1) 전압은 상기 전원전압(Vcc, Vdd)과 동일해진다. 다시 상기 제3컨트롤신호(S3)에 의해 상기 스위칭소자(Q7)이 턴 오프(tura-off)되면, 상기 인덕터(L1)의 전류는 감소하기 시작하고, 이에 따라 상기 인덕터(L1)의 전압은 극성이 바뀌어 상기 전원전압과 합쳐진다. 이 전압은 커패시터(C1)에 저장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다이오드(D2)에는 순방향 바이어스가 걸리게 되어 온(On) 되고, 상기 커패시터(C2)는 상기 다이오드(D2)를 통해 출력되는 전압을 저장하며, 상기 출력전압 즉 승압전압(VC)의 맥동(리플)을 제거해 준다.
다음 스위칭 동작이 수행되면, 상기 커패시터(C1)에 저장된 전압의 2배에 해당되는 전압이 상기 커패시터(C2)에 저장되게 되고, 이러한 방식으로 복수의 스위칭 동작이 수행되면, 상기 제1노드(n1)에는 전원전압(Vcc, Vdd)보다 수배~수십배 높은 승압전압(VC)이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전원전압이 3V라고 가정할 경우에 30V의 전압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물론 이보다 높은 레벨의 전압을 발생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컨트롤부(310a)의 제3컨트롤신호(S3)의 폭과 주기에 따라 상기 스위칭소자(Q7)가 온/오프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 상기 승압전압(VC)은 원하는 레벨을 가지게 된다.
상기 승압전압(VC)이 원하는 레벨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컨트롤부(310a)에서는 제1컨트롤신호(S1) 및 제2컨트롤신호(S2)를 발생한다. 상기 제1컨트롤신호(S1) 및 제2컨트롤신호(S2)는 상기 컨트롤부(310a)의 전원전압의 공급과 동시에 발생될 수도 있으나, 상기 승압전압(VC)이 원하는 레벨에 도달하기 까지는 의미가 없으므로, 여기서는 상기 승압전압(VC)이 원하는 레벨에 도달하게 되면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 제1컨트롤신호(S1)는 양의 위상을 가지는 미세전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컨트롤신호(S2)는 음의 위상을 가지는 미세전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양의 위상과 음의 위상을 가지는 미세전류를 발생시켜 인체에 공급하게 되면, 양의 위상 만을 가지는 미세전류의 경우보다 치료 및 마사지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제1컨트롤 신호(S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주기와 일정듀디비(duty ratio)를 가지는 펄스(pulse) 형태의 파형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1초의 주기를 가지고 150ms의 시간동안에는 일정전압레벨을 가지고, 나머지 시간동안에는 0의 전압레벨을 가지는 파형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예 일뿐 치료 또는 마사지의 효과적 측면을 고려하여 주기나 듀티비가 일정시간단위로 변화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고, 주기나 듀티비가 다른 형태의 파형구조를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2컨트롤신호(S2)는 상기 제1컨트롤신호(S1)와는 일정위상차를 가지는 형태로 일정주기와 일정듀티비를 가지는 펄스 형태의 파형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컨트롤신호(S2)는 상기 제1컨트롤신호(S1)와 일정위상차를 가지는 것을 제외하고는 그 형태가 동일하다.
여기서 상기 제2컨트롤신호(S2)는 상기 제1컨트롤신호(S1)가 일정전압레벨을 가지는 시간구간(t1)에는 0의 전압레벨을 가져야 하고, 상기 제1컨트롤신호(S1)이 0의 전압레벨을 가지는 시간구간(T-t1)의 일부구간에서 일정전압레벨을 가지는 파형구조를 가지게 된다.
즉 상기 제1컨트롤신호(S1)의 펄스와 상기 제2컨트롤신호(S2)의 펄스는 중복되지 않게 발생된다. 즉 상기 제1컨트롤신호(S1)에 의해 스위칭소자(Q6, Q3)가 턴온되는 시점과 상기 제2컨트롤신호(S2)에 의해 스위칭소자(Q5, Q4)가 턴온되는 시점이 달라야 한다. 상기 제1컨트롤신호(S1)에 의해 스위칭소자(Q6, Q3)가 턴온되었다가 다시 턴 오프되는 시점에 바로 이어서 상기 제2컨트롤신호(S2)에 의해 스위칭소자(Q5, Q4)가 턴온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제1컨트롤신호(S1)에 의해 스위칭소자(Q6, Q3)가 턴온되었다가 다시 턴 오프되고 일정시간이후에 상기 제2컨트롤신호(S2)에 의해 스위칭소자(Q5, Q4)가 턴온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상기 제2컨트롤신호(S2)의 펄스 발생시점을 컨트롤하는 것으로 가능하며, 치료나 마사지 효과를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 달리 정할 수 있다.
