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9147B1 - 덮개를 가지는 용기 - Google Patents

덮개를 가지는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9147B1
KR101219147B1 KR1020127022915A KR20127022915A KR101219147B1 KR 101219147 B1 KR101219147 B1 KR 101219147B1 KR 1020127022915 A KR1020127022915 A KR 1020127022915A KR 20127022915 A KR20127022915 A KR 20127022915A KR 101219147 B1 KR101219147 B1 KR 101219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ontainer
cover
wall
side ski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2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1740A (ko
Inventor
마사노리 오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에프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에프피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에프피코
Publication of KR20120101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1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9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9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6Removable lids or covers having a peripheral channel embracing the rim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25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rotation
    • B65D43/0231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rotation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6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 B65D2543/0007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 B65D2543/00092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circ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259Materials used
    • B65D2543/00296P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481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 B65D2543/0049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on the inside, or a part turned to the in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 B65D2543/00509C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481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 B65D2543/00537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481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 B65D2543/00555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on both the inside and the out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57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secured locally, i.e. a lot less than half the periph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용기본체(20)는 용기 내측벽부(22)와 용기측 스커트부(24)를 가지는 상방개구부(21)를 구비한다. 덮개(10)는 덮개 내측벽부(12)와 덮개측 스커트부(14)를 구비하고, 덮개측 스커트부(14)에는 내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2개 이상의 돌기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용기측 스커트부(24)에는 덮개(10)를 결합할 때 돌기부(15)를 아래쪽을 향하여 안내하는 제 1 안내면(30)이 형성되어 있고, 덮을 때, 덮개(10)가 용기본체(20) 측에 삽입된다. 그것에 의해, 용기 내측벽부(22)와 덮개 내측벽부(12) 사이에 형성된 실부(seal portion)가 압접(壓接)된 상태로 되고, 높은 밀봉성이 확보된다. 또한, 덮개측 스커트부(14)의 길이를 길게 하고, 덮개의 탈착 조작시에, 덮개측 스커트부(14)의 하방부에 용기측 스커트부(24)의 하단이 덮이도록 함으로써, 손가락 끝에 상처를 입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덮개를 가지는 용기{Container with lid}
본 발명은 덮개를 가지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합성수지에 의해 성형되는 덮개를 가지는 용기는, 슈퍼마켓, 편의점 등에 있어서, 도시락, 조리식품, 보존식품 등을 담는 것으로 대량으로 제조 및 소비되고 있다. 이러한 덮개를 가지는 용기는, 1회의 사용만을 고려해 제조되어 있는 것이 많다. 그러나 식품에 따라서는, 한 번에 모두 사용할 수 없는 것(예를 들면, 우메보시(소금에 절인 매실장아찌), 락교, 캐비어, 연어알(salmon roe), 과일, 건조식품, 샐러드 등)이 있으므로, 덮개가 있는 용기를 여러 차례에 걸쳐 사용하고 싶다는 요망이 있다.
이 경우에 중요해지는 것은, 덮개의 밀폐성이다. 그 때문에, 상방 개구부를 가지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방 개구부에 착탈 자재로 장착되는 덮개에 의해 구성되는 덮개를 가지는 용기에 있어서, 덮개를 용기본체에 결합했을 때 덮개의 주연부와 용기본체의 상방 개구부의 사이에 원주 방향의 간이(簡易)한 실부(seal portion)가 형성되도록 한 덮개를 가지는 용기가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등에 기재되어 있다.
[ 선행기술문헌 ]
특허문헌 1 : 특개 2007-099288호 공보
특허문헌 2 : 특개평8-295356호 공보
특허문헌 1의 덮개를 가지는 용기는, 나사 접합을 이용한 것이며, 시트 성형품인 용기본체 측의 스커트부에 본체측 나사단부와 감합부를 형성하고, 동일한 시트 성형품인 덮개측에 대하여 상기 용기본체의 스커트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스커트부에, 본체측 나사단부와 동일한 형상의 덮개측 나사단부와 감합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용기본체에 대하여 덮개를 착탈 자재로 결합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용기본체의 나사단부를 덮개의 나사단부와 나합시키고, 또한 용기본체측의 감합부와 덮개측의 감합부를 계합 또는 감합시키는 것으로, 양자 사이에 실부가 형성되어 밀폐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감합부가 서로 감합하는 것으로, 용기본체와 덮개의 양 스커트부가 서로 밀착하게 되어, 보다 높은 밀폐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서는, 시트 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용기본체측의 감합부는 용기본체의 외측 스커트부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것에 계합시키기 위한 덮개의 감합부도 또한 덮개 외측 스커트부에 설치되게 된다. 이와 같이 시트 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용기본체 및 덮개에 있어서, 외측 스커트부는 강도가 약하여 변형하기 쉬우므로, 이 외측 스커트부에서 감합하는 구성으로는 충분한 밀폐성을 발휘할 수 없다. 또한, 용기본체의 외측 스커트부와 덮개의 외측 스커트부에 서로 나사단부를 설치하고 이들 나사단부를 서로 계합하여도, 상기한 바와 같은 이유로 충분한 밀폐성을 얻을 수 없다. 더욱이, 이들 감합부와 나사단부의 양쪽 모두를 조합하여도 또한, 시트 성형에 의해 형성된 용기본체 및 덮개의 외측 스커트부는 용이하게 변형하기 쉬운 부위인 것으로부터, 역시 충분한 밀폐성을 얻을 수 없다.
아울러, 시트 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용기본체 및 덮개의 스커트부에 서로 나사 계합할 수 있도록, 동일한 형상의 나사단부를 형성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고, 형상이 동일하게 성형할 수 없으면, 이 경우도 또한, 충분한 밀폐성을 얻을 수 없다.
특허문헌 2의 덮개를 가지는 용기는, 용기본체부 또는 덮개부의 어느 한쪽의 수평 플랜지부에 전체 둘레(全周)에 걸쳐 밀폐를 위한 돌기형체를 형성하고, 다른 쪽에는 덮개를 덮을 시에 상기 돌기형체가 감합되는 밀폐를 위한 홈이 전체 둘레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더욱이, 덮개부를 용기본체부로부터 분리할 때, 이 돌기형체를 위 방향으로 안내하고, 덮개부를 분리할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한 돌기형체 안내부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구조의 돌기형과 홈만으로는, 용기본체와 덮개부를 강하게 압접할 수 없고, 높은 밀폐성을 확보할 수 없다. 왜냐하면,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용기에 설치되는 돌기형체 안내부는, 돌기형체를 위쪽 방향으로 안내하여 덮개부를 분리할 방향으로 유도하는 것을 가능하여도, 덮개를 닫을 때에, 덮개와 용기본체를 압접할 수 없는 구성이며, 덮개에 형성한 플랜지부를 아래쪽으로 누르는 힘, 즉 플랜지부를 용기본체에 형성한 플랜지부의 면에 누르는 힘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예를 들면, 시트 성형된 덮개를 가지는 용기에 있어서도, 성형이 용이하면서, 덮개을 닫을 때에는 충분한 밀폐성을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는 한편, 덮개의 착탈 조작이 용이하게 가능한 덮개를 가지는 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수많은 실험을 행함으로써, 용기본체의 내측벽부에 덮개의 일부를 압접시키도록 하는 경우, 용기본체의 내측벽부는 변형하기 어려운 것으로부터, 높은 밀봉성을 얻어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용기본체의 외측 스커트에 안내면을 형성하고 덮개에 형성한 돌기를 그 안내면을 따라 이동시키는 것으로, 용기본체와 덮개의 사이에 높은 압접 상태를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의 발견에 근거하고 있다.
