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9300B1 - 한글입력수정방법 - Google Patents

한글입력수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9300B1
KR101219300B1 KR1020120079106A KR20120079106A KR101219300B1 KR 101219300 B1 KR101219300 B1 KR 101219300B1 KR 1020120079106 A KR1020120079106 A KR 1020120079106A KR 20120079106 A KR20120079106 A KR 20120079106A KR 101219300 B1 KR101219300 B1 KR 101219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tter
cell
character
phoneme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9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재
Original Assignee
김희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재 filed Critical 김희재
Priority to KR1020120079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93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9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9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글입력수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단말기의 문자 입력 기능이 활성화되면 현재 커서 위치에 대응하는 한글을 구조화하여 표시하고, 구조화된 글자에 포함된 자소를 다른 구조화된 글자의 특정 위치로 이동시켜 문자를 수정입력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쉽고 빠르게 문자를 입력하고 수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한글입력수정방법{METHOD FOR INPUTTING HANGUL TEXT}
본 발명은 한글입력수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소의 입력순서의 오류에 의해 쉽게 발생되는 오타를 간단하게 수정할 수 있는 한글입력수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한글입력수정방법이 있지만, 한글을 빠르게 입력할 때에는 오타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예를 들어 "완전"은 "오나전"으로 "제발"은 "젭라"로 입력되는 등, 특히 각 자소의 입력 순서의 오류가 발생함으로써 원치않는 오입력이 발생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오타가 발생하면, 문장의 의미를 이해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작성된 문서나 메시지를 타인에게 보이기 어렵다. 또한 발생된 오타를 수정하기 위해서는 오타가 발생된 지점으로 커서를 이동시킨 후, 오입력된 문자를 삭제하고, 다시 입력하고자 했던 문자를 입력해야하기 때문에 번거롭고 불편할 뿐 아니라, 문서나 메시지 작성을 위한 소요시간이 지연되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정보처리 단말기에 입력된 한글을 수정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기에 의하여 수행되고, (A)상기 단말기의 문자 입력 기능이 활성화되는 단계와; (B)현재 커서 위치에 대응하는 제1글자가 한글이면, 상기 제1글자에 포함된 자소를 분석하여, 복수의 셀을 갖는 구조화 테이블에 상기 제1글자를 구조화하여 표시하는 단계와; (C)상기 (B)단계에서 표시된 제1글자의 구조화 테이블에 포함된 복수의 셀 중에서 제1글자에 포함된 자소 중 어느 하나가 할당된 제1셀이 선택되고, 선택된 제1셀로부터 제2글자로의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는 단계와; (D)상기 제1글자와 상기 제2글자가 동일한 하나의 글자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제2글자에 포함된 자소를 분석하여 구조화 테이블에 상기 제2글자를 구조화하여, 상기 제1글자의 구조화테이블과 함께 상기 제2글자의 구조화테이블을 표시하는 단계와; (E)상기 제2글자의 구조화 테이블에 포함된 복수의 셀 중 어느 하나인 제2셀에서 상기 (C)단계에서 감지된 드래그 입력과 연속된 드랍 동작이 감지되면, 상기 제1셀에 할당된 자소를 삭제하고, 상기 제1셀에서 삭제된 자소를 상기 제2셀에 기입하는 단계와; (F)상기 (E)단계에서 상기 제1셀에 할당된 자소를 삭제하고, 삭제된 자소를 상기 제2셀에 기입한 결과에 따라, 상기 제1글자와 상기 제2글자를 수정하여 표시하는 단계와; (G)상기 (B)단계에서 표시된 상기 제1글자의 구조화 테이블에 포함된 복수의 셀 중에서 상기 제1글자에 포함된 자소가 할당되지 않은 빈 셀이 선택되면, 상기 빈 셀에 할당될 새로운 자소를 입력받는 단계와; (H)상기 (G)단계에서 입력받은 자소를 상기 빈 셀에 