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5973B1 - 전기전자기기의 정전 용량형 스위치 - Google Patents

전기전자기기의 정전 용량형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5973B1
KR101225973B1 KR1020060052132A KR20060052132A KR101225973B1 KR 101225973 B1 KR101225973 B1 KR 101225973B1 KR 1020060052132 A KR1020060052132 A KR 1020060052132A KR 20060052132 A KR20060052132 A KR 20060052132A KR 101225973 B1 KR101225973 B1 KR 101225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acitive
control panel
capacitive sensor
input unit
key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2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7910A (ko
Inventor
정회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2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5973B1/ko
Priority to US11/808,270 priority patent/US7741858B2/en
Priority to DE102007026857.4A priority patent/DE102007026857B4/de
Priority to CN2007101421845A priority patent/CN101098138B/zh
Publication of KR20070117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7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5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5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17/962Capacitive touch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H01H13/706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sm between keys and layered keyboards
    • H01H13/7073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sm between keys and layered keyboards characterised by springs, e.g. Euler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9/00Manufacturing
    • H01H2229/064Eliminat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12Household applian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9/00Miscellaneous
    • H01H2239/006Containing a capacitive switch or usable as such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6Touch switches
    • H03K2217/96015Constructional details for touch switch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6Touch switches
    • H03K2217/9607Capacitive touch switches
    • H03K2217/960755Constructional details of capacitive touch and proximity switches
    • H03K2217/96076Constructional details of capacitive touch and proximity switches with spring electrode

Landscapes

  • Switches That Are Operated By Magnetic Or Electric Field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전자기기의 정전 용량형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컨트롤 패널에 형성된 키입력부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정전기를 감지하도록 상기 컨트롤 패널의 후방에 배치된 복수개의 정전 용량 센서와; 상기 정전 용량 센서와 컨트롤 패널 사이에 형성된 공극이 제거되도록 상기 키입력부와 정전 용량 센서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공극으로 인한 정전 용량 센서의 무감지 현상이 방지되어 정전 용량형 스위치의 작동 신뢰성이 향상되고, 다양한 종류의 정전 용량형 스위치에 간편하게 적용되며, 상기 컨트롤 패널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복수개의 정전 용량 센서도 서로 다른 높이로 설치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전기전자기기, 컨트롤러, 컨트롤 패널, 정전 용량형 스위치, 키입력부, 탄성부재, 정전 용량 센서

Description

전기전자기기의 정전 용량형 스위치 {CAPACITANCE TYPE SWITCH OF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정전 용량형 스위치가 구비된 세탁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컨트롤러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이 도시된 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정전 용량형 스위치의 주요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정전 용량형 스위치의 주요부가 도시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정전 용량형 스위치의 주요부가 도시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 세탁기 2: 컨트롤러
4: 키입력부 6: 표시부
8: 컨트롤 패널 10: 인쇄회로기판
12: 투명창 14: 버튼
16: 노브 18: 접촉부
26,27: 정전 용량 센서 30: 정전 용량형 스위치
32,34: 탄성부재
본 발명은 전기전자기기의 정전 용량형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키입력부가 형성된 컨트롤 패널이 곡선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복수개의 정전 용량 센서가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된 경우, 컨트롤 패널과 정전 용량 센서 사이의 공극으로 인한 무감지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전기전자기기의 정전 용량형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전기전자기기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작동을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컨트롤러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컨트롤러에는 사용자에 의해 각종 명령이 입력되는 키입력부와, 전기전자기기의 작동 상태를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전기전자기기의 작동이 직접 조절되거나 또는 전기전자기기의 작동 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의 제어 프로그램이 적절히 재설정된다.
이러한 키입력부에는 사용자에 의해 각종 명령이 입력될 수 있도록 각종 스위치가 설치되는 바, 상기 스위치는 조작 방식에 따라 누름 스위치, 슬라이드 스위치, 회전 스위치, 접촉 스위치 등이 있다.
여기서, 상기 접촉 스위치로는 정전 용량형 스위치가 대표적인 바, 상기 정전 용량형 스위치는 접촉물이 갖는 정전기에 의해 정전 용량(CAPACITANCE)이 변화되는 현상을 이용한 스위치이다.
