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1502B1 - Gender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Gender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1502B1
KR101211502B1 KR1020117010249A KR20117010249A KR101211502B1 KR 101211502 B1 KR101211502 B1 KR 101211502B1 KR 1020117010249 A KR1020117010249 A KR 1020117010249A KR 20117010249 A KR20117010249 A KR 20117010249A KR 101211502 B1 KR101211502 B1 KR 101211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or
gender
electric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02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76985A (en
Inventor
이종배
명노선
Original Assignee
크레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레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크레신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10076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69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1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15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1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lephon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58Contacts spaced along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용 젠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로 음악을 감상하다가 통화가 필요할 때 이동통신 단말기용 젠더를 분리하지 않아도 통화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젠더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용 젠더는 통화를 위해 젠더를 분리하는 절차로 인한 번거로움이 없으며, 통화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end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end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making a call without separating the gender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a call is required while listening to music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end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no trouble due to the procedure of separating the gender for a call, and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use the informa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uring the call.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용 젠더{GENDER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Gender for Mobile Phones {GENDER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용 젠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end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최근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디자인을 강조하고 소지에 불편함이 없는 좀더 얇고 가벼워지는 형태를 추구하며, 이로 인해 충전과 데이터 통신, 헤드폰 등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들을 이동통신 단말기 일측에 하나로 통합된 커넥터연결구로 이용하는 추세이다. 때문에 충전과 데이터 통신, 헤드폰 등의 각각의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각각의 기기 사이에서 호환 적용이 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젠더가 필요하다.The rec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mphasizes the design and pursues a thinner and lighter form without inconvenience, and thus, the connector connection for connecting charging, data communication, and headphones to one 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tegrated. It is a trend to use as a sphere. Therefore, in order to use the functions of charging, data communication, headphones, etc., a gender that plays a role of being compatible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each device is required.

여기서, 젠더란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측에 구비된 커넥터연결구에 결합되어 음악감상 또는 음성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헤드폰과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장치로, 충전시에도 충전기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측에 구비된 커넥터연결구 사이에 연결되어 사용된다.Here, the gender is a connection device installed between the headphone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upled to the connector connecto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enable music listening or voice communication. It is used by being connected between the provided connector connector.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통상의 헤드폰을 연결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커넥터연결구에 바로 연결할 수 없기 때문에, 젠더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와 헤드폰을 연결하여야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젠더에 대한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04500호(휴대폰용 어댑터)에서는 휴대폰 어댑터를 이용해 휴대폰과 이어폰을 연결해 사용하는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In general, in order to connect a conventional headphone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ince the user cannot directly connect to the connector connecto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user should connec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headphone using gender. As a technique for gender described above,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04500 (mobile phone adapter) has proposed a technology of connecting a mobile phone to an earphone using a mobile phone adapter.

하지만, 음악감상만을 목적으로 한 통상의 헤드폰을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해 사용할 때, 젠더를 꽂은 상태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크가 비활성화되어 통화시 음성을 전달하지 못하게 된다. 때문에 음악을 듣다가 통화를 하기 위해서는 음향이 송출되고 있는 헤드폰과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에 연결된 젠더를 분리해야 하는 불편함을 초래한다.However, when using ordinary headphones for the purpose of listening to music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icrophon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eactivated when the gender is plugged in, so that voice cannot be transmitted during a call. Therefore, in order to make a call while listening to music, it is inconvenient to separate the gender connected between the headphone from which the sound is transmitted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로 음악을 감상하다가 통화가 필요할 때 이동통신 단말기용 젠더를 분리하지 않아도 통화가 가능하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젠더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Disclosure of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end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enables a call without having to separate the gender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le listening to music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용 젠더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외부몸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일부가 이동통신 단말기와 결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헤드폰과 결합하여 상기 커넥터 측에서 입력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소켓; 및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향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커넥터 측으로 출력하는 마이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gend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n outer body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 connector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the connector being coupl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socket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and coupled with a headphone to output an electrical signal input from the connector; And a microphon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and converting sound input from the outside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outputting the electrical signal to th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그리고 상기 커넥터 측으로 입력되는 전기적인 신호는 상기 마이크에서 변환된 전기적인 신호 만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lectrical signal input to the connector is characterized in that only the electrical signal converted from the microphone is input.

