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9969B1 - Capacitive pen contact unit and capacitive stylus pen having the unit - Google Patents

Capacitive pen contact unit and capacitive stylus pen having the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9969B1
KR101229969B1 KR1020100080634A KR20100080634A KR101229969B1 KR 101229969 B1 KR101229969 B1 KR 101229969B1 KR 1020100080634 A KR1020100080634 A KR 1020100080634A KR 20100080634 A KR20100080634 A KR 20100080634A KR 101229969 B1 KR101229969 B1 KR 101229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
tip
capacitive
contact
touch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06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93562A (en
Inventor
차승면
박대진
박종운
박재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에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에프.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에프.텍
Publication of KR20110093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35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9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99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로 입력 데이터를 용이하게 인가할 수 있는 정전용량용 펜 접촉유닛 및 이를 갖는 정전용량용 스타일러스 펜이 개시된다. 정전용량용 스타일러스 펜은 펜 몸체부 및 펜 접촉부를 포함한다. 펜 몸체부는 내부에 공간을 갖고 일측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갖는다. 펜 접촉부는 펜 몸체부에 일부가 삽입되어 결합되고,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과 접촉하여 입력 데이터를 인가할 수 있다. 펜 접촉부는 터치패널과 접촉할 때 접촉면적이 증가될 수 있도록 연성을 갖고, 전기를 통하는 도전성을 갖는 스타일러스 팁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스타일러스 팁이 연성을 가짐으로써,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과의 접촉시 접촉면적이 증가하여 입력 데이터를 보다 용이하게 인가할 수 있다.Disclosed are a capacitive pen contact unit capable of easily applying input data to a capacitive touch panel, and a capacitive stylus pen having the same. The capacitive stylus pen includes a pen body portion and a pen contact portion. The pen body has a space therein and has a shape extending in one side. The pen contact part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pen body part and contacts the capacitive touch panel to apply input data. The pen contact includes a stylus tip that is ductile and electrically conductive so as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when in contact with the touch panel. As such, since the stylus tip is ductile, the contact area increases upon contact with the capacitive touch panel, thereby making it easier to apply input data.

Description

정전용량용 펜 접촉유닛 및 이를 갖는 정전용량용 스타일러스 펜{CAPACITIVE PEN CONTACT UNIT AND CAPACITIVE STYLUS PEN HAVING THE UNIT}CAPACITIVE PEN CONTACT UNIT AND CAPACITIVE STYLUS PEN HAVING THE UNIT}

본 발명은 정전용량용 펜 접촉유닛 및 이를 갖는 정전용량용 스타일러스 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전용량용 터치패널을 통해 입력 데이터를 인가할 수 있는 펜 접촉유닛 및 이를 갖는 스타일러스 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pacitive pen contact unit and a capacitive stylus pen hav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en contact unit capable of applying input data through a capacitive touch panel and a stylus pen having the same. .

일반적으로, 터치(touch)를 통해 입력 데이터를 인가받을 수 있는 터치패널은 터치된 위치를 인식하는 방식에 따라 저항 방식과 정전용량 방식 등이 있다. 이 중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은 터치된 위치의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입력 데이터를 인가받을 수 있는 표시장치로, 입력도구로써 사람의 손이나 스타일러스 펜 등이 사용될 수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Generally, a touch panel capable of receiving input data through a touch includes a resistance method and a capacitance method according to a method of recognizing a touched position. Among them, the capacitance type touch panel is a display device which can receive input data by detecting the change of the capacitance of the touched position, and a human hand or a stylus pen can be used as an input tool.

상기 스타일러스 펜은 펜의 몸체에 해당하는 펜 몸체부, 상기 펜 몸체부의 일단과 연결된 펜 머리부, 및 상기 펜 몸체부의 타단과 연결된 펜 접촉부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펜 접촉부는 외부의 터치패널과 접촉하여 상기 터치패널로 입력 데이터를 인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펜 접촉부는 일반적으로 뾰족한 형상을 갖고 있어 상기 터치패널과의 접촉면적이 다소 협소하므로,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의 입력도구로서 사용되는 데에 다소 문제점을 갖고 있다.The stylus pen is composed of a pen body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body of the pen, a pen head portion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en body portion, and a pen contact portion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pen body portion. In this case, the pen contact portion of the stylus pen may be in contact with an external touch panel to apply input data to the touch panel. However, since the pen contact portion of the stylus pen generally has a pointed shape and the contact area with the touch panel is somewhat narrow, it is somewhat problematic in being used as an input tool of a capacitive touch panel.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로 입력 데이터를 용이하게 인가할 수 있는 정전용량용 펜 접촉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pacitive pen contact unit that can easily apply input data to a capacitive touch panel.

또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상기한 펜 접촉유닛을 구비하는 정전용량용 스타일러스 펜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pacitive stylus pen having the pen contact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전용량용 펜 접촉유닛은 스타일러스 펜의 일부로서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과 접촉하여 입력 데이터를 인가할 수 있는 장치로서, 상기 터치패널과 접촉할 때 접촉면적이 증가될 수 있도록 연성을 갖고 전기를 통하는 도전성을 갖는 스타일러스 팁(stylus tip)을 포함한다.The capacitive pen contac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capable of applying input data by contacting a capacitive touch panel as a part of a stylus pen. A stylus tip that is ductile and electrically conductive.

