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4555B1 - 음성 통신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음성 통신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4555B1
KR101214555B1 KR1020120055997A KR20120055997A KR101214555B1 KR 101214555 B1 KR101214555 B1 KR 101214555B1 KR 1020120055997 A KR1020120055997 A KR 1020120055997A KR 20120055997 A KR20120055997 A KR 20120055997A KR 101214555 B1 KR101214555 B1 KR 101214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voic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device
relay server
ident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5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겸
Original Assignee
김민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겸 filed Critical 김민겸
Priority to PCT/KR2012/00977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307760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4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4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69Session establishment or d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통화중계서버에서 제1 음성통신장치의 제1 식별자와 제2 음성통신장치의 제2 식별자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및 통화중계서버에서 제1 음성통신장치에 대한 제1 호 및 제2 음성통신장치에 대한 제2 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화중계방법이 공개된다. 위의 제1 호에 대한 수락응답 및 제2 호에 대한 수락응답이 모두 이루어지면, 제1 음성통신장치와 제2 음성통신장치 간의 음성통신연결이 수립될 수 있다.

Description

음성 통신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ratus for voice communication control}
본 발명은 음성통신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고품질의 음성통신을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의 기술발전을 세대를 통해 구분하고자 할 때 아날로그 방식인 1세대와, 디지털 시분할 다중접속(TDMA) 및 코드분할 다중접속(CDMA) 방식인 2세대로 구분하고 있으며, 2세대로부터 진화한 기술이지만 3세대의 요구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GPRS, IS-95B방식을 2.5세대로 구분한다. 그리고 EVDO, WCDMA 등의 IMT-2000 서비스를 3세대로 분류하며, IMT-Advanced 서비스를 4세대로 구분할 수 있다. 이동통신 기술의 세대별 진화를 도 1에 도식화하여 나타내었다.
1996년 IS-95A 방식으로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상용 서비스가 이루어진 동기식 CDMA 기술은 기본적으로 음성통신 위주로 시작되었지만 90년대 중반부터 급격한 인터넷 보급에 의하여 고속 무선 데이터 서비스로의 천이가 요구되었으며 이에 따라 퀄컴사는 cdma 2000 방식의 기술을 제안하였다. 하지만, cdma 2000 이 상용화되기까지는 시간이 많이 남아 있었기 때문에 과도기적인 기술이 요구되었고, 이 틈새 기술로서 IS-95B가 탄생하게 되었다.
IS-95A 규격에서도 음성 데이터 속도에 해당하는 14.4kbps까지의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하지만, 사용자들이 만족할 수 있는 기본적인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서는 매우 미미한 속도라고 할 수 있다. 이에 IS-95A 시스템의 소프트웨어를 일부 개조하여 중속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탄생한 시스템이 IS-95B 시스템이다. IS-95B의 기본적 개념은 도 2와 같이 14.4kbps에 해당하는 음성 채널 4개를 병렬로 묶어서 동시에 한 명의 데이터 통화자에게 할당하는 간단한 개념이다. 즉, IS-95B 데이터 통화자는 단순히 동시에 4개의 음성 채널의 용량을 사용하기 때문에, IS-95B 시스템은 IS-95A로부터의 기술적 진화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고도 할 수 있다.
이에 비해 cdma 2000은 통화 용량을 IS-95 대비 1.7배 정도 증대시켰으며, IS-95B가 기존 음성 채널 4개를 소프트웨어에 의한 묶음으로 속도를 증가시켰다면 cmda 2000에서는 고속 데이터 전용 채널을 신설하여 고속 전송을 구현하였다.
cdma 2000이 미국을 중심으로 진화해 온 3세대 이동통신기술이라면, WCDMA는 유럽을 중심으로 진화해 온 3세대 이동통신기술이다. WCDMA Release 99의 전송채널(transport channel)로서 BCH, FACH, PCH, RACH, DCH, DSCH, CPCH 등 다수의 채널이 정의되어 있다. 이 중 DSCH, CPCH는 고속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공유채널에 해당하는데, DCH는 음성, 데이터 전송 및 화상 호(call)를 위해 할당된 채널이다. 즉, WCDMA의 경우에도 데이터 전용 채널과 음성 채널이 구분되어 있다.
위와 같이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무선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대부분 데이터 전용 채널과 함께 음성 채널이 공존하고 있다. 데이터 전용 채널을 통해서는 패킷 데이터가 송수신 되며, 음성을 위해 할당된 채널을 통해서는 보통 써킷 방식으로 음성 정보가 전달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음성 통신을 위해 할당된 채널을 통해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도 있다. 이때 사용자의 등급에 따라 패킷 데이터의 실시간성을 엄격하게 보장할 수도 있고, 느슨하게 보장할 수도 있다. 패킷 데이터를 이용한 음성통신의 경우에 있어서 실시간성을 완벽하게 제공하는 경우에는 써킷 방식의 음성통신 수준의 음성통신품질을 제공할 수도 있다.
WCDMA의 계층별 프로토콜 구성을 나타낸 도 3에서, 유저 플레인(user plan)은 음성, 패킷 데이터, MBMS 데이터 등의 트래픽 정보가 전송되는 영역이다. 여기서 음성을 써킷 방식으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음성 통신의 품질을 보장할 수 있다. 그러나 IP 헤더를 갖는 패킷 데이터 방식으로 음성 정보를 전송할 때에는, 패킷 데이터 전송방식의 특성상 음성 통화에 요구되는 기본 품질이 언제나 보장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의 컨트롤 플레인(control plan)은 망의 인터페이스나 호의 유지 및 관리 등 제어정보가 전달되는 영역이다.
음성 서비스와 데이터 서비스는 다음과 같은 차이점을 갖는다.
첫째, 전송에러에 대한 민감도가 다르다. 음성은 에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둔감한 반면 데이터는 에러에 대하여 매우 민감한 특징을 나타낸다. 경우에 따라서는 수백 비트 중 소실되는 한 개 또는 두 개의 비트 때문에 전체 데이터가 모두 못 쓰게 되는 경우도 있다.
두 번째, 전송시간 지연에 대한 민감도가 다르다. 음성은 실시간 적으로 전달되지 않으면 의미가 없다. 데이터처럼 에러가 발생하였다고 재전송을 요구할 수도 없기에 음성 서비스의 핵심은 실시간성의 보장이다.
