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4159B1 - Digital imaging device viewing electronic books - Google Patents

Digital imaging device viewing electronic book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4159B1
KR101214159B1 KR1020060022778A KR20060022778A KR101214159B1 KR 101214159 B1 KR101214159 B1 KR 101214159B1 KR 1020060022778 A KR1020060022778 A KR 1020060022778A KR 20060022778 A KR20060022778 A KR 20060022778A KR 101214159 B1 KR101214159 B1 KR 101214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ocument
keyword
unit
user
image photograp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27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92525A (en
Inventor
박문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2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4159B1/en
Publication of KR20070092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252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4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41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7/00Speaker identification or verification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1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during image pickup, e.g. digital cameras, camcorders, video cameras having integrated special effects cap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전자문서를 볼 수 있는 디지털 이미지 촬영장치는, 이미지 촬영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전자문서 모드를 설정하는 조작부; 전자문서를 저장하는 저장부; 저장된 전자문서를 독취하여 디스플레이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어부; 디스플레이 신호를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전자문서의 특정한 키워드의 입력을 인식하는 키워드 입력 인식부를 구비하고, 제어부는 사용자가 키워드 입력 인식부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전자문서상에서 특정 키워드를 지정한 경우에 키워드에 연결된 미리 설정된 이미지 촬영 옵션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고, 옵션의 선택 입력에 따라 이미지 촬영 옵션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for viewing an electronic doc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photographing unit; An operation unit which is operated by a user to set an electronic document mode; A storage unit for storing an electronic document; A control unit which reads the stored electronic document, converts it into a display signal, and outputs the converted signal; A display unit which displays a display signal on a screen; And a keyword input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input of a specific keyword of the electronic document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wherein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connect to the preset image when the user designates the specific keyword on the electronic document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through the keyword input recognition unit. The shooting op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and the image shooting option is set according to the selection input of the option.

본 발명의 디지털 이미지 촬영장치에 의하면 사용자가 디지털 이미지 촬영장치로 전자책을 읽는 도중에 화면상에서 직접 특정 키워드를 입력함으로써 여러 가지 다양한 이미지 촬영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책을 읽는 도중에 전자책의 내용에서 촬영의 영감을 얻은 사용자가 특정 촬영조건 설정을 변경하고 즉시 원하는 촬영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이미지 촬영에 관한 사용자의 호기심을 유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various image photographing conditions can be set by a user inputting a specific keyword directly on the screen while the e-book is read by the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Thus, while reading the e-book, the user who is inspired by the content of the e-book can change a specific shooting condition setting and immediately perform the desired shooting, which can induce a user's curiosity about image shooting.

Description

전자문서를 볼 수 있는 디지털 이미지 촬영장치{Digital imaging device viewing electronic books}Digital imaging device viewing electronic books}

도 1은 본 발명의 개념이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일 예로서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igital camera as an example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to which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일례로서 도 1과 같은 디지털 카메라의 앞면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front surface of a digital camera as shown in FIG. 1 as an example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일례로서 도 1과 같은 디지털 카메라의 뒷면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rear surface of a digital camera as shown in FIG. 1 as an example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한 디지털 이미지 촬영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및 도 5b는 사용자가 전자문서를 읽는 도중에 특정 키워드를 선택한 경우를 예시한 화면이다.5A and 5B are screens illustrating a case where a user selects a specific keyword while reading an electronic document.

도 6은 사용자가 전자문서를 읽는 도중에 특정 키워드를 선택한 경우에 키워드에 연결된 2가지의 촬영모드를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가 표시된 화면의 예이다.6 illustrates an example of a screen on which a menu for selecting one of two shooting modes connected to a keyword is displayed when the user selects a specific keyword while reading an electronic document.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디지털 이미지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자책과 같은 전자문서 뷰어 기능이 내장된 복합기능의 디지털 이미지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such as a digital camera,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having a combined function of an electronic document viewer such as an electronic book.

전자책(electronic book)이란 기존의 종이책 대신 인터넷의 표준언어인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과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에 의하거나 PDF(portable document format) 등 다양한 파일 형식으로 만든 디지털화된 책이다. 전자책 콘텐츠는 전자책 뷰어(viewer) 소프트웨어를 통해 PC나 전용 단말기, PDA 등의 개인용 정보 단말기로 볼 수 있다. 디지털화된 전자책은 복사, 인쇄가 자유롭고, 검색, 하이퍼링크 등 편리하고 입체적인 기능을 가진다.An electronic book is a digital book made of various file formats such as HTML (hypertext markup language) and 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 or PDF (portable document format) instead of the existing paper book. E-book content can be viewed as a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such as a PC, a dedicated terminal, or a PDA through the e-book viewer software. Digitized e-books are free to copy and print, and have convenient and three-dimensional functions such as search and hyperlinks.

한편, 종래의 디지털 이미지 촬영장치는 각종 촬영조건을 설정함에 있어서, 모드 다이얼을 돌리거나, 버튼 조작에 의하여 설정 메뉴에 진입하여 세부 메뉴를 설정하였다.Meanwhile, in the conventional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in setting various photographing conditions, a detailed menu is set by entering a setting menu by turning a mode dial or operating a button.

