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9574B1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being able to move position of microphone according to behavior state of terminal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being able to move position of microphone according to behavior state of terminal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9574B1
KR101229574B1 KR1020050017382A KR20050017382A KR101229574B1 KR 101229574 B1 KR101229574 B1 KR 101229574B1 KR 1020050017382 A KR1020050017382 A KR 1020050017382A KR 20050017382 A KR20050017382 A KR 20050017382A KR 101229574 B1 KR101229574 B1 KR 101229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voice
microphone
unit
terminal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73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96684A (en
Inventor
김진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50017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9574B1/en
Publication of KR20060096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668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9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95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with voice recogni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나아가 단말기 사용자의 감정상태에 따라 반응하는 통신 단말기 및 상기 통신 단말기에서 마이크 위치를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terminal that recognizes a voice of a terminal user and further reacts according to an emotional state of the terminal user, and a technique of controlling a microphone position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나아가, 본 발명의 통신 단말기는 점차 마이크와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양한 부가 기능들이 탑재되더라도, 각각의 부가 기능에 맞춰 마이크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단말기에 최소한의 마이크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Furthermore,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to move the position of the microphone in accordance with each additional function, even if equipped with a variety of additional functions gradually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the microphone, so that the minimum microphone can be used in the terminal It is about.

이동 통신 단말기, 마이크, 단말 동작 상태, 위치, 통공 Mobile terminal, microphone, terminal operation status, location, through

Description

단말기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단말기 사용자의 감정상태에 따라 반응하는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과, 상기 통신 단말기에서의 마이크 위치 제어 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being able to move position of microphone according to behavior state of terminal and method thereof}A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recognizing a voice of a terminal user and reacting according to an emotional state of the terminal user,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 microphone position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approximately}

도 1a, 1b, 1c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관을 도시한다. 1A, 1B and 1C show an appearan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 회전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2 schematically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a microphone rotat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본 발명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단말기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단말기 사용자의 감정 상태에 따른 반응 흐름도이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eaction according to an emotional state of a terminal user by recognizing a voice of the terminal user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은 본 발명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마이크 위치 제어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icrophone position control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1: 본체부 2,3,4: 통공1: main body 2, 3, 4: through hole

5: 배터리팩 6: 카메라 모듈5: Battery Pack 6: Camera Module

7: 제어선7: control line

18: 마이크 회전부 181: 회전아암18: microphone rotating part 181: rotating arm

182: 서포터 183: 회전축182: supporter 183: rotation axis

184: 모터184: motor

본 발명은 단말기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나아가 단말기 사용자의 감정상태에 따라 반응하는 통신 단말기 및 상기 통신 단말기에서 마이크 위치를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terminal that recognizes a voice of a terminal user and further reacts according to an emotional state of the terminal user, and a technique of controlling a microphone position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최근 들어, 이동 통신 단말기는 모든 개인들이 소지할 만큼 널리 보급되고 있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는 통신기능 외에 카메라 촬영, MP3, 네비게이션, TV/라디오 수신 등 다양한 부가기능을 제공하는 장치가 되고 있다. 그런데, 점차 단말기 사용자들은 필수적으로 휴대하고 다니는 단말기가 사용자의 감정에 따라 반응함으로서 사용자에게 또다른 즐거움을 줄 수 있는 기능을 필요로 하고 있다. In recent yea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ve become widespread so that all individuals possess them. 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become a device that provides a variety of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camera shooting, MP3, navigation, TV / radio reception in addition to the communication function. However, gradually, terminal users are in need of a function to give the user another pleasure by reacting according to the emotion of the user.

단말기 사용자는 예컨대, 멀리 떨어진 단말기를 부르면 단말기가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그 음성을 분석하여 LED, 진동, 벨소리 또는 음성 등을 출력할 수 있기를 원한다. 이 경우, 단말기 사용자는 쉽게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단말기 사용자는 단말기가 사용자의 음성을 분석하여 사용자가 화가 났다라고 판단되면 부드러운 멜로디나 음성 등을 출력해 줌으로서 단말기 사용자의 화를 풀어줄 수도 있기를 원한다. 한편, 단말기 사용자는 단말기가 사용자의 음성을 분석하여 사용자가 기분이 가라앉아 있다라고 판단되면 경괘한 멜로디나 음성 등을 출력해 줌으로서 단말기 사용자의 기분을 풀어줄 수도 있기를 원한다. For example, a terminal user wants to be able to call a remote terminal and to recognize the user's voice and analyze the voice to output LEDs, vibrations, ringtones or voices. In this case, the terminal user can easily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In addition, the terminal user wants to be able to ease the anger of the terminal user by outputting a soft melody or voice when the terminal analyzes the user's voice and determines that the user is angry. On the other hand, the terminal user wants to be able to release the terminal user's mood by outputting a light melody or voice when the terminal analyzes the user's voice and determines that the user is calm.

이 같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이동 통신 단말기는 멀리서도 사용자의 음성을 효과적으로 들을 수 있어야 하고, 또한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해서 반응을 하는 수단이 탑재되어야 한다. 단말기가 멀리서도 사용자의 음성을 효과적으로 듣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단말기 본체부 상측에 고정된 통화용 마이크만으로는 어렵고, 바람직하게는, 단말기 본체부 일 측에 통화용 마이크와 별개로 고감도 마이크가 장착되어야 한다. In order to provide such a func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hould be able to effectively listen to the user's voice from a distance and be equipped with means for recognizing and responding to the user's voice. In order to effectively hear the user's voice even from a distance, it is usually difficult to use only a microphone for communication fixed on the upper side of the terminal main body, and preferably, a high-sensitivity microphone should be mounted on one side of the terminal main body separately from the telephone microphone.

이럴 경우,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전화통화에 사용할 제1 마이크, 동영상 촬영에 사용할 카메라 모듈 옆에 고정되는 제2 마이크, 그리고 멀리 떨어진 사용자의 음성을 듣기 위해 단말기 일 측면에 위치할 제3 마이크를 단말기에 따로 따로 설치하여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this cas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first microphone for a telephone call, a second microphone fixed next to a camera module for video recording, and a third microphone to be located at one side of the terminal to listen to a distant user's voice. There was a problem that must be installed separatel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나아가 단말기 사용자의 감정상태에 따라 반응하는 것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the above background,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recognizing a user's voice and reacting according to the emotional state of the terminal user.

본 발명의 부가적인 목적은 점차 마이크와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양한 부가 기능들이 탑재되더라도, 단말 동작 상태에 따라 마이크의 위치 이동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addition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shifting the position of a microphone according to a terminal operating state even when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that are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a microphone are mount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대기 상태에서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단말기 사용자의 음성 패턴과 메모리부에 저장된 음성 패턴이 일치하는 경우,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단말기 사용자의 음성 패턴을 기초로 분석된 단말기 사용자의 감정 상태에 따라 반응을 결정하고, 반응 결정정보에 따라 각종 출력부를 제어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when a voice pattern of a terminal user input from a microphone and a voice pattern stored in a memory unit coincide with each other, The respons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emotional state of the terminal user analyzed based on the speech pattern, and various output units ar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response determination information.

통상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대기 상태의 경우 대부분의 기능들이 비활성화 상태에 있게 되며 가끔씩 무선 통신 기능만이 활성화되어 기지국과 페이징 채널을 연결을 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대기 상태의 경우 마이크 기능과 상기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을 인식하는 기능이 더 활성화되도록 구현된다. In genera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the inactive state, most of the functions are in the inactive state, and only the radio communication function is only occasionally activated to perform the operation of connecting the paging channel with the base station. Howev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to further activate the microphone function and the function of recognizing the voice input from the microphone in the standby state.

