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0587B1 - 골절 수술용 보강대 - Google Patents

골절 수술용 보강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0587B1
KR101230587B1 KR1020110028746A KR20110028746A KR101230587B1 KR 101230587 B1 KR101230587 B1 KR 101230587B1 KR 1020110028746 A KR1020110028746 A KR 1020110028746A KR 20110028746 A KR20110028746 A KR 20110028746A KR 101230587 B1 KR101230587 B1 KR 1012305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ement
fracture surgery
fracture
surger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8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0712A (ko
Inventor
김지형
이봉구
문준희
Original Assignee
김지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형 filed Critical 김지형
Priority to KR1020110028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0587B1/ko
Publication of KR20120110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07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0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0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0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절환자의 수술시 창상의 크기를 줄일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수술 후 환자의 불편함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골절 수술용 보강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골절수술시 뼈에 고정장착되도록 몸체에 나사 체결을 위한 다수의 나사구멍이 관통 형성되는 골절 수술용 보강대에 있어서, 몸체는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중간부에서 양쪽의 끝을 향할수록 폭이 점차 감소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골절 수술용 보강대{PLATE FOR INTERNAL BONE FIXATION}
본 발명은 골절 수술용 보강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골절환자의 골절 수술시 창상의 크기를 줄일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수술 후 환자의 불편함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골절 수술용 보강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골절 수술은 골절된 뼈 부위의 접합이 먼저 이루어지도록 한 후에 골절 수술용 보강대로써 골절된 뼈 부분이 상호 연결이 되게 하는 방식을 통해서 이루어지게 된다. 일반적인 종래의 골절 수술용 보강대는 스테인리스 또는 티타늄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도 1 은 종래 골절 수술용 보강대의 한 예를 도시한 도면(대한민국특허청 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9-0018342호 참조)이다. 도 1 에 도시된 전통적인 골절 수술용 보강대(10)의 몸체(12)는 일정 폭과 두께를 갖으며 길이방향으로 긴 판형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뼈에 밀착될 수 있도록 몸체(12)의 횡단면 형태는 곡선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몸체(12)의 중간부에는 나사(30)의 체결을 위한 나사구멍(14)이 관통 형성이 되는데, 이때 나사구멍(14)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렬로 배열이 된다.
도 2 는 종래 골절 수술용 보강대의 다른 한 예를 도시한 도면(대한민국특허청 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9-0018342호 참조)이다. 도 2 에 도시된 종래의 골절 수술용 보강대(20)는 도 1 에 도시된 전통적인 골절 수술용 보강대(10)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몸체(22)의 양쪽 끝 일정 구간은 그 종단면 형태가 안쪽에서 바깥쪽을 향할수록 두께가 감소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에도 몸체(22)의 중간부에는 나사(30)의 체결을 위한 나사구멍(24)이 일렬로 관통 형성이 된다.
