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5718B1 - 실내 공간의 전자파 환경 재현 방법 - Google Patents

실내 공간의 전자파 환경 재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5718B1
KR101205718B1 KR1020090120018A KR20090120018A KR101205718B1 KR 101205718 B1 KR101205718 B1 KR 101205718B1 KR 1020090120018 A KR1020090120018 A KR 1020090120018A KR 20090120018 A KR20090120018 A KR 20090120018A KR 101205718 B1 KR101205718 B1 KR 101205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r
electromagnetic
environment
measuring
electromagnetic w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0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3079A (ko
Inventor
박상명
윤재훈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120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5718B1/ko
Publication of KR20110063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3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5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5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G01R29/0807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29/0814Field measurements related to measuring influence on or from apparatus, components or humans, e.g. in ESD, EMI, EMC, EMP testing, measuring radiation leakage; detecting presence of micro- or radiowave emitters; dosimetry; testing shielding; measurements related to light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G01R29/0807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29/0814Field measurements related to measuring influence on or from apparatus, components or humans, e.g. in ESD, EMI, EMC, EMP testing, measuring radiation leakage; detecting presence of micro- or radiowave emitters; dosimetry; testing shielding; measurements related to lightning
    • G01R29/0835Testing shielding, e.g. for efficienc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G01R29/0864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 G01R29/0871Complete apparatus or systems; circuits, e.g. receivers or amplifi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파밀집공간에 대한 측정시설 설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쉴드 룸(Shield room)과 전자파 흡수체를 이용하여 실제 실내 공간과 같은 전자파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외부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구조적 변경이 용이한 실내 공간의 전자파 환경 재현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정 방법은, 실내 환경에서 전자파의 전파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환경을 재현하기 위한 실내 공간과 동일한 형상의 구조체를 제작하는 과정과, 상기 실내 공간에 포함되어 있는 창문들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미리 결정된 유전율을 갖는 제1흡수체를 상기 제작된 구조체에 부착하는 과정과, 상기 실내 공간에 포함되어 있는 출입문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미리 결정된 유전율을 갖는 제2흡수체를 상기 제작된 구조체에 부착하는 과정과, 상기 제작된 구조체 내부에서 미리 결정된 전자파를 방사하여 측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실내 환경, 전자파, 재현

Description

실내 공간의 전자파 환경 재현 방법{METHOD OF MICROWAVE ENVIRONMENT REAPPEARANCE IN INDOOR SPACE}
본 발명은 전파밀집공간에 대한 측정시설 설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쉴드 룸(Shield room)과 전자파 흡수체를 이용하여 실제 실내 공간과 같은 전자파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의 IT원천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고유번호 : 2008-F-014-01, 과제명 : U-사회 전파환경 보호를 위한 전자파양립성 연구"]
우리나라는 전기ㅇ전자산업과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전파를 이용한 다양한 무선통신 및 방송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렇게 전파를 응용한 기술들은 우리가 흔히 접하고 있는 이동통신 분야에서부터 의료산업 분야, 나아가 항공 및 우주 산업분야 등에 이르기까지 그 발전 범위가 점차 확대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전파의 이용은 순기능적인 측면에서 우리 생활에 존재하고 있는 다양한 시간적, 공간적인 제약을 해소시켜 주었다.
다른 한편으로 전자파 이용의 급증으로 장비들 사이에 간섭으로 인한 통신 장해나 오작동 등으로 전기/전자 장비의 성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다. 또한 다량의 전자파로 인한 전자파 환경이 안 좋아지는 문제를 야기하게 되었다. 특히 유비쿼터스 기술을 사용한 U-City 환경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콘텐츠는 대부분 무선통신 인프라 기반을 사용하게 되므로 전자파에 대한 환경은 더욱 열악해지고 그에 따른 전파밀집공간은 더욱 증가하게 된다. 그리하여 다양한 요인으로부터 발생하는 전자파를 측정하고 분석하여 전자파 방해 요소를 진단할 수 있어야 한다.