이 같은 양상에 따르면, 예컨대 단말기 사용자가 단말기를 둔 장소를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 단말기를 큰 소리로 부르기만 하면, 단말기가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파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자신을 찾고 있음을 인식하고 벨소리, 음성, 컬러풀한 발광, 진동 등의 동작을 통해 자신의 위치를 알려 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단말기는 단말기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인식하여 그에 따른 벨소리, 음성, 컬러풀한 발광, 진동 등의 동작 등을 출력해 줌으로서 단말기 사용자의 기분을 풀어줄 수도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this aspect, for example, when the terminal user does not remember the place where the terminal is placed, the user simply calls the terminal loudly, and the terminal analyzes the sound waves input from the microphone to recognize that the user is looking for himself and to ring the voice and voice. You can tell your location through the operation, such as colorful light emission, vibration. In addition, the terminal may recognize the emotional state of the terminal user and output a ringtone, voice, colorful light emission, vibration, and the like, thereby releasing the terminal user's mood.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단말 동작 상태에 따라 마이크의 위치 이동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마이크로 음성이 입력되게끔 단말기 본체부에 형성되는 각기 지향방향이 다른 다수의 통공과, 단말 동작 상태를 확인하는 단말 상태 확인부와, 상기 단말 상태 확인부로부터 입력되는 단말 동작 상태정보에 따라 상기 마이크의 위치를 제어하는 마이크 위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 위치 제어부와, 상기 마이크 위치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마이크 위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다수의 통공 중 어느 하나의 통공과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마이크를 회전시키는 마이크 회전부를 포함한다.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moving the position of the microphone according to the terminal operating state. Specificall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through-holes having different directing directions formed in the main body of the terminal so that the micro voice is input, and a terminal state checking unit for confirming the terminal operating state; The microphone position control unit outputs a microphone position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microphone according to the terminal operation state information input from the terminal state checking unit, and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in accordance with the microphone position control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position control unit. It includes a microphone rotating unit for rotating the microphone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ny one of the through holes.

이 같은 양상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점차 마이크와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양한 부가 기능들이 탑재되더라도, 각각의 부가 기능에 맞춰 마이크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단말기 제조업체는 다수의 마이크를 단말기에 장착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단말기 제조업체는 단말기의 부품 장착성을 높이고 단말기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is aspect is implemented to move the position of the microphone in accordance with each additional function, even if equipped with a variety of additional functions that gradually work in conjunction with the microphone, the terminal manufacturer is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microphones in the terminal It can solve the inconvenience. Furthermore, the terminal manufacturer can increase the component mountability of the terminal and reduce the terminal manufacturing cost.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후술하는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foregoing and further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understand and reproduce the present invention.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는 기지국을 포함하는 무선망과 음성 및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유선 전화기, 팩스 등과 같은 통신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For reference, although the present disclosure illustrat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oice and data signals with a wireless network including a base st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mplemented as a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wired telephone or a fax machine. have.

도 1a, 1b, 1c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관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단말 동작 상태에 따라 마이크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단말 동작 상태란 통화 상태, 카메라 촬영 상태, 대기 상태를 포함한다. 1A, 1B and 1C show an appearan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implemented to move the position of the microphone according to the terminal operating state. Here, the terminal operation state includes a call state, a camera photographing state, and a standby state.

본 발명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단말 동작 상태에 따라 마이크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해 본체부에 마이크로 음성이 최대한 효율적으로 입력되게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내부 회로기판에 상기 마이크를 다수의 통공 중 어느 하나의 통공과 대응되는 위치로 회전시키는 마이크 회전부가 장착되어야 한다.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move the position of the microphone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terminal,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should be formed in the main body so that the micro voice can be input as efficiently as possible. In addition, the microphone circuit should be mounted on the internal circuit board to rotate the microphone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이하, 도 1a, 1b, 1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공은 본체부(1) 상측면과, 일 측면과, 후측면에 각각 적어도 1 이상의 통공(2,3,4)들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공(2,3,4)들은 회전되는 마이크의 이동 경로상에 형성된다.  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1A, 1B, and 1C, as illustrated, the through hole may include at least one through hole 2, 3, and 4 at the upper side, one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unit 1, respectively. It is preferably formed. As shown, the apertures 2, 3, 4 are formed on the path of travel of the microphone being rotated.

도 1a에서, 통공(2)은 단말기가 통화 상태인 경우 단말기 사용자의 음성이 마이크로 최대한 효율적으로 입력되게끔 본체부(1) 상측면에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통화 상태는 단말기에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통화버튼 눌림 신호가 입력되는 시점부터 종료버튼 눌림 신호가 입력되는 시점까지의 단말 상태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통화 상태는 착신측 단말기와 음성 호가 연결된 시점부터 종료버튼 눌림 신호가 입력되는 시점까지의 단말 상태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통화 상태는 기지국으로부터 음성 호 연결 요청신호가 입력되는 시점부터 종료버튼 눌림 신호가 입력되는 시점까지의 단말 상태일 수 있다. In FIG. 1A, the through hole 2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 so that the voice of the terminal user can be input as efficiently as possible when the terminal is in a call state. In an embodiment, the call state may be a terminal state from a time point at which a call button press signal is input to the terminal by a time point at which an end button press signal is input. In another embodiment, the call state may be a terminal state from a time point at which the called terminal and a voice call are connected to a time point at which an end button press signal is input. In another embodiment, the call state may be a terminal state from a time point at which the voice call connection request signal is input from the base station to a time point at which the end button press signal is input.

도 1b에서, 통공(3)은 단말기가 대기 상태인 경우 단말기 사용자의 음성이 마이크로 최대한 효율적으로 입력되게끔 본체부(1) 측면에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대기 상태란 단말기에서 통화 상태, 카메라 촬영 상태를 제외한 단말기 사용자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음성 호 연결 요청신호가 입력되기를 기다리는 단말 상태일 수 있다. In FIG. 1B, the through hole 3 is formed at the side of the main body 1 so that the voice of the terminal user is input as efficiently as possible to the microphone when the terminal is in the standby state. In an embodiment, the standby state may be a terminal state waiting for a voice call connection request signal from a terminal user or a base station except for a call state and a camera photographing state in the terminal.

