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6540B1 - 휴대용 물병 - Google Patents

휴대용 물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6540B1
KR101216540B1 KR1020090060706A KR20090060706A KR101216540B1 KR 101216540 B1 KR101216540 B1 KR 101216540B1 KR 1020090060706 A KR1020090060706 A KR 1020090060706A KR 20090060706 A KR20090060706 A KR 20090060706A KR 101216540 B1 KR101216540 B1 KR 101216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treatment
inner lid
beverage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0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3101A (ko
Inventor
배청명
정향빈
Original Assignee
정향빈
배청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향빈, 배청명 filed Critical 정향빈
Priority to KR1020090060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6540B1/ko
Publication of KR20110003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3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6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6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2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small portabl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ersonal travel or emergency equipment, survival kits, combat gea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24Household or table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용된 물의 성질을 변화시킬 수 있으며, 살균처리를 할 수 있는 휴대용 물병에 관한 것으로서, 음료수를 수용하며,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된 몸체와, 몸체의 개구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음료수가 나오는 출수구가 형성된 내부 뚜껑, 및 내부 뚜껑의 출수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음료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 수처리 봉을 포함하며, 수처리 봉은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 개의 수처리 블록으로 형성되며, 복수 개의 수처리 블록에는 각각 서로 다른 종류의 수처리 물질이 담겨 있도록 구성된다.
휴대용물병, 수처리봉, 수처리블록, 수처리물질, 자외선살균

Description

휴대용 물병{Portable water bottle}
본 발명은 휴대용 물병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병에 담긴 물에 대해 살균과 같은 일정한 수처리를 할 수 있는 휴대용 물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물병은 음료수, 특히 물을 일정량 담아 휴대할 수 있는 통으로서, 여행, 운동 등과 같이 야외활동을 하는 경우 깨끗한 물을 쉽고 편하게 마시기 위해 휴대하고 다니게 된다.
그런데, 요즈음은 산업화가 진전됨에 따라, 환경오염이 심화되어 커다란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사람들은 수도물도 믿지 못하고 정수기를 설치하여 수도물을 정수하여 마시든가 아니면, 정수된 물을 사서 마시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사람들은 야외에서 활동하는 중에도 정수된 물을 휴대용 물병에 담아 이용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휴대용 물병에 물을 담아 이용하는 경우에는, 오랫동안 휴대용 물병에 물을 담아 놓으면, 세균에 의해 물이 오염될 우려가 있다. 또는 야외에서 깨끗한 정수된 물을 얻기가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는, 사람에 따라서는 건강을 위해 물을 알칼리수로 만들어 마시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휴대용 물병이 일반적인 물을 알칼리수로 만드는 기능을 포함하도록 하면 좋다.
또한, 사람들은 기호에 따라, 물에 녹차를 타서 마시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러한 경우 휴대용 물병에 담긴 물을 녹차 물로 만들 수 있도록, 휴대용 물병에 녹차를 담을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일정량의 물을 휴대할 수 있으며, 살균 기능, 알칼리수 제조 기능, 및 녹차 물 제조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포함하는 휴대용 물병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살균 기능, 알칼리수 제조 기능, 녹차 물 제조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수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면서, 유지관리가 용이한 휴대용 물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수처리 기능 외에 광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휴대용 물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음료수를 수용하며,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개구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음료수가 나오는 출수구가 형성된 내부 뚜껑; 및 상기 내부 뚜껑의 출수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음료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 수처리 봉;을 포함하며, 상기 수처리 봉은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 개의 수처리 블록으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수처리 블록에는 각각 서로 다른 종류의 수처리 물질이 담겨있는 휴대용 물병을 제공함으로써 달성가능하다.