또한, 상기 커넥터가 장착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수용공간에서 상기 커넥터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결합하는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슬라이딩되는 커넥터 하우징;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nector is mounted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the connector housing in which the connector slides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nector is coupled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comprising:

그리고 상기 마이크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microphone is mounted to the connector housing.

한편,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태양으로 헤드셋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외부몸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일부가 이동통신 단말기와 결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헤드폰과 결합하여 상기 커넥터 측에서 입력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소켓; 및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향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커넥터 측으로 출력하는 마이크;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젠더 및 상기 소켓에 결합되어, 입력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음향으로 변환하여 출력시키는 헤드폰;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the headset has an outer body having a receiving space therein; A connector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the connector being coupl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socket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and coupled with a headphone to output an electrical signal input from the connector; And a microphon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and converting sound input from the outside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outputting the electrical signal to the connector. A headphone coupled to the gender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ocket, and converting an input electrical signal into a sound and outputting the sound; And a control unit.

그리고 상기 커넥터 측으로 입력되는 전기적인 신호는 상기 마이크에서 변환된 전기적인 신호 만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lectrical signal input to the connector is characterized in that only the electrical signal converted from the microphone is input.

또한, 상기 커넥터가 장착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수용공간에서 상기 커넥터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결합하는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슬라이딩되는 커넥터 하우징;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nector is mounted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the connector housing in which the connector slides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nector is coupled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comprising:

그리고 상기 마이크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microphone is mounted to the connector housing.

또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태양으로 이동통신 단말기 세트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외부몸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일부가 이동통신 단말기와 결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헤드폰과 결합하여 상기 커넥터 측에서 입력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소켓; 및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향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커넥터 측으로 출력하는 마이크; 를 포함하는 젠더 및 상기 커넥터와 결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t includes: an outer body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 connector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the connector being coupl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socket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and coupled with a headphone to output an electrical signal input from the connector; And a microphon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and converting sound input from the outside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outputting the electrical signal to the connector. Gender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upled with th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그리고 상기 커넥터 측으로 입력되는 전기적인 신호는 상기 마이크에서 변환된 전기적인 신호 만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lectrical signal input to the connector is characterized in that only the electrical signal converted from the microphone is input.

또한, 상기 커넥터가 장착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수용공간에서 상기 커넥터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결합하는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슬라이딩되는 커넥터 하우징;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nector is mounted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the connector housing in which the connector slides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nector is coupled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comprising:

그리고 상기 마이크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microphone is mounted to the connector housing.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로 음악을 듣다가 통화가 필요할 시에 젠더를 분리해야하는 절차 없이 바로 통화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이 편리하며, 통화를 하는 중에도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는 필요한 정보를 보면서 통화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onvenient to use without having to separate the gender when listening to music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s convenient to use, and is requi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ven during the call. It is possible to talk while looking at the information.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이동통신 단말기용 젠더를 도시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이동통신 단말기용 젠더에서 커버가 분리되었을 때의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이동통신 단말기용 젠더의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이동통신 단말기용 젠더를 이용해 이동통신 단말기와 헤드폰을 연결하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5, 도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이동통신 단말기용 젠더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400: 이동통신 단말기용 젠더
110, 410: 커넥터 120: 커버
130, 430: 기판 140, 440: 소켓
150, 450: 외부몸체 160, 460: 마이크
470: 커넥터 하우징
200: 이동통신 단말기
210: 커넥터연결구
300: 헤드폰
310: 플러그
1 shows a gend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when a cover is separated from a gend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gend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connec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headphone using a gend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gend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 of the code | symbol about the principal part of drawing>
100, 400: Gender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410: connector 120: cover
130, 430: board 140, 440: socket
150, 450: outer body 160, 460: microphone
470: connector housing
20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10: connector connector
300: headphones
310: plug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well-known technical parts will be omitted or compressed for brevity of description.

