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7790B1 - 수직분력을 이용한 철골조 구조물 보강 방법 - Google Patents

수직분력을 이용한 철골조 구조물 보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7790B1
KR101217790B1 KR1020120114521A KR20120114521A KR101217790B1 KR 101217790 B1 KR101217790 B1 KR 101217790B1 KR 1020120114521 A KR1020120114521 A KR 1020120114521A KR 20120114521 A KR20120114521 A KR 20120114521A KR 101217790 B1 KR101217790 B1 KR 101217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member
flange
tension
pillar
botto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4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규
Original Assignee
경서중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서중공업(주) filed Critical 경서중공업(주)
Priority to KR1020120114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77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7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7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0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e.g. with reinforcements or tensioning members
    • E04C3/26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e.g. with reinforcements or tensioning members prestress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기둥부재 사이에 설치된 빔에 수직분력을 가하여 빔에 작용하는 휨 모멘트에 대한 저항 휨 모멘트를 보다 효과적이고 경제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는 철골조 구조물에 수직분력을 이용한 긴장재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긴장재의 일단부는 나사체결부가 형성되어 정착너트에 의하여 기둥부재의 플랜지에 정착되고 타단부는 빔의 하부플랜지 저면에 고정되도록 하여 긴장재에 도입된 긴장력의 수직분력이 빔과 바닥판에 작용하도록 하게 된다.

Description

수직분력을 이용한 철골조 구조물 보강 방법{STEEL STRUCTURE REINFORCING METHOD WITH TENDON USING NORMAL PARTIAL FORCE}
본 발명은 수직분력을 이용한 철골조 구조물 보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양 기둥부재 사이에 설치된 빔에 수직분력을 가하여 빔에 작용하는 휨 모멘트에 대한 저항 모멘트를 보다 효과적이고 경제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는 철골조 구조물 보수 보강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H형 강재를 이용한 철골조 구조물의 시공정면도이다.
즉, 양 측방에는 기둥부재(10)가 형성되어 있고 기둥부재(10) 사이에는 빔(20)이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빔(20)은 양 단부에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어 기둥부재(10)의 플랜지에 형성된 체결공과 ㄱ자 형태의 접철부재(30)에 의하여 볼트와 너트에 의하여 체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빔(20) 상부에는 바닥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철골조 구조물의 바닥판(40)을 시공하게 된다.
이때 하중이 바닥판(40)에 작용하게 되면 빔(20) 하부에는 인장응력이 상부에는 압축응력이 작용하게 되는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보수 보강 작업이 필요한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보수 보강 방법은 빔(20)과 바닥판(40)에 작용하는 휨 모멘트에 대한 저항능력을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적용하게 되는데 긴장재로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도입시키는 방법을 생각해볼 수 있다.
이러한 긴장재를 이용하여 빔(20)에 압축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하는 예가 도 1b에 도시되어 있다.
즉, 긴장재(70)를 빔(10) 양 단부측 저면에 설치한 정착장치(50)와 중앙 저면에 설치한 편향장치(60)를 이용하여 설치하고, 정착장치(50) 사이에 편향장치(60)를 경유하도록 긴장재(70)를 수평 배치하고 양 단부를 긴장 후 정착장치에 정착시켜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빔(20)에 도입시키는 방식이다.
하지만 이러한 정착장치(50)와 편향장치(60)는 도 1a와 같이 철골조 구조물에 설치된 빔(20)에 적용할 경우 빔 하부에 정착장치(50)와 편향장치(60)가 노출되어 미관이 좋지 않을뿐더러 긴장재(70)가 빔 하부에 수평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편심 효과는 있지만 편향장치(50)와 편향장치(50)를 별도로 설치해야 하는 등 경제적인 압축 프리스트레스 도입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도 1c와 같이 빔(20)에 있어서 양 단부에 매립 설치된 정착장치(50)를 이용하여 긴장재(70)를 양 측방에서 상방으로 긴장시켜 도입된 긴장력의 수직분력에 의하여 빔 부재에 압축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도록 하는 방법도 소개되어 있는데, 이러한 긴장재 설치방법은 빔 부재 제작시에 미리 정착장치(50)가 설치되어야 한다는 전제가 요구되고 내부에 수직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철근조립체(80)의 설치가 필수적이어서 이를 철골조 구조물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철골조 구조물에 있어서 바닥판을 지지하는 빔과 빔의 양 단부가 연결된 기둥부재에 있어서, 작용하중에 의한 휨 모멘트에 대한 빔의 저항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빔에 효과적으로 수직분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되 간단한 구조로 제작되어 경제적이고 효과적인 철골조 구조물의 빔 보수 보강 방법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첫째, 간단한 구조로 현장에서 쉽게 작업할 수 있도록 강봉과 같은 긴장재를 기둥부재를 관통하면서 바닥판을 경유하여 빔의 중앙부를 향하여 하방 경사지도록 설치하여 양 단부 중 일단부를 빔 저면에 고정시키고, 타단부를 기둥부재에 정착시키되 상기 타단부에서 체결너트로 기둥부재를 조여 긴장력에 의한 수직분력이 바닥판과 빔에 도입되도록 하였다.
