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6494B1 - 미세전류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미세전류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6494B1
KR101216494B1 KR1020110143153A KR20110143153A KR101216494B1 KR 101216494 B1 KR101216494 B1 KR 101216494B1 KR 1020110143153 A KR1020110143153 A KR 1020110143153A KR 20110143153 A KR20110143153 A KR 20110143153A KR 101216494 B1 KR101216494 B1 KR 101216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block
microcurrent
housing
flow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3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우승
Original Assignee
(주)지원에프알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원에프알에스 filed Critical (주)지원에프알에스
Priority to KR1020110143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6494B1/ko
Priority to PCT/KR2012/011623 priority patent/WO2013100654A1/ko
Priority to US14/369,530 priority patent/US20140361642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6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6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34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 A43B3/38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with power sour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3/0218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alternating magnetic fields producing a translating or oscillat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84Garment electrodes wor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72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the implantation of stimulators
    • A61N1/378Electrical supply
    • A61N1/3785Electrical supply generated by biological activity or substance, e.g. body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2Magnetotherapy using magnetic fields produced by coils, including single turn loops or electro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12Magnetotherapy using variable magnetic fields obtained by mechanical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gnetic Treatment Devices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Abstract

미세전류의 발생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미세전류 발생장치가 개시된다. 미세전류 발생장치는,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갖는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는 코일블록, 코일블록의 일면에 유동 가능하게 제공되어 코일블록과 상호 작용하며 미세전류를 발생시키는 유동자석, 및 코일블록에 대한 유동자석의 유동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유동자석은 코일블록에 대한 초기 움직임(first motion) 이후, 탄성부재에 의해 진동(vibration)하며 코일블록과 상호 작용한다.

Description

미세전류 발생장치{DEVICE FOR GENERATING MICRO ELECTRICAL CURRENT}
본 발명은 미세전류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미세전류의 발생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미세전류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에는 생체전류라는 미약(미세)한 전류가 흐르는데, 이 전류로 대뇌와 장기기관은 서로 정보를 전달해서 건강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건강이 안 좋아지면 생체전류도 약해지고 불안정함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미세전류가 신진대사와 혈액순환을 활발하게 돕고 결국 자연치유력을 높이는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적정한 미세전류는 세포재생, 통증완화, 혈액 순환 개선 및 호르몬분비 촉진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치료나 마사지용으로 미세전류를 이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미세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는 미세전류 발생장치에 대한 개발이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다.
종래 미세전류 발생장치 중 하나로서,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기를 미세전류로 변환시킬 수 있는 미세전류 발생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배터리를 사용함에 따라 배터리의 교체로 인한 유지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배터리 장착에 필요한 공간확보와 전자부품의 보호를 위한 수밀성을 확보하여야 하기 때문에 실용성 및 제작상에 많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 미세전류 발생장치 중 다른 하나로서, 압력이 가해짐에 미세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는 압전소자를 이용한 미세전류 발생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고가의 압전소자를 사용함에 따라 제조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고, 필연적으로 외력이 가해져야만 미세전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적용 위치가 매우 제한적일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코일에 대해 자석이 유동될 시 미세전류가 발생될 수 있도록 한 간단한 구조의 미세전류 발생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기존 미세전류 발생장치는 주변 움직임(또는 외력)이 없는 경우에는 자석의 유동이 정지되어 미세전류가 발생하지 않고, 외력이 가해지거나 주변 움직임이 발생될 시에만 자석이 유동되며 미세전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연속적인 미세전류의 발생이 어렵고 미세전류가 간헐적으로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945145호(2010.02.24.)와 같이, 구조를 간소화하고, 제조 단가 및 유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미세전류의 발생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미세전류 발생장치에 대한 일부 대책들이 제안되고 있으나, 아직 미흡하여 이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미세전류의 발생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반영구적으로 미세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는 미세전류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으며, 제조 단가 및 유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미세전류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적용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위치에 장착할 수 있는 미세전류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미세전류 발생장치는,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갖는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는 코일블록, 코일블록의 일면에 유동 가능하게 제공되어 코일블록과 상호 작용하며 미세전류를 발생시키는 유동자석, 및 코일블록에 대한 유동자석의 유동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유동자석은 코일블록에 대한 초기 움직임(first motion) 이후, 탄성부재에 의해 진동(vibration)하며 코일블록과 상호 작용한다.
