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4949B1 - 전방향으로 자유롭게 선택하여 플러그를 끼울 수 있게 되어진 콘센트 - Google Patents

전방향으로 자유롭게 선택하여 플러그를 끼울 수 있게 되어진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4949B1
KR101224949B1 KR1020100009757A KR20100009757A KR101224949B1 KR 101224949 B1 KR101224949 B1 KR 101224949B1 KR 1020100009757 A KR1020100009757 A KR 1020100009757A KR 20100009757 A KR20100009757 A KR 20100009757A KR 101224949 B1 KR101224949 B1 KR 101224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case
main body
view
outlet
clu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9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9794A (ko
Inventor
김명원
Original Assignee
김명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원 filed Critical 김명원
Priority to KR1020100009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4949B1/ko
Publication of KR20110089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9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4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4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2Flexible line connectors without frictional contact member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를 꽂는 콘센트로서 발명의 목적으로는 360도 전방향에서 플러그를 자유로이 꽂거나 꽂힌 것을 조정 가능하게 하여 플러그에 연결된 각종 전열기구들의 전기 코드가 필요한 위치에 있는 방향에 따라 복잡하게 얽히어 다수개의 꽂이 콘센트에 일방향으로부터 꽂히는 것으로부터 각 방사방향으로 꽂히게 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발명의 구성으로서 상하부 본체 케이스가 상하방향으로 클러치 구조부를 통하여 요철 구조로 결합이 되고 이 요철 구조로 결합된 상하 본체 케이스중 상부 본체 케이스는 회전이 가능하게 되어져 하부 본체 케이스로부터 클러치부분을 일시적으로 분리시키면 원하는 방사 방향으로 돌릴 수 있게 되어 상부 본체 케이스에 플러그가 꽂힌 상태도 자동으로 원하는 방사방향으로 위치되게 되어졌다. 이때 하부 본체 케이스는 회전은 되지 않고 상부 본체 케이스만 회전이 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하부 본체 케이스는 상하로 이동만 되게 되며 이 손의 조작과 상하 이동 작용은 손으로 인위적으로 하부 본체 케이스를 누르면 인력에 의하여 밀려 내려가나 손을 놓으면 하부 본체 케이스 하면부에 안착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자동으로 밀려 올려와 상부 본체 케이스의 클러치와 하부 본체 케이스 클러치끼리 밀착 결합이 되게 되어졌다.
Figure 112010500385501-pat00001
1. 상부 본체 케이스(1a), 2. 하부 본체 케이스(2a), 3. 회전판(3a), 4. 반원형 사각 홈 전극(4a), 5 스프링(7a) 6. 다수개용 회전판(8a)

Description

전방향으로 자유롭게 선택하여 플러그를 끼울 수 있게 되어진 콘센트{the flexible plug socket}
본 발명은 전기 산업 부문의 콘센트(plug socket)와 플러그인 전기용품 분야로서 전기를 에너지로 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모든 전기, 전열 제품이나 각종 설비에 동력원으로 전기를 공급받고자 할 때 전기가 안전하게 흘러 지속적으로 공급을 해주어야 하거나 때로는 공급이 중단되어져야 할 때 필요하게 되는 전기용품의 하나로서 콘센트와 플러그를 이용하여 절연 기능과 도체의 연결 기능을 해주는 중간 선택 도구로서 사용되는 전기용품 분야이다.
1. 정병국 , 「전자기기 기능사」, 웅보출판사, 2006, pp 1-115. 전기이론.
1) 전기의 구성 : 전자의 전하와 질량
2) 직류회로의 전압과 전류
3) 전기저항
4) 전력과 전기량
5) 전류와 자기
6) 전자력과 전자 유도
6) 전자 에너지
7) 표피효과
8) 정전기와 콘덴서
9) 교류회로
10) 전원회로 등
도전체를 콘센트에 장치 결합시켜 다른 도전체인 플러그의 환봉형 전극을 콘센트에 장치된 도전체에 끼워다가 빼 낼 수 있는 구조로 된 것으로 말미암아 공급되는 전기를 도전체 끼리 차단하기도 하고 연결하기도 하는 기술을 이용한 것
2. 나경안, 「사출성형 금형설계기술」, 기전연구사,2000.1.15 pp 13∼ 112. 플라스틱의 성형재료.
1) 플라스틱과 석유화학제품
2) 고분자와 플라스틱
3)중합의 형태
4)플라스틱의 결정성
5) 플라스틱 재료의 특성과 용도 등
도전체인 전극을 장치시켜 결합되는 콘센트의 본체는 비전도체(부도체) 재료의 사용과 대량생산 제조성을 동시에 고려하는 프라스틱 재료와 산업상의 경제적 효율성을 제고하는 대량생산 및 규격화의 구조적 성형기술을 이용한 것.
종래의 모든 콘센트의 여러 가지 기능중 아직도 온전하게 해결되지 못한 기능중 하나인 공통된 기술 부분과 수준으로서 해결되어져야 할 과제는 모든 콘센트에 끼우게 되는 플러그가 모두 동일한 위치에 한 방향(180도 기준 또는 360도 상에는 항상 고정된 두 방향)으로 고정되어져 있다는 것과 이러한 상태는 플러그가 연결되어져 오는 각종 전기 이용물들인 전열기구나 전기제품들의 사용 위치는 콘센트에 꽂히게 되는 한 방향과 항상 동일한 방향에만 있지 않다는 것에 의하여 도선들인 전기 코드를 한 방향으로만 일치시켜야만 되는 상태가 되어 전기 코드가 서로 얽히거나 복잡하게 되는 상태로부터 본 발명은 전방향으로 자유롭게 플러그가 꽂혀질 수 있게 되어 콘센트에 꽂히게 되는 전기 코드가 복잡해지지 않고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게 하는 것.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수단은 종래에 문제시되었던 문제들을 해소하는 것을 과제로 한 것으로서 그 해결 수단을 기술적 창작을 통해 해결할 수 있게 한 것들로서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1. 콘센트는 전기용품으로서 전기의 흐름을 절연이나 도전을 상태로 이용하여야하는 기술적 특성과 기능을 가져야 함에 따라 이에 대응되는 기술적 과제 해결로 다음과 같이 수단을 삼았다
1) 도전과 절연의 전기적 특성을 이용할 수 있는 과학적 기술로서 전기이론을 이용.
2) 실체적 물품으로서 구성되어야할 재료적 문제에서 전기의 흐름을 도전시 켜 주기 위한 재료의 선정에서 도전체인 동판 전극을 이용하는 것과 동판을 보호하고 취급시 안전하고 편리하여야 할 부도체 재료인 플라스틱류를 이용하는 것
3) 전기의 절연과 도전의 기능을 인위적으로 조작이 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구조적 창작으로서 하나의 물품 설계를 이용하는 것.
