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8359B1 - 이동 가능한 배터리 수납부를 포함하는 전기장치 - Google Patents

이동 가능한 배터리 수납부를 포함하는 전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8359B1
KR101218359B1 KR1020110018464A KR20110018464A KR101218359B1 KR 101218359 B1 KR101218359 B1 KR 101218359B1 KR 1020110018464 A KR1020110018464 A KR 1020110018464A KR 20110018464 A KR20110018464 A KR 20110018464A KR 101218359 B1 KR101218359 B1 KR 101218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able
main body
unit
rot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8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9933A (ko
Inventor
표정철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8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8359B1/ko
Publication of KR20120099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9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8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8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8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ortable, e.g. battery operated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와 상기 본체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를 수납하는 배터리 수납부 및 상기 배터리 수납부를 본체 방향으로 또는 본체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이동부는 상기 배터리 수납부에 일부 고정되는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이 감기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전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 가능한 배터리 수납부를 포함하는 전기장치{Electric device comprising a movable battery-container}
본 발명은 전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가능한 배터리 수납부를 구비하고 있는 전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천장 또는 벽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소형 전자장치의 수가 늘고 있다. 감시카메라나 연기감지기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특히 감시카메라의 경우 감시, 보안, 방범 등의 목적으로 쓰이면서, 일반수요자들의 수요도 늘고 있다. 일반적인 감시카메라의 작동의 경우에 두 가지 종류의 선이 필요하다. 하나는 감시카메라를 작동하는데 필요한 전원공급에 쓰이는 선이고, 나머지 한 선은 감시카메라로부터 촬영한 영상신호를 전송하는 데 쓰이는 선이다. 그런데 감시카메라의 상기 목적에 걸맞게 사용되기 위해서는 상기 두 선은 매립 등의 별도의 처리가 필요하다. 하지만 선을 매립하는 등의 공사는 일반수요자가 직접 하기에는 번거롭고 어려우며, 전문가에 의한 공사는 설치비용이 많이 든다.
따라서 점점 무선 감시카메라의 수요가 늘고 있다. 무선 감시카메라는 영상 또는 음성데이터의 전송을 유선이 아닌 무선으로 하는 감시카메라를 일컫는다. 그러나 여전히 전원공급을 유선으로 하는 경우에는 무선 감시카메라가 기존의 유선 감시카메라에 비해서 갖는 장점은 반감할 수밖에 없다. 전원 공급선을 매립하는 공사를 진행하면서 영상 신호의 전송선 역시 같이 매립하면 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배터리를 내장함으로써 외부로부터 별로의 전원 공급이 불필요한 무선 감시카메라에 대한 수요가 생겨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동 가능한 배터리 수납부를 포함하는 전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과제로 한다.
본체;와 상기 본체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를 수납하는 배터리 수납부; 및 상기 배터리 수납부를 본체 방향으로 또는 본체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이동부는, 일부가 상기 배터리 수납부에 고정되는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이 감기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전기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전기장치는 외부로부터 상기 배터리 수납부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무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전위가 소정의 기준에 미달되면, 상기 배터리 수납부를 상기 배터리의 교체를 위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 수납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는 감시카메라 모듈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 수납부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제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의 꼬임방지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다 간편한 배터리 교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이동 가능한 배터리 수납부를 포함하고 있는 감시카메라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수납부 및 이동부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예에서 상기 배터리 수납부를 승강 시키고 난 후,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수납부 및 이동부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수납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케이블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제어부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제어부에서 배터리 수납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알고리즘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제동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회전체와 케이블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이동 가능한 배터리 수납부를 포함하고 있는 감시카메라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회전체와 케이블의 꼬임방지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전기장치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파악할 수 있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을 살펴보면,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이동 가능한 배터리 수납부(120)를 포함하는 감시카메라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수납부(120) 및 이동부(130)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또한 도 3은 제 1 실시예에서 배터리 수납부(120)를 승강시키고 난 후,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수납부 및 이동부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상기 세 도면을 참고하여 보면, 제 1 실시예는 본체(110), 배터리 수납부(120), 이동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무선모듈(140), 제어부(150), 센서(160), 제동부(170), 케이블의 꼬임방지장치(180) 및 구분판(19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전기장치(100)는 감시 카메라이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전기장치(100)는 배터리로부터 전기를 공급 받아서 작동되는 전기장치는 물론이고, 직접적으로 배터리로부터 전기를 공급 받아서 작동되는 전기장치는 아니더라도 그 작동에 있어서 부수적으로 배터리를 필요로 하는 전기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또 연기감지기, 시계, 화재경보기, 기상관측기구, 조명기구 등 높은 곳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전기장치와 그 이외에 작동상 배터리를 필요로 하면서 배터리 교체가 용이하지 않은 장소에 설치된 전기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의 본체(110)는 상기 전기장치(100)에서 꼭 필요한 구성으로서, 배터리로부터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전기를 공급받아야 할 필요가 있는 부분을 포함한 구성이다. 제 1 실시예에서의 본체(110)는 감시 카메라 모듈(111) 및 프레임(112)을 포함한 구성이다. 즉, 제 1 실시예에 따른 본체(110)는 전기장치(100)에서 배터리 수납부(120), 이동부(130), 무선모듈(140), 제어부(150), 센서(160), 제동부(170), 케이블의 꼬임방지장치(180) 및 구분판(190)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제 1 실시예의 본체(110)는 프레임(112)을 포함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또 본 발명의 전기장치가 감시카메라 이외의 전기장치인 경우 상기 전기장치의 본체의 예로는, 연기감지기의 연기감지모듈, 시계의 시계모듈, 화재경보기의 화재경보모듈 등을 들 수 있다.