이때, 상기 수처리 블록은, 중공으로 형성되며, 그 외면에 복수 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블록 몸체; 상기 블록 몸체의 양단에 각각 형성된 수 결합부와 암 결합부; 및 상기 블록 몸체의 내부에 상기 수 결합부와 암 결합부 가까이에 각각 한 개씩 설치된 그물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처리 물질은 상기 블록 몸체의 내부에 상 기 2개의 그물부 사이에 담겨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처리 물질은 나노 항균 물질, 토르말린(tourmaline), 마그네슘, 바이오 세라믹, 녹차 중 적어도 어느 한 가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물병은 상기 내부 뚜껑에 설치되며, 상기 음료수를 살균하는 자외선 살균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자외선 살균수단은 자외선 램프(Ultraviolet lamp)와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자외선 살균수단은 상기 음료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물병은 상기 내부 뚜껑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조명광고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명광고수단은, 상기 내부 뚜껑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광고판; 상기 내부 뚜껑의 내부에 상기 광고판의 내면에 설치되는 확산 필름; 및 상기 내부 뚜껑의 내부에 상기 확산 필름의 내측에 설치되는 광고용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음료수를 수용하며,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개구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음료수가 나오는 출수구가 형성된 내부 뚜껑; 및 상기 내부 뚜껑에 설치되며, 상기 음료수를 살균하는 자외선 살균수단;을 포함하는 휴대용 물병을 제공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자외선 살균수단은, 상기 음료수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램프(Ultraviolet lamp); 상기 음료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 센서; 상기 수위 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자외선 램프를 온(On) 또는 오프(Off)하는 제어부; 및 상기 자외선 램프, 수위 센서, 및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물병에 의하면, 수처리 봉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수처리 블록에 여러 가지의 수처리 물질이 수용되므로, 휴대용 물병에 담긴 물에 대해 사용자가 원하는 적절한 수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수처리 블록은 분해/결합이 자유롭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여러 개의 수처리 물질의 수명이 다른 경우, 수명이 다된 수처리 물질이 담긴 수처리 블록만을 분해하여 새로운 것으로 교체할 수 있으므로,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경제적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물병은, 내부 뚜껑에 자외선 살균유닛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휴대용 물병에 담긴 물을 효과적으로 살균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물병은 내부 뚜껑의 외주면에 광고문구 등을 형성하고, 이를 내부 뚜껑에 설치된 광고용 발광다이오드로 조명할 수 있으므로, 효과적으로 광고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물병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물병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물병의 단면도이다. 다만, 도 2에서 내부 뚜껑의 단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광고용 발광다이오드, 수위 센서, 자외선 램프, 및 출수구의 단면이 모두 보이도록 도시하였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물병(1)은 몸체(10), 내부 뚜껑(20), 수처리 봉(30) 및 외부 뚜껑(60)을 포함한다.
몸체(10)는 일정량의 음료수(2)를 수용하며, 상단에는 내부 뚜껑(20)이 결합되는 개구부(11)가 형성된다. 몸체(10)는 내부의 음료수(2)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몸체(10)는 물 또는 다른 음료수(2)를 담았을 때, 물이나 다른 음료수(이하의 설명에서는 물이라고 통칭하여 설명한다)에 화학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몸체(10)는 필요 또는 취향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부 뚜껑(20)은 상기 몸체(10)의 개구부(1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내 부 뚜껑(20)과 몸체(10)를 결합하기 위해 내부 뚜껑(20)의 내면에는 암나사(20a)가 형성되고, 몸체(10)의 개구부(11)의 외주면에는 수나사(12)를 형성할 수 있다. 