코일블록은 통상의 코일을 권선시켜 형성될 수 있으며,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코일블록은 대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유동자석은 코일블록의 일면에 유동 가능하게 제공되어 코일블록과 상호 작용하며 미세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유동자석은 코일블록의 상부에 수평으로 유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유동자석이 코일블록의 하부에 배치되거나, 코일블록의 상/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미세전류라 함은, 수~수백 마이크로암페어(㎂)의 범위에 속하는 전류로서, 일반적으로 감각수준이하자극(sub-sensory level stimulation)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미세전류에 의한 자극은 경피신경전기자극(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과 같은 형태보다 전류의 강도가 훨씬 낮기 때문에 다른 형태의 전기자극과는 구분될 수 있다.
탄성부재로서는 유동자석의 유동을 탄성적으로 지지 가능한 통상의 탄성수단이 사용될 수 있으며, 탄성부재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탄성부재는 유동자석의 유동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코일블록에 대한 유동자석의 초기 움직임 이후, 유동자석이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진동하며 코일블록과 상호 작용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유동자석의 초기 움직임이라 함은, 코일블록에 대해 유동자석이 움직이지 않고 정지된 상태에서 외부 압력 또는 주변 움직임 등에 의해 코일블록에 대해 유동자석이 처음으로 움직이는 상태, 및 유동자석이 유동이 정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다른 압력 및 주변 움직임에 의해 유동자석이 다시 움직이는 상태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예로, 탄성부재는 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부, 고정부의 단부에 일체로 연장되는 절곡탄성부, 및 절곡탄성부의 단부에 일체로 연장되며 유동자석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대략 판스프링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유동자석은 탄성부재를 매개로 외팔보(cantilever) 방식으로 탄성 지지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탄성부재가 코일스프링과 같은 여타 다른 스프링 형태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르게는 유동자석이 복수개의 탄성부재에 의해 동시에 지지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절곡탄성부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절곡탄성부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절곡될 수 있으며,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절곡탄성부의 절곡 형태 및 절곡 구간이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지지부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유동자석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지지부는 유동자석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유동자석의 둘레면을 탄성적으로 감싸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피대상체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하우징은 결합부재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결합부재는 통상의 결합 또는 부착 방법 등에 의해 피대상체 상에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부재와 피대상체 간의 결합방식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코일블록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인체에 접촉 가능하게 자극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자극부재는 일종의 돌기 형태로 형성되어 결합부재 상에 장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자극부재가 도전성 재질의 시트 형태로 형성되어 코일블록(또는 결합부재)으로부터 이격되게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피대상체라 함은 미세전류 발생장치가 장착되기 위한 대상체로서, 인체에 접촉 가능한 통상의 의복, 모자, 가방, 장신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피대상체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본 발명에 따른 미세전류 발생장치는 통상의 신발의 설포(tongue) 상단 부위에 장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미세전류 발생장치가 신발의 갑피 또는 여타 다른 부위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전류 발생장치에 의하면, 미세전류의 발생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코일블록에 대한 유동자석의 초기 움직임 이후, 유동자석이 탄성부재에 의해 진동하며 코일블록과 상호 작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미세전류의 발생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유동자석이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기 때문에, 유동자석의 초기 움직임 이후, 별도의 추가적인 외력 또는 움직임이 유동자석에 작용하지 않더라도 유동자석이 진동하며 코일블록과 상호 작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추가적인 미세전류의 발생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유동자석이 초기 움직임 이후 진동될 수 있기 때문에 연속적인 미세전류의 발생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보행시 최초 움직임에 의해 유동자석이 