ㄱ) 플러그를 꽂을 수 있게 하기 위한 플러그 꽂이부 형성
ㄴ) 꽂힌 플러그가 안정적으로 도전과 고정이 되어져 질 수 있게 한 동판 반원형 사각 홈 구조 전극과 안착 자리 구조부 형성
ㄷ) 꽂히게 되는 플러그를 전방향으로 언제든지 필요할 때마다 조작이 가능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구조로서 본체 케이스를 상하부 본체 케이스로 나누어질 수 있게 클러치 구조로 결합이 되게 한 구조부와 클러치 치형을 이용한 방사방향 원하는 각도에 세밀한 위치가 결정되게 한 구조부 형성
ㄹ) 상하 본체 케이스가 분리되어 상부 본체 케이스가 원하는 각도로 조정이 될수 있도록 하부 본체 케이스가 하부로 일시적으로 이동이 되게 하고 될 수 있는 공간 확보 구조의 형성
ㅁ) 상하부 본체 케이스가 일시적으로 회전을 위해 분리되어 상부 본체 케이스에 꽂힌 플러그도 동시에 필요한 방향에 위치해지기 위해 회전되게 할 중심축 겸 회전축 구조물인 회전판과 회전축 구조부 형성
ㅂ) 마지막 구조 형성 수단으로서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한 스프링의 안착자리 확보 및 작용 상태 구조의 형성, 이 스프링은 상,하부 본체 케이스가 클러치로 된 상태를 일시적으로 인위적 손으로 눌러 취급하면 분리가 되고 손을 놓으면 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클러치가 밀착 결합이 되게 한 수단
2. 하나의 물품으로서 산업에 이용될 때에 경제적 효율성 제고가 되기 위한 기술적 해결수단으로서는 다음과 같다.
1) 전기용품의 하나이므로 감전과 누전에 절대적인 안전 확보,
즉 구성품의 전체 재료의 선정에서 도전체 전극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도전이 되지 않는 위치에서 결합이 되게 하는 구조 형성(동판 반원형 사각형 홈 구조 전극의 고정용 볼트 및 회전판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수나사 보울트)
2) 사림이 플러그를 꼽고 빼 낼 수 있게 취급되어야할 부분에 감전이 되지 않을 수 있는 부도체의 재료 선정(플라스틱류)
3) 규격화된 전기용품 중의 하나로서 규격 이행의 질서 유지 및 대량생산을 통한 제조 기술성 제고(사출성형과 사출성형을 위한 금형 제작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창작적 구조 형성)
종래의 콘센트가 가지고 있던 기술적 한계 또는 가치 창출의 정도를 본 발명을 통하여 한계를 극복하고 더 나은 가치 창출이 되게 한 것으로서 종래의 경우 각종 가전제품이나 전열 기구, 또는 동력을 필요로 하는 설비의 사용 위치는 제각기 방사방향에 위치되어 사용이 되고 있는데 이때 다수개용 콘센트의 경우에 각 사용 위치가 다른 데서 연결되어온 전기코드의 플러그는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만 꽂히게 되는 종래의 콘센트 구조로 말미암아 각 방향에서 온 전기 코드가 서로 엉키게 되거나 복잡하게 되는 상태이었으나 이에 대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들을 완전히 해 소된 발명으로서 플러그의 위치를 어느 방향으로도 상관없이 위치해 줄수 있게 하여 전기 코드가 복잡하게 얽히거나 하는 문제가 없게 하는 효과이다.
특히 과열로 인하여 전기 코드가 복잡하게 얽히거나 구겨져 화재 요인이 될 수 있을 확률을 낮추어 줄 수 있는 효과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들을 구체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내용은 다음과 같은 각 도면 중심으로 설명되었고 이 설명들은 각 구성품들의 모양과 구조, 기능, 결합 관계. 기대 효과들로 되어졌다.
전체 구조는 크게 5부분으로 본체 구성물이 이루어졌다. 첫째 플러그를 삽입시키게 되는 상부 본체 케이스 , 둘째 전극 동판을 장치시키는 하부 본체 케이스와 동판 전극, 셋째 상하부 본체 케이스를 동시에 결합시켜 상부 본체를 회전시켜 주는 기능을 해주는 회전판, 넷째 하부 본체 케이스를 상하로 이동시켜 주기 위한 탄성력을 이용하는 스프링으로 되어졌다. 다섯째 다수용개 콘센트가 되기 위한 다수개용 회전판으로 되어졌고 각 부분의 구체적인 내용으로서
제1도는 콘센트의 상부 본체 케이스(1a)의 평면도로서 하부 본체 케이스(2a)와는 상,하부로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졌고 회전판(3a)과는 회전판(3a)의 중심부에 상부로 돌출된 중심축인 상부쪽 진원의 환봉 축(3e)에 끼워져 상,하부 본체 케이스(1a),(2a)가 동시에 끼워져 결합이 되게 되었다. 이와 같은 결합구조는 전체가 회전판(3a)의 하나의 회전용 축 겸 위치 중심축을 통하여 정해진 위치에 안착되어 각 각의 자기 기능을 하기 위한 결합구조로 된 것이며 상부 본체 케이스(1a)의 모양과 구조는 원통형 구조에 하면부의 최외곽부 원주 길이 전체 부분에 중심인 내면쪽으로 일부 폭만큼 클러치 기능을 할 수 있는 요철 구조의 돌출물(1c)이 되어졌고 이 요철의 구조에서 돌출물(1c)의 모양은 삼각나사나 사각나사, 톱니나사 형태와 같이 가공에 용이하게 필요한 형태로서 필요한 종류의 클러치 치형을 선택하여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되어졌으며 이것에 상대하게 될 것은 하부 본체 케이스(2a)로서 이 하부 본체 케이스(2a)의 상면부 상대적 자리에 상부 본체 케이스(1a)의 클러치 돌출물(1c) 부분에는 하부 본체 케이스(2a)에는 돌출되지 않는 평면 부분이 되고 상부 본체 케이스(1a)에 돌출되지 않는 부분에는 하부 본체 케이스(2a)에는 요철 구조중 돌출물(2j)이 돌출되어져 상,하 본체 케이스(1a),(2a)의 치형끼리는 서로 지그재그로 밀착 결합이 되어져 분리되었다가 결합이 되어질 수 있게 되어졌다. 이 분리와 결합의 선택은 꼽는 플러그의 위치를 필요한 각도로 위치해 두고 싶을 때 자유롭게 선택하고자 할 때에 상하 본체 케이스(1a),(2a)의 각 클러치 돌출물(1c),(2j)을 사용하여 위치 결정을 해줄 수 있는 특장점 구조이다. 또한 상부 본체 케이스(1a)의 상면부의 구조는 원주면의 원통 구조에서 상면부에서 하부쪽으로 원형 홈으로 형성되어졌고 원형 홈의 바닥면에는 플러그의 환봉형 단자를 끼울 수 있게 두 개의 원형 구멍(1f)이 관통되어졌고 이 두 원형 구멍(1f) 사이 원형 바닥면의 중심부에는 단이진 작은 원형 홈(1e)이 형성되어졌으며 이 단이진 작은 원형 홈(1e)의 중심부에는 관통된 원형 구멍으로 되어져 이곳으로는 회전판(3a)의 중심축 상부쪽 부분의 진원의 환봉형 축(3e)이 끼워져 상부 본체 케이스(1a)가 자유롭게 방사 방향으로 끼워진 진원의 환봉형 축(3e)을 중심으로 회전이 될 수 있게 되어졌 다. 또한 상부 본체 케이스(1a)의 원통의 원부 표면에는 너어링(1b)이 되어져 상부 본체 케이스(1a)를 손으로 잡고 돌려줄 때 미끄러지지 않게 하기 위한 구조로 되어졌고 상부 본체 케이스(1a)의 하면부도 상면부와 같이 클러치 구조 부분을 제외하고 상부쪽으로 원형 홈으로 되어졌고 이 원형 홈으로 되어진 바닥면의 중심부 부분에는 원통형 구조물(1d)이 다시 하부 방향으로 돌출이 되어졌다. 이 돌출된 원통 구조물(1d)의 중심부는 길이 전체 상,하면쪽으로 관통된 원형 구멍으로 되어졌다. 즉 이 관통된 구멍 속으로 회전판(3a)의 중심축의 상부쪽인 진원의 환봉 축(3e)이 끼워질 수 있게 된 구조이다.
