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6886B1 - 통신케이블용 현수장치 - Google Patents

통신케이블용 현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6886B1
KR101206886B1 KR1020110083418A KR20110083418A KR101206886B1 KR 101206886 B1 KR101206886 B1 KR 101206886B1 KR 1020110083418 A KR1020110083418 A KR 1020110083418A KR 20110083418 A KR20110083418 A KR 20110083418A KR 101206886 B1 KR101206886 B1 KR 101206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line
communication cable
line
suspension
suspension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3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귀현
Original Assignee
박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귀현 filed Critical 박귀현
Priority to KR1020110083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68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6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6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6Suspensions for lines or cables along a separate supporting wire, e.g. S-hoo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H02G7/205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extending along a pole

Landscapes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케이블용 현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신주에 설치된 조가선에 이격된 상태로 상기 조가선과 평행하게 배선되는 지지선; 상기 지지선에 일측이 고정되어 상기 지지선에 등간격으로 정렬되고, 타측에 상기 조가선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마련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통해 상기 조가선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서 상기 조가선에 등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통신케이블이 상기 수용공간에 관통상태로 배선되어 상기 통신케이블을 상기 조가선의 하부에 현수하는 복수의 행거; 상기 지지선의 양측을 상기 조가선에 클램핑하여 제각기 고정하는 클램프; 및 상기 통신케이블의 선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지지선의 일측에서 인출되는 상기 통신케이블에 의해 상기 행거들의 상기 수용공간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면서 상기 지지선의 타측으로 이동하며, 상기 통신케이블을 상기 지지선에 등간격으로 정렬된 상기 복수의 행거에 배선하는 견인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통신케이블을 현수하는 복수의 행거가 조가선에 이격상태로 배선되는 지지선에 의해 조가선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조가선에 등간격으로 배치되므로, 반복되는 이동 및 설치작업이 없이도 복수의 행거를 조가선에 정렬시킬 수 있으며, 특히 조가선에 정렬된 행거들을 견인구가 관통하면서 이동하므로 통신케이블의 인출만으로 통신케이블을 조가선에 가설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케이블용 현수장치{SUSPENSION FOR COMMUNICATION CABLE}
본 발명은 통신케이블용 현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신주에 설치된 조가선에 통신케이블을 처짐이 없이 견고하게 현수상태로 설치할 수 있는 통신케이블용 현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케이블용 조가선(2)이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신주(1)와 전신주(1)사이에 가설되는 다수의 통신케이블(3)을 지지하기 위하여 전신주(1)와 전신주(1)사이에 가설하게 되는 와이어로프를 일컫는다.
즉, 통신케이블(3)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신주(1)간에 수평상태로 설치된 조가선(2)에 현수상태로 배선되어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건물로 연결된다.
여기서, 통신케이블(3)은 와이어(5)와 같은 고정부재에 의해 조가선(2)에 현수상태로 고정되어 하부로 처지지 않으면서 배선된다.
와이어(5)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5a)를 통해 조가선(2)에 결합되어 통신케이블(3)을 조가선(2)에 현수상태로 고정하거나, 이와 달리 통신케이블(3)을 조가선(2)과 함께 결속하여 고정한다.
이러한 와이어(5)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가선(2)을 따라 다수개가 좁은 간격으로 설치되어야만 통신케이블(3)이 하부로 처지지 않는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통신케이블(3)의 가설시, 전신주(1)에 올라가서 조가선(2)에 매달린 상태로 조가선(2)을 따라 이동하면서 와이어(5)로 통신케이블(3)을 조가선(2)에 일일이 고정하거나, 사다리차와 같은 중장비를 이용하여 사다리차와 함께 조가선(2)을 따라 이동하면서 통신케이블(3)을 조가선(2)에 고정하였다.