<제1실시예><First Example>

본 발명에서 실시하고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젠더(100)는 커넥터(110), 커버(120), 기판(130), 소켓(140), 외부몸체(150), 마이크(160) 등으로 구성되는데,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Gender 100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be implem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connector 110, a cover 120, a board 130, a socket 140, an outer body 150, a microphone 160, A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hown in FIGS.

커넥터(110)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삽입되는 부분으로, 삽입된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connector 110 is inserted in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ser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커버(120)는 본체로부터 분리 및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사용하지 않을 때는 커넥터(110)를 보호하고, 줄연결부(122)로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연결되어 있어 분실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cover 120 is configured to be separated and coupled from the main body to protect the connector 110 when not in use, and is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by the line connection part 122 to prevent loss.

기판(130)은 커넥터(110), 소켓(140) 및 마이크(160)가 장착되어 소켓(140)과 커넥터(110) 사이의 전기신호를 전달하거나 마이크(160)와 커넥터(110) 사이의 전기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회로가 구성된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용 젠더(100)의 기판(130)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젠더(100)에 장착된 마이크(160)에서 이동통신 단말기(200) 측으로 전기신호가 인가되고, 이동통신 단말기(200) 측에서부터 소켓(140)을 통해 헤드폰(300) 측으로 전기신호가 인가되도록 회로가 형성된다.The board 130 is equipped with a connector 110, a socket 140, and a microphone 160 to transmit an electrical signal between the socket 140 and the connector 110, or to connect the electrical signal between the microphone 160 and the connector 110. A circuit capable of transmitting a signal is constructed. That is, the electric signal is appli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from the microphone 160 mount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gender 100 to the board 13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gender 10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he circuit is formed such that an electrical signal is applied to the headphone 300 through the socket 140.

소켓(140)은 전기적인 신호를 음향으로 변환하여 출력시키는 헤드폰(300)의 플러그(310)가 삽입되는 곳으로, 기판(130)과 연결되어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신호를 기판(130)을 통해 헤드폰(300) 측으로 전달한다.The socket 140 is a place where the plug 310 of the headphone 300 for converting and outputting an electrical signal into sound is inserted. The socket 140 is connected to the board 130 to receive a signa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hrough the headphone 300 to pass through.

외부몸체(150)는 내부에 구성된 기판(130)과 소켓(140)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The outer body 150 serves to protect the substrate 130 and the socket 140 configured therein from external shocks.