유동된 후, 다음 움직임이 발생되기 전까지 유동자석이 진동될 수 있기 때문에, 보행시 연속적으로 미세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배터리 또는 고가의 압전소자를 사용하지 않고 반영구적으로 미세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으며, 제조 단가 및 유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주변 움직임에 의한 유동자석에 유동에 의해 미세전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적용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위치 및 피대상체에 미세전류 발생장치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코일블록에 대한 유동자석의 유동에 의해 발생되는 미세전류를 이용하여 젖산(피로유발물질)분비 지연효과, 통증완화, 혈액 순환 개선 및 호르몬분비 촉진 등의 효능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전류 발생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전류 발생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전류 발생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전류 발생장치의 작동원리를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전류 발생장치의 장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전류 발생장치의 다른 장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전류 발생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상기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전류 발생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전류 발생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전류 발생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전류 발생장치의 작동원리를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전류 발생장치의 장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전류 발생장치의 다른 장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미세전류 발생장치(100)는 하우징(10), 코일블록(20), 유동자석(30) 및 탄성부재(4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은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갖도록 제공되며,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하우징(10)은 상호 협조적으로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상부하우징(12) 및 하부하우징(14)을 포함하여 대략 원통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일블록(20)은 하부하우징(14)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유동자석(30)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미세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코일블록(20)은 시중에서 통상적으로 사용 및 유통되고 있는 통상의 코일을 권선시켜 형성될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코일블록(20)이 대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코일블록이 여타 다른 형상을 갖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참고로, 상기 하우징(10) 및 그에 수용되는 코일블록(20)은 도 5와 같이 통상적인 신발(200)의 설포(tongue)(210) 상단 부위 또는 갑피 부위에 부분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 사이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6과 같이 모자의 관자놀이 부위에 부분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 사이즈로 형성되거나, 의류 및 브래지어의 특정 부위에 부분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 사이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동자석(3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블록(20)보다 작은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며, 코일블록(20)의 일면에 유동 가능하게 제공되어 코일블록(20)과 상호 작용하며 미세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유동자석(30)이 코일블록(20)의 상부에 수평으로 유동 가능하게 배치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유동자석이 코일블록의 하부에 배치되거나, 코일블록의 상/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유동자석(30)으로서는 시중에서 통상적으로 사용 및 유통되고 있는 통상의 자석이 사용될 수 있으며, 외부 압력 또는 주변 움직임 등에 의해 코일블록(20)에 대해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코일블록(20)에 대해 유동자석(30)이 유동함에 따라 코일블록(20)에서는 유도전류(미세전류)와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미세전류라 함은, 수~수백 마이크로암페어(㎂)의 범위에 속하는 전류로서, 일반적으로 감각수준이하자극(sub-sensory level stimulation)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미세전류에 의한 자극은 경피신경전기자극(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과 같은 형태보다 전류의 강도가 훨씬 낮기 때문에 다른 형태의 전기자극과는 구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40)는 코일블록(20)에 대한 유동자석(30)의 유동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제공된다. 