도2는 상부 본체 케이스(1a)의 정면도로서 구체적인 모양과 구조는 도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3은 상부 본체 케이스(1a)의 저면도로서 구체적인 모양과 구조에 대해서는 도1에서 설명한바와 같다.
도4는 상부 본체 케이스(1a)의 상면부를 사시적으로 볼 수 있게 사시한 사시도로서 구체적인 모양과 구조는 도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5는 상부 본체 케이스(1a) 도2의 A-A로 부로 단면화한 단면도이며 구체적인 모양과 구조는 도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6은 상부 본체 케이스(1a)의 하면부를 사시적으로 볼 수 있게 사시한 사시도로서 구체적인 모양과 구조는 도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7은 하부 본체 케이스(2a)로서 평면도로 도시한 것이며 이 하부 본체 케이스(2a)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본체 케이스(1a)와는 외곽부 클러치 부분끼리 밀 착 결합과 분리가 되게 되어졌고 이 결합 되게 된 구조의 기능은 상부 본체 케이스(1a)의 클러치의 돌출물(1c)이 선택한 방향의 위치에 회전되어 놓여졌을 때 외부의 충돌이나 접촉으로 플러그가 위치된 장소에서 회전 이동이 되지 않게 되기 위한 것이며 반대로 클러치를 분리하였을 때는 상부 본체 케이스(1a)를 필요한 위치로 회전시켜주어야 할 때 일체형이나 분리되지 못하면 안되기 때문에 분리시켜 회전을 시켜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능으로 된 것이다. 이러한 하부 본체 케이스(2a)의 모양과 구조는 얇은 쟁반과 같은 짧은 원통형 구조에 중심부 쪽으로는 하면에서 하부 방향으로 외부쪽 원통(2n)이 돌출되어졌고 이 돌출된 외부쪽 원통의 더 중심부 쪽에도 또 다른 지름이 작은 내부쪽 원통(2m)이 하나 더 돌출이 되어져 내부쪽 작은 원통형 돌출 구조물과 외부쪽 돌출 원통형 구조물 사이에는 자연스럽게 원형 홈(2k)으로 형성되어져 이곳에는 하부 본체 케이스(2a)의 하면부 쪽에 결합될 회전판(3a)의 상면부 원형 홈(3n)과 동시에 양 사이에 끼워질 스프링(7a)의 안착자리로 되어졌고 하부 본체 케이스(2a)의 하면부 외부쪽 원통(2n) 돌출 구조물의 외부쪽에도 원형 홈(2L)이 형성되어져 이 원형 홈에는 이 홈의 바닥면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4개의 사각 돌출물(2p)이 하부 본체 케이스(2a)의 하면 외곽부 표면까지 돌출되어 이 각 사각 돌출물(2p)의 하면 표면부 중심에는 다시 상부쪽으로 관통된 원형 구멍이 뚫혀져 암나사(2d) 구조로 되어졌다. 이 암나사 구조는 하부 본체 케이스(2a)의 상면부에서 결합된 동판 반원형 사각 홈 단자(4a)를 고정시켜 주기 위한 보울트(5b) 체결용 암나사 자리이며 또한 4개중 대칭적 위치의 2개는 암나사 자리 일부에 함께 사각형 구멍(2e)으로 관통된 구조로 되어져 이곳으로는 동판 반원형 사각 홈 전극(4a)에 연결될 전기 코드 또는 전기코드 터미날(단자)가 끼워질 공간 자리로 되어졌다.
또한 하부 본체 케이스(2a)의 정중앙 부분인 중심부에는 - 상기의 하면부에 내부쪽에 지름이 작게 원통(2m)으로 돌출된 구조물의 내부쪽이 되는 정중앙 부분으로서- 장궁형의 관통된 구멍(2h)으로 되어졌다. 이곳으로는 하부 본체 케이스(2a)의 하면부 쪽에 위치하여 결합될 회전판(3a)의 상면 중심부에서 돌출된 중심축의 하부 부분의 형상이 장궁형으로 되어져 이 중심축의 하부쪽 장궁형 축(3i)부분과 결합이 될 구조 부분이며 이 장궁형의 관통된 구멍(2h) 구조는 회전판(3a)의 장궁형 축(3i)에 끼워진 후 하부 본체 케이스(2a)는 회전이 되지 못하게 하고 다만 상하 이동만 되어질 수 있게 된 구조부이며 또한 하부 본체 케이스(2a)의 하면부 최외곽부 쪽에는 4방향으로 환봉형 돌기(2i)가 하부 방향 수직으로 돌출이 되어졌다. 이 환봉형 돌기(2i)는 하부 본체 케이스(2a)가 상하로 이동 되게 될 때 4방향에서 균형적으로 동시에 이동이 되게 하는 동시에 고정된 위치에서 이탈이 되지 않게 하여 이러한 구조는 수직과 수평을 동시에 상하로 균형적으로 이동해 줄 수 있게 된 것이다. 즉 주변 기온들에 대한 재료의 체적 변화들로부터 결합 공차와 이동 상태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해주기 위한 구성으로 되어졌다. 또한 하부 본체 케이스(2a)의 상면 구조는 상면의 최외곽부에는 원주방향으로 전체에 내부쪽 일부가 수평 평판(2q) 부분으로 되어졌고 중심부인 내부쪽 일부에는 원주방향 전체에 상부 본체 케이스(1a)의 클러치 구조부와 요철 구조로 결합이 되기 위한 주기적인 돌출물(2j)이 상부쪽으로 돌출이 되어졌으며 이 클러치 구조 돌출물(2j)의 내부쪽인 중심부 쪽에는 도전체인 동판 반원형 사각 홈 전극(4a)을 장치하기 위한 구조물 구조로서 정중앙 부분에 형성된 장궁형의 관통된 구멍(2h) 둘레에 대칭 구조로 반원형의 사각 홈(2b)이 상면에서 하부 방향으로 형성되어졌다. 이 형성된 대칭 구조의 반원형 사각 홈(2b)과 반원형 사각 홈(2b) 사이 연결대(2f)가 되는 두 부분인 일부 홈은 동판 반원형 사각 홈(2b)보다 약간 앝은 홈으로 되어져 상대적으로 동판 반원형 사각 홈(2b) 보다 상부쪽으로 약간 더 돌출이 되어진 구조로 되어졌다. 또한 특히 이 동판 반원형 사각 홈 전극(4a)이 끼워지게 될 반원형 사각 홈(2b)의 홈 원주의 원통 부분의 내부쪽과 외부쪽에는 원호형(2g)으로 홈이 주기적으로 형성되어 끼워질 동판 반원형 사각홈 전극(4a)이 면접촉의 정도가 적게 일부만 면접촉 밀착이 되어질 수 있게 되어졌고 이 구조는 동판 반원형 사각 홈 전극(4a)이 주변 온도나 도전시 열 변형을 일으킬 수 있을 때에 동판 반원형 사각 홈 전극(4a)의 체적 변화가 이 틈새에서 늘어나고 줄어들 수 있는 여유 틈새 역할이 되게 된 것이며 동시에 플러그의 환봉형 단자가 끼워지고 빠질 때 반원형 사각 홈 전극(4a)의 재료인 동판의 탄성 한도 내의 신축 활동 공간 여유로 작용 되게 된 것이다. 