상기 스타일러스 팁은 상기 터치패널과 접촉할 때 접촉면적이 증가되는 팁 머리부, 및 상기 팁 머리부과 일체형으로 연결되고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몸체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몸체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팁 머리부의 내부에는 상기 터치패널과의 접촉시 상기 팁 머리부의 형상이 변경될 수 있는 여유 공간을 제공하는 펴짐 내부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 결합부는 내부에 삽입공간이 형성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펴짐 내부공간과 상기 삽입공간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The stylus tip may include a tip head having an increased contact area when contacting the touch panel, and a body coupling part integrally connected to the tip head and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body of the stylus pen. At this time, the inside of the tip head portion may be formed inside the unfolding to provide a free space that can change the shape of the tip head portion in contact with the touch panel. The body coupling part may have a shape in which an insertion space is formed therein, and the spreading inner space and the insertion space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정전용량용 펜 접촉유닛은 상기 삽입공간 내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 결합부와 결합되는 팁 인서트(tip inser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팁 인서트는 상기 스타일러스 팁보다 딱딱한 성질을 갖는 도전성의 금속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팁 인서트는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 결합부와 결합되는 인서트 삽입부, 및 상기 인서트 삽입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팁 머리부와 반대측인 상기 몸체 결합부의 단부와 접하는 인서트 머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pacitive pen contact unit may further include a tip insert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and coupled to the body coupling portion. The tip insert may be made of a conductive metal material having harder properties than the stylus tip. The tip insert includes an insert inserting portion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and coupled to the body coupling portion, and an insert head portion integrally formed with the insert insertion portion and in contact with an end portion of the body coupling portion opposite to the tip head portion. can do.

상기 터치패널과 접촉하는 상기 팁 머리부의 외부에는 상기 터치패널과 접촉시 상기 팁 머리부의 형상이 변경될 수 있는 여유 공간을 제공하는 펴짐 외부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팁 머리부는 상기 펴짐 외부공간이 형성되도록 오목하게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팁 머리부는 상기 몸체 결합부와 연결된 팁머리 몸체부, 및 상기 팁머리 몸체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이격되어 형성되어, 상기 펴짐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분할 펴짐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Outside the tip head in contact with the touch panel may be formed in the outer space for providing a free space that can change the shape of the tip head when in contact with the touch panel. The tip head may have a concave recessed shape to form the unfolded outer space. The tip head por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divided spread portions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tip head body portion connected to the body coupling portion, and spaced apart along the edges of the tip head body portion to form the unfolded inner space.

한편, 상기 터치패널과 접촉되는 상기 팁 머리부의 외표면은 접촉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라운드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uter surface of the tip head in contact with the touch panel may have a rounded shape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전용량용 스타일러스 펜은 내부에 공간을 갖고 일측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갖는 펜 몸체부, 및 상기 펜 몸체부에 일부가 삽입되어 결합되고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과 접촉하여 입력 데이터를 인가할 수 있는 펜 접촉부를 포함한다. 상기 펜 접촉부는 상기 터치패널과 접촉할 때 접촉면적이 증가될 수 있도록 연성을 갖고, 전기를 통하는 도전성을 갖는 스타일러스 팁을 포함한다.A capacitive stylus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pace therein and a pen body portion having a shape extending to one side, and a part of the pen body portion is coupled to the capacitive touch panel and And a pen contact that can be in contact to apply input data. The pen contact portion includes a stylus tip that is ductile and electrically conductive so that the contact area can be increased when contacting the touch panel.

상기 스타일러스 팁은 상기 터치패널과 접촉할 때 접촉면적이 증가되는 팁 머리부, 및 상기 팁 머리부과 일체형으로 연결되고 상기 펜 몸체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몸체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팁 머리부와 상기 몸체 결합부 사이의 경계부에는 상기 펜 몸체부와의 결합을 위한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The stylus tip may include a tip head having an increased contact area when contacting the touch panel, and a body coupling part integrally connected to the tip head and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pen body. A step for coupling with the pen body may be form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tip head and the body coupling.

이와 같은 정전용량용 펜 접촉유닛 및 이를 갖는 정전용량용 스타일러스 펜에 따르면,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과 접촉하여 입력데이터를 인가할 수 있는 스타일러스 팁이 도전성과 함께 연성을 가짐으로써, 상기 터치패널과의 접촉시 접촉면적이 증가하여 상기 입력 데이터를 보다 용이하게 인가할 수 있다.According to such a capacitive pen contact unit and a capacitive stylus pen having the same, a stylus tip capable of contacting a capacitive touch panel to apply input data has a ductility with conductivity, thereby providing The contact area is increased when contacting, so that the input data can be more easily appli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용 스타일러스 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펜 접촉부를 확대해서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펜 접촉부가 터치패널에 접촉하여 변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용 스타일러스 펜의 일부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용 스타일러스 펜의 일부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펜 접촉부가 터치패널에 접촉하여 변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용 스타일러스 펜의 일부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용 스타일러스 펜의 일부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용 스타일러스 펜의 일부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용 스타일러스 펜의 일부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용 스타일러스 펜의 일부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pacitive stylus pe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pen contact of FIG. 1.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pen contact part of FIG. 2 is deformed in contact with the touch panel.
4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rtion of a capacitive stylus pe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of a capacitive stylus pen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pen contact part of FIG. 5 is deformed in contact with the touch panel.
7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rtion of a capacitive stylus pen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of a capacitive stylus pen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of a capacitive stylus pen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rtion of a capacitive stylus pen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rtion of a capacitive stylus pen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개의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ing" or "having ",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실시예 1>&Lt; Example 1 >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용 스타일러스 펜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펜 접촉부를 확대해서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펜 접촉부가 터치패널에 접촉하여 변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apacitive stylus pe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pen contact portion of FIG. 1, and FIG. 3 is a pen contact portion of FIG. 2. 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state deformed by contacting a touchscreen.

