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7155B1 -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 Google Patents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7155B1
KR101217155B1 KR1020050055119A KR20050055119A KR101217155B1 KR 101217155 B1 KR101217155 B1 KR 101217155B1 KR 1020050055119 A KR1020050055119 A KR 1020050055119A KR 20050055119 A KR20050055119 A KR 20050055119A KR 101217155 B1 KR101217155 B1 KR 101217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line
spool
annular
cylindrical
line ent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5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6528A (ko
Inventor
히로카즈 히라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87486A external-priority patent/JP450059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8748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006190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8748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006191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87483A external-priority patent/JP4403027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60046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65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7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7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2Frame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2Frame details
    • A01K89/01928Frame details with line or water shiel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에 있어서, 낚싯줄이 플랜지부와 측판 사이에 진입하기 어렵게 한다. 스풀(12)은 제1 플랜지부(12b) 및 제2 플랜지부(12c)의 양단 외주로 돌출되고, 제1 환형부(14a) 및 제2 환형부(14b)의 선단부와의 사이에 약간의 간극을 두어 설치되고, 제1 플랜지부(12b)와 제1 측판(8) 사이 및 제2 플랜지부(12c)와 제2 측판(9) 사이에 낚싯줄이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낚싯줄 진입 방지부(12f) 및 제2 낚싯줄 진입 방지부(12g)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낚싯줄 진입 방지부(12f) 및 제2 낚싯줄 진입 방지부(12g)는 제1 환형부(14a) 및 제2 환형부(14b)의 선단부와의 사이에 약간의 간극을 두어 설치되고, 제1 플랜지부(12b) 및 제2 플랜지부(12c)의 제1 원통부(12i) 및 제2 원통부(12k)의 외주면과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듀얼 베어링 릴, 낚싯줄, 스풀, 보빈, 진입 방지, 플랜지부, 원통형부

Description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SPOOL ASSEMBLY FOR A DUAL BEARING REE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채용한 듀얼 베어링 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듀얼 베어링 릴의 좌측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듀얼 베어링 릴의 평면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듀얼 베어링 릴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릴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제1 측부 커버를 개방했을 때의 우측면도이다.
도 7은 상기 듀얼 베어링 릴의 횡단면도이다.
도 8은 상기 듀얼 베어링 릴의 종단면도이다.
도 9는 상기 제1 측부 커버의 내측면을 본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3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11은 제2 측부 커버를 개방했을 때의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스풀 주변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13은 상기 스풀의 제1 측판 측 확대단면도이다.
도 14는 상기 스풀의 제2 측판 측 확대단면도이다.
도 15는 제2 낚싯줄 진입 방지부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16은 다른 실시예의 도 15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 릴 본체 2 핸들
5 프레임 6 제1 측부 커버
7 제2 측부 커버 8 제1 측판
8a 개구 8b 암나사부
9 제2 측판 12 스풀
12a 보빈 12b 제1 플랜지부
12c 제2 플랜지부 12d 보스부
12e 관통공 12f 제1 낚싯줄 진입 방지부
12g 제2 낚싯줄 진입 방지부 12h 제1 경사부
12i 제1 원통부 12j 제2 경사부
12k 제2 원통부 12l 보빈 측의 측면
12o 최외경부 12m 제1 경사면
12n 제2 경사면 14a 제1 환형부
14b 제2 환형부 14c 원통형부
14d 오목홈부 14e 선단면
14f 내주면 14g 테이퍼부
20 스풀샤프트 25 원심브레이크 기구
66 회전 부재 67 이동 부재
68 제동 부재 68a 외통부
68b 내통부 68c 수나사부
68d 원통형부 68e 제동부
68f 오목홈부 68g 리세스부
[특허문헌1] 일본 특개평8-70739호 공보
본 발명은 스풀, 특히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측판 사이에 설치되어 낚싯줄을 감거나 풀어내는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에 관한 것이다.
듀얼 베어링 릴은, 일반적으로, 핸들을 가지는 릴 본체와,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스풀을 구비하고 있다. 스풀은 외주에 낚싯줄이 감기는 보빈과, 보빈의 양단에 설치된 플랜지부를 가지고 있다. 보빈은 외주에 낚싯줄이 감기는 원통형부와, 원통형부의 내주 측에 형성되어 스풀샤프트에 장착되는 보스부를 가지고 있다. 플랜지부는 보빈보다 직경이 크고, 보빈의 양단에 각각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 배치되어 있다. 플랜지부는 축 방향 외측을 향해서 서서히 직경이 커지도록 경사져 있다.
또한, 릴 본체는 사이에 스풀이 배치되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한 쌍의 측판과, 한 쌍의 측판이 대향하는 축 방향 내측으로 돌출 배치되어 플랜지부의 외주를 덮는 한 쌍의 링부를 가지고 있다. 또한, 플랜지부의 주위 에지에는 낚 싯줄이 플랜지부와 링부 사이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
이러한 종류의 돌기부는, 예를 들면 선단부의 외주면이 링부의 내주부에 완전히 덮이도록 형성되고, 돌기부와 링부 사이에는 약간의 간극이 생성되어 있다. 또한, 돌기부는 예를 들어 스풀의 최대 권취 직경이 25mm 이상 30mm 이하인 비교적 소형의 릴에서는 돌출 높이가 0.5mm 이상 1.0mm 이하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돌기부를 플랜지부에 설치함으로써, 느슨해진 낚싯줄이 돌기부에 접촉하여, 낚싯줄이 축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할 수 있기 때문에, 낚싯줄이 플랜지부와 링부 사이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종래의 스풀에서는, 돌기부는 축 방향 외측을 향해서 서서히 직경이 커지도록 경사진 플랜지부의 외주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플랜지부의 양단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면, 느슨해진 낚싯줄이 경사면을 따라 축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기 쉽게 되기 때문에, 느슨해진 낚싯줄이 플랜지부의 외주에 형성된 돌기부에 접촉하기 쉽게 된다. 이와 같이 낚싯줄이 돌기부에 여러 번 접촉을 계속하면, 느슨해진 낚싯줄이 돌기부를 타고 넘어가서, 낚싯줄이 플랜지부와 링부 사이에 진입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플랜지부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돌기부를 스풀의 회전축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배치하면, 돌기부의 보빈 측의 측면(낚싯줄 접촉 가능면)과 플랜지부의 외주면이 둔각으로 교차한다. 이와 같이 돌기부의 보빈 측의 측면과 플랜지부의 외주면이 둔각으로 교차하면, 느슨해진 낚싯줄이 플랜지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돌기부의 보빈 측의 측면을 따라 축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기 쉽게 되고, 이로 인하여 낚싯줄이 플랜지부와 링부 사이에 진입하여 버릴 우려가 생긴다.
본 발명의 과제는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에 있어서, 낚싯줄이 플랜지부와 측판 사이에 진입하기 어렵게 하는 것이다.
발명 1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측판 사이에 설치되어 낚싯줄을 감거나 풀어내는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로서, 외주에 낚싯줄이 감기는 원통형의 보빈과, 보빈의 양단에 각각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 배치된 플랜지부와, 플랜지부와 한 쌍의 측판 사이에 낚싯줄이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낚싯줄 진입 방지부를 구비하고 있다. 플랜지부는 보빈의 양단으로부터 축 방향 외측을 향해서 서서히 직경이 커지는 경사부와, 경사부의 양단으로부터 축 방향 외측을 향해서 동일한 직경이 되도록 형성된 원통부를 가지고, 한 쌍의 원통부 외주가 한 쌍의 측판의 대향하는 축 방향 내측으로 돌출 배치된 한 쌍의 환형부의 내주에 덮인다. 낚싯줄 진입 방지부는 플랜지부의 원통부 외주로 돌출되고, 한 쌍의 환형부의 선단부와의 사이에 약간의 간극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스풀에서는, 플랜지부의 원통부의 양단 외주로 돌출되는 낚싯줄 진입 방지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느슨해진 낚싯줄이 낚싯줄 진입 방지부에 접촉하여, 낚싯줄이 축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낚 싯줄이 플랜지부와 측판 사이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는 낚싯줄 진입 방지부가 원통부에 돌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낚싯줄 진입 방지부가 경사부에 설치되어 있었던 경우에 비하여, 낚싯줄이 축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기 어렵게 된다. 특히, 낚싯줄 진입 방지부가 원통부의 외주면과 직교하는 경우에는, 종래와 같이 낚싯줄 진입 방지부와 플랜지부의 경사부가 둔각으로 교차하는 경우에 비하여, 낚싯줄이 축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낚싯줄 진입 방지부를 플랜지부의 원통부에 돌출 설치함으로써, 낚싯줄이 플랜지부와 측판 사이로 진입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발명2에 관한 스풀은, 발명1의 스풀에 있어서, 낚싯줄 진입 방지부가 플랜지부의 원통부의 외주면과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낚싯줄 진입 방지부가 원통부의 외주면과 직교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낚싯줄 진입 방지부와 플랜지부의 경사부가 둔각으로 교차하는 경우에 비하여, 낚싯줄이 축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기 어렵게 된다.
