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1577B1 - Apparatus and method for key-lock controll in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key-lock controll in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1577B1
KR101221577B1 KR1020060039825A KR20060039825A KR101221577B1 KR 101221577 B1 KR101221577 B1 KR 101221577B1 KR 1020060039825 A KR1020060039825 A KR 1020060039825A KR 20060039825 A KR20060039825 A KR 20060039825A KR 101221577 B1 KR101221577 B1 KR 101221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user
list
portable terminal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98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107389A (en
Inventor
박재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9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1577B1/en
Publication of KR20070107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738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1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157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30Devices which can set up and transmit only one digit at a time
    • H04M1/31Devices which can set up and transmit only one digit at a time by interrupting current to generate trains of pulses; by periodically opening and closing contacts to generate trains of pulses
    • H04M1/32Locking setting devices during transmission to prevent interference by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04M1/7247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wherein the items are sorted according to specific criteria, e.g. frequency of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키락(KEY-LOCK)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정의 목록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사용자 정의 목록을 출력하는 표시부 및, 키락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메모리부에서 상기 사용자 정의 목록을 검색하여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정의 목록에서 기능을 선택받으면, 상기 키락을 해제하고, 상기 선택받은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및 방법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을 실행하기까지의 단계를 줄인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key lock of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memory unit for storing a user-defined list,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the user-defined list, and a key lock release event in the memory unit. And a control unit for retrieving a user-defined list and outputting it to the display unit, and when the function is selected from the user-defined list, releasing the key lock and controlling to perform the selected function. Reduce the steps to carry out the func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키락(KEY-LOCK), 사용자 정의 목록, 사용자 기능사용 목록, 기능 사용빈도 KEY-LOCK, user-defined list, user function use list, function use frequency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키락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KEY-LOCK CONTROLL IN PORTABLE TERMINAL}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key lock of a mobile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KEY-LOCK CONTROLL IN PORTABLE TERMINAL}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키락된 휴대용 단말기에서 기능을 선택하고 실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electing and executing a function in a keyed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구성한 키락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key lock function configu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 정의 목록을 출력하여 키락을 해제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및,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releasing a keylock by outputting a user-defined list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 기능사용 목록을 출력하여 키락을 해제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releasing a key lock by outputting a user function usage list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키락(KEY-LOCK)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키락 해제 후에 휴대용 단말기의 여러 기능을 빠르게 선택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key lock of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quickly selecting various functions of a portable terminal after a key lock is released.

최근 이동통신 기술의 급격한 발달에 따라 특히 무선 음성 통화 및 정보 교환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는 필수품이 되었다. 휴대용 단말기 초기에는 단순히 휴대할 수 있고, 무선 통화가 가능한 것으로 인식되었으나, 그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단순한 전화 통화 또는 일정 관리 등의 목적뿐만 아니라 장착된 디지털 카메라에 의한 이미지 촬영하거나, 위성 방송의 시청 및, 게임 등 그 활용범위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Recently,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wireless voice call and information exchange has become a necessity. In the early days of portable terminals, it was recognized that they could simply be carried and wirelessly talked. However, as the technology has developed, not only for the purpose of simple phone calls or schedule management, but also for recording images with a digital camera or watching satellite broadcasts. And the range of their use, such as games is increasing.

