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4534B1 - 이동통신단말기의 무접점충전모듈과 근거리무선통신의 단자공유 및 선택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의 무접점충전모듈과 근거리무선통신의 단자공유 및 선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4534B1
KR101214534B1 KR1020110055835A KR20110055835A KR101214534B1 KR 101214534 B1 KR101214534 B1 KR 101214534B1 KR 1020110055835 A KR1020110055835 A KR 1020110055835A KR 20110055835 A KR20110055835 A KR 20110055835A KR 101214534 B1 KR101214534 B1 KR 101214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nfc
wired
main body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5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6725A (ko
Inventor
김선섭
Original Assignee
(주) 씨아이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씨아이디티 filed Critical (주) 씨아이디티
Priority to KR1020110055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4534B1/ko
Publication of KR20120136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6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4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4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2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microwaves or radio frequency wav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10The network having a local or delimited stationary reach
    • H02J2310/20The network being internal to a load
    • H02J2310/22The load be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near field communication means, e.g. RF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무접점충전모듈과 근거리무선통신의 단자공유 및 선택장치는, 이동통신단말기(2)에 무접점충전모듈(10)과 NFC가 설치되어 있되, 이동통신단말기(2)의 후면커버(3)에 무접점충전모듈(10)의 무접점충전회로(11)와 무접점충전용 안테나(12)와 NFC용 안테나(40)가 설치되고, 이동통신단말기(2)의 본체(4)에 NFC 회로(50)가 설치된 이동통신단말기에 적용되며, 무접점충전회로(11)와 이동통신단말기(2)의 본체(4)를 연결하는 2개의 전원공급단자(21a, 31a)와 유무선충전인식단자(21b, 31b)와 배터리잔량확인단자(21c, 31c) 중에, 유무선충전인식단자(21b, 31b)와 배터리잔량확인단자(21c, 31c)를 NFC용 안테나(40)와 NFC 회로(50)를 연결하는 단자로 공유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유무선충전인식단자(21b, 31b)와 배터리잔량확인단자(21c, 31c)가 무접점충전회로(11)와 본체(4) 사이를 연결하는 충전모드와, 유무선충전인식단자(21b, 31b)와 배터리잔량확인단자(21c, 31c)가 NFC용 안테나(40)와 NFC 회로(50) 사이를 연결하는 NFC 모드로 상호 전환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의 무접점충전모듈과 근거리무선통신의 단자공유 및 선택장치{Device for Sharing and Selecting terminal of Wireless Power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in Mobile}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무접점충전모듈과 근거리무선통신이 함께 적용된 환경에서 단자를 공유하고 공유된 단자를 선택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기로 대표되는 각종 이동통신단말기가 작동하기 위해서는 전원 공급을 필요로 하고, 이를 위해서는 배터리가 장착되어야 하며, 이동통신단말기용 배터리로는 1회용이 아닌 다회용의 충전식 배터리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동통신단말기용 배터리의 충전에는 전통적으로 유선충전방식이 널리 사용되어 왔으나, 유선충전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최대 장점인 이동성을 제한할 뿐만 아니라, 반복적 탈착으로 인한 충전단자의 노쇠 등으로 인하여 충전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런 배경에 따라, 대표적인 이동통신단말기인 휴대전화기의 충전에 무접점(무선) 충전 방식이 도입되었다.
가장 일반적인 무접점충전의 원리는 전자기유도이며, 무접점충전기에 설치된 1차 코일 위에 2차 코일을 내장한 휴대전화기를 올려놓으면, 1차 코일과 2차 코일 사이에 수백 kHz(예, 300kHz) 주파수 대역에서 유도기전력이 발생하여 휴대전화기의 배터리가 충전된다.
이러한 무접점충전은 개발회사에 마다 다양한 통신방식이 진행되어 서로 호환성을 갖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최근에 WPC(Wireless Power Consortium)를 통해 국제 표준화가 이루어졌다.
이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에 무접점충전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전자기유도를 발생시킬 수 있는 코일, 즉 나선형 코일 형태의 루프 안테나(이하, 안테나라고 한다)와 무접점충전회로를 필요로 한다.
일반적으로 휴대전화기에 적용된 무접점충전모듈에 있어서, 일부의 경우 무접점충전회로가 휴대전화기 본체에 설치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많은 경우 무접점충전회로와 그 안테나는 휴대전화기의 후면커버에 설치되고 있다.