현재 전자파장해 측정에는 주로 접지면이 있는 야외시험장(Open area test site), 전자파 무반사실(Full/semi anechoic chamber), TEM cell(Transverse Electromagnetic cell), 평행판선로(Parallel plate line), 헬름홀츠코일(Helmholtz coil), 전자파잔향실(Reverberating chamber) 등이 있다. 그러나 야외시험장의 경우 날씨의 영향을 받으며, 매우 넓은 공간이 필요하고, 설치비용이 크다는 단점 외에도 측정시설이 외부와 격리되어 있지 않으므로 주변 전자파 환경에 영향을 받기 쉽다는 단점을 지닌다. 또한 전자파 무반사실의 경우에도 넓은 설치 공간이 필요하고 설치 이후에도 측정시설을 유지하기 위한 비용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넓은 공간이 필요하지 않으며, 저비용으로 보다 더 빠르고, 정확한 측정이 가능한 측정시설 및 새로운 측정기술 개발에 대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무선 서비스 및 무선기기들이 확대 또는 융합되어 전파밀집공간이 증가함에 따라 해당서비스 및 기기의 동작 및 성능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실제 공간과 유사한 전파밀집공간 내에서의 전자파 상호 영향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이를 위해서는 외부 전자파 환경과는 격리되며 내부 전자파 환경은 실제 우리가 생활하고 있는 가정이나 사무실, 자동차와 같은 환경을 구축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외부에 영향을 받지 않는 실내 공간의 전자파 환경 재현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구조적 변경이 용이한 실내 공간의 전자파 환경 재현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정 방법은, 실내 환경에서 전자파의 전파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환경을 재현하기 위한 실내 공간과 동일한 형상의 구조체를 제작하는 과정과, 상기 실내 공간에 포함되어 있는 창문들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미리 결정된 유전율을 갖는 제1흡수체를 상기 제작된 구조체에 부착하는 과정과, 상기 실내 공간에 포함되어 있는 출입문의 위치와 동일 한 위치에 미리 결정된 유전율을 갖는 제2흡수체를 상기 제작된 구조체에 부착하는 과정과, 상기 제작된 구조체 내부에서 미리 결정된 전자파를 방사하여 측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작 방법은, 실내 환경에서 전자파의 전파 특성을 측정하기 구조체 제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환경을 재현하기 위한 실내 공간과 동일한 형상의 구조체를 제작하는 과정과, 상기 실내 공간에 포함되어 있는 창문들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상기 창문의 유전율과 같은 유전율을 갖는 제1흡수체를 상기 제작된 구조체에 부착하는 과정과, 상기 실내 공간에 포함되어 있는 출입문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상기 출입문의 유전율과 같은 유전율을 갖는 제2흡수체를 상기 제작된 구조체에 부착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내 공간의 전자파 환경 재현 방법은 외부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구조적 변경이 용이한 실내 공간의 전자파 환경 재현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무선 서비스 및 무선기기들의 전자파 상호 영향에 대한 평가를 위해서는 기 본적으로 측정시설 외부에서 내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전자파 환경과 격리되어야 한다는 조건을 지닌다. 그리고 나아가 실제 우리가 생활하고 있는 공간과 같은 환경에서의 측정을 위해서는 보다 실제적인 전자파 필드 분포를 나타내기 위하여 창문이나 문 등을 통해 내부에서 외부로 방출되는 현상을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그러나 무선기기 중에는 업무용 무전기와 같이 운용 시 신고가 필요한 기기들이 존재하므로 이러한 기기들의 측정을 위해서는 전자파가 외부로 방출되는 현상은 표현되나 실제로는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실제 유리나 나무 등과 같은 재질을 사용할 경우 내부에서 외부로 방출되는 전자파 전파 현상을 표현하는 것은 가능하나 외부 전자파 환경과는 격리될 수 없으므로 본 발명은 측정시설에 있어 가장 기본이 되는 건물외벽에 쉴드 룸(Shield room)을 사용함으로써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는 전자파 및 측정 시 측정기기에 의해 내부에서 외부로 방출되는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구현한다. 더불어 출입문과 유리창 부분에 전자파 흡수체를 활용함으로써 공간 내부에서 전자파 소스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파가 출입문과 유리창을 통해 방출되는 현상을 구현하여 전술한 필요성에 따라 실제 우리가 생활하고 있는 공간의 전자파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는 전자파 및 내부에서 외부로 방출되는 전자파를 차단시키기 위하여 전체적인 건물 외벽은 쉴드 룸(Shield room)으로 구성되며, 동시에 출입문과 유리창 부분에 전자파 흡수체를 활용함으로써 공간 내부에서 전자파 발생원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파가 출입문과 유리창을 통해 방출되는 현 상을 구현하여 전술한 필요성에 따라 실제 실내 공간과 같은 전자파 환경을 구축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과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결과 검증을 위한 시뮬레이션을 목적으로 설계된 구조체의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정면도와 측면도는 건물의 외측에서 바라본 형태를 의미하며, 정면도는 y축 방향에서 한 벽면을 바라본 형상이고, 측면도는 x축 방향에서 다른 한 벽을 바라본 형상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구조체는 육면체로 구성되며, y 축에서 바라본 도시되지 않은 후면의 벽면과 x 축에서 바라본 도시되지 않은 후면의 벽면은 같은 크기를 가진다고 가정한다.