이러한 종래의 촬영조건 설정 방식에 의하면, 사용자가 디지털 이미지 촬영장치로 전자책을 읽는 도중에 전자책의 내용에서 영감을 얻어 특정 촬영조건 설정을 변경하고 즉시 촬영을 원하는 경우에 세부 메뉴를 일일이 변경하여야 하였다.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shooting condition setting method, when a user reads an e-book while reading an e-book with a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the user needs to change a specific shooting condition setting and immediately shoot a detailed menu. .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전자문서를 보는 화면상에서 직접 이미지 촬영조건을 설정할 수 있는 전자문서 뷰어 기능이 내장된 디지털 이미지 촬영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an effort to provide a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having an electronic document viewer function, which allows a user to directly set image photographing conditions on a screen for viewing an electronic document.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전자문서를 볼 수 있는 디지털 이미지 촬영장치는, 이미지 촬영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전자문서 모드를 설정하는 조작부; 전자문서를 저장하는 저장부; 저장된 전자문서를 독취하여 디스플레이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디스플레이 신호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전자문서의 특정한 키워드의 입력을 인식하는 키워드 입력 인식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키워드 입력 인식부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전자문서상에서 특정 키워드를 지정한 경우에 상기 키워드에 연결된 미리 설정된 이미지 촬영 옵션을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옵션의 선택 입력에 따라 이미지 촬영 옵션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capable of viewing an electronic doc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photographing unit; An operation unit which is operated by a user to set an electronic document mode; A storage unit for storing an electronic document; A control unit which reads the stored electronic document, converts it into a display signal, and outputs the converted signal; A display unit which displays the display signal on a display screen; And a keyword input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an input of a specific keyword of the electronic document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wherein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set the keyword when the user designates a specific keyword on the electronic document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through the keyword input recognition unit. And a preset image capturing option connected to the display screen, and the image capturing option is set according to a selection input of the option.

상기 저장부는, 상기 키워드를 파일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may store the keyword in the form of a file.

상기 키워드 입력 인식부는 터치스크린 및 그 제어장치로서 구비될 수 있다.The keyword input recognition unit may be provided as a touch screen and a control device thereof.

또한, 상기 키워드 입력 인식부는 마이크 및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된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인식장치로서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keyword input recognition unit may be provided as a microphone and a voice recognition device for recognizing a voice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워드가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전자문서상에서 하이라이트 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process the keyword to be highlighted on the electronic document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상기 키워드가 지정된 경우에 상기 키워드에 연결된 이미지 촬영 옵션에 대한 부가 설명을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When the keyword is specified, an additional description of the image capturing option connected to the keyword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이하, 본 발명의 구성과 동작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도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의미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components that perform the same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의 개념이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일 예로서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igital camera as an example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to which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렌즈부와 필터부를 포함한 광학계(OPS)는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광학적으로 처리한다. 광학계(OPS) 안의 렌즈부는 줌 렌즈, 포커스 렌즈, 및 보상 렌즈를 포함한다.The optical system OPS including the lens unit and the filter unit optically processes light from a subject. The lens unit in the optical system OPS includes a zoom lens, a focus lens, and a compensation lens.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 (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의 광전 변환부(OEC)는 광학계(OPS)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여기서, DSP(7)는 타이밍 회로(2)를 제어하여 광전 변환부(OEC)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의 동작을 제어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로서의 CDS-ADC(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소자(1)는, 광전 변환부(OEC)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여, 그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진폭을 조정(auto gain control, AGC)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다. DSP(7)는 CDS-ADC 소자(1)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휘도 및 색도 신호로 분류된 디지털 이미지 신호를 발생시킨다.A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 (OEC) of a charge coupled device (CCD) or a 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 (CMOS) converts light from an optical system (OPS) into an electrical analog signal. Here, the DSP 7 controls the timing circuit 2 to control the operations of the photoelectric converter OEC and the analog-digital converter 1. The CDS-ADC (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element 1 as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processes the analog signal from the photoelectric converter (OEC), removes the high frequency noise, and adjusts the amplitude. (auto gain control, AGC) and then convert to a digital signal. The DSP 7 processes the digital signal from the CDS-ADC element 1 to generate a digital image signal classified into luminance and chroma signals.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4)에는 DSP(7)로부터의 디지털 이미지 신호 및 기타 임시 처리 데이터가 임시 저장된다.The DRAM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4 temporarily stores digital image signals and other temporary processing data from the DSP 7.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5)에는 DSP(7)의 동작에 필요한 알고리즘 및 설정 데이터가 저장된다.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6)에는 사용자의 메모리 카드가 착탈된다.The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5 stores algorithms and setting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DSP 7. The memory card of the user is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memory card interface 6.

DSP(Digital Signal Processor, 7)로부터의 디지털 이미지 신호는 LCD 구동부(14)에서 LCD 패널의 디스플레이 신호로 변환되어 컬러 LCD 패널(17)에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다.The digital image signal from the DSP (Digital Signal Processor) 7 is converted into the display signal of the LCD panel by the LCD driver 14 so that the image is displayed on the color LCD panel 17.