상기 미세전류 출력부(330a)는 상기 승압전압(VC)이 일정레벨에 도달하게 되면, 저항(R1, R6)의 전압분배에 의해 분배된 전압이 스위칭 소자(Q1)를 턴온시키게되고, 저항(R2, R7)의 전압분배에 의해 분배된 전압이 스위칭 소자(Q2)를 턴온 시키게 된다. 이는 스위칭소자(Q5, Q6)가 턴 오프 상태일 때 가능하며, 승압전압(VC)이 일정레벨에 도달하였다고 해도, 상기 제1컨트롤신호(S1)에 의해 스위칭소자(Q6)가 턴 온되게 되면, 스위칭소자(Q2)는 턴 온되고 스위칭소자(Q1)는 턴 오프되며, 상기 제2컨트롤신호(S2)에 의해 스위칭소자(Q5)가 턴 온 되면, 스위칭소자(Q1)는 턴 온되고 스위칭소자(Q2)는 턴 오프된다.
미세전류 공급을 위해 상기 제1컨트롤신호(S1) 및 상기 제2컨트롤신호(S2)가 인가되면, 미세전류 공급이 시작된다.
상기 제1컨트롤 신호(S1)에 의해 상기 스위칭소자(Q6, Q3)가 턴 온되고, 상기 제2컨트롤신호(S2)에 의해 상기 스위칭소자(Q5, Q4)가 턴 오프되면, 스위칭소자(Q2)가 턴 온되어, 미세전류는 상기 제1노드(n1)에서 스위칭소자(Q2) 및 인체접촉단자(P1)를 통해 인체에 공급되고, 인체에 공급된 미세전류는 인체접촉단자(P2) 및 스위칭소자(Q3), 저항(R8, R9)을 통해 회수되게 된다. 이때 스위칭소자(Q5, Q4, Q1)는 상기 제2컨트롤신호(S2)에 의해 턴 오프 상태이다. 이때 인체에 공급되는 미세전류는 도 5의 미세전류 그래프(P1-P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양의 위상을 가지게 된다.
이후 상기 제1컨트롤신호(S1)에 의해 상기 스위칭소자(Q6, Q3)가 턴 오프되고, 상기 제2컨트롤신호(S2)에 의해 스위칭소자(Q5, Q4)가 턴 온되면, 스위칭소자(Q1)이 턴 온되어, 미세전류는 상기 제1노드에서 스위칭소자(Q1) 및 인체접촉단자(P2)를 통해 인체에 공급되고, 인체에 공급된 미세전류는 인체접촉단자(P1) 및 스위칭소자(Q4), 저항(R8, R9)을 통해 회수되게 된다. 이때 스위칭소자(Q6, Q3, Q2)는 상기 제1컨트롤신호(S2)에 의해 턴 오프 상태이다. 이때 인체에 공급되는 미세전류는 도 5의 미세전류 그래프(P1-P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음의 위상을 가지게 된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인체마다 피부저항이 다르기 때문에 인체에 공급되는 미세전류의 레벨은 인체마다 다르다. 따라서, 마사지 또는 치료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일정레벨범위 내의 미세전류가 공급되어야 하기 때문에 인체에 실제로 공급되는 미세전류의 레벨을 체크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따라서, 상기 미세전류 출력부(330a)에서는 인체접촉단자(P1, P2)를 통해 회수되는 미세전류의 레벨을 확인하여 인체에 공급되는 미세전류의 레벨을 컨트롤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상기 저항(R8, R9)를 통해 흐르는 미세전류 또는 미세전류에 대응되는 전압을 인체에 공급되는 미세전류의 인체공급 레벨을 확인할 수 있는 공급레벨 확인신호(MC)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공급레벨확인신호(MC)는 상기 저항(R8, R9)을 통해 흐르는 미세전류를 상기 컨트롤부(310a)로 보내는 것이 가능하고, 도 4와 같이 저항(R8, R9)의 전압분배를 통해 분배된 전압레벨을 상기 공급레벨확인신호(MC)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공급레벨확인신호(MC)는 상기 컨트롤부(310a)의 컨트롤칩(U2)으로 제공되며, 상기 컨트롤부(310a)에서는 상기 공급레벨확인신호(MC)가 제공되면, 이를 분석하여, 인체에 실제공급되는 미세전류의 레벨이 원하는 레벨상태인가를 확인하게 된다.