그런데, 작업자가 조가선(2)에 매달려 이동하는 경우에는 가설작업의 위험성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가설시간 또한 증가하여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으며, 사다리차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통신케이블(3)을 고정하는 와이어(5)의 설치간격만큼 사다리차가 이동과 정지를 반복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어서 작업시간이 증가함은 물론 가설작업시간 동안 교통혼잡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조가선에 매달리거나 중장비로 이동 및 설치를 반복하지 않고도 통신케이블이 현수되는 행거를 조가선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면서 행거를 조가선에 등간격으로 정렬시킬 수 있으며, 통신케이블을 전신주의 일측에서 인출하면서 조가선에 정렬된 행거에 가설할 수 있는 통신케이블용 현수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통신케이블용 현수장치는, 전신주에 수평상태로 설치된 조가선에 통신케이블을 현수하는 통신케이블용 현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가선에 이격된 상태로 상기 조가선과 평행하게 배선되는 지지선; 상기 지지선에 일측이 고정되면서 상기 지지선에 등간격으로 정렬되고, 타측에 상기 조가선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마련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통해 상기 조가선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서 상기 조가선에 등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통신케이블이 상기 수용공간에 관통상태로 배선되어 상기 통신케이블을 상기 조가선의 하부에 현수하는 복수의 행거; 상기 지지선의 양측을 상기 조가선에 클램핑하여 제각기 고정하는 클램프; 및 상기 통신케이블의 선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지지선의 일측에서 인출되는 상기 통신케이블에 의해 상기 행거들의 상기 수용공간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면서 상기 지지선의 타측으로 이동하며, 상기 통신케이블을 상기 지지선에 등간격으로 정렬된 상기 복수의 행거에 배선하는 견인구;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케이블용 현수장치에 의하면, 통신케이블을 현수하는 복수의 행거가 조가선에 이격상태로 배선되는 지지선에 의해 조가선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조가선에 등간격으로 배치되므로, 반복되는 이동 및 설치작업이 없이도 복수의 행거를 조가선에 정렬시킬 수 있으며, 특히 조가선에 정렬된 행거들을 견인구가 관통하면서 이동하므로 통신케이블의 인출만으로 통신케이블을 조가선에 가설할 수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통신케이블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케이블용 현수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행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행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패스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패스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견인기를 나타내는 정면도.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범용적인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케이블용 현수장치는 예컨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선(10), 행거(20), 클램프(30) 및 견인구(4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지지선(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신주(PS)에 수평상태로 고정된 조가선(W)에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배선되는 부재로써, 후술되는 행거(20)를 조가선(W)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배선되는 부재이다.
이러한 지지선(10)은 미도시된 마킹이 등간격으로 표시될 수 있다. 마킹은 후술되는 행거(20)를 지지선(10)에 등간격으로 고정하기 위함이다.
행거(20)는 통신케이블(CB)을 조가선(W)의 하부에 현수하는 수단으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구성되어 일측이 지지선(10)에 고정되고, 타측에 마련된 수용공간(20a)을 통해 조가선(W)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지지선(10)에 의해 조가선(W)에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또한, 행거(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공간(20a)에 통신케이블(CB)이 후술되는 견인구(40)에 의해 관통상태로 배선되어 통신케이블(CB)을 조가선(W)에 현수한다.
이러한 행거(20)는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수링(21) 및 패스너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현수링(2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성을 갖는 링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수용공간(20a)을 형성하며, 일측에 개방구(21a)가 마련되어 개방구(21a)가 벌어지면서 조가선(W)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진 후, 양단부가 서로 결속되면서 개방구(21a)가 폐쇄된다.
즉, 현수링(21)은 개방구(21a)를 통해 조가선(W)에 끼워져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가선(W)을 따라 슬라이딩한다.
한편, 현수링(2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개방구(21a)를 갖는 고리형태로 형성되어 조가선(W)에 끼워진 후, 후술되는 현수판(25)에 의해 개방구(21a)가 차폐될 수도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구(21a)를 통해 조가선(W)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서 직교방향으로 비틀어지면서 개방구(21a)가 폐쇄될 수도 있다.
또한, 현수링(21)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견인구(40)에 의해 수용공간(20a)에 통신케이블(CB)을 수용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가선(W)의 하부에 통신케이블(CB)을 현수한다.
이러한 현수링(21)은 조가선(W) 및 통신케이블(CB)과 마찰을 감소하기 위하여 표면이 피복재로 피복될 수 있다.
패스너는 현수링(21)을 지지선(1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수단으로써,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클립(23)으로 구성할 수 있다.