한편, DSP(7)로부터의 디지털 이미지 신호는, USB(Universal Serial Bus) 접속부(18) 또는 RS232C 인터페이스(8)와 그 접속부(19)를 통하여 직렬 통신으로써 전송될 수 있고, 비디오 필터(9) 및 비디오 출력부(20)를 통하여 비디오 신호로서 전송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igital image signal from the DSP 7 can be transmitted by serial communication via the USB (Universal Serial Bus) connection 18 or the RS232C interface 8 and its connection 19, and the video filter 9 And as a video signal through the video output unit 20.

오디오 처리기(13)는, 마이크로폰(MIC)으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DSP(7) 또는 스피커(SP)로 출력하고, DSP(7)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로 출력한다.The audio processor 13 outputs the audio signal from the microphone MIC to the DSP 7 or the speaker SP, and outputs the audio signal from the DSP 7 to the speaker SP.

사용자 입력부(INP)에는, 셔터 버튼, 모드 선택 버튼, 기능 선택 버튼, 줌 버튼, 방향이동 버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INP)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각 기능 수행을 위한 명령을 발생한다. The user input unit INP may include a shutter button, a mode selection button, a function selection button, a zoom button, a direction movement button, and the like. The user input unit INP is operated by the user to generate a command for performing each function according to the user's instruction.

마이크로제어기(12)는 렌즈 구동부(10)를 제어하고, 이에 따라 줌 모터(MZ), 포커스 모터(MF), 및 조리개(aperture) 모터(MA)가 광학계(OPS) 안의 줌 렌즈, 포커스 렌즈, 및 조리개를 각각 구동한다. 마이크로제어기(12)에 의하여 구동되는 발광부(LAMP)에는, 셀프-타이머 램프, 자동-초점 램프, 플래시 대기 램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제어기(12)는 플래시-광량 센서(16)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플래시 제어기(11)의 동작을 제어하여 플래시(15)를 구동한다.The microcontroller 12 controls the lens driver 10, whereby the zoom motor M Z , the focus motor M F , and the aperture motor M A are zoom lenses in the optical system OPS, The focus lens and the aperture are driven respectively. The light emitting unit LAMP driven by the microcontroller 12 may include a self-timer lamp, an auto-focus lamp, a flash standby lamp, and the like. On the other hand, the microcontroller 12 drives the flash 15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lash controller 11 in accordance with the signal from the flash-light amount sensor 16.

마이크로제어기(12)의 기능은 DSP(7)와 원칩(one chip)화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The function of the microcontroller 12 may be implemented in one chip with the DSP 7.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는, 도 1의 구성요소들을 모두 구비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사양에 따라 그 구성요소 중 일부가 삭제되거나, 또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일부 구성요소가 변형되거나, 여러 구성요소의 기능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The digital camera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does not have to include all the components of FIG. 1,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delete some of the components, add another component, or modify some components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functionality of the various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in combination.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일례로서 도 1과 같은 디지털 카메라의 앞면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front surface of a digital camera as shown in FIG. 1 as an example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도 2의 디지털 카메라 앞쪽에는 셔터버튼(104), 조그다이얼(117), 모드다이얼(103), 파워 스위치(126), 스피커(124), AF(auto-focus) 보조광(125), 마이크(123), 리모콘 수신부(122), 렌즈(121), 렌즈 경통(120-1, 120-2), 뷰 파인더(119), 플래시(118) 등이 구비된다.In front of the digital camera of FIG. 2, a shutter button 104, a jog dial 117, a mode dial 103, a power switch 126, a speaker 124, an AF (auto-focus) auxiliary light 125, and a microphone 123 are provided. ), A remote control receiver 122, a lens 121, lens barrels 120-1 and 120-2, a view finder 119, a flash 118, and the like.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일례로서 도 1과 같은 디지털 카메라의 뒷면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rear surface of a digital camera as shown in FIG. 1 as an example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도 3의 디지털 카메라의 뒤쪽에는, 뷰 파인더(100), 자동초점램프(101), 플래시 상태램프(102), 모드다이얼(103), 셔터버튼(104), LCD버튼(105), 광각 줌 버튼(106), 망원줌 버튼(107), 그립부(108), 5기능버튼(109), DC전원입력단자(110), 외부출력단자(111), 재생모드버튼(112), LCD 모니터(113), 수동초점 버튼(114), 자동노출 잠금버튼(115), 촬영화질 조정버튼(116) 등이 구비된다.Behind the digital camera of Fig. 3, the viewfinder 100, autofocus lamp 101, flash status lamp 102, mode dial 103, shutter button 104, LCD button 105, wide-angle zoom button (106), telephoto zoom button 107, grip portion 108, five function button 109, DC power input terminal 110, external output terminal 111, playback mode button 112, LCD monitor 113 , Manual focus button 114, autoexposure lock button 115, photographing quality adjustment button 116 is provided.

LCD 모니터(113)에는 디지털 카메라의 현재 설정된 촬영모드와 상태를 나타내는 OSD가 표시되어 있다.The LCD monitor 113 displays an OSD indicating the current shooting mode and status of the digital camera.

