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4857B1 -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road using geogrid - Google Patents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road using geogri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4857B1
KR101214857B1 KR1020120088997A KR20120088997A KR101214857B1 KR 101214857 B1 KR101214857 B1 KR 101214857B1 KR 1020120088997 A KR1020120088997 A KR 1020120088997A KR 20120088997 A KR20120088997 A KR 20120088997A KR 101214857 B1 KR101214857 B1 KR 101214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ogrid
sidewalk block
sidewalk
base lay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89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연수
박한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녹색도시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녹색도시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녹색도시건설
Priority to KR1020120088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485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4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48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16Reinforc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 E01C2201/167Elements joined together by reinforcement or me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PURPOSE: A construction structure of a sidewalk block using a geogrid and a construction method of a sidewalk block using the same are provided to prevent the subsidence of sidewalk blocks by improving soil bearing capacity. CONSTITUTION: A construction structure of a sidewalk block using a geogrid comprises a ground layer(10), a sub base layer(20), a geogrid(100), a sand layer(30), sidewalk blocks(40), and boundary blocks(50). The sub base layer is formed on the ground layer. The geogrid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sub base layer in a mesh shape and has wedge-shaped protrusions. The empty spaces of the geogrid are filled with the sand layer. The sidewalk blocks are installed on the top of the sand layer. The boundary blocks are installed on the edges of a sidewalk.

Description

지오그리드를 이용한 보도 블록 시공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보도 블록 시공법{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Road using Geogrid}Construction structure of sidewalk block using geogrid and construction method of sidewalk block using same

본 발명은 보도 블록의 시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오그리드 그물망을 이용하여 지반의 침하를 방지할 수 있는 보도 블록 시공 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construction of a sidewalk block, and more particularly to a sidewalk block construction structur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at can prevent settlement of the ground using a geogrid net.

일반적으로, 도로는 보도와 차도로 구분될 수 있으며, 보도는 시공이 간편하고 수리가 용이하다는 이유로 각종 형태의 보도 블록을 사용하여 시공하게 된다. 통상적인 보도 블록의 시공 구조는 원지반 상면에 보조기층이 분포되고, 보조기층 상면에 모래층이 분포된 후, 모래층 상면에 보도 블록이 시공되는 구조를 이룬다.In general, a road may be divided into a sidewalk and a roadway, and the sidewalk is constructed using various types of sidewalk blocks because of easy construction and easy repair. In general, the construction of a sidewalk block has a structure in which an auxiliary base layer is distributed on an upper surface of a base, a sand layer is distributed on an upper surface of an auxiliary base layer, and a sidewalk block is constructed on an upper surface of a sand layer.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보도 블록의 시공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도 블록의 시공 구조는 원지반(1) 위에 보조기층(2)이 형성되고, 보조기층(2) 위에 모래층(3) 형성되며, 모래층(3) 위에 보도 블록(4)이 시공된다. 또한, 보도 블록(4)의 양 측 가장자리에는 보도 영역을 구획하기 위한 경계석(5)이 설치된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sidewalk block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shown in (a) of FIG. 1, the construction of the sidewalk block has an auxiliary base layer 2 formed on the base 1, a sand layer 3 formed on the auxiliary base layer 2, and a top of the sand layer 3. The sidewalk block 4 is constructed. In addition, boundary stones 5 for partitioning the sidewalk area are provided at both side edges of the sidewalk block 4.