또한 상면부 동판 반원형 사각 홈 전극(4a)이 반원형 사각 홈(2b) 자리에 끼워진 후 안정적으로 고정 밀착을 유지시켜 주기 위해 체결자리인 보울트(5b) 체결 자리가 동판 반원형 사각 홈(2b)의 외부쪽 상면부 일부 2군에 형성되어졌고 내부쪽에는 중심부 장궁형의 관통된 구멍(2h)이 있는 쪽에 하나가 형성되어 서로 대칭 구조로 되어졌다. 또한 특히 하부 본체 케이스(2a)의 상면 최외곽부 일부가 수평 평판(2q)으로 원주 방향 전체에 형성된 것은 상,하 본체 케이스(1a),(2a)가 밀착 결합된 후 하부 본체 케이스 (2a)의 상기 수평 평판(2q)부분을 손으로 눌러주기 위한 방사 방향의 기능 부분으로서 하부 본체 케이스(2a)의 이 수평 평판(2q) 부분을 누르면 스프링(7a)의 탄성력에 의해 올려진 하부 본체 케이스(2a)가 내려가 상,하 본체 케이스(1a),(2a)의 클러치가 분리되고 이 분리는 상부 본체 케이스(1a)와 동판 반원형 사각 홈 전극(4a)에 끼워진 플러그의 환봉형 단자도 동시에 동판 반원형 사각 홈 전극(4a)으로부터도 분리가 되어져 상부 본체 케이스(1a)를 필요한 위치로 돌려 회전시키면 끼워진 플러그도 동시에 상부 본체 케이스(1a)를 필요한 방향의 위치에 같이 놓여 질 수 있게 된 것이다. 즉 이때 도전이 되기 위한 전극의 접촉도 동판 반원형 사각 홈(2b)에 안착된 반원형 사각 홈 전극(4a)에서 일시적으로 이탈이 되어졌다가 다시 스프링(7a)에 의하여 필요한 위치에 놓여 졌을 때 일시적으로 분리되었던 플러그의 환봉형 전극은 다시 반원형 사각 홈 전극(4a) 속에 끼워져 접촉이 되어 도전이 되게 된 것이다.
도8은 하부 본체 케이스(2a)의 정면도로서 구체적인 모양과 구조는 도7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9는 하부 본체 케이스(2a)의 저면도로서 구체적인 모양과 구조는 도7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10은 하부 본체 케이스(2a)의 상면부를 사시적으로 볼 수 있게 사시한 사시도로서 구체적인 모양과 구조는 도7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11은 도8의 B-B단면으로 단면한 단면도로서 구체적인 모양과 구조는 도7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12는 하부 본체 케이스(2a)의 하면부를 사시적으로 볼 수 있게 사시한 사시도로서 구체적인 모양과 구조는 도7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13은 회전판(3a)을 평면도로 도시한 것으로서 이 회전판(3a)은 상,하 본체 케이스(1a),(2a)를 동시에 결합시켜 주는 기능과 동시에 특징적인 두 가지 기능을 더 하는 구성물로서 결합 상태의 위치는 상,하 본체 케이스가 상하로 결합된 하부인 최하부에 위치하게 되며 이 회전판(3a)의 구조도 원통형 구조로 되어졌고 상면부의 구조는 정중앙 중심부에 상부쪽으로 중심축이 돌출되어졌고 이 돌출된 중심축의 구조중 일부인 하부쪽에는 장궁형 축(3i)으로 돌출이 되어졌고 상부쪽에는 진원의 환봉 축(3e)으로 돌출되어졌다. 하부쪽에 장궁형 축(3i)으로 돌출된 이유는 도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부 본체 케이스(2a)는 회전이 되지 않고 상하방향으로만 이동이 되어질 수 있게 하기 위한 구조로서 대응된 구조이며 이 회전판(3a)의 중심축 일부인 장궁형 축(3i) 부분 높이와 상면 수평 구조는 상부 본체 케이스(1a)의 하면부 중심부에 하부쪽으로 돌출된 원통(1d) 구조물의 하면부가 이 회전판(3a)의 장궁형 축(3i) 부분의 상면 수평면에 맞닿이게 되어 상부 본체 케이스(1a)가 회전이 되어질 때 필요한 기능의 구성 구조로서 최적한 높이와 수평면의 상태는 즉 하부 본체 케이스(2a)가 스프링(7a)의 탄성력에 의해 밀려 올라온 상태를 손으로 눌러 내리면 상부 본체 케이스(1a)도 동시에 스프링(7a)의 힘에 의해 밀려 올려져 더 이상 올라가지 않는 상태로 유지되다가 스프링(7a)의 탄성력이 일시적으로 인위적으로 제거하였을 경우 중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내려오게 될 때에 회전판(3a)의 중심축인 장궁형 축(3i) 부분의 높이와 수평면이 더 이상 상부 본체 케이스(1a)가 자 동적으로 내려오지 않게 구조적으로 조치 해주는 기능 구조로 된 것이다. 즉 이 장궁형 축(3i)의 상면 수평면에서 수평면을 기반 삼아 상부 본체 케이스(1a)를 안정적으로 회전을 시킬 수가 있게 한 것이다. 이 회전판(3a) 중심축의 하부쪽 장궁형 축(3i) 부분의 위 부분인 상부쪽은 진원의 환봉 축(3e)으로 되어졌고 이 진원 환봉축(3e)의 최상부 부분은 상부 본체 케이스(1a)의 상면 정중앙 부분에 작은 원형 홈(1e)으로 되어진 바닥면 정중앙에 관통된 원형 구멍 속으로 끼워져 상부 본체 케이스(1a)와 결합이 되게 되고 이 결합된 상부 본체 케이스(1a)는 회전판(3a) 중심축의 상부쪽 진원 환봉 축(3e)을 기준으로 회전이 되어 질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이 진원 환봉 축(3e)의 상면에는 상면 표면에서 하부쪽으로 암나사(3f) 자리로 되어져 이곳에 수나사 보울트(6a)가 끼워져 진원 환봉 축(3e)에 끼워진 상부 본체 케이스가(1a) 이탈이 되지 않게 된 구조로 되어졌다. 