상기 정전 용량형 스위치는, 상기 전기전자기기의 조작이 용이한 위치에 컨트롤 패널이 장착되고, 상기 컨트롤 패널에 키입력부가 형성되며, 상기 키입력부와 대응되는 컨트롤 패널의 배면에 정전기를 감지하는 정전 용량 센서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 패널의 키입력부에 사용자가 접촉하게 되면,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정전기가 정전 용량 센서로 전달되고, 상기 정전 용량 센서에 의해 정전기가 감지되어 전기전자기기의 작동이 조절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전자기기의 정전 용량형 스위치는, 상기 컨트롤 패널의 배면에 복수개의 정전 용량 센서가 배치되되, 상기 컨트롤 패널이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복수개의 정전 용량 센서가 서로 다른 높이로 설치된 경우, 상기 복수개의 정전 용량 센서와 키입력부 사이에 공극이 발생되어 상기 공극으로 인해 정전 용량 센서가 무감지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상기 컨트롤 패널의 굴곡진 형상에 따 라 정전 용량 센서가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면 상기 정전 용량형 스위치의 조립 작업이 난해하게 되어 작업성이 저하되고, 상기 정전 용량 센서가 서로 다른 높이로 제작되면 정전 용량 센서의 부품 공용화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다르게 정전 용량 센서의 서로 다른 설치 높이에 따라 컨트롤 패널의 배면이 후방을 향해 서로 다른 높이로 돌출되면, 상기 컨트롤 패널의 재료비가 증가될 뿐만 아니라, 상기 컨트롤 패널을 통과하는 정전기의 양이 감소되어 정전 용량 센서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컨트롤 패널에 형성된 키입력부와 정전 용량 센서 사이에 서로 다른 크기의 공극이 발생된 경우, 컨트롤 패널과 정전 용량 센서 사이에 탄성부재가 설치되어 키입력부과 정전 용량 센서 사이의 공극이 간편하게 제거될 수 있는 전기전자기기의 정전 용량형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전 용량 센서와 컨트롤 패널 사이의 공극이 간단한 구조 변경만으로 제거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정전 용량형 스위치에 간편하게 적용되고 작동 신뢰성도 확보될 수 있는 전기전자기기의 정전 용량형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컨트롤 패널의 두께 또는 정전 용량 센서의 설치 위치와 높이를 변경하지 않으면서 키입력부와 정전 용량 센서 사이의 공극 이 제거됨으로써, 정전 용량형 스위치의 조립시 작업성이 향상되고, 정전 용량 센서의 부품 공용화가 구현될 수 있는 전기전자기기의 정전 용량형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전자기기의 정전 용량형 스위치는, 컨트롤 패널에 형성된 키입력부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정전기를 감지하도록 상기 컨트롤 패널의 후방에 배치된 복수개의 정전 용량 센서와; 상기 정전 용량 센서와 컨트롤 패널 사이에 형성된 공극이 제거되도록 상기 키입력부와 정전 용량 센서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전정 용량 센서와 컨트롤 패널 중 어느 하나에 일단이 고정됨과 아울러 다른 하나에 타단이 탄성적으로 접촉된다.
상기 탄성부재는 판 스프링과 코일 스프링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 패널은 소정의 곡률로 곡선지게 형성된다.
상기 키입력부는 상기 탄성부재에 정전기가 전달 가능한 두께로 상기 컨트롤 패널에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정전 용량 센서는 상기 컨트롤 패널의 후방에 복수개가 다른 높이로 구비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따른 정전 용량형 스위치가 구비된 세탁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컨트롤러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정전 용량형 스위치는 다양한 종류의 전기전자기기에 적용 가능한 바, 도 1에는 컨트롤러(2)에 정전 용량형 스위치가 적용된 세탁기(1)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세탁기(1)의 전면 상부에는 세탁기(1)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컨트롤러(2)에는 세탁기(1)의 작동을 조절하는 키입력부(4)와 세탁기(1)의 작동을 표시하는 표시부(6)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세탁기(1)는 상기 키입력부(4)를 통해 작동이 사용자에 의해 직접적으로 조절되고, 상기 표시부(6)에 의해 사용자에게 작동 상태가 정확하게 표시된다.
