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3264B1 - Plant and Building Facility Monitoring Apparatus and Technique based on Sector Graphs - Google Patents

Plant and Building Facility Monitoring Apparatus and Technique based on Sector Graph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3264B1
KR101233264B1 KR1020110086230A KR20110086230A KR101233264B1 KR 101233264 B1 KR101233264 B1 KR 101233264B1 KR 1020110086230 A KR1020110086230 A KR 1020110086230A KR 20110086230 A KR20110086230 A KR 20110086230A KR 101233264 B1 KR101233264 B1 KR 101233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or
equipment
concentric
chart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62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21231A (en
Inventor
이승철
황해석
김선각
Original Assignee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네트인텔리젠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네트인텔리젠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021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12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3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32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비 각각의 운영상태를 그에 대응하는 동심원상의 섹터에 반지름의 크기, 색상의 종류 및 농도를 사용하여 부채꼴 그래프로 표시하는 플랜트 및 건축물들의 설비 운영 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설비들의 운영상태를 감시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와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와; 상기 데이터 수집부로부터 전달받은 정보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설비들의 운영상태를 판단하는 상태 판단부; 및 복수의 동심원 눈금이 표시된 동심원차트(Chart)를 각 설비에 대응하는 부채꼴의 섹터(Sector)로 구분하고 상기 설비 각각의 운영상태를 상기 각 설비에 대응하는 동심원차트 상의 섹터내에 동심원차트의 중심을 원점으로 하여 섹터그래프로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건축물 및 플랜트의 설비 운영상태 감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그래프는 길이가 길수록 대응하는 설비의 운영상태가 불안정하거나 성능이 저하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운영상태 감시 장치.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operational status of plants and buildings in which the operational status of each facility is displayed in a sector graph using the size of the radius, the type of color, and the concentration in the sectors on the concentric circles corresponding thereto. A data collecting unit collecting information and data necessary for monitoring the operation state; A state determination unit to determine an operation state of the facilities by using the information and data received from the data collection unit; And dividing a concentric circle chart with a plurality of concentric scales into sectors corresponding to sectors, and operating states of each facility in the sector on the concentric circle chart corresponding to each facility. A user interface unit represented by a sector graph as an origin point; In the facility operating state monitoring device of a building and plant comprising a, the graph indicates that the operating state of the corresponding equipment is unstable or degraded as the length is longer. Equipment operating state monitoring device.

Figure R1020110086230
Figure R1020110086230

Description

섹터 그래프 기반 플랜트 및 건축물 설비 운영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Plant and Building Facility Monitoring Apparatus and Technique based on Sector Graphs} Plant and Building Facility Monitoring Apparatus and Technique based on Sector Graphs}

본 발명은 각종 플랜트 및 건축물 설비들의 운영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설비 각각의 운영상태를 그에 대응하는 동심원상의 섹터에 반지름의 크기, 색상의 종류 및 농도를 사용하여 부채꼴 그래프로 표시하는 플랜트 및 건축물들의 설비 운영 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monitoring the operating state of various plant and building faciliti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ctor graph using the size of the radius, the type of color,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operating state of each facility in a corresponding concentric circ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condition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lants and buildings.

발전소, 화학공정 플랜트, 각종 제조공장과 같은 플랜트들은 통상 다수의 부속설비(Subsystem)들로 구성되고 이들 부속설비들은 다시 다수의 상세 부속설비나 단위기기들로 구성된다.Plants such as power plants, chemical process plants, and various manufacturing plants are typically composed of a number of subsystems, which in turn are composed of a number of detailed accessories or unit equipment.

예컨대 발전소의 경우 터빈 및 보조기기 시스템, 발전기 및 보조기기 시스템, 보일러 및 보조기기 시스템, 주 급수 시스템, 응축수 시스템, 연료공급 시스템, 냉각수 시스템, 순환수 시스템, 보조증기 시스템과 같은 부속설비들로 구성되고, 터빈 및 보조기기 시스템의 경우는 다시 고압 터빈, 중압 터빈, 저압 터빈, 주 증기 제어밸브 시스템, 주 증기 차단 밸브 시스템, 터빈 속도제어 시스템, 터빈 추기 시스템, 터빈 베아링 윤활유 시스템, 등으로 구성되고, 이들 각 시스템들은 다시 단위 기기나 세부 부속 시스템들로 구성되어 있고, 이러한 설비들이 상호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작동함으로써 전기를 생산한다. 따라서 플랜트가 목적하는 제품을 원하는 품질 수준과 비용으로 생산하기 위해서는 플랜트를 구성하는 상기 부속설비들의 가동 상황을 실시간으로 지속적으로 감시하며 최적의 운영상태와 성능을 유지하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설비들의 운영상태가 정상에서 벗어나거나 성능이 저하될 경우에는 경보를 울리거나 더 이상 설비를 운영하는 것이 위험한 상태에 이르면 해당 설비 또는 플랜트 전체를 강제 정지(tip) 시킨다.For example, a power plant consists of accessories such as turbine and auxiliary system, generator and auxiliary system, boiler and auxiliary system, main water supply system, condensate system, fuel supply system, cooling water system, circulating water system and auxiliary steam system. In the case of the turbine and auxiliary system, the high pressure turbine, the medium pressure turbine, the low pressure turbine, the main steam control valve system, the main steam shutoff valve system, the turbine speed control system, the turbine bleeding system, the turbine bearing lubricant system, etc. Each of these systems, in turn, consists of unit devices or sub-systems, and these facilities work together to produce electricity. Therefore, in order to produce the desired product at the desired quality level and cost, the plant must continuously monitor the operation status of the above-mentioned facilities in real time and maintain optimal operation and performance. In addition, when the operation of the equipment is out of normal or deteriorated, an alarm is triggered or the entire equipment or plant is forcibly tipped when it is dangerous to operate the equipment.

대형빌딩, 대규모 공공시설, 주상복합아파트 및 대규모 아파트단지와 같은 대형 건축물에는 예컨대 기계설비, 전기설비, 공조설비, 급배수설비, 소방설비, 방송통신설비, 엘리베이터설비, 주차관제설비, 출입관리설비, 조명제어설비 등과 같은 다양한 부대설비(Supporting Facility)가 설치된다.Large buildings such as large buildings, large public facilities, residential complexes, and large apartment complexes include, for example, mechanical equipment, electrical equipment, air conditioning equipment, water supply and drainage equipment, fire fighting equipmen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equipment, elevator equipment, parking control equipment, and access control equipment. Various supporting facilities such as lighting control facilities are installed.

그리고 상기 부대설비들은 각각 매우 다양하고 수많은 부속기기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건축물들을 최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상기 부대설비들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지를 지속적으로 감시하여야 한다.Each of these accessories is very diverse and consists of numerous accessories. Therefore, in order to operate the buildings optimally,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monitor whether the auxiliary facilities are operating normally.

종래의 설비 감시 시스템은 주로 각 설비의 공급회사가 제공하는 감시 모니터 또는 설비의 축소모형(mimic) 감시반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운영상태 정보를 제공하였다. 주로 상기 설비의 구성도(structural diagram) 또는 흐름도(functional flow diagram)를 모니터 화면에 나타내고, 설비의 주요 운영 파라미터 값을 수치나 막대 그래프 또는 꺾은금 그래프로 나타내고, 이상이 발생하면 해당 설비 부분의 색상을 변화시키거나 깜빡임을 사용하여 표시하고, 부수적으로 상황을 설명하는 간단한 텍스트를 화면상에 출력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The conventional facility monitoring system mainly provides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to the user through a monitoring monitor provided by a supplier of each facility or a mimic monitoring panel of the facility. Mainly, the structural diagram or functional flow diagram of the equipment is displayed on the monitor screen, and the main operating parameter values of the equipment are displayed in numerical values, bar graphs, or graphs. It has been mainly used to display the text by changing or blinking, and to output a simple text on the screen that additionally describes the situation.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즉, 각 설비에 대응하는 서로 다른 복수 개의 모니터 또는 감시반을 동시에 감시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감시자가 필요하므로 안정적인 설비 운영을 위해서는 많은 감시 인력이 요구되고 감시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at is, since a plurality of monitors are required to simultaneously monitor a plurality of different monitors or monitor panels corresponding to each facility, a large number of monitoring personnel are required for stable facility operation and monitoring efficiency is deteriorated.

또한 특정설비가 점차 비정상상태 또는 고장상황으로 접근해 가는 경우에 있어서도 주요 파라미터 또는 트립의 조건으로 설정해 놓은 파라미터의 조합이 설정해 놓은 한계값(Limit Value)을 초과하여야만 비로소 경보를 울리고 감시자에게 통보하는 경보체계를 주로 사용하고 있어, 감시자가 이상상황을 미리 발견하여 대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a specific equipment gradually approaches abnormal or fault conditions, the alarm sounds and notifies the monitor only when the combination of main parameters or parameters set as trip conditions exceeds the set limit value. Since the system is mainly used, it was difficult for the watcher to detect an abnormal situation in advance and cope with it.

더구나 모니터나 감시반에 나타내는 수많은 계측값들에 대한 해석과 판단을 주로 감시자가 내려야 함으로서 감시자들의 오판이나 중요 상황을 간과할 수 있는 가능성이 상존하며, 그에 따른 감시자들의 심리적 부담이 가중되고 자칫 기기나 플랜트의 고장 정지(trip)로 이어져 막대한 손실을 초래하는 경우가 발생되고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observer must make interpretations and judgments about the numerous measurements displayed on the monitor or monitor panel, which may overlook the false positives or critical situations of the monitors, thereby increasing the psychological burden of the monitors There are cases in which a huge trip is caused, resulting in a huge los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설비에 대응하는 서로 다른 복수 개의 모니터 또는 감시반을 대신하여 한 개 또는 소수의 모니터에 동심원 눈금을 표시한 원형 차트(chart)를 섹터로 나누어 원점을 공유하는 섹터 그래프와 색상을 사용하여 전체 설비들의 이상 유무와 실시간 성능 상태를 시각화하여 제시함으로 플랜트나 건축물 설비들의 운영상태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관찰하고 판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설비 운영상태 종합 감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splay a concentric scale on one or a few monitors in place of a plurality of different monitors or monitor panels corresponding to each facility. By dividing the pie chart into sectors,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easily observe and judge the operation status of plant or building facilities by visualizing and presenting the abnormal condition and real-time performance status of the entire facilities using sector graphs and colors that share the origin. It is to provide a comprehensive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for the operation of the facility to enable the system.