여기서 모래층(3)은 시공되는 보도 블록(4)에 대한 하중 충격을 완화시키고, 특히, 보도 블록(4)이 편평도를 최대한 유지하면서 시공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따른 보도 블록 시공 구조에서는 여름철에는 장마 등에 의한 빗물이 하부에 침투하게 되고, 겨울철에는 동결 융해에 의하여 하부면이 부등하게 침하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즉, 보도 블록의 시공 당시에는 편평도가 유지되지만, 오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재료 자체의 하중, 차량 및 유동 인구에 의한 강한 하중이 지속적으로 인가되어, 지표의 부등침하가 방생하고 이에 따라 보도 블록도 부분적인 침하가 발생하거나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는 결국 단기간 사용으로도 블록의 파손 또는 수평 상태를 유지하지 못함으로 인한 잦은 보수 공사가 이루어지거나 보도 블록을 새로 설치하는 공사가 이루어져야 하므로 많은 예산의 낭비를 초래하고 있다.The sand layer 3 is to mitigate the load impact on the sidewalk block (4) to be constructed, in particular, so that the sidewalk block (4) can be constructed while maintaining the flatness to the maximum. However, in the sidewalk block constru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ior art, rainwater due to rainy season or the like penetrates into the lower part in summer, and the lower surface unevenly sinks due to freezing and melting in winter. In other words, the flatness is maintained at the time of construction of the sidewalk block, but the load of the material itself, and the strong load by the vehicle and the flow population are continuously applied as the passage of time passes, resulting in an inequality of the surface and thus the sidewalk block diagram. Partial settlement or breakage occurs. This results in a waste of a lot of budget because frequent repair work due to breakage of the block or inability to maintain the level even with short-term use or construction of new sidewalk blocks must be performed.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기층(1) 위에 콘크리트층(6)을 타설하고, 그 위에 모래층(3)을 시공하여 보도 블록의 침하를 방지하는 방안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콘크리트층(6)의 시공으로 인하여 전체적인 시공 과정을 복잡하게 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의 타설과 양생에 따른 시공 기간을 늘리게 되고, 많은 시공 비용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콘크리트층(6)에 의하여 배수를 막게 되어, 오히려 더욱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this, as shown in FIG. 1 (b), a concrete layer 6 is placed on the auxiliary base layer 1, and a sand layer 3 is constructed thereon to prevent settlement of the sidewalk block. Is being proposed. However, this technique not only complicates the overall construction process due to the construction of the concrete layer 6, but also increases the construction period due to the placing and curing of the concrete,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large construction cost is required. In addition, the drainage is blocked by the concrete layer 6, which may cause a more serious problem.

이러한 문제와 관련하여 국내공개특허 제10-2011-0046373호(선행문헌1)에서는 다중 그물망을 이용한 부등침하 방지 기능을 갖는 보도 블록 포장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에서는 단순히 격자의 그물망을 지지층의 경계면 사이에 개입시키는 구조로서, 그물망 사이의 공간에 채워지는 골재에 의하여 그물망의 이동을 방지하므로, 그물망과 골재 사이에서 강한 결합력을 나타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웃하는 그물망 사이는 가장자리에 구비된 체결부를 이용하여 서로 체결하여야 하므로 체결 공정에 따른 시공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In connection with such a problem,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46373 (Previous Document 1) proposes a sidewalk block paving structure having an inequality prevention function using multiple meshes. However, the above patent discloses a structure that simply interposes the mesh of the lattice between the interface of the support layer, and prevents the movement of the mesh by the aggregates filled in the spaces between the meshes, and th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strong bonding force is not exhibited between the mesh and the aggregate. .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nstruction is complicated by the fastening process because it is to be fastened to each other between the neighboring net using a fastening provided on the edge.

** 참고 선행문헌1 : 국내공개특허 제10-2011-0046373호
** Reference Prior Document 1: Domestic Publication No. 10-2011-004637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원지반층과 다수의 보강층, 보도 블록 사이에 그물망 형상의 침하방지 부재를 개입시킴으로써, 보도 블록의 침하를 방지할 수 있는 보도 블록 시공 구조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sidewalk block construction structure that can prevent the settlement of the sidewalk block by interposing a net-shaped settlement prevention member between the base layer and a plurality of reinforcement layer, the sidewalk block. And it aims at providing the construction method.

