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5400B1 - 스크린부에 부착된 협잡물의 제거와 제거된 협잡물의 배출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협잡물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린부에 부착된 협잡물의 제거와 제거된 협잡물의 배출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협잡물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5400B1
KR101205400B1 KR1020100108736A KR20100108736A KR101205400B1 KR 101205400 B1 KR101205400 B1 KR 101205400B1 KR 1020100108736 A KR1020100108736 A KR 1020100108736A KR 20100108736 A KR20100108736 A KR 20100108736A KR 101205400 B1 KR101205400 B1 KR 101205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water
screen
treatment tank
supply pipe
contamina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8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7069A (ko
Inventor
김성윤
Original Assignee
유네코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네코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네코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8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5400B1/ko
Publication of KR20120047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70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5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5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4Maintenance of water treatment installa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협잡물 제거장치는 스크린부에 부착된 협잡물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고, 처리조의 하부 및 스크린부의 하부에 침전 및 포집되거나 쌓인 협잡물을 자동으로 외부로 배출할 수 있기 때문에 장치의 유지관리가 편리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Description

스크린부에 부착된 협잡물의 제거와 제거된 협잡물의 배출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협잡물 제거장치{Apparatus for removing adulteration attached to screen part automatically and discharging the removed adulteration automatically}
본 발명은 협잡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원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스크린부에 부착된 협잡물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고, 제거된 협잡물 및 스크린부에 의해 걸러진 협잡물을 자동으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협잡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뇨, 하수, 축산 폐수 등과 같은 원수에는 토사, 각종 씨앗, 금속, 목재, 종이, 플라스틱, 모발, 동물의 털, 짚, 기타 유?무기성 고형분 등(이하, '협잡물'이라 함)이 포함되어 있는데, 원수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원수로부터 협잡물을 제거해야 한다.
원수로부터 상기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원수가 스크린부를 통과하도록 하여 협잡물을 걸러낸다. 도 1은 이러한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를 보여준다. 상기 장치(10)는 펌프(P)의 흡입력을 이용하여 원수를 처리조(2) 내부로 흡입하고, 흡입된 원수가 처리조(2)의 내부에 설치된 스크린부(4)를 통과한 후 후단으로 출수되도록 함으로써 원수에 포함된 협잡물은 스크린부(4)에 의해 걸러지고 물은 스크린부(4)를 통과하여 후단으로 출수되도록 한다. 이 때, 원수는 처리조(2)의 상부로 유입된 후 하부를 통하여 외부로 출수되기 때문에 원수는 처리조(2)의 상부에서 하부로 흐른다. 도면의 참조부호 6은 처리조(2)로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관을 나타내고 7은 처리조(2)로부터 원수가 출수되는 출수관을 나타낸다.
상기 스크린부(4)에 의해 걸러진 협잡물은 스크린부(4)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중력에 의해서 스크린부(4)의 내부 바닥(4a)에 침전된다. 이러한 협잡물은 주기적으로 제거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처리조(2)의 덮개(3)를 열고 스크린부(4)를 바깥으로 들어낸 후, 스크린부(4)를 청소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장치(10)는 유지관리가 어렵고 청소작업에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원수 중에는 인(P)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인(P)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원수에 응집제를 혼합해야 한다. 따라서, 응집제를 원수에 효과적으로 혼합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스크린부에 의해서 걸러진 협잡물을 자동적으로 제거, 배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유지관리가 편리한 협잡물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수에 응집제를 효과적으로 혼합할 수 있는, 협잡물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수에 응집제를 주입한 후, 급속교반과 완속교반 및 정류상태의 흐름이 순차적으로 일어나도록 함으로써 플록이 효과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협잡물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협잡물 제거와 상기 플록형성을 하나의 장치가 수행할 수 있음에도 그 크기가 컴팩트하고 별도의 동력원이 필요하지 않은, 협잡물 제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여 고장이 거의 발생하지 않고 제조가 용이하며 제조비용이 저렴한, 협잡물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협잡물 제거장치는, 처리조; 처리조의 내부에 설치되어 원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걸러내는 스크린부; 및, 상기 원수를 스크린부의 내부로 공급하는 원수공급관;을 포함한다. 원수공급관을 통해서 유입된 원수에 포함된 협잡물은 스크린부에 의해 걸러지고 협잡물이 제거된 원수는 스크린부를 통과한 후 처리조의 상부를 통해서 배출되며, 스크린부에 의해 걸러진 협잡물은 아래로 유동된 후 스크린부의 하부에 설치된 협잡물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선택적으로 배출된다.