제 1 실시예의 프레임(112)에는 개구부(112a)가 형성이 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서 상기 개구부(112a)를 찾아볼 수 있는데, 배터리 수납부(120)는 프레임(112)으로부터 나가고 들어올 때 개구부(112a)를 통과한다. 제 1 실시예의 개구부(112a)는 프레임(112)에 형성된 직사각형의 구멍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 개구부는 본 발명의 필수적 구성요소가 아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수납부(120)의 단면도이다. 제 1 실시예에서 배터리 수납부(120)는 커넥터(121), 배터리(122) 및 박스형의 하우징(123)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1에서는 하나의 배터리 수납부(120)만 포함돼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장치는 다수의 배터리 수납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121)는 배터리(122)의 전기가 전선으로 흐를 수 있도록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커넥터(121)는 본 발명의 필수적인 구성요소는 아니다. 커넥터(121) 없이 배터리(122)와 전선을 연결할 수 있거나, 전선을 사용하지 않는 등 커넥터(121)가 없이도 전기장치가 잘 작동한다면 커넥터(121)를 포함시키지 않아도 무방하다.
배터리(122)는 일반 전기장치에 전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모든 형태의 물건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제 1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직육면체 모양인 배터리(122)가 사용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하나의 배터리가 아닌 다수의 배터리가 본 발명에 사용될 수도 있으며, 배터리(122)의 모양도 직육면체가 아닌 원통 등의 다양한 모양이 될 수도 있다.
하우징(123)은 제 1 실시예에서 배터리(122)를 감싸며 하나의 폐곡면을 이루고 있지만 그 형태에 있어서 본 실시예의 모습에 한정되지 않고, 필수구성요소가 아닌 만큼 없어도 무방하다.
이동부(130)는 케이블(131), 회전체(132) 및 구동수단(133)을 포함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케이블(131)의 단면도이다. 우선 케이블(131)은 배터리 수납부(120)에 일부가 연결되어 있고, 회전체(132)에 감기고 풀리면서 배터리 수납부(120)의 위치를 변화시킨다. 제 1 실시예와 같이, 케이블(131)은 상기 역할 이외에도, 전기장치(100)에 전기를 전달하는 전선의 역할도 가질 수 있다. 특히 도 5에 도시된 케이블(131)의 단면과 같이, 케이블(131) 내부에 전선을 포함하고 있는 형태로도 쓰일 수 있다. 또 케이블(131)은 그 자체가 전선으로 대체되어 사용될 수도 있으며, 전선의 역할은 하지 않고 순수하게 배터리 수납부의 위치변화에만 사용될 수도 있다.