세 번째, 요구되는 에너지의 크기다 다르다. 음성은 데이터 속도가 낮아 작은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송하면 되지만 고속 데이터는 속도에 따라서는 음성의 5배에서 10배 이상의 에너지가 요구된다.
네 번째, 서비스의 우선순위가 다르다. 음성과 데이터가 혼재된 시스템에서는 무조건 음성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음성에 할당하고 남은 에너지로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게 된다.
써킷 방식을 이용하는 음성 통신을 국가 간에 제공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또한, 어떤 나라에서는 써킷 방식을 이용한 자국 내 시내/시외통신 요금이 상당히 비싼 경우가 있다. 따라서 소비자들은 경제적인 부담에서 벗어나기 위하여 데이터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음성을 전달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통신 채널은 음성 서비스에서 요구하는 기본 조건을 반드시 보장하지는 않기 때문에, 데이터 통신 채널을 통한 음성 전달은 여전히 지연(delay), 음성품질 저하 등의 문제가 있다. 이에 높은 품질의 음성 통신 서비스를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의 제공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음성통신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으며 저렴하게 공급할 수 있는 방법을 컴퓨터 기술과 결합하여 편리하게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범위가 상술한 목적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통화 중계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통화중계서버에서 제1 음성통신장치의 제1 식별자와 제2 음성통신장치의 제2 식별자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통화중계서버에서 상기 제1 음성통신장치에 대한 제1 호 및 상기 제2 음성통신장치에 대한 제2 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호에 대한 수락응답 및 상기 제2 호에 대한 수락응답이 모두 이루어지면, 상기 제1 음성통신장치와 상기 제2 음성통신장치 간의 음성통신연결이 수립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음성통신장치에는, 상기 통화중계서버로부터 상기 제1 호를 수신하였을 때 상기 제1 호에 대하여 자동으로 수락응답을 실행하도록 되어 있는 응용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호 및 상기 제2 호는 상기 통화중계서버에 의해 제어되는 통화중계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호에 대한 수락응답 및 상기 제2 호에 대한 수락응답이 모두 이루어진 시점을, 상기 제1 음성통신장치와 상기 제2 음성통신장치 간의 음성통신에 대한 과금을 위한 과금시작시점으로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송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2 호를 송신하는 것은 상기 제1 호에 대한 수락응답이 확인된 후에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통화중계서버가 제공된다. 이 서버는 처리장치; 및 통신장치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처리장치는 상기 통신장치를 통해 제1 음성통신장치의 제1 식별자와 제2 음성통신장치의 제2 식별자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처리장치는 상기 제1 음성통신장치에 대한 제1 호 및 상기 제2 음성통신장치에 대한 제2 호를 송신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처리장치는, 상기 제1 호 및 상기 제2 호를 송신하기 위하여, 상기 통화중계서버의 상기 통신장치를 통해 연결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통화중계서버에 의해 제어되도록 되어 있는 통화중계장치에게, 상기 제1 호 및 상기 제2 호를 송신할 것을 명령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가 제공된다. 이 매체는, 통화중계서버에, 상기 통화중계서버에서 제1 음성통신장치의 제1 식별자와 제2 음성통신장치의 제2 식별자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통화중계서버에서 상기 제1 음성통신장치에 대한 제1 호 및 상기 제2 음성통신장치에 대한 제2 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른 통화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제1 음성통신장치가, 상기 제1 음성통신장치의 제1 식별자와 제2 음성통신장치의 제2 식별자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통화중계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음성통신장치가, 상기 제1 음성통신장치에 대한 호를 상기 통화중계서버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호에 대하여 자동으로 수락응답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른 음성통신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처리장치; 및 통신장치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처리장치는, 상기 통신장치를 통해, 상기 음성통신장치의 제1 식별자와 제2 음성통신장치의 제2 식별자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통화중계서버에 전송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처리장치는, 상기 음성통신장치에 대한 호를 상기 통화중계서버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호에 대하여 자동으로 수락응답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가 제공된다. 이 매체는, 제1 음성통신장치에, 상기 제1 음성통신장치의 제1 식별자와 제2 음성통신장치의 제2 식별자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통화중계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음성통신장치에 대한 호를 상기 통화중계서버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호에 대하여 자동으로 수락응답을 수행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른 통화 중계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통화중계서버의 접근(access)을 허용하고 있으며, 제1 음성통신장치와 통신하도록 되어 있는 기지국에서 통화를 중계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1 음성통신장치의 제1 식별자, 제2 음성통신장치의 제2 식별자, 및 상기 통화중계서버의 주소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상기 제1 음성통신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패킷을 상기 통화중계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통화중계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 음성통신장치에 대한 제1 호를 상기 제1 음성통신장치에게 전달하는 것을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통화중계서버는 상기 제2 음성통신장치에 대한 제2 호를 송신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호에 대한 수락응답 및 상기 제2 호에 대한 수락응답이 모두 이루어지면, 상기 제1 음성통신장치와 상기 제2 음성통신장치 사이의 음성통신연결이 수립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음성통신장치에 대한 제1 호는 상기 통화중계서버에 의해 제어되는 통화중계장치로부터 수신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통화중계장치는 상기 제2 음성통신장치에 대한 제2 호를 송신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호에 대한 수락응답 및 상기 제2 호에 대한 수락응답이 모두 이루어지면, 상기 제1 음성통신장치와 상기 제2 음성통신장치 사이의 음성통신연결이 수립되도록 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른 중계기가 제공된다. 이 중계기는, 통화중계서버의 접근(access)을 허용하고 있으며, 제1 음성통신장치와 통신하도록 되어 있는 중계기로서, 통신장치; 및 처리장치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처리장치는, 상기 통신장치를 통해, 상기 제1 음성통신장치의 제1 식별자, 제2 음성통신장치의 제2 식별자, 및 상기 통화중계서버의 주소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상기 제1 음성통신장치로부터 수신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데이터 패킷을 상기 통화중계서버에 송신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통화중계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 음성통신장치에 대한 제1 호를 상기 제1 음성통신장치에게 전달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가 제공된다. 이 매체는, 중계기에게, 통화중계서버의 접근(access)을 허용하고 있으며, 제1 음성통신장치와 통신하도록 되어 있는 기지국에서 통화를 중계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이다. 이때,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음성통신장치의 제1 식별자, 제2 음성통신장치의 제2 식별자, 및 상기 통화중계서버의 주소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상기 제1 음성통신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패킷을 상기 통화중계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통화중계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 음성통신장치에 대한 제1 호를 상기 제1 음성통신장치에게 전달하는 것을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성통신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으며 저렴하게 공급할 수 있는 영업방법을 컴퓨터 기술과 결합하여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자가 제공하는 저렴한 음성통신채널을 이용하여 통화를 시도하는 사용자가, 제3자와의 상호작용(interaction)을 위한 사용자 제스쳐(gesture)를 최소화하여 편리하고 저렴하게 음성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가 상술한 효과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이동통신 기술의 세대별 진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상용화된 서비스의 데이터 전송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WCDMA의 계층별 프로토콜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Wibro 망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5a는 TTA에서 정의한 WiBro의 네트워크 참조모델(NRM: Network Reference Model)을 나타낸 것이다.