발명3에 관한 스풀은, 발명1 또는 발명2의 스풀에 있어서, 플랜지부의 단부 외주와 환형부 내주부 사이에는 선단면이 낚싯줄 진입 방지부의 축 방향 외측면과 대향하도록 간격을 두어 환형부의 단부면보다 축 방향 외측에 배치된 원통형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환형부 내주의 원통형부에 낚싯줄 진입 방지부가 대향하는 대향면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느슨해진 낚싯줄이 낚싯줄 진입 방지부를 타고 넘더라도, 낚싯줄이 추가적으로 릴 본체 내부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발명4에 관한 스풀은, 발명3의 스풀에 있어서, 원통형부에는 플랜지부의 단 부를 삽입하도록 측부가 개구되는 환형의 오목홈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낚싯줄 진입 방지부가 대향하는 대향면보다 축 방향의 더 외측에 리세스된 오목홈부가 플랜지부의 단부를 삽입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낚싯줄 진입 방지부를 타고 넘은 낚싯줄이 추가적으로 플랜지부로부터 릴 본체 내부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발명5에 관한 스풀은, 발명3 또는 발명4의 스풀에 있어서, 한 쌍의 환형부 및 한 쌍의 원통형부 중 적어도 한 쪽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이 경우, 환형부와 원통형부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의 부품 수를 삭감할 수 있다.
발명6에 관한 스풀은, 발명3 내지 발명5 중 어느 하나의 스풀에 있어서, 한 쪽 환형부 및 한 쪽 원통형부는 별개로 배치되어 있다. 한 쪽 원통형부에는 내주면에 스풀의 회전을 제동하기 위한 이동 부재가 접촉 가능한 제동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원통형부는 이동 부재가 접촉 가능한 제동면이 형성된 제동 부재를 겸용함으로써, 소형의 듀얼 베어링 릴이더라도 제동 부재의 직경을 크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동 부재의 직경을 크게 형성함으로써, 이동 부재의 이동거리를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제동력을 크게 유지할 수 있다.
발명7에 관한 스풀은, 발명1 내지 발명6 중 어느 하나의 스풀에 있어서, 낚싯줄 진입 방지부의 최외경은 보빈에 낚싯줄을 감을 수 있는 최대 권취 직경의 105% 이상 115% 이하의 범위이다. 이 경우에는 낚싯줄 진입 방지부의 최외경이 보빈에 낚싯줄을 감을 수 있는 최대 권취 직경의 105% 이상 115% 이하의 범위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즉 낚싯줄 진입 방지부의 돌출 높이가 최대 권취 직경의 2.5% 이상 7.5% 이하의 범위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낚싯줄 진입 방지부는 낚싯줄의 이동 규제에 충분한 돌출 높이를 유지하면서, 낚싯줄 진입 방지부의 돌출 높이를 지나치게 크게 하는 일이 없게 되어, 낚싯줄 진입 방지부의 중량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스풀의 관성력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낚싯줄이 플랜지부와 측판 사이에 진입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발명8에 관한 스풀은, 발명7의 스풀에 있어서, 낚싯줄 진입 방지부의 최외경은 27mm 이상 34mm 이하의 범위이다. 최대 권취 직경은 25mm 이상 30mm 이하의 범위이다. 이 경우, 낚싯줄 진입 방지부의 최외경은 최대 권취 직경의 108% 이상 113% 이하의 범위인 것으로, 스풀의 관성력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낚싯줄이 플랜지부와 측판 사이에 진입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발명9에 관한 스풀은, 발명7 또는 발명8의 스풀에 있어서, 낚싯줄 진입 방지부의 돌출 높이는 1.0mm 이상 2.0mm 이하의 범위이다. 이 경우, 낚싯줄 진입 방지부는 종래의 돌출 높이가 0.5mm 이상 1.0mm 이하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비하여, 돌출 높이는 1.0mm 이상 2.0mm 이하의 범위가 되도록 커져 있다. 여기서는 낚싯줄 진입 방지부의 돌출 높이가 최대 권취 직경의 4.0% 이상 6.7% 이하의 범위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풀의 관성력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낚싯줄이 플랜지부와 측판 사이에 진입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발명10에 관한 스풀은, 발명7 내지 발명9 중 어느 하나의 스풀에 있어서, 낚싯줄 진입 방지부의 두께는 0.1mm 이상 0.5mm 이하의 범위이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보빈이나 플랜지부의 두께가 0.5mm 이상인 경우, 낚싯줄 진입 방지부의 두께가 보빈이나 플랜지부의 두께의 절반 이하로 되어 있기 때문에, 낚싯줄 진입 방지부의 중량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발명11에 관한 스풀은, 발명1 내지 발명4 중 어느 하나의 스풀에 있어서, 최대 권취 직경은 플랜지부의 최외경과 동일한 직경이다. 이 경우, 예를 들면 플랜지부의 외주면이 평탄면이 되도록 원통부를 형성함으로써, 플랜지부의 최외경까지 낚싯줄을 감을 수 있다. 여기서는 낚싯줄 진입 방지부의 최외경을 플랜지부의 최외경에 대하여 비율을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스풀의 설계가 용이하게 된다.
발명12에 관한 스풀은, 발명7 내지 발명11 중 어느 하나의 스풀에 있어서, 보빈의 외경은 20mm 이상 28.5mm 이하의 범위이다. 이 경우, 예를 들면 플랜지부의 최외경이 25mm 이상 30mm 이하의 범위인 경우, 보빈의 외경이 플랜지부의 최외경의 80% 이상 95% 이하의 범위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낚싯줄이 권취되는 양이 적은, 이른바 얕은 홈 스풀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발명13에 관한 스풀은, 발명7 내지 발명12 중 어느 하나의 스풀에 있어서, 환형부의 내경은 28mm 이상 35mm 이하의 범위이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낚싯줄 진입 방지부의 최외경이 27mm 이상 34mm 이하의 범위인 경우, 낚싯줄 진입 방지부와 환형부 사이의 간극을 0.5mm 이하의 범위가 되도록 좁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낚싯줄이 낚싯줄 진입 방지부와 환형부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내부로 진입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발명14에 관한 스풀은, 발명7 내지 발명13 중 어느 하나의 스풀에 있어서, 낚싯줄 진입 방지부와 환형부 사이의 간극은 0.1mm 이상 0.5mm 이하의 범위이다. 이 경우, 낚싯줄 진입 방지부와 환형부 사이의 간극을 0.1mm 이상 0.5mm 이하의 범위가 되도록 좁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낚싯줄이 낚싯줄 진입 방지부와 환형부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내부에 진입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발명15에 관한 스풀은, 발명1 내지 발명14 중 어느 하나의 스풀에 있어서, 낚싯줄 진입 방지부는 보빈 측의 측면이 환형부의 선단면을 포함하는 보빈 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낚싯줄 진입 방지부의 보빈 측의 측면이 환형부의 선단면보다 보빈 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낚싯줄 진입 방지부의 외주면은 외측으로 노출되어 환형부의 내주면에 완전히 덮이지 않게 된다. 이로 인하여, 느슨해진 낚싯줄은 낚싯줄 진입 방지부의 보빈 측의 측면으로부터 외측, 즉 환형부의 선단면 측으로 이동하기 쉽게 되기 때문에, 낚싯줄이 환형부의 내주면에 접촉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낚싯줄이 낚싯줄 진입 방지부와 환형부 사이의 간극에 진입하기 어렵게 되기 때문에, 낚싯줄 진입 방지부의 외주면과 환형부의 내주면 사이에서 낚싯줄이 걸리기 어렵게 된다. 이로 인하여 낚싯줄이 플랜지부와 측판 사이에 진입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발명16에 관한 스풀은, 발명15의 스풀에 있어서, 낚싯줄 진입 방지부는 보빈 측의 측면과 환형부의 선단면이 동일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낚싯줄 진입 방지부의 보빈 측의 측면과 환형부의 선단면이 동일하기 때문에, 낚싯줄 진입 방지부와 환형부 사이에 단차가 생성되지 않게 되기 때문에, 느슨해진 낚싯줄은 낚싯줄 진입 방지부의 보빈 측의 측면으로부터 환형부의 선단면 측으로 이동하기 쉽게 된다.
발명17에 관한 스풀은, 발명15의 스풀에 있어서, 낚싯줄 진입 방지부는 보빈 측의 측면이 환형부의 선단면보다 축 방향 내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낚싯줄 진입 방지부는 축 방향 내측면이 환형부의 선단면보다 축 방향 내측, 즉 플랜지부와 측판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이격된 보빈 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느슨해진 낚싯줄을 이른 단계에서 낚싯줄 진입 방지부에 접촉시킬 수 있기 때문에, 낚싯줄이 플랜지부와 측판 사이에 더욱 진입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발명18에 관한 스풀은, 발명1 내지 발명17 중 어느 하나의 스풀에 있어서, 낚싯줄 진입 방지부는 선단부가 끝이 점점 가늘어지는 형상이 되도록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낚싯줄 진입 방지부의 끝이 가는 부분을 환형부의 선단면과 동일하게 되도록 배치함으로써, 느슨해진 낚싯줄은 낚싯줄 진입 방지부의 보빈 측의 측면으로부터 끝이 가는 부분보다 축 방향 내측의 경사 부분을 통하여 환형부의 선단면 측으로 이동하기 쉽게 된다.