즉, 본 발명에 관한 덮개를 가지는 용기의 제 1 형태는, 거의 원형의 상방 개구부를 가지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방 개구부에 착탈 자재로 장착되는 덮개에 의해 구성되고, 덮개를 용기본체에 덮을 때에 덮개의 주연부와 용기본체의 상기 상방 개구부의 사이에 원주 방향의 액밀(液密, liquid-tight)한 실부가 형성되는 덮개를 가지는 용기이며, 상기 용기본체의 상방 개구부는, 용기본체의 측벽에 연속한 용기 내측벽부와 그 용기 내측벽부의 상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재(延在)하는 제 1 플랜지부와, 그 제 1 플랜지부의 외측단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연재하는 용기측 스커트부를 적어도 구비하고, 상기 덮개의 주연부는, 덮개를 용기본체에 덮을 때, 상기 용기 내측벽부와 전체 둘레(全周)에 걸쳐서 당접할 수 있는 영역을 가지는 덮개 내측벽부와, 그 내측벽부의 상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재하는 제 2 플랜지부와, 그 제 2 플랜지부의 외측단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연재하는 덮개측 스커트부를 적어도 구비하며, 더욱이, 상기 덮개측 스커트부에는 내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2개 이상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덮개측 스커트부에 형성한 상기 돌기부의 하연(下緣, low edge) 측을 상기 용기본체의 상방 개구부에 형성한 상기 제 1 플랜지부에 당접시킨 상태로, 상기 용기측 스커트부의 하단이 상기 덮개측 스커트부의 하단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용기측 스커트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용기본체의 상기 용기측 스커트부에는, 덮개를 덮을 때 상기 덮개측 스커트부에 형성한 상기 돌기부를 아래쪽을 향해 안내할 수 있는 제 1 안내면이 형성되어 있고, 덮개를 닫을 때 상기 돌기부가 상기 제 1 안내면에 의해 아래쪽을 향해 안내되는 것으로, 덮개는 아래쪽을 향하여 끌어 당겨지고, 그것에 의해, 상기 용기 내측벽부와 상기 덮개 내측벽부의 사이에 형성된 상기 실부가 압접된 상태가 되어, 실부에 높은 밀봉성이 확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덮개를 가지는 용기에서는, 덮개을 닫을 때, 덮개에 형성한 돌기부가, 용기측 스커트부에 형성한 상기 제 1 안내면에 의해 아래쪽을 향하여 안내되는 것으로, 덮개는 아래쪽으로 향해 끌어 당겨진다. 그리고, 그 끌어당김에 의해, 덮개 내측벽부에 대하여 상기한 용기 내측벽부와 전체 둘레에 걸쳐서 당접할 수 있는 영역과 용기 내측벽부는 서로 압접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그를 위해, 용기 내측벽부와 덮개 내측벽부의 사이에는, 높은 밀봉성을 구비한 둘레 방향의 액밀한 실부가 형성된다.
또한, 덮개를 닫는 조작은, 덮개에 형성한 돌기부가, 용기측 스커트부에 형성한 제 1 안내면에 의해 아래쪽을 향해 안내되는 구성인 것으로부터, 단지 덮개를 체결하는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만으로 좋고, 회동을 종료한 시점에서는, 상기한 높은 밀봉성을 구비한 둘레 방향의 액밀한 실부가 형성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덮개를 가지는 용기에서는, 둘레 방향의 액밀한 실부가, 상기한 바와 같이, 스커트부가 아니라, 용기본체의 측벽에 연속한 용기 내측벽부에 형성된다. 용기본체의 측벽에 연속하고 있는 용기 내측벽부의 부분은, 용기본체의 상단에서 외측 아래쪽을 향해 형성되는 스커트부와 비교하여, 외력에 의한 변형이 생기기 어려운 영역이며, 덮개을 한 후에, 액밀한 실부에 파괴가 발생하는 것을 높은 확률로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덮개를 덮을 때에는, 한쪽 손으로 용기본체를 파지하고, 다른 손으로 덮개를 위에서부터 파지한 상태로, 덮개를 용기본체의 상방 개구부에 위치한 자세로 하고, 그 상태로 덮개를 체결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또한, 덮개를 용기본체의 상방 개구부에 위치한 자세에서는, 덮개측 스커트부에 형성한 상기 돌기부의 하연 측이 용기본체의 상방 개구부에 형성한 상기 제 1 플랜지부에 당접한 상태가 된다. 상기 제 1 형태의 덮개를 가지는 용기에서는, 그 상태로, 덮개측 스커트부의 하단이 용기측 스커트부의 하단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덮개측 스커트부가 형성되어 있고, 덮개의 체결 개시시부터 체결 종료시까지의 사이에, 덮개를 파지하고 있는 사람의 손가락 끝이 용기측 스커트부의 하단연에 접촉하는 일이 없다. 특히, 덮개을 덮을 때, 덮개를 회동하는데 필요로 하는 힘은, 덮개측 스커트부에 형성한 상기 돌기부가 상기 제 1 안내면에 의해 아래쪽을 향해 안내될 때 그때까지 보다는 커지고, 손가락 끝과 비교하여 그때까지 보다도 큰 힘이 가해지나, 상기한 바와 같이, 덮개의 체결 개시시부터 체결 종료시까지의 사이에, 덮개를 파지하고 있는 사람의 손가락 끝이 용기측 스커트부의 하단연에 접하는 일은 없으므로, 손가락 끝에 힘이 더해져도 용기측 스커트부의 하단연에 접하여 상처를 입는 일은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덮개를 떼어낼 때에도, 덮개가 용기본체에 대하여 프리한 상태가 될 때까지, 즉, 덮개측 스커트부에 형성한 상기 돌기부 하연이 용기본체의 상방 개구부에 형성한 상기 제 1 플랜지부의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상태가 될 때까지, 덮개를 파지하고 있는 사람의 손가락 끝이 용기측 스커트부의 하단연에 접하는 일은 없다. 제 1 형태의 덮개를 가지는 용기에서는, 특히, 덮개를 떼어낼 때, 덮개측 스커트부에 형성한 상기 돌기부의 하연 측이 용기본체의 상방 개구부에 형성한 상기 제 1 플랜지부의 표면에 당접한 상태로, 더욱 둘레 방향으로 덮개를 회동시키는 일이 일어날 수 있다. 그러나, 제 1 형태의 덮개를 가지는 용기에서는, 그 상태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덮개측 스커트부의 하단은 용기측 스커트부의 하단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덮개측 스커트부가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용기측 스커트부의 하단이 노출된 상태로 되는 일은 없고, 그 때문에, 덮개를 떼어내기 위해서 덮개를 회동할 경우에도, 덮개를 파지하고 있는 사람의 손가락 끝이 의도치 않게 용기측 스커트부의 하단연에 접촉해 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용기측 스커트부의 하단연으로 손가락 끝에 상처를 입히는 일은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제 1 형태의 덮개를 가지는 용기에서는, 제 1과 제 2의 수평 방향의 플랜지부를 구비하므로, 용기본체의 상방 개구부 및 덮개의 주연부를, 외력에 의한 변형을 받기 어려운 것으로 할 수가 있으며, 상기한 액밀한 실부에 파괴가 발생하는 것을 더 높은 확률로 저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의 형태에 있어서, 덮개를 닫을 때 상기 돌기부가 제 1 안내면에 의해 아래쪽을 향해 안내되는 것으로 덮개가 아래쪽을 향해 끌어 당겨졌을 때에, 제 1 플랜지부와 제 2 플랜지부가 압접한 상태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2개의 플랜지부가 압접 상태가 되는 것으로, 그 영역에도, 둘레 방향의 액밀한 실부가 제 2의 실부로서 형성되게 되어, 한층 더 밀봉성이 높은 덮개를 가지는 용기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덮개를 가지는 용기의 제 2 형태는, 거의 원형의 상방 개구부를 가지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방 개구부에 착탈 자재로 장착되는 덮개에 의해 구성되고, 덮개를 용기본체에 덮었을 때 덮개의 주연부와 용기본체의 상기 상방 개구부의 사이에 둘레 방향의 액밀한 실부가 형성되는 덮개를 가지는 용기이며, 상기 용기본체의 상방 개구부는, 용기본체의 측벽에 연속한 용기 내측벽부와 그 용기 내측벽부의 상단에서 아래쪽을 향해 연재하는 용기측 스커트부를 적어도 구비하고, 상기 덮개의 주연부는, 덮개를 용기본체에 덮었을 때, 상기 용기 내측벽부와 전체 둘레에 걸쳐서 당접할 수 있는 영역을 가지는 덮개 내측벽부와, 그 덮개 내측벽부의 