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9936B1 - 아일릿부재 - Google Patents

아일릿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9936B1
KR101229936B1 KR1020110079433A KR20110079433A KR101229936B1 KR 101229936 B1 KR101229936 B1 KR 101229936B1 KR 1020110079433 A KR1020110079433 A KR 1020110079433A KR 20110079433 A KR20110079433 A KR 20110079433A KR 101229936 B1 KR101229936 B1 KR 101229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decorative plate
coupling pin
pin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9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선후
Original Assignee
정선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선후 filed Critical 정선후
Priority to KR1020110079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99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9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9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44B13/0058Eyelets or grommets
    • A44B13/0076Eyelets or grommets characterised by their way of fastening to the support
    • A44B13/0088Eyelets or grommets characterised by their way of fastening to the support by separable snap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44B13/0029Hook or eye fasteners characterised by their way of fastening to the support
    • A44B13/0035Hook or eye fasteners characterised by their way of fastening to the support using pro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품에 고정되는 엠블럼, 상표, 고리, 아일릿과 같은 아일릿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실시예로, 일면에 결합핀과 가이드핀이 돌출되어 있는 제1장식판과, 삽입된 상기 결합핀의 끝단부가 휘어지도록 안내하는 절곡부와, 상기 가이드핀이 수용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2장식판을 포함하는 아일릿부재를 제시한다. 이로써, 가이드핀과 가이드부가 제1장식판과 제2장식판의 이동을 안내하므로, 결합핀의 소성 변형에 의한 제1장식판과 제2장식판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조립 불량이 저감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아일릿부재{Eyelet device}
본 발명은 핸드백, 지갑, 가방, 텐트, 의료물품, 신발 등에 고정되는 아일릿이나 엠블럼과 같은 아일릿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핸드백, 지갑, 가방, 텐트, 신발 등에는 상표, 엠블럼 등의 장식부재 또는 끈이나 다른 기구와 결합하기 위한 아일릿, 고리 등(이하, 장식부재, 아일릿, 고리 등을 '아일릿부재'라고 함)이 장착된다.
종래의 아일릿부재는 주로 강철을 이용하여 성형된다. 일부 핸드백, 지갑 등 고급제품에는 아일릿부재에 귀금속을 도금하기도 한다. 이러한 아일릿부재를 핸드백, 지갑 등에 고정하는 방식은 접착방식이나 물리적 결합방식을 사용하게 된다. 접착방식은 핸드백, 지갑, 가방을 이루는 재질의 유연성으로 인하여 시간이 지나면 장식부재와 접착면에서 박탈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텐트나 신발과 같이 거친 환경에서 사용되는 경우 접착에 의하더라도 쉽게 본 제품에서 떨어져 나가는 문제가 있다.
물리적 결합방식의 한 가지 예는 장식 대상이 되는 가죽이나 천 부재의 내외면에 아일릿부재를 설치하고, 스크류를 관통시켜 고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스크류를 통한 고정방식의 예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06269호 (2010.10.01)가 있다. 스크류에 의한 체결방식은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며, 아일릿부재를 뒤집어 설치하거나 일부 파손이 일어난 경우에 핸드백, 지갑, 가방의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아일릿부재를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를 조여야 하기 때문에 아일릿부재를 설치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제품에 복수의 아일릿부재를 스크류로 고정하려면 개별 제품당 작업량이 많아지므로 생산속도가 낮아지고 비용 또한 증가하게 된다. 또한, 스크류는 제품의 사용 중에 조임이 풀어질 수 있는 염려가 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스크류의 나사결합부분에 접착제를 사용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게 된다.