WPC에 의해 표준화된 무접점충전모듈의 경우에, 후면커버에 장착된 무접점충전회로와 이동통신단말기 본체는 4개의 연결 단자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그 중에 2개는 전원공급단자이고, 나머지 하나는 유무선충전인식단자이며, 마지막 하나는 배터리잔량확인단자이다.
이동통신단말기에는 무접점충전과는 별도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무선식별)의 무선 환경이 널리 활용되고 있는바, 예를 들어 휴대전화기에 근거리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을 실현하는 NFC 칩을 설치하고, 여기에 USIM 카드와 같은 비접촉식 스마트카드를 장착하여 외부의 RF 리더기에 접근시키면, 근거리무선통신에 의해 휴대전화기의 USIM 카드의 정보가 RF 리더기에 의해 판독되고 필요한 정보를 기록함으로써 예를 들어 전자화폐기능과 같은 탑재된 기능(예, 전자화폐기능)이 실현된다.
이때, NFC 칩과 RF 리더기 사이의 정보교환은, RF 리더기에 설치된 1차 코일(안테나)과 휴대전화기에 설치된 NFC 칩의 코일(안테나) 사이의 13.56MHz에서의 유도 기전력에 의해 USIM 카드의 구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아울러 휴대전화기에 설치된 NFC 칩은, RFID 리더기로서도 작동하여 외부의 RFID 태그 등에 기록된 정보를 판독할 수 있도록 개발되어 있다. NFC 칩이 RF 리더기로 작동할 경우 NFC 칩에 연결된 안테나(코일)가 1차 코일로 작용하여 전력을 송출하게 되고, 외부에 있는 RFID 태그 등에 설치된 코일(안테나)에서 유도기전력이 발생하여 무선통신이 실현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이동통신단말기에 RFID 시스템(NFC)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전자기유도를 발생시킬 수 있는 나선형 코일 형태의 루프 안테나가 필요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NFC용 안테나는 후면커버에 설치되며, 안테나의 2개의 연결 단자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본체에 설치된 NFC 회로의 연결 단자에 연결된다.
결과적으로, 휴대전화기로 대표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무접점충전 기능과 근거리무선통신 기능을 모두 탑재함에 있어서, 무접점충전회로와 그 안테나를 후면커버에 설치하고 NFC용 안테나를 후면커버에 설치할 경우에, 이동통신단말기 본체와 배터리는 6개의 연결 단자가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도3은 휴대전화기에 적용된 무접점충전과 근거리무선통신의 종래 단자 배치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의 커버(110)에는 NFC용 안테나(120)가 설치되어 2개의 안테나 단자(121)가 형성되어 있고, 휴대전화기 본체(210)에 설치된 NFC 회로(220)로부터의 2개의 단자(221)와 연결된다.
아울러 배터리의 커버(110)에는 무접점충전용 안테나(140)와 무접점충전회로(150)로 구성된 무접점충전모듈(130)이 설치되어 4개의 단자(151, 152, 153 및 154)가 형성되어 있으며, 휴대전화기 본체(210)에 설치된 4개의 무접점충전용 단자(211, 212, 213, 214)와 연결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자 151, 152, 211 및 212는 전원공급단자이고, 단자 153과 213은 배터리잔량확인단자이며, 단자 154와 214는 유무선충전인식단자이다.
