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2313B1 -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2313B1
KR101232313B1 KR1020110011063A KR20110011063A KR101232313B1 KR 101232313 B1 KR101232313 B1 KR 101232313B1 KR 1020110011063 A KR1020110011063 A KR 1020110011063A KR 20110011063 A KR20110011063 A KR 20110011063A KR 101232313 B1 KR101232313 B1 KR 101232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class
vehicle
current value
light distrib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1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4423A (ko
Inventor
김종운
박종렬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DE102011001247A priority Critical patent/DE102011001247A1/de
Priority to US13/048,151 priority patent/US8664859B2/en
Publication of KR20110104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4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2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2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15Dimming circuits
    • B60Q1/1423Automatic dimming circuits, i.e. switching between high beam and low beam due to change of ambient light or light level in road traff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17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 B60Q1/0023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the element being a sensor, e.g. distance sensor,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1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vehicle conditions
    • B60Q2300/11Linear movements of the vehicle
    • B60Q2300/112Vehicl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3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vehicle environment
    • B60Q2300/33Driving sit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원을 추가하지 않고도 전방 원거리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복수의 배광 패턴들(Class-W, Class-V, Class-C, Class-E, High) 간에 배광 패턴 전환이 가능한 차량용 램프에 있어서, 배광 패턴에 따라 점등 또는 소등 되거나 서로 다른 광 조사 패턴을 가지는 발광 다이오드가 설치되는 복수의 램프 유닛, 상기 복수의 램프 유닛을 소정 각도로 상향시키는 엑추에이터, 및 상기 엑추에이터 및 상기 복수의 램프 유닛으로 공급되는 전류값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여 상기 Class-C에서 상기 Class-E로 배광 패턴을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 {Automotive Lamp}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원을 추가하지 않고도 전방 원거리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램프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전조등 및 안개등 등은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며, 방향 지시등, 미등, 제동등, 사이드 마커(Side Marker) 등은 신호 기능를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이 중에서 차량용 전조등은 차량의 주행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여 야간에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는 필수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차량용 전조등은 차량의 주행 상태, 예를 들어 차량의 주행 속도, 노면 상태 및 주위 밝기 등에 따라 최적의 운전 환경을 만들어주기 어렵기 때문에 최근에는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배광 패턴을 전환하여 주는 적응형 전조등 시스템(Adaptive Front Lighting System)이 사용되고 있으며, 적응형 전조등 시스템은 광원에서 발생된 광의 일부를 차단하여 배광 패턴을 전환하는 다수의 차광판을 배치하여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적응적으로 배광 패턴을 전환하도록 하는 기계적인 구조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고속도로나 상당 부분 직선 구간이 유지되는 도로를 주행하는 경우의 배광 패턴은 특별한 상황이 아니어서 다른 배광 패턴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다소 긴 전방 원거리 시야가 필요한데, 이 경우 추가적인 광원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기계적인 구조를 사용하여 배광 패턴을 전환하거나 추가 광원을 사용하여 전방 원거리 시야를 확보하는 경우에는 구조가 복잡해질뿐만 아니라, 소요되는 비용 및 소모 