도 1c에서, 통공(4)은 단말기가 카메라 촬영 상태인 경우 소리가 마이크로 최대한 효율적으로 입력되게끔 본체부(1) 후면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카메라 모듈(6)은 본체부(1)의 후면에 위치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앞/뒤로 회전 가능하게끔 구현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카메라 촬영 상태란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카메라 메뉴가 선택되는 시점부터 카메라 메뉴가 종료되는 시점까지의 단말 상태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카메라 촬영 상태란 촬영시작 시점부터 촬영 종료 시점까지의 단말 상태일 수 있다. In FIG. 1C, the through hole 4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main body 1 so that the sound is input as efficiently as possible to the microphone when the terminal is in a camera photographing stat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amera module 6 is illustrated to be located at the rear of the main body 1,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implemented to be able to rotate forward / backward. In an embodiment, the camera photographing state may be a terminal state from a time when a camera menu is selected by a terminal user to a time when the camera menu ends. In another embodiment, the camera photographing state may be a terminal state from a photographing start point to a photographing end point.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장착될 수 있는 마이크 회전부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microphone rotating unit which can be mount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 회전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 회전부는 일 측이 마이크(9) 저면에 고정되는 회전암(181)과, 상기 회전암(181)의 타 측에 연결되는 서포터(182)와, 상기 회전암(181)과 수직이 되게끔 상기 서포터(182)와 연결되는 회전축(183)과, 상기 회전축(183)과 연결되는 모터부(184)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터부(184)는 제어선(7)으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회전축 (183)을 정,역회전시키도록 구현된다. 2 schematically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a microphone rotat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 the microphone rotating part includes a rotary arm 181 on one side of which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microphone 9, a supporter 182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rotary arm 181, and the rotary arm 181. It may be implemented to include a rotary shaft 183 connected to the supporter 182 and a motor unit 184 connected to the rotary shaft 183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supporter 182. In one embodiment, the motor unit 184 is implemented to rotate the rotating shaft 183 forward and revers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input from the control line (7).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크게 기존의 무선 단말기에 공통되는 구성인 폰 제어부(100) 및 그 부속회로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hone control unit 100 and its subcircuits, which are largely common to existing wireless terminals.

부속회로들은 키패드(12)와, 메뉴 및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3)와, 실행 프로그램 및 관련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부(14)와,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과 음성 및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15)와, 상기 무선 통신부(15)로부터의 음성 통화 신호를 스피커(10) 및 마이크(11)를 통해 입출력하는 음성 입출력회로(16)와, 마이크 회전부(17)와, 피사체를 촬영한 영상신호를 입력받는 카메라부(18)와, 각종 출력부(19,20,21,22)를 포함한다. The accessory circuits include a keypad 12, a display unit 13 for displaying menus and operating states, a memory unit 14 for storing an executable program and related data, and a radio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oice and data signals to and from a base station through an antenna. A voice input / output circuit 16 for inputting / outputting a voice call signal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 through the speaker 10 and the microphone 11, the microphone rotating unit 17, and a photographed subject. It includes a camera unit 18 for receiving a video signal, and various output units 19, 20, 21, 22.

키패드(12)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통상 구비되는 키 버튼이나 또는 개인정보단말(PDA) 등에 구비된 터치팬 입력장치 등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들이는 구성이다. 표시부(13)는 문자나 그래픽 등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 액정 표시 장치가 채택될 수 있다. The keypad 12 is configured to accept a user's input, such as a key button normally provid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 touch fan input device provided in a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PDA) or the like. The display unit 13 is for displaying characters, graphics, and the like,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ay be generally employed.

메모리부(14)는 수 메가 비트의 용량을 갖는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과 수 십 메가 비트의 용량을 가지는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가 하나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14)에는 바람직하게는, 단말기 사용자의 음성 패턴이 저장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사용자의 음성 패턴은 단말기 사용자의 감정 상태별로 음성 패턴이 저장될 수 있다. The memory unit 14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chip including a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having a capacity of several megabits and a flash memory having a capacity of several tens of megabits. The memory unit 14 preferably stores voice patterns of terminal users. In one embodiment, the voice pattern of the terminal user may be stored for each emotional state of the terminal user.

무선 통신부(15)는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과 음성 및 데이터를 포함하는 통신신호를 송수신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통신부(15)는 기지국과의 통신을 위한 안테나 및 알에프 회로를 포함하는 무선통신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무선 통신회로는 다양한 버젼의 CDMA방식 뿐 아니라 셀룰라, GSM, W-CDMA 방식 등 현존하는 방식은 물론, 향후에 등장할 이동통신 방식을 포괄하도록 해석된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 transmits and receives a communication signal including voice and data with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antenna. In one embodiment,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 may be composed of a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 including an antenna and an RF circuit for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 is interpreted to cover not only various versions of CDMA but also existing methods such as cellular, GSM, and W-CDMA, as well as mobile communication.

음성 입출력회로(16)는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또는 그 역의 변환을 처리하며, 오디오 증폭회로나 필터와 같은 부가회로를 포함하는 공지의 구성이다. The audio input / output circuit 16 is a well-known configuration including an additional circuit such as an audio amplification circuit or a filter, which processes digital audio data into an analog audio signal or vice versa.

마이크 회전부(17)는 폰 제어부(100)로부터 입력되는 마이크 위치 제어신호에 따라, 다수의 통공 중 어느 하나의 통공과 대응되는 위치로 마이크(9)를 회전시킨다. The microphone rotating unit 17 rotates the microphone 9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according to the microphone position control signal input from the phone controller 100.

카메라부(18)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렌즈계와, 렌즈계로부터의 광신호를 아날로그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촬상부와, 촬상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처리하고 디지털로 변환한 후 신호처리부의 입력에 적합한 포맷으로 변환하는 변환부와, 전체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amera unit 18 includes a lens system, an imaging unit for converting an optical signal from the lens system into an analog electric signal, and a signal output from the imaging unit after processing and converting the signal into a digital unit. It may include a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o a suitable format, and a camer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ntire module.

벨소리출력부(19)는 벨소리 재생부와 벨소리 메모리와 D/A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벨소리 재생부는 폰 제어부(10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벨 소리 음원 데이터가 저장된 벨소리 메모리로부터 해당 벨 소리의 음원을 추출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벨소리 재생부는 야마하(YAMAHA) 모바일 오디오 칩 또는 MP3 오디오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D/A변환기는 벨소리 재생부로부터 재생되어 출력되는 벨 소리 음원을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앰프(도시하지 않음.)와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벨 소리 음원은 상기 무선 통신부(15)를 통해 벨소리를 제공하는 왑(WAP) 서버로부터 다운받을 수 있다. The ringtone output unit 19 may include a ringtone reproducing unit, a ringtone memory, and a D / A converter. The ringer reproducing unit extracts a sound source of the bell sound from the ringtone memory in which the bell sound source data is stored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input from the phone controller 100. In one embodiment, the ringer reproducing unit may be implemented as a Yamaha mobile audio chip or an MP3 audio chip. The D / A converter converts the bell sound source reproduced and output from the ringtone reproducing unit into an audible sound and outputs it through an amplifier (not shown) and a speaker (SPK). The ring sound source may be downloaded from a WAP server that provides a ring ton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

음성출력부(20)는 음성합성부와 음성메모리와 D/A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폰 제어부(100)는 음성출력부(20)로 음성 합성을 위한 텍스트정보를 출력하도록 구현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음성합성부는 상기 텍스트정보를 해석하는 텍스트 해석부와 규칙 합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음성메모리는 파형 데이터 형태로 저장된 음소편 데이터를 저장하는 음원DB와, 각 단어의 품사 정보나 읽기, 액센트 등의 정보가 기술된 단어DB와, 상기 단어DB에 기술된 단어에 대한 문법 규칙 정보가 기술된 문법DB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voice output unit 20 may include a voice synthesizer, a voice memory, and a D / A converter.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phone controller 100 transmits text information for voice synthesis to the voice output unit 20. It is implemented to outpu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speech synthesis unit includes a text analysis unit and a rule synthesis unit for interpreting the text information, the speech memory is a sound source DB for storing phoneme piece data stored in the form of waveform data, parts of speech information of each word And a word DB in which information such as reading and accent is described, and a grammar DB in which grammar rule information about the word described in the word DB is described.