도 5b는 WiMAX 포럼의 NWG(Network Working Group)에서 정의한 네트워크 참조모델이다.
도 5c는 LTE의 망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WCDMA 이동통신망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b는 도 8a에 따라 이루어지는 통신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제어방법과 비교하기 위한 비교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0은 도 9에 따른 통신제어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두 개의 사용자기기들이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통화중계서버가 통화를 중계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두 개의 음성통신장치들(2, 3)이 서로 통화할 수 있도록, 통화중계서버가 제1 호와 제2 호를 순차적으로 송신하는 통화중계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화중계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화중계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Wibro 망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RAS(Radio Access Station)는 기지국의 역할을 하여 다양한 사용자 단말기들과 무선 접속을 이룬다. ACR(Access Control Router)은 RAS 상위에 위치하여 복수 개의 RAS에 대한 무선자원 관리를 수행하며 코어 망과 연결된다. 초창기에는 WiBro에서 정의한 RAS와 ACR을 합친 것을 Mobile WiMAX에서 정의한 BS(기지국)에 대응시켜 생각하였으나, 현재는 WiBro의 RAS가 Mobile WiMAX에서의 BS로 매핑되고, 그리고 WiBro의 ACR이 Mobile WiMAX에서의 ASN-GW로 매핑되는 것이 더 일반적이다. 도 4에서 PSS(Personal Subscriber Station)은 개인 가입자 스테이션이고, NMS(Network Management System)은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이다. PSS는 음성통신장치일 수 있다.
도 5a는 TTA에서 정의한 WiBro의 네트워크 참조모델(NRM: Network Reference Model)을 나타낸 것이다. PSS와 RAS 사이를 U-인터페이스라 하며, RAS와 ACR 사이는 A-인터페이스, ACR과 코어 망 사이는 I-인터페이스라고 한다.
도 5b는 WiMAX 포럼의 NWG(Network Working Group)에서 정의한 네트워크 참조모델이다. 이 그림에서의 요소들은 실제 물리적인 장비가 아니라 각 요소가 수행해야할 기능을 정의한 논리적인 망 요소들(Logical entity)을 의미한다. 즉, 실제로는 BS와 ASN-GW가 하나의 물리적 장비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5b에서 ASN은 Access Services Network, CSN은 Connectivity Services Network, ASN-GW는 ASN Gateway, FA는 Mobile IP Foreign Agent, HA는 Mobile IP Home Agent, AAA는 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nd Accounting, NAP은 Network Access Provider, NSP는 Network Service Provider, ASP는 Application Service Provide의 약자이다. 도 5a와 도 5b 중 전세계적인 표준화 입장에서 보면 Mobile WiMAX의 네트워크 참조모델을 참조하는 것이 더 일반적이라고 할 수 있다.
도 5b에서, 논리적인 망 요소들 사이에는 R1부터 R8까지의 reference point가 정의되어 있다. 예를 들면 R1은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의미하며, R6은 기지국과 ASN-GW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R3는 ASN과 CSN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의미한다. 인터페이스를 정의한 이유는, 서로 다른 제조사의 제품들 간의 호환성을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즉, R6 인터페이스가 규격에 명확히 정의되어 있다면 A사의 BS와 B사의 ASN-GW 간에 상호 연동이 가능해야 한다.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지만, 여러 가지 통신 시스템의 망 구조를 아래와 같이 대응하여 비교할 수 있다.
* cdma2000: MS - BS - BSC
* WCDMA: UE - Node B - RNC
* WiBro: MS - RAS - ACR
* WiMAX: MS - BS - ASN-GW
위에서 MS는 Mobile Station, BS는 Base Station, BSC는 Base Station Controller, UE는 User Equipment, RNC는 Radio Network Controller의 약자이다. 여기서 MS, UE는 음성통신장치일 수 있다.
도 5c는 LTE의 망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5c에서 eNB는 evolved Node B의 약자이고, UPE는 User Plane Entity의 약자이고, MME는 Mobility Management Entity의 약자이다. LTE는 WCDMA로부터 진화한 망이기 때문에 WCDMA와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상술한 cdma2000, WCDMA, WiBro, WiMAX, LTE 등에 모두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향후 개발되는 다른 규격의 통신망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은 통화중계서버(1), 제1 음성통신장치(2), 제2 음성통신장치(3), 네트워크(4), 및 기지국(중계기)(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음성통신장치 및 제2 음성통신장치는 각각 발신장치 및 수신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음성통신장치(2)는 상술한 MS, UE 등일 수 있다. 제1 음성통신장치(2)는 컴퓨팅 기능을 갖는 장치일 수 있는데, 예컨대,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등일 수 있다. 제1 음성통신장치(2)의 운영체제는 예컨대 안드로이드, 바다, windows, iOS와 같이 현재 잘 알려진 OS일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앞으로 개발되는 OS도 포함될 수 있다.