전력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광원이 설치되는 램프 유닛을 상향시킴으로써 광원을 추가하지 않고도 전방 원거리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램프 유닛에 설치되는 광원으로 공급되는 전류값을 조절하여 광원을 추가하지 않고도 전방 원거리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복수의 배광 패턴들(Class-W, Class-V, Class-C, Class-E, High) 간에 배광 패턴 전환이 가능한 차량용 램프에 있어서, 상기 배광 패턴에 따라 점등 또는 소등되는 발광 다이오드가 설치되는 복수의 램프 유닛, 상기 복수의 램프 유닛을 소정 각도로 상향시키는 엑추에이터, 및 상기 엑추에이터의 상향 각도 및 상기 복수의 램프 유닛으로 공급되는 전류값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여 상기 Class-C에서 상기 Class-E로 배광 패턴을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복수의 배광 패턴들(Class-W, Class-V, Class-C, Class-E, High) 간에 배광 패턴 전환이 가능한 차량용 램프에 있어서, 서로 다른 광 조사 패턴을 가지는 발광 다이오드가 설치되는 복수의 램프 유닛, 상기 복수의 램프 유닛을 소정 각도로 상향시키는 엑추에이터, 및 상기 복수의 램프 유닛이 점등된 상태에서 상기 엑추에이터 및 상기 복수의 램프 유닛으로 공급되는 전류값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여 상기 Class-C에서 상기 Class-E로 배광 패턴을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광원으로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기계적인 구조를 사용하지 않고도 배광 패턴을 전환할 수 있는 동시에 광원을 추가하지 않고도 광원이 설치되는 램프 유닛의 상향 각도 및 광원으로 공급되는 전류값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여 전방 원거리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개략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배광 패턴별 램프 유닛이 도시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램프 유닛이 도시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lass-E 구현 방법이 도시된 개략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lass-E 방식이 도시된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향된 램프 유닛이 도시된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램프 유닛의 상향에 따른 노면 패턴이 도시된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 상황을 고려한 램프 유닛의 노면 패턴이 도시된 개략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가 도시된 블록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0)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이 설치되는 램프 유닛(110) 및 배광 패턴에 따라 램프 유닛(110)을 소정 방향으로 상향시키는 엑추에이터(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램프 유닛(110)은 광원, 렌즈, 리플렉터 및 하우징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광원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램프 유닛(110)은 광원의 수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램프 유닛(110)은 광원의 수에 따라 각각 별도로 구성될 수도 있고, 복수의 광원에 대하여 하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램프 유닛(110)이 광원의 수에 따라 복수로 구성되며, 엑추에이터(120)에 의해 복수의 램프 유닛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배광 패턴별 램프 유닛이 도시된 개략도이다. 이때, 도 2 내지 도 4에서는 램프 유닛(110)이 4개로 구성된 경우의 일 예이며, 각각 제 1 내지 제 4램프 유닛(111, 112, 113, 114)이라 칭하기로 한다. 또한, 도 2 내지 도 4에서 점선으로 묶여진 램프 유닛들이 해당하는 배광 패턴에서 점등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도 2 내지 도 4는 배광 패턴에 따라 제 1 내지 제 4램프 유닛(111, 112, 113, 114) 중 점등 또는 소등되는 램프 유닛이 서로 다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도 2 내지 도 4에서 램프 유닛(110)이 4개로 구성된 것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 램프 유닛(1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배광 패턴에 따라 점등되는 램프 유닛은 용도 및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 내지 도 4의 노면 패턴에서 점선은 Class-C의 노면 패턴으로서, 다른 배광 패턴과의 비교를 위해 표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광 패턴으로는 Class-C, Class-V, Class-E, Class-W 및 High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Class-C, Class-V, Class-E, Class-W는 하향등의 배광 패턴이고, High는 상향등의 배광 패턴이다.
도 2는 전술한 배광 패턴들 중 Class-V의 개략도로서, 제 1, 2 및 3 램프 유닛(111, 112, 113)이 점등된 것을 알 수 있다. Class-V는 차량이 시가지와 같이 주변의 조명 밝기가 어느 정도 이상 확보되는 환경에서 주행할 때 적합한 배광 패턴으로서, 특히 좌/우 시야가 Class-C에 비하여 넓어지며, Class-C보다 다소 짧은 거리(예를 들어, 차량 전방 50 내지 60m 정도)의 시야가 확보된다.