한편, 휴대용 단말기는 전화 통화와 많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버튼(key)를 가진다. 휴대용 단말기의 키들 중에서 디자인에 따라 외부로 노출된 외부 키가 존재할 수 있다. 예로 바타입의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용 단말기의 모든 키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이렇게 외부 키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중에 사용자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다른 물체 또는 외부의 압력으로 인해 키 입력이 발생할 수 있다. 의도하지 않은 키 입력을 방지하기 위해 휴대용 단말기에는 키입력을 차단하는 키락(KEY-LOCK)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러면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의 키락 제어 방법을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portable terminals have a plurality of keys to provide telephone calls and many functions. Among the keys of the portable terminal, there may be an external key exposed to the outside depending on the design. For example, in the bar type portable terminal, all keys of the portable terminal are exposed to the outside. The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external key may generate key input due to the pressure of other objects or external objects regardless of the user's intention while carrying. In order to prevent unintentional key input, the portable terminal has a key lock function that blocks key input. The key lock control method of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키락된 휴대용 단말기에서 기능을 선택하고 실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electing and executing a function in a keylocked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는 100단계에서 키락 해제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감지하고, 키락 해제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하면 102단계로 진행하여 키락 해제 이벤트 발생 메시지를 출력하고, 104단계로 진행하여 키락 해제키의 입 력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102단계에서 출력하는 상기 키락 해제 이벤트 발생 메시지는 키락 해제 이벤트의 진행이 사용자에 의해 의도된 이벤트인지 확인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메시지이다. Referring to FIG. 1, the portable terminal detects whether a keylock release event has occurred in step 100, and if it detects the occurrence of a keylock release event, proceeds to step 102 and outputs a keylock release event occurrence message, and proceeds to step 104. Check if the release key is entered. The keylock release event occurrence message output in step 102 is a message output to the user to confirm whether the progress of the keylock release event is an event intended by the user.

상기 104단계의 확인결과 키락 해제키의 입력이 없으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106단계로 진행하여 키락 해제키의 입력을 위한 대기 시간인 지연시간을 초과하였는지 검사하고, 초과하지 않았으면 상기 104단계로 돌아가고, 초과하였으면 108단계로 진행하여 키락 상태를 유지하고, 100단계로 돌아간다.If there is no input of the keylock release key as a result of the check in step 104, the portable terminal proceeds to step 106 and checks whether a delay time, which is a waiting time for inputting the keylock release key, has been exceeded. If exceeded, proceed to step 108 to maintain the key lock state, and return to step 100.

상기 104단계의 확인결과 키락 해제키를 입력받으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110단계로 진행하여 키락을 해제하고, 112단계로 진행하여 메뉴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감지한다. 상기 112단계의 감지결과 메뉴 이벤트가 발생하면, 114단계로 진행하여 메뉴목록을 출력하고, 116단계로 진행하여 출력한 상기 메뉴 목록에서 기능을 선택받았는지 검사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116단계의 검사결과 상기 메뉴 목록에서 기능을 선택받았으면, 118단계로 진행하여 선택받은 기능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In step 104, when the key lock release key is received, the portable terminal proceeds to step 110 to release the key lock and proceeds to step 112 to detect whether a menu event has occurred. When the detection event menu event of step 112 occurs, proceeds to step 114 to output a menu list, and proceeds to step 116 to check whether a function is selected from the menu list output. When the portable terminal receives a function selected from the menu list in step 116, the portable terminal proceeds to step 118 to perform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function.

상기 도 1의 설명과 같이, 키락 기능의 사용시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에 앞서 키락을 먼저 해제한 후에 휴대용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여러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때문에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키락 해제하고 메뉴목록을 출력하고 기능을 선택하는 여러 단계를 거쳐야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As illustrated in FIG. 1, when the key lock function is used, the user of the portable terminal may release various key locks prior to the us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n use various functions provided by the portable terminal. Therefore, the user of the portable terminal has a problem of having to go through various steps of unlocking the key, outputting a menu list, and selecting a function in order to use the function provided by the portable terminal.