둘째, 상기 빔 저면에 고정되는 긴장재의 일단부는 빔의 하부플랜지를 관통하여 걸려지도록 하여 고정(절곡부)시키거나 고정너트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현장에서의 작업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상기 바닥판을 관통하는 긴장재에는 긴장력 도입 후 이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닥판 관통부위에 이완방지스토퍼가 형성되도록 하였다.
넷째, 상기 긴장재는 양 기둥부재로부터 빔의 중앙부를 향하여 하방 경사지도록 함으로서 기둥부재 사이의 빔에 긴장력에 의한 수직분력이 효과적으로 발생되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 의하여 간단한 구조로 기둥부재 사이의 빔을 긴장력에 의한 수직분력으로 빔에 작용하는 하중에 대한 저항능력을 증가시켜 빔의 휨 강성 증진에 의한 빔 보강이 가능하게 된다.
긴장재를 간단하게 설치하여 긴장시킬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고 미관을 해치지 않아 효율적인 빔 보강이 가능하게 된다.
도 1a는 종래 기둥부재 사이에 설치된 빔 설치도,
도 1b는 종래 긴장재를 이용한 빔의 보강 사시도,
도 1c는 종래 수직분력을 이용한 빔의 보강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긴장재에 의한 수직반력 작용도 및 시공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긴장재의 구성도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신설 기둥부재와 빔 보강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기존 기둥부재와 빔 보강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 긴장재(300)에 의한 수직반력 작용 ]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긴장재(300)에 의한 수직반력 작용도 및 시공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상기 긴장재(300)는 기둥부재(100) 사이에 수평으로 양 단부가 연결된 빔(200)을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기둥부재(100)는 철골조 구조물에서 기둥부재로 사용되는 H형 철골을 이용하게 된다. 이러한 기둥부재(100)는 양 플랜지(110) 사이의 복부(120)로 형성된 부재이다.
미 도시 하였지만 건물기초에 기둥부재(100)는 수직으로 설치되며 기둥부재(100) 사이에 빔(200)의 양 단부가 연결되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빔(200)도 H형 철골을 이용하게 되는데 역시 양 플랜지 사이의 복부로 형성된 부재이다.
이러한 기둥부재(100) 및 빔(200)은 모두 H형 철골을 이용하게 되므로 현장에서 체결시켜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데 빔(200) 양 단부에 형성된 체결공과 기둥부재(10)의 플랜지에 형성된 체결공을 예컨대 ㄱ자 형태의 접철부재(30)에 의하여 볼트와 너트에 의하여 체결시켜 연결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빔(200) 상부에는 바닥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바닥판(40)이 형성되도록 하는데 하중(예컨대 등분포하중)이 작용하게 되면 빔(200) 중앙부의 하부에는 인장응력이 상부에는 압축응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빔(200)은 바닥판(40)과 합성되어 일체화된 상태에서 하중에 저항하게 되지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이러한 저항능력은 떨어질 수밖에 없다.
이에 상기 하중에 가장 취약한 부위는 작용 하중에 의한 휨 모멘트가 가장 크게 발생하는 빔 중앙부가 되며 이러한 빔 중앙부에서 가장 큰 처짐도 발생하게 된다.
이에 빔 중앙부를 집중적으로 보강하는 것이 빔 보수 보강에는 가장 바람직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긴장재(300)를 배치함에 있어서 도 2a 및 도 2b와 같이 양 기둥부재(100)의 플랜지(110)를 관통하여 빔(200)의 중앙부를 향하여 하방 경사지도록 연장되어 빔(200)의 상부 및 하부플랜지(210,230)를 관통시켜 양 단부 중 일단부(A)가 빔(200)의 중앙부 저면에 고정되도록 하고, 타단부(B)가 기둥부재(100)의 플랜지(110)에 관통되도록 설치하게 된다.