상기 컨트롤러(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탁기(1)의 전면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컨트롤러(2)의 외관을 형성하는 컨트롤 패널(8)과, 상기 컨트롤 패널(8)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세탁기(1)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부품이 실장된 인쇄회로기판(1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 패널(8)에는 투명 재질의 투명창(12)이 장착된 표시부(6)가 형성됨과 아울러 사용자의 조작력이 입력되는 키입력부(4)가 형성된다.
상기 키입력부(4)는 상기 컨트롤 패널(8)에 누름 가능하게 설치된 버튼(14)과, 상기 컨트롤 패널(8)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노브(16)와, 상기 컨트롤 패널 (8)에 일체로 형성되어 접촉 부위를 표시하는 무늬가 인쇄된 접촉부(18)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인쇄회로기판(10)에는 상기 표시부(6)와 대향되는 위치에 표시부재(20)가 설치되고, 상기 버튼(14)과 대향되는 위치에 택트 스위치(22)가 설치되며, 상기 노브(16)와 대향되는 위치에 엔코더(24)가 설치되고, 상기 접촉부(18)와 대향되는 위치에 정전 용량 센서(26)가 설치된다.
상기 표시부재(20)는 LCD나 LED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용 부품으로써 상기 표시부(6)를 통해 세탁기(1)의 작동 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게 되고, 상기 택트 스위치(22)는 온-오프 스위치로써 상기 버튼(14)이 눌러짐에 따라 온/오프되면서 세탁기(1)의 작동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 노브(16)는 회전 조작되는 각도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를 발생함으로써 세탁기(1)의 여러 동작을 제어하는 회전 스위치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이 도시된 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정전 용량형 스위치의 주요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정전 용량형 스위치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 패널(8)에 정전기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키입력부(4)와, 상기 복수개의 키입력부(4)를 통해 입력되는 정전기를 감지하도록 상기 컨트롤 패널(8)의 후방에 배치된 복수개의 정전 용량 센서(26)와, 상기 정전 용량 센서(26)와 컨트롤 패널(8) 사이에 형성된 다양한 크기의 공극 (G1)(G2)(G3)(G4)(G5)이 제거되도록 상기 접촉부(18)와 정전 용량 센서(26)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3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 패널(8)은 세탁기(1)의 미관 향상 및 조작의 편의를 위해 소정의 곡률로 곡선지게 절곡 형성되고, 상기 키입력부(4)는 상기 컨트롤 패널(8)에 복수개의 정전 용량 센서(26)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복수개의 접촉부(18)이다.
상기 접촉부(18)는 상기 탄성부재(32)로 정전기가 전달 가능한 두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정전 용량 센서(26)는 상기 접촉부(18)에 접촉된 사용자의 정전기를 전달받아 정전 용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로써, 상기 컨트롤 패널(8)의 후방에 배치된 인쇄회로기판(10)에 복수개가 설치되되, 상기 접촉부(18)와 대향되는 부위에 동일한 높이로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복수개의 정전 용량 센서(26)가 동일한 높이로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컨트롤 패널(8)이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면, 상기 복수개의 정전 용량 센서(26)와 접촉부(18) 사이에는 다양한 크기의 공극(G1)(G2)(G3)(G4)(G5)이 발생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32)는 상기 컨트롤 패널(8)의 접촉부(18)와 정전 용량 센서(26) 사이에 탄성적으로 설치된 판 스프링이다.
상기와 같은 탄성부재(32)의 일단은 상기 접촉부(18)의 배면에 연결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정전 용량 센서(26)의 전면에 탄성적으로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32)는 상기 컨트롤 패널(8)과 인쇄회로기판(10)이 장 착되기 전에 상기 접촉부(18)의 배면에 미리 설치되어 상기 컨트롤 패널(8)에 패키지화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전자기기의 정전 용량형 스위치에 대한 조립과정과 작용효과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인쇄회로기판(10)의 전면에는 LED, 택트 스위치(22), 표시부재(20), 엔코더(24), 노브(16), 정전 용량 센서(26) 등이 실장된다.