그런데,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골절 수술용 보강대는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정면에서 바라볼 경우의 형태가 직사각형의 형태를 이루도록 중간 부분과 양쪽 끝 부분의 폭이 일정하게 이루어짐에 따라서 골절치료를 위한 수술시 창상의 크기가 커질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골절 수술 과정에서 창상(40)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름모꼴로 벌어지게 되는데 비하여 골절 수술용 보강대의 몸체는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서 창상의 크기가 필요 이상으로 커지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특허청 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9-0018342호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10-2006-0096416호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10-2007-0019996호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창안이 된 것으로서, 골절환자의 수술시 창상의 크기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골절 수술용 보강대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술 후 피부에 접촉되는 부분이 곡선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환자가 느끼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골절 수술용 보강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의 달성을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골절 수술시 뼈에 고정장착되도록 몸체에 나사 체결을 위한 다수의 나사구멍이 관통 형성되는 골절 수술용 보강대에 있어서, 몸체는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중간부에서 양쪽의 끝을 향할수록 폭이 점차 감소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골절 수술용 보강대에서 몸체의 횡단면 형태는 곡선형으로 이루어지되 양쪽의 횡단면 바깥구간이 중간부에서 양쪽의 끝을 향할수록 두께가 감소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골절 수술용 보강대에서 횡단면 바깥구간은 뼈 조직에 접하게 되는 내면의 곡률 반지름에 비하여 피부 조직에 접하는 외면의 곡률 반지름이 상대적으로 작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골절 수술용 보강대에서 몸체는 종단면을 기준으로 양쪽 끝의 종단면 바깥구간이 중간부에서 양쪽의 끝을 향할수록 두께가 감소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골절 수술용 보강대에서 나사구멍들의 중심은 몸체의 외곽으로부터 안쪽으로 일정 간격 떨어진 점에 위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골절 수술용 보강대에서 몸체의 좌측과 우측에 위치된 나사구멍들은 몸체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호 비대칭하게 위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골절 수술용 보강대에 의하면 골절수술 과정에서 생성될 수밖에 없는 창상의 크기가 최소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수술 후에는 환자가 느끼는 불편이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골절 수술용 보강대에 의하면 나사구멍이 지그재그 형으로 배열이 됨으로써 골절된 뼈에 대하여 더욱 안정적인 부착이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전통적인 골절 수술용 보강대의 사시도.
도 2 는 종래의 개선된 골절 수술용 보강대의 사시도.
도 3 은 종래 골절 수술용 보강대의 사용 상태를 보인 도면.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골절 수술용 보강대의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골절 수술용 보강대의 정면도.
도 6 은 도 4 에 표시된 A-A선 단면도.
도 7 은 도 4 에 표시된 B-B선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골절 수술용 보강대의 사용 상태를 보인 도면.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뒤에 설명이 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를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뒤에 설명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구조, 역할 및 기능 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오로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하여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골절 수술용 보강대의 구성 및 사용 등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면 중에 표시되는 도면부호 100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골절 수술용 보강대를 지시하는 것으로,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골절 수술용 보강대(100)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몸체(110)의 폭이 중간부에서 양쪽의 끝을 향할수록 점차 감소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몸체(110)의 중간부 폭(W)이 양쪽의 끝단부 폭(w)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이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골절 수술용 보강대(100)에서 몸체(110)의 형태가 길이방향의 중간부에서 양쪽의 끝을 향할수록 폭이 점차 감소하여 전체적으로는 대략 마름모꼴의 형태를 이루도록 하는 이유는 골절환자의 수술시 환부에 생성이 되는 창상이 마름모꼴의 형태로 벌어지기 때문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골절 수술용 보강대(100)의 몸체(110) 형태가 골절수술시 창상이 벌어지는 형태에 가깝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골절수술 과정에서 생성되는 창상의 크기는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골절 수술용 보강대(100)에서 몸체(110)는 대략 마름모꼴의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정역학적인 측면에서는 골절부위에서 멀어질수록 상대적으로 약한 힘으로 충분한 고정력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골절 수술용 보강대에서처럼 필요 이상으로 굵거나 넓은 직사각형의 형태가 아닌 마름모꼴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골절 수술용 보강대(100)에서 몸체(110)는 마름모꼴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골절환자의 수술시에 너무 강한 고정력을 제공하지 않아도 된다. 이는 종래의 골절 수술용 보강대가 가지는 치명적인 단점인 응력 가리움 효과(stress shielding effect)를 줄여줌으로써, 수술부위가 완치가 되어 골절 수술용 보강대를 제거한 후에 발생할 수 있는 재골절율을 낮출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골절 수술용 보강대(100)에서 몸체(110)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 체결을 위한 다수의 나사구멍(120)이 관통 형성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골절 수술용 보강대(100)에서 나사구멍(120)들의 중심은 몸체의 외곽으로부터 안쪽으로 일정 간격 떨어진 점에 위치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골절 수술용 보강대(100)에서 몸체(110)의 좌측과 우측에 위치된 나사구멍(120)들은 도 4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비대칭된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골절 수술용 보강대(100)에서 몸체(110)에 형성되는 나사구멍(120)의 배열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재그 형태를 이루게 된다.