발명19에 관한 스풀은 발명18의 스풀에 있어서, 한 쌍의 환형부의 선단부는 내주면으로부터 선단면을 향하여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부를 가지고 있다. 테이퍼부는 내주면 측의 단부가 낚싯줄 진입 방지부의 선단부의 최외경부보다 축 방향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낚싯줄 진입 방지부의 끝이 가는 부분보다 축 방향 내측에 테이퍼부의 내주 측 단부가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낚싯줄 진입 방지부와 환형부 사이의 간극을 최소로 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낚싯줄이 낚싯줄 진입 방지부와 환형부 사이의 간극에 진입하기 어렵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채용된 듀얼 베어링 릴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끼 캐스트용 환형의 듀얼 베어링 릴이다. 이 릴은 릴 본체(1)와, 릴 본체(1)의 옆쪽에 배치된 스풀회전용 핸들(2)과, 핸들(2)의 릴 본체(1) 측에 배치된 드래그 조정용 스타드래그(star drag)(3)를 구비하고 있다.
핸들(2)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형의 암부(2a)와, 암부(2a)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손잡이(2b)를 가지는 더블핸들형이다. 암부(2a)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샤프트(30)의 선단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너트(28)에 의해 핸들샤프트(30)에 체결되어 있다. 핸들샤프트(30)의 선단은 다른 부분보다 소직경이며, 그 외주면에 수나사부(30a)와 평행한 모따기부(chamfered portion)(30b)가 형성되어 있다. 너트(28)는 수나사부(30a)에 나사 결합하여 암부(2a)를 핸들샤프트(30)에 체결하고 있고, 너트(28)는 대략 빗방울형의 스테인리스강 등의 금속제의 리테이너(29)에 의해 회전이 고정되어 있다.
릴 본체(1)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알루미늄합금이나 마그네슘합금 등의 금속제의 부재이며, 프레임(5)과, 프레임(5)의 양 측부에 장착된 제1 측부 커버(6) 및 제2 측부 커버(7)를 가지고 있다. 릴 본체(1)의 내부에는 낚싯줄을 권취하기 위한 스풀(12)이 스풀샤프트(20)(도 3 참조)를 통하여 회전 가능하고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1 측부 커버(6)는 스풀샤프트 방향의 외측에서 보아 원형이며, 제2 측부 커버(7)는 2개의 교차하는 외주원으로 구성된 평판디스크형이다.
프레임(5) 내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12)과, 서밍(thumbing)을 행하는 경우에 엄지손가락의 접촉하게 되는 클러치레버(17)와, 스풀(12) 내에 균일 하게 낚싯줄을 감기 위한 레벨와인드 기구(18)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5)과 제2 측부 커버(7) 사이에는 핸들(2)로부터의 회전력을 스풀(12) 및 레벨와인드 기구(18)에 전하기 위한 기어 기구(19)와, 클러치 기구(21)와, 클러치레버(17)의 조작에 의해 클러치 기구(21)를 제어하기 위한 클러치제어 기구(22)와, 스풀(12)을 제동하는 드래그 기구(23)와, 스풀(12)의 회전 시의 저항력을 조정하기 위한 캐스팅 컨트롤 기구(24)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5)과 제1 측부 커버(6) 사이에는 캐스팅 시의 백래시(back lash)를 억제하기 위한 원심브레이크 기구(25)가 배치되어 있다.
프레임(5)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제1 측판(8) 및 제2 측판(9)과, 제1 측판(8) 및 제2 측판(9)을 일체로 연결하는 상하의 연결부(10a, 10b)를 가지고 있다. 핸들(2) 장착 측인 도 3의 우측의 제2 측판(9)과 제2 측부 커버(7)에서 제1 원통부(11a) 및 제1 원통부(11a)와 대략 동일한 직경의 제2 원통부(11b)가 구성된다. 제1 원통부(11a)는 내부에 원주형의 제1 공간을 가지고 있고, 제2 원통부(11b)는 제1 원통부(11a)의 외주원과 교차하도록 전방 하측으로 편심되어 외주원이 배치되고 또한 제1 원통부(11a)의 스풀샤프트 방향으로 돌출되어 내부에 제1 공간과 연통되는 제2 공간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제1 원통부(11a)와 제2 원통부(11b)는 외주면의 일부가 스풀샤프트 방향으로 겹쳐져 있다.
또한, 도 3의 좌측의 핸들(2) 장착 측과 반대측인 제1 측판(8)은 스풀샤프트 방향에서 보아 원형의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편평한 바닥을 가진 원통형의 부재이 다. 제1 측판(8)의 중심부보다 약간 상방에는 스풀(12)을 착탈하기 위한 원형의 개구(8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8a)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8b)가 형성되어 있다. 암나사부(8b)에는 스풀(12)의 회전축인 스풀샤프트(20)의 좌측단을 지지하는 스풀 지지부(13)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스풀 지지부(13)는 도 1, 도 3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을 가진 원통형의 베어링부(15)와, 스풀 지지부(13)를 회전조작하기 위한 조작볼록부(16)와, 제1 측판(8)의 개구(8a)의 내주부에 형성된 암나사부(8b)에 나사 결합하는 수나사부(68c)(도 13 참조)를 가지는, 후술하는 원심브레이크 기구(25)의 제동 부재(68)를 구비하고 있다. 베어링부(15) 및 조작볼록부(16)는 일체로 성형된 합성수지 또는 금속제의 부재이다.
베어링부(15)의 내주면에는 스풀샤프트(20)의 일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26b)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저부에는 캐스팅 컨트롤 기구(24)의 마찰 플레이트(51)가 장착되어 있다.
조작볼록부(16)는 제동 부재(68)와 베어링부(15)를 연결하도록 직경을 따라 배치되어 있고, 축 방향 외측을 향해 볼록하게 만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 결과, 조작볼록부(16)의 양측에 개구(16a, 16a)가 형성된다. 이 개구(16a)로부터 스풀(12)의 측부가 노출되고, 거기에 손가락을 넣을 수 있다.
제2 측판(9)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측판(8)과 동일한 직경의 편평한 바닥을 가진 원통형의 장착부(9a)와, 장착부(9a)의 경사진 전방 하측의 에지부에 장착부(9a)의 외주원과 교차하는 외주원이 되도록 편심 형성된 돌출부(9b)를 가 지고 있다. 돌출부(9b)는 초승달형의 원호로 형성되어 있다. 장착부(9a)의 저부에는, 후술하는 피니언기어(32)가 지지되는 보스부(9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스부(9c)의 양측에는 제2 측부 커버(7)를 위치 결정하기 위한 2개의 위치 결정 핀(9d, 9e)이 설치되어 있다. 위치 결정 핀(9d, 9e)의 선단에는 소직경의 헤드가 형성되어 있고, 헤드가 제2 측부 커버(7)에 형성된 위치 결정 구멍(7e)에 삽입됨으로써 제2 측판(9)과 제2 측부 커버(7)가 위치 결정된다.
또한, 보스부(9c)의 경사진 전방 하측에는 핸들샤프트(30)의 기단을 지지하는 보스부(9f)가 형성되어 있다. 보스부(9f)는 장착부(9a)의 외주원과 돌출부(9b)의 외주원이 중복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스부(9c)와 위치 결정 핀(9e) 사이에는 클러치제어 기구(22)의 클러치 플레이트(55)를 안내하는 안내부(9g)가 부채형으로 약간 리세스되어 형성되어 있다. 장착부(9a) 앞쪽의 에지부로부터 돌출부(9b)의 저부에 걸쳐, 레벨와인드 기구(18)의 기어 부재(63a)(도 11 참조)를 배치하기 위한 내외주를 관통하는 노치부(9i)가 형성되어 있다. 이 노치부(9i)를 막기 위해, 기어 부재(63a)의 외측 에지를 따라 원호형으로 만곡된 커버 부재(41)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돌출부(9b)에는 경사진 전방 하측으로의 기울어진 부분으로부터 초승달 부분의 외측 에지를 따라 원호형으로 만곡된 에지부(9h)가 형성되어 있다. 이 에지부(9h)는 돌출부(9b)에서, 2개의 외주원이 교차하는 위치까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측판(8) 및 제2 측판(9)은 도 3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단부 외주가 대향하는 축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링형의 제1 환형부(14a) 및 제2 환형부(14b)를 더 가지고 있다. 제1 환형부(14a)의 내주부에는 도 13에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단부면이 제1 환형부(14a)의 단부면보다 축 방향 외측으로 위치하도록, 후술하는 제동 부재(68)의 원통형부(68d)가 배치되어 있다. 원통형부(68d)에는 측부가 개구되는 환형의 오목홈부(68f)가 형성되어 있다. 제2 환형부(14b)의 내주부에는 도 14에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면이 제2 환형부(14b)의 단부면보다 축 방향 외측에 배치된 원통형부(14c)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고, 원통형부(14c)에는 측부가 개구되는 환형의 오목홈부(14d)가 형성되어 있다.