도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정전용량용 스타일러스 펜은 외부의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10)에 접촉하여 입력 데이터를 인가할 수 있는 입력도구로, 펜 몸체부(P1), 펜 머리부(P2) 및 펜 접촉부(P3)를 포함한다.1 to 3, the capacitive stylus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n input tool that can apply input data by contacting an external capacitive touch panel 10, and the pen body portion P1. ), Pen head P2, and pen contact P3.

상기 펜 몸체부(P1)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일 방향을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갖는다. 예를 들어, 상기 펜 몸체부(P1)는 상기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원통형상을 가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 2단 또는 3단 분리형 원통몸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펜 머리부(P2)는 상기 펜 몸체부(P1)의 일단과 연결되고, 예를 들어 외부의 장치와 쉽게 결합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pen body portion P1 has a space formed therein and has a shape extending in one direction. For example, the pen body P1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extending in the one direction, and preferably have a two-stage or three-stage detachable cylindrical body. The pen head P2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en body P1 and may have various shapes that can be easily coupled with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상기 펜 접촉부(P3)는 상기 펜 몸체부(P1)의 일단과 반대측인 타단과 연결되고, 상기 터치패널(10)에 접촉하여 상기 입력 데이터를 인가할 수 있는 유닛이다. 상기 펜 접촉부(P3)는 상기 터치패널(10)과 접촉하는 스타일러스 팁(stylus tip, 100) 및 상기 스타일러스 팁(200)에 삽입되는 팁 인서트(tip insert, 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팁 인서트(200)는 경우에 따라 생략도 가능하다.The pen contact part P3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pposite to one end of the pen body part P1 and is a unit capable of contacting the touch panel 10 to apply the input data. The pen contact portion P3 may include a stylus tip 100 contacting the touch panel 10 and a tip insert 200 inserted into the stylus tip 200. In this case, the tip insert 200 may be omitted in some cases.

상기 스타일러스 팁(100)은 우선, 상기 터치패널(10)과 접촉시 터치되는 상기 터치패널(10)의 표면의 정전용량을 변경시킬 수 있도록 도전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스타일러스 팁(100)은 상기 터치패널(10)과 접촉시 상기 터치패널(10)과의 접촉면적이 증가될 수 있도록 연성을 갖는다.First, the stylus tip 100 is conductive to change the capacitance of the surface of the touch panel 10 that is touched when contacted with the touch panel 10. In addition, the stylus tip 100 has a ductility so that the contact area with the touch panel 10 may be increased when the stylus tip 100 contacts the touch panel 10.

상기 스타일러스 팁(100)은 상기 터치패널(10)과 접촉할 때 연성에 의해 상기 터치패널(10)과의 접촉면적이 증가되는 팁 머리부(110), 및 상기 팁 머리부(110)와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몸체 결합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ylus tip 100 is integral with the tip head 110 and the tip head 110 which increase the contact area with the touch panel 10 due to ductility when contacting the touch panel 10. It may include a body coupling portion 120 connected to.

우선, 상기 몸체 결합부(120)는 상기 펜 몸체부(P1)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펜 몸체부(P1)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몸체 결합부(120)는 내부에 상기 팁 인서트(200)를 수용하기 위한 삽입공간(S1)이 형성된 형상을 갖고, 예를 들어 상기 삽입공간(S1)이 형성된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팁 인서트(200)가 생략될 경우, 상기 삽입공간(S1)도 생략될 수 있다.First, the body coupling portion 120 may be inserted into the pen body portion P1 to be coupled to the pen body portion P1. The body coupling part 120 may have a shape in which an insertion space S1 for accommodating the tip insert 200 is formed therein, for example, a cylindrical shape in which the insertion space S1 is formed. In this case, when the tip insert 200 is omitted, the insertion space S1 may also be omitted.

상기 팁 머리부(110)와 상기 몸체 결합부(120) 사이의 경계부에는 상기 펜 몸체부(P1)와의 결합을 위한 단차(13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펜 몸체부(P1)는 상기 단차(130)에 의해 걸릴 때까지 상기 몸체 결합부(120)를 수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차(130)의 높이는 상기 펜 몸체부(P1)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A step 130 for coupling with the pen body portion P1 may be formed at a boundary between the tip head 110 and the body coupling portion 120. That is, the pen body portion P1 may be coupled to receive the body coupling portion 120 until caught by the step 130. At this time, the height of the step 130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thickness of the pen body portion (P1).