한편,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을 실행하기까지의 단계가 늘어나는 이유에는 키락으로 인한 해제 단계 추가뿐 아니라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의 추가로 메뉴목록이 늘어나고, 따라서 메뉴목록이 세분화되면서 기능 선택단계가 늘어나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the reason for the increase in the steps until the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s increased is that the menu list increases due to the addition of the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s well as the release step due to the key lock, and thus the function selection stage increases as the menu list is subdivided. .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빠른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실행을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키락(KEY-LOCK)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key lock of a portable terminal for faster function execu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키락 해제시 사용자 정의 목록을 출력하여 보다 빠르게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락(KEY-LOCK)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key lock of a portable terminal that can execute a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more quickly by outputting a user-defined list when the key lock is releas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키락 해제시 사용자의 이전 기능 사용빈도에 따른 사용자 기능사용 목록을 출력하여 보다 빠르게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락(KEY-LOCK)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key lock of a portable terminal that can execute a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more quickly by outputting a user function usage list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of the previous function of the user when the key lock is released. have.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의 키락(KEY-LOCK) 제어 장치는, 사용자 정의 목록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사용자 정의 목록을 출력하는 표시부 및, 키락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메모리부에서 상기 사용자 정의 목록을 검색하여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정의 목록에서 기능을 선택받으면, 상기 키락을 해제하고, 상기 선택받은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s, a key-lock control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a memory unit for storing a user-defined list,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the user-defined list, and unlocking the keylock And a controller for retrieving the user-defined list from the memory unit and outputting the user-defined list to the display unit, and if the function is selected from the user-defined list, releasing the key lock and performing the selected function. .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의 키락(KEY-LOCK) 제어 장치는, 사용자 기능사용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사용자 기능사용 목록을 출력하는 표시부 및, 키락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메모리부의 상기 사용자 기능사용 데이터베이스에서 기능별 사용빈도를 검색하여 사용빈도가 높은 순으로 정렬한 상기 사용자 기능사용 목록을 생성하여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기능사용 목록에서 기능을 선택받으면, 상기 키락을 해제하고, 상기 선택받은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s, a key-lock control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memory unit for storing a user function usage database,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a user function usage list, and a key lock When a release event occurs, the user function use database of the memory unit is searched for the frequency of use by function to generate the user function use list sorted in the order of the highest use frequency, output to the display unit, and the function from the user function use list. If selected, 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releasing the key lock, and controls to perform the selected function.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의 키락(KEY-LOCK) 제어 방법은, 키락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면 사용자 정의 목록을 출력하는 과정, 상기 사용자 정의 목록에서 기능을 선택받으면, 상기 키락을 해제하는 과정 및, 상기 키락을 해제하면, 상기 선택받은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key-lock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the process of outputting a user-defined list when a keylock release event occurs, the function in the user-defined list If it is selected, the step of releasing the key lock, and if the key lock is released, comprising the step of performing the selected function.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의 키락(KEY-LOCK) 제어 방법은, 키락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사용자 기능사용 데이터베이스에서 기능별 사용빈도를 검색하는 과정, 상기 기능별 사용 빈도에 따른 사용자 기능사용 목록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과정, 상기 사용자 기능사용 목록에서 기능을 선택받으면, 상기 키락을 해제하는 과정 및, 상기 키락을 해제하면, 상기 선택받은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s, a key-lock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the frequency of use by function in the user function use database when a key lock release event occurs, Generating and outputting a user function usage list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of each function, if the function is selected from the user function usage list, releasing the keylock, and releasing the keylock, performing the selected function. Includ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urth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necessarily blurre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에 빠르게 접근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키락(KEY-LOCK)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구성한 키락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는, 제어부(200), 키 입력부(202), 메모리부(204) 및, 표시부(206)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key lock of a portable terminal for quickly accessing the func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key lock function configure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200, a key input unit 202, a memory unit 204, and a display unit 206.

상기 제어부(200)는 키락 상태에서 키락 해제 이벤트의 발생시 사용자 정의 목록 또는 사용자 기능사용 목록을 출력하고 출력한 목록에서 기능을 선택받으면 키락을 해제하고 선택받은 기능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실행하는 기능을 카운터하여 사용빈도를 사용자 기능사용 데이터베이스(DB: Data Base)로 관리하도록 제어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통상적인 제어부(200)의 처리 및 제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When the keylock release event occurs in the keylock state, the controller 200 outputs a user-defined list or a user function use list and controls to release the keylock and perform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function when a function is selected from the output list. It also controls the frequency of execution to manage the frequency of use by user function database (DB).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description of the processing and control of the conventional control unit 200 is omitted.