내부 뚜껑(20)을 몸체(10)의 개구부(11)에 결합하였을 때, 내부 뚜껑(20)과 몸체(10) 사이로 물이 새지 않도록 내부 뚜껑(20)과 몸체(10)의 나사부(20a,12)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 뚜껑(20)의 상면에는 몸체(10)에 저장된 물(2)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출수구(21)가 형성된다. 몸체(10)의 개구부(11)가 내부 뚜껑(20)에 의해 닫힌 상태에서, 출수구(21)는 몸체(10) 내부에 담긴 물(2)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출수구(21)의 내면에는 수처리 봉(30)이 결합되는 봉 결합부(22)가 형성된다. 봉 결합부(22)는 수처리 봉(30)을 쉽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떠한 구조로도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 출수구(21)의 봉 결합부(22)는 암나사로 형성하였다. 다른 실시예로 수처리 봉(30)과 출수구(21)의 봉 결합부(22)의 결합구조를 원터치 결합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내부 뚜껑(20)의 상면에는 상술한 출수구(21)의 상단을 막을 수 있는 출수구 캡(23)이 설치된다. 출수구 캡(23)은 내부 뚜껑(20)의 상면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수처리 봉(30)은 적어도 한 개의 수처리 물질(71,72,73,74)을 포함하며, 몸체(10)에 담긴 물(2)이 수처리 봉(30)을 통해 출수구(21)로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수처리 봉(30)은 내부 뚜껑(20)의 출수구(2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내부 뚜껑(20)의 출수구(21)의 봉 결합부(22)가 암나사로 형성된 경우 에는 수처리 봉(30)의 피결합부(38)는 수나사로 형성된다. 또한, 출수구(21)의 봉 결합부(22)가 원터치 결합구조로 형성된 경우, 수처리 봉(30)의 피결합부(38)도 이에 대응되는 원터치 결합구조로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수처리 봉(30)을 쉽게 내부 뚜껑(20)에 부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이러한 수처리 봉(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 개의 수처리 블록(31,32,33,34)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처리 블록(31,32,33,34)의 일 예가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복수 개의 수처리 블록(31,32,33,34)의 구조는 동일하므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한 개의 수처리 블록(31)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물병(1)에 사용되는 수처리 블록(31)은, 중공의 블록 몸체(31a)로 형성될 수 있다. 블록 몸체(31a)의 외면에는 복수 개의 관통구멍(37)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통구멍(37)은 슬롯(slot)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관통구멍(37)은 슬롯형상 외에 원형, 정사각형, 삼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복수 개의 관통구멍(37)은 블록 몸체(31a)의 내부에 수용된 수처리 물질(71)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으면서, 몸체(10)에 담긴 물(2)은 블록 몸체(31a)의 내부로 자유롭게 들어오고 나갈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블록 몸체(31a)의 내부에는 블록 몸체(31a)의 양단 부근,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 몸체(31a)의 상단과 하단 가까이에 각각 한 개씩의 그물부(35,36)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상부 및 하부 그물부(35,36)는 블록 몸체(31a)의 내부에 수용 된 수처리 물질(71)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으면서, 몸체(10)에 담긴 물(2)은 블록 몸체(31a)의 내부로 자유롭게 들어오고 나갈 수 있는 크기의 그물눈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몸체(10)에 담긴 물(2)은 복수 개의 관통구멍(37)과 그물부(35,36)를 통해 블록 몸체(31a)의 내부로 자유롭게 들어오고 나갈 수 있으므로, 수처리 블록(31)에 담긴 수처리 물질(71)에 의해 몸체(10)에 담긴 물(2)이 적절하게 수처리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블록 몸체(31a)는 서로 분리 및 결합될 수 있도록, 블록 몸체(31a)의 양단, 즉, 도 4 및 도 5에서 블록 몸체(31a)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수 결합부(38)와 암 결합부(39)가 형성될 수 있다. 수 결합부(38)와 암 결합부(39)는 나사 결합, 원터치 결합과 같은 다양한 결합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수 결합부(38)는 수나사로 형성되며, 암 결합부(39)는 상기 수나사가 결합될 수 있는 암나사로 형성된다. 따라서, 2개의 수처리 블록(31,32,33,34)을 연결할 때에는 한 개의 수처리 블록(31)의 암 결합부(39)에 다른 수처리 블록(32)의 수 결합부(38)를 결합하면 된다.