즉, 상기 긴장재(300)의 타단부(B)는 바닥판(4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에 위치한 기둥부재(100)의 플랜지(110)를 관통하도록 배치시키고, 긴장재(300)는 바닥판(40) 내부를 관통하도록 하방 경사지게 배치하되 빔(200)의 상부플랜지(210)를 관통하여 빔(200)의 복부(220)를 경유하여 빔(200)의 하부플랜지(230)를 관통하도록 하고 긴장재의 일단부(A)는 빔(200)의 하부플랜지(230) 저면에 고정되도록 하게 된다.
이에 긴장재(300)가 관통할 수 있도록 기둥부재의 플랜지, 빔의 상부 및 하부플랜지에는 도 3과 같이 관통홀(140,240)을 형성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긴장재(300)의 고정은 도 3과 같이 일단부(A)에 고정너트(340)를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고, 일단부(A)를 절곡시켜 빔의 하부플랜지 저면에 절곡부(320)가 걸려지도록 하여 용접에 의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나아가 긴장재(300)의 정착은 타단부(B)에 와셔와 정착너트(330)를 이용하여 조여줌으로서 긴장재(300)가 긴장되도록 하면서 기둥부재의 플랜지의 내측면에서 정착되도록 하게 된다.
이때 긴장재(300)의 일단부(A)가 고정되는 위치는 빔(200)의 중앙부에 최대한 근접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긴장재(300)에 긴장력이 도입되면 긴장력(F)은 긴장재를 따라 발생하게 되므로 수평분력(F1)과 수직분력(F2)으로 나뉘어져 상기 수직분력(F2)에 의하여 빔(200)과 바닥판(40)을 상방으로 인상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직분력(F2) 중 일단부(A)에 작용하는 수직분력(F2)는 타단부(B)를 기준으로 가장 멀리 이격되어 있어 편심에 의한 휨 모멘트(M=L*F2)가 가장 크게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에 빔(200) 중앙부에 하중에 의한 휨 모멘트가 가장 크게 발생하므로 구조적으로 보다 효과적인 수직분력(F2)이 발생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긴장재(300)는 양 기둥부재로부터 각각 빔 중앙부쪽으로 즉 빔 중앙부를 기준으로 양 측방으로 긴장재(300)가 설치되도록 하여 빔 보강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로서 본 발명의 긴장재(300)는 바닥판(40)을 관통하고 빔(200)의 복부(220) 양 측을 경유하고 일단부(A)와 타단부(B)도 각각 기둥부재(100)의 내측면과 저면에 위치하므로 미관을 해치는 일이 없고, 종래 도 1b 및 도 1c와 같은 정착장치를 이용하지 않아 보다 경제적인 빔 보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어 시공성 및 작업성도 뛰어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긴장재(300)에 의한 수직분력(F2)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이완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이완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바닥판(40)을 관통하는 긴장재(300)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이완방지스토퍼(400)가 바닥판(40)에 매립되도록 설치하여 도입된 긴장재(300)의 이완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이완방지스토퍼(400)의 설치개수는 바닥판(40)의 두께 등을 고려하여 설치하면 되고, 그 형태는 십자형 너트 형태로 형성된 것을 이용하면 된다.
또한 정착너트, 와셔는 긴장재(300)가 기둥부재의 플랜지, 빔의 저면에 대하여 경사져 배치되므로 이러한 경사도를 고려한 경사접면이 형성된 것을 이용하면 되고 정착너트(330)가 체결될 수 있도록 긴장재의 타단부(B)에는 나사체결부(310)가 형성되도록 하게 된다.
물론 고정너트(340)를 사용하는 경우라면 긴장재(300)의 일단부(A)에도 나사체결부가 형성된다.
