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7678B1 - 인체 통신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인체 통신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7678B1
KR101227678B1 KR1020060013268A KR20060013268A KR101227678B1 KR 101227678 B1 KR101227678 B1 KR 101227678B1 KR 1020060013268 A KR1020060013268 A KR 1020060013268A KR 20060013268 A KR20060013268 A KR 20060013268A KR 101227678 B1 KR101227678 B1 KR 101227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an body
controlled device
capacitance
modul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3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1367A (ko
Inventor
이미희
방석원
이형기
김상룡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3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7678B1/ko
Priority to US11/517,393 priority patent/US7725089B2/en
Publication of KR20070081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1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7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7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2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technique;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H04B5/22Capaci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3/00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B3/00 - H04B11/00
    • H04B13/005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medium consists of the human bod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 통신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인체 통신 시스템은 인체와의 거리에 따른 정전 용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정전 용량에 대한 정보를 무선 매질을 통하여 전송하는 피제어 기기 및 상기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기초로 송신 파워를 결정한 후, 상기 결정된 송신 파워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상기 인체를 매질로 하여 상기 피제어 기기로 전송하는 제어 기기를 포함한다.
인체 통신(human body communication), 정전 용량

Description

인체 통신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human body communication}
도 1은 인체 통신의 기본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제어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일반적으로 정전 용량을 감지하는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 통신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212: 입력 모듈
214, 232: 제어 모듈
216, 236: 무선 통신 모듈
218, 238: 인체 통신 모듈
234: 정전 용량 측정 모듈
240: 어플리케이션 모듈
본 발명은 인체 통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체와 접촉되어 있는 제어 기기와 인체와 떨어져 있는 모바일 기기 간에 인체를 매질로 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인체 통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 분야는 케이블과 같은 유선 매체를 이용하는 유선 통신과, 공기, 진공과 같은 무선 매체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으로 크게 분류될 수 있다. 여기에 더하여, 최근에는 사람의 몸을 통신 매체로 하는 인체 통신이 연구되고 있으며, 인체 통신을 이용한 응용 제품도 개발되고 있다.
인체 통신(human body communication)에 관한 기본 개념이 도 1을 통하여 도시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어 기기(120)와 피제어 기기(130)가 인체(110)와 접촉되어 있고, 만일 사용자가 제어 기기(120)에 일정한 압력 또는 명령 신호를 제공하면 제어 기기(120)는 해당 신호를 인체(110)를 통하여 피제어 기기(130)로 전달한다. 피제어 기기(130)는 인체를 흐르는 전류의 흐름을 감지하고, 감지된 전류의 흐름이 제어 기기(120)의 제어 신호에 따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해당하는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인체 통신의 기본 개념은 인체를 매질로 하여 통신하고자 하는 서로 다른 두 기기가 인체와 접촉되어 있을 때 비로소 통신이 이루어지는 것이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어느 한 기기가 인체로부터 일정한 거리만큼 떨어져 위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피제어 기기(130)를 가방에 넣어 가지고 다닐 경우, 가방 속에 있는 피제어 기기(130)는 인체와 일정 거리만큼 떨어져 있게 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예컨대 피제어 기기(130)가 인체로부터 일정한 거리만큼 떨어져 있을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하여, 비록 피제어 기기(130)가 인체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제어 기기(120)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제어 기기(120)가 높은 출력 신호를 인체를 통하여 송신하게 된다. 이 경우 높은 출력 신호는 인체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며, 또한, 피제어 기기(130)가 인체와 접촉되어 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동일하게 높은 출력 신호가 발생되기 때문에, 제어 기기(120)를 구동하기 위한 배터리의 수명도 짧아지게 된다. 더구나, 피제어 기기(130)가 인체와 접촉된 경우에는 최소한의 출력 신호만 전송되더라도 통신이 이루어짐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높은 출력 신호가 전송되므로 비효율적으로 통신이 이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피제어 기기(130)와 인체 사이의 떨어진 거리에 따라 제어 기기(120)로부터 송신되는 출력 신호의 세기가 달라지도록 조절할 필요가 생기게 되었다.