상기 텍스트 해석부는 단어DB 및 문법DB에 기초하여 폰 제어부(100)로부터 입력되는 텍스트의 형태소 해석이나 구문 해석을 포함하는 텍스트 해석을 수행하고, 액센트, 억양, 강도 등을 포함하는 운율정보와 각 단어의 발음을 나타내는 음운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추출한다.The text analyzing unit performs text analysis including morphological analysis or syntax analysis of text input from the phone control unit 100 based on the word DB and the grammar DB, and includes rhyme information including accents, intonation, strength, and the like. Extracts information including phonological information indicating a pronunciation of a.

상기 규칙 합성부는 상기 텍스트 해석부로부터 입력되는 운율정보와 각 단어의 발음을 나타내는 음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음원DB로부터 필요한 음소편 데이터를 읽어 들여 이를 접속하고 또한, 음소편 데이터의 파형을 가공하고, 또한, 액센트, 억양, 강도 등을 적절하게 부가함으로써, 합성음 데이터를 생성한다. The rule synthesizing unit reads and connects necessary phoneme piece data from the sound source DB based on the rhyme information input from the text analyzing unit and the phoneme information indicating the pronunciation of each word, and processes the waveform of the phoneme piece data. Furthermore, synthesized sound data is generated by appropriately adding accents, intonations, strengths, and the like.

D/A변환기는 음성합성부로부터 재생되어 출력되는 합성음 데이터를 가청음으 로 변환하여 앰프(도시하지 않음.)와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한다. The D / A converter converts synthesized sound data reproduced and output from the voice synthesizer into audible sound and outputs it through an amplifier (not shown) and a speaker (SPK).

발광부(21)는 백라이트(backlight)와 상기 백라이트를 구동하는 백라이트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백라이트 구동부는 폰 제어부(100)로부터 폰의 감정상태에 대응하는 발광패턴 데이터를 입력받아 다양한 백라이트 조명이 연출되도록 백라이트를 구동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는 통상 RGB의 삼색의 조합에 의한 컬러풀한 조명색을 발광할 수 있는 단일 패키징의 엘이디(LED)가 채택될 수 있다. The light emitter 21 may include a backlight and a backlight driver to drive the backligh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acklight driving unit receives the light emission pattern data corresponding to the emotional state of the phone from the phone controller 100 to drive the backlight to produce a variety of backlight illumination. In one embodiment, the backlight may be a single packaged LED (LED) capable of emitting a colorful illumination color, typically by a combination of three colors of RGB.

진동부(22)는 진동모터와 상기 진동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진동모터 구동부를 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진동모터 구동부는 폰 제어부(100)로부터 폰의 감정상태에 대응하는 모터구동 데이터를 입력받아 다양한 진동 패턴을 연출되도록 진동모터를 구동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진동모터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널리 사용되는 편평형 코아리스 진동모터로 구현될 수 있다.The vibrator 22 may include a vibration motor and a vibration motor driver for driving the vibration motor. In one embodiment, the vibration motor driving unit receives the motor driving data corresponding to the emotional state of the phone from the phone control unit 100 to drive the vibration motor to produce a variety of vibration patterns. In one embodiment, the vibration motor may be implemented as a flat core vibration vibration motor widely us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폰 제어부(100)는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와 메모리와 주변장치들이 집적된 칩모듈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중앙처리장치에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실행함으로써, 각종 처리를 수행한다. 이하, 상기 폰 제어부(100)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The phone control unit 100 may be implemented as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chip module in which a memory and peripheral devices are integrated, and by executing the control program and data stored in the memory i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Perform the process.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hone control unit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있어서, 폰 제어부(100)는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단말기 사용자의 음성으로부터 단말기 사용자의 음성 패턴을 추출하여 상기 메모리부(14)에 저장하는 음성 패턴 등록부(103)와, 대기 상태에서 마이크로부 터 입력된 단말기 사용자의 음성 패턴과 상기 메모리부(14)에 저장된 음성 패턴이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는 음성 인식부(105)와, 상기 음성 인식부(105)로부터 단말기 사용자 음성 확인신호가 입력되면, 메모리부(14)에 저장된 단말기 사용자의 음성 패턴을 기초로 단말기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분석하여 출력하는 음성 분석부(110)와, 상기 음성 분석부(110)로부터 입력되는 단말기 사용자의 감정 상태정보에 따른 반응을 결정하는 반응 결정부(115)와, 상기 반응 결정부(115)로부터 입력되는 반응 결정정보에 따라 각종 출력부를 제어하는 출력 제어부(120)을 포함한다. 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one embodiment, the phone controller 100 is a voice pattern registration unit 103 for extracting the voice pattern of the terminal user from the voice of the terminal user input from the microphone to store in the memory unit 14, A voice recognition unit 105 for checking whether a voice pattern of the terminal user input from the micro device in the standby state matches the voice pattern stored in the memory unit 14, and a terminal user voice confirmation signal from the voice recognition unit 105; When is input, the voice analysis unit 110 for analyzing and outputting the emotional state of the terminal user based on the voice pattern of the terminal user stored in the memory unit 14, and the terminal of the user input from the voice analysis unit 110 A response determiner 115 for determining a response according to the emotional state information, and various output units according to the response determination information input from the reaction determiner 115. The output includes the output control unit 120.

음성 인식부(105)는 발화자(發話者)가 음성으로 전달하려고 의도한 언어적인 내용, 즉 음운성을 기계적으로 추출하는 통상적으로 널리 공지된 음성 인식 프로그램 코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speech recognizer 105 may be embodied by commonly known speech recognition program codes that mechanically extract verbal contents intended to be transmitted by a talker, that is, phonology.

음성 분석부(110)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단말기 사용자 음성 신호의 음량 또는 주파수의 고/저와 메모리부(14)에 저장된 단말기 사용자의 음성 패턴을 비교하여 단말기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판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음성 분석부(110)는 음량(신호레벨)이 높고, 음성 주파수 또한 높다면 단말기 사용자가 화가 났다라고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음성 분석부(110)는 음성 주파수만 높은 경우에는 단말기 사용자가 기분이 좋다라고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음성 분석부(110)는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단말기 사용자 음성 패턴과 메모리부(14)에 저장된 단말기 사용자의 음성 패턴들을 비교하여 단말기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판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voice analyzer 110 compares a voice volume of a terminal user stored in the memory unit 14 with a high / low level of a volume or frequency of a terminal user voice signal input from a microphone and an emotional state of the terminal user. It can be implemented to determine. In one embodiment, the voice analyzer 110 may determine that the terminal user is upset if the volume (signal level) is high and the voice frequency is also high. In another embodiment, if only the voice frequency is high, the voice analyzer 110 may determine that the terminal user feels good. In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the voice analyzer 110 may be implemented to determine the emotional state of the terminal user by comparing the terminal user voice pattern input from the microphone with the voice patterns of the terminal user stored in the memory unit 14.

반응 결정부(115)는 상기 음성 분석부(110)로부터 입력되는 단말기 사용자의 감정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단말기의 동작을 결정하며, 반응 패턴DB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반응 패턴DB에는 벨소리, 음성, 컬러풀한 발광, 진동 패턴 등이 저장되며, 또한 단말기 사용자 감정 상태정보와 상기 벨소리, 음성, 컬러풀한 발광, 진동 패턴 각각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규칙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The response determiner 115 determines an operation of the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emotional stat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user input from the voice analyzer 110 and includes a response pattern DB.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response pattern DB stores a ring tone, a voice, colorful light emission, a vibration pattern, and the like, and also maps a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terminal user emotion state information and the ring tone, voice, colorful light emission, and vibration pattern. Indicative rule information may be stored.