[ 긴장재(300)의 구성 ]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긴장재(300)를 각각 도시한 것인데 간단한 구조로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먼저 도 3a에 의하면 긴장재(300)는 고장력 강봉으로서 타단부(B)는 나사체결부(310)가 형성되어 있고 일단부(A)는 절곡부(320)가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나사체결부(310)에는 테이퍼 와셔가 삽입되어 정착너트(330)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하되 타단부(B)와 일단부(A) 사이에 바닥판(40)에 매립되는 부위에 십자형 너트 형태의 이완방지스토퍼(400)가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b에 의하면 긴장재(300)는 고장력 강봉으로서 타단부(B)는 나사체결부(310)가 형성되어 있고 일단부(A)에도 나사체결부(310)가 형성되어 고정너트(340)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함을 알 수 있으며, 나사체결부(310)들에는 테이퍼와셔가 삽입되어 정착 및 고정너트(330,340)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하되 역시 타단부(B)와 일단부(A) 사이에 바닥판(40)에 매립되는 부위에 십자형 너트 형태의 이완방지스토퍼(400)가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긴장재(300)는 긴장 및 정착을 위해 콘크리트 빔에 사용되는 정착장치, 유압잭을 이용하지 않아 매우 간단하고 경제적으로 사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 수직분력을 이용한 철골조 구조물의 빔 보강 방법 ]
도 4a 및 도 4b는 신설되는 철골조 구조물에 있어 본 발명의 긴장재(300)를 설치하여 빔을 보강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기존의 철골조 구조물에 있어 본 발명의 긴장재(300)를 설치하여 빔을 보강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4a 및 도 4b를 살펴보면 먼저, 기둥부재(100)를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기둥부재(100)는 H형 철골을 이용한 플랜지(110)와 복부(120)로 형성되어 있으며 긴장재(300)가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도록 관통홀(140)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기둥부재(100) 사이에는 빔(200)이 설치되며 이러한 빔(200)도 H형 철골을 이용한 상부플랜지(210), 복부(220) 및 하부플랜지(230)로 형성되어 있으며 역시 긴장재(300)가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도록 관통홀(240)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기둥부재(100)와 빔(200)에 앞서 살펴본 긴장재(300)를 배치하게 된다. 이러한 긴장재(300)는 도 3a 및 도 3b에 의하여 타단부(B)에 나사체결부(310)가 형성되어 있고, 일단부(A)에 절곡부(320)가 형성된 것(도 4a)과 타단부(B) 및 일단부(A)에 나사체결부(310)가 형성된 것을 기준으로 살펴본다.(도 4b)
이에 양 기둥부재(100) 사이에 긴장재(300)는 기둥부재(100)의 플랜지(110)를 관통하고 빔(200)의 상부플랜지(210)를 관통하여 빔의 중앙부 주위에 일단부(A)가 관통하도록 하방 경사져 배치되도록 하되, 이완방지스토퍼(400)가 바닥판(40)에 매립되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일단부(A)의 절곡부(320)는 빔(200)의 하부플랜지(230) 저면에 끼워져 용접에 의하여 고정(도 4a)되도록 하거나, 고정너트(340)에 의하여 일단부가 하부플랜지(230) 저면에 고정(도 4b)되도록 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이완방지스토퍼(400)가 매립되도록 바닥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판(40)이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도록 하게 된다.
다음으로는 상기 긴장재(300)의 타단부(B)에 테이퍼와셔를 삽입시키고 정착너트(330)를 체결시킨 후 정착너트(330)를 회전시켜 긴장재(300)에 설계한 정도의 긴장력을 도입되면 정착너트(330)를 기둥부재(100) 플랜지(110) 내측면에 최종 체결된 상태로 유지시키게 된다.
이에 긴장재의 긴장 및 정착에 의하여 빔(200)과 바닥판(40)에는 수직분력(F2)이 발생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에 의하면 이미 양 기둥부재(100)와 빔(200)은 설치된 상태(기존 철골조 구조물)이고 빔(200) 본 발명의 긴장재(300)를 설치하게 된다.
이를 위해 기둥부재(100)의 플랜지(110), 바닥판(40), 빔(200)의 상부플랜지(210), 하부플랜지(230)에는 관통홀(140,240)을 별도로 형성시키게 된다.
이에 빔(200)의 하부플랜지(230) 하부에서 긴장재(300)를 삽입하여 타단부(B)가 빔(200)의 하부플랜지(230), 복부(220), 상부플랜지(210)를 경유하도록 하며 바닥판(40)을 관통하여 기둥부재(100)의 플랜지(110)까지 연장되도록 배치하게 된다.