마이크(160)는 외부몸체(150)에 형성되어 있는 홈을 통해 외부로부터의 음향을 받아들여 전기신호로 변환하며, 변환된 전기신호는 커넥터(110)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200) 측으로 전달된다.The microphone 160 receives sound from the outside through a groove formed in the outer body 150 and converts the sound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the converted electrica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hrough the connector 110. .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지의 간편화를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용 젠더(100)의 커버(120)에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상호 연결될 수 있는 줄연결부(122)를 설치하여 필요할 때에 연결된 줄을 늘려 접속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하며 분실의 우려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젠더(100)를 사용할 때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줄연결부(122)가 있는 커버(120)와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접속되는 부분이 분리되도록 하여 커넥터(110)가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결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a cord connecting part 122 is installed on the cover 120 of the gender 100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interconnection so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crease the number of connections to achieve a connection state and reduce the risk of loss. And when using the gender 100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2, the cover 120 with the line connection portion 122 and the part to be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is separated from the connector 110 may be coupl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살펴보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커넥터연결구(210)에 마이크(160)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용 젠더(100)의 커넥터(110)를 결합시키고, 이동통신 단말기용 젠더(100)의 소켓(140)에 플러그(310)을 꽂아 연결함으로써 헤드폰(300)을 통해 음악을 감상하다가 통화가 필요할 때 헤드폰(300)과 이동통신 단말기(200) 사이에 있는 젠더를 분리하는 절차 없이 바로 통화를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젠더(100)에 구성된 마이크(160)를 통해 사용자의 음향 데이터를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인가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으로, 통화시 상대의 음성은 헤드폰(300)을 통해 출력되고, 사용자의 음성은 이동통신 단말기용 젠더(100)의 마이크(160)를 통해 입력되기 때문이다.Looking at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4, the user is a connector 110 of the gender 100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microphone 160 built-in connector connector 21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 By connecting the plug 310 by plugging the plug 310 into the socket 140 of the gender 100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le listening to music through the headphone 300, the headphone 30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It is possible to talk right away without having to separate the gender between them. This is possible because the sound data of the user is appli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hrough the microphone 160 configured in the gender communication unit 100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is is because the user's voice is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160 of the gender 100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렇게 마이크(160)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용 젠더(100)를 사용하면 마이크 기능이 없는 헤드폰(300)으로도 통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으며, 더불어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화면을 보면서 통화가 가능해 자신의 통화시간 확인이 가능함은 물론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있는 필요한 정보를 찾으면서 통화하는 것이 가능하다.When using the gender (100)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built-in microphone 160,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all can be made even with the headphone 300 without the microphone function, and the call is possible while looking at the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It is possible to check their own talk time, as well as to find the necessary informa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o make a call.

이때, 통상의 헤드폰(300)이 아닌 마이크가 장착되어 있는 헤드셋을 사용하는 경우도 가능한데, 헤드셋을 이동통신 단말기용 젠더(100)의 소켓(140)에 연결하면 헤드셋에 장착되어 있는 마이크는 비활성화되며,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젠더(100)에 형성된 마이크(160)가 활성화되기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기용 젠더(100)의 마이크(160)를 이용해 통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소켓(140)에 헤드폰(300)이 아닌 헤드셋이 결합되어도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젠더(100)는 동일하게 작동된다. 이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200)에서 출력되는 음향에 대한 전기적인 신호의 흐름이 커넥터(110)에서 소켓(140) 방향으로만 전달될 뿐이며, 그와 반대의 흐름인 소켓(140)을 통한 커넥터(110)로의 전달은 이루어지지 않도록 기판(130)의 회로가 구성되기 때문이다.In this case,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headset equipped with a microphone instead of the normal headphone 300. When the headset is connected to the socket 140 of the gender 100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icrophone mounted on the headset is deactivated. Since the microphone 160 formed in the gender 100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tivated, it is possible to make a call using the microphone 160 of the gender 100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other words, even if a headset other than the headphone 300 is coupled to the socket 140, the gender 100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the flow of the electrical signal for the sound output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is only transmitted from the connector 110 in the direction of the socket 140 and the opposite flow of the socket ( This is because the circuit of the board 13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transfer to the connector 110 through the 140 is not performed.

그러므로 이동통신 단말기용 젠더(100)와 헤드폰(300)이 하나의 구성으로써 헤드셋의 역할을 수행함이 가능하며, 이를 이용해 마이크가 장착된 헤드셋을 대신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용 젠더(100)와 헤드폰(300)을 함께 구성하여 헤드셋으로 판매하는 것이 가능하다.Therefo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gender 100 and the headphone 300 can perform the role of a headset as one configuration, and us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gender 100 and the headphone 300 in place of the headset equipped with a microphone. ) Can be configured together and sold as a headset.

이 밖에도 이동통신 단말기(200)를 상품으로 출시하여 판매할 경우에 그 구성을 달리하여 제공할 수 있다. 그 구성에는 흔히 제공되는 통상의 젠더나 핸즈프리용 헤드셋을 대신하여, 본 발명에서 실시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젠더(100)와 헤드폰(300)을 함께 포함한 구성을 제품 판매시 번들(Bundle)로 제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세트로 판매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is released as a product for sale, the configuration may be provided differently. In the configuration, instead of the common gender or hands-free headset which is commonly provided, a configuration includ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gender 100 and the headphone 300 toge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s a bundle when the product is sold. It can be sold as a set of communication terminals.