5기능 버튼(106)은 중앙에 메뉴(MENU)진입/확인(OK) 버튼, 상하좌우 방향 버튼을 구비한다. 모니터에 메뉴가 표시된 경우에 상하좌우 방향 버튼은 방향이동이 아닌 특수한 기능 버튼으로 작용할 수 있다.The five-function button 106 has a menu entry / OK button and up, down, left, and right buttons at the center. When the menu is displayed on the monitor,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al buttons can function as special function buttons instead of directional movement.

도 3에 도시된 여러 기능 버튼들은 그 명칭에서 나타나는 기능 이외에도 두 가지 이상의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various function buttons shown in FIG. 3 may be provided to perform two or more complex functions in addition to the functions shown in the names.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이미지 촬영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로서, 조작부(200), 촬영부(202), 제어부(204), 저장부(206), 디스플레이부(208), 키워드 입력 인식부(210)를 구비한다. 도 4의 디지털 이미지 촬영장치는, 전자문서의 표시가 가능하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operation unit 200, the imaging unit 202, the control unit 204, the storage unit 206, and the display unit are illustrated. 208, a keyword input recognition unit 210 is provided. The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of FIG. 4 can display an electronic document.

전자문서의 뷰어 기능은 전자문서 뷰어 소프트웨어를 저장부(206)에 저장하고 이를 구동함으로써 가능하다.The viewer function of the electronic document is possible by storing the electronic document viewer software in the storage unit 206 and driving it.

이미지 촬영부(202)는 제어부(204)의 촬영동작 제어하에 이미지 촬영을 수행한다. 촬영부(200)는 디지털 카메라에 있어서 도 1의 광학계(OPS), 광전 변환부(OEC), CDS-ADC소자(1), 타이밍 회로(2)에 의해 구비될 수 있다.The image capturing unit 202 performs image capturing under the control of the capturing operation of the controller 204. The photographing unit 200 may be provided by the optical system OPS,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 OEC, the CDS-ADC element 1, and the timing circuit 2 of the digital camera.

조작부(20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본 발명에 의한 전자문서 모드를 설정한다. 그리고 셔터, 줌버튼, 5기능 버튼 등도 3에 도시된 조작 버튼들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촬영 동작 지시 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조작부(200)는 화면에 표시할 전자문서를 선택하고, 전자문서를 표시하는 뷰어를 조작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기능을 한다.The operation unit 200 is operated by the user to set the electronic document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hutter, a zoom button, a five function button, and the like are also provided with operation buttons shown in FIG. 3 to generate a shooting operation instruction signal by a user's operation. In addition, the operation unit 200 selects an electronic document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and functions to generate a signal for operating a viewer for displaying the electronic document.

저장부(206)는 전자문서를 저장한다. 저장부(206)는 또한 촬영옵션에 연결된 키워드 리스트를 파일 형태로서 저장할 수 있다. 디지털 카메라에 있어서 저장부(206)는 메모리 카드(도 1의 6)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으로서 구비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206 stores the electronic document. The storage unit 206 may also store a keyword list connected to the shooting option as a file. In the digital camera, the storage unit 206 may be provided as a memory card (6 in FIG. 1) or a flash memory.

여기서 전자문서는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문서, 전자책(electronic book), 일반 텍스트(text) 문서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Herein, the electronic document is a concept that includes a hypertext markup language (HTML) document, an electronic book, and a general text document.

제어부(204)는 저장된 전자문서를 독취하여 디스플레이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디지털 카메라에 있어서 제어부(202)는 DSP(도 1의 7) 및/또는 마이크로 제어기(12)로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204)는 이미지 촬영부(202)의 촬영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04)는 촬영부(202)로부터 입력된 이미지들을 디지털 신호처리하여 저장부(206)와 디스플레이부(208)로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204)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전자문서 모드를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키워드 입력 인식부(21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부(208)의 화면에 표시된 전자문서상에서 특정 키워드를 지정한 경우에 키워드에 연결된 이미지 촬영 옵션을 디스플레이부(208)의 화면에 표시하고, 그 옵션의 선택 입력에 따라 이미지 촬영 옵션이 설정되도록 한다.The controller 204 reads the stored electronic document, converts it into a display signal, and outputs the converted signal. In the digital camera, the controller 202 may be provided with a DSP (7 of FIG. 1) and / or a micro controller 12. The controller 204 controls the photographing operation of the image capturing unit 202. In addition, the controller 204 digitally processes the images input from the photographing unit 202 and outputs the digital signal to the storage unit 206 and the display unit 208. In addition, the controller 204, when the user designates a specific keyword on the electronic document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208 via the keyword input recognition unit 210 to control the characteristic electronic document mod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capturing option connected to the keyword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208, and the image capturing option is set according to the selection input of the option.

디스플레이부(208)는 제어부(204)부터 출력된 디스플레이 신호를 화면에 표시한다. 디지털 카메라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208)는 LCD 구동부(도 1의 14) 및 컬러 LCD 패널(도 1의 17)로서 구비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208 displays the display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204 on the screen. In the digital camera, the display unit 208 may be provided as an LCD driver (14 in FIG. 1) and a color LCD panel (17 in FIG. 1).