또한 상기 제시 방법 및 장치에 있어 감시항목들을 계층구조로 구성하여 최상위 레벨의 차트에서는 감시항목들의 전체 취합 정보들을 나타내고 하위 차트로 내려갈수록 각 감시 항목들의 상세 값이나 세부 상태를 나타냄으로써, 감시할 수 있는 항목수를 자유로이 늘릴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최상위 차트만 관찰해도 플랜트 또는 건물 전체의 운영 상태를 즉시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감시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ing method and apparatus, the monitoring items are organized in a hierarchical structure, and in the top level chart, the total collection information of the monitoring items is displayed, and the detailed value or detailed state of each monitoring item is indicated as it goes down to the lower chart. It is to provide a monitoring method and a device that can freely increase the number of items present,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immediately observe the operating status of the entire plant or building even by observing only the top chart.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 설비의 운영상태가 점차 비정상상태로 접근해 가는 경우, 기 설정된 한계 값을 초과하기 이전에도 사용자가 미리 대처할 수 있도록 비정상상태로의 접근 상황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 조기경보 기능을 가진 설비 운영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f the operating state of each equipment gradually approaches the abnormal state,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access situation to the abnormal state so that the user can cope beforehand even before exceeding the preset limit value. It is to provide a device operating status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having an alarm func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설비나 기기의 트립 조건이 두 개 이상의 계측값이나 리밋 스위치 값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트립 조건에의 접근 상황을 설비 감시 기술자나 관리자들이 즉시 파악하여 대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설비 운영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nsure that facility monitoring technicians and managers can immediately identify and respond to a trip condition even when a trip condition of a facility or a device is made of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measured values or limit switch values. It is to provide a device operating status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설비의 운영상태 판단을 위한 정보와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 부와, 상기 데이터 수집부로부터 전달받은 정보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설비의 운영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운영상태 판단부, 상태 판단 결과를 동심원 상의 상기 설비에 해당하는 섹터(sector)에 부채꼴 그래프와 트립 띠(stripe)로 나타내기 위한 연산을 수행하고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그래프는 동심원의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설비의 운영상태가 정상에서 점차 벗어나는 상태임을 나타낸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ata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information and data for determining the operating state of a plurality of facilities, and the information and data received from the data collection unit An operation state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facility, and performing and displaying an operation for displaying the state determination result as a sector graph and a stripe on a sector corresponding to the facility on a concentric circl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user interface, the graph indicates that the farther away from the center of the concentric circles the operating state of the equipment gradually out of the normal state.

그리고 상기 동심원은 상기 설비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섹터로 구분되고, 상기 각 설비의 운영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프는 설비에 대응하는 섹터에 부채꼴의 형태로 표시된다.The concentric circles ar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or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acilities, and a graph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each of the facilities is displayed in a sector shape in a sector corresponding to the facilities.

이때, 상기 설비의 운영상태는 설비의 현 작동상황 또는 성능 및 효율을 포함하며 상기 부채꼴그래프는 정상정지상태, 정상운영상태, 경계운영상태, 비상운영상태, 비상정지상태와 같이 설비의 대표적인 운영상태들을 설정하여 그에 따른 길이를 달리하여 구분하고, 추가로 사용자로 하여금 신속 정확한 상태 파악을 가능토록 하기 위해 설비의 운영상태에 따라 그래프의 색상과 색상의 농도로도 구분하도록 한다. 특히 정상정지 상태는 반지름이 0인 경우에 해당하고 비상 정지 또는 고장 정지 상태는 최대 반지름 길이로 한다. At this time, the operation state of the facility includes the current operation status or performance and efficiency of the facility and the sector graph is representative of the operation state of the facility such as normal stop state, normal operation state, boundary operation state, emergency operation state and emergency stop state. By setting them up, they are divided according to their lengths, and in addition, users can distinguish between the color of the graph and the density of colors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us of the facility in order to enable the user to quickly and accurately identify the condition. In particular, the normal stop state corresponds to zero radius, and the emergency stop or fault stop state is the maximum radius length.

그리고 상기 동심원은 주요 운영상태간의 경계를 나타내는 주 동심원과 주 동심원 사이에 주 동심원이 나타내는 각 운영상태 내에서의 운영상태의 양호나 불량 정도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기 위한 세부 동심원들로 구성된다. And the concentric circles are composed of the main concentric circles indicating the boundary between the main operating state and the detailed concentric circles to indicate in more detail the degree of good or bad operation status within each operating state represented by the main concentric circles between the main concentric circles.

또한 상기 그래프는 해당 설비의 운영상태가 점차 비정상 상태로 변화하는 경우 부채꼴의 원주 가장자리로 갈수록 해당 운영 상태를 나타내는 색상의 기준농도 보다 색농도가 점차 진해지도록 표시되고, 점차 양호한 상태로 변화하는 경우 색농도가 점차 연해지도록 표시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graph is displayed such that when the operation state of the equipment gradually changes to an abnormal state, the color concentration becomes gradually darker than the reference concentration of the color indicating the operation state toward the circumferential edge of the fan shape. The concentration may be indicated to gradually soften.

또한, 상기 그래프는 상기 설비의 운영상태가 불안정하게 진동하는 경우, 현재값 외에도 진동범위에 해당되는 동심원 반지름 구간의 색 농도를 달리하여 진동 범위를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raph may display the vibration range by varying the color concentration of the concentric radial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vibration range in addition to the current value, if the operating state of the facility vibrates unstable.

또한 상기 섹터그래프에 추가하여 설비나 기기의 트립 조건이 두 개 이상의 계측값이나 리밋 스위치 값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섹터그래프와 트립 띠 및 트립 띠의 색상을 함께 사용하여 트립 조건에의 접근 상황을 설비 감시 기술자나 관리자들이 즉시 파악하여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o the sector graph, when the trip condition of a facility or a device consists of two or more combinations of measurement values or limit switch values, the sector graph and the trip band and trip band colors are used together to access the trip condition. Ensure that facility monitoring technicians and managers can identify and respond immediately.

이때, 상기 운영상태 감시 장치는 감시할 설비의 종류 및 설비의 상세 구성내용, 각 설비의 운영상태 판단의 기준, 상태 판단을 위한 정보 및 데이터의 입력방법 및 주기, 동심원의 수 및 각 설비에 대응하는 섹터의 위치와 중심각, 색농도 표시 기준값, 부채꼴 그래프의 디스플레이 및 여타 상태 정보 입출력 방법을 텍스트기반의 spread sheet, DB, 지식기반(Knowledge-base)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상기 섹터 그래프를 포함한 운영상태 관련 정보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perating state monitoring device corresponds to the type of equipment to be monitored and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equipment,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operating status of each equipment, the method and period for inputting information and data for the status determination, the number of concentric circles and each equipment. The position and center angle of the sector, the reference value of the color concentration, the display of the fan-shaped graph, and other state information input / output methods are inputted from a text-based spread sheet, DB, knowledge base, or a user, and the operating state including the sector graph. It may further comprise a user interface representing the relevant information.

그리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지나간 상황의 변화 경로를 추적하기 위하여 지나간 시간의 상기 동심원 그래프들을 작은 시간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동시에 나타내거나 따로 그래프 자료구조 (Graph Data Structure) 를 사용하여 나타낼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user interface may simultaneously display the concentric graphs of the past time in small time intervals or separately using a graph data structure to track the path of change of the past situation.

또한 상기 운영상태 관련정보는 필요시 상태판단과 관련된 주요 계측값들의 현재값, 현재값의 추이 정상상태에서의 계측값의 범위, 해당 계측값을 사용하여 경보를 내거나 트립을 시키기 위해 세팅된 상하한 값들을 나타내는 계측값 추이 곡선 창이나 텍스트창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state related information is the upper and lower limits set to alert or trip using the present value of the main measured values related to the status determination, the range of measured values in the normal state of the current value, the corresponding measured value if necessary It may further comprise a measurement value trend curve window or text window indicating the values.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설비 운영상태 감시방법에 있어서 (a) 복수 개의 설비의 운영 상태 판단을 위한 정보와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데이터수집 단계와, (b) 상기 수집한 정보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설비의 운영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상태판단 단계와, (c) 상태판단 결과를 상기 설비 각각에 대응하는 동심원상의 섹터에 부채꼴 그래프로 나타내기 위한 연산을 수행하고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단계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monitoring the operation status of the facility (a) a data collection step for collecting information and data for determining the operation status of a plurality of facilities, and (b) by using the collected information and data And (c)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performing and displaying operations for displaying a result of the status determination on the sectors on the concentric circle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acilities in a sector graph.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설비 운영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facility operation st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즉, 복수 개의 설비 각각에 대응하는 운영 상태를 원점을 공유하는 섹터에 포함되는 섹터그래프와 트립 띠를 사용하여 나타냄으로서 수많은 설비 상황, 예를 들면 섹터 당 3°씩 할당할 경우 한 차트 당 120개의 설비 상황, 들의 운영 상태를 동시에 일목요연하게 즉시 파악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other words, the operation state corresponding to each of a plurality of facilities is represented by using sector graphs and trip bands included in sectors that share the origin, and thus, when a large number of facilities are allocated, for example, 3 ° per sector, 120 units per chart are used. At the same tim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facility status and operation status of the field can be grasped immediately.

또한 차트들을 계층구조로 구성하여, 상위 차트에 하위 차트에서 나타낸 설비운영상태 정보의 취합정보를 나타낼 경우, 감시할 수 있는 설비들의 수를 자유로이 확장시켜 나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by configuring the chart in a hierarchical structure, when the aggregated information of the equipment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shown in the lower chart is displayed on the upper chart, there is an advantage of freely expanding the number of facilities that can be monitored.