또 다른 구성으로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젠더(100)와 이동통신 단말기(200)만으로 이동통신 단말기 세트를 구성하여 판매하는 것이다. 이것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젠더(100)는 시중에서 통상적으로 판매되는 헤드폰(300)을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세트에 포함시키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가능하다.In another configurati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t may be configured and sold only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gender 10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his is possible because the gender 100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to be inclu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t by using the headphone 300 which is commercially available.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이동통신 단말기용 젠더(400)는 커넥터(410), 기판(430), 소켓(440), 외부몸체(450), 마이크(460), 커넥터 하우징(470) 등으로 구성되는데, 도5 내지 도7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Gender 400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nector 410, a board 430, a socket 440, an outer body 450, a microphone 460, a connector housing 470, and the like. 5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hown in FIGS.

커넥터(410)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삽입되는 부분으로, 삽입된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은 제1실시예와 같으나, 외부에서 봤을 때 커넥터(410)가 움직이는 차이가 있다.The connector 410 is a part inserted in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he connector 41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ser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as in the first embodiment, but the difference in movement of the connector 410 when viewed from the outside is different. have.

기판(430)은 커넥터(410), 소켓(440) 및 마이크(460) 등이 장착되어 소켓(440)과 커넥터(410) 사이의 전기신호를 전달하거나 마이크(460)와 커넥터(410) 사이의 전기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회로가 구성되어 제1실시예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board 430 may be equipped with a connector 410, a socket 440, a microphone 460, or the like, to transmit an electrical signal between the socket 440 and the connector 410, or between the microphone 460 and the connector 410. Since a circuit capable of transmitting an electrical signal is configured to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in the first embodiment,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소켓(440)은 전기적인 신호를 음향으로 변환하여 출력시키는 헤드폰(300)의 플러그(310)가 삽입되는 곳으로, 외부몸체(450)와 결합해 고정되어 있다.The socket 440 is a place where the plug 310 of the headphone 300 for converting and outputting an electrical signal into a sound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outer body 450.

외부몸체(450)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며, 수용공간에 마이크(460), 소켓(440) 및 커넥터 하우징(470) 등을 포함하며, 이들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커넥터 하우징(470)과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A)의 일정 간격만큼 커넥터(410)가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The outer body 450 has an accommodating space therein, and includes a microphone 460, a socket 440, a connector housing 470, etc. in the accommodating space, and serves to protect them from external impact, and the connector housing ( The connector 410 can be moved by a predetermined interval of the space A formed between the 470 and.

마이크(460)는 커넥터 하우징(470)에 장착되어, 커넥터 하우징(470)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외부에서 드러나고, 이곳으로부터 음향을 받아들여 전기신호로 변환하며, 변환된 전기신호는 커넥터(410)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200) 측으로 전달된다.The microphone 460 is mounted to the connector housing 470, which is expos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open portion of the connector housing 470, receives the sound from the microphone 460, and converts the sound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the converted electrical signal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410. It is deliver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hrough.