출력 제어부(120)는 발광부(21)를 통해 단말기 감정에 대응하는 다양한 발광 패턴이 연출되도록 상기 발광부(21)를 제어하는 발광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발광 제어부는 단말기의 감정 상태가 좋을 수록 발광 색도값을 강렬한 색상을 할당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발광 패턴은 빨강->주황->노랑->초록->파랑->남색->보라->빨강의 순으로 미리 정해져 있고, 발광 제어부는 단말 감정 상태에 따라 예컨대, 단말기 감정이 매우 좋은 경우에는 발광 패턴의 순환을 빨리하고 단말기 감정이 안 좋은 경우 발광 패턴의 순환을 느리게 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The output controller 120 may further include a light emission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light emitter 21 to produce various light emission patterns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emotion through the light emitter 21.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light emission controller may allocate an intense color to the emission chromaticity value as the emotional state of the terminal is better. In another embodiment, the light emission pattern is predetermined in the order of red-> orange-> yellow-> green-> blue-> dark blue-> violet-> red, and the light emission control unit is configured according to the terminal emotional state, for example, the terminal. If the emotion is very good, it may be controlled to accelerate the circulation of the light emission pattern, and to slow down the circulation of the light emission pattern when the terminal emotion is not good.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출력 제어부(120)는 단말기 감정에 대응하는 다양한 벨소리 신호가 출력되도록 벨소리 출력부(19)를 제어하는 벨소리 출력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벨소리 출력 제어부는 단말기의 감정 상태가 좋을 수록 경쾌하고, 비트가 빠른 벨소리가 연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output controller 120 may further include a ringtone output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ringtone output unit 19 to output various ringtone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emotion. In one embodiment, the ringer output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ringer to produce a lighter, faster beat as the emotional state of the terminal is better.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출력 제어부(120)는 단말기 감정에 대응하는 음성 신호가 출력되도록 음성출력부(20)를 제어하는 음성 출력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음성 출력 제어부는 단말기의 감정 상태정 보에 따른 음성 합성을 위한 텍스트정보를 음성출력부(20)로 출력한다. 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put controller 120 may further include a voice output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voice output unit 20 to output a voic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emotion. In one embodiment, the voice output control unit outputs text information for voice synthesis according to the emotional stat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o the voice output unit 20.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출력 제어부(120)는 단말기 감정에 대응하는 다양한 진동 패턴이 연출되도록 진동부(22)를 제어하는 진동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 제어부는 단말기의 감정 상태가 「두려움」이나「슬픔」혹은「분노」상태일 경우 상기 진동부(22)의 동작을 제어하여 진동이 발생하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output controller 120 may further include a vibration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vibration unit 22 to produce various vibration patterns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emotion. The vibration control unit is preferably implemented to generate vibration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vibration unit 22 when the emotional state of the terminal is "fear", "sorrow" or "anger" state.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단말 동작 상태를 확인하는 단말 상태 확인부(125)와, 상기 단말 상태 확인부(125)로부터 입력되는 단말 동작 상태정보에 따라 상기 마이크의 위치를 제어하는 마이크 위치 제어신호를 마이크 회전부(17)로 출력하는 마이크 위치 제어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terminal state confirming unit 125 for confirming a terminal operating state and a position of the microphone according to terminal operating state information input from the terminal state confirming unit 125. The microphone position control unit 130 may further include a microphone position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microphone position control signal.

단말 상태 확인부(125)는 키패드(12)로부터의 키 신호 또는 무선 통신부(15)로부터의 음성 및 데이터 신호 입력을 체크하여 통화 상태, 카메라 촬영 상태, 대기 상태를 포함하는 단말 동작 상태를 확인하는 일련의 공지된 단말 동작이다. The terminal state checking unit 125 checks a key signal from the keypad 12 or a voice and data signal input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 to check a terminal operating state including a call state, a camera photographing state, and a standby state. A series of known terminal operations.

일 실시예에 있어서, 통화 상태는 키패드(12)로부터 통화버튼 눌림 신호가 입력되는 시점부터 종료버튼 눌림 신호가 입력되는 시점까지의 단말 상태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통화 상태는 착신측 단말기와 음성 호가 연결된 시점부터 종료버튼 눌림 신호가 입력되는 시점까지의 단말 상태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통화 상태는 무선 통신부(15)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음성 호 연결 요청신호가 입력되는 시점부터 종료버튼 눌림 신호가 입력되는 시점까지의 단말 상태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all state may be a terminal state from a time point at which the call button press signal is input from the keypad 12 to a time point at which the end button press signal is input. In another embodiment, the call state may be a terminal state from a time point at which the called terminal and a voice call are connected to a time point at which an end button press signal is input. In another embodiment, the call state may be a terminal state from the time point at which the voice call connection request signal is input from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 to the time point at which the end button press signal is input.

한편, 대기 상태란 일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기에서 통화 상태, 카메라 촬영 상태를 제외한 키패드(12) 또는 무선 통신부(15)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음성 호 연결 요청신호가 입력되기를 기다리는 단말 상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대기 상태의 경우 기지국과 페이징 채널을 연결을 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기능 외에 마이크 기능과 상기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을 인식하는 기능이 더 활성화되도록 구현된다. Meanwhile, in the exemplary embodiment, the standby state may be a terminal state waiting for a voice call connection request signal from a base station through a keypad 12 or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 except for a call state and a camera photographing stat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a microphone function and a function of recognizing a voice input from the microphone in addition to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performing an operation of connecting a base station and a paging channel in a standby state. do.

한편, 카메라 촬영 상태란 일 실시예에 있어서, 키패드(12)로부터 카메라 메뉴가 선택되는 시점부터 카메라 메뉴가 종료되는 시점까지의 단말 상태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카메라 촬영 상태란 키패드(12)로부터 촬영시작이 입력되는 시점부터 촬영 종료 시점까지의 단말 상태일 수 있다. Meanwhile, in one embodiment, the camera photographing state may be a terminal state from a time when a camera menu is selected from the keypad 12 to a time when the camera menu ends. In another embodiment, the camera photographing state may be a terminal state from a time point at which a picture start is input from the keypad 12 to a picture point end point.

마이크 위치 제어부(130)는 키패드(12)로부터 입력되는 마이크 위치 이동에 관한 자동/수동 모드를 지원하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마이크 위치 제어부(130)는 상기 키패드(12)로부터 마이크 위치 이동에 관한 자동 모드가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단말 상태 확인부(125)로부터 입력되는 단말 상태 정보에 따라 마이크의 위치를 미리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현된다. The microphone position control unit 130 may be implemented to support an automatic / manual mode relating to a microphone position movement input from the keypad 12. In one embodiment, the microphone position control unit 130 is a microphone according to the terminal state information input from the terminal status check unit 125 when the automatic mode selection signal for the movement of the microphone position from the keypad 12 is input; It is implemented to move the position of to a preset position.

단말 상태 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마이크 위치란, 일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기가 통화 상태인 경우 본체부 상측에 형성된 통공과 대응되는 위치, 단말기가 대기 상태인 경우 본체부 측면에 형성된 통공과 대응되는 위치, 단말기가 카메라 촬영 상태인 경우 본체부 후면에 형성된 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일 수 있다. The preset microphone position according to the terminal state information is, in one embodimen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when the terminal is in a call state, and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side of the main body when the terminal is in a standby state. When the terminal is in the camera photographing state, the terminal may be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formed at the rear of the main body.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마이크 위치 제어부(130)는 상기 키패드(12)로부터 마이크 위치 이동에 관한 수동 모드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키패드(12)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조작 신호에 따라 마이크(9)의 위치를 이동시키도록 구현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manual mode selection signal regarding the movement of the microphone position is input from the keypad 12, the microphone position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microphone 9 according to a user manipulation signal input from the keypad 12. It may be implemented to move the position.