상기 탄성부재(40)로서는 유동자석(30)의 유동을 탄성적으로 지지 가능한 통상의 탄성수단이 사용될 수 있으며, 탄성부재(40)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탄성부재(40)는 유동자석(30)의 유동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코일블록(20)에 대한 유동자석(30)의 초기 움직임(first motion) 이후, 유동자석(30)이 초기 움직임에 의한 탄성부재(40)의 탄성력에 의해 진동(vibration)하며 코일블록(20)과 상호 작용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유동자석(30)의 초기 움직임이라 함은, 코일블록(20)에 대해 유동자석(30)이 움직이지 않고 정지된 상태에서 외부 압력 또는 주변 움직임 등에 의해 코일블록(20)에 대해 유동자석(30)이 처음으로 움직이는 상태, 및 유동자석(30)의 유동이 정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다른 압력 및 주변 움직임에 의해 유동자석(30)이 다시 움직이기 시작하는 상태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유동자석(30)의 초기 움직임시에는 탄성부재(40)가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으며, 유동자석(30)의 초기 움직임이 완료된 후에는 탄성부재(40)의 복원력 및 감쇠력에 의해 유동자석(30)이 진동을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유동자석(30)의 수평 진동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탄성부재(40)가 단면의 장변(long side)이 수직하게 배치되는 판스프링 형태로 제공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일 예로, 상기 탄성부재(40)가 상부하우징(12)에 고정되는 고정부(42), 상기 고정부(42)의 단부에 일체로 연장되는 절곡탄성부(44), 및 상기 절곡탄성부(44)의 단부에 일체로 연장되며 유동자석(30)을 지지하는 지지부(46)를 포함하며, 유동자석(30)은 탄성부재(40)를 매개로 외팔보(cantilever) 방식으로 탄성 지지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탄성부재가 코일스프링과 같은 여타 다른 스프링 형태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상부하우징(12)에는 고정부(42)의 단부가 고정되기 위한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별도의 체결 또는 접착수단에 의해 상부하우징에 고정부가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절곡탄성부(44)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절곡탄성부(44)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절곡될 수 있다. 물론, 절곡탄성부가 직선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유동자석의 초기 움직임에 의한 진동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절곡탄성부가 지그재그 형상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절곡탄성부가 "L" 또는 여타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절곡탄성부의 형상 및 절곡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지지부(46)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유동자석(30)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지지부(46)는 유동자석(30)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유동자석(30)의 둘레면을 탄성적으로 감싸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별도의 체결 또는 접착수단을 배제하고 지지부(46)에 의해 유동자석(30)이 지지될 수 있게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별도의 체결 또는 접착수단에 의해 유동자석이 지지부에 지지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유동자석(30)은 탄성부재(40)를 매개로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진동할 수 있기 때문에, 미세전류의 발생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별도의 탄성부재(40)가 배제된 구조에서는 외력이 가해지거나 주변 움직임이 발생될 시에만 유동자석(30)이 유동할 수 있기 때문에, 연속적인 미세전류의 발생이 어렵고 미세전류가 간헐적으로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유동자석(30)의 초기 움직임 이후 유동자석(30)은 탄성부재(40)에 의해 진동할 수 있기 때문에 거의 연속적인 미세전류의 발생이 가능하다. 즉, 도 4를 참조하면, 유동자석(30)의 초기 움직임 이후, 별도의 추가적인 외력 또는 움직임이 유동자석(30)에 작용하지 않더라도 유동자석(30)은 탄성부재(40)에 의해 진동하며 코일블록(20)과 상호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미세전류의 발생이 가능하며, 거의 연속적인 미세전류의 발생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세전류 발생장치(100)는 피대상체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재(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은 결합부재(5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으며, 결합부재(50)를 매개로 피대상체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50)는 통상의 결합 또는 부착 방법 등에 의해 피대상체 상에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부재(50)와 피대상체 간의 결합방식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결합부재(50)에는 코일블록(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인체에 접촉 가능하게 결합부재(50)의 외부로 노출되는 자극부재(60)가 제공될 수 있으며, 전술한 코일블록(20) 및 유동자석(30)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된 미세전류는 자극부재(60)를 통해 인체를 자극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자극부재가 일종의 돌기 형태로 형성되어 결합부재 상에 장착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자극부재가 