이에 긴장재(300)의 일단부(A)는 빔(200)의 하부플랜지(230) 저면을 관통하여 하부플랜지 저면에 고정너트(340)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하고, 타단부(B)는 기둥부재(100) 플랜지(110) 내측면에서 정착너트(330)에 의하여 긴장 후 정착되도록 함으로서 빔(200)과 바닥판(40)에 수직분력(F2)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빔과 바닥판 모두에 수직분력을 발생시킬 수 있어 빔과 합성된 바닥판 전체를 보수 보강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기둥부재
110: 플랜지
120: 복부
140: 관통홀
200: 빔
210: 상부플랜지
220: 복부
230: 하부플랜지 240: 관통홀
300: 긴장재 310: 나사체결부
320: 절곡부 330: 정착너트
340: 고정너트 400: 이완방지스토퍼

Claims (5)

  1. 양 기둥부재(100) 사이에 빔(200)을 설치하고,
    상기 양 기둥부재(100)의 플랜지(110)를 관통하여 빔(200)의 중앙부를 향하여 하방 경사지도록 연장되어 빔(200)의 상부 및 하부플랜지(210,230)를 관통시켜 양 단부 중 일단부(A)가 빔(200)의 중앙부 저면에 고정되도록 하고, 타단부(B)가 기둥부재(100)의 플랜지(110)에 관통되도록 긴장재(300)를 설치하고,
    상기 빔(200)의 상부에 위치한 긴장재(300)가 매립되도록 바닥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판(40)을 형성시키고,
    상기 긴장재(300)의 타단부(B)를 기둥부재(100)의 플랜지(110) 내측면에서 정착너트(330)로 긴장 후 정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긴장재(300)에 도입된 긴장력의 수직분력(F2)이 빔(200)과 바닥판(40)에 작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조 구조물에 수직분력을 이용한 긴장재 설치방법.
  2. 양 기둥부재(100) 사이에 설치된 빔(200)과 빔 상부에 형성된 바닥판(40)에 있어서,
    상기 양 기둥부재(100)의 플랜지(110)를 관통하여 빔(200)의 중앙부를 향하여 하방 경사지도록 연장되어 빔(200)의 상부 및 하부플랜지(210,230)를 관통하여 양 단부 중 일단부(A)가 빔(200)의 중앙부 저면에 고정되도록 하고, 타단부(B)가 기둥부재(100)의 플랜지(110)에 관통될 수 있도록 기둥부재의 플랜지, 빔의 상부와 하부플랜지 및 바닥판에 긴장재(300) 삽입용 홀을 형성시키고,
    상기 긴장재 삽입용 홀에 빔의 하부플랜지 저면으로부터 긴장재를 삽입시켜 긴장재의 일단부(A)가 기둥부재의 플랜지에 형성시킨 관통홀을 삽입하도록 하고 긴장재의 타단부(B)가 빔의 하부플랜지 저면에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긴장재(300)의 타단부(B)를 기둥부재(100)의 플랜지(110) 내측면에서 정착너트(330)로 긴장 후 정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긴장재(300)에 도입된 긴장력의 수직분력(F2)이 빔과 바닥판에 작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조 구조물에 수직분력을 이용한 긴장재 설치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긴장재의 일단부(A)는 절곡부(320)로 형성되어 빔(200)의 하부플랜지(230)에 형성된 관통홀(240)에 상기 절곡부(320)가 끼워져 하부플랜지 저면에 절곡부를 용접시켜 상기 일단부(A)가 빔(200)의 중앙부 저면에 고정되도록 하고, 긴장재의 타단부(B)는 나사체결부(310)가 형성되도록 하여 정작너트(330)가 플랜지 내측면에 정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조 구조물에 수직분력을 이용한 긴장재 설치방법.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긴장재의 일단부(A)는 나사체결부(310)로 형성되어 빔(200)의 하부플랜지(230)에 형성된 관통홀(240)에 상기 나사체결부(310)를 관통시켜 하부플랜지 저면에 고정너트(340)를 나사체결부(310)에 체결시켜 상기 일단부(A)가 빔(200)의 중앙부 저면에 고정되도록 하고, 긴장재의 타단부(B)는 나사체결부(310)가 형성되도록 하여 정작너트(330)가 플랜지 내측면에 정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조 구조물에 수직분력을 이용한 긴장재 설치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빔 상부에 형성된 긴장재에 이완방지스토퍼(400)를 설치하여 상기 이완방지스토퍼(400)가 바닥판(40)에 매립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조 구조물에 수직분력을 이용한 긴장재 설치방법.