이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에 무접점충전모듈과 NFC가 함께 적용되고 이동통신단말기의 후면커버에 무접점충전모듈과 NFC용 안테나가 설치된 환경의 경우에, 이동통신단말기의 후면커버와 이동통신단말기 본체에 6개의 단자를 형성하여야 함에 따라, 사용자에 의한 후면카버의 빈번한 탈부착에 의해 단자의 저항이 증가하고, 단자의 텐션 저하로 접촉 불량이 발생할 수도 있으며, 후면커버가 포그핀의 압력에 의해 벗겨지는 현상이 일어날 수 있고, 또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조 원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단말기에 무접점충전모듈과 NFC가 적용되고 이동통신단말기의 후면커버에 무선충전모듈과 NFC용 안테나가 설치된 환경에서, 이동통신단말기의 후면커버와 이동통신단말기 본체에 6개의 단자를 형성하여야 함에 따라 유발되는 저항 증가, 접촉불량, 후면카바의 이탈 및 제조 원가 상승 문제를, 6개의 단자 중에 2개의 단자를 공유하여 4개의 단자만을 형성하고, 필요에 맞게 단자를 선택하여 사용함으로써 완화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의 무접점충전모듈과 근거리무선통신의 단자공유 및 선택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자공유 및 선택장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무접점충전모듈과 NFC가 설치되어 있되,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후면커버에 상기 무접점충전모듈의 무접점충전회로와 무접점충전용 안테나 및 NFC용 안테나가 설치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본체에 NFC 회로가 설치된 이동통신단말기에 적용되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상기 무접점충전회로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상기 본체를 연결하는 2개의 전원공급단자와 유무선충전인식단자와 배터리잔량확인단자 중에, 상기 유무선충전인식단자와 상기 배터리잔량확인단자를 상기 NFC용 안테나와 상기 NFC 회로를 연결하는 단자로 공유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공유된 상기 유무선충전인식단자와 상기 배터리잔량확인단자가 상기 무접점충전회로와 상기 본체 사이를 연결하는 '충전모드'와, 상기 유무선충전인식단자와 상기 배터리잔량확인단자가 상기 NFC용 안테나와 상기 NFC 회로 사이를 연결하는 NFC 모드를 상호 전환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무접점충전기에 근접시킬 때 발생하는 무접점충전용 전압이 출력되면, 상기 유무선충전인식단자와 상기 배터리잔량확인단자가 상기 무접점충전회로와 상기 본체를 연결하도록 하여 상기 충전모드가 실행되게 하고, 상기 무접점충전용 전압이 출력되지 않으면 상기 유무선충전인식단자와 상기 배터리잔량확인단자가 상기 NFC용 안테나와 상기 NFC 회로를 연결하도록 하여 상기 NFC 모드가 실행되게 한다.
삭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장치는, 상기 무접점충전모듈, 후면커버단자부, 본체단자부, 상기 NFC용 안테나 및 상기 NFC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으로서 한쌍의 제1 스위치부, 한쌍의 제2 스위치부, 제1 제어부 및 제2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접점충전모듈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상기 후면커버에 설치되고, 상기 무접점충전회로와 상기 무접점충전회로에 연결된 상기 무접점충전용 안테나를 포함한다.
상기 후면커버단자부는, 상기 무접점충전회로에 연결되어 상기 후면커버에 설치되고, 상기 전원공급단자와 상기 유무선충전인식단자와 상기 배터리잔량확인단자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단자부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전원공급단자와 상기 유무선충전인식단자와 상기 배터리잔량확인단자를 구비한다.
상기 NFC용 안테나는, 상기 후면커버에 설치되고, 상기 후면커버단자부의 상기 유무선충전인식단자와 상기 배터리잔량확인단자에 연결된다.
상기 NFC 회로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단자부의 상기 유무선충전인식단자와 상기 배터리잔량확인단자에 연결된다.
상기 제1 스위치부는, 상기 후면커버단자부의 상기 유무선충전인식단자 및 상기 배터리잔량확인단자와 상기 무접점충전회로 및 상기 NFC용 안테나 사이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후면커버단자부의 상기 유무선충전인식단자와 상기 배터리잔량확인단자가 상기 무접점충전회로 또는 상기 NFC용 안테나에 연결되게 한다.
상기 제2 스위치부는, 상기 본체단자부의 상기 유무선충전인식단자 및 상기 배터리잔량확인단자와 상기 본체 및 상기 NFC 회로 사이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본체단자부의 상기 유무선충전인식단자와 상기 배터리잔량확인단자가 상기 본체 또는 상기 NFC 회로에 연결되게 한다.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후면커버단자부의 상기 전원공급단자와 상기 제1 스위치부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무접점충전기에 접근할 때 발생하는 주파수를 검출하고, 상기 주파수를 검출하면 상기 후면커버단자부의 상기 유무선충전인식단자와 상기 배터리잔량확인단자가 상기 무접점충전회로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1 스위치부를 작동시킨다.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본체단자부의 상기 전원공급단자와 상기 제2 스위치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무접점충전기에 접근할 때 발생하는 주파수를 검출하고, 상기 주파수를 검출하면 상기 본체단자부의 상기 유무선충전인식단자와 상기 배터리잔량확인단자가 상기 본체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2 스위치부를 작동시킨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무접점충전회로에 실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무접점충전모듈과 근거리무선통신의 단자공유 및 선택장치에 의하면, 이동통신단말기에 상기 무접점충전모듈과 상기 NFC가 적용되고 이동통신단말기의 상기 후면커버에 상기 무선충전모듈과 상기 NFC용 안테나가 설치되며 상기 본체에 상기 NFC 회로가 설치된 환경에서, 이동통신단말기의 상기 후면커버와 이동통신단말기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있던 6개의 단자를 4개의 단자로 감축할 수 있고, 감축된 단자를 무접점충전모드와 NFC 모드의 사용 상태에 맞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음에 따라, 과도하게 많은 단자로 인한, 저항 증가, 접촉불량, 후면카바의 이탈 및 제조 원가 상승을 완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자공유 및 선택장치의 개략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단자공유 및 선택장치의 변형 개략도,
도3은 휴대전화기에 적용된 무접점충전과 NFC의 종래 단자 배치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무접점충전모듈과 근거리무선통신의 단자공유 및 선택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발명에 따른 단자공유 및 선택장치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도1과 도2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자공유 및 선택장치는, 이동통신단말기(2)에 무접점충전을 위한 무접점충전모듈(10)과 근거리무선통신을 위한 NFC가 함께 설치된 환경에 적용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장치는, 이동통신단말기(2)의 후면커버(3)에 무접점충전모듈(10)의 무접점충전회로(11)와 무접점충전용 안테나(12)와 NFC용 안테나(40)가 설치되어 있으면서, 이동통신단말기(2)의 본체(4)에는 NFC 회로(50)가 설치된 이동통신단말기에 적용된다.