도전성 재질의 시트 형태로 형성되어 코일블록(또는 결합부재)으로부터 이격되게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전류 발생장치(100)는 주변의 작은 움직임에 의해서도 작동할 수 있기 때문에, 즉, 주변의 작은 움직임에 의해서도 유동자석(30)이 유동되며 미세전류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적용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위치 및 피대상체에 장착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피대상체라 함은 미세전류 발생장치(100)가 장착되기 위한 대상체로서, 인체에 접촉 가능한 통상의 의복, 모자, 가방, 장신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피대상체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미세전류 발생장치(100)는 통상의 신발(200)의 설포(tongue)(210) 상단 부위 또는 갑피 부위에 장착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미세전류 발생장치가 신발의 여타 다른 부위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일 예로,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따른 미세전류 발생장치(100)는 의류, 모자 및 브래지어(brassiere)에 장착될 수 있으며,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개가 장착될 수 있다. 아울러, 미세전류 발생장치(100)로부터 발생된 미세전류는 자극부재(60')를 통해 인체를 자극할 수 있는 바, 자극부재(60')는 피대상체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배치되는 위치가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가령, 의류에 미세전류 발생장치(100)가 장착될 경우 자극부재(60')는 심장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고, 모자에 미세전류 발생장치(100)가 장착될 경우 자극부재(60')는 관자놀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브래지어에 미세전류 발생장치(100)가 장착될 경우 자극부재(60")는 가슴부위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전류 발생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아울러,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동일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단 하나의 탄성부재에 의해 유동자석이 외팔보 방식으로 지지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유동자석이 복수개의 탄성부재에 의해 동시에 지지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을 참조하면, 미세전류 발생장치는 하우징(10), 코일블록(20), 유동자석(30) 및 유동자석(30)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복수개의 탄성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유동자석(30)은 코일스프링 형태로 형성된 2개의 탄성부재(40')에 의해 동시에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3개 이상의 탄성부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탄성부재의 개수 및 배치 간격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유동자석의 진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유동자석이 단 하나의 탄성부재에 의해 외팔보 방식으로 지지되는 경우 가장 활성화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주요 기술적 내용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하우징 20 : 코일블록
30 : 유동자석 40 : 탄성부재
50 : 결합부재 60 : 자극부재

Claims (9)

  1. 미세전류 발생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갖는 하우징;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는 코일블록;
    상기 코일블록의 일면에 유동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코일블록과 상호 작용하며 미세전류를 발생시키는 유동자석; 및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단부에 일체로 연장되며 지그재그 형상으로 절곡되는 절곡탄성부, 및 상기 절곡탄성부의 단부에 일체로 연장되며 상기 유동자석의 둘레면을 탄성적으로 감싸도록 제공되어 상기 유동자석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코일블록에 대한 상기 유동자석의 유동을 외팔보(cantilever) 방식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단면의 장변(long side)이 수직하게 배치되는 판스프링으로 형성되며,
    상기 유동자석은 상기 코일블록에 대한 초기 움직임(first motion) 이후,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진동(vibration)하며 상기 코일블록과 상호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류 발생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블록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인체에 접촉 가능하게 제공되는 자극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류 발생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피대상체에 장착되는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결합부재에 수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류 발생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호 협조적으로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블록은 상기 하부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상부하우징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류 발생장치.