본 발명은 인체를 통신 매질로 하는 제어 기기와 피제어 기기간의 통신에 있어서, 피제어 기기가 인체와 떨어져 있더라도 떨어져 있는 거리에 대응하여 적절한 세기의 출력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제어 기기 및 인체와 떨어져 있는 거리를 기초로 정전 용량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상기 제어 기기로 전송하여 출력 신호의 세기를 결정하도록 하는 피제어 기기를 포함하는 인체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인체 통신 시스템은 인체와의 거리에 따른 정전 용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정전 용량에 대한 정보를 무선 매질을 통하여 전송하는 피제어 기기 및 상기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기초로 송신 파워를 결정한 후, 상기 결정된 송신 파워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상기 인체를 매질로 하여 상기 피제어 기기로 전송하는 제어 기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인체 통신 방법은 인체와의 거리에 따른 정전 용량을 측정하는 (a) 단계와, 상기 측정된 정전 용량에 대한 정보를 무선 매질을 통하여 전송하는 (b) 단계와, 상기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기초로 송신 파워를 결정하는 (c)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송신 파워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상기 인체를 매질로 하여 상기 피제어 기기로 전송하는 (d)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 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인체 통신 시스템 및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또는 처리 흐름도에 대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 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제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인체 통신 시스템(200)은 제어 기기(210)와 피제어 기기(230)를 포함하며, 제어 기기(210)와 피제어 기기(230) 간의 통신을 위한 매질로서 무선 매질(250)과 인체(270)가 이용될 수 있다.
제어 기기(210)는 인체(270)와 접촉되어 사용자의 명령을 인체(270)를 통하여 피제어 기기(230)로 전송한다. 이 때, 제어 기기(210)가 인체(270)로 전달하는 출력 신호의 크기는 피제어 기기(230)와 인체(270)와의 거리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제어 기기(210)는 인체(270)에 걸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액세서리로서 형성 될 수 있다. 제어 기기(210)의 구체적 구성은 도 3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피제어 기기(230)는 인체(270)를 통하여 제어 기기(210)로부터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명령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이 때, 피제어 기기(230는 인체(270)와 접촉할 수도 있고, 소정 거리만큼 떨어져 위치할 수도 있다.
피제어 기기(230)는 주기적으로 또는 피제어 기기(230)에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인체(270)와의 거리에 따른 정전 용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정전 용량에 대응하는 전류량 정보를 무선 매질(250)을 통하여 제어 기기(210)로 전송한다. 제어 기기(210)는 피제어 기기(230)로부터 수신한 전류량 정보를 기초로 인체(270)를 통하여 피제어 기기(230)로 전송하기 위한 출력 신호의 크기를 결정하게 된다.
이 때, 전류량 정보는 제어 기기(210)로부터 피제어 기기(230)로 인체(270)를 통하여 신호가 전달될 때 인체(270)에 흐르는 전류량 정보를 의미한다. 이러한 전류량 정보는 2진 값으로 나타낼 수 있다. 즉, 전류량 정보가 '0'일 경우, 피제어 기기(230)와 인체(270) 사이의 거리가 소정 거리 이내에 속한다는 것을 나타내며, 전류량 정보가 '1'일 경우, 피제어 기기(230)와 인체(270) 사이의 거리가 소정 거리 이내에 속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만일 전류량 정보가 '0'일 경우, 제어 기기(210)는 출력 신호를 작게 하여 피제어 기기(230)로 인체(270)를 통하여 제어 신호를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또다른 실시예로서, 전류량 정보는 소정의 2진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기기(21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신호의 레벨이 8가지라면, 전류량 정보는 '110'과 같이 3개의 2진값으로 나타낼 수 있다.
한편, 피제어 기기(230)는 휴대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기기일 수 있는데, 피제어 기기(230)가 휴대폰이라고 가정하면, 피제어 기기(230)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란 외부로부터 전화가 걸려 와서 전화 벨소리가 나거나 진동이 울리는 것을 의미한다. 피제어 기기(230)의 구체적 구성은 도 4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어 기기(210)는 입력 모듈(212), 제어 모듈(214), 무선 통신 모듈(216) 그리고 인체 통신 모듈(218)을 포함한다.
이 때,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 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모듈'이라는 용어도 위와 같이 해석된다.
입력 모듈(212)은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는데, 입력 모듈(212)은 터치 센서, 압력 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버튼 형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모듈(216)은 피제어 기기(230)로부터 무선 매질(250)을 통하여 앞서 설명한 전류량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 모듈(214)로 전달한다. 이 때, 무선 통신 모듈(216)은 종래의 UWB(Ultra Wideband) 통신이나 블루투스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피제어 기기(230)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 모듈(214)은 상기 수신한 전류량 정보를 기초로 인체 통신 모듈(218)에서 출력할 출력 신호의 송신 전력을 결정한다.