탄성클립(23)은 현수링(21)의 일부분을 지지선(10)과 함께 고정하는 부재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개구부(23a)가 형성된 집게형태의 탄성체로 형성되며, 개구부(23a)를 통해 탄성변형하여 지지선(10) 및 현수링(21)에 억지끼워지면서 현수링(21)을 지지선(10)에 고정한다.
이러한 탄성클립(23)은 도 3의 하단에 측면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력에 의해 지지선(10) 및 현수링(21)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외력에 의해 변형되면서 개구부(23a)가 폐쇄될 수도 있다.
한편, 패스너는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수링(21)이 고리형태로 구성된 경우, 현수판(25) 및 고정클립(27)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현수판(25)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성을 갖는 절곡판으로 형성되어 양측에 수직상태로 절곡될 수 있으며, 현수링(21)의 양단부를 걸린상태로 고정하는 홀더가 양측에 제각기 마련된다.
홀더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수링(21)의 단부가 관통상태로 삽입되면서 걸리는 구멍형태의 걸림공(25a)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ㄱ'형태로 절개된 걸림슬롯(25b)로 구성되어 현수링(21)의 단부 일부분이 걸리면서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걸림슬롯(25b)은 현수링(21)의 길이가 길게 형성된 경우 현수링(21)의 단부를 관통시키지 않고도 현수판(21)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한편, 현수링(2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에 의해 현수판(25)에 고정된 후 직각으로 절곡되면서 홀더로부터 이탈하지 않는다.
이와 달리, 현수판(25)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가 수평상태로 절곡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걸림슬롯(25b)으로 구성된 홀더가 하부에 마련되어 현수링(21)을 현수상태로 고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현수판(25)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수링(21)의 양단부를 홀더에 고정하면서 현수링(21)의 개방구(21a)를 차폐하며, 하단이 조가선(W)에 안착된다. 이때, 현수판(25)은 도 4에 측면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에 마련되는 안착홈(25c)을 통해 조가선(W)에 안착된다.
고정클립(27)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수판(25)의 일측에 연장상태로 절곡되어 지지선(10)에 밀착되며, 측면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외력에 의해 지지선(10)을 감싸는 형태로 변형되면서 지지선(10)을 파지하여 현수판(25)을 지지선(10)에 고정한다.
다른 한편, 패스너는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선(10)에 감기면서 고정되는 헬리컬스틱(29)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헬리컬스틱(29)은 현수링(21)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하는 강선의 양단부 또는 어느 하나의 단부에 마련되고, 지지선(10)의 굵기에 대응하는 내경(D) 및 피치(PT)를 갖는 나선형태로 절곡형성되어 지지선(10)에 감겨서 고정된다.
여기서, 피치(PT) 및 내경(D)은 지지선(10)의 굵기에 따라 결정된다. 이러한 피치(PT) 및 내경(D)이 지지선(10)의 굵기에 대응형성되어야 하는 이유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만약, 내경(D)이 지지선(10)의 굵기보다 작게 형성될 경우, 지지선(10)은 헬리컬스틱(29)의 내경(D)에서 일부분이 외측으로 이탈되므로 헬리컬스틱(29)에 밀착상태로 감기지 않는다. 이와 달리, 내경(D)이 지지선(10)의 굵기 보다 크게 형성될 경우 지지선(10)이 헬리컬스틱(29)의 내측, 즉 내경(D)에서 유동하므로 헬리컬스틱(29)에 밀착상태로 감기지 않는다. 즉, 지지선(10)은 내경(D)이 너무 크거나 너무 작을 경우 헬리컬스틱(29)에 밀착상태로 고정되지 못한다.
그리고, 피치(PT)가 지지선(10)의 굵기에 비해 너무 좁게 형성될 경우, 헬리컬스틱(29)은 지지선(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너무 조밀한 간격으로 꺾이므로 탄성력이 발생되면서 지지선(10)이 헬리컬스틱(29)에 원활하게 감기지 않는다. 이와 달리, 피치(PT)가 지지선(10)의 굵기에 비해 너무 넓게 형성될 경우, 지지선(10)은 사실상 꺾이는 부분이 거의 없으므로 탄성력이 발생되지 않음에 따라 헬리컬스틱(29)에 고정되지 못한다. 즉, 지지선(10)은 피치(PT)가 너무 좁거나 너무 넓게 형성될 경우, 요구되는 탄성력을 확보할 수 없으므로 헬리컬스틱(29)에 고정되지 못한다.