상단에서 아래쪽을 향해 연재하는 덮개측 스커트부를 적어도 구비하며, 더욱이, 상기 덮개측 스커트부에는 내측을 향해 돌출하는 2개 이상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용기본체의 상기 용기측 스커트부에는, 덮개를 덮었을 때 상기 덮개측 스커트부에 형성한 상기 돌기부를 아래쪽을 향해 안내할 수 있는 제 1 안내면과, 용기본체에 장착된 덮개를 떼어낼 때, 상기 돌기부의 하연 측이 접한 자세로 돌기부를 위쪽을 향하여 안내할 수 있는 제 2 안내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안내면은 일부에 상기 용기 내측벽부의 상단과 거의 평행이 된 수평 영역을 가지고, 상기 덮개측 스커트부의 상기 돌기부의 하연을 상기 제 2 안내면의 상기 수평 영역에 당접시킨 상태로, 상기 용기측 스커트부의 하단이 상기 덮개측 스커트부의 하단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용기측 스커트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덮개를 닫을 때 상기 돌기부가 상기 제 1 안내면에 의해 아래쪽을 향해 안내되는 것으로, 덮개는 아래쪽을 향해 끌어 당겨지고, 그것에 의해, 상기 용기 내측벽부와 상기 덮개 내측벽부의 사이에 형성된 상기 실부가 압접된 상태가 되어, 실부에 높은 밀봉성이 확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형태의 덮개를 가지는 용기에 있어서, 덮개을 덮을 때의 행동은 상기 제 1 형태의 덮개를 가지는 용기와 거의 같으나, 덮개를 떼어낼 때의 행동에 있어서 다르다. 즉, 제 2 형태의 덮개를 가지는 용기에서는, 용기측 스커트부에 상기 돌기부의 하연 측이 접한 자세로 그 돌기부를 위쪽을 향해 안내할 수 있는 제 2 안내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안내면은 일부에 용기 내측벽부의 상단과 거의 평행이 된 수평 영역을 가지고 있다. 덮개를 떼어낼 때, 덮개측 스커트부에 형성한 돌기부가 제 2 안내면에 의해 위쪽을 향해 안내되므로, 덮개를 떼어낼 때의 조작이 극히 용이해진다. 또한, 그 과정에서, 상기 돌기가 상기 수평 영역을 통과하는 것으로, 떼어내는 조작의 안정성도 확보할 수 있다.
물론, 덮개를 닫을 때 상기 제 2 안내면을 상기 돌기부의 하연 측의 안내면으로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덮개를 닫는 조작도 보다 용이해진다. 또한, 덮개를 닫을 때, 상기 돌기부의 하연 측을 상기 수평 영역 위에 위치시키고, 그 상태에서 덮개를 체결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으로, 돌기부를 상기 제 1 안내면의 위치까지 용이하게 안내할 수 있다.
제 2 형태의 덮개를 가지는 용기에서도, 덮개를 덮을 때, 또는 덮개를 떼어낼 때, 덮개를 파지하고 있는 사람의 손가락 끝이 용기측 스커트부의 하단연에 접하여 손가락 끝에 상처가 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즉, 제 2 형태의 덮개를 가지는 용기에서는, 덮개를 덮을 때는, 상기 볼록부를 상기 제 2 안내면에 형성된 상기 수평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 1 안내면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덮개를 회동할 때에, 또한, 덮개를 떼어낼 때에는, 상기 볼록부를 상기 제 1 안내면으로부터 상기 제 2 안내면에 형성된 상기 수평 영역까지 이동시키도록 덮개를 회동할 때에, 덮개를 파지하고 있는 손가락 끝에 큰 힘이 가해지게 되나, 제 2 형태의 덮개를 가지는 용기에서는, 덮개측 스커트부의 상기 돌기의 하연 측이 상기 제 2 안내면의 상기 수평 영역에 당접한 상태로, 덮개측 스커트부의 하단이 용기측 스커트부의 하단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덮개측 스커트부가 형성되어 있어, 손가락 끝에 힘이 가해지고 있는 상태일 때, 손가락 끝이 용기측 스커트부의 하단연에 접촉하는 일은 없다. 그 때문에, 제 2 형태의 덮개를 가지는 용기에서도, 덮개의 체결시나 떼어낼 때, 손가락 끝에 상처를 입히는 일은 일어나지 않는다.
제 2 형태의 덮개를 가지는 용기의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 2 안내면의 상기 수평 영역의 위쪽에는 상기 제 1 안내면이 존재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이 형태에서는, 상기 수평 영역의 위쪽은, 상기 제 1 안내면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위쪽이 개방된 상태가 되로 있어, 덮개를 닫을 때, 그 돌기부의 하연 측을 상기 수평 영역 위에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그리고, 그 상태에서 덮개를 체결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돌기부를 상기 제 1 안내면의 위치까지 용이하게 안내할 수 있다.
상기한 제 1 및 제 2 형태의 덮개를 가지는 용기에 있어서, 둘레 방향의 액밀한 실부를 형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형태에 제한은 없으나, 예로서, 용기 내측벽부 및 덮개 내측벽부는 원통면 또는 위쪽으로 확개(擴開) 하는 원추면이며, 이에 대하여, (A) 덮개 내측벽부의 상단의 반경을 r1, 용기 내측벽부의 상단의 반경을 r3, 수직인 중심선에 대한 용기 내측벽부의 경사 각도를 θ1 및 덮개 내측벽부(12)의 경사 각도를 θ2라 했을 때, r1 ≥ r3이며 0° ≤ θ1 < θ2로 하는 형태, (B) r1 ≤ r3이며 θ1 > θ2 ≥ 0°로 하는 형태, (C) r1 > r3이며 거의 θ1 = θ2이고 또한 0°가 아닌 형태 등을 들 수 있다.
아울러, 제 1 및 제 2 형태의 덮개를 가지는 용기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덮개측 스커트부에 복수 개의 세로 방향의 보강 리브(rib)를 형성해도 좋다. 이 형태에서는 덮개의 덮개측 스커트부의 강도를 크게 할 수가 있고, 그것에 의해, 덮개의 변형을 방지하며, 또한, 덮개의 착탈 조작시에 미끄러지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더욱이, 제 1 및 제 2 형태의 덮개를 가지는 용기에 있어서, 용기본체와 덮개는 모두 합성수지 시트로부터의 시트 성형품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덮개를 가지는 용기에서는, 용기본체 측의 용기측 스커트부에, 덮개에 형성한 돌기부를 안내하는 제 1 안내면을 구비하고 있고, 용기본체와 덮개가 모두 시트 성형품과 같이 외력에 의해 변형하기 쉬운 형상의 것이어도, 덮개 체결 조작을 안정적으로,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우선권의 기초인 일본 특허출원 2010-160475호의 명세서 및/또는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합성 수지의 얇은 시트를 성형한 덮개를 가지는 용기에 높은 밀폐성을 부여할 수 있다. 더욱이, 용이하게 반복하여 덮개의 착탈 조작을 할 수 있고, 그때, 덮개를 파지하는 손가락 끝에 상처가 나는 일도 없는 덮개를 가지는 용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종래 용기에 비하여 성형하는 것도 용이한 덮개를 가지는 용기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덮개를 가지는 용기의 일 형태를 용기본체와 덮개를 분리한 상태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덮개를 한 상태의 덮개를 가지는 용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덮개를 가지는 용기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덮개를 가지는 용기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형태의 덮개를 가지는 용기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7은 덮개측 스커트부의 길이와 그 작용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몇 가지 실시의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덮개를 가지는 용기(1)는, 덮개(10)와, 그 덮개(10)가 그 상방 개구부(21)를 덮도록 하여 체결되는 용기본체(20)로 구성된다. 한정되지 않으나, 이 예에서, 덮개(10)와 용기본체(20)는, 두께 0.2 ~ 1.0mm 정도의 얇은 합성수지 시트를 열성형 하여 얻어지는 시트 성형품이다.