제2 음성통신장치(3)는 제1 음성통신장치(2)와 동종의 장치일 수 있다. 또는, 제2 음성통신장치(3)는 일반전화기, 인터넷 전화기, 데스크톱, 랩톱 등 통화가 가능한 장치라면 어떤 것이라도 가능하다. 제1 음성통신장치(2) 및 제2 음성통신장치(3)는 각각을 특정하는 식별자(ID)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식별자는, 한국에서는 010, 070, 060, 1588, 1577 또는 지역번호(local area number) 등의 번호로 시작하는 각종 전화번호일 수 있다.
통화중계서버(1)는 패킷 데이터 통신 경로(10)를 통해 제1 음성통신장치(2)와 송수신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각종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이때, 패킷 데이터 통신 경로(10)는 기지국(5)를 경유하는 경로(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패킷 데이터 통신 경로(10)는 기지국(5)를 경유하지 않으나, 유/무선 인터넷 액세스 포인트(6) 및 인터넷과 같은 데이터 통신망(7)을 경유하는 경로(11)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경로(11)를 포함하는 경우 제1 음성통신장치(2)는 집안, 커피숍 등에 설치된 무선 공유기와 같은 인터넷 액세스 포인트(6)를 통해 통화중계서버(1)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통화중계서버(1)는 제1 음성통신장치(2)와 제2 음성통신장치(3)에 전화를 걸 수 있는 기능이 있다. 통화중계서버(1)가 제1 음성통신장치(2)에 전화를 걸 때에는 네트워크(4) 및 기지국(5)를 포함하는 음성 통신 경로(20)를 거치도록 되어있다. 여기서 음성 통신 경로(20) 중 일부가 회선교환망(써킷망)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통화중계서버(1)가 제2 음성통신장치(3)에 전화를 걸 때에는 네트워크(4)를 거치도록 되어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4)에 포함된 도시되지 않은 또 다른 기지국을 통해 제2 음성통신장치(3)에 연결될 수도 있다.
도 6에서 설명한 통신 시스템은 음성 통신을 위한 시스템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WCDMA 이동통신망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의 네트워크(4)는 예컨대 도 7에 나타낸, 타 이동통신망, 전화망, 인터넷망, 회선교환망(써킷망), 패킷망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WCDMA 네트워크는 음성통화, 화상통화와 같이 실시간성 서비스를 처리하기 위한 회선교환망(써킷망)(1001)과 실시간성보다는 고속, 대용량 전송을 처리하기 위한 패킷교환망(패킷망)(1002), 무선 접속을 처리하기 위한 액세스망 그리고 단말 및 가입자 정보를 위한 USIM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회선교환망과 패킷교환망을 합쳐 코어망이라고 지칭하며 기지국(Node-B)과 기지국 제어국(RNC)을 합쳐 액세스망(무선접속망, UTRAN)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도 7에서 UE는 단말기, Node-B는 기지국, RNC는 기지국 제어국을 의미한다. 위에서 패킷교환망(1002)도 운영자의 정책에 따라 음성통화의 실시간성을 보장하도록 운영될 수 있다.
도 6의 각 구성요소를 도 7의 구성요소에 대응시킬 수 있다. 도 6의 제1 음성통신장치(2)(및 제2 음성통신장치(3))는 도 7의 UE에 대응되고, 도 6의 기지국(5)은 도 7의 Node-B(또는 Node-B + RNC)에 대응될 수 있다. 도 6의 네트워크(4)는 도 7의 회선교환망(써킷망), 패킷망, 타 이동통신망, 전화망, 인터넷망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의 제1 음성통신장치(2)와 기지국(5)을 포함하는 망은 도 7의 액세스망에 대응될 수 있다. 도 6의 통화중계서버(1)는 예컨대 도 7의 패킷망에 접속할 수 있으며, 또한, 회선교환망(써킷망), 타이동통신망, 전화망, 인터넷망 중 하나 이상에 접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b는 도 8a에 따라 이루어지는 통신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6,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단계(S810)에서, 제1 음성통신장치(2)는 데이터 채널을 통해 기지국(5)에 제1 음성통신장치(2)의 식별자(ID1)와 제2 음성통신장치(3)의 식별자(ID2)를 송신하고, 기지국(5)은 제1 음성통신장치(2)로부터 수신한 제1 음성통신장치(2)의 식별자(ID1)와 제2 음성통신장치(3)의 식별자(ID2)를 네트워크(4)를 통해 통화중계서버(1)에게 전송한다. 여기서 '식별자(ID1)'는 '제1 식별자'라고 지칭될 수 있고, '식별자(ID2)'는 '제2 식별자'라고 지칭될 수 있다.
단계(S820)에서, 통화중계서버(1)는 네트워크(4)를 통해 제1 음성통신장치(2)와 제2 음성통신장치(3)에 각각 음성호(voice call)(Call 1, Call 2)를 송신한다. 여기서 제1 음성통신장치(2)에 음성호(Call 1)를 송신한다는 것은 음성 통신, 화상 통신 등 실시간 통신이 보장되어야 하는 통신을 위한 통신연결을 요청하는 신호를 송신한다는 뜻일 수 있다. 즉, 전화를 건다는 의미이다. 제1 음성통신장치(2)와 제2 음성통신장치(3)가 음성호(Call 1, Call 2)를 수락하면 통화중계서버(1)와 제1 음성통신장치(2) 그리고 제2 음성통신장치(3) 사이에 3자 통화가 시작될 수 있다. 음성호(Call 1)와 음성호(Call 2)는 동시에 발신될 수도 있고, 시간 차를 두고 발신될 수도 있다.
이때, 적어도, 제1 음성통신장치(2)와 기지국(5)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음성 신호는 실시간이 보장되는 음성통신채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만일 제1 음성통신장치(2)와 기지국(5)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음성 신호가 실시간 전송이 보장되지 않는 데이터 채널을 통해 전송된다면, 상술한 바와 같이 음성통신의 품질을 보장할 수 없다. 왜냐하면, 제1 음성통신장치(2)가 이동통신장치인 경우에는 제1 음성통신장치(2)와 기지국(5) 간의 통신채널이 페이딩(fading), 다중경로(multi-path) 등과 같이 잘 알려진 무선통신품질의 저해 요인에 의해 데이터 채널이 불안정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제1 음성통신장치(2)와 기지국(5) 사이의 음성 채널의 경우에는 이러한 저해 요인에도 불구하고 음성통신을 위한 최소조건을 만족할 수 있는 프로토콜을 사용하기 때문에 음성통신의 최소 품질이 보장될 수 있다. 기지국(5)과 통화중계서버(1) 사이에 존재하는 네트워크(4)에는 상술한 회선교환망(써킷망)과 패킷망이 혼재하여 존재할 수 있다. 네트워크(4)는 통신채널의 품질이 잘 제어될 수 있는 백본망, 유선채널망 등을 사용하기 때문에 음성 데이터가 써킷 형태로 전송되는 경우 및 패킷 형태로 전송되는 경우 모두 일정 수준 이상의 음성통신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2 음성통신장치(3)가 일반전화기와 같이 고정된 통신기기인 경우에는, 이동통신기기에 비해 더 안정적인 채널품질이 보장될 수 있다.