도 3은 전술한 배광 패턴들 중 Class-C의 개략도로서, 제 2, 3 및 4 램프 유닛(112, 113, 114)이 점등된 것을 알 수 있다. Class-C는 차량이 시골 도로(country road)를 주행할 때, 또는 특별한 상황이 아니어서 다른 배광 패턴을 적용할 필요가 없을 경우에 적합한 배광 패턴으로서, 일반적인 하향등과 비교할 때 대향 차로의 시야를 확보하면서 광량을 향상시킨 배광 패턴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4는 전술한 배광 패턴들 중 Class-E의 개략도로서, Class-C와 동일하게 제 2, 3 및 4 램프 유닛(112, 113, 114)이 점등된 것을 알 수 있다. Class-E는 차량이 고속도로나 상당 부분 직선 구간이 유지되는 도로에서 주행할 때 적합한 배광 패턴으로서, Class-E는 전방 원거리 시야가 Class-C보다 다소 긴 특성을 가지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배광 패턴별 램프 유닛이 도시된 개략도이다. 이때, 도 5에서 램프 유닛(110)은 전술한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제 1 내지 제 4램프 유닛(111, 112, 113, 114)로 구성되고, 각 램프 유닛은 광의 조사 패턴에 따라 구분되며, 배광 패턴은 제 1 내지 제 4램프 유닛(111, 112, 113, 114)로 공급되는 전류값을 조절하여 전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류값을 통해 배광 패턴을 전환하는 것은 제 1 내지 제 4 램프 유닛(111, 112, 113, 114)이 전류값에 의해 광량이 조절되는 발광 다이오드로 구현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도 5는 제 1 내지 제 4램프 유닛(111, 112, 113, 114)이 모두 점등된 상태에서 제 1 내지 제 4램프 유닛(111, 112, 113, 114)으로 공급되는 전류값을 조절하여 배광 패턴을 전환하는 경우의 일 예이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서는 제 1 내지 제 4램프 유닛(111, 112, 113, 114)이 광의 조사 패턴에 따라 구분된다고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는데, 구체적으로 제 1 및 제 2램프 유닛(111, 112)은 측면 스프레드 조사용 램프 유닛이고, 제 3램프 유닛(113)은 근거리 광폭 조사용 램프 유닛이며, 제 4램프 유닛(114)는 제 3램프 유닛(113)보다 상대적으로 광 조사 거리가 긴 원거리 조사용 램프 유닛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서는 제 4램프 유닛(113)이 Class-C에 해당하는 광 조사 거리를 가지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서 측면 스프레드 조사용 램프 유닛, 근거리 광폭 램프 유닛 및 원거리 조사용 램프 유닛에 의해 광 조사 패턴에 따른 노면 패턴은 각각 도 5의 P1, P2 및 P3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램프 유닛(111, 112)로 공급되는 초기 전류값, 제 3램프 유닛(113)으로 공급되는 초기 전류값, 제 4램프 유닛(114)으로 공급되는 초기 전류값을 각각 제 1, 2 및 3기준 전류값이라 칭하기로 한다.
전술한 도 5의 제 1 내지 제 4램프 유닛(111, 112, 113, 114)를 이용하여 Class-V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제 4램프 유닛(114)으로 제 3기준 전류값 대비 대비 약 20%에 해당하는 전류값만이 공급되도록 하여 제 3기준 전류값으로 제 4램프 유닛(114)에 의해 광이 조사되는 거리보다 가까운 부분까지만 조사되도록 조절하고, 제 3램프 유닛(113)의 제 2기준 전류값을 유지하여 좌우 광폭 부분을 넓게 조사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4램프 유닛(114)의 전류값을 감소시키고, 제 3램프 유닛(113)의 전류값을 유지하는 경우 전술한 도 2의 Class-V와 같이 Class-C보다 근거리를 조사하는 노면 패턴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도 5의 제 1 내지 제 4램프 유닛(111, 112, 113, 114)를 이용하여 Class-C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제 4램프 유닛(114)은 제 3기준 전류값을 유지하고, 제 3램프 유닛(113)의 전류값을 제 2기준 전류값 대비 대략 40%로 조절하여 전술한 도 3과 같이 근거리 좌우 광폭의 너비는 좁아지며 제 4램프 유닛(114)에 의한 원거리 광 조사로 인해 Class-C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제 1 내지 제 4램프 유닛(111, 112, 113, 114)의 점등 또는 소등을 통해서도 배광 패턴을 전환할 수도 있고, 전술한 도 5와 같이 제 1 내지 제 4램프 유닛(111, 112, 113, 114)이 점등된 상태에서 제 1 내지 제 4램프 유닛(111, 112, 113, 114)으로 공급되는 전류값을 조절하여 배광 패턴을 조절할 수도 있다.