즉 스프링(7a)의 탄성력에 의하여 밀려 올라오게 된 하부 본체 케이스(2a)는 클러치 부분이 상부 본체 케이스(1a)에도 탄성력이 전달되어 상부 본체 케이스(1a)도 동시에 상부쪽으로 밀려나게 작용하게 될 때에 회전판의 중심축에 상하 본체 케이스가 동시에 끼워진 채로 상하로 상부쪽으로 밀려 올라가 이탈될 수 있는 것을 회전판(3a)의 중심축 상부쪽의 진원 환봉 축(3e) 상면부에 형성된 암나사 자리(3f)에 결합 된 수나사 보울트(6a)가 상부 본체 케이스(1a)의 상면 원형 홈 바닥면에 작게 원형 홈(1e)으로 되어진 홈 자리에 안착되어 상부 본체 케이스(1a)는 이탈이 되지 않고 회전만 되어 질 수 있게 되어졌다. 또한 이 회전판(3a)의 상면 중심에 형성된 중심축인 하부쪽 장궁형 축(3i)의 외부쪽으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쪽에 지름이 작은 원통(3L) 구조물이 형성되고 이 내부쪽의 원통(3L) 구조물의 더 외부쪽에도 상부 방향으로 외부쪽 원통(3m) 구조물이 형성되어졌으며 이 내부쪽과 외부쪽에 형성된 원통(3L),(3m) 구조물 사이 원형 홈(3o)에는 스프링(7a)이 안착되어져 결합이 되어지게 되며 외부쪽 원통(3m) 구조물의 더 외부쪽 둘레에는 원형 홈(3q)으로 형성되어 이 원형 홈(3q)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4군데에 일부씩 사각형의 돌출물(3n)이 형성되었고 이 돌출물(3n)의 상면부에서 하부쪽으로 원형의 홈(3j)이 각 각 형성되어져 이곳에 하부 본체 케이스(2a)의 하면부 외곽부 쪽에 4방향으로 환봉형 돌기(2i)가 돌출된 것이 끼워져 상하로만 이동되어 져야 하는 하부 본체 케이스(2a)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보장해 주는 역할의 구조로 되어졌다. 또한 회전판(3a)의 하면부 구조는 외곽부 쪽에 원형 홈(3d)이 상부쪽으로 형성되어졌고 이 원형 홈(3d)의 상부쪽에 형성된 바닥면 부분에는 일정 간격으로 리브(3c)가 형성되어졌으며 이 형성된 각 리브(3c)의 중간 부분에는 절단된 구조로 되어져 이곳에 전기 코드가 밀착되어 끼워지게 되어져 상기 원형 홈(3d)과 함께 이곳으로 끼워진 전기 코드가 외부로 노출이 되지 않게 되며 또한 회전판(3a)의 원통 원주면 일부 2군데에는 외부 전기 코드가 콘센트의 동판 반원형 사각 홈 전극(4a)으로 연결되기 위해 들어오게 되는 전선 투입구(3b)로 형성되어졌다.
도14는 회전판(3a)의 정면도로서 구체적인 모양과 구조는 도13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15는 회전판(3a)의 저면도로서 구체적인 모양과 구조는 도13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16은 회전판(3a)의 상면부를 사시적으로 볼 수 있게 사시한 사시도로서 구체적인 모양과 구조는 도13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17은 도14를 C-C로 단면한 단면도로서 구체적인 모양과 구조는 도13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18은 회전판(3a)의 하면부를 사시적으로 볼 수 있게 사시한 사시도로서 구체적인 모양과 구조는 도13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19는 동판 반원형 사각 홈 전극(4a)의 평면도로서 도시된 것이며 이 동판 반원형 사각 홈 전극(4a)은 플러그의 환봉 전극의 하부 부분이 끼워질 수 있게 사각 홈의 구조로 되어졌으나 이 사각 홈은 전극 전체가 반원형의 채널 형태로 되어져 전체가 사각 홈으로 되어졌다. 이러한 구조는 상부 본체 케이스(1a)의 상면부에서 하부쪽으로 끼워진 플러그가 회전판(3a)의 중심축의 상부쪽 진원 환봉 축(3e)을 기준으로 필요한 방향인 필요한 위치로 놓이게 하고자 할 때 상부 본체 케이스(1a)를 회전시키면 끼워진 플러그와 환봉 단자도 함께 동시에 회전이 되게 되고 이때 회전판(3a) 중심축의 상부쪽 진원 환봉 축(3e)을 기준으로 환봉 단자의 회전 지름 거리와 대칭 위치는 변하지 않고 필요한 각도만큼 회전만 되게 되어 회전시킨 자리에서 환봉 단자가 다시 동판 반원형 사각 홈 전극(4a)의 홈에 끼워져 도전이 되어질 수 있게 된 것이다. 즉 동판 반원형 사각 홈 전극(4a)은 하부 본체 케이스(2a)의 반원형 사각 홈(2b) 구조부에 끼워져 고정된 위치에 있게 되어져 하부 본체 케이스(2a)는 회전이 되지 않고 상하로 이동만 되는 구조로 말미암아 동판 반원형 사각 홈 전극(4a)도 하부 본체 케이스(2a)와 함께 동시에 상하로만 이동은 되지만 회 전은 안되기 때문에 회전이 되는 플러그의 환봉 단자가 반원형의 사각 홈 전극(4a)의 필요한 부분에서 끼워질 수 있게 하기 위한 구조로 된 것이다. 특히 반원형 사각 홈 전극(4a)으로 된 것은 전기의 도통의 구조에서 플러스와 마이너스가 동시에 도전될 수는 없기 때문에 어느 한쪽이 플러스가 되면 나머지는 마이너스가 되어야 하는 전기 현상에 의해 동판 반원형 사각홈 전극(4a)은 이 플러스와 마이너스가 항상 유지되어 질 수 있게 하기 위한 반원형 사각 홈 전극(4a)으로 된 것이며 또한 플러그의 환봉 단자 - 또는 일부 일본과 같은 110V 사용을 위한 구조로서 얇은 원호형 판구조 전극으로 할지라도 상대적 반원형 홈으로 하여 - 는 두 거리는 항상 고정적으로 유지되어 회전이 되기 때문에 반원형의 원주 길이는 반원형의 사각 홈 전극(4a) 사이 절단된 간격이 플러그의 환봉 단자가 어느 방향으로 회전시켜 놓더라고 두 단자가 합선되지 않는 상태 구조로 되게 된 반원형 간격 구조로 되어졌고 또한 동판 반원형 사각홈 전극(4a)의 바닥면에는 사각형의 관통된 구멍(4d)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이곳은 플러그의 환봉 단자의 하면부가 원호형으로 된 부분이 접촉되거나 끼워짐에 접촉률을 높이기 위한 구조로 되어짐과 동시에 동판이 주변온도나 도전중 열 발생으로 전극의 체적이 변화될 때 늘어남과 줄어듬의 신축작용 틈새 공간으로 되게 된 구조이다.