상측의 연결부(10a)는 제1 측판(8) 및 제2 측판(9)의 외형과 동일한 면에 배치되어 있고, 하측의 연결부(10b)는 전후에 한 쌍 형성되어 있으며, 외형보다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하측의 연결부(10b)에는 도 4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릴을 낚싯대에 장착하기 위한 전후로 기다란, 예를 들면 알루미늄합금 등의 금속제의 로드장착 레그부(4)가 리벳 고정되어 있다.
제1 측부 커버(6)는 도 6, 도 8,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12)의 착탈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제1 측판(8)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프레임(5)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다. 제1 측부 커버(6)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폐쇄 포지션으로부터 도 1 및 도 6에 나타내는 개방 포지션으로 요동 가능하다. 제1 측부 커버(6)는 제1 측판(8)의 외측을 덮는 원판형의 커버 본체(33)와, 커버 본체(33)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요동샤프트(34)와, 커버 본체(33)를 제1 측판(8)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코일 스프링(35)을 가지고 있다.
커버 본체(33)는 제1 측판(8)을 덮도록 외측으로 약간 볼록하게 만곡된 금속 제의 부재이며, 의장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동시에 경량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외주부에 직경이 상이한 다수의 둥근 구멍(33b)이 둘레방향 및 직경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커버 본체(33)의 외주 측 내면에는 요동샤프트(34)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구멍(33a)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구멍(33a)의 주위에는 외주 에지부로부터 중심 측으로 돌출되는 보스부(33c)가 형성되어 있고, 보스부(33c)의 저부와의 경계 부분에는 대략 둘레 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절결된 고정부(33d)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 본체(33a)의 중심으로부터 약간 벗어난 내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장착부(33e)(도 3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장착부(33e)는 커버 본체(33)가 제1 측판(8)에 장착되었을 때, 스풀 지지부(13)의 조작볼록부(16)에 근접한 위치에 스풀 지지부(13)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고, 스풀 지지부(13)가 느슨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커버 본체(33)의 내면 측에는 둥근 구멍(33b)에서 내부에의 이물이나 액체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밀봉 부재(42)가 장착되어 있다. 밀봉 부재(42)는 예를 들면, ABS수지(아크릴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등의 합성수지제이며, 또한 내부가 보이도록 투광성을 가지고 있다. 밀봉 부재(42)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본체(33)의 만곡에 맞춘 형상으로 외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고, 커버 본체(33)의 에지부의 내측에 따른 외경을 가지고 있다. 밀봉 부재(42)의 보스부(33c)에 따른 부분에서는 고정부(33d)에 결합되도록 한 오목부(42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면에는 장착부(33e)를 덮도록 한 원통부(42b)를 가지고 있다. 이 원통부(42b)를 관통하여 스크루(42c)가 장착부(33e)에 나사삽입되고, 오목부(42a)와 원통 부(42b)에 의해 밀봉 부재(42)는 제1 측부 커버(6)의 이면에 고정되어 있다. 즉, 밀봉 부재(42)를 제1 측부 커버(6)에 장착할 때는 오목부(42a)를 고정부(33d)에 삽입한 후에 원통부(42b)를 장착부(33e)에 덮는다. 그리고, 스크루(42c)를 장착부(33e)에 나사삽입하여 밀봉 부재(42)를 제1 측부 커버(6)의 내면에 고정시킨다.
요동샤프트(34)의 선단에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사구멍(33a)에 나사삽입되는 나사부(34a)가 형성되어 있고, 나사부(34a)에 인접하여 직경이 큰 공구고정부(34b)가 형성되어 있다. 나사부(34a)는 커버 본체(33)에 나사삽입되고, 이것에 의해 요동샤프트(34)가 커버 본체(33)에 고정된다.
요동샤프트(34)의 외주 측에는 제1 측판(8)을 관통하여 파이프 부재(36)가 동심으로 배치되어 있다. 요동샤프트(34)의 선단은 파이프 부재(3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기단 측은 제2 측판(9)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또한 제2 측부 커버(7)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파이프 부재(36)는 요동샤프트(34)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축 방향 이동을 불가능하게 지지한다. 파이프 부재(36)의 선단에는 대직경부(36a)가 형성되어 있고, 대직경부(36a) 내에 요동 속도를 규제하기 위한 O링(37)이 장착되어 있다.
대직경부(36a)와 제1 측판(8) 사이에는 요동샤프트(34)의 외주 측에 코일 스프링(35)이 압축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파이프 부재(36)의 대직경부(36a)를 제외한 부분의 외주면에는 평행한 모따기부(36b)가 형성되어 있고, 제1 측판(8)에는 모따기부(36b)를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면서 회전 불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달걀형(oval) 구멍(38a)을 가지는 지지 부재(38)가 나사 고정되어 있다. 파이프 부재 (36)의 기단에는 요동샤프트(34)의 축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원판(39)이 고정 링(39a)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 규제 원판(39)과 대직경부(36a)로 파이프 부재(36)를 협지함으로써, 요동샤프트(34)는 파이프 부재(36)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이 불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이 규제 원판(39)이 제1 측판(8)에 접촉함으로써, 제1 측부 커버(6)가 개방될 때의 축 방향 위치가 결정된다. 이에 따라, 제1 측부 커버(6)는 제1 측판(8)에 요동 가능하고 또한 축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제1 측판(8)에 대하여 탈락하지 않고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
요동샤프트(34)의 기단부에는 나사부(34c)가 형성되어 있고, 나사부(34c)는 제1 측부 커버(6)를 개폐 조작하기 위한 조작 부재인 착탈 너트(40)에 나사삽입되어 있다. 착탈 너트(40)는 제2 측부 커버(7)에 회전 가능하면서 축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착탈 너트(4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착탈 너트(40)로부터 나사부(34c)를 이격시키면, 요동샤프트(34)는 코일 스프링(35)에 의해 편향되어 도 4의 좌측으로 이동한다. 이렇게 하면, 커버 본체(33)도 좌측으로 이동하여 제1 측부 커버(6)가 개방된다. 제1 측부 커버(6)가 개방되면 자중에 의해 요동한다. 이 때의 요동 속도는 O링(37)에 의해 적절한 속도로 규제된다.
제2 측부 커버(7)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측판(9)과 동일한 2개의 외주원이 교차하는 편심된 원형의 측면을 가지고 있다. 제2 측부 커버는 예를 들어 3개의 나사에 의해 제2 측판(9)에 고정되어 있다. 제2 측부 커버(7)는 제2 측판(9)의 돌출부(9b)에 따른 형상과 동일한 직경의 편평한 바닥을 가진 원통형의 장착부(7c)와, 장착부(7c)의 경사진 후방 상측의 에지부에 편심된 원호로 제2 측판(9)의 장착부(9a)에 대향하여 초승달 형상으로 형성된 돌출부(7d)를 가지고 있다. 장착부(7c)의 저부에는 핸들샤프트(30)를 지지하기 위한 원통형의 보스부(7a)와, 스풀샤프트(20)를 지지하기 위한 원통형의 보스부(7b)가 간격을 두고 또한 외측으로 돌출되어 고정되어 있다. 보스부(7a)는 제2 측판(9)에 형성된 보스부(9f), 또한 보스부(7b)는 보스부(9c)와 각각 동일한 축심 상에 배치된다. 보스부(9c)의 앞쪽에는 제2 측부 커버(7)를 위치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 구멍(7e)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스부(7a)의 후방에는 제1 측부 커버(6)를 개폐 조작하기 위한 착탈 너트(40)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손잡이 구멍(7g)이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7d)에는 경사진 후방 상측으로의 기울기 부분으로부터 초승달 부분의 외측 에지를 따라 원호형으로 만곡된 에지부(7h)가 형성되어 있고, 에지부(7h)는 제2 측판(9)의 장착부(9a)와 동심으로 배치되고, 또한 돌출부(9b)의 에지부(9h)와 평판디스크형으로 접속되어 있다. 돌출부(7d)의 보스부(7b)를 사이에 두고 위치 결정 구멍(7e)의 반대측 위치에는 위치 결정 구멍(7f)이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측판(9)에 설치된 위치 결정 핀(9d, 9e)의 헤드가 위치 결정 구멍(7e, 7f)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제2 측판(9)과 제2 측부 커버(7)가 위치 결정되어, 각 보스부(9c, 7b, 9f, 7a)가 각각 센터링되어 동일한 축심 상에 배치된다.
