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7532B1 - 세미아크릴 우레탄형 수성 도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세미아크릴 우레탄형 수성 도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7532B1
KR101217532B1 KR1020100040091A KR20100040091A KR101217532B1 KR 101217532 B1 KR101217532 B1 KR 101217532B1 KR 1020100040091 A KR1020100040091 A KR 1020100040091A KR 20100040091 A KR20100040091 A KR 20100040091A KR 101217532 B1 KR101217532 B1 KR 101217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ating composition
resin
meth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0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0610A (ko
Inventor
최명기
양지원
임명혁
이덕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to KR1020100040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7532B1/ko
Publication of KR20110120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0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7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75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09D1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25Crosslinking or vulcanising agents; including accel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20Carboxylic acid 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1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one nitrogen atom in the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also oxygen in the ring
    • C08K5/353Five-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26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26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28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by reaction with halogens or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08L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3/26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3/26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3/28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by reaction with halogens or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로리네이티드 폴리올레핀 수지, 아크릴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와 같은 조막수지, 수분산형 우레탄 수지 및 가교제를 포함하며, PPF/TPO 복합소재에 우수한 외관 및 부착 성능을 나타냄과 동시에 종래 용제형 도료의 문제점이었던 냄새, 예컨대 차량 실내의 냄새를 최소화하고, 내화학성을 향상시킨 세미아크릴 우레탄형 수성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세미아크릴 우레탄형 수성 도료 조성물{Semiacrylic urethane type aqueous paint composition}
본 발명은 특히 자동차 내장재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수성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클로리네이티드 폴리올레핀 수지, 아크릴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와 같은 조막수지, 수분산형 우레탄 수지 및 가교제를 포함하며, PPF/TPO 복합소재에 우수한 외관 및 부착 성능을 나타냄과 동시에 종래 용제형 도료의 문제점이었던 냄새, 예컨대 차량 실내의 냄새를 최소화하고, 내화학성을 향상시킨 세미아크릴 우레탄형 수성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플라스틱 분야에서 용제형 도료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 VOC)의 영향으로 인체에 유해성 및 환경 오염의 문제를 일으키고, 건조 과정에서 완전하게 휘발되지 못한 잔류 용제 및 도막에 유연성을 부여하는 가소제의 영향으로 자동차 내부와 같은 밀폐 환경에서 냄새를 유발시킬 뿐만 아니라, 용제형 도료의 구성 성분 중, 예를 들면, 자이렌 또는 메틸이소부틸케톤과 같은 용제는 플라스틱 표면의 균열이나 침식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반해 수성 도료는 기존의 용제형 도료에 비하여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함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친환경적이고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적으며, 차내에서 발생하는 냄새를 감소시킨다. 또한, 자이렌 또는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용제에 의한 플라스틱 표면의 균열이나 침식을 억제시키는 장점이 있다.
플라스틱 소지와의 부착을 위해 용제형 도료에서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나 부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을 사용하는데, 이들은 도막의 내마모성이나 내스크래치, 내약품 또는 내알코올성 등의 물성 저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한편, 플라스틱 표면의 습윤 성능은 주로 화염처리나 코로나 방전처리에 따른 소지와 도료간의 표면장력에 의해 결정되는데, 이것은 플라스틱 수지의 표면 에너지를 증가시켜 도료의 표면 에너지와 동등한 수준으로 맞추는 방법이며, 도료적 관점에서는 페인트의 표면 에너지를 낮게 하여 플라스틱의 수준으로 조정해야 한다.
자동차 내장 부품용으로 주로 쓰이는 폴리프로필렌 소지에 적용되는 도료에 있어서, 수지는 일반적으로 페인트의 부착 특성을 부여하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도료-소지간의 계면에서 우선적으로 흡수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도료에 포함되는 다른 구성물의 종류나 투입량이 함께 고려되어야 하며, 혼합되는 수지와 기타 구성물 즉, 안료, 충진제, 첨가제 등과의 상호작용도 고려되어야 한다. 수지는 안료를 완전히 습윤시켜야 수지와 플라스틱 소지의 접촉 부위에서 양호한 부착을 얻을 수 있다.