그리고 수많은 감시항목들을 한두 개의 모니터로 동시에 관찰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설비의 운영상태 감시를 위한 인력을 절감하고, 감시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observe a large number of monitoring items simultaneously with one or two monitors, which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manpower for monitoring the operation status of the facility and improving the monitoring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설비 운영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각 설비가 점차 비정상상태로 변화하는 경우, 점차 정상상태로 회복하는 경우, 그리고 상태가 불안정하게 진동하는 경우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설비관리자가 변화하는 상황도 신속히 인지하고 미리 대처하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pparatus operating state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case where each equipment gradually changes to an abnormal state, gradually recovers to a normal state, and a case where the state vibrates unstable. It is also possible to quickly recognize and respond to changing circumstances.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설비의 트립로직들의 진행 상황을 즉시 파악할 수 있고 발생한 상황들을 역추적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하나의 고장이 파급되어 다수의 이상 상황이 동시다발적으로 발생되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상황 발생의 선후관계와 고장 원인의 추적을 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대형사고나 또는 막대한 사회경제적 손실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mediately grasp the progress of the trip logics of each facility, and it is possible to trace back the occurred conditions, so that a situation easily occurs even when a plurality of abnormal situations occur simultaneously due to one failure. It is possible to trace the prognostic relationship and the cause of the failure, and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of preventing a large accident or a huge socioeconomic loss.

또한 운영상태 감시자들에게도 계측값들을 해석한 상태판단 결과를 제시해 줌으로서 계측값들을 감시자들이 일일이 해석해서 운영상태를 판단해야하는 부담을 덜어주고 설비운영의 안정도 및 성능 향상을 기할 수 있어 플랜트의 생산성 및 건축물운영의 경제성을 크게 제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by presenting the status judgment results of the measured values to the operational status monitor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burden on the monitors to interpret the measured values to judge the operational status and to improve the stability and performance of the plant oper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greatly improve the economics of building operation.

도 1은 플랜트 및 건축물 설비 운영상태 감시 차트의 예시도.
도 2는 POST 또는 FAST 차트의 구성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3은 섹터그래프의 눈금 설정 방법의 예시도.
도 4는 m/n 트립조건 로직으로 묶여있는 섹터들의 그룹 표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5는 4 out of 60(4/60) 트립로직의 진행 상황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6은 4 out of 60(4/60) 트립로직을 4개의 섹터로 표시할 경우의 진행 상황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축물 및 플랜트 설비 운영상태 감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축물 및 플랜트 설비 운영상태 감시 장치의 감시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1 is an exemplary view of a plant and building equipment operating state monitoring chart.
2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configuring a POST or FAST chart.
3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scale setting method of a sector graph.
4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group representation of sectors bound by m / n trip condition logic.
5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progress of 4 out of 60 (4/60) trip logic.
FIG. 6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progress when 4 out of 60 (4/60) trip logic is represented by 4 sectors. FIG.
Figure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uilding and plant equipment operating state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onitoring a building and plant facility operating state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플랜트 및 건축물 설비 운영상태 감시를 위한 디스플레이 방법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display method for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plant and building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설비 운영상태 감시를 위한 디스플레이 차트의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display chart for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a facility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설비 운영상태 감시용 차트는 경보 및 트립에 관련되는 아날로그 계측값들의 현재 상황과 추이, 아날로그 계측값 및 트립 리밋 스위치 신호들을 다양하게 조합하여 구성하는 트립 로직들의 진행 상황, 그리고 설비의 성능 및 효율관련 지표들의 상황과 같은 운영상태를 섹터 그래프를 포함하는 동심원 차트(Chart)로 나타내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경보 상태는 감시대상 설비나 기기의 운영상태가 정상운영 범위를 벗어나 위험한 상태로 접근해 가거나 성능이 저하되어 가고 있는 경우이며, 트립 상태는 감시대상 설비나 기기가 더 이상 운영할 경우 심각한 손상을 입거나 여타 사고로 파급될 가능성이 있거나 또는 심각하게 성능이 저하되어 설비나 기기의 가동을 중단시키는 상태를 말한다. 다수의 경보 및 트립 관련 아날로그 및 바이너리 계측값들의 상황과 각종 성능지표들의 상황을 집약적이며 동시에 신속한 관측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원점을 공유하는 섹터로 나타내는 그래프 기법을 사용한다. 각 차트 당 포함되는 섹터 수는 각 섹터에 할당하는 중심각의 크기에 따라 조정할 수 있으며, 도 1의 경우 각각 3도씩 할당하여 차트 당 120 개의 섹터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예를 보인다. 또한 제안하는 설비 운영상태 감시 차트는 계층구조로 구성하여 상위의 차트는 주로 하위의 차트들로부터 올라오는 취합정보를 나타내는 섹터들로 구성하고, 하위의 차트로 내려갈수록 하나의 섹터가 특정 계측값 상태를 보다 직접적으로 나타내도록 하여, 나타내어야 할 정보들의 수에 따라 자유로이 확장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한다.As shown in FIG. 1, a facility operating state monitoring chart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iously combine the current state and trend of analog measurement values related to alarms and trips, and analog measurement values and trip limit switch signal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displaying a concentric chart including a sector graph and an operating state such as a progress of trip logics configured and a state of performance and efficiency indicators of a facility. In this case, the alarm condition is when the operation status of the monitored equipment or device is approaching a dangerous condition or is deteriorating, and the trip condition is seriously damaged when the monitoring equipment or device is no longer operated. A condition in which a facility or equipment may be shut down due to possible performance deterioration or severe performance deterioration. In order to enable intensive and rapid observation of the situation of multiple alarm and trip related analog and binary measurement values and various performance indicators, the graph technique is represented by sectors sharing the origin. The number of sectors included in each char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enter angle allocated to each sector. In FIG. 1, three sectors are allocated to accommodate 120 sectors per chart. In addition, the proposed facility operation monitoring chart is organized in a hierarchical structure so that the upper chart is mainly composed of sectors representing aggregate information from lower charts. In order to represent more directly, it is configured in a structure that can be freely expand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information to be displayed.

도 2는 본원 발명에서 제안하는 디스플레이 차트의 세부 구성내용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2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제안하는 차트는 크게 섹터그래프(Sector Graph,②) 및 트립 띠(Trip Stripe,③)와 섹터번호 띠(Sector Number Stripe,④)로 구성된 섹터들로 나뉘어진 동심원 차트와 차트의 좌우에 배치된 섹터들의 명칭을 나타내는 섹터 명판(⑧)들로 구성된다. 2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chart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the proposed chart includes a concentric circle chart and a chart divided into sectors consisting of a sector graph (②), a trip stripe (③), and a sector number stripe (④). And sector name plates (8) indicating the names of the sectors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thereof.

각 섹터그래프(②)는 설비감시를 위한 계측값의 현재 상황을 나타내며, 감시하는 설비와 해당 계측값의 특성에 따라 섹터그래프의 눈금구성을 위하여 복수개의 주 상태(Main State)와 다시 주 상태를 세분하는 세부 상태(Detailed State)들로 구분한다. 예를 들어 도 2의 예시에서는 다음과 같이 4개의 주 상태와 각 주 상태를 세분하는 세부 상태를 나타내었다. 첫째는 정상상태(N: Normal State)로서 특정 계측값이나 감시하려는 설비의 상태가 정상적인 운전범위 내에 있다고 판정되는 상태이며, 다시 NL(Normal Low), N(Normal), NH(Normal High) 및 NHH(Normal High-High)의 4개 상태로 세분되었고, 이때 섹터 그래프는 초록색(Green)으로 나타내도록 한다. 둘째는 경계상태(A: Alert State)로서 특정 계측값이나 감시하려는 설비의 성능이 경보 한계치(alarm limit value) 세팅값에 근접한 상태이며 다시 AL(Alert-Low), A(Alert), AH(Alert High) 및 AHH(Alert High-High)의 4개 상태로 세분되었고, 이때 섹터그래프는 주황색(Orange)으로 나타내도록 한다. 셋째는 비상상태(E: Emergency State)로서 감시하는 계측값이 경보 한계치 세팅값을 초과하여 경보가 발생했거나 발생해야 할 상황부터 트립 한계치(Trip limit) 세팅값에 이르는 범위 또는 설비의 성능이 현저하게 저하된 상태로서 다시 EL(Emergency-Low), E(Emergency), EH(Emergency-High) 및 EHH(Emergency-High-High)로 세분되었고, 이때 섹터 그래프는 적색(Red)으로 나타낸다. 넷째는 트립상태(TS : Trip State)로서 트립관련 계측값이 트립 한계치에 도달하거나 트립로직이 만족되면 해당 섹터 그래프는 EHH까지 즉 섹터 그래프 전체가 적색으로 채워지게 된다. 따라서 본 예시에서 섹터 그래프는 원점으로부터 모두 12개의 동심원 눈금을 가지며 각 상태는 각각의 눈금으로 나타낸다. 예를 들면, AH는 눈금7, E 상태는 눈금 10에 상응하게 된다. 또한 아날로그 측정값이 트립 한계치 세팅값을 초과할 경우에 상태는 EHH로 된다. 각 상태를 더욱 세분할 필요가 있을 경우 추가로 상태를 정의하고 그에 따라 동심원의 눈금수를 조정하도록 한다. Each sector graph (②) represents the current state of the measured value for monitoring the equipment, and the main state and again the main state for the scale of the sector graph according to the monitoring equipment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asured value. Subdivided into detailed states. For example, in the example of FIG. 2, four main states and detailed states for subdividing each main state are shown as follows. The first is the normal state (N), which is a state in which a particular measured value or the state of the equipment to be monitored is within the normal operating range, and again NL (normal low), N (normal), NH (normal high) and NHH. It is subdivided into four states (Normal High-High), and the sector graph is shown in green. The second is Alert State (A), which is the state in which a particular measured value or the performance of the equipment to be monitored is close to the alarm limit value setting, and again AL (Alert-Low), A (Alert), or AH (Alert). It is subdivided into four states, High) and AHH (Alert High-High), and the sector graph is shown in orange. Third, as an emergency state (E), the measured value exceeded the alarm limit setting value, and the range of the alarm from the situation where the alarm should occur or the trip limit setting value to the trip limit setting value or the performance of the equipment is remarkable. As the deteriorated state, it was subdivided into Emergency-Low, Emergency, EH and Emergent-High-EHH, in which the sector graph is shown in red. Fourth, it is a trip state (TS: Trip State). When a trip-related measurement value reaches a trip limit value or trip logic is satisfied, the corresponding sector graph is filled up to EHH, that is, the entire sector graph is filled in red. Thus, in this example, the sector graph has twelve concentric scales from the origin and each state is represented by its own scale. For example, AH corresponds to scale 7 and E corresponds to scale 10. Also, if the analog measurement exceeds the trip threshold setting, the state is EHH. If you need to further refine each state, define additional states and adjust the concentric scales accordingly.