위와 같은 환경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적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무접점충전회로(11)와 이동통신단말기(2)의 본체(4)를 연결하는 2개의 전원공급단자(21a, 31a)와 유무선충전인식단자(21b, 31b)와 배터리잔량확인단자(21c, 31c) 중에서, 유무선충전인식단자(21b, 31b)와 배터리잔량확인단자(21c, 31c)를 NFC용 안테나(40)와 NFC 회로(50)를 연결하는 단자로 공유함으로써, 6개의 단자를 4개로 감축한다.
2개의 단자가 공유됨에 따라, 본 발명의 장치는, 공유된 유무선충전인식단자(21b, 31b)와 배터리잔량확인단자(21c, 31c)가, 무접점충전회로(11)와 본체(4) 사이를 연결함으로써 무접점충전을 활성화시키는 충전모드와, NFC용 안테나(40)와 NFC 회로(50) 사이를 연결함으로써 NFC를 활성화시키는 NFC 모드 사이를 전환시킬 수 있는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어수단은, 위와 같은 작용을 실행할 수 있게 구축된 것이라면 특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예를 들어 이동통신단말기를 무접점충전기에 근접시킬 때 발생하는 무접점충전용 전압이 출력되면, 유무선충전인식단자(21b, 31b)와 배터리잔량확인단자(21c, 31c)가 무접점충전회로(11)와 본체(4)를 연결하도록 하여 상기 충전모드를 활성화하고, 이런 무접점충전용 전압이 출력되지 않으면 유무선충전인식단자(21b, 31b)와 배터리잔량확인단자(21c, 31c)가 NFC용 안테나(40)와 NFC 회로(50)를 연결하도록 하여 NFC 모드를 활성화시키도록 구축할 수 있다.
예시된 도1과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장치는, 무접점충전모듈(10), 후면커버단자부(20), 본체단자부(30), NFC용 안테나(40), NFC 회로(50) 및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으로서는 제1 스위치부(60), 제2 스위치부(70), 제1 제어부(80), 및 제2 제어부(90)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무접점충전모듈(10)은,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무접점충전회로(11)와 여기에 연결되어 무접점충전에 요구되는 주파수(예, 300kHz)의 유도기전력을 발생시키는 무접점충전용 안테나(1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환경에서는 무접점충전모듈(10)이 이동통신단말기(2)의 후면커버(3)에 설치된다.
무접점충전모듈(10)은, WPC(Wireless Power Consortium) 표준에 부합하도록 설계된 모듈로서, 널리 무접점충전에 적용되고 있는 기술을 본 발명에 맞게 적용할 수 있는바, 무접점충전모듈 자체는 본 발명의 특징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으므로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후면커버단자부(20)는 무접점충전회로(11)에 연결되며, 후면커버(3)에 설치된 무접점충전회로(11)를 이동통신단말기(2)의 본체(4)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단자들을 포함한다.