수성 도료에 수분산형 폴리우레탄과 아크릴계 에멀젼의 물리적 혼용 또는 공중합 형태를 도료에 적용하면, 수분산형 폴리우레탄의 빠른 경도 전개, 우수한 내마모성 및 내약품성 등의 이점과 아크릴계 에멀젼 구성 성분의 우수한 안료 습윤성 및 경제적인 원재료비 등의 이점을 함께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에멀젼 수지는 내수성이 부족하다는 단점을 갖고 있으므로, 이를 보완하고자 소수성 모노머를 사용하는 방법 등이 시도된 바 있으나, 이 경우 극성의 피착재와의 부착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유기용제를 함유하지 않는 수성 도료로서 기존 수성 도료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충진제를 사용하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filler, PPF) 및 열가소성 폴리올레핀(Thermoplastic polyolefin, TPO)과 같이 서로 다른 소재에 대하여 부착성 및 내화학성 등의 자동차 신뢰성 규격을 만족시키는 도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클로리네이티드 폴리올레핀 수지, 아크릴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조막 수지, 수분산형 우레탄 수지 및 가교제를 포함하는 세미아크릴 우레탄형 수성 도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클로리네이티드 폴리올레핀 수지(CPO)는 에멀젼 형태일 수 있으며, 그 때의 고형분 함량은 에멀젼 총량의 20~40 중량%, 바람직하게는 25~3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클로리네이티드 폴리올레핀 수지에 있어서 염소기 함량은 수지 총중량의 15 중량% 이하, 예컨대 10~15중량%인 것이 소재 부착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에는 상기 클로리네이티드 폴리올레핀 수지가 바람직하게는 도료 조성물 100 중량%당 10~2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3~16 중량% 포함된다. 이 함량이 10 중량%에 못 미치면 소재부착 열세를 보이고, 20 중량%를 초과하면 내화학성 등의 도막 물성에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아크릴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APO)는 에멀젼 형태일 수 있으며, 그 때의 고형분 함량은 에멀젼 총량의 20~4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에 있어서 아크릴기 함량은 수지 총 중량의 5 중량% 이하, 예컨대 1~5중량%인 것이 소재 부착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에는 상기 아크릴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가 바람직하게는 도료 조성물 100 중량%당 5~1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8~12 중량% 포함된다. 이 함량이 5 중량%에 못 미치면 소재 부착에 열세를 보이고, 15 중량%를 초과하면 도막 경도에서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조막 수지(AE)는 에멀젼 형태일 수 있으며, 그 때의 고형분 함량은 에멀젼 총량의 45~55 중량%일 수 있다. 이러한 조막 수지를 구성하는 단량체의 예로는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아미도에틸에틸렌우레아, N-(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틸렌우레아 등과 같은 (메트)아크릴계 우레아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을 아니며, 이들 단량체는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 조합되어 조막 수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조막 수지의 유리전이 온도는 60~80℃인 것이 도막 강도 및 내화학성 증대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에는 상기 조막 수지가 바람직하게는 도료 조성물 100 중량%당 5~1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8~12 중량% 포함된다. 이 함량이 5 중량%에 못 미치면 도막강도가 약해지고, 15 중량%를 초과하면 소재부착의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수분산형 우레탄 수지(PUD)는 이미드 등의 가교제와 가교 반응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디스퍼젼 형태일 수 있으며, 그 때의 고형분 함량은 에멀젼 총량의 30~50 중량%, 바람직하게는 35~45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에는 상기 수분산형 우레탄 수지가 바람직하게는 도료 조성물 100 중량%당 10~2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3~16 중량% 포함된다. 이 함량이 10 중량%에 못 미치면 가교제와의 가교반응이 불충분하여 내화학성이 문제이고, 20 중량%를 초과하면 소재 부착 및 도막강도 측면에서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가교제는 카르복실기와 가교하여 내화학성 등의 물성을 증대시키고자 사용되며, 예로는 폴리카르보이미드와 같은 이미드 화합물, 옥사졸린 화합물, 아지리딘 화합물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이미드 형태의 가교제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에는 상기 가교제가 바람직하게는 도료 조성물 100 중량%당 1~7 중량% 포함된다. 이 함량이 1 중량%에 못 미치면 내화학성이 발현되기 어렵고, 7 중량%를 초과하면 광택상승 및 저장성이 저하된다. 