또한 구조체의 전체적인 크기는 도 1a에 표시된 좌표계 x * y * z 축을 중심으로 6.2 * 4.2 * 3
Figure 112009075144521-pat00001
의 이다. 이때 도에 표시된 크기의 단위는 mm이다. 구조체의 크기 중 외부벽(110)과 내부벽(120)의 공간은 0.2m로 가정한다. 즉 실제 내부 공간은 5.8 * 3.8 * 2.6
Figure 112009075144521-pat00002
이 되며 z축은 건물의 높이이다. 또한 도 1b에서도 외부벽(130)과 내부벽(140)의 공간은 0.2m로 가정한다.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결과 검증을 위한 시뮬레이션을 목적으로 설계된 실제 사무실 구조체의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전체적인 크기는 도 1의 구조체와 동일하도록 좌표계 x * y * z 축을 중심으로 6.2 * 4.2 * 3
Figure 112009075144521-pat00003
로 설계되었다. 이때 도에 표시된 크기의 단위는 mm이다. 구조체의 크기 중 외부벽(110)과 내부벽(120)의 공간은 0.2m로 가정한다. 즉 실제 내부 공간은 5.8 * 3.8 * 2.6
Figure 112009075144521-pat00004
이 되며 z축은 건물의 높이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파 흡수체를 이용하여 건물 외벽에 위치하고 있는 유리창(213, 214)이나 출입문에 의한 건물 내부의 전자파 필드 분포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건물 외벽은 출입문(215)과 출입문 벽 쪽으로 내부 창문(214), 출입문 반대편 쪽의 외부 창문(213)이 위치하는 구조로 설계되었다. 도 2b에서는 본 발명의 구조체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출입문(225), 내부창문(224), 외부창문(223)은 도 1a의 출입문(215), 내부창문(214), 외부창문(215)와 대응한다. 도 1a 및 도 1b와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구조체는 PEC로 제작되는 쉴드 룸(Shield room)을 간소화하여 설계한 것으로 내부 및 벽면에는 일체의 시설이나 구조물이 존재하지 않으며 그 구조체의 재질은 완전도체(Perfect Conductor : 이하 "PEC"라 칭함)이다. PEC는 이상적인 가상도체를 말하며 본 발명에서 실제 재질에 의한 손실 등의 영향을 줄여 해석을 좀 더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결과 검증을 위한 시뮬레이션을 목적으로 설계된 사무실 구조에서 세부구조물 중 내부창문의 구성도이다. 내부창문은 3개로 구성된 유리창과 이들을 연결하는 창틀로 구성되며, 창의 전체적인 크기는 2890 * 850m이다. 또한 내부창문은 중앙에 930 * 850의 크기를 가지는 유리창과 대칭적으로 구성된 920 * 850의 크기를 가지는 두 개의 유리창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결과 검증을 위한 시뮬레이션을 목적으로 설계된 사무실 구조에서 세부구조물 중 외부창문의 구성도이다. 외부 유리창은 각 구조물의 크기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1230 * 2560의 크기인 유리창 2개와 200 * 565의 크기인 8개의 유리창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창문구조에 있어서 창 부분의 재질은 유리로 상대유전율은 4.82, 상대투자율은 1로 설계되었으며, 창틀 부분은 상대유전율 1, 상대투자율 1, 전기전도도 3.82 * 107의 크기를 갖는 알루미늄 재질로 설계되었다.