이때, 일반적으로 Class-E는 Class-C보다 전방 원거리 시야가 다소 긴 특성을 가지도록 제 1 내지 제 4 램프 유닛(111, 112, 113, 114) 이외에 Class-E를 위한 원거리용 광원을 추가로 설치하여 Class-E를 구현하게 되는데, 원거리용 광원을 추가하는 것은 비용 및 소모 전력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구조가 복잡해지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전술한 도 3 및 4에서 Class-C 및 Class-E에 대해 제 1 내지 제 4램프 유닛(111, 112, 113, 114) 중 점등되는 램프 유닛은 동일하나, 실제적으로 Class-E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제 1 내지 제 4램프 유닛(111, 112, 113, 114) 이외에 Class-E를 위한 추가 광원을 설치하여 소모 비용, 소모 전력이 증가하고 구조가 복잡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Class-C에서 Class-E로 배광 패턴이 전환되는 경우, 원거리용 광원을 추가로 설치하지 않고 램프 유닛(110)을 엑추에이터(120)를 통해 상향시키거나 광원, 즉 램프 유닛(110)으로 공급되는 전류값을 증가시켜 Class-E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Class-E에서도 차량의 주행 속도에 따라 램프 유닛(110)의 상향 각도나 공급되는 전원을 조절하여 전방 시야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lass-E 구현 방법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6의 제 1 내지 제 3실시예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Class-E의 구현을 위하여 램프 유닛(110)의 상향 각도 또는 광원으로 공급되는 전류값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제 1실시예를 살펴보면, Class-C에서는 400mA의 전류가 공급되지만, 차량 주행 속도가 80km인 경우에는 전류를 600mA로 증가시키고, 차량 주행 속도가 90km인 경우에는 전류는 유지한 상태에서 램프 유닛(110)의 상향 각도를 0.5도 증가시키며, 차량의 주행 속도가 100km인 경우에는 전류는 유지한 상태에서 램프 유닛(110)의 상향 각도를 0.5도 추가로 증가시킬 수 있다.
제 2실시예를 살펴보면, Class-C에서 Class-E로 전환될 때 전류의 변화는 주지 않고, 차량 주행 속도가 80km인 경우에는 램프 유닛(110)의 상향 각도를 0.3도 증가시키고, 차량 주행 속도가 90km, 100km로 증가할때마다 상향 각도를 추가로 0.3도 증가시킬 수도 있다. 이때, 제 2실시예에서 기본의 경우 상향 각도를 0도라 하였으나, 이는 차량 주행 속도가 증가되는 경우 상대적으로 0.3도씩 증가되는 보여주기 위한 것이며, 기본의 경우 램프 유닛(110)의 각도가 지면을 기준으로 0도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서, 기본의 경우 램프 유닛(110)의 각도가 지면을 기준으로 10도라면, 10도에서 0.3도가 상향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 3실시예를 살펴보면, Class-C에서의 전류가 400mA인 경우, 차량 주행 속도가 80km, 90km, 100km로 증가할 때마다 각각 전류를 450mA, 500mA, 600mA로 증가시킬 수도 있다.
물론, 전술한 도 6에서는 차량의 주행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향 각도만 증가시키거나, 전류만 증가시키거나, 전류 증가후 전류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향 각도를 증가시키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향 각도 증가 후 상향 각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전류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Class-C에서 Class-E로 배광 패턴이 전환되고, 차량 주행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램프 유닛(110)의 상향 각도 및 전원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Class-E를 구현하기 위하여 원거리용 광원을 추가하지 않고 램프 유닛(110)의 상향 각도 및 전류값 중 적어도 하나의 조절을 통해 Class-E를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이 증가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추가 광원으로 인한 소모 전력도 감소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2 내지 도 4에 따른 배광 패턴 이외에도 Class-W는 차량이 우천시 비에 젖은 도로를 주행할 때 적합한 배광 패턴으로서, 비에 의해 광이 반사되어 운전자에게 눈부심을 유발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량 전방 짧은 거리까지 광이 도달하지 않도록 차단하게 되며, High는 대향 차량이나 전방 차량이 없는 경우 차량의 야간 주행시 원거리 시야를 확보하고 장애물을 검지할 때 적합한 배광 패턴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Class-C에서 Class-E로 배광 패턴을 전환하는 경우, 도 7 내지 도 9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Class-E로 배광 패턴 전환시, 램프 유닛(110)의 상향 및 전류값 증가를 모두 사용하는 것이며, 도 8은 Class-E로 배광 패턴 전환시, 램프 유닛(100)의 상향만 사용하는 것이며, 도 9는 Class-E로 배광 패턴 전환시, 전류값 증가만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때, 