가교제의 당량은 430~46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수지들은 모두 다른 역할을 수행하며,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은 용제를 함유하지 않고 저장성을 증대시키며 도막 건조 후 냄새를 최소화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은 pH가 8.0~9.0, 바람직하게는 8.5~9.5인 범위에서 관리하는 것이 적당하다. 그 외의 범위에서는 도료의 저장성이 떨어져 도료 구성물 간의 상분리가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에는 상기한 성분들 이외에,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pH 조정제, 증점제, 표면개질제, 습윤제 및 소포제, 안료 등의 추가성분들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pH조정제로는 암모니아수, 디에탄올아민, 디메틸에탄올아민, 아미노메틸프로판올, 예를 들어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등을 들 수 있고, 저장성 저하 방지의 측면에서는 디메틸에탄올아민이 바람직하다. pH 조정제의 사용량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전체 도료 조성물 100중량% 당 0~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4~2.5 중량%가 사용된다. 그 사용량이 너무 적으면 도료 조성물의 pH가 낮아져 도료 젤화(gellation)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너무 많으면 안료착색 및 조막형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에는 스프레이 작업시 도막의 흐름성, 칠몰림성 등의 향상을 위하여 증점제가 사용될 수 있다. 증점제로는 아크릴계 증점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사용량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전체 도료 조성물 100중량% 당 0~5 중량%로 사용되며, 도료의 pH가 8.5 이하로 되지 않는 범위에서 사용량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강산성을 지니는 증점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은 표면개질제로서 공지의 천연왁스, 합성왁스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합성왁스 중에서 도막의 내약품성과 부착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음과 동시에 내 스크래치성 및 외관 성능이 우수한 아마이드 변성 폴리에틸렌 왁스를 사용한다. 블록킹성, 내마모성, 소광성 등의 발현을 위하여, 표면개질제는 바람직하게 총 도료 조성물 100중량% 당 0.5~5 중량%가 사용될 수 있다. 표면개질제의 사용량이 0.5 중량% 미만이면 내마모성 및 내스크래치성 향상이 어렵고, 5 중량%를 초과하면 광택이 저하되고 도막형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료 조성물은 기타 첨가제로서 습윤제, 소포제, 안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습윤제로서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 소포재로서 친유체 기포를 파괴하는 폴리실록산 에멀젼, 안료로서 카본블랙, TiO2, 산화철, 산화황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성 도료 조성물은 기존의 용제형 도료 또는 수용성 수지의 사용시에 발생되는 문제점을 최소화하고, 자동차 플라스틱 PPF/TPO 소재에 우수한 물성을 나타내며, 차량 실내의 냄새를 감소시키고, 우수한 부착성, 내화학성, 내구성 및 내마모성 등 향상된 도막물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다음의 제조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이해될 수 있으나, 이들 제조예 및 비교예 등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비교예 1~2
하기 표 1~3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도료 조성물을 각각 제조하였다.
[표 1] 실시예
Figure 112010027858465-pat00001
[표 2] 비교예 1
Figure 112010027858465-pat00002
[표 3] 비교예 2
Figure 112010027858465-pat00003
제조된 각각의 도료 조성물을 PPF/TPO 플라스틱 소지에 스프레이 도장 후 80℃ 조건에서 30분 소부하고, 72시간 방치한 시편을 사용하여 물성을 평가하였다. 물성 평가 방법은 하기와 같다.
외관은 부풀음, 박리, 갈라짐, PINHOLE, 기포, 이물, 흠(SCRATCH), 도장얼룩, ORANGE PEEL 등 용이하게 식별 가능한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부착성은 ASTM D3359 테이프 부착성 시험 방법에 의거하여 1mmx1mm 눈금 100개 중에서 테이프 접착성 시험 후 박리 된 부분의 정도를 관찰하였다.
내약품성은 이소 부틸 알코올, 에탄올, 메탄올을 이용하여 각각 75% 수용액을 제조 후 부드러운 천에 적셔 10회 왕복 문지름 테스트 한 결과를 관찰하였다.
내후성은 제논 광원을 사용하는 촉진 내후성 시험기기로 흑판 Panel 온도 83±3℃ 200시간 시험 후 실용상 문제가 되는 결함 유무를 관찰 하였다.
내스크래치성은 스트로크 100mm, 분당 0.2회 왕복하는 기기에 긁힘자를 설치하여 300g의 하중으로 도막 면에 수직으로 이동했을 때의 도막 손상여부를 비교하였다.
[표 4]
Figure 112010027858465-pat00004
O : 양호 △ : 보통 X : 불량
(양호/보통/불량 판정기준: HMC 자동차 규격 MS652-14 PD0).