또한 동판 반원형 사각 홈 전극(4a)이 전체 반원형의 사각 홈 구조로 되어진 상면부의 원호 외부쪽과 내부쪽에는 수평으로 일부가 평판(4b),(4f) 구조로 되어졌고 이 각 수평 평판(4b),(4f)에는 관통된 원형 구멍(4c),(4e)으로 되어져 이곳으로 체결용 수나사(5b)가 끼워지게 되어 하부 본체 케이스(2a)의 동판 반원형 사각 홈 전극(4a) 안착자리에 전극이 안착 된 후 체결되는 체결 부분의 자리에서 밀착되어 체결이 되게 되어졌다.
도 20은 동판 반원형 사각 홈 전극(4a)의 정면도로 도시된 것으로서 구체적인 모양과 구조는 도19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21은 동판 반원형 사각 홈 전극(4a)의 저면도로서 구체적인 모양과 구조는 도19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22는 동판 반원형 사각 홈 전극(4a)의 상면부를 사시적으로 볼 수 있게 사시한 사시도로서 구체적인 모양과 구조는 도19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23은 도20의 D-D 의 단면부분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구체적인 모양과 구조에 대해서는 도19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24는 동판 반원형 사각 홈 전극(4a)의 하면부를 사시적으로 볼 수 있게 사시한 사시도로서 구체적인 모양과 구조는 도19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25는 하부 본체 케이스(2a)와 동판 반원형 사각홈 전극(4a)이 결합된 부분 결합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하부 본체 케이스(2a)와 동판 반원형 사각 홈 전극(4a)의 개별 구성품의 모양과 구조에 대해서는 도7과 도19에서 상술한 바와 같고 하부 본체 케이스(2a)와 동판 반원형 사각 홈 전극(4a)의 결합 구조는 하부 본체 케이스(2a)의 상면에서 하부 쪽으로 형성된 동판 반원형 사각 홈 전극(4a) 자리인 반원형 사각 홈(2b)의 자리에 동판 반원형 사각 홈 구조 전극(4a)이 안착되어 결합이 되어졌고 이 안착 되어진 동판 반원형 사각 홈 전극(4a)이 안정되게 고정되어 체결이 되어져 있기 위해서는 하부 본체 케이스(2a)의 상면부에 형성된 반원형의 사각 홈(2b) 채널 구조의 원주 방향인 외부쪽과 내부쪽인 중심부 쪽에 사각형의 수평 평판 구조 홈이 얕게 형성되어진 체결부 자리에 원형의 관통된 구멍에 암나사 w자리(2d)로 되어진 체결 구조부에서 보울트(5b)에 의해 하부 본체 케이스(2a)와 동판 반원형 사각홈 전극(4a)이 견고하게 고정 결합이 되어졌다.
도26은 하부 본체 케이스(2a)와 동판 반원형 사각홈 전극(4a)이 결합된 부분 결합도의 정면도로서 구체적인 모양과 구조는 도25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27은 하부 본체 케이스(2a)와 동판 반원형 사각홈 전극(4a)이 결합된 부분 결합의 저면도로서 구체적인 모양과 구조에 대해서는 도25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28은 하부 본체 케이스(2a)와 동판 반원형 사각 홈 전극(4a)이 결합된 부분 결합의 상면부 부분을 사시적으로 볼 수 있게 사시도로 도시한 것으로서 구체적인 모양과 구조에 대해서는 도25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29는 하부 본체 케이스(2a)와 동판 반원형 사각 홈 전극(4a)이 결합된 부분 결합인 도26을 E-E단면으로 단면한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구체적인 모양과 구조에 대해서는 도25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30은 하부 본체 케이스(2a)와 동판 반원형 사각 홈 전극(4a)이 결합된 부분 결합으로서 하면부 부분을 사시적으로 볼 수 있게 사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로서 구체적인 모양과 구조에 대해서는 도25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31은 상,하 본체 케이스(1a),(2a)와 하부 본체 케이스(2a)에 결합된 동판 반원형 사각 홈 전극(4a)이 모두 함께 결합된 부분 결합을 평면도로 도시한 것으로서 각 개별 구성품들의 모양과 구조와 기능들은 상술한 바와 같고 다만 도25의 구 조에 상부 본체 케이스(1a)가 클러치 부분에 밀착 결합된 추가된 구조의 부분 결합의 상태 구조이다.
도32는 상,하 본체 케이스(1a),(2a)와 하부 본체 케이스(2a)에 결합된 동판 반원형 사각 홈 전극(4a)이 모두 함께 결합된 부분 결합의 정면도로서 구체적인 모양과 구조는 도3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33은 상,하 본체 케이스(1a),(2a)와 하부 본체 케이스(2a)에 결합된 동판 반원형 사각 홈 전극(4a)이 모두 함께 결합된 부분 결합의 저면도로서 구체적인 모양과 구조는 도3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34는 상,하 본체 케이스(1a),(2a)와 하부 본체 케이스(2a)에 결합된 동판 반원형 사각 홈 전극(4a)이 모두 함께 결합된 부분 결합의 상면 부분을 사시적으로 볼 수 있게 사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로서 구체적인 모양과 구조는 도3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35는 상,하 본체 케이스(1a),(2a)와 하부 본체 케이스(2a)에 결합된 동판 반원형 사각 홈 전극(4a)이 모두 함께 결합된 부분 결합의 정면도인 도32를 F-F단면으로 단면한 단면도로서 구체적인 모양과 구조에 대해서는 도3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36는 상,하 본체 케이스(1a),(2a)와 하부 본체 케이스(2a)에 결합된 동판 반원형 사각 홈 전극(4a)이 모두 함께 결합된 부분 결합의 하면부를 사시적으로 볼 수 있게 사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로서 구체적인 모양과 구조에 대해서는 도3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37은 단수개용 콘센트의 전구성품이 결합된 결합도를 평면도로 도시한 것으로서 각 개별 구성품들인 상,하부 본체 케이스(1a),(2a)와 하부 본체 케이스(2a)에 결합된 동판 반원형 사각 홈 전극(4a)과 회전판(3a) 그리고 회전판(3a)을 상부 본체 케이스(1a)와 결합을 시켜 주기 위한 회전판(3a)의 중심축 상부인 진원형 환봉축(3e)의 상면부에 결합된 수나사 보울트(6a), 그리고 회전판(3ㅁ)의 상면 중심부에 형성된 중심축인 하부쪽 장궁형 축(3i) 외부 둘레에 안착되는 스프링97a)까지 모두가 결합된 결합도이다. 이러한 결합구조물의 각 개별 구성품들의 모양과 구조는 상술한 각 설명과 같고 다만 한 구성품인 스프링(7a)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규격품으로 판매되는 나선 방향으로 감긴 형태의 스프링으로 되어졌다.