도 3c는 본 발명에 대한 결과 검증을 위한 시뮬레이션을 목적으로 설계된 사무실 구조에서 세부구조물 중 출입문에 대한 측면도와 정면도이다. 각 구조물의 크기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950 * 1950 크기의 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대유전율 4, 상대투자율 1의 크기를 갖는 나무의 재질로 설계되었다. 문틀 부분은 창틀과 동일한 알루미늄 재질로 설계되었다.
도 4는 이론적 배경이 되는 방정식에 대한 해의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전자파 흡수체 배면에 금속판이 위치하고 있는 단층형 전자파 흡수체를 설계하기 위한 방정식은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112009075144521-pat00005
이때 d는 흡수체의 두께,
Figure 112009075144521-pat00006
는 진공 중에서 전자파의 파장을 나타낸다. 위의 식을 만족시키는 경우 임피던스 정합이 이루어졌다고 하며, 어떠한 물질에서 유전유을
Figure 112009075144521-pat00007
, 투자율을
Figure 112009075144521-pat00008
이라고 하였을 경우 임피던스 정합이 이루어졌을 때의 주파수를 정합 주파수를
Figure 112009075144521-pat00009
이라 하고, 두께를 정합두께
Figure 112009075144521-pat00010
라 한다. 투자율을
Figure 112009075144521-pat00011
라 할 경우
Figure 112009075144521-pat00012
이 1이라 했을 때 위의 방정식에 의해 나타나는
Figure 112009075144521-pat00013
Figure 112009075144521-pat00014
,
Figure 112009075144521-pat00015
Figure 112009075144521-pat00016
간의 상관관계는 도 4와 같다.
도 4에 도시한 시뮬레이션 그래프를 이용하여 각각의 재질에 대한 전자파 흡수체 두께를 결정하였으며, 이때의 정합주파수는 0.138 GHz를 사용하였다. 이렇게 해서 계산된 각 재질에 대한 흡수체의 두께는 상대유전율 4.82 일 때의 유리가 약 192 mm, 상대유전율 4 인 나무 재질은 약 181 mm였다. 상대유전율이 1일 때의 알루미늄의 흡수체 두께는 약 18 mm로 계산하여 시뮬레이션 시 흡수체에 적용하였다.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내용을 적용한 것으로 각 창문과 출입문, 각 문틀 부분을 전자파 흡수체로 설계한 구조체에 대한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전체적인 크기는 도 1a, 도 1b, 도 2a, 도 2b의 구조체와 동일하도록 좌표계 x * y * z 축을 중심으로 6.2 * 4.2 * 3
Figure 112009075144521-pat00017
로 설계되었다. 구조물의 외부창문(513), 내부창문(514), 출입문(515)는 도 2의 외부창문(213), 내부창문(214), 출입문(215)과 대응한다. 이러한 크기는 0.2m로 가정한 양쪽 옆의 외부 벽면을 포함한 크기이며, z축은 건물의 높이이다. 건물 외벽은 쉴드 룸(Shield room)을 이용하므로 PEC 박스 형태로 설계되며, 벽면에 위치하고 있는 출입문, 내부 창문, 외부 창문은 도 2a 및 도 2b의 각 구조물들의 위치에 대신 전자파 흡수체를 이용하여 설계되었다. 이 때 쉴드 룸(Shield room)을 이용함으로써 측정시 내부에서 외부로 방출되는 전자파와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는 전자파를 각각 차단할 수 있으며 전자파 흡수체는 내부에서 외부로 방출되는 전자파 필드 분포를 나타냄과 동시에 외부로 방출되는 전자파로 인하여 변화하는 건물 내부의 전자파 필드 분포를 형성할 수 있다.