도 5 는 본 발명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단말기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단말기 사용자의 감정 상태에 따른 반응 흐름도이다. 통상적으로 기존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대기 상태에서는 마이크를 포함하는 대부분의 기능들이 비활성화 상태에 있게 되며 가끔씩 무선 통신 기능만이 활성되어 기지국과 페이징 채널 연결을 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대기 상태에서도 마이크 기능과 상기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을 인식하는 최소한기능이 더 활성화된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eaction according to an emotional state of a terminal user by recognizing a voice of the terminal user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 general, the exi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standby state, most of the functions including the microphone is in a deactivated state, and sometimes only th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is activated to perform the paging channel connection with the base station. Howev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activates the microphone function and the minimum function of recognizing the voice input from the microphone even in the standby state.

먼저, 폰 제어부(100)는 마이크로부터 단말기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되면(S301), 단말기 사용자의 음성 패턴과 메모리부(14)에 저장된 음성 패턴이 일치하는지를 확인한다(S302). 확인 결과, 일치하는 경우 폰 제어부(100)는 메모리부(14)에 저장된 단말기 사용자의 음성 패턴을 기초로 단말기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분석한다(S303). 일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기 사용자의 음성정보를 분석방법은,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단말기 사용자 음성 신호의 음량 또는 주파수의 고/저와 메모리부(14)에 저장된 단말기 사용자의 음성 패턴을 비교하여 단말기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판단하는 것이다. 예컨대, 음량(신호레벨)이 높고, 음성 주파수 또한 높다면 단말기 사용자가 화가 났다라고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기 사용 자의 음성정보를 분석방법은,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단말기 사용자 음성 패턴과 메모리부(14)에 저장된 단말기 사용자 음성 패턴들을 비교하여 단말기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판단하는 것이다.First, when the voice of the terminal user is input from the microphone (S301), the phone controller 100 checks whether the voice pattern of the terminal user matches the voice pattern stored in the memory unit 14 (S302). As a result of the check, the phone controller 100 analyzes the emotional state of the terminal user based on the voice pattern of the terminal user stored in the memory 14 (S303). In one embodiment, the method of analyzing the voic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user, the terminal user by comparing the high and low volume or frequency of the terminal user voice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and the voice pattern of the terminal user stored in the memory unit 14 To judge your emotional state. For example, if the volume (signal level) is high and the voice frequency is also high,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user is upset. In another embodiment, the method of analyzing the voic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user is to compare the terminal user voice patterns input from the microphone with the terminal user voice patterns stored in the memory unit 14 to determine the emotional state of the terminal user.

이후, 폰 제어부(100)는 분석된 단말기 사용자의 감정 상태정보에 따른 반응을 결정한다(S304).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반응 결정방법은, 단말기 사용자 감정 상태정보에 대응되는 벨소리, 음성, 컬러풀한 발광, 진동 패턴을 선택하는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후 폰 제어부(100)는 반응 결정정보에 따라 각종 출력부를 제어한다(S305). 이후 폰 제어부(100)는 키패드(12)로부터 종료 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확인하여(S306) 종료 신호가 입력되지 않았으면 단계 S302로 복귀하고 종료되었으면 처리를 종료한다. Thereafter, the phone controller 100 determines a response based on the analyzed emotional stat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user (S304). In one embodiment, the response determination method may be implemented by selecting a ring tone, voice, colorful light emission, vibration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user emotional state information. Thereafter, the phone controller 100 controls various output units according to the response determination information (S305). Thereafter, the phone controller 100 checks whether an end signal is input from the keypad 12 (S306). If the end signal is not input, the phone control unit 100 returns to step S302.

도 6 은 본 발명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마이크 위치 제어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icrophone position control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키패드(12)로부터 입력되는 마이크 위치 이동에 관한 자동/수동 모드를 지원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는 마이크 위치 이동에 관한 자동 모드에서 본 발명의 이동 통신 단말기가 마이크의 위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to support an automatic / manual mode relating to a microphone position movement input from the keypad 12. Hereinafter,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 method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to control the position of the microphone in the automatic mode relating to the microphone position movement.

본 발명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마이크의 위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먼저 키패드(12)로부터 전원버튼 눌림 신호가 입력되면 전원 온이 된다(S401). 이후, 마이크의 위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단말 동작 상태를 확인한다. In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microphon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ower button pressing signal is input from the keypad 12, the power is turned on (S401). Then,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microphone checks the terminal operating state.

일 실시예에 있어서, 폰 제어부(100)는 키패드(12)로부터의 키 신호 또는 무선 통신부(15)로부터의 음성 및 데이터 신호 입력을 체크하여 현재 단말기가 통화 상태, 카메라 촬영 상태, 대기 상태인지를 확인한다(S402, S403, S404). In one embodiment, the phone control unit 100 checks the input of the key signal from the keypad 12 or the voice and data signal input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 to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terminal is in a call state, a camera photographing state, or a standby state. Check (S402, S403, S404).

일 실시예에 있어서, 통화 상태는 키패드(12)로부터 통화버튼 눌림 신호가 입력되는 시점부터 종료버튼 눌림 신호가 입력되는 시점까지의 단말 상태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통화 상태는 착신측 단말기와 음성 호가 연결된 시점부터 종료버튼 눌림 신호가 입력되는 시점까지의 단말 상태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통화 상태는 무선 통신부(15)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음성 호 연결 요청신호가 입력되는 시점부터 종료버튼 눌림 신호가 입력되는 시점까지의 단말 상태일 수 있다. 한편, 대기 상태란 일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기에서 통화 상태, 카메라 촬영 상태를 제외한 키패드(12) 또는 무선 통신부(15)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음성 호 연결 요청신호가 입력되기를 기다리는 단말 상태일 수 있다. 한편, 카메라 촬영 상태란 일 실시예에 있어서, 키패드(12)로부터 카메라 메뉴가 선택되는 시점부터 카메라 메뉴가 종료되는 시점까지의 단말 상태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카메라 촬영 상태란 키패드(12)로부터 촬영시작이 입력되는 시점부터 촬영 종료 시점까지의 단말 상태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all state may be a terminal state from a time point at which the call button press signal is input from the keypad 12 to a time point at which the end button press signal is input. In another embodiment, the call state may be a terminal state from a time point at which the called terminal and a voice call are connected to a time point at which an end button press signal is input. In another embodiment, the call state may be a terminal state from the time point at which the voice call connection request signal is input from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 to the time point at which the end button press signal is input. Meanwhile, in the exemplary embodiment, the standby state may be a terminal state waiting for a voice call connection request signal from a base station through a keypad 12 or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 except for a call state and a camera photographing state. Meanwhile, in one embodiment, the camera photographing state may be a terminal state from a time when a camera menu is selected from the keypad 12 to a time when the camera menu ends. In another embodiment, the camera photographing state may be a terminal state from a time point at which a picture start is input from the keypad 12 to a picture point end point.