상기 협잡물 제거장치는 처리조의 하부에 설치되어 처리조의 하부 바닥에 침전된 오염물을 외부로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오염물 배출관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원수공급관은 처리조의 하부를 관통하여 스크린부의 내부로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그 끝단과 마주보는 곳에 바운딩판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스크린부는 상기 바운딩판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일체로 설치된다. 이로써 원수공급관으로부터 유입된 원수는 바운딩판에 부딪친 후 아래로 유동하면서 원형 또는 원호 형상의 흐름을 형성하여 협잡물은 스크린부에 의해 걸러지고 스크린부에 부착된 협잡물도 상기 흐름에 의해서 스크린부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원수공급관의 끝단과 마주보는 바운딩판의 아랫면은 중앙에서부터 테두리를 향하여 하향경사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협잡물 제거장치는 스크린부의 하부에 설치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센서는 스크린부의 내부에 포집되거나 쌓인 협잡물의 양에 따라 압력을 측정하고 측정된 압력에 따라 협잡물 배출관에 개재된 밸브의 개폐가 조절되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 스크린부는 타공판 및 스트레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타공판에는 소정 크기의 제1 관통홀이 형성되며, 원수의 흐름에 의해서 변형되지 않을 정도의 강성을 가진다. 이 때, 스트레나는 상기 타공판의 내면에 밀착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스트레나에는 제2 관통홀이 형성된다. 제2 관통홀은 제1 관통홀 보다 그 크기가 작다. 원수가 제2 관통홀과 제1 관통홀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스크린부의 외부로 유동되는 동안에 협잡물이 걸러진다.
한편, 상기 협잡물 제거장치는 원수공급관으로 유동하는 원수에 응집제를 주입하고 이를 혼합하기 위한 응집제 혼합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응집제 혼합수단은, 원수 공급관의 경로상에 개재된 응집제 혼합용관; 및, 소정 크기의 통공이 형성되고 응집제 혼합용관의 내부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응집제 혼합용관의 유로 단면적을 변화시키는 버플 플레이트;를 구비한다. 더불어, 상기 응집제 혼합용관의 일측에는 응집제를 주입하기 위한 응집제 주입부재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응집제 혼합용관으로 유동하는 원수는 상기 주입부재를 통해 주입된 응집제와 상기 통공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급속하게 교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인 협잡물 제거방법은, (a) 처리조와, 처리조의 내부에 설치되어 원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걸러내는 스크린부 및, 스크린부의 내부로 상기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공급관을 구비하는 장치를 준비하는 단계; (b) 원수공급관을 통하여 원수가 스크린부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단계; (c) 스크린부의 내부에서 원수의 흐름에 따라 원수에 포함된 상기 협잡물이 스크린부에 의해 걸러지도록 하고, 걸러진 협잡물은 아래로 유동하여 스크린부의 하부에 쌓이도록 하며, 스크린부를 통과한 원수는 처리조의 상부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단계; 및, (d) 스크린부의 하부에 연결된 협잡물 배출관을 개방하여 스크린부의 하부에 쌓인 협잡물은 협잡물 배출관에 개재된 밸브를 개방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협잡물 제거방법은 처리조의 하부 바닥에 침전된 오염물을 오염물 배출관에 개재된 밸브를 개방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스크린부의 상단에는 바운딩판이 설치되며, 이 경우에, 상기 (c) 단계는 원수공급관으로부터 유입된 원수가 바운딩판에 부딪치도록 함으로써 스크린부의 내부에서 원형 또는 원호형상의 원수 흐름이 발생되고, 상기 흐름에 따라 원수에 포함된 협잡물이 스크린부에 의해 걸러지도록 하며 스크린부에 부착된 협잡물도 스크린부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