인체에 실제로 공급되는 미세전류의 레벨이 원하는 레벨범위내에 있으면,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지만, 원하는 레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상기 제3컨트롤신호(S3)를 통해 상기 승압부(320a)의 승압전압(VC)의 레벨을 컨트롤하게 된다.
상기 승압전압(VC)의 레벨이 컨트롤되게 되면, 상기 인체접촉단자(P1, P2)를 통해 인체에 실제로 공급되는 미세전류의 레벨이 변동되게 되고, 상기 컨트롤부(310a)를 통한 컨트롤은 인체에 실제로 공급되는 미세전류의 레벨이 원하는 레벨범위 상태가 될 때까지 계속된다.
11: 내피 12: 외피
14: 면상발열체 15: 자극부재
17: 연결패치 18: 보조자극부재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밴드 형상으로 형성되고, 부도체 재질로 이루어진 내피 및 외피;
    상기 내피의 내측면에 부착되고, 전도성 재질로 구성된 복수의 자극부재; 및
    상기 복수의 자극부재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복수의 자극부재로 0~1000㎂(0을 포함하지 않음) 범위 내의 미세전류를 공급하는 미세전류발생기;를 포함하고,
    상기 내피 및 외피 사이에는 면상발열체가 개재되며, 상기 면상발열체는 카본을 함유한 고분자 광물질로 이루어진 발열층이 코팅된 발열원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면상발열체에는 온도조절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자극부재는 전도성 고무, 전도성 금속, 전도성 원단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내피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류 자극용 아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전류 발생기에는 하나 이상의 연결패치가 전선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연결패치에는 보조자극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류 자극용 아대.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전류발생기는,
    양의 위상을 가지는 미세전류 발생을 위한 제1컨트롤신호, 음의 위상을 가지는 미세전류 발생을 위한 제2컨트롤신호, 및 전원전압의 승압을 위한 제3컨트롤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미세전류 발생을 제어하고, 상기 미세전류발생기를 통해 인체에 공급되는 미세전류의 레벨을 확인하여 미리 정해진 레벨이 아닌 경우에 상기 제3컨트롤신호를 컨트롤하여 승압전압의 레벨을 변동시킴에 의해 상기 미세전류의 인체공급레벨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부;
    상기 컨트롤부의 상기 제3컨트롤신호에 응답하여 전원전압을 일정레벨의 승압전압으로 승압시키는 승압부; 및
    상기 승압부에 의해 승압된 상기 승압전압을 바탕으로 하여 원하는 레벨의 미세전류를 발생시켜 인체와 접속되는 접속단자들을 통해 인체의 특정부위에 공급하되, 상기 제1컨트롤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양의 위상을 가지는 상기 미세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제2컨트롤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음의 위상을 가지는 상기 미세전류를 공급하는 미세전류 출력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류 자극용 아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전류출력부는 적어도 하나의 전압분배회로 및 복수의 스위칭 소자들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스위칭 소자들 각각은 상기 제1컨트롤 신호 또는 상기 제2컨트롤 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칭동작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류 자극용 아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전류출력부는 인체에 공급되는 미세전류의 인체공급 레벨을 확인할 수 있는 공급레벨 확인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컨트롤부에 제공하고,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공급레벨확인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승압부의 승압전압의 레벨을 컨트롤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류 자극용 아대.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트롤신호와 상기 제2컨트롤신호는 일정주기와 일정 듀티비를 가지는 펄스 신호이며, 상기 제1컨트롤신호와 상기 제2컨트롤신호는 일정 위상차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류 자극용 아대.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공급레벨확인신호를 통해 상기 인체접속단자들이 인체에 실제로 접속되었는지를 확인하여, 미세전류의 발생여부를 컨트롤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류 자극용 아대.