특히, 본 발명은 지오그리드 그물망에는 쐐기 형상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다수의 돌기부가 구비됨으로써, 지반의 지내력을 향상시켜 보도 블록의 침하를 방지할 수 있는 보도 블록 시공 구조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lkway block construc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at can be provided by the geogrid ne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rojections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shape of a wedge, thereby improving the bearing capacity of the ground to prevent settlement of the walkway block. The purpos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관이 용이하고 시공이 간편한 구조를 갖는 보도 블록 시공용 지오그리드 그물망을 제공하고, 이를 이용한 보도 블록 시공 구조 및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eogrid netting for the sidewalk block construction having a structure that is easy to store and easy to construct, and to provide a sidewalk construc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보도 블록 시공 구조는, 원지반층과 보도 블록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층이 개입되는 보도 블록 시공 구조에 있어서, 상기 원지반층, 복수의 보강층 및 보도 블록 사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계면에 지오그리드가 개입되되, 상기 지오그리드는 그물망 형상을 이루며, 그물망 연결부에는 일 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truction of the sidewalk block construction structure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t least one reinforcement layer and a plurality of reinforcement layers and sidewalk blocks in the sidewalk block construction structure in which at least one reinforcing layer is interposed between the base layer and the sidewalk block. Geogrid is involved in at least one interface, the geogrid is a mesh shape, characterized in that the network connection has a projection projecting in one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의 보도 블록 시공법은, 원지반층과 보도 블록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층을 개입시키는 보도 블록 시공법에 있어서, 상기 원지반층, 복수의 보강층 및 보도 블록 사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계면에 지오그리드를 개입시키되, 상기 지오그리드는 마름모 형상으로 짜여진 그물망으로, 그물망의 연결부에는 일 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sidewalk block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idewalk block construction method in which at least one reinforcing layer is interposed between the base layer and the sidewalk block, the geogrid is interposed between at least one interface between the base layer, the plurality of reinforcement layers and the sidewalk block. However, the geogrid is a mesh woven in a rhombus shap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network has a projection protruding in one direction.

여기서, 상기 지오그리드는 상기 그물망이 마름모 형상으로 짜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geogri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esh is woven into a rhombus shape.

또한, 상기 돌기부의 일 예는 상기 연결부에서 소정의 간격을 이루면서 일 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돌기편과 상기 복수의 돌기편의 단부들을 연결하는 마감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one example of the protrus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protrusion pieces extending to one side and a finishing portion connecting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protrusion pieces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connecting portion.

또한, 상기 돌기부의 다른 예는 상기 연결부에서 일 측으로 기둥 형상으로 연장되며, 외주연은 홈부와 돌출부가 반복되어 단면이 요철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nother example of the protruding portion extends in a columnar shape from one side of the connecting portion, the outer peripher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ove portion and the protrusion is repeated so that the cross section is concave-convex shape.