도38은 콘센트의 전체 구성품이 결합된 것의 정면도로서 구체적인 모양과 구조는 도37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39는 콘센트의 전체 구성품이 결합된 것의 저면도로서 구체적인 모양과 구조는 도37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40은 콘센트의 전체 구성품이 결합된 것의 상면부를 사시적으로 볼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사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로서 구체적인 모양과 구조는 도37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41은 콘센트의 전체 구성품이 결합된 것의 정면도인 도 38의 G-G 단면부를 단면하여 도시된 단면도로서 구체적인 모양과 구조는 도37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42는 콘센트의 전체 구성품이 결합된 것의 하면부를 사시적으로 볼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사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로서 구체적인 모양과 구조는 도37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43은 다수개용 회전판(8a)만을 도시한 다수개용 회전판(8a)의 평면도로서 상술한 단수개용 회전판(3a)과 구조는 거의 대부분이 동일하고 다만 다른 구조 부분의 그 차이는 단수개용의 것의 전선 투입구(3b) 부분이 다수개용으로 밀착되어 연결되는 구조에서 밀착되지 않는 나머지 원호(8d) 부분 사이의 양측면쪽 부분에 평판(8b) 구조로 일체형으로 되어진 것과 그 외 다른 구조 부분은 전선 투입구(3b)가 맞대이는 부분에서 하면부에는 단수용은 전선투입구(3b)가 사각형의 관통된 구멍으로 전기 코드가 투입되지만 다수용은 금형으로 제작하기 위한 불가피한 구조로 관통된 사각 구멍이 아니라 하면부에서 절단된 홈(8c) 구조로 되어 전기 코드가 이 절단 된 구조부로 끼워져 다수 개 각 개별 동판 반원형 사각 홈 전극(4a)으로 연결이 되게 되어졌다.
도 44는 다수개용 회전판(8a)만을 정면도로 도시한 것으로서 구체적인 모양과 구조는 도43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45는 다수개용 회전판(8a)만을 저면도로 도시한 것으로서 구체적인 모양과 구조는 도43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46은 다수개용 회전판(8a)만의 상면부를 사시적으로 볼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사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로서 구체적인 모양과 구조는 도43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47은 다수개용 회전판(8a)만의 하면부를 사시적으로 볼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사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로서 구체적인 모양과 구조는 도43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48은 다수개용 전체 구성품이 결합된 상태의 결합 정면도로서 각 구성 개별품의 구체적인 모양과 구조는 상술한 바들과 같고 다만 다른 것은 다수개용 회전판(8a)만 단수개용 회전판(3a) 대신 일체형으로 되어진 다수개용 회전판(8a) 구조의 것이 사용되어졌다는 것뿐이며 이 다수개용 회전판(8a)도 도43에서 구체적인 모양과 구조에 대해서는 설명된 바와 같다.
도49는 다수개용 전체 구성품이 결합된 상태의 결합 평면도로서 구체적인 각 개별 구성품과 결합 구조에 대해서는 상술한 도48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50은 다수개용 전체 구성품이 결합된 상태의 상면부를 사시적으로 볼 수 있게 사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로서 각 개별 구성품의 구체적인 모양과 구조, 결합 구조는 도48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도51은 단수개용 콘센트의 전체 구성품이 결합된 결합도에서 각 개별 구성품이 결합되어지는 위치와 상태를 분해시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각 개별 구성품들의 구체적인 모양과 구조와 결합 상태 구조에 대해서는 상술한 도 37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1은 콘센트 상부 본체 케이스의 평면도.
도2는 콘센트 상부 본체 케이스의 정면도
도3은 콘센트 상부 본체 케이스의 저면도
도4는 콘센트 상부 본체 케이스의 상면부 사시도
도5는 콘센트 상부 본체 케이스의 A-A 단면도
도6은 콘센트 상부 본체 케이스의 하면부 사시도
도7은 콘센트 하부 본체 케이스의 평면도
도8은 콘센트 하부 본체 케이스의 정면도
도9는 콘센트 하부 본체 케이스의 저면도
도10은 콘센트 하부 본체 케이스의 상면부 사시도
도11은 콘센트 상부 본체 케이스의 B-B 단면도
도12는 콘센트 상부 본체 케이스의 하면부 사시도
도13은 콘센트 단수개용 회전판의 평면도
도14는 콘센트 단수개용 회전판의 정면도
도15는 콘센트 단수개용 회전판의 저면도
도16은 콘센트 단수개용 회전판의 상면부 사시도
도17은 콘센트 단수개용 회전판의 C-C 단면도
도18은 콘센트 단수개용 회전판의 하면부 사시도
도19는 콘센트 반원형 사각홈 전극의 평면도
도20은 콘센트 반원형 사각홈 전극의 정면도
도21은 콘센트 반원형 사각홈 전극의 저면도
도22는 콘센트 반원형 사각홈 전극의 상면부 사시도
도23은 콘센트 반원형 사각홈 전극의 D-D 단면도
도24는 콘센트 반원형 사각홈 전극의 하면부 사시도
도25는 콘센트 하부 본체 케이스와 반원형 사각홈 전극의 부분 결합 평면도
도26은 콘센트 하부 본체 케이스와 반원형 사각홈 전극의 부분 결합 정면도
도27은 콘센트 하부 본체 케이스와 반원형 사각홈 전극의 부분 결합 저면도
도28은 콘센트 하부 본체 케이스와 반원형 사각홈 전극의 부분 결합의 상면부 사시도
도29는 콘센트 하부 본체 케이스와 반원형 사각홈 전극의 부분 결합 E-E 단면 단면도
도30은 콘센트 하부 본체 케이스와 반원형 사각홈 전극의 부분 결합의 하면부 사시도
도31은 콘센트 상,하부 본체 케이스와 반원형 사각홈 전극의 부분 결합 평면도
도32는 콘센트 상,하부 본체 케이스와 반원형 사각홈 전극의 부분 결합 정면도
도33은 콘센트 상,하부 본체 케이스와 반원형 사각홈 전극의 부분 결합 저면도
도34는 콘센트 상,하부 본체 케이스와 반원형 사각홈 전극의 부분 결합 상면부 사시도
도35는 콘센트 상,하부 본체 케이스와 반원형 사각홈 전극의 부분 결합 F-F 단면의 단면도
도36은 콘센트 상,하부 본체 케이스와 반원형 사각홈 전극의 부분 결합 하면부 사시도
도37은 단수개용 콘센트 전구성품의 전체 결합 평면도
도38은 단수개용 콘센트 전구성품의 전체 결합 정면도
도39는 단수개용 콘센트 전구성품의 전체 결합 저면도
도40은 단수개용 콘센트 전구성품의 전체 결합 상면부 사시도
도41은 단수개용 콘센트 전구성품의 전체 G-G 단면의 단면도