  9. 삭제
KR1020110143153A 2011-12-27 2011-12-27 미세전류 발생장치 KR101216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3153A KR101216494B1 (ko) 2011-12-27 2011-12-27 미세전류 발생장치
PCT/KR2012/011623 WO2013100654A1 (ko) 2011-12-27 2012-12-27 미세전류 발생장치
US14/369,530 US20140361642A1 (en) 2011-12-27 2012-12-27 Microcurrent genera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3153A KR101216494B1 (ko) 2011-12-27 2011-12-27 미세전류 발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6494B1 true KR101216494B1 (ko) 2012-12-31

Family

ID=47908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3153A KR101216494B1 (ko) 2011-12-27 2011-12-27 미세전류 발생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40361642A1 (ko)
KR (1) KR101216494B1 (ko)
WO (1) WO201310065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85989A1 (ko) * 2020-10-23 2022-04-28 주식회사 리메드 자기장 자극 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98897A (zh) * 2015-07-30 2015-11-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可穿戴设备及终端
CN106619034A (zh) * 2017-01-25 2017-05-10 浙江和也健康科技有限公司 具有磁疗、热疗和敲击按摩功能的保健护腰
US10898410B2 (en) * 2018-04-02 2021-01-26 Ching-Chi Chung Oscillating health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217Y1 (ko) * 2001-03-13 2001-10-08 박근배 자가발전기가 장착된 신발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12841A (en) * 1963-10-22 1967-04-04 Shinko Electric Co Ltd Electromagnetic vibrator
US5592759A (en) * 1995-01-26 1997-01-14 Co-Jo Sports, Inc. Vibrating footwear
AU2001268027A1 (en) * 2000-02-23 2001-09-12 Sri International Biologically powered electroactive polymer generators
JP4545108B2 (ja) * 2005-04-14 2010-09-15 ジー−マン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機能性履物
US7777396B2 (en) * 2006-06-06 2010-08-17 Omnitek Partners Llc Impact powered devices
TW200922487A (en) * 2007-11-21 2009-06-01 Yu-Tuan Lee Shoe
US8087186B2 (en) * 2008-03-13 2012-01-03 Omnitek Partners Llc Piezoelectric-based toe-heaters for frostbite protection
KR101245449B1 (ko) * 2010-05-14 2013-03-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진동 모터
US20120023785A1 (en) * 2010-06-05 2012-02-02 Nathaniel K. Barnes Wireless remote controlled massaging footwear system
KR101101506B1 (ko) * 2010-06-29 2012-01-03 삼성전기주식회사 수평 진동자
KR101796094B1 (ko) * 2010-09-01 2017-11-09 주식회사 이엠텍 수평 진동 모터
KR20140112648A (ko) * 2013-03-13 2014-09-24 삼성전기주식회사 수평 진동 발생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217Y1 (ko) * 2001-03-13 2001-10-08 박근배 자가발전기가 장착된 신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85989A1 (ko) * 2020-10-23 2022-04-28 주식회사 리메드 자기장 자극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00654A1 (ko) 2013-07-04
US20140361642A1 (en) 2014-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6494B1 (ko) 미세전류 발생장치
RU243660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чрескожного приложения раздражения или для чрескожного измерения параметра
CN110573065B (zh) 用于电刺激的***
CN105899181B (zh) 利用声音压力的振动装置及具备上述装置的人体刺激装置
CN107708611B (zh) 经颅磁刺激装置用线圈装置及其制造方法
KR100938605B1 (ko) 미세전류 자극장치가 내장된 의류
KR100938825B1 (ko) 미세전류 자극장치가 내장된 브래지어
KR101273617B1 (ko) 고주파를 이용한 치료장치
US9314611B2 (en) Stimulation device
ES2306495T3 (es) Estimulador electrico neuromuscular con medicion de las respuestas musculares a los impulsos electricos de estimulacion.
CN102939066A (zh) 电极装置
CN108697890A (zh) 一种通过同步激活神经治疗各种神经疾病的***和方法
JP2014528263A5 (ko)
US1178585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ergy harvesting using polymeric piezoelectric structures
KR101315314B1 (ko) 눈 마사지기
KR100945145B1 (ko) 미세전류 자극장치가 내장된 신발안창
JP6348477B2 (ja) 生体用高機能電極
KR20200075480A (ko) 저주파 자극 마스크
CN109731219B (zh) 一种植入式脊髓神经刺激装置及调整方法
KR101746374B1 (ko) 수면 상태 개선을 위한 전기 자극 인가 기능을 가진 수면 안대
KR101793025B1 (ko) 전기 자극 인가에 의한 피부 개선 미용 기기
KR20210091934A (ko) 헬스 케어를 위한 IoT 기반 멀티타입 EMS 슈트
CN102210903A (zh) 植入式神经电刺激***的延伸导线保护套
CN110755248A (zh) 一种电磁驱动式吸吮按摩器
CN206777506U (zh) 智能乳宝及文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