인체 통신 모듈(218)은 상기 결정된 송신 전력에 따라 피제어 기기(230)에 대한 제어 신호를 인체(270)를 통하여 전송한다.
이하, 각 제어 기기(210)를 구성하는 각 모듈들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피제어 기기(230)에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사용자는 이를 시각, 청각 또는 촉각에 의해 감지한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가 발생된 이벤트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 모듈(212)을 통하여 입력한다. 사용자가 제어 명령을 입력하는 방법으로는 제어 기기(210)에 부착된 스위치, 입력 버튼 또는 터치 센서를 이용할 수 있으 며, 하나의 명령을 이루는 연속된 신호를 입력할 수도 있다.
한편, 무선 통신 모듈(216)은 피제어 기기(230)로부터 무선 매질(250)을 통하여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직후에 또는 주기적으로 전류량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제어 모듈(214)로 전달한다.
제어 모듈(214)은 입력 모듈(212)을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제어 명령과 무선 통신 모듈(216)을 통하여 수신한 전류량 정보를 이용하여 인체 통신 모듈(218)의 송신 파워를 결정하고, 결정된 송신 파워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 명령을 인체(270)로 전달한다. 이 때, 인체(270)에는 제어 명령에 관한 정보를 갖는 전류 신호가 흐르게 되며, 상기 전류 신호는 전자기장의 형태로 인체(270)와 떨어져 있는 피제어 기기(230)로 전달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제어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피제어 기기(230)는 제어 모듈(232), 정전 용량 측정 모듈(234), 무선 통신 모듈(236), 인체 통신 모듈(238)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모듈(240)을 포함한다.
정전 용량 측정 모듈(234)은 피제어 기기(230)와 인체(270) 사이의 거리에 따른 정전 용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정전 용량을 전류량 정보로 변환한다. 정전 용량 측정 모듈(234)은 공지된 인체 정전 용량 측정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정전 용량을 측정하는 원리에 대해서는 도 5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무선 통신 모듈(236)은 상기 전류량 정보를 무선 매질(250)을 통하여 제어 기기(210)로 전송하는데, 이 때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무선 통신 모듈(236)은 종래의 UWB(Ultra Wideband) 통신이나 블루투스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제어 기기(210)의 무선 통신 모듈(216)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모듈(240)은 피제어 기기(230)의 기능이 수행되는 모듈로서, 예를 들어 피제어 기기(230)가 휴대폰인 경우 전화가 왔음을 알리는 음악을 재생하거나 진동을 발생시키는 모듈을 의미한다. 앞서 언급한 이벤트는 어플리케이션 모듈(240)에서 발생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제어 모듈(232)은 어플리케이션 모듈(240)에서 발생된 이벤트를 감지하고, 인체 통신 모듈(238)을 통하여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수신한다.
한편, 제어 모듈(232)은 이벤트가 발생되었을 때 정전 용량 측정 모듈(234)로 하여금 피제어 기기(230)와 인체(270)와의 거리에 따른 정전 용량을 측정하게 하고, 측정된 정전 용량에 따른 전류량 정보를 제어 기기(236)로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인체 통신 모듈(238)은 피제어 기기(210)와 인체(270) 사이에서 발생되는 전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여 제어 기기(210)로부터 인체(270)를 통하여 전달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한다.
이하, 각 제어 기기(210)를 구성하는 각 모듈들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정전 용량 측정 모듈(234)은 피제어 기기(230)와 인체(270) 사이의 거리에 따른 정전 용량을 주기적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정전 용량을 기설정된 전류량 정보로 변환한 후 이를 무선 통신 모듈(236)로 전달한다. 그리고 나서, 무선 통신 모듈(236)은 전달된 전류량 정보를 무선 매질(250)을 통하여 제어 기기(210)로 전달한다.
만일 어플리케이션 모듈(240)에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제어 모듈(232)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도록 대기 상태로 전환된다. 인체 통신 모듈(238)이 인체(270)를 통하여 제어 기기(210)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이를 제어 모듈(232)로 전달하고, 제어 모듈(232)은 상기 제어 명령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정전 용량 측정 모듈(234)이 주기적으로 정전 용량을 측정하지 않고, 이벤트 발생 시에만 정전 용량을 측정하는 경우의 동작 과정은 다음과 같다.