그리고, 컨트롤 패널(8)에는 표시부(6)에 투명창(12)이 장착되고, 버튼(14)이 탄성적으로 누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정전 용량 센서(26)와 대향되는 부위에 형성된 접촉부(18)의 배면에 탄성부재(32)의 일단이 각각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컨트롤 패널(8)의 배면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이 장착되되, 상기 표시부재(20)와 택트 스위치(22)는 상기 표시부(6)와 버튼(14)의 후방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노브(16)는 컨트롤 패널(8)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되며, 상기 정전 용량 센서(26)는 상기 탄성부재(32)의 타단에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 패널(8)이 곡선 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복수개의 정전 용량 센서(26)가 인쇄회로기판(10)에 동일한 높이로 설치된 경우라도, 상기 탄성부재(32)에 의해 접촉부(18)와 정전 용량 센서(26) 사이에 형성되는 다양한 크기의 공극(G1)(G2)(G3)(G4)(G5)이 모두 제거된다.
이와 같은 컨트롤 패널(8)의 접촉부(18)에 사용자가 접촉하게 되면, 사용자의 정전기가 접촉부(18)를 통해 탄성부재(32)로 전달되고, 상기 탄성부재(32)로 전 달된 정전기는 정전 용량 센서(26)로 전달되며, 상기 정전 용량 센서(26)에 의해 정전 용량의 변화가 감지되어 세탁기(1)의 조작 신호가 인식된다.
한편, 상기 탄성부재(32)에 의해 곡선 형상의 컨트롤 패널(8)과 정전 용량 센서(26) 사이에 형성된 다양한 크기의 공극(G1)(G2)(G3)(G4)(G5)이 완전히 제거되므로, 상기 컨트롤 패널(8)은 세탁기(1)의 미관 향상 및 설치 조건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세탁기(1)의 미관과 설계 자유도가 향상되고, 상기 공극(G1)(G2)(G3)(G4)(G5)으로 인한 정전 용량 센서(26)의 무감지 현상이 방지되어 정전 용량형 스위치(30)의 작동 신뢰성이 확보된다.
특히, 종래의 정전 용량형 스위치에 탄성부재(32)만 추가되는 간단한 구조로 구현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모델의 정전 용량형 스위치(30)에 적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부품의 공용화도 확보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정전 용량형 스위치의 주요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참고로 상기의 제 1 실시예와 동일 유사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정전 용량형 스위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 패널(8)의 접촉부(18)와 정전 용량 센서(26) 사이에 용수철 스프링 형상의 탄성부재(34)가 배치되되, 상기 탄성부재(34)의 일단은 상기 정전 용량 센서(26)에 연결 고정됨과 아울러 타단은 상기 접촉부(18)의 배면에 탄성적으로 접촉되 며, 기타의 구성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34)의 일단이 정전 용량 센서(26)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정전 용량 센서(26)가 제작되므로, 상기 탄성부재(34)의 설치가 어려운 구조와 재질로 이루어진 컨트롤 패널(8)에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정전 용량형 스위치의 주요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참고로 상기의 제 1 실시예와 동일 유사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정전 용량형 스위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 패널(9)의 접촉부(18)와 정전 용량 센서(27) 사이에 탄성부재(32)가 배치되되, 상기 컨트롤 패널(9)은 수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정전 용량 센서(27)는 컨트롤 패널(9)의 후방에 복수개가 서로 다른 높이로 설치되며, 기타의 구성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복수개의 정전 용량 센서(27)가 서로 다른 높이로 설치되는 경우라도, 상기 정전 용량 센서(27)와 컨트롤 패널(9) 사이에 형성된 다양한 크기의 공극(G6)(G7)(G8)이 탄성부재(32)에 의해 제거되므로, 상기 정전 용량 센서(27)가 다양한 높이로 형성 가능하거나 또는 상기 정전 용량 센서(27)가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11)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기전자기기의 정전 용량형 스위치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의 정전 용량형 스위치는 세탁기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전기전자기기에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전자기기의 정전 용량형 스위치는 컨트롤 패널과 정전 용량 센서 사이에 탄성부재가 설치되어 키입력부와 정전 용량 센서 사이에 발생되는 다양한 크기의 공극이 제거되므로, 상기 공극으로 인한 정전 용량 센서의 무감지 현상이 방지되어 정전 용량형 스위치의 작동 신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키입력부와 정전 용량 센서 사이의 공극이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간단한 구조 변경만으로 제거되므로, 다양한 종류의 정전 용량형 스위치에 간편하게 적용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키입력부와 정전 용량 센서 사이에 형성된 다양한 크기의 공극이 