제 1 실시예의 케이블(131)은 그 외부 피복이 PVC 재질의 매끈한 선이다. 하지만 본 발명의 케이블(131)은 회전체(132)에 감기며 배터리 수납부(12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면, 그 재질이나 형태에 있어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실시예의 전기장치에 사용되는 케이블(131)은 도 5를 살펴보면 자세히 알 수 있다. 케이블(131)은 전기를 전달하는 내부전선(131a)과 그 내부전선(131a)을 덮고 있는 외부선(131b)으로 이루어져있다. 내부전선 역시 각각 배터리의 (+)(-)극에 연결되는 두 가지 전선(131a-1 및 131a-2) 및 그 전선을 덮는 절연체(131a-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두 가지의 전선(131a-1 및 131a-2)은 모두 전기 전도성이 좋은 구리(Cu)나 알루미늄(Al) 등으로 이루질 수 있다. 제 1 실시예의 케이블(131)은 외부선(131b)의 내부에 내부전선(131a)를 포함하는 형태이지만, 본 발명은 이런 형태 및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실시예에서는 배터리 수납부(120)에 연결된 케이블(131) 다발의 수가 하나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오히려 케이블 다발을 두 개 이상으로 했을 경우에, 배터리 수납부(120)를 두 개 이상의 지점에서 지지할 수 있어 배터리 수납부(120)의 균형을 맞추기가 쉬우므로 움직임이 더 안정적일 수 있다. 그 경우 케이블(131)의 수가 늘어남에 따라서 회전체(132)의 수도 조정되어야 한다.
제 1 실시예의 회전체(132)는 그 모양이, 원통과 그 양 면에 부착된 원판을 포함하는 형태이다. 원판은 케이블(131)의 가이드 역할을 하여서 케이블(131)이 정확히 원통 옆면을 따라서 감기도록 해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회전체(132)는, 회전을 하면서 케이블(131)을 감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면 제 1 실시예의 회전체(132)와 같은 형태일 필요는 없다. 즉 원통이 아닌 다각형의 형태가 될 수도 있으며, 원판과 같이 가이드 역할을 하는 부분이 꼭 포함되어야 하는 것도 아니다. 회전체(132)는 회전축에 수직인 단면의 둘레에 따라 한 번 회전 시 감기는 케이블(131)의 길이가 정해지므로, 적당한 둘레의 회전체(132)를 선정할 필요가 있다.
제 1 실시예에서 회전체(132)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133)은 모터(133a), 기어박스(133b) 및 고정기구(133c)를 포함한다. 모터는 동력발생기를 통칭하는 의미이고, 제 1 실시예의 모터(133a)는 전기를 공급받아 회전력을 얻는 전기모터이다. 기어박스(133b)는 기어비에 따라 모터(133a)의 회전속도를 변화시키는 장치이며, 상기 모터(133a)에 고정되어 모터(133a)의 회전속도를 변화시킨다. 또 모터(133a)는 고정기구(133c)에 의해 프레임(112)에 부착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제 1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동수단은,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면 모터를 포함하지 않아도 무방하며, 전기를 이용하지 않고 수동으로 배터리 수납부를 상하이동 시키는 장치도 본 발명의 구동수단이 될 수 있다. 모터가 고정되어 있는 위치는, 본체의 프레임에 한정되지 않고 회전체를 회전시키기에 적절한 위치라면 제 1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제 1 실시예와 같이 구동수단(133)과 회전체(132)가 바로 연결돼 있을 필요는 없고, 타이밍 벨트나 기어 등에 의해 간접적으로 움직임이 전달돼 회전체를 회전시킬 수 있으면 본 발명의 구동수단이 될 수 있다.
한편, 제 1 실시예의 전기장치는 무선모듈(140)을 포함하고 있는데, 무선모듈(140)은 무선으로 신호를 주고받는 장치이다. 무선모듈(140)은 기본적으로 외부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 및 감시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 및 음성 자료를 외부로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이 무선모듈을 포함하고 있다면, 사용자는 수동으로 전기장치에 신호를 보내어 배터리 수납부의 위치를 조작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장치는 제어부(150)를 포함하고 있다. 도 6은 상기 제어부(150)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7a 및 도 7b는 상기 제어부(150)에서 배터리 수납부(120)의 이동을 제어하는 알고리즘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본 제어부(150)는 무선모듈(140), 센서(160) 등으로부터 신호를 받아 이를 처리한 후, 제동부(170) 및 구동수단(133)에 적절한 신호를 보냄으로써 배터리 수납부(120)의 움직임을 제어한다. 제 1 실시예의 제어부(150)는 도 6에서와 같이 그 역할에 따라 몇 부분의 세부장치로 나눌 수 있다. 제어부(150)는 배터리 잔량측정부(151)와 신호수신부(152), 데이터 처리장치(153) 및 신호송신부(154)로 이루어져 있다. 배터리 잔량측정부(151)는 배터리의 잔량을 측정하여 일정 수준에 못 미치면 이에 대한 신호를 신호수신부(152)로 송신하게 되고, 다시 신호수신부(152)에서 데이터 처리장치(153)로 상기 신호를 전달하면, 데이터 처리장치(153)에서 도 7a의 알고리즘을 따라서 데이터를 처리한다. 여기서 처리된 신호는 신호송신부(154)를 거쳐 제동부(170)나 구동수단(133) 등 각 장치로 전달된다.