섹터그래프의 눈금은 섹터 그래프가 나타내는 경보 및 트립 항목과 관련된 해당 아날로그 계측값의 정상 운전 기준값, 주의를 요하는 계측값, 해당 계측값의 경보 한계치 세팅 설정값 및 트립 한계치 세팅 설정값과 설비나 기기 운영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하여 설정한다. 도 3에 정상 운전 기준값과 경보 세팅 값과 트립 세팅값의 3개 값을 사용하여 각 섹터그래프의 눈금을 결정하는 방법의 예를 도시하였다.The scale of the sector graph is the normal operation reference value of the corresponding analog measurement value related to the alarm and trip item indicated by the sector graph, the measurement value requiring attention, the alarm limit setting value and the trip limit setting value of the corresponding measurement value and the equipment or device Set by reflecting the opinion of the operation expert. 3 shows an example of a method of determining the scale of each sector graph by using three values of a normal operation reference value, an alarm setting value, and a trip setting value.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정상 운전값 평균은 동심원 눈금 2로, 경보 한계치 세팅값은 동심원 눈금 8로, 그리고 트립 한계치 세팅값은 동심원 눈금 12로 각각 설정하며, 각 섹터의 해당 트립 한계치의 세팅값과 경보 한계치 세팅값을 4등분하여 동심원 눈금 9, 10, 11에 해당하는 계측값을 산정하고, 정상운전 값 평균과 경보 한계치 세팅값을 6등분하여 동심원 눈금 3, 4, 5, 6, 7에 해당하는 값을 산정하며, 0과 정상운전 평균값 사이를 2등분하여 동심원 눈금 1에 해당하는 값을 산정한다. 실제 계측값이 두 눈금 사이일 경우 섹터 그래프는 하위의 눈금으로 나타낸다. 단 계측값이 0을 초과하고 눈금 1 사이가 될 경우 모두 눈금 1의 값으로 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계측값이 눈금 11이상이고 12미만이면 눈금 값을 11로 한다. 계측값이 트립 세팅값에 도달했거나 초과하는 경우에는 모두 눈금 12로 하고 섹터그래프 전체를 적색으로 채운다. 상기 눈금의 수와 눈금 결정 방법은 감시하려는 설비나 기기의 특성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3, the average of the normal operation value is set to the concentric scale 2, the alarm limit value is set to the concentric scale 8, and the trip limit value is set to the concentric scale 12, respectively. Calculate the measured values corresponding to the concentric scales 9, 10, and 11 by dividing the set value of the alarm and alarm limits into 4 equal parts, and divide the average value of the normal operating value and the set value of the alarm limits into 6 equal parts to the concentric scales 3, 4, 5, 6, and 7. The corresponding value is calculated, and the value corresponding to the concentric scale 1 is calculated by dividing the distance between 0 and the average value of normal operation. If the actual measured value is between two scales, the sector graph is represented by the lower scale. However, if the measured value exceeds 0 and is between scale 1, all values are set to scale 1. Therefore, for example, if the measured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11 and less than 12, the scale is set to 11. When the measured value reaches or exceeds the trip setting value, all the scale is set to 12 and the entire sector graph is filled with red color. The number of scales and the method of determining the scales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quipment or equipment to be monitored.

섹터들은 섹터들이 나타내는 주요 운전 계측값들의 대상 설비나 시스템에 따라 주 그룹(Main Group)으로 분류되고(⑮), 주 그룹 내에서 트립로직 조건을 통해 함께 묶여 있는 계측값들이 있으면 이들을 다시 세부 그룹으로 분류하는 등의 분류를 해 나갈 수 있다(⑨, ⑩, ⑪, ⑫, ⑬, ⑭).Sectors are classified into main groups according to the target equipment or system of the main operational measurements represented by the sectors (⑮), and if there are measurements within the main group that are grouped together through triplogic conditions, they are grouped back into subgroups. Classify such as classify (⑨, ⑩, ⑪, ⑫, ⑬, ⑭).

그룹과 그룹 및 섹터와 섹터 간의 경계는 주 그룹들간에는 굵은 실선, 세부 그룹들간에는 가는실선, 그리고 세부그룹내의 섹터들간에는 점선을 사용하여 나타낸다. 따라서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보 및 트립 신호 또는 계측값 관련 섹터는 멤버 섹터가 1개인 세부그룹으로 되어 가는 실선으로 경계가 표시된다(⑪, ⑫). m out of n(m/n) 타입의 트립 로직으로 묶여 있는 n개의 트립 관련 계측값 상태를 n개의 섹터를 사용하여 나타낼 경우에는 n개의 섹터를 세부 그룹으로 묶어서 나타낸다. 도 4에 섹터 트립 조건 로직으로 함께 묶여 있는 섹터 세부 그룹들의 표시방법을 나타내었다. n개의 계측값들을 취합하여 설비의 성능을 판단할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표시한다.The boundaries between groups and groups, and between sectors and sectors, are indicated by bold solid lines between major groups, thin solid lines between subgroups, and dotted lines between sectors within subgroups. Therefore, the alarm and trip signal or the sector related to the measured value used alone are bounded by a solid line that goes into a subgroup having one member sector (⑪, ⑫). In case of using n sectors to display the status of n trip-related measurement values bound by trip logic of m out of n (m / n) type, n sectors are grouped into subgroups. 4 shows a method of displaying sector subgroups grouped together by sector trip condition logic. In the case of determining the performance of the facility by collecting the n measured values are display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예를 들어 2/3 트립 로직으로 묶여있는 3개의 계측값 상태를 3개의 섹터를 사용하여 나타낼 경우, 해당 3개의 섹터를 하나의 세부 그룹으로 묶어서 나타내고 해당 섹터들의 명판의 섹터이름 뒤에 “(2/3)”의 표시를 하여 2/3 트립 로직으로 묶여있는 섹터 중 하나임을 명시하도록 한다(④).For example, if three statuses are displayed using three sectors, each grouped with 2/3 trip logic, the three sectors are grouped into one sub-group, followed by a “(2 / 3) ”to indicate that it is one of the sectors bound by 2/3 trip logic (④).

섹터수를 줄여서 나타낼 필요가 있을 경우 1개 이상 n개 미만의 섹터로 묶은 세부 그룹으로 나타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4/60 트립 조건 로직으로 묶여있는 계측값들의 경우 하위 차트의 60개 섹터들 중에서 가장 상태가 심각한 상위 4개의 섹터값들이 상위 차트로 올려 보내지고, 상위 차트에서는 이들이 4개 섹터의 세부그룹으로 표시되며, 해당 섹터들의 명판의 섹터이름 뒤에 “(4/60)”의 표시를 하여 4/60 트립 로직으로 묶여있는 섹터중 하나임을 명시하도록 한다(⑥).If the number of sectors needs to be reduced, the subgroups may be represented as one or more subgroups of n or fewer sectors. For example, in the case of measurement values bound by 4/60 trip condition logic, the top 4 sectors in the worst state among the 60 sectors of the lower chart are sent to the upper chart, and in the upper chart, these are the details of the four sectors. Indicated as a group, the sector name on the nameplate of the sectors is marked with “(4/60)” to specify that it is one of the sectors bound by the 4/60 trip logic (⑥).

하위 차트의 여러 섹터 정보를 묶어서 상위 차트에서 1개의 섹터를 사용하여 나타내고자 할 때는 섹터 이름 뒤에 “(1/n)"으로 표시하며, 따라서 m/n에서 m이 1로 될 경우에는 단순히 n개의 섹터의 취합정보를 나타낸다는 의미고 트립 로직과는 무관하다(⑦, ⑧, ⑨, ⑭).When grouping the sector information of the lower chart to display one sector in the upper chart, it is displayed as “(1 / n)” after the sector name. Therefore, when m becomes 1 in m / n, it is simply n It means that the information on the sector is collected and has nothing to do with trip logic (⑦, ⑧, ⑨, ⑭).

각 섹터가 나타내는 트립 관련 계측값이 트립 한계치를 초과하면 해당 섹터그래프는 EHH(동심원 눈금 12)까지 적색으로 채워지며, m out of n 트립 로직으로 묶여 있는 섹터 그래프들의 트립 띠(Sector Stripe)는 모두 함께 같은 색상으로 트립 상황에의 접근정도(Proximity)를 나타내게 된다. 그 접근 정도에 따라 해당 부속 그룹에 해당하는 트립 띠에 나타내는 색상 표시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트립 조건이 만족된 상황이면 적색(RED), 둘째, 트립 조건에서 1개의 조건이 미달된 상황 또는 동등하게 1개 조건만 더 만족되면 트립 되는 상황이면 핑크(PINK) 색으로, 셋째, 트립 조건에서 2개의 조건이 미달된 상황 또는 동등하게 2개 조건이 더 만족되면 트립 되는 상황이면 주황색(ORANGE) 색으로, 넷째, 트립 조건에서 3개 조건이 미달된 상황 또는 동등하게 3개 조건이 더 만족되면 트립 되는 상황이면 황색(YELLO)으로 한다.If the trip-related measurement indicated by each sector exceeds the trip limit, the sector graph is filled in red up to EHH (concentric scale 12), and all of the sector stripes of the sector graphs bounded by m out of n trip logic are Together, the same color indicates the proximity to the trip situation. An example of the color display shown on the trip strip corresponding to the subgroup according to the degree of access thereof is as follows. First, if the trip condition is satisfied, red (RED). Second, if one condition is less than the trip condition or equally, if only one more condition is met, it is pink (PINK). ORANGE color when two conditions are less than two conditions or equally two more conditions are satisfied. Fourth, three conditions less than a trip condition or three more conditions are equal. If it is satisfied, it is yellow (YELLO).