스풀(12)은 도 3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주에 낚싯줄이 감기는 원통형의 보빈(12a)과, 보빈(12a)의 양단에 각각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1 플랜지부(12b) 및 제2 플랜지부(12c)를 가지고 있다. 스풀(12)은 보빈(12a)의 내주 측 축 방향이 실질적으로 중앙부에 일체로 형성된 원통형의 보스부(12d)를 가 지고 있고, 보스부(12d)를 관통하는 스풀샤프트(20)에, 예를 들면 톱니결합에 의해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보스부(12d)의 양 측부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둘레방향을 따라 2열로 배치된 대소 복수의 관통공(12e)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12e)은 외주 측이 대직경으로 형성되고, 내주 측이 소직경이 되도록 등간격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대소 복수의 관통공(12e)을 형성함으로써, 보빈에 관통공을 형성하는 경우에 비하여 강도를 높게 유지하면서, 스풀(12)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스풀(12)은 도 12에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플랜지부(12b) 및 제2 플랜지부(12c)의 양단 외주로 돌출되고, 제1 환형부(14a) 및 제2 환형부(14b)의 선단부 사이에 약간의 간극을 두어 설치되고, 제1 플랜지부(12b)와 제1 측판(8) 사이 및 제2 플랜지부(12c)와 제2 측판(9) 사이에 낚싯줄이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낚싯줄 진입 방지부(12f) 및 제2 낚싯줄 진입 방지부(12g)를 더 구비하고 있다.
제1 플랜지부(12b) 및 제2 플랜지부(12c)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빈(12a)의 양단으로부터 축 방향 외측을 향해서 서서히 직경이 커지는 제1 경사부(12h) 및 제2 경사부(12j)와, 제1 경사부(12h) 및 제2 경사부(12j)의 양단으로부터 축 방향 외측을 향해서 동일한 직경이 되도록 형성된 제1 원통부(12i) 및 제2 원통부(12k)를 가지고 있다. 제1 원통부(12i) 및 제2 원통부(12k)는 제1 환형부(14a) 및 제2 환형부(14b)의 내주에 덮여 있고, 양 단부가 오목홈부(14d) 및 오목홈부(68f)에 삽입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원통부(12i) 및 제2 원통부(12k)의 외주에는 제1 낚싯줄 진입 방지부(12f) 및 제2 낚싯줄 진입 방지부(12g)가 돌출 설 치되어 있다.
제1 낚싯줄 진입 방지부(12f) 및 제2 낚싯줄 진입 방지부(12g)는 도 13 및 도 14에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환형부(14a) 및 제2 환형부(14b)의 선단부 사이에 약간의 간극을 두어 설치되고, 제1 플랜지부(12b)의 제1 원통부(12i) 및 2 플랜지부(12c)의 제2 원통부(12k)의 외주면과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낚싯줄 진입 방지부(12f) 및 제2 낚싯줄 진입 방지부(12g)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빈(12a) 측 측면이 제1 환형부(14a) 및 제2 환형부(14b)의 선단면보다 보빈(12a) 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15에 제2 낚싯줄 진입 방지부(12g)만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낚싯줄 진입 방지부(12g)는 보빈(12a) 측 측면(12l)이 제2 환형부(14b)의 선단면(14e)보다 축 방향 내측(보빈(12a) 측, 도 15의 좌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2 낚싯줄 진입 방지부(12g)는 선단부가 제2 환형부(14b)의 내주면(14f)과 대향하는, 끝이 점점 가늘어지는 형상이 되도록 돌출 형성되어 있고, 축 방향으로 각각 경사지는 제1 경사면(12m) 및 제2 경사면(12n)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제2 환형부(14b)는 내주면(14f)으로부터 선단면(14e)을 향하여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부(14g)를 가지고 있다. 테이퍼부(14g)는 내주면(14e) 측의 단부가 제2 낚싯줄 진입 방지부(12g)의 선단부의 최외경부(12o)와 대략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낚싯줄 진입 방지부(12f)도 제2 낚싯줄 진입 방지부(12g)의 구성과 동일하다.
스풀(12)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빈(12a)의 외경 A는 20mm 이상 28.5mm 이하의 범위에 있고, 최대 권취 직경인 제1 플랜지부(12b) 및 제2 플랜지부 (12c)의 외경 D는 25mm 이상 30mm 이하의 범위가 되도록 형성된, 낚싯줄의 권취 양이 적은, 이른바 얕은 홈 스풀이다. 여기서 보빈(12a)의 외경 A는 제1 플랜지부(12b) 및 제2 플랜지부(12c)의 외경 D의 80% 이상 95% 이하의 범위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보빈(12a)의 외경 A는 24mm이며, 제1 플랜지부(12b) 및 제2 플랜지부(12c)의 외경 D는 27.1mm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보빈(12a)의 외경 A는 제1 플랜지부(12b) 및 제2 플랜지부(12c)의 외경 D의 89%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낚싯줄 진입 방지부(12f) 및 제2 낚싯줄 진입 방지부(12g)의 최외경 C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대 권취 직경인 제1 플랜지부(12b) 및 제2 플랜지부(12c)의 외경 D의 105% 이상 115% 이하의 범위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낚싯줄 진입 방지부(12f) 및 제2 낚싯줄 진입 방지부(12g)의 돌출 높이 I가 최대 권취 직경인 제1 플랜지부(12b) 및 제2 플랜지부(12c)의 외경 D의 2.5% 이상 7.5% 이하의 범위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낚싯줄 진입 방지부(12f) 및 제2 낚싯줄 진입 방지부(12g)의 최외경 C는 27mm 이상 34mm 이하의 범위이고, 제1 낚싯줄 진입 방지부(12f) 및 제2 낚싯줄 진입 방지부(12g)의 돌출 높이 I는 1.0mm 이상 2.0mm 이하의 범위이다. 구체적으로, 제1 낚싯줄 진입 방지부(12f) 및 제2 낚싯줄 진입 방지부(12g)의 최외경 C는 29.6mm이며, 제1 낚싯줄 진입 방지부(12f) 및 제2 낚싯줄 진입 방지부(12g)의 돌출 높이 I는 1.25mm 이다. 제1 낚싯줄 진입 방지부(12f) 및 제2 낚싯줄 진입 방지부(12g)의 최외경 C는 최대 권취 직경인 제1 플랜지부(12b) 및 제2 플랜지부(12c)의 외경 D의 109%가 되도록 형성되고, 제1 낚싯줄 진입 방지부(12f) 및 제2 낚싯줄 진입 방지부(12g)의 돌출 높이 I가 최대 권취 직경인 제1 플랜지부(12b) 및 제2 플랜지부(12c)의 외경 D의 4.6%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환형부(14a) 및 제2 환형부(14b)의 내경 B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28mm 이상 35mm 이하의 범위이고, 구체적으로는 30.1mm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낚싯줄 진입 방지부(12f) 및 제2 낚싯줄 진입 방지부(12g)의 최외경 C는 27mm 이상 34mm 이하의 범위이고, 구체적으로는 29.6mm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낚싯줄 진입 방지부(12f)와 제1 환형부(14a) 사이 및 제2 낚싯줄 진입 방지부(12g)와 제2 환형부(14b) 사이의 간극 K는 0.1mm 이상 0.5mm 이하의 범위이고, 구체적으로는 0.25mm로 되어 있다.
제1 낚싯줄 진입 방지부(12f) 및 제2 낚싯줄 진입 방지부(12g)의 두께 J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0.1mm 이상 0.5mm 이하의 범위이고, 구체적으로는 0.3mm로 되어 있다. 또한, 보빈(12a)의 두께 M은 구체적으로 0.6mm로 되어 있고, 제1 플랜지부(12b) 및 제2 플랜지부(12c)의 두께 N은 구체적으로 0.3mm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제1 낚싯줄 진입 방지부(12f) 및 제2 낚싯줄 진입 방지부(12g)의 두께 J는 보빈(12a)의 두께 M에 비하여 작다.
스풀샤프트(2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측판(9)을 관통하여 제2 측부 커버(7)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 연장된 일단은 제2 측부 커버(7)에 장착된 보스부(7b)에 베어링(26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스풀샤프트(20)의 타단은 전술한 바와 같이, 베어링(26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 어 있다.
스풀샤프트(20)의 대직경 부분(20a)의 우측단은 제2 측판(9)의 관통부 부분에 배치되어 있고, 거기에는 클러치 기구(21)를 구성하는 결합핀(20b)이 고정되어 있다. 결합핀(20b)은 직경을 따라 대직경 부분(20a)을 관통하여, 그 양단이 동일한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클러치레버(17)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측판(8)과 제2 측판(9) 사이의 뒤쪽에서 스풀(12)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클러치레버(17)는 제1 측판(8)과 제2 측판(9)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클러치레버(17)의 핸들 장착 측에는 결합샤프트(17a)가 제2 측판(9)을 관통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샤프트(17a)는 클러치 제어 기구(22)에 결합되어 있다.
레벨와인드 기구(18)는 도 3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12)의 전방에서 제1 측판(8)과 제2 측판(9) 사이에 배치되고, 외주면에 교차하는 나선형홈(46a)이 형성된 나선샤프트(46)와, 나선샤프트에 의해 스풀샤프트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낚싯줄 안내부(47)를 가지고 있다. 나선샤프트(46)는 양단이 제1 측판(8) 및 제2 측판(9)에 장착된 샤프트 지지부(48, 49)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나선샤프트(46)의 도 3에서의 좌측단은 E형 고정 링(50)에 의해 탈락이 방지되어 있다. 나선샤프트(46)의 도 3에서의 우측단에는 기어 부재(63a)가 장착되어 있고, 기어 부재(63a)는 핸들샤프트(30)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기어 부재(63b)에 맞물려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나선샤프트(46)는 핸들샤프트(30)의 낚싯줄 감기 방향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한다.