상기 제어부(200)에서 출력하는 상기 사용자 정의 목록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기능 목록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설계자가 최초 정의하였으나, 제공하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메뉴 기능을 통하여 사용자가 변경할 수 있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목록이고, 상기 사용자 기능사용 목록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기능 목록으로 사용자의 기능 사용 빈도에 의거하여 자동으로 사용빈도가 높은 순으로 정렬하여 구성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목록이다.The user-defined list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200 is a function list provided by the mobile terminal, but the user-defined terminal may be changed by a user through a menu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provided by the designer of the mobile terminal. The function list of the user function list is a function list provided by the portable terminal, and is a function list of the portable terminal arranged in order of automatic frequency of use based on the frequency of function usage of the user.

상기 키 입력부(202)는 0 ~ 9의 숫자키들과, 메뉴키(menu), 취소키(지움), 확인키, 통화키(TALK), 종료키(END), 인터넷 접속키, 네비게이션 키들(▲/▼/◀/▶) 등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입력 데이터를 제어부(200)로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키락 해제 이벤트 발생을 위한 키는 상기 어느 키라도 가능하나 본 발명에서는 키락 해제 이벤트 발생키는 #키이고, 키락 해제 이벤트 발생은 #키를 길게 누를 때 발생한다.The key input unit 202 is a numeric key of 0 ~ 9, menu key (menu), cancel key (clear), confirmation key, call key (TALK), end key (END), Internet access key, navigation keys (▲) / ▼ / ◀ / ▶) and a plurality of function keys, and provide key input data corresponding to a key pressed by the user to the controller 200. The key for generating a keylock release event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y of the above keys,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keylock release event generation key is the # key, and the keylock release event generation occurs when the key is pressed for a long time.

상기 메모리부(204)는 사용자 정의 목록과 사용자 기능사용 데이터베이스(DB: Data Base)를 저장하고 제어부(200)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제어부(200)로 제공한다.The memory unit 204 stores a user-defined list and a user function use database (DB) and provides them to the controller 200 at the request of the controller 200.

상기 표시부(206)는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정의 목록 또는 상기 사용자 기능사용 목록을 출력한다.The display unit 206 outputs the user-defined list or the user function use lis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00.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키락(KEY-LOCK) 제어 방법을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key-lock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 정의 목록을 출력하여 키락을 해제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00단계에서 키락 해제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감지하고, 키락 해제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하면 302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 정의 목록을 출력하고, 304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사용자 정의 목록에서 기능을 선택받았는지 검 사한다. 상기 302단계에서 출력하는 상기 사용자 정의 목록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기능 목록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설계자가 최초 정의하였으나, 제공하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메뉴 기능을 통하여 사용자가 변경할 수 있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목록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releasing a keylock by outputting a user-defined list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the portable terminal detects whether a keylock release event has occurred in step 300, and if it detects the occurrence of a keylock release event, proceeds to step 302 to output a user-defined list, and proceeds to step 304 to the user. Check that the function is selected in the definition list. The user-defined list output in step 302 is a function list provided by the portable terminal. The user-defined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changed by a user through a menu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his is a list.

상기 304단계의 검사결과 기능을 선택이 없으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06단계로 진행하여 기능 선택을 받기 위한 대기 시간인 지연시간을 초과하였는지 검사하고, 초과하지 않았으면 상기 304단계로 돌아가고, 초과하였으면 308단계로 진행하여 키락 상태를 유지하고, 300단계로 돌아간다.If the check result of the step 304 is not selected, the portable terminal proceeds to step 306 and checks whether the delay time, which is a waiting time for receiving the function selection, has been exceeded. The process proceeds to the key lock state and returns to step 300.

상기 304단계의 검사결과 기능을 선택받으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10단계로 진행하여 키락을 해제하고, 312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304단계에서 선택받은 상기 기능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If the check result function of step 304 is selected, the portable terminal proceeds to step 310 to release the keylock and proceeds to step 312 to perform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selected in step 304.