도 7a의 알고리즘은, 배터리의 잔량을 측정하여 그 결과가 일정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에 자동으로 배터리 수납부(120)가 배터리 교체를 위해 하강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우선 제어부(150)안에 있는 배터리 잔량측정부(151)에서, 배터리에 대한 잔량을 측정한다(단계 S101). 측정 결과는 제어부(150)의 신호수신부(152)를 통해 데이터 처리장치(153)에 도달한다. 여기서 배터리의 잔량이 미리 설계자가 정해둔 특정 기준에 미달되는지 여부를 판단(단계 S102)하고, 잔량이 기준 이상인 경우라면 배터리 잔량측정단계(단계 S101)의 이전으로 돌아가 배터리 잔량측정단계(단계 S101)를 반복한다. 잔량이 기준 이하인 경우라면, 데이터 처리장치는(153)는 이에 대한 신호를 신호송신부(154)를 통해 제동부(170)에 전달한다. 제동부(170)에서는 배터리 수납부(120)의 제동을 해제하고(단계 S103), 배터리 수납부(120)는 그 자체가 받는 중력에 의해서 하강하게 된다(단계 S104). 물론 이 알고리즘이 제대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배터리 수납부(120)에 작용하는 중력의 크기가 전기공급이 없을 경우 회전체(132) 및 구동수단(133)이, 회전체의 회전 시에 받는 마찰력의 크기보다 커야 된다.
도 7b의 알고리즘은 배터리 수납부의 하강 후 배터리 교체 직후에 작동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배터리를 교체하면, 배터리를 제거 시에 일시적으로 전기의 공급이 중단되었다가 배터리를 장착 시에 다시 전기가 공급이 되어, 전기장치 또는 제어부의 전원이 리셋(Reset)된다(단계 S201). 전원이 리셋(Reset)된 직후, 하기 누름방지센서(160)는 센서가 눌려졌는지에 대한 신호를 신호수신부(152)를 거쳐 데이터 처리장치(153)에 전달한다. 데이터 처리장치(153)에서는 전해받은 신호를 해석해 센서가 눌려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02). 눌려지지 않은 경우라면 케이블을 감는 방향으로 작동(단계 S203)하도록 구동수단(133)에 신호를 보낸다. 이 때 센서(160)는 센서가 눌려졌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과정(단계 S202)을 반복해서 계속한다. 마침내 센서가 눌려졌다는 신호를 신호수신부(152)를 거쳐 데이터 처리장치(153)에 전달하면, 이 신호는 다시 신호송신부(154)를 거쳐 구동수단에 전달되어 구동수단의 전원을 차단시키는 단계(단계 S204)를 거친다. 그 후 상기 신호는 제동부(170)에도 전달되고, 이는 제동부(170)를 작동시켜서 배터리 수납부의 움직임을 제한한다(단계 S205).
본 발명의 전기장치는 제어부(150)를 포함함으로써 보다 정밀한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하지만 제어부(150)가 본 발명의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본 발명의 전기장치가 제어부(150)를 포함하는 경우라도 그 세부장치나 작동 알고리즘 등은 제 1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실시예에 관한 발명은 센서(16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센서(160)는 배터리 수납부(120)의 위치를 감지하는 장치이다. 센서(160)는 매순간 배터리 수납부(120)의 위치를 감지할 필요는 없고, 배터리 수납부(120)의 위치제어에 필요한 시점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으로 족하다.