결론적으로, 현수링(21)은 헬리컬스틱(29)이 지지선(10)에 트위스트 상태로 감기면서 발생되는 탄성력에 의해 지지선(1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여기서, 전술한 피치(PT)는 지지선(10)이 트위스트상태로 여러번 감기도록, 적어도 3개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피치(PT)는 지지선(10)의 굵기나 탄성도에 의해 수량이 결정된다. 즉, 피치(PT)는 지지선(10)이 굵거나 탄성력이 너무 강할 경우 보다 작은 수량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지지선(10)이 비교적 얇거나 탄성력이 약할 경우, 보다 많은 수량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헬리컬스틱(29)은 현수링(21)의 양단부에 마련된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의 헬리컬스틱(29)이 교차하면서 지지선(10)에 고정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달리 양측의 헬리컬스틱(29)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지지선(10)에 제각기 고정될 수도 있다.
여기서, 패스너를 구성하는 고정클립(27)이나 헬리컬스틱(29)은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선(10)에 표시된 마커부위에 고정된다. 따라서, 현수링(21)은 지지선(10)에 등간격으로 정렬된 상태로 조가선(W)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현수링(21)은 개방구(21a)를 통해 조가선(W)에 끼워진 상태로 패스너에 의해 지지선(10)의 선단부터 순차적으로 등간격을 이루면서 고정되며, 고정간격만큼 이동하는 지지선(10)에 의해 조가선(W)을 따라 슬라이드되면서 조가선(W)에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클램프(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선(10)의 양측을 조가선(W)에 클램핑하여 고정하는 부재로써, 지지선(10)의 배선에 따른 행거(20)의 배치가 완료된 후 지지선(10)을 조가선(10)에 고정함으로써 행거(20)의 좌우유동을 방지한다.
즉, 행거(20)는 지지선(10)에 등간격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30)에 의해 지지선(10)이 조가선(W)에 고정됨에 따라 이동이 고정되어 조가선(W)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클램프(30)는 도 2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압편(31), 제2가압편(33) 및 가압볼트(35)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제1가압편(31)은 도 2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홈형태의 지지선홀더(31a)가 형성되어 지지선(10)의 일부를 지지선홀더(31a)에 수용한다. 지지선홀더(31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지지선(10)이 돌출된 상태로 수용된다.
제2가압편(3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압편(31)에 대향상태로 결합되며, 조가선(W)이 수용되는 조가선홀더(33a)가 형성되어 조가선(W)의 일부를 조가선홀더(33a)에 수용한다. 즉, 제2가압편(33)은 제1가압편(31)에 결합되면서 지지선홀더(31a)에 수용된 지지선(10)을 가압하면서 고정하는 동시에 조가선홀더(33a)에 수용된 조가선(W)이 제1가압편(31)에 의해 가압되면서 고정된다.
가압볼트(3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압편(31) 및 제2가압편(33)을 결합시키면서 지지선(10) 및 조가선(W)을 가압한다.
따라서, 지지선(10)은 가압볼트(35)에 의한 제1가압편(31) 및 제2가압편(33)의 가압에 의해 조가선(W)에 고정된다.
한편, 제1가압편(31) 및 제2가압편(33)은 도시된 바와 달리 경첩식으로 구성되어 일측에 연결된 상태에서 타측이 가압볼트(35)에 가압될 수도 있다.
또한, 제1가압편(31) 및 제2가압편(3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선홀더(31a) 및 조가선홀더(33a)가 경사상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지지선홀더(31a) 및 조가선홀더(33a)는 경사상태로 형성될 경우 수평상태로 형성된 경우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지지선(10) 및 조가선(W)의 더 많은 부분을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1가압편(31) 및 제2가압편(33)은 경사상태의 지지선홀더(31a) 및조가선홀더(33a)에 의해 지지선(10) 및 조가선(W)을 견고하게 클램핑할 수 있다.