낚싯줄 안내부(47)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선샤프트(46)의 주위에 배치되어 일부가 축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절결된 파이프 부재(53)와, 나선샤프트의 상방에 배치된 가이드샤프트(54)에 의해 스풀샤프트(20) 방향으로 안내되어 있다. 낚싯줄 안내부(47)에는 나선형홈(46a)에 결합하는 고정 부재(47a)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나선샤프트(46)의 회전에 의해 스풀샤프트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낚싯줄 안내부(47)의 상부에는 낚싯줄이 통과하는, 예를 들면 SiC 등의 경질세라믹제의 장원형 가이드링(47b)이 장착되어 있다.
파이프 부재(53)는 양단이 샤프트 지지부(48, 49)에 결합되어 있다. 가이드샤프트(54)는 제1 측판(8) 및 제2 측판(9)에 고정되어 있고, 가이드샤프트(54)의 제2 측판(9) 측의 단부는 제2 측부 커버(7) 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샤프트 지지부(49)는 대략 빗방울형이며, 대직경부로 나선샤프트(46)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소직경부를 가이드샤프트(54)가 관통하여 샤프트 지지부(49)를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하고 있다.
기어 기구(19)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샤프트(30)와, 핸들샤프트(30)에 고정된 메인기어(31)와, 메인기어(31)에 맞물리는 원통형의 피니언기어(32)를 가지고 있다. 핸들샤프트(30)는 보스부(9f) 및 보스부(7a)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롤러형의 원웨이(one way) 클러치(86) 및 발톱(pawl)형의 원웨이 클러치(87)에 의해 낚싯줄 풀기 방향의 회전(역회전)이 금지되어 있다.
원웨이 클러치(86)는 보스부(7a)와 핸들샤프트(30)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원웨이 클러치(87)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기어(31)와 기어 부재(63b) 사이에서 핸들샤프트(30)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래칫 기어(88)와, 위치 결정 핀(9d)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래칫발톱(89)을 가지고 있다. 래칫 기어(88)의 외주부에는 대략 평행사변형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래칫치열(88a)이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배치되어 있고, 래칫발톱(89)이 래칫치열(88a)에 맞물림으로써 핸들샤프트(30)의 낚싯줄 풀기 방향의 회전이 금지된다. 래칫발톱(89)은 래칫 기어(88)를 양측에서 사이에 끼우는 제어편(89a)을 선단부에 가지고 있다. 제어편(89a)은 낚싯줄 감기 방향으로의 회전 시에 래칫발톱(89)을 래칫 기어(88)에 접근시키고, 낚싯줄 풀기 방향의 회전 시에 이격시킨다. 이러한 이격 시에 래칫발톱(89)이 지나치게 이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래칫발톱(89)은 이격 시에 가이드샤프트(54)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메인기어(31)는 핸들샤프트(3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핸들샤프트(30)와 드래그 기구(23)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피니언기어(32)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측판(9)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고, 중심에 스풀샤프트(20)가 관통하는 원통형 부재이며, 스풀샤프트(20)에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피니언기어(32)의 도 3에서의 좌측단 측은 베어링(27)에 의해 제2 측판(9)에 회전 가능하면서 축 방향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피니언기어(32)의 도 3에서의 좌측 단부에는 결합핀(20b)에 맞물리는 결합홈(32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홈(32a)과 결합핀(20b)에 의해 클러치 기구(21)가 구성된다. 또한 중간부에는 네크(neck)(32b)가 우측 단부에는 메인기어(31)에 맞물리는 기어부(32c)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클러치제어 기구(22)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샤프트(17a)에 결합하는 클러치 플레이트(55)와, 클러치 플레이트(55)에 결합하여 스풀샤프트(20)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클러치 캠(56)과, 클러치 캠(56)에 의해 스풀샤프트(20)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클러치 요크(57)를 가지고 있다. 또한, 클러치제어 기구(22)는 스풀(12)의 낚싯줄 감기 방향의 회전에 연동하여 클러치 기구(21)를 클러치-온 시키는 클러치 복귀 기구(58)를 가지고 있다.
클러치 플레이트(55)는 부채형으로 형성된 판형 부재이며, 제2 측판(9)에 형성된 안내부(9g)에 의해 회전방향으로 안내되어 있다. 또한, 클러치 플레이트(55)는 위치 결정 핀(9e)에 형성된 칼라부(9i)에 의해 안내부(9g)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고, 부상(浮上)이 방지되어 있다. 클러치 플레이트(55)의 일단은 클러치레버(17)의 하방으로의 이동에 연동하여 도 11의 반시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클러치레버(17)의 결합샤프트(17a)의 하단에 접촉하는 위치로 연장되어 있다. 클러치 플레이트(55)의 타단은 클러치 캠(56)에 결합되어 있고, 클러치 플레이트(55)와 클러치 캠(56)은 연동하여 스풀샤프트(20)의 주위로 회전한다.
클러치 캠(56)은 대략 링형의 판 부재이며, 보스부(9c)에 스풀샤프트(20)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클러치 캠(56)의 외측면의 스풀샤프트(20)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는 한 쌍의 경사진 캠돌기(56a, 56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클러치 캠(56)의 외주부에는 클러치 플레이트(55)에 결합하는 결합핀(56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클러치 캠(56)의 외주부에는 클러치 복귀 기구(58)를 구성하는 복귀 발톱(59)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56c)가 형성되어 있다.
클러치 요크(57)는 클러치 캠(56)의 축 방향 외측으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클러치 요크(57)는 제2 측판(9)과 제2 측부 커버(7) 사이에 스풀샤프트(20)를 사이에 두고 설치된 2개의 가이드샤프트(60)에 의해 안내되고 스풀샤프트(20)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또한, 제2 측부 커버(7)와 클러치 요크(57) 사이에서 가이드샤프트(60)의 외주 측에 압축 상태로 배치된 코일 스프링(61)(도 3 참조)에 의해 축 방향 내측으로 편향되어 있다. 클러치 요크(57)는 피니언기어(32)의 네크(32b)에 결합하는 반원호형의 결합부(57a)가 형성되어 있다. 클러치 요크(57)의 클러치 캠(56)과 대향하는 측면에는 캠돌기(56a, 56a) 위에 놓이는, 도시하지 않은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클러치 캠(56)이 도 11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캠돌기(56a, 56a) 위에 경사면이 놓이면, 클러치 요크(57)는 도 3의 우측의 클러치-오프 위치로 이동하고, 경사면이 캠돌기(56a, 56a) 아래에 놓이면, 코일 스프링(61)에 의해 편향되어 클러치-온 위치로 되돌아간다. 이 클러치 요크(57)의 이동에 연동하여 피니언기어(32)가 스풀샤프트 방향으로 이동하여, 클러치 기구(21)가 클러치-오프 상태와 클러치-온 상태로 전환된다.
클러치 복귀 기구(58)는 클러치 캠(56)의 연결부(56c)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복귀 발톱(59)과, 복귀 발톱(59)을 편향시키는 토글스프링(62)을 가지고 있다. 복귀 발톱(59)은 클러치 캠(57)의 회전에 의해 제2 측판(9)으로 안내되고 래칫 기어(88)의 래칫치열(88a)에 접촉하는 위치와 그로부터 이격된 위치로 이동한다. 토글스프링(62)은 복귀 발톱(59)을 2개의 위치에서 지지한다. 또한, 제2 측판(9)에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귀 발톱(59)이 이격되었을 때에 복귀 발톱(59)의 선단부가 접촉 가능한 가이드샤프트(90)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가이드샤프트(90)를 설치함으로써, 복귀 발톱(59)의 선단부가 제2 측판(9)의 안내부에 접촉하여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클러치 복귀 기구(58)에서는 클러치레버(17)의 가압조작에 의해 클러치 기구(21)가 클러치오프 상태로 되면, 제2 측판(9)으로 안내되어 래칫치열(88a)에 접촉하는 위치로 전진한다. 이 상태에서 핸들(2)의 조작에 의해 핸들샤프트(30)가 낚싯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하면, 래칫치열(88a)에 의해 가압되어서 이격되는 위치로 이동하고, 클러치 캠(56)을 도 11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클러치 기구(21)를 클러치-온 상태로 되돌린다.
캐스팅 컨트롤 기구(24)는 스풀샤프트(20)의 양단을 사이에 두도록 배치된 복수의 마찰 플레이트(51)와, 마찰 플레이트(51)에 의한 스풀샤프트(20)의 협지력을 조절하기 위한 제동캡(52)을 가지고 있다. 좌측의 마찰 플레이트(51)는 스풀 지지부(13) 내에 장착되어 있다.