한편, 리벳타입으로 가죽이나 천 부재를 관통하여 아일릿부재를 결합하는 방식이 있다. 일례로 리벳 타입의 아일릿부재 결합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115241호 (2008.05.0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93539호 (2009.09.0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2-0031124호 (2002.04.26) 등이 있다. 이러한 리벳 결합방식은 가벼운 아일릿부재의 결합에는 널리 사용될 수 있으나 아일릿부재가 커서 무거워지는 경우에는 충분한 고정력을 얻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115241호 (2008.05.01) [특허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93539호 (2009.09.02) [특허문헌 3]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2-0031124호 (2002.04.26)
본 발명은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면서, 결합 시에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일면에 결합핀과 가이드핀이 돌출되어 있는 제1장식판과, 삽입된 상기 결합핀의 끝단부가 휘어지도록 안내하는 절곡부와, 상기 가이드핀이 수용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2장식판을 포함하는 아일릿부재를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핀의 돌출된 끝단부가 상기 절곡부에 접할 때에 상기 가이드핀의 돌출된 끝단부는 상기 가이드부에 일부가 삽입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절곡부는 상기 제2장식판에서 돌출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상기 결합핀의 삽입을 안내하는 진입구간, 상기 진입구간과 연통되며, 상기 결합핀과 접촉하고, 상기 결합핀의 끝단부가 휘어지도록 안내하는 곡면을 포함하는 변형유도구간 및 상기 변형유도구간과 연통되며, 상기 변형유도구간을 통과하며 휘어진 결합핀의 끝단부가 통과하는 개방구간을 포함하는 변형안내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형유도구간의 곡면에 접하는 상기 결합핀의 끝단부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핀 끝단부의 곡면의 곡률반경은 상기 변형유도구간에 형성된 곡면의 곡률반경보다 작을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핀의 단면적은 제1장식판에서 멀어질수록 점차 작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핀의 끝단부는 상기 가이드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2장식판에서 돌출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절곡부는 상기 제2장식판에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절곡부는 외측면 일부가 중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핀과 가이드부가 제1장식판과 제2장식판의 이동을 안내하므로, 결합핀의 소성 변형에 의한 제1장식판과 제2장식판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조립 불량이 저감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아일릿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일부 단면도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아일릿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아일릿부재의 구성,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한다. 단,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도면번호는 통일하여 사용한다.
또한, 본 명세서 안에서 '아일릿부재'의 용어는 핸드백, 지갑, 가방, 텐트, 신발 등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상표, 엠블럼 등의 장식부재 또는 끈이나 다른 기구와 결합하기 위한 아일릿, 고리 등을 포괄하는 명칭으로 사용한다.
또한, 본 명세서 안에서 '물품'의 용어는 아일릿부재가 장착되는 제품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제품은 핸드백, 지갑, 가방, 텐트, 신발 등 아일렛부재의 결합핀이 관통할 수 있는 재질을 가지는 물건들을 포괄하는 명칭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일릿부재(100)는 제1장식판(10)과 제2장식판(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장식판(10)은 물품의 내측에 위치되는 것이고, 제2장식판(20)은 물품의 외측에 위치되어 외부에서 관찰되는 것이다.
제2장식판(20)의 노출면은 다양한 장식용 형상, 문양, 기호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장식용 형상 등은 부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색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장식판은 끈이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거나, 갈고리 등 다양한 결합을 위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장식용 형상 또는 결합용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제1장식판(10)과 제2장식판(20)은 대략 판 형상으로, 외형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면에서는 사각형으로 도시되었으나, 그 외형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제1장식판(10)과 제2장식판(20)의 마주보는 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도시 생략)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기는 아일릿부재가 장착되는 대상인 물품의 가죽이나 천 부재를 물어 아일릿부재의 회전이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다.
제1장식판과 제2장식판은 철이나 아연 등과 같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후술되는 바와 같이 결합핀의 소성 변형을 허용하는 조건에서 다른 재질로 변경될 수 있다.
제1장식판(10)의 일면에는 결합핀(1)과 가이드핀(2)이 돌출되어 있다. 도면에서 중앙에 형성된 구멍(10a)은 제1장식판(10)의 무게를 경감하기 위한 것으로 생략 가능하다.
또한, 결합핀(1)과 가이드핀(2)의 수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또한, 결합핀과 가이드핀의 돌출위치도 임의적으로 변경 가능하다. 다만, 결합핀과 가이드핀이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제2장식판의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장식판(20)에는 절곡부(3)가 가이드부(4)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절곡부(3)와 가이드부(4)는 장식용 형상 등이 형성되는 제2장식판(20)의 일면과 반대쪽 면에 형성되는 것이다. 가이드부(4)에는 가이드핀(2)이 수용되며, 절곡부(3)에는 결합핀(1)이 수용된다. 따라서 가이드부(4)와 가이드핀(2) 각각은 제1장식판(10)에 구비된 결합핀(1) 및 가이드핀(2)에 각기 대응되게 제1장식판(10)에 배치 형성된다.