키워드 입력 인식부(210)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전자문서의 특정한 키워드의 입력을 인식한다. 키워드 입력 인식부(210)는 터치패널 및 그 제어장치로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키워드 입력 인식부(210)는 마이크 및 상기 마이크 통하여 입력된 음성을 인식하는 장치로서 구비될 수도 있다.The keyword input recognition unit 210 recognizes an input of a specific keyword of the electronic document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The keyword input recognition unit 210 may be provided as a touch panel and a control device thereof. In addition, the keyword input recognition unit 210 may be provided as a microphone and a device for recognizing the voice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키워드 입력 인식부(210)가 터치패널 및 그 제어장치에 의해 구비된 경우에는, 터치패널은 제어부(204)에 의해 디스플레이부(208)의 화면의 좌표와 연동한다.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터치패널용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을 이용하여 터치패널상의 특정 위치를 터치하면 제어부(204)는 디스플레이부(208)의 화면상에서 터치 된 특정 위치에 표시된 데이터가 입력되었음을 인식하게 된다.When the keyword input recognition unit 210 is provided by the touch panel and its control apparatus, the touch panel is interlocked with the coordinates of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208 by the controller 204. When the user touches a specific position on the touch panel using a finger or a stylus pen for the touch panel, the controller 204 recognizes that data displayed at a specific position touch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208 is input. .

또한, 키워드 입력 인식부(210)가 마이크 및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된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인식 장치로서 구비된 경우에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의 시작점 및 끝점을 검출하고, 입력된 음성의 앞뒤에 있는 묵음구간을 제외한 음성구간에서의 특징데이터를 추출하고, 이를 저장된 음성 데이터베이스(DB)에 등록된 단어들에 대하여 정합도가 가장 높은 단어를 검색하여 이를 입력된 키워드로 선정한다. 정합도가 소정 이상인 단어가 검색되지 않으면 키워드가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keyword input recognition unit 210 is provided as a microphone and a voice recognition device for recognizing a voice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the keyword input recognition unit 210 detects the start point and the end point of the voice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and before and after the input voice. The feature data is extracted from the voice section except for the silent section, and the selected word is searched for the words with the highest matching degree among the words registered in the stored voice database (DB). If a word having a matching degree or more is not searched for, a keyword is not input.

제어부(204)는 키워드 입력 인식부(210)를 통하여 입력된 데이터를 프로그램 파싱(parsing) 기법(구문분석 기법)에 의해 분석하여 조사(助詞) 등 불필요한 데이터를 제거하고 키워드만을 추출한다. 그리고 이를 미리 설정된 키워드와 비교하여 정합되는 키워드가 발견되면 이에 연결된 촬영 조건을 설정하게 된다.The controller 204 analyzes the data input through the keyword input recognition unit 210 by a program parsing technique (syntax analysis technique) to remove unnecessary data such as a survey and extract only keywords. When a matched keyword is found by comparing it with a preset keyword, a shooting condition connected thereto is set.

여기서 촬영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연결 키워드는 디지털 이미지 촬영장치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기본 제공 키워드의 예로서는 다음 표 1과 같이 직접적으로 카메라의 촬영모드를 지칭하는 단어일 수 있다.Here, the connection keyword for setting the shooting mode may be basically provided by the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n example of such a built-in keyword may be a word directly referring to a photographing mode of a camera as shown in Table 1 below.

표 1은 기본적인 카메라 제어에 관련된 키워드들이다.Table 1 lists the keywords related to basic camera control.

키워드keyword 기본적 카메라 제어Basic camera control 노출exposure 밝게, 보통, 어둡게 Light, medium, dark 초점focus 무한대, 10m, 3m, 1m, 자동 Infinity, 10m, 3m, 1m, auto 동영상video 640×480, 320×240, 정지영상 640 × 480, 320 × 240, Still image 연사Speaker 고속, 저속, 일반 High speed, low speed, normal 타이머timer 10초, 2초, 끔 10 sec, 2 sec, off 화질Quality 초고화질, 고화질, 일반화질 Ultra High Definition, High Definition, General Definition 해상도resolution 5M, 4M, 3M, 2M, 1M 5M, 4M, 3M, 2M, 1M 측광Metering 다분할, 스팟 Multi segment, spot 방향direction 가로(landscape), 세로(portrait) Landscape, portrait 플래시flash 발광, 금지 Luminous, prohibited 적목Red eye 적목감소 켬, 적목감소 끔 Red-eye reduction on, Red-eye reduction off 보조광Auxiliary light AF 보조광 켬, AF 보조광 끔 AF-assist illuminator on, AF-assist illuminator off 필터filter ND 필터 사용, ND 필터 미사용 ND filter used, ND filter not used

표 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208)에 표시된 전자문서를 읽는 도중에 키워드 입력 인식부(210)를 통하여 "노출" 이라는 단어를 입력하게 되면, "밝게, 보통, 어둡게"의 3가지 노출 선택 메뉴가 화면상에 뜨게 되고, 사용자는 다시 3가지 노출 선택 메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노출 촬영 모드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Referring to Table 1, when the user inputs the word "exposure" through the keyword input recognition unit 210 while reading the electronic documen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08, three exposures of "bright, normal, and dark" are displayed. The selection menu is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user can select one of three exposure selection menus to set the exposure shooting mode.