또한, 상기 지오그리드는, 가장 외측 연결부에는 돌기부를 갖지 않고, 가장 외 측의 공간부에 이웃하는 지오그리드의 가장 외측 돌기부가 걸려지도록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geogri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structed such that the outermost connection portion does not have a protrusion, and the outermost protrusion of the geogrid neighboring the outermost space portion is hung.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원지반층과 다수의 보강층, 보도 블록 사이에 그물망 형상의 침하방지 부재를 개입시킴으로써, 보도 블록의 침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지오그리드 그물망에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다수의 돌기부가 구비되어, 그물망과 골재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can prevent the sinking of the sidewalk block by interposing a net-shaped subsidence preventing member between the base layer and the plurality of reinforcement layers and the sidewalk block, and in particular, the geogrid net has a predetermined length. A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be provided to improve 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mesh and the aggregat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오그리드 그물망이 마름모 형상으로 짜여짐으로써, 롤 형태로 감는 경우 동일 길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지름을 가져 보관과 취급이 용이하며, 이웃하는 지오그리드에 대하여 돌기부에 의한 체결이 가능하므로 시공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geogrid net is woven into a rhombus shape, when wound in the form of a roll having a relatively small diameter with respect to the same length is easy to store and handle, and can be fastened by the projection to the neighboring geogrid Construction can be done easily.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보도 블록 시공 상태를 나타낸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도 블록 시공 상태를 나타낸 구조도,
도 3은 도 2의 주요부인 지오그리드를 나타낸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오그리드의 돌기부의 일 예를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오그리드의 돌기부의 다른 예를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2의 주요부인 복수의 지오그리드에 대한 체결 구조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1 is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a sidewalk block construction state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a construction of a sidewalk block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ottom view showing a geogrid which is a main part of FIG.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in detail an example of the projection of the geogr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projection of the geogr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bottom view illustrating a fastening structure for a plurality of geogrids, which are main parts of FIG. 2.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The technical problem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pparent from the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below.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도 블록 시공 상태를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도 블록 시공 구조는 원지반층(10)에 보조기층(20)이 형성되고, 보조기층(20) 위에 지오그리드(100)가 설치되며, 지오그리드(100)의 빈 공간을 채우면서 모래층(30)이 적층되며, 모래층(30) 위에 최종적으로 보도 블록(40)이 시공되는 구조를 이룬다. 이때, 보도의 가장자리에는 보도 영역을 구획하기 위한 경계 블록(50)이 설치된다.Figure 2 is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the construction of the sidewalk block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construction of the sidewalk block constr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base layer 20 is formed on the base layer 10, the geogrid 100 is installed on the auxiliary base layer 20, the empty space of the geogrid 100 The sand layer 30 is stacked while filling, and the walkway block 40 is finally constructed on the sand layer 30. At this time, the boundary block 50 for partitioning the sidewalk area is provided at the edge of the sidewalk.

여기서, 보조기층(20)은 자갈과 모래의 혼합석을 다져 형성하며, 보조기층(20) 상에 먼저 지오그리드(100)를 펼쳐 시공 후 모래층(30)을 형성하거나, 모래층(30)을 먼저 형성한 후 모래층(30) 속에 지오그리드(100)가 묻히도록 시공될 수 있다. 지오그리드(100)는 마름모 형상으로 짜여진 그물망 구조를 이루여, 하측으로는 쐐기 형상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돌기부(140)가 형성된다.Here, the auxiliary base layer 20 is formed by mining the mixed stones of gravel and sand, and first spread the geogrid 100 on the auxiliary base layer 20 to form a sand layer 30, or to form a sand layer 30 first After the geogrid 100 can be buried in the sand layer (30). Geogrid 100 forms a mesh structure woven in a rhombus shape, the lower side is formed with a protrusion 14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a wedge shape.

이러한 지오그리드(100)는 원지반층(10)과 보조기층(20) 사이, 보조기층(20)과 모래층(30) 사이 또는 모래층(30)과 보도 블록(40) 사이에 개입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기층(20)과 모래층(30) 사이에 개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하측의 돌기부(140)는 모래층(130)에 묻히거나 보조기층(20) 내부까지 관입될 수도 있다.The geogrid 100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base layer 10 and the auxiliary base layer 20, between the auxiliary base layer 20 and the sand layer 30 or between the sand layer 30 and the sidewalk block 40. As shown, it is preferable to intervene between the auxiliary base layer 20 and the sand layer 30. In this case, the lower protrusion 140 may be buried in the sand layer 130 or penetrated to the inside of the auxiliary base layer 20.

한편, 도 2의 실시예에서는 원지반층(10)과 보도 블록(40) 사이의 보강층으로 보조기층(20)과 모래층(30)을 예시하였으나, 원지반층(10)과 보도 블록(40)의 재질이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골재가 보강층으로 이용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embodiment of FIG. 2, the auxiliary base layer 20 and the sand layer 30 are illustrated as reinforcing layers between the base layer 10 and the sidewalk block 40, but the materials of the base layer 10 and the sidewalk block 40 are illustrated. However, various kinds of aggregates may be used as reinforcing layer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도 3은 도 2의 주요부인 지오그리드를 나타낸 저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오그리드의 돌기부의 예를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이다.3 is a bottom view illustrating a geogrid, which is a main part of FIG. 2, and FIGS. 4 and 5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examples of protrusions of the geogr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도 블록 시공에 사용되는 지오그리드(Geogrid, 100)는 그물망 형상을 이루며, 연결편(110)들이 마름모 꼴의 공간부(130)를 형성하도록 짜여진다. 다수의 연결편(110)이 연결되는 연결부(120)에는 일 측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는 돌기부(140)가 형성된다.First, as shown in FIG. 3, the geogrid 100 us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sidewalk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mesh shape, and the connecting pieces 110 are woven to form a rhombic space 130. The connection portion 120 to which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ieces 110 are connected is formed with a protrusion 140 protruding to a predetermined length in one side direction.