제 1 실시예에 관한 전기장치의 센서는 누름감지센서이다. 즉, 배터리 수납부(120)의 상단부가 누름감지센서의 높이까지 올라온 경우 센서(160)를 누르게 된다. 이 때 발생한 신호는 제어부(150)로 전달되고, 제어부(150)에서는 배터리 수납부(120)의 움직임을 정지시키기 위한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센서(160)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우선 본 발명의 센서는 직접적으로 배터리 수납부(120)의 위치를 알게 해주는 센서가 사용될 수 있는데, 포토센서, 초음파센서 등의 거리측정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종류로는, 비록 배터리 수납부(120)의 직접적인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는 아니더라도 그 외의 자료를 측정해서 배터리 수납부(120)의 위치를 간접적으로 산출할 수 있는 센서도 본 발명의 센서로 사용될 수 있다. 회전체(132)에 감긴 케이블(131)의 선 길이를 측정해서 배터리 수납부(120)의 위치를 산출해내거나, 로터리 엔코더를 이용해 모터(133a)의 회전수를 측정하여 적절한 처리를 거친 후 배터리 수납부(120)의 위치를 산출해낼 수 있는 등 다양한 실시예가 존재한다.
제 1 실시예의 전기장치는 제동부(170)를 포함하고 있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제동부(17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제동부(170)는 배터리 수납부(120)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장치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체(132)의 회전을 제한함으로써 배터리 수납부(120)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형태의 제동부(170)가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동부(170)는 배터리 수납부(120)의 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면, 제동부(170)가 제동력을 가하는 부분이 회전체(132)이든지, 구동수단(133)이든지, 케이블(131)이든지 관계없다. 또 제동부(170)의 제동원리 역시 상기 역할이 수행되는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제 1 실시예의 제동부(170)는 마찰판(171), 금속판(172), 전자석(173), 스프링(174), 가이드봉(175) 및 전선(176)으로 이루어져 있다. 마찰판(171)은 회전체(132)의 원판에 닿아서 강한 마찰력을 제공하는 판으로서, 마찰계수(μ)가 큰 재질로 만들어졌으며 이는 금속판(172)에 부착되어 있다. 한 쪽 금속판(172b)에 부착되어 있는 전자석(173)은 전선(176)을 통해 전기가 유입될 때 자력을 갖게 되어 다른 쪽 금속판(172a)을 잡아당기는 역할을 하고 있다. 또, 금속판(172) 및 전자석(173)을 관통하여 가이드봉(175)이 위치하고 있으며, 이는 움직이는 금속판(172a)의 가이드 역할을 하게 된다. 한 쪽 금속판(172a)과 전자석(173)사이에는 가이드봉(175)을 둘러싸고 있는 스프링(174)이 위치해 있다. 또 전자석(173)이 부착된 한 쪽 금속판(172b)은 구분판(190)에 고정되어 있어서 움직이지 않고, 다른 쪽 금속판(172a)은 전자석에 자력이 발생하면 가이드봉(175)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움직인다.
제 1 실시예의 제동부(170)는 제동이 필요한 경우, 전선(176)을 통해 전자석(173)에 전기를 공급한다. 전자석(173)이 전달된 전기에 의해 자력을 가질 때, 도 8에 그려진 화살표 방향을 따라서 한 쪽 금속판(172a)을 잡아당기게 된다. 금속판(172)에 부착된 마찰판(171)이 회전체(132)의 일부를 감싸도록 함으로써 마찰판과 회전체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제동을 시키는 구조이다. 그리고 전자석(173)은 전기를 전달받지 못하면 자력을 잃게 된다. 이 경우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한 쪽 금속판(172a)은 원래 위치로 돌아가게 되고, 마찰판(171)이 회전체(132)에 닿지 않기 때문에 더 이상 회전체(132)에 제동력이 작용되지 않는다. 만약에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장치에서 제동부(170)가 회전체(132)에 제동력을 가해 멈추게 하지 않으면, 배터리 수납부(120)에 작용하는 중력에 의해서 저절로 배터리 수납부(120)가 하강하게 될 수 있다.
제 1 실시예의 전기장치(100)는 케이블의 꼬임방지장치(180)를 포함하고 있다. 도 9는 제 1 실시예의 회전체(132)와 케이블(131)의 부분 사시도이다. 제 1 실시예에서, 회전체(132)를 따라 감기는 케이블(131)은 일부가 배터리 수납부(120)와 연결되어 있고, 다른 일부는 전기장치(100)와 연결이 돼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전기장치(100)와 연결된 쪽의 케이블(131)은 회전체(132)의 원통 부분을 감으면서 그 끝이 제어부(150)와 연결이 되어있다. 상기 케이블(131)의 다른 쪽 끝은 회전체(132)의 원통 부분에 있는 구멍(132a)을 통과해서 회전체(132)의 축 방향으로 생긴 구멍(132b)으로 나오게 된다. 이 때 케이블(131)은 회전체(132)에 감길 때마다 꼬이게 된다. 그 구조에 따라 다르겠지만, 케이블(131)이 여러 번 회전체(132)에 감기는 경우에 아무런 방지 장치가 없다면 케이블(131)은 심하게 꼬여서 작동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케이블의 꼬임방지장치(180)가 필요한 것이다.