블록 몸체(31a)의 내부에 상기 2개의 그물부(35,36) 사이에 수용되는 수처리 물질(71,72,73,74)은 물(2)에 특정한 물리적 또는/및 화학적 효과를 주어 물(2)의 성질을 변화시키거나, 항균 또는 살균효과를 줄 수 있는 물질이면, 어떠한 물질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수처리 물질(71,72,73,74)은 블록 몸체(31a)에 형성된 복수 개의 관통구멍(37)과 그물부(35,36)를 통해 누출되지 않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공(또는, 볼, 구)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수처리 물질(71,72,73,74)은 수처리 블록(31,32,33,34)의 복수 개의 관통구멍(37)과 그물부(35,36)를 통해 누출되지 않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무정형의 알갱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처리 물질(71,72,73,74)은 물(2)에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하는 항균 기능을 갖는 항균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항균 물질은 은 나노(Ag nano) 입자가 코팅된 나노항균볼(74)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은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나노향균볼(74)은 대략 3~4개월의 수명을 갖는다. 또한, 수처리 물질(71,72,73,74)은 물(2)을 알칼리 수로 만들 수 있는 토르말린(tourmaline)(73)과 마그네슘(72)을 포함할 수 있다. 토르말린(73)과 마그네슘(72)은 같이 작용하여 몸체(10)에 담겨 있는 물(2)을 알칼리 수로 만드는 작용을 하며, 대략 8~12개월의 수명을 갖는다. 또한, 수처리 블록(31)에는 몸체(10)의 물(2)을 녹차 물로 만드는 녹차(71)가 수용될 수 있다. 또는 녹차에 대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선호하는 침출 가능한 물질을 수처리 블록(71)에 수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수처리 블록(71)에는 원적외선을 방출하여 물을 활성화시키는 바이오 세라믹을 수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처리 블록(31,32,33,34)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한 개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2개 이상의 수처리 블록(31,32,33,34)이 조립된 것을 수처리 봉(30)이라고 한다. 복수 개의 수처리 블록(31,32,33,34)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복수 개의 수처리 블록(31,32,33,34)에는 각각 서로 다른 종류의 수처리 물질(71,72,73,74)을 담아 사용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4개의 수처리 블록(31,32,33,34)이 수처리 봉(30)을 형성 하고 있다. 가장 하단의 수처리 블록(34)에는 나노항균볼(74)이 수용되며, 하단에서 두 번째와 세 번째 수처리 블록(33,32)에는 각각 토르말린볼(73)과 마그네슘볼(72)이 수용되어 있다. 내부 뚜껑(20)에 결합되는 가장 상단의 수처리 블록(31)에는 녹차 또는/및 바이오 세라믹볼(71)이 수용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수처리 봉(3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뚜껑(20)의 출수구(21)에 결합된다. 따라서, 내부 뚜껑(20)의 출수구(21)의 봉 결합부(22)의 결합구조는 수처리 블록(31,32,33,34)의 수 결합부(38)에 대응되는 결합구조로 형성된다. 즉, 내부 뚜껑(20)의 출수구(21)의 봉 결합부(22)와 수처리 블록(31,32,33,34)의 암 결합부(39)는 동일한 구조로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물병(1)은 몸체(10)에 담긴 물(2)을 살균할 수 있는 자외선 살균수단(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자외선 살균수단(40)은 내부 뚜껑(20)에 설치된다. 내부 뚜껑(20)에는 자외선 살균수단(40)이 설치되는 수용공간(25)이 형성된다. 수용공간(25)은 격벽(26)에 의해 형성되며, 수용공간(25)의 상부는 유닛 덮개(29)에 의해 덮여 있다. 이와 같은 자외선 살균수단(40)은 도 8 및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체로 된 자외선 살균유닛으로 형성할 수 있다.
자외선 살균유닛(40)은 자외선을 방출하는 자외선 램프(Ultraviolet lamp)(42), 배터리(Battery)(미도시), 스위치(44), 및 케이스(41)를 포함할 수 있다.
자외선 램프(42)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41)의 하면에서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배터리(미도시)는 케이스(41)의 내부에 설치되며 자외선 램프(4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스위치(44)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41)의 상면에 설치되며, 자외선 램프(42)를 온(On)/오프(Off) 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자외선 살균유닛(40)이 내부 뚜껑(20)의 수용공간(25)에 설치되면, 자외선 램프(42)는 몸체(10)에 담긴 물(2)을 향하게 되고, 스위치(44)는 내부 뚜껑(20)의 상면을 향하게 된다.
자외선 램프(42)는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소정 파장의 자외선을 방출한다. 이러한 자외선 램프(42)로는 약 255~265nm의 파장을 갖는 자외선을 방출하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를 사용할 수 있다.
케이스(41) 하면에 대응되는 수용공간(25)의 격벽(26)에는 자외선 살균유닛(40)의 자외선 램프(42)에 대응되는 위치에 투명 캡(27)이 설치된다. 투명 캡(27)은 자외선 램프(42)에서 발광된 자외선을 투과시키며, 몸체(10)에 담긴 물(2)이 내부 뚜껑(20)의 수용공간(25)으로 인입되지 않도록 방수처리되어 있다.