도 5는 4 out of 60(4/60) 즉 60개의 감시 상황 중 4개의 상황이 트립 조건 세팅 설정상황이 되면 해당 설비나 기기를 트립시키는 트립 조건 로직으로 묶여있는 60개의 감시 상황들이 트립으로 접근해 감에 따라 상기 설명에 따라 트립 띠의 색상이 변해가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FIG. 5 shows 4 out of 60 (4/60), that is, 60 monitoring situations, which are bound by trip condition logic for tripping the corresponding equipment or device, when four of 60 monitoring situations are set to trip condition setting. It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at the color of the trip band changes according to the above description.

도 5에서 나타내는 각 Case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The meaning of each case shown in FIG. 5 is as follows.

Case 0: 60개 값중 어느 값도 트립 세팅 한계치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트립 띠는 60개 섹터 함께 흰색).Case 0: If none of the 60 values have reached the trip setting limit (the trip band is white with 60 sectors).

Case 1: 60개 값중 1개 값이 트립 세팅 한계치에 도달한 경우(트립 띠는 60개 섹터 함께 황색).Case 1: One of the 60 values has reached the trip setting limit (trip band is yellow with 60 sectors).

Case 2: 60개 값중 2개 값이 트립 세팅 한계치에 도달한 경우(트립 띠는 60개 섹터 함께 주황색).Case 2: Two of the 60 values have reached the trip setting limit (the trip band is orange with 60 sectors).

Case 3: 60개 값중 3개 값이 트립 세팅 한계치에 도달한 경우(트립 띠는 60개 섹터 함께 핑크색).Case 3: Three of the 60 values have reached the trip setting limit (the trip band is pink with 60 sectors).

Case 4: 60개 값중 4개 값이 트립 세팅 한계치에 도달하여 트립 조건이 만족된 경우(트립 띠는 60개 섹터 함께 적색).Case 4: When 4 of 60 values have reached the trip setting limit and the trip condition is satisfied (the trip band is red with 60 sectors).

도 6은 상기 4/60 트립 조건 로직을 4개의 섹터를 사용하여 나타낼 경우의 예시도이다. 도 6에서 나타내는 각 Case의 의미는 상기 60개의 섹터를 사용하여 나타낼 경우와 동일하다.6 is an exemplary diagram when the 4/60 trip condition logic is represented using four sectors. The meaning of each case shown in FIG. 6 is the same as that shown using the 60 sectors.

따로 바이너리 리밋 스위치를 사용하여 경보 및 트립 신호가 발생되고 해당 파라메터 값을 별도의 아날로그 계측기로 계측할 경우에는 1개의 섹터를 사용하여 섹터 그래프는 아날로그 계측값에 따라 나타내고 트립 띠는 바이너리 리밋 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각각 경보 시에는 핑크색으로, 트립 시에는 적색으로 나타낸다. 따라서 섹터 그래프의 표시와 트립 띠의 색상표시에 일관성이 없을 경우에는 아날로그 계측값과 바이너리 리밋 스위치의 작동 값 사이에 에러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Separately, when alarm and trip signals are generated using binary limit switches and the corresponding parameter values are measured by separate analog instruments, the sector graph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analog measurement values using one sector. In each case, the color is displayed in pink at the time of alarm and in red at the time of trip. Therefore, if the sector graph is not consistent with the display of the trip band, there is an error between the analog measurement value and the operation value of the binary limit switch.

아날로그 계측기가 따로 없이 바이너리 리밋 스위치만으로 동작을 하는 경보 및 트립신호의 경우를 섹터로 나타낼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섹터 띠의 색상변화는 앞의 경우와 동일하고 섹터 그래프는 눈금 2의 Normal 상태(녹색), 눈금 8의 Alarm 상태(황색), 눈금 12의 트립 상태(적색)의 3가지 경우만을 나타낸다.If it is necessary to indicate in the case of alarm and trip signal that the analog instrument operates with binary limit switch only without sectors, the color change of the sector band is the same as the previous case and the sector graph is in the normal state (green) of scale 2. Only three cases of alarm state (yellow) of scale 8 and trip state (red) of scale 12 are shown.

섹터 그래프 끝의 2개 눈금은 그 색상의 농도를 변화시켜 계측값이나 설비 성능변화의 추이를 나타내도록 한다. 예를 들어 계측값의 추이를 안정, 증가, 감소 및 진동의 4가지로 정의할 경우, 먼저 “안정”일 경우 섹터 그래프의 색상을 일정하게 표시하고, “증가”의 경우 섹터 그래프의 끝으로 갈수록 색상의 농도를 점차 진해지도록 하며, “감소”의 경우에는 섹터 그래프의 끝으로 갈 수록 색상의 농도를 점차 연해지도록 하고, “진동”의 경우에는 현재값을 섹터 그래프의 길이로 나타내는 외에도 추가로 진동 범위에 해당하는 구간의 색상의 농도를 달리하여 특정 한계치에 도달하기 전 이라도 이상상황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도록 한다. The two scales at the end of the sector graph change the color intensity to indicate trends in measured values or facility performance. For example, if you define the trend of the measured value as stable, increase, decrease, and oscillation, the color of the sector graph is consistently displayed when it is “stable”, and when it is “increase”, it goes to the end of the sector graph. Increasing the intensity of the color gradually, in the case of "reduction", gradually lightens the color intensity toward the end of the sector graph, and in the case of "vibration", in addition to showing the current value as the length of the sector graph, it vibrates additionally. By varying the intensity of the colors in the ranges covered by the range, it is possible to detect anomalies early, even before certain limits are reached.

또한 계측값 자체가 현 플랜트의 운전문맥에 비추어 타당하지 않은 값이 들어올 경우에는 해당 그래프와 명판을 깜빡이게 하여 계측값에 대한 점검을 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if the measured value itself is not valid in light of the operating context of the current plant, the corresponding graph and name plate will blink so that the measured value can be checked.

특정 감시 상황의 트립 로직에 트립 조건이 만족되고, 추가로 시간지연이 설정되어 있을 경우, 트립 조건이 만족되면 트립 띠의 색상을 고동색(Brown)으로 바꾸고 최종 트립 신호가 발생되면 적색으로 바꾸도록 한다.If the trip condition is satisfied in the trip logic of the specific monitoring situation and additionally the time delay is set, if the trip condition is satisfied, the color of the trip band is changed to brown and red when the final trip signal is generated. .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섹터마다 해당 섹터가 나타내는 상황 또는 상황을 감시하는데 사용하는 계측값의 명칭을 차트 좌우에 정렬된 섹터 평판을 사용하여 나타낸다. 먼저 섹터 명판 앞부분에는 섹터 번호 띠(Stripe, ④)에 명시된 각 섹터의 해당 번호를 명시한다. 다음에는 섹터 번호에 해당하는 섹터의 명칭을 나타낸다. 섹터 명칭이 같은 섹터들이 있을 경우 구별을 위한 접미어를 추가하여 표시하도록 한다. 다음에는 섹터 명칭에 해당하는 아날로그 계측값이나 성능 지표값이 있을 경우 해당 값을 나타낸다.As shown in Fig. 2, the names of measurement values used for monitoring the situation or the condition indicated by the sector for each sector are shown by using the sector plates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chart. At the beginning of the sector name plate, the corresponding number of each sector specified in the sector number strip (4) is specified. Next, names of sectors corresponding to sector numbers are shown. If there are sectors with the same sector name, a suffix for distinguishing is added. Next, if there is an analog measurement value or a performance index value corresponding to the sector name, the value is shown.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섹터 그래프의 색상은 경계 상태(Alert State)시에 황색, 비상 상태(Emergency State) 시에는 적색으로 변하게 되며, 이 때 해당 명판을 즉시 식별하기 위하여 같은 섹터 번호의 명판은 섹터그래프와 함께 황색 및 적색으로 바꾸어 준다.As described above, the color of the sector graph turns yellow in the alert state and red in the emergency state, in which case the same sector number plate is the sector graph to immediately identify the name plate. To yellow and red.

섹터 명판을 마우스로 클릭(Click)하면 명판에 해당하는 아날로그 계측값이나 설비의 성능 지표값이 있을 경우 도 1의 우측 상단에 보인바와 같이 해당 계측값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가 나타나도록 한다.When the sector name plate is clicked with a mouse, a graph indicating the trend of the measured value appears as shown in the upper right of FIG.

클릭한 섹터가 하위 차트에서 올라온 취합정보를 나타내어 직접적으로 상응하는 계측값이나 성능 지표값이 없을 경우에는 해당 하위 차트를 도 1과 유사한 보조화면에 나타내고, 이때 보조화면에 나타낸 하위 차트에서 해당 섹터를 클릭할 경우 다시 보조화면 옆에 상기와 같이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가 표시되도록 한다.When the clicked sector shows the aggregated information from the lower chart and there is no corresponding measurement value or performance index value, the corresponding subchart is displayed on the subscreen similar to that of FIG. When clicked again, a graph indicating a trend is displayed next to the subscreen as shown above.

해당 섹터가 경보 조건만 있을 경우에는 섹터 명칭 끝에 “_alm" 을 추가하여 따로 트립 조건이 없음을 나타낸다.If the sector has only an alarm condition, “_alm” is added to the end of the sector name to indicate that there is no trip condition.

하나의 섹터로 아날로그 계측값은 섹터 그래프에, 경보 및 트립 용 바이너리 리밋 스위치의 값은 트립 띠를 사용하여 나타낼 경우에는 섹터 명칭 끝부분에 “_3”을 표시하여 해당 섹터 표시에 상기 3개의 센서가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도록 한다.When one analog sector is displayed in the sector graph and the value of the binary limit switch for alarm and trip is displayed using the trip band, “3” is displayed at the end of the sector name. Make sure that it is used.