이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덮개(10)는, 원형 또는 거의 원형이며, 덮개 상면부(10a)와 덮개 상면부(10a)에 연속하는 주연부(11)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주연부(11)는, 덮개 상면부(10a)의 외연으로부터 상승하는 덮개 내측벽부(12)와, 덮개 내측벽부(12)의 상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폭(a2)인 환형의 제 2 플랜지부(13)와, 제 2 플랜지부(13)의 외측단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연재하는 덮개측 스커트부(14)로 구성된다. 이 예에 있어서, 상기 덮개측 스커트부(14)는, 덮개측 상(上)스커트부(14a)와, 그 덮개측 상스커트부(14a)의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보강용 수평플랜지(14c)와, 그 보강용 플랜지(14c)의 외연에서 아래쪽으로 연재하는 덮개측 하(下)스커트부(14b)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덮개측 상스커트부(14a)의 하단 근방에는, 원주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를 두어, 2개 이상(도시의 예에서는, 4개)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기부(15)가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덮개측 하스커트부(14b)의 아래쪽으로의 연재거리, 즉, 덮개측 하스커트부(14b)의 보강용 수평플랜지(14c)로부터의 아래쪽으로의 길이 및 그 작용효과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필수는 아니나, 덮개측 스커트부(14)에는, 종방향으로 다수의 리브(16)도 형성되고 있으며, 보강 효과에 더하여 덮개를 착탈할 때의 미끄럼 방지의 효과를 발휘한다. 아울러, 도시된 내용에서는, 제 2 플랜지부(13)는 평판형을 이루고 있으나, 호(弧) 형상과 같은 비평판의 형태여도 좋다. 또한, 제 2 플랜지부(13)를 생략하고, 덮개 내측벽부(12)의 상단으로부터 덮개측 스커트부(14)가 직접 아래쪽을 향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용기본체(20)는, 소정의 깊이를 가지는 유저(有底) 원통형이며, 용기본체(20)의 저면 주연으로부터 위쪽을 향해 형성되는 용기본체 측벽(20a)의 상연에 연속하도록 하여 상기한 상방 개구부(21)를 구비한다. 상기 상방 개구부(21)는, 용기본체 측벽(20a)의 상연에 연속하는 용기 내측벽부(22)와, 용기 내측벽부(22)의 상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폭(a1)( < a2)인 환형의 제 1 플랜지부(23)와, 제 1 플랜지부(23)의 외측단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연장하는 용기측 스커트부(24)를 가지고 있다. 상기 용기측 스커트부(24)의 길이는 상기한 덮개측 상스커트부(14a)의 길이와 거의 같게 이루어지고, 용기측 스커트부(24)의 하단에는 덮개측 스커트부(14)의 상기 보강용 플랜지(14c)가 위치될 수 있는 크기의 보강용 수평플랜지(24c)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측 스커트부(24)에는, 덮개(10)에 형성한 상기 돌기부(15)를 안내하기 위해, 후술하는 안내면(30, 40) 등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바람직하게는, 덮개(10)에 형성한 상기 돌기부(15)의 내측을 향한 폭(깊이)는, 상기한 제 2 플랜지부(13)의 폭(a2)과 제 1 플랜지부(23)의 폭(a1)과의 차분(P)과 거의 같거나, 약간 작게 이루어진다.
또한, 도시된 내용에는, 제 1 플랜지부(23)는 평판형으로 되어 있으나, 상기 한 제 2 플랜지부(13)가 호 형상과 같은 비평판형 형태인 경우에는, 그에 대응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또, 제 2 플랜지부(13)가 생략되는 경우에는, 용기본체(20)에 대하여도, 용기 내측벽부(22)의 상단으로부터 용기측 스커트부(24)가 직접 아래쪽을 향하여 형성된다.
상기한 용기 내측벽부(22)는, 덮개를 닫았을 때, 덮개(10)에 형성한 상기 덮개 내측벽부(12)가 대향하는 영역이 된다. 그리고, 덮개 내측벽부(12)는, 덮개(10)를 용기본체(20)에 덮었을 때, 용기 내측벽부(22)와 전체 둘레에 걸쳐 당접할 수 있는 영역을 가지도록 이루어져 있고, 그것에 의해, 용기 내측벽부(22)와 덮개 내측벽부(12)의 사이에, 둘레 방향의 액밀한 실부가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둘레 방향의 액밀한 실부가 형성되는 구체적인 형태의 몇 가지를 설명한다.
도 4(a)의 형태에서는, 용기 내측벽부(22) 및 덮개 내측벽부(12)는 위쪽으로 확개하는 원추면으로 이루어져 있고, 덮개 내측벽부(12)의 상단의 반경을 r1, 하단의 반경을 r2, 용기 내측벽부(22)의 상단의 반경을 r3라 했을 때, r1 ≥ r3 > r2로 이루어지며, 또한, 수직인 중심선(O)에 대한 용기 내측벽부(22)의 경사 각도를 θ1 및 덮개 내측벽부(12)의 경사 각도를 θ2라 했을 때, 0° < θ1 < θ2로 이루어져 있다. 이 형태에서는, 덮개를 닫았을 때, 용기 내측벽부(22)의 원형을 이루는 상단부가 덮개 내측벽부(12)를 형성하는 원추면과 전체 둘레에 걸쳐 당접하게 되고, 그 당접부에 의해, 둘레 방향의 실부가 형성된다.
도 4(b)는, θ1이 0°, 즉, 용기 내측벽부(22)가 원통면인 점에서, 도 4(a)에 나타낸 것과 다르다. 이 형태에서도, 덮개를 닫았을 때, 용기 내측벽부(22)의 원형을 이루는 상단부가 덮개 내측벽부(12)를 형성하는 원추면과 전체 둘레에 걸쳐 당접하게 되고, 그 당접부에 의해, 둘레 방향의 실부가 형성된다.
도 4(c)의 형태에서는, θ2가 0°, 즉, 덮개 내측벽부(12)가 원통면이며, 따라, r1 = r2이다. r3는 r1보다 크고, 또한, θ1은 0°보다 크다. 이 형태에서는, 덮개를 닫았을 때, 덮개 내측벽부(12)의 원통면을 이루는 하단부가 용기 내측벽부(22)를 형성하는 원추면과 전체 둘레에 걸쳐 당접하게 되고, 그 당접부에 의해, 둘레 방향의 실부가 형성된다. 아울러, 도시하지는 않으나, θ1 > θ2의 관계를 만족하면, 덮개 내측벽부(12)가 원추면에서 만나도, 동일한 실부가 형성된다.
도 4(d)의 형태는, r1 > r3, θ1 = θ2 ≠ 0°의 경우의 형태이다. 이 형태에서는, 덮개를 닫았을 때, 용기 내측벽부(22)를 형성하는 원추면과 덮개 내측벽부(12)를 형성하는 원추면이 면 접촉하는 것으로 둘레 방향의 실부가 형성되게 된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안내면(30, 40) 등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 1 안내면(30)을 설명한다. 제 1 안내면(30)은, 용기측 스커트부(24)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나온 면이며, 용기측 스커트부(24)의 상단인 제 1 플랜지부(23)로부터 경사지게 아래쪽을 향한 경사부(35)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예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35)의 하단부(26)는, 용기측 스커트부(24)의 상단면인 제 1 플랜지부(23)와 평행한 자세로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수평부(32)를 형성하고 있다.