기입하는 단계; 그리고 (I)상기 (H)단계에서 상기 빈 셀에 입력받은 자소를 기입한 결과에 따라, 상기 제1글자를 수정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며, 상기 구조화 테이블은 초성 자음이 할당되는 제1구조셀과, 중성 모음이 할당되는 제2구조셀 및 제3구조셀, 그리고 종성 자음이 할당되는 제4구조셀 및 제5구조셀을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정보처리 단말기에 입력된 한글을 수정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기에 의하여 수행되고, (A)상기 단말기의 문자 입력 기능이 활성화되는 단계와; (B)현재 커서 위치에 대응하는 제1글자가 한글이면, 상기 제1글자에 포함된 자소를 분석하여, 복수의 셀을 갖는 구조화 테이블에 상기 제1글자를 구조화하여 표시하는 단계와; (C)상기 (B)단계에서 표시된 제1글자의 구조화 테이블에 포함된 복수의 셀 중에서 제1글자에 포함된 자소 중 어느 하나가 할당된 제1셀이 선택되고, 선택된 제1셀로부터 제2글자로의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는 단계와; (D)상기 제1글자와 상기 제2글자가 동일한 하나의 글자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제2글자에 포함된 자소를 분석하여 구조화 테이블에 상기 제2글자를 구조화하여, 상기 제1글자의 구조화테이블과 함께 상기 제2글자의 구조화테이블을 표시하는 단계와; (E)상기 제2글자의 구조화 테이블에 포함된 복수의 셀 중 어느 하나인 제2셀에서 상기 (C)단계에서 감지된 드래그 입력과 연속된 드랍 동작이 감지되면, 상기 제1셀에 할당된 자소를 삭제하고, 상기 제1셀에서 삭제된 자소를 상기 제2셀에 기입하는 단계와; (F)상기 (E)단계에서 상기 제1셀에 할당된 자소를 삭제하고, 삭제된 자소를 상기 제2셀에 기입한 결과에 따라, 상기 제1글자와 상기 제2글자를 수정하여 표시하는 단계와; (G)상기 (B)단계에서 표시된 상기 제1글자의 구조화 테이블에 포함된 복수의 셀 중에서 상기 제1글자에 포함된 자소가 할당되지 않은 빈 셀이 선택되면, 상기 빈 셀에 할당될 새로운 자소를 입력받는 단계와; (H)상기 (G)단계에서 입력받은 자소를 상기 빈 셀에 기입하는 단계; 그리고 (I)상기 (H)단계에서 상기 빈 셀에 입력받은 자소를 기입한 결과에 따라, 상기 제1글자를 수정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며, 상기 구조화 테이블은 초성 자음이 할당되는 제1구조셀과, 중성 모음이 할당되는 제2구조셀 및 제3구조셀, 그리고 종성 자음이 할당되는 제4구조셀 및 제5구조셀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한글입력수정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즉, 한글의 구조적 특성을 이용하여 발생된 오입력을 용이하게 수정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편리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한글입력수정방법에 따르면, 쉽고 빠르게 문자를 입력하고 수정할 수 있으므로 문서 작성을 위한 시간이 절감된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한글입력수정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흐름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한글입력수정방법에서, 한글 입력 시에 빈번하게 발생되는 오타의 예와 이를 수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한글입력수정방법에서 사용되는 각 글자에 대한 구조화 테이블의 형상의 일례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한글입력수정방법에서 글자 "완"의 오타인 "오나"를 완으로 수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한글입력수정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한글입력수정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한글입력수정방법에서, 한글 입력 시에 빈번하게 발생되는 오타의 예와 이를 수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한글입력수정방법은 텍스트 입력 기능이 활성화되는 단계(S100)로부터 시작된다. 여기서 텍스트 입력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한글입력수정방법이 수행되는 단말기, 예를 들어 개인용 컴퓨터, 스마트폰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 태블릿 컴퓨터, 전자책 등의 정보처리단말기에서 문서 작성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된 경우나 문자 메시지를 보내는 경우, 웹브라우저 상에 도메인 주소를 입력하는 경우, 검색어를 입력하는 경우 등 각종 명령이나 데이터 등을 텍스트로 입력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 단말기(100)에서 다른 단말기로 문자 메시지를 작성하는 경우도 포함된다.