전술한 도 7 및 도 8에서, 램프 유닛(110)의 상향이라는 것은 도 10과 같이 Class-C에 비하여 램프 유닛(110)이 Class-E로 배광 패턴이 전환되었을 때 소정 각도만큼 상향된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램프 유닛의 상향 각도에 따른 노면 패턴이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Class-C에서 램프 유닛(110)의 상향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노면 패턴이 변하여 Class-E를 구현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전방 시야가 증가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Class-C에서 Class-E로 배광 패턴을 전환하기 위한 방식들은 전술한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점등식 램프 유닛이나 전술한 도 5와 같은 전류값 조절식 램프 유닛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류값을 조절을 Class-C에서 Class-E로 배광 패턴을 전환하는 경우에 적용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 상태에 따라 광의 조사 패턴을 바꾸고자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와 같이, 차량의 주행하는 도로에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커브가 존재하는 경우 차량이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코너링을 할 때 차량의 좌우 램프의 근거리 광폭 조사용 램프 유닛, 즉 제 3램프 유닛(113)으로 공급되는 전류값을 증가시켜 차량의 주행 방향으로 추가적으로 배광 패턴의 확보가 가능하며 이로 인해 운전자가 코너링시 용이한 시인성 확보가 가능하게 된다.
도 12에서 우측방향으로의 코너링시 배광 패턴은 P4이고, 좌측 방향으로의 코너링시 배광 패턴은 P5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배광 패턴이나 차량의 주행 상태 등에 따라 램프 유닛(110)의 상향 각도나 전원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가 도시된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00)는 엑추에이터(120) 및 광원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조절할 수 있으며, 차량 주행 상태 감지부(210), 전원 공급부(220) 및 구동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주행 상태 감지부(210)는 전술한 차량의 주행 속도, 배광 패턴의 전환, 도로 상황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20)는 램프 유닛(110)의 광원으로 공급되는 전류값을 조절할 수 있으며, 구동부(230)는 엑추에이터(120)를 제어하여 램프 유닛(110)의 상향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판단부(240)는 차량 출하시 설정된 조건이나 운전자에 의해 설정된 조건 등에 따라 전원 공급부(220) 및 구동부(23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조건이라는 것은 Class-C에서 Class-E로 배광 패턴이 전환될 때, 전술한 도 6과 같이 전류값 또는 상향 각도를 조절할지의 여부나 그 조절값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램프 유닛
120: 엑추에이터
200: 제어부
210: 차량 주행 상태 감지부
220: 전원 공급부
230: 구동부
240: 판단부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복수의 배광 패턴들(Class-W, Class-V, Class-C, Class-E, High) 간에 배광 패턴 전환이 가능한 차량용 램프에 있어서,
    서로 다른 광 조사 패턴을 가지는 발광 다이오드가 설치되는 복수의 램프 유닛;
    상기 복수의 램프 유닛을 소정 각도로 상향시키는 엑추에이터; 및
    상기 복수의 램프 유닛이 점등된 상태에서 상기 엑추에이터 및 상기 복수의 램프 유닛으로 공급되는 전류값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여 상기 Class-C에서 상기 Class-E로 배광 패턴을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램프 유닛은,
    측면 스프레드 조사용 램프 유닛;
    근거리 광폭 조사용 램프 유닛; 및
    원거리 조사용 램프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스프레드 조사용 램프 유닛, 상기 근거리 광폭 조사용 램프 유닛 및 상기 원거리 조사용 램프 유닛의 초기 전류값은 각각 제 1기준 전류값, 제 2기준 전류값 및 제 3기준 전류값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기준 전류값을 조절하여 상기 복수의 배광 패턴들 간에 배광 패턴을 전환하는 차량용 램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Class-V를 구현하기 위해, 상기 제 3기준 전류값을 감소시키고 상기 제 2기준 전류값을 유지하는 차량용 램프.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Class-C를 구현하기 위해, 상기 제 3기준 전류값을 유지하고, 상기 제 2기준 전류값을 감소시키는 차량용 램프.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좌측 또는 우측 코너링시, 상기 코너링 방향에 상응하는 상기 근거리 광폭 조사용 램프 유닛의 상기 제 2기준 전류값을 증가시키는 차량용 램프.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주행 상태는,