견인구(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케이블(CB)의 선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지지선(10)의 일측에서 인출되는 통신케이블(CB)의 외력에 의해 이동하면서 행거(20)들의 수용공간(20a)을 관통하여 통신케이블(CB)을 행거(20)에 배선하는 수단이다.
이러한 견인구(40)는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대(41) 및 유선형리브(43)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관통대(41)는 조가선(W)에 등간격으로 배치된 현수링(21)들의 수용공간(20a)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부재로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성을 갖는 일직선형태로 형성되고, 일단부에 수형커넥터(41a)가 마련되어 통신케이블(CB)의 암형커넥터(CBa)와 결합하여 통신케이블(CB)의 인출에 의해 푸시되면서 현수링(21)을 관통한다.
이러한 관통대(41)는 길이(L1)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선(10)에 고정된 행거(20)들의 간격(L2)보다 길게 형성되어 인접된 둘 이상의 행거(20)에 걸린상태로 이동한다. 따라서, 관통대(4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하면서 후방의 행거(20)에서 벗어나기 전에 선단부가 전방의 행거(20)에 걸리므로 조가선(W)의 하부로 이탈됨이 없이 행거(20)들을 관통할 수 있다.
유선형리브(43)는 관통대(41)가 하방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요소로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선형태로 형성되어 관통대(41)의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되며, 관통대(41)와 함께 행거(20)의 수용공간(20a)을 관통하면서 행거(20)의 내주면에 지지되어 관통대(41)를 부상시킨다.
즉, 관통대(4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선형리브(43)에 의해 통발형태의 유선형을 이루므로, 선단부가 행거(20)에 걸린상태에서 통신케이블(CB)에 의해 푸시됨에 따라 부상하며, 행거(20)를 관통하면서 하강하여 선단부가 다음 행거(20)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관통대(41)는 행거(20)들의 간격보다 길게 형성된 길이(L1) 및 유선형리브(43)에 의해 행거(20)들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면서 통신케이블(CB)을 행거(20)에 배선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통신케이블용 현수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신주(PS)에 설치된 조가선(W)에 통신케이블(CB)을 배선하기 위하여 시공된다.
먼저, 작업자는 일측의 전신주(PS)에 올라가서 지지선(10)을 통해 행거(20)를 조가선(W)에 등간격으로 배치한다.
이때, 작업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거(20)를 구성하는 현수링(21)의 개방구(21a)를 통해 현수링(21)을 조가선(W)에 끼운 후 양단부를 서로 결속하여 개방구(21a)를 차폐하며, 현수링(21)의 일부분을 지지선(10)과 함께 탄성클립(23)에 억지끼움으로 삽입하여 고정한다. 여기서, 탄성클립(23)은 지지선(10)에 마련된 미도시된 마킹부위에 삽입한다.
이어서, 작업자는 지지선(10)을 마킹의 간격만큼 타측 전신주(PS)를 향해 푸시하여 조가선(W)에 걸린 행거(20)를 이동시키고, 다른 현수링(21)을 전술한 바와 같이 조가선(W)에 끼운후 탄성클립(23)으로 지지선(10)에 고정한다.
한편, 현수링(21)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형태로 형성된 경우, 작업자는 개방구(21a)를 통해 현수링(21)을 조가선(W)에 끼운 상태에서 현수링(21)의 양단부를 현수판(25)의 걸림공(25a)이나 걸림슬롯(25b)에 삽입하여 고정하며, 고정클립(27)을 렌치와 같은 연장을 이용하여 지지선(10)의 마킹부위에 고정한다.
다른 한편, 현수링(21)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에 헬리컬스틱(29)이 마련된 경우, 작업자는 개방구(21a)를 통해 조가선(W)에 현수링(21)을 끼운 상태에서 헬리컬스틱(29)을 지지선(10)의 마킹부위에 트위스트 상태로 감아서 고정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거(20)가 조가선(W)에 등간격으로 배치되면, 지지선(10)의 양단부를 클램프(30)로 조가선(W)에 고정한다. 이때, 제1가압편(31) 및 제2가압편(33)은 지지선홀더(31a) 및 조가선홀더(33a)에 지지선(10)과 조가선(W)을 제각기 홀딩시킨 상태로 가압볼트(35)에 의해 가압되면서 지지선(10) 및 조가선(W)을 일체적으로 고정한다.