후면커버단자부(20)에는, 앞서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원 공급을 위한 2개의 전원공급단자(21a), 배터리의 충전 잔량을 확인하기 위한 1개의 유무선충전인식단자(21b) 및 충전이 유선 방식으로 진행되는지 무접점 방식으로 진행되는지를 인식하여 유선충전이 우선적으로 적용되도록 하는 1개의 배터리잔량확인단자(21c)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단자부(30)는 이동통신단말기(2)의 본체(4)에 형성되며, 상기 후면커버단자부(20)에 구비된 단자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대응하는 단자들이 형성된다. 따라서 본체단자부(30)에는, 후면커버단자부(20)의 단자들(21)에 대응하여, 2개의 전원공급단자(31a), 1개의 유무선충전인식단자(31b) 및 1개의 배터리잔량확인단자(31c)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NFC용 안테나(40)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단말기(2)에 적용된 NFC에 요구되는 주파수(예, 13.56MHz)의 유도기전력을 발생시키는 안테나로서, 후면커버(3)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후면커버(3)의 NFC용 안테나(40)는 본체(4)에 설치된 후술하는 NFC 회로(50)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독자적인 단자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무접점충전회로(11)를 위해 구비된 후면커버단자부(20)의 유무선충전인식단자(21b)와 배터리잔량확인단자(21c)에 연결되어 이들 2개의 단자를 무접점충전모듈(10)과 공유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후면커버(3)에 설치된 무접점충전모듈(10)과 NFC용 안테나(40)를 이동통신단말기(2)의 본체 측과 전기적으로 연결함에 있어서, NFC용 안테나(40)를 위한 별도의 단자를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무접점충전모듈(10)의 무접점충전회로(11)를 이동통신단말기의 본체에 연결하기 위해 구비되어 있는 단자들 중에 유무선충전인식단자(21b)와 배터리잔량확인단자(21c)를 공유(겸용)하여 사용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의 후면커버(3)에 무선충전모듈과 NFC용 안테나가 설치된 환경에서 필요한 총 6개의 단자를 4개로 감축하는 것이다.
상기 NFC 회로(50)는 이동통신단말기(2)의 본체에 설치된다. NFC 회로(50)는 표준화된 NFC에 부합하도록 설계된 회로(칩)로서, 널리 NFC에 적용되고 있는 회로를 본 발명에 맞게 적용할 수 있으며, NFC 회로(50)도 그 자체는 본 발명의 특징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으므로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체(4)에 설치된 NFC 회로(50)는 후면커버(3)에 설치된 NFC용 안테나(40)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전술한 본체단자부(30)의 유무선충전인식단자(31b)와 배터리잔량확인단자(31c)에 연결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장치에 적용되는 예시적인 제어수단인 제1 스위치부(60), 제2 스위치부(70), 제1 제어부(80) 및 제2 제어부(90)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후면커버(3)의 NFC용 안테나(40)를 본체(4)의 NFC 회로(50)에 연결하기 위한 단자로 무접점충전회로(11)의 본체에의 연결을 위해 구비된 후면커버단자부(20)의 유무선충전인식단자(21b)와 배터리잔량확인단자(21c)와 공유하는 것이므로, 공유된 유무선충전인식단자(21b)와 배터리잔량확인단자(21c)를 무접점충전회로(11)와 연결하여 무접점충전을 실행할 것인지, 아니면 NFC용 안테나(40)에 연결하여 NFC를 실행할 것인지 선택하여야 할 필요가 있는 바, 이를 위해 후면커버(3)에는 한쌍의 제1 스위치부(60)가 구비된다.
제1 스위치부(60)는 후면커버단자부(20)의 유무선충전인식단자(21b) 및 배터리잔량확인단자(21c)와 무접점충전회로(11) 및 NFC용 안테나(40) 사이에 각각 연결되며, 유무선충전인식단자(21b)와 배터리잔량확인단자(21c)가 무접점충전회로(11)에 연결되거나 NFC용 안테나(40)에 연결되게 스위칭한다.
제1 스위치부(60)와 마찬가지의 목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의 본체(4)에는 한쌍의 제2 스위치부(70)가 구비된다. 제2 스위치부(70)는 본체단자부(30)의 유무선충전인식단자(31b) 및 배터리잔량확인단자(31c)와 본체(4) 및 상기 NFC 회로(50) 사이에 연결되어, 유무선충전인식단자(31b)와 배터리잔량확인단자(31c)가 본체(4)에 연결되거나 NFC 회로(50)에 연결되게 스위칭한다.
제1 스위칭부(60)와 제2 스위칭부(70)의 스위칭은 상호 연동하며, 양자의 스위칭부(60, 70)가 무접점충전회로(11)와 본체(4)를 연결하면 무접점충전이 활성화되고, NFC용 안테나(40)와 NFC 회로(50)를 연결하면 NFC가 활성화된다.