상기 (b) 단계는 원수공급관의 경로상에 개재된 응집제 혼합용관에 응집제를 주입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주입은 상기 응집제와 원수의 혼합을 촉진하기 위해서 유로단면적을 변화시키는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수공급관은 처리조의 하부를 관통하여 스크린부의 내부로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스크린부를 통과하여 협잡물이 제거된 원수는 처리조의 상부로 유동된 후 외부로 배출되되, 상기 유동은 정류상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협잡물 제거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스크린부에 부착된 협잡물을 자동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린부로부터 제거된 협잡물과, 스크린부의 하부(또는 바닥)에 포집되거나 쌓인 협잡물 및, 처리조의 하부(또는 바닥)에 침전된 오염물을 자동으로 외부로 배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유지관리가 편리하고 유지비용이 작게 소요된다.
둘째, 원수에 응집제를 효과적으로 혼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완속교반 또는 혼화조 등의 후속공정과 연계하여 응집반응을 더욱 촉진할 수 있다.
셋째, 원수에 응집제를 주입한 후, 급속교반과 완속교반 및 정류상태의 흐름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플록이 효과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넷째, 원수로부터의 협잡물 제거 및 플록형성을 하나의 장치가 수행할 수 있음에도 그 크기가 컴팩트하고 별도의 동력원이 필요하지 않다.
다섯째, 그 구조가 간단하여 고장이 거의 발생하지 않고, 제조가 용이하며, 제조비용이 저렴하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협잡물 제거장치의 주요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협잡물 제거장치의 주요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 부분의 확대도.
도 4는 도 2의 스크린부에 구비된 타공판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5는 도 2의 스크린부에 구비된 스트레나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6은 도 2의 B 부분의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협잡물 제거장치의 주요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8은 도 7의 협잡물 제거장치에 구비된 응집제 혼합수단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9는 도 8의 응집제 혼합수단에 구비된 버플 플레이트 및 연결바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원수를 처리조의 하부를 관통하여 스크린부의 내부로 연장된 원수공급관을 통해 공급하고 협잡물이 제거된 원수는 처리조의 상부에 개재된 유출관을 통해 배출한다는 특징을 가진다. 이에 따라, 스크린부의 내부에서 원수가 유동하는 동안에 협잡물은 스크린부에 의해서 걸러지고(포집되고) 물은 스크린부의 외부로 출수된다. 이 때, 원수의 상기 유동에 의해 스크린부에 부착된 협잡물이 제거되어 스크린부의 하부(바닥)에 쌓이게 되는데, 이렇게 쌓인 협잡물은 협잡물 배출관을 통해서 자동으로 배출될 수 있다. 즉, 협잡물 배출관에 개재된 밸브를 개방함으로써 협잡물의 배출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협잡물 제거장치의 주요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협잡물 제거장치(100)는 처리조(10)와, 처리조(10)의 내부에 설치된 스크린부(20) 및, 스크린부(20)의 내부로 수를 공급하는 원수공급관(30)을 포함한다.
처리조(10)는 원통형상을 가지는데, 그 내부에는 원수가 수용되고 스크린부(20)가 설치되는 내부공간을 가진다. 처리조(10)에는 원수공급관(30), 유출관(11) 및, 오염물 배출관(12)이 각각 연결된다.