상기 팁 머리부(110)의 내부에는 상기 터치패널(10)과 접촉시 상기 팁 머리부(110)의 형상이 쉽게 변경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펴짐 내부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펴짐 내부공간(S2)은 상기 팁 머리부(110)가 상기 터치패널(10)과 접촉시 상기 팁 머리부(110)가 눌려 펼쳐질 수 있도록 여유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삽입공간(S1)과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패널(10)과 접촉되는 상기 팁 머리부(110)의 외표면은 상기 터치패널(10)과의 접촉면적을 보다 증가시키기 위해 라운드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inside of the tip head 110 may be formed with a spreading inner space S2 to help the shape of the tip head 110 to be easily changed when contacting the touch panel 10. The unfolding inner space S2 is to provide a free space so that the tip head 110 is pressed and unfolded when the tip head 110 is in contact with the touch panel 10, the insertion space S1. And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the outer surface of the tip head 110 in contact with the touch panel 10 may have a rounded shape to further increase the contact area with the touch panel 10.

이어서, 상기 팁 인서트(200)는 상기 삽입공간(S1) 내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 결합부(120)와 결합된다. 상기 팁 인서트(200)는 연성을 갖는 상기 스타일러스 팁(100)보다 딱딱한 성질을 갖는 도전성의 금속물질로 이루어진다. 그 결과, 상기 팁 인서트(200)는 상기 삽입공간(S1)을 채워 상기 몸체 결합부(120)를 보다 강하게 지지해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전기 전도성 또한 보다 향상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Subsequently, the tip insert 20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S1 to be coupled to the body coupling part 120. The tip insert 200 is made of a conductive metal material having harder properties than the stylus tip 100 having ductility. As a result, the tip insert 200 may fill the insertion space S1 to more strongly support the body coupling part 120, and may also serve to improve electrical conductivity.

상기 팁 인서트(200)는 상기 삽입공간(S1)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 결합부(120)와 결합되는 인서트 삽입부(210), 및 상기 인서트 삽입부(210)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인서트 머리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서트 머리부(220)는 상기 팁 머리부(110)와 반대측인 상기 몸체 결합부(120)의 단부와 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인서트 삽입부(210)가 상기 삽입공간(S1) 내로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tip insert 20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S1) is inserted into the insert portion 210 coupled to the body coupling portion 120, and the insert head portion 220 formed integrally with the insert insertion portion 210 ) May be included. In this case, the insert head 220 is disposed to contact the end of the body coupling portion 120 opposite to the tip head 110, the insert insertion portion 210 into the insertion space (S1) Over-insertion can be prevented.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타일러스 팁(100)이 도전성과 함께 연성을 갖고, 이어 더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팁(100)의 팁 머리부(110)의 내부에 펴짐 내부공간(S2)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스타일러스 팁(100)과 상기 터치패널(10)의 접촉시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상기 터치패널(10)로 입력 데이터를 보다 용이하게 인가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tylus tip 100 is ductile with conductivity, and furthermore, as the unfolded inner space S2 is formed inside the tip head 110 of the stylus tip 100. In addition, when the stylus tip 100 contacts the touch panel 10, the contact area may be increased to more easily apply input data to the touch panel 10.

<실시예 2><Example 2>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용 스타일러스 펜의 일부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4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rtion of a capacitive stylus pe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의한 스타일러스 펜은 팁 머리부(110)의 일부 내용만을 제외하면, 제1 실시예에 의한 스타일러스 펜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기 팁 머리부(110)의 일부 내용을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겠다.Since the stylus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stylus pe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except for only a part of the tip head portion 110, other components except for a part of the tip head portion 110.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the same components as in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팁 머리부(110)의 내부에는 상기 터치패널(10)과 접촉시 상기 팁 머리부(110)의 형상이 쉽게 변경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펴짐 내부공간(S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터치패널(10)과 접촉되는 상기 팁 머리부(110)의 중앙부분의 두께는 상기 터치패널(10)과의 접촉에 관여하지 않는 상기 팁 머리부(110)의 나머지 부분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n inner space S2 is formed in the tip head 110 to help the shape of the tip head 110 be easily changed when contacted with the touch panel 10. do. In this case, the thickness of the center portion of the tip head portion 110 in contact with the touch panel 10 is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tip head portion 110 not involved in contact with the touch panel 10. It can be formed thin.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패널(10)과 접촉되는 상기 팁 머리부(110)의 중앙부분의 두께가 보다 얇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터치패널(10)과의 접촉시 상기 팁 머리부(110)의 형상이 쉽게 변경되어, 상기 터치패널(10)과의 접촉면적이 보다 증가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the thickness of the center portion of the tip head 110 in contact with the touch panel 10 is formed to be thinner, the tip head part in contact with the touch panel 10. Since the shape of the 110 is easily changed, the contact area with the touch panel 10 may be increased.

<실시예 3><Example 3>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용 스타일러스 펜의 일부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펜 접촉부가 터치패널에 접촉하여 변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5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of a capacitive stylus pen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pen contact part of FIG. 5 is in contact with the touch panel and is deformed.