결합핀(1)은 절곡부(3)에 수용되며, 제1장식판(10)과 제2장식판(20)이 밀착되게 가압되면 결국 소성 변형하여 제1장식판(10)과 제2장식판(20)을 결합시키는 부재이다.
도면에서 결합핀(1)은 대략 판 형상으로 제1장식판(10)에서 돌출되어 있다. 결합핀(1)은 소성 변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제2장식판(20)에서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작게 형성된다. 도 1에서 결합핀(1)은 끝단부로 갈수록 상하 폭(W)이 작아지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달리 결합핀의 폭은 제1장식판(10)에서 중간부까지 일정하게 유지되다가, 끝단부에서만 상하 폭이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절곡부(3)는 제2장식판(20)에서 돌출되어 있다. 절곡부(3)에는 결합핀(1)에 대응하는 단면을 가지는 변형안내부(31)가 형성된다. 변형안내부(31)는 제1장식판(10)이 제2장식판(20)에 결합하는 방향을 향하여 개방되어 있다. 또한, 변형안내부(31)는 제2장식판(20)의 내면과 평행한 방향, 즉 절곡부(3)의 측면에서 개방되게 형성된 구멍을 형성한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에는 제1장식판(10)과 제2장식판(20)의 측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조립되기 전에 제1장식판(10)과 제2장식판(20)이 분리된 것이고, 도 3은 결합핀(1)이 소성 변형되기 직전이며, 도 4는 제1장식판(10)과 제2장식판(20)의 최종 조립이 완료된 것이다.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제1장식판과 제2장식판 사이에는 아일릿부재가 결합되는 대상물, 즉 가죽이나 천 부재가 개재되는 것이다.
도 2 내지 도 3에서 결합핀(1)은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진다. 구체적으로 제1장식판(10)의 하면에서 결합핀(1)의 제1면(11)은 거의 수직으로 형성된다. 반면에 상기 제1면(11)과 반대 쪽의 제2면(12)은 단면적을 점차 줄이도록 경사져 있다. 이로써 결합핀(1)은 돌출 시작 부분은 두껍게, 하단 부분은 얇게 형성된다. 이는 도 1에서 설명한 결합핀(1)의 상하 폭(W)이 끝단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형상의 특징과 더불어 결합핀(1)의 단면적을 더욱 작게 하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달리, 결합핀의 끝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을 줄이기 위하여 도 1에 따른 상하 폭의 조절 또는 도 2에 따른 두께의 조절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채택될 수 있다.
더하여, 결합핀(1)의 제1면(11) 하단은 곡면(121)으로 형성된다. 이 곡면은 추후 설명되는 변형유도구간(312)의 곡면(314)과 더불어 결합핀의 안정된 변형을 가져오는 것이다. 이러한 결합핀 제1면 하단의 곡면은 생략 가능하다.
결합핀(1)과 대응되게 제2장식판(20)에 형성된 절곡부(3)에는 상부에서 제1장식판(10)이 하강함에 따라 결합핀(1)을 수용하며, 결합핀(1)의 끝단부가 휘어지게 안내하는 변형안내부(31)가 형성되어 있다.
변형안내부(31)는 결합핀의 삽입을 안내하는 진입구간(311), 결합핀(1)과 접촉하고 결합핀(1)의 끝단부가 휘어지도록 안내하는 곡면(314)을 포함하는 변형유도구간(312) 및 변형유도구간(312)을 통과하며 휘어진 결합핀(1)의 끝단부가 통과하는 개방구간(313)을 포함한다.
진입구간(311), 변형유도구간(312) 및 개방구간(313)은 연속된 하나의 홀을 형성하고 있다. 진입구간(311)은 결합핀(1)가 수직 하방으로 진입할 수 있게 하여, 결합핀(1)의 수직 이동을 돕는 부분이다. 이를 위하여 진입구간(311)은 일정 길이로 상하 개방된 형상을 갖는다.
변형유도구간(312)은 결합핀(1)의 제1면(11)에 대응하여 결합핀(1)의 끝단부가 휘게 하는 구간이다. 제2장식판(20)의 수평 면과 진입구간(311)을 형성하는 내측면 사이에는 곡면(314)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곡면(314)에 결합핀(1)의 끝단부(보다 정확히는 제1면(11)의 끝단부에 형성된 곡면(121))가 접촉하게 된다.