제1 스위칭부(60)의 스위칭은 후면커버(3)에 설치된 제1 제어부(80)에 의해 제어되고, 제2 스위칭부(70)의 스위칭은 본체(4)에 설치된 제2 제어부(90)에 의해 제어된다.
제1 제어부(80)는 후면커버단자부(20)의 전원공급단자(21a)와 제1 스위치부(60)의 사이에 연결되고, 이동통신단말기(2)가 무접점충전기에 접근할 때 발생하는 주파수(예, 300kHz)를 검출하고, 해당 주파수를 검출하게 되면 무접점충전을 실행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후면커버단자부(20)의 유무선충전인식단자(21b)와 배터리잔량확인단자(21c)가 무접점충전회로(11)에 연결되도록 제1 스위치부(60)를 작동시켜 무접점충전이 활성화 되게 하고, 그렇지 않으면 유무선충전인식단자(21b)와 배터리잔량확인단자(21c)가 NFC용 안테나(40)에 연결되도록 제1 스위치부(60)를 작동시켜 NFC가 활성화 되게 한다.
제2 제어부(90)는, 제1 제어부(80)와 마찬가지로, 본체단자부(30)의 전원공급단자(31a)와 제2 스위치부(70) 사이에 연결되며, 이동통신단말기(2)가 무접점충전기에 접근할 때 발생하는 주파수(예, 300kHz)를 검출하고, 해당 주파수를 검출하면 유무선충전인식단자(31b)와 배터리잔량확인단자(31c)가 본체(4)에 연결되도록 제2 스위치부(70)를 작동시켜 무접점충전이 활성화 되게 하고, 그렇지 않으면 잔량 확인단자(31b)와 배터리잔량확인단자(31c)가 NFC 회로(50)에 연결되도록 제2 스위칭부(70)를 작동시켜 NFC가 활성화 되게 한다.
이동통신단말기(2)가 무접점충전기에 접근할 때, 무접점충전기의 안테나와 무접점충전모듈(10)의 무접점충전용 안테나(12) 사이에 해당 주파수의 유도기전력이 발생하고, 발생된 유도기전력은 후면커버단자부(20)의 전원공급단자(21a)와 여기에 접속된 본체단자부(30)의 전원공급단자(31a)를 통해 본체로 흐르게 되는 바, 제1 제어부(80)와 제2 제어부(90)가 동시적으로 이를 검출하여 제1 스위치부(60)와 제2 스위치부(70)를 무접점충전 활성 상태로 작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도1의 구체예는 제1 제어부(80)를 무접점충전회로(11)와 별개로 구축한 예이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어부(80)는 무접점충전회로(11)의 일부로 포함시킬 수도 있다.
도1에서 스위치부(60, 70)에의 전원 공급은, 예를 들어 전원공급단자(21a, 31a)를 이용하여 본체(4)로부터 다이오드(5)를 통해 공급할 수 있고, NFC 신호와 충전 데이터 입출력에는 커플링 캐패시터를 이용하여 직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물론 스위치부(60, 70)에의 전원은 V+ 접점을 통하여도 공급 받을 수 있다. 이때, 무접점충전회로의 출력 단자는 충전 모드와 NFC 모드를 구분하고 NFC 모드에서는 배터리 전압을, 충전 모드에서는 충전 회로의 출력 전압을 이용할 수 있다.