예시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단말기(100)의 텍스트 입력 기능이 활성화되어 한글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 입력되는 문자가 나타나는 텍스트 입력 공간(A)이 표시되고, 각각의 한글 자소가 배열되는 키문자열(B)이 표시된다. 여기서 자소는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사용되었으며, 자음 14개와 모음 10개를 포함하고,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식에 따라 선택적으로 쌍자음 5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키문자열(B)에 포함된 각각의 키를 손이나 스타일러스 펜 등으로 터치하여 원하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입력된 한글에는 경우에 따라 오타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각각의 자소의 입력 순서가 바뀌어 오타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은데, 도 2에는 이와 같은 경우의 대표적인 예들을 포함하고 있다. "ㅇ, ㅗ, ㅏ, ㄴ, ㅈ, ㅓ, ㄴ" 순서로 입력되어야 하는 "완전"이라는 단어는, 세 번째 입력되어야 할 모음 "ㅏ"와 "ㄴ"의 입력 순서가 뒤바뀌면 "오나전"이라는 오기가 된다. 또한 "없어"라는 단어에서 순차적으로 입력되어야 하는 첫 번째 "ㅓ"와 "ㅂ" 사이의 순서가 바뀌면, "ㅇ벗어"라는 오기가 되며, 단어 "제발"도 모음 "ㅏ"와 자음"ㄹ" 사이의 순서가 바뀌면 "젭라"로 잘못 입력된다.
이와 같은 빈번한 오기를 수정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먼저 커서를 해당 단어의 마지막 글자에 위치시킨 후, 백스페이스(Back Space)키(b)를 입력하여 잘못 기재된 단어를 삭제하고, 다시 원래의 단어를 기입해야만 했다.
예를 들어 "완전"이 "오나전"으로 잘못 입력된 경우, 종래의 경우 다시 터치해야 하는 키의 수는 "오나" 두자를 삭제하기 위한 백스페이스키(b)의 입력횟수 최소 2와, 다시 글자 "완"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회수 최소 4회, 총 6회의 터치 입력을 추가적으로 수행하여야 한다. 일반 컴퓨터 키보드를 이용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없어"의 오타 "ㅇ벗어"의 경우에도 최소 9회, "제발"의 오타 "젭라"의 수정을 위한 입력 동작 횟수도 최소 7회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다음과 같이 상기 단말기에서는 텍스트 입력 기능이 활성화되면, 텍스트 입력을 위한 공간 상의 커서 위치를 감지하고, 현재의 커서 위치에 대응하는 글자가 한글인 경우 해당 한글 글자를 구조화하여 표시함으로써(S110) 이와 같은 불편을 해소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오타가 표기된 부분으로 커서를 이동시키면 상기 단말기(100)는 이동된 커서 위치에 대응하는 글자를 구조화시켜 표시한다. 여기서 한글의 구조화를 위하여 구조화된 테이블을 사용하는데 구조화 테이블은 한글에서 하나의 글자를 구성하는 최대 자소 수에 맞춘 5개의 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구조화 테이블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한글입력수정방법에서 사용되는 각 글자에 대한 구조화 테이블의 형상의 일례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테이블에서 먼저 식별부호 ①로 표시된 셀은, 초성에 해당하는 자음이 할당되는 제1셀이고, ②로 표시된 셀은 초성 우측에 위치하는 모음을 위한 제2셀이며, 식별부호 ③으로 표시된 셀은 초성 하단에 위치하는 모음이 할당되는 제3셀이다. 또한 식별부호 ④로 표시된 셀은 종성이 할당되는 제4셀이며, 식별부호 ⑤로 표시된 셀은 선택적으로 종성이 겹받침으로 입력될 때 두 번째 종성이 할당되는 제5셀이다. 커서의 위치에 대응하는 문자는 조합된 글자로 표시되지 않고, 이 5개의 셀을 포함하는 구조화된 테이블 형식으로 표시되는데, 커서 위치에 대응하는 문자가 무엇인지에 따라 5개의 셀 중 적어도 하나에 자소가 배치된다. 여기서 하나의 한글 글자는 반드시 어법에 맞는 문자이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ㅠㅡㅠ"는 총 세 개의 글자이고, 이 중 커서가 세 번째 글자 "ㅠ"에 대응하는 위치에 존재하는 경우, 세 번째 글자 "ㅠ"는 구조화 테이블로 표시된다. 즉 테이블의 제3셀에만 모음 "ㅠ"가 입력되고 나머지 셀은 비어있는 형태로 표시된다. 이는 단말기에서 입력된 텍스트를 분석하여 각각의 글자를 테이블에 맞게 구조화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즉 상기 단말기(100)는 커서의 위치에 대응하는 문자에 포함된 각 자소를 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화 테이블에 포함된 각각의 셀 중 적합한 셀에 자동으로 기입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해준다.