도 5a 및 도 5b는 "국립중앙박물관"에 관한 전자문서를 읽는 도중에 "플래시"라는 단어를 선택한 경우를 예시한 화면이다.5A and 5B are screens illustrating the case where the word “flash” is selected while reading an electronic document related to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도 5a와 같이 화면(113)에 전자문서를 표시할 때 저장된 키워드("플래시")가 검출되면, 제어부(204)는 키워드 부분("플래시")을 하이라이트(highlight) 처리하여 화면(113)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하이라이트 된 부분이 촬영조건 설정의 키워드임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When a stored keyword (“flash”) is detected when displaying an electronic document on the screen 113 as shown in FIG. 5A, the controller 204 highlights the keyword portion (“flash”) on the screen 113. Can be displayed. This makes it easy for the user to recognize that the highlighted part is a keyword for shooting condition setting.

키워드 입력 인식부(210)가 터치패널에 의해 구비된 경우에, 사용자가 스타일러스 펜에 의해 도 5a의 "플래시는"이 표시된 위치를 터치하게 되면, 제어부(204)는 조사 "~는"을 제외한 단어 "플래시"를 검출하여 이에 연결된 "발광, 금지"의 플래시 선택 메뉴를 도 5b와 같이 화면에 표시하도록 한다. 여기서 "발광" 또는 "금지"의 선택은 스타일러스 펜에 의한 터치 입력 또는 5기능 버튼(도 3의 109) 등을 이용하여 할 수 있다.When the keyword input recognition unit 210 is provided by the touch panel, when the user touches a position where “flash” of FIG. 5A is displayed by the stylus pen, the controller 204 excludes irradiation “~”. The word "flash" is detected and a flash selection menu of "flash, prohibition" connected thereto is displayed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5B. Here, the selection of "light emission" or "prohibition" can be made by using a touch input by a stylus pen or a five function button (109 in FIG. 3).

또한, 다음 표 2와 같이 화이트밸런스(white balance) 촬영 조건을 연상하는 단어를 연결 키워드로 저장해 놓을 수도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Table 2 below, words associated with white balance shooting conditions may be stored as connection keywords.

키워드keyword 화이트밸런스 선택관련White Balance Selection 태양, 해Sun 맑은 날 Sunny day 구름cloud 흐린 날 Cloudy day 그늘shade 그늘 shade 형광등Fluorescent lamp 형광등 Fluorescent lamp 백열전등Incandescent light 백열전등 Incandescent light 실내inside 형광등, 백열전등 Fluorescent, Incandescent 조명light 맑은 날, 흐린 날, 그늘, 형광등, 백열전등 Sunny, cloudy, shade, fluorescent, incandescent

또한, 다음 표 3과 같이 특정 촬영상황을 연상시키는 단어를 카메라에서 제공하는 장면(scene) 촬영모드 기능의 연결 키워드로 저장해 놓을 수도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Table 3 below, words reminiscent of a specific shooting situation may be stored as connection keywords of a scene shooting mode function provided by a camera.

키워드keyword Scene 모드 선택 관련Scene mode selection 인물, 사람Person 인물 모드: 인물을 촬영하고자 할 때 Portrait mode: when you want to shoot a portrait 야경, 밤Night view 야경 모드: 저녁때나 주변환경이 어두울 때 Night view mode: in the evening or when the surroundings are dark 불꽃flame 불꽃놀이 모드: 불꽃놀이 등을 아름답게 촬영시 Fireworks mode: beautiful shots of fireworks, etc. 아동, 어린이Child, children 아동 모드: 움직임이 많은 아이들의 모습을 순간 포착하고자 할 때  Child Mode: When you want to capture the moments of high-motion children 바다, 해변, 해수욕장,
설경, 스키, 눈
Ocean, beach, beach,
Snow, skiing, snow
해변 및 설경 모드: 맑은 날의 바다, 호수, 모래 사장이나 눈 내린
경치 등을 촬영시
Beach and snow mode: clear sea, lakes, sandy beaches or snowy days
When shooting scenery
화초, 곤충Flower, insect 근접(macro) 모드: 화초, 곤충 등 작은 피사체를 근접 촬영할 때 Macro mode: When you are photographing small subjects such as flowers or insects 석양, 노을Sunset, glow 석양 모드: 붉은 저녁 노을 등을 촬영할 때 Sunset mode: when shooting red evening glow 음식, 식당, 식사, 점심Food, Dining, Lunch, Lunch 음식 모드: 매크로 설정, 플래시 금지 Food mode: macro setting, flash off 경치, 산, 풍경Scenic, mountain, landscape 풍경 모드: 녹색의 나무나 푸른 하늘 등을 강조한 풍경사진 촬영시 Landscape mode: When taking pictures of landscapes that emphasize green trees or blue sky 역광Backlight 역광 모드: 역광으로 인물에 그림자가 생길 경우,
그림자 없이 인물을 촬영할 때
Backlight mode: When a person casts a shadow backlit,
When shooting portraits without shadows
파노라마panorama 파노라마 모드: 파노라마 촬영을 하고자 할 때 Panorama mode: When you want to shoot a panorama

또한, 다음 표 4와 같이 여러 개의 촬영 조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키워드를 저장해 놓을 수도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Table 4, a keyword for select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shooting conditions may be stored.