커넥터 하우징(470)은 커넥터(410), 기판(430) 및 마이크(460) 등을 내부에 포함하며, 외부몸체(450)의 내부 수용공간에 포함된 커넥터 하우징(470)과의 사이에 형성된 여유 공간(A)으로 인해 일정 간격만큼 커넥터(410)가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커넥터연결구(210)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커넥터 하우징(470)의 일측에는 커넥터(410)가 장착되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410)는 외부몸체(450)에서 일부 돌출되어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결합되고, 커넥터 하우징(470)의 타측은 커넥터(410)의 반대 측으로 일부가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커넥터 하우징(470)의 타측에 돌출된 부분이 외부몸체(450)와 면까지 삽입되면, 커넥터(410)는 외부몸체(450)의 반대 면에서 더 돌출되도록 커넥터 하우징(470)은 외부몸체(450)에서 일정 거리만큼 슬라이딩된다.The connector housing 470 includes a connector 410, a board 430, a microphone 460, and the like, and a clearance formed between the connector housing 470 and the connector housing 470 included in the inner accommodating space of the outer body 450. Due to the space A, the connector 410 is configured to move in a direction inserted into the connector connector 21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n addition, a connector 410 is mounted at one side of the connector housing 470, and as shown in FIG. 6, the connector 410 partially protrudes from the outer body 450 and is coupl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470 is configured to protrude a portion to the opposite side of the connector 410. Thus, when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connector housing 470 is inserted into the outer body 450 and the surface, the connector housing 470 is the outer body so that the connector 410 further protrudes from the opposite side of the outer body 450. At 450).

이처럼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살펴보면, 외부몸체(450)의 내부에 커넥터(410)와 연결된 커넥터 하우징(470)을 구성하며, 이 커넥터 하우징(470)은 마이크(460)와 기판(430)을 보호하면서 외부몸체(450)와의 사이에서 형성된 공간(A)을 이용해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연결할 때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커넥터연결구(210)에 커넥터(410)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된다.As described above,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s a connector housing 470 connected to the connector 410 inside the outer body 450, and the connector housing 470 connects the microphone 460 and the substrate 430. While protecting and using the space (A) formed between the outer body 45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when connecting to the connector connector 21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o mov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nector 410 is inserted It is composed.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연결할 때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커넥터연결구(210)에 커넥터(410)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은 커넥터 하우징(470)으로 인한 것이며, 이로 인해 커넥터 하우징(470)의 내부에 구성된 커넥터(410)와 기판(430), 마이크(460) 등이 움직이게 된다. 반면, 소켓(440)은 외부몸체(450)와 결합되어 있으므로 고정되어 있게 된다.Here, the movemen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nector 410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connector 21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when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is due to the connector housing 470, and thus the connector housing 470 The connector 410 and the board 430, the microphone 460, etc., which are configured in the inside, move. On the other hand, the socket 440 is fixed because it is coupled with the outer body 450.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커넥터(410)와 이동통신 단말기(200)를 연결할 때, 외부몸체(450)에서 커넥터 하우징(470)이 나오는 부분을 눌러줄 수 있어 연결이 순조롭게 되도록 하며, 연결이 잘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이동통신 단말기용 젠더(400)에서 커넥터 하우징(470) 부분이 밖으로 나온 정도를 파악해 판단할 수 있다.Therefore, when connecting the connector 41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press the portion coming out of the connector housing 470 in the outer body 450 so that the connection is smooth, connection Whether or not this is done well can be determined by grasping the degree out of the connector housing 470 in the gender (400)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때, 연결이 잘 이루어진 경우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젠더(400)의 외부몸체(450)가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밀착되어 있으며, 커넥터 하우징(470) 부분은 외부몸체(450)에서 일정 간격만큼 돌출되어 있다.At this time, when the connection is well made, the outer body 450 of the gender 400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and the connector housing 470 has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outer body 450. It protrudes.

이렇게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이동통신 단말기용 젠더(400)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봤을 때,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이동통신 단말기용 젠더(400)가 잘 밀착되어 보기에도 좋고,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할 때 접촉되는 연결부 사이가 흔들림없이 잘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접촉되는 연결부의 단자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When viewed in a state in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gender 400 are connecte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gender 40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used in the case of contact, the contact between the contact is firmly fixed without shaking, it can prevent the terminal damage of the contact.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by the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sinc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have only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understood by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described below.