도 6a 내지 6c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전자파 흡수체를 이용한 각각의 세부구조물들에 대한 구현도이다. 각 구조물의 크기는 도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각각의 창문구조에 있어서 창 부분 상대유전율은 4.82, 상대투자율은 1, 두께 192 mm의 흡수체로 설계 되었으며, 창틀 부분은 상대유전율 1, 상대투자율 1, 두께 18 mm의 흡수체로 설계되었다. 또한 문의 경우 상대유전율 4, 상대투자율 1, 두께 181 mm의 흡수체를 이용하였으며, 문틀의 경우 창틀과 동일한 흡수체를 이용하여 설계하였다. 도 6a 내지 도 6c에서의 흡수체는 도 3a 및 도 3c에 대응하는 크기로 구현된다. 실제 건물에서 창틀 내지는 문틀의 경우 도전율을 갖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 창틀이나 문틀과 같은 도전체 구조를 구현함에 있어서 틀 부분에 해당하는 흡수체의 두께를 달리하여 Shield room 재질인 PEC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해당 도전체에 의한 전자파 분포현상을 구현할 수 있다.
도 7은 도 1a 및 도 1b에 제시된 구조에서의 전기장 필드 분포 결과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전자파 발생원의 위치는 공간 내 중앙이며, 시뮬레이션에 사용된 주파수는 138 MHz, 입력전압은 1 W이다. PEC로 구성된 박스 형태이므로 외부로 방출되는 전기장은 존재하지 않으며, 중앙에서 퍼져나간 전기장은 벽면에서 반사된 전기장에 의해 도 7과 같은 전기장 필드 분포 결과를 보인다. 이처럼 창문 및 출입문 등의 구조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의 전기장 필드는 그 분포 양상에 있어 거의 흐트러짐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자기장의 경우 외부로 방출되는 자기장은 존재하지 않으며, 중앙에서 퍼져나간 자기장은 벽면에서 반사된 자기장에 의해 내부에서 다소 강한 자계세기가 형성되었다.
도 8은 도 2에 제시된 구조에서의전기장 필드 분포 결과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전자파 발생원의 위치는 공간 내 중앙이며, 시뮬레이션에 사용된 주파수는 138 MHz, 입력전압은 1 W이다. 건물외벽은 PEC로 구성된 박스형태이므로 벽면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전기장은 존재하지 않으나 창문과 출입문을 통해 방출되는 전기장의 분포를 확연히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방출되는 전기장으로 인하여 각각의 창문과 출입문 위치에서 다소 높은 전계세기가 나타남을 알 수 있으며, 또한 구조물을 통과하여 방출되는 전기장으로 인하여 내부의 전기장 필드 분포 및 흐름의 양상이 도 7과는 다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창문이나 출입문에 의하여 실내 전자파 환경이 변화하게 되므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바와 같은 방법이 요구된다. 자기장의 경우 또한 건물외벽은 PEC로 구성된 박스 형태이므로 벽면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자기장은 존재하지 않으나 창문과 출입문을 통해 자기장이 방출되고, 이렇게 방출되는 자기장으로 인하여 각각의 창문과 출입문 특히 창틀이나 문틀의 가장자리에서 높은 자계가 형성된다.
도 9는 도 3에 제시된 본 발명이 적용된 구조에서의 전기장 필드 분포 결과를 나타내는 그림을 도시한 것이다. 다른 시뮬레이션과 마찬가지로 전자파 발생원의 위치는 공간 내 중앙이며, 시뮬레이션에 사용된 주파수는 138 MHz, 입력전압은 1 W이다. PEC 박스와 같은 형태의 외벽에 창문, 출입문 등의 구조물을 나타내는 전자파 흡수체가 존재하지만 모든 경우에 있어 흡수체의 두께는 200 mm 이하이므로 흡수체 배면에 PEC가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므로 건물 내부에서 발생한 전자파는 외부로 방출되지 않으며, 전자파 흡수체를 이용하여 구조물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현상을 구현할 수 있다. 특히 도 8의 결과와 같이 각각의 창문과 출입문의 위치에서 다소 높은 전계세기를 보이며, 전자파 흡수체로 인하여 변화된 내부의 전기장 필드 분포 및 흐름의 양상이 도 2의 구조에 의한 결과인 도 8과 유사함을 확인할 수 있다. 자기장의 경우에도 흡수체를 이용하여 구조물을 표현함으로써 구조체 내부의 자계세기를 도 8의 경우와 유사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창문과 출입문, 특히 창틀, 문틀 가장자리에서의 높은 자계형성이 구현 가능하다.