개방구간(313)은 절곡부(3)의 일측벽이 개방되어 형성된다. 개방구간(313)은 변형유도구간(312)에서 휘어진 결합핀(1)의 끝단부가 절곡부(3)의 외부로 돌출되며 안치되는 공간이다. 또한, 개방구간(313)을 형성하는 측벽(32)은 휘어진 결합핀(1)이 걸려, 소성 변형된 결합핀(1)이 절곡부(3)에서 이탈되지 아니하게 한다(도 3 참고).
나아가 결합핀(1) 끝단부의 곡면(121)의 곡률반경은 변형유도구간(312)에 형성된 곡면(314)의 곡률반경보다 작은 것이다. 이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장식판(10)과 제2장식판(20)이 가조립된 상태, 즉 결합핀(1)이 소성 변형 바로 직전의 상태에서, 결합핀(1)의 제1면(11)이 진입구간(311)의 내측벽에 접하게 되며, 결합핀(1)의 끝단은 변형유도구간(312)의 곡면(314)과는 떨어지게 된다.
이후, 제1장식판(10)과 제2장식판(20)이 더 가까워지도록 가압되면, 변형유도구간(312)의 곡면(314) 상부부터 결합핀(1)의 곡면(121)에 접하면서 결합핀(1) 끝단부의 소성 변형을 안내하게 된다. 이후, 변형유도구간(312)의 곡면(121)에 결합핀(1)의 제1면(11)이 접촉하면서 결합핀(1)의 끝단부가 완전히 소성 변형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곡면들의 곡률반경의 차이에 의하여 결합핀의 초기 소성 변형이 원만하게 이루어져 조립 시에 결합핀이나 절곡부의 충격에 따른 파손을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가이드부(4)는 제2장식판(20)에서 돌출되어 있다. 가이드부(4)에는 가이드핀(2)을 수용하는 홀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가이드부에는 가이드핀을 수용하는 홈이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가이드부(4)의 돌출 높이는 절곡부(3)의 돌출 높이와 동일한 것이다. 제1장식판(10)의 일면이 가이드부(4)와 절곡부(3)에 접하도록 하여 제1장식판(10)과 제2장식판(20)의 결합 간격이 한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가이드부와 절곡부의 돌출 길이는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장식판(10)과 제2장식판(20)이 가조립 상태, 즉 결합핀(1)의 돌출된 끝단부가 소성 변형하기 직전의 위치인 때에, 가이드핀(2)의 돌출된 끝단부는 가이드부(4)에 삽입된다.
따라서 제1장식판(10)과 제2장식판(20)이 가까워지도록 추가 가압할 때에, 가이드핀(2)이 가이드부(4)에 수용되면서 제1장식판(10)에 대하여 제2장식판(20)이 수직된 방향으로 접근하도록 강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결합핀(1)의 소성 변형 직전에 가이드핀(2)이 가이드부(4)에 일부가 수용되면서 제1장식판(10)과 제2장식판(20)의 이동을 제한하므로, 결합핀(1)이 절곡부(3)에 정확히 수직으로 진입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1,2장식판의 가압에 따른 결합핀(1)의 소성 변형이 매번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프레싱에 따른 조립 불량을 줄일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부가적으로, 도 4와 도 5를 참고하면, 가이드핀(2)의 끝단부는 가이드부(4)를 관통하여 상기 제2장식판(20)에서 돌출된다. 이를 위하여 가이드핀(2)의 길이는 제1장식판(10)과 제2장식판(20)이 완전히 결합되었을 때의 이격 거리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도 5에는 제2장식판(20)의 일면에서 돌출된 가이드핀(2)의 끝단부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가이드핀(2)의 끝단부는 장식적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노출되는 가이드핀의 끝단부에는 다양한 장식용 형상이나 문양이 갖추어질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도금이 더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아일릿부재가 도시되어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른 아일릿부재(100)는 결합핀(1)과 가이드핀(2)을 구비하는 제1장식판(10)과, 절곡부(3)와 가이드부(4)를 구비하는 제2장식판(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2장식판의 구성 및 작용은 아래에 설명되는 내용과 저촉되지 아니하는 한도에서 전술된 제1실시예의 특징을 그대로 가질 수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부(4)와 절곡부(3)는 각 외측면 일부가 중첩되게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4)의 원통 측벽과 절곡부(3)의 상하 측벽은 서로 중첩됨에 따라, 가이드부(4)와 절곡부(3)가 일체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외측면의 일부 중첩은, 서로 이격된 경우에 비하여 구조적 강도를 증대시키는 것이다. 