제1 음성통신장치(2)와 제2 음성통신장치(3)는 통화중계서버(1)가 전송한 음성호에 대한 수락을 동시에 하거나 서로 다른 시각에 할 수 있다. 만일 동시에 수락한 경우에는 통화중계서버(1)는 동시 수락 시각(t1)을 통화시작 시각(tb)으로서 저장할 수 있다. 만일 서로 다른 시각에 수락한 경우에는, 서버는 늦게 수락된 시각(t2)을 통화시작 시각(tb)으로서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는 단계(S830)에서 통화중계서버(1)가 상술한 통신시작 시각(tb)을 저장할 수 있다. 통화가 시작되면 통화중계서버(1), 제1 음성통신장치(2)와 제2 음성통신장치(3)는 3자 통화상태가 된다. 이때 통화중계서버(1)에서는 실제 음성이 출력되지 않기 때문에 제1 음성통신장치(2)의 사용자는 제2 음성통신장치(3)의 사용자의 음성만을 듣게 되고, 제2 음성통신장치(3)의 사용자는 제1 음성통신장치(2)의 사용자의 음성만 들을 수 있게 된다. 즉, 통화중계서버(1)는 3자 통화를 수행함으로써, 제1 음성통신장치(2)와 제2 음성통신장치(3) 사이의 음성통화를 성공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 3자 통화에서 최초의 음성통신 요청자는 언제나 통화중계서버(1)가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화중계서버(1)는 3자 통화가 시작된 다음에, 3자 통화에 계속 참여할 수도 있고, 아니면 3자 통화에서 빠져나올 수 있다. 그러나 만일 3자 통화에서 빠져나오는 경우라면, 통화중계서버(1)는 제1 음성통신장치(2)와 제2 음성통신장치(3) 간 통신의 종료 시점(te)을 모니터링하여야 한다. 그래야만 제1 음성통신장치(2)와 제2 음성통신장치(3) 사이의 통화에 대한 과금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따라서, 단계(S840)에서는, 통화중계서버(1)는 제1 음성통신장치(2) 및 제2 음성통신장치(3) 중 어느 하나라도 통신종료 신호를 발생시키면 이 신호가 발생한 시각(te)을 통신종료 시각(te)으로 간주한다.
그 다음, 단계(S850)에서 통화중계서버(1)는 통신시작 시각(tb)과 통신종료 시각(te)을 기준으로 과금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종료 시각(te)과 통신시작 시각(tb)의 차이값 자체를 이용하여 과금정보를 산출하거나, 또는 통신시작 시각(tb)과 통신종료 시각(te) 사이에 제1 음성통신장치(2)와 제2 음성통신장치(3) 사이에 교환된 음성 패킷의 양을 이용하여 과금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과금은 통화중계서버(1)와 제1 음성통신장치(2) 사이의 통화에 대한 대가가 아니며, 또한 통화중계서버(1)와 제2 음성통신장치(3) 사이의 통화에 대한 대가가 아닐 수 있다. 그보다는 제1 음성통신장치(2)와 제2 음성통신장치(3) 사이의 통화에 대한 대가로서 과금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과금을 위하여는 통화시작 시각과 통화종료 시각을 특정해야하는데, 통화시작 시각은 상술한 바와 같이 통화중계서버(1)가 전송한 음성호에 대하여 제1 음성통신장치(2)와 제2 음성통신장치(3) 모두가 수락한 시점일 수 있다. 그리고 통화종료 시각은 제1 음성통신장치(2)와 제2 음성통신장치(3) 중 어느 하나라도 통신종료 신호를 보내온 시점일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통화시작 시각을 다르게 정의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제어 방법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방법은, 제1 음성통신장치(2), 제1 음성통신장치(2)와 음성채널을 통해 음성통신하도록 되어 있는 기지국(5), 및 통화중계서버(1)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통화중계서버(1)가 통신을 제어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통화중계서버(1)가 제1 음성통신장치(2)의 제1 식별자와 제2 음성통신장치(3)의 제2 식별자를 데이터 채널(10, 11 또는 12)을 통해 제1 음성통신장치(2)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 통화중계서버(1)는 제1 음성통신장치(2)와 제2 음성통신장치(3) 간의 통신을 시작하기 위하여, 제1 음성통신장치(2)의 제1 식별자와 제2 음성통신장치(3)의 제2 식별자를 이용하여 제1 음성통신장치(2) 및 제2 음성통신장치(3)를 호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음성통신장치(2)와 제2 음성통신장치(3) 간의 통신은 기지국(5)를 통해 이루어지며, 상기 통신은 음성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할당된 음성채널 또는 실시간 음성통신이 가능한 데이터 채널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제어방법과 비교하기 위한 비교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0은 도 9에 따른 통신제어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비교예를 설명하면, 제1 음성통신장치(2)는 교환기(100)의 식별자(ID3)를 지정하여 상향 음성 채널(20U)을 통해 전화(Call 0)를 건다. 이때, 제1 음성통신장치(2)는 자신의 식별자(ID1)를 함께 전송한다(단계 S901). 이 전화를 받은 교환기(100)는 제1 음성통신장치(2)의 식별자(ID1)를 저장한 다음에, 수신한 전화(Call 0)를 끊는다(단계 S902). 그 다음 교환기(100)는 제1 음성통신장치(2)의 식별자(ID1)를 이용하여 하향 음성 채널(20D)을 통해 제1 음성통신장치(2)에 전화(Call 1)를 건다(단계 S903). 그러면 제1 음성통신장치(2)는 전화(Call 1)을 수락(단계 S904)해야하는데, 이를 위하여 제1 음성통신장치(2)의 사용자가 특정 제스쳐(gesture)를 취할 필요가 있다. 그 다음 제1 음성통신장치(2)는 통화하고자 하는 제2 음성통신장치(3)의 식별자(ID2)를 교환기(100)에 송신한다(단계 S905). 