어플리케이션 모듈(240)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제어 모듈(232)은 이를 감지하여 정전 용량 측정 모듈(234)로 하여금 정전 용량을 측정하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제어 모듈(232)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도록 대기 상태로 전환된다.
정전 용량 측정 모듈(234)은 제어 모듈(234)의 제어에 따라 피제어 기기(230)와 인체(270) 사이의 거리에 따른 정전 용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정전 용량을 기설정된 전류량 정보로 변환한 후 이를 무선 통신 모듈(236)로 전달한다. 그리고 나서, 무선 통신 모듈(236)은 전달된 전류량 정보를 무선 매질(250)을 통하여 제어 기기(210)로 전달한다. 인체 통신 모듈(238)이 인체(270)를 통하여 제어 기기(210) 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이를 제어 모듈(232)로 전달하고, 제어 모듈(232)은 상기 제어 명령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도 5는 일반적으로 정전 용량을 감지하는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두 개의 도체판(510a, 510b) 사이에 전기장(520)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 두 개의 도체판(510a, 510b)은 일반적인 콘덴서와 같이 넓은 면을 갖는 부분이 서로 마주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형상을 하고 있다.
만일 신체의 일부(530)가 형성된 전기장(520)으로 접근하여 전기장(520) 내로 진입하게 되면 신체의 일부(530)에는 전하가 생성되고 기존에 형성된 전기장(520)에 변화가 생기게 되어 결국 두 개의 도체판(510a, 510b) 사이의 정전 용량이 변하게 된다. 즉, 두 도체판 사이에 소정의 유전율을 갖는 유전체가 삽입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신체의 일부(530)와 도체판(510a 또는 510b) 사이의 거리에 따른 정전 용량 변화의 관계를 통하여 정전 용량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방법에 따라 정전 용량을 측정하는 방법은 당업계에서 3차원 커패시티브 센싱(3-dimensions capacitive sensing) 또는 3-축 커패시비트 센싱(3-axis capacitive sensing)이라 불리우며, 공간상에서 전기장의 변화를 감지하는 기술은 1999년 2월 미국 MIT 공과대학에서 'Joshua Reynolds Smith'에 의해 발표된 'Electic Field Imaging' 논문에 기술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 통신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이다.
우선, 피제어 기기(230)가 피제어 기기(230)와 인체(270) 사이의 거리에 따른 정전 용량을 측정한다(S610).
그리고 나서, 측정된 정전 용량을 이에 대응하는 전류량 정보로 변환하고, 변환된 전류량 정보를 무선 매체를 통하여 제어 기기(210)로 전달한다.
제어 기기(210)는 상기 전달된 전류량 정보를 기초로 인체 통신을 위한 송신 파워를 결정하고(S630), 결정된 송신 파워를 이용하여 인체(270)를 통하여 제어 신호를 피제어 기기(230)로 전달한다(S640).
이 때, 피제어 기기(230)는 피제어 기기(230)와 인체(270) 사이의 거리에 따른 정전 용량이 변하였는지를 측정하여(S650), 만일 이전에 측정된 정전 용량과 비교하여 소정 크기의 오차 범위를 벗어날 정도로 변한 경우에는 새로 측정된 정전 용량에 대응하는 전류량 정보를 무선 매체를 통해 제어 기기(210)로 전송한다.