서로 독립된 n개의 계측값(바이너리 센서 포함)들의 상태를 묶어서 하나의 섹터로 대표하여 나타낼 경우에는 명칭 뒤에 “1/n"의 표시를 하여 n개의 계측값을 1개의 섹터로 나타내었음을 명시하도록 한다. 이때 섹터 그래프와 트립 띠는 n개의 값 중 가장 큰 섹터 그래프의 값과 가장 상태가 심각한 섹터 띠의 상태로 나타낸다. n개의 계측값 중 어느것이나 경보나 트립 조건이 되면 경보를 울리고 도 1의 우 하단에 보이는 텍스트 창에 경보나 트립조건과 현재값등의 해당 상태를 설명하는 문구를 나타내도록 한다.When the states of n independent measured values (including binary sensors) are grouped and represented as a sector, “1 / n” is indicated after the name to indicate that n measured values are represented as 1 sector. In this case, the sector graph and the trip band are displayed as the state of the largest sector graph and the most severe sector band among the n values, and when any of the n measured values reaches an alarm or trip condition, an alarm sounds and the right side of FIG. In the text window that appears at the bottom, display a text that describes the status of the alarm, trip conditions, and current values.

도 1의 차트에서 상단 정중앙에 위치한 섹터는 주 섹터(Main Sector)로서(⑤) 주 섹터에는 섹터 번호 0을 부여하고 해당 차트에서 가장 심각한 상태의 섹터를 함께 나타내도록 한다. 단 기기나 설비의 트립조건이 만족되면 실제로 기기나 설비가 트립 되었는지의 여부를 독립적으로 검사하여 트립이 확인되면 주 섹터의 트립 띠의 색을 적색에서 자주색(Purple)으로 바꾸어 주도록 한다. 주 섹터 명판(⑥)은 주 섹터에 나타낸 섹터의 명판의 내용을 나타내준다.In the chart of FIG. 1, the sector located at the top center is the main sector (5), and the sector is assigned sector number 0 to indicate the most severe sector in the chart. However, if the trip condition of the equipment or equipment is satisfied, the system independently inspects whether the equipment or equipment is actually tripped and if the trip is confirmed, change the color of the trip band of the main sector from red to purple. The main sector name plate 6 indicates the contents of the name plate of the sector shown in the main sector.

경보 및 트립 조건이 만족되면 해당 섹터 그래프의 색상이 적색으로 바뀌고, 해당 섹터의 명판의 색상도 함께 바뀌며 특히 트립 조건 만족 시에는 해당 명판이 깜빡이게 되고 경보음이 울리게 된다.When the alarm and trip conditions are satisfied, the color of the sector graph is changed to red, and the color of the name plate of the sector is changed together. Especially, when the trip condition is satisfied, the name plate flashes and an alarm sounds.

경보음이 울릴 경우 확인 단추를 누르면 경보음이 멈추고 깜박임이 있는 경우 깜박임도 멈추게 된다. 리셋 단추를 누르면 경보 및 트립 값들이 초기화 되고 다시 현재의 계측값 상태를 나타내도록 한다.If the alarm sounds, press the OK button to stop the alarm and if there is a blink, the blinking stops. Pressing the reset button resets the alarm and trip values and returns to the current reading.

트립 띠(④)는 설비가 정지 상태일 경우 즉 섹터그래프(②)의 길이가 0일 경우에는 해당 설비가 현재 수리보수상태(Maintenance and Repair State)인지 또는 가동가능상태(Stand-by State)인지를 색상으로 구분하여 나타낸다. 예를 들어 가동가능상태면 초록색으로, 수리 중이면 황색으로 표시한다. Trip strip (④) indicates whether the equipment is currently in Maintenance and Repair State or Stand-by State when the equipment is in a stopped state, that is, when the length of the sector graph (②) is zero. Are indicated by color. For example, green if it is operational, and yellow if it is under repair.

이하 건축물의 부대설비들의 운영상태를 나타내는 동심원차트를 지칭할 경우에는 FAST(Facility Assessment and Status Tracking)차트, 그리고 플랜트의 부속설비들의 운영상태를 나타내는 동심원 차트를 지칭할 경우에는 POST(Plant Operating State Tracking)차트라 각각 부르기로 한다.Hereinafter, when referring to the concentric circle chart indicating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subsidiary facilities of the building, a facility assessment and status tracking (FAST) chart, and the plant operating state tracking (POST) when referring to the concentric chart indicating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subsidiary facilities of the plant Let's call each chart.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플랜트 및 건축물의 운영상태 감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에서 보인바와 같이 설비들의 운영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정보와 데이터는 데이터 수집부(100)에 의해 수집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수집부(100)가 수집한 정보와 데이터는 상태판단부(200)에 전달된다. 상기 상태판단부(200)는 상기 데이터 수집부(100)로부터 전달받은 정보 및 데이터를 이용하여 플랜트 및 건축물의 운영상태를 판단한다. FIG.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monitoring operating states of plants and building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 information and data for monitoring the operation status of the facilities are collected by the data collection unit 100. And the information and data collected by the data collection unit 100 is transmitted to the status determination unit 200. The state determination unit 200 determines the operating state of the plant and building by using the information and data received from the data collection unit 10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00)는 상기 상태판단부(200)로부터 플랜트 또는 건축물의 운영상태 판단 결과를 통보 받아 상기 동심원 상의 섹터에 부채꼴 모양의 그래프로 나타낸다.The user interface unit 300 receives a result of determining an operation state of a plant or a building from the state determination unit 200, and displays a sector-shaped graph on a sector on the concentric circle.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플랜트 및 건축물의 설비 또는 기기들의 운영상태 감시방법에 따르면, 원점을 공유하는 섹터그래프를 사용하여 동심원 눈금과 색상으로 운영상황을 나타냄으로 인해 다수의 설비나 기기의 운영 상태를 일목요연하고 신속 정확하게 관찰하는 것이 가능하여 설비나 기기들의 이상 징후를 조기에 발견하여 미리 대처하거나 이미 이상 상황이 발생했을 경우에도 이를 조기에 발견하여 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설비의 안정적인 운영에 크게 도움을 줄 수 있고, 다수의 모니터를 사용하여 따로 감시하던 설비들을 한 두 개의 감시 화면으로 통합하여 감시할 수 있으므로 설비의 운영상태 감시를 위한 인력절감이 가능해 지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a method for monitoring the operation status of facilities or devices of a plant and a building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of a plurality of facilities or devices is indicated by using a sector graph sharing the origin to indicate the operating status with concentric scales and colors. It is possible to observe the condition at a glance and quickly and accurately, so that the early signs of abnormalities of the equipment or devices can be detected early and respond in advance, or even if an abnormal situation has already occurred, the early detection and response of the abnormal conditions can greatly improve the stable operation of the equipment. It can help and monitor the facilities that were separately monitored using multiple monitors into one or two monitoring screens.

도8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한 설비 운영상태 감시방법을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이다.8 is a detailed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monitoring facility operation status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한 건축물 및 플랜트 운영상태 감시방법은 건축물 및 플랜트의 각 설비의 운영상태를 판단하고 GUI로 나타내기 위한 기본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로부터 시작된다(S100). 입력받는 기본정보에는 설비구성 정보, 각 설비별 운영상태 판단을 위한 주요 상태 변수의 종류와 변수값의 수집 방법 및 주기, 감시서버가 따로 있는 설비의 경우 해당 서버와의 통신 프로토콜 및 교환가능 정보내용, 각 설비별 상태판단기준, FAST차트 또는 POST차트의 계층구조 및 각 차트의 섹터 구성내용, 각 설비의 운영상태 판단결과를 FAST차트 또는 POST차트상의 해당 부채꼴 그래프의 길이 및 색상의 농도로 변환하는 기준, 디스플레이 윈도우 구성 및 입출력 내용과 방법, 각 설비별 운영상태 판단주기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ure 8, the building and plant operating state monitoring method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arts from the step of receiving the basic information for determining the operating state of each of the equipment of the building and plant and indicate by GUI (S100). The basic information that is input includes the equipment configuration information, the type and method of collecting the main status variables and the variable values for judging the operational status of each facility, and the communication protocol and exchangeable information with the relevant server in the case of a separate monitoring server. To convert the results of the status judgment of each facility,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the FAST chart or POST chart, the sector composition of each chart, and the operation status of each facility to the length and color density of the corresponding fan graph on the FAST chart or POST chart. It includes criteria, display window composition, input / output contents and method, and operation status judgment cycle for each facility.

다음으로, 각 설비의 운영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실시간 설비운영 정보와 데이터를 수집한다.(S110). 운영 정보와 데이터는 현장에 설치된 센서와 계측기들로부터 수집하며 감시서버를 따로 가지고 있는 설비의 경우에는 해당 감시 서버를 통하여도 수집한다. Next, real-time facility operation information and data for determining the operation status of each facility is collected (S110). Operational information and data are collected from sensors and instruments installed in the field, and in the case of a facility that has a separate monitoring server, the monitoring server is also collected.

이어서, 수집한 정보와 데이터를 기초로 기본정보로 입력받은 상태판단 기준에 따라 각 설비의 운영상태를 판단한다(S120). 상태판단은 간단한 경우에는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판단하고 고려해야할 사항이 많은 경우나 수시로 판단 방법이 변동될 수 있을 경우 또는 지식과 경험에 의해 판단하는 경우에는 지식기반 시스템(Knowledge-based system)을 구성하여 판단하도록 한다. 운영상태 판단결과는 FAST차트나 POST차트상에 나타내는 해당설비의 부채꼴 그래프의 길이를 정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며 운전상태가 유동적일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그래프 색상의 농도 표시가 가능한 정보를 추가로 포함한다.Subsequently, based on the collected information and data, the operation status of each facility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tatus determination criteria input as basic information (S120). In the simple case, the judgment is made by using an algorithm, and when there are many things to consider, or when the judgment method can be changed from time to time, or when it is judged by knowledge and experience, a knowledge-based system is judged. Do it. The operation status judgment result includes information for determining the length of the fan-shaped graph of the corresponding equipment displayed on the FAST chart or the POST chart, and additionally includes information capable of displaying the density of the graph color as described above when the operation status is fluid. do.