그 다음 교환기(100)는 제2 음성통신장치(3)의 식별자(ID2)를 이용하여 제2 음성통신장치(3)에 전화(Call 3)를 건다(단계 S906). 이러한 과정을 거쳐 제1 음성통신장치(2), 제2 음성통신장치(3) 및 교환기(100)의 3자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서, 교환기(100)는 음성통신회선을 대량으로 확보함으로써 싼 가격에 제공할 수 있는 사업자에 의해 운영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교환기(100)로부터 송신된 호(Call 1, Call 2)는 매우 싼 가격에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음성통신장치(2)를 사용하는 가입자는 저렴한 음성통신회선을 미리 확보한 자가 아닐 수 있다. 따라서 제1 음성통신장치(2)로부터 송신된 호(Call 0)는 비싼 비용을 지불해야 할 수 있다. 따라서 단계(S901)에서 제1 음성통신장치(2)가 송신한 호(Call 0)는 강제로 종료한 후, 단계(S903)에서 교환기(100)가 송신한 호(Call 1)를 이용하는 것이 경제적이다. 그러나 이때, 제1 음성통신장치(2)의 사용자는 단계(S901)에서 전화를 건 후에, 다시 단계(S904)에서 교환기(100)로부터의 호를 수락하는 제스쳐를 취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비하여, 도 8b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이용하면, 저렴한 음성통신채널을 확보하지 못한 제1 음성통신장치(2)는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통화중계서버(1)에 접속하기 때문에 비싼 음성채널을 이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도 10의 단계(S902) 처럼 강제로 전화를 종료하거나, 단계(S904)와 같이 전화를 수락하는 제스쳐를 취할 필요도 없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두 개의 사용자기기들이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통화중계서버(1)가 통화를 중계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통화중계서버(1)가 제1 음성통신장치(이하 간략히 'VCU1'이라 지칭)(2)로부터 제1 식별자 및 제2 식별자(이하 각각 간략히 'ID1', 'ID2'로 지칭) 및 통화중계서버(1)의 IP주소(이하 간략히 'IP1'으로 지칭)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S101). 이때, ID1, ID2 및 IP1은 VCU1(2)에 설치되어 실행되는 특정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전송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ID1은 VCU1(2)의 식별자이고, ID2는 제2 음성통신장치(이하 간략히 'VCU2'라 지칭)(3)의 식별자이다. 상기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 통화중계서버(1)는 VCU1(2)의 ID1을 목적지로 하는 제1 호를 송신함(S102)과 동시에, ID2를 목적지로 하는 제2 호를 VCU2(3)에 송신할 수 있다(S103). 여기서, 제1 호의 송신과 제2 호의 송신은 동시에 이루어지거나 또는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의 제1 호를 수신한 VCU1(2)에서 실행되는 상기 특정 응용프로그램은 제1 호에 대한 수락응답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고, 응답수락신호를 통화중계서버(1)에 송신할 수 있다(S104). 이러한 자동화는 통신장치의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자에게는 매우 쉽게 달성할 수 있는 일이다. 그리고 VCU2(3)는 통화중계서버(1)에 상기 제2 호에 대한 응답수락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S105). 그리고 VCU1(2)으로부터 응답수락신호를 수신한 제1시점(t1) 및 VCU2(3)으로부터 응답수락신호를 수신한 제2시점(t2) 중 더 늦은 시점을 과금의 시작 시점으로 설정할 수 있고, 만약에 통화중계서버(1)가 VCU1(2) 및 VCU2(3)로부터 응답수락신호를 동시에 수락한 경우에는 통화중계서버(1)는 동시 수락 시각(t1)을 과금의 시작 시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VCU1(2)와 VCU2(3) 중 어느 하나가 통화중계서버(1)와 연결이 종료된 경우 또는 VCU1(2), VCU2(3) 중 먼저 통화를 끊은 시점을 과금의 종료 시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의 통화중계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에 적용될 수도 있다. 통화중계서버(1)가 상기 제1 호와 제2 호를 송신하는 것을 자체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고, 별도의 교환기를 제어하여 이 교환기가 상기 제1 호 및 제2 호를 송신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호에 대한 응답수락 및 상기 제2 호에 대한 응답수락이 모두 이루어지면 VCU1(2)와 VCU2(3)간의 음성통신연결이 시작될 수 있다. 여기서 '응답수락'이란 음성통화를 시작하기 위하여 전화요청을 받아들이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통화중계서버(1), VCU1(2) 및 VCU2(3) 사이에는 3자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으나, 통화중계서버(1)는 이 3자 통화에 실질적으로 참여하지 않을 수 있다. 즉, VCU1(2) 및 VCU2(3) 사이의 양자간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과금정보는 통화중계서버(1) 또는 기타 다른 종래의 잘 알려진 장치에 의해 수집될 수 있다.