자외선 살균유닛(40)은 몸체(10)에 담긴 물(2)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는 수위 센서(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위 센서(43)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41)의 하면에 자외선 램프(42)의 일측에 설치된다. 또한, 케이스(41) 하면에 대응되는 수용공간(25)의 격벽(26)에는 자외선 살균유닛(40)의 수위 센서(43)에 대응되는 위치에 센서 투명 캡(28)이 설치된다. 센서 투명 캡(28)은 수위 센서(43)에서 발생된 빛을 투과시키며, 몸체(10)에 담긴 물(2)이 수용공간(25)으로 인입되지 않도록 방수처리되어 있다. 따라서, 수위 센서(4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외 선 램프(42)의 일측으로 몸체(10)에 담긴 물(2)의 수면과 마주하도록 설치되어, 수위 센서(43)로부터 수면까지의 거리(D)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수위 센서(43)는 자외선 램프(42)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는 수위 센서(43)의 신호에 따라 몸체(10)에 담긴 물(2)의 양을 판단하고, 이를 이용하여 자외선 램프(42)를 온/오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는 몸체(10)에 담긴 물(2)의 양이 몸체(10)에 수용될 수 있는 최대 물(2)의 양의 1/2 이상인 경우에는 자외선 램프(42)를 온시키고, 1/2 미만인 경우에는 자외선 램프(42)를 오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부는 CPU, 메모리 등을 포함하는 전자회로기판(PCB)으로 형성되며, 케이스(41)의 내부에 설치된다. 또한, 제어부는 상술한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어부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자외선 램프(42)를 온/오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가 1시간 동안 자외선 램프(42)를 온하고, 1시간 동안 자외선 램프(42)를 오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어부가 자외선 램프(42)를 온/오프시키는 기준은 제어부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자외선 살균유닛(40)의 케이스(41) 일측에는 커넥터(45)가 설치될 수 있다. 커넥터(45)는 충전기를 연결하여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45)는 컴퓨터와 연결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어부가 자외선 램프(42)를 온/오프하는 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물병(1)은, 조명을 이용하여 간단한 광고문구나 전화번호를 광고할 수 있는 조명광고수단(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명광고수단(5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뚜껑(20)의 일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조명광고수단(50)은, 광고판(51), 확산 필름(52), 광고용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53)를 포함할 수 있다.
광고판(51)은 내부 뚜껑(20)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광고문구나 전화번호 등은 음각 또는 양각으로 광고판(51)에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광고판(51)은 별도의 부재로 형성하여, 내부 뚜껑(20)의 일측면에 설치할 수 있다.
확산 필름(52)은 광고용 발광다이오드(53)에서 발광된 빛이 광고판(51) 전체에 걸쳐 고루 퍼지도록 하는 것으로서, 내부 뚜껑(20)의 내부에 광고판(51)의 내면과 접촉하거나 근접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확산 필름(52)은 광고판(51)과 광고용 발광다이오드(53) 사이에 설치된다.
광고용 발광다이오드(53)는 내부 뚜껑(20)의 내부에 확산 필름(52)의 내측에 설치된다. 이 광고용 발광다이오드(53)는 조명광고수단(50)의 발광원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7 가지의 빛을 순차적으로 발광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광고용 발광다이오드(53)는 자외선 살균유닛(40)과 별도로 설치할 수 있으나,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외선 살균유닛(40)에 일체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광고용 발광다이오드(53)는 자외선 살균유닛(40)의 케이스(41)의 일측면에 설치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외선 살균유닛(40)을 내부 뚜껑(20)의 수용공간(25)에 설치하면, 광고용 발광다이오드(53)가 수용공간(25)의 일측면에 형성된 구멍(54)을 통해 내부 뚜껑(20)의 측면에 설치된 확산 필 름(52)과 마주하게 된다. 