상기 304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사용자 정의 목록에서 기능을 선택받았는지 검사하는 과정은 목록에 상응하는 번호 키의 긴 입력 또는 네비게이션 키(상하좌우 키)로 목록에서 하나의 기능을 선택받고 확인키를 입력받은 경우에 상기 사용자 정의 목록에서 상기 기능을 선택받았다고 판단한다.In step 304, the process of checking whether a function is selected from the user-defined list is selected by selecting a function from a list by using a long input of a number key corresponding to the list or a navigation key (up, down, left, right). In case of receipt, it is determined that the function is selected from the user-defined list.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 기능사용 목록을 출력하여 키락을 해제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releasing a key lock by outputting a user function usage list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4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400단계에서 키락 해제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감지하고, 키락 해제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하면 402단계로 진행하 여 사용자 기능사용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각 기능별 사용빈도를 검색하고, 404단계로 진행하여 각 기능별 사용빈도에 따라 사용빈도가 높은 순으로 기능을 정렬한 사용자 기능사용 목록을 출력하고, 406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사용자 기능사용 목록에서 기능을 선택받았는지 검사한다. 상기 404단계에서 출력하는 상기 사용자 기능사용 목록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기능 목록으로 사용자의 기능 사용 빈도에 의거하여 자동으로 사용빈도가 높은 순으로 정렬하여 구성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목록이다.Referring to FIG. 4, the mobile terminal detects whether a keylock release event has occurred in step 400, and if it detects occurrence of a keylock release event, the mobile terminal proceeds to step 402 and uses frequency of each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n a user function usage database. Search and proceed to step 404 to output the user function usage list sorting functions in order of high frequency of use according to each function usage frequency, and proceed to step 406 to check whether the function is selected from the user function usage list. do. The user function usage list output in step 404 is a function list provided by the portable terminal and is a function list of the portable terminal arranged automatically in order of high frequency of use based on the frequency of function usage by the user.

상기 406단계의 검사결과 기능을 선택이 없으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408단계로 진행하여 기능 선택을 받기 위한 대기 시간인 지연시간을 초과하였는지 검사하고, 초과하지 않았으면 상기 406단계로 돌아가고, 초과하였으면 410단계로 진행하여 키락 상태를 유지하고, 400단계로 돌아간다.In step 406, if there is no function selected, the portable terminal proceeds to step 408 and checks whether a delay time, which is a waiting time for receiving the function selection, has been exceeded. If not, the portable terminal returns to step 406. The process proceeds to the key lock state and returns to step 400.

상기 406단계의 검사결과 기능을 선택받으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412단계로 진행하여 키락을 해제하고, 414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사용자 기능사용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406단계에서 선택받은 상기 기능의 사용빈도를 갱신하고, 416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406단계에서 선택받은 상기 기능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When the check result function of step 406 is selected, the portable terminal proceeds to step 412 to release the keylock, and proceeds to step 414 to update the frequency of use of the function selected in step 406 in the user function usage database. In step 416, the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selected in step 406 is performed.

상기 406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사용자 기능사용 목록에서 기능을 선택받았는지 검사하는 과정은 목록에 상응하는 번호 키의 긴 입력 또는 네비게이션 키(상하좌우 키)로 목록에서 하나의 기능을 선택받고 확인키를 입력받은 경우에 상기 사용자 정의 목록에서 상기 기능을 선택받았다고 판단한다.In step 406, a process of checking whether a function is selected in the user function use list is selected by using a long input of a number key corresponding to the list or a navigation key (up, down, left, right keys) to select a function from the list. In case of input, it is determined that the function is selected from the user-defined list.

분명히, 청구항들의 범위내에 있으면서 이러한 실시예들을 변형할 수 있는 많은 방식들이 있다. 다시 말하면, 이하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많은 다른 방식들이 있을 수 있는 것이다.Obviously, there are many way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to modify these embodiments. In other words, there can be many other ways in which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키락(KEY-LOCK) 제어 장치 및 방법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을 실행하기까지의 단계를 줄여서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을 상대적으로 보다 빠르게 실행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executing a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relatively faster by reducing the steps up to executing the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with the KEY-LOCK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the portable terminal.