유출관(11)은 협잡물이 제거된 원수가 배출되는 관으로서, 처리조(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염물 배출관(12)은 처리조의 하부(또는 바닥)에 침전된 오염물이 배출되는 관으로서, 처리조(10)의 하부에 설치된다. 상기 오염물 배출관(12)에는 밸브(13), 바람직하게는 전동 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밸브(13)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된다. 상기 오염물은 스크린부(20)를 통과한 원수에 포함된 오염물로서, 중력에 의해서 처리조(10)의 바닥에 침전된 물질을 뜻한다.
한편, 오염물 배출관(12)을 통하여 오염물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처리조(10)의 바닥은 오염물 배출관(12)을 향하여 하향 경사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크린부(20)는 원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걸러내기 위해서 처리조(10)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스크린부(20)는 지지부재(28)에 의해서 그 바닥(23)이 처리조(10)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재(28)는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부(20)와 연결된 바닥(23)을 지지하는 부재로서, 상기 바닥(23)과 처리조(10)의 바닥 사이의 공간을 통해서 오염물이 오염물 배출관(12)으로 유동될 수 있다.
스크린부(20)의 하부, 바람직하게는 스크린부(20)의 바닥(23)에는 협잡물 배출관(24)이 연결된다. 상기 바닥(23)에 포집되거나 쌓인 협잡물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바닥(23)은 협잡물 배출관(24)을 향해 하향 경사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원수공급관(30)에는 원수를 공급하기 위한 펌프(P) 및 밸브(32)가 마련되며, 원수공급관(30)은 처리조(10) 하부를 관통하여 스크린부(20)의 내부로 연장된 후 상측으로 굴곡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원수공급관(30)의 끝단이 바운딩판(40)을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협잡물 배출관(24)에는 협잡물의 배출을 조절하는 밸브(29), 바람직하게는 전동 밸브가 설치된다. 상기 밸브(29)는 센서(14)의 신호에 따라 개폐될 수도 있는데, 센서(14)는 스크린부(20)의 내부에 포집되거나 하부 바닥에 쌓인 협잡물의 양에 따라 압력을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미도시)에 전달하고, 제어부는 상기 신호가 미리 정해진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밸브(29)를 개방하여 협잡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한다.
협잡물의 배출을 조절하기 위해서 포집되거나 쌓인 협잡물의 양에 따라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14)가 사용될 수도 있지만, 협잡물의 높이나 농도를 감지하는 센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런 센서는 시중에서 용이하게 구입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스크린부(20)의 상단에는 바운딩판(40)이 설치될 수 있다. 바운딩판(40)은 원수공급관(30)의 끝단과 마주보도록 설치되고, 스크린부(20)는 바운딩판(40)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일체로 설치된다.
바운딩판(40)은 그 아랫면이 중앙에서부터 테두리를 향하여 하향경사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바운딩판(40)의 아랫면은 '⌒'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것은 바운딩판(40)에 부딪친 원수가 원형 또는 원호 형상의 흐름을 형성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도 2에서 점선으로된 화살표는 스크린부(20) 내부에서의 상기 흐름을 나타낸다.
상기 펌프(P)의 구동에 따라 원수공급관(30)으로부터 유입된 원수는 바운딩판(40)에 부딪친 후 아래로 유동(반류수력)하면서 원형 또는 원호 형상의 흐름을 형성하는데, 상기 흐름에 따라 협잡물이 스크린부(20)에 의해 걸러지고(포집되고) 스크린부(20)에 부착되어 있던 협잡물도 스크린부(20)로부터 분리되어 스크린부(20)의 하부 바닥(23)에 쌓이게 된다.
바람직하게, 스크린부(20)는 타공판(21) 및, 타공판(21)의 내면에 밀착 상태로 설치된 스트레나(25)를 포함한다. 원통형상으로 말은 타공판(21) 내측에 스크레나(25)를 내접 밀착한 다음, 상하 및 양 끝단을 용접하거나 볼트(27) 등으로 체결하여 스크린부(20)를 만든다.