제거되므로, 상기 컨트롤 패널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복수개의 정전 용량 센서도 서로 다른 높이로 설치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 패널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정전 용량 센서의 설치 높이가 변경 가능하게 되면, 정전 용량형 스위치의 설계 자유도가 향상되고, 전기전자기기의 미관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컨트롤 패널의 두께 또는 정전 용량 센서의 설치 위치와 높이를 변경하지 않아도 공극의 제거가 구현되기 때문에, 정전 용량형 스위치의 부품 공용화가 실현되고 조립시 작업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컨트롤 패널에 형성된 키입력부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정전기를 감지하도록 상기 컨트롤 패널의 후방에 배치된 복수개의 정전 용량 센서와;
    상기 정전 용량 센서와 컨트롤 패널 사이에 형성된 공극이 제거되도록 상기 키입력부와 정전 용량 센서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정전 용량 센서는 상기 컨트롤 패널의 후방에 복수개가 다른 높이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전자기기의 정전 용량형 스위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정전 용량 센서와 컨트롤 패널 중 어느 하나에 일단이 고정됨과 아울러 다른 하나에 타단이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전자기기의 정전 용량형 스위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판 스프링과 코일 스프링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전자기기의 정전 용량형 스위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패널은 소정의 곡률로 곡선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전자기기의 정전 용량형 스위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는 상기 탄성부재에 정전기가 전달 가능한 두께로 상기 컨트롤 패널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전자기기의 정전 용량형 스위치.
  6. 삭제
KR1020060052132A 2006-06-09 2006-06-09 전기전자기기의 정전 용량형 스위치 KR101225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2132A KR101225973B1 (ko) 2006-06-09 2006-06-09 전기전자기기의 정전 용량형 스위치
US11/808,270 US7741858B2 (en) 2006-06-09 2007-06-07 Capacitive switch of electric/electronic device
DE102007026857.4A DE102007026857B4 (de) 2006-06-09 2007-06-11 Kapazitiver Schalter einer elektrischen/elektronischen Vorrichtung
CN2007101421845A CN101098138B (zh) 2006-06-09 2007-06-11 电气/电子设备的电容式开关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2132A KR101225973B1 (ko) 2006-06-09 2006-06-09 전기전자기기의 정전 용량형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7910A KR20070117910A (ko) 2007-12-13
KR101225973B1 true KR101225973B1 (ko) 2013-01-24

Family

ID=38821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2132A KR101225973B1 (ko) 2006-06-09 2006-06-09 전기전자기기의 정전 용량형 스위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741858B2 (ko)
KR (1) KR101225973B1 (ko)
CN (1) CN101098138B (ko)
DE (1) DE102007026857B4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63750A1 (ko) * 2021-10-15 2023-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PI0502874B1 (pt) * 2005-07-21 2022-09-27 Global Id South America Ltda – Me Comando temporizador, híbrido, para sistema de acionamento por comandos eletrônicos em aparelhos diversos
US8358226B2 (en) 2007-10-28 2013-01-22 Synaptics Incorporated Determining actuation of multi-sensor-electrode capacitive buttons
EP2166670A1 (en) * 2008-09-23 2010-03-24 Invensys Controls Europe Capacitive sensor and relative method of production
CN101741371B (zh) * 2008-11-27 2012-03-21 无锡松下冷机有限公司 触摸开关
CN101741369B (zh) * 2008-11-27 2012-03-21 无锡松下冷机有限公司 触摸开关
US20100302200A1 (en) * 2009-05-29 2010-12-02 Delphi Technologies, Inc. Capacitive touch panel having a non-planar touch surface
JP5292221B2 (ja) * 2009-08-21 2013-09-1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静電容量センサ付きプッシュスイッチおよびそれを用いた入力装置