본 구성에 따른 측정시설은 인공잡음(artificial noise)의 영향, 날씨의 영향, 설치 비용이 큰 야외시험장(Open Area Test Site)이나 큰 설치 공간과 많은 시설유지 비용을 필요로 하는 전자파 무반사실(full/semi anechoic chamber)에 비하여 외부에서 유입되는 전자파 영향 없이 더욱 축소된 공간 내에서 실재 실내 공간과 같은 환경에서의 전자파 양립성 측정이 가능하다. 또한 전자파 흡수체를 이용한 구조물의 구축은 유리창이나 문 등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전자파 분포를 구현하는 한편 쉴드 룸(Shield room)을 이용함으로써 실제 외부로는 전자파를 방출시키지 않으므로 설계된 시설 내에서는 사용시 허가가 필요한 무선기기 외에도 주파수에 상관없이 다양한 기기에 대한 측정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a과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결과 검증을 위한 시뮬레이션을 목적으로 설계된 구조체의 정면도와 측면도,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결과 검증을 위한 시뮬레이션을 목적으로 설계된 실제 사무실 구조체의 정면도와 측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결과 검증을 위한 시뮬레이션을 목적으로 설계된 사무실 구조에서 세부구조물 중 내부창문의 구성도,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결과 검증을 위한 시뮬레이션을 목적으로 설계된 사무실 구조에서 세부구조물 중 외부창문의 구성도,
도 3c는 본 발명에 대한 결과 검증을 위한 시뮬레이션을 목적으로 설계된 사무실 구조에서 세부구조물 중 출입문에 대한 측면도와 정면도,
도 4는 이론적 배경이 되는 방정식에 대한 해의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내용을 적용한 것으로 각 창문과 출입문, 각 문틀 부분을 전자파 흡수체로 설계한 구조체에 대한 정면도와 측면도
도 6a 내지 6c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전자파 흡수체를 이용한 각각의 세부구조물들에 대한 구현도
도 7은 도 1a 및 도 1b에 제시된 구조에서의 전기장 필드 분포 결과를 나타내는 그림
도 8은 도 2에 제시된 구조에서의전기장 필드 분포 결과를 나타내는 그림
도 9는 도 3에 제시된 본 발명이 적용된 구조에서의 전기장 필드 분포 결과를 나타내는 그림.

Claims (8)

  1. 실내 환경에서 전자파의 전파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환경을 재현하기 위한 실내 공간과 동일한 형상의 구조체를 제작하는 과정;
    상기 실내 공간에 포함되어 있는 창문들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미리 결정된 유전율을 갖는 제1흡수체를 상기 제작된 구조체에 부착하는 과정;
    상기 실내 공간에 포함되어 있는 출입문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미리 결정된 유전율을 갖는 제2흡수체를 상기 제작된 구조체에 부착하는 과정; 및
    상기 제작된 구조체 내부에서 미리 결정된 전자파를 방사하여 측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1흡수체의 두께는, 상기 전자파의 파장과 상기 제1흡수체의 유전율 및 상기 제1흡수체의 투자율 간에 임피던스 정합을 이루도록 결정되며;
    상기 제2흡수체의 두께는, 상기 전자파의 파장과 상기 제2흡수체의 유전율 및 상기 제2흡수체의 투자율 간에 임피던스 정합을 이루도록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에서 전자파 특성 측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는,
    실드룸 형태의 외벽과 상기 실내 환경이 구현된 내벽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에서 전자파 특성 측정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흡수체는,
    창문 흡수체 및 창틀 흡수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에서 전자파 특성 측정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창문 흡수체와 상기 창틀 흡수체는 두께를 다르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에서 전자파 특성 측정 방법.
  5. 실내 환경에서 전자파의 전파 특성을 측정하기 구조체 제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환경을 재현하기 위한 실내 공간과 동일한 형상의 구조체를 제작하는 과정;
    상기 실내 공간에 포함되어 있는 창문들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미리 결정된 유전율과 같은 유전율을 갖는 제1흡수체를 상기 제작된 구조체에 부착하는 과정; 및
    상기 실내 공간에 포함되어 있는 출입문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미리 결정된 유전율을 갖는 제2흡수체를 상기 제작된 구조체에 부착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1흡수체의 두께는, 상기 전자파의 파장과 상기 제1흡수체의 유전율 및 상기 제1흡수체의 투자율 간에 임피던스 정합을 이루도록 결정되며;
    상기 제2흡수체의 두께는, 상기 전자파의 파장과 상기 제2흡수체의 유전율 및 상기 제2흡수체의 투자율 간에 임피던스 정합을 이루도록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에서 전파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구조체 제작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는,
    실드룸 형태의 외벽과 상기 실내 환경이 구현된 내벽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에서 전파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구조체 제작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흡수체는,
    창문 흡수체 및 틀 흡수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에서 전파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구조체 제작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창문 흡수체와 상기 틀 흡수체는 두께를 다르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에서 전파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구조체 제작 방법.