KR1020100051375A 2009-06-01 2010-05-31 미세전류 자극용 아대 KR101235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0/003509 WO2010140820A2 (ko) 2009-06-01 2010-06-01 미세전류 자극용 아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155 2009-06-01
KR20090048155 2009-06-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9702A KR20100129702A (ko) 2010-12-09
KR101235788B1 true KR101235788B1 (ko) 2013-02-21

Family

ID=43506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1375A KR101235788B1 (ko) 2009-06-01 2010-05-31 미세전류 자극용 아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578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2518B1 (ko) 2017-07-03 2018-08-29 김유곤 미세전류발생기
KR20190027318A (ko) 2018-08-21 2019-03-14 김유곤 미세전류발생기
KR20190101698A (ko) 2018-02-23 2019-09-02 이강일 성장판 자극장치
KR20230008491A (ko) * 2021-07-07 2023-01-16 주식회사 엠이지 자극점의 이동이 가능한 수면용 미세전류 무릎 자극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8269B1 (ko) * 2011-12-23 2012-10-09 주식회사 웨이전스 인체 미세전류의 공급과 조절이 가능한 마스크 팩
CN106072903A (zh) * 2016-06-14 2016-11-09 南京市建邺区景春堂电子商务中心 一种医疗保健用护肘装置
KR200487438Y1 (ko) 2017-05-24 2018-09-14 김낙완 관절보호대
KR102087267B1 (ko) * 2017-12-22 2020-03-10 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운동 통증 완화를 위한 앱 구동형 웨어러블 전기치료기기
CN111623806A (zh) * 2019-02-28 2020-09-04 智能纺织科技股份有限公司 传感元件及其传感控制***
KR102104871B1 (ko) * 2020-01-02 2020-04-27 주식회사 엠엔 펄스 미세 전자기장 방식의 키성장 보조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346600B1 (ko) * 2021-03-24 2022-01-05 (주)에이더 미세전류가 흐르는 보호대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0911Y1 (ko) 2004-02-04 2004-05-17 차주희 바이오 건강 의류
KR20090020936A (ko) * 2007-08-24 2009-02-27 김정기 다기능 패드
US20090112283A1 (en) 2007-10-30 2009-04-30 Kriksunov Leo B Microcurrent device with a sensory cue
KR100995614B1 (ko) 2010-03-26 2010-11-22 이지훈 미세전류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0911Y1 (ko) 2004-02-04 2004-05-17 차주희 바이오 건강 의류
KR20090020936A (ko) * 2007-08-24 2009-02-27 김정기 다기능 패드
US20090112283A1 (en) 2007-10-30 2009-04-30 Kriksunov Leo B Microcurrent device with a sensory cue
KR100995614B1 (ko) 2010-03-26 2010-11-22 이지훈 미세전류발생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2518B1 (ko) 2017-07-03 2018-08-29 김유곤 미세전류발생기
KR20190101698A (ko) 2018-02-23 2019-09-02 이강일 성장판 자극장치
KR20190027318A (ko) 2018-08-21 2019-03-14 김유곤 미세전류발생기
KR20230008491A (ko) * 2021-07-07 2023-01-16 주식회사 엠이지 자극점의 이동이 가능한 수면용 미세전류 무릎 자극기
KR102654987B1 (ko) 2021-07-07 2024-04-04 주식회사 엠이지 미세전류 무릎 자극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9702A (ko) 2010-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5788B1 (ko) 미세전류 자극용 아대
EP3740278B1 (en) Electrical stimulation apparatus
KR101040683B1 (ko) 무릎관절 치료 아대
KR100994208B1 (ko) 미세전류 자극용 양말
US6226552B1 (en)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for preventing deep vein thrombosis
US3344792A (en) Method of muscular stimulation in human beings to aid in walking
US20130090712A1 (en)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and system, and use thereof
US20110077728A1 (en) Electronic stimulation textile for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therapy
CN201625339U (zh) 康复治疗装置
US11260218B2 (en) Medical therapy arrangement for applying an electrical stimulation to a human or animal subject
KR101235783B1 (ko) 미세전류 자극용 복대
KR101235789B1 (ko) 미세전류 자극용 버선
KR101235786B1 (ko) 미세전류 자극용 거들
KR101235784B1 (ko) 미세전류 자극용 매트
KR20120099925A (ko) 자극패치를 가진 미세전류자극장치
WO2011118918A2 (ko) 미세전류 자극용 양말
KR101235790B1 (ko) 미세전류 자극용 신발
KR100995614B1 (ko) 미세전류발생장치
KR20160073108A (ko) 면역기능 강화용 저주파 자극기
KR101235785B1 (ko) 미세전류 자극용 베개
WO2010140820A2 (ko) 미세전류 자극용 아대
WO2011014021A2 (ko) 미세전류 자극용 신발
WO2010140818A2 (ko) 미세전류 자극용 복대
KR100310305B1 (ko) 휴대형 전기 자극기
CN209771106U (zh) 一种医学治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