이어서, 작업자는 조가선(W)에 정렬된 행거(20)들의 수용공간(20a)에 통신케이블(CB)을 배선한다. 이때, 작업자는 견인구(40)를 구성하는 관통대(41)에 마련된 수형커넥터(41a)에 통신케이블(CB)의 암형커넥터(CBa)를 결합하고, 통신케이블(CB)을 인출하면서 관통대(41)를 현수링(21)의 수용공간(20a)에 관통시킨다.
관통대(41)는 작업자에 의해 통신케이블(CB)이 인출됨에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현수링(21)의 수용공간(20a)을 관통한다. 이때, 관통대(41)는 유선형리브(43)에 의해 부상되므로 하방으로 처짐이 없이 이동하며, 현수링(21)들의 정렬간격(L2)보다 길이(L1)가 길게 형성되므로 전방의 현수링(21)에 걸리면서 이동하여 현수링(21)들을 순차적으로 관통한다.
따라서, 통신케이블(CB)은 관통대(41)를 따라 이동하면서 현수링(21)들을 관통함에 따라 조가선(W)의 하부에 현수상태로 배선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통신케이블용 현수장치는 통신케이블(CB)을 현수하는 복수의 행거(20)가 조가선(W)에 이격상태로 배선되는 지지선(10)에 의해 조가선(W)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조가선(W)에 등간격으로 배치되므로, 반복되는 이동 및 설치작업이 없이도 복수의 행거(20)를 조가선(W)에 정렬시킬 수 있으며, 특히 조가선(W)에 정렬된 행거(20)들을 견인구(40)가 관통하면서 이동하므로 통신케이블(CB)의 인출만으로 통신케이블(CB)을 조가선(W)에 가설할 수 있다.
또한, 행거(20)가 일측이 개방된 현수링(21)으로 구성되므로 설치 및 제작이 간편함은 물론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으며, 패스너를 통해 지지선에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다.
또, 패스너가 탄성클립(23)을 구성될 경우, 현수링(21)이 지지선(10)과 함께 탄성클립(23)에 억지끼움되어 탄성력에 의해 고정되므로 별개의 공구가 없이도 현수링(21)을 지지선(10)에 고정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패스너가 현수판(25) 및 고정클립(27)으로 구성될 경우, 현수링(21)의 개방구(21a)를 현수판(25)이 차폐하므로 현수링(21)의 양단부를 결속하지 않고도 현수링(21)이 조가선(W)에 걸릴 수 있으며, 안착홈(25c)에 의해 현수판(25)이 조가선(W)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이와 또 달리, 패스너가 헬리컬스틱(29)으로 구성된 경우, 헬리컬스틱(29)이 트위스트상태로 지지선(10)에 감겨서 고정되므로 현수링(21)을 견고하게 지지선(10)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견인구(40)를 구성하는 관통대(41)가 현수링(21)을 관통하면서 유선형리브(43)에 의해 현수링(21)의 내주에 지지되어 부상하므로 하방으로 처짐이 없이 현수링(21)들의 수용공간(20a)을 관통할 수 있다.
특히, 관통대(41)의 길이(L1)가 현수링(21)들의 설치간격(L2)보다 길게 형성되므로, 관통대(41)가 현수링(21)의 하부로 이탈함이 없이 현수링(21)들을 순차적으로 관통할 수 있다.