KR1020090120018A 2009-12-04 2009-12-04 실내 공간의 전자파 환경 재현 방법 KR101205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018A KR101205718B1 (ko) 2009-12-04 2009-12-04 실내 공간의 전자파 환경 재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018A KR101205718B1 (ko) 2009-12-04 2009-12-04 실내 공간의 전자파 환경 재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3079A KR20110063079A (ko) 2011-06-10
KR101205718B1 true KR101205718B1 (ko) 2012-11-28

Family

ID=44397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0018A KR101205718B1 (ko) 2009-12-04 2009-12-04 실내 공간의 전자파 환경 재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57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4131B1 (ko) 2016-03-15 2017-06-20 주식회사 담스테크 가상공간에서의 전자파 무반향실 설계 및 평가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2659B1 (ko) 1997-08-12 1999-10-01 서정욱 안테나 성능측정 및 전자파장해 측정 겸용 전자파 무반사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2659B1 (ko) 1997-08-12 1999-10-01 서정욱 안테나 성능측정 및 전자파장해 측정 겸용 전자파 무반사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4131B1 (ko) 2016-03-15 2017-06-20 주식회사 담스테크 가상공간에서의 전자파 무반향실 설계 및 평가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3079A (ko) 2011-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arwish et al. On the electromagnetic wave behavior due to partial discharge in gas insulated switchgears: State-of-art review
Hashemi et al. Room shielding with frequency-selective surfaces for electromagnetic health application
CN109581096A (zh) 屏蔽室下金属屏蔽材料屏蔽效能分析模型及其测量方法
Kwon et al. Improving shielding effectiveness of enclosure with apertures using absorbers
Qasem et al. Indoor band pass frequency selective wall paper equivalent circuit & ways to enhance wireless signal
KR101205718B1 (ko) 실내 공간의 전자파 환경 재현 방법
Koledintseva et al. Attenuation in extended structures coated with thin magneto-dielectric absorber layer
Lee et al. Measurements of window penetration loss and building entry loss from 3.5 to 24 GHz
Tsyanenka et al. Worst-case model for considering gaskets in calculation of shielding effectiveness of metallic enclosures
Gifuni et al. On the shielding effectiveness calculation of enclosures through measurements in reverberation chambers
Mao et al. Propagation modes and temporal variations along a lift shaft in UHF band
KR101134202B1 (ko) 페라이트 공진기를 구비한 전파무향실
Park et al. Improvement of low-frequency magnetic shielding measurement using rhombic and long rectangular loop antennas
Krzysztofik et al. Some Consideration on Shielding Effectiveness Testing by Means of the Nested Reverberation Chambers.
KR101333807B1 (ko) 실내 공간의 전자파 환경 재현 시설 및 그 구축 방법
Lee et al. Frequency selective surface design for blinds applications
KR20230031521A (ko) 품질 계수 조절이 가능한 전자파 평가 장치
Kotwal et al. Modelling and Analysis of Gigahertz Transverse Electromagnetic Mode (GTEM) Cell
Ishiyama et al. Non-contact PIM measurement of dielectric wave absorbers by using a metallic resonator
Gifuni et al. Measurements on the Reflectivity of materials in a reverberating chamber
JP2000286588A (ja) 連装型電波暗室
Basyigit et al. Electrical shielding effectiveness of metallic enclosures; effect of source orientation and aperture dimension
Wang A uniform path-loss model by power balance theory (PBT) and its application on tunnels
Adeogun On Propagation Graph Model for Industrial UWB Channels
Vitucci et al. Ray tracing simulation of the radio channel time-and angle-dispersion in large indoor environ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