따라서, 광고용 발광다이오드(53)에 전원이 인가되어 발광하면, 확산 필름(52)을 통해 광고용 발광 다이오드(53)의 빛이 광고판(51)으로 퍼져 광고판(51)에 형성된 광고문구에 빛을 비추게 되므로, 사용자나 제3자가 광고판(51)의 내용을 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광고용 발광다이오드(53)도 상술한 제어부 및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가 광고용 발광다이오드(53)를 제어하여 광고효과를 극대화시키도록 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광고용 발광다이오드(53)에서 발광되는 빛의 색깔이 변화하는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는 광고용 발광다이오드(53)가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점멸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어부는 광고용 발광다이오드(53)를 자외선 램프(42)와 연동하여 온/오프 제어할 수도 있다. 이때, 상술한 스위치(44)가 제어부의 동작을 온/오프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외부 뚜껑(6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뚜껑(20)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외부 뚜껑(60)은 내부 뚜껑(20)의 광고판(51)에 대응되는 부분이 내부 뚜껑(20)의 돌출된 광고판 부분을 수용할 수 있도록 돌출되어 형성된다. 휴대용 물병(1)에 담긴 물(2)을 마실 경우에는 외부 뚜껑(60)을 열고, 출수구 캡(23)을 열어 출수구(21)를 개방할 필요가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물병(1)의 작용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수처리 봉(30)을 사용하여 휴대용 물병(1)에 담긴 물(2)을 수처리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는 4개의 수처리 블록(31,32,33,34), 즉 녹차(71)가 수용된 제1수처리 블록(31), 마그네슘볼(72)이 수용된 제2수처리 블록(32), 토르말린볼(73)이 수용된 제3수처리 블록(33), 및 나노항균볼(74)이 수용된 제4수처리 블록(34)을 차례로 결합하여 도 3과 같이 수처리 봉(30)을 만든다. 그 후, 제1수처리 블록(31)의 수 결합부(38)를 내부 뚜껑(20)의 출수구(21)에 결합하면, 수처리 봉(30)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뚜껑(20)과 일체로 결합된다. 이어서, 휴대용 물병(1)의 몸체(10)에 물(2)을 담고, 수처리 봉(30)을 몸체(10)의 내부로 삽입한 상태로 내부 뚜껑(20)을 닫는다. 그러면, 수처리 봉(30)이 물(2)속에 위치하게 되므로, 수처리 봉(30)의 4개의 수처리 블록(31,32,33,34)에 수용된 수처리 물질(71,72,73,74)에 의해 몸체(10)에 담긴 물(2)이 적절하게 수처리된다. 즉, 제4수처리 블록(34)에 수용된 나노항균볼(74)에 의해 몸체(10)의 물(2)에 세균이 번식되는 것이 방지되며, 제3 및 제2수처리 블록(33,32)에 각각 수용된 토르말린볼(73)과 마그네슘볼(72)에 의해 물이 알칼리수로 변하며, 제1수처리 블록(31)에 수용된 녹차(71)에 의해 녹차 물이 된다. 또한, 제1수처리 블록(31)에 녹차 대신 또는 녹차와 함께 바이오 세라믹이 수용된 경우에는 바이오 세라믹에서 나오는 원적외선에 의해 물(2)이 활성화된다.
또한, 사용자가 물(2)을 마실 경우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수구 캡(23)을 열어 출수구(21)를 개방한다, 그 후, 몸체(10)를 기울이면 출수구(21)를 통해 물(2)이 나오므로 이를 마실 수 있다. 이때, 수처리 봉(30)이 출수구(21)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몸체(10)의 물(2)은 도 10의 화살표로 표시한 것과 같이 수처리 봉(30)을 통과하여 외부로 나오게 된다. 따라서, 수처리 봉에 수용된 수처리 물질(71,72,73,74)에 의한 수처리 효과가 더욱 증진된다.
이와 같은 수처리 물질(71,72,73,74)은 각각 수명이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나노항균볼(74)은 수명이 3-4개월이고, 마그네슘(72)과 토르말린(73)은 수명이 8-12개월이다. 따라서, 사용 후 4개월이 경과하면, 나노항균볼(74)은 교체할 필요가 있다. 이때, 나노항균볼(74)이 수용된 제4수처리 블록(34)만 분리하고, 새로운 나노항균볼(74)이 수용된 제4수처리 블록(34)을 다시 제3수처리 블록(33)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수처리 봉(30)은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복수 개의 수처리 블록(31,32,33,34)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명이 다른 여러 종류의 수처리 물질(71,72,73,74)을 사용하는 경우에, 수명이 다된 수처리 물질(71,72,73,74)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다.