도 11에서는 제2 호에 대한 응답수락시각(t2)이 제1 호에 대한 응답수락시각(t1)보다 늦은 것으로 도시하였다. 그러나, 제2 호에 대한 응답수락시각(t2)이 제1 호에 대한 응답수락시각(t1)보다 빠른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이 경우에는 VCU2(3)를 사용하는 수신자가 통화수락을 하더라도 VCU(2)로부터의 음성을 곧 바로 들을 수 없게 되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수신자가 예상하기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에 수신자가 혼란에 빠질 수 있다. 따라서, 통화중계서버(1)에서는 수신자가 잘못 걸려온 전화라고 생각하지 않도록 별도의 안내 음성을 송신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아래의 도 12와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두 개의 음성통신장치들(2, 3)이 서로 통화할 수 있도록, 통화중계서버(1)가 제1 호와 제2 호를 순차적으로 송신하는 통화중계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통화중계서버(1)가 VCU1(2)으로부터 ID1, ID2, IP1을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S101). 상기의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 통화중계서버(1)는 VCU1(2)에 ID1을 목적지로 하는 제1 호를 송신할 수 있다(S102). 상기의 제1 호를 수신한 VCU1(2)에서 실행되는 상기 응용프로그램은 제1 호에 대한 수락응답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고, 응답수락신호를 통화중계서버(1)에 송신할 수 있다(S104). 통화중계서버(1)가 VCU2(3)에 제2 호를 송신하는 단계(S103)는 제1 호에 대한 응답수락신호를 확인하는 단계(S104)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이때, t1보다 t2가 더 늦은 시점이 되기 때문에 t2를 과금의 시작 시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S105).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화중계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VCU1(2)은 ID1, ID2, IP1을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기지국(5)에 전송할 수 있다(S201). 상기의 데이터 패킷을 전송받은 기지국(5)은 통화중계서버(1)에 위의 데이터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S202). 기지국은, VCU1(2)으로부터의 전파가 도달하여 VCU1(2)과 통신을 할 수 있는 범위에서, VCU1(2)과 통화중계서버(1)를 중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통화중계서버(1)는 ID1을 목적지로 하는 제1 호를 기지국(5)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S203). 그리고 통화중계서버(1)는 ID2를 목적지로 하는 제2 호를 VCU2(3)에 송신할 수 있다(S205). 상기의 제1 호를 수신한 기지국(5)은 VCU1(2)에 제1 호를 전달할 수 있다(S204). 그리고 VCU1(2)에서 실행되는 상기 특정 응용프로그램은 자동으로 상기의 제1 호에 대한 수락응답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고, 응답수락신호를 통화중계서버(1)에 송신할 수 있다(S206). 그리고 VCU2(3)는 통화중계서버(1)에 응답수락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S207). 그 후의 단계들은 상술한 도 11 및 도 12로부터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화중계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VCU1(2)은 ID1, ID2, IP1을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기지국(5)에 전송할 수 있다(S301). 기지국(5)은 상기 데이터 패킷을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통화중계서버(1)에 전송할 수 있다(S302). 그리고 통화중계서버(1)는 ID1, ID2를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통화중계장치(6)에 송신할 수 있다(S303). 통화중계장치(6)는 통화중계서버(1)로부터 수신한 제어신호를 기초로 음성통신장치에 호를 전송하는 장치이다. 통화중계장치(6)는 통화중계서버(1)가 음성통신장치에 호를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하지 않을 때에 사용될 수 있다. 통화중계장치(6)가 VCU1(2)와 VCU2(3)에 각각 제1 호와 제2 호를 송신해야하기 때문에, 위의 제어신호에는 ID1과 ID2가 포함될 수 있다. 통화중계장치(6)는 VCU(2)에게 제1 호를 전송하고(S304, S305), VCU2(3)에 제2 호를 전송할 수 있다(S306). 상기의 제1 호를 수신한 VCU1(2)에서 실행되는 상기 응용프로그램은 제1 호에 대한 수락응답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고, 응답수락신호를 통화중계장치(6)에 송신할 수 있다(S307). 그리고 VCU2(3)는 통화중계장치(6)에 응답수락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S308).
본 명세서에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란, 사용자 단말기, 서버, 및 프로그램 개발자용 컴퓨터에 포함된 HDD를 포함하며, 그 밖의 CD-ROM, CD-RW, USB memory, Flash Memory 등 이동식 저장매체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본 발명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의 구체적인 종류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이 양호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자들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특허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의 내용은 본 명세서를 통해 이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인용관계가 없는 다른 청구항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8)

  1. 통화중계서버에서 제1 음성통신장치의 제1 식별자와 제2 음성통신장치의 제2 식별자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통화중계서버에서 상기 제1 음성통신장치에 대한 제1 호 및 상기 제2 음성통신장치에 대한 제2 호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화 중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호에 대한 수락응답 및 상기 제2 호에 대한 수락응답이 모두 이루어지면, 상기 제1 음성통신장치와 상기 제2 음성통신장치 간의 음성통신연결이 수립되도록 되어 있는, 통화 중계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음성통신장치에는, 상기 통화중계서버로부터 상기 제1 호를 수신하였을 때 상기 제1 호에 대하여 자동으로 수락응답을 실행하도록 되어 있는 응용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중계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호 및 상기 제2 호는 상기 통화중계서버에 의해 제어되는 통화중계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중계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호에 대한 수락응답 및 상기 제2 호에 대한 수락응답이 모두 이루어진 시점을, 상기 제1 음성통신장치와 상기 제2 음성통신장치 간의 음성통신에 대한 과금을 위한 과금시작시점으로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화 중계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2 호를 송신하는 것은 상기 제1 호에 대한 수락응답이 확인된 후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중계 방법.
  7. 처리장치; 및 통신장치를 포함하는 통화중계서버로서,
    상기 처리장치는 상기 통신장치를 통해 제1 음성통신장치의 제1 식별자와 제2 음성통신장치의 제2 식별자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처리장치는 상기 제1 음성통신장치에 대한 제1 호 및 상기 제2 음성통신장치에 대한 제2 호를 송신하도록 되어 있는,
    통화중계서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장치는,
    상기 제1 호 및 상기 제2 호를 송신하기 위하여,
    상기 통화중계서버의 상기 통신장치를 통해 연결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통화중계서버에 의해 제어되도록 되어 있는 통화중계장치에게,
    상기 제1 호 및 상기 제2 호를 송신할 것을 명령하도록 되어 있는,
    통화중계서버.
  9. 통화중계서버에,
    상기 통화중계서버에서 제1 음성통신장치의 제1 식별자와 제2 음성통신장치의 제2 식별자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통화중계서버에서 상기 제1 음성통신장치에 대한 제1 호 및 상기 제2 음성통신장치에 대한 제2 호를 송신하는 단계;
    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10. 제1 음성통신장치가, 상기 제1 음성통신장치의 제1 식별자와 제2 음성통신장치의 제2 식별자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통화중계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음성통신장치가, 상기 제1 음성통신장치에 대한 호를 상기 통화중계서버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호에 대하여 자동으로 수락응답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화 제어 방법.