본 실시예에 의한 스타일러스 펜은 팁 머리부(110)의 일부 내용만을 제외하면, 제1 실시예에 의한 스타일러스 펜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기 팁 머리부(110)의 일부 내용을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겠다.Since the stylus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stylus pe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except for only a part of the tip head portion 110, other components except for a part of the tip head portion 110.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the same components as in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패널(10)과 접촉하는 상기 팁 머리부(110)의 외부에는 상기 터치패널(10)과의 접촉시 상기 팁 머리부(110)의 형상이 변경될 수 있는 여유 공간을 제공하는 펴짐 외부공간(S3)이 형성된다. 상기 팁 머리부(110)는 상기 펴짐 외부공간(S3)이 형성되도록 내측방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형상을 갖는다.5 and 6, the shape of the tip head 110 may be changed at the contact with the touch panel 10 on the outside of the tip head 110 in contact with the touch panel 10. Unfolded outer space (S3) is provided to provide a free space that can be. The tip head 110 has a shape recessed inwardly so that the spread outer space (S3) is formed.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패널(10)과 접촉하는 상기 팁 머리부(110)의 외부에 상기 펴짐 외부공간(S3)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터치패널(10)과의 접촉시 상기 팁 머리부(110)의 형상이 쉽게 변경되어 상기 터치패널(10)과의 접촉면적이 보다 증가될 수 있다.
As such,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unfolded outer space S3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tip head 110 in contact with the touch panel 10. The shape of the tip head 110 may be easily changed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with the touch panel 10.

<실시예 4><Example 4>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용 스타일러스 펜의 일부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7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rtion of a capacitive stylus pen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의한 스타일러스 펜은 팁 머리부(110)의 일부 내용만을 제외하면, 제3 실시예에 의한 스타일러스 펜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기 팁 머리부(110)의 일부 내용을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제3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겠다.Since the stylus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stylus pe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except for only a part of the contents of the tip head 110, other components except for some contents of the tip head 110.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given to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in the third embodiment.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팁 머리부(110)는 상기 펴짐 외부공간(S3)이 형성되도록 내측방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형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팁 머리부(110)는 상기 몸체 결합부(120)와 연결된 팁머리 몸체부(112), 및 상기 팁머리 몸체부(112)의 가장자리를 따라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의 분할 펴짐부들(114)을 포함한다. 즉, 상기 분할 펴짐부들(114)이 상기 팁머리 몸체부(112)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펴짐 외부공간(S3)을 형성한다.Referring to FIG. 7, the tip head 110 has a concave recessed shape inward to form the spread outer space S3. Specifically, the tip head 110 is a plurality of divided folds formed to be spaced apart along the edge of the tip head body 112 and the tip head body 112 connected to the body coupling portion 120 ( 114). That is, the divided fold portions 114 protrude from the tip head body portion 112 to form the fold outer space S3.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할 펴짐부들(114)이 상기 팀머리 몸체부(112)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펴짐 외부공간(S3)을 형성함에 따라, 상기 터치패널(10)과의 접촉시 상기 팁 머리부(110)의 형상이 보다 쉽게 변경되어 상기 터치패널(10)과의 접촉면적이 보다 증가될 수 있다.
As such,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divided unfolding parts 114 protrude from the team head body 112 to form the unfolding outer space S3. The shape of the tip head 110 may be more easily changed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with the touch panel 10.

<실시예 5><Example 5>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용 스타일러스 펜의 일부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8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of a capacitive stylus pen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의한 스타일러스 펜은 팁 머리부(110)의 일부 내용만을 제외하면, 제1 실시예에 의한 스타일러스 펜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기 팁 머리부(110)의 일부 내용을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겠다.Since the stylus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stylus pe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except for only a part of the tip head portion 110, other components except for a part of the tip head portion 110.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the same components as in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팁 머리부(110)의 내부에 펴짐 내부공간(S2)이 형성되고, 상기 터치패널(10)과 접촉하는 상기 팁 머리부(110)의 외부에는 펴짐 외부공간(S3)이 형성된다. 즉, 상기 팁 머리부(110)는 내부에 상기 펴짐 내부공간(S2)을 갖는 동시에, 내측방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되어 상기 펴짐 외부공간(S3)을 또한 갖는다. 이때, 상기 팁 머리부(110)의 외표면은 상기 터치패널(10)과의 접촉면적으로 보다 넓히기 위해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8, a spreading inner space S2 is formed inside the tip head 110, and a spreading outer space S3 outside the tip head 110 in contact with the touch panel 10. ) Is formed. That is, the tip head 110 has the unfolded inner space S2 therein, and also has the unfolded outer space S3 recessed inwardly. At this time, the outer surface of the tip head 110 is preferably formed in a rounded shape in order to widen the contact area with the touch panel 10.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팁 머리부(110)는 내부에 상기 펴짐 내부공간(S2)을 갖고 외부에 상기 펴짐 외부공간(S3)을 가짐에 따라, 상기 터치패널(10)과의 접촉시 상기 팁 머리부(110)의 형상이 보다 쉽게 변경되어 상기 터치패널(10)과의 접촉면적이 보다 증가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tip head 110 has the unfolded inner space S2 therein and the unfolded outer space S3 on the outside thereof, thereby making contact with the touch panel 10. The shape of the tip head 110 is more easily changed when the contact area with the touch panel 10 can be increased.