2: 이동통신단말기
3: 후면커버
4: 이동통신단말기의 본체
10: 무접점충전모듈
11: 무접점충전회로
12: 무접점충전용 안테나
20: 후면커버단자부
21a, 31a: 전원공급단자
21b, 31b: 유무선충전인식단자
21c, 31c: 배터리잔량확인단자
30: 본체단자부
40: NFC용 안테나
50: NFC 회로
60: 제1 스위치부
70: 제2 스위치부
80: 제1 제어부
90: 제2 제어부

Claims (4)

  1. 이동통신단말기(2)에 무접점충전모듈(10)과 NFC가 설치되어 있되, 상기 이동통신단말기(2)의 후면커버(3)에 상기 무접점충전모듈(10)의 무접점충전회로(11)와 무접점충전용 안테나(12)와 NFC용 안테나(4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2)의 본체(4)에 NFC 회로(50)가 설치된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무접점충전회로(11)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2)의 상기 본체(4)를 연결하는 2개의 전원공급단자(21a, 31a)와 유무선충전인식단자(21b, 31b)와 배터리잔량확인단자(21c, 31c) 중에, 상기 유무선충전인식단자(21b, 31b)와 상기 배터리잔량확인단자(21c, 31c)를, 상기 NFC용 안테나(40)와 상기 NFC 회로(50)를 연결하는 단자로 공유하고;
    상기 유무선충전인식단자(21b, 31b)와 상기 배터리잔량확인단자(21c, 31c)가 상기 무접점충전회로(11)와 상기 본체(4) 사이를 연결하는 '충전모드'와, 상기 유무선충전인식단자(21b, 31b)와 상기 배터리잔량확인단자(21c, 31c)가 상기 NFC용 안테나(40)와 상기 NFC 회로(50) 사이를 연결하는 'NFC 모드'를 상호 전환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무접점충전모듈과 근거리무선통신의 단자공유 및 선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2)를 무접점충전기에 근접시킬 때 발생하는 무접점충전용 전압이 출력되면 상기 유무선충전인식단자(21b, 31b)와 상기 배터리잔량확인단자(21c, 31c)가 상기 무접점충전회로(11)와 상기 본체(4)를 연결하는 상기 충전모드가 실행되게 하고, 상기 무접점충전용 전압이 출력되지 않으면 상기 유무선충전인식단자(21b, 31b)와 상기 배터리잔량확인단자(21c, 31c)가 상기 NFC용 안테나(40)와 상기 NFC 회로(50)를 연결하는 상기 NFC 모드가 실행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무접점충전모듈과 근거리무선통신의 단자공유 및 선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2)의 상기 후면커버(3)에 설치되고, 상기 무접점충전회로(11)와 상기 무접점충전회로(11)에 연결된 상기 무접점충전용 안테나(12)를 포함하는 상기 무접점충전모듈(10);
    상기 후면커버(3)에 설치되어 상기 무접점충전회로(11)에 연결되고, 상기 전원공급단자(21a)와 상기 유무선충전인식단자(21b)와 상기 배터리잔량확인단자(21c)를 구비하는 후면커버단자부(20);
    상기 이동통신단말기(2)의 상기 본체(4)에 설치되고, 상기 전원공급단자(31a)와 상기 유무선충전인식단자(31b)와 상기 배터리잔량확인단자(31c)를 구비하는 본체단자부(30);
    상기 후면커버(3)에 설치되고, 상기 후면커버단자부(20)의 상기 유무선충전인식단자(21b)와 상기 배터리잔량확인단자(21c)에 연결된 상기 NFC용 안테나(40); 및
    상기 본체(4)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단자부(30)의 상기 유무선충전인식단자(31b)와 상기 배터리잔량확인단자(31c)에 연결된 상기 NFC 회로(50);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후면커버단자부(20)의 상기 유무선충전인식단자(21b) 및 상기 배터리잔량확인단자(21c)와 상기 무접점충전회로(11) 및 상기 NFC용 안테나(40) 사이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후면커버단자부(20)의 상기 유무선충전인식단자(21b)와 상기 배터리잔량확인단자(21c)가 상기 무접점충전회로(11) 또는 상기 NFC용 안테나(40)에 연결되게 하는 한쌍의 제1 스위치부(60);
    상기 본체단자부(30)의 상기 유무선충전인식단자(31b) 및 상기 배터리잔량확인단자(31c)와 상기 본체(4) 및 상기 NFC 회로(50) 사이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본체단자부(30)의 상기 유무선충전인식단자(31b)와 상기 배터리잔량확인단자(31c)가 상기 본체(4) 또는 상기 NFC 회로(50)에 연결되게 하는 한쌍의 제2 스위치부(70);
    상기 후면커버단자부(20)의 상기 전원공급단자(21a)와 상기 제1 스위치부(60)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2)가 무접점충전기에 접근할 때 발생하는 주파수를 검출하고, 상기 주파수를 검출하면 상기 후면커버단자부(20)의 상기 유무선충전인식단자(21b)와 상기 배터리잔량확인단자(21c)가 상기 무접점충전회로(11)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1 스위치부(60)를 작동시키는 제1 제어부(80); 및
    상기 본체단자부(30)의 상기 전원공급단자(31a)와 상기 제2 스위치부(70)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2)가 상기 무접점충전기에 접근할 때 발생하는 주파수를 검출하고, 상기 주파수를 검출하면 상기 본체단자부(30)의 상기 유무선충전인식단자(31b)와 상기 배터리잔량확인단자(31c)가 상기 본체(4)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2 스위치부(70)를 작동시키는 제2 제어부(9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무접점충전모듈과 근거리무선통신의 단자공유 및 선택장치.