제 1 안내면(30)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양은, 제 1 플랜지부(23)에 접하는 부분(25)에서는 작고, 아래쪽으로 갈수록 점차 커지고, 하단부(26)인 수평부(32)에서 최대가 되고 있다. 최대부에서의 돌출량은, 상기한 제 2 플랜지부(13)의 폭(a2)과 제 1 플랜지부(23)의 폭(a1)의 차분(P)과 거의 같다. 또한, 제 1 안내면(30)의 상기 경사부(35) 및 수평부(32)가 돌출된 외연으로부터는 위쪽으로 상승하는 상승벽(rising wall)(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승벽(31)은, 수평부(32)를 넘어서 더욱 후방(도면에서 좌방향)에까지, 상방 개구부(21)의 용기측 스커트부(24)와 동심원상으로 연장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수평부(32)에서의 돌출량은 제 2 플랜지부(13)의 폭(a2)과 제 1 플랜지부(23)의 폭(a1)의 차분(P)와 거의 같아지고 있으므로, 상승벽(31)의 상기 동심원상으로 연장하고 있는 부분(31a)의 직경 방향의 위치와 용기본체(20)의 상방 개구부(21)의 용기 내측벽부(22) 사이의 거리는, 덮개(10)에 있어서 제 2 플랜지부(13)의 폭(a2)과 거의 같다. 그 때문에, 덮개를 닫았을 때, 덮개(10)의 덮개측 스커트부(14)의 내면과 상기 상승벽(31)의 상기 동심원상으로 연장하고 있는 부분(31a)은, 거의 접촉한 상태를 취할 수 있다. 아울러, 이 상승벽(31)에 있어서의 동심원상으로 연장하고 있는 부분(31a)는, 후술하는 제 2 안내면(40)에 있어서의 상승벽 부분을 구성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32)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제 1 플랜지부(23)까지의 거리(h)와, 덮개(10)에 있어서의 상기 덮개측 상스커트부(14a)의 하단 근방에 형성한 상기 돌기부(15)의 표면과 덮개(10)의 상기 제 2 플랜지부(13)까지의 거리(H)(도 5 참조)의 관계는, H < h로 되어 있으나, 이는 필수의 구성은 아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덮개(10)를 닫을 때 돌기부(15)가 제 1 안내면(30)에 의해 아래쪽을 향하여 안내되는 것으로, 덮개(10)가 아래쪽을 향해 끌어 당겨지고, 그 끌어 당겨짐 의해, 덮개 내측벽부(12)의 상기 용기 내측벽부(22)와 전체 둘레에 걸쳐 당접할 수 있는 영역과, 상기 용기 내측벽부(22)가, 서로 압접한 상태로 될 수 있는 것을 조건으로, 거리 H와 거리 h의 관계는 임의여도 좋다.
또한, 상기한 제 1 안내면(30)은, 덮개(10)에 형성한 돌기부(15)의 수와 같은 수만큼, 이 예에서는 4개가,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지는, 제 1 안내면(30)의 둘레 방향의 길이는, 용기본체(20)의 상방 개구부(21)의 원주의 1/8 정도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부(32)의 종단부 부근에는, 용기측 스커트부(24)의 면으로부터 약간 직경 방향으로 튀어나온 범프(bump)(33a와 33b)가 형성되어 있다. 그것에 의해, 상기 범프(33a와 33b)의 사이에는, 공동부(hollow portion)(34)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제 2 안내면(40)을 설명한다. 제 2 안내면(40)도, 용기측 스커트부(24)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튀어나온 면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제 1 안내면(30)에 있어서의 수평부(32)보다 둘레 방향 앞측(도면에서 우방향)이며, 상기한 공동부(34)의 하연 레벨 위치를 출발점으로 하여 점차 기울어져 위쪽을 향해 형성되어 있고, 제 2 안내면(40)의 상단은, 용기측 스커트부(24)의 상단면인 제 1 플랜지부(23)까지 도달하고 있다. 이 예에 있어서, 제 2 안내면(40)은, 제 1 경사영역(41)과, 그것에 연속하는 용기측 스커트부(24)의 상단면과 평행으로 이루어진 수평영역(42)과, 그것에 연속하는 제 2 경사영역(43)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 제 1 경사영역(41)과 그것에 연속하는 수평영역(42)은, 상기 한 상승벽(31)의 동심원상으로 연장하고 있는 부분(31a)의 적소(適所)를 수평 방향으로 내측으로 절곡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또한, 수평영역(42)의 일부와 제 2 경사영역(43)은, 상기한 상승벽(31)의 적소를 수평 방향으로 절곡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제 2 안내면(40)에 있어서의 상기 수평영역(42)과 제 2 경사영역(43)의 위쪽에는 상기 제 1 안내면(30)이 존재하지 않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제 2 안내면(40)의 위쪽에 제 1 안내면(30)이 존재하는 영역에서의, 제 1 안내면(30)과 제 2 안내면(40) 사이의 거리는, 덮개(10)에 형성한 상기 돌기부(15)가 수평 자세로 통과할 수 있는 거리로 이루어져 있다.
다음으로, 용기본체(20)에 덮개(10)을 결합할 때의 조작을 설명한다. 덮개를 결합할 때는, 용기본체(20)의 상기 상방 개구부(21) 위에 덮개(10)의 상기 주연부(12)를 덮어씌운 상태로 하고, 아래쪽을 향해 약간 누른다. 그것에 의해, 덮개(10)의 4개의 돌기(15)가, 용기본체(20)의 제 1 플랜지부(23)에 대하여 상기의 부분(25)(제 1 안내면(30)의 상단에서의 돌출부)에 당접하고 있을 때를 제외하고, 덮개(10)는, 돌기(15)의 내측면을 용기본체(20)의 용기측 스커트부(24)에 접한 자세로 아래쪽으로 내려간다. 당접하고 있는 경우에는, 조금 회동된다.
덮개(10)의 하강에 의해, 돌기부(15)의 하연 측은 제 2 안내면(40)의 임의의 위치에 당접하는 동시에, 적어도 상기 수평영역(42) 위를 이동한다. 그 상태로 덮개(10)를 도면에서 시계 방향으로 더욱 회동시키면, 그 과정에서, 각각의 돌기(15)의 회전 방향 전방측의 상연부가, 각각의 제 1 안내면(30)에 접촉한다.
덮개(10)의 하나의 형태에서는,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돌기부(15)의 하연 측이 제 2 안내면(40)에 있어서의 수평영역(42)에 위치된 자세로, 환언하면, 돌기부(15)의 하연 측을 제 2 안내면(40)의 수평영역(42)에 당접시킨 상태로, 덮개측 스커트부(14)의 하단이 용기측 스커트부(24)의 하단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덮개측 스커트부(14)가 형성된다. 상기의 예에서는, 덮개측 스커트부(14)에 있어서의 덮개측 상스커트부(14a)의 길이는, 용기본체(20)의 용기측 스커트부(24)와의 관계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다. 또한, 여기에서는, 용기측 스커트부(24)의 하단은, 용기측 스커트부(24)의 하단에 형성한 보강용 수평플랜지(24c)의 위치가 된다.
덮개의 체결에 있어서는, 한쪽 손으로 용기본체(20)을 가지고, 다른 손으로 덮개(10)를 위에서 파지한 상태로, 덮개(10)를 용기본체(20)의 상방 개구부(21)에 위치시킨 자세로 하고, 그 후, 상기한 덮개(10)의 회동을 행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때, 상기 돌기(15)가 제 1 안내면(30)에 접촉할 때까지는, 저항도 작고, 가벼운 힘으로 회동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각 돌기(15)는, 제 1 안내면(30)과 제 2 안내면(40)과 용기측 스커트부(24)로 형성된 홈 내를 통과해 가지만, 그 과정에서, 각 돌기(15)는 제 1 안내면(30)의 경사를 따라, 또한, 제 1 안내면(30)과 접하면서 안내되어, 점차 아래쪽을 향해 끌려 당겨져 간다. 다시 말하면, 덮개(10)의 전체가 아래쪽을 향하여, 즉 용기본체(20) 측을 향하여 끌어 당겨져 간다. 그리고, 각 돌기(15)는, 상기 범프(33)를 넘어서 상기 공동부(34) 내에 삽입되고, 거기서, 덮개의 체결 조작은 종료한다.