여기서 각 설비별 운영 정보와 데이터의 수집 및 운영상태의 판단은 처리할 정보의 양과 긴급성에 따라 필요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적으로 병렬 분산처리로 수행 할 수 있다. 즉 하드웨어 적으로는 전체 운영상태 감시 태스크를 관장하는 중앙서버와 각 설비 또는 설비의 그룹을 담당하는 복수의 설비서버가 계층구조로 네트워크로 연결된 시스템으로 구성하고 소프트웨어 적으로는 지능 에이전트를 프로세스(process)나 쓰레드(thread)의 형태로 생성하여 태스크를 분담시킬 수 있다.Here, the collection and operation status of each facility's operation information and data can be judged by parallel distributed processing in hardware and software if necessary according to the amount and urgency of the information to be processed. In other words, the hardware consists of the central server that manages the whole operation status monitoring task and the multiple server of each facility or group of facilities that are networked system in a hierarchical structure. You can create tasks in the form of threads or threads to share your tasks.

다음으로, 각 설비별 운영상태 판단결과를 FAST차트 또는 POST차트상의 해당 섹터내에 부채꼴 그래프로 나타낸다(S130). 이때 사용자 또는 설비 관리자의 신속 정확한 상황판단을 지원하기 위해 필요시 보조화면이나 윈도우를 이용하여 텍스트 설명, 하위 상세 차트, 해당 설비의 구성도나 흐름도를 추가로 나타낼 수 있다. Next, the operation status determination result for each facility is shown as a sector graph in the corresponding sector on the FAST chart or the POST chart (S130). In this case, in order to support a quick and accurate situation determination of a user or a facility manager, a text description, a lower detailed chart, a configuration diagram or a flowchart of a corresponding facility may be additionally displayed by using an auxiliary screen or a window if necessary.

다음으로 사용자가 FAST차트나 POST차트의 명판을 클릭(click)하거나 여타 입력 예를 들면 메뉴버튼이나 텍스트 입력을 수행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S140). 입력이 없으면 다시 단계 110으로 돌아가 루프를 반복한다.Next, it is checked whether the user clicks on the name plate of the FAST chart or the POST chart or performs other input, for example, a menu button or text input (S140). If no input, go back to step 110 and repeat the loop.

사용자의 입력이 있을 경우 이를 처리한다(S150). 먼저 FAST차트나 POST차트의 명판을 클릭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섹터에 대응하는 설비의 하위 차트가 있을 경우 해당 하위차트가 보조화면에 디스플레이 되고 별도로 해당설비의 운영상태를 보다 상세히 나타내기 위해 도움이 될 경우 운영상태에 대한 텍스트 설명과 해당 설비의 구성도 또는 흐름도 등이 함께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하나의 설비나 기기 고장의 여파로 여러 설비나 기기의 운영상태가 이상상태로 진전 될 경우 상황발생의 선후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인터페이스 상에 마련하는 SOE(Sequence Of Event) 메뉴 button을 클릭하면 지나간 시간을 고장의 선후관계를 파악하기 편리한 시간간격(time slice)으로 나누어 해당시각의 차트들을 보조화면에 축소된 크기로 순차적으로 나타내고 각 차트별로 직전의 차트와 비교하여 변화된 상태와 상태변화 요인을 텍스트로도 나타낸다. 또한 디스플레이 된 축소 차트 중 임의의 차트를 클릭할 경우 해당 차트가 확대되어 디스플레이 된다. If there is a user input, it processes it (S150). If you first click on the nameplate of a FAST or POST chart, if there is a sub-chart of the equipm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ector, the sub-chart is displayed on the sub-screen and it will be helpful to show the operation status of the equipment in detail. In this case, a text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status and a configuration diagram or flowchart of the corresponding equipment may be displayed together. Time passed when clicking the SOE (Sequence Of Event) menu button on the interface to understand the pros and cons of the situation when the operation status of several equipment or equipment is abnormally developed due to the failure of one equipment or equipment. The charts are divided into time slices, which are convenient to identify the prognostic relationship between failures, and the charts of the corresponding time are shown in a reduced size on the sub-screen sequentially and compared to the previous chart for each chart. Also shown. In addition, when any chart is clicked among the displayed reduced charts, the corresponding chart is enlarged and displayed.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한 설비 운영상태 감시방법에 따르면, 복수 개의 설비 각각의 운영상태를 동시에 신속 정확히 관찰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설비의 운영상태 감시를 위한 인력절감이 가능하고, 감시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하나의 설비나 기기의 고장이 파급되어 다수의 설비나 기기 운영상태가 이상상황으로 진전되는 경우에도 상황발생의 선후관계규명이 용이하여 신속한 고장 원인 추적과 대처가 가능하여 플랜트의 경우 생산성을 제고할 수 있고 건축물의 경우는 운영비를 절감하고 보안 및 방재능력을 제고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for monitoring the operation status of a facility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serve the operation status of each of a plurality of facilities at the same time quickly and accurately, thereby reducing the manpower for monitoring the operation status of the facility and improving the monitoring quality. In case of failure of one equipment or equipment and the operation status of multiple equipment or equipment is developed in abnormal situation, it is easy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occurrences of the situation and it is possible to promptly trace the cause of failure and cope with the productivity. In the case of buildings, it can reduce operating costs and increase security and disaster prevention capabilities.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are defined by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adapt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evident.

100 : 데이터 수집부
200 : 상태 판단부
300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00: data collection unit
200: state determination unit
300: user interface unit

Claims (13)