폰 제어부(100)는 통화 상태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S402에서 현재 단말기가 통화 상태인 경우, 마이크가 본체부 상측에 형성된 통공과 대응되는 위치로 회전되게끔 제어한다(S406). The phone controller 100 controls the microphone to be rotat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in step S402 when checking whether the phone is in a call state (S406).

한편, 폰 제어부(100)는 카메라 촬영 상태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S403에서 현재 단말기가 카메라 촬영 상태인 경우, 마이크가 본체부 후측에 형성된 통공과 대응되는 위치로 회전되게끔 제어한다(S407). On the other hand, the phone control unit 100 controls the microphone to be rotat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rear of the main body when the current terminal is in the camera shooting state in step S403 to check whether the camera shooting state (S407).

한편, 폰 제어부(100)는 대기 상태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S404에서 현재 단말기가 대기 상태인 경우, 마이크가 본체부 일 측면에 형성된 통공과 대응되는 위치로 회전되게끔 제어한다(S408). On the other hand, the phone control unit 100 controls the microphone to be rotat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in the step S404 of checking whether the standby state in step S404 (S408).

폰 제어부(100)는 키패드(12)로부터 전원 오프 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확인하여(S405) 전원 오프 신호가 입력되지 않았으면 통화 상태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S402로 복귀하고 종료되었으면 처리를 종료한다. The phone control unit 100 checks whether the power-off signal is input from the keypad 12 (S405), and if it is not input, checks whether the call is in a call state and returns to step S402.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단말기 사용자가 직장이나 가정에서 단말기 둔 장소를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 단말기를 큰 소리로 부르면, 단말기는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을 인식하고 액정 화면을 표시하거나, 벨소리, 음성, 컬러풀한 발광, 진동, 모터 구동 등의 동작을 통해 자신의 위치를 알려 줄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단말기는 단말기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인식하여 그에 따른 벨소리, 음성, 컬러풀한 발광, 진동 등의 동작 등을 출력해 줌으로서 단말기 사용자의 기분을 풀어줄 수도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detai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lls the terminal loudly when the terminal user does not remember the place where the terminal is placed at work or at home, the terminal recognizes the voice input from the microphone and displays the liquid crystal display. There is a useful effect that can indicate their location through the display, or operation such as ringtone, voice, colorful light emission, vibration, motor drive. In addition, the terminal recognizes the emotional state of the terminal user and outputs an operation such as a ringtone, voice, colorful light emission, vibration, and the like, thereby having a useful effect of releasing the terminal user's moo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점차 마이크와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양한 부가 기능들이 탑재되더라도, 각각의 부가 기능에 맞춰 마이크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단말기 제조업체는 다수의 마이크를 단말기에 장착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단말기 제조업체는 단말기의 부품 장착성을 높이고 단말기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it is equipped with a variety of additional functions that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gradual gradually, it is implemented to move the position of the microphone according to each additional function, the terminal manufacturer has to mount a plurality of microphones to the terminal It can solve the inconvenience. Furthermore, the terminal manufacturer has a useful effect of increasing the component mountability of the terminal and reducing the terminal manufacturing cost.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라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이러한 많은 변형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various obv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from this description. Therefore, it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claims described to include many such variations.

Claims (19)