<실시예 6><Example 6>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용 스타일러스 펜의 일부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9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of a capacitive stylus pen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의한 스타일러스 펜은 팁 인서트(200)에 내부 공기통로(230)가 더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면, 제1 실시예에 의한 스타일러스 펜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기 팁 머리부(110)의 일부 내용을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겠다.Since the stylus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stylus pe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the inner air passage 230 is further formed on the tip insert 200, the tip head 110 may be formed.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other components except for the part will b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given to the same components as the first embodiment.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팁 인서트(200)에는 상기 팁 머리부(110)가 상기 터치패널(10)과의 접촉하여 접촉면적이 증가하면서 눌려졌을 때, 상기 펴짐 내부공간(S2)에 존재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내부 공기통로(23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내부 공기통로(230)는 상기 인서트 삽입부(210) 및 상기 인서트 머리부(220)를 관통하도록 내부에 일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팁 머리부(110)가 상기 터치패널(10)과 떨어졌을 때, 상기 내부 공기통로(230)을 통해 외부 공기가 상기 펴짐 내부공간(S2)으로 유입되어 원래의 형상으로 쉽게 회복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when the tip head 110 is pressed while increasing the contact area in contact with the touch panel 10, the tip insert 200 exists in the unfolded inner space S2. At least one internal air passage 230 is formed to discharge air to the outside. In this case, the internal air passage 230 may be formed in a straight line to penetrate the insert inserting portion 210 and the insert head 220. On the other hand, when the tip head 110 is separated from the touch panel 10, the outside air is introduced into the unfolding inner space (S2) through the inner air passage 230 can be easily recovered to its original shape hav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팁 인서트(200)에 상기 내부 공기통로(230)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펴짐 내부공간(S2)에 존재하는 공기가 쉽게 외부로 배치되어 상기 팁 머리부(110)의 형상이 쉽게 변경될 수 있다.
As such,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the inner air passage 230 is formed in the tip insert 200, the air existing in the unfolding inner space S2 is easily disposed to the outside and thus the tip head 110. ) Shape can be easily changed.

<실시예 7>&Lt; Example 7 >

도 10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용 스타일러스 펜의 일부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FIG. 10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rtion of a capacitive stylus pen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의한 스타일러스 펜은 팁 머리부(110)에 외부 공기통로(140)가 더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면, 제1 실시예에 의한 스타일러스 펜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기 팁 머리부(110)의 일부 내용을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겠다.Since the stylus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stylus pe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the external air passage 140 is further formed on the tip head 110, the tip head 110 is use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other components except for the part of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given to the same components as the first embodiment.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팁 머리부(110)에는 상기 팁 머리부(110)가 상기 터치패널(10)과의 접촉하여 접촉면적이 증가하면서 눌려졌을 때, 상기 펴짐 내부공간(S2)에 존재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공기통로(140)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외부 공기통로(140)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한 쌍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팁 머리부(110)가 상기 터치패널(10)과 떨어졌을 때, 상기 외부 공기통로(140)을 통해 외부 공기가 상기 펴짐 내부공간(S2)으로 유입되어 원래의 형상으로 쉽게 회복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when the tip head 110 is pressed while increasing the contact area in contact with the touch panel 10, the tip head 110 is present in the unfolding inner space S2. At least one external air passage 140 for discharging the air to the outside is formed. For example, the pair of external air passages 140 may be formed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when the tip head 110 is separated from the touch panel 10, the outside air is introduced into the unfolding inner space (S2) through the outer air passage 140 can be easily recovered to its original shape. hav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팁 머리부(110)에 상기 외부 공기통로(140)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펴짐 내부공간(S2)에 존재하는 공기가 쉽게 외부로 배치되어 상기 팁 머리부(110)의 형상이 쉽게 변경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the external air passage 140 is formed in the tip head 110, the air existing in the unfolding inner space S2 is easily disposed to the outside and thus the tip head portion ( The shape of 110 can be easily changed.

<실시예 8>&Lt; Example 8 >

도 11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용 스타일러스 펜의 일부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FIG. 11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rtion of a capacitive stylus pen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의한 스타일러스 펜은 절연커버(3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면, 제1 실시예에 의한 스타일러스 펜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기 팁 머리부(110)의 일부 내용을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겠다.The stylus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stylus pe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the stylus pen further includes an insulation cover 300, and thus, other components except for a part of the tip head 110.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the same components as in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스타일러스 펜은 상기 펜 몸체부(P1)의 외곽을 감싸도록 형성된 절연커버(30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절연커버(300)는 상기 펜 몸체부(P1)의 외표면 상에 형성된 절연층일 수도 있고, 상기 펜 몸체부(P1)과 결합되어 상기 펜 몸체부(P1)의 외곽을 감싸는 커버유닛일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1, the stylus pen further includes an insulation cover 300 formed to surround an outer portion of the pen body P1. The insulating cover 300 may be an insulating layer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en body portion P1, or may be a cover unit coupled to the pen body portion P1 to surround the pen body portion P1. have.

일반적으로, 상기 펜 몸체부(P1)은 금속물질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회사로고나 제품명을 포함하는 다양한 이미지를 외표면에 형성시키기가 어려우나, 반면, 상기 펜 몸체부(P1)의 외곽을 감싸는 상기 절연커버(300)가 형성될 경우, 상기 다양한 이미지를 상기 절연커버(300)의 외표면에 쉽게 형성시킬 수 있다.In general, since the pen body portion P1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it is difficult to form various images including a company logo or a product name on the outer surface, whereas the pen body portion P1 surrounds the outer portion of the pen body portion P1. When the insulating cover 300 is formed, the various images can be easily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sulating cover 300.