원심브레이크 기구(25)는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12)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스풀샤프트(20)에 고정된 회전 부재(66)와, 회전 부재(66)에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직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원통형의 이동 부재(67)와, 개구(8a)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이동 부재(67)에 접촉 가능한 제동 부재(68)를 가지고 있다.
회전 부재(66)는 베어링부(15)의 외주 측에 배치되는 원판부(66a)를 가지고 있고, 원판부(66a)에는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예를 들면 6개의 오목부(66b)가 형성되어 있다. 각 오목부(66b)에는 대향하는 2쌍의 결합 돌기(70a, 70b)가 직경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결합 돌기(70a)는 외주부에 서로 돌출 형성되며, 이동 부재(67)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이다. 결합 돌기(70b)는 결합 돌기(70a)보다 내주 측에 형성되고, 이동 부재(67)가 제동 부재(68)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돌기이다. 또한, 오목부(66b)의 바닥면에는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샤프트(69)가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샤프트(69)에 이동 부재(67)가 이동 가능하게 안내된다.
이동 부재(67)는 원통형의 부재이며, 그 내주 측의 단부에 다른 부분보다 대직경으로 결합 돌기(70a, 70b)에 결합되는 칼라부(67a)를 가지고 있다. 이동 부재(67)는 스풀(12)이 회전하면 원심력에 의해 제동 부재(68)에 접촉하여 스풀(12)을 제동한다. 이 때, 칼라부(67a)가 결합 돌기(70b)를 타고 넘어 그것보다 내주 측에 배치되면, 원심력이 작용하더라도 칼라부(67a)가 결합 돌기(70b)에 접촉하여 제동 부재(68)에 접촉할 수 없다. 이 이동 부재(67)의 직경 방향 위치를 전환함으로써, 원심브레이크 기구(25)의 제동력을 조정할 수 있다.
제동 부재(68)는 도 13에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측판(8)의 개구(8a)의 내주부에 형성된 암나사부(8b)에 나사 결합하는 수나사부(68c)가 형성된 외통부(68a)와, 외통부(68a)의 내주에 부착 고정된 내통부(68b)를 가지고 있다. 내통부(68b)는 단부면이 제1 환형부(14a)의 단부면보다 축 방향 외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원통형부(68d)와, 내주 측에 이동 부재(67)가 접촉하는 제동부(68e)를 가지고 있다. 원통형부(68d)는 스풀(12) 측(도 13의 우측)의 측부가 개구되는 환형의 오목홈부(68f)와, 오목홈부(68f)의 반대측(도 13의 좌측)의 측부가 개구되는 환형의 리세스부(68g)를 가지고 있다. 원통형부(68d)는 단부면이 제1 낚싯줄 진입 방지부(12f)의 측면이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오목홈부(68f)는 제1 플랜지부(12b)의 제1 원통부(12i)의 양단을 삽입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동 부재(68)는 원심브레이크 기구(25)로서의 기능과, 낚싯줄이 릴 본체(1)의 내부에 진입하기 어렵게 하기 위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다음에, 실제 낚시를 할 때의 릴의 조작 및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캐스팅을 행할 때에는 클러치레버(17)를 하방으로 가압한다. 이렇게 하면 클러치 플레이트(55)가 도 11의 반시계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클러치 플레이트(55)는 위치 결정 핀(9e)에 의해 부상이 방지된 상태로 안내부(9g) 내를 이동한다. 클러치 플레이트(55)가 이동하면, 그에 연동하여 클러치 캠(56)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클러치 요크(57)가 도 3의 외측의 클러치-오프 위치로 이동한다. 그 결과, 클러치 기구(21)를 구성하는 피니언기어(32)가 축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여, 클러치-오프 상태로 된다. 이 클러치-오프 상태에서는 스풀(12)이 자유회전 상태로 되어, 캐스팅을 행하면 태클의 무게에 의해 낚싯줄이 스풀(12)로부터 강하게 풀린다.
태클이 착수(着水)하면, 핸들(2)을 낚싯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렇게 하면 래칫 기어(88)가 낚싯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하여, 래칫발톱(89)이 제어편(89a)의 작용에 의해 래칫 기어(88)의 외측으로 위치 결정 핀(9d)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하고, 가이드샤프트(54)에 접촉한다. 그 결과, 낚싯줄 감기 시에 래칫발톱 (89)이 래칫 기어(88)에 접촉하지 않게 되어, 낚싯줄 감기 시에 양자의 접촉에 의한 딸깍 소리(clicking sound)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래칫 기어(88)가 낚싯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하면, 래칫치열(88a)이 복귀 발톱(59)의 선단에 접촉하여, 복귀 발톱(59)을 후방으로 가압한다. 이렇게 하면 복귀 발톱(59)은 토글스프링(62)의 사점(dead point)을 넘어서 후퇴하고, 토글스프링(62)에 의해 이격 위치 측으로 편향된다. 이 이동에 연동하여 클러치 캠(56)이 도 11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클러치 요크(57)가 코일 스프링(61)의 편향력에 의해 클러치-온 위치로 이동하고, 클러치 기구(21)는 클러치-온 상태로 된다. 이로 인하여, 핸들(2)의 회전이 스풀(12)에 전달되어, 스풀(12)이 낚싯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한다.
핸들샤프트(30)가 낚싯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하면, 그 회전이 기어 부재(63a, 63b)를 통하여 나선샤프트(46)에 전달되어 나선샤프트(46)가 회전한다. 나선샤프트(46)가 회전하면, 낚싯줄 안내부(47)가 스풀샤프트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여 낚싯줄이 스풀(12)에 균일하게 감긴다.
이러한 듀얼 베어링 릴에서는, 제1 낚싯줄 진입 방지부(12f) 및 제2 낚싯줄 진입 방지부(12g)는 제1 플랜지부(12b)의 제1 원통부(12i) 및 제2 플랜지부(12c)의 제2 원통부(12k)에 돌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제1 낚싯줄 진입 방지부(12f) 및 제2 낚싯줄 진입 방지부(12g)를 경사부에 설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낚싯줄이 축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기 어렵게 된다. 또한, 여기서는 제1 낚싯줄 진입 방지부(12f) 및 제2 낚싯줄 진입 방지부(12g)가 제1 원통부(12i) 및 제2 원통부(12k)의 외주면과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낚시 제1 낚싯줄 진입 방지부(12f) 및 제2 낚싯줄 진입 방지부(12g)와 경사부가 둔각으로 교차하는 경우에 비하여, 낚싯줄이 축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낚싯줄이 제1 플랜지부(12b)와 제1 측판(8) 사이 및 제2 플랜지부(12c)와 제2 측판(9) 사이에 진입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a) 상기 실시예에서는 환형의 듀얼 베어링 릴을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듀얼 베어링 릴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로우 프로파일(low profile)형의 듀얼 베어링 릴 등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소형의 얕은 홈 스풀을 가지는 듀얼 베어링 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대형의 듀얼 베어링 릴이나, 깊은 홈 스풀을 가지는 듀얼 베어링 릴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스풀(12)의 각종 치수를 최대 권취 직경인 제1 플랜지부(12b) 및 제2 플랜지부(12c)의 외경 D를 기준으로 하여 결정하고 있었지만, 예를 들면 최대 권취 직경과 제1 플랜지부(12b) 및 제2 플랜지부(12c)의 외경이 상이한 경우에는 최대 권취 직경을 기준으로 하여 결정할 수도 있다.
(c)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2 환형부(14b)와 원통형부(14c)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지만, 제2 환형부(14b)와 원통형부(14c)를 별개로 설치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원통형부(14c)에 오목홈부(14d)를 설치하지 않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d)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동 부재(68)가 외통부(68a)와 내통부(68b)를 별개로 이루어져 있었지만, 외통부(68a)와 내통부(68b)를 일체로 성형할 수도 있다. 또한, 원통형부(68d)에 오목홈부(68f)나 리세스부(68g)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설치하지 않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e)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낚싯줄 진입 방지부(12f) 및 제2 낚싯줄 진입 방지부(12g)가 보빈(12a) 측 측면(12l)이 제1 환형부(14a) 및 제2 환형부(14b)의 선단면(14e)보다 보빈(12a) 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었지만,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낚싯줄 진입 방지부(12f) 및 제2 낚싯줄 진입 방지부(12g)의 보빈(12a) 측 측면(12l)이 제1 환형부(14a) 및 제2 환형부(14b)의 선단면(14e)과 동일해지도록 할 수도 있다.