이러한 지오그리드(100)는 플라스틱이나 고분자 수지 등을 이용한 사출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고, 길이 방향을 따라 롤 형태로 감겨질 수 있도록 제조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마름모 형상의 공간부(130)를 형성하도록 연결편(110)이 짜여지므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그물망을 롤 형태로 감더라도 돌기부(140)가 공간부(130)로 삽입되어 작은 직경으로 감겨질 수 있다. 따라서, 길이 방향에 대하여 마름모 형상으로 짜여진 본 발명의 그물망은 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으로 짜여진 그물망보다 동일한 길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짧은 직경으로 감겨지므로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한 장점을 나타낸다.The geogrid 100 may be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using a plastic or a polymer resin, and has a predetermined width and length, and is manufactured to be wound in a roll form along the length direction. 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necting piece 110 is woven to form the space portion 130 having a rhombus shape, the protrusion 140 is inserted into the space portion 130 even when the net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wound in a roll shape. It can be wound to diameter. Therefore, the mesh of the present invention woven in a rhombus shap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wound to a relatively short diameter over the same length than the mesh woven in a square or square, showing the advantage of easy storage and transport.

또한, 본 발명에서는 그물망 연결편(110)의 각 연결부(120)에 돌기부(140)가 형성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외측의 연결부(120)에는 돌기부가 형성되지 않는다. 이는 다수의 지오그리드(100)가 서로 연결되도록 시공하는 경우 이웃하는 지오그리드(100) 사이의 체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jections 140 are formed at each connection portion 120 of the mesh connection piece 110, and as shown, the projections are not formed at the outermost connection portion 120. This allows the fastening between neighboring geogrids 100 to be easily performed when constructing a plurality of geogrids 100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지오그리드에 형성된 돌기부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으로, 도 4의 돌기부는 사질 지반에 적합한 구조를 이루고, 도 5의 돌기부는 점토질 지반에 적합한 구조를 이룬다.On the other hand, Figure 4 and Figure 5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projections formed in the geogri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jections of Figure 4 constitutes a structure suitable for sand, and the projections of Figure 5 forms a structure suitable for clay ground.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기부(140)는 원형의 연결부(120)를 기초로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의 간격을 이루면서 복수의 돌기편(141)이 일 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각 돌기편(141)의 단부가 마감부(142)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는 구조를 이룬다. 이때, 돌기부(140)는 연결부(120)에서 멀어질수록 각 돌기편(141)이 이루는 직경이 작아지는 쐐기 형상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구조의 돌기부(140)는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공간에는 사질의 보강재가 충진되어 보강재와 지오그리드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한편, 돌기부(140)의 기초를 이루는 연결부(120)와 단부를 이루는 마감부(142)는 원판 형상을 이룰 수도 있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공간에 보강재가 용이하게 충진될 수 있도록 중앙이 개구된 링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First, as shown in FIG. 4, the protrusion 1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protrusions 141 at one side while forming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an edge based on a circular connection portion 120. It extends and forms the structure in which the end of each protrusion piece 141 is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finishing part 142. At this time, the protrusion 140 protrudes into a wedge shape in which the diameter formed by each of the protrusion pieces 141 de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connection part 120 increases. The protrusion 140 of such a structure forms an empty space therein, and the space is filled with sand reinforcement to improve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reinforcement and the geogrid. Meanwhile, although the connecting portion 120 forming the base of the protrusion 140 and the finishing portion 142 forming the end may form a disc shape, the center is opened so that the reinforcing material can be easily filled in the inner space as shown. It is preferable to form a ring shape.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돌기부(140)는 원형의 연결부(120)를 기초로 일 측으로 연장된 기둥 형상을 이룬다. 이때, 돌기부(140)의 외주연은 도시된 바와 같이 홈부(143)와 돌출부(144)가 반복되어 단면이 요철 형상을 이룬다. 요철의 기둥 형상을 이루는 돌기부(140)도 연결부(120)에서 멀어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단부에는 반구면 형상의 마감부(142)가 형성될 수 있다. 마감부(142)가 반구면 형상을 이루고, 연결부에서 멀어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쐐기 형상을 이룸으로써, 돌기부(140)가 점착력이 강한 점토질의 지반에 용이하게 관입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요철 형상의 돌기부(140)는 외주연의 홈부(143)에 점토질의 보강재가 채워져 보강재와 지오그리드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And, as shown in Figure 5, the projection 14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column shape extending to one side based on the circular connection portion 120. At this time, the outer periphery of the protrusion 140 is a groove portion 143 and the protrusion 144 is repeated as shown to form a concave-convex shape. The protrusions 140 forming the concave-convex shape may also be formed to have a smaller diameter as they move away from the connection part 120, and a hemispherical finish portion 142 may be formed at an end thereof. The finish portion 142 forms a hemispherical shape, and forms a wedge shape in which the diameter de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connection portion decreases, thereby allowing the protrusion 140 to be easily introduced into the ground of the clay having strong adhesive force. In addition, the concave-convex protrusion 140 may be filled with a clay reinforcement in the groove 143 of the outer circumference to improve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reinforcement and the geogrid.