상기 타공판(21)은 원수의 흐름에 의해서 변형되지 않을 정도의 강성을 가진 판으로서, 타공판(21)에는 소정 크기 예를 들어, 직경 10mm 정도의 제1 관통홀(22)이 복수 개 형성되어 있다.
스트레나(25)는 제2 관통홀(26)이 복수 개 형성된 메쉬망이다. 제2 관통홀(26)은 제1 관통홀(22) 보다 작은 크기 예를 들어, 직경 40㎛~250㎛를 가진다. 원수가 제2 관통홀(26)과 제1 관통홀(22)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동안에 제2 관통홀(26) 보다 큰 협잡물은 스크린부(20)에 의해 걸러진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협잡물 제거장치의 주요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장치(200)는 처리조(110)와, 처리조(110)의 내부에 설치된 스크린부(120)와, 스크린부(120)의 내부로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공급관(130) 및, 원수공급관(130)의 경로상에 개재된 응집제 혼합용관(151)에 응집제를 주입하고 이를 혼합하기 위한 응집제 혼합수단(150)을 구비한다. 도 7의 참조부호 중에서 도 2 내지 도 6의 참조부호와 동일한 것은 동일한 역할을 하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상기 장치(200)는 응집제를 주입하고 이를 혼합하기 위한 응집제 혼합수단(150)이 구비되며, 제1 실시예에 비하여 처리조(110)의 직경 및 높이는 크고 스크린부(120)의 높이는 낮다는 특징을 가진다. 이에 따라 응집제 혼합수단(150)에 의해서 급속교반된 혼합수(원수와 응집제가 혼합된 것)는 스크린부(120)의 내부에서 완속교반된 후 스크린부(120)로부터 출수된 다음, 처리조(110)의 상부에 개재된 유출관(11)쪽으로 정류상태로 흐르면서 플록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급속교반, 완속교반 및 정류상태의 흐름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면 플록이 효과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정이 하나의 장치에 의해서 이루어지면서도 장치가 컴팩트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처리조(110)는 원통형상을 가지는데, 그 내부에는 혼합수가 수용되고 스크린부(120)가 설치되는 내부공간을 가진다. 처리조(110)에는 원수공급관(130), 유출관(11) 및, 오염물 배출관(12)이 각각 연결된다.
유출관(11)은 협잡물이 제거된 혼합수가 배출되는 관이고, 오염물 배출관(12)은 혼합수에 포함되었다가 침전된 오염물이 배출되는 관이다. 유출관(11)은 제1 실시예의 유출관(11)과 동일하고 오염물 배출관(12)은 제1 실시예의 오염물 배출관(12)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스크린부(120)는 혼합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걸러내기 위해서 처리조(110)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스크린부(120)의 하부, 바람직하게는 바닥(23)에는 협잡물을 배출하는 협잡물 배출관(24)이 설치된다. 상기 바닥(23)은 협잡물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협잡물 배출관(24)을 향해 하향 경사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협잡물 배출관(24)에는 밸브(29)가 설치되는데, 상기 밸브(29)가 센서(14)에 의해서 개폐되는 과정은 제1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크린부(120)는 제1 실시예의 스크린부(20)에 비하여 그 높이는 낮고 직경은 상대적으로 크다. 따라서, 상기 스크린부(120)는 비교적 큰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스크린부(120)의 내부에서는 수류가 완만하여 완속교반이 이루어지고 외부(즉, 바운딩판(40)의 상측 및 스크린부(120)의 외측방향)에서는 혼합수가 정류상태로 흐르게 된다. 그리고, 스크린부(120)의 내부에서는 완만한 완속교반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정류상태는 급속한 흐름의 변화가 없고 완만하게 흘러가는 유체의 흐름을 의미하며, 완속교반은 응집제 혼합수단(150)의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급속교반에 비하여 비교적 완만하게 이루어지는 교반을 의미한다.