KR1020120114521A 2012-10-16 2012-10-16 수직분력을 이용한 철골조 구조물 보강 방법 KR101217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521A KR101217790B1 (ko) 2012-10-16 2012-10-16 수직분력을 이용한 철골조 구조물 보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521A KR101217790B1 (ko) 2012-10-16 2012-10-16 수직분력을 이용한 철골조 구조물 보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7790B1 true KR101217790B1 (ko) 2013-01-02

Family

ID=47841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4521A KR101217790B1 (ko) 2012-10-16 2012-10-16 수직분력을 이용한 철골조 구조물 보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77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7112B1 (ko) * 2015-04-29 2016-01-20 (주)나엘에스피 합성보의 내력 강화구조
CN114592523A (zh) * 2022-02-23 2022-06-07 东通岩土科技股份有限公司 基坑内使用的无立柱支撑的基坑内支撑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15686A (ja) 1999-10-08 2003-05-07 インターコンス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多段階緊張式プレストレストガーダの設計方法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121089A (ja) 2007-11-13 2009-06-04 Shimizu Corp プレキャストプレストレスト鉄筋コンクリート梁及びプレキャストプレストレスト鉄筋コンクリート梁の製造方法
KR100949440B1 (ko) 2009-04-10 2010-03-25 윤정배 콘크리트 구조물의 슬라브 보강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181160B1 (ko) 2011-03-10 2012-09-17 이석 프리스트레싱을 원활히 하기 위한 긴장 및 정착 구조를 갖는 프리스트레스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15686A (ja) 1999-10-08 2003-05-07 インターコンス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多段階緊張式プレストレストガーダの設計方法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121089A (ja) 2007-11-13 2009-06-04 Shimizu Corp プレキャストプレストレスト鉄筋コンクリート梁及びプレキャストプレストレスト鉄筋コンクリート梁の製造方法
KR100949440B1 (ko) 2009-04-10 2010-03-25 윤정배 콘크리트 구조물의 슬라브 보강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181160B1 (ko) 2011-03-10 2012-09-17 이석 프리스트레싱을 원활히 하기 위한 긴장 및 정착 구조를 갖는 프리스트레스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7112B1 (ko) * 2015-04-29 2016-01-20 (주)나엘에스피 합성보의 내력 강화구조
CN114592523A (zh) * 2022-02-23 2022-06-07 东通岩土科技股份有限公司 基坑内使用的无立柱支撑的基坑内支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1429B1 (ko) 전단벽 수평지지 구조
KR100989586B1 (ko) 라멘화된 교량용 거더, 라멘화된 교량용 거더의 제작방법 및 라멘화된 교량용 거더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0748629B1 (ko) 교량의 프리캐스트 바닥판과 강형보의 연결장치 및 그연결장치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바닥판과 강형보의 연결방법
KR101027393B1 (ko) 양방향 및 일방향 조적벽 내진 보강방법
KR101170956B1 (ko) 강봉과 유압시스템을 이용하여 구조물을 인상하는 보강 구조 및 그 방법
JP2021032078A (ja) 鋼製筋違内蔵型の交換可能な高エネルギー散逸プレハブ式プレストレスト耐震壁
KR101085085B1 (ko) 절곡 성형 강판을 이용한 강재 합성보
KR101217790B1 (ko) 수직분력을 이용한 철골조 구조물 보강 방법
KR20180137268A (ko) 마찰보강가새가 구비된 내진보강용 철골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KR20200068205A (ko) 강연선과 길이조절 가능형 트러스 구조를 이용한 내진보강공법
KR101251118B1 (ko) 교량의 정모멘트 구간에 사용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를 이용한 강박스 합성거더의 제작방법
KR101845717B1 (ko) 힌지형 마찰보강가새가 구비된 내진보강용 철골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KR101522390B1 (ko)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벽체의 내진보강방법
JP2005090115A (ja) 小梁による既設床版の補強工法
KR101203815B1 (ko) 프리스트레싱 강판을 이용한 거더 보강방법
KR101001905B1 (ko) 강재 플레이트 거더의 단부 고정화에 의한 강재 플레이트 거더교 시공방법
JP4562631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に於けるヒンジ部の補修構造
CN110469140A (zh) 一种框架梁预应力加固的施工方法
JP6026794B2 (ja) 鉄骨柱の柱脚構造
KR101286116B1 (ko) 수직강관을 복부재로 이용한 합성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JP5325709B2 (ja) 鉄骨露出型柱脚構造の施工方法
KR20060053030A (ko) 네트형 슬래브 외부 강선 보강장치 및 보강방법
KR20120008667A (ko) 데크플레이트용 단부보강체를 이용한 보 시공방법
KR102000082B1 (ko) 토글형 마찰보강가새가 구비된 내진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KR20100001450U (ko) 기둥거푸집용 지지바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