도 6은 도 2의 주요부인 복수의 지오그리드에 대한 체결 구조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여기서 이웃하는 양 측의 지오그리드는 동일한 형상의 지오그리드이며, 화대도면에서 설명의 이해를 돕고자 이웃하는 지오그리드를 각각 백색과 흑색으로 표현하였다.FIG. 6 is a bottom view illustrating a fastening structure for a plurality of geogrids, which are main parts of FIG. 2. Here, the neighboring geogrids are geogrids of the same shape, and the neighboring geogrids are expressed in white and black, respectively, to help understand the description in the drawing.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본 발명의 지오그리드(100)는 시공되는 보도의 폭과 길이에 따라 다수개가 연결되면서 시공된다. 이때, 지오그리드(100)는 가장 외측의 연결부에는 돌기부(140)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일 측 지오그리드(100a)에서의 가장 외 측 공간부(130a)에 타 측 지오그리드(100b)에서의 가장 외측 돌기부(140b)가 삽입되도록 서로 체결된다. 이때, 타 측 지오그리드(100b)의 돌기부(140b)는 일 측 지오그리드(100a)의 공간부(130a) 모서리에 걸려지게 되므로, 평면상에서 서로 간에 x 방향뿐만 아니라 y방향으로의 유동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별도의 체결 공정 없이 단순히 양 측 지오그리드(100a,100b)의 가장자리 단부가 겹치지도록 시공하면 되는 것으로 시공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을 나타낸다. As shown, the geogrid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length is constructed with a plurality of connected to the width and length of the sidewalk to be constructed. At this time, since the projections 140 are not formed at the outermost connection portions of the geogrid 100, the outermost projections at the other geogrid 100b at the outermost space portion 130a at one geogrid 100a ( 140b) are fastened to each other to be inserted. At this time, the protrusion 140b of the other geogrid 100b is caught by the edge of the space portion 130a of the one side geogrid 100a, so as to prevent flow in the y direction as well as the x direction from each other on the plane. do. In addition, the construction simply by the construction so that the edge end of both sides of the geogrid (100a, 100b) does not have a separate fastening process shows an advantage that the construction can be made simply.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도 블록 시공 구조와 방법에서는 보조기층이나 모래층으로 이루어지는 돌기부를 갖는 그물망 형상의 지오그리드는 개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그물망 형상은 상측에서의 하중을 서로 분산시켜 하중에 대한 지내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쐐기 형상의 돌기부가 지지층에 박혀 기초 역할을 함과 동시에 지지층이 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구속하여 지반의 흐트러짐을 방지하고 지내력을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하여 보도 블록 포장면 하부 지반의 과도한 침하를 막아주고, 부등침하를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tructure and method of the sidewalk block constr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esh-shaped geogrid having protrusions made of an auxiliary base layer or a sand layer is involved. Here, the mesh shape can improve the bearing capacity of the load by dispersing the load on the upper side, the wedge-shaped protrusion is embedded in the support layer and serves as a foundation, while restraining the support layer from moving laterally, which causes disturbance of the ground. It can prevent and double the strength. This prevents excessive settlement of the ground under the sidewalk pavement surface and prevents inequality settlement.