이와 같이 커서 위치에 대응하는 글자를 제1글자라고 하면, 구조화되어 표시된 제1글자의 수정해야할 자소를 포함하는 셀이 선택되고 선택된 자소를 이동시킬 제2글자로의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면(S120), 상기 단말기(100)는 제2글자도 구조화하여 표시한다(S130). 이와 같은 단계를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쉽게 설명한다. 여기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한글입력수정방법에서 글자 "완"의 오타인 "오나"를 완으로 수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1)"완전"이 "오나전"으로 잘못 입력된 경우, 사용자가 "오나"를 "완"으로 수정하기 위하여 커서를 글자"나"에 대응하는 위치에 이동시키면, 글자 "나"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5 개의 셀을 포함하는 구조화 테이블에 자소로 분리되어 표시되는데, 상기 단말기(100)는 도 4의 상기 제1셀에 "ㄴ"을 할당하고, 상기 제2셀에 모음 "ㅏ"를 할당하여 표시한다. (2) 그리고 이와 같이 구조화되어 표시된 글자 "나"에서 상기 제1셀에 대한 글자 "오"로의 사용자의 터치 드래그 동작이 감지되면, 상기 제1셀에 포함된 "ㄴ"이 이동될 글자 "오"도 구조화 테이블로 바뀌어 표시된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제1글자에 포함된 자소 중 선택된 자소를 제2글자로 이동시킬 때, 제2글자도 구조화하여 표시함으로써 제2글자에 선택된 자소를 배열할 위치(5 개의 셀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제2글자는 상기 제1글자와 동일한 글자일 수도 있고, 상기 제2글자와 다른 글자일 수도 있다. 제1글자가 제2글자와 동일한 글자인 경우, 이미 문자가 구조화되어 있으므로 제130단계를 수행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없어"를 입력하고자 하였으나 "ㅇ벗어"로 잘못 입력된 경우, 커서가 글자 "벗"으로 이동되면 "벗"은 구조화되면서 "ㅂ"은 구조화 테이블의 제1셀에, "ㅓ"는 제2셀에, "ㅅ"은 제4셀에 할당될 것이다. 여기서 사용자는 "ㅅ"을 제5셀로 이동시키고, "ㅂ"을 제4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동일한 문자 내에서 각각의 자소를 다른 셀로 이동시키거나 서로의 위치를 교환할 수도 있다. 그러나 반드시 그래야 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ㅇ벗어"에서 "ㅇ"을 선택하여 글자 "벗"의 구조화 테이블의 제1셀로 이동시키면, 제1셀에 있던 "ㅂ"이 그 다음 자음셀인 제4셀로 자동으로 밀려 이동되면서 제4셀에 있던 "ㅅ"이 차순위 자음셀인 제5셀로 자동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글자와 다른 제2글자로 자소 드래그가 감지되어, 제2글자도 구조화하여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2글자에 선택된 자소가 입력될 셀을 선택할 수 있게 되고, 도면에서는 "ㄴ"이 글자"오"의 구조화 테이블의 제4셀로 드래그 되었다.