부연하면, 몸체(110)의 테두리로부터 일정 간격이 떨어진 위치에 나사구멍(120)의 중심이 위치되지만 몸체(110)의 좌우 양측에 위치되는 나사구멍(120)의 위치는 상호 대칭이 되지 않음으로써 나사구멍(120)의 중심점은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된다. 이와 같이 나사구멍(120)의 중심이 몸체(110)의 중앙을 지나는 직선상에 배열이 되지 않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비틀림(torsion)과 굽힘(bending) 등과 관련된 변형방지 측면에서 유리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몸체(110)의 양쪽 끝 부분의 폭이 좁아짐에 따른 강도약화의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나사구멍(120)의 배열이 지그재그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몸체(110)의 중간을 지나는 중심선으로부터 소정 간격 떨어진 위치에 나사구멍(120)의 중심이 위치되는 한편 나사구멍(120)의 지름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아질 수 있게 된다. 즉, 종래기술에 따른 골절 수술용 보강대에 비해서 나사구멍의 지름이 상대적으로 작아지더라도 동일한 수준의 체결 성능이 확보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골절 수술용 보강대(100)에서 몸체(110)의 횡단면 형태는 도 6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곡선형으로 이루어진다. 즉, 뼈 조직에 접하는 내면(110a)은 오목한 형태를 이루게 되는 한편 피부조직에 접하는 외면(110b)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한 형태를 이루게 된다.
특히, 몸체의 횡단면에서 몸체(110)의 양쪽 끝 부분을 이루는 횡단면 바깥구간은 몸체의 중간부에서 양쪽의 끝을 향할수록 두께가 감소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횡단면 바깥구간은 뼈 조직에 접하게 되는 내면(110a)의 곡률 반지름에 비하여 피부 조직에 접하는 외면(110b)의 곡률 반지름이 상대적으로 작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골절 수술용 보강대(100)에서 몸체(110)의 종단면 형태는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 끝에 일정 구간에 걸쳐 마련되는 종단면 바깥구간이 몸체의 중간부에서 양쪽의 바깥쪽을 향할수록 점차 두께가 감소하는 형태로 형성이 된다. 이때, 종단면 바깥구간의 내면(110a)은 몸체의 중간부와 동일한 선상의 면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골절 수술용 보강대(100)에서 몸체(110)의 형태가 전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짐에 따라서 골절된 뼈 조직에 대한 부착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몸체(110)가 피부 조직과 접촉됨에 따른 수술 후 환자가 느끼는 불쾌감을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골절 수술용 보강대(100)는 골절수술 과정에서 환부에 발생이 되는 창상의 크기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몸체(110)가 대략 마름모꼴의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종래의 골절 수술용 보강대에 비해 재료의 사용이 상대적으로 줄어든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골절 수술용 보강대(100)는 수술 후 골절된 뼈 조직이 완전하게 접합이 되면 철심제거수술을 통해서 골절 수술용 보강대(100)는 제거가 되는데, 이와 같은 철심제거수술 후의 골다공성에 의한 2차 질병의 위험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골절 수술용 보강대(100)의 몸체(110)는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부에 형성되는 창상의 형태에 가깝게 이루어짐으로써, 결과적으로는 수술과정에서 불가피하게 생성되는 창상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창상의 크기가 최소화됨에 따라서 수술 후 피부에 남게 되는 흉터의 크기도 줄게 된다.
이상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개시된 실시 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골절 수술용 보강대 110 : 몸체
110a : 내면 110b : 외면
120 : 나사구멍 200 : 창상

Claims (6)

  1. 골절수술시 뼈에 고정장착되도록 몸체에 나사 체결을 위한 다수의 나사구멍이 형성되는 골절 수술용 보강대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중간부에서 양쪽의 끝을 향할수록 폭이 점차 감소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의 횡단면 형태는 곡선형으로 이루어지되 양쪽의 횡단면 바깥구간이 중간부에서 양쪽의 끝을 향할수록 두께가 감소하는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 수술용 보강대.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횡단면 바깥구간은 뼈 조직에 접하게 되는 내면의 곡률 반지름에 비하여 피부 조직에 접하는 외면의 곡률 반지름이 상대적으로 작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 수술용 보강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종단면을 기준으로 양쪽 끝의 종단면 바깥구간이 중간부에서 양쪽의 끝을 향할수록 두께가 감소하는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 수술용 보강대.