만일, S650 단계에서, 정전 용량이 변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제어 기기(210)에서 피제어 기기(230)로 이전에 결정된 송신 파워를 이용하여 제어 신호가 전달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어 기기(210)의 인체 통신 모듈(238)에 의한 송신 파워는 0.5mW 이하이고, 인체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의 크기는 0.5mA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은 수치는 일반적으로 체지방 측정 시 발생되는 전력, 전류에 해당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을 따르게 되면, 피제어 기기와 인체 사이의 거리에 따라 제어 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송신 파워를 조절함으로써 효율적인 인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을 따르게 되면, 휴대용 기기가 가방 혹은 주머니 속에 있어 신체와 직접 접촉하지 않더라도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어 있는 제어 기기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휴대용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인체를 매질로 하여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수신하며, 상기 인체와의 거리에 따른 정전 용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정전 용량에 대한 정보를 무선 매질을 통하여 전송하는 피제어 기기; 및
    상기 무선 매질을 통해 상기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기초로 송신 파워를 결정한 후, 상기 결정된 송신 파워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 명령을 상기 인체를 매질로 하여 상기 피제어 기기로 전송하는 제어 기기를 포함하는 인체 통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제어 기기는 주기적으로 인체와의 거리에 따른 정전 용량을 측정하는 인체 통신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제어 기기는 이벤트 발생 시 인체와의 거리에 따른 정전 용량을 측정하는 인체 통신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측정된 정전 용량에 대응하는 전류량 정보를 포함하는 인체 통신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제어 기기는,
    인체와의 거리에 따른 정전 용량을 측정하는 정전 용량 측정 모듈;
    상기 측정된 정전 용량에 대한 정보를 무선 매질을 통하여 전송하는 무선 통신 모듈; 및
    상기 인체를 매질로 하여 상기 제어 기기로부터 상기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인체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인체 통신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기기는,
    상기 피제어 기기로부터 상기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
    상기 정보를 기초로 송신 파워를 결정하는 제어 모듈;
    사용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 모듈; 및
    상기 결정된 송신 파워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 명령을 상기 인체를 매질로 하여 상기 피제어 기기로 전송하는 인체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인체 통신 시스템.
  7. 인체를 매질로 하여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피제어 기기가 상기 인체와의 거리에 따른 정전 용량을 측정하는 (a) 단계;
    상기 피제어 기기가 상기 측정된 정전 용량에 대한 정보를 무선 매질을 통하여 제어 기기로 전송하는 (b) 단계;
    상기 제어 기기가 상기 무선 매질을 통해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송신 파워를 결정하는 (c) 단계; 및
    상기 제어 기기가 상기 결정된 송신 파워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 명령을 상기 인체를 매질로 하여 상기 피제어 기기로 전송하는 (d) 단계를 포함하는 인체 통신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주기적으로 인체와의 거리에 따른 정전 용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체 통신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이벤트 발생 시 인체와의 거리에 따른 정전 용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체 통신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측정된 정전 용량에 대응하는 전류량 정보를 포함하는 인체 통신 방법.
KR1020060013268A 2006-02-10 2006-02-10 인체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1227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3268A KR101227678B1 (ko) 2006-02-10 2006-02-10 인체 통신 시스템 및 방법
US11/517,393 US7725089B2 (en) 2006-02-10 2006-09-08 System and method for human body commun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3268A KR101227678B1 (ko) 2006-02-10 2006-02-10 인체 통신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1367A KR20070081367A (ko) 2007-08-16
KR101227678B1 true KR101227678B1 (ko) 2013-01-30

Family

ID=38434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3268A KR101227678B1 (ko) 2006-02-10 2006-02-10 인체 통신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725089B2 (ko)
KR (1) KR1012276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74991B2 (en) 2014-07-15 2019-04-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touch inputs by using human bod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718B1 (ko) * 2004-12-02 2008-05-22 니뽄 덴신 덴와 가부시키가이샤 송신기, 전계 통신 트랜시버 및 전계 통신 시스템
CN101032098B (zh) * 2005-07-25 2011-11-23 索尼株式会社 通信装置和方法
KR100766477B1 (ko) * 2006-03-07 2007-10-12 한국과학기술원 인체를 이용한 통신채널에서의 광대역 펄스신호 수신장치
US20090304093A1 (en) * 2006-08-01 2009-12-10 Intromedic. Co., Ltd Transmitting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a medium
KR100790367B1 (ko) * 2006-11-29 2008-01-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체통신에서 인체 위상응답특성 측정을 위한 기준신호송신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인체 위상응답특성 측정 시스템및 그 방법
WO2008066093A1 (fr) * 2006-12-01 2008-06-05 Nec Corporation Système de représentation d'informations dépendant d'une position, contrôleur de représentation d'informations dépendant d'une position et procédé de représentation d'informations dépendant d'une position