이 회동 조작에 있어서, 각 돌기(15)가 제 1 안내면(30)과 접하면서 안내되어, 점차 아래쪽을 향해 끌어 당겨져 가는 과정에서는, 그 이전과 비교하여 저항이 커지므로, 손가락 끝에 힘이 들어간 상태로 또한 덮개측 상스커트부(14)를 내측으로 누르는 듯한 자세로 덮개(10)를 회동시키게 된다. 그때, 손가락 끝이 용기측 스커트부(24)의 하단에 형성한 보강용 수평플랜지(24c)의 첨단에 접하면, 손가락 등을 베일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상기 형태의 덮개(10)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덮개측 스커트부(14)의 하단은 용기측 스커트부(24)의 하단(보강용 수평플랜지(24c)의 위치)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덮개측 스커트부(14)가 길게 형성되어 있어, 보강용 수평플랜지(24c)가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되는 일은 없으므로, 손가락끝 등에 의도하지 않게 상처를 입는 일은 없다.
더욱이, 상기한 덮개(10)의 전체가 용기본체(20) 측을 향하여 끌어 당겨져 가는 과정에 있어서, 덮개 내측벽부(12)는 용기 내측벽부(22)에 대하여 점차 압접되는 상태로 되고, 그 결과, 도 4에 근거하여 설명한 상기한 [둘레 방향의 실부]는 가압된 상태가 된다. 그것에 의해, 단지 당접하고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보다 높은 액밀성을 갖춘 액밀한 실부가, 덮개 내측벽부(12)는 용기 내측벽부(22)와의 사이에 형성된다. 또한, 도 4(d)에 나타낸 형태에 있어서, θ1 = θ2인 것은 바람직하나, 압접되는 것으로 쌍방에 약간의 변형이 생기며, 그것에 의해 용기 내측벽부(22)를 형성하는 원추면과 덮개 내측벽부(12)를 형성하는 원추면이 면접촉 하여 둘레 방향의 실부가 형성되므로, θ1과 θ2가 약간 차이가 나더라도, 소기의 목적은 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용기 내측벽부(22)는 용기본체(20)의 용기본체 측벽(20a)의 상연에 연속하는 부분이며, 스커트부와 비교하여 외력에 대해 변형하기 어렵다. 그 때문에, 덮개을 덮은 후에 덮개를 가지는 용기에 다른 방향으로부터의 외력이 가해져도, [둘레 방향의 실부]에 틈새를 발생할 확률은 극히 낮아지고, 내부의 액체가 흘러나오는 것을 높은 확률로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안내면(30)에 연속하는 상기 수평부(32)의 상단부로부터 제 1 플랜지부(23)까지의 거리(h)와 상기 덮개(10)에 있어서의 상기 돌기부(15)의 표면과 제 2 플랜지부(13)까지의 거리(H)의 관계는, H < h로 되어 있으므로, 덮개의 체결 조작이 종료한 시점에서는, 용기본체(20)의 제 1 플랜지부(23)에 대하여, 덮개(10)의 제 2 플랜지부(13)는, 소요에 압접된 상태가 된다. 그 때문에, 용기본체(20)와 덮개(10)의 밀폐성은 한층 더 양호하게 확보된다.
또한, 이 예에 있어서, 제 1 안내면(30)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돌출량은, 제 1 플랜지부(23)의 상기의 부분(25)에서는 작고, 아래쪽으로 갈수록 점차 커지고 있다. 그리고, 그것에 따르도록 하여 상기 상승벽(31)이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각 돌기(15)가 상기 제 1 플랜지부(23)의 상기 부분(25)에 위치되었을 때에도, 덮개(10)을 약간 전후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만으로, 돌기(15)를 제 2 안내면(40)에까지 떨어뜨려 넣는 것이 가능하며, 덮개의 체결 조작은 보다 용이화 되어 있다. 제 1 안내면(30)을 직경 방향에 대하여도 위쪽을 향해 약간 경사진 면으로 하고, 또한, 돌기(15)의 표면 측을 직경 방향에 경사진 면으로 하도록 하여도 좋고, 그것에 의해, 누름 조작의 용이성과 성형의 용이성의 쌍방을 만족할 수 있다.
덮개(20)를 떼어낼 때에는, 덮개(1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회동에 따라서, 덮개(10)의 각 돌기(15)는, 회전 방향 전방 측의 하연부가 제 2 안내면(40)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 1 안내면(30)과 제 2 안내면(40)과 용기측 스커트부(24)로 형성된 오목홈 내를 이동하고, 그것에서 이탈한다. 이탈 후는, 적당한 위치에서 덮개(10)를 들어올리는 것으로, 덮개(10)를 떼어낼 수 있다.
덮개(10)를 떼어낼 때, 처음은 큰 힘이 손가락 끝에 작용하고 있고, 상기 돌기(15)가 제 2 안내면(40)의 상기 수평영역(42) 위를 이동하게 되면, 저항은 작아지고 회동하기 쉬워진다. 그때, 용기측 스커트부(24)의 하단인 보강용 수평플랜지(24c)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면, 손가락 끝이 그것에 접촉하여 베일 가능성이 있으나, 여기에서도 보강용 수평플랜지(24c)는 덮개측 스커트부(14)(의 덮개측 하스커트부(14b))로 덮여 있으므로, 손가락 끝 등에 의도하지 않게 상처를 입을 일은 없다.
아울러, 상기 도 7(a)에 나타낸 형태는, 덮개측 스커트부(14)가 가장 짧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그보다 길면,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10)의 돌기(15) 하연 측이 용기본체(20)의 제 1 플랜지부(23)에 당접하고 있는 상태로, 용기본체(20) 측의 보강용 수평플랜지(24c)를 덮개측 스커트부(14)(의 덮개측 하스커트부(14b))로 덮는 것이 가능한 만큼 길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덮개를 가지는 용기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도 5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이 형태는, 상기한 제 2 안내면(40)을 가지지 않는 점에서, 상기한 제 1 형태의 덮개를 가지는 용기(1)와 다르다. 또한, 도 6에서, 부호(31b)는, 상기한 상승벽(31)의 동심원상으로 연장하고 있는 부분(31a)의 종단부이며, 적당한 위치에 설치된다. 그 외의 구성은 제 1 형태의 덮개를 가지는 용기(1)와 같고,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 형태에서도, 덮개(10)가 소요에 하강된 상태로, 덮개(10)를 도면에서 시계 방향으로 돌리는 것으로, 각각의 돌기(15)는, 그 회전 방향 전방 측의 상연부가 각각의 제 1 안내면(30)에 접하는 것으로, 제 1 안내면(30)의 경사에 따라, 또한, 제 1 안내면(30)과 접하면서 안내되어, 점차 아래쪽을 향해 끌어 당겨져 간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덮개의 체결 조작이 종료한 시점에서는, 용기본체(20)의 제 1 플랜지부(23)에 대하여, 덮개(10) 측의 제 2 플랜지부(13)는, 소요에 압접된 상태가 되어, 용기본체(20)와 덮개(10)의 밀폐성은 확보된다.