ES2376977T3 (es) * 2010-02-10 2012-03-21 Miele & Cie. Kg Dispositivo de mando para un aparato electrodoméstico
US8339293B2 (en) * 2010-03-24 2012-12-25 Whirlpool Corporation Capacitive touch multi-function keys
FR2982968B1 (fr) * 2011-11-21 2014-05-30 Atlantic Industrie Sas Facade tactile de systeme electronique dont les parametres de fonctionnement sont modifies par l'intervention physique de l'utilisateur
US9063623B2 (en) 2011-12-01 2015-06-23 Green Cedar Holdings Llc Capacitive touch sensor assembly for use in a wet environment
DE102012102921A1 (de) 2012-04-04 2013-10-10 Miele & Cie. Kg Bedienvorrichtung mit einem Blendenteil
DE102013003072B4 (de) * 2013-02-22 2014-10-16 Diehl Ako Stiftung & Co. Kg Bedien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 elektronisches Haushaltsgerät
DE102013102523A1 (de) 2013-03-13 2014-09-18 Miele & Cie. Kg Bedien- und Anzeigevorrichtung für ein elektrisches Gerät
DE102013102521A1 (de) 2013-03-13 2014-09-18 Miele & Cie. Kg Bedien- und Anzeigevorrichtung für ein elektrisches Gerät
KR101623788B1 (ko) 2013-04-04 2016-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컨트롤패널 및 컨트롤패널이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EP2837721B1 (en) * 2013-08-13 2021-03-31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Laundry appliance provided with a control-panel assembly
EP2876196A1 (en) 2013-11-21 2015-05-27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Household appliance provided with a control panel
DE102014111560A1 (de) 2014-08-13 2016-02-18 Miele & Cie. Kg Bedienvorrichtung mit einem Blendenteil und elektrisches Gerät
DE102014111562A1 (de) 2014-08-13 2016-02-18 Miele & Cie. Kg Bedienvorrichtung mit einem Blendenteil und elektrisches Gerät
TWM549898U (zh) * 2017-05-03 2017-10-01 Cosmex Co Ltd 彈簧式電容觸控結構及用於光療機的電容觸控式控制板
DE102017122864B4 (de) 2017-07-31 2021-04-22 Preh Gmbh Leitfähiges, elastisches Kontaktelement mit integrierter Lichtabschottung
KR102204563B1 (ko) * 2019-01-18 2021-01-20 에이디반도체(주) 터치 입력 장치
TWI728917B (zh) * 2020-09-17 2021-05-21 華碩電腦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及其鍵盤模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3402A (ja) * 1995-01-24 1996-08-09 Komatsu Raito Seisakusho:Kk 自動販売機の商品選択スイッ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06320A1 (de) * 1978-02-15 1979-08-16 Miele & Cie Befehlseingabe fuer das elektronische programmsteuerwerk einer waeschebehandlungs- oder geschirrspuelmaschine
DE3119495A1 (de) * 1980-05-27 1982-02-25 Playmont AG, St. Gallen "annaeherungs-schalter"
US4458293A (en) * 1981-11-05 1984-07-03 Cherry Electrical Products Corporation Capacitive keyboard
US4467150A (en) * 1982-02-24 1984-08-21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Electronic keyboard
KR900006479Y1 (ko) * 1983-04-20 1990-07-26 부라더 고오교 가부시기가이샤 키보드
US4584444A (en) * 1984-09-21 1986-04-22 Topre Corporation Keyboard switch
US5644113A (en) * 1995-01-03 1997-07-01 Sega Eenterprises, Ltd. Hand held control key device including multiple switch arrangements
US6057521A (en) * 1995-08-16 2000-05-02 Mannesmann Aktiengesellschaft Suspended control panel
FR2742575B1 (fr) * 1995-12-19 1998-01-09 Europ Equip Menager Dispositif a touche sensitive
DE19706168A1 (de) * 1997-02-17 1998-08-20 Ego Elektro Geraetebau Gmbh Berührungsschalter mit Sensortaste
ES2174342T3 (es) * 1997-02-17 2002-11-01 Ego Elektro Geraetebau Gmbh Interruptor por tacto con tecla sensorial.