Claims (14)

휴대용 단말기의 키락(KEY-LOCK) 제어 장치에 있어서,In a key-lock control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사용자 정의 목록을 저장하는 메모리부;A memory unit for storing a user-defined list; 상기 사용자 정의 목록을 출력하는 표시부; 및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the user-defined list; And 키락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메모리부에서 상기 사용자 정의 목록을 검색하여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정의 목록에서 기능을 선택받으면, 상기 키락을 해제하고, 상기 선택받은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 control unit for retrieving the user-defined list from the memory unit and outputting the user-defined list to a display unit when a keylock release event occurs, and releasing the keylock and performing the selected function if a function is selected from the user-defined list. Device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상기 사용자 정의 목록을 출력하고 지연시간 동안 상기 기능을 선택받지 못하면, 상기 키락 상태를 유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Output the user-defined list and if the function is not selected for a delay time, maintain the keylock stat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사용자 정의 목록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기능 목록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설계자가 최초 정의하였으나, 사용자에 의해 변경 가능한 상 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목록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user-defined list is a function list provided by the portable terminal, but the 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is defined by the designer of the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function list of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changed by the user. 휴대용 단말기의 키락(KEY-LOCK) 제어 장치에 있어서,In a key-lock control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사용자 기능사용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는 메모리부;A memory unit storing a user function usage database; 사용자 기능사용 목록을 출력하는 표시부; 및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a user function usage list; And 키락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메모리부의 상기 사용자 기능사용 데이터베이스에서 기능별 사용빈도를 검색하여 사용빈도가 높은 순으로 정렬한 상기 사용자 기능사용 목록을 생성하여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기능사용 목록에서 기능을 선택받으면, 상기 키락을 해제하고, 상기 선택받은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When a key lock release event occurs, the user function use database of the memory unit is searched for the frequency of use by function to generate the user function use list sorted in order of the highest use frequency, and output the result to the display unit. And a control unit for releasing the key lock and controlling to perform the selected function. 제 4항에 있어서,5. The method of claim 4,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상기 사용자 정의 목록을 출력하고 지연시간 동안 상기 기능을 선택받지 못하면, 상기 키락 상태를 유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Output the user-defined list and if the function is not selected for a delay time, maintain the keylock state. 제 4항에 있어서,5. The method of claim 4,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상기 사용자 기능사용 목록에서 상기 기능을 선택받으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 기능사용 데이터베이스에 선택받은 상기 기능의 사용빈도를 갱신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when the function is selected from the user function use list, controlling to update a frequency of use of the function selected in the user function use database stored in the memory unit. 제 4항에 있어서,5. The method of claim 4, 상기 사용자 기능사용 목록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기능 목록으로 사용자의 기능 사용빈도에 따라 상기 사용빈도가 높은 순으로 정렬하여 구성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목록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user function usage list is a function list provided by the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function list of the portable terminal arranged in order of the frequency of use according to the user's frequency of function usage. 휴대용 단말기의 키락(KEY-LOCK) 제어 방법에 있어서,In the key-lock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키락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면 사용자 정의 목록을 출력하는 과정;Outputting a user-defined list when a keylock release event occurs; 상기 사용자 정의 목록에서 기능을 선택받으면, 상기 키락을 해제하는 과정; 및Releasing the keylock when a function is selected from the user-defined list; And 상기 키락을 해제하면, 상기 선택받은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Releasing the keylock, performing the selected function. 제 8항에 있어서,9.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사용자 정의 목록을 출력하고 지연시간 동안 상기 기능을 선택받지 못하면, 상기 키락 상태를 유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Outputting the user-defined list and if the function is not selected for a delay time, maintaining the keylock state. 제 8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사용자 정의 목록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기능 목록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설계자가 최초 정의하였으나, 사용자에 의해 변경 가능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목록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user-defined list is a function list provided by the portable terminal, but the designer of the portable terminal is a function list of the portable terminal, which is first defined by the user but can be changed by the user. 휴대용 단말기의 키락(KEY-LOCK) 제어 방법에 있어서,In the key-lock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키락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면 사용자 기능사용 데이터베이스에서 기능별 사용빈도를 검색하는 과정;Searching for frequency of use by function in a user function use database when a keylock release event occurs; 상기 기능별 사용 빈도에 따른 사용자 기능사용 목록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과정;Generating and outputting a user function use list according to the use frequency of each function; 상기 사용자 기능사용 목록에서 기능을 선택받으면, 상기 키락을 해제하는 과정; 및If the function is selected from the user function usage list, releasing the keylock; And 상기 키락을 해제하면, 상기 선택받은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Releasing the keylock, performing the selected function. 제 11항에 있어서,12.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사용자 기능사용 목록을 출력하고 지연시간 동안 상기 기능을 선택받지 못하면, 상기 키락 상태를 유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Outputting the user function usage list and if the function is not selected for a delay time, maintaining the keylock state. 제 11항에 있어서,12.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사용자 기능사용 목록에서 상기 기능을 선택받으면, 상기 사용자 기능사용 데이터베이스에 선택받은 상기 기능의 사용빈도를 갱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if the function is selected from the user function usage list, updating the frequency of use of the function selected in the user function usage database. 제 11항에 있어서,12.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사용자 기능사용 목록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기능 목록으로 사용자의 기능 사용빈도에 따라 상기 사용빈도가 높은 순으로 정렬하여 구성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목록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user function usage list is a function list provided by the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function list of the portable terminal arranged in order of the frequency of use according to the user's function usage frequency.
KR1020060039825A 2006-05-03 2006-05-03 Apparatus and method for key-lock controll in portable terminal KR1012215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9825A KR101221577B1 (en) 2006-05-03 2006-05-03 Apparatus and method for key-lock controll in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9825A KR101221577B1 (en) 2006-05-03 2006-05-03 Apparatus and method for key-lock controll in portab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7389A KR20070107389A (en) 2007-11-07
KR101221577B1 true KR101221577B1 (en) 2013-01-16