다음으로, 자외선 살균유닛(40)을 이용하여 휴대용 물병(1)에 담긴 물(2)을 살균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는 휴대용 물병(1)에 담긴 물(2)을 살균하고 싶은 경우에는 내부 뚜껑(20)에 설치된 스위치(44)를 온하면 자외선 램프(42)로부터 자외선이 방출되어 물(2)을 살균하게 된다. 만일, 자외선 살균유닛(40)에 수위 센서(43)가 설치된 경우에는 제어부가 수위 센서(43)를 이용하여 자외선 램프(42)가 자동으로 물을 살균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는 조명광고수단(50)의 광고용 발광다이오드(53)를 제어하여 광고판(51)에 기재된 광고문구 또는 전화번호를 조명함으로써 광고효과를 얻을 수 있 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행할 수 있는 단순한 구성요소의 치환, 부가, 삭제, 변경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 범위 내에 속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물병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물병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휴대용 물병의 수처리 봉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휴대용 물병의 수처리 봉을 구성하는 수처리 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수처리 블록의 단면도;
도 6은 도 2의 휴대용 물병의 내부 뚜껑의 평면도;
도 7은 도 2의 휴대용 물병의 내부 뚜껑의 저면도;
도 8은 도 2의 휴대용 물병의 내부 뚜껑에 설치되는 자외선 살균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자외선 살균유닛의 저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물병에서 외부 뚜껑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휴대용 물병 2: 물(음료수)
10; 몸체 11; 개구부
20; 내부 뚜껑 21; 출수구
23; 출수구 캡 25; 수용공간
26; 격벽 27; 투명 캡
28; 센서 투명 캡 29; 유닛 덮개
30; 수처리 봉 31,32,33,34; 수처리 블록
35,36; 그물부 37; 관통공
38; 수 결합부 39; 암 결합부
40; 자외선 살균수단(유닛) 41; 케이스
42; 자외선 램프 43; 수위 센서
44; 스위치 50; 조명광고수단
51; 광고판 52; 확산 필름
53; 광고용 발광다이오드 60; 외부 뚜껑
71,72,73,74; 수처리 물질

Claims (10)

  1. 음료수를 수용하며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개구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음료수가 나오는 출수구가 형성된 내부 뚜껑과;
    상기 내부 뚜껑의 출수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 개의 수처리 블록이 상기 음료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수처리 봉과;
    상기 내부 뚜껑에 설치되며, 상기 음료수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램프(Ultraviolet lamp)와, 상기 음료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 센서와, 상기 수위 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자외선 램프를 온(On) 또는 오프(Off)하는 제어부 및 상기 자외선 램프, 수위 센서, 및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로 구성되어 상기 음료수를 살균하는 자외선 살균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처리 블록은 중공으로 형성되며 그 외면에 복수 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블록 몸체와, 상기 블록 몸체의 양단에 각각 형성된 수 결합부와 암 결합부와, 상기 블록 몸체의 내부에 상기 수 결합부와 암 결합부 가까이에 각각 한 개씩 설치된 그물부로 구성되면서 수처리 물질은 상기 블록 몸체의 내부에 상기 2개의 그물부 사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물병.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처리 물질은 나노 항균 물질, 토르말린(tourmaline), 마그네슘, 바이오 세라믹, 녹차 중 적어도 어느 한 가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물병.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뚜껑의 일측면에 상기 내부 뚜껑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광고판과, 상기 내부 뚜껑의 내부에 상기 광고판의 내면에 설치되는 확산 필름 및 상기 내부 뚜껑의 내부에 상기 확산 필름의 내측에 설치되는 광고용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로 구성되는 조명광고수단이 더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물병.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090060706A 2009-07-03 2009-07-03 휴대용 물병 KR101216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0706A KR101216540B1 (ko) 2009-07-03 2009-07-03 휴대용 물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0706A KR101216540B1 (ko) 2009-07-03 2009-07-03 휴대용 물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101A KR20110003101A (ko) 2011-01-11
KR101216540B1 true KR101216540B1 (ko) 2012-12-31

Family