이와 같이 선택된 자소가 제2글자의 구조화 테이블의 특정 셀로 드래그된 후 해당 셀에서 드랍(Drop)되면(S140), 제1글자에서 선택된 자소가 배열되었던 셀은 비워지고, 선택된 자소가 드랍된 제2글자의 구조화 테이블의 셀에 선택된 자소가 채워진다. 그리고 제1글자와 제2글자에 대해 최종적으로 수정된 구조화 테이블에 기초하여 최종적인 문자가 수정되어 표시된다(S150).
즉 도 5에서 (3)"ㅏ"가 사용자의 터치로 선택되어 드래그 동작으로 글자 "오"로 이동되고, (4) 제2셀에 드랍되면, (5) 제1글자에 해당하는 기존의 "나"의 구조화 테이블에는 아무 자소도 남지 않게 되어 삭제되고, 제2글자에 해당하는 기존의 "오"는 최종적으로 "완"이 된다. 이에 따르면 커서를 이동시키는 동작 외에 총 두 번의 드래그/드랍 동작에 의하여 오타가 수정된다. 기존 방법에서 총 7회의 터치 입력이 필요한 것과 비교하면 매우 단순한 동작으로 오기를 수정할 수 있다. 여기서 드래그/드랍 동작은 터치 방식에 따른 드래그/드랍이 될 수도 있고, 마우스를 이용한 드래그/드랍 동작이 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10단계에서, 제1글자의 구조화 테이블에 빈 셀이 존재하는 경우, 빈 셀을 선택하면 빈 셀에 포함될 자소를 따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커서 위치에 대응하는 문자의 구조화 테이블과 그 주변 문자는 기존 표기 크기보다 확대되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

  1. 정보처리 단말기에 입력된 한글을 수정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기에 의하여 수행되고,
    (A)상기 단말기의 문자 입력 기능이 활성화되는 단계와;
    (B)현재 커서 위치에 대응하는 제1글자가 한글이면, 상기 제1글자에 포함된 자소를 분석하여, 복수의 셀을 갖는 구조화 테이블에 상기 제1글자를 구조화하여 표시하는 단계와;
    (C)상기 (B)단계에서 표시된 제1글자의 구조화 테이블에 포함된 복수의 셀 중에서 제1글자에 포함된 자소 중 어느 하나가 할당된 제1글자의 셀이 선택되고, 상기 선택된 제1글자의 셀로부터 제2글자로의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는 단계와;
    (D)상기 제1글자와 상기 제2글자가 동일한 하나의 글자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제2글자에 포함된 자소를 분석하여 구조화 테이블에 상기 제2글자를 구조화하여, 상기 제1글자의 구조화테이블과 함께 상기 제2글자의 구조화테이블을 표시하는 단계와;
    (E)상기 제2글자의 구조화 테이블에 포함된 복수의 셀 중 어느 하나인 제2글자의 셀에서 상기 (C)단계에서 감지된 드래그 입력과 연속된 드랍 동작이 감지되면, 상기 선택된 제1글자의 셀에 할당된 자소를 삭제하고, 상기 선택된 제1글자의 셀에서 삭제된 자소를 상기 드랍 동작이 감지된 제2글자의 셀에 기입하는 단계와;
    (F)상기 (E)단계에서 상기 선택된 제1글자의 셀에 할당된 자소를 삭제하고, 삭제된 자소를 상기 드랍 동작이 감지된 제2글자의 셀에 기입한 결과에 따라, 상기 제1글자와 상기 제2글자를 수정하여 표시하는 단계와;
    (G)상기 (B)단계에서 표시된 상기 제1글자의 구조화 테이블에 포함된 복수의 셀 중에서 상기 제1글자에 포함된 자소가 할당되지 않은 빈 셀이 선택되면, 상기 빈 셀에 할당될 새로운 자소를 입력받는 단계와;
    (H)상기 (G)단계에서 입력받은 자소를 상기 빈 셀에 기입하는 단계; 그리고
    (I)상기 (H)단계에서 상기 빈 셀에 입력받은 자소를 기입한 결과에 따라, 상기 제1글자를 수정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며,
    상기 구조화 테이블은 초성 자음이 할당되는 제1셀과, 중성 모음이 할당되는 제2셀 및 제3셀, 그리고 종성 자음이 할당되는 제4셀 및 제5셀을 포함하는, 한글입력수정방법.