이 형태의 경우에는, 덮개측 스커트부(14)의 길이는, 덮개(10)의 돌기(15)의 하연 측이 용기본체(20)의 제 1 플랜지부(23)에 당접하고 있는 상태로, 용기본체(20) 측의 보강용 수평플랜지(24c)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할 수 있는 길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것에 의해, 덮개(10)의 체결시나 분리시에 손가락 끝 등을 의도하지 않게 상처입히는 것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덮개(10)에 형성하는 돌기는, 도면에서는 4개로 했으나, 2개 이상이면 개수는 임의이다. 당연히, 돌기의 개수에 대응한 수의 제 1 안내면(30) 및 필요한 경우에는 제 2 안내면(40)이 용기본체(20)에 형성된다. 각 돌기는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의 예에서는, 상기 덮개측 스커트부(14)를, 덮개측 상스커트부(14a)와, 보강용 수평플랜지(14c)와, 덮개측 하스커트부(14b)로 구성한 것을 나타냈으나, 원하는 강도를 얻을 수 있는 경우에는, 보강용 수평플랜지(14c)를 생략 할 수 있다. 또, 용기본체(20) 측의 보강용 수평플랜지(24c) 및 그 근방에, 열성형에 의한 섬세한 요철 가공이나 엠보싱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측면 시에서 파형(정현파, 삼각파, 사다리꼴파 등)의 외연선, 즉, 직선이 아닌 외연선을 가지도록 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외주연의 에지의 예리함이 해소되므로, 용기본체(20)를 단체(單體)로 취급할 때, 손가락 끝을 보호하는 효과를 한층 더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용기측 스커트부(24)의 보강 효과도 된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된 모든 간행물, 특허 및 특허출원을 그대로 참고로서 본 명세서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1. 덮개를 가지는 용기 10. 덮개
10a. 덮개 상면부 11. 덮개의 주연부
12. 덮개 내측벽부 13. 제 2 플랜지부
14. 덮개측 스커트부 14a. 덮개측 상스커트부
14b. 덮개측 하스커트부 14c. 보강용 수평플랜지
15. 돌기부 16. 리브
20. 용기본체 20a. 용기본체 측벽
21. 상방 개구부 22. 용기 내측벽부
23. 제 1 플랜지부 24. 용기측 스커트부
24c. 보강용 수평플랜지 26. 제 1 안내면의 하단부
30. 제 1 안내면 31. 상승벽
31a. 상승벽의 동심원상으로 연장하는 부분,
32. 수평부 33. 범프
34. 공동부 40. 제 2 안내면
41. 제 2 안내면의 제 1 경사영역 42. 제 2 안내면의 수평영역
43. 제 2 안내면의 제 2 경사영역 r1. 덮개 내측벽부의 상단의 반경
r2. 덮개 내측벽부의 하단의 반경 r3. 용기 내측벽부의 상단의 반경
θ1. 수직인 중심선에 대한 용기 내측벽부의 경사각도
θ2. 수직인 중심선에 대한 덮개 내측벽부의 경사 각도

Claims (5)

  1. 원형의 상방 개구부(21)를 가지는 용기본체(20)와, 상기 용기본체(20)의 상방 개구부(21)에 착탈 자재로 장착되는 덮개(10)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덮개(10)를 용기본체(20)에 덮었을 때 상기 덮개의 주연부(周緣部)(11)와 상기 용기본체(20)의 상기 상방 개구부(21)의 사이에 둘레 방향의 액밀(液密, liquid-tight)한 실부(seal portion)가 형성되는 덮개를 가지는 용기(1)이며,
    상기 용기본체(20)의 상방 개구부(21)는, 상기 용기본체(20)의 측벽에 연속한 용기 내측벽부(22)와, 상기 용기 내측벽부(22)의 상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재하는 제 1 플랜지부(23)와, 상기 제 1 플랜지부(23)의 외측단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연재하는 용기측 스커트부(24)를 적어도 구비하고,
    상기 덮개의 주연부(11)는, 상기 덮개(10)를 상기 용기본체(20)에 덮었을 때, 상기 용기 내측벽부(22)와 전체 둘레에 걸쳐 당접할 수 있는 영역을 가지는 덮개 내측벽부(12)와, 상기 덮개 내측벽부(12)의 상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재하는 제 2 플랜지부(13)와, 상기 제 2 플랜지부(13)의 외측단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연재하는 덮개측 스커트부(14)를 적어도 구비하며, 더욱이, 상기 덮개측 스커트부(14)에는 내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2개 이상의 돌기부(1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덮개측 스커트부(14)에 형성된 상기 돌기부(15)의 하연 측을 상기 용기본체(20)의 상방 개구부(21)에 형성한 상기 제 1 플랜지부(23)에 당접시킨 상태로, 상기 덮개측 스커트부(14)의 하단이 상기 용기측 스커트부(24)의 하단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덮개측 스커트부(1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용기본체(20)의 상기 용기측 스커트부(24)에는, 상기 덮개(10)를 덮을 때 상기 덮개측 스커트부(14)에 형성한 상기 돌기부(15)를 아래쪽을 향해 안내할 수 있는 제 1 안내면(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덮개(10)를 닫을 때 상기 돌기부(15)가 상기 제 1 안내면(30)에 의해 아래쪽을 향해 안내되는 것으로, 상기 덮개(10)가 아래쪽을 향해 끌어 당겨짐으로써, 상기 용기 내측벽부(22)와 상기 덮개 내측벽부(12) 사이에 형성된 상기 실부가 압접된 상태가 되어, 상기 실부에 밀봉성이 확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를 가지는 용기(1).
  2. 원형의 상방 개구부(21)를 가지는 용기본체(20)와, 상기 용기본체(20)의 상방 개구부(21)에 착탈 자재로 장착되는 덮개(10)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덮개(10)를 상기 용기본체(20)에 덮었을 때 상기 덮개의 주연부(11)와 상기 용기본체(20)의 상기 상방 개구부(21)의 사이에 둘레 방향의 액밀한 실부가 형성되는 덮개를 가지는 용기(1)이며,
    상기 용기본체(20)의 상방 개구부(21)는, 상기 용기본체(20)의 측벽에 연속한 용기 내측벽부(22)와, 상기 용기 내측벽부(22)의 상단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연재하는 용기측 스커트부(24)를 적어도 구비하고,
    상기 덮개의 주연부(11)는, 상기 덮개(10)를 용기본체(20)에 덮었을 때, 상기 용기 내측벽부(22)와 전체 둘레에 걸쳐 당접할 수 있는 영역을 가지는 덮개 내측벽부(12)와, 상기 덮개 내측벽부(12)의 상단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연재하는 덮개측 스커트부(14)를 적어도 구비하고, 더욱이, 상기 덮개측 스커트부(14)에는 내측을 향해 돌출하는 2개 이상의 돌기부(1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용기본체(20)의 상기 용기측 스커트부(24)에는, 상기 덮개(10)를 덮을 때 상기 덮개측 스커트부(14)에 형성한 상기 돌기부(15)를 아래쪽을 향해 안내할 수 있는 제 1 안내면(30)과, 상기 용기본체(20)에 장착된 상기 덮개(10)를 떼어낼 때, 상기 돌기부(15)의 하연 측이 접한 자세로 상기 돌기부(15)를 위쪽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는 제 2 안내면(4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안내면(40)은 일부에 상기 용기 내측벽부(22)의 상단과 평행으로 이루어진 수평 영역을 가지며, 상기 덮개측 스커트부(14)의 상기 돌기의 하연 측을 상기 제 2 안내면(40)의 상기 수평 영역에 당접시킨 상태로, 상기 덮개측 스커트부(14)의 하단이 상기 용기측 스커트부(24)의 하단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덮개측 스커트부(1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덮개(10)를 닫을 때 상기 돌기부(15)가 상기 제 1 안내면(30)에 의해 아래쪽을 향해 안내되는 것으로, 상기 덮개(10)는 아래쪽을 향해 끌어 당겨지고, 그것에 의해, 상기 용기 내측벽부(22)와 상기 덮개 내측벽부(12) 사이에 형성된 상기 실부가 압접된 상태가 되어, 상기 실부에 밀봉성이 확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를 가지는 용기(1).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내측벽부(22) 및 상기 덮개 내측벽부(12)는,
    원통면 또는 위쪽으로 확개(擴開) 하는 원추면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덮개 내측벽부(12)의 상단의 반경을 r1, 상기 용기 내측벽부(22)의 상단의 반경을 r3, 수직인 중심선에 대한 상기 용기 내측벽부(22)의 경사각도를 θ1 및 상기 덮개 내측벽부(12)의 경사각도를 θ2라 했을 때, r1 ≥ r3이고 0°≤ θ1 < θ2이거나, 또는, r1 ≤ r3 이고 θ1 > θ2 ≥ 0°이거나, 또는, r1 > r3이고 θ1 = θ2이며 0°가 아닌 것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를 가지는 용기(1).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10)를 닫을 때 상기 돌기부(15)가 상기 제 1 안내면(30)에 의해 아래쪽을 향해 안내되는 것으로, 상기 덮개(10)는 아래쪽을 향해 끌어 당겨지고, 그 끌어 당겨짐에 의해, 상기 제 1 플랜지부(23)와 상기 제 2 플랜지부(13)도 압접한 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를 가지는 용기(1).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안내면(40)에 대하여 적어도 상기 수평 영역의 위쪽에는 상기 제 1 안내면(30)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를 가지는 용기(1).