상기 스크린부(120)의 상단에는 바운딩판(4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운딩판(40)의 구조는 제1 실시예의 바운딩판(40)과 동일하다. 펌프(P)의 구동에 따라 원수공급관(130) 및 응집제 혼합수단(150)을 통해 유입된 혼합수는 바운딩판(40)에 부딪친 후 아래로 유동(반류수력)하면서 원형 또는 원호(圓弧) 형상의 흐름을 형성하는데, 상기 흐름에 따라 협잡물이 스크린부(120)에 의해 걸러지고(포집되고) 스크린부(120)에 부착되어 있던 협잡물도 스크린부(120)로부터 분리되어 바닥(23)에 쌓이게 된다.
바람직하게, 스크린부(120)는 타공판(21) 및, 타공판(21)의 내면에 밀착상태로 설치된 스트레나(25)를 포함한다. 원통형상으로 말은 타공판(21) 및 스트레나(25)는 제1 실시예의 타공판(21) 및 스트레나(25)와 그 구조가 동일하다.
원수공급관(130) 및 응집제 혼합수단(150)을 통해 원수가 스크린부(120)의 내부로 유입되며, 원수공급관(130)은 처리조(110)의 하부를 관통하여 스크린부(120)의 내부로 연장된 후 그 끝단이 위쪽을 향하도록 굴곡된다. 따라서, 원수공급관(130)의 끝단으로부터 유입된 혼합수는 바운딩판(40)에 부딪친 후 아래로 유동하면서 원형 또는 원호 형상의 흐름을 형성하고, 상기 흐름에 따라 협잡물이 스크린부(120)에 의해 걸러지고(포집되고) 스크린부(120)에 부착되어 있던 협잡물도 스크린부(120)로부터 분리되어 바닥(23)에 쌓이게 된다.
한편, 응집제 혼합수단(150)은 응집제 혼합용관(151)과, 응집제 혼합용관(151)의 내부에 설치된 버플 플레이트(155)를 포함한다. 알려진 바와 같이, 원수에 포함된 인(P)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응집제를 원수에 혼합하여 플록을 형성하여야 한다. 상기 응집제는 원수에 용존 상태로 존재하는 인을 응집시켜서 플록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그 종류와 구성 성분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고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는 물질이다.
응집제 혼합용관(151)은 원수공급관(130)의 경로상에 개재된다. 따라서, 원수공급관(130)으로 유동하는 원수는 응집제 혼합용관(151)을 거쳐 원수 공급관(130)의 끝단을 통해 스크린부(120)의 내부로 유입된다. 바람직하게, 응집제 혼합용관(151)에는 주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주입구를 통해서 응집제가 주입된다.
버플 플레이트(155)는 응집제 혼합용관(151)의 내부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설치된다. 버플 플레이트(155)에는 소정 크기의 통공(156)이 형성된다. 응집제 혼합용관(151)의 내부를 흐르던 원수와 응집제는 통공(156)을 통과하기 때문에 유로 단면적의 차에 따른 유속차가 급격하게 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응집제 혼합용관(151)의 내부에는 점선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은 흐름이 형성되어 급속교반이 이루어져서 응집제와 원수의 혼합이 촉진된다.