KR1020120079106A 2012-07-20 2012-07-20 한글입력수정방법 KR101219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9106A KR101219300B1 (ko) 2012-07-20 2012-07-20 한글입력수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9106A KR101219300B1 (ko) 2012-07-20 2012-07-20 한글입력수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9300B1 true KR101219300B1 (ko) 2013-01-11

Family

ID=47841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9106A KR101219300B1 (ko) 2012-07-20 2012-07-20 한글입력수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93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2346A (ko) * 2017-01-08 2018-07-18 윤경숙 글자를 성분 단위로 수정하는 방법
KR20190097771A (ko) 2018-02-13 2019-08-21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글 중성의 오타 수정 어플리케이션 장치, 키보드 어플리케이션 장치, 단말기 및 한글 중성의 오타 수정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0396A (ko) * 2008-07-22 2010-02-01 조근우 터치스크린상의 문자입력장치 및 필기인식시스템
KR101050671B1 (ko) * 2009-08-11 2011-07-1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0396A (ko) * 2008-07-22 2010-02-01 조근우 터치스크린상의 문자입력장치 및 필기인식시스템
KR101050671B1 (ko) * 2009-08-11 2011-07-1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2346A (ko) * 2017-01-08 2018-07-18 윤경숙 글자를 성분 단위로 수정하는 방법
KR102441624B1 (ko) * 2017-01-08 2022-09-07 윤경숙 글자를 성분 단위로 수정하는 방법
KR20190097771A (ko) 2018-02-13 2019-08-21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글 중성의 오타 수정 어플리케이션 장치, 키보드 어플리케이션 장치, 단말기 및 한글 중성의 오타 수정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11193B2 (en) Text entry for electronic devices
JP4105682B2 (ja) 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ティング装置のユーザ入力を改善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20107110A (ko) 데이터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US8952897B2 (en) Single page soft input panels for larger character sets
JP6681518B2 (ja) 文字入力装置
WO2014111963A2 (en) New computer keyboard layout, structure and arrangement of letters, optimized for touchscreen devices (phone cells, smartphones, tablets, car navigation systems, etc) or for electronic devices like ticket machines, cash machines and similar
KR101518537B1 (ko) 키보드 레이아웃을 제공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219300B1 (ko) 한글입력수정방법
JP5977764B2 (ja) 拡張キーを利用した情報入力システム及び情報入力方法
TWI579760B (zh) 基於觸控軌跡之盲用點字輸入裝置與方法
KR20100028081A (ko) 터치스크린에서 터치와 드래그를 이용한 한글입력방법
JP2022094941A (ja) 文字入力方法、文字入力プログラム、及び文字入力装置
TWI793232B (zh) 具有多語言支援的觸控螢幕使用者介面
CN105426109A (zh) 一种滑行输入文字的方法
JP2005275635A (ja) 仮名文字入力方法および仮名文字入力プログラム
US20240176482A1 (en) Gesture Based Space Adjustment for Editing
KR20100027195A (ko) 한글자음 필기인식과 터치인식 조합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KR101034284B1 (ko) 문자입력장치
Banubakode et al. Survey of eye-free text entry techniques of touch screen mobile devices designed for visually impaired users
KR20230020711A (ko) 음성인식성능 향상을 위한 영어 문자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20230128238A (ko) 3d 터치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및 문자 수정 방법
US20180260110A1 (en) Virtual keyboard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for the same
KR101228079B1 (ko) 터치스크린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 및 이를 이용한 터치스크린 단말기
KR20220118013A (ko) 전자장치에서의 문자입력모드 또는 문자입력방법 자동 변경 방법
KR20110002552A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그 방법 및 터치스크린입력수단을 이용한 한글 입력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