  4. 삭제
KR1020110055835A 2011-06-09 2011-06-09 이동통신단말기의 무접점충전모듈과 근거리무선통신의 단자공유 및 선택장치 KR101214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5835A KR101214534B1 (ko) 2011-06-09 2011-06-09 이동통신단말기의 무접점충전모듈과 근거리무선통신의 단자공유 및 선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5835A KR101214534B1 (ko) 2011-06-09 2011-06-09 이동통신단말기의 무접점충전모듈과 근거리무선통신의 단자공유 및 선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6725A KR20120136725A (ko) 2012-12-20
KR101214534B1 true KR101214534B1 (ko) 2012-12-24

Family

ID=47904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5835A KR101214534B1 (ko) 2011-06-09 2011-06-09 이동통신단말기의 무접점충전모듈과 근거리무선통신의 단자공유 및 선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45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5507B1 (ko) * 2013-05-24 2013-11-07 (주)광진텔레콤 단말기의 nfc 안테나 단자를 이용한 무선충전제어 및 무선충전상태감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4341B1 (ko) 2012-04-09 2018-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 장치 및 방법
WO2014104426A1 (ko) * 2012-12-27 2014-07-03 전자부품연구원 무선에너지 수신기를 내장한 주방용 전기 기기
KR101462120B1 (ko) * 2013-05-28 2014-11-17 디바이스디자인(주) 휴대단말의 유선 및 무접점 충전 제어방법과 충전시스템 및 배터리 팩
US20150130410A1 (en) 2013-11-11 2015-05-14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Battery packag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KR101670118B1 (ko) 2013-11-11 2016-10-27 삼성전기주식회사 배터리 패키지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
CN105099527B (zh) * 2015-09-08 2018-07-20 王清斌 一种具有独立能量接收天线的无源nfc通信接口
CN106549691B (zh) * 2015-09-23 2020-09-08 南京中兴新软件有限责任公司 选择天线的方法及终端
KR102000958B1 (ko) * 2018-11-21 2019-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 장치 및 방법
CN114067460A (zh) * 2020-07-27 2022-02-18 宁波生久柜锁有限公司 一种基于nfc无线供电开锁的无源电子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5507B1 (ko) * 2013-05-24 2013-11-07 (주)광진텔레콤 단말기의 nfc 안테나 단자를 이용한 무선충전제어 및 무선충전상태감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6725A (ko) 2012-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4534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무접점충전모듈과 근거리무선통신의 단자공유 및 선택장치
KR101002530B1 (ko) 알에프아이디 통신 장치
KR101488607B1 (ko)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 구조물
KR10183096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일체형으로 구비된 엔에프시 안테나와 비접촉 충전 코일의 구분 장치 및 그 방법
US9246357B2 (en) Contactless power feeding system
US7791311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wirelessly sharing power by inductive method
TWI590563B (zh) 無線充電電路、無線充電系統及半導體裝置
CN100590989C (zh) 具有多路开关接口的近场通讯手机及其供电和通讯方法
CN103907265B (zh) 受电装置、送电装置及无线电力传输***
KR101185681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무접점 충전과 근거리무선통신을 위한 겸용 안테나
US20140349572A1 (en) Integrated inductive power receiver and near field communicator
CN101345793B (zh) 一种近场通信终端及其掉电实现非接触式卡应用的方法
KR20110056334A (ko) 안테나가 달린 유도전력 리시버
CN104025415A (zh) 电子设备和传输***
US9923605B2 (en) Electronic apparatus
US10411762B2 (en) Electronic apparatus
KR101583093B1 (ko) 서로 다른 타입의 uicc 카드들을 지원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US20130314048A1 (en) Battery device, battery management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190140483A1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non-contact power feeding system
KR101794693B1 (ko) 모바일 단말용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 및 근거리 무선통신 방법
KR101876431B1 (ko) Ess 기능과 페이퍼 배터리로 이루어진 nfc·rfid 무선전자카드용 스마트충전장치
US9673866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device
JP2009094883A (ja) 携帯電話機の補助電源システム
KR100621807B1 (ko) 접촉/비접촉 스마트카드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비접촉기능 성능개선장치
JP4514559B2 (ja) 携帯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