상기 펜 몸체부(P1) 및 상기 절연커버(300)를 포함한 총 두께가 약 8 ~ 10mm라 할 때, 상기 절연커버(300)는 약 0.9 ~ 1.1mm 사이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절연커버(300)가 상기와 같은 두께를 가질 경우, 사람의 손에 형성된 전하가 상기 펜 몸체부(P1)와 커플링될 수 있다.When the total thickness including the pen body P1 and the insulating cover 300 is about 8 to 10 mm, the insulating cover 300 may have a thickness of about 0.9 to 1.1 mm. As such, when the insulating cover 300 has the thickness as described above, charges formed in the human hand may be coupled with the pen body portion P1.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펜 몸체부(P1)의 외곽에 상기 절연커버(300)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다양한 이미지를 상기 절연커버의 외표면에 상에 쉽게 형성하여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
As such,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the insulating cover 300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pen body P1, the various images can be easily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sulating cover and displayed to the outside. have.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or those skilled in the art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be described in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터치패널 P1 : 펜 몸체부
P2 : 펜 머리부 P3 : 펜 접촉부
100 : 스타일러스 팁 110 : 팁 머리부
112 : 팁머리 몸체부 114 : 분할 펴짐부
120 : 몸체 결합부 130 : 단차
S1 : 내부공간 S2 : 펴짐 내부공간
S3 : 펴짐 외부공간 200 : 팁 인서트
210 : 인서트 삽입부 220 : 인서트 머리부
10: touch panel P1: pen body portion
P2: pen head P3: pen contact
100: stylus tip 110: tip head
112: tip head body portion 114: split unfolding portion
120: body coupling portion 130: step
S1: Internal Space S2: Unfolding Internal Space
S3: Unfolded External Space 200: Tip Insert
210: insert insertion portion 220: insert head

Claims (18)

스타일러스 펜의 일부로서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과 접촉하여 입력 데이터를 인가할 수 있는 정전용량용 펜 접촉유닛이 있어서,
상기 터치패널과 접촉할 때 접촉면적이 증가될 수 있도록 연성을 갖고, 전기를 통하는 도전성을 갖는 스타일러스 팁(stylus tip)을 포함하며,
상기 스타일러스 팁은,
상기 터치패널과 접촉할 때 접촉면적이 증가되며 상기 터치패널과 접촉시 형상이 변경될 수 있는 여유 공간을 제공하도록 외부에는 펴짐 외부공간이 형성된 팁 머리부; 및
상기 팁 머리부와 일체형으로 연결되고,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몸체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몸체 결합부를 포함하는 정전용량용 펜 접촉유닛.
As a part of the stylus pen, there is a capacitive pen contact unit that can apply input data in contact with a capacitive touch panel,
A stylus tip that is ductile and electrically conductive so as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when contacting the touch panel,
The stylus tip is,
A tip head having an outer space formed therein so as to increase a contact area when contacting the touch panel and to provide a free space in which a shape can be changed when contacting the touch panel; And
Capacitive pen contact unit connected integrally with the tip head, the body coupling portion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body of the stylus pe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팁 머리부의 내부에는
상기 터치패널과의 접촉시 상기 팁 머리부의 형상이 변경될 수 있는 여유 공간을 제공하는 펴짐 내부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용 펜 접촉유닛.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side of the tip head
Capacitive pen contact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spreading inner space is provided to provide a free space that can change the shape of the tip head portion in contact with the touch pane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결합부는
내부에 삽입공간이 형성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용 펜 접촉유닛.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body coupling portion
Capacitive pen contact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hape having an insertion space formed therei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펴짐 내부공간과 상기 삽입공간은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용 펜 접촉유닛.5. The capacitive pen contact unit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spreading inner space and the insertion spac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간 내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 결합부와 결합되는 팁 인서트(tip insert)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용 펜 접촉유닛.5. The capacitive pen contact unit according to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tip insert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and coupled to the body coupling por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팁 인서트는
상기 스타일러스 팁보다 딱딱한 성질을 갖는 도전성의 금속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용 펜 접촉유닛.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tip insert
Capacitive pen contact unit,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conductive metal material having a harder property than the stylus tip.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팁 인서트는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 결합부와 결합되는 인서트 삽입부; 및
상기 인서트 삽입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팁 머리부와 반대측인 상기 몸체 결합부의 단부와 접하는 인서트 머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용 펜 접촉유닛.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tip insert is
An insert insertion portion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and coupled to the body coupling portion; And
And an insert head formed integrally with the insert insert, the insert head being in contact with an end of the body engaging portion opposite to the tip hea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팁 인서트에는
상기 펴짐 내부공간에 존재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 공기통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용 펜 접촉유닛.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tip insert
Capacitive pen contact unit,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at least one internal air passage for discharging the air present in the open inner space to the outsid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팁 머리부에는
상기 펴짐 내부공간에 존재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공기통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용 펜 접촉유닛.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tip head is
Capacitive pen contact unit,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at least one external air passage for discharging the air present in the unfolded inner space to the outsid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팁 머리부는
상기 펴짐 외부공간이 형성되도록 오목하게 함몰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용 펜 접촉유닛.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ip head
Capacitive pen contact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cave recessed shape so that the spread outer space is 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팁 머리부는
상기 몸체 결합부와 연결된 팁머리 몸체부; 및
상기 팁머리 몸체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이격되어 형성되어, 상기 펴짐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분할 펴짐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용 펜 접촉유닛.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ip head
A tip head body portion connected to the body coupling portion; And
Capacitive pen contact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tip head body portion, a plurality of divided folds forming the fold inner sp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널과 접촉되는 상기 팁 머리부의 외표면은
접촉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라운드진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용 펜 접촉유닛.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er surface of the tip head in contact with the touch panel
Capacitive pen contact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rounded shape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내부에 공간을 갖고 일측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갖는 펜 몸체부; 및
상기 펜 몸체부에 일부가 삽입되어 결합되고,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과 접촉하여 입력 데이터를 인가할 수 있는 펜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펜 접촉부는 상기 터치패널과 접촉할 때 접촉면적이 증가될 수 있도록 연성을 갖고 상기 터치패널과 접촉시 형상이 변경될 수 있는 여유 공간을 제공하도록 외부에는 펴짐 외부공간이 형성된 팁 머리부와, 상기 팁 머리부와 일체형으로 연결되고 상기 펜 몸체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몸체 결합부로 구성된 전기를 통하는 도전성을 갖는 스타일러스 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용 스타일러스 펜.
A pen body portion having a space therein and having a shape extended to one side; And
And a pen contact part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pen body part to contact the capacitive touch panel to apply input data.
The pen contact portion is ductile so that the contact area can be increased when contacting the touch panel, and a tip head having an outer space formed therein to be opened to provide a free space that can be changed in shape when in contact with the touch panel; Capacitive stylus pe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lectrically conductive stylus tip consisting of a body coupling portion integrally connected to the tip head and inserted and coupled to the pen body portion.
삭제delet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팁 머리부와 상기 몸체 결합부 사이의 경계부에는
상기 펜 몸체부와의 결합을 위한 단차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정용량용 스타일러스 펜.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boundary between the tip head and the body engaging portion is
Stylus pen for correcting capac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is formed for coupling with the pen body portion.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펜 몸체부의 외곽을 감싸도록 형성된 절연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용 스타일러스 펜.16. The capacitive stylus pen of claim 15, further comprising an insulating cover formed to surround an outer portion of the pen body.
KR1020100080634A 2010-02-12 2010-08-20 Capacitive pen contact unit and capacitive stylus pen having the unit KR10122996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13406 2010-02-12
KR1020100013406 2010-02-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3562A KR20110093562A (en) 2011-08-18
KR101229969B1 true KR101229969B1 (en) 2013-03-05