US8917247B2 (en) * 2007-11-20 2014-12-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xternal device ident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in a device including a touch spot,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s having recorded thereon programs for executing the external device identification method in a device including a touch spot
JP5535936B2 (ja) * 2007-12-20 2014-07-02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 静電容量の検知及び通信
WO2009098631A1 (en) * 2008-02-05 2009-08-13 Philips Intellectual Property & Standards Gmbh Adaptive capacitive coupling for body-coupled communication
KR100969783B1 (ko) * 2008-04-28 2010-07-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체통신에서 인체의 위상 응답특성을 측정하기 위한시스템 및 방법
KR101263893B1 (ko) * 2008-05-28 2013-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체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방법
US8270950B2 (en) * 2008-12-05 2012-09-18 Voxer Ip Llc Mobile communication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exposure to radio frequency energy during transmissions by transmitting media in/out while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s safe distance away from user
EP2392085B1 (en) * 2009-01-28 2021-06-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terminal and sound detector, which both communicate using body area network, and data controlling method therefor
EP2413521A4 (en) * 2009-03-26 2015-12-09 Alps Electric Co Ltd COMMUNICATION SYSTEM
KR20100126958A (ko) * 2009-05-25 2010-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디바이스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100321159A1 (en) * 2009-06-18 2010-12-23 Authentec, Inc. Touch based data communication using biometric finger sensor and associated methods
KR101562565B1 (ko) * 2009-06-25 2015-10-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장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8241927B2 (en) * 2009-10-14 2012-08-14 Global Foundries, Inc. Methods relating to capacitive monitoring of layer characteristics during back end-of the-line processing
KR101352983B1 (ko) * 2009-12-22 2014-01-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체 통신을 이용한 제어 기능을 구비한 전자기기 및 인체 통신을 이용한 전자기기 제어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US8693306B2 (en) 2010-05-07 2014-04-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in low-frequency band in human body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human body communication system
KR20110134758A (ko) * 2010-06-09 2011-12-15 주식회사 팬택 인체접촉을 이용한 입력 장치 및 방법
US9002298B2 (en) * 2011-12-22 2015-04-07 Sony Corporation Capacitive data transfer through a user's body
US9860928B2 (en) 2013-12-05 2018-01-02 Sony Corporation Pairing consumer electronic devices using a cross-body communications protocol
EP3078157B1 (en) 2013-12-05 2020-04-08 Sony Corporation A wearable device and a method for storing credentials associated with an electronic device in said wearable device
US9351100B2 (en) * 2013-12-05 2016-05-24 Sony Corporation Device for control of data transfer in local area network
US9332377B2 (en) 2013-12-05 2016-05-03 Sony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 of data transfer in local area network
CN106255619B (zh) * 2014-03-04 2019-04-23 Tk控股公司 用于控制人机界面(hmi)设备的***和方法
US9606682B2 (en) * 2014-04-21 2017-03-28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Wearable device for generating capacitive input
US10015604B2 (en) * 2014-05-05 2018-07-03 Nxp B.V. Electromagnetic induction field communication
US9819395B2 (en) * 2014-05-05 2017-11-14 Nxp B.V. Apparatus and method for wireless body communication
US9819075B2 (en) 2014-05-05 2017-11-14 Nxp B.V. Body communication antenna
US9812788B2 (en) 2014-11-24 2017-11-07 Nxp B.V. Electromagnetic field induction for inter-body and transverse body communication
US10009069B2 (en) 2014-05-05 2018-06-26 Nxp B.V. Wireless power delivery and data link
US10014578B2 (en) 2014-05-05 2018-07-03 Nxp B.V. Body antenna system
US9666056B2 (en) 2014-09-23 2017-05-30 Motorola Solution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 firearm in a communication system
US9842329B2 (en) 2015-02-13 2017-12-12 Sony Corporation Body area network for secure payment
KR101939774B1 (ko) 2015-07-15 2019-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US9819097B2 (en) 2015-08-26 2017-11-14 Nxp B.V. Antenna system
US10296146B2 (en) 2015-12-22 2019-05-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grip of a touch enabled device
US10423268B2 (en) 2015-12-22 2019-09-2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grounding state of a touch enabled computing device