또한, 재료를 경감하여 아일릿부재의 무게를 줄이면서 비용을 절감하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로,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결합핀과 가이드핀은 제2장식판에 형성되고, 절곡부와 가이드부가 제1장식판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핀과 가이드핀 중 어느 하나는 제1장식판에, 나머지는 제2장식판에 형성되고, 그에 대응하여 제1장식판에 가이드부가 형성되며, 제2장식판에 절곡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100 : 아일릿부재
10 : 제1장식판 20 : 제2장식판
1 : 결합핀 W : 상하 폭 11 : 제1면 12 : 제2면 121 : 곡면
2 : 가이드핀 10a : 구멍
3 : 절곡부 31 : 변형안내부 311 : 진입구간
312 : 변형유도구간 314 : 곡면 313 : 개방구간
32 : 측벽
4 : 가이드부

Claims (9)

  1. 일면에 결합핀과 가이드핀이 돌출되어 있는 제1장식판, 그리고
    삽입된 상기 결합핀의 끝단부가 휘어지도록 안내하는 절곡부와 상기 가이드핀이 수용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2장식판
    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핀의 끝단부가 상기 절곡부에 접할 때에 상기 가이드핀의 끝단부는 상기 가이드부에 일부가 삽입되는 길이를 가지는
    아일릿부재.
  2. 삭제
  3. 일면에 결합핀과 가이드핀이 돌출되어 있는 제1장식판, 그리고
    삽입된 상기 결합핀의 끝단부가 휘어지도록 안내하는 절곡부와 상기 가이드핀이 수용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2장식판
    을 포함하며,
    상기 절곡부의 내부에는 상기 결합핀의 삽입을 안내하는 진입구간, 상기 진입구간과 연통되며 상기 결합핀과 접촉하고 상기 결합핀의 끝단부가 휘어지도록 안내하는 곡면을 포함하는 변형유도구간 및 상기 변형유도구간과 연통되고 상기 변형유도구간을 통과하며 휘어진 결합핀의 끝단부가 통과하는 개방구간을 포함하는 변형안내부가 형성되어 있는
    아일릿부재.
  4. 제3항에서,
    상기 변형유도구간의 곡면에 접하는 상기 결합핀의 끝단부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아일릿부재.
  5. 제4항에서,
    상기 결합핀 끝단부의 곡면의 곡률반경은 상기 변형유도구간에 형성된 곡면의 곡률반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일릿부재.
  6. 일면에 결합핀과 가이드핀이 돌출되어 있는 제1장식판, 그리고 삽입된 상기 결합핀의 끝단부가 휘어지도록 안내하는 절곡부와 상기 가이드핀이 수용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2장식판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핀의 단면적은 제1장식판에서 멀어질수록 점차 작아지는 아일릿부재.
  7. 일면에 결합핀과 가이드핀이 돌출되어 있는 제1장식판, 그리고 삽입된 상기 결합핀의 끝단부가 휘어지도록 안내하는 절곡부와 상기 가이드핀이 수용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2장식판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핀의 끝단부는 상기 가이드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2장식판에서 돌출되는 아일릿부재.
  8. 제1항,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절곡부는 상기 제2장식판에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절곡부는 외측면 일부가 맞닿아 있는 아일릿부재.
  9. 제1항,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정의된 아일릿부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핸드백, 지갑, 가방, 신발, 텐트 중 어느 하나인 물품.