키워드keyword 촬영조건 세부 선택 메뉴 Shooting Conditions Detail Select Menu 플래시flash 발광, 자동, 슬로우싱크, 금지 Flash, Auto, Slow Sync, Prohibit 실내inside 형광등, 백열등 Fluorescent, incandescent 조명light 맑은 날, 흐린 날, 그늘, 형광등, 백열등 Sunny, cloudy, shade, fluorescent, incandescent 저녁dinner 음식모드, 석양모드 Food, Sunset

도 6은 사용자가 한강 유람선에 관한 전자문서를 읽는 도중에 표 4에서 예시한 "저녁"이라는 단어를 입력한 경우에, "음식 모드" 또는 "석양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장면촬영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가 표시된 예이다. 이때 사용자가 "음식 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표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매크로 설정 및 플래시 금지 촬영조건이 설정된다.FIG. 6 illustrates a scene photographing mode of either “food mode” or “sunset mode” when a user inputs the word “evening” illustrated in Table 4 while reading an electronic document regarding the Han River cruise ship. This is an example of a menu displayed. At this time, when the user selects the "food mode", the macro setting and the flash prohibition shooting condition are set as illustrated in Table 3.

또한, 키워드가 지정된 경우에 지정된 키워드에 연결된 이미지 촬영 옵션에 대한 부가 설명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비행기" 또는 "공항" 등의 키워드에 촬영금지 모드를 선택하도록 하면서 "공항에서는 비행기를 촬영할 수 없음" 이라는 안내 메시지도 함께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keyword is specified, it is also possible to implement an additional description of the image capturing option connected to the designated keyword on the display screen. For example, while selecting a prohibition mode for a keyword such as "airplane" or "airport", a guide message "Cannot photograph a plane at the airport" may also be displayed.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전자문서의 키워드 연결 설정에 의해 설정된 촬영조건은 EXIF(EXchangeable Image File) 정보로서 JPEG 파일포맷의 헤더(header) 부분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EXIF는 디지털 카메라에 사용되는 각종 정보를 저장해 놓은 데이터로서 JPEG 파일에 삽입된 부가정보이다. EXIF 에는 촬영 일시, 셔터 속도, 조리개 수치, 플래시 사용 여부, ISO 설정값, 줌 배율 등 다양한 부가정보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같은 정보는 기본적으로 사진에는 나타나지 않으며 찍은 사진을 이미지 뷰어로 볼 때 부가 정보로서 제공된다.In addition, the photographing condition set by the keyword connection setting of the electronic docu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stored in the header portion of the JPEG file format as EXIF (EXchangeable Image File) information. Here, EXIF is data storing various information used for a digital camera and is additional information inserted in a JPEG file. EXIF can record various additional information such as shooting date, shutter speed, aperture value, flash use status, ISO setting value and zoom magnification. This information does not appear in the picture by default, but is provided as additional information when the picture taken is viewed with an image viewer.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 이미지 촬영장치의 일례로서 디지털 카메라를 중심으로 기술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이 전자문서 재생 기능이 내장되고 이미지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The abov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digital camera as an example of a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apply the present invention to a camera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nd the like, which have an electronic document playing function and are capable of capturing an image.

이상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best embodiments have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specification.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employed herein, they are us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onl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claims or the claims.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from thi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지털 이미지 촬영장치에 의하면 사용자가 디지털 이미지 촬영장치로 전자책을 읽는 도중에 화면상에서 직접 특정 키워드를 입력함으로써 여러 가지 다양한 이미지 촬영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various image photographing conditions can be set by a user inputting a specific keyword directly on the screen while the user reads the electronic book using the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따라서 전자책을 읽는 도중에 전자책의 내용에서 촬영의 영감을 얻은 사용자가 특정 촬영조건 설정을 변경하고 즉시 원하는 촬영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이미지 촬영에 관한 사용자의 호기심을 유발할 수 있다.Thus, while reading the e-book, the user who is inspired by the content of the e-book can change a specific shooting condition setting and immediately perform the desired shooting, which can induce a user's curiosity about image shooting.