설비들의 운영상태를 감시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와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와;
상기 데이터 수집부로부터 전달받은 정보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설비들의 운영상태를 판단하는 상태 판단부; 및
복수의 동심원 눈금이 표시된 동심원차트(Chart)를 각 설비에 대응하는 부채꼴의 섹터(Sector)로 구분하고 상기 설비 각각의 운영상태를 상기 각 설비에 대응하는 동심원차트 상의 섹터내에 동심원차트의 중심을 원점으로 하여 섹터그래프들로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건축물 및 플랜트의 설비 운영상태 감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섹터그래프들은 길이가 길수록 대응하는 설비의 운영상태가 불안정하거나 성능이 저하된 상태임을 나타내고,
최 외곽 동심원 띠(“섹터번호 띠” 라고 칭함.)의 각 섹터 위치를 따라 각각 번호가 부여되고, 해당 번호가 매겨진 각 섹터그래프의 명판을 상기 동심원 차트의 좌우에 배치하며, 설비의 운영상태 변화에 따른 상기 섹터그래프들의 색상 변화에 따라 명판의 색상도 함께 변화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운영상태 감시 장치.
A data collecting unit collecting information and data necessary for monitoring the operation status of the facilities;
A state determination unit to determine an operation state of the facilities by using the information and data received from the data collection unit; And
The concentric circle chart with a plurality of concentric scales is divided into sectors corresponding to the sectors, and the operation status of each of the facilities is the origin of the center of the concentric chart in the sector on the concentric chart corresponding to each facility. An apparatus for monitoring a facility operating state of a building and a plant, comprising: a user interface unit represented by sector graphs;
The sector graphs indicate that as the length increases, the operating state of the corresponding equipment is unstable or degraded.
Each sector number of the outermost concentric band (referred to as “sector number band”) is numbered, and the nameplate of each numbered sector graph is assigned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concentric chart, and the operation status of the equipment is changed. According to the color change of the sector graph according to the equipment operating state monito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lso changes the color of the name pla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섹터그래프는,
해당 설비의 운영상태가 점차 불안정한 상태로 변화하는 경우, 상기 동심원차트의 원주로 갈수록 색농도가 점차 높아지도록 표시하고, 상기 설비들의 운영상태가 점차 양호한 상태로 변화하는 경우, 상기 동심원의 원주로 갈수록 색 농도가 점차 낮아지도록 표시하며, 상기 설비들의 운영상태가 불안정한 진동을 반복하는 경우, 현재값을 나타내는 섹터그래프 외에도 진동범위에 해당하는 눈금 사이의 색농도를 구별하여 표시하도록 하며, 상기 설비들의 운영상태를 나타내는 계측값이 플랜트의 운전문맥에 비추어 비정상적인 값이 올라올 경우 해당 섹터그래프를 깜빡이게 하여 이상 상황들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운영상태 감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tor graph,
When the operation state of the facility is gradually changed to an unstable state, the color concentration is gradually increased toward the circumference of the concentric circle chart, and when the operation state of the facilities is gradually changed to a good state, the direction of the concentric circle Color intensity is gradually lowered, and when the operation status of the equipment is repeated in an unstable vibration, in addition to the sector graph indicating the current value to distinguish the color concentration between the scale corresponding to the vibration range to display the operation, the operation of the equipment Equipment operation status monito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f the measured value indicating the status is abnormal in the context of the operating context of the plant to blink the corresponding sector graph to detect the abnormal situation ear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심원차트는,
동심원차트 상의 각 섹터나 섹터의 명판을 마우스로 클릭할 경우 다시 해당섹터가 나타내는 운영상태의 상세 운영 상태를 나타내는 하위의 동심원차트를 나타냄으로서 감시항목 수를 자유로이 증가 시킬 수 있으며, 최상위 동심원차트는 전체설비들의 취합 정보를 나타낼 수 있도록 계층구조로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운영상태 감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centric circle chart,
If you click each sector or the name plate of the sector on the concentric chart with the mouse, you can freely increase the number of monitoring items by showing the lower concentric chart showing the detailed operating status of the sector. Equipment operating status monito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mplemented in a hierarchical structure to represent the collection information of the equipm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심원차트는,
최 외곽의 섹터 번호를 나타내는 섹터번호 띠에 인접한 내측 동심원 띠 (“트립상태 표시 띠” 라고 칭함.)를 사용하여 같은 트립 로직 조건으로 함께 묶여 있는 섹터그래프들의 상기 트립상태 표시 띠 부분의 색상을 트립 로직의 진행상황에 해당하는 색상으로 동시에 함께 변화시킴으로서 해당 섹터그래프들이 나타내는 운영상태가 동일한 트립로직으로 함께 묶여 있는 것과 트립조건의 진행상황도 함께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운영상태 감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centric circle chart,
Using the inner concentric band (referred to as “trip status indicator band”) adjacent to the sector number band representing the outermost sector number, the color of the trip status indicator band of the sector graphs bound together under the same trip logic condition is determined by trip logic. The equipment operating status monito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ng state represented by the sector graphs are grouped together in the same trip logic together and the trip condition can be grasped together by simultaneously changing the colors corresponding to the progress status of the same.
삭제delete (a) 데이터 수집부가 복수 개의 설비의 운영상태를 판단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와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와;
(b) 상태 판단부가 상기 정보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설비들의 운영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사용자 인터페이스부가 상기 설비들의 운영상태를 상기 각 설비에 대응하는 동심원차트 상의 섹터내에 동심원차트의 중심을 원점으로 하는 부채꼴의 섹터그래프들로 나타내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설비 운영상태 감시방법에 있어서,
상기 섹터그래프들은 설비 운영상태가 불안정하거나 성능 저하가 심할수록 대응하는 상기 섹터그래프들의 길이를 길게 표시하고,
각 섹터그래프의 위치에 해당하는 섹터번호 띠를 따라 번호가 부여되고, 해당 번호가 매겨진 각 섹터그래프의 명판을 상기 동심원 차트의 좌우에 배치하며, 상기 각 섹터그래프의 색상 변화에 따라 명판의 색상도 함께 변화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운영상태 감시 방법.
(a) collecting, by the data collecting unit, information and data necessary for determin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plurality of facilities;
(b) a state determination unit determin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facilities using the information and data; And
(c) a user interface unit showing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facilities as sector sector graphs starting from the center of the concentric chart in a sector on the concentric chart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acilities; In the facility operating state monitoring method comprising a,
The sector graphs display longer lengths of the corresponding sector graphs as the operation of the equipment becomes unstable or the performance deteriorates.
Numbered along the sector number band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each sector graph, the name plate of each numbered sector graph is placed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concentric circle chart, and the color of the name plat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color change of each sector graph. Facility operating status monitor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o change togeth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섹터그래프는,
해당 설비의 운영상태가 점차 불안정한 상태로 변화하는 경우, 상기 동심원의 원주로 갈수록 색상의 농도가 점차 높아지게 표시하고, 상기 설비들의 운영상태가 점차 양호한 상태로 변화하는 경우, 상기 동심원의 원주로 갈수록 색상의 농도가 점차 낮아지도록 표시하며, 설비의 운영상태가 불안정한 진동을 반복하는 경우, 현재값을 나타내는 섹터그래프에 중첩하여 진동하는 구간에 해당하는 동심원 사이의 색상농도를 구별하여 표시하도록 하며, 설비의 운영상태를 나타내는 계측값이 플랜트의 운전문맥에 비추어 비 정상적인 값이 올라올 경우 해당 섹터그래프와 명판을 깜빡이게 하여 이상 상황들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운영상태 감시방법.
The method of claim 8,
The sector graph,
When the operating state of the equipment gradually changes to an unstable state, the density of the color is gradually increased toward the circumference of the concentric circles, and when the operating state of the facilities is gradually changed to a good state, the color toward the circumference of the concentric circles In order to reduce the concentration of, the vibration of the equipment is unstable. If the vibration is unstable, superimpose the color concentration between the concentric circles corresponding to the oscillating section overlapping the sector graph indicating the current value. Method for monitoring the operation status of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if the measured value indicating the operating status is abnormal in light of the operating context of the plant, the corresponding sector graph and the name plate blinks to help detect abnormalities early.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동심원차트는,
동심원차트 상의 각 섹터나 섹터의 명판을 마우스로 클릭할 경우 다시 해당섹터가 나타내는 운영상태의 상세 운영 상태를 나타내는 하위의 동심원차트를 나타냄으로서 감시항목 수를 자유로이 증가 시킬 수 있으며, 최상위 동심원차트는 전체설비들의 취합 정보를 나타낼 수 있도록 계층구조로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운영상태 감시방법.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centric circle chart,
If you click each sector or the name plate of the sector on the concentric chart with the mouse, you can freely increase the number of monitoring items by showing the lower concentric chart showing the detailed operating status of the sector. Facility operating status monitor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mplemented in a hierarchical structure to represent the collection information of the equipment.
삭제delete
KR1020110086230A 2009-08-28 2011-08-29 Plant and Building Facility Monitoring Apparatus and Technique based on Sector Graphs KR10123326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0638A KR101047325B1 (en) 2009-08-28 2009-08-28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operation status of buildings and plants
WOPCT/KR2010/005772 2010-08-27
PCT/KR2010/005772 WO2011025293A2 (en) 2009-08-28 2010-08-27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operating statuses of facilities on the basis of graphical sector represent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1231A KR20120021231A (en) 2012-03-08
KR101233264B1 true KR101233264B1 (en) 2013-02-14

Family

ID=4362862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0638A KR101047325B1 (en) 2009-08-28 2009-08-28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operation status of buildings and plants
KR1020110086230A KR101233264B1 (en) 2009-08-28 2011-08-29 Plant and Building Facility Monitoring Apparatus and Technique based on Sector Graphs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0638A KR101047325B1 (en) 2009-08-28 2009-08-28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operation status of buildings and plant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1047325B1 (en)
WO (1) WO2011025293A2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7325B1 (en) * 2009-08-28 2011-07-07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operation status of buildings and plants
WO2013123991A1 (en) 2012-02-23 2013-08-29 Abb Research Ltd A method for providing a navigation tool of a user interface for an industrial control system
KR101420769B1 (en) * 2012-11-19 2014-07-21 (주)나다에스앤브이 Factory State Management System Using Factory Management Index
JP2014167765A (en) * 2013-02-28 2014-09-11 Seung-Chul Lee Operation state monitoring device for center graph base facility and method thereof
KR101442754B1 (en) * 2013-04-12 2014-09-25 한국동서발전(주) Alarm system for providing consolidated information
US20150324106A1 (en) * 2014-05-06 2015-11-12 Brewer Science Inc. User interfa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displaying data
KR102338489B1 (en) * 2014-10-31 2021-12-10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Control problem notify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JP6901840B2 (en) * 2016-10-14 2021-07-14 三菱パワー株式会社 Guidance information presentation system, guidance information presentation method and program
KR101949197B1 (en) * 2017-11-20 2019-02-18 이장묵 Insecticidal Chamber Remote Monitering And Controll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0280A (en) * 1995-02-17 1996-08-30 Toshiba Corp Plant monitor device
KR20030021730A (en) * 2001-09-07 2003-03-15 주식회사 왓츠웹 Plant guard equipment and method with network
KR20110023050A (en) * 2009-08-28 2011-03-08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of the operating state monitoring for architecture and plant faciliti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5265B1 (en) * 2000-08-22 2003-08-21 (주)유니엔텍 An integrated operating method for infrastructure and therefor process system
JP2007257190A (en) * 2006-03-22 2007-10-04 Toshiba Corp Total monitoring diagnosis device
KR100842789B1 (en) * 2006-09-20 2008-07-01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An electric power receiving and distributing system based on digital graphic
KR20090001509A (en) * 2007-04-20 2009-01-0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Monitoring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0280A (en) * 1995-02-17 1996-08-30 Toshiba Corp Plant monitor device
KR20030021730A (en) * 2001-09-07 2003-03-15 주식회사 왓츠웹 Plant guard equipment and method with network
KR20110023050A (en) * 2009-08-28 2011-03-08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of the operating state monitoring for architecture and plant facilities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210591 A, KR1020110119171 A *
JP03210591 A, KR1020110119171 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3050A (en) 2011-03-08
WO2011025293A3 (en) 2011-07-21
KR101047325B1 (en) 2011-07-07
WO2011025293A2 (en) 2011-03-03
KR20120021231A (en) 201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3264B1 (en) Plant and Building Facility Monitoring Apparatus and Technique based on Sector Graphs
JP2014167765A (en) Operation state monitoring device for center graph base facility and method thereof
JP3848920B2 (en) Plant control monitoring device
KR20140130540A (en) Method and system for real-time performance recovery advisory for centrifugal compressors
EP3270250B1 (en)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monitoring of power generation units
JP2013250695A (en) Process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CN103576641A (en) Systems and methods to monitor an asset in an operating process unit
CN112365100A (en) Power grid disaster early warning and coping method based on disaster risk comprehensive assessment
CN113063611B (en) Equipment monitoring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JP2015114778A (en) Plant control system, control device, management device, and plant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13516819A (en) Intelligent electric fire early warning system and method for tobacco warehouse
CN110209144A (en) Two layers of real-time monitoring and alarm source tracing method based on sound collaboration variance analysis
CN115640860B (en) Electromechanical equipment remote maintenance method and system for industrial cloud service
JP2014078209A (en) State monitoring method using multi-condition-monitor and state monitoring device system
KR20210109206A (en) Intelligent condition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for nuclear power plants
CN114485796A (en) Online state monitoring self-diagnosis system of box-type substation
KR102512805B1 (en) System for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water and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and method thereof
JP2022543922A (en) Predictive maintenance method for equipment through distribution map
WO2019181572A1 (en) Abnormality monitoring device, abnormality monitoring method, program, control device, and plant
WO2013079112A1 (en) Processing data of a technical system comprising several assets
JP3117283B2 (en) Alarm display method for nuclear power plant and alarm display system
CN104731056B (en) The method of the quick operation stability for judging chemical production device
Butters et al. Statistical cluster analysis and visualisation for alarm management configuration
WO2002029733A1 (en) Method of monitoring the assembly of a product from a workpiece
WO2023067702A1 (en) Plant operation assistanc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