US6373265B1 (en) * 1999-02-02 2002-04-16 Nitta Corporation Electrostatic capacitive touch sensor
CN1283897A (zh) * 1999-08-10 2001-02-14 曾国强 带触断装置的电子开关
JP2001185000A (ja) * 1999-12-22 2001-07-06 Nitta Ind Corp 静電容量式センサ
JP3628972B2 (ja) * 2001-03-14 2005-03-16 ニッタ株式会社 静電容量式センサ
ATE326078T1 (de) * 2002-02-27 2006-06-15 Ego Elektro Geraetebau Gmbh Elektrische schaltung für ein kapazitives sensorelement
JP4090939B2 (ja) * 2002-05-29 2008-05-28 ニッタ株式会社 静電容量式セ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0251639A1 (de) * 2002-10-31 2004-05-13 E.G.O. Elektro-Gerätebau GmbH Sensorelement-Vorrichtung für einen kapazitiven Berührungsschalter mit einem elektrisch leitfähigen Körpe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Körpers
US6752551B1 (en) * 2002-12-30 2004-06-22 Lucent Technologies Inc. Vertically expandable keyboard
WO2004061400A1 (ja) * 2003-01-06 2004-07-22 Nitta Corporation 静電容量式センサ
KR101098635B1 (ko) * 2004-02-13 2011-12-23 큐알쥐 리미티드 정전용량 센서
DE102004043415A1 (de) * 2004-09-01 2006-03-09 E.G.O. Control Systems Gmbh Sensorvorrichtung
DE102005008758A1 (de) 2004-09-29 2006-04-13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apazitiver Annäherungs- und/oder Berührungsschalter
JP4503424B2 (ja) * 2004-11-30 2010-07-1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多段スイッチ装置
DE102004060846B4 (de) * 2004-12-17 2008-12-18 Diehl Ako Stiftung & Co. Kg Kapazitiver Berührungsschalter
JP2006337070A (ja) * 2005-05-31 2006-12-14 Nitta Ind Corp 静電容量式センサ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3402A (ja) * 1995-01-24 1996-08-09 Komatsu Raito Seisakusho:Kk 自動販売機の商品選択スイッチ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63750A1 (ko) * 2021-10-15 2023-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98138B (zh) 2012-07-18
CN101098138A (zh) 2008-01-02
DE102007026857B4 (de) 2020-08-20
KR20070117910A (ko) 2007-12-13
US7741858B2 (en) 2010-06-22
US20070285872A1 (en) 2007-12-13
DE102007026857A1 (de) 2008-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5973B1 (ko) 전기전자기기의 정전 용량형 스위치
US8330713B2 (en) Touch-sensitive display device with an integrated mechanical operating part for motor vehicles
JP4065412B2 (ja) 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入力装置および方法
KR101440708B1 (ko) 분리가능한 사용자 입력 부속장치를 갖는 전자 디바이스용 장치, 방법 및 시스템
GB2483135A (en) A touch or proximity user input panel activated by a pushbutton or knob to provide a pleasing tactile effect for the user
JP2005293606A (ja) タッチ入力検知方法及びタッチ入力検知装置
CA2772398C (en) Input device with haptic feedback
EP3179349A1 (en) Touch screen appliance display having a coupled physical element
JP2009301854A (ja) スイッチ装置
CN112663746B (zh) 卫生间用遥控器
JP2007065993A (ja) 入力装置
JP5029144B2 (ja) 静電容量型タッチスイッチ装置
CN108278648B (zh) 吸油烟机
KR20110094568A (ko) 정전용량 감지형 터치스위치
KR101275558B1 (ko) 전기전자기기의 컨트롤러
JP5057937B2 (ja) 携帯電子機器
CN109710098B (zh) 具有显示屏的触控按钮及家用电器
KR101212693B1 (ko) 전기전자기기의 컨트롤러
JP2009230175A (ja) キー入力装置
KR20140022584A (ko) 스마트 ir 입력장치
Rodríguez-Machorro et al. Development of capacitive touch interfaces
KR101212694B1 (ko) 전기전자기기의 컨트롤러
JP7382783B2 (ja) トイレ用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ー
KR100863311B1 (ko)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
JP2000047794A (ja) 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