    상기 차량의 주행 속도 및 도로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주행 상태를 감지하는 차량 주행 상태 감지부;
    상기 복수의 램프 유닛으로 공급되는 전류값을 조절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엑추에이터를 구동시켜 상기 복수의 램프 유닛에 대한 상향 각도를 조절하는 구동부; 및
    상기 전원 공급부 및 상기 구동부의 제어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KR1020110011063A 2010-03-16 2011-02-08 차량용 램프 KR101232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1001247A DE102011001247A1 (de) 2010-03-16 2011-03-14 Fahrzeugscheinwerfer
US13/048,151 US8664859B2 (en) 2010-03-16 2011-03-15 Automotive lam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23358 2010-03-16
KR1020100023358 2010-03-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4423A KR20110104423A (ko) 2011-09-22
KR101232313B1 true KR101232313B1 (ko) 2013-02-13

Family

ID=44955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1063A KR101232313B1 (ko) 2010-03-16 2011-02-08 차량용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23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4752B1 (ko) * 2012-11-08 2019-01-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적응형 전조등 빔패턴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012842B1 (ko) * 2013-03-12 2019-10-21 한국과학기술원 매트릭스형 스마트 자동차 전조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7337A (ko) * 1995-12-14 1997-07-22 전성원 주행 속도에 따른 전조등 조사 각동 변환 장치
KR19980072626A (ko) * 1997-03-07 1998-11-05 김영귀 차량속도에 따른 전조등의 조사각도 자동 변경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2254980A (ja) 2000-12-27 2002-09-11 Equos Research Co Ltd 配光制御装置
JP2006273092A (ja) 2005-03-29 2006-10-12 Koito Mfg Co Ltd 車両用前照灯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7337A (ko) * 1995-12-14 1997-07-22 전성원 주행 속도에 따른 전조등 조사 각동 변환 장치
KR19980072626A (ko) * 1997-03-07 1998-11-05 김영귀 차량속도에 따른 전조등의 조사각도 자동 변경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2254980A (ja) 2000-12-27 2002-09-11 Equos Research Co Ltd 配光制御装置
JP2006273092A (ja) 2005-03-29 2006-10-12 Koito Mfg Co Ltd 車両用前照灯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4423A (ko) 2011-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6151B1 (ko) 차량용 헤드램프 및 그 제어 방법
US9878655B2 (en) Vehicle lamp
US8425092B2 (en) Headlamp control device and vehicle headlamp having headlamp control device
CN108082032B (zh) 前车灯控制装置
KR101344423B1 (ko) 차량용 헤드램프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170066367A1 (en) Headlamp device for a motor vehicle
KR101235315B1 (ko) 차량용 램프
EP3187369A1 (en) Automotive lamp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Z302547B6 (cs) Systém adaptivního predního osvetlení motorových vozidel
CN102991409A (zh) 用于操作机动车探照灯的方法
US10336244B2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producing an asymmetrical, glare-free high-beam
US8664859B2 (en) Automotive lamp
KR101232313B1 (ko) 차량용 램프
CN102242897A (zh) 一种汽车前照灯智能照明***及其控制方法
CN104276076A (zh) 一种智能车前灯***
CN105730319A (zh) 远光灯实时调整***
US20160339835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headlamp system
JP6700904B2 (ja) 車両の配光制御装置
CN103507694A (zh) 车辆照明装置
KR101934752B1 (ko) 적응형 전조등 빔패턴 제어 장치 및 방법
JP6866018B2 (ja) 車両の走行用前照灯
KR101979572B1 (ko) 차량용 램프
KR101095021B1 (ko) 차량용 전조등 시스템
KR101603599B1 (ko) 차량용 램프 및 그 제어 방법
KR101637342B1 (ko) 차량용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