제 1 실시예에서의 꼬임방지장치(180)는 제어부(150) 쪽 케이블과 배터리 쪽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배터리 쪽 케이블이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어 케이블(131)이 꼬이지 않으며, 회전을 하는 중에도 상기 양 케이블의 전기적 연결이 유지된다. 여기서 제 1 실시예에 사용된 케이블의 꼬임방지장치(180)는 국내특허(등록번호: 0220516)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꼬임방지장치(180)는 본 실시예에 관한 꼬임방지장치(180)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본 발명에서 케이블의 꼬임방지장치는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하는 구성은 아니다. 케이블의 꼬임에도 정상 작동할 수 있을 정도의 긴 케이블을 사용하는 등, 꼬임방지장치 없이도 작동에 문제가 없거나 다른 해결방안이 있다면 이를 포함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제 1 실시예에 관한 전기장치는 구분판(190)을 포함하고 있다. 이는 이동부(130)와 배터리 수납부(120)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두 구성을 분리시키고, 배터리 수납부(120)가 지나치게 이동부에(130) 접근하는 것을 막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개구부가 구분판(190)에 형성되어서 케이블(131)의 가이드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구분판(190)은 본 발명의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파악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이동 가능한 배터리 수납부(220)를 포함하고 있는 감시카메라의 절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회전체(232)와 케이블 꼬임방지장치(280)의 부분 사시도이다. 우선 제 2 실시예의 전기장치(200)는 케이블의 꼬임방지장치(28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이 제 1 실시예의 전기장치(100)의 구성과 동일하다. 즉 제 2 실시예의 본체(210), 배터리 수납부(220), 이동부(230), 무선모듈(240), 제어부(250), 센서(260), 제동부(270) 및 구분판(290)은 각각 제 1실시예의 본체(110), 배터리 수납부(120), 이동부(130), 무선모듈(140), 제어부(150), 센서(160), 제동부(170) 및 구분판(190)과 대응된다. 따라서 제 2 실시예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제 1 실시예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제 2 실시예에 관한 전기장치(200)도 케이블의 꼬임방지장치(280)를 포함하고 있다. 이는 도 11에 자세히 나와 있는데, 회전체(232)의 한 외면에는 크기가 다른 금속링(281)이 두 개 부착되어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체(232)와 축을 공유하며, 상기 외면과 맞닿는 꼬임방지장치판(282)이 있다. 꼬임방지장치판(282)에도 마찬가지로 상기 회전체(232)의 외면과 맞닿는 면에 두 개의 금속링(283a 및 283b)이 부착되어 있고, 이는 상기 회전체(232)의 외면에 부착된 두 개의 금속링(281)과 각각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위치와 크기가 적절하게 되어 있다. 금속링(281 및 283)은 전기 전도성이 좋은 금속으로 만들어졌고, 각각 도선과 연결이 되어 전선의 일부로서 전기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또 꼬임방지장치판(282)은 두 금속링(283a 및 283b)이 부착된 판으로서, 회전체(232)의 일면과 맞닿아 있다. 꼬임방지장치판(282)은 금속링(281 및 283)끼리 접촉시켜줄 수 있다면, 그 형태에 있어서 제 2 실시예와 같은 원판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그 재질에 있어서는, 부착된 금속링(283)에 연결된 전선에 전기가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전기 전도성이 낮은 재질로 한정이 되어야 한다. 한편, 회전체(232)의 회전과는 무관하게 꼬임방지장치판(282)은 회전을 하지 않으므로 이에 연결된 도선은 꼬이지 않게 된다. 하지만 역시 본 발명의 케이블 꼬임방지장치는 제 2 실시예에 관한 꼬임방지장치(280)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210: 본체 120, 220: 배터리 수납부
130, 230: 이동부 140, 240: 무선모듈
150, 250: 제어부 160, 260: 센서
170, 270: 제동부 180, 280: 케이블 꼬임방지장치
190, 290: 구분판

Claims (8)

  1. 본체;
    상기 본체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를 수납하는 배터리 수납부;
    상기 배터리 수납부를 본체 방향으로 또는 본체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이동부는, 일부가 상기 배터리 수납부에 고정되는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이 감기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전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장치는 외부로부터 상기 배터리 수납부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무선 모듈을 더 포함하는 전기장치.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전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전위가 미리 결정된 기준에 미달되면, 상기 배터리 수납부를 상기 배터리의 교체를 위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수납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전기장치.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감시카메라 모듈인 전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수납부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제동부를 더 포함하는 전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꼬임을 방지하는 꼬임방지장치를 더 포함하는 전기장치.