Family

ID=39062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9825A KR101221577B1 (en) 2006-05-03 2006-05-03 Apparatus and method for key-lock controll in portab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1577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4459A (en) * 1998-12-30 2000-07-15 윤종용 Method for locking key pad of cellular phone
KR20040093330A (en) * 2003-04-29 2004-11-05 주식회사 팬택 Method for button lock according to function in wireless terminal
KR20050034102A (en) * 2003-10-08 2005-04-1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A locking device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4459A (en) * 1998-12-30 2000-07-15 윤종용 Method for locking key pad of cellular phone
KR20040093330A (en) * 2003-04-29 2004-11-05 주식회사 팬택 Method for button lock according to function in wireless terminal
KR20050034102A (en) * 2003-10-08 2005-04-1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A locking device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7389A (en) 200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75828B (en) Memory Optimize Method and device
CN101120313A (en) Maintenance of shortcut keys in a mobile device
WO2007130123A1 (en) Restricted feature acces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2011013643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in bluetooth devices
CN1623342A (en) Method for intermediate unlocking of a keypad on a mobile electronic device
US798732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erifying update data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787560B (en) Mobile terminal having user assignable hot keys and method for using same
CN1989487A (en) Device management ystem and method
US20060282658A1 (en) Boot systems and methods and related devices
US20080020736A1 (en)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integration search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8504112B2 (en) Methods for searching phone book, and portable devices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es having phone-book search function
KR100664112B1 (en) Method for execution hot ke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22157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key-lock controll in portable terminal
US20100074424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US7376397B2 (en) Key setting methods
CN108920214A (en) A kind of application program operation method, application program running gear and mobile terminal
JP4373453B2 (en) mobile phone
KR20080039154A (en) Terminal system having a boot lazy loading function of the wireless internet platform modul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10115621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the memory by smart-phone
KR101200236B1 (en) terminal having a lazy loading function of the wireless internet platform modul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100701434B1 (en) Method of voice control in portable terminal
JP2008252599A (en) Portable terminal
CN117493460A (en) Data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equipment applied to long-protection fund
KR20060034009A (en) Method for locking application program or data file in mobile phone
KR101328925B1 (en) Method for seaching data in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