KR1020110079433A 2011-08-10 2011-08-10 아일릿부재 KR101229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9433A KR101229936B1 (ko) 2011-08-10 2011-08-10 아일릿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9433A KR101229936B1 (ko) 2011-08-10 2011-08-10 아일릿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9936B1 true KR101229936B1 (ko) 2013-02-06

Family

ID=47898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9433A KR101229936B1 (ko) 2011-08-10 2011-08-10 아일릿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9936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1429B1 (ko) * 2011-11-09 2015-02-06 비엘디 오리엔탈 가부시키가이샤 유희 장치용 바닥 기구 및 당해 유희 장치용 바닥 기구를 사용한 유희 장치
KR101583359B1 (ko) * 2015-11-24 2016-01-07 김홍관 장신구 결합장치
WO2016027944A1 (ko) * 2014-08-18 2016-02-25 최훈식 장신구 조립체
US9273707B2 (en) 2014-01-07 2016-03-01 Seong Hwan Lee Female-male combination type ornament
KR101638172B1 (ko) * 2015-04-24 2016-07-08 김양순 스냅 파스너용 소켓부재
KR101638149B1 (ko) * 2016-02-16 2016-07-11 김홍관 금속 장식물 고정장치
KR101659984B1 (ko) * 2015-06-04 2016-09-26 정선후 아일렛
KR20170002797A (ko) 2015-06-30 2017-01-09 골든 컴퍼니 엘티디. 핸드백용 아일릿
KR101753096B1 (ko) 2016-05-23 2017-07-03 김양순 메탈 아일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31803U (ko) * 1977-03-23 1978-10-19
JPS5523140U (ko) 1978-08-03 1980-02-14
US20040226149A1 (en) 2003-05-12 2004-11-18 Ryukichi Murai Sheet attaching instrument and sheet attachment member
KR20080082033A (ko) * 2007-03-07 2008-09-11 권석웅 플라스틱 아일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31803U (ko) * 1977-03-23 1978-10-19
JPS5523140U (ko) 1978-08-03 1980-02-14
US20040226149A1 (en) 2003-05-12 2004-11-18 Ryukichi Murai Sheet attaching instrument and sheet attachment member
KR20080082033A (ko) * 2007-03-07 2008-09-11 권석웅 플라스틱 아일릿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1429B1 (ko) * 2011-11-09 2015-02-06 비엘디 오리엔탈 가부시키가이샤 유희 장치용 바닥 기구 및 당해 유희 장치용 바닥 기구를 사용한 유희 장치
US9273707B2 (en) 2014-01-07 2016-03-01 Seong Hwan Lee Female-male combination type ornament
CN105555165B (zh) * 2014-08-18 2017-06-16 崔勋植 装饰组件
WO2016027944A1 (ko) * 2014-08-18 2016-02-25 최훈식 장신구 조립체
CN105555165A (zh) * 2014-08-18 2016-05-04 崔勋植 装饰组件
US9894963B2 (en) 2014-08-18 2018-02-20 Hun Sik Choi Ornament assembly
KR101638172B1 (ko) * 2015-04-24 2016-07-08 김양순 스냅 파스너용 소켓부재
KR101659984B1 (ko) * 2015-06-04 2016-09-26 정선후 아일렛
KR20170002797A (ko) 2015-06-30 2017-01-09 골든 컴퍼니 엘티디. 핸드백용 아일릿
KR101583359B1 (ko) * 2015-11-24 2016-01-07 김홍관 장신구 결합장치
KR101638149B1 (ko) * 2016-02-16 2016-07-11 김홍관 금속 장식물 고정장치
US10351082B2 (en) 2016-02-16 2019-07-16 Hong Kwan Kim Metal grommet
KR101753096B1 (ko) 2016-05-23 2017-07-03 김양순 메탈 아일릿
WO2017204432A1 (ko) * 2016-05-23 2017-11-30 김양순 메탈 아일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9936B1 (ko) 아일릿부재
EP2415365B1 (en) Side release buckle
US20160135552A1 (en) Enhanced slider
KR100704457B1 (ko) 혁대용 장식버클
KR101490087B1 (ko) 장신구 조립체
CN104125786A (zh) 带扣
US7617801B2 (en) Buckle for pet collar
US9295306B2 (en) Cord lock
KR102368301B1 (ko) 장신구용 잠금쇠, 장신구용 잠금쇠의 조립 세트 및 장신구
KR100880951B1 (ko) 장신구연결장치
EP2047744B1 (en) Buckle for pet collar
KR102265192B1 (ko) 장신구 결합 장치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신구
CN208114135U (zh) 绳带扣
CH714892A2 (it) Dispositivo di chiusura a sgancio rapido per monili.
KR101574461B1 (ko) 장신구 조립체
WO2017204432A1 (ko) 메탈 아일릿
US9346581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d fixing metal label
KR200467928Y1 (ko) 장신구 모듈
KR20170002797A (ko) 핸드백용 아일릿
CN210276163U (zh) 一种节能的手表表带
US10966491B2 (en) Zipper fastener
KR20170071973A (ko) 아일릿
KR20130001844U (ko) 장신용 리벳
KR20170071970A (ko) 아일릿
ITPD20140019U1 (it) Etichetta, particolarmente per capi di abbigliament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