대기 상태에서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단말기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단말기 사용자의 감정상태에 따라 반응하는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In a communication terminal that recognizes the voice of the terminal user input from the microphone in the standby state and reacts according to the emotional state of the terminal user, 단말기 사용자의 음성 패턴이 저장되는 메모리부와;A memory unit for storing a voice pattern of a terminal user;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단말기 사용자의 음성으로부터 단말기 사용자의 음성 패턴을 추출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음성 패턴 등록부와; A voice pattern registration unit for extracting a voice pattern of the terminal user from the voice of the terminal user input from the microphone and storing the voice pattern of the terminal user; 대기 상태에서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단말기 사용자의 음성 패턴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음성 패턴이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는 음성 인식부와;A voice recognition unit checking whether a voice pattern of the terminal user input from the microphone and the voice pattern stored in the memory unit match in the standby state; 상기 음성 인식부로부터 단말기 사용자 음성 확인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단말기 사용자의 음성 패턴을 기초로 단말기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분석하여 출력하는 음성 분석부와;A voice analyzer configured to analyze and output an emotional state of the terminal user based on a voice pattern of the terminal user stored in the memory unit when a terminal user voice confirmation signal is input from the voice recognition unit; 상기 음성 분석부로부터 입력되는 단말기 사용자의 감정 상태정보에 따른 반응을 결정하는 반응 결정부와;A response determiner configured to determine a response according to the emotional stat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user input from the voice analyzer; 상기 반응 결정부로부터 입력되는 반응 결정정보에 따라 각종 출력부를 제어하는 출력 제어부;An output controller which controls various output units according to reaction determination information inputted from the reaction determination unit;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분석부가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단말기 사용자 음성 신호의 음량 또는 주파수의 고/저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단말기 사용 자의 음성 패턴을 비교하여 단말기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voice analyzer determines the emotional state of the terminal user by comparing the high / low of the volume or frequency of the terminal user voice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with the voice pattern of the terminal user stored in the memory unit. Communication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가 단말기 사용자의 감정 상태별로 음성 패턴이 저장되고,The voice pattern of claim 1, wherein the memory unit stores a voice pattern for each emotional state of the terminal user. 상기 음성 분석부가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단말기 사용자 음성 패턴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단말기 사용자 음성 패턴들을 비교하여 단말기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And comparing the terminal user voice patterns input from the microphone with the terminal user voice patterns stored in the memory unit to determine an emotional state of the terminal user.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제어부가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output control unit comprises: 반응 결정정보에 대응하는 벨소리 신호가 출력되도록 벨소리 출력부를 제어하는 벨소리 출력 제어부;A ringtone output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a ringtone output unit to output a rington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sponse determination information;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제어부가 :The apparatus of claim 4, wherein the output control unit: 반응 결정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신호가 출력되도록 음성 출력부를 제어하는 음성 출력 제어부;A voice output control unit controlling a voice output unit to output a voic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sponse determination information;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제어부가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output control unit: 반응 결정정보에 대응하는 발광 패턴이 연출되도록 발광부를 제어하는 발광 제어부;A light emission controller controlling the light emission unit to produce a light emission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reaction determination information;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제어부가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output control unit: 반응 결정정보에 대응하는 다양한 진동 패턴이 연출되도록 진동부를 제어하는 발광 제어부;A light emission controller which controls the vibration unit to produce various vibration patterns corresponding to the response determination information;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기가 :4. A communication terminal as claimed in any preceding claim where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마이크로 음성이 유입되게끔 단말기 본체부에 형성되는 각기 지향방향이 다른 다수의 통공과;A plurality of through holes, each having a different direction, formed in the main body of the terminal so that the micro voice is introduced; 단말 동작 상태를 확인하는 단말 상태 확인부와; A terminal state checking unit for checking a terminal operating state; 상기 단말 상태 확인부로부터 입력되는 단말 동작 상태정보에 따라 상기 마이크의 위치를 제어하는 마이크 위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 위치 제어부와; A microphone position control unit configured to output a microphone position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microphone according to terminal operation state information input from the terminal state checking unit; 상기 마이크 위치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마이크 위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다수의 통공 중 어느 하나의 통공과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마이크를 회전시키는 마이크 회전부; A microphone rotation unit configured to rotate the microphone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according to a microphone position control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position control unit;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통공이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plurality of apertures are: 본체부 상측면과, 일 측면과, 후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적어도 1 이상의 통공을 포함하되, 상기 다수의 통공은 상기 마이크 회전부에 의해 회전되는 마이크의 이동 경로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A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t least one through hole formed in the upper side, one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respectively, wherein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on the movement path of the microphone rotated by the microphone rotating part.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기가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키 패드와; 메뉴 및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와;A keypa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menu and an operation state;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과 음성 및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와;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oice and data signals with the base station through an antenna; 상기 무선 통신부로부터의 음성 통화 신호를 마이크 및 스피커를 통해 입출력하는 음성 입출력회로; A voice input / output circuit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a voice call signal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rough a microphone and a speaker; 를 더 포함하고, More, 상기 마이크 위치 제어부가 :The microphone position control: 상기 단말 상태 확인부로부터 통화 상태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마이크가 본체부 상측에 형성된 통공과 대응되는 위치로 회전되게끔 상기 마이크 회전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And when the call state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terminal state checking unit, controlling the microphone rotating unit to rotate the microphone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through hole formed in an upper side of the main body unit.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기가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claim 10, where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렌즈계로부터 입력되는 광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카메라부; 를 더 포함하고, A camera unit for converting and outputting an optical signal input from the lens system into an electrical signal; More, 상기 마이크 위치 제어부가 :The microphone position control: 상기 단말 상태 확인부로부터 카메라 촬영 상태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마이크가 본체부 후측에 형성된 통공과 대응되는 위치로 회전되게끔 상기 마이크 회전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And when the camera photographing state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terminal state checking unit, controlling the microphone rotating unit to rotate the microphone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through hole formed at a rear side of the main body unit.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위치 제어부가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microphone position control unit: 상기 단말 상태 확인부로부터 대기 상태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마이크가 본체부 일 측면에 형성된 통공과 대응되는 위치로 회전되게끔 상기 마이크 회전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And when the standby state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terminal state checking unit, controlling the microphone rotating unit to rotate the microphone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through hole form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unit. 대기 상태에서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단말기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단말기 사용자의 감정상태에 따라 반응하는 통신 단말기에서 실행 가능한 단말기 사용자의 감정 상태에 따른 반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A method of reacting according to an emotional state of a terminal user executable in a communication terminal that recognizes a voice of a terminal user input from a microphone in a standby state and reacts according to an emotional state of the terminal user, the method comprising: 대기 상태에서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단말기 사용자의 음성 패턴과 메모리부에 저장된 음성 패턴이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Checking whether a voice pattern of the terminal user input from the microphone and the voice pattern stored in the memory unit match in the standby state; 확인 결과, 일치하는 경우 메모리부에 저장된 단말기 사용자의 음성 패턴을 기초로 단말기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와;Analyzing the emotional state of the terminal user based on a voice pattern of the terminal user stored in the memory unit when the result of the check is matched; 분석된 단말기 사용자의 감정 상태정보에 따른 반응을 결정하는 단계와;Determining a response according to the emotional state information of the analyzed terminal user; 반응 결정정보에 따라 각종 출력부를 제어하는 단계;Controlling various output units according to the reaction determination information;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사용자의 감정 상태에 따른 반응 방법.Rea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emotional state of the terminal us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사용자의 음성정보를 분석하는 단계가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analyzing the voic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user comprises: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단말기 사용자 음성 신호의 음량 또는 주파수의 고/저와 메모리부에 저장된 단말기 사용자의 음성 패턴을 비교하여 단말기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Determining the emotional state of the terminal user by comparing the high / low of the volume or frequency of the terminal user voice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with the voice pattern of the terminal user stored in the memory unit;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사용자의 감정 상태에 따른 반응 방법.Rea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emotional state of the terminal user, characterized in that.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사용자의 음성정보를 분석하는 단계가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analyzing the voic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user comprises: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단말기 사용자 음성 패턴과 메모리부에 저장된 단말기 사용자 음성 패턴들을 비교하여 단말기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Determining an emotional state of the terminal user by comparing the terminal user voice patterns input from the microphone with the terminal user voice patterns stored in the memory unit;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사용자의 감정 상태에 따른 반응 방법.Rea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emotional state of the terminal user, characterized in tha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50017382A 2005-03-02 2005-03-02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being able to move position of microphone according to behavior state of terminal and method thereof KR1012295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7382A KR101229574B1 (en) 2005-03-02 2005-03-02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being able to move position of microphone according to behavior state of terminal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7382A KR101229574B1 (en) 2005-03-02 2005-03-02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being able to move position of microphone according to behavior state of terminal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6684A KR20060096684A (en) 2006-09-13
KR101229574B1 true KR101229574B1 (en) 2013-02-05

Family

ID=37624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7382A KR101229574B1 (en) 2005-03-02 2005-03-02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being able to move position of microphone according to behavior state of terminal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957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4301B1 (en) * 2006-06-01 2007-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Mobile terminal for changing operation mode by using speech recognition and a method thereof
US8666751B2 (en) * 2011-11-17 2014-03-04 Microsoft Corporation Audio pattern matching for device activation
KR101978688B1 (en) * 2012-10-22 2019-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with microphone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777302B1 (en) 2016-04-18 2017-09-1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Voice frequency analysys system and method, voice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using voice frequency analysys system
KR102250666B1 (en) * 2019-06-17 2021-05-10 박두연 System comprising plurality of electronic apparatus for vibrating synchronized each oteh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4431A (en) * 2001-08-06 2004-02-14 가부시키가이샤 인덱스 Device and method for judging dog's feeling from cry vocal character analysis
KR20040038419A (en) * 2002-11-01 2004-05-08 에스엘투(주)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emotion from a speech
KR20040106940A (en) * 2003-06-05 2004-12-20 주식회사 어필텔레콤 Communicable mobile pho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4431A (en) * 2001-08-06 2004-02-14 가부시키가이샤 인덱스 Device and method for judging dog's feeling from cry vocal character analysis
KR20040038419A (en) * 2002-11-01 2004-05-08 에스엘투(주)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emotion from a speech
KR20040106940A (en) * 2003-06-05 2004-12-20 주식회사 어필텔레콤 Communicable mobile ph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6684A (en) 2006-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6787B1 (en) Voice recognition user interface for telephone handsets
JP2003198713A (en) Hands-free system for vehicle
US8223961B2 (en) Method and device for answering an incoming call
JP200752589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changeable customization of a multimodal embedded interface
JP2001352365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coming call identification method used for the same
KR101229574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being able to move position of microphone according to behavior state of terminal and method thereof
US7043436B1 (en) Apparatus for synthesizing speech sounds of a short message in a hands free kit for a mobile phone
JPH08125720A (en) Receiver
US8295449B2 (e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udio identification messages
JP3571254B2 (en) Intercom equipment
JP2002009927A (en) Portable telephone set
KR20050025552A (en) Digital cellular phone
JP2004134942A (en) Mobile phone
KR200235479Y1 (en) Hands free unit with speech recognition function
KR0122447B1 (en) Voice guide of telephone
JP2001298503A (en) Communication equipment
JP2001265338A (en) Mobile phone and input sound identifying method
KR10061984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personalization function in handheld terminal
KR100596460B1 (en) Method for providing conversion service of outside sound by using mobile phone
KR100605802B1 (en) Method for controlling key sound in the mobile terminal
JPH10327234A (en) Telephone set
JP2001268166A (en) Communication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JP2008301093A (en)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and method for outputting sound
KR200306359Y1 (en) Sound recorder and generator of bell ringing of Mobile Phone
JP2006042148A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