또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층을 이용한 보강에 비하여 시공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전체 공사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compared to the reinforcement using the concrete laye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overall construction cost.

또한, 콘크리트층을 이용한 보강의 경우 모래 포설 다짐시 일단 양생 후에는 수정 시공의 어려움이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수정 시공이 언제든지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reinforcement using a concrete layer, when the sand laying compaction, there is a difficulty in the modified construction after curing,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dified construction can be made at any time.

또한, 모래층만을 다짐하는 경우 완성된 모래 수평면이 작업자나 자재에 의하여 쉽게 흐트러지거나 손상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지오그리드가 상당한 정도의 수평면을 유지시키므로, 시공시의 평탄성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only the sand layer is compacted, the finished sand horizontal plane may be easily distracted or damaged by a worker or a material.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geogrid maintains a considerable level of the horizontal plane, flatness during construction may be sufficiently secured.

이상에서 본 발명에 있어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10 : 원지반층 20 : 보조기층
30 : 모래층 40 : 보도블록
50 : 경계블록
100 : 지오그리드 110 : 연결편
120 : 연결부 130 : 공간부
140 : 돌기부 141 : 돌기편
142 : 마감부 143 : 홈부
144 : 돌출부
10: base layer 20: auxiliary base layer
30: sand layer 40: sidewalk block
50: boundary block
100: geogrid 110: connecting flights
120: connection portion 130: space portion
140: protrusion 141: protrusion
142: finish portion 143: groove portion
144: protrusion

Claims (8)