이러한 기능이 대중화되면 공공기관 등에서 시설물 관리들이 특정 키워드를 기록한 파일을 인터넷상에 등록하도록 유도함으로써 본 발명의 디지털 이미지 촬영장치의 간접 광고 효과도 볼 수 있다.When such a function is popularized, it is possible to see the effect of indirect advertisement of the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encouraging facility managers to register a file recording a specific keyword on the Internet.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고 도면들에 표현된 예시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실시 예들에 의해 가르침 받은 당업자라면, 다음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 및 목적 내에서 치환, 소거, 병합 등에 의하여 전술한 실시 예들에 대해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s described above and represented in the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aught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any modifications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possible by substitution, erasure, merging, etc. within the scope a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Claims (6)

이미지 촬영부;An image photographing unit;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전자문서 모드를 설정하는 조작부;An operation unit which is operated by a user to set an electronic document mode; 전자문서를 저장하는 저장부;A storage unit for storing an electronic document; 저장된 전자문서를 독취하여 디스플레이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어부;A control unit which reads the stored electronic document, converts it into a display signal, and outputs the converted signal; 상기 디스플레이 신호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A display unit which displays the display signal on a display screen; And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전자문서의 특정한 키워드의 입력을 인식하는 키워드 입력 인식부를 구비하고,A keyword input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input of a specific keyword of an electronic document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키워드 입력 인식부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전자문서상에서 특정 키워드를 지정한 경우에 상기 키워드에 연결된 미리 설정된 이미지 촬영 옵션을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옵션의 선택 입력에 따라 이미지 촬영 옵션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를 볼 수 있는 디지털 이미지 촬영장치.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display a preset image capturing option connected to the keyword on the display screen when the user designates a specific keyword on the electronic document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through the keyword input recognition unit. Digital imaging apparatus for viewing an electronic docu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shooting options are s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orage unit 상기 키워드를 파일 형태로 저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를 볼 수 있는 디지털 이미지 촬영장치.And a digital image photographing device for viewing an electronic docu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입력 인식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keyword input recognition unit 터치스크린 및 그 제어장치로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를 볼 수 있는 디지털 이미지 촬영장치.A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for viewing an electronic document, which is provided as a touch screen and a control device there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입력 인식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keyword input recognition unit 마이크 및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된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인식장치로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를 볼 수 있는 디지털 이미지 촬영장치.A digital image photographing device for viewing an electronic document,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as a microphone and a voice recognition device for recognizing the voice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워드가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전자문서상에서 하이라이트 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를 볼 수 있는 디지털 이미지 촬영장치.And the controller processes the keyword so that the keyword is highlighted on the electronic document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키워드가 지정된 경우에 상기 키워드에 연결된 이미지 촬영 옵션에 대한 부가 설명을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를 볼 수 있는 디지털 이미지 촬영장치.And an additional description of an image capturing option connected to the keyword when the keyword is specified, on the display screen.
KR1020060022778A 2006-03-10 2006-03-10 Digital imaging device viewing electronic books KR1012141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2778A KR101214159B1 (en) 2006-03-10 2006-03-10 Digital imaging device viewing electronic book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2778A KR101214159B1 (en) 2006-03-10 2006-03-10 Digital imaging device viewing electronic book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2525A KR20070092525A (en) 2007-09-13
KR101214159B1 true KR101214159B1 (en) 2012-12-21

Family

ID=38689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2778A KR101214159B1 (en) 2006-03-10 2006-03-10 Digital imaging device viewing electronic book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4159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5835A (en) 2000-12-15 2002-06-28 Olympus Optical Co Ltd Electronic camera system, electronic camera, server computer and mobile information terminal
US20050114441A1 (en) 2003-11-25 2005-05-26 Forrester Glenn C. Methods and systems for retrieving information over a computer network
JP2005217483A (en) 2004-01-27 2005-08-11 Nikon Corp Electronic camera with finish setting function, and processing program for customizing finish setting function of electronic camera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5835A (en) 2000-12-15 2002-06-28 Olympus Optical Co Ltd Electronic camera system, electronic camera, server computer and mobile information terminal
US20050114441A1 (en) 2003-11-25 2005-05-26 Forrester Glenn C. Methods and systems for retrieving information over a computer network
JP2005217483A (en) 2004-01-27 2005-08-11 Nikon Corp Electronic camera with finish setting function, and processing program for customizing finish setting function of electronic camer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2525A (en) 2007-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3039B1 (en) Method to control operation of digital camera for user to easily take an identification photograph
KR101058011B1 (en) How to Operate Digital Camera Using Touch Screen
JP4340806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US2011010262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uiding photographing
US20080068456A1 (en) Camera
US7456883B2 (en) Method for displaying image in portable digital apparatus and portable digital apparatus using the method
KR101739379B1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6238076A (en) Photographic apparatus
JP2006203811A (en) Imaging apparatus and its program
WO2009131034A1 (en) Image recording device and method
JP2004180245A (en) Mobile terminal equipment, image pickup device, image pickup method and program
EP2890116B1 (en) Method of displaying a photographing mode by using lens characteristics,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of recording the method and an electronic apparatus
US20060044453A1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dopting the method
KR101214159B1 (en) Digital imaging device viewing electronic books
KR10062704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osing object to image in digital camera
JP6587455B2 (en) Imag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8982239B2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method for recording shooting completion information
JP2006128754A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method
JP5013924B2 (en) Imaging apparatus, imaging method, and program
KR101156684B1 (en) Composite imaging method of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KR100627056B1 (en) Method for controlling digital portable apparatus, and digital portable apparatus adopting the method
KR101457412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0651811B1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deleting images by the page and apparatus thereof
KR20110024525A (en) Method for displaying scene recognition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thereof
KR101236466B1 (en) Image display method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