  11. 처리장치; 및 통신장치를 포함하는 음성통신장치로서,
    상기 처리장치는, 상기 통신장치를 통해, 상기 음성통신장치의 제1 식별자와 제2 음성통신장치의 제2 식별자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통화중계서버에 전송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처리장치는, 상기 음성통신장치에 대한 호를 상기 통화중계서버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호에 대하여 자동으로 수락응답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는,
    음성통신장치.
  12. 제1 음성통신장치에,
    상기 제1 음성통신장치의 제1 식별자와 제2 음성통신장치의 제2 식별자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통화중계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음성통신장치에 대한 호를 상기 통화중계서버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호에 대하여 자동으로 수락응답을 수행하는 단계;
    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13. 통화중계서버의 접근(access)을 허용하고 있으며, 제1 음성통신장치와 통신하도록 되어 있는 기지국에서 통화를 중계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1 음성통신장치의 제1 식별자, 제2 음성통신장치의 제2 식별자, 및 상기 통화중계서버의 주소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상기 제1 음성통신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패킷을 상기 통화중계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통화중계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 음성통신장치에 대한 제1 호를 상기 제1 음성통신장치에게 전달하는 것을 허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화 중계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중계서버는 상기 제2 음성통신장치에 대한 제2 호를 송신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호에 대한 수락응답 및 상기 제2 호에 대한 수락응답이 모두 이루어지면, 상기 제1 음성통신장치와 상기 제2 음성통신장치 사이의 음성통신연결이 수립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중계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음성통신장치에 대한 제1 호는 상기 통화중계서버에 의해 제어되는 통화중계장치로부터 수신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중계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중계장치는 상기 제2 음성통신장치에 대한 제2 호를 송신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호에 대한 수락응답 및 상기 제2 호에 대한 수락응답이 모두 이루어지면, 상기 제1 음성통신장치와 상기 제2 음성통신장치 사이의 음성통신연결이 수립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중계 방법.
  17. 통화중계서버의 접근(access)을 허용하고 있으며, 제1 음성통신장치와 통신하도록 되어 있는 중계기로서,
    통신장치; 및 처리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처리장치는,
    상기 통신장치를 통해, 상기 제1 음성통신장치의 제1 식별자, 제2 음성통신장치의 제2 식별자, 및 상기 통화중계서버의 주소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상기 제1 음성통신장치로부터 수신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데이터 패킷을 상기 통화중계서버에 송신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통화중계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 음성통신장치에 대한 제1 호를 상기 제1 음성통신장치에게 전달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되어 있는,
    중계기.
  18. 제1 음성통신장치와 통화중계서버 사이의 통신을 중계하도록 하는 방법을 실행하도록 되어 있는 중계기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통화중계서버가 상기 중계기에 접근(access)하는 것을 허용하고 있으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음성통신장치의 제1 식별자, 제2 음성통신장치의 제2 식별자, 및 상기 통화중계서버의 주소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상기 제1 음성통신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패킷을 상기 통화중계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통화중계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 음성통신장치에 대한 제1 호를 상기 제1 음성통신장치에게 전달하는 것을 허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KR1020120055997A 2011-11-21 2012-05-25 음성 통신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2145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2/009774 WO2013077601A1 (ko) 2011-11-21 2012-11-19 음성 통신 제어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1348 2011-11-21
KR20110121348 2011-11-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4555B1 true KR101214555B1 (ko) 2012-12-24

Family

ID=47908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5997A KR101214555B1 (ko) 2011-11-21 2012-05-25 음성 통신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14555B1 (ko)
WO (1) WO2013077601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55165A (ja) 2007-08-24 2009-03-12 Panasonic Corp 中継機能付きip電話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ip電話システム並びに通信中継方法
JP2009213156A (ja) 2000-04-06 2009-09-17 Distribution Systems Research Inst Ip通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2508A (ko) * 2008-09-18 2010-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 음성패킷망의 서비스 품질 보장 방법 및 장치
KR101669059B1 (ko) * 2010-01-28 2016-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통화 절환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13156A (ja) 2000-04-06 2009-09-17 Distribution Systems Research Inst Ip通信システム
JP2009055165A (ja) 2007-08-24 2009-03-12 Panasonic Corp 中継機能付きip電話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ip電話システム並びに通信中継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77601A1 (ko) 2013-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44943B2 (en) Communicating via a FEMTO access point with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8842629B2 (en) Scheduling method, device and system based on quality of service
US7352698B2 (en) Communications system, communications apparatus, communications terminal and communications method
US8934632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vice-to-device (D2D) assisted dynamic traffic control for cellular networks
CN102970713B (zh) 基于分层网络业务分流的方法和设备
WO2016074175A1 (zh) 终端用户识别方法、设备和***
TWI426794B (zh) 無線通訊系統及其相關之訊息處理方法及其電腦程式產品
KR20210103557A (ko) 시간 민감 통신 서비스 품질을 지원하는 방법 및 통신 기기
JP2009111498A (ja) 無線制御装置、無線基地局、無線通信システム、呼受付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120002251A (ko) 이동통신망과 휴대인터넷망 간의 핸드 오버 방법 및 다중모드 단말 장치
CN102869042B (zh) 无线数据流的传输方法与***
JP2015526995A (ja) ネットワークアクセス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CN103974205A (zh) 一种集群业务控制方法及网络侧设备及用户设备
EP278776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ing over cluster ue, cluster ue, and network side device
CN102932855B (zh) 一种中继节点的切换方法及***
KR101214555B1 (ko) 음성 통신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15529054A (ja) 電気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合法的傍受を可能にする方法、電気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合法的傍受を可能にするユーザ機器、電気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合法的傍受を可能にする基地送受信局、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
RU2335867C2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скоростью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скоростью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и мобильная станция
JP6378373B2 (ja) 通信制御システム、通信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中継装置
CN112970288A (zh) 用于传输数据的方法及设备
KR100625163B1 (ko)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서비스에서의 ip 터널을 통한컨텐츠 전달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06659A (ko) 패킷 데이터 서비스 전용 펨토셀을 구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CN104081832B (zh) 在载波聚合中上行数据的调度方法和装置
JP4645338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制御局及びそれらに用いるサービス変更方法
KR100806210B1 (ko) 무선 기지국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할당된 ppp 자원의해제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