도42은 단수개용 콘센트 전구성품의 전체 결합 하면부 사시도
도43은 콘센트 다수개용 회전판의 평면도
도44는 콘센트 다수개용 회전판의 정면도
도45는 콘센트 다수개용 회전판의 저면도
도46은 콘센트 다수개용 회전판의 상면부 사시도
도47은 콘센트 다수개용 회전판의 하면부 사시도
도48은 콘센트 다수개용 전구성품의 결합 정면도
도49는 콘센트 다수개용 전구성품의 결합의 평면도
도50은 콘센트 다수개용 전구성품의 결합의 상면부 사시도
도51은 콘센트 단수개용 전구성품 결합의 분해 사시도

Claims (4)

  1. 콘센트의 상부 본체 케이스(1a)는 원통으로 되어 하면 최외곽부의 일부 원주 길이 전체에 클러치 돌출물(1c)이 하부방향으로 돌출되었고 이 돌출된 클러치 돌출물(1c)에 상대적인 요철 구조의 돌출물(2j)을 가진 하부 본체 케이스(2a)가 상부 본체 케이스의 하부쪽에 상하로 위치되어 밀착 결합되었으며 상기의 하부 본체 케이스(2a)의 하면부쪽에는 회전판(3a),(8a)이 결합되어 이 회전판(3a),(8a)의 중간부 에 상부쪽으로 돌출된 중심축에 상,하 본체 케이스(1a),(2a)가 끼워져 결합되어졌으며 상기 하부 본체 케이스(2a)의 하면부에 형성된 내부쪽 원통(2m)과 외부쪽 원통(2n) 사이 원형 홈(2k)과 회전판(3a)의 상면부 중심축 둘레 내부쪽 원통(3L)과 회전판의 외부쪽 원통(3m) 사이 원형 홈(3o)에 동시에 스프링(7a)이 안착되어 전체가 결합된 전방향으로 자유롭게 선택하여 플러그를 끼울 수 있게 되어진 콘센트.
  2. 콘센트의 상부 본체 케이스(1a)는 원통으로 되어 하면 원주면쪽 최외곽부 일측 일부가 원주 길이 전체로 클러치 돌출물(1c)이 요철 구조로 하부방향으로 돌출되었고 상기 원주면쪽인 최외곽부에서 중심부쪽인 내부쪽은 원통형 본체 케이스의 상면부에서 하부쪽으로 원형 홈이 형성되어졌고 상기 원형 홈이 된 반대쪽 하면 바닥면의 중심부에서 원통(1d)이 하부쪽으로 돌출이 되어 이 돌출된 원통(1d) 전체 길이 만큼 그 중심부에 관통된 원형 구멍으로 되어졌으며 또한 원통 구조 본체 케이스(1a) 상부쪽 원주 외부 표면 전체에는 너얼링(1b)으로 되어진 전방향으로 자유롭게 선택하여 플러그를 끼울 수 있게 되어진 콘센트.
  3. 삭제
  4. 삭제
KR1020100009757A 2010-02-01 2010-02-01 전방향으로 자유롭게 선택하여 플러그를 끼울 수 있게 되어진 콘센트 KR101224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9757A KR101224949B1 (ko) 2010-02-01 2010-02-01 전방향으로 자유롭게 선택하여 플러그를 끼울 수 있게 되어진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9757A KR101224949B1 (ko) 2010-02-01 2010-02-01 전방향으로 자유롭게 선택하여 플러그를 끼울 수 있게 되어진 콘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9794A KR20110089794A (ko) 2011-08-09
KR101224949B1 true KR101224949B1 (ko) 2013-01-23

Family

ID=44927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9757A KR101224949B1 (ko) 2010-02-01 2010-02-01 전방향으로 자유롭게 선택하여 플러그를 끼울 수 있게 되어진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49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62351A1 (en) * 2012-04-23 2013-10-31 Fook Khean Wong Safety power socket
CN107171399B (zh) * 2017-06-30 2018-08-24 诸暨市代宇软件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手机装置
CN107147190B (zh) * 2017-06-30 2018-05-25 湖南唯想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手机装置
KR102633160B1 (ko) * 2019-10-14 2024-02-02 김유진 회전형 결속보조기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3574U (ja) * 1996-04-12 1997-11-28 義雄 周 回転機能を具えたコンセント
KR100327529B1 (ko) * 2000-01-27 2002-03-15 주용섭 매립형 콘센트
KR20100090161A (ko) * 2009-02-05 2010-08-13 전영욱 회전 접속식 콘센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3574U (ja) * 1996-04-12 1997-11-28 義雄 周 回転機能を具えたコンセント
KR100327529B1 (ko) * 2000-01-27 2002-03-15 주용섭 매립형 콘센트
KR20100090161A (ko) * 2009-02-05 2010-08-13 전영욱 회전 접속식 콘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9794A (ko) 2011-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81349A1 (en) Socket with rotatable socket core
KR101224949B1 (ko) 전방향으로 자유롭게 선택하여 플러그를 끼울 수 있게 되어진 콘센트
US8475175B2 (en) Reorientable electrical receptacle
US9660378B2 (en) Magnetic electrical connector
AU2009329951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7566223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CN103378528B (zh) 具有旋转功能的电源插头
WO2009100122A1 (en) Rotating plug adaptor
AU2010244965B2 (en) Socket switch
US2528971A (en) Fused electric plug
US3344392A (en) Electrical terminal connector
US5263881A (en) Socket for halogen bulb
GB2453914A (en) Rotatable electrical outlets
CA1264792A (en) Hairsetter system for electrically heating hair rollers
TW202037016A (zh) 多工型軌道插座
KR20110053298A (ko) 전기 플러그를 뽑지않은 상태로 전기 흐름을 차단할 수 있는 전기 소켓
KR101884421B1 (ko) 멀티 회전 콘센트
US1572906A (en) Electric-light-globe socket
CN220324881U (zh) 一种智能排插座
CN214706357U (zh) 一种用于插座的大理石面板
CN206361479U (zh) 独立式灯头
CN213425355U (zh) 磁吸充电结构
KR20170054655A (ko) 트위스트 멀티탭
CN205159725U (zh) 一种旋转式小夜灯灯头
CN107615589B (zh) 旋接式电线连接器及其应用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