원지반층과 보도 블록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층이 개입되는 보도 블록 시공 구조에 있어서,
상기 원지반층, 복수의 보강층 및 보도 블록 사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계면에 지오그리드가 개입되되, 상기 지오그리드는,
마름모 형상으로 짜여진 그물망으로, 상기 그물망의 연결부에는 일 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부를 갖되,
상기 돌기부는,
상기 연결부에서 소정의 간격을 이루면서 일 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돌기편과 상기 복수의 돌기편의 단부들을 연결하는 마감부로 구성되거나,
상기 연결부에서 일 측으로 기둥 형상으로 연장되며, 외주연은 홈부와 돌출부가 반복되어 단면이 요철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 블록 시공 구조.
In the sidewalk block construction structure wherein at least one reinforcing layer is interposed between the base layer and the sidewalk block,
Geogrid is interposed in at least one interface between the base layer,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layers and the sidewalk block, the geogrid,
As a net woven in a rhombus shape,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mesh has a protrusion protruding in one direction,
The protruding portion
Consists of a plurality of protrusion pieces extending to one sid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end portion connecting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protrusion pieces,
It extends in a columnar shape to one side from the connecting porti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idewalk block construc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ove portion and the protrusion is repeated so that the cross-section is formed in the concave-convex shap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원지반층과 보도 블록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층을 개입시키는 보도 블록 시공법에 있어서,
상기 원지반층, 복수의 보강층 및 보도 블록 사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계면에 지오그리드를 개입시키되,
상기 지오그리드는,
마름모 형상으로 짜여진 그물망으로, 상기 그물망의 연결부는,
상기 연결부에서 간격을 이루면서 일 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돌기편과 상기 복수의 돌기편의 단부들을 연결하는 마감부로 구성되거나 상기 연결부에서 일 측으로 기둥 형상으로 연장되며, 외주연은 홈부와 돌출부가 반복되어 단면이 요철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일 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 블록 시공법.
In the sidewalk block construction method of interposing at least one reinforcing layer between the base layer and the sidewalk block,
Interposing a geogrid through at least one interface between the base layer, the plurality of reinforcement layers and the sidewalk blocks,
The geogrid,
The net is woven into a rhombus shape,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net,
Consists of a plurality of protrusion pieces extending to one side and the end portion of the plurality of protrusion pieces at intervals in the connecting portion or extending in a column shape from the connecting portion to one side, the outer periphery is repeated grooves and protrusions The sidewalk block constru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form a concave-convex shape, protruding in one direc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오그리드는,
가장 외측의 상기 연결부에는 돌기부를 갖지 않고, 가장 외 측의 공간부에 이웃하는 지오그리드의 가장 외측 돌기부가 걸려지도록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 블록 시공법.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geogrid is,
The outermost connecting portion has no projection, and is constructed so that the outermost projection of the geogrid neighboring the outermost space portion is hooked.
KR1020120088997A 2012-08-14 2012-08-14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road using geogrid KR1012148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997A KR101214857B1 (en) 2012-08-14 2012-08-14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road using geogri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997A KR101214857B1 (en) 2012-08-14 2012-08-14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road using geogrid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3626A Division KR20140022334A (en) 2012-12-11 2012-12-11 Geogrid for manufacturing roa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4857B1 true KR101214857B1 (en) 2012-12-24

Family

ID=47908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8997A KR101214857B1 (en) 2012-08-14 2012-08-14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road using geogri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4857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0419B1 (en) 2008-07-01 2009-12-08 이지은 Sidewalk block supporting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0419B1 (en) 2008-07-01 2009-12-08 이지은 Sidewalk block supporting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06840C2 (en) Water-permeable grids for soil coating
KR20210031777A (en) Pavement Systems with Geocell and Geogrid
KR20010099883A (en) Water storing block and connecting member for water storing block and rain water storing/infiltrating structure
WO1998015693A1 (en) Integrated flexible multi-layer geogrid
JP5379857B2 (en) Underground structure with resin laminated structure
KR20140022334A (en) Geogrid for manufacturing road
KR101019181B1 (en) Structure of pavement using road block
WO2016208208A1 (en) Paving method and pavement structure
KR102062254B1 (en) Non-point source reduction using ground reinforcement grid and road pavement structure using it
KR20090124056A (en) Engineering method for paving sidewalk
TWM621567U (en) High-intensity road for water resource adaptive system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JP6237004B2 (en) Lightweight embankment structure
DE202010007977U1 (en) Laying plate for usable areas
CN102493485A (en) Method for building slope protection retaining wall during filling
KR101214857B1 (en)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road using geogrid
KR101770268B1 (en) Detention unit block and reservoir water tank structure for infiltration and detention of rainwater,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KR102006108B1 (en) Panel structure for temporary repair of construction ground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emporary repair of construction ground using the same
CN213203989U (en) Bridge engineering toper slope protection structure
CN109763388B (en) Roadbed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090056916A (en) Improved pedestrian-vehicle passage block and method constructing pedestrian-vehicle passage using this
KR101351075B1 (en) Underground apparatus for prevention of differential settlement of block pavement using multi-vertex mesh and method thereof
KR100780216B1 (en) Method for constructing a honeycomb-shaped mat
KR101733481B1 (en) Pavement structure using assembly type under stream block having rainwater storage function
RU143210U1 (en) DEVELOPMENT OF ROAD CLOTHING
KR101117741B1 (en) The water permeable block for water storage red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