Family

ID=44930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0634A KR101229969B1 (en) 2010-02-12 2010-08-20 Capacitive pen contact unit and capacitive stylus pen having the un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996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32385A (en) * 2017-06-09 2018-12-18 希迪普公司 Styl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7465B1 (en) * 2013-12-27 2020-12-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Touch pen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1795A (en) 1996-12-03 1998-06-19 Mitsubishi Pencil Co Ltd Input pen for electrostatic capacity-type coordinate input pad
JP2000122799A (en) 1998-10-15 2000-04-28 Pilot Precision Co Ltd Input pe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1795A (en) 1996-12-03 1998-06-19 Mitsubishi Pencil Co Ltd Input pen for electrostatic capacity-type coordinate input pad
JP2000122799A (en) 1998-10-15 2000-04-28 Pilot Precision Co Ltd Input p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32385A (en) * 2017-06-09 2018-12-18 希迪普公司 Stylus
CN109032385B (en) * 2017-06-09 2023-11-28 希迪普公司 Touch control p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3562A (en) 201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76203B2 (en) Cordless type position pointer
CN105813546B (en) Concealed electric connector
USD625314S1 (en) Dual-end slider for a touch-based user interface for a display screen
KR101229969B1 (en) Capacitive pen contact unit and capacitive stylus pen having the unit
US10437393B2 (en) Protective case for an electronic device and an input method using the same
CN106155395A (en) Contact panel and connected structure thereof
CN205944656U (en) Connector
US9740246B2 (en) Touchpad supporting device
CN103677332B (en) Felt pen and the mobile terminal with the felt pen
US9116585B2 (en) Capacitive stylus
US20130140814A1 (en) Recess for o-ring
CN105813852B (en) Hand gear and multifunctional module
KR101418554B1 (en) Stylus pen
JP6630400B2 (en) Stylus pe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230982B1 (en) Chopsticks type touch-pen
TWI461668B (en) Sensing device for sensing force
JP2014081792A (en) Pen type input device
US20150212604A1 (en) Touch pen having signal cable
US9401555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electrically coupling first and second electrical terminals of first and second battery cells to one another
CN205377853U (en) Pop out device and cell -phone with push rod, digital card that get supporting use of card needle
US10437287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KR20120054362A (en) Capacitive pen contact unit and capacitive stylus pen having the unt
US9158392B2 (en) Touch pen with tilt correction
KR102161248B1 (en) Stylus Pen
JP7029802B2 (en) Stylus p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