산업상 이용가능성Industrial availability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와 관련된 산업분야에 적용되어질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industrial fields related to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Claims (6)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외부몸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일부가 이동통신 단말기와 결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헤드폰과 결합하여 상기 커넥터 측에서 입력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소켓;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향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커넥터 측으로 출력하는 마이크;
상기 커넥터가 장착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외부몸체와의 사이에 일정 거리의 공간을 가져 상기 수용공간에서 상기 커넥터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결합하는 방향으로 상기 일정 거리만큼 슬라이딩되는 커넥터 하우징; 및
상기 외부몸체로부터 분리 및 결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커넥터를 보호하는 커버;를 포함하되,
커넥터 측으로 입력되는 상기 전기적인 신호는 상기 마이크에서 변환된 전기적인 신호만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젠더.
An outer body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 connector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the connector being coupl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socket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and coupled with a headphone to output an electrical signal input from the connector;
A microphon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and converting sound input from the outside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outputting the electrical signal to the connector;
A connector housing mounted to the connector and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the connector housing having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outer body and the sliding housing slidi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nector engages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accommodation space; And
Includes; is provided to be separated from and coupled to the outer body to protect the connector;
The electrical signal input to the connector side is a gend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only the electrical signal converted from the microphone is inpu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젠더.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microphone is mounted on the connector housing.
제1항 또는 제4항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젠더; 및
상기 소켓에 결합되어, 입력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음향으로 변환하여 출력시키는 헤드폰;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A gend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claim 1; And
A headphone coupled to the socket for converting an input electrical signal into a sound and outputting the sound; Headset comprising a.
제1항 또는 제4항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젠더; 및
상기 커넥터와 결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세트.
A gend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claim 1;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upled with the connect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t comprising a.
KR1020117010249A 2009-03-25 2009-03-25 Gender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21150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9/001519 WO2010110501A1 (en) 2009-03-25 2009-03-25 Gender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6985A KR20110076985A (en) 2011-07-06
KR101211502B1 true KR101211502B1 (en) 2012-12-12

Family

ID=42781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0249A KR101211502B1 (en) 2009-03-25 2009-03-25 Gender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11502B1 (en)
WO (1) WO2010110501A1 (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3517B1 (en) * 2003-07-30 2005-06-07 브이케이 주식회사 Earphone with extended memory and device extending memory having the same
KR200416690Y1 (en) * 2006-03-08 2006-05-22 (주) 지.티 텔레콤 A gender changer for interfaces of mobile phones
KR100873648B1 (en) * 2007-02-23 2008-12-12 주식회사 코리아 아피스 Gender for mobile device
KR100791583B1 (en) * 2007-03-31 2008-01-04 (주)융스그룹 Earphone gender with usb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10501A1 (en) 2010-09-30
KR20110076985A (en) 201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75165B2 (en) Communication device with combined electrical socket and microphone opening
US9338542B2 (en) Wireless headset having ear hook
CN103002364B (en) Loudspeeaker connector module and portable electric device
US20060234771A1 (en) Headset adapter for IP or digital phone
US20090004923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necting two electrical devices together
KR100873648B1 (en) Gender for mobile device
JP2015521814A (en) Mobile phone smart case with recording function
US20070026908A1 (en) Earphone device with separable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EP2680550B1 (en) Hands-free communication devices for cord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JP2020512792A (en) Mobile device external assembly and mobile device protective sleeve
CN112204997A (en) Headset system with headphones and control box
CN103369419A (en) Corded audio device
KR101211502B1 (en) Gender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WI504330B (en) Protective shell
KR101867152B1 (en) Case of cellphone with bluetooth earphones
US20120178296A1 (en) Earphone plug applicable to different system specifications
KR20050014251A (en) Earphone with extended memory and device extending memory having the same
CN206195077U (en) Storage type data line of voiced sound source conversion functions and DC earphone interface
JP2006086747A (en) Headset unit
CN216217531U (en) Internally recording bullet and stereo internally recording converter
KR100698321B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1062958B1 (en) Gender for Mobile Terminals
CN219268085U (en) Converter
KR20110065560A (en) Ear microphon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40078518A (en) Muti-function interface apparatu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