덧붙여, 클램프(30)가 제1가압편(31) 및 제2가압편(33)으로 구성되어 가압볼트(35)에 의해 지지선(10) 및 조가선(W)을 가압하므로, 지지선(10)을 조가선(W)에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지지선(10)에 고정된 행거(20)들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0 : 지지선 20 : 행거
20a : 수용공간 21 : 현수링
21a : 개방구 23 : 탄성클립
25 : 현수판` 25a : 걸림공
25b : 걸림슬롯 27 : 고정클립
29 : 헬리컬스틱 30 : 클램프
31 : 제1가압편 31a : 지지선홀더
33 : 제2가압편 33a : 조가선홀더
35 : 가압볼트 40 : 견인구
41 : 관통대 43 : 유선형리브
PS : 전신주 W : 조가선
CB : 통신케이블

Claims (10)

  1. 전신주에 수평상태로 설치된 조가선에 통신케이블을 현수하는 통신케이블용 현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가선에 이격된 상태로 상기 조가선과 평행하게 배선되는 지지선;
    상기 지지선에 일측이 고정되면서 상기 지지선에 등간격으로 정렬되고, 타측에 상기 조가선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마련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통해 상기 조가선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서 상기 조가선에 등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통신케이블이 상기 수용공간에 관통상태로 배선되어 상기 통신케이블을 상기 조가선의 하부에 현수하는 복수의 행거;
    상기 지지선의 양측을 상기 조가선에 클램핑하여 제각기 고정하는 클램프; 및
    상기 통신케이블의 선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지지선의 일측에서 인출되는 상기 통신케이블에 의해 상기 행거들의 상기 수용공간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면서 상기 지지선의 타측으로 이동하며, 상기 통신케이블을 상기 지지선에 등간격으로 정렬된 상기 복수의 행거에 배선하는 견인구;를 포함하는 통신케이블용 현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는,
    일측이 개방된 링으로 형성되어 상기 조가선 및 상기 통신케이블이 관통상태로 수용되는 상기 수용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개방된 일측을 통해 상기 조가선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견인구에 의해 상기 통신케이블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태로 걸리는 현수링; 및
    상기 현수링을 상기 지지선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패스너;를 포함하는 통신케이블용 현수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너는,
    상기 현수링 및 상기 지지선이 억지끼움되는 개구부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현수링 및 상기 지지선에 끼워져 걸리고, 탄성력에 의해 상기 지지선을 상기 현수링의 일부분과 함께 구속하여 상기 현수링을 상기 지지선에 고정하는 탄성클립;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케이블용 현수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너는,
    상기 일측이 개방된 상기 현수링의 양단부가 제각기 걸리는 홀더가 마련되어 상기 현수링을 수직상태로 상기 지지선에 연결하고, 상기 현수링의 개방된 일측을 차폐하면서 상기 조가선에 안착되는 현수판; 및
    상기 현수판의 일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지지선에 밀착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지지선을 감싸는 형태로 변형됨에 따라 상기 지지선을 파지하면서 상기 현수판을 상기 지지선에 고정하는 고정클립;을 포함하는 통신케이블용 현수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현수판의 양측에 제각기 마련되고, 상기 현수링의 단부가 관통상태로 걸리는 구멍형태의 걸림공이나 상기 현수링의 단부의 일부분이 삽입되면서 걸리는 홈형태의 걸림슬롯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케이블용 현수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현수판은,
    상기 조가선에 대응하는 안착홈이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현수링의 개방된 일측을 차폐하면서 상기 안착홈을 통해 상기 조가선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케이블용 현수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너는,
    상기 일측이 개방된 상기 현수링의 양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선의 굵기에 대응하는 내경을 갖는 나선형태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지지선에 감겨서 고정되는 헬리컬스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케이블용 현수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구는,
    상기 통신케이블의 선단에 마련된 암형커넥터와 결합되는 수형커넥터가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수형커넥터에 결합되어 인출되는 상기 통신케이블에 의해 전방으로 밀리면서 상기 복수의 행거를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일직선 형태의 관통대; 및
    상기 관통대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관통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선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대와 함께 상기 행거를 관통하면서 상기 행거의 내주에 지지되어 상기 관통대를 상기 행거의 내주에서 부상시킴으로써 상기 관통대가 하방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복수의 유선형리브;를 포함하는 통신케이블용 현수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대는,
    상기 복수의 행거 중 인접한 행거들의 간격보다 긴 길이로 형성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행거들에 걸린상태로 상기 행거들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케이블용 현수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지지선의 일부가 수용되는 홈형태의 지지선홀더가 형성된 제1가압편;
    상기 제1가압편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가압편에 대향하며, 상기 조가선의 일부가 수용되는 홈형태의 조가선홀더가 상기 지지선홀더에 이격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선홀더에 수용된 상기 지지선을 가압하면서 상기 조가선홀더에 수용된 상기 조가선이 상기 제1가압편에 의해 가압되는 제2가압편; 및
    상기 제1가압편 및 상기 제2가압편을 연결하면서 상기 지지선 및 조가선을 가압하는 가압볼트;를 포함하는 통신케이블용 현수장치.