US10320086B2 (en) 2016-05-04 2019-06-11 Nxp B.V. Near-field electromagnetic induction (NFEMI) antenna
US10678348B2 (en) 2018-03-12 2020-06-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ouch detection on an ungrounded pen enabled device
US10616349B2 (en) 2018-05-01 2020-04-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ybrid sensor centric recommendation engine
US10908641B1 (en) * 2019-10-09 2021-02-02 Sigmasense, Llc. Display generated data transmission from user device to touchscreen via us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6984A (ko) * 2000-07-14 2002-01-26 권순형 정전 용량 변화를 이용한 감지 회로
US20060003776A1 (en) * 2004-06-30 2006-01-05 Makoto Natori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63502B2 (en) * 1992-05-05 2010-02-16 Intelligent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Asset system control arrangement and method
JPH08136628A (ja) * 1994-11-11 1996-05-31 Fujitsu Ltd 電池容量監視装置
JP3425347B2 (ja) 1996-12-12 2003-07-14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人体経由情報伝達装置
US6250153B1 (en) * 1998-07-06 2001-06-26 Sensor Measurement Technology Continuous, non-metallic, media sensors for corrosive environments
US6285062B1 (en) * 1999-05-12 2001-09-04 Micron Technology, Inc. Adjustable high-trigger-voltage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device
GB9917678D0 (en) 1999-07-29 1999-09-29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Body-worn personal communications apparatus
US6553542B2 (en) * 2000-12-29 2003-04-2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emiconductor device extractor for electrostatic discharge and latch-up applications
CN1254925C (zh) * 2001-09-27 2006-05-03 株式会社东芝 便携式无线电设备
US7039435B2 (en) * 2001-09-28 2006-05-02 Agere Systems Inc. Proximity regulation system for use with a portable cell phone and a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100536188B1 (ko) 2001-11-14 2005-12-1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인체 등의 매질을 통신선로로 이용한 매질 내외간의 통신방법 및 장치
JP3744883B2 (ja) * 2002-06-05 2006-02-15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機、これに内蔵された解析装置、及びその解析方法
JP4044560B2 (ja) * 2003-03-28 2008-02-06 富士通株式会社 光伝送路障害検出システム
KR100551200B1 (ko) 2004-02-02 2006-02-1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광대역 펄스 신호를 이용한 인체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0727817B1 (ko) * 2004-09-07 2007-06-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체를 매질로 이용한 통신장치 및 그 방법
JP4586618B2 (ja) * 2005-04-18 2010-11-24 ソニー株式会社 人体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装置
CN100423688C (zh) * 2005-10-19 2008-10-08 深圳迈瑞生物医疗电子股份有限公司 抑制工频共模干扰的方法及装置
US20080051165A1 (en) * 2006-08-28 2008-02-28 Motorola, Inc. Rf power control using proximity sens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6984A (ko) * 2000-07-14 2002-01-26 권순형 정전 용량 변화를 이용한 감지 회로
US20060003776A1 (en) * 2004-06-30 2006-01-05 Makoto Natori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74991B2 (en) 2014-07-15 2019-04-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touch inputs by using human bod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725089B2 (en) 2010-05-25
KR20070081367A (ko) 2007-08-16
US20070190940A1 (en) 2007-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7678B1 (ko) 인체 통신 시스템 및 방법
US10304298B2 (en) Braking characteristic detection system for haptic actuator
US1104511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axial orientation and location of a user&#39;s wrist
US20190066459A1 (en) Haptic system with increased lra bandwidth
EP2871590B1 (en) User interface control in portable system
KR102176687B1 (ko)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0790084B1 (ko) 블루투스 단말의 거리 측정 방법 및 장치
US20120119920A1 (en) Portable sensory devices
KR102023822B1 (ko) 전력 관리 방법, 장치 및 전자 기기
CN106225806B (zh) 校准磁传感器的方法、装置及移动终端
JP2013513840A (ja) 把持および近接の検出のためのセンサデバイスおよび方法
JP2013513981A (ja) 多機能接触および/または接近センサ
US20180120930A1 (en) Use of Body-Area Network (BAN) as a Kinetic User Interface (KUI)
US11490223B2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notification based on distance of remote input device
JP2013008314A (ja) 操作端末
CN105359072A (zh) 触摸屏附属配件
TWI622902B (zh) 觸控系統與觸控筆裝置的傾斜狀態決定方法
CN108901080A (zh) 通信连接建立方法及相关设备
JP2022544396A (ja) 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における双方向無線充電のための方法、装置、およびシステム
CN108769401A (zh) 信号检测方法及相关产品
CN103888596A (zh) 一种终端中语音模式的切换方法、装置和终端
US9448613B1 (en) Actuator detection
WO2018051369A2 (en) Battery-less, noise-cancellation headset
KR101829002B1 (ko) 정전용량형 접근 검출을 위한 센서 디바이스 및 방법
CN108680181B (zh) 无线耳机、基于耳机检测的计步方法及相关产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