  5. 제 1 항, 제 3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구멍들의 중심은 몸체의 외곽으로부터 안쪽으로 일정 간격 떨어진 점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 수술용 보강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좌측과 우측에 위치된 나사구멍들은 몸체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호 비대칭하게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 수술용 보강대.
KR1020110028746A 2011-03-30 2011-03-30 골절 수술용 보강대 KR101230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8746A KR101230587B1 (ko) 2011-03-30 2011-03-30 골절 수술용 보강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8746A KR101230587B1 (ko) 2011-03-30 2011-03-30 골절 수술용 보강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0712A KR20120110712A (ko) 2012-10-10
KR101230587B1 true KR101230587B1 (ko) 2013-02-06

Family

ID=47281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8746A KR101230587B1 (ko) 2011-03-30 2011-03-30 골절 수술용 보강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058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5886A (en) * 1988-04-01 1990-09-11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Dual-taper, asymmetric hole placement in reconstruction and fracture plates
US20040260291A1 (en) 2003-06-20 2004-12-23 Jensen David G. Bone plates with intraoperatively tapped apertures
KR20080074908A (ko) * 2005-10-25 2008-08-13 앤썸 오르소패딕스, 엘엘씨 뼈 고정 어셈블리 및 거기에서 사용되는 부싱 및 스크루
US20100131013A1 (en) 2008-11-24 2010-05-27 Ralph James D Clavicle plate and screw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5886A (en) * 1988-04-01 1990-09-11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Dual-taper, asymmetric hole placement in reconstruction and fracture plates
US20040260291A1 (en) 2003-06-20 2004-12-23 Jensen David G. Bone plates with intraoperatively tapped apertures
KR20080074908A (ko) * 2005-10-25 2008-08-13 앤썸 오르소패딕스, 엘엘씨 뼈 고정 어셈블리 및 거기에서 사용되는 부싱 및 스크루
US20100131013A1 (en) 2008-11-24 2010-05-27 Ralph James D Clavicle plate and screw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0712A (ko) 2012-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203353B2 (en) Orthopedic fusion plate and compression screw
CN102724927B (zh) 颚骨固定板
CA2448522C (en) Bone plate for the fixation of fractures of the proximal humerus
KR20120005489U (ko) 골절 치료용 플레이트
JP7208791B2 (ja) 骨プレートおよび骨プレートシステム
AU2004316050C1 (en) Intramedullary nail
EP3079615B1 (en) Bone plate
AU2011240221B2 (en) Sanitary or incontinence pad
US20160353824A1 (en) Disposable Visor
KR101230587B1 (ko) 골절 수술용 보강대
DE102011051083A1 (de) Orthopädische Vorrichtung, insbesondere zur Korrektur von Zehenfehlstellungen
EP2087863B1 (de) Finger-Orthese
BR112017026829B1 (pt) Fralda descartável tipo calça
CN209422084U (zh) 镁合金胫骨骨折接骨板
EP3106136B1 (en) Nasal expander
CN209751195U (zh) 微创型跟骨板万向锁定接骨板
RU155248U1 (ru) Хирургический протез для лечения паховых грыж
CN205054401U (zh) 髋臼缘解剖锁定钢板
JP2007105227A (ja) 骨プレート
CN204181702U (zh) 用于骨接合的骨板
CN109171935A (zh) 镁合金胫骨骨折接骨板
CN217245034U (zh) 一种基于数字模拟复位后的3d打印小夹板
JP6397812B2 (ja) 骨折治療具
CN211460475U (zh) 一种肱骨大结节骨折塑形固定钢板
TWM551907U (zh) 一種用於脛骨骨折之髓內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