복수 개의 버플 플레이트(155)는 연결용 바(157)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용 바(157)는 버플 플레이트(155)의 외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홈에 삽입됨으로써 복수 개의 버플 플레이트(155)를 서로 연결한다. 이에 따라 버플 플레이트(155)의 외측 가장자리가 응집제 혼합용관(151)의 내부면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연결용 바(157)가 복수 개의 버플 플레이트(155)를 서로 연결하기 때문에 응집제 혼합용관(151)의 내부에 설치하기가 편리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주입구에는 주입부재(153)가 설치된다. 상기 주입부재(153)는 응집제 혼합용관(151)의 내부로 연장되도록 설치되되, 그 끝단이 원수의 흐름 방향과는 반대방향 즉, 상류측으로 굴곡되어 있다. 주입부재(153)의 끝단이 상류측으로 굴곡되어 있기 때문에 응집제와 원수의 혼합이 더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장치(200)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의 장치(100)가 작동되는 과정은 상기 장치(200)의 작동과정을 참조하면 당업자가 쉽게 알 수 있기 때문에 장치(100)의 작동과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밸브(32)를 개방하고 펌프(P)를 작동시켜 원수를 공급하며, 주입부재(153)를 통해서 응집제를 응집제 혼합용관(151)에 주입한다. 원수와 응집제는 처리조(110) 쪽으로 흘러가면서 혼합되는데, 이러한 혼합은 유로 단면적이 급격하게 변하기 때문에 더욱 촉진된다. 즉, 응집제 혼합용관(151)에는 복수 개의 버플 플레이트(155)가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원수와 응집제가 버플 플레이트(155)를 통과하는 동안에 유로 단면적의 차에 따른 유속차가 급격하게 변화하여 급속교반이 이루어진다.
상기 급속교반이 이루어진 혼합수는 원수공급관(130)의 끝단을 통하여 스크린부(120)의 내부로 유입된다. 스크린부(120)의 내부로 유입된 혼합수는 바운딩판(40)에 부딪친 후 원형 또는 원호 형상의 흐름을 형성하면서 아래로 유동하고, 이에 따라 혼합수에 포함된 협잡물이 스크린부(120)에 의해서 걸러지고 스크린부(120)에 부착되어 있던 협잡물도 스크린부(120)로부터 분리된다. 스크린부(120)로부터 분리된 협잡물은 중력에 의해서 아래로 유동하여 스크린부(120)의 하부 바닥(23)에 쌓이게 된다. 동시에, 스크린부(120)의 내부에서는 상기 흐름에 의해 완속교반이 이루어진다.
스크린부(120)의 하부에 설치된 센서(14)는 스크린부(120)의 내부에 포집되거나 하부 바닥(23)에 쌓인 협잡물의 양에 따라 압력을 측정한다. 상기 압력이 소정 기준치를 넘어서면 센서(14)가 제어부(미도시)에 그 신호를 전달하고 제어부는 밸브(29)를 개방하여 협잡물을 외부로 배출한다.
한편, 스크린부(120)로부터 출수된 혼합수는 처리조(110)의 상부에 개재된 유출관(11)을 향해서 정류상태의 흐름을 형성하면서 유동된 후 유출관(11)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혼합수에 포함된 인(P)은 플록으로 응집되는데, 정류상태의 흐름은 상기 응집을 촉진하게 된다.
덧붙여, 스크린부(120)를 통과한 혼합수 중에 포함된 오염물 중의 일부는 중력에 의해서 처리조(110)의 바닥에 침전되는데, 상기 침전된 오염물은 오염물 배출관(12)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는, 침전된 오염물의 양에 따라 상기 오염물 배출관(12)에 개재된 밸브(13)를 주기적으로 자동 또는 수동으로 개폐하여 실행할 수 있다.