Claims (6)

  1. 클로리네이티드 폴리올레핀 수지;
    아크릴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아미도에틸에틸렌우레아 및 N-(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틸렌우레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된 단량체로 구성된 조막 수지;
    수분산형 우레탄 수지; 및
    가교제;를 포함하는 세미아크릴 우레탄형 수성 도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클로리네이티드 폴리올레핀 수지가 고형분 함량 20~40 중량%의 에멀젼 수지이고, 그 염소기 함량은 10~1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도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아크릴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가 고형분 함량 20~40 중량%의 에멀젼 수지이고, 그 아크릴기 함량은 1~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도료 조성물.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수분산형 우레탄 수지가 가교가능한 고형분 함량 30~50 중량%의 에멀젼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도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가교제가 이미드 화합물, 옥사졸린 화합물 및 아지리딘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그 당량은 430~4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도료 조성물.
KR1020100040091A 2010-04-29 2010-04-29 세미아크릴 우레탄형 수성 도료 조성물 KR101217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091A KR101217532B1 (ko) 2010-04-29 2010-04-29 세미아크릴 우레탄형 수성 도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091A KR101217532B1 (ko) 2010-04-29 2010-04-29 세미아크릴 우레탄형 수성 도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0610A KR20110120610A (ko) 2011-11-04
KR101217532B1 true KR101217532B1 (ko) 2013-01-02

Family

ID=45391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0091A KR101217532B1 (ko) 2010-04-29 2010-04-29 세미아크릴 우레탄형 수성 도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753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1565A (ja) * 2002-10-09 2004-04-30 Hitachi Chem Co Ltd 水性樹脂組成物及び水性塗料
KR100621662B1 (ko) * 2003-03-04 2006-09-07 간사이 페인트 가부시키가이샤 백색 도전성 프라이머 도료 조성물 및 복층 도막 형성 방법
KR20070072283A (ko) * 2005-12-31 2007-07-04 주식회사 케이씨씨 수성 도료 조성물
KR20090122339A (ko) * 2007-03-28 2009-11-27 후지쿠라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수성도료용 수지 조성물과 그 제조 방법 및 수성도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1565A (ja) * 2002-10-09 2004-04-30 Hitachi Chem Co Ltd 水性樹脂組成物及び水性塗料
KR100621662B1 (ko) * 2003-03-04 2006-09-07 간사이 페인트 가부시키가이샤 백색 도전성 프라이머 도료 조성물 및 복층 도막 형성 방법
KR20070072283A (ko) * 2005-12-31 2007-07-04 주식회사 케이씨씨 수성 도료 조성물
KR20090122339A (ko) * 2007-03-28 2009-11-27 후지쿠라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수성도료용 수지 조성물과 그 제조 방법 및 수성도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0610A (ko) 2011-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229459C (zh) 水性涂料组合物
KR100635996B1 (ko) 자동차 플라스틱 내장재용 수용성 도료 조성물
RU2469058C2 (ru) Отслаивающееся временное покрытие
US10647884B1 (en) Polysilazane and fluoroacrylate coating composition
WO2012087920A1 (en) Polymer for extending the open time of waterborne architectural coatings
CN113045972A (zh) 聚脲涂料
CN102690593A (zh) 一种纳米水性涂料组合物
JP2021505739A (ja) 耐引掻性及び耐傷性のある自動車用コーティング
KR20150022721A (ko) 수용성 하이브리드 고성능 코팅 조성물
KR20090026572A (ko) 2성분형 수성 폴리우레탄 도료 조성물
KR101217532B1 (ko) 세미아크릴 우레탄형 수성 도료 조성물
KR101044781B1 (ko) 수용성 도료 조성물
US9868865B1 (en) Zero/low VOC dry erase coatings and other variations
KR101847421B1 (ko) 수성 도료 조성물
US10584264B1 (en) Hydrophobic and oleophobic coating compositions
CN112029358B (zh) 水性面漆组合物
KR101803437B1 (ko) 자가 치유용 투명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투명 도막의 형성방법
JPWO2009110441A1 (ja) 熱硬化性被膜用樹脂組成物
KR20100059232A (ko) 피씨엠용 하도 도료 조성물
KR101826058B1 (ko) 내오염성 투명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투명 보호막의 형성방법
JP2008195742A (ja) 水性顔料ペースト及び水性塗料組成物
KR20150005843A (ko) 베이스 코트용 수성 도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차량 부품 도장방법 및 차량 부품
CN113004755A (zh) 水性涂料组合物
KR101435969B1 (ko) 자동차 보수용 논샌딩 프라이머-서페이서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자동차 보수 방법
KR20120036549A (ko) 내지문성이 우수한 다층 도막 및 다층 도막을 갖는 제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