(f)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환형부(14a) 및 제2 환형부(14b)가 내주면(14f)으로부터 선단면(14e)을 향하여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부(14g)를 가지고 있었지만, 테이퍼부를 갖지 않는 구성이 될 수도 있다. 또한, 테이퍼부(14g)는 내주면(14e) 측의 단부가 제1 낚싯줄 진입 방지부(12f) 및 제2 낚싯줄 진입 방지부(12g)의 선단부의 최외경부(12o)와 대략 동일하지만,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낚싯줄 진입 방지부(12f) 및 제2 낚싯줄 진입 방지부(12g)의 선단부의 최외경부(12o)보다 축 방향 내측(보빈(12a) 측, 도 16의 좌측)에 위치하도록 테이퍼부(14g)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에 의하면, 낚싯줄 진입 방지부가 원통부에 돌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낚싯줄 진입 방지부가 경사부에 설치되어 있었던 경우에 비하여, 낚싯줄이 축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기 어렵게 된 다. 특히, 낚싯줄 진입 방지부가 원통부의 외주면과 직교하는 경우에는 종래와 같이 낚싯줄 진입 방지부와 플랜지부의 경사부가 둔각으로 교차하는 경우에 비하여, 낚싯줄이 축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낚싯줄 진입 방지부를 플랜지부의 원통부에 돌출 설치함으로써, 낚싯줄이 플랜지부와 측판 사이에 진입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Claims (19)

  1. 일정한 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측판과, 상기 한 쌍의 측판 사이에 설치되어 낚싯줄을 감거나 풀어내는 스풀을 구비하는 듀얼 베어링 릴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판은, 양단부 외주가 상기 한 쌍의 측판의 대향하는 축 방향 내측에 돌출 설치된 한 쌍의 환형부를 가지고,
    상기 스풀은,
    외주에 상기 낚싯줄이 감기는 원통형의 보빈과,
    상기 보빈의 양단에 각각 직경 방향 외측에 돌출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환형부의 내주에 덮이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양단 외주로 돌출되어 상기 한 쌍의 환형부의 선단부와의 사이에 약간의 간극을 두어 설치되고, 상기 보빈 측의 측면이 상기 환형부의 선단면을 포함하는 상기 보빈 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한 쌍의 측판과의 사이에 상기 낚싯줄이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낚싯줄 진입 방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낚싯줄 진입 방지부는, 선단부가 끝이 점점 가늘어지는 형상이 되도록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환형부의 선단부는, 내주면으로부터 선단면을 향하여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테이퍼부는, 내주면 측의 단부가 상기 낚싯줄 진입 방지부의 선단부의 최외경부보다 축방향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듀얼 베어링 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낚싯줄 진입 방지부는, 상기 보빈 측의 측면과 상기 환형부의 선단면이 동일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듀얼 베어링 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의 단부 외주와 상기 환형부의 내주부 사이에 설치되고, 선단면이 상기 낚싯줄 진입 방지부의 축 방향 외측면과 대향하도록 간격을 두고 상기 환형부의 단부면보다 축 방향 외측에 배치된 원통형부를 더 포함하는, 듀얼 베어링 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부에는, 상기 플랜지부의 단부를 삽입하도록 측부가 개구되는 환형의 오목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듀얼 베어링 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환형부 및 상기 한 쌍의 원통형부의 적어도 한 쪽은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듀얼 베어링 릴.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쪽 환형부 및 상기 한 쪽 원통형부는 별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한 쪽 원통형부에는, 내주면에 상기 스풀의 회전을 제동하기 위한 이동 부재가 접촉 가능한 제동면이 형성되어 있는, 듀얼 베어링 릴.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050055119A 2004-06-25 2005-06-24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KR1012171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87486A JP4500599B2 (ja) 2004-06-25 2004-06-25 両軸受リール
JPJP-P-2004-00187486 2004-06-25
JP2004187484A JP2006006190A (ja) 2004-06-25 2004-06-25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
JPJP-P-2004-00187483 2004-06-25
JPJP-P-2004-00187484 2004-06-25
JPJP-P-2004-00187485 2004-06-25
JP2004187485A JP2006006191A (ja) 2004-06-25 2004-06-25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
JP2004187483A JP4403027B2 (ja) 2004-06-25 2004-06-25 両軸受リールの遠心制動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6528A KR20060046528A (ko) 2006-05-17
KR101217155B1 true KR101217155B1 (ko) 2012-12-31

Family

ID=35540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5119A KR101217155B1 (ko) 2004-06-25 2005-06-24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370821B2 (ko)
KR (1) KR101217155B1 (ko)
MY (1) MY137697A (ko)
SG (1) SG118396A1 (ko)
TW (1) TWI33101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1210B1 (ko) * 2017-05-24 2018-12-20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유니버설 낚시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43648B2 (ja) * 2008-07-08 2013-02-13 株式会社シマノ レバードラグ型の両軸受リール
US9992984B2 (en) 2011-02-14 2018-06-12 Arribe Manufacturing, Llc Fishing reel
JP5956740B2 (ja) * 2011-11-08 2016-07-27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リール本体、釣り用リール及び釣り用リールのリール本体製造方法
ITRM20120004A1 (it) * 2012-01-04 2013-07-05 Aec Promotion Di Claudio Graziosi Assieme telaio e piatto laterale sinistro per mulinello a bobina rotante.
JP6026870B2 (ja) * 2012-11-29 2016-11-16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JP6198538B2 (ja) * 2013-09-13 2017-09-20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US9554565B2 (en) * 2013-11-19 2017-01-31 3-Tand, Llc Fly fishing reel
JP6335528B2 (ja) * 2014-01-28 2018-05-30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6374700B2 (ja) * 2014-05-16 2018-08-15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KR101828392B1 (ko) * 2015-07-17 2018-02-12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데코트림 및 배수부를 구비한 낚시릴
JP6599776B2 (ja) * 2016-01-13 2019-10-30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両軸受型リール
JP6613169B2 (ja) * 2016-02-23 2019-11-27 シマノコンポネンツ マレーシア エスディーエヌ.ビーエッチディー. 両軸受リール、及びそのレベルワインド機構
JP2018113917A (ja) * 2017-01-19 2018-07-26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6845695B2 (ja) * 2017-01-19 2021-03-2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7094169B2 (ja) * 2018-07-13 2022-07-01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CN108757723A (zh) * 2018-08-28 2018-11-06 扬州久扬渔具有限公司 双向逆止轴承
JP7355522B2 (ja) * 2019-05-15 2023-10-03 シマノコンポネンツ マレーシア エスディーエヌ.ビーエッチディー. 両軸受リール
JP7436354B2 (ja) * 2020-12-21 2024-02-21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両軸受けリール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2605A (ko) * 1982-01-16 1984-07-16 마쓰이 요시유끼 낚시용 리일의 스푸울의 백래시 방지장치
JPH0870739A (ja) * 1994-09-05 1996-03-19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380164B (sv) * 1973-11-08 1975-11-03 Abu Ab Ringformigt linskydd, avsett att monteras pa gaveln hos en linspole vid en fiskerulle
US3974977A (en) * 1974-05-28 1976-08-17 Shimano Industrial Company, Limited Fishing reel
SE390690B (sv) * 1975-05-27 1977-01-17 Abu Ab Ringformig linskydd, avsett att monteras pa gaveln hos en linspole vid en fiskerulle
US4805849A (en) * 1986-11-08 1989-02-21 Daiwa Seiko Inc. Spool in a double-bearing type fishing reel
SE521249C2 (sv) * 2001-02-01 2003-10-14 Skf Ab Fiskerulle
US6575392B1 (en) * 2002-01-23 2003-06-10 Eugene Hong Fly fishing reel with a sealing memb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2605A (ko) * 1982-01-16 1984-07-16 마쓰이 요시유끼 낚시용 리일의 스푸울의 백래시 방지장치
JPH0870739A (ja) * 1994-09-05 1996-03-19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1210B1 (ko) * 2017-05-24 2018-12-20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유니버설 낚시릴
US10492480B2 (en) 2017-05-24 2019-12-03 Doyo Engineering Co., Ltd. Universal fishing re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31013B (en) 2010-10-01
KR20060046528A (ko) 2006-05-17
US7370821B2 (en) 2008-05-13
US20060006267A1 (en) 2006-01-12
MY137697A (en) 2009-02-27
SG118396A1 (en) 2006-01-27
TW200608884A (en) 2006-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7155B1 (ko)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TWI533800B (zh) 雙軸承捲線器的離心制動裝置
JP5926564B2 (ja)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及び両軸受リール
KR102230789B1 (ko) 양 베어링 릴
EP2347650B1 (en) Dual-bearing reel drag sound producing device
EP3069607B1 (en) Spinning reel
EP2594131B1 (en) Dual-bearing reel with handle assembly
JP2013146201A5 (ko)
EP2711590B1 (en) Drive gear
JP2016174593A5 (ko)
KR100687898B1 (ko) 양베어링 릴의 릴 본체
JP2016174593A (ja) スピニングリール
US6915974B2 (en) Level wind mechanism for a dual bearing reel
JP2007006710A (ja) 両軸受リール
JP2009261367A (ja) 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把手
JP4500599B2 (ja) 両軸受リール
US7967232B2 (en) Spinning-reel fishing line guide mechanism
JP4403027B2 (ja) 両軸受リールの遠心制動装置
JP4572125B2 (ja)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KR102656379B1 (ko)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장치
JP6209310B2 (ja) 両軸受リール及びその駆動軸
JP4772979B2 (ja) 両軸受リール
US6409112B1 (en) Dual-bearing reel having control knob for adjusting braking force
JP2013146202A5 (ko)
JP2006006190A (ja)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