10, 110 : 처리조 20, 120 : 스크린부
30, 130 : 원수공급관 40 : 바운딩판
150 : 응집제 혼합수단 100, 200 : 협잡물 제거 장치

Claims (6)

  1. 처리조;
    처리조의 내부에 설치되어 원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걸러내는 스크린부; 및
    상기 원수를 스크린부의 내부로 공급하는 원수공급관;을 포함하고,
    원수공급관을 통해서 유입된 원수에 포함된 협잡물은 스크린부에 의해 걸러지고 협잡물이 제거된 원수는 스크린부를 통과한 후 처리조에 개재된 유출관을 통해 배출되며, 스크린부에 의해 걸러진 협잡물은 아래로 유동된 후 스크린부의 하부에 설치된 협잡물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선택적으로 배출되고,
    원수공급관은 스크린부의 내부로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그 끝단과 마주보는 곳에 바운딩판이 설치되며, 스크린부는 바운딩판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일체로 설치되고,
    원수공급관으로부터 유입된 원수는 바운딩판에 부딪친 후 아래로 유동하면서 원형 또는 원호 형상의 흐름을 형성하여 협잡물은 스크린부에 의해 걸러지고 스크린부에 부착된 협잡물도 상기 흐름에 의해서 스크린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제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00108736A 2010-11-03 2010-11-03 스크린부에 부착된 협잡물의 제거와 제거된 협잡물의 배출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협잡물 제거장치 KR101205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8736A KR101205400B1 (ko) 2010-11-03 2010-11-03 스크린부에 부착된 협잡물의 제거와 제거된 협잡물의 배출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협잡물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8736A KR101205400B1 (ko) 2010-11-03 2010-11-03 스크린부에 부착된 협잡물의 제거와 제거된 협잡물의 배출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협잡물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7069A KR20120047069A (ko) 2012-05-11
KR101205400B1 true KR101205400B1 (ko) 2012-11-27

Family

ID=46265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8736A KR101205400B1 (ko) 2010-11-03 2010-11-03 스크린부에 부착된 협잡물의 제거와 제거된 협잡물의 배출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협잡물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54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679B1 (ko) * 2014-07-10 2015-03-10 대한민국 양식장 생물여과장치의 회분과 고형물 농축여과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508B1 (ko) * 2015-12-21 2016-07-08 에코이앤오주식회사 고급산화공정을 이용한 수처리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6112A (ja) 1996-11-28 1998-06-16 Riyuubi:Kk 養魚用汚水ろ過および浄化装置
KR100877309B1 (ko) 2008-03-07 2009-01-07 주식회사 대금지오웰 싸이클론 침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세륜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6112A (ja) 1996-11-28 1998-06-16 Riyuubi:Kk 養魚用汚水ろ過および浄化装置
KR100877309B1 (ko) 2008-03-07 2009-01-07 주식회사 대금지오웰 싸이클론 침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세륜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679B1 (ko) * 2014-07-10 2015-03-10 대한민국 양식장 생물여과장치의 회분과 고형물 농축여과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7069A (ko) 2012-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01481B2 (ja) 水処理装置および水処理装置濾材層の洗浄方法
KR101188143B1 (ko) 배관용 스트레이너 구조
WO2011001819A1 (ja) 水処理装置および水処理装置濾材層の洗浄方法
JP4765045B2 (ja) 固液分離装置および固液分離システム
KR101318263B1 (ko) 순환여과식 양식시스템용 침전장치
KR101205400B1 (ko) 스크린부에 부착된 협잡물의 제거와 제거된 협잡물의 배출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협잡물 제거장치
KR101651081B1 (ko) 수처리장치
KR200400258Y1 (ko) 오수 정화용 슬러지 탈수기
CN205528127U (zh) 一种养殖场精简式污水处理装置
CN105597398B (zh) 一种污水处理设备的颗粒过滤处理装置
KR101185811B1 (ko) 탈기겸용 다회류 고형물 여과장치
CN209507818U (zh) 一种热镀锌酸洗废水处理***
CN205653266U (zh) 席形滤网式污水处理器
KR100979530B1 (ko) 하수 처리 장치
CN213475550U (zh) 一种可防止堵塞的工业废水处理设备
KR101886425B1 (ko) Mbr 종합 전처리기
KR101469634B1 (ko) 관형여과기모듈을 이용한 수처리시스템
KR101642928B1 (ko) 정수장치
KR20090028134A (ko) 회전드럼식 고액분리기
KR100457657B1 (ko) 슬러지 농축저류 장치
KR100707828B1 (ko) 토양 속의 식물유체 및 유물을 분리하는 장치
CN205549789U (zh) 用于高浓度悬浮物污水过滤处理的转盘滤池
CN215667451U (zh) 一种应急用垃圾渗滤液处理装置
WO2014180481A1 (en) A biological purification device and a method for cleaning individual filtering elements
CN211664907U (zh) 一种过滤池与污水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