KR1020110083418A 2011-08-22 2011-08-22 통신케이블용 현수장치 KR101206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418A KR101206886B1 (ko) 2011-08-22 2011-08-22 통신케이블용 현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418A KR101206886B1 (ko) 2011-08-22 2011-08-22 통신케이블용 현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6886B1 true KR101206886B1 (ko) 2012-11-30

Family

ID=47565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3418A KR101206886B1 (ko) 2011-08-22 2011-08-22 통신케이블용 현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688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5254B1 (ko) * 2016-05-31 2018-01-05 박규리 케이블용 행거
KR20200011327A (ko) 2018-07-24 2020-02-03 와이넷(주) 케이블 지지용 나선형 서스펜션 및 그 제조방법
CN116470461A (zh) * 2023-04-18 2023-07-21 广东顺德胜崎电子科技有限公司 通过移动对电力电缆进行上拉吊挂的悬吊金具及上拉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7016A (ja) 2000-05-17 2001-11-22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ケーブルの架線工法、並びにケーブル架線用コーナガイド
KR200326729Y1 (ko) 2003-06-04 2003-09-19 주식회사 케이티 케이블 행거
JP2004282984A (ja) 2003-02-24 2004-10-07 Himeno Corp 電線の架線工法
JP2005184915A (ja) 2003-12-17 2005-07-07 Iwabuchi Corp ケーブルの電柱間架線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7016A (ja) 2000-05-17 2001-11-22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ケーブルの架線工法、並びにケーブル架線用コーナガイド
JP2004282984A (ja) 2003-02-24 2004-10-07 Himeno Corp 電線の架線工法
KR200326729Y1 (ko) 2003-06-04 2003-09-19 주식회사 케이티 케이블 행거
JP2005184915A (ja) 2003-12-17 2005-07-07 Iwabuchi Corp ケーブルの電柱間架線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5254B1 (ko) * 2016-05-31 2018-01-05 박규리 케이블용 행거
KR20200011327A (ko) 2018-07-24 2020-02-03 와이넷(주) 케이블 지지용 나선형 서스펜션 및 그 제조방법
CN116470461A (zh) * 2023-04-18 2023-07-21 广东顺德胜崎电子科技有限公司 通过移动对电力电缆进行上拉吊挂的悬吊金具及上拉方法
CN116470461B (zh) * 2023-04-18 2023-11-24 新昌县新明实业有限公司 通过移动对电力电缆进行上拉吊挂的悬吊金具及上拉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17052B1 (en) Installation tool system for pole-mounted communication cables
KR101206886B1 (ko) 통신케이블용 현수장치
SE416364B (sv) Avspenningsdon
KR101198257B1 (ko) 통신케이블용 서스펜션
KR101488372B1 (ko) 케이블 행거
JP3044343B2 (ja) シュータを備えたケーブル受具
EP3237777B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lamping devices
US20050172459A1 (en) Cord retainer
CN205846660U (zh) 快速安装的架空线缆耐张线夹
KR102304443B1 (ko) 통신 케이블용 선통기
CN211263889U (zh) 一种架空光缆及该光缆敷设金具
KR200223945Y1 (ko) 케이블 지지용 케이블 행거
KR20120007430U (ko) 덕트 파이프 탑재용 지그
KR101668108B1 (ko) 통신용 케이블 행거
KR20100077394A (ko) 개방형 조가선 행거용 취부공구
KR200454869Y1 (ko) 유형케이블행거
KR101061809B1 (ko) 이지행거
KR200483041Y1 (ko) 케이블 가설 장치
RU121966U1 (ru) Натяжной зажим для изолированного воздушного кабеля
KR200395526Y1 (ko) 케이블용 지지선 인입장치
JP2001327016A (ja) ケーブルの架線工法、並びにケーブル架線用コーナガイド
JP3165945B2 (ja) シュータを備えたケーブル受具
KR101020094B1 (ko) 개방형 조가선 행거용 취부공구
JP3514433B2 (ja) ケーブル架設方法およびケーブル架設装置
JP3350663B2 (ja) 移動金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