KR1020127022915A 2010-07-15 2011-05-19 덮개를 가지는 용기 KR1012191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60475A JP4872011B2 (ja) 2010-07-15 2010-07-15 蓋付容器
JPJP-P-2010-160475 2010-07-15
PCT/JP2011/061553 WO2012008221A1 (ja) 2010-07-15 2011-05-19 蓋付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1740A KR20120101740A (ko) 2012-09-14
KR101219147B1 true KR101219147B1 (ko) 2013-01-09

Family

ID=45469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2915A KR101219147B1 (ko) 2010-07-15 2011-05-19 덮개를 가지는 용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608009B2 (ko)
EP (1) EP2530027B1 (ko)
JP (1) JP4872011B2 (ko)
KR (1) KR101219147B1 (ko)
CN (1) CN102781786B (ko)
MY (1) MY154751A (ko)
TW (1) TWI412473B (ko)
WO (1) WO20120082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84474A (ja) * 2012-03-12 2013-09-19 Shachihata Inc 印褥具
FR3002522B1 (fr) * 2013-02-25 2015-04-10 Plastic Omnium Cie Fut etanche de transport de produit chimique pulverulent
US9687849B2 (en) * 2015-06-06 2017-06-27 IGU Holdings, LLC Leak proof, air tight plastic container device
CN108820459A (zh) * 2018-06-20 2018-11-16 郑成全 一种多功能组合茶叶罐
USD895925S1 (en) * 2018-07-31 2020-09-08 Wieser Company LLC Burial urn vault lid
JP7320980B2 (ja) * 2019-04-26 2023-08-04 リスパック株式会社 容器
EP4032827A1 (en) 2021-01-20 2022-07-27 L'oreal Small wall thickness injected container and screw closure li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40178A (en) 1977-05-13 1978-12-06 Jingo Seto Plastic container having throttling mechanism at outside of opening
JP2004067140A (ja) 2002-08-05 2004-03-04 Japan Xanpak Corp 食品収納容器
JP2007532417A (ja) 2004-04-08 2007-11-15 ザ・グラッド・プロダクツ・カンパニー 通気可能なスピンロック容器
WO2010146997A1 (ja) 2009-06-18 2010-12-23 株式会社エフピコ 蓋付容器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28005A (en) * 1960-08-05 1964-04-07 Continental Can Co Thin-walled containers and thin-walled closures for containers
US3592349A (en) * 1969-05-22 1971-07-13 Ethyl Dev Corp Plastic container and closure
FR2576285B1 (fr) * 1985-01-23 1987-09-11 Astraplastique Sa Dispositif de fermeture pour bouteille comprenant un bouchon a visser
US5265751A (en) * 1991-11-01 1993-11-30 Russel-Stanley Corporation Safety container
US5310074A (en) 1993-06-25 1994-05-10 Berry Plastics Corporation Canister with lid-release control mechanism
US5320233A (en) * 1993-08-30 1994-06-14 Aluminum Company Of America Tamper evident lug cap
US5462186A (en) 1994-08-02 1995-10-31 The Coca Cola Company Cam follower closure on container with cam track finish
JPH08295356A (ja) 1995-04-26 1996-11-12 Tokai Plast Kogyo Kk 容 器
US6056145A (en) * 1999-01-14 2000-05-02 Fort James Corporation Lid for cups with non-helical brim
US6983859B2 (en) * 2001-11-05 2006-01-10 U.S. Can Company Child proof and tamper evident container
GB2382071B (en) * 2001-11-20 2005-06-29 Beeson & Sons Ltd User-friendly bottle and closure thread assembly
GB2409200B (en) * 2003-12-19 2007-01-17 Beeson & Sons Ltd Bottle and closure assembly with improved locking elements
US7198170B2 (en) * 2004-01-07 2007-04-03 Berry Plastics Corporation Closure and container system and method for sealing a closure on a container
JP4827479B2 (ja) 2005-09-30 2011-11-30 リスパック株式会社 包装用容器
JP4590484B2 (ja) 2008-12-08 2010-12-01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40178A (en) 1977-05-13 1978-12-06 Jingo Seto Plastic container having throttling mechanism at outside of opening
JP2004067140A (ja) 2002-08-05 2004-03-04 Japan Xanpak Corp 食品収納容器
JP2007532417A (ja) 2004-04-08 2007-11-15 ザ・グラッド・プロダクツ・カンパニー 通気可能なスピンロック容器
WO2010146997A1 (ja) 2009-06-18 2010-12-23 株式会社エフピコ 蓋付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781786B (zh) 2014-07-02
US8608009B2 (en) 2013-12-17
TWI412473B (zh) 2013-10-21
CN102781786A (zh) 2012-11-14
EP2530027A4 (en) 2012-12-05
JP4872011B2 (ja) 2012-02-08
EP2530027A1 (en) 2012-12-05
JP2012020768A (ja) 2012-02-02
KR20120101740A (ko) 2012-09-14
EP2530027B1 (en) 2013-07-10
MY154751A (en) 2015-07-15
US20120298682A1 (en) 2012-11-29
TW201204605A (en) 2012-02-01
WO2012008221A1 (ja) 2012-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9147B1 (ko) 덮개를 가지는 용기
KR101005506B1 (ko) 컵 형상 용기용 덮개
US7946443B2 (en) Removable and reusable container closure with vent
US3692208A (en) Closure for open-mouthed containers or tubular vessels
JP6356951B2 (ja) 易開封性容器蓋
AU2013203536B2 (en) A closure lid with identifying means
RU2729349C2 (ru) Укупорочн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емкости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насадки для колпачка
US20070164027A1 (en) Removable and reusable container closure with stiffening ring
US8376181B2 (en) Container assembly with flexible lid seal and releasing arrangement
JP4929320B2 (ja) 包装用容器
JP5504264B2 (ja) 蓋付容器
US8056758B2 (en) Non-cylindrical container and lid
JP4979128B2 (ja) 開口容易缶蓋
US20140263326A1 (en) Closure for container
KR101193645B1 (ko) 안전 캔 용기
JP6936643B2 (ja) 内嵌合容器
JP6914720B2 (ja) 包装用容器
KR101383581B1 (ko) 속마개
JP2009241939A (ja) ピルファープルーフバンド付きオーバーキャップ
JP5542257B2 (ja) 容器の蓋
KR200206817Y1 (ko) 용기 뚜껑
JP2022164550A (ja) 合成樹脂製容器
JP2010202212A (ja) 容器の蓋
WO2020209734A1 (en) Container closing unit, intended particularly for beverage containers
JP2019218073A (ja) 包装用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