KR1020110018464A 2011-03-02 2011-03-02 이동 가능한 배터리 수납부를 포함하는 전기장치 KR101218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8464A KR101218359B1 (ko) 2011-03-02 2011-03-02 이동 가능한 배터리 수납부를 포함하는 전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8464A KR101218359B1 (ko) 2011-03-02 2011-03-02 이동 가능한 배터리 수납부를 포함하는 전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9933A KR20120099933A (ko) 2012-09-12
KR101218359B1 true KR101218359B1 (ko) 2013-01-03

Family

ID=47109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8464A KR101218359B1 (ko) 2011-03-02 2011-03-02 이동 가능한 배터리 수납부를 포함하는 전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835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63071A (ja) * 2008-09-08 2010-03-18 Sony Corp 撮像装置
KR200448573Y1 (ko) * 2009-03-04 2010-04-26 이흥진 안내도르래를 구비한 디스플레이의 엘리베이션장치
KR20100115844A (ko) * 2009-04-21 2010-10-29 장성환 노트북 배터리케이스를 활용한 전원공급 장치
JP2010282633A (ja) * 2004-07-18 2010-12-16 Apple Inc 電源装置、電力の供給方法、並びに、電子機器、電源装置およびケーブルを有する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82633A (ja) * 2004-07-18 2010-12-16 Apple Inc 電源装置、電力の供給方法、並びに、電子機器、電源装置およびケーブルを有するシステム
JP2010063071A (ja) * 2008-09-08 2010-03-18 Sony Corp 撮像装置
KR200448573Y1 (ko) * 2009-03-04 2010-04-26 이흥진 안내도르래를 구비한 디스플레이의 엘리베이션장치
KR20100115844A (ko) * 2009-04-21 2010-10-29 장성환 노트북 배터리케이스를 활용한 전원공급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9933A (ko) 2012-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5055B1 (ko) 전기청소기
AU2022211876A1 (en) Improvements in Conveyor and Components Therefor, Monitoring Methods and Communication Systems
CN102713502A (zh) 深度测定设备
CN113169498B (zh) 用于监测电机的一个以上组件的状态的***和方法
EP2684262A1 (en) Apparatus for monitoring of brushes, in particular slipring or commutator brushes, on electrical machines
EP3686149B1 (en) Winch, and method of preventing rope slack of a rope winch
JP6859427B2 (ja) 周波数コンバータ及びオプションのベルト張力センサを備えるドラムモータ
KR101218359B1 (ko) 이동 가능한 배터리 수납부를 포함하는 전기장치
KR20160061662A (ko) 자가발전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기
KR20130057696A (ko) 맨홀 내부 감시 시스템
KR102001969B1 (ko) 상하수도 관로 매설 위치 확인 및 실시간 관리 시스템
CN109828138B (zh) 一种用于电力维修的防触电的万用测量仪表
KR20230046590A (ko)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 및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의 동작 방법
JP2008079459A (ja) ブラシ磨耗検出器
CN210243012U (zh) 轨道交通电池电机控制器温度传感装置
KR20140140978A (ko) 송전선 설치용 와이어의 송전탑 간 설치시스템
JP2022533070A (ja) 貫通孔スリップリング状態監視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0220784B1 (ko) 피동 센서 유형의 탱크 레벨 게이지
US11283293B2 (en) Apparatus for monitoring a current-carrying device
CN215488661U (zh) 一种云台微型热成像传感器
CN206609613U (zh) 齿轮箱异响检测装置
CN210637815U (zh) 一种多视角市政管道检测装置
TWI842894B (zh) 貫孔滑環條件的監測系統和方法
KR101495773B1 (ko) 용해물질을 이용한 자가발전구동형 누수감지장치
CN210720190U (zh) 一种电缆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