ID=43611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0706A KR101216540B1 (ko) 2009-07-03 2009-07-03 휴대용 물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654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0622B1 (ko) * 2015-01-26 2015-07-31 허상열 찻잎 우려냄과 냉각 기능을 갖춘 휴대용 음료용기
KR101777456B1 (ko) * 2015-06-15 2017-09-12 러닝플러스 주식회사 차 음료 제조용 용기 마개
KR20220112143A (ko) * 2021-02-03 2022-08-10 김석진 살균기능을 구비한 텀블러
KR20240006242A (ko) 2022-07-06 2024-01-15 김수빈 전자식 병마개 개폐형 보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558B1 (ko) * 2012-03-20 2014-02-12 한국과학기술원 휴대용 음료용기
WO2014172052A2 (en) * 2013-03-18 2014-10-23 Sensor Electronic Technology, Inc. Ultraviolet disinfection case
US9801965B2 (en) 2013-03-18 2017-10-31 Sensor Electronic Technology, Inc. Ultraviolet disinfection case
KR101597345B1 (ko) * 2013-12-09 2016-02-24 김봉재 휴대용 자가발전 정수물병
KR101545929B1 (ko) * 2014-03-28 2015-08-2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휴대용 물병
TW202028125A (zh) * 2018-09-11 2020-08-01 美商通路實業集團國際公司 水處理系統
US11235999B2 (en) 2019-12-06 2022-02-01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Water treatment system
KR102421152B1 (ko) * 2020-07-20 2022-07-15 갤럭시아일렉트로닉스(주) 살균 텀블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6370A (ja) * 2002-12-19 2004-07-15 Royal Kogyo Kk 飲料容器又は食品容器用キャップ
KR100810560B1 (ko) * 2006-09-06 2008-03-18 (주)헥사월드 휴대용 정수 카트리지
KR100820945B1 (ko) * 2007-04-25 2008-04-11 아이에스엠 주식회사 광고 기능을 구비한 음료 용기
KR100847208B1 (ko) * 2007-02-22 2008-07-17 장 제임스 휴대용 정수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6370A (ja) * 2002-12-19 2004-07-15 Royal Kogyo Kk 飲料容器又は食品容器用キャップ
KR100810560B1 (ko) * 2006-09-06 2008-03-18 (주)헥사월드 휴대용 정수 카트리지
KR100847208B1 (ko) * 2007-02-22 2008-07-17 장 제임스 휴대용 정수기
KR100820945B1 (ko) * 2007-04-25 2008-04-11 아이에스엠 주식회사 광고 기능을 구비한 음료 용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0622B1 (ko) * 2015-01-26 2015-07-31 허상열 찻잎 우려냄과 냉각 기능을 갖춘 휴대용 음료용기
KR101777456B1 (ko) * 2015-06-15 2017-09-12 러닝플러스 주식회사 차 음료 제조용 용기 마개
KR20220112143A (ko) * 2021-02-03 2022-08-10 김석진 살균기능을 구비한 텀블러
KR102577933B1 (ko) 2021-02-03 2023-09-12 김석진 살균기능을 구비한 텀블러
KR20240006242A (ko) 2022-07-06 2024-01-15 김수빈 전자식 병마개 개폐형 보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101A (ko) 2011-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6540B1 (ko) 휴대용 물병
KR101832472B1 (ko) 마스크 살균 및 건조장치
US10849995B2 (en) Handheld sanitizing device
US9346687B1 (en) Water purifying drink system and method
US7550089B2 (en) Floating ultraviolet water purification device
KR101669911B1 (ko) 식수공급장치
US10988389B1 (en) Water sterilization cap with removable cartridge
US6042720A (en) Apparatus for storing and disinfecting a fluid
US20140300273A1 (en) Light-emitting container
US8975596B1 (en) Water purifying drink containers
US20130259984A1 (en) Illuminated Color Changing Interchangeable Drinking Vessel Assembly
US20070007304A1 (en) Illuminated liquid soap dispenser
KR20170001535U (ko) 살균 기능을 갖는 휴대용 물통
US7175294B1 (en) Insulated and luminescent drinking vessel
US20220388873A1 (en) Bottlecap with UV LED and a removable filter cartridge for water purification
KR101905171B1 (ko) 휴대용 콘택트 렌즈 케이스
JP3912806B2 (ja) 光触媒装置
JP2017170342A (ja) 殺菌装置
KR200425133Y1 (ko) 고휘도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내장한 휴대용 칫솔살균장치
CN205433137U (zh) 一种杀菌水杯
KR101871162B1 (ko) 살균기능 및 무드등 기능이 가능한 텀블러
US20110260077A1 (en) Disinfecting liquid dispenser
CN207861949U (zh) 过流式紫外led杀菌装置
KR20150061337A (ko) Uv led가 구비된 휴대용 물통
CN202484639U (zh) 一种便于拆装的健康杀菌夜明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